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14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14A
KR20180072514A KR1020170055457A KR20170055457A KR20180072514A KR 20180072514 A KR20180072514 A KR 20180072514A KR 1020170055457 A KR1020170055457 A KR 1020170055457A KR 20170055457 A KR20170055457 A KR 20170055457A KR 20180072514 A KR20180072514 A KR 20180072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ir
discharge port
housing
cov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5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3529B1 (ko
Inventor
김병건
김현호
박현우
송우석
이장중
최제민
김종문
문홍열
박철병
서형준
윤승준
이준화
조형규
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7209133.2A priority Critical patent/EP3339755A1/en
Priority to EP22204518.9A priority patent/EP4160097A3/en
Priority to US15/850,366 priority patent/US11002451B2/en
Priority to CN201711392238.3A priority patent/CN108386905B/zh
Publication of KR20180072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07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receiving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24F2001/003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흡입구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를 통해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과,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로써, 공기 조화기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토출 기류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 송풍팬 등을 구비하고,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 습도, 기류 등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배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모터를 구비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킨다.
송풍팬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에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바, 송풍팬은 열교환기의 열교환 효율을 고려하여 소정 이상의 RPM으로 회전해야 하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소정 거리까지 직바람 형태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이 사용자에게 직접 닿으면 사용자는 불쾌감과 추위 또는 뜨거움을 느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다양한 방법으로 토출시키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에게 직바람이 닿지 않도록 하면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로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시에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상기 제1방향 보다 상기 천장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면은 상기 천장에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면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의 기울기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블레이드 바디에서 돌출되는 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는 내측 단부와, 상기 내측 단부 보다 상기 흡입구에서 이격되는 외측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단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 단부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외측 단부에서 상기 내측 단부를 향해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관통홀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패널 관통홀이 형성된 패널 토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패널 토출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패널 토출 유로와, 상기 패널 토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상기 제1방향 보다 상기 천장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의 기울기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부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후단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기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제1차 기류 제어부와,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 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차 기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와,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조화기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 패널 또는 상기 블레이드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간격 유지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는 제1저점부와, 상기 제1저점부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저점부로 갈수록 하강하는 제1하강면과, 상기 제1저점부 보다 하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저점부에서 멀어질수록 상승하는 제1상승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제2저점부와, 상기 제2저점부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저점부로 갈수록 하강하는 제2하강면과, 상기 제2저점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승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류 제어부는 상기 제1상승면과 상기 제2하강면이 만나는 고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점부와 상기 고점부의 높이 차를 H1 이라고 하고, 상기 제2저점부와 상기 고점부의 높이 차를 H2 라고 하면, 0.001 ≤│H1 H2│ / H1 ≤ 100 일 수 있다.
상기 제1저점부와 상기 제2저점부의 수평 최단 거리를 P 라고 하면, 0.001 ≤ P / H1 ≤ 500 일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부 측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을 향해 오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향해 경사진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을 달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 조화기는 거주 공간에서 차가운 공기 흐름에 의한 원하지 않는 냉각이 없도록 무풍(still air) 기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를 블레이드 측으로 유도하여 블레이드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저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커버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O'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6의 관통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롱 기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는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5는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커버 패널 및 블레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S'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21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기류 제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22는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관통홀의 경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3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 또는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커버 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설명한다.
공기 조화기(1)는 천장(C)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30)와 토출구(40)가 마련된 커버 패널(2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2)와, 흡입구(30)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4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3)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하우징(10)은 사각형 형상의 상부벽과, 상부벽의 각 테두리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측벽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열교환기(2)와, 송풍팬(3)이 수용되고,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토출구(40)로 안내하는 내부 유로(13)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 패널(20)은 하우징(10)의 개방된 하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패널(20)은 전후좌우의 테두리(21, 22, 23, 24)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테두리(21, 22)는 테두리(23, 2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0)는 테두리(22)에 가깝도록 커버 패널(20)에 마련되고, 토출구(40)는 테두리(21)에 가깝도록 커버 패널(20)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40)는 테두리(21, 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0)에는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7)이 결합될 수 있다.
송풍팬(3)은 크로스 플로우 팬일 수 있다. 통상의 축류팬이 그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하는 것에 반해 크로스 플로우 팬은 그 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다. 송풍팬(3)은 회전축(4)과, 회전축(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날개(5)와, 날개(5)를 지지하는 지지판(6)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은 그 회전축(4)이 토출구(4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의 측방에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2)가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2)는 하우징(10)의 내부 유로(13)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직교하도록 수평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2)의 아래에는 열교환기(2)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도록 드레인 팬(60, drain pan)이 마련될 수 있다. 드레인 팬(60)에 집수된 물은 펌프 및 호스를 통해 공기 조화기(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열교환기(2)와 흡입구(30)의 사이에는 열교환기(2)에서 낙하하는 응축수를 1차로 집수하여 드레인 팬(60)으로 안내하는 서브 드레인(66)이 마련될 수 있다. 서브 드레인(66)과 흡입구(30)의 사이에는 공기 조화기(1)를 구동시키기 위한 컨트롤 박스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송풍팬(3)이 회전하면 흡입구(30)를 통해 내부 유로(13)로 공기가 흡입되고, 내부 유로(13)로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를 거쳐 냉각되고, 냉각된 공기는 토출구(40)를 통해 내부 유로(13)에서 토출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1)는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을 조절하도록 토출구(40)에 마련되는 블레이드(7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70)는 토출구(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70)에는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할 시에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관통홀(74, 도 5)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74)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에 토출구(4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보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느리고 풍량이 적을 수 있다.
송풍팬(3)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2)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에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바, 송풍팬(3)은 열교환기(2)의 열교환 효율 등을 고려하여 소정 이상의 RPM으로 회전해야 하며, 따라서,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소정 거리까지 직바람 형태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한 상태에서 관통홀(7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풍속이 느리고 풍량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바람이 도달하지 않으며 실내를 서서히 냉각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관통홀(74)을 통해 토출시키는 모드는 사용자에게 직바람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무풍(無風)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관통홀(74)을 이용한 무풍 냉난방 이외에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천장(C) 방향으로 토출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직바람이 도달하지 않으며 토출된 공기가 천장에서 아래로 서서히 낙하하면서 실내를 냉각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1)는 공기를 천장(C)을 향해 토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모드를 롱 기류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다양한 토출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블레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O'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관통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커버 패널(20)은 가이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팬(60)은 가이드부(61)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0)와 가이드부(61)의 사이에 토출구(4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와 달리 가이드부(61)는 드레인 팬(60)과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부(50)는 가이드부(61)에 비해 흡입구(30)에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가이드부(50)를 외측 가이드부(50)라고 할 수 있고, 가이드부(61)를 내측 가이드부(61)라고 할 수 있다. 가이드부(50) 및 가이드부(61)는 토출구(40)의 상류측 단부(41)에서 토출구(40)의 하류측 단부(42)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공기를 제1방향(A, 도 11) 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51)과, 제1가이드면(5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제1방향 보다 천장(C)에 가까운 제2방향(B, 도 11)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공기 조화기(1)는 하부에 마련된 흡입구(30)에서 흡입된 공기를 하부에 마련된 토출구(40)를 통해 천장(C) 방향으로 토출시킬 수 있으며, 유로 저항에 따른 압력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51)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면(52)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51)은 송풍팬(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접선(T2)의 기울기(θ2)는 접선(T1)의 기울기(θ1) 보다 작을 수 있다.
제2가이드면(52)은 천장(C)에 나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실내의 천장(C)이 수평면(Horizontal plane)에 나란하게 마련될 때 제2가이드면(52)은 수평면(H)에 나란하게 마련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벽에 나란하게 마련된다고 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50)는 토출구(40)의 상류측 단부(41)에 대응되는 전단부(56)와, 토출구(40)의 하류측 단부(42)에 대응되는 후단부(58)를 포함한다. 가이드부(50)의 후단부(58)는 커버 패널(20)의 테두리(21)를 형성할 수 있다.
블레이드(70)는 토출구(40)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74)이 형성된 블레이드 바디(71)와, 블레이드 바디(71)에서 돌출되는 결합 리브(76)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레이드 바디(71)는 토출구(40)의 상류측 단부(41) 또는 토출구(40)의 중도가 아니라, 토출구(40)의 하류측 단부(42)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 바디(71)는 토출구(40) 하류측 단부(42)의 길이와, 폭에 대응되는 길이(L)와, 폭(W)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부(50)의 후단부(58)가 커버 패널(20)의 테두리(21)를 형성하고 블레이드 바디(71)가 토출구(40)의 하류측 단부(42)를 폐쇄하도록 마련되므로, 결과적으로 블레이드 바디(71)는 커버 패널(20)의 테두리(21)를 커버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1)를 아래에서 바라볼 때 커버 패널(20)의 테두리(21)는 블레이드(70)에 의해 가려져 히든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74)은 각각 1 내지 2 mm 의 직경을 갖고, 블레이드 바디(71)의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에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 바디(71)는 내측 단부(72)와, 내측 단부(72) 보다 흡입구(30)에서 이격되는 외측 단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 단부(72)는 블레이드(70)의 회전축부(77)에 상대적으로 가깝고, 외측 단부(73)는 블레이드(70)의 회전축부(77)에서 상대적으로 멀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구조에 따르면 내측 단부(72) 측 보다 외측 단부(73) 측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유동하므로, 내측 단부(72) 측에 형성된 관통홀들(74)을 통과하는 공기 보다 외측 단부(73)에 형성된 관통홀(74)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이 더 느릴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측 단부(72) 측 보다 외측 단부(73) 측에 온도 차에 따른 이슬 맺힘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블레이드 바디(71)의 외측 단부(73)의 두께(D2)는 내측 단부(72)의 두께(D1)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단부(73) 측에 형성된 관통홀(74)의 길이는 내측 단부(72) 측에 형성된 관통홀(74)의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 바디(71)는 외측 단부(73)에서 내측 단부(72)를 향해 갈수록 두께(D)가 증가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나아가, 블레이드 바디(71)는 외측 단부(73)에서 내측 단부(72)까지 갈수록 두께(D)가 증가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슬 맺힘 현상을 해결하도록 관통홀(74)은 송풍팬(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단부(7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관통홀(74)이 송풍팬(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단부(7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외측 단부(73)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슬 맺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천장(C)에 가깝게 토출하여 더 먼거리로 보낼 수 있다.
결합 리브(76)에는 블레이드(70)의 회전을 위한 회전축부(77)가 마련되고, 회전축부(77)는 커버 패널(20)에 형성된 블레이드 장착부(25, 도 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10)에는 블레이드 구동 모터(9, 도 2)가 마련되고, 회전축부(77)에는 구동 모터(9)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변형예로서, 가이드부(250)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251)과, 제1가이드면(25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제1방향 보다 천장(C)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2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면(251)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2가이드면(252)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251)은 송풍팬(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면(252)은 흡입구(3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가이드면(252)은 수평면(H)에 대해 각도 β만큼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로서 가이드부(350)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351)과, 제1가이드면(351)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제1방향 보다 천장(C)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3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면(351)과 제2가이드면(352)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면(352)의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β)는 제1가이드면(351)의 수평면에 대한 기울기(α) 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면(352)은 천장(C)에 나란하게 마련되거나 또는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의 변형예로서, 관통홀(74a, 74b)은 경사지게 형성된 관통홀(74a)과, 수직하게 형성된 관통홀(7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관통홀(74a, 74b) 중에 일부 관통홀(74a)만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70)의 외측 단부(73) 측에는 관통홀(74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블레이드(70)의 내측 단부(72) 측에는 관통홀(74b)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관통홀이 모두 경사지게 형성되어 오히려 블레이드(70) 내측 단부(72) 측의 공기의 풍속 저하가 발생하여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롱 기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의 공기 조화기의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무풍 모드에서 블레이드(70)는 토출구(40)를 폐쇄할 수 있다.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한 상태에서 송풍팬(3)이 가동되면, 흡입구(3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를 거쳐 열교환된 후에 블레이드(70)에 형성된 관통홀(74)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송풍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블레이드(70)의 관통홀(74)을 통과하면서 저항을 받아 풍속이 느려지고 풍량이 감소하여 사용자에게 직바람으로 닿지 않으면서 실내를 천천히 냉각 및 난방시킬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롱 기류 모드에서 블레이드(70)는 토출구(40)를 개방하고,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천장(C)에 가깝게 토출할 수 있다.
블레이드(70)의 개방 각도(X1)는 10도 이하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천장(C)에 가깝게 토출되고 토출구(40)에서 수평 방향으로 먼 거리까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직바람이 닿지 않으며 실내가 천천히 냉각 및 난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의 일반 모드에서 블레이드(70)는 토출구를 개방하고, 블레이드(70)의 개방 각도(X2)는 40도 에서 80도 사이에서 가변할 수 있다. 블레이드(70)의 개방 각도(X2)를 가변함으로써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3는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400)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커버 패널(420)은 공기를 하우징(10)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패널 관통홀(422)이 형성된 패널 토출부(42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토출부(421)는 토출구(4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400)는 송풍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패널 토출부(421)로 안내하는 패널 토출 유로(423)과, 패널 토출 유로(423)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424)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토출 유로(423)는 토출구(40)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424)는 패널 토출 유로(423)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하는 무풍 모드일 때 개폐 부재(424)는 패널 관통홀(422)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패널 토출 유로(423)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블레이드(70)에 형성된 관통홀(74)과, 커버 패널(420)에 형성된 패널 관통홀(422)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무풍 모드에서 토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개방하는 일반 모드일 때 개폐 부재(424)는 패널 토출 유로(423)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424)는 블레이드(70)의 동작에 기구적으로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폐 부재(424)와 블레이드(70)가 기구적으로 연동하여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하면 개폐 부재(424)는 패널 토출 유로(423)를 개방하고,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개방하면 개폐 부재(424)는 패널 토출 유로(423)를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조화기(400)는 블레이드(70)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블레이드(70)와 함께 회전하게 마련되는 제1피니언 기어(425)와, 개폐 부재(424)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개폐 부재(424)와 함께 회전하게 마련되는 제2피니언 기어(427)와, 제1피니언 기어(425)의 회전력을 제2피니언 기어(427)에 전달하는 랙 기어(42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연동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5는 무풍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은 일반 모드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500)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커버 패널(520)은 공기를 하우징(10)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패널 관통홀(522)이 형성된 패널 토출부(521)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토출부(521)는 토출구(40)에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500)는 송풍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를 패널 토출부(521)로 안내하는 패널 토출 유로와, 패널 토출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 부재(5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널 토출 유로는 토출구(40)에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524)는 패널 토출 유로(523)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부재(524)는 롤 스크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개폐 부재(524)는 공기가 통과할 수 없는 기류 통과 불가부(524a)와,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기류 통과부(524b)를 가질 수 있다.
개폐 부재(524)는 복수의 롤러(525, 526)에 감겨지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롤러(525, 526)의 회전에 따라 기류 통과 불가부(524a)가 패널 관통홀(522) 위에 위치되거나 기류 통과부(524b)가 패널 관통홀(522) 위에 위치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폐쇄하는 무풍 모드일 때 개폐 부재(524)의 기류 통과부(524b)가 패널 관통홀(522) 위에 위치되어 패널 관통홀(522)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팬(3)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블레이드(70)에 형성된 관통홀(74)과, 커버 패널(520)에 형성된 패널 관통홀(522)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무풍 모드에서 토출량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블레이드(70)가 토출구(40)를 개방하는 일반 모드일 때 개폐 부재(524)의 기류 통과 불가부(524a)가 패널 관통홀(522) 위에 위치되어 패널 관통홀(522)로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커버 패널 및 블레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는 천장(C)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30)와 토출구(40)가 마련된 커버 패널(62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2)와, 흡입구(30)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구(4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3)을 포함한다.
커버 패널(620)은 하우징(10)의 개방된 하면을 커버하도록 하우징(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버 패널(620)은 전후좌우의 테두리(21, 22, 23, 24)를 갖는 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테두리(21, 22)는 테두리(23, 24)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0)는 테두리(22)에 가깝도록 커버 패널(620)에 마련되고, 토출구(40)는 테두리(21)에 가깝도록 커버 패널(620)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40)는 테두리(21, 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30)에는 흡입되는 공기에서 먼지를 걸러내도록 그릴(7)이 결합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는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 풍속, 풍량을 조절하도록 토출구(40)에 마련되는 블레이드(670)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670)는 토출구(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670)는 토출구(40)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674, 도 20)이 형성된 블레이드 바디(671, 도 20)와, 블레이드 바디(671)에서 돌출되는 결합 리브(676, 도 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674)을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에 토출구(40)를 통해 공기가 토출되는 경우 보다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이 느리고 풍량이 적을 수 있다.
송풍팬(3)은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2)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에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키는 바, 송풍팬(3)은 열교환기(2)의 열교환 효율 등을 고려하여 소정 이상의 RPM으로 회전해야 하며, 따라서, 토출구(40)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소정 거리까지 직바람 형태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에, 블레이드(670)가 토출구(40)를 폐쇄한 상태에서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풍속이 느리고 풍량이 적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바람이 도달하지 않으며 실내를 서서히 냉각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기를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시키는 모드는 사용자에게 직바람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무풍(無風, wind-free, still air) 모드라고 할 수 있다
미국 냉공조학회(ASHRAE)에 따르면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 차가운 공기 흐름에 의한 원하지 않는 몸의 냉각)가 없는 0.15 m/s 이하의 바람을 무풍(still air)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무풍 모드에서 공기 조화기로부터 1 m 이상의 실내 거주 공간에서 상기 ASHRAE의 무풍 조건(0.15 m/s)을 만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600)는 무풍 기류를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하도록 블레이드(670)에 형성된 관통홀(674) 구조 이외에 커버 패널(620)의 기류 제어부(6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부(690)는 복수의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토출구(4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1차 기류 제어부(691)와, 제2차 기류 제어부(6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2)는 제1차 기류 제어부(691) 보다 토출구(40)의 하류에 위치할 수 있다.
기류 제어부(690)에 의해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 도 23)가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는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 간의 틈새(G2, 도 21)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29는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도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 간의 틈새(G2)가 유지되도록 하는 간격 유지 돌기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류 제어부(690) 등에 대해 상술한다.
도 19는 도 17의 'S'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기류 제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관통홀의 경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7의 공기 조화기의 토출구 주변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공기 조화기(600)가 무풍 모드일 때, 즉, 블레이드(670)가 닫혔을 때, 토출구(40)에 가까운 커버 패널(620)의 테두리(21, 도 17)와, 블레이드(670)의 외측 단부(673, 도 20)의 사이에 틈새(G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틈새(G2)를 통해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 도 23)이 토출될 수 있다.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에 의해 복수의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DA, 도 23)의 속도가 저감되며, 나아가, 블레이드(670)에 온도 차에 따른 이슬 맺힘이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를 형성하도록 커버 패널(620)은 기류 제어부(690)을 포함한다. 기류 제어부(690)는 복수의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토출구(40)에 인접하게 마련되며, 제1차 기류 제어부(691)와, 제2차 기류 제어부(69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6)는 제1차 기류 제어부(691) 보다 토출구(40)의 하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차 기류 제어부(691)는 토출구(40) 내부에서 제2차 기류 제어부(696)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제2차 기류 제어부(696)에서 공기의 방향을 전환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제1차 기류 제어부(691)는 제1하강면(692)과, 제1저점부(693)와, 제1상승면(6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강면(692)과, 제1저점부(693)와, 제1상승면(694)는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가 천장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제1하강면(692)과 제1저점부(693)와 제1상승면(694) 중에 제1저점부(693)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1하강면(692)은 제1저점부(693)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제1저점부(693)로 갈수록 하강할 수 있다. 제1상승면(694)은 제1저점부(693) 보다 하류에 형성되고 제1저점부(693)에서 멀어질수록 상승할 수 있다.
제1하강면(692)과 제1상승면(694)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저점부(693)는 제1하강면(692)과 제1상승면(694)을 연결하도록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차 기류 제어부(691)는 토출구(40) 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토출구(40) 내부에서 제1차 기류 제어부(691)를 지나서 제2차 기류 제어부(696)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는 돌출된 제1차 기류 제어부(691)에 의해 유속이 감소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6)는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의 틈새(G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가 무풍 모드일 때, 즉, 블레이드(670)가 닫혔을 때, 토출구(40)에 가까운 커버 패널(620)의 테두리(21, 도 17)와, 블레이드(670)의 외측 단부(673, 도 20)의 사이에 틈새(G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6)는 이 틈새(G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틈새(G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블레이드(670)의 단부(673)에서 중심부 측으로 블레이드 바디(671)의 외측면(675b)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6)에 의해 유도되는 기류를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 도 23)라고 할 때,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는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DA)를 방해하여 토출 기류(DA)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는 고온 다습한 외부 공기로부터 블레이드(670)를 차단시키므로 블레이드(670)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2차 기류 제어부(696)는 제2하강면(697)과, 제2저점부(698)와, 제2상승면(69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하강면(697)과, 제2저점부(698)와, 제2상승면(699)는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가 천장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제2하강면(697)과 제2저점부(698)와 제2상승면(699) 중에 제2저점부(698)가 가장 낮은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2하강면(697)은 제2저점부(698)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제2저점부(698)로 갈수록 하강할 수 있다. 제2상승면(699)은 제2저점부(698) 보다 하류에 형성되고 제2저점부(698)에서 멀어질수록 상승할 수 있다.
제2하강면(697)과 제2상승면(699)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제2하강면(697)은 공기의 방향을 블레이드(670) 측으로 전환시키도록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저점부(698)는 제2하강면(697)과 제2상승면(699)을 연결하도록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차 기류 제어부(696)는 토출구(40) 측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틈새(G2)를 통과한 공기는 제2차 기류 제어부(696)에 의해 블레이드(670) 측으로 밀착하게 되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블레이드 바디(671)의 외측면(675b)을 타고 블레이드(670)의 중심부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기류 제어부(690)는 제1차 기류 제어부(691)의 제1상승면(694)과 제2차 기류 제어부(696)의 제1하강면(696)이 만나는 고점부(695)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점부(695)는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가 천장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고점부(695)는 제1저점부(693)과 제2저점부(698)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 조화기로부터 1 m 이상의 실내 거주 공간에서 상기 ASHRAE의 무풍 조건(0.15 m/s)을 만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0.001 ≤│H1 H2│ / H1 ≤ 100 일 수 있다. 이때, H1은 제1저점부(693)와 고점부(695)의 높이 차이며, H2는 제2저점부(698)와 고점부(695)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
또한, 0.001 ≤ P / H1 ≤ 500 가 성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P는 제1저점부(693)와 제2저점부(698)의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기류 제어부(690)에 의해 형성되는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는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 간의 틈새(G2)를 통해 토출되므로,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 간의 틈새(G2)가 발생 및 유지 되어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를 위해 커버 패널(620)에는 돌출된 간격 유지 돌기(629)가 형성되고, 블레이드(670)가 닫힐 때에 간격 유지 돌기(629)가 블레이드(670)에 접촉되어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 간의 틈새(G2)를 발생 및 유지시킬 수 있다.
간격 유지 돌기(629)는 토출구(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간격 유지 돌기는 커버 패널(620)이 아니라 블레이드(670)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버 패널(620)의 기류 제어부(690)에 의해 블레이드(670)의 외측 단부(673) 측에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2)가 형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670)는 블레이드(670)의 내측 단부(672) 측에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1)을 형성하기 위한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678)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670)의 외측 단부(673)는 블레이드(670)의 회전축부(677)에서 상대적으로 먼 단부이며, 블레이드(670)의 내측 단부(672)는 블레이드(670)의 회전축부(677)에 상대적으로 가까운 단부이다. 또한,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외측 단부(673)는 내측 단부(672) 보다 흡입구(30)에서 더 이격된다.
토출구(40) 내부에서 블레이드(670)의 외측 단부(673) 측으로 향하는 기류는 더 경사지고, 블레이드(670)의 내측 단부(672) 측으로 향하는 기류는 덜 경사진다.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678, 도 23)는 커버 패널(620)과 블레이드(670)의 내측 단부(672) 간의 틈새(G1, 도 2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틈새(G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블레이드(670)의 단부(672)에서 중심부 측으로 블레이드 바디(671)의 외측면(675b)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678)에 의해 유도되는 기류를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1, 도 23)라고 할 때,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1)는 관통홀(674)을 통해 토출되는 토출 기류(DA)를 방해하여 토출 기류(DA)의 유속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670)를 감싸는 기류(E1)는 고온 다습한 외부 공기로부터 블레이드(670)를 차단시키므로 블레이드(670)에 이슬 맺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678)는 블레이드(670)의 내측 단부(672)에 형성되고, 블레이드(670)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부(677)를 향해 오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틈새(G1)를 통과한 공기는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678)에 의해 블레이드(670) 측으로 밀착하게 되고,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블레이드 바디(671)의 외측면(675b)을 타고 블레이드(670)의 중심부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출구 구조에 따르면 내측 단부(672) 측 보다 외측 단부(673) 측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유동하므로, 내측 단부(672) 측에 가깝게 형성된 관통홀들(674)을 통과하는 공기 보다 외측 단부(673) 측에 가깝게 형성된 관통홀(674)을 통과하는 공기의 풍속이 더 느릴 수 있다. 또한, 내측 단부(672) 측 보다 외측 단부(673) 측에 온도 차에 따른 이슬 맺힘이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내측 단부(672) 측의 토출 기류의 풍속을 저감시켜 무풍 기류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외측 단부(673) 측 블레이드(670)에 이슬 맺힘을 억제하도록 관통홀(674)은 송풍팬(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단부(673)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내측 단부(672)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이 감소하여 무풍 기류가 효과적으로 형성되고, 외측 단부(673)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풍속 및 풍량이 증가하여 이슬 맺힘이 최소화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600)가 천장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670)가 닫힌 상태에서, 관통홀(673)의 경사축(T, 도 22)은 수직선(V, 도 22)에 대해 θ3의 각도를 가질 수 있으며, θ3는 5도 내지 45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θ3 는 25도일 수 있다.
미설명 부호 675a는 블레이드 바디(671)의 내측면이다.
특정 실시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400, 500 : 공기 조화기 2 : 열교환기
3 : 송풍팬 10 : 하우징
20 : 커버 패널 30 : 흡입구
40 : 토출구 50, 250, 350 : 외측 가이드부
51 : 제1가이드면 52 : 제2가이드면
60 : 드레인 팬 61 : 내측 가이드부
66 : 서브 드레인 70 : 블레이드
71 : 블레이드 바디 72 : 내측 단부
73 : 외측 단부 74, 74a, 74b : 관통홀
76 : 리브 77 : 회전축부
600 : 공기 조화기 620 : 커버 패널
629 : 간격 유지 돌기 670 : 블레이드
671 : 블레이드 바디 672 : 내측 단부
673 : 외측 단부 678 :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
690 : 기류 제어부 691 : 제1차 기류 제어부
696 : 제2차 기류 제어부

Claims (35)

  1.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로서,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할 시에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상기 제1방향 보다 상기 천장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접선의 기울기가 작아지도록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면은 상기 천장에 나란하게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면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하도록 경사지게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의 기울기 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블레이드 바디와, 상기 블레이드 바디에서 돌출되는 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바디는 내측 단부와, 상기 내측 단부 보다 상기 흡입구에서 이격되는 외측 단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단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 단부의 두께 보다 작은 공기 조화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바디는 상기 외측 단부에서 상기 내측 단부를 향해 갈수록 두께가 증가하는 구간을 갖는 공기 조화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외측 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공기 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복수의 패널 관통홀이 형성된 패널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토출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패널 토출 유로와, 상기 패널 토출 유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블레이드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공기 조화기.
  16.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공기를 제1방향으로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1가이드면에 의해 안내된 공기를 상기 제1방향 보다 상기 천장에 가까운 제2방향으로 전환하도록 마련되는 제2가이드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면과 상기 제2가이드면은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의 기울기는 상기 제1가이드면의 기울기 보다 작게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19.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공기 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토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토출구의 상류측 단부에서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까지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토출구의 하류측 단부에 대응되는 가이드부 후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 후단부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
  21.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에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복수의 관통홀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기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부는 제1차 기류 제어부와,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 보다 하류에 위치하는 제2차 기류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저감시키는 공기 조화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안내하는 공기 조화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부 측으로 안내하는 공기 조화기.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와,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상기 토출구를 향해 돌출되는 공기 조화기.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유지하도록 상기 커버 패널 또는 상기 블레이드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간격 유지 돌기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 기류 제어부는 제1저점부와, 상기 제1저점부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저점부로 갈수록 하강하는 제1하강면과, 상기 제1저점부 보다 하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1저점부에서 멀어질수록 상승하는 제1상승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 기류 제어부는 제2저점부와, 상기 제2저점부 보다 상류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저점부로 갈수록 하강하는 제2하강면과, 상기 제2저점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2상승면을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 제어부는 상기 제1상승면과 상기 제2하강면이 만나는 고점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점부와 상기 고점부의 높이 차를 H1 이라고 하고,
    상기 제2저점부와 상기 고점부의 높이 차를 H2 라고 하면,
    0.001 ≤│H1 H2│ / H1 ≤ 100 인 공기 조화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점부와 상기 제2저점부의 수평 거리를 P 라고 하면,
    0.001 ≤ P / H1 ≤ 500 인 공기 조화기.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과 상기 블레이드의 틈새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블레이드를 감싸는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중심부 측으로 안내하는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풍향 제어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내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 중심을 향해 오목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는 공기 조화기.
  35. 천장에 매달리거나 매립되도록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흡입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는 커버 패널;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마련되는 송풍팬; 및
    상기 토출구를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블레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커버 패널의 테두리를 커버하고 상기 복수의 관통홀은 상기 송풍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블레이드의 외측 단부를 향해 경사진 공기 조화기.
KR1020170055457A 2016-12-21 2017-04-28 공기 조화기 KR102363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209133.2A EP3339755A1 (en) 2016-12-21 2017-12-20 Air conditioner
EP22204518.9A EP4160097A3 (en) 2016-12-21 2017-12-20 Air conditioner
US15/850,366 US11002451B2 (en) 2016-12-21 2017-12-21 Air conditioner
CN201711392238.3A CN108386905B (zh) 2016-12-21 2017-12-21 空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988 2016-12-21
KR20160175988 201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14A true KR20180072514A (ko) 2018-06-29
KR102363529B1 KR102363529B1 (ko) 2022-02-17

Family

ID=6278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5457A KR102363529B1 (ko) 2016-12-21 2017-04-28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3529B1 (ko)
CN (1) CN108386905B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928A (ja) * 2012-12-28 2014-07-10 Daikin Ind Ltd 天井設置型室内機
WO2015111281A1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04901976U (zh) * 2015-08-07 2015-1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9229A (en) * 1981-02-19 1982-08-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door heat radiating machine
KR100215045B1 (ko) * 1996-03-21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JP2004245558A (ja) * 2003-02-17 2004-09-0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NZ539185A (en) * 2005-03-31 2007-08-31 Holyoake Ind Ltd Air flow control device, typically a diffuser, with primary and secondary valves to control flow through respective primary and secondary outlets, with primary valve as overlaid movable filters
CN201497136U (zh) * 2009-06-18 2010-06-02 万俊 新型通风板
JP5267482B2 (ja) * 2010-02-19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1927440B1 (ko) * 2012-03-16 2018-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CN104896707B (zh) * 2014-03-05 2018-09-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风管机出风口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CN104180493B (zh) * 2014-07-03 2016-09-14 南京师范大学 一种外界新风引入装置
US9951791B2 (en) *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05258307B (zh) * 2015-10-21 2017-11-14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出风控制方法
CN105202731A (zh) * 2015-10-22 2015-12-30 南车资阳机车有限公司 机车驾驶室空气分配结构
CN105444387B (zh) * 2015-12-29 2018-06-19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出风调节板及空调室内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29928A (ja) * 2012-12-28 2014-07-10 Daikin Ind Ltd 天井設置型室内機
WO2015111281A1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204901976U (zh) * 2015-08-07 2015-12-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386905B (zh) 2020-10-27
CN108386905A (zh) 2018-08-10
KR102363529B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2451B2 (en) Air conditioner
KR20240038662A (ko) 공기조화기
KR100782197B1 (ko) 공기 조화기
JP5247784B2 (ja) 空気調和機
JP4947227B1 (ja) 空気調和機
JPWO2018079776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装置
JP5591061B2 (ja) 空気調和装置
KR102531649B1 (ko) 공기조화기
JP2014199177A (ja) 空気調和装置
KR20180055156A (ko) 공기 조화기
WO2017134762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11029058B2 (en) Air conditioner
JP2012097958A (ja) 空気調和機
WO2017149895A1 (ja) 空調システム
WO2015145740A1 (ja) 空気調和機
JP201711614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7116146A5 (ko)
JP2008095972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23130769A1 (zh) 壁挂式空调室内机
KR20180072514A (ko) 공기 조화기
KR102598644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017116145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6329584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空気調和機
JP690432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US20230204227A1 (en)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