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774B1 -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774B1
KR102639774B1 KR1020180164361A KR20180164361A KR102639774B1 KR 102639774 B1 KR102639774 B1 KR 102639774B1 KR 1020180164361 A KR1020180164361 A KR 1020180164361A KR 20180164361 A KR20180164361 A KR 20180164361A KR 102639774 B1 KR102639774 B1 KR 102639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discharge
link
module
set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4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5559A (ko
Inventor
이주연
최재혁
류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4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774B1/ko
Priority to PCT/KR2019/018014 priority patent/WO2020130635A1/ko
Priority to EP19217627.9A priority patent/EP3671053A1/en
Priority to US16/718,817 priority patent/US20200191420A1/en
Publication of KR2020007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5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2013/0616Outlets that have intak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운전 시, 제 1 제어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를 1도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설정온도(Ts)를 1도 더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온도(Ts)가 기준설정온도(Ts0) 보다 2도 증가된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를 반복하여 상기 2도 증가된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까지 단계별로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의 설치 형태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실내기가 실내 공간에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것을 스탠드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벽에 설치되는 것을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기가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을 천장형 실내기라 한다.
또한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한 종류로서, 복수개의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어컨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의 경우, 복수개의 실내기를 구비하여 실내를 공기조화하는 타입과, 덕트를 통해 각 공간에 공기조화된 공기를 공급하는 타입이 있다.
시스템에어컨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실내기는 스탠드형, 벽걸이형 또는 천장형 등 어느 것이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는 천장벽에 매달려 설치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저면을 커버하고 천장과 같은 면에 설치되는 프론트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패널의 중앙에 흡입구가 배치되고, 흡입구의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가 배치되며, 각 토출구마다 토출베인이 설치된다.
종래 천장형 실내기는, 실내온도와 목표온도에 따른 기류제어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는 제공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9838 B1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베인모듈을 각각 제어하여 실내를 신속하게 냉방 또는 난방하면서 재실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4개의 베인모듈 중 서로 다른방향으로 배치된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가 서로 다른 각도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제어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를 1도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설정온도(Ts)를 1도 더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온도(Ts)가 기준설정온도(Ts0) 보다 2도 증가된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를 반복하여 상기 2도 증가된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까지 단계별로 감소시키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냉방운전 시, 설정온도를 기준설정온도(Ts0)에서 제 1 기준값 씩 단계별로 상승시킨 후, 상승된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씩 단계별로 기준설정온도(Ts0)까지 감소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를 통해 재실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난방운전 시, 설정온도를 기준설정온도(Ts0)에서 제 1 기준값 씩 단계별로 감소시킨 후, 감소된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씩 단계별로 기준설정온도(Ts0)까지 증가시키는 과정을 반복하고, 이를 통해 재실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냉방운전 시, 제 1 제어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를 1도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설정온도(Ts)를 1도 더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온도(Ts)가 기준설정온도(Ts0) 보다 2도 증가된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를 반복하여 상기 2도 증가된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까지 단계별로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중력향상 냉방모드가 온(ON) 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 주기로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설정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제 1 제어; 상기 제 1 제어 이후에, 상기 기준설정온도(Ts0)를 제 1 기준값 상승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 주기로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설정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제 2 제어;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에 따라 상기 설정온도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거나 또는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상기 실내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와 같거나 높게 유지시킨다.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S10 단계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4); 상기 S14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와 제 2 토출페어를 리셋 오토타임 동안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토스윙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1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단계(S80); 상기 S8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10);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 냉방단계(S120);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3'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40); 상기 S1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4'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50); 상기 S1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로 이행되고, S1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0"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2"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증가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 감소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은 16도 내지 29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57도 내지 67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스텝 P4.5에서, 상기 제 1 베인은 35도 내지 44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대략 70도 내지 72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2를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베인모듈은, 상기 케이스 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구에 노출되는 모듈바디; 상기 모듈바디에 조립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1 베인링크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제 2 베인축에 의해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모듈, 제 2 베인모듈, 제 3 베인모듈 및 제 4 베인모듈은,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1 베인의 기울기는 "0도 < 토출스텝 P1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1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하고,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0 < 토출스텝 P1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2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하고,
상기 각 토출스텝에서 상기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상기 제 1 베인의 기울기보다 항상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냉방시 기준설정온도(Ts0)에서 단계별로 설정온도(Ts)를 증가시킨 후, 다시 단계별로 감소시켜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난방시 기준설정온도(Ts0)에서 단계별로 설정온도(Ts)를 감소시킨 후, 다시 단계별로 증가시켜 사용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4개의 베인모듈 중 마주보는 2개가 제 1 토출페어를 형성하고, 나머지 2개가 제 2 토출페어를 형성하고,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가 간접풍 및 직접풍을 교대로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를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가 서로 다른 각도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도달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때문에, 토출공기가 도달하지 않는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제 1 토출페어 또는 제 2 토출페어 중 어느 하나가 간접풍을 제공하고, 다른 하나가 직접풍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기를 기준으로 원거리 및 근거리에 토출공기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냉방운전 시, 제 1 제어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를 1도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설정온도(Ts)를 1도 더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온도(Ts)가 기준설정온도(Ts0) 보다 2도 증가된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를 반복하여 상기 2도 증가된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까지 단계별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 흡입그릴이 분리된 상태의 프론트패널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론트패널이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론트패널 상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상측에서 본 베인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작동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구동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 1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 2 베인링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 흡입그릴이 분리된 상태의 프론트패널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베인모듈의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1의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2의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3의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4의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5의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토출스텝 P6의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내기의 구성>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는 실내열교환기(130)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실내송풍팬(140)을 포함한다.
<케이스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케이스하우징(110)과, 프론트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하우징(100)은 행거(미도시)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의 개구된 면을 커버하고, 실내의 바닥을 향해 배치되고, 실내에 노출되며,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작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케이스(100)의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흡입구(101)가 프론트패널(300)의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의 개수 또는 토출구(102)의 개수는 본 발명의 사상과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1개가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는 저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각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4개가 배치된다.
<실내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를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본 실시예에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내측에 실내송풍팬(140)이 위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는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전체적인 형상이 "□"로 형성되고, 일부구간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상기 실내송풍팬(140)에서 토출된 공기가 수직하게 진입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드레인팬(132)이 설치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드레인팬(132)에 거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에서 생성된 응축수는 상기 드레인팬(132)으로 유동된 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팬(132)에는 모인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펌프(미도시)가 배치된다.
상기 드레인팬(132)은 실내열교환기(130)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한쪽으로 모아 저장하기 위해 방향성을 갖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송풍팬의 구성>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중앙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원심송풍기가 사용된다.
상기 실내송풍팬(140)은 벨마우스(142), 팬(144) 및 팬모터(146)를 포함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흡입그릴(320) 상측에 배치되고, 팬(144)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벨마우스(142)는 상기 흡입그릴(3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팬(144)으로 안내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을 회전시킨다. 상기 팬모터(146)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상기 팬모터(146)는 상기 팬(14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팬모터(146)의 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에 상기 팬(144)이 결합된다.
상기 팬(144)의 가장자리 외측에 실내열교환기(130)가 위치된다. 상기 팬(144)과 실내열교환기(130)의 적어도 일부분은 동일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벨마우스(142)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팬(144)과 오버랩된다.
<유로의 구성>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 내부 공간을 내측 및 외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로 둘러싸인 내측 공간을 흡입유로(103)로 정의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30)의 외측 공간을 토출유로(104)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유로(103)에 상기 실내송풍팬(14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130)의 바깥쪽 및 케이스하우징(110)의 측벽 사이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유로(103)는 실내열교환기의 "□"로 둘러싸인 내측이고, 토출유로(104)는 실내열교환기의 "□" 바깥쪽이다.
상기 흡입유로(103)는 흡입구(101)과 연통되고, 상기 토출유로(104)는 토출구(103)와 연통된다.
공기는 상기 흡입유로(103)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고, 토출유로(104)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30)를 기준으로 공기의 유동방향이 180도 전환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프론트패널(300)의 같은 면에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는 실내의 바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굴곡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토출구(102)가 약간의 측면경사를 갖게 형성될 수 있지만, 토출유로(104)와 연결된 토출구(102)는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프론트패널의 구성>
상기 프론트패널(300)은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가 형성된 프론트바디(310)와,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는 흡입그릴(320)과, 상기 흡입그릴(32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프리필터(330)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의 공기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베인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상하 방향으로 엘리베이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 전체를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격자형태를 통해 다수개의 그릴홀(321)이 형성된다. 상기 그릴홀(321)과 상기 흡입구(101)는 연통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에 프리필터(330)가 배치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프리필터(330)는 상기 그릴홀(32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통과한 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토출구(102)는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긴 슬릿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 상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결합구조와 무관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독립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조는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프론트바디의 구성>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의 하측에 결합되고, 실내의 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고, 실내에 노출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케이스하우징(110)에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흡입그릴(320) 및 프리필터(33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탑뷰로 볼 때,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상측면은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평하게 형성되고, 하측면은 가장자리가 약간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중앙에 흡입구(101)가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 가장자리 바깥쪽에 복수개의 토출구(102)가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토출구(102)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102)는 폭보다 길이가 긴 슬릿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바디(310)는 프론트프레임(312), 사이드커버(314), 코너커버(316)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프론트패널(300)의 하중 및 강성을 제공하고, 상기 케이스하우징(110)에 체결고정된다.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상기 흡입구(101) 및 4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이드프레임(311) 및 코너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상기 코너프레임(313)은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2개의 코너프레임(313)과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은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은 흡입구(101) 및 토출구(102) 사이에 배치되고, 2개의 코너프레임(313)을 결합시킨다.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은 토출구(102)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4개의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01)는 4개의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구(102)는 2개의 코너프레임(313), 이너 사이드프레임(311a) 및 아우터 사이드프레임(311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저면에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은 사용자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체결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사이드프레임(311)에 결합되고, 코너커버(316)는 코너프레임(313)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각각 4개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물로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에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하나의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프레임(311) 하측에 상기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되고, 코너프레임(313) 하측에 상기 코너커버(316)가 배치된다.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는 조립되어 4각형의 테두리를 형성한다. 연결된 4개의 사이드커버(314) 및 4개의 코너커버(316)를 프론트데코(350)라고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350)는 데코 아우터보더(351, outer border)와 데코 이너보더(352, inner border)를 형성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데코 이너보더(352)도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상기 데코 이너보더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형성한다.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 내측에 상기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에 흡입그릴(320) 및 4개의 베인모듈(200) 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사이드커버(314)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깥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안쪽 가장자리를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너커버(316)는 4개가 배치되고, 각 코너커버(316)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에 결합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바깥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아우터보더(351)의 일부를 형성하고,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로 정의한다.
상기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맞닿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역시 상기 베인모듈(200)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갭(315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데코 이너보더(352)는 4개의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연속된 갭을 형성한다.
4개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 갭(315a) 및 4개의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에 의해 형성된 연속된 갭을 프론트데코 갭(350a)으로 정의한다.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상기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베인모듈(200) 및 흡입그릴(320)의 바깥쪽 가장자리와 프론트데코(350)의 안쪽 가장자리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기 정지 시), 상기 프론트데코 갭(350a)은 흡입그릴(320) 및 베인모듈(200)을 하나의 구조물로 보이게 한다.
<흡입그릴의 구성>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그릴홀(321)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과, 상기 그릴바디(322)의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그릴코너부(327)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제 1 베인(210)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릴바디(322)의 저면과 코너커버(316)의 저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322)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그릴(323)이 격자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격자형태의 그릴(323)은 사각형 형태의 그릴홀(321)을 형성시킨다. 상기 그릴(323) 및 그릴홀(321)이 형성된 부분을 흡입부로 정의한다.
상기 그릴바디(322)는 공기가 소통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를 둘러싸게 배치되는 그릴바디부(324)를 포함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때, 상기 흡입부는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입부의 각 모서리는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하게 배치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코너커버(316)를 향하게 배치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그릴바디(322)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토출구(102) 또는 프론트데코(35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그릴바디부(324)의 외측 가장자리는 코너커버(316)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토출구(102)를 형성하고, 상기 사이드커버(314)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포함한다.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는 흡입그릴(320)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곡률로 형성되고,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외측을 중심으로 곡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릴바디부(324)는 상기 그릴 코너보더(326) 및 2개의 그릴 사이드보더(325)에 의해 감싸지는 그릴코너부(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그릴바디부(324)에서 코너커버(316)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각 모서리를 향해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4개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4개의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라 정의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커버(314) 및 흡입그릴(320) 사이에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이드커버(314)의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바디(322)의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1개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의 4방향에 배치된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그릴사이드보더(325) 사이에 각각의 토출구(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그릴 코너보더(326)의 길이와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의 길이는 갖게 형성된다. 즉, 상기 코너커버(316)의 폭과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커버(314)의 내측 폭과 그릴 사이드보더(325)의 폭이 같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를 보다 상세하게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상기 토출구(102)의 안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데코 이너보더(315) 및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는 상기 토출구(102)의 바깐쪽 경계를 형성한다.
상기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토출구(102)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으로 형성된 긴직선구간(325a)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일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1 곡선구간(325b)과, 상기 긴직선구간(325a)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320)의 바깥쪽에 곡률중심이 형성되는 제 2 곡선구간(325c)과, 상기 제 1 곡선구간(325b)과 연결되는 제 1 짧은직선구간(325d)과, 상기 제 2 곡선구간(325c)과 연결되는 제 2 짧은직선구간(325e)을 포함한다.
<베인모듈의 구성>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유로(104)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구(10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바디(400)와,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모두 모듈바디(400)에 설치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는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베인모듈(200)의 구성부품 전체는 모듈화되고, 상기 프론트패널(300)에 한번에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모듈화되기 때문에,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고장 시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인모터(23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모듈바디의 구성>
상기 모듈바디(400)는 하나의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치공간을 최소화하고, 제작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2개의 부품으로 분리하여 제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듈바디(400)는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통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수평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는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된 코너프레임(313)에 설치된다.
상하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각각의 코너프레임(313)의 저면에 밀착되고, 체결부재(401)를 통해 각각 체결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실내기의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은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 및 코너프레임(313)의 체결방향 역시 하측에서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서비스과정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를 상기 프론트바디(310)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토출구(102)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토출구(102)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대해 하측으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된 제 2 모듈바디(420)와, 일측 및 타측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인(210)(22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상기 베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230)과,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1 체결홀(403-1)과, 상기 제 1 체결홀(403-1)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부재(401-1)과,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되고, 하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제 2 체결홀(403-2)과, 상기 제 2 체결홀(403-2)을 통해 상기 프론트바디에 체결되는 제 2 체결부재(401-2)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프론트바디(310)가 케이스하우징(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만을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4개소의 베인모듈(200) 모두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베인모듈(200) 전체는 프론트바디(310)의 하측으로 분리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는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되는 모듈바디부(402)와,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링크설치부(404)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체결부재(401)(미도시)에 의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후크결합 또는 억지끼움등을 통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베인모터(23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등에 의한 진동 또는 소음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프론트바디(310)에 견고하게 체결한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를 고정시키는 체결부재(401)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체결된 상태이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부(402)에는 체결부재(401)가 관통되는 체결홀(403)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1 체결홀(403-1)이라 하고,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배치된 체결홀을 제 2 체결홀(403-1)이라 한다.
그리고 체결부재(401)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제 1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1 체결부재(401-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체결홀(403-1)에 설치되는 체결부재(401)를 제 2 체결부재(401-2)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401-1)는 상기 제 1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상기 제 2 체결부재(401-2)는 상기 제 2 체결홀을 관통하고, 프론트바디(310)에 체결된다.
상기 모듈바디(400)를 체결고정하기 전에, 상기 모듈바디(400)의 위치를 임시 고정하기 위한 모듈후크(405)가 배치된다.
상기 모듈후크(405)는 프론트패널(300, 구체적으로 프론트바디(310))과 결합됩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듈후크(405) 및 프론트바디(310)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하나의 모듈바디에 복수개의 모듈후크(405)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바디부(402)의 바깥쪽 가장자리 및 전방 측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된다. 즉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바깥쪽에 각각 모듈후크(405)가 배치되고, 각 모듈후크(405)는 좌우방향에 대해 대칭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모듈후크(405)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모듈후크(405)에 의해 상기 베인모듈(200)을 프레임바디(310)에 임시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한 고정은 결합구조 상 약간의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체결부재(401)는 임시고정된 상기 모듈바디(400)를 프론프바디(3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체결부재(401)가 설치되는 체결홀(403)은 상기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측 및 타측의 모듈후크(405)들 사이에 제 1 모듈바디(410)의 체결홀(403)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체결홀(403)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듈후크(405)들 및 체결홀(403)들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재(401)들이 해체되어도, 상기 모듈후크(405)들에 의해 베인모듈(200)이 상기 프레임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수리 또는 고장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분리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체결부재(401)를 분리하여도 상기 베인모듈(200)은 프론트패널(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401)의 해체 시, 상기 베인모듈(200)을 별도로 지지할 필요가 없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모듈후크(405)에 의한 1차 고정 및 체결부재(401)에 의한 2차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서비스 시 작업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부(402)는 수평하게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링크설치부(404)는 설치된 상태로 볼 때, 상기 모듈바디부(40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 또는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또는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제 1 베인(210), 제 2 베인(22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결합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일체화된다.
상기 베인모터(230)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링크설치부(404)의 바깥쪽으로 돌출된 베인모터설치부(406)가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상기 베인모터(230)가 체결고정된다.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는 보스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인모터(230)는 상기 베인모터설치부(406)에 고정된다. 베인모터설치부(406)로 인해 상기 링크설치부(404) 및 베인모터(230)는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구동링크결합부(40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가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기 제 2 베인(220)과 결합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에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제 2 베인결합부(409)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 및 제 2 베인결합부(409)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회전축을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링크설치부(404)에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각을 제한하는 스토퍼(270)가 배치된다. 상기 스토퍼(270)는 반대편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특정위치에서 간섭을 발생시키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설치위치를 제공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 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구동링크(240)의 진동 또는 유격을 억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토퍼(27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동링크의 구성>
상기 구동링크(240)는 베인모터(230)와 직접 연결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모터축(미도시)은 상기 구동링크(240)에 직접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230) 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량이 결정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링크설치부(404)를 관통하여 상기 베인모터(230)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결합부(407)를 관통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구동링크바디(245)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 구체적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코어링크축(243)과,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구동링크축(242)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링크바디(245)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및 코어바디(248)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바디(248)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배치된다.
상기 코어바디(248)는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를 연결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의 형상에 특별한 제약은 없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대체적으로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 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링크설치부(404)에 형성된 구동링크결합부(407)에 조립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결합부(407)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제 1 베인(21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은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2 구동링크축(242)과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제 1 베인(210)이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기 제 1 베인(210) 또는 조인트리브(214)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 및 모듈바디(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및 구동링크(240)가 상대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구동링크바디(245)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은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기 코어링크축(243)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코어링크축(243)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과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2 구동링크축(242)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은 소정의 사이각(E)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각(E)은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형성된다.
<제 1 베인링크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 회전되는 제 1-1 베인링크축(251)과, 상기 제 1 베인링크바디(255)에 배치되고, 상기 모듈바디(400, 구체적으로 링크설치부(404))와 조립되고, 상기 모듈바디(400)와 상대 회전되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포함한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 베인(210)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기 제 1 베인(210)과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210)과 상대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상기 모듈바디(400)의 링크설치부(404)에 조립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에 조립되고, 상기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와 상대회전될 수 있다.
<제 2 베인링크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견고한 재질로 형성되고, 직선의 형태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와,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조립되고, 상기 제 2 베인(220)과 상대 회전되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상기 제 2 베인링크바디(265)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구체적으로 제 2 구동링크축(242))와 조립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와 상대 회전되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제 2 베인링크바디(265)를 관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2 구동링크축(242)는 상대적인 구조이기 때문에, 하나가 축의 형태로 형성되면 나머지 하나는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를 축의 형태로 형성하고, 제 2 구동링크축을 홀의 형태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구동링크, 제 1 베인링크, 제 2 베인링크와 결합되어 상대회전 가능한 모든 구성에서 이와 같은 구성의 치환이 가능하고, 이에 대한 변형가능한 예를 따로 상세하게 설명하진 않겠다.
<베인의 구성>
설명을 위해 상기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또한 천장 측을 상측으로 정의하고, 바닥을 하측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배치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대적인 배치 및 상대적인 각도가 변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인모터(230)의 각 스텝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쌍을 이뤄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을 제공한다.
상기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은 상기 제 1 베인(2100 및 제 2 베인(220)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정의한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스텝을 제공할 수 있다. 무빙스텝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들의 조합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작동되면서 제공하는 기류로 정의한다.
<제 1 베인의 구성>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의 링크설치부(404) 및 제 2 모듈바디(420)의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구(210)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결합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각각 상대회전된다.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위치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1 구동링크라 하고, 제 1 모듈바디(41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1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구동링크(240)를 제 2 구동링크라 하고, 제 2 모듈바디(420)에 결합된 제 1 베인링크(250)를 제 1-2 베인링크라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베인바디(212)와,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베인바디(21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결합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토출공기와의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래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 측(전방)이 낮고, 공기가 진입되는 방향 측(후방)이 높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가 결합되는 측이 높고 제 1 베인링크(250)가 결합되는 측이 낮게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구동링크(2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조인트부(217)와,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조인트부(216)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리브(214)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14)를 관통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에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조립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와 제 1 구동링크축(24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를 관통하여 조립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조립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와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 조인트부(216)를 관통하고, 서로 조립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구동링크(250)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상기 조인트리브(214) 및 링크설치부(404)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간격 보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된다.
<제 2 베인의 구성>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베인바디(222)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인트리브(224)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설치부(40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축(221)을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리브(224)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홀을 제 3 조인트부(226)라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리브(224)를 관통한다. 상기 제 3 조인트부(226)는 축결합 또는 힌지결합이 가능한 구조이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가능하다.
제 1 베인의 조인트리브(214)와 제 2 베인의 조인트리브(224)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베인의 조인트를 제 1 조인트리브(214)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의 조인트를 제 2 조인트리브(224)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를 중심으로 상대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도 상대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조인트리브(224) 및 제 2 베인축(221) 각각에서 상대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일정한 궤도로 움직인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는 상기 토출유로(104)를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한다.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부딪혀 유동방향이 안내된다.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과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은 직교 또는 교차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2)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될 때,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 측 단은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전방측 길이는 상기 제 1 조인트부(214) 사이의 길이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제 2 베인링크(260)와의 조립을 위한 설치구조이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제 3 조인트부(226)와 상기 제 2 베인링크(260)가 상대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 또는 교차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베인바디(222)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일측의 제 2 베인축(221)은 일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타측의 제 2 베인축(221)은 타측에 배치된 링크설치부(404)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모듈바디(400)에는 상기 제 2 베인축(221)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베인결합부(41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는 상기 모듈바디(400)를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은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 전방으로 제 2 베인링크(260),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결합부(411) 전방으로 구동링크결합부(407), 제 1 베인링크결합부(408)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베인모듈 및 흡입그릴의 배치>
도 1 내지 4 및, 도 15를 참조하여 베인모듈의 결합구조 및 분리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상태에서 흡입그릴(320)을 분리하면,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4개의 베인모듈(200)이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다양한 방법으로 프론트바디(3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는 한쪽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반대쪽이 분리되어 회전되는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320)은 프론트바디(310)에 상호걸림된 상태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분리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 상기 흡입그릴(200)은 자기력에 의해 프론트바디(3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그릴(320)는 프론트바디(310)에 설치된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과 와이어(미도시)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엘리베이터(5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풀리거나 감기고, 이를 통해 상기 흡입그릴(320)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엘리베이터(500)는 복수개 배치되고, 각 엘리베이터(500)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양측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하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흡입그릴(320)의해 가려져 있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노출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노출될 수 있다.
실내기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제 1 베인(210)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실내기가 작동되어 토출공기가 배출될 때는 상기 제 2 베인(220)이 선택적으로 사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 중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진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각각 체결홀(403)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각 체결홀(403)은 상기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은닉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320)을 구성하는 상기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이 노출되는 것도 차단한다. 상기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체결홀(403)의 하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체결홀(403)은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은닉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흡입구(101)의 하측에 배치되고, 다수개의 그릴홀(321)에 의해 상기 흡입구(101)와 연통되고,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바디(322)와, 상기 그릴바디(322)의 각 모서리에서 대각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제 4 그릴코너부(327-4)를 포함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과,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및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1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2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2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3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3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4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제 1 모듈바디 및 제 2 모듈바디는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1)에 의해 숨겨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4 그릴코너부의 상측에 상기 제 4 베인모듈의 제 2 모듈바디 및 제 1 베인모듈의 제 1 모듈바디가 배치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12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1 베인모듈(201)로 정의하고, 3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2 베인모듈(202)로 정의하고, 6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3 베인모듈(203)로 정의하고, 9시 방향에 배치된 베인모듈(200)을 제 4 베인모듈(20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는 4개의 사이드커버(314)가 배치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1 사이드커버(314-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2 사이드커버(314-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3)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3 사이드커버(314-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 외측에 배치된 사이드커버(314)를 제 4 사이드커버(314-4)로 정의한다.
각 사이드커버(31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가장자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되고, 각 베인모듈(202) 외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2 베인모듈(202)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1 코너커버(316-1)로 정의한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3)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2 코너커버(316-2)로 정의한다.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3 코너커버(316-3)로 정의한다. 제 4 베인모듈(204) 및 제 1 베인모듈(201) 사이에 배치된 코너커버(316)를 제 4 코너커버(316-4)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사이드커버(314-1) 및 제 2 사이드커버(314-2)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사이드커버(314-2) 및 제 3 사이드커버(314-3)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3 사이드커버(314-1) 및 제 4 사이드커버(314-4)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는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모서리에 조립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31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사이드커버(314-1) 및 제 1 사이드커버(314-1) 사이에 위치되고, 외부에 노출된다.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는 프론트패널(300)의 중심(C)을 기준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패널(3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대각선을 P1 및 P2로 정의한다. 상기 P1은 제 1 코너커버(316-1) 및 제 3 코너커버(316-3)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고, 상기 P2는 제 2 코너커버(316-2) 및 제 4 코너커버(316-4)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다.
상기 흡입패널(320)에는 모서리 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그릴코너부(327-1), 제 2 그릴코너부(327-2),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가 배치된다.
상기 그릴코너부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 및 제 2 그릴코너부(327-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릴코너부(327-2) 및 제 3 그릴코너부(327-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은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그릴코너부(327-3) 및 제 4 그릴코너부(327-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은 및 상기 흡입그릴의 각 가장자리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그릴코너부(327-4) 및 제 1 그릴코너부(327-1)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외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그릴코너부(327-1)의 그릴 코너보더(326)는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대향되고,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나머지 그릴코너부(327)의 그릴 코너보더(326)와 상기 코너커버(316)의 코너데코 이너보더(317)도 각각 대향되고, 각각 코너데코 이너보더 갭(317a)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는 코너커버(316) 내측(구체적으로 프론트패널의 중심(C) 측)에 위치된다. 특히 상기 가상의 대각선(P1, P2)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2)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1 모듈바디(410)와 상기 제 3 베인모듈(203)의 제 2 모듈바디(420)는 가상의 대각선(P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320)은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노출되지 않도록 은닉한다. 즉, 상기 흡입그릴(320)이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경우,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가려져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이 숨겨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모듈바디(410)들 및 제 2 모듈바디(420)들은 흡입그릴(320)에 형성된 체결홀(403)들도 사용자에게 숨겨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은 각 코너커버(316)들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4개의 그릴코너부(327)가 형성된다.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는 상기 각 코너커버(316)와 대향되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코너커버(316-1)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코너커버(316-2)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1 그릴코너부(327-2)로 정의하고, 상기 제 3 코너커버(316-3)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3 그릴코너부(327-3)로 정의하고, 상기 제 4 코너커버(316-4)와 대향되게 배치된 그릴코너부(327)를 제 4 그릴코너부(327-4)로 정의한다.
바텀뷰로 볼 때, 복수개의 모듈바디(400)들은 그릴코너부(327)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특히,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사이드보더(325)는 코너커버(316)의 안쪽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코너데코 이너보더(317)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그릴코너부(327)의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그릴 코너보더(326)는 제 1 베인(210)의 내측 가장자리와 마주보게 배치되고, 곡선의 형태도 서로 대응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영구자석(318) 또는 자기력고정부(328)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상기 자기력고정부(328) 또는 영구자석(318)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가 흡입그릴(320)의 각 모서리 바깥쪽에 위치되기 때문에 흡입그릴(320)과 프론트바디(310)의 이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320) 및 프론트바디(310)가 이격될 경우, 상기 흡입유로(103) 내부 압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프론트바디(310)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영구자석은 코너프레임(313)에 배치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영구자석(318)와 상호작용되어 인력을 형성하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상기 흡입그릴(320)의 상측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기력고정부(328)는 그릴코너부(327) 상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그릴(320)이 상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영구자석(318)에 근접될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이 상기 자기력고정부(328)을 끌어당겨 상기 흡입그릴(320)를 고정한다. 상기 영구자석(318)의 자기력은 상기 흡입그릴(320)의 자중 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엘리베이터(500)에 의해 흡입그릴(320)이 당겨지지 않을 경우,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의 결합은 해제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영구자석(318)은 상기 가상의 대각선 P1 및 P2 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은 코너커버(316) 내측에 위치된다.
탑뷰 또는 바텀뷰로 볼 때, 4개의 영구자석(318) 중 하나는 제 1 베인모듈(201)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나머지 3개의 영구자석도 각 베인모듈들의 제 1 모듈바디(410) 및 제 2 모듈바디(4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영구자석(318) 및 자기력고정부(328)는 각 그릴코너부(327)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각 그릴코너부(327)에 의해 숨겨진다.
<베인모터의 작동에 따른 토출스텝>
본 실시예에서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실내송풍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각 베인모듈(200)은, 도시된 것 처럼, 제 2 베인(220)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를 커버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흡입그릴(320)의 하측면 및 사이드커버(314)의 하측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토출유로(10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의 대부분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베인(210)이 토출구(102)의 대부분만을 커버하지만, 설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210)이 상기 토출구(210) 전체를 커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 2 베인(220)이 수납된 상태에서 실내송풍기가 작동되면, 상기 베인모터(230)가 작동되고,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6개의 토출스텝(P1, P2, P3, P4, P5, P6)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실내기가 정지되어 상기 베인모듈(200)이 작동되지 않을 때를 정지스텝 P0라고 정의한다.
<정지스텝 P0>
정지스텝 P0 상태일 때, 베인모듈(200)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베인모듈(200)은 정지스텝 P0 상태를 유지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베인모터(230)는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최대 회전시킨다.
이때, 구동링크(240)를 구성하는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스토퍼(270)의 일측단(271)에 지지되고, 제 1 방향으로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와 스토퍼(270)의 타측단(270b)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코어링크축(243)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은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에 구속된 상태로 회전되고, 상기 토출구(102)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210)의 하측면은 상기 흡입패널(320) 및 사이드커버(314)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된다.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조인트들(214)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바디(212)의 상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가 위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상기 제 1 베인(210)에 의해 가려지고,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즉,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를 커버하고, 상기 베인모듈(20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정지스텝 P0 상태일때, 상기 구동링크(240)는 시계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최대로 상승된 상태이다.
실내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1 베인(210) 상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볼 때 은닉된 상태이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실내기가 작동될 때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대략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1 조인트리브(214) 상측에 위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는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의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조인트리브(224)에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역시 상기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기 제 1 베인바디(21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바디(22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실내기가 정지중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 상측에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높게 위치된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는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부(261)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정지스텝 P0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은 상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측에 위치되고, 하단이 공기의 토출방향 후방 측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2 베인링크축(252)은 제 1-1 베인링크축(25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전방 측에 위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부(261)은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베인링크(260)는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을 기준으로 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 방향과 교차된다.
<토출스텝 P1>
정지스텝 P0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1을 제공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수평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토출구(102)에서 토출된 공기가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되어 천장 또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토출스텝 P1은 수평풍을 제공하고, 토출된 공기는 실내의 천장을 따라 유동되고, 실내의 벽에 부딪힌 후 바닥을 향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바닥과 부딪힌 후 실내기 측으로 되돌아 오는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토출스텝 P1은 재실자에게 직접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재실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를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토출공기를 안내한다.
상기 베인모듈(200)이 복수개의 토출스텝 중 하나인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a) 보다 상측에 위치에 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측면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상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전방측에 배치되고, 제 2 베인(220)은 토출공기의 유동방향 후방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이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에 근접 또는 접촉될 수 있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102)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근접 또는 접촉시킴으로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사이로 토출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측 단(222a) 및 후방측 단(212b)을 밀착시키되 접촉시키지는 않는다.
그리고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듈(200)이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연결되어 하나의 베인처럼 작동되기 때문에, 수평풍의 기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토출공기는 상기 제 2 베인(220)의 상면 및 제 1 베인(210)의 상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안내되기 때문에, 1개의 베인으로 수평풍을 형성하는 것에 비해 토출공기의 방향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수평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에 비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좀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수평풍의 경우,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상기 토출구(102)와 오버랩되게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회동(스윙)된다.
P0에서 P1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전진하면서 하측으로 하강되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의 회전(rotation)을 통해 제 1 베인(210)을 토출구(102)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제 1 베인(210)을 대략 수평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종래 실내기의 베인은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제 1 베인(210)과 같은 배치를 구현할 수 없다.
정지스텝 P0에서 상기 베인모터(230)가 구동링크(240)를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구동링크(240)에 결합된 제 2 베인링크(260)도 상기 구동링크(240)에 대응하여 회전된다.
구체적으로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구동링크(2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베인링크(2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베인링크(220)는 상대회전되면서 하강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된다.
상기 수평풍을 형성시키기 위해, 정지스텝 P0에서 토출스텝 P1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상기 토출스텝 P1에서, 베인모터(230)는 78도(P1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6.3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1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P0와 달리,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P1 상태에서,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고, 배치방향은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 제 2-1 베인링크축(261),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 2 베인축(221)도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베인축(221)이 상기 제 3 조인트부(226)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수평풍을 제공한다. 상기 수평풍은 공기의 토출방향이 정확하게 수평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상기 수평풍은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하나의 베인처럼 연결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연결을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방향으로 가장 멀리 유동시키는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1)이 최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에 의해 안내된 공기는 상기 제 1 베인(210)으로 안내된다. P1 상태를 통해, 토출공기를 수평풍으로 유동시키는 경우, 공기의 유동거리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토출유로(10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흡입구(101)와 가까운 제 2 베인(220)의 경사가 상기 제 1 베인(210)의 경사보다 가파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하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은 그 사이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2 베인링크축(252) 사이에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위치된다.
그리고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이와 같은 배치로 인해,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을 D-D'라 정의한다.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방향을 L1-L1'이라 정의한다. 제 2 베인링크(260)의 길이 방향을 L2-L2'라 정의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같은 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토출스텝 P1 상태일 때, 모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거의 수직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도 거의 수직하게 배치된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방향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즉, 상기 수평풍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은 일부만 토출구(102) 밖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토출구(102) 밖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토출스텝 P1의 수평풍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2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같거나 낮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인모듈이 P2 내지 P5 중 어느 하나의 토출스텝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구동링크축(241)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D-D')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상기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형성하는 사이각은 예각으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경사풍은 수평풍과 수직풍 사이의 토출단계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풍은 P2, P3, P4, P5 단계를 의미한다.
상기 경사풍은 토출스텝 P1 단계의 수평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2는 P1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2은 수평풍에 유사한 바람을 제공하고, 토출된 공기는 실내의 천장을 따라 유동되고, 실내의 벽에 부딪힌 후 바닥을 향해 하측으로 유동되고, 바닥과 부딪힌 후 실내기 측으로 되돌아 오는 유동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스텝 P2는 재실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2)은 토출스텝 P1 상태에서의 간격(S1)보다 넓게 형성된다.
즉,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1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상승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과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유사한 높이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특히, P1에서 P2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좀더 전진하고,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동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 및 제 2 베인링크(260)와 상대회전가능하게 조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회전에 의해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좀더 회전된다.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2 방향(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반대다.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베인모터(230)는 82도(P2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18.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59.1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2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1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P2 상태에서,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3 조인트부(226),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토출스텝 P2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전방으로 좀 더 이동된다. 즉, 제 2 베인(220)과 제 1 베인(210)의 간격은 좀 더 벌어진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 및 구동링크(240)의 배치되는 토출스텝 P1과 유사하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제 1-2 베인링크축(25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링크(260)의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 구동링크축(242) 및 코어링크축(243)의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베인축(221)이 가장 상측에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가 제 2 베인축(221) 하측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위치되고, 제 1 조인트부(216)가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후방 측 단(222b)은 토출구(102) 상측에 위치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대략 같은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특히,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2 베인링크(260)는 대체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2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전체는 상기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전방측 단(222a)만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2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토출구(102)의 전방 측 가장자리(102a)보다 좀 더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3>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3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2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토출스텝 P3 내지 P5는 재실자에게 직접 공기를 제공하는 경사풍이다.
냉방 시 토출공기는 실내공기보다 무거워 하측으로 유동되고, 난방 시 토출공기는 실내공기보다 가벼워 상측으로 유동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3는 냉방 시 주로 사용되고, 후술하는 토출스텝 P4는 난방 시 주로 사용된다.
상기 토출스텝 P3의 경사풍은 P2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3는 P2에서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3)은 토출스텝 P2 상태에서의 간격(S2)보다 넓게 이격된다.
즉,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2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 보다 하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상기 제 1 베인(210)은 구동링크(240) 및 제 1 베인링크(250)와 조립되어 회동(스윙)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1 베인(210)은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토출방향으로 전진되는 대신 제자리에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상기 토출스텝 P3에서, 베인모터(230)는 95도(P3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29.6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67.3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3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2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조금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3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 및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제 2 방향 회전에 의해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는 상측으로 상승된다.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가 제 1 베인링크(250)의 길이 보다 짧기 때문에, 제 2 조인트부(217)의 상측 높이가 더 크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2 상태와 유사하다.
다만,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상하방향에 대해 유사한 높이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2에서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는 제 2-1 베인링크축(261)과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2와 유사하다.
그래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흡입패널(320) 및 토출구(102)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토출구(102) 경계에 걸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 상태에서 토출스텝 P3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3로 변경될 때,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해 좀 더 수직하게 회동 또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4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3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4의 경사풍은 P3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4는 토출스텝 P3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4)은 토출스텝 P3 상태에서의 간격(S3)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3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3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3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되는 움직임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되면,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좀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4에서, 베인모터(230)는 100도(P4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35.8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0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4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P3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토출스텝 P4을 기준으로,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제 2 방향(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상승하거나 거의 제자리에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이상으로 제 1 베인(210)이 회전되면, 상기 제 1 베인(210)은 지금까지의 진행방향과 반대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1 부터 토출스텝 P4 까지 제 1 베인(210)은 공기의 토출방향으로 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3 상태와 유사하다. 다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길이방향과,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일렬로 배치된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되어,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되고,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직선의 형태이고,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3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3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을 움직임을 제한하는 별도의 구성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베인링크(250), 제 1 베인(210),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결합관계를 통해, 제 1 베인링크(250)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및 제 1 베인링크(250)는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제 2 구동링크바디(247)는 후방 측을 향하게 배치되고, 제 2 베인링크(260)는 후방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3 상태에서 토출스텝 P4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2 조인트부(217)를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B-B'라 정의한다.
토출스텝 P4에서, D-D'과 B-B'은 직선으로 연결되고,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3까지 D-D' 및 B-B'는 180도 이내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4에서 18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토출스텝 P5 및 P6에서는 180도 이상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5를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베인모듈(200)은 토출스텝 P4 보다 더 하측으로 토출되는 경사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5의 경사풍은 토출스텝 P4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5는 토출스텝 P4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5)은 토출스텝 P4 상태에서의 간격(S4)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4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4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4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이동은 거의 발생되지 않고,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P5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스텝 P5에서, 베인모터(230)는 105도(P5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44.1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2.3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5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출스텝 P4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5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돌출되어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5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약간 더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일렬로 배치되고, 토출스텝 P5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은 코어링크축(243)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점점 증가된다.
다만, 토출스텝 P1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코어링크축(243),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및 제 3 조인트부(226)가 형성하는 사이각은 180도 이내로 형성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흡입패널(320) 또는 토출구(102)를 기준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위치는 토출스텝 P4과 유사하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4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4 상태와 유사하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5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측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 반대 측(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좀 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토출스텝 P6의 모듈베인(200) 상태를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풍으로 정의한다.
상기 수직풍은 모듈베인(200)을 구성하는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이 수직으로 배치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토출구(102)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구(102)의 하측으로 토출된다는 의미이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240)를 제 1 방향과 반대인 제 2 방향(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토출스텝 P6을 형성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에서, 토출공기는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은 최소화되고, 수직방향으로의 유동이 극대화된다. 상기 토출스텝 P6의 수직풍은 토출스텝 P5 단계의 경사풍보다 하측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토출스텝 P6는 토출스텝 P5 보다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 모두 조금 더 하측을 향하도록 조절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222b)은 상기 토출구 보다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은 상기 토출구보다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높게 위치되고, 상기 토출구 보다 높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222a)보다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를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S6)은 토출스텝 P5 상태에서의 간격(S5)보다 넓게 이격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되면,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 및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의 간격은 더 멀어진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 및 상기 제 2 베인(220)은 P5 보다 더 수직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더 하강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더 상승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토출스텝 P5보다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스텝 P5보다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2 베인축(221)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1 조인트부(216)는 거의 제자리에 머무르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즉,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은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은 제 1 조인트부(216)을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의 전방측 단(212a)은 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제 2 베인(220)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P6로 진행될 때, 상기 제 2 베인링크(220)의 하강에 의해 제 2 베인(220)의 전방측 단(222a)은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조금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으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의 회전방향은 같다.
상기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터(230)는 110도(P6 회전각)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은 대략 56.7도의 기울기(제 1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4도의 기울기(제 2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한다.
토출스텝 P6에서, 각 링크들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축들의 위치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토출스텝 P5과 유사하게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제 1 베인(210)의 제 2 조인트부(217) 및 제 1 조인트부(216)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제 2 베인(220)의 제 3 조인트부(226)가 가장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인트부(216)가 가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 및 제 3 조인트부(226)사이에 배치된다.
토출스텝 P6를 기준으로, 제 3 조인트부(226)는 하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1 베인링크(250)의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조인트부(216)를 중심으로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및 제 1 조인트부(216)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 측으로 조금 더 돌출되어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에서의 각 축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구동링크(240),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제 1-1 베인링크축(251), 제 2-1 베인링크축(261)의 상대적인 높이는 달라진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212b)은 상기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상기 토출구의 전방측 가장자리(102a)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상승되고,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하강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축(241)이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더 높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낮게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낮게 위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조인트부(217)는 코어링크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고,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2 베인링크축(252)으로 좀 더 회전된다.
측면에서 볼 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질 수 있다. 제 2 조인트부(217)가 제 1 베인링크바디(255)와 겹쳐지는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다만, 토출스텝 P6에서, 제 2 조인트부(217)는 L1-L1'을 넘어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는 제 1 베인링크바디(255) 보다 전방으로 이동되지는 않는다. 제 2 조인트부(217)가 과도하게 전방으로 이동될 경우, 베인모터를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원위치로 복귀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링크(240)의 과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스텝 P6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와 스토퍼(270)의 일측단(270a)이 상호 간섭된다.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246)는 상기 스토퍼(270)에 지지되고, 더 이상의 회전은 제한된다.
토출스텝 P6에서, 코어링크축(243), 제 1 구동링크축(241) 및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180도 이상의 둔각(D-D'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형성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로 변경될 때, 제 1-1 베인링크축(251)은 제 1-2 베인링크축(252) 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코어링크축(243) 하측에 제 2-2 베인링크축부(262)이 위치되고,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하측에 제 2 조인트부(217)가 위치되고, 제 2 조인트부(217) 하측에 제 3 조인트부(226)가 위치되고, 제 3 조인트부(226) 하측에 제 1 조인트부(216)가 위치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1 베인링크축(261)은 제 2-2 베인링크축부(262)보다 후방측으로 좀 더 이동되고, 제 3 조인트부(226) 및 코어링크축(243) 사이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각 링크들의 상대적 위치 및 방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는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게 배치된다. 토출스텝 P5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 1 베인링크(250)는 거의 회전되지 않고 제 2 베인링크(260)만 후방 측으로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에서, 제 1 구동링크바디(246), 제 1 베인링크(250), 제 2 베인링크(260)의 배치는 토출스텝 P5 상태와 유사하다.
토출스텝 P6을 제공할 때, 상기 제 2 베인축(221)보다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1 베인링크축(261) 보다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가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2-2 베인링크축부(262) 보다 상기 코어링크축(243)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링크축(243)보다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이 더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축(241)보다 상기 제 1-1 베인링크축(251)이 더 전방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는 공기의 토출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2 베인링크(260)의 L2-L2'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된다. 토출스텝 P5 상태에서 토출스텝 P6 상태로 변경될 때, 제 1 구동링크바디(246)의 D-D'는 공기의 토출 방향 반대 측으로 좀 더 회전될 수 있다.
토출스텝 P6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은 토출스텝 P5에서, D-D'과 B-B'의 사이각은 둔각 보다 크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공기 토출방향(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2 방향(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만,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링크(250)는 제 1 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래서 토출스텝 P1 상태에서 토출스텝 P4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승된다. 그러나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212a)은 제 1 방향으로 회전되고, 하강된다. 즉, 토출스텝 P4를 기준으로 제 1 베인(210)의 움직임이 달라진다.
토출스텝 P4 상태에서 토출스텝 P6로 진행될 때, 제 1 베인(210)을 보다 수직게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토출스텝 P6 상태일 때,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코어링크축(243)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에서 베인모듈(200)이 수직풍을 형성할 때, 상기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최대로 이격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 1 베인링크(250)와 오버랩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2 조인트부(217) 또는 제 1 구동링크축(24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제 1 베인링크(250)의 L1-L1' 선상 또는 후방에 위치된다.
토출스텝 P6 일 때, 베인모듈(200)의 측면에서 보면,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은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고, 사이드커버(314)의 외측면 보다 높게 위치된다. 제 1 베인(210)의 후방측 단(212b)이 토출구(102)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토출구(102)의 공기를 보다 수직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집중력향상 냉방모드>
도 1 내지 4, 도 15, 및 도 2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집중력향상 모드는 냉방모드 및 난방모드로 구성된다. 집중력향상 모드에서 제어부는 재실자의 집중력이 향상되도록 기류를 제어한다.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의 경우, 설정온도를 1도씩 상승시키면서 기류를 제어하고, 집중력향상 난방모드의 경우 설정온도를 1도씩 하강시키면서 기류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과 각각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게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2),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베인모듈(202)의 반대편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바텀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배치되는 제 1 베인모듈(201),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3시 방향에 배치된 제 2 베인모듈(202),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6시 방향에 배치된 제 3 베인모듈(203), 상기 흡입구(10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9시 방향에 배치된 제 4 베인모듈(204)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 1 베인모듈(201)이 배치된 토출구를 제 1 토출구(102-1)로 정의하고, 제 2 베인모듈(202)이 배치된 토출구를 제 2 토출구(102-2)로 정의하고, 제 3 베인모듈(203)이 배치된 토출구를 제 3 토출구(102-3)로 정의하고, 제 4 베인모듈(204)이 배치된 토출구를 제 4 토출구(102-4)로 정의한다.
바텀뷰로 볼 때, 제 1 베인모듈(201)은 12시 방향에 배치되고, 12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2 베인모듈(202)은 3시 방향에 배치되고, 3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3 베인모듈(203)은 6시 방향에 배치되고, 6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4 베인모듈(204)은 9시 방향에 배치되고, 9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바텀뷰로 볼 때,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의 공기토출방향은 서로 반대다.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공기토출방향은 서로 반대다.
바텀뷰로 볼 때, 제 1 베인모듈(201)의 공기 토출방향은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공기 토출방향과 직교한다. 제 3 베인모듈(203)의 공기토출방향은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공기토출방향과 직교한다.
제 1 베인모듈(201)의 공기토출방향을 제 1 토출방향(291)으로 정의하고, 제 2 베인모듈(202)의 공기토출방향을 제 2 토출방향(292)으로 정의하고, 제 3 베인모듈(203)의 공기토출방향을 제 3 토출방향(293)으로 정의하고, 제 4 베인모듈(204)의 공기토출방향을 제 4 토출방향(294)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는, 각각의 베인모듈을 제어하여 실내의 공기유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실내온도를 보다 신속하게 낮출 수 있다.
특히,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는 설정온도를 1도씩 상승시키면서 각각의 베인모듈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재실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냉방 시, 2쌍의 베인모듈 중 각각 한 쌍의 베인모듈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과, 다른 한 쌍의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바텀뷰로 볼 때,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바텀뷰로 볼 때, 흡입구(101)를 중심으로, 제 1 베인모듈(201)의 토출방향과 제 2 베인모듈(202)의 토출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제 2 베인모듈(202)의 토출방향과 제 3 베인모듈(203)의 토출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제 3 베인모듈(203)의 토출방향과 제 4 베인모듈(204)의 토출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하고, 제 4 베인모듈(204)의 토출방향과 제 1 베인모듈(201)의 토출방향은 90도의 사이각을 형성한다.
바텀뷰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바텀부로 볼 때, 상기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3 베인모듈(204)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흡입구(101)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을 제 1 토출페어라고, 정의하고,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을 제 2 토출페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에서, 실내의 목표온도는 18도로 설정되고, 실내송풍팬은 약, 중 및 강 중 강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의 실내 목표온도 또는 실내송풍팬의 속도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집중력향상 냉방모드가 온(ON) 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4)와, 상기 S14 단계 이후에,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로 구성된 제 1 토출페어와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로 구성된 제 2 토출페어를 리셋 오토타임(본 실시예에서 10분) 동안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토스윙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1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와,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단계(S80)와, 상기 S8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0 단계 또는 S90 단계를 만족한 경우, 설정온도를 1도 상승시킨 후 상기 S40 내지 S70 단계와 유사한 과정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0 단계 또는 S9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기준설정온도(Ts0)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상승시켜 설정온도(Ts)로 치환한다.(S100)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10)와,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 단계(S120)와,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3'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40)와, 상기 S1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4'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50)와, 상기 S1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S170 단계 이후에, 상기 S110로 리턴되고, S110 단계 내지 S16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냉방운전 시, 상기 S40 내지 S100를 제 1 제어로 정의하고, S110 내지 S160을 제 2 제어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제어의 S140 단계 및 S150 단계에서 풍량은 약풍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30 단계 또는 S1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2 제어의 횟수를 판단한다.(S170) 상기 S170 단계를 카운트 판단단계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보다 적은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증가시키고, 카운트를 1증가시킨다. (S180)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감소시키고, 카운트를 1증가시킨다. (S190)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보다 큰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증가시키고, 카운트를 1감소시킨다. (S200)
예를 들어, Ts0가 섭씨 24도인 경우, 제 1 제어 및 제 2 제어를 수행하면, 현재온도는 25로 상승된 후, 카운트 판단단계(S170)로 진입하고, 제 2 제어 횟수가 0이기 때문에, S180으로 이행된다.
그래서 상기 S180은 설정온도를 25도에서 1도 상승시켜 26로 설정하고, 카운트를 1 증가시킨다.
이후 다시 제 2 제어를 수행한 후, 카운트 판단단계(S170)로 진입하면, 카운트가 1이기 때문에 S19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190 단계는 설정온도를 26도에서 1도 하강시켜 25도로 설정하고, 카운트를 다시 1증가시켜 2로 설정한다.
이후 다시 제 2 제어를 수행한 후, 카운트 판단단계(S170)로 진입하면, 카운트가 2이기 때문에 S20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200 단계는 설정온도를 25도에서 1도 상승시켜 26도로 설정하고, 카운트를 1감소시켜 1로 설정한다.
상기 S200 단계 이후에 제 2 제어를 수행하면, 현재온도 26도 및 카운트1 이기 때문에, 다시 S180 단계를 수행하게된다.
상술한 S180, S190 및 S200 단계를 판단한 후,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의 작동시간을 판단(S210)하고,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의 작동시간이 제 1 경과시간(본 실시예에서는 5시간)을 초과하면,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를 종료한다.
집중력향상 냉방모드의 작동시간이 제 1 경과시간(본 실시예에서 5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제어의 총 시간은 8분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제어의 총 시간도 8분으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S40단계의 제 1 경과시간은 2분으로 설정되고, S50단계의 제 2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되고, 상기 S70 단계의 제 3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되며, 상기 S80 단계의 제 4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S110단계의 제 1' 경과시간은 2분으로 설정되고, S120단계의 제 2'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되고, 상기 S140 단계의 제 3'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되며, 상기 S150 단계의 제 4' 경과시간도 2분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실내온도를 기준설정온도(Ts0)에서 제 1 기준값 씩 2번 상승시킨다. 그리고 기준설정온도(Ts0)에서 2번 상승한 설정온도에서 제 1 기준값 씩 2번 하강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이와 같은 단계별 실내온도 제어를 통해 재실자의 냉방니즈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제어에서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2(S40) -> 토출스텝 P3(S50) -> 토출스텝 P4.5(S70) -> 토출스텝 P3(S80)"로 진행된다.
상기 제 1 제어에서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4.5(S40) -> 토출스텝 P3(S50) -> 토출스텝 P2(S70) -> 토출스텝 P3(S80)"로 진행된다.
상기 제 1 베인모듈, 제 2 베인모듈, 제 3 베인모듈 및 제 4 베인모듈은,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1 베인의 기울기는 "0도 < 토출스텝 P1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1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한다.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0 < 토출스텝 P1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2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한다.
그리고 상기 각 토출스텝에서 상기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상기 제 1 베인의 기울기보다 항상 크게 설정된다.
사용자는 무선리모콘(미도시) 또는 유선리모콘(미도시)을 통해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1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집중력향상 냉방모드는 특정 조건에서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무선리모콘의 경우, 사용자가 파워모드를 선택할 경우, 상기 집중력향상 냉방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유선 리모콘의 경우 파워냉방을 선택할 경우, 상기 집중력향상 냉방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오토스윙 단계(S20)는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를 모두 같은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오토스윙 단계(S20)에서 제어부는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을 특정 구간에서 왕복 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오토스윙 단계(S20)는, 상술한 토출스텝 P2에서 토출스텝 P5까지 모든 베인모듈(200)을 순차 변경시킨 후, 다시 역순으로 변경시키고, 이를 반복한다.
그래서 오토스윙 단계(S20)일 때,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은 각 베인모터(230)를 작동시켜,
"토출스텝 P2 -> 토출스텝 P3 -> 토출스텝 P4 -> 토출스텝 P5"로 작동시킨 후, 다시 역순으로 "토출스텝 P5 -> 토출스텝 P6 -> 토출스텝 P3 -> 토출스텝 P2"로 작동된다. 이와 같은 사이클을 오토스윙 사이클로 정의한다.
오토스윙 사이클은 토출스텝 P1 및 토출스텝 P6는 제외된다.
오토스윙 단계(S20)는 리셋 오토타임 동안 작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셋 오토타임은 10분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리셋 오토타임은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리셋 오토타임은 제 1 집중력향상 타임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 전에 사용자에게 충분한 냉기를 공급하여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토스윙 단계(S20)는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를 통해 실내기 주변으로 냉방된 공기를 토출한다. 이때, 오토스윙 단계(S20)에서 냉각된 토출공기는 특정 위치 또는 특정 거리를 목표하지 않는다.
오토스윙 단계(S20)는 토출스텝 P2 내지 토출스텝 P5 구간을 왕복하면서 실내기 주변으로 냉각된 공기를 토출시키고, 실내공기와 냉각된 공기는 무작위로 혼합된다.
즉, 오토스윙 단계는 실내공기와 냉각된 토출공기를 무작위로 혼합시키고, 전체 실내공기의 온도를 보다 빠르게 균일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S20 단계는 실내기 주변의 공기를 균일화하기 위한 제어단계이다. 제 1 제어가 작동되기 전에, S20 단계를 실행시켜 실내기 주변의 공기를 혼합시키고, 실내기 주변의 온도편차를 저감시킨다.
S20 단계를 만족하면, S40 단계로 이행된다.
S40 단계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이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는 오토스윙 단계(S20)와 달리 냉각된 토출공기의 지향점이 있다.
오토스윙 단계(S20)는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통해 토출공기의 공급목표 또는 공급목적이 동일하지만,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는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의 공급목표 또는 공급목적이 상이하다.
그래서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는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일 때,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2로 설정되고,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4.5로 설정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2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으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한다.
토출스텝 P2는 수평풍(토출스텝 P1)을 제외하고 토출공기를 가장 멀리 보낼 수 있다. 토출스텝 P2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제 2 토출페어는 사용자에게 직접 냉각된 공기를 제공하는 직접풍을 제공한다. S40 단계에서 제 2 토출페어는 상기 토출스텝 P4 내지 P6 사이가 바람직하다.
실내공기를 신속하게 냉각시키기 위해, 토출공기는 수평풍 또는 수직풍으로 토출되는 것보다는 경사풍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토출페어는 수평풍에 가까운 간접풍을 제공하기 때문에 원거리에 토출공기를 제공하고, 제 2 토출페어는 이것보다는 가까운 곳에 토출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토출스텝에서 상기 제 1 베인의 기울기는, 35도 내지 57도 사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스텝이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 어느 하나로 선택되는 대신 토출스텝 P4 내지 P6 중간에 별도의 토출스텝을 배치한다. 그래서 토출스텝 P4 내지 P5 사이에 토출스텝 P4.5를 배치하고, 토출스텝 P4.5를 파워냉방 토출스텝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S40 단계에서 제 2 토출페어의 토출스텝은 상술한 토출스텝 P4 또는 P5가 선택될 수 있다. 토출스텝 P4 또는 P5가 선택되는 이유는 수평풍 및 수직풍이 아닌 토출스텝 중 P2와 공기토출방향 차이가 큰 토출스텝이기 때문이다.
토출스텝 P4.5는 상술한 토출스텝 P4 내지 P5 사이의 경사각을 형성한다.
상기 토출스텝 P4.5에서, 베인모터(230)는 102도(P4.5 회전각) 회전된다. 상기 베인모터(230)의 회전에 의해 제 1 베인(210) 및 제 2 베인(220)은 토출스텝 P4 내지 P5 중간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베인(210)은 35도 내지 44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220)은 대략 70도 내지 72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1 토출페어의 베인모터(230)는 78도(P2 회전각) 회전되고, 제 2 토출페어의 베인모터는 102도(P4.5 회전각) 회전된다.
S40 단계에서 제 1 토출페어는 수평풍에 가까운 경사풍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원거리에 토출공기를 제공한다. 제 1 토출페어의 토출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된 제 2 토출페어는 경사풍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근거리에 토출공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1 토출페어가 토출스텝 P2를 통해 실내기에서 먼 쪽에 공기를 공급할 경우, 냉각된 공기는 완만한 각도로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실내공기와의 밀도차에 의해 서서히 하강된다. 제 1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가 서서히 하강되면서 실내기에서 먼 곳에 도달할 경우, 실내공기는 냉각된 토출공기에 밀려 주변으로 유동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1 토출페어가 토출스텝 P2로 토출공기를 간접풍으로 공급할 때,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4.5를 통해 실내기의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때, 제 2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는 제 1 토출페어보다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가까운 쪽에 바닥에 도달한 후, 바닥을 따라 먼 쪽으로 유동된다. 제 2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가 서서히 하강되면서 실내기에서 먼 곳에 도달할 경우, 실내공기는 냉각된 토출공기에 밀려 주변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토출페어가 원거리에 토출공기를 제공하고, 직교하게 배치된 제 2 토출페어가 근거리에 토출공기를 제공하는 경우, 실내공기의 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공기를 토출할 때, 거리차 및 높이차를 형성시키는 경우, 냉각된 공기와 실내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그래서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냉각된 토출공기를 공급할 경우, 실내기 주변에 온도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실내기를 기준으로 수평방향 거리에 따른 온도편차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 높이에 따른 온도편차도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토출페어 방향과 제 2 토출페어 방향에 대한 온도편차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의 목표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된 당연한 현상이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제 1 오토스윙 단계(S60)가 배치된다.
상기 S40 단계는 제 1 경과시간 동안 작동되고, 제어부는 상기 제 1 경과시간을 카운트한 후 S50 단계를 실행한다.
상기 S50 단계는, 4개의 베인모듈을 모두 같은 토출스텝으로 설정한다. 상기 S50 단계에서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는 모두 경사각도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S50 단계를 경사풍 유니티 단계로 정의한다.
상기 S50 단계는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를 모두 같은 방식으로 동작시킨다.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에서 제어부는 제 1 베인모듈(201), 제 2 베인모듈(202), 제 3 베인모듈(203) 및 제 4 베인모듈(204)을 모두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풍은 토출스텝 P2 내지 P5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는,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 냉방에 가장 효과적인 토출스텝 P3로 4개의 베인모듈을 모두 작동시킨다.
토출공기가 하측으로 토출된 후 상승되는 것을 감안하여 토출스텝 P4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실내공간이 좁을 경우, 토출스텝 P5를 경사풍 유니티 단계에서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S50 단계는 제 2 경과시간(본 실시예에서 2분) 동안 작동되고, 제어부는 제 2 경과시간을 카운트한 후 S60 단계를 실행한다.
S60 단계는 현재온도(Tp)와 기준설정온도(Ts0)를 비교한다.
상기 S6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기준설정온도(Ts0) 초과인 경우, S70 단계로 이행된다. 반면에 상기 S6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 경우, S10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70 단계는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S40 단계와 반대로 작동시킨다. S70 단계는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이다.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는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와 반대로 작동시킨다. 그래서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일 때,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으로 설정되고,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2으로 설정된다.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2 -> 토출스텝 P4.5"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제 2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4.5->토출스텝 P2"로 변경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와 반대로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는 제 1 토출페어를 통해 직접풍을 제공하고, 제 2 토출페어를 통해 간접풍을 제공한다.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제 1 토출페어의 베인모터는 102도(P4.5 회전각) 회전되고, 제 2 토출페어의 베인모터(230)는 78도(P2 회전각) 회전된다.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및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를 교대로 작동시킴으로서, 실내공간의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및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를 교대로 작동시킴으로서, 실내공기가 닿지 않는 데드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히,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및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는 간접풍 및 직접풍을 교대로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공기가 닿지 않는 데드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 1 토출페어를 예로 들면,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토출스텝 P2를 통해 실내기에서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이후,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토출스텝 P4.5를 통해 실내기의 가까운 곳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이와 같이 공기를 토출할 경우,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의 토출방향에 대한 데드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제 1 토출페어가 작동될 때, 제 2 토출페어는 반대로 작동되는 바, 제 2 토출페어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에서 실내기에서 가까운 곳에 공기를 토출하고,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실내기에서 먼 곳에 공기를 토출한다. 이와 같이 공기를 토출할 경우,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의 토출방향에 대한 데드존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에서, 제 1 토출페어는 토출스텝 P4.5를 통해 실내기의 가까운 쪽에서 먼 쪽으로 냉각된 공기를 유동시킨다. 이때, 제 1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는 지면을 향하기 때문에, 실내기의 가까운 쪽에 바닥에 도달한 후, 바닥을 따라 먼 쪽으로 유동된다. 제 1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가 서서히 하강되면서 실내기에서 먼 곳에 도달할 경우, 실내공기는 냉각된 토출공기에 밀려 주변으로 유동된다.
제 2 토출페어가 토출스텝 P2를 통해 실내기에서 먼 쪽에 공기를 공급할 경우, 냉각된 공기는 완만한 각도로 토출되고, 토출된 공기는 실내공기와의 밀도차에 의해 서서히 하강된다. 제 2 토출페어에서 토출된 공기가 서서히 하강되면서 실내기에서 먼 곳에 도달할 경우, 실내공기는 냉각된 토출공기에 밀려 주변으로 유동된다.
이와 같이,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및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는 실내기에서 수평방향 거리를 기준으로 가까운 곳 및 먼 곳에 교대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및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는 상하방향 높이를 기준으로 높은 쪽 및 낮은 쪽에 교대로 냉각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실내공기를 효과적으로 혼합시킬 수 있다.
상기 S70 단계는 제 3 경과시간(본 실시예에서 2분) 동안 작동된다.
상기 S80 단계는 상술한 S50 단계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S90 단계는 현재온도(Tp)와 기준설정온도(Ts0)를 비교한다.
상기 S9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기준설정온도(Ts0) 초과인 경우, S40 단계로 리턴된다. 반면에 상기 S9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 경우, S100 단계로 이행된다.
상기 S100 단계는 상기 S60 단계 또는 S90 단계 이후에 실행될 수 있다.
냉방운전 중, 실내의 현재온도(Tp)가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 경우에 상기 S100 단계가 실행된다.
상기 S100 단계는 기준설정온도(Ts0)를 설정온도(Ts)로 변경한다. 상기 설정온도(Ts)은 기준설정온도(Ts0)에서 1도 증가된 값이다.
이후 제 2 제어는 상술한 제 1 제어와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S130 단계 및 S160 단계는 상기 S60 단계 및 S90 단계와 같이 현재온도(Tp)와 설정온도(Ts)를 비교한다.
상기 S13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설정온도(Ts) 초과인 경우, S140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16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설정온도(Ts) 초과인 경우, S110 단계로 리턴된다.
반면에 상기 S130 단계 또는 S160 단계에서, 현재온도(Tp)가 설정온도(Ts) 이하인 경우,
현재온도(Tp)가 설정온도(Ts) 이하인 경우, S170 단계로 이행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냉방 시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실내온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5 또는 도 2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난방 시 집중력향상 모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집중력향상 난방모드가 온(ON) 되는 단계(S11)와, 상기 S11 단계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5)와, 상기 S15 단계 이후에, 제 1 베인모듈(201) 및 제 3 베인모듈(203)로 구성된 제 1 토출페어와 제 2 베인모듈(202) 및 제 4 베인모듈(204)로 구성된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로 작동시키는 단계(S25)와,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1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난방단계(S41)와, 상기 S41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5로 작동시키는 제 3 경사풍 유니티 단계(S51)와, 상기 S51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1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1으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난방단계(S71)와, 상기 S71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5로 작동시키는 제 4 경사풍 유니티 단계(S81)와, 상기 S81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1 단계 또는 S91 단계를 만족한 경우, 설정온도를 1도 하강시킨 후 상기 S41 내지 S71 단계와 유사한 과정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61 단계 또는 S91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기준설정온도(Ts0)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하강시켜 설정온도(Ts)로 치환한다.(S101)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01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1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난방단계(S111)와,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5로 작동시키는 제 3' 경사풍 유니티 단계(S121)와, 상기 S121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31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1으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난방단계(S141)와, 상기 S141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5로 작동시키는 제 4' 경사풍 유니티 단계(S151)와, 상기 S151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61)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S170 단계 이후에, 상기 S111로 리턴되고, S111 단계 내지 S16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난방 운전 시, 상기 S41 내지 S101를 제 1 제어로 정의하고, S111 내지 S161을 제 2 제어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제어의 S141 단계 및 S151 단계에서 풍량은 약풍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S131 단계 또는 S161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제 2 제어의 횟수를 판단한다.(S170) 상기 S170 단계를 카운트 판단단계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보다 적은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감소시키고, 카운트를 1증가시킨다.(S181)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증가시키고, 카운트를 1증가시킨다.(S191)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보다 큰 경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본 실시예에서는 섭씨 1도) 감소시키고, 카운트를 1감소시킨다.(S201)
본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은 난방 시, 실내온도를 기준설정온도(Ts0)에서 제 1 기준값 씩 2번 하강시킨다. 그리고 기준설정온도(Ts0)에서 2번 하강한 설정온도에서 제 1 기준값 씩 2번 상승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
본 실시예의 S41 단계, S71 단계, S111 단계, S141 단계에는 토출스텝 4.1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스텝 P4.1을 파워난방 토출스텝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S41 단계, S71 단계, S111 단계, S141 단계의 토출스텝 4.1은 토출스텝 P4 내지 P5 사이의 값을 만족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파워난방 토출스텝 P4.1은 파워냉방 토출스텝 P4.5보다 수평하게 배치된다.
집중력향상 난방모드는 설정온도 보다 낮게 실내온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따뜻한 공기가 보다 천천히 지면으로 하강되게 제어할 수 있다.
토출스텝 P4.1은 토출스텝 P4 내지 토출스텝 P5 사이의 경사각 중 1/10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각은 제 1 베인 및 제 2 베인 각각의 경사각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토출스텝 P2.5는 토출스텝 P2 내지 토출스텝 P3 사이의 경사각 중 1/2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S51 단계, S81 단계, S121 단계, S151 단계의 토출스텝 P2.5는 토출스텝 P2 내지 토출스텝 P3의 어느 값을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케이스 101 : 흡입구
102 : 토출구 103 : 흡입유로
104 : 토출유로 110 : 케이스하우징
120 : 프론트패널 130 : 실내열교환기
140 : 실내송풍팬 200 : 베인모듈
210 : 제 1 베인 212a : 제 1 베인의 전방측 단
212b :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
216 : 제 1 조인트부 217 : 제 2 조인트부
220 : 제 2 베인 222a :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
222b : 제 2 베인의 후방측 단
226 : 제 3 조인트부 230 : 베인모터
240 : 구동링크 241 : 제 1 구동링크축
242 : 제 2 구동링크축 243 : 코어링크축
245 : 구동링크바디 246 : 제 1 구동링크바디
247 : 제 2 구동링크바디 248 : 코어바디
250 : 제 1 베인링크 260: 제 2 베인링크
251 : 제 1-1 베인링크축 252 : 제 1-2 베인링크축
261 : 제 2-1 베인링크축 262 : 제 2-2 베인링크축
300 : 프론트패널 310 : 프론트바디
320 : 흡입그릴 330 : 프리필터
400 : 모듈바디 410 : 제 1 모듈바디
420 : 제 2 모듈바디 500 : 엘리베이터

Claims (16)

  1. 실내의 천장에 매달려 설치되고, 저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 가장자리에 제 1 토출구, 제 2 토출구, 제 3 토출구 및 제 4 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제 1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12시 방향에 배치되고, 제 1 토출페어 중 하나를 구성하고, 제 1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1 베인모듈; 상기 제 2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3시 방향에 배치되고, 제 2 토출페어 중 하나를 구성하고, 제 2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2 베인모듈; 상기 제 3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6시 방향에 배치되고, 제 1 토출페어 중 나머지 하나를 구성하고, 제 3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3 베인모듈; 상기 제 4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를 기준으로 9시 방향에 배치되고, 제 2 토출페어 중 나머지 하나를 구성하고, 제 4 토출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제 4 베인모듈;을 포함하고,
    집중력향상 냉방모드가 온(ON) 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 주기로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설정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제 1 제어;
    상기 제 1 제어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를 제 1 기준값 상승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는 단계(S100);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 주기로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서로 다른 경사각도로 설정하여 실내를 냉방하는 제 2 제어;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를 판단하는 단계(S170);
    상기 S170에 따라 상기 설정온도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거나 또는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상기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와 같거나 높게 유지시키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S10 단계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4);
    상기 S14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와 제 2 토출페어를 리셋 오토타임 동안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토스윙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1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로 이행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단계(S80);
    상기 S8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10);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 냉방단계(S120);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로 이행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3'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40);
    상기 S1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4'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50);
    상기 S1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1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로 이행되고, S1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0"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2"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증가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 감소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섭씨 1도이고,
    상기 제 1 제어 이후에 상기 기준설정온도(Ts0)를 1도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고, 상기 제 2 제어 이후에 상기 설정온도(Ts)를 1도 더 증가시켜 설정온도(Ts)를 설정하며,
    상기 설정온도(Ts)가 기준설정온도(Ts0) 보다 2도 증가된 이후에, 상기 제 2 제어를 반복하여 상기 2도 증가된 설정온도(Ts)를 상기 기준설정온도(Ts0)까지 감소시키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0"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2"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증가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 감소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어는,
    상기 S10 단계 이후에 기준설정온도(Ts0)와 현재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4);
    상기 S14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와 제 2 토출페어를 리셋 오토타임 동안 동시에 작동시키는 오토스윙 단계(S20);
    상기 S2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40);
    상기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1 경사풍 유니티 단계(S50);
    상기 S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S6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2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70);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단계(S80);
    상기 S8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기준설정온도(Ts0)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제어는,
    상기 S10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2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로 작동시키는 제 1'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10);
    상기 S11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2 경사풍 유니티 냉방단계(S120);
    상기 S12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30);
    상기 S130 단계를 만족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 1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4.5으로 작동시키고, 상기 제 2 토출페어를 P2로 작동시키는 제 3'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40);
    상기 S140 단계 이후에, 상기 제 1 토출페어 및 제 2 토출페어를 토출스텝 P3로 작동시키는 제 4' 집중력향상 냉방단계(S150);
    상기 S150 단계 이후에, 현재온도(Tp)가 상기 설정온도(Ts)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S60 단계 또는 S9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130 또는 S160 단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S170 단계로 이행되고,
    상기 S9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40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S160 단계를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0"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상승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1"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감소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증가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고,
    상기 S170 단계에서 판단된 상기 제 2 제어의 횟수가 "2"인 경우,
    상기 설정온도(Ts)를 제 1 기준값 증가시키고, 제 2 제어의 카운트를 1 감소시키며, 상기 S110 단계로 리턴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제 1 베인은 16도 내지 29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57도 내지 67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며,
    상기 토출스텝 P4.5에서,
    상기 제 1 베인은 35도 내지 44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은 70도 내지 72도 사이의 기울기를 형성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토출스텝 P2를 제공할 때,
    상기 제 1 베인의 후방측 단은 상기 제 2 베인의 전방측 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5. 청구항 1 내지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인모듈은,
    상기 케이스 측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토출구에 노출되는 모듈바디; 상기 모듈바디에 조립되고, 구동력을 제공하는 베인모터;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베인모터와 결합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고, 소정의 사이각을 형성하는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2 구동링크바디를 포함하는 구동링크; 상기 구동링크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링크; 상기 제 2 구동링크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링크;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링크바디 및 제 1 베인링크 각각과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1 베인;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고, 제 2 베인축에 의해 상기 모듈바디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제 2 베인링크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 2 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인모듈, 제 2 베인모듈, 제 3 베인모듈 및 제 4 베인모듈은, 토출스텝 P1 내지 P6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고,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1 베인의 기울기는 "0도 < 토출스텝 P1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1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1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하고,
    수평을 기준으로 상기 각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0 < 토출스텝 P1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2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3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4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5의 제 2 베인 기울기 < 토출스텝 P6의 제 2 베인 기울기 < 90도"을 만족하고,
    상기 각 토출스텝에서 상기 제 2 베인의 기울기는 상기 제 1 베인의 기울기보다 항상 크게 설정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토출스텝 P1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P1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1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스텝 P2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P1 회전각보다 큰 P2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2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스텝 P3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P2 회전각보다 큰 P3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3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스텝 P4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P3 회전각보다 큰 P4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4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스텝 P5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P4 회전각보다 큰 P5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5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스텝 P6에서, 상기 베인모터는 상기 P5 회전각보다 큰 P6 회전각으로 회전되고, 상기 베인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베인은 제 1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베인 제 2 베인 P6 기울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베인 P1 기울기는 16도 이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 1 베인 P6 기울기는 57도 이하로 설정되는 천장형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0180164361A 2018-12-18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639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61A KR102639774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PCT/KR2019/018014 WO2020130635A1 (ko) 2018-12-18 2019-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EP19217627.9A EP3671053A1 (en) 2018-12-18 2019-12-18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US16/718,817 US20200191420A1 (en) 2018-12-18 2019-12-18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4361A KR102639774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5559A KR20200075559A (ko) 2020-06-26
KR102639774B1 true KR102639774B1 (ko) 2024-02-21

Family

ID=6896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4361A KR102639774B1 (ko) 2018-12-18 2018-12-18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191420A1 (ko)
EP (1) EP3671053A1 (ko)
KR (1) KR102639774B1 (ko)
WO (1) WO2020130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129A1 (ko) * 2020-08-11 2022-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1981575B (zh) * 2020-08-27 2021-08-17 余姚市工易仪表有限公司 一种室内温度控制方法、系统、存储介质及温度调节装置
CN112303835B (zh) * 2020-10-30 2021-06-04 东莞骏科空调制造有限公司 环境工艺空调控制方法、系统、装置、设备及介质
KR102460898B1 (ko) 2020-11-13 2022-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0604A (ja) 2014-09-30 2016-05-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18179320A1 (ja) 2017-03-31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9838B1 (ko) 2005-10-05 2007-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476437B1 (ko) * 2007-12-21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장치, 공조장치의 베인제어장치, 및 공조장치의베인제어방법
ES2822108T3 (es) * 2009-09-28 2021-04-29 Daikin Ind Ltd Dispositivo de control
JP4803297B2 (ja) * 2009-10-30 2011-10-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ラ及び空気調和機
JP5310792B2 (ja) * 2010-01-26 2013-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天井設置型室内ユニット
KR102393966B1 (ko) * 2015-02-18 2022-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767688B2 (ja) * 2015-05-20 2020-10-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室内空調システム
JP6229741B2 (ja) * 2015-09-29 2017-11-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17203704A1 (ja) * 2016-05-27 2017-11-30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70604A (ja) 2014-09-30 2016-05-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18179320A1 (ja) 2017-03-31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空気調和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71053A1 (en) 2020-06-24
US20200191420A1 (en) 2020-06-18
KR20200075559A (ko) 2020-06-26
WO2020130635A1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562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639774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KR102090646B1 (ko)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EP3671054B1 (en) Ceiling type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