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860B1 -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860B1
KR101163860B1 KR1020107004874A KR20107004874A KR101163860B1 KR 101163860 B1 KR101163860 B1 KR 101163860B1 KR 1020107004874 A KR1020107004874 A KR 1020107004874A KR 20107004874 A KR20107004874 A KR 20107004874A KR 101163860 B1 KR101163860 B1 KR 101163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indoor unit
heat exchanger
drain pump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749A (ko
Inventor
노부사토 요시타케
겐지 가지나
가즈오 모치즈키
요스케 고마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캐리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40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8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5978With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면이 개구되는 하우징인 실내 유닛 본체(1)의 내부에 열교환기(6)를 수용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7)을 설치하고 실내 유닛 본체 내에 드레인팬 내에 집류되는 응축수를 퍼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10)를 착탈 자유롭게 설치하고, 드레인팬의 저면벽 부위에 드레인 펌프가 삽입 통과 자유로운 개구부인 드레인구(8)를 설치하며, 상기 드레인구를 드레인캡(18)으로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천정 매입형으로 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드레인 펌프의 부착 구조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천정 매입형으로 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천청내에 배치되는 실내 유닛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 유닛 본체 내부는 송풍기, 열교환기, 냉방 운전시에 열교환기에서 생성되는 응축수(drain water)를 받는 드레인팬, 및 드레인 호스를 통하여 드레인팬에 고인 응축수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펌프 등을 구비하고 있다.
드레인팬은 드레인 호스의 막힘이나 드레인 펌프의 고장시에 드레인팬에 고인 응축수를 기외로 강제적으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드레인팬은 장기간에 걸친 사용에 의해 드레인팬내에 생성 및 축적된 물때 형상 물질을 제거하는 등의 관리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로부터, 드레인팬에는 드레인구가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85690호에서는 드레인구를 밀봉하는 드레인캡을 드레인구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하고 또한 수밀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캡의 거의 중앙부에 배수 구멍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 구멍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수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배수 마개를 설치한 기술도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7-85690호에 의하면 드레인팬 내의 점착성 물질(slime)을 제거하는 등의 관리시에는 대구경으로 설정된 드레인구로부터 드레인캡을 분리하여 실시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드레인팬으로부터 응축수를 배출할 때에는 배수 구멍으로부터 배수 마개를 분리하여 개방하면 좋고, 배수 구멍은 소직경이므로 단숨에 대량의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관리 작업으로서 드레인팬내의 점착성 물질 제거 작업 뿐만 아니라, 드레인 펌프에 대한 관리도 필요하다. 이 때는 화장 패널, 전기 부품 상자, 및 드레인팬을 분리함으로써 겨우 드레인 펌프의 분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드레인 펌프의 관리 작업에 매우 수고가 든다.
또한, 소직경의 배수 구멍에 끼워지는 배수 마개는 당연히 소직경이고, 배수 구멍을 확실하게 밀봉하기 위해 착탈 자유롭고 또한 수밀하게 고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별히 설명하지 않지만 배수 마개는 소위 고무캡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러나, 이 경우 부착 작업은 물론, 분리 작업시에도 큰 힘을 필요로 하여 작업성이 나쁘다.
상식적으로는 드레인캡에 대해서 결로 대책을 취할 필요가 있고, 구체적으로는 드레인캡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한다. 그러나, 단열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수고가 들 뿐만 아니라 장기간에 걸쳐 사용하면 벗겨질 우려가 있다. 드레인 펌프는 열교환기로부터 열교환 공기가 도출되는 2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열교환기는 드레인 펌프를 피하여 굽힘 가공하지 않으면 안되어 곤란성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드레인 펌프의 관리에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에 대한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해져 공정수 삭감에 기여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하면이 개구하는 하우징인 실내 유닛 본체와, 상기 실내 유닛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과 실내 유닛 본체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어 드레인팬내에 집류(集溜)되는 응축수를 퍼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와, 드레인팬의 저면벽 부위에 설치되어 드레인 펌프가 삽입 통과 자유로운 개구부인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와,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閉塞)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만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하면이 개구하는 하우징인 실내 유닛 본체 내부에 수용되고 하면 개구부의 거의 중앙 부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축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분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의 분출측인 주위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설치되고 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과, 실내 유닛 본체의 하면 개구부를 폐쇄하며 송풍기 및 열교환기의 내측부에 대향하는 흡입구를 구비하고 또한 열교환기의 외측부와 실내 유닛 본체측벽 사이에 대향하는 분출구를 구비한 화장 패널과, 드레인팬의 적어도 일부가 화장 패널의 흡입구와 대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에 설치되어 드레인팬 내에 집류되는 응축수를 퍼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와, 상기 드레인 펌프의 바로 아래 부분의 드레인팬 저면벽 부위에 설치되어 드레인 펌프가 삽입 통과 자유로운 직경으로 개구되는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와,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 부재를 구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올려다 본 상태에서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 패널을 분리한 실내 유닛 본체의 저면도,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 본체의 저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의 일부의 단면도,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실내 유닛 일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팬 드레인구에 대해서 드레인캡과 외부 덮개 커버를 분해한 사시도,
도 7A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캡의 정면도,
도 7B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캡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8A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구에 대하여 외부 덮개 커버와 드레인캡을 차례로 분리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B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구에 대해서 외부 덮개 커버와 드레인캡을 차례로 분리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8C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구에 대해서 외부 덮개 커버와 드레인캡을 차례로 분리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드레인 펌프의 평면도,
도 9B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펌프 지지구에 지지되는 드레인 펌프의 정면도, 및
도 10은 동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펌프 지지구에 지지되는 드레인 펌프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천정 매입형으로 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을 올려다본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내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실내 유닛의 저면의 일부 확대도이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은 실내 유닛 본체(1)와 화장 패널(2)로 구성된다. 실내 유닛 본체(1)는 천정판에 설치된 부착용 개구부에 실내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수하 볼트 등을 통하여 소위 천정내에 매달려 고정된다. 화장 패널(2)은 상기 실내 유닛 본체(1)의 하면부에 부착되어 천정판으로부터 실내측에 노출된다.
상기 실내 유닛 본체(1)는 하면부가 개구되어 천판부와 측면부에 금속박판을 가공하여 이루어진 판금제(板金製)의 케이싱(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3)의 내주면은 발포 스티롤재 등으로 이루어진 단열재가 부착되고 내주면 전면에 걸쳐 단열재로 덮여 있다. 따라서, 실내 유닛 본체(1)는 단열 구조를 이루고 있다.
실내 유닛 본체(1)에서의 하면 개구부의 거의 중앙부에는 팬가드로 보호된 송풍기(5)가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5)는 축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분출하는, 소위 원심팬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원심팬은 터보팬으로도 불리고 있다. 실내 유닛 본체(1)는 송풍기(5)의 상방 부위가 천판부(1a)로 덮이고 하방 부위가 개구부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실내 유닛 본체의 하면 개구부는 송풍기(5)의 흡입측에 존재한다.
상기 송풍기(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하여 평면에서 보아 거의 사각틀 형상의 열교환기(6)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6)의 하부에는 드레인팬(7)이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팬(7)은 냉방 운전시에 열교환기(6)의 열교환 작용에 따라서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도록 이루어져 있다. 드레인팬(7)은 상기 실내 유닛 본체(1)의 둘레벽에 끼워 넣어져 있다. 드레인팬(7)은 그 외측의 변부에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함몰 형성되는 오목 함몰부(7a)를 갖는다. 또한, 드레인팬(7)은 하나의 내측 모퉁이부만이 내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드레인팬(7) 저면벽에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가 설치된다.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는 후술한 바와 같이 관리시 등 드레인팬(7)에 잔류하는 응축수나 물때 형상 물질 등(이하, 이를 총칭하여 「응축수」라고 부름)을 배수 처리하기 위한 개구부를 겸한다.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는 이후 「드레인구(8)」라고 부른다.
상기 드레인구(8)는 후술하는 폐색 부재인 드레인캡(18)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폐색된다. 도 1 및 도 2는 드레인구(8)로부터 드레인캡(18)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도 2의 드레인구(8)로부터 드레인캡(18)을 분리하고, 드레인구(8)와 그 주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특히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된 드레인구(8)로부터 후술하는 드레인 펌프(10)가 보이고 있다. 즉, 드레인 펌프(10)는 드레인구(8)의 바로 위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드레인 펌프(10)의 바로 아래 부위에 드레인구(8)가 설치되어 있고, 드레인 펌프(10)의 중심축이 드레인구(8)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부착된다.
또한, 드레인구(8)의 직경은 드레인 펌프(10)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어, 드레인구(8)로부터 드레인 펌프(10)의 외주면이 완전하게 보인다. 그 때문에, 드레인 펌프(10)를 분리함으로써 드레인 펌프(10)는 드레인구(8)에 대해서 삽입 통과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드레인구(8)를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라고 부르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상기 드레인구(8)의 근방 부위에 또한, 드레인팬(7)의 내측 일부를 따라서 전기 부품 상자(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기 부품 상자(11)는 실내 유닛 본체(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전동 부품을 제어하는 전기 부품이나 리모컨에 대한 송수신을 이루는 전기 부품 등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케이싱(3)의 하면 개구부는 도 1에만 도시하는 상기 화장 패널(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상기 화장 패널(2)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재로 성형되어 미려하게 마무리되어 있다. 화장 패널(2)은 천정판으로부터 실내에 대해서 노출되고, 실내 유닛 본체(1) 둘레면과 천정판의 부착용 개구부의 간극을 차폐한다.
상기 화장 패널(2)의 거의 중앙부에는 흡입구(12)가 개구되어 있다. 화장 패널(2)의 흡입구(12)는 필터를 구비한 흡입 그릴(13)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있다. 도 1은 흡입 그릴(13)을 개방하여 흡입구(12)를 노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실내 유닛 본체(1)로부터 화장 패널(2)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더욱 설명하면, 상기 흡입구(12)는 송풍기(5) 및 열교환기(6)의 내측부와 대향하는 부위에 개구하고 있고, 거의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흡입구(12)에 상기 흡입 그릴(13)이 착탈 자유롭게 부착된다.
상기 흡입 그릴(13)은 흡입구(12)에서의 실내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면서, 흡입구(12)로부터 케이싱(3) 내부에 대한 차폐를 이룬다. 관리시에는 흡입 그릴(13)을 개방함으로써 필터를 분리할 수 있어, 실내 바닥상에서의 필터의 청소가 가능하다.
상기 드레인팬(7)에 설치되는 드레인구(8)는 드레인팬(7) 중 하나의 내측 모퉁이부에 설치되는 점에서, 상기 흡입구(12)와 대향하는 부위에 있다. 또한, 화장 패널(2)의 각 변부를 따라서 분출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분출구(15)는 실내 유닛 본체(1) 측면벽과 드레인팬(7)의 오목 함몰부(7a)로 형성되는 간극부에 대향한다.
화장 패널(2)과 송풍기(5) 사이에는 벨 마우스(16)가 설치된다. 벨 마우스(16)의 주위는 상기 드레인팬(7)으로 둘러싸인다. 벨 마우스(16)는 송풍기(5)측이 소직경이고, 화장 패널(2)의 흡입구(12)측이 대직경의 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부는 상기 전기 부품 상자(11)에 의해 흡입구(12)에 대해서 차폐되지만, 송풍 안내의 기능은 유지하고 있다.
다음에, 드레인 펌프(10)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4는 실내 유닛 일부의 개략 구성도이고 드레인 펌프(10)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실내 유닛 일부의 사시도이고, 실내 유닛 본체(1)의 천판부(1a)를 제거하여 내부를 노출시켜 드레인 펌프(10)의 부착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 드레인 펌프(10)는, 흡입부(10a)를 하부측인 드레인구(8)를 향하여, 상단면이 펌프 지지구(17)에 부착되어 있다. 드레인구(8)에 드레인캡(18)이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드레인 펌프(10)의 흡입부(10a) 단면과 드레인캡(18)의 간격은 매우 약간밖에 없다. 드레인 펌프(10)의 하부측의 거의 반은 드레인팬(7) 내에 위치한다.
즉, 드레인 펌프(10)의 흡입부(10a)는 드레인팬(7)에 집류되는 응축수 내에 완전하게 침지되도록 지지된다. 드레인 펌프(10)를 지지하는 펌프 지지구(17)는 펌프 지지부(17a)로부터 바로 위 부위로 연장되는 다리부(17b)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다리부(17b)의 상단은 실내 유닛 본체(1)를 구성하는 천판부(1a)에 부착 고정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드레인 펌프(10)의 이면측에는 흡입부(10a)로부터 흡입된 응축수를 토출하는 토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드레인 호스(19)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드레인 호스(19)는 토출부로부터 펌프 지지구(17)의 다리부(17b) 사이에 감기고, 또한 상기 열교환기(6)의 상단부와 실내 유닛 본체 천판부(1a) 사이를 넘어 둘러진다.
즉, 실내 유닛 본체(1)의 천판부(1a)는 케이싱(3)의 내면에 부착되는 단열재(4)의 일부가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 오목 함몰부(1b)를 갖고 있다. 상기 오목 함몰부(1b)에는 드레인 호스(19)가 삽입 통과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4)에 대한 가공은 필요하지만 오목 함몰부(1b)를 형성할 뿐이므로 거의 공정수에 영향은 주지 않는다. 또한, 열 교환기(6)의 상단부에 대해서 어떤 가공도 필요로 하지 않고 공정수에 대한 영향은 전혀 없다.
특히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 교환기(6)는 그 하단면이 드레인팬(7)의 저면벽에 일체로 설치되는 돌출턱부(突堤部)(7d)에 배치된다. 한편 열교환기(6)의 상단면은 실내 유닛 본체(1)의 천판부(1a)에 설치되는 단열재(4)에 접촉되어 있다. 즉, 열교환기(6)는 실내 유닛 본체 천판부(1a)와 드레인팬(7)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단, 드레인팬(7)에서 열교환기(6)를 지지하는 돌출턱부(7d)가 드레인팬(7)의 저면벽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열교환기(6)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돌출턱부(7d)의 내측과 외측으로 이분된다. 여기에서, 상기 드레인구(8)와 드레인 펌프(10)는 열교환기(6)의 내측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열교환기(6)에 생성되어 흘러내려 돌출턱부(7d)의 내측에 집류되는 응축수는 그대로 드레인구(8) 및 드레인 펌프(10)에 인도된다. 그러나, 돌출턱부(7d)의 외측에 집류되는 응축수는 거기에서 고여, 돌출턱부(7d)를 오버플로우하지 않는 한 드레인구(8)와 드레인 펌프(10)에 인도되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돌출턱부(7d) 중 적어도 한 부분에서 어느 정도의 길이 치수를 갖고 돌출턱부(7d)가 절결 가공된다. 즉, 돌출턱부(7d)가 중단되고, 상기 중단부(7e)에서 드레인팬(7)의 저면벽이 노출된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6)로부터 돌출턱부(7d)의 외측 부위에 흘러내린 응축수는 중단부(7e)를 통하여 내측 부위에 인도되고 드레인구(8) 또는 드레인 펌프(10)로부터 배출된다.
다음에, 드레인구(8)와 드레인캡(18)에 대해서 상술한다.
도 6은 드레인구(8)로부터 드레인캡(18)과 외부 덮개 커버(20)를 분리한 사시도, 도 7A는 드레인캡(18)의 정면도, 도 7B는 드레인캡(18)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드레인팬(7)에 설치되는 드레인구(8)는 그 둘레면을 따라서 돌출부가 하방으로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의 내주면에 암나사부(7f)가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 상기 드레인캡(18)은 드레인구(8)의 직경 보다도 큰 직경의 원형을 이루는 플랜지부(18a)와, 상기 플랜지부(18a)의 한 측면에 돌출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상기 암사나부(7f)와 나사 결합 가능한 수나사부(18g)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를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 나사 결합 체결함으로써 드레인캡(18)은 드레인구(8)를 폐색한다. 소위, 스크류캡 구조를 채용하게 되어 누수되지 않는 확실한 마개닫기(閉栓)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는 드레인캡(18)을 드레인구(8)로부터 나사결합을 해제시켜 분리함으로써 드레인구(8)를 완전 개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복수의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이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는 상기 드레인 배수용 구멍(22)과 거의 동일한 크기, 또는 작은 크기로 개구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이 한군데에 설치된다.
드레인구(8)의 드레인 배수용 홈(23)은 드레인캡(18)이 드레인구(8)를 완전하게 폐쇄하는 위치에서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과 연통되지 않는다. 드레인 캡(18)을 회동하여 드레인구(8)에 대한 완전 폐쇄가 해제되고, 또한 드레인캡(18)을 어느 정도 개방했을 때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이 드레인 배수용 홈(23)에 연통된다. 따라서, 드레인 배수용 구멍(22)과 드레인 배수용 홈(23)을 통하여 드레인팬(7) 내의 응축수가 배수된다.
이들 드레인 배수용 구멍(22)과 드레인 배수용 홈(23)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단순히 드레인구(8)를 드레인캡(18)이 개폐 자유롭게 하는 구성이면, 드레인캡(18)을 드레인구(8)로부터 분리했을 때, 드레인구(8)로부터 응축수가 순식간에 또한 대량으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응축수를 완전히 받을 수 없고 주위를 젖게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에서는 서서히 배수되므로 모든 양을 받을 수 있어 주위를 젖게 하는 일은 없다.
특히 도 7A, 도 7B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캡(18)의 플랜지부(18a)에는 표면 하부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이면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25)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캡(18)을 드레인구(8)에 부착할 때, 또는 분리할 때, 상기 손잡이부(25)를 잡으면서 드레인캡(18)을 회동 가압하면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25)의 이면측은 오목 함몰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 함몰부에 항균제(26)가 부착된다. 드레인캡(18)에서 드레인구(8)를 폐쇄한 상태에서 드레인캡(18)의 이면측은 드레인팬(7)에 집류되는 응축수에 침지된다. 그 때문에, 드레인팬(7)에 응축수를 집류한 상태로 장시간이 경과하면 드레인캡(18)과 드레인구(8) 주변에 잡균류가 부착되고 물때나 이취(異臭)의 발생 원인이 되기 쉽다.
그래서, 드레인캡(18)의 이면측에 항균제(26)를 부착함으로써, 드레인캡(18)과 드레인구(8) 주변의 잡균류의 번식을 억제하고, 물때나 이취의 발생 요인을 제거한다. 응축수가 청정화되는 점에서 드레인팬(7) 전체에 걸쳐 잡균류의 번식을 억제하고 드레인 펌프(10)나 드레인 호스(19)에서의 막힘의 요인을 제거한다.
다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드레인캡(18)은 상기 하부측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외부 덮개 커버(20)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 때문에 통상의 상태에서는 드레인캡(18)의 존재를 확인할 수 없다. 즉, 상기 외부 덮개 커버(20)는 화장 패널(2)과 동일한 소재로, 또한 동일한 색으로 형성되어 있고,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가 설치되는 돌출부의 단말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폐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외부 덮개 커버(20)는 이면측(상방)에 돌출되는 원환형 오목부(2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환형 오목부(20a)의 외경 치수는 드레인구(8)의 직경 치수와 동일하다. 따라서, 외부 덮개 커버(20)는 돌출부 말단에 원환형 오목부(20a)를 원터치로 걸어 고정시킬 수 있다. 외부 덮개 커버(20)의 분리에 있어서는 원환형 오목부(20a)를 쥐고 당겨서 내리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요컨대, 드레인구(8)에 대해서 상기 드레인캡(18)이 내부 덮개가 되고 상기 하부측에 외부 덮개인 외부 덮개 커버(20)가 부착되어 이중 구조로 되어 있다. 외부 덮개 커버(20)와 드레인팬(7)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간격이 형성되어 공기층을 갖는다.
그 때문에, 드레인팬(7)에 집류되는 응축수의 온도가 낮고 드레인캡(18)이 냉각되어도 공기층의 존재에 의해 드레인캡(18) 하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외부 덮개 커버(20)가 존재하지 않고 드레인캡(18) 뿐이면, 드레인캡(18) 하면에 결로가 발생하여 그대로 실내에 낙하하고 실내를 젖게 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외부 덮개 커버(20)를 설치함으로써 드레인캡(18) 하면의 결로가 발생하여 실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천정 매입형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에서 송풍기(5)가 구동되면 실내 공기가 흡입 그릴(13)과 흡입구(12)를 통하여 벨 마우스(16)에 안내되어 실내 유닛 본체(1) 내에 흡입된다. 실내 공기는 열교환기(6)의 1차측으로부터 열교환기(6)를 유통(流通)하여 열교환되고 나서 2차측으로 도출된다.
그리고, 열교환 공기는 분출구(15)로부터 실내로 분출되고 실내의 공기 조화를 이룬다. 특히 냉방 운전시에는 열교환기(6)의 열교환 작용에 따라서 응축수가 생성되고 드레인팬(7)에 적하된다. 시간의 경과와 함께 드레인팬(7)에서의 응축수의 집류량이 증대되고 수위가 상승한다.
플로트 스위치가 드레인팬(7) 내의 응축수의 수위를 상시 검지하고 있고 응축수의 수위가 기준의 최고 수위를 초과한 것을 검지하면 플로트 스위치는 제어부로 검지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는 드레인 펌프(10)로 구동 신호를 보내고, 드레인 펌프(10)는 응축수를 퍼올려 드레인 호스(19)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드레인팬(7)에 집류된 응축수는 드레인팬(7)을 오버 플로우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된다. 응축수의 수위가 서서히 강하하여 최저 기준 수위까지 강하한 것을 플로트 스위치가 검지되면 다시 제어부로 검지 신호가 보내어진다. 제어부는 드레인 펌프(10)에 정지 신호를 보내고 응축수의 배수를 정지시킨다.
관리 작업시 등에서 드레인팬(7) 내에 잔류하는 응축수를 모두 배출하는 경우에는 드레인구(8)로부터 외부 덮개 커버(20)와 드레인캡(18)을 분리한다.
도 8A, 도 8B, 도 8C는 드레인구(8)로부터 외부 덮개 커버(20)와 드레인캡(18)을 분리하는 상태를 차례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8A에서는 드레인구(8)에 드레인캡(18)과 외부 덮개 커버(20)가 부착되고 드레인구(8)를 폐색하고 있다. 즉,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 펌프(10)의 흡입부(10a)는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 내경측에 삽입되어 있고, 드레인팬(7)의 응축수를 확실하게 흡입하는 위치에 있다.
이 때,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은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과 비대향 위치에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은 드레인구(8) 둘레면에 일체 형성되는 돌출부에서 폐쇄되어 있으므로,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으로부터 응축수가 배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드레인캡(18)의 손잡이부(25) 이면의 오목 함몰부에 충전되는 항균제(26)는 응축수에 확실하게 침지된 상태에 있다. 외부 덮개 커버(20)는 드레인구(8)의 돌출부 말단에 끼워 넣어지고, 드레인캡(18)을 덮고, 드레인캡(18)과의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응축수가 저온이고 드레인캡(18)이 냉각되어도 상기 하면에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다.
드레인 펌프(10)에 대한 관리 작업에 있어서 드레인구(8)를 개방하여 드레인팬(7)에 집류되는 응축수를 배출할 필요가 있다. 처음에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덮개 커버(20)를 분리하고 드레인캡(18)을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은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과 비대향 위치에 있고, 돌출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으므로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으로부터 응축수가 배출되지 않는다.
다음에, 드레인캡(18)의 손잡이부(25)를 쥐고 암나사부(7f)와 수나사부(18g)의 나사 결합 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 회동 조작한다. 드레인캡(18)의 드레인구(8)에 대한 폐색 상태가 완화되고 나서, 또한 드레인캡(18)을 회동 가압하면,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캡(18)의 수나사부(18g)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의 일부가 드레인구(8)의 암나사부(7f)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에 연통된다.
드레인팬(7)에 집류되는 응축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과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을 통하여 드레인구(8)로부터 배출된다. 드레인 배수용 홈(23)에 대한 드레인 배수용 구멍(22)의 연통 면적을 크게 할수록 응축수의 배출량이 많아지므로 적절하게 배출량을 조정하면 좋다.
드레인팬(7)으로부터 응축수를 완전히 배출하면 드레인캡(18)을 드레인구(8)로부터 분리한다. 결국, 응축수를 배출하는 데에 있어서 주위를 젖게 하지 않고 확실하게 작업할 수 있다. 드레인구(8)를 완전하게 개방함으로써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레인구(8)로부터 드레인 펌프(10)가 보인다.
드레인 펌프(10)의 직경은 드레인구(8)의 직경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드레인 펌프(10) 둘레면과 드레인구(8) 둘레면은 어느 정도의 간격을 갖고 있다. 그래서, 상기 간격에 공구를 끼워 넣고, 드레인 펌프(10)를 펌프 지지구(17)에 부착되어 있던 고정구를 분리한다. 모든 고정구를 분리할 때까지는 공구를 들지 않은 쪽의 손으로 드레인 펌프(10)를 지지하여 탈락을 방지한다.
모든 고정구를 분리하면 드레인 펌프(10)를 중심축을 따라서 강하시킨다. 드레인 펌프(10)는 펌프 지지구(17)로부터 떨어뜨리고, 또한 그대로 드레인구(8)를 삽입 통과하여 실내 유닛 본체(1)로부터 분리시킨다. 따라서, 드레인 펌프(10)에 대한 관리가 원하는 부위에서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드레인 펌프(10)를 열 교환기(6)의 열교환 공기 도입측인 열교환기(6) 1차측에 부착한다. 이에 의해, 화장 패널(2)의 흡입 그릴(13)을 개방하여 흡입구(12)를 노출시키면, 흡입구(12)를 통하여 드레인 펌프(10)를 분리시킨다. 특히, 화장 패널(2)이나 드레인팬(7), 또는 전기 부품 상자(11)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열교환기(6)에 대한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해져 공정수 삭감에 기여한다.
그런데, 상기 드레인 펌프(10)를 구성하는 모터는 DC 모터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DC 모터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C모터와 비교하여 진동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설명하면, 종래의 드레인 펌프에 사용되는 AC 모터는 진동이 있다. AC 모터의 진동이 실내 유닛 본체(1)에 전달되고 실내 유닛 본체(1) 외부인 실내에 운전 소음으로서 새어나가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 펌프(10)는 금속제의 브라켓과, 방진 고무와, 높이 맞춤을 위한 금속제 브라켓을 통하여 실내 유닛 본체(1)에 부착되어 있었다.
상기 방진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소정의 효과가 얻어지지만, 드레인 펌프(10)의 부착 구조가 복잡하고 실내 유닛 본체(1) 내에 큰 공간을 점유한다. 또한 드레인 펌프(10)와 그 부착 구조가 통풍 저항의 요인이 되고 공기 조화기의 성능에 영향을 주고 있다.
도 9A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드레인 펌프(10)의 저면도, 도 9B는 펌프 지지구(17)에 부착되어 지지되는 드레인 펌프(10)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9A, 도 9B 중 10b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상기 드레인 호스(19)가 접속되는 토출부이다.
본 발명에서의 드레인 펌프(10)는 DC 모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진동이 감소된다. 이 때문에, 드레인 펌프(10)를 실내 유닛 본체(1)에 직접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드레인 펌프(10)의 상면부에 부착용 칼라부(28)를 설치하고 있고, 고정구(29)를 통하여 부착용 칼라부(28)가 펌프 지지구(17)에 부착 고정된다.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은 전용 브라켓과 방진 고무는 불필요해진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드레인 펌프(10)의 측면부에 펌프 지지구로의 부착용 칼라부를 구비하고, 상기 펌프 지지구를 실내 유닛 본체(1)의 측면부에 부착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DC 모터를 구비함으로써 드레인 펌프(10) 자체가 경량화되므로 본체(1) 측면부로의 부착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드레인 펌프(10)의 하면부를 펌프 지지구(30)에서 지지한 상태의 정면도이다. 드레인 펌프(10)에 DC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드레인 펌프(10)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고 하면으로의 직접 부착이 가능해진다.
즉, 드레인 펌프(10)는 그 하면부에 하면 부착용 펌프 지지구(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드레인 펌프(10)는 실내 유닛 본체(1)에 대한 상면과 측면으로의 위치 제한이 없어진다. 위치 제한이 없어짐으로써 열교환 공기에 대한 통풍 저항이 감소된다. 이와 같이 드레인 펌프(10)는 펌프 지지구(30)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유닛 본체(1)로의 부착 장소에 제약을 받는 일이 적고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 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 요소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드레인 펌프에 대한 관리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열교환기에 대한 특별한 가공이 불필요해져 공정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하면이 개구되는 하우징인 실내 유닛 본체(1),
    상기 실내 유닛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열교환기(6),
    상기 열교환기(6)의 하부에 설치되고 열교환기(6)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7),
    상기 실내 유닛 본체(1)내에 착탈 자유롭게 설치되고 상기 드레인팬(7) 내에 집류되는 응축수를 퍼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10),
    상기 드레인팬(7)의 저면벽 부위에 설치되고 드레인 펌프(10)가 삽입 통과 자유로운 개구부인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 부재(18),
    상기 폐색 부재(18)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수나사부(18g),
    상기 폐색 부재의 수나사부(18g)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암나사부(7f), 및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의 암나사부(7f)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2. 삭제
  3. 하면이 개구하는 하우징인 실내 유닛 본체(1),
    상기 실내 유닛 본체(1)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하면 개구부의 중앙 부위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축방향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 방향으로 분출하는 송풍기(5),
    상기 송풍기(5)의 분출측인 주위를 둘러싸고 배치되는 열교환기(6)와, 상기 열교환기(6)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기에 생성되는 응축수를 받는 드레인팬(7),
    상기 실내 유닛 본체(1)의 하면 개구부를 폐쇄 상태로 하고, 상기 송풍기(5) 및 상기 열교환기(6)의 내측부에 대향하여 흡입구(12)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6)의 외측부와 실내 유닛 본체(1) 측벽 사이에 대향하여 분출구(15)를 구비한 화장 패널(2),
    상기 드레인팬(7)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화장 패널(2)의 흡입구(12)와 대향하도록 돌출된 돌출부에 설치되고 드레인팬(7) 내에 집류되는 응축수를 퍼올려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 펌프(10),
    상기 드레인 펌프(10)의 바로 아래 부분의 드레인팬(7) 저면벽 부위에 설치되고 드레인 펌프(10)가 삽입 통과 자유로운 직경으로 개구되는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를 개폐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 부재(18),
    상기 폐색 부재(18)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수나사부(18g),
    상기 폐색 부재의 수나사부(18g)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구멍(22),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의 둘레면에 설치되는 암나사부(7f), 및
    상기 드레인 펌프 삽입 통과구(8)의 암나사부(7f)에 설치되는 드레인 배수용 홈(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18)는 이면이 오목하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손잡이부(25)가 돌출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부(25)의 이면 오목 함몰 형상 부분에 항균제(26)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폐색 부재(18)는 그 하부측에 화장 패널(2)에 대해서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는 외부 덮개 커버(20)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KR1020107004874A 2007-09-07 2008-09-08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KR1011638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3041 2007-09-07
JPJP-P-2007-233041 2007-09-07
JP2007276673 2007-10-24
JPJP-P-2007-276673 2007-10-24
PCT/JP2008/066188 WO2009031683A1 (ja) 2007-09-07 2008-09-08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749A KR20100040749A (ko) 2010-04-20
KR101163860B1 true KR101163860B1 (ko) 2012-07-11

Family

ID=40428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874A KR101163860B1 (ko) 2007-09-07 2008-09-08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89579B2 (ko)
EP (1) EP2199701B1 (ko)
JP (1) JP5128605B2 (ko)
KR (1) KR101163860B1 (ko)
CN (1) CN101796350A (ko)
PL (1) PL2199701T3 (ko)
WO (1) WO2009031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7060B2 (ja) * 2010-06-30 2014-09-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装置
JP5295189B2 (ja) * 2010-09-01 2013-09-1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3053821A (ja) * 2011-09-05 2013-03-21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5840021B2 (ja) * 2012-02-16 2016-01-06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DE202012101388U1 (de) * 2012-04-16 2012-06-21 Trox Gmbh System umfassend eine Komponente einer klimatechnischen Anlage mit einer Öffnung und einem Verschlusselement
KR101702169B1 (ko) 2013-10-02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06812B1 (ko) 2013-10-02 2017-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50043573A (ko) * 2013-10-11 2015-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662377B1 (ko) 2014-01-27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6134855B2 (ja) 2014-02-18 2017-05-2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6458984B2 (ja) * 2014-10-10 2019-01-3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6638166B2 (ja) * 2015-06-12 2020-01-29 三菱重工サーマ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ドレンパン、及び空気調和機
JP2018025355A (ja) * 2016-08-10 2018-02-15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EP3598020B1 (en) * 2017-03-15 2021-12-22 Toshiba Carrier Corporatio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GB2575973B (en) * 2018-07-27 2021-03-03 Aspen Pumps Ltd Condensate pump assembly
CN110895039A (zh) * 2019-10-30 2020-03-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16U (ja) 1984-07-03 1986-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93534A (en) * 1934-05-07 1935-03-05 Edmund G Stoltz Back water valve for drains
US3990855A (en) * 1974-09-20 1976-11-09 Cdc Chemical Corporation Clog preventing device for air conditioning condensate drain pans
US4146207A (en) * 1977-06-03 1979-03-27 Rofe Arthur D Metering drain plug
JPS6115416A (ja) 1984-06-30 1986-01-23 Sony Corp R−s型フリツプフロツプ
JPS6291115A (ja) 1985-10-18 1987-04-25 マメトラ農機株式会社 ビ−ンコンバインの刈取装置
JPS6291115U (ko) * 1985-11-26 1987-06-11
US5368181A (en) * 1993-03-12 1994-11-29 Myers; Alan Captured drain plug or vent
JP3874371B2 (ja) 1993-06-29 2007-01-31 株式会社クラベ 柔軟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718128U (ja) * 1993-08-10 1995-03-31 松下冷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2276987A (ja) * 2001-03-14 2002-09-25 Matsushita Refrig Co Ltd 空気調和機
JP2002276985A (ja) * 2001-03-14 2002-09-25 Matsushita Refrig Co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FR2828174B1 (fr) * 2001-07-31 2003-09-26 Rical Sa Dispositif de bouchage d'un recipient et de soutirage d'un produit fluide
US7032253B2 (en) * 2004-01-20 2006-04-25 Martin Tracy Sink basket and plug assembly
US20060101838A1 (en) * 2004-11-16 2006-05-18 Ritchey Jonathan G Water condenser
JP4265800B2 (ja) * 2005-07-21 2009-05-2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7085690A (ja) 2005-09-26 2007-04-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416U (ja) 1984-07-03 1986-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9701B1 (en) 2022-08-31
JPWO2009031683A1 (ja) 2010-12-16
CN101796350A (zh) 2010-08-04
EP2199701A1 (en) 2010-06-23
KR20100040749A (ko) 2010-04-20
US8689579B2 (en) 2014-04-08
JP5128605B2 (ja) 2013-01-23
PL2199701T3 (pl) 2023-02-06
US20100192610A1 (en) 2010-08-05
WO2009031683A1 (ja) 2009-03-12
EP2199701A4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86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 유닛
KR100976051B1 (ko) 공기조화장치
JP5509710B2 (ja) 空気調和機
JPWO2014156542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5232666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装置
JP2009079819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09264662A (ja) 空気調和機
JP5148241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5909069B2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及びそのドレンパン清浄方法
JP6410211B2 (ja)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5311888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JP2009103383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9103384A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機
WO201816789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2017089951A (ja) 送風装置
JP2004317032A (ja) 厨房用空気調和機及びドレンアップ装置
TWM519680U (zh) 取暖換氣扇
JP7066422B2 (ja) 天井埋込み型空気調和機
EP4379284A1 (en) Ceiling-suspended indoor unit
JP7207000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及び水洗大便器
KR102248311B1 (ko) 렌지 후드 조립체
JP2006038245A (ja) 浴室用換気暖房機
JP2013015260A (ja) 換気扇
JP3920745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H05172358A (ja) 空気調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