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547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547A
KR20200019547A KR1020180140774A KR20180140774A KR20200019547A KR 20200019547 A KR20200019547 A KR 20200019547A KR 1020180140774 A KR1020180140774 A KR 1020180140774A KR 20180140774 A KR20180140774 A KR 20180140774A KR 20200019547 A KR20200019547 A KR 20200019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blocking member
edg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동신
최태수
서솟음
박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44,005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14869B2/en
Priority to CN201921257220.7U priority patent/CN210381040U/zh
Priority to CN201910717693.9A priority patent/CN110830684B/zh
Priority to CN202111355500.3A priority patent/CN113970838A/zh
Publication of KR20200019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547A/ko
Priority to US17/143,628 priority patent/US11391868B2/en
Priority to US17/841,609 priority patent/US1160936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광학부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요구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단순히 줄일 경우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의 성능을 유지 또는 개선하면서도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의 렌즈는 대체로 원형이며,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는 직사각 형상이므로,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렌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렌즈의 크기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렌즈의 일부분을 단순히 제거하기만 하는 경우, 렌즈 배럴과 렌즈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불필요한 빛(일 예로, 미광(stray light))이 유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는 렌즈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광학부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물체측 면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광학부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은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제1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제2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100), 차단부재(200) 및 렌즈 배럴(300)을 포함한다.
렌즈(100)는 렌즈 배럴(300)에 수용된다. 렌즈 배럴(300)에 복수의 렌즈가 수용될 경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배치된다.
렌즈(100)는 광학부(110) 및 플랜지부(130)를 포함한다.
광학부(110)는 렌즈(100)의 광학 성능이 발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일 예로, 피사체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학부(110)를 통과하며 굴절될 수 있다.
광학부(110)는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구면 또는 비구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광학부(110)는 물체측 면(OS, 물체측을 향하는 면)과 상측 면(IS, 상측을 향하는 면)을 포함하고, 물체측 면(OS)은 볼록하며, 상측 면(IS)은 오목하거나 볼록하다.
플랜지부(130)는 렌즈(100)를 다른 구성, 일 예로, 렌즈 배럴(300) 또는 다른 렌즈에 고정하는 부분일 수 있다.
플랜지부(130)는 광학부(110)의 일부의 둘레에서 연장되며, 광학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화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망원 렌즈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렌즈 조립체의 화각은 40° 이하일 수 있다.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는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비원형이다(도 2 참조).
광학부(110)는 제1 가장자리(111), 제2 가장자리(112), 제3 가장자리(113) 및 제4 가장자리(114)를 포함하고, 제1 가장자리(111)와 제2 가장자리(112)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다.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는 각각 제1 가장자리(111)와 제2 가장자리(112)를 연결한다.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제1 가장자리(111)와 제2 가장자리(112)는 원호(arc) 형상을 포함하고,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는 대체로 직선 형상을 포함한다(도 2 참조).
광학부(110)는 물체측 면(OS)이 볼록하므로,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의 물체 측(Object side)은 원호 형상이다(도 6 참조).
도 2를 참조하면, 플랜지부(130)는 제1 플랜지부(131) 및 제2 플랜지부(132)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부(131)는 광학부(110)의 제1 가장자리(111)에서 연장되며, 제2 플랜지부(132)는 광학부(110)의 제2 가장자리(112)에서 연장된다.
광학부(110)의 제1 가장자리(111)는 제1 플랜지부(131)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10)의 제2 가장자리(112)는 제2 플랜지부(132)와 인접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는 플랜지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10)의 일 측면을 의미할 수 있고,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는 플랜지부(130)가 형성되지 않은 광학부(110)의 타 측면을 의미할 수 있다.
렌즈(100)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되고, 금형을 통해 사출 성형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00)는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절단한 것이 아니라, 사출 성형 단계에서 위와 같은 형상을 갖도록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대체로 원형이고,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는 직사각 형상이므로, 원형의 렌즈에 의해 굴절된 모든 빛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렌즈의 광학부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렌즈의 크기를 줄이고, 이를 통해 카메라 모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사출 성형 후에 렌즈의 일부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그 과정에서 렌즈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렌즈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렌즈가 변형되는 경우 필연적으로 렌즈의 광학 성능도 변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100)는, 사출 시에 렌즈(100)의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가 비원형으로 성형되므로, 렌즈(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면서도 렌즈(100)의 성능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와 차단부재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제1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재의 제2 측면도이다.
차단부재(200)는 렌즈(100)의 전방(물체 측을 향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렌즈 배럴(300) 및/또는 렌즈(100)에 결합된다.
차단부재(200)는 렌즈 배럴(300)과 별개의 구성으로 제공되거나, 렌즈 배럴(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재(200)는 대체로 사각 프레임 형상이며, 렌즈(100)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중앙에 개구(210)가 형성된다.
차단부재(200)는 제1 부분(211), 제2 부분(212), 제3 부분(213) 및 제4 부분(214)을 포함하고, 제1 부분(211)과 제2 부분(212)은 서로 마주보며, 제3 부분(213)과 제4 부분(214)은 서로 마주본다. 제3 부분(213)과 제4 부분(214)은 각각 제1 부분(211)과 제2 부분(212)을 연결한다.
제1 부분(211) 내지 제4 부분(214)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개구(210)를 형성한다. 개구(210)는 광학부(11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비원형이다.
차단부재(200)는 플랜지부(130)와 접촉하고, 광학부(110)와 비접촉한다.
차단부재(200)의 제1 부분(211)은 렌즈(100)의 제1 플랜지부(1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차단부재(200)의 제2 부분(212)은 렌즈(100)의 제2 플랜지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차단부재(200)의 제1 부분(211)은 렌즈(100)의 제1 플랜지부(131)와 접촉하고, 차단부재(200)의 제2 부분(212)은 렌즈(100)의 제2 플랜지부(132)와 접촉한다.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은 적어도 일부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은 적어도 일부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와 비접촉하고,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와 비접촉한다.
여기서,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를 가리도록 배치된다. 또한,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를 가리도록 배치된다.
광학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차단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는 원호 형상을 포함한다.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의 물체 측(Object side)이 원호 형상이므로,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의 상측(Image side)은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의 물체 측과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다. 한편, 차단부재(200)의 제3 부분(213)의 물체 측도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의 물체 측(Object side)이 원호 형상이므로,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의 상측(Image side)은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의 물체 측과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을 갖는다. 한편, 차단부재(200)의 제4 부분(214)의 물체 측도 원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재(200)는, 광학부(11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플랜지부(13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보다 광축 방향 위쪽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 및 제4 가장자리(114)와 차단부재(200)의 경계는, 광학부(110)의 제1 가장자리(111) 및 제2 가장자리(112)와 차단부재(200)의 경계보다 광축 방향 위쪽에 위치한다.
광축을 지나고 제1 부분(211)의 저면과 제2 부분(212)의 저면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L1, 이하, 제1 직선이라 함)을 가정하고, 광축을 지나고 제3 부분(213)의 저면과 제4 부분(214)의 저면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L2, 이하, 제2 직선이라 함)을 가정하면, 제1 직선(L1)과 제2 직선(L2)은 서로 다른 평면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2 직선(L2)은 제1 직선(L1)보다 광축 방향 위쪽에 위치한다(도 7 참조).
즉,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에 개구(210)가 형성되는 위치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1 가장자리(111)와 제2 가장자리(112)에 개구(210)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이하다. 여기서, 위치는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를 의미한다.
렌즈(100)의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의 경계는 원주 방향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광학부(110)와 플랜지부(130)의 경계는 제1 가장자리(111)와 제1 플랜지부(131) 사이, 및/또는 제2 가장자리(112)와 제2 플랜지부(132) 사이를 의미한다.
그러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의 물체 측과 제4 가장자리(114)의 물체 측은 원호 형상을 갖기 때문에,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다.
따라서, 차단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210)의 광축 방향으로의 위치가 모두 동일할 경우, 렌즈(100)의 광학부(110)와 차단부재(200) 사이에는 필연적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밖에 없고, 이 공간으로 불필요한 빛(미광(stray light))이 유입되어 이미지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차단부재(200)의 개구(210) 위치가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원호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렌즈 조립체의 내부로 불필요한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배럴(300)과 렌즈(100)는 2면이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100)의 제1 플랜지부(131)와 제2 플랜지부(132)는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렌즈(100)의 광학부(110)는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과 비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와 제4 가장자리(114)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렌즈 배럴(300)의 내부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3 가장자리(113)와 렌즈 배럴(30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렌즈(100)의 광학부(110)의 제4 가장자리(114)와 렌즈 배럴(300) 사이에도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차단부재(200)을 통해 렌즈(100)의 광학부(110)와 렌즈 배럴(300) 사이의 공간으로 불필요한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조립체의 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렌즈 조립체의 사이즈를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렌즈
110: 광학부
130: 플랜지부
200: 차단부재
300: 렌즈 배럴

Claims (15)

  1.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광학부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플랜지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부분보다 상기 광축 방향으로 위쪽에 위치한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하고, 상기 광학부와 비접촉하는 렌즈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원호 형상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는 상기 광축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형상을 갖는 제1 가장자리와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제3 가장자리와 제4 가장자리를 더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제1 가장자리와 상기 제2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는 렌즈 조립체.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와 상기 차단부재의 경계는,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상기 차단부재의 경계보다 상기 광축 방향 위쪽에 위치한 렌즈 조립체.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장자리와 상기 제4 가장자리의 물체 측은 광축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형상인 렌즈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와 상기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부재의 면은 상기 광축에 수직한 방향에서 바라볼 때 원호 형상인 렌즈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서로 마주보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및 서로 마주보는 제3 부분과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부분 내지 상기 제4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상기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플랜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제4 부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광학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광축을 지나고 상기 제1 부분의 저면과 상기 제2 부분의 저면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은, 광축을 지나고 상기 제3 부분의 저면과 상기 제4 부분의 저면을 최단거리로 연결하는 직선과 다른 평면에 위치하는 렌즈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물체측 면은 볼록한 렌즈 조립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비원형인 렌즈 조립체.
  13. 빛을 굴절시키는 광학부 및 상기 광학부의 일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렌즈에 빛이 입사될 수 있도록 개구를 구비하는 차단부재;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부는 비원형이고,
    상기 광학부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상기 차단부재의 적어도 일 부분은 원호 형상을 갖는 렌즈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플랜지부와 접촉하는 제1 부분과 제2 부분, 및 상기 광학부와 비접촉하며,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부분을 연결하는 제3 부분과 제4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부의 물체측 면은 볼록하고,
    상기 제3 부분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4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상기 광학부의 일부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렌즈 조립체.
KR1020180140774A 2018-08-14 2018-11-15 렌즈 조립체 KR20200019547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44,005 US10914869B2 (en) 2018-08-14 2019-06-18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921257220.7U CN210381040U (zh) 2018-08-14 2019-08-05 透镜组件、用于透镜组件的阻挡构件及便携式电子设备
CN201910717693.9A CN110830684B (zh) 2018-08-14 2019-08-05 透镜组件、用于透镜组件的阻挡构件及便携式电子设备
CN202111355500.3A CN113970838A (zh) 2018-08-14 2019-08-05 透镜组件及便携式电子设备
US17/143,628 US11391868B2 (en) 2018-08-14 2021-01-07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7/841,609 US11609361B2 (en) 2018-08-14 2022-06-15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5174 2018-08-14
KR1020180095174 2018-08-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547A true KR20200019547A (ko) 2020-02-24

Family

ID=6963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774A KR20200019547A (ko) 2018-08-14 2018-11-15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19547A (ko)
CN (1) CN2103810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247A (ko) * 2021-04-05 2022-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14869B2 (en) * 2018-08-14 2021-02-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76086A (ko) * 2020-11-30 2022-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247A (ko) * 2021-04-05 2022-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11874519B2 (en) 2021-04-05 2024-01-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0381040U (zh)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7534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63537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426205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8200B1 (ko)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10376842U (zh) 便携式电子设备、光学成像系统及透镜组件
CN110858027B (zh) 便携式电子设备、光学成像系统及透镜组件
US11609361B2 (en)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14955A (ko) 렌즈 모듈
KR101503982B1 (ko) 렌즈 모듈
KR20200019547A (ko) 렌즈 조립체
KR20190129463A (ko) 렌즈 조립체
KR102450923B1 (ko) 렌즈 조립체
KR20220119587A (ko) 촬상 광학계,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381619B1 (ko) 카메라 모듈
KR20190005571A (ko)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KR20220161238A (ko) 촬상 광학계용 프리즘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KR101467854B1 (ko) 소형 모바일 카메라 렌즈 시스템
CN219349242U (zh) 保护玻璃和成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