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6698A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6698A
KR20220056698A KR1020200141518A KR20200141518A KR20220056698A KR 20220056698 A KR20220056698 A KR 20220056698A KR 1020200141518 A KR1020200141518 A KR 1020200141518A KR 20200141518 A KR20200141518 A KR 20200141518A KR 20220056698 A KR20220056698 A KR 20220056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armost
camera module
accommod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기
손주화
안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4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6698A/ko
Priority to US17/149,071 priority patent/US20220128888A1/en
Priority to TW110101868A priority patent/TWI823048B/zh
Priority to CN202110499783.2A priority patent/CN114509852A/zh
Priority to CN202120976022.7U priority patent/CN214586182U/zh
Publication of KR20220056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6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4
    • H04N5/2257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 Lenses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배럴과 렌즈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고해상도의 카메라 모듈은 4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한다. 렌즈는 렌즈 배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렌즈 내지 제4렌즈는 렌즈 배럴의 안쪽부터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에 배치된 렌즈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렌즈 배럴에 고정하기 위한 압입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압입링은 억지끼움 또는 접착제를 통해 렌즈 배럴에 고정된다. 그러나 압입링을 통한 렌즈의 고정은 카메라 모듈의 제조공정단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압입링과 렌즈 배럴 간의 충분한 결합력(또는 결속력)을 확보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배럴로부터의 렌즈 이탈을 방지하고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상기 제2수용공간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이다.
본 발명은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가 배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D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저면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자제품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휴대용 전화기, 노트북 등에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용범위가 전술된 전자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동작감지, 화상촬상, 얼굴인식, 홍채인식, 가상현실구현, 증강현실구현 등 화면촬상 및 동영상촬영이 필요한 모든 전자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은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렌즈 군은 상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 군 및 제2렌즈 군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고, 제2렌즈 군은 상면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레즈 군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에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에는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최후방 렌즈의 이탈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가 렌즈 배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3매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최전방 렌즈 외 다른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의 제1수용공간은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에는 복수의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의 단차는 렌즈들의 위치를 정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의 단차는 제1렌즈 군의 렌즈들과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렌즈들의 위치 및 광축을 정렬시킬 수 있다.
제1렌즈 군의 최전방 렌즈는 제1수용공간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는 제1수용공간의 상부면 및 내주면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렌즈들은 물체 측으로부터 상면으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의 지름은 제1렌즈 군에서 최후방 렌즈와 가장 인접한 렌즈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최후방 렌즈는 렌즈 배럴에 수용되는 렌즈 중 가장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은 광축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은 광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거리를 광학설계에 따른 수치로 유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전술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렌즈 군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은 위치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물체 측에 가깝게 배치되고, 제2렌즈 군은 상면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렌즈 군 및 제2렌즈 군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은 물체 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고, 제2렌즈 군은 상면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레즈 군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에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에는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과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최후방 렌즈의 이탈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에는 최후방 렌즈의 상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최후방 렌즈가 렌즈 배럴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돌기는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돌기는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전자에 따른 돌기는 최후방 렌즈의 상 측면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고, 후자에 따른 돌기는 제2수용공간으로의 최후방 렌즈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렌즈 군의 최전방 렌즈는 제1수용공간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전방 렌즈는 제1수용공간의 상부면 및 내주면과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는 이웃한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의 지름은 최후방 렌즈의 물체 측에 위치한 렌즈의 지름 또는 제1렌즈 군에서 최후방 렌즈와 가장 인접한 렌즈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은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선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는 최대 지름을 갖는 외주면의 일 부분에서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외주면의 나머지 부분은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과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 간의 간격 또는 거리는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최후방 렌즈와 렌즈 배럴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와 렌즈 배럴의 접촉 부위에는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최후방 렌즈에는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후방 렌즈의 상 측면에는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은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는 제1렌즈 군과 제2렌즈 군 사이의 거리를 광학설계에 따른 수치로 유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0)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은 간격 유지 부재(400), 필터(도시되지 않음),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3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광학부(112)와 플랜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이웃한 렌즈 또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랜지부(114)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제1수용공간(310)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14)의 물체 측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상부면(312)과 접촉하고, 플랜지부(114)의 외주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내측면(314)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에 장착됨으로써 렌즈 배럴(300)의 광축(C)과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5매 렌즈(120, 130, 140, 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6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의 광학성능에 따라 제1렌즈 군(100)을 6매로 미만로 구성하거나 또는 6매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대체로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는 제1렌즈(110: 최전방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제3렌즈(130)는 제2렌즈(12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의 위치와 렌즈들의 크기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와 제3레즈(130)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 중 제2렌즈 군(200)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는 대체로 가장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160)는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는 광학부(282)와 플랜지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28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28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대체로 광축(C)과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3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310)과 제2수용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에는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에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수용위치를 특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316)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316)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의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물체 측에서 상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한 제1지점(P1)에서 최대크기를 갖는 제1반지름(R1)을 가지며, 상면과 가장 인접한 제2지점(P2)에서 최소크기를 갖는 제2반지름(R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용공간(320)의 단면적은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연결하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은 광축(C)에 대해 제1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주면(322)의 제1경사각은 0 보다 크고 1 도 이하일 수 있다. 제1경사각이 0 도(즉,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이 광축(C)과 평행한 경우)이면, 제2수용공간(320)에 의한 최후방 렌즈(280)의 탈거력 방지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제1경사각이 1도를 초과하면 제2수용공간(320)에 최후방 렌즈(280)를 끼워넣기 어렵다. 따라서, 내주면(322)의 제1경사각은 전술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전술된 제1경사각의 수치범위는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이 광축(C)과 대체로 평행한 경우에 한정된다. 따라서,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이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우라면, 제1경사각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1렌즈 군(100)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제2반지름(R2)은 제1렌즈 군(100)에서 최대 크기를 갖는 제6렌즈(160)의 최대 반지름(L6R)보다 클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가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차단 또는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수용공간(320)의 제2반지름(R2)은 최후방 렌즈(280)의 최대 반지름(L8R)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수용공간(320)에서 최후방 렌즈(280)의 하단과 접촉하는 제3지점(P3)에서의 제3반지름(R3)은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최후방 렌즈(280)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에 억지끼움 형태로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322)에 의해 압착되어 내주면(322)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억지끼움 결합 및 마찰결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 렌즈(28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길이(Bh)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플랜지부(284)와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거리(Lhx)보다 클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는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큰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 또는 제2수용공간(320)에 의한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방지효과는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는 렌즈 배럴(3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 또는 렌즈의 총중량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에 5매 미만의 렌즈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잉여길이(Bh-Lhx)를 축소시킬 수 있고, 렌즈 배럴(300)에 5매 이상의 렌즈가 경우에는 잉여길이(Bh-Lhx)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은 간격 유지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의 광축 방향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400)는 최후방 렌즈(280)에 상면방향의 힘을 작용 또는 전달시킴으로써,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0)은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최후방 렌즈(280) 및 그외 렌즈들의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최후방 렌즈(280)의 고정에 필요한 압입링 및 접착제를 생략시킬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의 제조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2)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2)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은 간격 유지 부재(400), 필터(도시되지 않음),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3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광학부(112)와 플랜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이웃한 렌즈 또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랜지부(114)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제1수용공간(310)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14)의 물체 측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상부면(312)과 접촉하고, 플랜지부(114)의 외주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내측면(314)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에 장착됨으로써 렌즈 배럴(300)의 광축(C)과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4매 렌즈(120, 130, 140, 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5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2)의 광학성능에 따라 제1렌즈 군(100)을 5매로 미만로 구성하거나 또는 5매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대체로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는 제1렌즈(110: 최전방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제3렌즈(130)는 제2렌즈(12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의 위치와 렌즈들의 크기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와 제3레즈(130)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 중 제2렌즈 군(200)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는 대체로 가장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제5렌즈(150)는 제1렌즈(110) 내지 제4렌즈(14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는 광학부(282)와 플랜지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28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28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광축(C)에 대해 경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광축(C)에 대해 0보다 크고 0.5도보다 작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과 대체로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렌즈 배럴(3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310)과 제2수용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에는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에는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의 수용위치를 특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316)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316)는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의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물체 측에서 상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한 제1지점(P1)에서 최대크기를 갖는 제1반지름(R1)을 가지며, 상면과 가장 인접한 제2지점(P2)에서 최소크기를 갖는 제2반지름(R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2수용공간(320)의 단면적은 제1지점(P1)에서 제2지점(P2)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즉, 제1지점(P1)과 제2지점(P2)을 연결하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은 광축(C)에 대해 제1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주면(322)의 제1경사각은 0 보다 크고 1 도 이하일 수 있다. 제1경사각이 0 도(즉,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이 광축(C)과 평행한 경우)이면, 제2수용공간(320)에 의한 최후방 렌즈(280)의 탈거력 방지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제1경사각이 1도를 초과하면 제2수용공간(320)에 최후방 렌즈(280)를 끼워넣기 어렵다. 따라서, 내주면(322)의 제1경사각은 전술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전술된 제1경사각의 수치범위는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이 광축(C)과 대체로 평행한 경우에 한정된다. 따라서,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이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우라면, 제1경사각의 범위를 변경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1렌즈 군(100)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제2반지름(R2)은 제1렌즈 군(100)에서 최대 크기를 갖는 제5렌즈(150)의 최대 반지름(L5R)보다 클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가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차단 또는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2수용공간(320)의 제2반지름(R2)은 최후방 렌즈(280)의 최소 반지름(L8R)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수용공간(320)에서 최후방 렌즈(280)의 하단과 접촉하는 제3지점(P3)에서의 제3반지름(R3)은 최후방 렌즈(280)의 최소 반지름(L8R)과 같거나 또는 최소 반지름(L8R)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최후방 렌즈(280)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에 억지끼움 형태로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322)에 의해 압착되어 내주면(322)과 동일한 경사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억지끼움 결합 및 마찰결합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후방 렌즈(280)의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길이(Bh)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플랜지부(284)와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이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거리(Lhx)보다 클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는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큰 구실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 또는 제2수용공간(320)에 의한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방지효과는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잉여길이(Bh-Lhx)는 렌즈 배럴(300)에 수용되는 렌즈의 매수 또는 렌즈의 총중량에 따라 증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에 5매 미만의 렌즈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잉여길이(Bh-Lhx)를 축소시킬 수 있고, 렌즈 배럴(300)에 5매 이상의 렌즈가 경우에는 잉여길이(Bh-Lhx)를 증가시킬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간격 유지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의 광축 방향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400)는 최후방 렌즈(280)에 상면방향의 힘을 작용 또는 전달시킴으로써,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은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접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상 측면과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의 플랜지부(284)에는 접착부재(600)를 수용하기 위한 홈(2844)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에 형성된 홈(2844)은 접착부재(600)와 최후방 렌즈(280)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홈(2844)은 플랜지부(284)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랜지부(284)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2)은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최후방 렌즈(280) 및 그외 렌즈들의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최후방 렌즈(280)의 외주면(2842)과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322)이 대체로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외주면(2842)과 내주면(322) 간의 면접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2)은 외주면(2842)과 내주면(322) 간의 면접촉을 통해 최후방 렌즈(280)의 들뜸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도 8 내지 11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4)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4)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4)은 간격 유지 부재(400), 필터(도시되지 않음),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배럴(3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광학부(112)와 플랜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이웃한 렌즈 또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랜지부(114)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제1수용공간(310)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14)의 물체 측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상부면(312)과 접촉하고, 플랜지부(114)의 외주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내측면(314)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에 장착됨으로써 렌즈 배럴(300)의 광축(C)과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5매 렌즈(120, 130, 140, 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6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4)의 광학성능에 따라 제1렌즈 군(100)을 6매로 미만로 구성하거나 또는 6매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대체로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는 제1렌즈(110: 최전방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제3렌즈(130)는 제2렌즈(12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의 위치와 렌즈들의 크기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와 제3레즈(130)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 중 제2렌즈 군(200)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는 대체로 가장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160)는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는 광학부(282)와 플랜지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28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28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대체로 광축(C)과 평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3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310)과 제2수용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에는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에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수용위치를 특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316)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316)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의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은 대체로 광축(C)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이 광축(C)과 반드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의 반지름(R)은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보다 다소 클 수 있다. 참고로, 내주면(322)의 반지름(R)과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 간의 편차는 0 ~ 3 ㎛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에는 돌기(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500)의 단면 형상은 대체로 반원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돌기(500)의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 들어, 돌기(500)의 단면은 곡면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500)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00)를 내주면(322)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길이(Bh)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플랜지부(284)와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이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거리(Lhx)보다 클 수 있다.
돌기(5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방지 및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수용공간(320)의 시작지점 또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 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돌기(500)의 중심까지의 거리(Ph)는 Lhx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Ph로부터 돌기(500)의 반지름(PR)을 감산한 값(Ph-PR)은 Lhx와 같거나 또는 Lhx 보다 클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 돌기(5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상 측면을 지지하여 최후방 렌즈(280)가 상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최후방 렌즈(280)를 물체 측으로 밀어올리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4)은 간격 유지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의 광축 방향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400)는 최후방 렌즈(280)에 상면방향의 힘을 작용 또는 전달시킴으로써,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4)은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최후방 렌즈(280) 및 그외 렌즈들의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4)은 반원 형태의 돌기(500)를 통해 최후방 렌즈(280)를 물체 측으로 밀어올려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 내지 16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6)은 제1렌즈 군(100), 제2렌즈 군(200),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16)의 구성이 전술된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6)은 간격 유지 부재(400), 필터(도시되지 않음),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300)을 광축 또는 광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110)를 포함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광학부(112)와 플랜지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11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114)는 이웃한 렌즈 또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부(112)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플랜지부(114)는 렌즈 배럴(300)의 개구(302)를 통해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의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최전방 렌즈(110)는 제1수용공간(310)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랜지부(114)의 물체 측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상부면(312)과 접촉하고, 플랜지부(114)의 외주면은 제1수용공간(310)의 내측면(314)과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최전방 렌즈(110)는 렌즈 배럴(300)에 장착됨으로써 렌즈 배럴(300)의 광축(C)과 일치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1렌즈 군(100)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하나 이상의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 따른 제1렌즈 군(100)은 최전방 렌즈(110) 외에 5매 렌즈(120, 130, 140, 150, 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제1렌즈 군(100)을 구성하는 렌즈의 매수가 6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6)의 광학성능에 따라 제1렌즈 군(100)을 6매로 미만로 구성하거나 또는 6매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대체로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120)는 제1렌즈(110: 최전방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고, 제3렌즈(130)는 제2렌즈(12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의 위치와 렌즈들의 크기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4렌즈(140)와 제3레즈(130)가 대체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렌즈 군(100)의 렌즈 중 제2렌즈 군(200)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렌즈는 대체로 가장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 제6렌즈(160)는 제1렌즈(110) 내지 제5렌즈(150)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 군(2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렌즈 군(200)은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280)를 포함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는 광학부(282)와 플랜지부(284)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부(282)는 광학 성능을 발휘하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의 위치 정렬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282)는 정의 굴절력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플랜지부(284)는 렌즈 배럴(300)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의 외주면(2842)은 광축(C)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주면(2842)은 광축(C)에 대해 0 보다 크고 0.5도보다 작은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최후방 렌즈(280)는 플랜지부(284)는 물체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태이므로 렌즈 배럴(30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렌즈 배럴(300)은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00)의 내부에는 제1수용공간(310)과 제2수용공간(3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은 제1렌즈 군(100)의 렌즈들(110, 120, 130, 140, 150, 16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당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공간(310)에는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수용공간(310)에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수용위치를 특정화하기 위한 복수의 단차(316)가 형성될 수 있다. 단차(316)는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316)는 제1렌즈(110) 내지 제6렌즈(160)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은 제2렌즈 군(200)의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은 대체로 광축(C)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의 반지름(R)은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와 대체로 동일하거나 또는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보다 다소 클 수 있다. 참고로, 내주면(322)의 반지름(R)과 최후방 렌즈(280)의 반지름(L8R) 간의 편차는 0 ~ 3 ㎛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에는 돌기(500)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500)의 단면 형상은 대체로 반원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돌기(500)의 단면 형상이 반원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 들어, 돌기(500)의 단면은 곡면을 갖는 원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500)는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00)를 내주면(322)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수용공간(320)은 최후방 렌즈(28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수용공간(320)의 길이(Bh)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플랜지부(284)와 제2수용공간(320)의 내주면(322)이 접촉하는 지점까지의 거리(Lhx)보다 클 수 있다.
돌기(5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이탈방지 및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수용공간(320)의 시작지점 또는 최후방 렌즈(280)와 전방 부재 간의 접촉지점으로부터 돌기(500)의 중심까지의 거리(Ph)는 Lhx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예로, Ph로부터 돌기(500)의 반지름(PR)을 감산한 값(Ph-PR)은 Lhx와 같거나 또는 Lhx 보다 클 수 있다. 위와 같이 형성되 돌기(5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상 측면을 지지하여 최후방 렌즈(280)가 상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현상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최후방 렌즈(280)를 물체 측으로 밀어올리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은 간격 유지 부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예를 들어,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간격 유지 부재(400)는 제6렌즈(160)와 최후방 렌즈(280) 사이의 광축 방향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간격 유지 부재(400)는 최후방 렌즈(280)에 상면방향의 힘을 작용 또는 전달시킴으로써,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구실을 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은 최후방 렌즈(280)와 렌즈 배럴(300)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접착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재(600)는 최후방 렌즈(280)의 상 측면과 렌즈 배럴(300)의 내주면 사이에 도포될 수 있다. 최후방 렌즈(280)의 플랜지부(284)에는 접착부재(600)를 수용하기 위한 홈(2844)이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84)에 형성된 홈(2844)은 접착부재(600)와 최후방 렌즈(280)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홈(2844)은 플랜지부(284)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플랜지부(284)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모듈(16)은 렌즈 배럴(300)과 최후방 렌즈(28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 충격에 의해 최후방 렌즈(280) 및 그외 렌즈들의 렌즈 배럴(30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최후방 렌즈(280)는 외주면(2842)의 경사를 통해 돌기(500)가 형성된 제2수용공간(320)에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6)은 반원 형태의 돌기(500)를 통해 최후방 렌즈(280)를 물체 측으로 밀어올려 제1렌즈 군(100)과 제2렌즈 군(200) 사이에 불필요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제1렌즈 군
110 최전방 렌즈
200 제2렌즈 군
280 최후방 렌즈
300 렌즈 배럴
310 제1수용공간
320 제2수용공간
400 가격 유지 부재
500 돌기

Claims (14)

  1.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배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은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은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렌즈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지름은 상기 제1렌즈 군에서 상기 최후방 렌즈와 가장 인접한 렌즈의 지름보다 큰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은 광축과 예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물체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최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1렌즈 군;
    상면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최전방 렌즈보다 큰 지름을 갖는 최후방 렌즈를 포함하는 제2렌즈 군; 및
    상기 제1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 및 상기 제2렌즈 군을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렌즈 배럴;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수용공간에는 상기 최후방 렌즈의 상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방 렌즈는 상기 제1수용공간의 서로 다른 복수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지름은 상기 제1렌즈 군에서 상기 최후방 렌즈와 가장 인접한 렌즈의 지름보다 큰 카메라 모듈.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의 외주면과 상기 제2수용공간의 내주면 간의 거리는 물체 측에서 상면 방향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후방 렌즈에는 접착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홈이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 군과 상기 제2렌즈 군 사이에 배치되는 간격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141518A 2020-10-28 2020-10-28 카메라 모듈 KR2022005669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18A KR20220056698A (ko) 2020-10-28 2020-10-28 카메라 모듈
US17/149,071 US20220128888A1 (en) 2020-10-28 2021-01-14 Camera module
TW110101868A TWI823048B (zh) 2020-10-28 2021-01-19 相機模組及電子裝置
CN202110499783.2A CN114509852A (zh) 2020-10-28 2021-05-08 相机模块
CN202120976022.7U CN214586182U (zh) 2020-10-28 2021-05-08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518A KR20220056698A (ko) 2020-10-28 2020-10-2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698A true KR20220056698A (ko) 2022-05-06

Family

ID=7836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518A KR20220056698A (ko) 2020-10-28 2020-10-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128888A1 (ko)
KR (1) KR20220056698A (ko)
CN (2) CN214586182U (ko)
TW (1) TWI8230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109B1 (ko) 2019-09-02 2021-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0910B2 (ja) * 1997-06-24 2002-08-05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モジュール
JP4679906B2 (ja) * 2005-01-13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固定構造
KR100691157B1 (ko) * 2005-04-07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포커싱 무조정형 카메라 모듈
JP2007188034A (ja) * 2005-12-12 2007-07-26 Sharp Corp レンズ保持装置
JP2009186699A (ja) * 2008-02-06 2009-08-20 Alps Electric Co Ltd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61604A1 (ja) * 2008-11-28 2010-06-03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車載用赤外線レンズユニット
CN102331611A (zh) * 2010-07-13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及采用该镜筒的镜头模组
KR101503982B1 (ko) * 2012-12-21 2015-03-1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JP2014164239A (ja) * 2013-02-27 2014-09-08 Konica Minolta Inc 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KR20150092458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9507117B2 (en) * 2014-02-26 2016-11-2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module
TWI620951B (zh) * 2016-03-30 2018-04-11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成像系統
CN206400173U (zh) * 2017-01-18 2017-08-11 东莞市粤辉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小型舞台光束灯镜头组
CN115508973A (zh) * 2017-06-16 2022-12-23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多群组镜头和摄像模组及其电子设备
CN208921940U (zh) * 2018-08-10 2019-05-31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CN208636528U (zh) * 2018-08-15 2019-03-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镜头模组
CN111025514A (zh) * 2018-10-09 2020-04-17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镜头组
JP7245087B2 (ja) * 2019-03-20 2023-03-2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210803840U (zh) * 2019-05-30 2020-06-19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镜片组件及具有镜片组件的光学镜头
WO2020258330A1 (zh) * 2019-06-28 2020-12-3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模组
KR20210044554A (ko) * 2019-10-15 2021-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586182U (zh) 2021-11-02
TWI823048B (zh) 2023-11-21
CN114509852A (zh) 2022-05-17
US20220128888A1 (en) 2022-04-28
TW202217425A (zh) 202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3995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JP562356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7196855B2 (en) Image-capturing lens, image-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unit
CN110161665B (zh) 光学系统
US10261288B2 (en) Optical lens assembly
WO2011024387A1 (ja) レンズ鏡筒、撮像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20210042883A (ko) 악세사리,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시스템
JP4453276B2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
JP2010002930A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
CN104508550A (zh) 相机模块
WO2015159770A1 (ja) カプセル型内視鏡
CN101750699A (zh) 镜头模组
KR102241088B1 (ko) 렌즈 마운트, 이것을 장착가능한 촬상 장치, 및 카메라 마운트
KR20220056698A (ko) 카메라 모듈
US20200099834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module
US9244252B1 (en) Optical lens system
TWI475249B (zh) 攝像裝置與其光學成像鏡頭
US20200099832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module
US20200310071A1 (en) Optical Imaging System and Display Device with Optical Imaging System
KR102303144B1 (ko) 렌즈조립체 및 이것이 포함된 촬상 광학계
US20200099833A1 (en) Optical image capturing module
CN219349247U (zh) 鱼眼镜头
JP2022132238A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レンズ用鏡筒
KR102064021B1 (ko) 렌즈 모듈
KR102303145B1 (ko) 렌즈조립체 및 이것이 포함된 촬상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