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5209A - 렌즈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5209A
KR20100015209A KR1020080076153A KR20080076153A KR20100015209A KR 20100015209 A KR20100015209 A KR 20100015209A KR 1020080076153 A KR1020080076153 A KR 1020080076153A KR 20080076153 A KR20080076153 A KR 20080076153A KR 20100015209 A KR20100015209 A KR 20100015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acer
module
optical axis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3005B1 (ko
Inventor
노정은
동성운
문양호
이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005B1/ko
Priority to CN2009101369309A priority patent/CN101644813B/zh
Priority to US12/453,123 priority patent/US7869146B2/en
Publication of KR20100015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lens and mount having complementary engagement means, e.g. screw/threa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렌즈의 형상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적층되는 렌즈들 중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한 렌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광축정렬을 위한 렌즈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렌즈 모듈{Lens Module}
본 발명은 렌즈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렌즈의 형상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중심이탈이 발생한 렌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렌즈의 광축정렬을 위한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렌즈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렌즈 모듈은 소정 크기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배럴 내부에 사출성형방식 또는 가공방식 등을 통해 구비되는 렌즈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배치하고, 상기 렌즈들 사이에는 렌즈와 렌즈 사이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스페이서를 배치하며, 압입링을 통해 적층된 렌즈와 스페이서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렌즈와 배럴의 경우 가공오차 및 성형오차를 가지기 때문에 렌즈의 외경은 배럴의 내경에 비해 작은 사이즈를 가지거나 큰 사이즈를 가지도록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경우, 렌즈와 바렐 사이의 공차 관계에 따라서 광축(optical axis)으로부 터의 중심이탈(decenter)이 결정된다.
바렐의 내경이 렌즈의 외경보다 큰 경우에는 렌즈를 바렐 내부에 적층하는데 있어 렌즈에 가해지는 응력은 작은 반면, 렌즈간의 중심이탈의 크기는 증가하게 된다.
반면에, 바렐의 내경이 렌즈의 외경보다 작은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외력을 가하여 강제적으로 삽입하게 되는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렌즈를 배럴의 내부에 배치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와 같은 렌즈와 배럴은 통상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열변형과 소성변형에 취약하다는 제한이 따르며, 비록 중심이탈의 크기는 줄어들지만 억지끼움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마찰에 의해 렌즈의 변형이 발생하거나 파손이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복수개의 렌즈가 적층되는 경우 어느 렌즈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어 광축정렬을 위한 렌즈의 광축 보정이 사실상 곤란하여 제품의 불량을 초래한다.
특히, 고화소에 대응하기 위해서 오차가 매우 작은 고정밀 렌즈의 제작을 필요로 하는 최근의 추세에서는 이러한 종래의 제작방식을 통한 정밀한 렌즈 모듈의 제작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렌즈의 형상변형이 발생하지 않으며, 적층되는 렌즈들 중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한 렌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광축정렬을 위한 렌즈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렌즈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렌즈면과 리브로 이루어지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과 리브 사이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중심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가 변하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를 따라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 외곽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리브와 단차를 이루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렌즈면 측으로부터 상기 리브 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렌즈의 외주면에서 광축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부면이 상기 제2렌즈의 하부면과 면접하여 상기 제2렌즈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부면이 외주면 측으로부터 상기 렌즈면 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중심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렌즈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가 변하도록 상기 제1렌즈의 리브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렌즈면을 따라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은 구조가 간단하며, 렌즈의 형상변형이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적층되는 렌즈들 중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한 렌즈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렌즈의 광축정렬을 위한 위치보정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실시예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L1), 제2렌즈(L2), 스페이서(20), 안착부(2), 돌기부(120), 고정링(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는 사출에 의해 제작되는 플라스틱 렌즈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어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는 중심부에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렌즈면(3)과, 상기 렌즈의 외주면까지 이어지는 평평한 형상의 리브(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렌즈면(3)과 리브(1) 사이에는 상기 스페이서(20)가 안착되어 적층되는 안착부(2)가 상기 제1렌즈(L1)의 상부 측에 구비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부(2)는 상기 제1렌즈(L1)의 렌즈면(3) 외곽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리브(1)와 단차를 이루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렌즈(L1)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스페이서(20)는 그 하단면이 상기 안착부(2)의 상단면과 면접하여 안착되며 상기 리브(1)와는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적층되게 된다.
상기 안착부(2)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 상기 렌즈면(3)과 리브(1) 사이에 추가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렌즈(L1)의 사출성형시 상기 렌즈면(3) 및 리브(1)와 함께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착부(2)가 상기 제1렌즈(L1)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2렌즈(L2)의 상부에도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페이서(20)는 상기 제1렌즈(L1)의 상부에 적층되는 상기 제2렌즈(L2)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입사광이 상기 렌즈면(3)으로 유입되도록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홀을 중심부에 구비한다.
상기 스페이서(20)는 그 상부로 적층되는 상기 제2렌즈(L2)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상부면이 평평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20)는 적층과정에서 광축(OA)으로부터의 중심이탈(decenter)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착부(2)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높이가 변하도록 하부면에 복수개의 돌기(21,22,23)로 이루어지는 돌기부(120)를 돌출형성하여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돌기부(120)의 형상 및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돌기부(120)는 제1돌기(21), 제2돌기(22), 제3돌기(23)의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며, 중심부의 광축(OA)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돌기부(120)의 돌기(21,22,23)는 상기 안착부(2)의 단차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2)를 따라서 연속하여 구비된다. 즉, 상기 안착부(2)의 단차면을 따라 환고리형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기부(120)의 돌기(21,22,23)는 상기 광축(OA)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각의 제1돌기(21), 제2돌기(22), 제3돌기(23)의 높이와 상기 각각의 돌기(21,22,23)의 상기 안착부와의 거리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제1돌기(21)의 높이와 상기 제1돌기(21)의 상기 안착부(2)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고, 상기 제2돌기(22)의 높이와 상기 제2돌기(22)의 상기 안착부(2)와의 거리 또한 서로 동일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3돌기(23)의 높이와 거리도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페이서(20)가 상기 렌즈와 함께 별도의 독립된 구성요소로 상기 제1렌즈(L1) 상부에 적층되고, 다시 상기 스페이서(20) 상부에 상기 제2렌즈(L2)가 적층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스페이서(20)는 그 상부면이 상기 제2렌즈(L2)의 하부면과 면접하여 접착제 등을 통해 상기 제2렌즈(L2)와 일체를 이루며 적층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페이서(20)는 독립된 구성요소가 아닌 상기 제2렌즈(L2)와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제2렌즈(L2)의 외주면에서 광축(OA)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L2)와 일체를 이루며 구비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다.
상기 고정링(12)은 렌즈배럴(10) 내에 적층되는 상기 렌즈 및 스페이서가 상기 렌즈배럴(10)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렌즈배럴(10)내에 억지끼움 또는 나사조임방식을 통해 고정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돌기부(120)를 통해 어느 정도의 거리만큼 중심이탈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렌즈배럴(10) 내에 적층되는 상기 제1렌즈(L1), 스페이서(20), 제2렌즈(L2)에 중심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층체의 길이는 L이 된다. 이는 각각 제조된 상기 렌즈와 스페이서의 두께(높이)를 측정함으로써 미리 예측할 수 있다.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제1렌즈(L1) 상부로 적층되는 상기 스페이서(20)가 거리 a(단위:㎛)만큼 광축에서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1돌기(21)가 상기 안착부(2) 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스페이서(20) 및 제2렌즈(L2)의 위치가 a만큼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적층 후 적층체의 길이를 측정하면 전체 길이는 L+a가 되며, 이 경우 거리 a만큼 광축으로부터 중심이탈이 발생하였음을 쉽게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0)가 거리 b(단위:㎛)만큼 광축에서 이탈하게 되면, 상기 제2돌기(22)가 상기 안착부(2) 상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스페이서(20) 및 제2렌즈(L2)의 위치가 b만큼 위로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적층 후 적층체의 길이를 측정하면 전체 길이는 L+b가 되며, 이 경우 거리 b만큼 광축으로부터 중심이탈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에서 상기 렌즈가 2개 이상의 다층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렌즈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돌기부의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돌기부에 관한 구조 및 기능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를 포함하여 제3렌즈(L3) 및 제4렌즈(L4)의 다층렌즈로 구성되며, 각 렌즈들 사이에는 제1스페이서(20), 제2스페이서(30) 및 제3스페이서(40)가 배치된다.
상기 제1스페이서(20), 제2스페이서(30) 및 제3스페이서(40) 각각에 돌출형성되는 제1돌기부(120), 제2돌기부(130) 및 제3돌기부(140)는 전체적인 구조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돌기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1돌기부(120)의 제1돌기(121), 제2돌기(122) 및 제3돌기(123)는 안착부(2)의 단차면을 따라 환고리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광축(OA)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그 높이가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2돌기부(130)에서 높이가 가장 작은 제4돌기(131)는 그 높이가 상기 제1돌기부(120)에서 가장 큰 제3돌기(123)보다 높이가 큰 구조로 형성되며, 제3돌기부(140)에서 높이가 가장 작은 제7돌기(141)는 그 높이가 상기 제2돌기부(130)에서 가장 큰 제6돌기(133)보다 큰 구조로 형성된다.
즉, 동일한 돌기부 내에서 각 돌기의 높이는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증가하며, 각 돌기부의 전체 높이는 상부 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증가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렌즈 및 스페이서가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에서 상기 각 돌기부를 통해 어느 위치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방법은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하다.
렌즈배럴(10) 내에 적층되는 각 렌즈 및 각 스페이서에 중심이탈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적층체의 길이는 L이 된다.
그리고, 제1스페이서(20)가 거리 c(단위:㎛)만큼 광축(OA)에서 이탈하게 되면, 적층체의 전체 길이는 L+c가 되어 제2렌즈(L2) 및 제1스페이서(20)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하였음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다.
만일 제2스페이서(30)가 거리 e만큼 광축(OA)에서 이탈하게 되면, 적층체의 전체 길이는 L+e가 되어 제3렌즈(L3) 및 제2스페이서(30)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하였음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체의 어느 위치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하였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어 해당 렌즈 및 스페이서의 위치보정을 통해 전체 적층체의 광축정렬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에서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20,30,40)의 각 돌기부(120,130,140)는 외주면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차 그 높이가 증가하는 단차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 돌기부(120,130,140)를 이루는 구조가 간단하여 설계 및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b)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부의 상단면이 상기 렌즈면 측으로부터 상기 리브 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θ2)를 가지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며, 상기 렌즈의 하부면과 면접하는 상기 스페이서(20,30)의 상부면이 외주면 측으로부터 상기 렌즈면 측 방향으로 소정 각도(θ1)를 가지며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렌즈의 안착면과 하부면이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 또한 경사진 구조를 가짐으로써 적층시 중심이탈의 발생을 저감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도 렌즈 모듈을 구성하는 구성은 상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돌기부의 구체적인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다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상기 돌기부에 관한 구조를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은 제1렌즈(L1), 제2렌즈(L2), 스페이서(20), 안착부(3), 돌기부(120), 고정링(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렌즈(L1) 및 제2렌즈(L2)는 중심부에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렌즈면(3)과, 상기 렌즈면(3)에서 외주면까지 이어지는 평평한 형상의 리브(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심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렌즈(L1)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20)의 높이가 변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부(120)가 상기 제1렌즈(L1)의 리브(1)면 상에 돌출형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기부(120)의 각 돌기는 광축(OA)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지며, 상기 제1렌즈(L1)의 렌즈면(3)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렌즈면(3)을 따라서 연속하여 환고리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돌기부(120)의 각 돌기는 광축(OA)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상기 제1렌즈(L1)와 제2렌즈(L2)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스페이서(20) 는 그 하부면에 상기 제1렌즈(L1)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하는 안착부(2)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2)는 상기 스페이서(2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상기 홀의 둘레를 따라 광축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형성되는 동심원의 환상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2)의 하단면은 상기 제1렌즈(L1)의 렌즈면(3)과 돌기부(120) 사이의 리브(1)면 상에 안착되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중심이탈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렌즈가 다층으로 구비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렌즈 모듈에서 돌기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3)

  1. 렌즈면과 리브로 이루어지는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과 리브 사이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중심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가 변하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안착부를 따라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 외곽을 따라 연속하여 구비되며, 상기 리브와 단차를 이루며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렌즈면 측으로부터 상기 리브 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렌즈의 외주면에서 광축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렌즈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부면이 상기 제2렌즈의 하부면과 면접하여 상기 제2렌즈와 일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그 상부면이 외주면 측으로부터 상기 렌즈면 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10. 제1렌즈;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제1렌즈의 상부에 안착되어 적층되도록 상기 스페이서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안착부; 및
    중심이탈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렌즈에 안착되는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가 변하도록 상기 제1렌즈의 리브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돌기부;
    를 포함하는 렌즈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을 중심으로 각각 서로 다른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광축으로부터 외주면 측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돌기는 상기 제1렌즈의 렌즈면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렌즈면을 따라서 연속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모듈.
KR1020080076153A 2008-08-04 2008-08-04 렌즈 모듈 KR100973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53A KR100973005B1 (ko) 2008-08-04 2008-08-04 렌즈 모듈
CN2009101369309A CN101644813B (zh) 2008-08-04 2009-04-28 透镜模块
US12/453,123 US7869146B2 (en) 2008-08-04 2009-04-29 Lens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153A KR100973005B1 (ko) 2008-08-04 2008-08-04 렌즈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209A true KR20100015209A (ko) 2010-02-12
KR100973005B1 KR100973005B1 (ko) 2010-07-30

Family

ID=4160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153A KR100973005B1 (ko) 2008-08-04 2008-08-04 렌즈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69146B2 (ko)
KR (1) KR100973005B1 (ko)
CN (1) CN1016448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3283B (zh) * 2009-09-28 2014-03-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组合镜片及其使用的镜头模组
TWI481918B (zh) * 2010-07-12 2015-04-21 Hon Hai Prec Ind Co Ltd 鏡筒及採用該鏡筒的鏡頭模組
KR101228636B1 (ko) * 2011-01-18 2013-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TWI509306B (zh) * 2011-07-22 2015-11-2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WO2016084390A1 (ja) * 2014-11-27 2016-06-02 京セラ株式会社 レンズ、レンズユニット及び撮像装置
TWI639029B (zh) 2017-04-10 2018-10-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含有塑膠透鏡的成像透鏡組、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US11934029B2 (en) * 2019-08-30 2024-03-1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ens assembly
US20210302684A1 (en) * 2020-03-25 2021-09-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pacer and lens assembly including space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3936A (ja) * 1993-10-18 1995-05-02 Fuji Photo Optical Co Ltd レンズの間隔調整スペーサ
JP3956454B2 (ja) 1997-11-18 2007-08-08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支持装置、支持方法および投影露光装置
JP2004271782A (ja) * 2003-03-07 2004-09-30 Alps Electric Co Ltd ホルダ付光学素子
KR100616669B1 (ko) 2005-01-28 2006-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JP2006234989A (ja) 2005-02-23 2006-09-07 Nidec Copal Corp レンズユニット
KR200391790Y1 (ko) 2005-03-14 2005-08-09 주식회사 옵토마인 자동 정렬 렌즈 및 그 렌즈를 이용한 렌즈 어셈블리
JP4758739B2 (ja) * 2005-11-30 2011-08-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鏡筒
WO2007066549A1 (ja) * 2005-12-05 2007-06-14 Konica Minolta Opto, Inc. 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並びにレンズ位置調整方法
CN101042439A (zh) * 2006-03-22 2007-09-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透镜及具有该种透镜的镜头模组
CN101299091A (zh) * 2007-04-30 2008-1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筒及具有该镜筒的镜头模组
CN101393314B (zh) * 2007-09-21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及其组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44813A (zh) 2010-02-10
US7869146B2 (en) 2011-01-11
KR100973005B1 (ko) 2010-07-30
CN101644813B (zh) 2012-01-11
US20100027137A1 (en)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005B1 (ko) 렌즈 모듈
JP5802401B2 (ja) レンズ鏡枠およびレンズ組立体
JP6213995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7626773B2 (en) Lens unit
US8985789B2 (en) Imaging lens capable of blocking stray light
JP5623566B2 (ja) レンズモジュール
US20160161699A1 (en) Lens module
US9507118B2 (en) Lens module
US20190204527A1 (en) Lens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etal mold
US7636208B2 (en) Lens module
JP5467205B2 (ja) 光学系レンズ
US20150331219A1 (en) Lens assembly
TWI454776B (zh) 鏡片總成
US8351140B2 (en) Lens barrel and lens module
US7609466B2 (en) Lens module and optical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KR100951299B1 (ko) 렌즈 모듈
US8120862B2 (en) Camera module with focusing spring
KR101444622B1 (ko) 렌즈 모듈
US10162172B2 (en) Optical lens and fixture thereof
KR102238471B1 (ko) 카메라 렌즈 지지형 트레이
CN220105385U (zh) 多枚式镜片相互嵌合的镜头结构
US20180017755A1 (en) Lens Module
US20180017756A1 (en) Lens Module
TW202338477A (zh) 透鏡模組
TWI453486B (zh) 鏡片組及具有該鏡片組的鏡頭模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