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1362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1362A
KR20140081362A KR20120151021A KR20120151021A KR20140081362A KR 20140081362 A KR20140081362 A KR 20140081362A KR 20120151021 A KR20120151021 A KR 20120151021A KR 20120151021 A KR20120151021 A KR 20120151021A KR 20140081362 A KR20140081362 A KR 20140081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inclination angle
hole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3982B1 (ko
Inventor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982B1/ko
Priority to JP2013030078A priority patent/JP5623566B2/ja
Priority to CN201310072442.2A priority patent/CN103885155B/zh
Priority to US13/835,414 priority patent/US20140177079A1/en
Priority to JP2014045478A priority patent/JP2014123151A/ja
Publication of KR20140081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982B1/ko
Priority to US15/632,444 priority patent/US1033833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for preventing ghost imag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렌즈 모듈은 제1렌즈;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스트 현상과 플레어 현상과 같은 내면 반사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휴대용 기기(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에 대한 성능이 향상되면서, 휴대용 기기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에 대해서도 높은 해상도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소형 카메라는 점차 많은 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렌즈와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에 렌즈들을 순차적으로 끼워넣어 렌즈들의 광축을 일치시키는 구조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렌즈 배럴에 의해 렌즈들의 광축이 정렬되는 구조이므로, 렌즈 배럴에 장착되는 렌즈들을 모두 동일한 크기 또는 동일한 가공오차로 제작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다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은 내면 반사로 인한 플레어 현상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렌즈 모듈의 해상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렌즈들의 정확한 정렬을 가능케 하면서 플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의 개발이 요청된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특허문헌 1은 렌즈들 간의 초점거리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배럴의 구조를 소개하고 있고, 특허문헌 2는 렌즈 배럴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구조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문헌은 내면 반사로 인한 고스트(ghost) 및 플레어(flare)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어떠한 구성도 소개하고 있지 않다.
KR 2006-081971 A JP 2011-07568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의 정렬이 용이하고 플레어 현상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는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선 팽창계수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2구멍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제1렌즈 군; 상기 렌즈 배럴과 비접촉 상태로 상기 제1렌즈 군과 결합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2렌즈 군과 결합하는 제3렌즈 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 군은 상기 렌즈 배럴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3렌즈 군의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2렌즈 군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군 내지 상기 제3렌즈 군과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렌즈 군 내지 상기 제3렌즈 군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2구멍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내면 반사로 인한 고스트 및 플레어 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렌즈 모듈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렌즈 배럴과 렌즈 간의 접촉이 최소화되므로, 렌즈 배럴과 렌즈의 억지 끼움 구조에서 발생하는 렌즈 배럴 및 렌즈의 변형 형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따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따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렌즈 모듈의 또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110), 제2렌즈(120), 간격 유지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모듈(100)은 선택적으로 차광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모듈(100)은 구현하고자하는 해상도에 따라 복수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110)는 유리, 글라스 몰딩,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렌즈(110)는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1렌즈(110)는 렌즈 모듈(100)에서 제2렌즈(120)보다 피사체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1렌즈(110)는 렌즈 기능부(112)와 플랜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기능부(112)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 기능부(112)는 오목 또는 볼록 또는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제1렌즈(110)의 렌즈 기능부(112)는 제2렌즈(120)를 향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114)는 렌즈 기능부(11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14)는 다른 렌즈(즉, 제2렌즈(12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14)에는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또는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114)를 통해 불필요한 빛이 제2렌즈(120)로 입사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제2렌즈(120)는 유리, 글라스 몰딩, 열경화성 수지, 열가소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2렌즈(120)는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120)는 렌즈 모듈(100)에서 제1렌즈(120)보다 이미지 센서에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일 수 있다.
제2렌즈(120)는 렌즈 기능부(122)와 플랜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기능부(122)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입사광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렌즈 기능부(122)는 오목 또는 볼록 또는 매니스커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 제2렌즈(120)의 렌즈 기능부(122)는 광축(C-C)과 교차하는 부분(즉, 렌즈의 중심) 이외의 지점에서 변곡점을 갖는 형상일 수 있다. 플랜지부(124)는 렌즈 기능부(1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24)는 다른 렌즈(즉, 제1렌즈(11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분일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124)에는 차광 물질이 코팅되거나 또는 차광 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랜지부(124)를 통해 불필요한 빛이 이미지 센서로 입사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1렌즈(110)로부터 제2렌즈(120)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렌즈(110)로부터 입사되는 불필요한 빛이 제2렌즈(120)로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간격 유지 부재(160)에는 광축(C-C)이 통과하는 구멍(16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간격 유지 부재(160)는 렌즈의 내면 반사로 인한 고스트 현상과 플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멍(162)의 내주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경사면(164, 166)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64, 166)은 제1경사면(164)과 제2경사면(16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면(164)과 제2경사면(166)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64, 166, 16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 이상일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면(164, 166, 168)을 통한 고스트 현상 및 플레어 현상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경사면(164)과 제2경사면(16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C)에 대해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거나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C-C)에 대해 상이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전자는 간격 유지 부재(16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고, 후자는 간격 유지 부재(160)에 의한 고스트 현상 및 플레어 현상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는 비철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160)는 구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간격 유지 부재(160)의 성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간격 유지 부재(160)의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간격 유지 부재(160)의 표면에는 차광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0)은 렌즈 배럴(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190)은 원통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렌즈 배럴(190)은 제1렌즈(110) 및 제2렌즈(120)중 어느 하나의 렌즈하고만 결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 배럴(190)은 2개의 렌즈 중 지름이 가장 큰 렌즈하고만 결합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렌즈 배럴(190)과 제2렌즈(120)가 상호 접촉하여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는 렌즈 배럴(190)에 다수의 렌즈를 장착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즉, 렌즈 배럴(190)에 장착되는 다수의 렌즈 중 어느 하나의 렌즈만이 렌즈 배럴(190)과 결합하므로, 렌즈 배럴(190)에 다수의 렌즈를 개별적으로 압입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배럴(190)과 소수의 렌즈만이 접촉하므로, 렌즈 배럴(190)에 다수의 렌즈를 강제로 압입함에 따라 발생하는 렌즈들의 변형 또는 렌즈 배럴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렌즈 배럴(190)은 렌즈들(110, 120)과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90)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폴리아릴레이트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렌즈들(110, 120)과 대체로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가지므로, 주변환경의 온도변화에 따른 렌즈의 수축 또는 팽창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경사면을 갖는 간격 유지 부재(160)를 통해 렌즈의 내면반사로 인한 고스트 현상과 플레어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렌즈 모듈(100)은 렌즈(110, 120)와 렌즈 배럴(190)이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제작되므로,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 렌즈가 팽창 또는 수축하면서 렌즈들 간의 정렬위치가 뒤틀리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간격 유지 부재(160, 170)의 구성에 있어서 전술된 실시 예와 구별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 예의 렌즈 모듈(100)은 복수의 간격 유지 부재(160, 170)를 구비한 점에서 제1실시 예의 렌즈 모듈과 구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간격 유지 부재(160, 170)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간격 유지 부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간격 유지 부재(160, 17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간격 유지 부재(160)에는 제1구멍(162)이 형성되고, 제2간격 유지 부재(170)에는 제2구멍(172)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멍(162)와 제2구멍(172)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전자는 간격 유지 부재(160, 170)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고, 후자는 간격 유지 부재(160, 170)를 통한 고스트 현상 및 플레어 현상의 차단에 효과적일 수 있다. 참고로, 제1구멍(162)과 제2구멍(172)은 제1렌즈(110)로부터 제2렌즈(120)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1구멍(162)의 내주면에는 제1경사면(1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164)은 광축(C-C)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면(164)의 경사각은 렌즈의 크기 및 제1간격 유지 부재(160)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제2구멍(172)의 내주면에는 제2경사면(174)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경사면(174)은 광축(C-C)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경사면(174)의 경사각은 렌즈의 크기 및 제2간격 유지 부재(170)의 배치 위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경사면(174)의 경사각은 제1경사면(164)의 경사각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렌즈 배럴(1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형태에서, 간격 유지 부재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간격 유지 부재(160, 170, 180)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간격 유지 부재는 제1간격 유지 부재(160), 제2간격 유지 부재(170), 제3간격 유지 부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간격 유지 부재(160)에는 제1크기의 제1구멍(162)이 형성되고, 제1구멍(162)의 내주면에는 제1경사면(16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간격 유지 부재(170)에는 제2크기의 제2구멍(172)이 형성되고, 제2구멍(172)의 내주면에는 제2경사면(174)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간격 유지 부재(180)에는 제3크기의 제3구멍(182)이 형성되고, 제3구멍(182)의 내주면에는 제3경사면(18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구멍(162), 제2구멍(174) 및 제3구멍(184)은 서로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제1경사면(164), 제2경사면(174) 및 제3경사면(184)은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면(164)과 제2경사면(174) 또는 제2경사면(174)과 제3경사면(184)은 서로 상이한 경사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경사면(164)과 제3경사면(184)은 동일한 크기의 경사각을 가지나, 제1경사면(164)과 제2경사면(174)은 서로 상이한 경사각과 서로 상이한 경사방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간격 유지 부재들(160, 170, 180)은 필름과 같은 박막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접착되거나 또는 결합하여 일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 모듈(100)은 렌즈(110)와 렌즈(120) 사이에 복잡한 형상의 간격 유지 부재(160, 170, 180)를 장착하는데 유리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의 간격 유지 부재는 서로 상이한 특징을 갖는 구간별로 분리되어 제작되므로, 구멍(162, 172, 182)의 내주면을 더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간격 유지 부재(160, 170, 180)의 경사면(164, 174, 184)을 통한 고스트 현상 및 플레어 현상의 차단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모듈(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렌즈 군(G1, G2, G3)을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렌즈 모듈(100)은 제1렌즈 군(G1), 제2렌즈 군(G2), 제3렌즈 군(G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렌즈 모듈(100)은 전술된 간격 유지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렌즈 모듈(100)에서 피사체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렌즈 군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군(G1)은 피사체측에 가장 가깝게 위치되는 제1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G1)이 제1렌즈(110) 하나만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은 제1렌즈(110) 외에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G1)은 렌즈 배럴(190)과 결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1렌즈 군(G1)의 렌즈는 렌즈 배럴(190)과 접촉하여 광축이 정렬될 수 있다. 즉, 제1렌즈(110)의 상면과 측면은 렌즈 배럴(19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제1렌즈(110)의 광축이 렌즈 배럴(190)의 광축과 일치되게 정렬될 수 있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과 제3렌즈 군(G3) 사이에 배치되며,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군(G2)은 제2렌즈(120), 제3렌즈(130), 제4렌즈(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2렌즈 군(G2)의 렌즈들(120, 130, 140)은 제1렌즈 군(G1)의 렌즈(110)와 결합하여, 제1렌즈 군(G1)의 광축과 일치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은 상호 결합 및 정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G1)에는 원추면 또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제2렌즈 군(G2)에는 전술된 원추면 또는 돌기 또는 홈과 대응되는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렌즈 군(G2)은 렌즈 배럴(190)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2렌즈 군(G2)은 제1렌즈 군(G1)과 접촉할 뿐 렌즈 배럴(190)과는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렌즈 배럴(190)에 다수의 렌즈로 구성되는 제2렌즈 군(G2)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렌즈 군(G2)이 렌즈 배럴(190)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렌즈 군(G1)과 결합하므로, 제2렌즈 군(G2)의 광축이 제1렌즈 군(G1)의 광축과 항상 일치될 수 있다.
제3렌즈 군(G3)은 이미지 센서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3렌즈 군(G3)은 이미지 센서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제5렌즈(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렌즈 군(G3)은 필요에 따라 적외선의 입사를 차단하는 IR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렌즈 군(G3)은 렌즈 배럴(190)과 접촉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제3렌즈 군(G3)은 렌즈 배럴(190)과 결합하여 제2렌즈 군(G2)이 렌즈 배럴(19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렌즈 군(G3)을 구성하는 제5렌즈(150)의 측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면(156)과 경사면(158)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면(156)은 제5렌즈(150)와 렌즈 배럴(190) 간의 마찰면적을 증대시켜, 제5렌즈(150)와 렌즈 배럴(19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경사면(158)은 렌즈 배럴(190)에 대한 제5렌즈(150)의 용이한 압입을 가능케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렌즈 성형용 금형으로부터의 제5렌즈(150)의 용이한 분리도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제3렌즈 군(G3)의 제5렌즈(150)에만 수직면 및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제1렌즈 군(G1) 및 제2렌즈 군(G2)을 구성하는 렌즈들의 측면에도 수직면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제2렌즈 군(G2)과 제3렌즈 군(G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160)의 내주면에는 복수의 경사면(164, 16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격 유지 부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렌즈의 내면 반사로 인한 고스트 현상과 플레어 현상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간격 유지 부재(160)가 제2렌즈 군(G2)과 제3렌즈 군(G3)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간격 유지 부재(160)는 필요에 따라 제2렌즈 군(G1)과 제2렌즈 군(G2)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2렌즈 군(G2)을 구성하는 렌즈와 렌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렌즈 모듈
110 제1렌즈
120 제2렌즈
130 제3렌즈
140 제4렌즈
150 제5렌즈
160, 170, 180 간격 유지 부재
190 렌즈 배럴

Claims (31)

  1. 제1렌즈;
    제2렌즈;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
    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선 팽창계수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9. 제1렌즈;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2구멍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와 상기 제2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와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및 상기 제2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16.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과 결합하는 제1렌즈 군;
    상기 렌즈 배럴과 비접촉 상태로 상기 제1렌즈 군과 결합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2렌즈 군과 결합하는 제3렌즈 군;
    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 군은 상기 렌즈 배럴과 접촉하는 렌즈 모듈.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 군의 외주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렌즈 모듈.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군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복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면은,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 및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
    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25.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제1렌즈 군 내지 상기 제3렌즈 군과 동일한 선 팽창계수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 내지 상기 제3렌즈 군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 배럴은 폴리아릴레이트(PAR: Polyarylate)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1구멍이 형성되는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렌즈 군과 상기 제3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고, 광량을 조절하는 제2구멍이 형성되는 제2간격 유지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렌즈 모듈.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 유지 부재 및 상기 제2간격 유지 부재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렌즈 모듈.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1경사각을 갖는 제1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멍의 내주면은 광축에 대해 제2경사각을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모듈.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각과 상기 제2경사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멍과 상기 제2구멍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렌즈 모듈.
KR1020120151021A 2012-12-21 2012-12-21 렌즈 모듈 KR101503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21A KR101503982B1 (ko) 2012-12-21 2012-12-21 렌즈 모듈
JP2013030078A JP5623566B2 (ja) 2012-12-21 2013-02-19 レンズモジュール
CN201310072442.2A CN103885155B (zh) 2012-12-21 2013-03-07 镜头模块
US13/835,414 US20140177079A1 (en) 2012-12-21 2013-03-15 Lens module
JP2014045478A JP2014123151A (ja) 2012-12-21 2014-03-07 レンズモジュール
US15/632,444 US10338338B2 (en) 2012-12-21 2017-06-26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021A KR101503982B1 (ko) 2012-12-21 2012-12-21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362A true KR20140081362A (ko) 2014-07-01
KR101503982B1 KR101503982B1 (ko) 2015-03-18

Family

ID=5095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021A KR101503982B1 (ko) 2012-12-21 2012-12-21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20140177079A1 (ko)
JP (2) JP5623566B2 (ko)
KR (1) KR101503982B1 (ko)
CN (1) CN10388515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14U (ko)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한성하이텍 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94155B (zh) * 2016-07-20 2018-10-3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成像镜头
TWI631381B (zh) 2017-02-22 2018-08-0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環形光學元件組、成像鏡片組與電子裝置
KR101843401B1 (ko) * 2017-12-22 2018-03-29 (주)코원티엔에스 플레어 현상이 저감된 카메라 렌즈용 스페이서 및 이의 제조방법
CN208026940U (zh) * 2018-02-09 2018-10-30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
CN208399783U (zh) * 2018-07-20 2019-01-18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镜头装置
CN112230403B (zh) * 2018-11-08 2022-09-30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镜头组、指纹识别装置和电子设备
CN209525516U (zh) * 2018-12-29 2019-10-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以及电子设备
JP2021063954A (ja) * 2019-10-16 2021-04-22 京セラ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撮像装置および移動体
KR20210052936A (ko) 2019-11-01 2021-05-11 삼성전기주식회사 간격 유지 부재 및 카메라 모듈
WO2021090720A1 (ja) * 2019-11-06 2021-05-14 ソニー株式会社 光学測定装置及びレンズ構造体
KR20220056698A (ko) * 2020-10-28 2022-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53317A (ja) * 1987-04-10 1988-10-20 Hitachi Ltd レンズ鏡胴
JPH06300950A (ja) * 1993-04-12 1994-10-28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鏡胴のレンズ間隔環構造
JPH0720368A (ja) * 1993-07-02 1995-01-24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鏡筒の反射防止用遮光線
JPH09281374A (ja) * 1996-04-11 1997-10-31 Canon Inc 光学系鏡筒におけるレンズ保持方法並びに光学系鏡筒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3270711A (ja) * 2002-03-13 2003-09-25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用アダプタ
JP2004138865A (ja) 2002-10-18 2004-05-13 Tamron Co Ltd 絞り装置、撮像装置および絞り装置の製造方法
JP2004317990A (ja) * 2003-04-18 2004-11-11 Sony Corp レンズ固定方法、レンズ固定装置、及びレンズ本体
JP4137726B2 (ja) * 2003-07-04 2008-08-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5084470A (ja) * 2003-09-10 2005-03-31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光学系及び撮像装置並びに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DE102004032179A1 (de) * 2004-07-02 2006-01-19 Robert Bosch Gmbh Objektiv mit Kfz-tauglicher Dichtungskonfiguration
JP2006085013A (ja) * 2004-09-17 2006-03-30 Fuji Photo Film Co Ltd レンズホルダ及び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KR100621306B1 (ko) * 2005-01-11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픽업 장치
WO2006080184A1 (ja) * 2005-01-25 2006-08-03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該撮像装置を備えた携帯端末
JP2007057795A (ja) * 2005-08-24 2007-03-08 Tamron Co Ltd レンズ固定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レンズ鏡筒
JP5014624B2 (ja) 2005-12-12 2012-08-29 カンタツ株式会社 撮影レンズ及び撮影レンズを用いた光学機器
JP5053816B2 (ja) * 2007-12-07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CN101609188B (zh) * 2008-06-16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CN101620307A (zh) * 2008-07-02 2010-01-0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相机模组
CN101634738A (zh) * 2008-07-25 2010-01-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相机模组
CN101666899A (zh) * 2008-09-03 2010-03-1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间隔环及使用该间隔环的镜头模组
JP2011008125A (ja) * 2009-06-26 2011-01-13 Kyocera Corp レンズユニット
JP5467205B2 (ja) 2009-09-29 2014-04-09 カンタツ株式会社 光学系レンズ
JP2011221300A (ja) * 2010-04-09 2011-11-04 Fujifilm Corp レンズ装置及び光学アクセサリ
JP2012002979A (ja) 2010-06-16 2012-01-05 Panasonic Corp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2012088585A (ja) * 2010-10-21 2012-05-10 Kantatsu Co Ltd 光学系レンズユニット
KR101172248B1 (ko) * 2010-11-19 2012-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어셈블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4913240B2 (ja) * 2010-12-06 2012-04-11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小型カメラ
JP2012163875A (ja) * 2011-02-09 2012-08-30 Tamron Co Ltd レンズ固定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広角撮像装置
TWI491948B (zh) * 2011-06-07 2015-07-1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TWI530725B (zh) * 2011-07-22 2016-04-2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鏡頭模組
JP2013068857A (ja) * 2011-09-26 2013-04-18 Sony Corp 光学素子、撮像レンズ群および撮像装置
KR101444526B1 (ko) * 2012-07-27 2014-09-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114U (ko)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한성하이텍 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23087A (ja) 2014-07-03
KR101503982B1 (ko) 2015-03-18
CN103885155B (zh) 2016-12-28
JP5623566B2 (ja) 2014-11-12
US20170293104A1 (en) 2017-10-12
CN103885155A (zh) 2014-06-25
JP2014123151A (ja) 2014-07-03
US10338338B2 (en) 2019-07-02
US20140177079A1 (en)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982B1 (ko) 렌즈 모듈
CN108693629B (zh) 含有塑胶透镜的成像透镜组、成像镜头模块及电子装置
KR101444585B1 (ko) 렌즈 모듈
US9507117B2 (en) Lens module
KR101444526B1 (ko) 렌즈 모듈
TWI598614B (zh) 含有雙色模造透鏡的光學鏡頭及電子裝置
CN108957602B (zh) 二次模造环型光学元件、成像镜片组、成像装置及电子装置
US9904031B2 (en) Lens module
TWM520143U (zh) 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CN113311641B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TWI494635B (zh) 光學成像鏡頭及應用此鏡頭之電子裝置
TWI612354B (zh) 含有雙色模造透鏡的光學鏡頭及電子裝置
JP2015176018A (ja) レンズ装置およびこのレンズ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TW202141103A (zh) 成像透鏡組與成像鏡頭模組
CN107918186B (zh) 六非球面透镜
TWI823048B (zh) 相機模組及電子裝置
JP7245685B2 (ja) レンズユニット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CN114076998A (zh) 潜望式摄像模组
US20140085737A1 (en)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22037320A1 (zh) 潜望式摄像模组
KR102064021B1 (ko) 렌즈 모듈
KR20230105259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202331328A (zh) 光學系統及包括其之相機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