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4775A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4775A
KR20150024775A KR20140104935A KR20140104935A KR20150024775A KR 20150024775 A KR20150024775 A KR 20150024775A KR 20140104935 A KR20140104935 A KR 20140104935A KR 20140104935 A KR20140104935 A KR 20140104935A KR 20150024775 A KR20150024775 A KR 201500247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eedling
arm
preliminary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야마사키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나오키 홋타
토오루 후쿠이
히카루 오사노
마사루 노무라
히데키 야마시타
소이치로 타케치
마코토 야마구치
타쿠야 오카다
미츠오 콘다
마사노리 세이케
히토시 노무라
마나부 타카하시
타카유키 후지시로
카즈유키 후지모토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5448A external-priority patent/JP597499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74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825385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4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4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01C11/025Transplanting machines using seedling trays; Devices for removing the seedlings from the trays

Abstract

(과제) 작업 자재를 적재할 때의 작업자의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주행 차체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와 시비 장치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의 전방부에 예비의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작업 자재를 주행 차체측으로 반송하는 적재 장치(100)를 설치하고, 주행 차체에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동축(101)을 설치하고, 이 적재 장치(100)는 작업 자재를 적재하는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적재 작업 위치와, 적재 부재(102)가 시비 장치를 향해서 돌출하는 보충 작업 위치와, 적재 부재(102)가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한다.

Description

모종 이식기{SEEDLING TRANSPLANTING MACHINE}
본 발명은 예비 모종 프레임을 구비하는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는 모종 이식기는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비의 모종을 재치(載置)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식부 작업 시에 모종 적재 부재에 재치되어 있는 모종이 적어지면 예비 모종 프레임의 모종을 모종 적재 부재로 옮김으로써 모종의 식부 작업을 계속해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식부 작업 시에는 시비 장치로 비료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모종의 보충 작업뿐만 아니라 비료의 보충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예비의 모종을 예비 모종 프레임에 적재함과 동시에 예비의 비료도 기체에 적재해 두고, 시비 장치에 저류된 비료가 감소했을 때 포장 가장자리까지 리턴하는 일 없이 그 자리에서 비료의 보충을 행한다.
일본 특허 공개 2009-23280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12-205504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모종 이식기에서는 비료를 기체 위로 반송하는 비료 반송용 부재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는 모종보다 무거운 비료를 포장 가장자리로부터 기체까지 운반할 필요가 있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포장 가장자리에 수로가 있을 때나, 포장 가장자리의 토질이 나쁠 때 등, 포장 가장자리로부터 기체에 직접 비료를 적재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작업자는 무거운 비료를 들고 포장 내에 들어가 진흙에 발이 묶이는 불안정한 상태로 기체까지 이동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에 의해 비료 등의 모종보다 중량이 있는 작업 자재를 적재할 때에는 작업자의 노동력이 매우 커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업 자재를 적재할 때의 작업자의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는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50)와 시비 장치(7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 예비의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작업 자재를 주행 차체(2)측으로 반송하는 적재 장치(10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동축(10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기체 전방측에는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85)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은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기체 상하 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를 설치해서 구성되고, 상기 적재 장치(100)는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상부에 설치하는 적재암(110)과, 상기 적재암(110)에 작업 자재를 적재 가능하게 설치하는 적재 부재(102)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101)을 지지 부재(85)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적재 장치(100)는 상기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적재 작업 위치와, 상기 적재 부재(102)가 상기 시비 장치(70)를 향해서 돌출하는 보충 작업 위치(133)와, 상기 적재 부재(102)가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상기 적재암(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의 회동을 록킹하는 록킹 부재(106)와, 상기 록킹 부재(106)를 조작하는 록킹 조작 부재(107)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조작 부재(107)는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회동 록킹과 상기 적재암(110)의 회동 록킹을 별도로 온 오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암(110)은 상기 회동축(101)에 장착되는 제 1 암 부재(111)와,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단부에 설치하는 제 2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 암 부재(112)로 구성되고, 상기 적재 부재(102)는 상기 제 2 암 부재(112)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암 부재(111)와 상기 제 2 암 부재(112) 사이에는 구멍부를 갖는 제 2 록킹 수용 부재(115)와, 상기 제 2 암 부재(112)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 2 록킹 부재(116)와, 상기 제 2 록킹 부재(116)를 조작하는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 장치(100)를 상기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부재(125)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125)는 상기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상기 주행 차체(2)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조종 좌석(28)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01)과 상기 제 2 회동축(113) 사이에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 조작 부재(118)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조작 부재(118)는 상기 적재 장치(100)를 상기 적재 작업 위치로 조작했을 때보다 상기 수납 위치(131)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주행 차체(2)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플로어 스텝(26)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 측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로 이동시키면 상기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이 기체의 좌우 방향이 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상기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이 기체의 전후 방향이 됨과 아울러, 보충 작업 위치(133)에서는 적재 부재(102)의 기체 내측 단부가 플로어 스텝(26)의 외측 단부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102)에는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 전방으로 돌출하는 적재 작업 위치 또는 상기 수납 위치(131)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공간부(122)가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이며 또한 상기 주행 차체(2)의 외측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102)에는 상기 공간부(122)에 인접한 돌출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20)에 개구부(1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복수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상기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복수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상기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적재 장치(100)를 사용해서 비료 용기 등의 작업 자재를 적재함으로써 중량물인 작업 자재를 적재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이 경감되므로 작업 자재를 적재할 때의 작업자의 노동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또한,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예비 모종 프레임(80)에 모종을 적재한 후에도 적재 장치(100)에 작업 자재를 재치해서 비료의 적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모종이나 비료의 적재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그리고,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를 같은 회동축(101)에 장착 함으로써 부품 점수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적재 장치(100)를 적재 작업 위치로 이동시키면,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측 또는 기체 측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포장 가장자리에 기체를 접근시키는 자세에 관계없이 포장 외로부터 비료나 연료 등의 작업 자재를 쉽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적재 부재(102)와 시비 장치(70), 및 적재 부재(102)와 모종 식부부(50)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적재 부재(102)에 적재한 작업 자재의 적재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노동력이 확보되어 작업 능률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로 하면 적재 장치(100)가 기체의 전방이나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적재 장치(100)가 벽 등의 장해물에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행 차체(2)로부터 작업자가 타고 내리는 부분을 막지 않으므로 작업자가 기체로부터 타고 내릴 때에 적재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해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록킹 부재(106)로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암(110)을 회동 록킹함으로써 식부 작업 중 등에 예비 모종 프레임(80)이나 적재암(110)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예비 모종 프레임(80)에 적재한 모종이나 작업 자재가 낙하하는 것이나, 예비 모종 프레임(80)이 벽이나 전신주 등과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록킹 조작 부재(107)로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적재암(110)의 회동 록킹을 별도로 온 오프할 수 있으므로 한쪽의 조작 중에 다른쪽이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고, 작업자의 자세가 제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를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적재 부재(102)를 보다 기체 전방이나 측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시비 장치(70)나 모종 식부부(50)에 근접하게 할 수 있으므로 모종이나 작업 자재의 주행 차체(2) 상으로의 적재나, 모종 식부부(50)나 시비 장치(70)로의 보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회동 규제 부재(125)가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모종이나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로부터 인출할 때에 제 1 암 부재(111)가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회동 규제 부재(125)를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동 중에 다리를 부딪히는 것이나, 적재암(110)이 주행 차체(2) 위의 작업자의 다리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4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조작하면 회동 조작 부재(118)가 주행 차체(2)에 접근함으로써 주행 차체(2)에 탑승한 작업자가 회동 조작 부재(118)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의 향상이나 작업자의 노동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적재 부재(102)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적재 부재(102)를 시비 장치(70)나 모종 식부부(50)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적재 부재(102)로부터 시비 장치(70)나 모종 식부부(50)로의 작업 자재의 보충 작업이 용이해져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그리고, 보충 작업 위치(133)에서는 적재 부재(102)의 기체 내측 단부가 플로어 스텝(26)의 외측 단부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겹침으로써 주행 차체(2)에 탑승하는 작업자가 플로어 스텝(26)의 외측 단부를 파악하기 쉬워지므로 이동 시에 작업자가 발 밑을 지나치게 신경 쓰는 일이 없어 작업자의 부담이 경감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하면 적재 부재(102)의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므로 주행 차체(2)에 가까운 위치에 있는 작업 자재를 공간부(122)를 이용해서 작업자가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 부재(102) 상의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로부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적재 부재(102)의 공간부(122)에 인접한 돌출부(120)에 개구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주행 차체(2)로부터 타고 내릴 때나, 주행 차체(2) 위를 이동할 때에 이 개구부(121)를 난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타고 내릴 때나 이동할 때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을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게 함으로써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 상에 둔 채로는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로 이동할 수 없게 할 수 있어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에 둔 상태로 식부 작업이나 노상 주행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 자재의 낙하나, 작업 자재의 중량에 의해 적재 장치(10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을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모종을 적재 부재(102) 상에 둘 수 있으므로 모종의 적재 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가장자리에 모종의 보급을 위해 이동하는 빈도가 적어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도 1은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모종 이식기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모종 이식기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적재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적재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보충 작업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의 적재 부재의 각도의 조절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10은 적재 부재에 보강 부재를 설치한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보충 작업 위치로 이동시킨 요부 평면도이다.
도 12는 식입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의 D-D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모종 이식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전후, 좌우의 방향 기준은 모종 이식기의 조종 좌석으로부터 보아 차체의 주행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전후, 좌우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이식기(1)의 주행 차체(2)는 좌우 한쌍의 전륜(4)과, 마찬가지로 좌우 한쌍의 후륜(5)을 갖고 있고, 주행 시에는 각 차륜이 구동하는 4륜 구동차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주행 차체(2)는 포장이나 도로를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는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40)를 통해 승강 가능한 모종 식부부(5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주행 차체(2)는 차체의 대략 중앙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7)과, 상기 메인 프레임(7) 상에 탑재된 엔진(10)과, 상기 엔진(10)의 동력을 구동륜과 모종 식부부(5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 장치(1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모종 이식기(1)에서는 엔진(10)의 동력은 주행 차체(2)의 전진 및 후진에 사용할 뿐만 아니라 모종 식부부(50)의 구동원으로서도 사용되는 것이며, 디젤 기관이나 가솔린 기관 등의 열기관이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엔진(10)은 주행 차체(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이며 또한 작업자가 승차 시에 발을 올리는 플로어 스텝(26)보다 상방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로어 스텝(26)은 주행 차체(2)의 전방부와 엔진(10)의 후방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된 메인 프레임(7) 상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플로어 스텝(26)의 일부를 격자상으로 함으로써 구두에 붙은 진흙을 포장에 떨어뜨릴 수 있는 구조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플로어 스텝(26)의 후방에는 후륜(5)의 펜더를 겸하는 리어 스텝(2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리어 스텝(27)은 후방을 향함에 따라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고 있고, 엔진(10)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10)은 플로어 스텝(26)과 리어 스텝(2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플로어 스텝(26)과 리어 스텝(27)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는 상기 엔진(10)을 덮는 엔진 커버(11)가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엔진 커버(11)는 상기 플로어 스텝(26)과 리어 스텝(27)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엔진(10)을 덮고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차체(2)의 엔진 커버(11)의 상부에 조종 좌석(28)을 설치하고, 상기 조종 좌석(28)의 전방이며 또한 주행 차체(2) 전방측 중앙부에는 조종부(30)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조종부(30)는 상기 플로어 스텝(26)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플로어 스텝(26)의 전방부측을 좌우로 분단하고 있다.
상기 조종부(30)의 전방부에는 개폐 가능한 프론트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종부(30)의 상부에는 조작 장치를 작동시키는 조작 레버 등이나 계량기류, 핸들(3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핸들(32)은 작업자가 전륜(4)을 조타 조작함으로써 주행 차체(2)를 조타하는 조타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종부(30) 내의 조작 장치 등을 통해 전륜(4)을 스티어링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조작 레버로서는 주행 차체(2)의 전후진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는 주주행 조작 부재인 주행 레버(35)와,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주행하는 장소에 대응하는 속도로 스위칭하는 부주행 조작 부재인 부변속 레버(38)가 기체 우측과 좌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서 플로어 스텝(26)에 있어서의 조종부(30)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보급용의 모종을 재치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은 플로어 스텝(26)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축(연직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작업자의 손 또는 전동 모터 등의 회동 부재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동력 전달 장치(15)는 주변속기로서의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와, 이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에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를 갖고 있다. 이 중,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란 HST(Hydro Static Transmission)라고 말해지는 정유압식의 무단 변속 장치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는 엔진(10)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하는 유압 펌프에 의해 유압을 발생시키고, 이 유압을 유압 모터에 의해 기계적인 힘(회전력)으로 변환해서 출력한다. 또한,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는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주행 차체(2)를 주행시키는 힘으로 변환한다.
그때,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는 회전력의 방향이나 회전 속도를 변경함으로써 주행 차체(2)의 전후진 및 주행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 상기 주행 레버(35)를 이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의 출력 및 출력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주행 차체(2)의 전후진 및 주행 속도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는 엔진(10)보다 전방이며 또한 플로어 스텝(26)의 바닥면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본 건의 모종 이식기(1)에서는 주행 차체(2)의 상면으로부터 보아 엔진(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는 엔진(10)의 출력축에 부착한 풀리와,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의 입력축에 부착한 풀리와, 쌍방의 풀리에 권취한 벨트와, 또한 이 벨트의 장력을 조정하는 텐션 풀리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는 엔진(10)에서 발생한 동력을 벨트를 통해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에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장치(15)는 엔진(10)으로부터의 출력이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와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를 통해 전달되는 미션 케이스(18)를 갖고 있다. 상기 미션 케이스(18)는 노상 주행 시나 식부 시 등에 있어서의 주행 차체(2)의 작업 속도를 스위칭하는 부변속 기구(도시 생략)를 내측에 설치하고 있고, 메인 프레임(7)의 전방부에 부착되어 있다. 부변속 레버(38)는 미션 케이스(18) 내의 부변속 기구를 조작함으로써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미션 케이스(18)는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와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를 통해 전달된 엔진(10)으로부터의 출력을 상기 미션 케이스(18) 내의 부변속 기구로 변속해서 전륜(4)과 후륜(5)으로의 주행용 동력과, 모종 식부부(50)로의 구동용 동력으로 나누어서 출력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주행용 동력은 일부가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21)를 통해 전륜(4)으로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고, 나머지가 좌우의 후륜 기어 케이스(22)를 통해 후륜(5)으로 전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좌우 각각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21)는 미션 케이스(18)의 좌우 각각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고, 좌우의 전륜(4)은 차축을 통해 좌우의 전륜 파이널 케이스(21)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 전륜 파이널 케이스(21)는 핸들(32)의 조타 조작에 연동해서 구동하여 전륜(4)을 스티어링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좌우 각각의 후륜 기어 케이스(22)에는 차축을 통해 후륜(5)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구동용 동력은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설치한 식부 클러치(도시 생략)로 전달되고, 상기 식부 클러치의 계합 시에 식부 전동축(도시 생략)에 의해 모종 식부부(50)로 전달된다.
또한,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구비되는 모종 식부부(50)를 승강시키는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40)는 승강 링크 장치(41)를 갖고 있고, 상기 모종 식부부(50)는 상기 승강 링크 장치(41)를 통해 주행 차체(2)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승강 링크 장치(41)는 주행 차체(2)의 후방부와 모종 식부부(50)를 연결시키는 평행 링크 기구(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평행 링크 기구(42)는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를 갖고 있고, 이들 링크가 메인 프레임(7)의 후방부단에 세워서 설치한 배면으로 볼 때에 문형인 링크 베이스 프레임(4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각 링크의 타단측이 모종 식부부(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모종 식부부(50)를 승강 가능하게 주행 차체(2)에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40)는 유압에 의해 신축하는 유압 승강 실린더(44)를 갖고 있고, 유압 승강 실린더(44)의 신축 동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5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모종 식부부 승강 기구(40)는 승강 동작에 의해 모종 식부부(50)를 비작업 위치까지 상승시키거나, 대지(對地) 작업 위치(대지 식부 위치)까지 하강시키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부(50)는 모종을 식부하는 범위를 복수의 구획 또는 복수의 열로 식부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이식기(1)에서는 모종을 6개의 구획으로 식부하는 소위 6조식의 모종 식부부(50)로 되어 있다. 상기 모종 식부부(50)는 모종 식부 장치(60)와, 모종 적재 부재(51) 및 플로트(47)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상기 모종 적재 부재(51)는 복수조의 모종을 적재하는 모종 적재 부재로서 설치되어 있고, 주행 차체(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구획된 식부조수분의 모종 적재면(52)을 갖고, 각각의 모종 적재면(52)에 흙이 부착된 매트형상 모종을 재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종 적재 부재(51)에 재치한 모종이 식부되지 않게 될 때마다 포장 외에 준비하고 있는 모종을 가지러 리턴할 필요가 없고, 연속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 장치(60)는 모종 적재 부재(51)에 재치된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장치가 되고 있다. 이 모종 식부 장치(60)는 2조마다 1개씩 배치되어 있고, 회전 가능한 로터리 케이스(63)에 2조분의 식입간(61)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즉, 복수의 모종 식부 장치(60)는 각각 식부조가 할당되어 있다. 이 중, 로터리 케이스(63)는 모종 식부 장치(6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식부 전동 케이스(6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64)는 상기 엔진(10)으로부터 모종 식부부(50)로 전달된 동력을 모종 식부 장치(60)에 공급하는 것이다. 즉, 식부 전동 케이스(64)에는 2개의 로터리 케이스(63)가 기체 좌우 방향의 양측에 연결되어 있고, 모종 식부부(50)는 이 식부 전동 케이스(64)를 3개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47)는 주행 차체(2)의 이동에 따라 포장면 상을 활주해서 정지(整地)하는 것이며, 주행 차체(2)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부(50)의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 플로트(48)와,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부(50)의 양측에 위치하는 사이드 플로트(4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부(50)의 하방측의 위치에 있어서의 전방측에는 포장의 정지를 행하는 정지용 로터(6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지용 로터(67)는 후륜 기어 케이스(22)을 통해 전달되는 엔진(10)의 출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종 식부부(50)의 좌우 양측에는 다음의 식부조에 진행 방향의 목표가 되는 선을 형성하는 선긋기 마커(68)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즉, 선긋기 마커(68)는 모종 이식기(1)가 포장 내에 있어서의 직진 전진 시에 포장의 두렁 가장자리에서 회전한 후에 직진 전진할 때의 표식을 포장 위에 선긋기한다.
상기 선긋기 마커(68)는 마커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작동하고, 주행 차체(2)가 선회할 때마다 좌우의 선긋기 마커(68)의 작업 상태와 비작업 상태가 교체해서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좌우의 선긋기 마커(68)의 교체는 마커 모터가 접속되는 콘트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행한다.
즉, 콘트롤러는 주행 차체(2)의 선회 시에 좌우의 선긋기 마커(68)를 교대로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로 스위칭하는 마커 스위칭 장치로서도 설치되고 있다. 또한, 좌우의 선긋기 마커(68)의 선긋기 작용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반의 외주부에 복수의 돌기체를 형성하고, 회전 가능하게 로드부에 장착한 것으로 하면, 포장면과 접지하는 것에 의한 저항에 의해 확실하게 포장면에 선을 형성할 수 있어 다음의 식부 작업 위치에서의 직진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져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주행 차체(2)의 후방부, 상세하게는 주행 차체(2)에 있어서의 조종 좌석(28)의 후방에는 시비 장치(7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시비 장치(70)는 비료를 저류하는 저류 호퍼(71)와, 저류 호퍼(71)로부터 공급되는 비료를 설정량씩 조출하는 조출 장치(72)와, 조출 장치(72)에 의해 조출되는 비료를 포장에 공급하는 시비 통로인 시비 호스(74)와, 시비 호스(74)에 반송풍을 공급함으로써 시비 호스(74) 내의 비료를 모종 식부부(50)측으로 이송하는 기풍 장치인 블로어(73)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시비 장치(70)는 모종 식부부(50)의 하방에 배치됨과 아울러 시비 호스(74)에 의해 비료가 이송되는 시비 가이드(75)와, 시비 가이드(75)의 전방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시비 호스(74)에 의해 이송된 비료를 모종 식부조의 측부 근방에 형성되는 시비홈 내에 넣는 작홈기(76)를 갖고 있다.
도 3은 도 2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은 기체 좌측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인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과,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인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으로 구조가 다르다.
상세하게는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은 예비의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81)를 복수 구비하고,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링크 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스위칭 구동 장치(90)를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스위칭 구동 장치(90)에서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종을 적재할 때에 있어서의 상태와, 운전 시 등의 통상 시의 상태에서 전동에 의해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위치 관계를 변화시켜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은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과 마찬가지로 예비 모종 적재대(81)를 복수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기체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기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주인 모종 프레임 지주(83)에 부착되어 있다. 이 모종 프레임 지주(83)는 2개의 모종 프레임 지주(83)가 기체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부분이 각각 2개의 모종 프레임 지주(83)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은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의 모종 프레임 지주(83)에 기체 상하 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가 배치되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은 비료 용기, 연료가 든 탱크, 모종상자 등의 작업 자재를 주행 차체(2)측으로 반송하는 적재 장치(100)와 함께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적재 장치(100)는 작업 자재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 부재(102)와, 적재 부재(102)가 부착되는 적재암(110)을 갖고 있다. 또한, 적재 장치(100)는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이 복수 갖는 예비 모종 적재대(81)에 있어서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예비 모종 적재대(81)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아지고 있다.
이들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과 적재 장치(100)는 상기 주행 차체(2)에 구비되는 회동축(101)에 부착되어 있고,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과 적재 장치(1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101)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회동축(101)은 주행 차체(2)의 기체 전방측에 배치되고,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를 지지하는 L자형상의 지지 부재인 지지 부재(85)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85)는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져 상방을 향해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있다. 즉, 상기 지지 부재(85)는 기체 전방부의 기체 우측에 설치되어 있고,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의 하방 부근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져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부재(85)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L자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101)은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 부재(85)에 있어서의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부분의 상부에 축방향이 기체 상하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과 적재 장치(100)는 회동축(101)을 통해 지지 부재(85)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 부재(85)는 기체 좌측에도 배치되어 있고,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이나 적재 장치(100)가 부착되는 지지 부재(85)와 마찬가지로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위치에서 상방으로 구부러져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기체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L자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85)와 기체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85)는 기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끼리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된 상태의 지지 부재(85)는 기체 전후 방향으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형상이 대략 U자상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은 기체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 부재(85)에 부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지지 부재(85)의 상부에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을 지지 부재(85)에 부착하는 좌측의 지지 플레이트(91)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좌측의 지지 플레이트(91)에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의 모종 프레임 부착 지주(92)의 하단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의 스위칭 구동 장치(90)나 링크 부재는 상기 모종 프레임 부착 지주(92)에 부착되고, 모종 프레임 부착 지주(9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 부재(85)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도 마찬가지로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의 모종 프레임 지주(83)에 있어서의 하단측의 부분이며,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인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84)가 상기 회동축(101)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84)는 회동축(101)으로부터 상기 회동축(101)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축(101)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의 모종 프레임 지주(83)는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84)에 있어서의 회동축(101)의 지름 방향 외방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고 있다.
상기 적재 장치(100)의 적재암(110)도 회동축(101)으로부터 상기 회동축(101)의 지름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축(101)에 부착되어 있고, 회동축(101)에 있어서의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84)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상방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동축(101)에 부착되는 적재암(110)은 모종 프레임 지주(83)가 연결되는 우측의 지지 플레이트(84)의 상부, 즉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동축(101)에 부착되는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적재암(110)의 하부에는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의 회동 록킹을 온 오프하는 록킹 부재인 록킹 부재(106)가 배치되어 있고, 록킹 부재(106)는 록킹 조작 부재인 록킹 조작 부재(107)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적재암(110) 각각의 하부에는 록킹 부재(106)가 들어가는 구멍부(도시 생략)를 갖는 상하 록킹 수용 부재인 상하 록킹 플레이트(105)가 배치되어 있다. 즉, 록킹 조작 부재(107)는 상하 록킹 플레이트(105)의 구멍부로의 록킹 부재(106)의 들어간 상태를 스위칭함으로써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의 회동 록킹을 온 오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록킹 조작 부재(107)는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록킹 조작 부재(107)의 조작량을 조절함으로써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적재암(110)의 회동 록킹을 별도로 온 오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록킹 조작 부재(107)는 모종 프레임 지주(83)만 회전 록킹하고, 적재암(110)은 회전 록킹하지 않고, 회전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 장치(100)의 적재암(110)은 회동축(101)에 장착되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암 부재(1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회동축(101)의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한, 제 2 암 부재(112)는 제 1 암 부재(111)에 있어서의 회동축(101)에 부착되는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 2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제 1 암 부재(1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 1 암 부재(1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회동축(113)은 회동축(101)과 마찬가지로 기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암 부재(112)는 제 2 회동축(113)에 있어서 제 1 암 부재(111)가 부착되어 있는 부분의 상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적재 부재(102)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 중 제 2 암 부재(112)에 부착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적재 부재(102)는 제 2 암 부재(112)에 대하여 제 2 암 부재(112)의 상방측에 부착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제 2 암 부재(112)는 적재 부재(102)의 하면측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 부재(102)에 부착되는 제 2 암 부재(112)는 적재 부재(102)의 하면을 따라 배치되고, 일단측이 적재 부재(102)의 하방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상기 제 1 암 부재(111)는 제 2 암 부재(112)에 있어서의 적재 부재(102)의 하방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부분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는 제 2 록킹 수용 부재(115)와, 제 2 록킹 부재(116)와,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로 이루어지는 록킹 기구에 의해 제 2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적인 회동이 가능한 상태와, 회동이 록킹되는 상태를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제 2 록킹 수용 부재(115)는 구멍부(도시 생략)를 갖고 있고,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록킹 부재(116)는 제 2 록킹 수용 부재(115)의 구멍부에 출입함으로써 제 1 암 부재(111)에 대하여 제 2 암 부재(112)를 회동 가능하게 하거나 제 2 암 부재(112)의 회동을 규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는 제 2 록킹 부재(116)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 사이의 록킹 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로 제 2 록킹 부재(116)를 조작함으로써 록킹 상태를 스위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의 평면도이다. 상기 적재 장치(100)가 갖는 적재 부재(102)는 모종 이식기(1)가 식부 작업이나 노상 주행을 행할 때의 적재 장치(100)의 통상 시의 상태, 즉 적재 부재(102)가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131)에서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의 형상이 기체 전후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대략 직사각형에 가까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적재 부재(102)에는 수납 위치(131)에서의 적재 부재(10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으로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0)는 상기 적재 부재(10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있음으로써 적재 부재(102)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20)의 전후에는 적재 부재(102)의 형상인 직사각형의 기체 외측 방향의 변과, 돌출부(120)에서 구획 형성되는 공간부(12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20)에는 돌출부(120)의 두께 방향, 즉 기체 상하 방향으로 돌출부(120)를 관통하는 구멍인 개구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21)는 돌출부(120)를 따른 형상으로 하고, 상기 돌출부(120)와 마찬가지로 대략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 암 부재(111)가 장착되는 회동축(101)과 제 2 회동축(113) 사이에는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 조작 부재인 회동 조작 부재(1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 조작 부재(118)는 상기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했을 때의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암 부재(111)의 기체 내측의 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했을 때에는 상기 회동 조작 부재(118)가 조종 좌석(28), 즉 주행 차체(2)에 접근하는 측으로 돌출한다.
본 건의 모종 이식기(1)에 대해서, 이하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모종 이식기(1)의 운전 시에는 엔진(10)에서 발생하는 동력에 의해 주행 차체(2)의 주행과, 모종 적재 부재(51)에 적재한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한다. 이 식부 작업은 회전축이 좌우 방향이 되는 방향으로 모종 식부 장치(60) 전체가 회전하면서 식입간(61)도 회전함으로써 모종 적재 부재(51)에 재치된 모종을 순차 식입간(61)으로 취하고, 취한 모종을 서서히 포장에 식부한다. 그때, 모종 적재 부재(51)를 모종 적재 부재(51)에 적재하는 1조분의 기체 좌우 방향의 폭의 범위 내에서 기체 좌우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각 모종 식부 장치(60)는 모종 적재 부재(51)에 있어서 각각의 모종 식부 장치(60)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모종을 인출하여 포장에 식부한다.
즉, 각 모종 식부 장치(60)는 모종 적재 부재(51)의 소정의 조에 대응하는 부분으로부터 모종을 인출해서 소정의 조에 모종을 식부한다. 식부 작업 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모종 식부 장치(60)를 작동시키면서 포장 내를 주행 차체(2)로 주행함으로써 복수의 열상으로 모종을 식부하는 작업이다.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시에는 엔진(10)에서 발생한 동력은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로 전달되고, 벨트식 동력 전달 기구(17)로부터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로 전달되어서 유압식 무단 변속기(16)에 의해 소망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 토크로 변환되어서 출력된다. 유압식 무단 변속기(16)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미션 케이스(18)로 전달되고, 노상 주행 시의 주행 속도에 적합한 회전 속도, 또는 모종의 식부 시의 주행 속도에 적합한 회전 속도로 미션 케이스(18) 내에서 변속되어서 전륜(4)측이나 후륜(5)측으로 출력된다. 또한, 미션 케이스(18)로부터 출력되는 동력의 일부는 모종 식부부(50)측으로도 전달되어 모종 식부부(50)에서의 식부 작업에도 사용된다.
상기 식부 작업을 행할 때에는 적재 장치(100)는 수납 위치(131)(도 5 참조)로 스위칭한다.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하기 위해서는 제 1 암 부재(111)를 회동축(101)으로부터 기체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록킹 조작 부재(107)를 조작함으로써 회동축(101)에 대한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록킹한다. 또한, 제 2 암 부재(112)는 제 1 암 부재(111)의 후단에 위치하는 제 2 회동축(113)으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 상태로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를 조작함으로써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의 상대적인 회동을 록킹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암 부재(112)에 부착되어 있는 적재 부재(102)도 제 2 암 부재(112)와 마찬가지로 제 2 회동축(113)으로부터 기체 전방측에 위치하여 돌출부(120)와 상기 공간부(122)가 기체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적재 부재(102)는 제 1 암 부재(111)나 회동축(101)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적재 장치(100)는 이 수납 위치(131)에서는 적재 부재(102)가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위치하여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수납된 상태가 되므로 식부 작업이나 노상 주행 시에 적재 장치(100)가 각 작업의 방해가 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로 스위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적재 장치(100)는 비료 용기 등의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에 적재하고, 주행 차체(2)측으로 반송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적재 장치(100)에 의해 작업 자재를 반송할 때에는 적재 장치(100)를 우선 적재 작업 위치의 상태로 해서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에 적재한다. 이 적재 작업 위치는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측 및 측방 외측으로 돌출하는 작업 위치가 되고 있다. 즉, 적재 작업 위치는 적재 부재(102)가 기체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하는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와,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의 2종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중, 적재 부재(102)를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시키는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로 스위칭할 때에는 상기 제 1 암 부재(111)를 회동축(101)으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록킹한다. 또한, 제 2 암 부재(112)는 제 1 암 부재(111) 전단에 위치하는 제 2 회동축(113)으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회동시켜서 록킹한다.
즉, 적재 작업 위치로 스위칭할 때에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를 대략 직선상의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암 부재(112)에 부착되어 있는 적재 부재(102)도 제 2 암 부재(112)와 마찬가지로 회동축(101)으로부터 기체 전방을 향하는 제 1 암 부재(111)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은 기체의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전방으로부터 적재 장치(100)의 적재 부재(102)에 작업 자재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적재 부재(102)는 돌출부(120)와 공간부(122)가 기체 외측에 위치하므로 이 공간부(122)를 작업 자재를 기체 외측으로부터 적재 부재(102)에 적재할 때에 손을 넣는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100)를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로 스위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로 하기 위해서는 제 1 암 부재(111)를 회동축(101)으로부터 기체의 측방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약 90° 회동시켜서 록킹한다. 또한, 제 2 암 부재(112)는 제 1 암 부재(111)의 기체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회동축(113)으로부터 기체의 측방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회동시켜서 록킹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암 부재(112)에 부착되어 있는 적재 부재(102)도 제 2 암 부재(112)와 마찬가지로 회동축(101)으로부터 기체의 측방 외측을 향하는 제 1 암 부재(111)의 기체 외측 단부로부터 기체의 측방 외측으로 돌출하는 상태가 되므로 작업자는 주행 차체(2)에 있어서의 적재 장치(100)가 위치하는 측의 측방으로부터 적재 장치(100)의 적재 부재(102)에 작업 자재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은 기체의 좌우 방향과 대략 평행해진다.
또한, 이때 적재 부재(102)는 돌출부(120)와 공간부(122)가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므로 이 공간부(122)를 작업 자재를 기체 후방측으로부터 적재 부재(102)에 적재할 때에 손을 넣는 공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스위칭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적재 장치(100)가 적재 작업 위치의 상태에서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에 적재하면, 적재 장치(100)는 적재 부재(102)에 작업 자재를 적재한 채로 적재 부재(102)가 시비 장치(70)를 향해서 돌출하는 위치인 보충 작업 위치(133)의 상태로 한다. 적재 장치(100)를 적재 작업 위치로부터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킬 때에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가 대략 직선상의 상태인 채로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암 부재(111)를 기체 후방측으로 회동시킨다. 즉,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측으로 돌출하는 적재 작업 위치로부터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해서 기체 후방측으로 약 180° 회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암 부재(111)를 기체 후방측으로 회동시킬 때 제 1 암 부재(111)에 설치되는 회동 조작 부재(118)는 회동축(101)과 제 2 회동축(113) 사이에서 조종 좌석(28), 즉 주행 차체(2)에 접근 하는 측으로 돌출한다. 즉,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조작하면 회동 조작 부재(118)가 주행 차체(2)에 접근하므로 주행 차체(2) 위의 작업자는 회동 조작 부재(118)를 잡고 끌어당겨 제 1 암 부재(111)를 기체 후방측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에는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부재(1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 규제 부재(125)는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암 부재(111)를 기체 후방측으로 회동시켰을 때 제 1 암 부재(111)는 기체 내측 방향의 면이 회동 규제 부재(125)에 접촉하므로 제 1 암 부재(111)의 같은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또한, 이때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은 기체의 전후 방향과 대략 평행해진다.
상기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적재 작업 위치 그대로 회동축(101)을 중심으로 해서 제 1 암 부재(111)를 기체 후방측으로 회동시키고, 제 1 암 부재(111)가 회동 규제 부재(125)에 접촉했을 때의 적재 부재(102)는 플로어 스텝(26)의 상방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서 회동을 정지한다. 이때, 보충 작업 위치(133)는 적재 부재(102)가 시비 장치(70)의 근방이며 플로어 스텝(26)의 근방에 위치하고, 플로어 스텝(26)의 상방에 겹치지 않고, 또한 플로어 스텝(26)보다 기체 외측 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돌출부(120)와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의 외측 단부 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적재 부재(102)에 적재되어 있는 작업 자재는 이 보충 작업 위치(133)에서 적재 부재(102) 상으로부터 주행 차체(2)측으로 내리지만, 그때 돌출부(120)와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에 위치하므로 적재 부재(102) 상의 작업 자재를 플로어 스텝(26) 상으로부터 양손으로 유지해서 적재 부재(102)로부터 내릴 때에 손을 넣는 공간으로서 공간부(122)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 자재를 시비 장치(70)의 근방에 내릴 수 있으므로 작업 자재가 비료 용기일 때에는 시비 장치(70)에 용이하게 비료를 보급할 수 있다. 적재 장치(100)가 수납 위치(131)와,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스위칭 가능함으로써 포장 외로부터 주행 차체(2)측으로 작업 자재를 용이하며, 또한 작업자의 노동력을 거의 사용하는 일 없이 반송할 수 있다.
본원의 모종 이식기(1)는 적재 장치(100)를 사용해서 비료 용기 등의 작업 자재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중량물인 작업 자재를 적재하는 작업에 필요로 하는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가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예비 모종 프레임(80)에 모종을 적재한 후에도 적재 장치(100)에 작업 자재를 재치해서 비료의 적재를 행할 수 있으므로 모종이나 비료의 적재 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를 같은 회동축(101)에 장착함으로써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 장치(100)를 주행 차체(2)에 부착할 때에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부착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의 삭감 및 기체의 경량화가 도모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 및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로 스위칭하면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측 또는 기체측방으로 돌출되므로 포장 가장자리에 기체를 접근시키는 자세에 관계없이 포장 외로부터 비료나 연료 등의 작업 자재를 적재하기 쉬워지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됨과 아울러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스위칭하면 적재 부재(102)와 시비 장치(70) 및 모종 식부부(50)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적재 부재(102)에 적재한 작업 자재의 적재 작업에 필요로 하는 시간과 노동력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하면 적재 장치(100)가 기체의 전방이나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적재 장치(100)가 벽 등의 장해물에 접촉해서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주행 차체(2)로부터 작업자가 타고 내리는 부분을 적재 장치(100)가 막지 않음으로써 작업자가 기체로부터 타고 내릴 때에 적재 장치(100)를 이동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해지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적재암(110)을 록킹 상태로 함으로써 식부 작업 중 등에 예비 모종 프레임(80)이나 적재암(110)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적재한 모종이나 작업 자재의 낙하나, 벽이나 전신주 등과 접촉하는 것에 의한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록킹 조작 부재(107)의 조작량에 의해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적재암(110)을 각각 독립시켜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한쪽의 조작 중에 다른쪽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 자세가 제한되지 않아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암(110)을 구성하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가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함으로써 적재 부재(102)를 보다 기체 전방이나 측방으로 돌출시킴과 아울러 시비 장치(70)나 모종 식부부(50)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모종이나 작업 자재의 주행 차체(2)로의 적재나, 모종 식부부(50)나 시비 장치(70)로의 보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스위칭하면 회동 규제 부재(125)가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규제함으로써 모종이나 작업 자재를 주행 차체(2) 상으로 이동시킬 때에 제 1 암 부재(111)의 위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제 1 암 부재(111)의 위치를 조작하는 빈도가 감소하여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회동 규제 부재(125)를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이동 중에 발을 회동 규제 부재(125)에 부딪히는 것이나, 회동 중의 적재암(110)이 작업자의 발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조작하면 회동 조작 부재(118)가 조종 좌석(28)측으로 돌출, 즉 주행 차체(2)에 접근함으로써 조종 좌석(28)에 탑승한 작업자는 이동하는 일 없이 회동 조작 부재(118)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의 향상이나 작업자의 노동력의 경감이 도모된다.
또한,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스위칭하면 적재 부재(102)의 돌출부(120)와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이며 또한 주행 차체(2)의 외측 단부 상에 위치함으로써 플로어 스텝(26)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작업 자재를 공간부(122)로부터 손을 넣어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적재 부재(102) 상의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 상으로부터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적재 부재(102)의 돌출부(120)에 개구부(121)를 형성함으로써 작업자는 주행 차체(2)로부터 타고 내릴 때나 주행 차체(2) 위를 이동할 때에 이 개구부(121)를 난간으로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기체를 타고 내릴 때나 이동할 때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을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게 함으로써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 상에 둔 상태에서는 적재 장치(100)의 수납 위치(131)로의 스위칭 조작이 규제되므로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 상에 둔 채 식부 작업이나 노상 주행을 하는 것이 방지되고, 작업 자재의 낙하나, 작업 자재의 중량에 의해 적재 장치(100)에 부하가 가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기체 좌우 양측에 설치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은 좌측 예비 모종 프레임(80L)은 스위칭 구동 장치(90) 등을 설치해서 전동에 의해 작동하는 구성으로 우측 예비 모종 프레임(80R)은 적재 장치(100)와 함께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우의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중량차가 커지는 것이 방지되고, 주행 차체(2)의 기체 좌우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한 것이 되어 안정한 식부 작업이나 주행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모종 이식기(1)에서는 최하부에 배치되는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을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게 구성하고 있지만,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해도 좋다.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을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함으로써 모종을 적재 부재(102) 상에 둘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모종의 적재 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포장 가장자리에 모종의 보급을 위해 이동하는 빈도를 적게 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상술한 모종 이식기(1)에서는 적재 장치(100)는 적재 작업 위치와 보충 작업 위치(133) 사이에서는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변화시키고 있지 않지만, 제 1 암 부재(111)와 제 2 암 부재(112)의 상대적인 회동 각도를 적당히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제 2 암 부재(112)에 부착되는 적재 부재(102)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한다.
도 9는 적재 부재(102)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설명도이다. 적재 장치(100)는, 예를 들면 제 1 암 부재(111)가 보충 작업 위치(133)의 상태인 채로 제 2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해서 제 2 암 부재(112)를 회동시킴으로써 제 2 암 부재(112)와 함께 적재 부재(102)의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으로 적재 부재(102)를 회동시켰을 때에는 작업 자재를 적재 부재(102)가 적재될 때에 두렁으로부터 행하는 위치인 두렁 보급 위치(135)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방향으로 적재 부재(102)를 회동시켰을 때에는 작업 자재인 비료를 적재 부재(102) 상으로부터 시비 장치(70)로 직접 보급하는 위치인 당김 보급 위치(136)로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적재 부재(102)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여러 가지 사용 형태로 할 수 있으므로 보다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모종 이식기(1)에서는 회동 조작 부재(118)를 사용해서 적재 장치(100)의 이동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적재 장치(100)의 이동용 부재를 더 설치해도 좋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이식기의 변형예이며, 적재 부재에 보강 부재를 설치한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적재 장치를 보충 작업 위치로 했을 때의 설명도이다. 적재 장치(100)의 이동용의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재 부재(102)의 하부에 루프형상의 보강 부재(140)를 설치한다. 이 보강 부재(140)는 수납 위치(131)(도 10 참조)에서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적재 부재(102)에 있어서의 기체 전후 방향과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 방향의 부분은 적재 부재(102)를 따른 형상으로 되어 있고,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의 부분은 돌출부(120)보다 기체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까지 위치하는, 대략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상, 또는 루프형상으로 하고 있다.
보강 부재(140)는 돌출부(120)측의 부분에서는 돌출부(120)로부터 이간되어 있음으로써 보강 부재(140)를 잡을 수 있으므로 적재 장치(100)의 이동 시에 보강 부재(140)를 잡아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재 장치(100)를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킬 때에는 조종 좌석(28)측으로부터 보강 부재(140)를 잡아서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적재 장치(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적재 장치(100)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한층 향상된다.
또한, 적재 부재(102)에 루프형상의 보강 부재(140)를 부착함으로써 적재 부재(102)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중량이 큰 작업 자재도 적재할 수 있고, 작업 자재를 적재할 때의 작업자의 노동력을 보다 확실하게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60)가 갖는 식입간(61)은 로터리 케이스(63)에 대하여 상대 회전을 하면서 모종을 식부하지만, 이 회전 부분에 지푸라기 등이 감기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실시해도 좋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이식기의 변형예이며, 식입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C-C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식입간(61)에는 로터리 케이스(63)에 부착되는 측의 면에 있어서의 식입간(61)의 회전축인 식입간 회전축(155)의 근방의 위치에 돌기부(150)를 형성해도 좋다. 이 돌기부(150)는 식입간(61)으로부터 로터리 케이스(63)의 근처까지 연장되고 있다. 식입간(61)은 식입간 회전축(155)을 중심으로 해서 식입간(61)이 회전하면 식입간(61)과 로터리 케이스(63) 사이의 부분에 있어서의 식입간 회전축(155)의 주위를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지푸라기 등은 돌기부(150)에 걸려 식입간 회전축(155)에는 감기지 않게 되므로 식입간 회전축(155)이 마모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150)는 지푸라기 등이 감기기 어려운 형상으로 해도 좋다. 도 14는 도 13의 D-D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돌기부(150)는, 예를 들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부(150)의 돌출 방향으로 본 형상이 삼각형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즉, 돌기부(150)는 삼각기둥이나 삼각뿔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돌기부(150)는 돌기부(150) 자체에 지푸라기 등이 감기기 어려운 형상이 되므로 지푸라기 등이 식입간 회전축(155)에 감기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150)에는 선단에 브러시를 설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식입간 회전축(155)에 부착된 진흙이나 이물을 자동적으로 청소할 수 있다.
2 : 주행 차체 26 : 플로어 스텝
28 : 조종 좌석 50 : 모종 식부부
70 : 시비 장치 80 : 예비 모종 프레임
81 : 예비 모종 적재대 83 : 모종 프레임 지주
85 : 지지 부재 100 : 적재 장치
101 : 회동축 102 : 적재 부재
106 : 록킹 부재 107 : 록킹 조작 부재
110 : 적재암 111 : 제 1 암 부재
112 : 제 2 암 부재 113 : 제 2 회동축
115 : 제 2 록킹 수용 부재 116 : 제 2 록킹 부재
117 : 제 2 록킹 조작 부재 118 : 회동 조작 부재
120 : 돌출부 121 : 개구부
122 : 공간부 125 : 회동 규제 부재
131 : 수납 위치 132a : 제 1 적재 작업 위치
132b : 제 2 적재 작업 위치 133 : 보충 작업 위치

Claims (10)

  1. 주행 차체(2)의 후방부에 모종 식부부(50)와 시비 장치(70)를 설치하고, 그 주행 차체(2)의 전방부에 예비의 모종을 적재하는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작업 자재를 주행 차체(2)측으로 반송하는 적재 장치(10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그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를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동축(101)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기체 전방측에는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85)를 설치하고,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은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기체 상하 방향의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예비 모종 적재대(81)를 설치해서 구성되고,
    상기 적재 장치(100)는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상부에 설치하는 적재암(110)과, 그 적재암(110)에 작업 자재를 적재 가능하게 설치하는 적재 부재(102)로 구성되고,
    상기 회동축(101)을 지지 부재(85)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적재 장치(100)는 상기 적재 부재(102)가 기체 전방 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적재 작업 위치와, 상기 적재 부재(102)가 상기 시비 장치(70)를 향해서 돌출하는 보충 작업 위치(133)와, 상기 적재 부재(102)가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납 위치(131)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와 상기 적재암(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과 상기 적재 장치(100)의 회동을 록킹하는 록킹 부재(106)와, 상기 록킹 부재(106)를 조작하는 록킹 조작 부재(107)를 구비하고, 상기 록킹 조작 부재(107)는 상기 모종 프레임 지주(83)의 회동 록킹과 상기 적재암(110)의 회동 록킹을 별도로 온 오프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암(110)은 상기 회동축(101)에 장착되는 제 1 암 부재(111)와,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단부에 설치하는 제 2 회동축(11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 2 암 부재(112)로 구성되고, 상기 적재 부재(102)는 상기 제 2 암 부재(112)에 설치하고, 상기 제 1 암 부재(111)와 상기 제 2 암 부재(112) 사이에는 구멍부를 갖는 제 2 록킹 수용 부재(115)와, 상기 제 2 암 부재(112)의 회동을 규제하는 제 2 록킹 부재(116)와, 상기 제 2 록킹 부재(116)를 조작하는 제 2 록킹 조작 부재(117)를 설치하고, 상기 적재 장치(100)를 상기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부재(125)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규제 부재(125)는 상기 회동축(101)보다 기체 후방측이며 또한 상기 주행 차체(2)로부터 기체 외측으로 돌출하는 위치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조종 좌석(28)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101)과 상기 제 2 회동축(113) 사이에 상기 제 1 암 부재(111)의 회동 조작 부재(118)를 설치하고, 상기 회동 조작 부재(118)는 상기 적재 장치(100)를 상기 적재 작업 위치(132)로 조작했을 때보다 상기 수납 위치(131)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조작했을 때에 상기 주행 차체(2)에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플로어 스텝(26)을 설치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측방으로 돌출시키는 제 1 적재 작업 위치(132a)로 이동시키면 상기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이 기체의 좌우 방향이 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제 2 적재 작업 위치(132b) 및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키면 상기 적재 부재(102)의 길이 방향이 기체의 전후 방향이 됨과 아울러, 보충 작업 위치(133)에서는 적재 부재(102)의 기체 내측 단부가 플로어 스텝(26)의 외측 단부와 평면으로 보았을 때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102)에는 공간부(122)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 부재(102)를 기체 전방으로 돌출시키는 적재 작업 위치 또는 상기 수납 위치(131)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공간부(122)가 기체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보충 작업 위치(133)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상기 공간부(122)가 기체 내측이며 또한 상기 주행 차체(2)의 외측 단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부재(102)에는 상기 공간부(122)에 인접한 돌출부(120)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120)에 개구부(1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복수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상기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보다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10.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모종 프레임(80)의 복수의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는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최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와 상기 적재 부재(102)의 상하 간격은 상기 예비 모종 적재대(81)끼리의 상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KR20140104935A 2013-08-27 2014-08-13 모종 이식기 KR201500247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5448 2013-08-27
JP2013175448A JP5974996B2 (ja) 2013-08-27 2013-08-27 苗移植機
JPJP-P-2014-074240 2014-03-31
JP2014074240A JP5825385B2 (ja) 2014-03-31 2014-03-31 苗移植機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241A Division KR101717608B1 (ko) 2013-08-27 2016-12-23 모종 이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4775A true KR20150024775A (ko) 2015-03-09

Family

ID=5296370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4935A KR20150024775A (ko) 2013-08-27 2014-08-13 모종 이식기
KR1020160177241A KR101717608B1 (ko) 2013-08-27 2016-12-23 모종 이식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241A KR101717608B1 (ko) 2013-08-27 2016-12-23 모종 이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20150024775A (ko)
CN (1) CN104412761B (ko)
MY (1) MY1750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579B1 (ko) 2017-11-09 2020-07-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 재배용 카트형 딸기 모종 이식기
JP6733696B2 (ja) * 2018-03-30 2020-08-05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JP6948580B2 (ja) * 2019-11-26 2021-10-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3824A (ja) * 1991-12-03 1993-06-22 Kubota Corp 乗用型田植機の予備苗収容装置
JP2004298040A (ja) * 2003-03-31 2004-10-28 Kubota Corp 田植機
JP5123705B2 (ja) * 2008-03-28 2013-01-23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
CN201639968U (zh) * 2009-07-06 2010-11-24 高华德 一种作物移栽机
JP5672105B2 (ja) 2011-03-29 2015-02-18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2012135273A (ja) 2010-12-27 2012-07-19 Iseki & Co Ltd 苗移植機
CN102823366B (zh) * 2011-06-15 2016-12-21 井关农机株式会社 苗移植机
CN202232127U (zh) * 2011-10-12 2012-05-30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带太阳能光伏发电向图像传感器供电的智能插秧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75083A (en) 2020-06-04
CN104412761B (zh) 2016-08-24
CN104412761A (zh) 2015-03-18
KR20170001690A (ko) 2017-01-04
KR101717608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2104B (zh) 植苗机
KR101717608B1 (ko) 모종 이식기
CA2795661C (en) Conveyor shift assembly and product cart with conveyor shift assembly
JP2019068784A (ja) 作業車両
JP2011115066A (ja) 乗用型田植機
KR20140094417A (ko) 수전 작업기
JP2012244975A (ja) 苗植機の肥料供給装置
JP6157053B2 (ja) 水田作業機
JP2009261364A (ja) 農作業機
JP5825385B2 (ja) 苗移植機
JP6277930B2 (ja) 苗移植機
KR20190010687A (ko) 무논 작업기
JP6546009B2 (ja) 移植機
JP6261403B2 (ja) 水田作業機
JP5832270B2 (ja) 水田作業機
JP6546010B2 (ja) 移植機
JP2011139680A (ja) 移植機
JP5974996B2 (ja) 苗移植機
JP6024853B1 (ja) 苗移植機
JP2019106936A (ja) 作業車両
JP5045246B2 (ja) 苗株植付機
JP7359190B2 (ja) 乗用型苗植機
JP5678811B2 (ja) 苗移植機
JP2015043701A5 (ko)
JP2015159777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