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4554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4554A
KR20210044554A KR1020190127854A KR20190127854A KR20210044554A KR 20210044554 A KR20210044554 A KR 20210044554A KR 1020190127854 A KR1020190127854 A KR 1020190127854A KR 20190127854 A KR20190127854 A KR 20190127854A KR 20210044554 A KR20210044554 A KR 20210044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bonding
lense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도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7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4554A/ko
Priority to US16/783,394 priority patent/US20210109308A1/en
Priority to CN202010326152.6A priority patent/CN112731611B/zh
Priority to CN202020629970.9U priority patent/CN211653266U/zh
Publication of KR2021004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5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glu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 및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리브면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정렬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1 본딩부가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에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가 구비되는데, 최근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을 위해 렌즈의 수가 증가되고 있으며, 카메라 모듈의 크기는 소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즉, 카메라 모듈의 크기는 줄어드는 한편 렌즈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므로, 복수의 렌즈 간의 광축을 정렬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조립 및 사용과정에서 여러 요인(예컨대, 열 또는 충격 등)에 의해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복수의 렌즈 간의 광축을 정렬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의 렌즈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키고,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 및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리브면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정렬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1 본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1 본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복수의 렌즈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렬시키고,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II-II'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C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I-I'의 평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의 평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II-II'의 평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제1 렌즈 그룹(G1) 및 제2 렌즈 그룹(G2)을 포함하고,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2)을 더 포함한다.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은 광축을 따라 물체(또는 피사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렌즈 그룹(G1)은 제2 렌즈 그룹(G2)보다 물체(또는 피사체)측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은 각각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포함한다.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축을 따라 기설정된 거리만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그룹(G1)은 제1 렌즈(L1), 제2 렌즈(L2) 및 제3 렌즈(L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렌즈 그룹(G2)은 제4 렌즈(L4), 제5 렌즈(L5), 제6 렌즈(L6) 및 제7 렌즈(L7)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각 렌즈 그룹에 속한 렌즈의 개수에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제1 렌즈(L1)는 물체측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3 렌즈(L3)는 제2 렌즈 그룹(G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를 의미한다.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학부(10)와 리브(11)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리브(11)는 광학부(10)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0)와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11)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제4 렌즈(L4)는 제1 렌즈 그룹(G1)에 가장 가까운 렌즈를 의미하고, 제7 렌즈(L7)는 제1 렌즈 그룹(G1)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렌즈를 의미한다.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는 각각 광학부(30)와 리브(31)를 포함한다. 광학부(30)는 렌즈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체(또는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3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리브(31)는 광학부(30)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30)와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31)는 렌즈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2)에 고정하는 구성일 수 있다.
서로 인접한 렌즈들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렌즈의 리브의 적어도 일 부분은 스페이서와 접촉될 수 있다. 스페이서는 렌즈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고, 불필요한 빛을 차단할 수 있다.
각 스페이서에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도록 광 흡수층이 구비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은 흑색 피막 또는 흑색 산화철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물체 측으로부터 이미지 센서를 향하여 배열된 제1 스페이서(SP1), 제2 스페이서(SP2), 제3 스페이서(SP3), 제4 스페이서(SP4), 제5 스페이서(SP5), 제6 스페이서(SP6) 및 제7 스페이서(SP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SP1)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 사이에 배치되고, 제2 스페이서(SP2)는 제2 렌즈(L2)와 제3 렌즈(L3)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스페이서(SP3)는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에 배치되고, 제4 스페이서(SP4)는 제4 렌즈(L4)와 제5 렌즈(L5) 사이에 배치되고, 제5 스페이서(SP5)는 제5 렌즈(L5)와 제6 렌즈(L6) 사이에 배치되고, 제6 스페이서(SP6)는 제6 렌즈(L6)와 제7 렌즈(L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7 스페이서(SP7)도 제6 렌즈(L6)와 제7 렌즈(L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7 스페이서(SP7)는 제6 스페이서(SP6)와 제7 렌즈(L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는 제3 스페이서(SP3)일 수 있다.
제6 스페이서(SP6)는 복수의 스페이서 중에서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6 스페이서(SP6)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는 다른 스페이서의 광축 방향으로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렌즈 배럴(2)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리브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광축이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즉,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는 서로 상호 결합되어 렌즈 배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의 리브가 렌즈 배럴(2)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렌즈 배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 중 제2 렌즈 그룹(G2)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이하 제3 렌즈(L3)라 함)는 제1 렌즈 그룹(G1)의 나머지 렌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렌즈 배럴(2)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는 서로 상호 결합되어 렌즈 배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는데, 이 경우 의도치 않은 요인(예컨대 열 또는 충격)에 의해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마지막 렌즈인 제3 렌즈(L3)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1 렌즈 그룹(G1)의 나머지 렌즈들의 위치도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3 렌즈(L3)와 렌즈 배럴(2) 사이에 제1 본딩부(20)가 구비된다.
제1 본딩부(20)는 제3 렌즈(L3)와 렌즈 배럴(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제1 본딩홈(21, 22)과 제1 본딩홈(21, 22)에 구비된 접착제(23)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3 렌즈(L3)와 렌즈 배럴(2)에 모두 제1 본딩홈(21, 22)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본딩홈(21, 22)은 제3 렌즈(L3)와 렌즈 배럴(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 예컨대,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 사이에는 스페이서(예컨대, 제3 스페이서(SP3))가 배치되며, 접착제(23)는 제1 본딩홈(21, 22)과 제3 스페이서(SP3)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구비된다.
즉, 제1 본딩홈(21, 22)은 제3 렌즈(L3) 및/또는 렌즈 배럴(2)과 제3 스페이서(SP3)에 의해 밀폐되므로, 접착제(23)가 제1 본딩홈(21, 22)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본딩부(20)는 복수개가 렌즈 배럴(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딩부(2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제1 본딩부(20)는 90°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 중 제1 렌즈 그룹(G1)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렌즈(이하 제7 렌즈(L7)라 함)는 제2 렌즈 그룹(G2)의 나머지 렌즈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렌즈 배럴(2)에 대해 고정될 수 있다.
제2 렌즈 그룹(G2)은 각 렌즈의 리브가 렌즈 배럴(2)의 내부면에 접촉되어 렌즈 배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되는데, 이 경우 의도치 않은 요인(예컨대 열 또는 충격)에 의해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질 염려가 있다.
따라서, 제2 렌즈 그룹(G2)의 복수의 렌즈 중에서 마지막 렌즈인 제7 렌즈(L7)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제2 렌즈 그룹(G2)의 나머지 렌즈들의 위치도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7 렌즈(L7)와 렌즈 배럴(2) 사이에는 제2 본딩부(40)가 구비된다.
제2 본딩부(40)는 제7 렌즈(L7)와 렌즈 배럴(2)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제2 본딩홈(41)과 제2 본딩홈(41)에 구비된 접착제(42)를 포함한다.
제7 렌즈(L7)의 후방(이미지 센서 측)에는 별도의 스페이서나 압입링등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접착제(42)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2 본딩부(40)는 제2 본딩홈(41)으로부터 광축을 향해 연장된 제3 본딩홈(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본딩홈(43)은 접착제(42)의 양이 많은 경우 누설될 수 있는 접착제(4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접착제(42)가 렌즈의 광학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배리어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본딩부(40)는 복수개가 렌즈 배럴(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본딩부(4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제2 본딩부(40)는 90°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본딩부(20)와 제2 본딩부(4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C 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8은 도 6의 I-I'의 평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는 제1 본딩부(20')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와 상이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는 모두 서로 상호 결합되어 렌즈 배럴(2)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렌즈 그룹(G1)의 복수의 렌즈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본딩부(20')는 제3 스페이서(SP3)와 렌즈 배럴(2) 사이에 구비된다.
제1 본딩부(20')는 제3 스페이서(SP3)에 구비된 본딩홈(21')과 본딩홈(21')에 구비된 접착제(23')를 포함한다.
제3 렌즈(L3)와 제4 렌즈(L4) 사이, 예컨대, 제1 렌즈 그룹(G1)과 제2 렌즈 그룹(G2) 사이에는 스페이서(예컨대, 제3 스페이서(SP3))가 배치되며, 접착제(23)는 제1 렌즈 그룹(G1), 제2 렌즈 그룹(G2), 제3 스페이서(SP3) 및 렌즈 배럴(2)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구비된다.
즉, 제1 본딩홈(20')은 제3 렌즈(L3), 제4 렌즈(L4), 제3 스페이서(SP3) 및 렌즈 배럴(2)에 의해 밀폐되므로, 접착제(23')가 본딩홈(21')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본딩부(20')는 복수개가 렌즈 배럴(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딩부(2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4개의 제1 본딩부(20')는 90°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본딩부(20')와 제2 본딩부(4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1': 렌즈 조립체
G1: 제1 렌즈 그룹
G2: 제2 렌즈 그룹
20: 제1 본딩부
40: 제2 본딩부

Claims (16)

  1.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 및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리브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정렬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1 본딩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부는,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가장 가깝게 배치된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제1 본딩홈과 상기 제1 본딩홈에 구비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배치되고,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본딩홈과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부는 복수개가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렌즈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1 본딩부는 90°로 이격되게 배치된 렌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에 끼움 결합되는 렌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1 렌즈 그룹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2 본딩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딩부는,
    상기 제1 렌즈 그룹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상기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 제2 본딩홈과 상기 제2 본딩홈에 구비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딩부는 상기 제2 본딩홈으로부터 광축을 향해 연장된 제3 본딩홈을 더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본딩부는 복수개가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 렌즈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부는 복수개가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본딩부와 상기 제2 본딩부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렌즈 조립체.
  12. 광축을 따라 배치되며, 각각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제1 렌즈 그룹과 제2 렌즈 그룹;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을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렌즈 그룹과 상기 제2 렌즈 그룹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상기 렌즈 배럴에 대해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1 본딩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딩부는,
    상기 스페이서에 구비된 본딩홈과 상기 본딩홈에 구비된 접착제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상기 제1 렌즈 그룹, 상기 제2 렌즈 그룹,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렌즈 배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상기 제1 렌즈 그룹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렌즈와 상기 렌즈 배럴 사이에는 제2 본딩부가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각 렌즈의 리브에 구비된 요철부가 서로 접촉하여 정렬되고,
    상기 제2 렌즈 그룹에 구비된 상기 복수의 렌즈는 상기 렌즈 배럴에 끼움 결합되는 렌즈 조립체.
KR1020190127854A 2019-10-15 2019-10-15 렌즈 조립체 KR2021004455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54A KR20210044554A (ko) 2019-10-15 2019-10-15 렌즈 조립체
US16/783,394 US20210109308A1 (en) 2019-10-15 2020-02-06 Lens assembly
CN202010326152.6A CN112731611B (zh) 2019-10-15 2020-04-23 透镜组件
CN202020629970.9U CN211653266U (zh) 2019-10-15 2020-04-23 透镜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854A KR20210044554A (ko) 2019-10-15 2019-10-15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554A true KR20210044554A (ko) 2021-04-23

Family

ID=72689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854A KR20210044554A (ko) 2019-10-15 2019-10-15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09308A1 (ko)
KR (1) KR20210044554A (ko)
CN (2) CN21165326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54A (ko) * 2019-10-15 2021-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KR20220056698A (ko) * 2020-10-28 2022-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5737B2 (en) * 2009-04-06 2013-03-26 Panasonic Corporation Lens unit
EP2498392A4 (en) * 2009-11-04 2014-04-23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DRIVE MECHANISM AND IMAGING DEVICE USING THE SAME
CN103842876B (zh) * 2011-09-30 2016-01-27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单元及其制造方法
JP6944283B2 (ja) * 2017-06-27 2021-10-0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9095705A (ja) * 2017-11-27 2019-06-2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バレル、電子機器、羽根駆動装置、及びレンズバレルの組み立て方法
US20190187340A1 (en) * 2017-12-20 2019-06-20 Spring Rainbow Optics Co., Ltd Lens assembly module with light shielding film
US11347017B2 (en) * 2018-01-29 2022-05-31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unit
EP3757645B1 (en) * 2018-03-16 2024-03-06 Ningbo Sunny Opotech Co., Ltd. Imaging optical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209471292U (zh) * 2018-09-28 2019-10-08 东莞市旭瑞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隔圈及镜头
CN210270326U (zh) * 2019-08-15 2020-04-07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镜头模组
KR20210044554A (ko) * 2019-10-15 2021-04-23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31611A (zh) 2021-04-30
CN211653266U (zh) 2020-10-09
US20210109308A1 (en) 2021-04-15
CN112731611B (zh) 2023-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78336B2 (en) Lens assembly
US10018808B2 (en) Photograph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13311641B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WO2013125247A1 (ja) レンズユニット
JP562356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110017278A (ko) 웨이퍼-레벨 렌즈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KR20210044554A (ko) 렌즈 조립체
JP6894477B2 (ja) 押さえ環およびレンズモジュール
TWI612354B (zh) 含有雙色模造透鏡的光學鏡頭及電子裝置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US8976451B2 (en) Lens array module
KR20190066522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JP2018072799A (ja) レンズモジュール
KR20220136331A (ko) 렌즈 조립체
CN112835246B (zh) 隔圈及相机模块
JP673505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20210063673A1 (en) Lens module
KR20140073255A (ko) 카메라 모듈
JP6810209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20210011246A1 (en) Lens with shielding structure and lens module
KR20220143113A (ko) 전자 장치
CN112444927A (zh) 镜片组、光学镜头及电子装置
EP3769136B1 (en) Image-sensor fixing structure
TWI789055B (zh) 生物特徵辨識裝置
US10365451B2 (en) Lens array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