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898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898B1
KR102460898B1 KR1020200151721A KR20200151721A KR102460898B1 KR 102460898 B1 KR102460898 B1 KR 102460898B1 KR 1020200151721 A KR1020200151721 A KR 1020200151721A KR 20200151721 A KR20200151721 A KR 20200151721A KR 102460898 B1 KR102460898 B1 KR 10246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ne
link
stopper
dispos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5338A (ko
Inventor
김학재
남성현
사공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898B1/ko
Priority to EP21208001.4A priority patent/EP4001780A1/en
Publication of KR20220065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5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전방하측으로 가이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토출가이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1베인과 제2베인;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베인 각각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2베인 각각에 연결되는 제3링크; 및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베인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스토퍼보다 상기 제1베인과 먼저 접촉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에 2개의 베인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기,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고, 상기의 구성으로 냉매를 유동시키며, 실내의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실내공기를 적정온도로 조절할 수 있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내기와 실외의 공기를 열교환하도록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와 실외기 각각에 배치된 열교환기는 냉매의 유동에 따라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경우, 배치 및 구조에 따라 천정형, 스탠드형, 및 벽걸이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실내공간의 벽면 상측에 배치되어, 열교환된 공기를 하측전방으로 토출하도록 토출구를 형성한다.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토출구에 1개 또는 2개의 베인이 배치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05-0066463호에서는, 2개의 베인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각각의 베인은,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배치되므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20-0075559호에서는, 천정형 에어컨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링크를 통해 2개의 베인의 배치를 변경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토출유로가 하측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동일한 구조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의 토출구를 커버하거나,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배치변경에 제한이 있다.
또한, 토출유로가 전방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서는 베인의 회전범위가 늘어나야 토출구를 커버하거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벽걸이형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이를 커버하기 위한 베인은 복수의 링크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지므로, 베인이 토출구에 배치되더라도, 토출구와 베인 사이에 틈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방하측으로 토출유로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확대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링크로 배치가 변경되는 베인이 토출구를 커버할 때, 토출구와 베인 사이의 틈을 최소화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베인의 이동제한을 안정적으로 구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하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전방하측으로 가이드하는 토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토출유로 하류단에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가이더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1베인과,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베인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1베인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배치되고,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제1베인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제1베인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스토퍼보다 상기 제1베인과 먼저 접촉하게 배치되어, 제1베인의 하부를 제2스토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베인이 제1스토퍼와 접촉한 후, 제2스토퍼와 접촉하도록 배치하여, 제1베인의 상단과 하단 각각이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의 상하방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제1베인의 하부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베인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베인의 하부를 제2스토퍼에 접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보다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베인이 제1스토퍼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2스토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베인의 배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스토퍼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제1베인의 하부를 제2스토퍼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보다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제1베인의 하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제1베인판과, 상기 제1베인판의 폭방향 후방과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판의 폭길이는, 상기 제1연결판의 폭길이보다 2배 내지 3배 사이로 형성되어, 제1링크와 제2링크의 회전에 의해 작용하는 힘이 제1베인판의 폭방향 후방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크는, 볼록하게 밴딩되어, 제1베인의 회전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회전축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스토퍼를 포함하여, 제1베인의 회전범위를 2중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돌출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돌기를 포함하여, 제1베인의 회전범위를 2중으로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이너스토퍼는 상기 이너돌기와 접촉하지 않게 배치되어, 제1베인이 제2스토퍼와 접촉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너스토퍼는, 상기 회전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이너스토퍼와, 상기 제1이너스토퍼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이너스토퍼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이너스토퍼와 상기 이너돌기가 접촉할 때,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스토퍼가 접촉하여, 제1베인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제2이너스토퍼와 상기 이너돌기가 접촉할 때, 상기 제1베인의 후방단부는, 상기 고정링크의 밴딩된 곡면 사이로 배치되어, 제1베인과 제1링크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베인의 폭방향 후방에서, 상기 제1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1베인이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제1베인의 후방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2베인와, 상기 제1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베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3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어,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할 때, 제2베인은, 토출구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링크와 제2링크의 배치, 및 제1링크와 제2링크의 길이관계로, 제1베인의 이동범위가 확대되어, 토출유로가 전방하측으로 형성되는 구조에서, 제1베인이 토출구를 커버하거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또는 하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즉, 토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고려하여, 실내공간이 빠르게 목표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할 때, 제1링크와 제2링크에 연결되는 부분에서 원거리에 배치되는 영역을 제1스토퍼와 먼저 접촉시키고, 제1링크와 제2링크에 연결되는 부분을 추가적으로 이동시켜 제2스토퍼와 접촉되게 하여 토출구와 제1베인 사이에 발생하는 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제1베인의 이동이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에 의해 제한되고, 추가적으로 이너스토퍼에 제1링크의 회전이 제한되는 구조를 가져, 제1베인이 이동범위 이외의 영역으로 회전하는 것을 2중으로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케이스, 복수의 링크, 및 복수의 베인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프레임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프레임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의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1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의 측면도이다.
도 11b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의 일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링크의 타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링크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베인 상측에 배치되는 보조링크와 커넥팅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팅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링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베인과 제2베인이 기준위치(P0)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제1베인과 제2베인이 제1위치(P1)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제1베인과 제2베인이 제3위치(P3)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1베인과 제2베인이 제2위치(P2)에 배치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1베인이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제1스토퍼와 제1베인이 접촉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6, 도 19 내지 도 22를 따라 설명되는 상(U), 하(D), 좌(Le), 우(Ri), 전(F), 후(R)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은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을 따라 설명되는 높이방향(h+, h-), 폭방향(w+, w-), 길이방향(l+, l-)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은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사용되는 길이방향(l+, l-)은, 도 도 1 내지 도 6, 도 19 내지 도 22에서 사용되는 좌우방향(Ri, Le)과 동일한 방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흡입구(22)와 토출구(24)를 형성된 케이스(10), 케이스(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기(28), 케이스(1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24)로 유동시키는 송풍팬(26) 및 송풍팬(2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24)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더(30)를 포함한다.
케이스(10)은 상부벽(12) 또는 전방벽(14)의 상부에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2)를 형성하고, 전방벽(14)의 하부에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24)를 형성할 수 있다. 케이스(10)은 좌우측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0) 내부의 공기 흐름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토출구(24)가 흡입구(2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흡입구(22)는 송풍팬(26)의 중심(26a)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토출구(24)는 송풍팬(26)의 중심(26a)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케이스(10)의 외둘레면은 흡입구(22)가 형성되는 상부벽(12), 상부벽(12)의 전방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전방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전방벽(14), 상부벽(12)의 반대방향에 형성되는 하부벽(16) 및 전방벽(14), 상부벽(12), 하부벽(16)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 양측벽(18)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방벽(14)과 하부벽(16)은 곡면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며, 전방벽(14)과 하부벽(16)이 곡면형태로 이어지는 부분에서 토출구(2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24)는 케이스(10)의 전방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열교환기(28), 송풍팬(26)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케이스(10) 내부에는 흡입구(22)로 흡입된 공기가 송풍팬(26)으로 안내하거나, 송풍팬(26)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24)로 안내하는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0) 내부에는 송풍팬(26)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24)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더(3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가이더(30)는 송풍팬(2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유로(30a)를 형성한다. 토출가이더(30)는 송풍팬(2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토출구(24)로 안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출유로(30a)는, 송풍팬(26)으로부터 전방하측으로 연장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토출가이더(30)는 토출유로(30a)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부가이더(36)와 토출유로(30a)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가이더(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가이더(36)는 송풍팬(26)의 중심(26a)을 기준으로 전방부분에서 토출구(24)의 상단부로 연결된다. 하부가이더(32)는 송풍팬(26)의 중심(26a)을 기준으로 후방부분에서 토출구(24)의 하단부로 연결된다.
하부가이더(32)는 송풍팬(26)에 의해 송풍팬(26)의 후방측 또는 송풍팬(26)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토출구(24)로 안내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32b)과, 곡면(32b)에서 토출구(24)로 직선면을 형성하며 연장되는 직선면(32a)를 포함한다.
곡면(32b)의 곡률반경은 송풍팬(26)의 곡률반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32b)는 송풍팬(26)의 하측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다. 송풍팬(2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곡면(32b)에서 반사되어 상부가이더(36)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직선면(32a)는 곡면(32b)에서 자연스럽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곡면(32b)의 단부가 형성하는 경사각으로 가 연장될 수 있다. 직선면(32a)는 단부가 전방 하측을 향하도록 경사각을 직선면(32a)형성할 수 있다.
상부가이더(36)는 하부가이더(32)와 토출유로(30a)를 형성하며, 하부가이더(32)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상부가이더(36)는 토출유로(30a)의 상류에서 직선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가이더(36)는 직선면(32a)과 함께 토출유로(30a)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가이더(36)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가상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경사각(φ2, ‘상부가이더 각’, 도 20참조)의 크기는 직선면(32a)가 가상의 수평선과 형성하는 경사각(φ3, ‘하부가이더 각’, 도 20 참조)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도 2,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28) 하측에 배치되어, 열교환기(28)에서 낙하되는 응축수를 배수하고, 상부가이더(36)를 형성하는 이너프레임(34)을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프레임(34)은, 상부가이더(36)의 양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이하에서 설명할 복수의 링크가 배치되고, 토출유로(30a)의 양측벽을 형성하는 이너측벽(38)을 포함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너측벽(38)은, 상부가이더(36)의 양단부에서 각각 하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이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이너측벽(38) 각각은, 제1베인(70) 및 제2베인(80)의 양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100, 120, 13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너측벽(3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링크(100)의 회전판(10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부(40)가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가이드부(40)는, 이너측벽(38)에서 회전판(102)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1)을 형성한다. 회전가이드부(40)의 중심에는, 회전판(102)의 회전축부(104)가 삽입되고, 회전축부(104)가 모터(60)와 연결되도록 연통된 중심홀(42)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측벽(38)에는, 제2링크(12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링크연결부(46)와, 제2베인(80)의 제1돌기(86)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연결부(48)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링크연결부(46)는,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가 삽입 및 고정되는 제1홈(46a)이 형성된다. 제2베인연결부(48)는, 제2베인(80)의 제1돌기(86)가 삽입되는 제2홈(48a)이 형성된다.
회전판(102)이 장착되는 이너측벽(38)의 타측면에는, 회전판(102)과 연결되는 모터(60)가 고정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너프레임(34)은, 이하에서 설명할 보조링크(14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커넥터(52)와, 이하에서 설명할 제2베인(80)의 제3돌기(92)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커넥터(54)를 포함하는 서포터(50)를 포함한다.
서포터(50)는, 상부가이더(36)의 양단부 배치되는 한 쌍의 이너측벽(3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50)는, 상부가이더(36)의 양단부 배치되는 한 쌍의 이너측벽(38)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너프레임(34)에는,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서포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커넥터(52)는, 보조링크(140)의 제1보조돌기(144)가 연결되는 제1커넥터홀(5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홀(52a)은, 이너측벽(38)에 형성되는 제2링크연결부(46)의 제1홈(46a)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54)는, 제2베인(80)의 제3돌기(92)가 연결되는 제2커넥터홀(54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홀(54a)은, 이너측벽(38)에 형성되는 제2베인연결부(48)의 제2홈(48a)과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터(50)는, 보조링크(140)와 제2베인(80, 도 10 참조)의 제3돌기(92, 도 10 참조) 각각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서포터(50)는, 이너프레임(34)와 제1커넥터(52)를 연결하도록 상부가이더(36)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1서포트바(56)와, 이너프레임(34)과 제2커넥터(54)를 연결하도록 상부가이더(36)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서포트바(58)를 포함한다.
제1커넥터(52)는, 제2링크연결부(46)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1커넥터(52)는, 제2링크연결부(46)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커넥터(54)는, 제2베인연결부(48)와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커넥터(54)는, 제2베인연결부(48)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송풍팬(26)은 흡입구(2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토출구(24)로 유동시킨다. 송풍팬(26)은 송풍팬(26)이 회전하는 회전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횡류팬을 사용할 수 있다.
송풍팬(26)의 중심(26a)은 흡입구(22)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송풍팬(26)의 중심(26a)은 토출구(24)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송풍팬(26)은 열교환기(28) 하측에 배치되어, 흡입구(2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어, 열교환기(28)와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24)로 유동시킨다.
공기조화기(1)는 송풍팬(26)의 일측에 배치되어 송풍팬(26)을 회전시키는 송풍팬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28)는 케이스(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유동하는 공기를 냉각하거나 가열할 수 있다. 열교환기(28)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응축하거나, 증발하는 방식으로 케이스(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열교환기(28)는 송풍팬(26)과 흡입구(22)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구(22)에서 유입된 외기를 열교환할 수 있다. 열교환기(28)는 송풍팬(26) 상측에서 외기가 유입되어, 송풍팬(26)으로 유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24) 또는 토출유로(30a) 상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가이드하는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베인(70) 및 제2베인(80)과, 이들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복수의 링크의 구성은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제1베인(70),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고, 일측이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베인(80),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일단부가 제1베인(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링크(100), 제1링크(100)를 회전시키는 모터(60), 일단부가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베인(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링크(120), 및 일단부가 제1링크(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베인(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링크(130)를 포함한다.
제1링크(100)와 제2링크(120)는, 제1베인(7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제3링크(130)는, 제2베인(80)의 양단에 각각 연결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제1링크(100)와 제2링크(120)에 의해 이동하는 제1베인(70)을 지지하는 보조링크(140)를 포함한다. 보조링크(140)는, 제1베인(70)의 양단부 사이에서 제1베인(70)과 연결된다.
보조링크(140)는, 제1베인(70)이 이동할 때, 제2링크(120)와 동일하게 이동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은 양단부에서 각각 2개의 링크(100, 120)로 케이스(10)와 연결된다. 제2베인(80)은 일측이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제3링크(130)로 케이스(10)와 연결된다. 케이스(10)의 토출구(24)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너측벽(38)에는 제1베인(70)과 연결되는 링크(130, 140)가 연결된다. 케이스(10)의 토출구(24)의 양측에 형성되는 이너측벽(38)에는 제2베인(80)의 일측이 연결된다.
모터(60)는, 이너측벽(38)을 기준으로, 복수의 링크(130, 140)가 배치되는 반대방향에 배치된다. 모터(60)는, 이너측벽(38)의 일측면에서 이너측벽(38)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너측벽(38)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링크(100)의 회전판(102)이 배치되는 회전가이드부(40)가 형성된다. 회전가이드부(40)는, 회전판(102)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가이드부(40)는, 회전판(10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가이드홈(41)이 형성된다. 회전가이드부(40)는, 가이드홈(41) 내부에 돌출배치되어, 회전판(102)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돌기(44)를 포함한다. 회전가이드부(40)에는, 회전판(102)의 회전축부(104)가 삽입되는 중심홀(42)이 형성된다.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은 케이스(10)의 전방하측으로 개방된 토출구(24)를 개폐한다.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은 토출유로(30a)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한다.
제1베인(70)은 제1링크(100) 및 제2링크(120)를 통해 케이스(10)와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은 케이스(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2개의 링크(130, 140)를 통해 케이스(10)와 연결된다. 제1베인은 제1링크(100)와 제2링크(120)를 통해 배치가 변경되므로, 지면에 수직하거나,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베인(70)의 연결구조는 공기조화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범위를 넓힌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은 토출구(24)를 개폐하는 제1베인판(72)과, 제1베인판(72)의 양 단부에 돌출되고, 제1링크(100) 및 제2링크(120)와 연결되는 제1연결판(74)을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은, 제1베인판(72)에서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돌출되고, 보조링크(140)와 연결되는 제1지지판(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지지판(76)에는, 보조링크(140)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제3연결홀(76a)이 형성된다. 제3연결홀(76a)은, 제1연결판(74)에 제2링크(12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제2연결홀(74b)과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3연결홀(76a)은, 제2연결홀(74b)과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제1베인판(72)은 토출구(24)를 개폐하거나,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베인판(72)은, 케이스(10)에 형성되는 토출구(24)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1베인판(72)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베인판(72)의 상부면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돌기(7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베인(70)은 제1베인판(72)의 길이방향(l+, l-) 양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제1연결판(74)에서, 제1링크(100) 및 제2링크(120)와 연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연결판(74)는 제1베인판(72)의 길이방향(l+, l-) 양단부에 한 쌍이 배치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연결판(74)는 제1베인판(72)의 길이방향(l+, l-) 양단부에서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연결판(74)은 제1링크(100) 및 제2링크(120)가 연결되는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대향하게 형성된다. 제1연결판(74)는 제1베인판(72)의 폭방향(w+, w-) 후방에서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연결판(74)에는, 제1링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홀(74a)과, 제2링크(12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홀(74b)이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연결홀(74a)은, 제2연결홀(74b)보다 높이방향(h+, h-) 상측에 배치된다. 제1연결홀(74a)은, 제2연결홀(74b)보다 폭방향(w+, w-) 후방에 배치된다.
제1연결홀(74a)의 중심(74ac)가 제1베인판(72)으로부터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이격된 거리(74ah)는, 제2연결홀(74b)의 중심(74bc)이 제1베인판(72)으로부터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이격된 거리(74bh)보다 높게 형성된다.
제1연결판(74)은 제1연결홀(74a)과 제2연결홀(74b)이 형성되는 외측판(75a)과, 외측판(75a)과 이격배치되는 내측판(75b)과, 외측판(75a)과 내측판(75b)의 둘레를 연결하는 둘레판(7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1링크(100)의 고정돌기(109), 제2링크(120)의 제2링크돌기(126)가 제1연결판(74)에 고정될 때, 고정돌기(109)와 제2링크돌기(126) 각각의 단부는, 외측판(75a)과 내측판(75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고정돌기(109)와 제2링크돌기(126) 각각이 제1연결판(74)과 연결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1연결홀(74a)과 제2연결홀(74b)은, 제1연결판(74)의 외측판(75a)에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판(75a)이란,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판(76)은, 한 쌍의 제1연결판(74) 사이에 배치된다. 제1지지판(76)은, 제1베인판(72)의 상부면에서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돌출된다. 제1지지판(76)은, 서포터(5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링크(14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측면에서 바라볼 때, 보조링크(140)는 제2링크(120)와 동일하게 움직일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지지판(76)은, 제1베인판(72)을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지지판(76)이 서로 이격된 거리(76L)는, 제1베인(70)이 길이방향(l+, l-)으로 형성된 길이(70L)의 1/4 내지 1/2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제1지지판(76)이 서로 이격된 거리(76L)는, 제1베인(70)이 길이방향(l+, l-)으로 형성된 길이(70L)의 1/3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지지판(76)에는, 보조링크(14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연결홀(76a)이 형성된다. 제3연결홀(76a)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제2연결홀(74b)과 동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의 폭방향(w+, w-) 전후로 형성되는 길이(70w, ‘제1베인의 폭길이’)는, 제1연결판(74)이 폭방향(w+, w-) 전후로 형성되는 길이(74w, 제1연결판의 폭길이’)에 2배 내지 3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베인(80)은 일측이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3링크(130)로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과 연결된다. 제2베인(80)은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일측을 기준으로, 제3링크(130)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제2베인(80)은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2베인판(82)과, 제2베인판(82)의 길이방향(l+, l-) 양단에서 이너측벽(38)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판(84)과, 제2연결판(84)에서 이너측벽(38)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베인판(82)을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돌기(86)와, 제1돌기(86)와 이격배치되고, 제2연결판(84)에서 이너측벽방향으로 돌출되며, 제3링크(13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돌기(88)를 포함한다.
제2베인판(82)은, 제1베인판(72)보다 송풍팬(26)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2베인판(8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폭의 길이(82w)는, 제1베인판(7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폭의 길이(72w)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베인판(82)은, 하측으로 볼록한 밴딩부(83)를 가진다. 제2베인판(82)은, 상부판(82a)과 하부판(82b)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밴딩부(83)를 포함한다. 상부판(82a)과 하부판(82b)은 대략 직선형태의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판(82a)과 하부판(82b) 사이각은, 공기의 유동방향을 크게 변경시키지 않는 둔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베인판(82)은, 하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베인판(82)이 형성하는 곡률반경은, 제1베인판(72)이 형성하는 곡률반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연결판(84)은, 제2베인판(82)의 양단에서 높이방향(h+, h-) 하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제2연결판(84)은,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2연결판(84)은, 제2베인판(82)의 폭방향(w+, w-) 후방과 높이방향(h+, h-) 하측으로 연장된다. 제2연결판(84)에는, 제1돌기(86)와 제2돌기(88)가 배치된다.
제2베인(80)은 제1돌기(86)를 기준으로 제2돌기(88)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여, 토출구(24)로 토출되는 공기를 제1베인(7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돌기(86)에는, 이너측벽(38)과 제2베인(80)과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판(87)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돌기(88)는, 제1돌기(86)의 보다 제2베인판(82)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돌기(86)는, 제2돌기(88)보다 폭방향(w+, w-) 후방에 배치된다. 제1돌기(86)의 중심(86a)이 제2베인판(8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86ah)는, 제2돌기(88)의 중심(88a)이 제2베인판(82)으로부터 이격된 거리(88ah)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돌기(88)가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1링크(100)의 회전판(102)의 중심(100a)이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제2돌기(88)가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가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돌기(88)가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이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 또는 제2링크(120)의 일단이 이너측벽(38)에 배치되는 위치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2베인판(82)은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되는 토출유로(30a) 상에 배치된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2베인판(82)은 토출유로(30a)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제1베인판(72)의 상부면 방향 또는 하부면 방향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제1베인(70)은 제1링크(100) 및 제2링크(120)로 케이스(10)에 연결된다. 제2베인(80)은 제3링크(130)로 제1링크(100)에 연결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베인(80)은, 한 쌍의 제2연결판(84) 사이에 배치되고, 제2커넥터(54) 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커넥터(90)를 포함한다. 보조커넥터(90)는, 제2베인(80)의 하부면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커넥터(90)의 단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제3돌기(92)를 포함한다. 여기서, 내측방향이란, 제2베인판(82)의 좌우방향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보조커넥터(90)에 배치되는 제3돌기(92)는, 제2연결판(84)에 배치되는 제1돌기(86)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돌기(92)와 제1돌기(86)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는 것은, 측면에서 바라볼 때, 중첩되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링크(100)는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링크(100)는,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102)과, 회전판(102)의 중심(100a)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회전판(10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링크(108)를 포함한다.
제1링크(100)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 ‘제1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3링크(130)와 연결되도록 회전판(102)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돌기(110)를 포함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링크(100)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판(102)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축부(104)와, 회전판(102)에서 회전축부(104)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회전판(102)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스토퍼(106a, 106b)를 포함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회전판(102)은, 제1베인(70)을 향하는 일면에서 고정링크(108)와 연결돌기(110)가 배치된다. 회전판(102)은, 원판형상을 가진다. 회전판(102)은,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전판(102)은, 이너측벽(38)을 향하는 타측면에서 회전축부(104)와 이너스토퍼(106a, 106b)가 배치된다.
고정링크(108)는, 회전판(102)에 고정 배치된다. 따라서, 회전판(102)이 회전축부(104)를 기준으로 회전할 때, 고정링크(108)는, 회전판(102)과 함께 회전한다. 고정링크(108)는,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링크(108)는, 회전판(102)과 연결되는 일단과 제1베인(70)과 연결되는 타단 사이에 밴딩부가 형성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링크(108)는, 대략 ‘ㄱ’자 형태로 밴딩된 형태를 가진다.
도 12를 참조하면, 고정링크(108)의 단부는, 제1베인(70)과 연결되도록,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09)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09)는, 후크형상을 가진다. 고정돌기(109)는, 제1베인(70)의 제1연결판(74)에 형성되는 제1연결홀(74a)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연결돌기(110)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연결돌기(110)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보다 외주단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돌기(110)는, 회전판(102)의 중심(100a)을 기준으로 고정돌기(109)와 100도 이상의 위상차(θL1)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연결돌기(110)는, 회전판(102)에 배치되는 고정링크(108)의 일단과 150도 이상의 위상차(θL2)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연결돌기(110)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3링크(13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연결돌기(110)에는, 제3링크(130)가 연결돌기(1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돌기(110)의 둘레면 일측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돌기(112)가 배치될 수 있다. 단부돌기(112)는, 연결돌기(110)의 단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제3링크(130)를 연결돌기(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링크(100)는, 회전판(102)의 중심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회전판(102)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축부(104)와, 회전판(102)에서 회전축부(104)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회전판(102)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스토퍼(106a, 106b)를 포함한다.
이너스토퍼(106a, 106b)는, 회전판(102)의 타면에서 돌출되고, 회전가이드부(40)에 배치되는 이너돌기(44)와 접촉하여, 제1링크(100)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너스토퍼(106a, 106b)는, 회전축부(104)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이너스토퍼(106b)와, 제1이너스토퍼(106a)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회전축부(104)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이너스토퍼(10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너스토퍼(106a)와 제2이너스토퍼(106b)는, 제1링크(100)의 회전범위를 고려하여,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된다.
회전축부(104)는, 이너측벽(38)을 관통하여 배치되고, 단부에서 모터(60)와 연결된다. 회전축부(104)는, 모터(60)에 의해 회전하며, 제1링크(1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은, 제1스토퍼(62)와 제2스토퍼(64)의 상하방향 사이에 배치된다.
제2링크(120)는 일단이 케이스(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제1베인(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링크(120)는 일단이 케이스(10)의 이너측벽(38)에 연결된다. 제2링크(120)는 타단이 제1베인(70)의 제1연결판(74)에 연결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링크(120)는, 일단이 토출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링크(120)는, 이너측벽(38)의 전방 상단부에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링크(120)는, 제2링크바(122)와, 제2링크바(122)의 일단에 배치되고, 이너측벽(38)을 향해 돌출되는 제1링크돌기(124)와, 제2링크바(122)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2연결판(84)을 향해 돌출되는 제2링크돌기(126)를 포함한다.
제1링크돌기(124)는, 후크형상을 가지고, 이너측벽(38)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제2링크돌기(126)는, 후크형상을 가지고, 제2연결판(8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링크돌기(124)와 제2링크돌기(126)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된다.
제3링크(130)는 일단에서 제1링크(100)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서 제2베인(80)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3링크(130)는 일단부에서 제1링크(100)의 연결돌기(110)와 연결되는 제1링크홀(136)을 형성하고, 타단부에서 제2베인(80)의 제2돌기(88)와 연결되는 제2링크홀(136)이 형성된다. 제3링크(130)는 제1링크(100)의 회전으로 제2베인(80)을 회전시킨다.
제1링크(100)는 제2링크(120)와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으로부터 제1베인(70)와 연결되는 고정돌기(109)의 중심(109a)까지의 거리(100L, ‘제1링크의 길이’)는, 제2링크(120)의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 중심(124a, ‘제1링크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2링크돌기(126) 중심(126a)까지의 거리(120a, ‘제2링크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제2링크의 길이(120L)는, 제1베인(70)의 제1연결홀(74a)의 중심(74ac)으로부터 제2연결홀(74b)의 중심(74bc)까지 이격된 거리(74D)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링크(120)의 회전중심(124a)은, 이너프레임(34)의 상부가이더(36)의 전방에 배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2링크(120)의 회전중심(124a)은, 이너프레임(34)의 상부가이더(36)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선상에 배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으로부터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의 중심(124a)까지 이격된 거리(L1)는, 제1베인(70)의 제1연결홀(74a)의 중심(74ac)으로부터 제2연결홀(74b)의 중심(74bc)까지 이격된 거리(74D)보다 길게 형성된다.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으로부터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의 중심(124a)까지 이격된 거리(L1)는, 제1링크(100)의 길이(100L)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1)는, 제1커넥터(52)와 제1베인(70)을 연결하는 한 쌍의 보조링크(140)와, 제1베인(70)으로부터 높이방향(h+, h-) 상측으로 이격배치되고, 한 쌍의 보조링크(140) 각각을 연결하는 커넥팅바(150)를 포함한다.
보조링크(140)는, 제2링크(120)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6과 도 18을 참조하면, 보조링크(140)는, 보조링크바(142)와, 보조링크바(142)의 일단부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52)의 제1커넥터홀(52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보조돌기(144)와, 보조링크바(142)의 타단에 배치되고, 제1베인(70)의 제1지지판(76)에 형성되는 제3연결홀(76a)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2보조돌기(146)를 포함한다.
도 18를 참조하면, 제1보조돌기(144)와 제2보조돌기(146)는, 보조링크바(142)의 동일한 면에 형성된다. 보조링크바(142)에는, 제1보조돌기(144)와 제2보조돌기(146) 사이에 형성되고, 커넥팅바(150)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부(148)가 형성된다. 제1체결부(148)는, 커넥팅바(150)와 접촉하는 부분에서 커넥팅바(150)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제1체결홈(148a)이 형성된다. 제1체결부(148)는, 제1체결홈(148a)의 외측 상단에서 하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14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체결돌기(149)는, 제1체결홈(148a)에 삽입된 커넥팅바(15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커넥팅바(150)는, 한 쌍의 보조링크(140) 각각에 형성되는 제1체결홈(148a)에 삽입된다. 커넥팅바(150)에는, 한 쌍의 보조링크(140) 각각의 제1체결부(148)와 체결되도록 패인 제2체결홈(152a)을 형성하는 제2체결부(152)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152)는, 제2체결부(152)는, 제2체결홈(152a)의 둘레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제2체결돌기(154)를 포함한다.
제1체결돌기(149)는 후크형상을 가지고, 제2체결돌기(154)와 접촉하여, 커넥팅바(150)가 보조링크(140)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링크의 작동에 따른 베인의 배치를 설명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이하 ‘기준위치(P0)’)에서는 제1베인(70)은, 케이스(10)의 토출구(24)를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기준위치(P0)는 모터가 작동하지 않은 상태로, 케이스(10)의 토출구(24)가 제1베인(70)에 의해 닫혀진 상태이다. 기준위치(P0)에서, 제1베인(70)은 토출구(24)를 가리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2베인(80)은 토출유로(30a) 상에 배치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준위치(P0)에서, 제1링크(100)와 제2링크(120)는 토출유로(30a) 상에 배치된다. 기준위치(P0)에서, 제3링크(130)는, 고정링크(108)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은,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원거리로 보내는 제1위치(P1)로 배치된다. 제1위치(P1)는,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제2베인(80)과 제1베인(70)을 거쳐 수평방향으로 원거리로 배출되도록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배치되는 위치이다. 공기조화기(1)는, 냉방모드에서, 제1위치(P1)로 배치될 때, 실내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낮출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베인(70)의 전방단부(70a)는, 케이스(10)의 전방벽(14)보다 전방으로 배치된다.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토출구(24)에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1베인판(72)의 상부면을 따라 길게 유동하여, 전방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로부터 연장되는 접선이 수평선과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φ5, ‘제1베인의 후방단부각’)은, 하부가이더 각(φ3)과의 차이가 30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가이더(3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코안다 효과로, 제1베인(70)의 하부면을 타고 전방으로 유동할 수 있다. 이는,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전방으로 유동시키고, 전방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을 증가시켜, 공기조화기(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원거리로 토출될 수 있게 한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베인(70)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θv1, ‘제1베인 각’)은, 상부가이더(36)가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φ2 , ‘상부가이더 각’)이나 하부가이더(32)가 수평선과 형성하는 각(φ3 , ‘하부가이더 각’)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선이란, 지면 또는 천정과 평행한 임의의 선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베인(70)의 폭방향 중앙부(70c)가 제1베인(70)의 전방단부(70a) 또는 후방단부(70b)보다 낮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토출구(24)에 배치되거나, 토출구(24)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토출구(24)의 상단보다 토출구의 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유로(3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제1베인(70)의 상부면을 타고 외부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0를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2베인(80)은, 제1베인(7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베인(80)은, 토출유로(30a)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1베인(70)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2베인(80)의 전방단부(80a)는,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보다 높은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위치(P1)에서, 제2베인(80)의 전방단부(80a)는, 제1베인(70)의 상부면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2베인(80)의 후방단부(80b)에서 형성되는 접선이 수평선과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φ1 , ‘제2베인의 후방각’)은, 상부가이더 각(φ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1위치(P1)에서, 제2베인의 후방각(φ1)은, 하부가이더 각(φ3)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최대로 회전한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고정링크(108)의 밴딩된 곡면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는, 기준위치(P0)에서 제1링크(100)가 최대로 회전한 상태일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2이너스토퍼(106a)와 이너돌기(44)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제1링크(10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위치(P2)는, 제1베인 각(θv1)과 제2베인 각(θv2)이 최대로 형성되므로, 토출구(2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하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위치(P2)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하는 난방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토출유로(30a) 내측에 배치된다.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하부가이더(32)보다 상부가이더(36)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유로(30a)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제1베인(70)의 후방면을 따라 토출구로 유동할 수 있다.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제2베인(80)의 후방단부(80b)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위치(P2)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가 토출구(24)로부터 토출유로(30a)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D1)는, 제2베인(80)의 후방단부(70b)가 토출구(24)로부터 토출유로(30a)가 형성된 방향으로 이격된 거리(D2)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2위치(P2)에서, 제2베인(80)은 하부가이더(32)보다 상측으로 이격배치된다. 제2베인(80)은, 밴딩된 형태를 가지므로, 제2위치(P2)에서, 하부가이더(32)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제2베인(80)과 하부가이더(32)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제3위치(P3)는, 제1위치(P1)와 제2위치(P2)의 사이의 위치일 수 있다. 즉, 제1링크(100)의 회전에 따라 제1위치(P1)의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은, 제3위치(P3)를 거쳐 제2위치(P2)로 이동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 각(θv1)이 하부가이더 각(φ3)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 각(θv1)과 하부가이더 각(φ3)의 차이는 5도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가 상부가이더(36)와 이격된 거리(D3)는,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가 하부가이더(32)와 이격된 거리(D4)와 작거나 같게 형성된다.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가 상부가이더(36)와 이격된 거리(D3)는,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가 하부가이더(32)와 이격된 거리(D4) 1배 내지 1.2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1를 참조하면,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토출유로(30a) 상에 배치된다. 제3위치(P3)에서, 제1베인(70)의 후방단부(70b)는, 제2베인(80)의 후방단부(80b)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제2베인(80)의 전방단부(80a)의 접선이 형성하는 각(φ4)은, 제1베인 각(θv1)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위치(P3)에서, 제2베인(80)의 전방단부(80a)의 접선이 형성하는 각(φ4)과, 제1베인 각(θv1)의 차이는 5도 이내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제3위치(P3)는, 제1베인(70)이 하부가이더(32)와 대략 평행하게 배치되고, 토출구(24)의 중앙에 배치되어, 토출구(24)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량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토출유로(30a)가 형성되는 전방하측으로 공기의 유동이 극대화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제3위치(P3)로 배치되어, 실내공간의 온도를 빠르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기준위치(P0)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과 제2링크(120)의 제1링크돌기(124)의 중심(124a)을 연결하는 선(L1)과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과 제1링크(100)의 고정돌기(109)의 중심(109a)를 연결하는 선(100L)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θ11, ‘제1링크 각’)은, 점차 작아진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기준위치(P0)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과 제1링크(100)의 고정돌기(109)의 중심를 연결하는 선과 제1링크(100)의 고정돌기(109)의 중심와 제2링크(120)의 제2링크돌기(126)의 중심를 연결하는 선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θ12 , ‘제1베인-제1링크 각’)은, 점차 커진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기준위치(P0)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제3링크(130)의 제1링크홀(134)의 중심과 제3링크(130)의 제2링크홀(136)의 중심를 연결하는 선과 제3링크(130)의 제2링크홀(136)의 중심과 제2베인(80)의 제1돌기(86)를 연결하는 선 사이에서 형성되는 각(θ21, ‘제3링크 각’)은, 점차 작아진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제1베인(70)과 제2베인(80)이 기준위치(P0)로부터 제2위치(P2)로 이동할 때, 제3링크(130)의 제1링크홀(134)의 중심과 제2베인(80)의 제1돌기(86) 사이의 간격(L2)은 점차 줄어든다.
도 19와 도 23을 참조하여, 제1베인(70)이 토출구(24)를 닫을 때, 제1베인(70)은, 제1스토퍼(62)와 먼저 접촉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판(72)의 폭방향 전방이 제1스토퍼(62)와 먼저 접촉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2스토퍼(64)는 제1베인(7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하고, 제2스토퍼(64)와 접촉하지 않을 때, 제1이너스토퍼(106b)는 이너돌기(44)와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도 19와 같이 제1이너스토퍼(106b)와 이너돌기(44)가 접촉할 때, 제1베인(70)과 제2스토퍼(64)가 접촉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1링크(100)와 제1베인(70)의 연결중심(74a, 109a)은,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토출구(24)를 폐쇄하도록 제1링크(100)가 회전할 때, 제1링크(100)는, 제1베인(70)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은 제1스토퍼(62)보다 제2스토퍼(6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1링크(100)와 제1베인(70)의 연결중심(74a, 109a)은, 제1링크(100)의 회전중심(100a)과 제2스토퍼(64)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한 상태에서, 제1베인(70)의 폭방향 후방측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2링크(120)와 제1베인(70)의 연결중심(74b, 124a)은, 제1스토퍼(62)보다 제2스토퍼(6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고정링크(108)는, 제1베인(70)이 제1스토퍼(62)와 접촉할 때, 제1베인판(72)을 향하도록 볼록하게 밴딩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케이스
14 : 전방벽 22 : 흡입구
24 : 토출구 26 : 송풍팬
28 : 열교환기 30 : 토출가이더
30a : 토출유로 32 : 하부가이더
34 : 이너프레임 36 : 상부가이더
38 : 이너측벽 40 : 회전가이드부
41 : 가이드홈 44 : 이너돌기
50 : 서포터 52 : 제1커넥터
54 : 제2커넥터 60 : 모터
70 : 제1베인 72 : 제1베인판
74 : 제1연결판 76 : 제1지지판
80 : 제2베인 82 : 제2베인판
84 : 제2연결판 86 : 제1돌기
88 : 제2돌기 90 : 보조커넥터
92 : 제3돌기 100 : 제1링크
102 : 회전판 104 : 회전축부
106a, 106b : 이너스토퍼 108 : 고정링크
109 : 고정돌기 110 : 연결돌기
120 : 제2링크 130 : 제3링크
140 : 보조링크 150 : 커넥팅바

Claims (16)

  1. 흡입구와, 상기 흡입구 하측에 토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시키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고,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가이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거나,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1베인;
    상기 제1베인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베인의 타측과 연결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를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제1베인의 상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1베인의 하단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토출구에 배치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와 상기 제2스토퍼의 상하방향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2스토퍼보다 상기 제1베인과 먼저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도록 상기 제1링크가 회전할 때,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제1베인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보다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링크의 회전중심과 상기 제2스토퍼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1베인의 연결중심은, 상기 제1스토퍼보다 상기 제2스토퍼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은, 상기 토출구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치되는 제1베인판과, 상기 제1베인판의 폭방향 후방과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높이방향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링크 및 상기 제2링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판의 폭길이는, 상기 제1연결판의 폭길이보다 2배 내지 3배 사이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중심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전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고정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크는, 볼록하게 밴딩된 공기조화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회전판의 중심에서 일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판에서 상기 회전축부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스토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링크의 상기 회전판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회전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가이드부는, 상기 가이드홈 내부에 돌출배치되어, 상기 회전판의 회전을 제한하는 이너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이너스토퍼는 상기 이너돌기와 접촉하지 않게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스토퍼는, 상기 회전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이너스토퍼와, 상기 제1이너스토퍼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고, 상기 회전축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이너스토퍼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스토퍼와 상기 이너돌기가 접촉할 때, 상기 제1베인과 상기 제2스토퍼가 접촉하는 공기조화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너스토퍼와 상기 이너돌기가 접촉할 때, 상기 제1베인의 후방단부는, 상기 고정링크의 밴딩된 곡면 사이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제1베인의 폭방향 후방에서, 상기 제1베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공기조화기.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송풍팬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토출구로 안내하도록 형성된 토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2베인; 및
    상기 제1링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베인의 배치를 변경시키는 제3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베인이 상기 제1스토퍼와 접촉할 때, 상기 제2베인은, 상기 토출유로 상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00151721A 2020-11-13 2020-11-13 공기조화기 KR10246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21A KR102460898B1 (ko) 2020-11-13 2020-11-13 공기조화기
EP21208001.4A EP4001780A1 (en) 2020-11-13 2021-11-12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1721A KR102460898B1 (ko) 2020-11-13 2020-11-1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38A KR20220065338A (ko) 2022-05-20
KR102460898B1 true KR102460898B1 (ko) 2022-10-28

Family

ID=7861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721A KR102460898B1 (ko) 2020-11-13 2020-11-1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4001780A1 (ko)
KR (1) KR1024608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5184B2 (ja) * 2011-12-06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6463A (ko) 2003-12-26 2005-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에어컨의 2베인 구조
JP2008122003A (ja) * 2006-11-14 2008-05-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JP5279622B2 (ja) * 2009-06-08 2013-09-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20934B2 (ja) * 2009-09-24 2011-07-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2392956B1 (ko) * 2017-09-06 2022-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7990425B (zh) * 2018-01-04 2023-07-21 奥克斯空调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导风装置以及空调器
KR102639774B1 (ko) 2018-12-18 202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천장형 실내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5184B2 (ja) * 2011-12-06 2017-01-2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5338A (ko) 2022-05-20
EP4001780A1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4024B2 (en) Air conditioner
KR10244516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AU2019202585B2 (en) Air conditioner
US11002451B2 (en) Air conditioner
US11573013B2 (en)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same
EP3614058B1 (en) Air conditioner
US10107507B2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102517611B1 (ko) 공기조화기
KR102460898B1 (ko) 공기조화기
KR20160131841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20220065340A (ko) 공기조화기
KR102392956B1 (ko) 공기조화기
KR102451313B1 (ko) 공기조화기
KR102454072B1 (ko) 공기조화기
KR102392957B1 (ko) 공기조화기
KR102451314B1 (ko) 공기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150101773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72514A (ko) 공기 조화기
KR20080040194A (ko) 흡입량을 증가시킨 패키지 에어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