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3905B1 -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3905B1
KR102313905B1 KR1020170064530A KR20170064530A KR102313905B1 KR 102313905 B1 KR102313905 B1 KR 102313905B1 KR 1020170064530 A KR1020170064530 A KR 1020170064530A KR 20170064530 A KR20170064530 A KR 20170064530A KR 102313905 B1 KR102313905 B1 KR 102313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air conditioner
ceiling type
ai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074A (ko
Inventor
오동익
서범수
윤준식
황본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905B1/ko
Priority to US16/616,576 priority patent/US11573013B2/en
Priority to PCT/KR2018/005990 priority patent/WO2018217068A1/ko
Priority to CN201880034631.1A priority patent/CN110662923B/zh
Priority to EP18805934.9A priority patent/EP3633274B1/en
Publication of KR2018012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31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suspended from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haracterised by air supply means, e.g. fan casings, internal dampers o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며, 상기 개구부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를 연결하며, 호(arc)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Description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air guide for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 type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기기이다.
공기조화기는 냉매가 순환되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갖는 냉동사이클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스텐드형 공기조화기와,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와, 천장형 공기조화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냉기 또는 온기를 토출할 수 있다.
최근,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경우, 원형으로 생산되고 있다.
일 예로, 한국 등록특허 공보 10-0897425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유입된 내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하나의 개방부를 갖는 프론트 패널과, 상기 프론트 패널의 개방부 내에 구비되고 링 모양으로 이루어져 안쪽에 상기 흡입구가 위치되게 하고 바깥쪽 둘레에 상기 토출구가 위치되도록 하는 분리 가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천정형 공기조화기가 개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공기조화기에 따르면, 열교환된 공기가 하나로 형성된 링 모양의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 측의 모든 방향(360°)으로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원형의 공기조화기는, 토출구 모서리 부분의 기류제어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난방 운전시, 토출구 모서리 부분에서, 약하게 퍼지는 유동이 재흡입되는 회풍(short-circuit)의 영향으로 에어컨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1. KR 10-2007-0060502 A (2007년 06월 13일 공개) 2. KR 10-0897425 B1 (2009년 05월 14일 공개)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취출된 기류가 다시 흡입되는 회풍 현상이 방지되고, 회풍에 의한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에어가이드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풍량을 최대치로 유지할 수 있는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간편한 방식으로 토출구에 끼울 수 있고, 필요시에만 장착 후 따로 분리시킬 수도 있는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제작 및 장착이 용이한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난방운전 시, 회풍의 온도에 의해 센서가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여, 운전정지(thermo-off)에 돌입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드 냉방을 위한 수평기류를 강화시키거나, 집중 난방을 위한 수직기류를 강화시킬 수 있고, 스윙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는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베인 등의 에어가이드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적용되며, 상기 개구부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내부공간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를 연결하며, 호(arc)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은, 상기 각각의 입구와 연통하여,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영역과, 상기 각각 입구 및 상기 유동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차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동영역과 대응되는 제1개구영역과, 상기 차단영역과 대응되는 제2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영역을 경유하도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곡선부는 상기 격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토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서 장착되고, 상술한 구성을 갖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취출된 기류가 다시 흡입되는 회풍 현상이 방지되고, 회풍에 의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풍량을 최대치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간편한 방식으로 토출구에 끼울 수 있고, 필요시에만 장착 후 따로 분리시킬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작 및 장착이 용이한 효과도 있다.
또한, 난방운전 시, 회풍의 온도에 의해 센서가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것으로 감지하여, 운전정지(thermo-off)에 돌입하는 횟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쾌적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와이드 냉방을 위한 수평기류를 강화시키거나, 집중 난방을 위한 수직기류를 강화시킬 수 있고, 스윙기류를 형성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베인 등의 에어가이드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토출패널 및 흡입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토출 패널에 마련된 토출유로의 개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에어가이드 장착여부에 따른 토출기류의 유동해석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3은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에어가이드가 장착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4)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가 형성된 실내기(1)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21,22,23,24)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21,22,23,24)와 연통되는 내부공간(26) 및 상기 내부공간(26)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25)가 형성된 토출 패널(2)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가이드(100)는, 상기 개구부(25)의 반경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되고,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110)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110)를 연결하며, 호(arc)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선부(12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에어가이드(100)는 상기 개구부(25)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실내기(1)에는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1)는 송풍기(4)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5)와 열교환시킨 후, 토출패널(2)로 송풍하여,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는, 실내기(1)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영역(15)과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7,8,9,10)을 구획하는 실내기 유로바디(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는 열교환기(5)의 하부에 배치된 드레인 유닛(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상기 토출패널(2)의 중심부에 형성된 원형의 흡입패널(3)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는 이너 흡입공(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실내기(1)에는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를 토출 안내하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가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그 하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실내기(1)의 내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토출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실내기(1)의 외둘레는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의 저면에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1)는 그 저면을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되는 복수의 수직기류를 토출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될 수 있다. 실내기(1)는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지지될 수 있다. 실내기(1)에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체결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내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샤시(11)를 포함할 수 있다. 샤시(11)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실내기 바디일 수 있다.
샤시(11)는 앵커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천장에 장착될 수 있다.
샤시(11)은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저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내부에 송풍기(4) 및 열교환기(5)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샤시(11)는 전, 후, 좌, 우측면을 형성하는 4개의 측면과 상면이 막힌 형상일 수 있고, 샤시(11)의 저면은 개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샤시(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송풍기(4)는 샤시(11)의 상판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적어도 일부가 열교환기(5)의 내부에 위치되게 샤시(11)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토출패널(2)보다 상측에 위치되게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4)는 그 하측의 공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로 구성될 수 있다. 송풍기(4)는 모터(41)와, 모터(41)에 연결된 원심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4)는 원심팬(42)으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43)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41)는 원심팬(42)에 연결되는 회전축이 하부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원심팬(42)은 터보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샤시(11)의 내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오리피스(43)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흡입공(6)은 오리피스(43)에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는 오리피스(43)의 이너 흡입공(6)을 통과해 원심팬(42)으로 흡입될 수 있고, 원심팬(42)에 의해 원심팬(42)의 원심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원심팬(42)에서 원심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는 원심팬(42)의 외둘레를 둘러싸게 배치된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적어도 1회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어 샤시(1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부에 사각형 형상 또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내면에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는 공기가 후술하는 송풍통로(7,8,9,10)와 연통하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내부에 송풍기(4)가 수용되는 공간(S1)이 형성되게 절곡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샤시(11)의 서로 상이한 면을 마주보는 4개의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5)는 송풍기(4)의 외측에서 송풍기(4)의 외둘레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드레인 유닛(14)은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열교환기(5)의 하부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드레인 유닛(14)과 결합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에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는 중공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15)는 실내기(1) 하부의 공기를 실내기(1) 내부로 흡입할 수 있는 실내기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또한,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샤시(11)의 내측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 유로바디(13)는 실내기(1)의 저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실내기의 저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기(1)에 형성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그 단면 형상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은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1) 내부의 공기가 토출패널(2)로 송풍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이너 흡입공(6)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좌측 송풍통로(7)와, 우측 송풍통로(8)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후방측 송풍통로(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사각형 가상선(17A, 도 5참조)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사각형 가상선(17A)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유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유로 (7,8,9,10)는 실내기 유로바디(13)와 샤시(11)의 내면 사이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송풍통로(7,8,9,10)는 그 위치가 상이하고 개방방향이 나란한 네 개의 개구 영역일 수 있고, 실내기(1)는 이러한 복수의 송풍통로(7,8,9,10) 통해 열교환기(5)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패널(2) 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실내기(1)는 그 토출 방향이 서로 나란한 4개의 수직기류를 형성하는 4 way 토출형 실내기일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토출패널(2)은 외측둘레(2A)가 원형일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저면(2B)이 평면일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흡입패널(3)과 함께 실내기(1)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고,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실내로의 토출을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서 서로 나란한 네 방향으로 송풍된 공기를 받아 토출패널(2)의 하부 주변으로 토출 안내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실내기(1)에서 수직방향 특히, 하측방향으로 송풍된 공기의 기류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H1)으로 전환하여 토출하거나 수평방향(H1)과 예각의 경사각(θ)을 갖는 하측 경사방향(H2)으로 전환하여 토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토출패널 및 흡입패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토출패널(2)은 복수의 부재(50)(60)(70)(90)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실내기(1)의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21, 22, 23, 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원 형상 또는 호 형상이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내부 공간(26)이 마련될 수 있고,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 및 개구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토출 패널에 마련된 토출유로의 개념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패널(2)에는 복수개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 안내하는 토출유로(18)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를 실내기(1)의 중공부(15, 도 5 참조)로 안내하는 흡입유로(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흡입패널(3)을 통과한 공기가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중공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공부는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16)가 될 수 있다. 이하, 토출패널(2)의 흡입유로와 토출패널(2)의 중공부에 대해 동일 도면 부호인 '1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흡입유로(16)는, 토출유로(18) 보다 내측에 위치될 수 있고, 토출유로(18)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유로(16)는 메인 유로바디(50) 및 이너 유로바디(60)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에 형성된 어퍼 중공부(20)와 이너 유로바디(60)에 형성된 로어 중공부(68)는 상하방향으로 연통되어 흡입유로(16)를 형성한다.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흡입유로(16)에 센서나 모터나 피시비 등의 전기부품(17)을 수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전기부품(17)은 단면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고, 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인 흡입유로(16)에 공기의 유동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토출패널(2)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와 대응되는 복수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호 형상 또는 원 형상인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개구부(25)를 연결하는 내부 공간(26)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의 토출유로(18)는 복수의 입구(21,22,23,24)와, 내부공간(26)의 유동 영역(26A)과,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에서 토출된 공기는 복수의 입구(21,22,23,24)를 통해 유동영역(26A)로 유입될 수 있고, 유동영역(26A)를 통과한 공기는 제1개구영역(25A)를 통해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에 형성된 송풍통로(7,8,9,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2)에 형성된 입구(21,22,23,24)는 좌측 송풍통로(7)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좌측 입구(21)와, 우측 송풍통로(8)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우측 입구(22)와, 전방측 송풍통로(9)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전방측 입구(23)와, 후방측 송풍통로(10)와 상하방향으로 연통되는 후방측 입구(2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구(21,22,23,24) 각각의 단면 크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 각각의 단면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입구(21,22,23,24)의 다각형 형상은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갖게 라운드지게 형성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입구(21,22,23,24)의 단면 형상은 송풍통로(7,8,9,10)의 단면 형상과 같이, 사각형 특히, 직사각형 일 수 있다.
다수의 입구(21,22,23,24)는 실내기(1)의 송풍통로(7,8,9,10)와 같이, 사각형 가상선(19, 도 7참조)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다수의 입구(21,22,23,24)는 사각형 가상선(19)의 각 변에 1개씩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토출패널(2)의 사각형 가상선(19)과 도 5에 도시된 실내기(1)의 사각형 가상선(17A)은 그 크기가 같고, 상하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기(5)를 통과한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일 수 있다. 개구부(25)의 적어도 일부에서는 실내기(1)의 열교환기(5)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입구(21,22,23,24) 보다 개수가 적을 수 있다. 개구부(25)는 복수개 입구(21,22,23,24) 각각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개구부(25)는 호(arc)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호 형상일 경우, 복수의 개구부(25)는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원형 가상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토출패널(2)에는 하나의 개구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5)가 원형일 경우, 원형은 타원 형상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5)는 내부 공간(26)을 통과한 공기가 토출패널(2)의 외부로 토출되는 출구일 수 있다.
토출패널(2)은 실내기(1)의 하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될 수 있고, 개구부(25)는 토출패널(2)의 저면과 함께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개구부(25)는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은 개구부(25) 중 입구(21,22,23,24)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개구영역(25A)은 개구부(25) 중 입구(21,22,23,24)의 아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개구영역(25B)은 개구부(25)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개구영역(25B)은 개구부(25)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의 사이 아래에 위치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제1개구영역(25A)은 내부 공간(26)의 방향을 따라 입구(21,22,23,24)에 대응될 수 있고, 제2개구영역(25B)은 내부 공간(26)의 방향을 따라 입구(21,22,23,24) 사이에 대응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은 토출패널(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개구부(25)가 원 형상일 경우,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은 개구부(25)의 둘레 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제2개구영역(25B)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개구영역(25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제1개구영역(25A)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개구영역(2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에서는 그와 대응되는 입구(21,22,23,24)에서 유입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반면, 제2개구영역(25B)에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제2개구영역(25B)으로 토출될 수도 있다.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각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각은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25)가 원 형상일 경우, 제1개구영역(25A) 및 제2개구영역(25B) 각각은 원 형상의 일부를 구성하는 호 형상일 수 있다.
제1개구영역(25A)의 원주방향 길이는 제2개구영역(25B)의 원주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즉, 제1개구영역(25A)의 면적은 제2개구영역(25B)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토출패널(2)의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 및 개구부(25)와 연통될 수 있다. 내부 공간(26)은 입구(21,22,23,24)와 개구부(25)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유동 영역(26A)은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를 개구부(25)로 안내할 수 있다.
내부 공간(26) 중 유동 영역(26A)은 복수의 입구(21,22,23,24)로 흡입된 공기의 기류를 전환하여 개구부(25)로 안내하는 기류전환 토출통로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수평방향 단면 형상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수직기류를 수평기류로 전환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를 위해 그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굽은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수직방향 단면 형상이 하측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입구(21,22,23,24)가 위치하는 사각형 가상선(19)은 개구부(25) 보다 그 위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개구부(25)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각형 가상선(19)의 변과 개구부(25) 사이의 제1거리(D1)는 사각형 가상선(19)의 꼭지점과 개구부(25) 사이의 제2거리(D2)와 상이할 수 있다.
상세히, 제1거리(D1)는 제2거리(D2)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고, 사각형 가상선(19)과 원형인 개구부(25) 사이의 거리는 원주방향을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제1거리(D1)는 사각형 가상선(19)의 꼭지점과 가까워질수록 점차 감소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이러한 거리 차(D1-D2)를 고려하여, 원주방향으로 그 수평방향 폭(D3)(D4)이 동일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수평방향 폭(D3)(D4)은 개구부(25)를 따라 교대로 증가하였다가 감소할 수 있고, 증가와 감소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내부공간(26)은 유동영역(26A) 및 차단영역(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입구(21,22,23,24)와의 위치관계에 따라, 유동영역(26A)은 입구(21,22,23,24)의 아래에 형성될 수 있고, 차단영역(26B)는 입구(21,22,23,24) 사이의 주변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차단영역(26B)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사이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은 후술할 베리어(13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유동영역(26A)와 차단영역(26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동 영역(26A)은 한 쌍의 마주보는 베리어(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차단영역(26B)은 원주방향으로 유동영역(26A) 양옆에 위치될 수 있으며, 유동영역(26A)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은 토출패널(2)의 원주방향을 따라 교대로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유동영역(26A)의 하측에는 제1개구영역(25A)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단영역(26B)의 하측에는 제2개구영역(25B)이 위치할 수 있다.
유동영역(26A)은 입구(21,22,23,24)와 제1개구영역(25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차단영역(26B)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입구 사이 부분과 제2개구영역(25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유동영역(26A)의 수평방향 폭(D3)은 차단영역(26B)의 수평방향 폭(D4) 보다 클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 폭(D3)(D4) 비교는 동일한 높이에서의 비교이다.
내부공간(26)의 상단은 다수의 입구(21,22,23,24)와 개구부(25) 중 다수의 입구(21,22,23,24)와 더 가까운 영역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의 하단은 개구부(25)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유동영역(26A)의 하단은 제1개구영역(25A)일 수 있고, 그 단면 형상은 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차단영역(26B)의 하단은 제2개구영역(25B)일 수 있고, 그 단면은 호 형상일 수 있다.
내부공간(26)은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 형상이 점차 원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작동시, 다수의 입구(21,22,23,24)를 통과한 공기는 유동영역(26A)으로 낙하될 수 있고 이어서, 제1개구영역(25A)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유동영역(26A)으로 낙하된 공기는 후술되는 베리어에 의해 가로막혀 차단영역(26B)으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개구영역(25B)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는 다수의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가 내부공간(26)에서 수평방향으로 넓게 퍼지지 않고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로 토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이너 유로바디 및 베리어의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베리어(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A)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입구(21,22,23,24)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하단(132)은 개구부(25)보다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베리어(130)의 상단이 입구(21,22,23,24)에 위치하고, 하단(131)이 개구부(25)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내부공간(26)의 상단(26C)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베리어의 하단(132)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개구부(25)의 끝단보다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내부공간(26)을 유동 영역(26A)과 차단영역(26B)으로 구획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유동 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베리어(130)의 개수는 입구(21,22,23,24)의 개수의 2배일 수 있다. 즉, 하나의 입구 당 한 쌍의 베리어(130)가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패널(2)에는 4개의 입구(21,22,23,24)가 형성될 수 있고, 8개의 베리어(130)가 구비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내부공간(26)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하단(132)은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베리어(130)의 하단(132)은 상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베리어(130)의 하단(132)이 토출패널(2)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천장형 공기조화기가 디자인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유로바디(60)와 아우터 바디부(5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인 이너 곡면(65)에 접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 중 입구 대향면(65A)과 연결부 대향면(65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입구 대향면(65A)와 연결부 대향면(65B)의 경계에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의 내측단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하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베리어(130)의 하단(132)은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단(67)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의 상단(131)은 이너 유로바디(60)의 상면(69)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베리어(130)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각 베리어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베리어(130)는 이너 유로바디(60)의 외둘레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와, 메인 유로바디(50)와 결합된 이너 유로바디(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출패널(2)은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를 내부 공간(26)의 유동 영역(26A)으로 안내하는 아우터 커버(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2)은 메인 유로바디(50)에 결합된 데코 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유로바디(50)는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중앙에 어퍼 중공부(20)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어퍼 바디부(51)는 어퍼 바디부(52) 보다 큰 아우터 바디부(52)와 연결부(53)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는 어퍼 바디부(5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바디부(52)의 높이는 어퍼 바디부(51)의 높이 보다 낮을 수 있다.
연결부(53)는 높이 및 크기가 상이한 어퍼 바디부(51)와 아우터 바디부(52)를 연결할 수 있다.
흡입패널(3)은 이너 유로바디(6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흡입 패널(3)에는 공기가 로어 중공부(68)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통공(31)은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로어 중공부(68)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통공(31)은 실내의 공기가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일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 조화기의 작동예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로부터 작동명령이 입력되면, 송풍기(4) 및 실외기가 구동하고, 송풍기(4)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흡입그릴(3)을 통과한 후 토출패널(2)의 어퍼 중공부(20)를 통과하여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와 같이 실내기(1)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송풍기(4)에 의해 송풍기(4) 외측의 열교환기(5)로 유동될 수 있고, 열교환기(5)를 통과하면서 열교환기(5)와 열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5)와 열교환되면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복수의 송풍통로(7,8,9,10)을 통과해 실내기(1)를 빠져나올 수 있다. 이때, 송풍통로(7,8,9,10)를 통해 복수의 토출기류가 하측 방향으로 송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송풍통로(7,8,9,10)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통로(7,8,9,10)과 마주보면서 연통된 토출패널(2)의 입구(21,22,23,24)로 전달되어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시 예로, 베리어(13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공간(26)을 통해 개구부(25)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실시 예로, 내부공간(26)이 베리어(130)에 의해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으로 구획된 경우, 상기 입구(21,22,23,24)로 유입된 공기는 유동영역(26A)으로 유동될 수 있고, 베리어(130)에 의해 차단영역(26B)으로는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어서, 유동영역(26A)을 통해 유동된 공기는 개구부(25)의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반면, 개구부(25)의 제2개구영역(25B)에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제2개구영역(25B)으로 회풍되거나, 흡입패널(3)로 흡입되는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
또한, 베리어(130)가 구비되지 않은 경우라면 더더욱,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제2개구영역(25B)으로 회풍되거나, 흡입패널(3)로 흡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방지하고자, 본 발명의 경우, 제2개구영역(25B)의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를 차폐하는 에어가이드(100)를 장착한다.
상기와 같이 에어가이드(100)가 장착될 경우,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가 제2개구영역(25B)으로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기류가 흡입패널(3)로 흡입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가이드(100)는 이미 생산되거나, 설치된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곧바로 끼워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가이드(1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00)는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110a,110b)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100a,100b)를 연결하며, 호(arc)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선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25)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25)의 내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은, 상기 각각 입구(21,22,23,24)와 연통된 유동영역(26A)과, 상기 각각 입구(21,22,23,24)사이 및 상기 유동영역(26A) 사이에 마련되는 차단영역(26B)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25)는, 상기 유동영역(26A)과 대응되는 제1개구영역(25A)과, 상기 차단영역(26B)과 대응되는 제2개구영역(25B)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부(1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영역(26B)을 경유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부(110a,110b)의 간격 및 곡선부(120)의 길이는 상기 차단영역(26B)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상기 차단영역(26B)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격벽부(110a,110b) 및 곡선부(120)의 크기 및 장착 위치는 다양한 실시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격벽부(110a,110b)는, 상기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의 경계에 장착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격벽부(110a,110b)는, 상기 제1개구영역(25A)을 통해 유동영역(26A)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차단영역(26B)은 상기 격벽부(110a,11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을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격벽부(110a,110b)는 베리어(130)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을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으로 구획하는 베리어(130)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베리어(130)는 상기 격벽부(110a,110b)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격벽부(100a,100b)는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의 경계 또는 경계 부근에 설치되거나,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의 경계 또는 경계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격벽부(100a,100b)의 설치로 인해,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은 베리어(130)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확실하게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 역시 베리어(130)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확실하게 구획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가 제2개구영역(25B)으로 재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무엇보다, 격벽부(100a,100b) 사이에는 곡선부(120)가 연결되기 때문에, 제1개구영역(25A)으로 토출된 공기가 제2개구영역(25B)으로 재흡입되는 것을 보다 확실히 차단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곡선부(120)의 곡률은 개구부(25)의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선부(120)는 상기 제2개구영역(25B) 전체를 차폐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만을 차폐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 및 후술한 설명에서, 유동영역(26A)과 차단영역(26B), 그리고 제1개구영역(25A)과 제2개구영역(25B)은 베리어(130)의 장착 여부와 관계없이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유동영역(26A) 및 제1개구영역(25A)은 송풍영역(7,8,9,10) 및 입구(21,22,23,24)와 대응되는 영역(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차단영역(26B) 및 제2개구영역(25B)은 송풍영역(7,8,9,10) 사이 공간 및 입구(21,22,23,24) 사이 공간과 대응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00)는 차단영역(26B) 및 제2개구영역(25B)의 개수와 비례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형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단영역(26B) 및 제2개구영역(25B)이 총 4곳에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경우, 마찬가지로 총 4곳에 에어가이드(100)가 장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변형 예로, 상기 에어가이드(100)는 제1개구영역(25A)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에어가이드(100)가 제1개구영역(25A)에 장착될 경우, 에어가이드(100)는 토출되는 공기의 기류를 전환시킬 수 있다.
특히, 곡선부(120)의 형상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 및 세기 등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120)는 상기 격벽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격벽부(110)를 중심으로 곡선부(120)가 회전할 경우, 선부(120)가 배치된 개구부(2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선부(120)가 배치된 개구부(25)에서 공기가 토출될 때, 스윙(swing)기류를 형성하며 토출될 있다.
또한, 곡선부(120)를 회전시키면서, 상황에 따라 곡선부(120)가 배치된 개구부(25) 전체를 차폐시키거나, 일부만 차폐시킬 수도 있다. 즉, 곡선부(120)가 배치된 개구부(25)의 개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곡선부(120)의 누운 정도를 조절하여, 개구부(25)에서 토출되는 기류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곡선부(120)의 누운 정도에 따라 수직기류가 생성되거나 수평기류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120)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2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구동유닛(200)은 모터 및 기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회전하면서, 기어를 통해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된 곡선부(120)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120)와 상기 격벽부(110) 사이에는 상기 곡선부(12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3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저항수단(300)은 곡선부(120)와 상기 격벽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곡선부(120)가 외풍 등에 의해 임의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면서, 사용자가 세팅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저항수단(300)은 오일댐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부(120)는 상기 저항수단(300)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항수단(300)이 구비되면, 곡선부(12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하면서, 사용자는 곡선부(12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 시, 곡선부(120)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공기의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배출되는 공기의 토출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12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110)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부(12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110)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홀(미도시)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곡선부(120)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홈 또는 회전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110)에는 상기 회전홈 또는 회전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밖에도, 상기 곡선부(120)와 격벽부(110)는 격벽부(110)가 내부공간(26)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곡선부(120)의 회전이 가능한 범위에서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패널(2)의 내부공간(26) 및 상기 내부공간(26)에 삽입되는 격벽부(110)는 세로방향의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내부공간(26)은 상부에서 하부로 유입된 공기를 수평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부공간(26) 및 격벽부(110)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격벽부(110)가 내부공간(26)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내부공간(26) 및 격벽부(110)가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 격벽부(110)가 내부공간(26)에 수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어 격벽부(110) 및 격벽부(110)와 연결된 곡선부(120)가 내부공간(26)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25)를 통해 내부공간(26)으로 격벽부(110)를 끼우기 용이할 수 있다.
상세히, 내부공간(26)과 격벽부(110)가 절곡된 형상의 곡선으로 형성되면, 격벽부(110)을 내부공간(26)의 절곡된 방향을 따라 격벽부(110)를 회전시키면서 밀어넣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곡선부(120)는 세로방향의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0은 에어가이드 장착여부에 따른 토출기류의 유동해석결과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1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도 10의 a)에는, 개구부(25)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회풍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에어가이드(100)가 장착된 경우(도 10의 b,c)에는 개구부(25)를 통해 토출된 공기의 회풍이, 에어가이드(100)가 장착되지 않은 경우(도 10의 a) 대비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에어가이드(100)의 끝단이 개구부(25)의 끝단에 근접하도록 길게 연장된 경우, 회풍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한 공지조화기는, 토출된 기류가 다시 흡입되는 회풍 현상이 방지되고, 회풍에 의한 성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간편한 방식으로 개구부에 끼울 수 있고, 필요시에만 장착 후 따로 분리시킬 수도 있으며, 제작 및 장착이 용이하고, 베인 등의 에어가이드 수단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의 공기조화기에도 적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송풍통로가 형성된 실내기와,
    상기 복수의 송풍통로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전달받는 복수의 입구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복수의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동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또는 호(arc)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된 토출 패널을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사용되는 에어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토출 패널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공간을 원주방향으로 구획하는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와,
    상기 적어도 두 개의 격벽부를 연결하며, 호(arc)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 패널의 내부공간과 상기 격벽부는, 세로방향의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의 내측으로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은, 상기 복수의 입구에 각각 연통하여,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영역과, 상기 유동영역 사이에 마련되는 차단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유동영역과 대응되는 제1개구영역과, 상기 차단영역과 대응되는 제2개구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차단영역을 경유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유동영역과 차단영역의 경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부는, 상기 제1개구영역을 통해 유동영역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영역은 상기 격벽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을 유동 영역과 차단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상기 베리어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패널의 내부공간을 유동 영역과 차단 영역으로 구획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는 상기 격벽부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상기 격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가 회전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와 상기 격벽부 사이에는 상기 곡선부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저항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은 오일댐퍼로 형성되고, 상기 곡선부는 상기 저항수단의 회전축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의 양측 단부에는 회전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부에는 상기 회전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회전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세로방향의 단면이,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15. 열교환기와 송풍기가 내장되고,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된 실내기;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통해 토출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링(ring) 형상의 토출구가 형성된 토출 패널; 및
    상기 토출구에 탈착 가능하게 상기 토출구의 외측에서 장착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제 1항 내지 제 12항, 제 1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따른 에어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0170064530A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13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30A KR102313905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US16/616,576 US11573013B2 (en) 2017-05-25 2018-05-25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same
PCT/KR2018/005990 WO2018217068A1 (ko) 2017-05-25 2018-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01880034631.1A CN110662923B (zh) 2017-05-25 2018-05-25 吊顶式空气调节设备用空气引导件及具备其的吊顶式空气调节设备
EP18805934.9A EP3633274B1 (en) 2017-05-25 2018-05-25 Air guide for ceiling-type air conditioner and ceiling-type air conditioner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530A KR102313905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074A KR20180129074A (ko) 2018-12-05
KR102313905B1 true KR102313905B1 (ko) 2021-10-18

Family

ID=64396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530A KR102313905B1 (ko) 2017-05-25 2017-05-25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73013B2 (ko)
EP (1) EP3633274B1 (ko)
KR (1) KR102313905B1 (ko)
CN (1) CN110662923B (ko)
WO (1) WO20182170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6162B (zh) * 2016-02-04 2021-03-26 青岛海高设计制造有限公司 一种两侧出风的壁挂式空调
KR102598644B1 (ko) * 2019-01-18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N113028506B (zh) * 2021-03-23 2022-07-08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3028508B (zh) * 2021-03-23 2022-09-02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3028507B (zh) * 2021-03-23 2022-09-06 青岛海信日立空调系统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3566287B (zh) * 2021-07-30 2022-06-24 美的集团武汉暖通设备有限公司 天花机及其控制方法、控制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90A (ja)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123U (ja) 1981-07-06 1983-01-14 三菱電機株式会社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4110038B2 (ja) 2003-03-25 2008-07-0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122069B1 (ko) * 2004-03-17 2012-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용 오일댐퍼
KR100897425B1 (ko) 2005-03-10 200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정형 공기조화기
KR20070060502A (ko) 2005-12-08 2007-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517346B1 (ko) 2008-09-19 2015-05-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20001065U (ko) * 2010-08-05 2012-02-15 고영신 천장형 에어컨 바람 가이드
JP5720600B2 (ja) 2012-02-10 2015-05-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室内機
KR200476428Y1 (ko) 2013-03-15 2015-03-03 주식회사 중앙씨엠아이 에어컨용 풍향조절장치
JP6398550B2 (ja) 2014-09-30 2018-10-03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5299756B (zh) 2015-10-26 2018-04-17 深圳创维空调科技有限公司 一种天井机的出风结构及天井机
KR101623692B1 (ko) *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CN105737354A (zh) 2016-02-17 2016-07-0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吊顶空调机
CN205991557U (zh) 2016-07-26 2017-03-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吊顶式空调室内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1490A (ja) 2015-03-31 2016-11-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2923A (zh) 2020-01-07
KR20180129074A (ko) 2018-12-05
EP3633274A1 (en) 2020-04-08
US20200088420A1 (en) 2020-03-19
EP3633274A4 (en) 2021-03-10
EP3633274B1 (en) 2024-01-17
US11573013B2 (en) 2023-02-07
CN110662923B (zh) 2021-01-05
WO2018217068A1 (ko)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3905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용 에어가이드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09350B1 (ko) 공기조화기
CN110678697B (zh) 吊顶式空气调节设备
KR102454762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023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장치
KR100714591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10205314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82432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262902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64340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239295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370822B1 (ko) 공기조화기용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천장형 공기조화기
JP2706383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2282476B1 (ko) 천장형 공기 조화기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2022013556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432745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장치
KR10054893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KR10058429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KR20180103365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072514A (ko) 공기 조화기
KR20180108140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80113733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050087075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루버그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