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669B1 -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 Google Patents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669B1
KR100616669B1 KR1020050008223A KR20050008223A KR100616669B1 KR 100616669 B1 KR100616669 B1 KR 100616669B1 KR 1020050008223 A KR1020050008223 A KR 1020050008223A KR 20050008223 A KR20050008223 A KR 20050008223A KR 100616669 B1 KR100616669 B1 KR 100616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lter
casing
camera module
lenses
lens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272A (ko
Inventor
김호겸
남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669B1/ko
Priority to JP2005349864A priority patent/JP2006209084A/ja
Priority to US11/296,301 priority patent/US20060171701A1/en
Priority to CNB2005101301098A priority patent/CN100403775C/zh
Publication of KR20060087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99Arrangement of photoelectric elements in or on the camer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01M10/465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with solar battery as charg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s Barrels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Abstract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은, 디지탈 기기등에 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에서, 일측에는 수광구멍이 형성되고,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정렬되어 상기 수광구멍으로 통과된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렌즈;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의 일부 파장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상기 렌즈들과 광학 필터를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로 광학 필터를 카메라 모듈에 별도로 장착할 필요없이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시켜 일체화 함으로써, 그 제조 공정중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광학 필터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 크기를 낮출 수 있으며, 광학 성능상의 품질 불량을 최소화하고, 그 제조 공정상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가 얻어진다.
광학 필터, 카메라 모듈, 렌즈 유닛, 디지탈 기기, 광학 품질

Description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A Lens Unit used for A Camera Module Having an Optical Filter therein}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즈 유닛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렌즈 유닛의 구성도로서,
a)도는 광학 필터가 이미지 센서에 부착된 구성도,
b)도는 광학 필터를 접착재로 하우징에 부착시킨 구성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제 4도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 6도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10.... 케이싱 12.... 수광구멍
15a,15b,15c.... 렌즈 20,20a,20b.... 스페이서(Spacer)
30.... 광학 필터 40.... 고정구
100.... 카메라 모듈 102.... 이미지 센서부
120.... 연성기판 124.... 관통구멍
150.... 수광부 152.... 이미지 센서
154.... 포장수지층 160.... 렌즈 유닛
162.... 렌즈 170.... 광학 필터
172.... 하우징 180.... PCB
190.... 접착제 P.... 광 경로
본 발명은 디지탈 광학기기의 카메라 시스템등에 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별도로 광학 필터를 카메라 모듈에 장착할 필요없이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제조 공정중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고, 광학 필터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의 조립 크기를 낮출 수 있으며, 광학 성능상의 품질 불량을 최소화하고, 그 제조 공정상의 단축을 이룰 수 있도록 개선된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
현재, 많은 휴대폰 업체들은 내장형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휴대폰을 개발하여 생산중에 있다. 이러한 휴대폰에 장착되어지는 내장형 카메라 모듈은 그 구성 요소와 패키지 방법등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폰에서 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이미지 센서부(102)가 위치되고, 타측에는 휴대폰의 메인 보드(미도시)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콘넥터(130)가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부(102)와 콘넥터(130)는 연성기판(120)상에 실장되는 소위 COF 공법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이미지 센서부(102)는 연성기판(120)에 투광용 관통구멍(124)이 설치되고, 그 관통구멍(124)의 일측으로는 수광부(150)가 형성되며, 이 수광부(150)가 관통 구멍(124)을 통하여 노출되는 상태로 연성기판(120)의 한쪽 면에 플립칩 방식으로 장착되는 이미지 센서(152)가 배치되고, 그 둘레에 포장수지층(1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152)의 전방측으로 형성된 관통구멍(124)을 통하여 수광부(150)에 연통하도록 렌즈 유닛(160)이 상기 연성기판(120)상에 실장되어 다수의 렌즈(162)들을 카메라 모듈(100)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현재 제작되는 카메라 모듈(100)에서 적외선 또는 자외선 및 가시광선중 필요한 부분을 제외한 파장을 차단할 수 있는 광학 필터(170)는 반드시 구비되어야 할 필수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광학 필터(17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부(102)를 이루는 하우징(172)내에서 연성기판(120)상에 부착되거나,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COB 공법에 적용되어 PCB(180)상의 이미지 센서(152)상에 직접 부착되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고정기구인 하우징(172)에 접착제(190)등으로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 방식은 광학 필터(170)를 연성기판(120)의 상부면에 장착하거나, 이미지 센서(152)위에 장착하거나, 또는 하우징(172)의 내부에 장착하는 동안, 그 제작 공정상 이물질 또는 접착제등이 상기 광학 필터(170)에 부착하거나 묻게 되어 이미지 센서(152)에 의한 수광작용을 방해하고, 그에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의 광학 성능에서 불량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유닛(160)과는 별도로 광학 필터(170)를 장착하기 때문에, 이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설치 구조및 제작 공정이 필요한 것이고, 그에 따라서 제작 원가를 낮출 수 없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조 공정중에 이물질의 유입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품질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개선된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부에 광학 필터가 장착된 조립상태의 높이를 낮출 수 있음으로써, 보다 다양한 구조의 디지탈 기기의 설계및 제작이 가능한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센서부의 내측에 광학 필터를 쉽게 내장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그 제조 공정상의 단축을 이룰 수 있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탈 기기 등에 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에 있어서,
일측에는 수광 구멍이 형성되고,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정렬되어 상기 수광 구멍으로 통과된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렌즈;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의 일부 파장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상기 렌즈들과 광학 필터를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터는 필름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100)의 이미지 센서부(102)에 구비되어 상기 이미지 센서(152)로 광을 투과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1)은 중공형의 케이싱(10)을 갖는 바, 상기 케이싱(10)은 일측에 수광구멍(12)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케이싱(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부(102)의 하우 징(172)에 장착가능한 외경 크기를 갖는 것이다. 물론, 상기 케이싱(10)은 반드시 원통형의 구조일 필요는 없으며, 사용되어지는 렌즈의 형태에 따라서 다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서 정렬되어 상기 수광구멍(12)으로 통과된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렌즈(15a)(15b)들을 구비한다.
도 3에는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복수의 렌즈(15a)(15b)들이 장착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15a)(15b)들은 각각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끼워져서 삽입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러한 렌즈(15a)(15b)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20)가 위치되어 이들 간의 촛점 거리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페이서(20)는 상기 케이싱(10)의 수광구멍(12)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이 아무런 방해없이 후방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광 경로(P)를 중앙에 형성하도록 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스페이서(20)는 그것을 통하여 광이 통과하는 동안, 광의 진행에 대해 아무런 장애도 유발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의 일부 파장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30)를 구비한다.
이러한 광학 필터(30)는 바람직하게는 필름형 또는 얇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Glass Material)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광학 필터(30)는 종래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에 비하여 그 두께가 1/5 내지 1/3 밖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광학 필터(30)의 예로서는, 필름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예를 들면, 3M 사(社)에서 MOF 시리즈등으로 생산 가능한 것들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광학 필터(30)는 종래와 같이 적외선, 자외선, 가시광선중 필요한 부분의 파장을 제외한 모든 파장을 차단시켜 이미지 센서(152)로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Filtering)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 필터(30)를 케이싱(10)의 내측에 내장하여 렌즈 유닛(1)의 제작시에 일체로 제작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서 상기 렌즈(15a)(15b)들과 광학 필터(30)를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구(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구(40)는 케이싱(10)의 하단을 막아서 케이싱(10)의 내측에 이들 렌즈(15a)(15b)들과 광학 필터(30)및 스페이서(20)등을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그 중앙을 광이 통과하여 이미지 센서(152)측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링형의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40)는 그 외주면이 상기 케이싱(10)의 하단에 압입방식(Tight Fitting)이나 또는 접착제등을 도포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을 갖추어 케이싱(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의 분해 사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 필터(30)가 스 페이서(20)와 2차 렌즈(15b)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배열 위치는 상기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광학 필터(30)는 1차 렌즈(15a)와 스페이서(20)의 사이에 배열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와 같이, 정렬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은 렌즈 유닛(1)을 설계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편리한 것이고, 얇은 광학 필터(30)를 사용함으로써 렌즈 유닛(1)의 상하 전체 두께를 얇은 크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광학 필터(30) 자체가 필름형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박형의 유리로 이루어지므로, 그 두께가 종래에 비하여 현저히 얇아질 수 있고, 그 배열 위치가 자유롭기 때문에 렌즈(15a)(15b)의 두께 조절및 설계상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본 발명은 케이싱(10)의 내부에 복수의 1차및 2차 렌즈(15a)(15b)들을 구비하고, 2차 렌즈(15b)와 스페이서(20)와의 사이에 광학 필터(30)가 배치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광학 유닛(1)은 도 5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렌즈(15a)(15b)(15c)들을 케이싱(10)의 내측에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케이싱(10)의 하부측으로 부터 1차 렌즈(15a)가 내측으로 끼워져서 삽입되고, 그 다음으로는 원판 고리형의 제 1스페이서(20a)가 끼워지고, 그 다음으로 2차 렌즈(15b)가 끼워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2차 렌즈(15b)의 다음에는 제 2스페이서(20b)가 위치되고, 상기 제 1및 제 2스페이서(20a)(20b)들은 상기 케이싱(10)의 수광구멍(12)을 통과하여 입사된 광이 아무런 방해없이 후방측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광 경로(P)를 중앙에 각각 형성한 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페이서(20b)의 후방측으로 광의 일부 파장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30)를 구비하고, 그 다음으로 3차 렌즈(15c)를 케이싱(10)의 내측으로 끼우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상기 케이싱(10)의 내측에 상기 렌즈(15a)(15b)(15c)들과 광학 필터(30)를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구(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고정구(40)는 도 3및 도 4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광 경로(P)를 형성하여 광이 통과하도록 하고, 이미지 센서(152)측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링형의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구(40)는 그 외주면이 상기 케이싱(10)의 하단에 압입방식(Tight Fitting)이나 또는 접착제등을 도포하여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케이싱(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도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학 필터(30)가 케이싱(10)의 내측에서 렌즈(15a)(15b)(15c)들 사이에 위치되어 렌스 유닛(1)의 일부로서 동시적으로 제작가능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광학 필터(30)가 제 1렌즈(15a)와 제 2렌즈(15b)들 사이, 또는 제 2렌즈(15b)와 제 3렌즈(15c)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음을 알수 있다.
또는, 상기와는 다르게 스페이서들 사이에 광학 필터(30)가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렌즈 유닛(1)은 그것이 장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의 설계 조건에 맞추어, 렌즈(15a)(15b)(15c)들의 두께 뿐만이 아니라 렌즈(15a)(15b)(15c)들 또는 스페이서들의 장착 갯수에 관계없이, 케이싱(10)내에 광학 필터(30)를 내장하여 제작될 수 있으므로, 카메라 모듈(100)의 설계상의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 케이싱(10)내에 장착되어지는 광학 필터(30)는 필름형 또는 얇은 유리(glass)로 이루어짐으로써 렌즈 유닛(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음은 물론, 그것이 장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100)이나 디지탈 기기등의 두께도 동시에 얇아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다수 개의 렌즈들과 함께 케이싱(10)에 내장하여 일체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광학 필터(170)를 렌즈 유닛과는 별도로 이미지 센서부(102)상에 고정시키는 독립된 장착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별도의 공정을 생략하고 렌즈 유닛(1)내에 일체로 광학 필터(3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카메라 모듈의 제작 공정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렌즈 유닛(1)및 이것이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의 제조 공정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의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의 광학 필터(170)보다 현저하게 렌즈 유닛(1)의 높이를 낮출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그러므로, 현재 디지탈 기기의 시장 추세인 경박단소(輕薄短小)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설계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케이싱의 내부에 게재시켜 렌즈 유닛(1)을 구성하기 때문에, 별도의 광학 필터 고정구조를 카메라 모듈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와 같은 광학 필터 내장형 렌즈 유닛의 구조는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 설계에 관련된 여러가지 설계적 고려사항들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설계및 그 제작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설계및 제작상의 편리함과 용이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종래의 카메라 모듈 구조에 비하여 그 구조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고, 그에 따라서 종래의 카메라 모듈및 렌즈 유닛들에 모두 적용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사용하기 때문에, 그리고 별도의 광학 필터 장착구조등을 설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그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의 제작원가를 저가로 낮출 수 있는 효 과를 얻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를 장착하는 과정이 복잡하지 않고 렌즈들의 조립과 함께 이루어지므로, 제작과정이 단순하고 조립작업이 쉬워서 광학 필터(30)에 이물질등이 부착하거나 렌즈 유닛의 내부로 혼입될 가능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한 광학 성능의 저하 또는 불량품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 필터(30)의 장착을 쉽게 이룰 수 있기 때문에, 각종 디지탈 카메라 또는 렌즈들을 사용하는 모든 광학기기에 쉽게 적용가능한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 또는 도면의 기재 내용을 통하여 당업자들은 상기 실시예와는 다른 본 발명의 변형 구조 또는 균등 구조들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 사상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의 재질 변경, 단순 기능의 부가, 단순 형상변경 또는 치수 변경등이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겠지만,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명백한 것이다.

Claims (8)

  1. 디지탈 기기등에 사용되어지는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에 있어서,
    일측에는 수광구멍이 형성되고, 중공형의 구조를 갖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서 정렬되어 상기 수광구멍으로 통과된 광을 투과시키는 다수개의 렌즈;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광의 일부 파장을 차단하는 광학 필터;및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상기 렌즈들과 광학 필터를 정렬시킨 상태로 유지시키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 필터는 필름형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복수의 렌즈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Spacer)가 위치되며, 상기 렌즈중의 어느 하나와 스페이서의 사이에 상기 광학 필터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들은 적어도 3개의 렌즈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들의 사이에는 스페이서들이 위치되며, 상기 렌즈들의 어느 하나와 상기 스페이서들 중의 어느 하나의 사이에 상기 광학 필터가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스페이서들 사이에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터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재료들에 비하여 그 두께가 1/5 내지 1/3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그 중앙에 광 경로를 형성하여 광이 통과하도록 하고, 이미지 센서측으로 입사되도록 하는 링형의 구조를 갖추며, 상기 고정구는 그 외주면이 상기 케이싱의 하단에 압입방식(Tight Fitting)이나, 또는 접착제등으로 부착되어 일체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8. 제1항에 기재된 렌즈 유닛을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1020050008223A 2005-01-28 2005-01-28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KR100616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223A KR100616669B1 (ko) 2005-01-28 2005-01-28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JP2005349864A JP2006209084A (ja) 2005-01-28 2005-12-02 光学フィルターを内蔵したカメラモジュール用レンズユニット
US11/296,301 US20060171701A1 (en) 2005-01-28 2005-12-08 Lens unit used for camera module having optical filter therein
CNB2005101301098A CN100403775C (zh) 2005-01-28 2005-12-12 在其中具有滤光器的用于相机模块的透镜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223A KR100616669B1 (ko) 2005-01-28 2005-01-28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72A KR20060087272A (ko) 2006-08-02
KR100616669B1 true KR100616669B1 (ko) 2006-08-28

Family

ID=36756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223A KR100616669B1 (ko) 2005-01-28 2005-01-28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71701A1 (ko)
JP (1) JP2006209084A (ko)
KR (1) KR100616669B1 (ko)
CN (1) CN1004037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4627A (ja) * 2002-08-20 2004-03-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1294419B1 (ko) * 2006-03-10 2013-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0863797B1 (ko) * 2006-10-27 2008-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TWI463206B (zh) * 2007-04-10 2014-12-01 Hon Hai Prec Ind Co Ltd 鏡頭模組
KR100973005B1 (ko) 2008-08-04 2010-07-30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US8152904B2 (en) * 2009-09-29 2012-04-10 Liposonix, Inc. Liquid degas system
KR20160088147A (ko) 2015-01-15 2016-07-25 주식회사 엘엠에스 근적외선 흡수층이 형성된 고체 촬상 장치용 커버글라스
US10466501B2 (en) * 2016-05-26 2019-11-05 Ams Sensors Singapore Pte. Ltd. Optoelectronic modules including an optical system tilted with respect to a focal pla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5163A (en) * 1974-03-06 1975-09-16 Tropel Lens making method
JPH10321827A (ja) * 1997-05-16 1998-12-04 Sony Corp 撮像装置及びカメラ
DE60303153D1 (de) * 2002-03-25 2006-04-06 Konica Corp Dreilinsiges Objektiv
JP2004226873A (ja) * 2003-01-27 2004-08-12 Sanyo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229760B2 (ja) * 2003-05-27 2009-02-25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の焦点調整装置
JP2005101911A (ja) * 2003-09-25 2005-04-14 Konica Minolta Opto Inc 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US6898030B1 (en) * 2004-06-17 2005-05-24 Prodisc Technology Inc. Camera lens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1701A1 (en) 2006-08-03
CN1812493A (zh) 2006-08-02
JP2006209084A (ja) 2006-08-10
CN100403775C (zh) 2008-07-16
KR20060087272A (ko)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669B1 (ko) 광학 필터를 내장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유닛
US10827106B2 (en) Camera module
JP6876812B2 (ja) レンズ群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101032391B1 (ko) 전자 소자 웨이퍼 모듈, 전자 소자 모듈, 센서 웨이퍼 모듈, 센서 모듈, 렌즈 어레이 판, 센서 모듈의 제조 방법 및 전자 정보 기기
US8018507B2 (en) Solid-state image sens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same
US20100044814A1 (en) Camera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656452B2 (en) Imaging devic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image device producing method
KR102282687B1 (ko) 일체형 패키징 공정 기반 카메라 모듈, 그 일체형 기저 부품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8720B1 (ko) 광학 필터의 이물질 불량을 최소화한 카메라 모듈
EP2400332A1 (en) Lens unit, aligning method, image pickup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pickup device
JP2009124515A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JP2011120269A (ja) 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電子情報機器
CN114076999B (zh) 潜望式摄像模组
CN101361362B (zh) 摄像装置
JP2004260357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TWI506351B (zh) 攝影模組
KR20050000722A (ko) 소형 카메라 광학계
KR101046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0708940B1 (ko) 적외선 필터 및 윈도우 일체형 카메라 모듈 장치
KR101310431B1 (ko) 카메라 모듈
JP2004260356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211860268U (zh) 镜头组件以及电子设备
KR101058657B1 (ko) 카메라 모듈
TWI747017B (zh) 攝影裝置
KR101901707B1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