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086A - 렌즈 조립체 - Google Patents

렌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086A
KR20220076086A KR1020200164893A KR20200164893A KR20220076086A KR 20220076086 A KR20220076086 A KR 20220076086A KR 1020200164893 A KR1020200164893 A KR 1020200164893A KR 20200164893 A KR20200164893 A KR 20200164893A KR 20220076086 A KR20220076086 A KR 20220076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member
lens barrel
tapered portion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연
김석환
윤태호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76086A/ko
Priority to US17/211,336 priority patent/US20220171154A1/en
Priority to CN202121405446.4U priority patent/CN214954300U/zh
Priority to CN202110695726.1A priority patent/CN114578502A/zh
Publication of KR20220076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086A/ko
Priority to KR1020240014976A priority patent/KR2024001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하고, 일부분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렌즈 조립체{Lens assembly}
본 발명은 렌즈 조립체에 관한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배럴에 렌즈를 고정적으로 조립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카메라 모듈에는 렌즈를 내부에 수용하는 렌즈 배럴이 제공된다. 렌즈는 렌즈 배럴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게 되는데, 이때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압입링이 사용된다.
압입링은 렌즈 배럴의 내부에 삽입되어 렌즈를 접촉 지지하게 되는데, 이때 압입링을 렌즈 배럴에 고정시킴으로써 압입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렌즈도 렌즈 배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압입링을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접착제가 사용된다. 이때, 압입링의 외경을 렌즈 배럴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접착제가 빈 공간으로 유입되어 렌즈의 고정 위치에 영향을 주거나 렌즈의 광학면에 흘러들어 해상력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압입링은 렌즈 배럴의 내부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고, 조립 과정에서 압입링이 휘면서 조립되게 된다.
압입링의 조립이 완료되면, 압입링을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접착제를 도포하고 경화하는 과정에서 압입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압입링의 고정 위치가 변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압입링을 보다 안정적으로 렌즈 배럴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렌즈를 지지하는 압입링을 안정적으로 렌즈 배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하고, 일부분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측면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체결부와 대응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렌즈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체결부는 광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직경이 커졌다 줄어드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를 지지하는 압입링을 안정적으로 렌즈 배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렌즈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렌즈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Ⅲ-Ⅲ'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통상의 기술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제1 실시 예: 도 1-3)
도 1은 제1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렌즈 조립체(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조립체(100)는 렌즈 배럴(110), 렌즈(120), 및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0)는 렌즈 배럴(110) 내에 수용되며, 고정부재(140)는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렌즈 배럴(11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이거나 원기둥에서 일방향(예를 들어, Z 방향)으로 양측이 평평하게 깎인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렌즈(120)는 원형에서 양측이 절개된 형태를 갖는 디컷 렌즈(12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120)는 원호부(121) 및 원호부(121)의 양단에서 상응하는 반대편 원호부(121)로 나란하게 연장하는 직선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 배럴(110) 내에 하나의 렌즈(120)만 도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광학요소(예를 들어, 다른 렌즈, 광차단부재, 또는 스페이서)가 렌즈 배럴(11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광학요소가 광차단부재나 스페이서인 경우, 광학요소는 렌즈(120)를 통과한 광을 타측 통과시키는 입사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120)는 광학성능을 발휘하는 광학부(123) 및 광학부(123)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120)는 플랜지부(124)를 통해 렌즈 배럴(110) 또는 다른 광학요소(13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렌즈 배럴(110)은 내부에 렌즈(120) 또는 광학요소(130)가 안착될 수 있는 단차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차부(111)에 렌즈(120)의 플랜지부(124)가 안착됨으로써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 조립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광학요소(130)가 렌즈일 때 광학요소(130)의 플랜지부가 단차부(111)에 안착되고, 렌즈(120)의 플랜지부(124)가 광학요소(130)의 플랜지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의 단차부(111) 또는 광학 렌즈(130) 상에 안착되면 렌즈(120)의 일방향 움직임은 제한된다. 예를 들어, 렌즈(120)가 광학요소(130) 상에 안착되면 광학요소(130)는 렌즈(120)를 +X 방향으로 지지하고, 렌즈(120)가 -X 방향으로 더 움직이지는 못한다. 이때 고정부재(140)가 렌즈(120)의 반대방향(즉, +X 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렌즈 배럴(1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렌즈(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 -X 방향으로 삽입된 이후에, 고정부재(140)가 렌즈(120) 상에 배치되도록 렌즈 배럴(110)에 결합하고, 이는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서 +X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렌즈 배럴(1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140)의 일부가 렌즈 배럴(110)의 내측에 형성된 홈(112)에 수용됨으로써 고정부재(140)가 렌즈 배럴(110)에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110)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으로 홈(112)이 구비되고, 이 홈(112)에 고정부재(140)의 가장자리가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렌즈(120) 상에 조립되었을 때, 렌즈(120)의 광학부(123)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렌즈(120)의 모양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40)의 외측 가장자리는 원에서 양측이 직선으로 절개된 모양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140)는 일부분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지고, 고정부재(140)의 양단(141, 142)은 개방 부분(143)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40)는 멈춤링(또는 스냅링)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의 개방 부분(143)은 렌즈(120)의 직선부(122)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의 양단(141, 142) 사이의 간격이 작아지거나 커짐에 따라 고정부재(140)가 오므라들거나 벌어질 수 있다. 즉, 양단(141, 142)의 간격이 좁아지면 고정부재(140)의 외경이 줄어들고, 양단(141, 142) 간격이 커지면 고정부재(140)의 외경이 커질 수 있다. 고정부재(14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져, 고정부재(140)를 오므리는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벌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40)의 양단(141, 142)에 각각 구비된 제1홀(144)과 제2홀(145) 사이 간격을 공구를 이용하여 좁힐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배럴(110)에서 홈(112)의 전방(+X 방향)의 내경은 고정부재(140)의 외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오므려진 상태의 고정부재(140)를 렌즈 배럴(110)의 홈(1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재(140)를 오므리는 힘을 해제하면 고정부재(140)가 다시 벌어지면서 렌즈 배럴(110)의 홈(112)에 수용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가 홈(112)에 수용된 이후에는 별도의 공구로 고정부재(140)를 오므리지 않는 한 고정부재(140)는 홈(112)에 수용되어 광축방향(즉, X 방향)으로 고정되고, 이에 따라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 고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렌즈(120)가 렌즈 배럴(110)에 1차적으로 안착되었을 때(예를 들어, 렌즈(120)가 -X 방향으로 조립되었을 때), 렌즈(120)의 플랜지부(124)의 상부면(125)은 홈(112)의 일측 벽면(113)과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재(140)가 홈(112)에 수용되었을 때 고정부재(140)의 하부면(146)과 광학요소(130)의 상부면(131) 사이의 거리(d)는 고정부재(140)와 광학요소(130) 사이에 배치된 렌즈(120)의 플랜지부(124)의 두께(t)와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4-6)
도 4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2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렌즈 조립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조립체(200)는 렌즈 배럴(210), 렌즈(220), 및 고정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이나 렌즈(2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공통되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40)는 렌즈(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렌즈(220)가 렌즈 배럴(21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220)가 렌즈 배럴(210)에 -X 방향으로 삽입된 이후에, 고정부재(240)가 렌즈(220) 상에 배치되도록 렌즈 배럴(210)에 결합하고, 이는 렌즈(220)가 렌즈 배럴(210)에서 +X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40)는 렌즈 배럴(210)에 고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240)의 일부가 렌즈 배럴(210)의 내측에 형성된 홈(212)에 수용됨으로써 고정부재(240)가 렌즈 배럴(210)에 조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40)는 렌즈(220) 상에 조립되었을 때, 렌즈(220)의 광학부(223)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4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부(24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돌출부(241)를 수용하도록 구비된 홈(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41)는 고정부재(240)의 외측면의 여러 개소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돌출부는 렌즈(220)의 원호부(221)와 대응하는 위치에 4개가 구비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 예에서 돌출부(241)의 개수나 위치는 다를 수 있다.
고정부재(240)가 홈(212)에 수용되었을 때 고정부재(240)의 하부면(242)과 광학요소(230)의 상부면(231) 사이의 거리는 고정부재(240)와 광학요소(230) 사이에 배치된 렌즈(220)의 플랜지부(224)의 두께(t)와 일치하거나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7-9)
도 7은 제3 실시 예에 따른 렌즈 조립체(300)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렌즈 조립체(3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Ⅲ-Ⅲ' 단면도이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조립체(300)는 렌즈 배럴(310), 및 렌즈 배럴(310) 내부에 고정적으로 수용되는 렌즈(32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310)이나 렌즈(320)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과 공통되며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내지 도 9에서 설명되는 렌즈 조립체(300)에서 렌즈(320)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들과 달리, 렌즈(320) 자체의 구조에 의해 렌즈 배럴(310)에 고정된다. 다만,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서 렌즈 조립체(300)는 도 1 내지 도 6에서 설명된 고정부재(340)를 렌즈(320) 상에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320)는 측면에 체결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310)은 렌즈(320)의 체결부(325)를 수용하는 안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325)와 안착부(312)는 렌즈(320)를 렌즈 배럴(310)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고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광축방향으로 고정된다고 함은 렌즈(320)가 렌즈 배럴(310)에 고정되어 광축과 나란한 제1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및 제1방향과 반대인 제2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측면(326)이 광축과 나란한 일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그 직경(φ)이 커졌다 줄어드는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이경우 안착부(312)의 내경 역시 체결부(325)와 상응하게 변할 수 있다. 즉, 안착부(312)는 내경이 광축과 나란한 일방향으로 커졌다 줄어드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직경이나 내경이란 렌즈(320)의 측면(326) 또는 렌즈 배럴(310)의 내측면 상의 일지점이 중심축(O)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나타내는 하나의 파라미터이다. 예를 들어, 렌즈(320) 측면(326)의 직경(φ)이 커졌다 줄어든다는 것은 렌즈(320)의 중심축(O)에서 측면(326)까지 거리가 중심축(O)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커졌다 줄어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X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제1테이퍼 부분(327), 및 제1테이퍼 부분(327)에서 연장하고 +X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2테이퍼 부분(328)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테이퍼 부분(327)에서 제2테이퍼 부분(328)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불연속적으로 기울기가 달라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테이퍼 부분(327)에서 제2테이퍼 부분(328)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렌즈 배럴(310)에서 바라볼 때 볼록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측면(326)에 볼록부를 포함하고, 안착부(312)는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 배럴(310)의 안착부(312)는 제1테이퍼 부분(327)과 대응하는 제3테이퍼 부분(313) 및 제2테이퍼 부분(328)과 대응하는 제4테이퍼 부분(31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312)의 직경은 +X 방향을 따라 제3테이퍼 부분(313)에서 커지다가 제4테이퍼 부분(314)에서 줄어들 수 있다. 렌즈(320)가 렌즈 배럴(310)의 안착부(312)에 수용되면 안착부(312)의 제3테이퍼 부분(313)은 렌즈(320)의 제1테이퍼 부분(327)과 맞닿아 렌즈(320)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안착부(312)의 제4테이퍼 부분(314)은 렌즈(320)의 제3테이퍼 부분(313)과 맞닿아 렌즈(320)의 +X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렌즈(320)는 렌즈 배럴(310)에 광축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원호부(321)에 구비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직선부(322)에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른 실시 예에서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측면(326)이 광축과 나란한 일방향(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X 방향)으로 그 직경이 줄어들다 커지는 부분을 포함함으로써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20)의 측면(326)은 렌즈(320)의 중심축(O)에서 거리가 중심축(O)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줄어들다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안착부(312)의 내경 역시 체결부(325)와 상응하게 변할 수 있다. 즉, 안착부(312)는 내경이 광축과 나란한 일방향으로 줄어들다 커지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320)의 측면(326)은 +X 방향을 따라 좁아지는 제1테이퍼 부분, 및 제1테이퍼 부분에서 연장하고 +X 방향을 따라 넓어지는 제2테이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테이퍼 부분에서 제2테이퍼 부분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곡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렌즈 배럴(310)의 안착부(312)는 제1테이퍼 부분과 대응하는 제3테이퍼 부분 및 제2테이퍼 부분과 대응하는 제4테이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312)의 직경은 +X 방향을 따라 제3테이퍼 부분에서 줄어들다가 제4테이퍼 부분에서 커질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그 직경이 일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않고, 체결부(325)의 직경은 불연속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부(325)는 광축 방향으로 단차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안착부(312) 역시 체결부(325)의 단차에 대응하는 단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측면(326)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렌즈 배럴(310)의 안착부(312)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렌즈(320)의 체결부(325)는 렌즈(320)의 측면(326)에서 중심으로 패인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경우 렌즈 배럴(310)의 안착부(312)는 함몰부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렌즈 조립체
110: 렌즈 배럴
120: 렌즈
130: 광학요소
140: 고정부재

Claims (12)

  1.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 및
    상기 렌즈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렌즈 배럴에 고정하고, 일부분이 개방된 링 형태를 가지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고정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면에 원주방향으로 구비된 렌즈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양단 간격이 늘어나거나 줄어듦에 따라 그 외경이 커지거나 작아지게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렌즈 배럴의 홈에 수용되고, 오므려진 상태에서 상기 홈에서 분리되게 구비되는 렌즈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멈춤링 형태로 구비는 렌즈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양단에 각각 홀을 구비하는 렌즈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원호부들 및 일측 원호부의 양단에서 타측 원호부로 연장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직선부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방된 렌즈 조립체.
  9.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 내부에 수용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는 측면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 배럴은 상기 체결부와 대응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 상기 렌즈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안착부는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지지하고,
    상기 체결부는 광축과 나란한 제1방향으로 직경이 커졌다 줄어드는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제1방향으로 직경이 커지는 제1테이퍼 부분, 및 상기 제1테이퍼 부분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제2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테이퍼 부분과 상기 제2테이퍼 부분에 대응하는 테이퍼 부분을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렌즈의 측면에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렌즈 조립체.
KR1020200164893A 2020-11-30 2020-11-30 렌즈 조립체 KR20220076086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93A KR20220076086A (ko) 2020-11-30 2020-11-30 렌즈 조립체
US17/211,336 US20220171154A1 (en) 2020-11-30 2021-03-24 Lens assembly
CN202121405446.4U CN214954300U (zh) 2020-11-30 2021-06-23 透镜组件
CN202110695726.1A CN114578502A (zh) 2020-11-30 2021-06-23 透镜组件
KR1020240014976A KR20240017166A (ko) 2020-11-30 2024-01-31 렌즈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893A KR20220076086A (ko) 2020-11-30 2020-11-30 렌즈 조립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976A Division KR20240017166A (ko) 2020-11-30 2024-01-31 렌즈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086A true KR20220076086A (ko) 2022-06-08

Family

ID=790500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893A KR20220076086A (ko) 2020-11-30 2020-11-30 렌즈 조립체
KR1020240014976A KR20240017166A (ko) 2020-11-30 2024-01-31 렌즈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976A KR20240017166A (ko) 2020-11-30 2024-01-31 렌즈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71154A1 (ko)
KR (2) KR20220076086A (ko)
CN (2) CN21495430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6086A (ko) * 2020-11-30 2022-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6519A4 (en) * 2013-11-08 2017-07-05 Institut National d'Optique Auto-centering of an optical element within a barrel
EP3172607B1 (en) * 2014-07-25 2022-07-20 Institut National d'Optique Optical assemblies with tilt-controlled mounting of an optical element in a barrel
CA2961799C (en) * 2014-09-22 2021-03-30 Institut National D'optique Mounting of an optical element in a barrel using a flexible ring
US10834300B2 (en) * 2017-12-05 2020-11-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Mobile device and lens module
RU2737388C1 (ru) * 2018-07-05 2020-11-30 Бейдзин Сяоми Мобайл Софтвэр Ко., Лтд. Узел объектива,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зла объектива, модуль камеры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08712597B (zh) * 2018-07-05 2023-10-1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镜头、镜头加工工艺、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20200019547A (ko) * 2018-08-14 2020-02-24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US10914869B2 (en) * 2018-08-14 2021-02-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220076086A (ko) * 2020-11-30 2022-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166A (ko) 2024-02-06
CN114578502A (zh) 2022-06-03
US20220171154A1 (en) 2022-06-02
CN214954300U (zh)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4283B2 (ja) レンズユニット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5802401B2 (ja) レンズ鏡枠およびレンズ組立体
US7088530B1 (en) Passively aligned optical elements
US5117311A (en) Retaining device of annular member
US11630286B2 (en) Lens unit and cemented lens
KR20240017166A (ko) 렌즈 조립체
JP6951967B2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金型の製造方法
JP2006284789A (ja) レンズ鏡胴
JP2007188010A (ja) レンズ装置及び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保持方法
JP7103818B2 (ja) レンズユニット
JP3841761B2 (ja) 撮影レンズ及び該撮影レンズを用いた光学機器
KR20100015209A (ko) 렌즈 모듈
JP6936216B2 (ja) レンズユニット
JP2019179076A (ja) レンズユニット
JPS6345562B2 (ko)
JPS63131110A (ja) プラスチツクレンズ保持装置
KR20060099712A (ko) 자동 정렬 렌즈 및 그 렌즈를 이용한 렌즈 어셈블리
JP7117879B2 (ja) レンズユニット
WO2019181680A1 (ja) 鏡筒
KR20050086842A (ko) 렌즈경통 및 촬상장치
JP2020030387A (ja) レンズユニット及び遮光板
JPS6315565B2 (ko)
KR200391790Y1 (ko) 자동 정렬 렌즈 및 그 렌즈를 이용한 렌즈 어셈블리
TWI775546B (zh) 鏡頭模組
WO2023189575A1 (ja) レンズ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