KR102313903B1 -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903B1
KR102313903B1 KR1020170064531A KR20170064531A KR102313903B1 KR 102313903 B1 KR102313903 B1 KR 102313903B1 KR 1020170064531 A KR1020170064531 A KR 1020170064531A KR 20170064531 A KR20170064531 A KR 20170064531A KR 102313903 B1 KR102313903 B1 KR 102313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pening
flow
reg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075A (ko
Inventor
황본창
서범수
오동익
윤준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903B1/ko
Priority to EP18806773.0A priority patent/EP3633275B1/en
Priority to US16/616,530 priority patent/US11506401B2/en
Priority to CN201880034414.2A priority patent/CN110678697B/zh
Priority to PCT/KR2018/005992 priority patent/WO2018217069A1/ko
Publication of KR2018012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3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 F24F1/003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introduction of outside air to the room in combination with simultaneous exhaustion of insid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개구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하도록 상기 토출패널에 장착되어 승강 또는 회전하는 에어가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ceiling typ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최근,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원형으로 생산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공보 10-0897425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유입된 내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나의 개방부를 갖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개방부 내에 구비되고 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안쪽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게 하고 바깥쪽 둘레에 상기 토출구가 위치되도록 하는 분리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열교환된 공기가 하나로 형성된 링 모양의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 측의 모든 방향(360°)으로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원형의 공기조화기는, 중앙부분의 틈이 발생하는 구조적인 결함 때문에 기류각도를 제어하는 베인이 생략되고, 그에 따라 기류제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냉방 시에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하도록 수평기류를 유도해야 하고, 난방 시에는 회풍(short-circuit) 방지를 위해 수직기류를 유도해야 하지만, 종래 원형의 공기조화기는 수평기류, 수직기류 모두를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난방 운전시, 토출구 모서리 부분에서, 약하게 퍼지는 유동이 재흡입되어 공기조화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1. KR 10-2007-0060502 A (2007년 06월 13일 공개) 2. KR 10-0897425 B1 (2009년 05월 14일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형 카세트의 유로 끝단을 상하로 움직여 기류를 제어하기 때문에 토출기류의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단순 동작만으로 정밀한 기류제어가 가능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냉방 시에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하도록 수평기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난방 시에는 회풍(short-circuit) 방지를 위해 수직기류를 유도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취출된 기류가 다시 흡입되는 회풍 현상이 방지되고, 회풍에 의한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드 냉방을 위한 수평기류를 강화시키거나, 집중 난방을 위한 수직기류를 강화시킬 수 있고, 스윙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화에 따라 토출기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토출패널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과, 상기 개구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하도록 상기 토출패널에 장착되어 승강 또는 회전하는 에어가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은, 상기 각각의 입구와 연통하여,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영역과, 상기 유동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차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유동영역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을 유동 영역과 차단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동 영역 및 차단 영역은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동영역과 대응되는 제1개구영역과, 상기 차단영역과 대응되는 제2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제1개구영역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제1개구영역 및 제2개구영역은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토출패널에 승강 또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의 승강 또는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 또는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승강하면서,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렉기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은, 어퍼 바디부와, 상기 어퍼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된 아우터 바디부가 연결부로 연결된 메인유로바디 및 상기 메인유로바디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유로바디의 내측에 구비된 이너유로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유로바디 또는 상기 이너유로바디의 단부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유로바디 또는 상기 이너유로바디의 내측과 외측으로 출몰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내부공간과 대면하는 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져, 상승 시 수평기류를 유도하고, 하강시 수직기류를 유도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바디 및 상기 이너유로바디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유로바디 및 상기 이너유로바디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외측을 향해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곡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 카세트의 유로 끝단을 상하로 움직여 기류를 제어하기 때문에 토출기류의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면서, 단순 동작만으로 정밀한 기류제어가 가능한 효과도 있다.
또한, 냉방 시에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하도록 수평기류를 유도할 수 있고, 난방 시에는 회풍(short-circuit) 방지를 위해 수직기류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취출된 기류가 다시 흡입되는 회풍 현상이 방지되고, 회풍에 의한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드 냉방을 위한 수평기류를 강화시키거나, 집중 난방을 위한 수직기류를 강화시킬 수 있고, 스윙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 토출기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토출패널의 내측으로 완벽하게 수납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에서 토출패널과 흡입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토출유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9은 도 6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10는 도 6의 Y-Y'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평면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에어 가이드의 상승시 제1개구영역으로 취출되는 기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에어 가이드의 하강시 제1개구영역으로 취출되는 기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 내지 도 19와 같은 에어가이드의 승강여부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실내기(1)에는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내장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공기를 흡입하여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토출패널(2)로 송풍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15)과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7)(8)(9)(10)을 구획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열교환기(5)의 하부에 배치된 드레인 유닛(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흡입패널(3)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는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그 하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실내기(1)의 내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토출기류는 나란한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실내기(1)의 외둘레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의 저면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저면을 통해 하측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수직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샤시(11)을 포함할 수 있다. 샤시(11)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일 수 있다.
샤시(11)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11)에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샤시(1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내부에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전, 후, 좌, 우 네면 각각과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다. 샤시(11)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5)의 내부에 위치되게 샤시(11)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토출패널(2)의 후술하는 어퍼 중공부(20) 상측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그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4)는 모터(41)와, 모터(41)에 연결된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는 원심팬(42)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오리피스(4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은 원심팬(42)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원심팬(42)은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샤시(1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후술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공(6)은 오리피스(4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3)의 이너 흡입공(6)을 통과해 원심팬(42)으로 흡입될 수 있고, 원심팬(42)에 의해 원심팬(42)의 원심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원심팬(42)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원심팬(4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된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샤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부에 사각형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후술하는 송풍통로(7)(8)(9)(10)로 안내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내부에 송풍기(4)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절곡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서로 상이한 면을 마주보는 4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송풍기(4)의 외측에서 송풍기(4)의 외둘레면을 둘러쌀 수 있다.
드레인 유닛(14)는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열교환기(5)의 하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드레인 유닛(14)에 결합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에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5)는 실내기(1) 하부의 공기를 실내기(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실내기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중공부(15)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샤시(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실내기(1)에 형성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이너 흡입공(6)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송풍통로(7)와, 우측 송풍통로(8)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후방측 송풍통로(1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가상선(17A)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사각형 가상선(17A)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송풍통로(7)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좌측면(1A)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우측 송풍통로(8)는 실내기(1)의 좌측면(1A)과 우측면(1B) 중 우측면(1B)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잇다.
전방측 송풍통로(9)는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전면(1C)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측 송풍통로(10)은 실내기(1)의 전면(1C)과 배면(1D) 중 배면(1D)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유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유로 (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그 위치가 상이하고 개방방향이 나란한 네 개의 개구 영역일 수 있고, 실내기(1)는 이러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통해 공기가 토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토출 방향이 서로 나란한 4개의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4 way 토출형 실내기일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외둘레(2A)가 원형일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저면(2B)이 평면일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흡입패널(3)과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된 로어바디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서로 나란한 네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받아 토출패널(2)의 하부 주변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1)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하거나 수평방향(H)과 예각의 경사각(θ)을 갖는 하측 경사방향(H2)으로 전환하여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복수개 부재(50)(60)(70)(9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실내기(1)의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21, 22, 23, 24,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원 형상 또는 호 형상이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내부 공간(26)이 마련될 수 있고,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 및 개구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토출 패널(2)에 승강되게 배치되고 개구부(25)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 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 모듈(100)은 토출 패널(2)에 승강 또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에어가이드 모듈(100)은 상승 시, 개구부(25)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수평기류를 유도하고, 하강 시 수직기류를 유도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에어가이드 모듈(100)이 토출패널(2)의 개구부(25) 주변으로 상승하거나 토출패널(2)의 내부로 하강하면서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공간(60a)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60a)은 토출패널(2)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로어바디 어셈블리에서 토출패널과 흡입패널이 분리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토출유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 패널의 흡입유로 및 토출유로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은 도 6의 X-X'선 단면도이고, 도 10는 도 6의 Y-Y'선 단면도이다.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패널(2)에는 복수개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유로(18)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중공부(15, 도 3 참조)로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16)가 될 수 있다. 이하,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와 토출패널(2)의 중공부에 대해 동일 도면 부호인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흡입유로(1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유로(18)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토출유로(18)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16)는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사각형일 수 있다. 흡입유로(16)의 사각형 형상은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원형에 가까운 사각형은 두 쌍의 대변을 갖되 네 꼭지점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사각형을 의미할 수 있다.
단면 형상이 원형인 흡입유로(H)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흡입유로(16) 보다 크기가 작고, 단면 형상이 사각형인 흡입유로(16)는 토출패널(2)의 내부에 보다 넓은 흡입면적을 확보할 수 있어, 공기의 신속한 흡입을 도울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유로(16)에 센서나 모터나 피시비 등의 전기부품(17)을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전기부품(17)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인 흡입유로(16)에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기부품(17)의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사각형인 전기부품(17)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흡입유로(H)에 장착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사각형인 전기부품(17)이 원형인 흡입유로(H)를 가로막는 면적이 과다할 수 있고, 원형인 흡입유로(H)를 통한 공기 흡입량은 감소될 수 있다.
즉,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16)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이거나 최대한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패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대응되는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인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개구부(25)를 연결하는 내부 공간(26)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토출유로(18)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내부공간(26)의 유동 영역(26A)과,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는 복수의 입구(21)(22)(23)(24)를 통해 유동영역(26A)로 유입될 수 있고, 유동영역(26A)를 통과한 공기는 제1개구영역(25A)를 통해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에 형성된 송풍통로(7)(8)(9)(10)와 1:1 대응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좌측 송풍통로(7)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좌측 입구(21)와, 우측 송풍통로(8)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우측 입구(22)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송풍통로(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후방측 입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중공부(16)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좌측 입구(21)와 우측 입구(22) 각각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는 토출패널(2)에 형성된 중공부(16)를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입구(24)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입구(21)(22)(23)(24) 각각의 단면 크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의 단면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21)(22)(23)(24)의 다각형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갖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21)(22)(23)(24)의 직사각형 형상은 수평방향으로 긴 장방향 형상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변이나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이 라운드진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와 같이, 사각형 가상선(19, 도 7 및 도 8 참조)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입구(21)(22)(23)(24)는 사각형 가상선(19)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토출패널(2)의 사각형 가상선(19)과 도 4에 도시된 실내기(1)의 사각형 가상선(17A)은 그 크기가 같고, 상하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공조된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일 수 있다. 개구부(25)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실내기(1)의 열교환기(5)에서 열교환된 차가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입구(21)(22)(23)(24) 보다 개수가 적을 수 있다. 개구부(25)는 복수개 입구(21)(22)(23)(24) 각각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개구부(25)는 호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호 형상일 경우, 복수의 개구부(25)는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원형 가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가 호 형상일 경우, 호 형상은'C'자 형상과 같은 우호 형상이나 열호 형상이나 반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개구부(25)는 원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하나의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5)가 원형일 경우, 원형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내부 공간(26)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일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될 수 있고, 개구부(25)는 토출패널(2)의 저면과 함께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개구부(25)는 제1개구영역(25A)와 제2개구영역(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는 개구부(25) 중 입구(21)(22)(23)(24)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개구영역(25A)는 개구부(25) 중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개구영역(25B)는 개구부(25)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개구영역(25B)는 개구부(25)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의 사이 아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개구영역(25B)는 입구(21)(22)(23)(24)와 대응되지 않을 수 있고, 후술할 연결부(53)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개구영역(25A)는 내부 공간(26)의 방향을 따라 입구(21)(22)(23)(24)에 대응될 수 있고, 제2개구영역(25B)는 내부 공간(26)의 방향을 따라 연결부(5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와 제2개구영역(25B)는 토출패널(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25)가 원 형상일 경우, 제1개구영역(25A)와 제2개구영역(25B)는 개구부(25)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제2개구영역(25B)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개구영역(25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개구영역(25A)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개구영역(2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에서는 그와 대응되는 입구(21)(22)(23)(24)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반면, 제2개구영역(25B)에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베리어(130)의 하단(132)은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므로,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은 베리어(130)에 의해 구획되지 않을 수 있고, 이 경우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가 제2개구영역(25B)에서 토출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각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25)가 원 형상일 경우,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각은 원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2개구영역(25B)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개구영역(25A)의 면적은 제2개구영역(25B)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 및 개구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와 개구부(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유동 영역(26A)는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개구부(25)로 안내할 수 있다.
내부 공간(26) 중 유동 영역(26A)은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의 기류를 전환하여 개구부(25)로 안내하는 기류전환 토출통로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26) 중 상부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과 상기 아우터 커버(70)의 내둘레면(7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 중 하부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65)과 아우터 바디부(52)의 내둘레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은 이너 가이드(64)의 이너 곡면(65)일 수 있다. 또한, 아우터 바디부(52)의 내둘레면은 아우터 가이드(54)의 아우터 곡면(55)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수직기류를 수평기류를 전환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그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는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다수의 입구(21)(22)(23)(24)가 위치하는 사각형 가상선(19)은 개구부(25) 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25)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형 가상선(19)의 변과 개구부(25) 사이의 제1거리(D1)는 사각형 가상선(19)의 꼭지점과 개구부(25) 사이의 제2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제1거리(D1)는 제2거리(D2) 보다 길 수 있고, 사각형 가상선(19)과 원형인 개구부(25) 사이의 거리는 원주방향을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제1거리(D1)은 사각형 가상선(19)의 꼭지점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내부공간(26)는 이러한 거리 차(D1-D2)를 고려하여, 원주방향으로 그 수평방향 폭(D3)(D4)이 동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수평방향 폭(D3)(D4)은 개구부(25)를 따라 교대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할 수 있고,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내부공간(26)는 유동영역(26A) 및 차단영역(26B)를 포함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와 위치관계에 따라, 유동영역(26A)는 입구(21)(22)(23)(24)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고, 차단영역(26B)는 입구(21)(22)(23)(24)의 주변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영역(26B)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은 후술할 베리어(1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유동영역(26A)와 차단영역(26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 영역(26A)은 한 쌍의 마주보는 베리어(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단영역(26B)은 수평방향으로 유동영역(26A) 옆에 위치될 수 있다.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은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유동영역(26A)의 하측에는 제1개구영역(25A)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차단영역(26B)의 하측에는 제2개구영역(25B)이 위치할 수 있다.
유동영역(26A)는 입구(21)(22)(23)(24)와 제1개구영역(25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단영역(26B)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사이 부분과 제2개구영역(2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영역(26B)는 연결부(53)와 제2개구영역(25B)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동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차단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 폭(D3)(D4) 비교는 동일한 높이에서의 비교이다.
유동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차단영역(26B)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도 7를 참조하면, 유동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개구부(25)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증가되었다가 감소되고, 차단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은 개구부(25)를 따라 시계방향으로 감소되었다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동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 평균은 차단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 평균 보다 클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상단(26C)은 다수의 입구(21)(22)(23)(24)과 개구부(25) 중 다수의 입구(21)(22)(23)(24)와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상단(26C)의 단면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단(26C)의 꼭지점 부분은 굽은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하단은 개구부(25)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동영역(26A)의 하단은 제1개구영역(25A)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차단영역(26B)의 하단은 제2개구영역(25B)일 수 있고, 그 단면은 호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는 그 상단(26C)의 형상과 개구부(25)의 형상에 대응되기 위해 그 상단(26C)에서 개구부(25)로 갈수록 사각형 고리 형상에서 점차 원형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상단(26C)은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하고 제1곡률을 갖는 영역(이하, 제1곡률 영역(26D)이라 칭함)과,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주변 아래에 위치되고 제1곡률 보다 큰 제2곡률을 갖는 영역(이하, 제2곡률 영역(26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곡률 영역(26E)은 제1곡률 영역(26D)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곡률 영역(26D)과 제2곡률 영역(26E)은 내부공간(26)의 상단(26C)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교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개구부(25)는 제1곡률 보다 큰 제3곡률을 갖을 수 있다. 개구부(25)의 제3곡률은 제2곡률과 같거나 작거나 클 수 있다.
내부공간(26)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 형상이 점차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 중 제1곡률영역(26D)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은 그 곡률이 점차 증가하는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곡률이 일정하거나 점차 감소되거나 점차 증가되는 형상일 수 있다.
제2곡률이 제3곡률과 동일할 경우, 내부공간(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은 하측방향으로 곡률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2곡률이 제3곡률보다 클 경우, 내부공간(26) 중 제2곡률영역(26E)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곡률이 점차 감소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다수의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영역(26A)으로 낙하될 수 있고 제1개구영역(25A)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 때, 유동영역(26A)으로 낙하된 공기는 베리어(130)에 의해 가로막혀 차단영역(26B)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고, 제2개구영역(25B)로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다수의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26)에서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로 토출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개구부(25)의 일부 영역으로 공조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베리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A)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입구(21)(22)(23)(24)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하단(132)은 개구부(25)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리어(130)의 상단이 입구(21)(22)(23)(24)에 위치하고, 하단(131)이 개구부(25)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내부공간(26)의 상단(26C)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의 하단(132)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개구부(25)의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내부공간(26)을 유동 영역(26A)과 차단영역(26B)으로 구획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유동 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리어(130)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의 2배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입구 당 한 쌍의 베리어(130)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패널(2)에는 4개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고, 8개의 베리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내부공간(2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하단(131)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리어(130)의 하단(131)은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베리어(130)의 하단(131)이 토출패널(2)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유로바디(60)와 아우터 바디부(5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인 이너 곡면(65)에 접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커버(70)의 사이에 위치하는 어퍼 영역(130A)과, 이너 유로바디(60)와 아우터 바디부(52)의 사이에 위치하는 로어 영역(130B)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영역(130A)의 내측단은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에 접할 수 있고, 외측단은 아우터 커버(70)의 내둘레면(70A)에 접할 수 있다. 로어 영역의 내측단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에 접할 수 있고, 외측단은 아우터 바디부(52)의 내둘레면에 접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패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일부가 확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평면도이고,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유로바디의 저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사시도이고,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평면도이다.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와, 메인 유로바디(50)와 결합된 이너 유로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내부 공간(26)의유동 영역(26A)으로 안내하는 아우터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에 결합된 데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는 이격된 한 쌍의 가이드(54)(64) 사이로 공기가 유입되어 통과할 수 있다. 공기는 한 쌍의 가이드(54)(64)가 안내하는 방향으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54)(64) 중 어느 하나는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가이드(54)(64) 중 다른 하나는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가이드(54)(64)는 상대적으로 외측에 위치하는 아우터 가이드(54)과, 아우터 가이드(54)의 내측에 아우터 가이드(54)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이너 가이드(6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메인 유로바디(50)의 내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은 이너 가이드(64)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의 유동 영역(26A)는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개구부(25)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중공부(16)가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중공부(16)는 토출패널(2)의 내둘레를 따라 평면(F1)과 곡면(R1)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6)는 서로 직교한 한 쌍의 평면(F1)이 곡면(R1)에 의해 연결될 수 있고, 한 쌍의 곡면(R1)이 평면(F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중공부(16)는 4개의 평면(F1)과 4개의 곡면(R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6)는 메인 유로바디(50) 및 이너 유로바디(6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된 어퍼 중공부(20)와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된 로어 중공부(68)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 및 로어 중공부(68)는 그 형상이 동일할 수 있고, 그 각각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F1)과 곡면(R1)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어퍼 중공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는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16)로 기능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는 흡입패널(3)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실내기(1)의 이너 흡입공(6)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외둘레와 어퍼 중공부(20)의 사이에 복수의 입구(21)(22)(23)(24)를 형성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실내기(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실내기(1)의 하부에서 실내기(1)를 가릴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상하 방향으로 실내기(1)를 마주보는 영역과, 상하 방향으로 실내기(1)의 주변을 마주보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잇다.
메인 유로바디(50)에는 실내기(1)를 천장에 체결하는 체결부(12)를 마주보는 서비스홀(59)이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체결부(12)의 개수만큼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될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개구부일 수 있다. 서비스홀(59)은 옆면이 개방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서비스홀(59)를 가리는 데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토출패널(2)의 테두리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중앙에 어퍼 중공부(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어퍼 바디부(52) 보다 큰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어퍼 바디부(5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의 높이는 어퍼 바디부(51)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연결부(53)는 높이 및 크기가 상이한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를 연결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폐루프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내둘레면(51A)은 어퍼 중공부(20)를 형성할 수 있다.
어퍼 중공부(20)는 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네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내둘레면(51A)는 내둘레면을 따라 평면(F1)과 곡면(R1)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내부 공간(26)의 상측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이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내부 공간(26)의 상측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는 연결부(53) 및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바디부(51)와 연결부(53)와 아우터 커버(7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은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과 이격될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되, 네 꼭지점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은 어퍼 평면(F2)과, 어퍼 평면(F2) 보다 낮은 로어 곡면(R3)(R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아우터 커버(70)는 어퍼 평면(F2) 및 로어 곡면(R3)(R4)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보는 일면(70A)을 갖을 수 있다.
어퍼 평면(F2)은 연결부(53) 및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로어 곡면(R3)(R4)은 아우터 커버(70)와 함께 내부공간(26)의 상측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어퍼 평면(F2)이 형성된 어퍼 가이드(51C)와, 외둘레면을 따라 로어 곡면(R3)(R4)이 형성된 로어 가이드(51D)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평면(F2)은 수평방향으로 긴 평면일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를 마주볼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는 어퍼 평면(F2)와 연결부(53)의 측단(53C)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어 곡면(R3)(R4)는 평면에 가까운 곡률을 갖는 곡면일 수 있다.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는 로어 곡면(R3)(R4)에 안내될 수 있다.
로어 곡면(R3)(R4)는 수평방향으로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를 마주보는 영역(R3, 이하 제3영역이라 칭함)과, 수평방향으로 연결부(53)을 마주보는 영역(R4, 이하, 제4영역이라 칭함)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영역(R3)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는 다각형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제4영역(R4)과 연결부(53)의 사이는 서로 인접한 다각형 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혼합될 수 있는 공간일 수 있다.
제3영역(R3)과 제4영역(R4)은 곡률이 서로 상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3영역(R3)는 평면에 가까운 곡면일 수 있고, 제3영역(R3)의 곡률은 제4영역(R4)의 곡률 보다 작을 수 있다.
제4영역(R4)은 제3영역(R3) 보다 더 굽은 형상일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의 로어 곡면(R3)(R4)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 사이에는 토출패널(2)의 반경방향으로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의 수평방향 폭은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이너 가이드(64)와 이격되는 아우터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가이드(64)를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일부일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장착부(56)과, 장착부(56)의 내둘레에 형성된 아우터 가이드(54)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56)는 고리형 판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56)에는 아우터 커버(70)와 데코 커버(90)가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에는 이너 유로바디(60)을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이너 유로바디(60)을 향해 볼록한 아우터 곡면(55)이 형성된 가이드부(54A)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가이드(54)는 후술하는 사이드 연결부(53B)와 연결된 가이드 연결부(54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4A)와 가이드 연결부(54B)는 아우터 가이드(54)를 따라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54A)는 하부로 갈수록 크기가 점차 확장되는 확장부일 수 있다.
아우터 곡면(55)는 가이드부(54A) 중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보는 면일 수 있다.
가이드 연결부(54B)는 상하방향으로 크기가 일정한 비확장부일 수 있다.
연결부(53)은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상부가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에 연결될 수 있고, 하부가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하부가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53)는 어퍼 연결부(53A)와 사이드 연결부(53B)를 포함할 수 있다.
어퍼 연결부(53A)는 어퍼 바디부(51)의 상단 외둘레에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어퍼 연결부(53A)는 사이드 연결부(53B)와 직교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연결부(53A)는 상하방향으로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마주볼 수 있다.
어퍼 연결부(53A)는 어퍼 평면(F2)과 직교한 측단(53C)을 갖을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은 어퍼 바디부(51)의 어퍼 평면(F2)과, 어퍼 연결부(53A)의 측단(53C)과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에 의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 연결부(53B)는 어퍼 연결부(53A)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아우터 바디부(52)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연결부(53B)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사이드 연결부(53B)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에 형성된 제4영역(R4)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연결부(53)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 사이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연결부(53)는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53)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인접한 한 쌍의 연결부(53) 사이에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연결부(53)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리어(130)는 어퍼 연결부(53A) 및 사이드 연결부(53B)에 접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연결부(53)의 측단(53C)에 접할될 수 있다. 또는 베리어(130)는 연결부(53)의 저면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베리어(130)는 연결부(53)의 양 측단(53C)에 각각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내부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아우터 가이드(54)의 내측에 저면이 개방된 공간(S2)이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은 어퍼 중공부(20)의 외둘레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는 연결부(53) 및 아우터 가이드(54)에 의해 둘러싸이는 빈 공간일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에어가이드 모듈(100)이 수용되는 수납공간(60a)이 형성될 수 있다. 수납공간(60a)은 개구부(25)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이너 유로바디(60)와 내부공간(26)의 하측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의 하단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 하단과 개구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어퍼 중공부(20)의 주변에 결합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내부 공간(26) 및 개구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25) 및 내부 공간(26)은 이너 유로바디(60)와 아우터 바디부(52)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그 상면(69)이 어퍼 중공부(20)의 주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은 어퍼 바디부(5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공기가 통과하는 로어 중공부(68)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로어 중공부(68)는 흡입패널(3)를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흡입유로(16)로 기능할 수 있다.
송풍기(4)의 구동시, 이너 유로바디(60)의 로어 중공부(68)를 통과한 공기는 메인 유로바디(50)의 어퍼 중공부(20)를 통과하여 실내기(1)로 흡인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메인 유로바디(50)과 결합될 수 있고, 메인 유로바디(50)와 함께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은 상하방향으로 다각형 입구(21)(22)(23)(24)를 마주보는 입구 대향면(65A)과, 상하방향으로 연결부(53)를 마주보는 연결부 대향면(65B)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 대향면(65A)과 연결부 대향면(65B)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 대향면(65A)은 연결부 대향면(65A) 보다 더 완만할 수 있다.
입구 대향면(65A)은 아우터 가이드(54)의 가이드부(54A)와 함께 유동 영역(26A)을 형성할 수 있고, 연결부 대향면(65A)은 아우터 가이드(54)의 가이드 연결부(54B)와 함께 차단영역(26B)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꼭지점 부분은 굽은 형상일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 외둘레는 제3영역(R3)와 곡률이 같은 제5영역(R5)와, 제4영역(R4)와 곡률이 같은 제6영역(R6)을 포함할 수 있다. 제5영역(R5)와 제6영역(R6)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65)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 외둘레 형상과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 형상에 대응되기 위해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 외둘레에서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으로 갈수록 사각형 고리 형상에서 점차 원형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 중 입구 대향면(65A)과 연결부 대향면(65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입구 대향면(65A)와 연결부 대향면(65B)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내측단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리어(130)의 하단(132)는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과 이격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하단(132)은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 베리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상부가 메인 유로바디(50)의 공간(S2)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하단이 메인 유로바디(50) 보다 낮을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하부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상단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그리고,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은 아우터 가이드(54)를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외둘레면에 이너 가이드(6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에는 이너 곡면(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는 이너 곡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외둘레면은 이너 곡면(65)일 수 있고, 이하 이너 가이드(64)의 외둘레면과 이너 곡면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 '65'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너 가이드(64)는 오목하게 함몰된 이너 곡면(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 곡면(65)은 상단(66)이 아우터 곡면(55)을 수평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이너 곡면(65)의 상단(66)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 외둘레일 수 있다. 이너 곡면(65)은 하단(67)이 아우터 곡면(55)을 상하 방향으로 마주볼 수 있다.
내부 공간(26) 중 하측 일부는 이너 가이드(64)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와 아우터 가이드(54)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아우터 가이드(54)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출구단(67)을 포함할 수 있다. 출구단(67)는 이너 곡면(65)은 하단(67)과 동일할 수 있고, 이하, 이너 곡면(65)의 하단과 출구단은 동일 도면부호 '6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출구단(67)은 아우터 가이드(54)와 개구부(2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개구부(25)는 출구단(67)과 아우터 가이드(54)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의 출구단(67)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일 수 있다.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부 외둘레일 수 있고, 이너 유로바디(60)의 출구단(67)은 이너 가이드(64)의 하단일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유로바디(60)는 외둘레면의 적어도 일부가 메인 유로바디(50)를 마주보게 배치되어 메인 유로바디(50)와 개구부(25) 및 내부 공간(26)를 형성하는 유로형성바디(61)와, 유로형성바디(61)와 결합된 강도보강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바디(61)는 상단이 어퍼 바디부(5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유로형성바디(61)는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형성바디(61) 중 외둘레는 이너 가이드(64)일 수 있다.
강도보강바디(62)는 유로형성바디(61)의 하면에 결합되는 로어보강바디(62A)와, 로어보강바디(62A)의 내둘레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유로형성바디(61)의 중공부로 내삽된 상부보강바디(62)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보강바디(62)는 상부보강바디(62)에 돌출된 강도보강리브(62C)를 포함할 수 있다. 강도보강리브(62C)는 유로형성바디(61)의 내둘레면에 형성된 끼움슬롯에 삽입될 수 있고, 유로형성바디(61)와 결합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어퍼 바디부(51)와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아우터 바디부(52)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가이드부(54A)에 안착될 수 있고, 다각형 입구(21)(22)(23)(23)로 유입된 공기를 가이드부(54A)로 안내할 수 있고, 다각형 입구로 유입된 공기는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을 따라 가이드부(54A)로 안내될 수 있고, 이러한 공기는 가이드부(54A)의 아우터 곡면(55)을 따라 개구부(25)로 유동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의 일면(70A)은 상부가 입구를 형성하고, 이러한 일면(70A) 중 상부는 곡면이 아닌 평면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는 어퍼 커버부(71)와, 어퍼 커버부(71)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유로바디부(72)와, 어퍼 커버부(71)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된 사이드 커버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메인 유로바디(50)와 입구(21)(22)(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와 이격되게 아우터 가이드(54)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면을 마주볼 수 있고, 어퍼 바디부(51)의 외면과 유로바디부(72) 사이에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 및 연결부(53)와 함께 내부공간(26)의 상측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하단이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의 하단은 아우터 가이드(54)의 상단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 중 상측 일부는 어퍼 바디부(51)와 유로바디부(7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어퍼 바디부(51)의 외둘레면(51B)에 형성된 어퍼 평면(F2)을 마주볼 수 있다. 유로바디부(72)는 이러한 어퍼 평면(F2)을 마주보는 면이 평평한 판형일 수 있다.
아우터 커버(70)의 수용공간은 유로바디부(72)와 사이드 커버부(73)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그 상면이 어퍼 커버부(71)에 막히고, 저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데코 커버(90)는 장착부(56)의 하면을 덮는 하판(91)과, 하판(91)의 외둘레에서 돌출된 중공 통부(92)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 통부(92)는 아우터 바디부(52)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 통부(92)는 아우터 바디부(52)의 외둘레면(52A)을 둘러싸서 보호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에어 가이드의 상승시 제1개구영역으로 취출되는 기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에어 가이드의 하강시 제1개구영역으로 취출되는 기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흡입패널(3)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일부가 로어 중공부(68)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3)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3)에는 공기가 로어 중공부(68)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통공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로어 중공부(68)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공(31)은 실내의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일 예로, 에어가이드모듈(100)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유로바디(60)에 승강되게 배치되어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하는 에어가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도 18와 같이 에어가이드(110)의 상승시,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10)에 의해, 에어가이드(110)가 안내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10)의 상승시,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10)의 상단(111)을 지나면서 수평기류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도 19와 같이, 에어가이드(110)의 하강시,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10)의 영향을 받지 않고, 개구부(25)의 토출방향(수직방향)을 따라 수직기류로 토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10)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상단이 평면일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10)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면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11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천장을 바라봤을 때, 개구부(25)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그 형상이 원형의 링(ring)형상이거나, 호(arc) 형상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하단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유로바디(50)에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메인유로바디(50)로부터 출몰하면서 상기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에어가이드가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다수의 에어가이드(11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모듈(100)은 이너유로바디(60)에 회전되게 배치되어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모듈(100)은 메인유로바디(50)에 승강 및/또는 회전되게 배치되어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의 기류를 가변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가 상승되었을 때, 수평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가 하강되었을 때, 수직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원형 에어가이드가 승강될 경우, 천정형 공기조화기는 하나의 수평기류만을 형성하거나 하나의 수직기류만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10)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1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에어가이드(110) 중 일부는 상승되어 수평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나머지 에어가이드(110)는 하강되어 수직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다수의 호 형상 에어가이드(110)가 서로 독립적으로 승강될 경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수평기류와 수직기류가 혼합된 입체적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입체적 기류는 다양한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7을 참조하면, 각 에어가이드(11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에어가이드(110) 사이에는 간격이 위치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10)는 그 단부가 제1개구영역(25A)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횡단면의 형상이 호(arc)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가이드(110)는 제1개구영역(25A)과 대면하면서 제1개구영역(25A)을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면(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가이드(110)의 승강 및/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 에어가이드 모듈(100)은 승강부 및/또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부(120,130)는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120)과,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에어가이드(110)를 승강시키는 동력전달수단(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120,130)는 이너유로바디(60)의 테두리부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공간(60a)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하강 시 수납공간(60a)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승강하면서, 이너유로바디(60)의 내외측으로 출몰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110)는 하강할 경우, 에어가이드(110)의 상단은 이너유로바디(60)의 표면과 단차 없이,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동력발생수단(120)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되고,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피니언기어(131) 및 상기 피니언기어(131)와 치합되어 승강하면서, 상기 에어가이드(110)를 승강시키는 렉기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 피니언기어(131)가 회전하고, 피니언기어(131)와 치합된 렉기어(132)가 승강하면서, 렉기어(132)와 연결된 에어가이드(110)가 승강할 수 있다.
승강부(120,130)는 에어가이드(110)와 같이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에어가이드(110)의 각각은 서로 상이한 승강부(120,130)에 의해 독립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110)가 2개일 경우, 승강부(120)는 최소 2개 일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호 형상인 에어가이드(110)를 복수의 승강부(120,130)가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복수의 승강부(120,130)는 호 형상인 에어가이드(110)를 보다 안정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인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기(4)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3)를 통과한 후 토출패널(2)의 어퍼 중공부(20)를 통과하여 실내기(1) 내부로 상승될 수 있다.
실내기(1)의 내부로 상승된 공기는 송풍기(4)에 의해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열교환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을 통과해 실내기(1)를 빠져나올 수 있다. 실내기(1)에서는 복수의 토출기류가 하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패널(2)의 입구(21)(22)(23)(24)로 분산되어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는 유동영역(26A)로 유동될 수 있고, 베리어(130)에 의해 차단영역(26B)으로는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유동영역(26A)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이너 가이드(64)와 아우터 가이드(54)의 안내를 받으면서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동영역(26A)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이너 가이드(64)의 입구 대향면(65A)와 아우터 가이드(54)의 가이드부(55A)의 안내를 받으면서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25)의 제2개구영역(25B)에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되는 기류는 입구(21)(22)(23)(24)에서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26)에서 차단영역(26B)으로 유동되지 않고, 유동영역(26A)를 통해 제1개구영역(25A)으로 곧바로 토출되므로 유속이 빠르고 직진성이 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개구영역(25A)로 토출되는 차가운 공기가 흡입 패널의 통공으로 회풍 되지 않을 수 있고, 회풍으로 인해 흡입 패널(3)의 저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는 하방 경사진 비스듬한 방향의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수평 기류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에어가이드(110)의 상승시, 유동영역(26A)을 거쳐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에어가이드(110)의 안내면(111) 의해 안내되어 수평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만일 토출패널(2)에 베리어(130)가 구비되지 않을 경우, 유동 영역(26A)으로 안내된 공기의 일부가 차단영역(26B)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개구영역(25B)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개구영역(25B)로 토출되는 기류는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유동영역(26A)의 공기 일부가 차단영역(26B)에서 서로 혼합되어 토출되므로 유속이 느리고 유량도 적을 수 있다. 따라서, 제2개구영역(25B)으로 토출된 공기가 흡입 패널(3)의 통공(31)으로 회풍되어, 흡입 패널(3)의 저면에 이슬이 맺힐 우려가 있다. 베리어(130)는 유동영역(26A)의 공기가 차단영역(26B)으로 유동되는 것을 막아 개구부(25)의 제2개구영역(25B)에서 공기가 토출되지 않도록 하고, 회풍 현상과 그에 따른 이슬 맺힘을 방지할 수 있다.
먼저, 승강부(120,130)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10)를 상승시키면, 에어가이드(110)는 그 상단(111)이 수평방향과 나란하게 평면으로 형성되고, 이너유로바디(60)의 표면보다 높게 상승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에어가이드(110)의 상단(111)은 상기 이너유로바디(60)의 경사진 각도보다 수평에 가깝게 회전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유동영역(26A)을 거쳐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를 통과한 공기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에어가이드(110)의 상단(111) 및 메인유로바디(50)의 저면에 형성된 아우터 가이드(54)를 따라 안내되면서, 수평에 가까운 기류로 토출될 수 있고, 개구부(25)로 토출된 공기는 실내로 넓게 퍼지면서 분산될 수 있다.
한편, 승강부(120,130)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110)를 하강시키면, 에어가이드(110)는 이너유로바디(6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에어가이드(110)의 상단(111)은 유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이너유로바디(60)의 표면보다 낮게 수납되거나, 이너유로바디(60)의 표면과 단차지지 않도록, 매끄럽게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유동영역(26A)을 거쳐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로 토출된 공기는 에어가이드(110)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개구부(25)의 형성방향에 따라 수직에 가까운 기류로 토출 안내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110)의 높이가 높을수록 수평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110)의 높이가 낮을수록 수직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110)의 승강 정도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모드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8 내지 도 19와 같은 에어가이드의 승강여부에 따른 온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의 (a)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10)가 하강되면, 수직기류가 유도되면서, 개구부(25)를 토출한 공기가 하방으로 공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난방 모드시 에어가이드(110)는 하강하여 출구(25)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25)를 통과한 공기는 실내의 온도보다 고온일 수 있고, 실내의 공기보다 가벼울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10)를 하강시켜 수직기류를 형성함으로써 고온의 공기가 직접 하방으로 토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110)를 하강시켜 직접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반면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10)가 상승되면, 수평기류가 유도되면서, 개구부(25)를 토출한 공기가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냉방 모드시, 에어가이드(110)는 상승하여 개구부(25)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평에 가까운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부(25)를 통과한 공기는 실내의 온도보다 저온일 수 있고, 실내의 공기보다 무거울 수 있다. 따라서, 에어가이드(110)를 상승시켜 수평기류를 형성함으로써 실내에 저온의 공기가 넓게 퍼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에어가이드(110)를 상승시켜 간접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개구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가변하도록 상기 토출패널에 장착되어 승강 또는 회전하는 에어가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패널은,
    메인 유로바디와,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유로바디의 내측에 구비된 이너유로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유로바디는,
    어퍼 바디부와, 상기 어퍼 바디부의 외측에 마련되고, 상기 어퍼 바디부와 연결부로 연결된 아우터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메인유로바디 또는 상기 이너유로바디의 단부에 장착되고,
    상단이 수평방향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가이드가 상승하면, 수평기류를 유도하고,
    상기 에어가이드가 하강하면, 수직기류를 유도하며,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은 상기 각각의 입구와 연통하여,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영역;과, 상기 유동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차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유동영역에 장착되며,
    상기 유동 영역과 차단 영역은 베리어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베리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아우터 바디부와 상기 이너 유로 바디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 영역 및 차단 영역은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동영역과 대응되는 제1개구영역과, 상기 차단영역과 대응되는 제2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제1개구영역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영역 및 제2개구영역은 상기 토출 패널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 모듈은:
    상기 에어가이드의 승강 또는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동력발생수단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 또는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 구비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려 승강하면서, 상기 에어가이드를 승강시키는 렉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메인유로바디 또는 상기 이너유로바디의 내측과 외측으로 출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바디 및 상기 이너유로바디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유로바디 및 상기 이너유로바디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외측을 향해 곡선을 이루도록 절곡된 곡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64531A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1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31A KR102313903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
EP18806773.0A EP3633275B1 (en) 2017-05-25 2018-05-2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US16/616,530 US11506401B2 (en) 2017-05-25 2018-05-25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CN201880034414.2A CN110678697B (zh) 2017-05-25 2018-05-25 吊顶式空气调节设备
PCT/KR2018/005992 WO2018217069A1 (ko) 2017-05-25 2018-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31A KR102313903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75A KR20180129075A (ko) 2018-12-05
KR102313903B1 true KR102313903B1 (ko) 2021-10-18

Family

ID=64396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31A KR102313903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06401B2 (ko)
EP (1) EP3633275B1 (ko)
KR (1) KR102313903B1 (ko)
CN (1) CN110678697B (ko)
WO (1) WO2018217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9828A1 (ja) * 2018-12-17 2020-06-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建築物、建設方法、設置方法、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空調装置
KR102598644B1 (ko) * 2019-01-1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200099815A (ko) 2019-02-15 2020-08-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열 교환기 및 이를 포함하는 블로워 모듈
CN111238015B (zh) * 2020-01-14 2021-10-01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空调出风装置及空调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14632A (en) * 1998-06-30 2002-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onditioner.
JP2001201165A (ja)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0897425B1 (ko) 2005-03-10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070060502A (ko)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4430649B2 (ja) 2006-10-20 2010-03-10 三星電子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668782B2 (ja) 2013-04-30 2015-02-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化粧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4713164B (zh) 2013-12-11 2017-07-21 海尔集团公司 一种嵌入式空调室内机
KR101900484B1 (ko) * 2015-01-23 2018-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JP2016153717A (ja) 2015-02-18 2016-08-25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天井埋込型室内機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WO2016133261A1 (ko) 2015-02-18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6170652A1 (ja) 2015-04-23 2016-10-27 三菱電機株式会社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US9557070B2 (en) 2015-05-0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150927B1 (en) 2015-09-30 2020-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236164A4 (en) 2015-10-23 2018-10-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205316615U (zh) 2015-10-28 2016-06-15 深圳创维空调科技有限公司 空调器出风结构、空调器机壳以及空调器
CN205372765U (zh) 2015-12-21 2016-07-0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
KR101623692B1 (ko) *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KR102527655B1 (ko) * 2017-11-28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33275B1 (en) 2024-03-06
CN110678697A (zh) 2020-01-10
CN110678697B (zh) 2021-11-30
US11506401B2 (en) 2022-11-22
KR20180129075A (ko) 2018-12-05
WO2018217069A1 (ko) 2018-11-29
EP3633275A1 (en) 2020-04-08
EP3633275A4 (en) 2021-03-10
US20200103125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9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100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1390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39774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90647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28581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399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39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290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4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76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278637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898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559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41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2436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8585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279011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33180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409B1 (ko) 공기조화기
KR2018011660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