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9309A - 공조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조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9309A
KR20140059309A KR20147011375A KR20147011375A KR20140059309A KR 20140059309 A KR20140059309 A KR 20140059309A KR 20147011375 A KR20147011375 A KR 20147011375A KR 20147011375 A KR20147011375 A KR 20147011375A KR 20140059309 A KR20140059309 A KR 20140059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ind direction
adjustment plate
indoor unit
adjus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7011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774B1 (ko
Inventor
마사나오 야스토미
다카히로 오카모토
마사시 가마다
히로노부 데라오카
노리유키 오쿠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CFLUID-CIRCUIT ELEMENTS PREDOMINANTLY USED FOR COMPUTING OR CONTROL PURPOSES
    • F15C4/00Circuit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or on a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the Coanda effe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206Flow affected by fluid contact, energy field or coanda effect [e.g., pure fluid device or system]
    • Y10T137/218Means to regulate or vary operation of device
    • Y10T137/2202By movabl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취출구를 폐색 기미로 만들지 않아도 취출 공기를 소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공조 실내기를 제공한다.
공조 실내기(10)에서는, 제어부(40)가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진 제2 풍향 조정판(32)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기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패널(11b)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종래 구성과 비교해, 취출구(15)가 열린 기미인 채로,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Description

공조 실내기{AIR-CONDITIONING INDOOR UNIT}
본 발명은, 공조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방 전체의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취출 공기를 멀리까지 도달시킬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2-6193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에서는, 전면 패널의 전면 경사부가 천정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지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취출구(吹出口)로부터 취출된 조화 공기가 상하 풍향판에 의해 전면 경사부로 편향되었을 때, 그 조화 공기는 전면 경사부를 따라 천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그 결과, 조화 공기를 천정면을 따라 보다 멀리까지 도달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서는, 조화 공기를 전면 패널을 향하게 하기 때문에, 상하 풍향판이 취출구 상단부에 가까워져, 취출구를 폐색될 기미로 만드므로, 압력 손실이 커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압력 손실을 그다지 크게 하지 않고 취출 공기를 소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공조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취출구로부터 취출되는 취출 공기의 흐름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로서, 제1 풍향 조정판과, 제2 풍향 조정판과,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풍향 조정판은, 취출 공기의 상하 방향을 변경하는 가동의 조정판이다. 제2 풍향 조정판은, 취출구의 근방에 설치되며, 수용 시에 적어도 선단부가 송풍로의 외측에 있어서 실내기 전면부에 수용된다. 제어부는,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자세를 제어한다. 또,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2 풍향 조정판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이격한 자세를 취함과 함께 제2 풍향 조정판과 제1 풍향 조정판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자세를 제어하여, 취출 공기를 제2 풍향 조정판의 하면을 따르게 한 코안다 기류로 한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진 제2 풍향 조정판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기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패널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종래 구성과 비교해, 취출구가 열린 기미인 채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공기 조화된 공기를 취출구까지 유도하는 스크롤을 더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가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할 때,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은,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과 제2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이,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과 제1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보다 크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를 취한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취출 공기가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큰 폭으로 편향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취출 공기가 천정면을 향하게 되고, 또한 천정면을 따라 먼 곳까지 도달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 또는 제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는 수평보다 전방 상향이 된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가 수평, 혹은, 약간 하향이어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향의 공기가 되므로, 취출구 통과 직후의 공기가 무리하게 상향으로 될 필요가 없다. 즉, 제1 풍향 조정판의 통풍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억제되면서 풍향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3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는 취출구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이 송풍로 내에 있는 경우, 제2 풍향 조정판의 하면을 따른 코안다 기류가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을 통과한 취출 공기와 간섭하여, 상향의 기류의 진행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해,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가 취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에서 강한 기류의 발생은 억제된다. 그러므로, 코안다 기류의 상방으로의 유도가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 내지 제4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의 후단부의 높이 위치는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진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 상류측에 진입하므로, 후단부가 부동인 타입과의 비교에서, 보다 상류측에서의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는 취출구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가 취출구보다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코안다 기류가 보다 먼 곳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6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지는 자세로 제어된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기류가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므로, 쇼트 서킷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 내지 제7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제2 풍향 조정판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1 풍향 조정판의 길이 방향의 치수 이상이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 모두를 제2 풍향 조정판이 받으므로,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방으로부터 취출 공기가 쇼트 서킷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제2 풍향 조정판이 소정의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 회동축은, 송풍로로부터 벗어난 장소에 설치되어 있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은, 회동에 의해, 후단부의 높이 위치가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지는 자세를 취한다. 그러므로,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의 상류측에 진입하므로, 보다 상류측에서,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제어부가 하측 취출 모드를 가진다. 하측 취출 모드는,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 각각의 선단을 전방 하향으로 하여 취출 공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모드이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하측 취출 모드에서는, 풍향을 보다 하향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제1 풍향 조정판이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 방향보다 하향이 되었을 때 등은, 제1 풍향 조정판 만으로는 풍향 제어가 용이하지 않지만, 제2 풍향 조정판이 있음으로써 하향의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운전 정지 시 및 운전 시의 실내기 전면부의 자세가 동일하다.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진 제2 풍향 조정판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기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패널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종래 구성과 비교해, 취출구가 열린 기미인 채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는, 제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이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의 후단이 취출 공기의 진행로로 들어간다. 그 결과, 이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 관점 또는 제11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어부가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진 제2 풍향 조정판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기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패널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종래 구성과 비교해, 취출구가 열린 기미인 채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취출 공기가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큰 폭으로 편향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므로, 취출 공기가 천정면을 향하게 되고, 또한 천정면을 따라 먼 곳까지 도달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가 수평, 혹은, 약간 하향이어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향의 공기가 되므로, 취출구 통과 직후의 공기가 무리하게 상향으로 될 필요가 없다. 즉, 제1 풍향 조정판의 통풍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억제되면서 풍향이 변경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가 취출구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에서 강한 기류의 발생은 억제된다. 그러므로, 코안다 기류의 상방으로의 유도가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 상류측에 진입하므로, 후단부가 부동인 타입과의 비교에서, 보다 상류측에서의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의 선단부가 취출구보다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코안다 기류가 보다 먼 곳에 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기류가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므로, 쇼트 서킷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 모두를 제2 풍향 조정판이 받으므로,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방으로부터 취출 공기가 쇼트 서킷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은, 회동에 의해, 후단부의 높이 위치가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지는 자세를 취한다. 그러므로,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의 상류측에 진입하므로, 보다 상류측에서,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하측 취출 모드에서는, 풍향을 보다 하향으로 할 수 있다. 특히, 제1 풍향 조정판이 스크롤의 종단부의 접선 각도보다 하향이 되었을 때 등은, 제1 풍향 조정판 만으로는 풍향 제어가 용이하지 않지만, 제2 풍향 조정판이 있음으로써 하향의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제12 관점에 관련된 공조 실내기에서는,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운전 정지 시의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
도 2는 운전 시의 공조 실내기의 단면도.
도 3a는 취출 공기가 통상 전방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면도.
도 3b는 취출 공기가 통상 전방 하측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면도.
도 3c는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면도.
도 3d는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면도.
도 3e는 하측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 및 제2 풍향 조정판의 측면도.
도 4a는 취출 공기의 방향 및 코안다 기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4b는 제1 풍향 조정판과 제2 풍향 조정판의 열림 각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5a는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시의 스크롤의 종단 F의 접선과 제2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과, 스크롤의 종단 F의 접선과 제1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의 비교도.
도 5b는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 시의 스크롤의 종단 F의 접선과 제2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과, 스크롤의 종단 F의 접선과 제1 풍향 조정판이 이루는 내각의 비교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공조 실내기(10)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련된 운전 정지 시의 공조 실내기(10)의 단면도이다. 또, 도 2는, 운전 시의 공조 실내기(10)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공조 실내기(10)는 벽걸이 타입이며, 본체 케이싱(11), 실내 열교환기(13), 실내 팬(14), 바닥 프레임(16), 및 제어부(40)가 탑재되어 있다.
본체 케이싱(11)은, 천정면부(11a), 전면 패널(11b), 배면판(11c) 및 하부 수평판(11d)을 가지며, 내부에 실내 열교환기(13), 실내 팬(14), 바닥 프레임(16), 및 제어부(40)를 수납하고 있다.
천정면부(11a)는, 본체 케이싱(11)의 상부에 위치하며, 천정면부(11a)의 전부에는, 흡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전면 패널(11b)은 실내기의 전면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흡입구가 없는 플랫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전면 패널(11b)은, 그 상단이 천정면부(11a)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힌지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13) 및 실내 팬(14)은, 바닥 프레임(16)에 부착되어 있다. 실내 열교환기(13)는, 통과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한다. 또, 실내 열교환기(13)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양단이 하방을 향하여 굴곡되는 역V자형의 형상을 이루며, 그 하방에 실내 팬(14)이 위치한다. 실내 팬(14)은, 크로스 플로우 팬이며, 실내로부터 도입된 공기를, 실내 열교환기(13)에 맞혀서 통과시킨 후, 실내에 취출한다.
본체 케이싱(11)의 하부에는, 취출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취출구(15)에는, 취출구(15)로부터 취출되는 취출 공기의 방향을 변경하는 제1 풍향 조정판(31)이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며, 취출 공기의 방향을 변경할 뿐만 아니라, 취출구(15)를 개폐할 수도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은,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가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취출구(15)의 근방에는 제2 풍향 조정판(32)이 설치되어 있다. 제2 풍향 조정판(32)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며, 운전 정지 시에 전면 패널(11b)에 설치된 수용부(130)에 수용된다. 제2 풍향 조정판(32)은, 경사각이 상이한 복수가 자세를 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취출구(15)는, 취출 유로(18)에 의해 본체 케이싱(11)의 내부와 연결되어 있다. 취출 유로(18)는, 취출구(15)로부터 바닥 프레임(16)의 스크롤(17)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실내 공기는, 실내 팬(14)의 가동에 의해 흡입구, 실내 열교환기(13)를 거쳐 실내 팬(14)에 흡입되고, 실내 팬(14)로부터 취출 유로(18)를 거쳐 취출구(15)로부터 취출된다.
제어부(40)는, 본체 케이싱(11)을 전면 패널(11b)로부터 보아 실내 열교환기(13) 및 실내 팬(14)의 우측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실내 팬(14)의 회전수 제어,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동작 제어를 행한다.
(2) 상세 구성
(2-1) 전면 패널(11b)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 패널(11b)은 본체 케이싱(11)의 상부 전방에서 완만한 원호 곡면을 그리면서 하부 수평판(11d)의 전방 에지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전면 패널(11b)의 하부에 본체 케이싱(11)의 내측을 향해 움푹 패인 영역이 있다. 이 영역의 패임 깊이는 제2 풍향 조정판(32)의 두께 치수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제2 풍향 조정판(32)이 수용되는 수용부(130)를 이루고 있다. 수용부(130)의 표면도 완만한 원호 곡면이다.
(2-2) 취출구(15)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구(15)는, 본체 케이싱(11)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횡방향(도 1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을 장변으로 하는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취출구(15)의 하단은 하부 수평판(11d)의 전방 에지에 접하고 있으며, 취출구(15)의 하단과 상단을 잇는 가상면은 전방 상향으로 경사져 있다.
(2-3) 스크롤(17)
스크롤(17)은, 실내 팬(14)에 대치하도록 만곡된 격벽이며, 바닥 프레임(16)의 일부이다. 스크롤(17)의 종단 F는, 취출구(15)의 둘레 가장자리 근방까지 도달하고 있다. 취출 유로(18)를 통과하는 공기는, 스크롤(17)을 따라 진행되어,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방향으로 보내진다. 따라서, 취출구(15)에 제1 풍향 조정판(31)이 없으면, 취출구(15)로부터 취출되는 취출 공기의 풍향은,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L0를 대체로 따른 방향이다.
(2-4) 수직 풍향 조정판(20)
수직 풍향 조정판(2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날개편(201)과, 복수의 날개편(201)을 연결하는 연결봉(203)을 가지고 있다. 또, 수직 풍향 조정판(20)은, 취출 유로(18)에 있어서, 제1 풍향 조정판(31)보다 실내 팬(14)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복수장의 날개편(201)은, 연결봉(203)이 취출구(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왕복 이동함으로써, 그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상태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한다. 또한, 연결봉(203)은,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수평 왕복 이동한다.
(2-5) 제1 풍향 조정판(31)
제1 풍향 조정판(31)은, 취출구(15)를 막을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이 취출구(15)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그 외측면(31a)은 전면 패널(11b)의 곡면의 연장 상에 있는 외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원호 곡면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도 2 참조)도, 외면에 거의 평행한 원호 곡면을 이루고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은, 하단부에 회동축(311)을 가지고 있다. 회동축(311)은, 취출구(15)의 하단 근방에서, 본체 케이싱(11)에 고정되어 있는 스텝핑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다.
회동축(311)이 도 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31)의 상단이 취출구(15)의 상단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동작하여 취출구(15)를 연다. 반대로, 회동축(311)이 도 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31)의 상단이 취출구(15)의 상단측으로 가까워지도록 동작하여 취출구(15)를 닫는다.
제1 풍향 조정판(31)이 취출구(15)를 열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취출구(15)로부터 취출된 취출 공기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을 대체로 따라 흐른다. 즉,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방향을 대체로 따라 취출된 취출 공기는, 그 풍향이 제1 풍향 조정판(31)에 의해 약간 상향으로 변경된다.
(2-6) 제2 풍향 조정판(32)
제2 풍향 조정판(32)은, 공조 운전이 정지하고 있는 동안이나 후술하는 통상 취출 모드로의 운전에서는 수용부(130)에 수납되어 있다. 제2 풍향 조정판(32)은 회동함으로써 수용부(130)로부터 멀어진다. 제2 풍향 조정판(32)의 회동축(321)은, 수용부(130)의 하단 근방이며 또한 본체 케이싱(11)의 내측의 위치(취출 유로(18) 상벽의 상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 풍향 조정판(32)의 하단부와 회동축(321)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회동축(321)이 회동하여 제2 풍향 조정판(32)이 실내기 전면부의 수용부(130)로부터 멀어질 수록, 제2 풍향 조정판(32)의 하단의 높이 위치는 낮아지도록 회전한다.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이 회전하여 열었을 때의 경사는 실내기 전면부의 경사보다 완만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용부(130)는, 송풍로의 밖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용 시에 제2 풍향 조정판(32)의 전체가 송풍로의 외측에 수용된다. 이와 같은 구조 대신에, 제2 풍향 조정판(32)의 일부 만이 송풍로의 외측에 수용되고, 나머지가 송풍로 내(예를 들어, 송풍 경로 상벽부)에 수용되도록 해도 된다.
또, 회동축(321)이 도 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2 풍향 조정판(32)의 상단 및 하단 모두 원호를 그리면서 수용부(130)로부터 멀어지지만, 그 때, 상단과 취출구보다 상방의 실내기 전면부의 수용부(130)의 최단 거리는, 하단과 수용부(130)의 최단 거리보다 크다. 즉, 제2 풍향 조정판(32)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지는 자세로 제어된다. 그리고, 회동축(321)이 도 1을 정면으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제2 풍향 조정판(32)은 수용부(130)에 가까워져, 최종적으로 수용부(130)에 수용된다. 제2 풍향 조정판(32)의 운전 상태의 자세로서는, 수용부(130)에 수납된 상태, 회전하여 전방 상향으로 경사진 자세, 더 회전하여 거의 수평인 자세, 더 회전하여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자세가 있다.
제2 풍향 조정판(32)이 수용부(130)에 수용된 상태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은 전면 패널(11b)의 완만한 원호 곡면의 연장 상에 있는 외측으로 볼록한 완만한 원호 곡면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의 내측면(32b)은, 수용부(130)의 표면에 따르는 원호 곡면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길이 방향의 치수 이상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이유는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 모두를 제2 풍향 조정판(32)으로 받기 때문이며, 그 목적은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방으로부터의 취출 공기가 쇼트 서킷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3) 취출 공기의 방향 제어
본 실시 형태의 공조 실내기는, 취출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제1 풍향 조정판(31) 만을 회동시켜 취출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통상 취출 모드와,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을 회동시켜 코안다 효과에 의해 취출 공기를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을 따르게 한 코안다 기류로 하는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와,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 각각의 선단을 전방 하향으로 하여 취출 공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하측 취출 모드를 가지고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은, 상기 각 모드에 있어서 공기의 취출 방향마다 자세가 변화하므로, 각 자세에 대해서 도 3a~도 3e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취출 방향의 선택은, 사용자가 리모콘 등을 통하여 행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모드의 변경이나 취출 방향은 자동적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3-1) 통상 취출 모드
통상 취출 모드는, 제1 풍향 조정판(31) 만을 회동시켜 취출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는 모드이며, 「통상 전방 취출」과 「통상 전방 하측 취출」을 포함한다.
(3-1-1) 통상 전방 취출
도 3a는, 취출 공기가 통상 전방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면도이다. 도 3a에 있어서, 사용자가 「통상 전방 취출」을 선택했을 때,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이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또한, 본원 실시 형태와 같이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이 원호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내측면(31b)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이 대략 수평이 될 때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그 결과, 취출 공기는, 전방 취출 상태가 된다.
(3-1-2) 통상 전방 하측 취출
도 3b는, 취출 공기가 통상 전방 하측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면도이다. 도 3b에 있어서, 사용자는 취출 방향을 「통상 전방 취출」보다 하방으로 향하게 하고 싶을 때, 「통상 전방 하측 취출」을 선택하면 된다.
이 때,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이 수평보다 앞쪽으로 비스듬해질 때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그 결과, 취출 공기는, 전방 하측 취출 상태가 된다.
(3-2)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
코안다(효과)란, 기체나 액체의 흐름의 옆에 벽이 있으면, 흐름의 방향과 벽의 방향이 상이해도, 벽면을 따른 방향으로 흐르려고 하는 현상이다(아사쿠라 서점 「법칙의 사전」). 코안다 이용 모드는, 이 코안다 효과를 이용한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및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을 포함한다.
또, 취출 공기의 방향 및 코안다 기류의 방향에 대해서는, 기준 위치를 잡는 방법에 따라 정의의 방법이 상이하지만, 이하에 일례를 나타낸다. 도 4a는, 취출 공기의 방향 및 코안다 기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a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측에 코안다 효과를 발생시키려면, 제1 풍향 조정판(31)에 의해 변경된 취출 공기의 방향(D1)의 경사가 제2 풍향 조정판(32)의 자세(경사)에 가까워질 필요가 있다. 양자가 너무 떨어져 있으면 코안다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32)과 제1 풍향 조정판(31)이 소정의 열림 각도 이하가 될 필요가 있어, 양조정판(31, 32)이 그 범위 내를 이루도록 하여, 상기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취출 공기의 풍향이 제1 풍향 조정판(31)에 의해 D1로 변경된 후, 또한 코안다 효과에 의해 D2로 변경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32)이 제1 풍향 조정판(31)의 전방(취출의 하류측) 또한 상방의 위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 풍향 조정판(31)과 제2 풍향 조정판(32)의 열림 각도에 대해서는, 기준 위치를 잡는 방법에 따라 정의의 방법이 상이하지만, 이하에 일례를 나타낸다. 도 4b는, 제1 풍향 조정판(31)과 제2 풍향 조정판(32)의 열림 각도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b에 있어서,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의 전후단을 잇는 직선과 수평선의 각도를 제1 풍향 조정판(31)의 경사각 θ1로 하고,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의 전후단을 잇는 직선과 수평선의 각도를 제2 풍향 조정판(32)의 경사각 θ2로 했을 때, 제1 풍향 조정판(31)과 제2 풍향 조정판(32)의 열림 각도 θ=θ2-θ1이다. 또한, θ1 및 θ2는 절대값이 아니며, 도 4b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수평선보다 하방이 되는 경우는 음의 값이다.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및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모두,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은,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과 제2 풍향 조정판(32)이 이루는 내각이,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과 제1 풍향 조정판(31)이 이루는 내각보다 크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각에 대해서는, 도 5a(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시의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L0과 제2 풍향 조정판(32)이 이루는 내각 R2와,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L0과 제1 풍향 조정판(31)이 이루는 내각 R1의 비교도), 및 도 5b(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 시의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L0과 제2 풍향 조정판(32)이 이루는 내각 R2와, 스크롤(17)의 종단 F의 접선 L0과 제1 풍향 조정판(31)이 이루는 내각 R1의 비교도)를 참조한다.
또,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의 제2 풍향 조정판(32)에서는,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가 수평보다 전방 상향이며, 취출구(15)보다 외측 상방에 위치한다. 그 결과, 코안다 기류는 보다 먼 곳에 도달할 뿐만 아니라,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을 통과하는 강한 기류의 발생은 억제되어, 코안다 기류의 상방으로의 유도가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의 후단부의 높이 위치는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져 있으므로, 상류측에서의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쉽다.
(3-2-1)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도 3c는,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면도이다. 도 3c에 있어서, 「코안다 기류 전방 취출」이 선택되었을 때,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 L1이 수평보다 앞쪽으로 비스듬해질 때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어부(40)는,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이 대략 수평이 되는 위치까지 제2 풍향 조정판(32)을 회동시킨다. 또한, 본원 실시 형태와 같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이 원호 곡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는, 외측면(32a)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가 대략 수평이 될 때까지 제2 풍향 조정판(32)을 회동시킨다. 즉,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선 L0과 접선 L2가 이루는 내각 R2는, 접선 L0과 접선 L1이 이루는 내각 R1보다 커진다.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전방 하측 취출로 조정된 취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에 부착된 흐름이 되어, 이 외측면(32a)을 따른 코안다 기류로 바뀐다.
따라서, 제1 풍향 조정판(31)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 L1 방향이 전방 하측 취출이어도, 제2 풍향 조정판(32)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 방향이 수평이므로, 취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 방향, 즉 수평 방향으로 취출된다.
이와 같이, 제2 풍향 조정판(32)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져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취출 공기가 전면 패널(11b)보다 전방에서 코안다 효과를 받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가 전방 하측 취출이어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수평 취출의 공기가 된다. 이것은, 취출구 통과 직후의 공기를 전면 패널에 접근시켜 전면 패널의 코안다 효과로 상향으로 하는 종래(특허 문헌 1) 방법에 비해, 제1 풍향 조정판(31)의 통풍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억제되면서 풍향이 변경된다.
(3-2-2)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
도 3d는,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면도이다. 도 3d에 있어서, 「코안다 기류 천정 취출」이 선택되었을 때,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 L1이 수평이 될 때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어부(40)는, 외측면(32a)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가 전방 상향이 될 때까지 제2 풍향 조정판(32)을 회동시킨다. 즉,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선 L0과 접선 L2가 이루는 내각 R2는, 접선 L0과 접선 L1이 이루는 내각 R1보다 커진다.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수평 취출로 조정된 취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에 부착된 흐름이 되어, 이 외측면(32a)을 따른 코안다 기류로 바뀐다.
따라서, 제1 풍향 조정판(31)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 L1 방향이 전방 취출이어도, 제2 풍향 조정판(32)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 방향이 전방 상측 취출이므로, 취출 공기는, 코안다 효과에 의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 L2 방향, 즉 천정 방향으로 취출된다.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취출구(15)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코안다 기류는 보다 먼 곳에 도달한다. 또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취출구(15)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을 통과하는 기류의 발생은 억제되어, 코안다 기류의 상방으로의 유도가 저해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제2 풍향 조정판(32)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져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취출 공기가 전면 패널(11b)보다 전방에서 코안다 효과를 받기 쉬워진다. 그 결과,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가 전방 취출이어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향의 공기가 된다. 이것은, 취출구 통과 직후의 공기를 전면 패널에 접근시켜 전면 패널의 코안다 효과로 상향으로 하는 종래(특허 문헌 1) 방법에 비해, 제1 풍향 조정판(31)의 통풍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억제되면서 풍향이 변경된다.
그 결과, 전면 패널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발명과 비교해, 취출구(15)가 열린 기미인 채로, 취출 공기가 천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즉,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천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또한, 제2 풍향 조정판(32)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길이 방향의 치수 이상이다. 그러므로,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 모두를 제2 풍향 조정판(32)으로 받을 수 있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방으로부터 취출 공기가 쇼트 서킷하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도 나타내고 있다.
(3-3) 하측 취출 모드
도 3e는, 하측 취출 시의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면도이다. 도 3e에 있어서, 「하측 취출」이 선택되었을 때,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내측면(31b)의 전방단 E1에 있어서의 접선이 하향으로 될 때까지 제1 풍향 조정판(31)을 회동시킨다.
다음에, 제어부(40)는, 외측면(32a)의 전방단 E2에 있어서의 접선이 하향으로 될 때까지 제2 풍향 조정판(32)을 회동시킨다. 그 결과, 취출 공기는, 제1 풍향 조정판(31)과 제2 풍향 조정판(32) 사이를 통과하여, 하향으로 취출된다.
특히, 제1 풍향 조정판(31)이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 각도보다 하향이 되었을 때에도, 제어부(40)가 하측 취출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에 맞혀서 하향의 기류를 생성할 수 있다.
(4) 특징
(4-1)
공조 실내기(10)에서는, 제어부(40)가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를 코안다 효과에 의해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진 제2 풍향 조정판(32)의 하면을 따라 흐르는 코안다 기류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전면 패널(11b)을 따르게 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종래 구성과 비교해, 취출구(15)가 열린 기미인 채로, 통풍 저항이 낮게 유지된 상태로 취출 공기가 소정 방향으로 유도된다.
(4-2)
또, 제어부(40)가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할 때,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은,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과 제2 풍향 조정판(32)이 이루는 내각이,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과 제1 풍향 조정판(31)이 이루는 내각보다 크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를 취한다. 그 결과, 취출 공기가 천정면을 향하게 되고, 또한 천정면을 따라 먼 곳까지 도달된다.
(4-3)
또,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수평보다 전방 상향이 된다. 그 결과,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가 수평, 혹은, 약간 하향이어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상향의 공기가 되므로, 취출구(15) 통과 직후의 공기가 무리하게 상향으로 될 필요가 없고, 제1 풍향 조정판(31)의 통풍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이 억제되면서 풍향이 변경된다.
(4-4)
또,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취출구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그 결과, 제2 풍향 조정판의 상측을 통과하는 기류의 발생은 억제되어, 코안다 기류의 상방으로의 유도가 저해되기 어려워진다.
(4-5)
또,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32)의 후단부의 높이 위치는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진다. 그 결과, 제2 풍향 조정판(32)의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 상류측에 진입하여, 상류측에서의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4-6)
또,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취출구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그 결과, 코안다 기류를 보다 먼 곳에 도달시킬 수 있다.
(4-7)
또, 제2 풍향 조정판(32) 선단과 본체 케이싱(11)의 최단 거리는, 제2 풍향 조정판(32) 후단과 본체 케이싱(11)의 최단 거리보다 크다. 그 결과, 코안다 기류가 흡입구로부터 멀어지므로, 쇼트 서킷이 방지된다.
(4-8)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제1 풍향 조정판(31)의 길이 방향의 치수 이상이다. 그 결과,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 모두를 제2 풍향 조정판(32)으로 받을 수 있어, 제2 풍향 조정판(32)의 측방으로부터 취출 공기가 쇼트 서킷하는 것이 방지된다.
(4-9)
또, 제2 풍향 조정판(32)이, 송풍로로부터 벗어난 장소에 설치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후단부의 높이 위치가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진다. 그러므로, 후단부가 제1 풍향 조정판(31)으로 풍향 조절된 취출 공기의 진행로의 상류측에 진입하여, 보다 상류측에서, 코안다 효과에 의한 코안다 기류가 생성되기 쉬워진다.
(4-10)
또, 제어부(40)는,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제2 풍향 조정판(32) 각각의 선단을 전방 하향으로 하여 취출 공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하측 취출 모드를 가지고 있다. 제1 풍향 조정판(31)이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 각도보다 하향이 되었을 때 등은, 제어부(40)가 하측 취출 모드를 실행함으로써, 제2 풍향 조정판(32)의 외측면(32a)을 따른 하향의 기류가 생성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취출구(15)를 폐색 기미로 만들지 않아도 취출 공기를 소정의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특히, 벽걸이식 공조 실내기에 유용하다.
10 공조 실내기 15 취출구
17 스크롤 31 제1 풍향 조정판
32 제2 풍향 조정판 40 제어부
130 수용부 321 회동축

Claims (12)

  1. 취출구(吹出口)(15)로부터 취출되는 취출 공기의 흐름을 코안다 효과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유도하는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로서,
    상기 취출 공기의 상하 방향을 변경하는 가동의 제1 풍향 조정판(31)과,
    상기 취출구(15)의 근방에 설치되며, 수용 시에 적어도 선단부가 송풍로의 외측에 있어서 실내기 전면부에 수용되는 제2 풍향 조정판(32)과,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자세를 제어하는 제어부(40)를 구비하고,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이 상기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이격한 자세를 취함과 함께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과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이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자세를 제어하여, 상기 취출 공기를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하면을 따르게 한 코안다 기류로 하는, 공조 실내기(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 조화된 공기를 상기 취출구(15)까지 유도하는 스크롤(17)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40)가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를 실행할 때,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은,
    상기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과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이 이루는 내각이, 상기 스크롤(17)의 종단부의 접선과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이 이루는 내각보다 크다는 조건을 만족하는 자세를 취하는, 공조 실내기(1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수평보다 전방 상향이 되는, 공조 실내기(1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상기 취출구(15)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공조 실내기(10).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후단부의 높이 위치는 운전 정지 시보다 낮아지는, 공조 실내기(10).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선단부는 상기 취출구(15)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공조 실내기(10).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상기 실내기 전면부로부터 멀어지는 자세로 제어되는, 공조 실내기(10).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의 길이 방향의 치수 이상인, 공조 실내기(10).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은 소정의 회동축(321)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기 회동축(321)은, 상기 송풍로로부터 벗어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조 실내기(10).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풍향 조정판(31) 및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 각각의 선단을 전방 하향으로 하여 상기 취출 공기를 하방으로 유도하는, 하측 취출 모드를 가지는, 공조 실내기(10).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운전 정지 시 및 운전 시의 상기 실내기 전면부의 자세가 동일한, 공조 실내기(10).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안다 효과 이용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풍향 조정판(32)의 후단이 상기 취출 공기의 진행로로 들어가는, 공조 실내기(10).
KR1020147011375A 2011-09-30 2012-09-05 공조 실내기 KR101425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217494 2011-09-30
JP2011217494A JP5365675B2 (ja) 2011-09-30 2011-09-30 空調室内機
PCT/JP2012/072585 WO2013047126A1 (ja) 2011-09-30 2012-09-05 空調室内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309A true KR20140059309A (ko) 2014-05-15
KR101425774B1 KR101425774B1 (ko) 2014-08-04

Family

ID=4799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375A KR101425774B1 (ko) 2011-09-30 2012-09-05 공조 실내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9234671B2 (ko)
EP (1) EP2762795B1 (ko)
JP (1) JP5365675B2 (ko)
KR (1) KR101425774B1 (ko)
CN (1) CN103827594B (ko)
AU (1) AU2012318045B2 (ko)
BR (1) BR112014007722A2 (ko)
ES (1) ES2793969T3 (ko)
IN (1) IN2014KN00868A (ko)
MY (1) MY166480A (ko)
SG (1) SG11201401094UA (ko)
WO (1) WO20130471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5675B2 (ja) * 2011-09-30 2013-12-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403125B2 (ja) * 2011-10-31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182851B2 (ja) * 2012-11-26 2017-08-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678952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6429204B2 (ja) * 2014-03-28 2018-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9951791B2 (en) * 2014-08-04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16133261A1 (ko) * 2015-02-18 2016-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3064851B1 (en) * 2015-03-04 2024-02-14 Airmaster A/S A system for supplying air to a room
RU2669041C1 (ru) * 2015-04-17 2018-10-05 Мицубиси Электрик Корпорейшн Комнатный блок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JP2017044432A (ja) * 2015-08-28 2017-03-02 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 ヒタチ エア コンディショニング テクノロジー(ホンコン)リミテッド 空気調和機
JP6065076B1 (ja) * 2015-09-10 2017-0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壁掛け式の空調室内機
JP6065959B1 (ja) * 2015-09-30 2017-01-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機
WO2017134744A1 (ja) * 2016-02-02 2017-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WO2018029828A1 (ja) * 2016-08-10 2018-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6196289B (zh) * 2016-08-17 2022-11-11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和空调器
KR101890869B1 (ko) 2016-10-27 2018-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6361718B2 (ja) 2016-10-28 2018-07-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369522B2 (ja) * 2016-11-21 2018-08-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EP4160097A3 (en) * 2016-12-21 2023-07-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JP6926024B2 (ja) * 2018-03-30 2021-08-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10848802B (zh) * 2018-07-26 2020-11-27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挂机
CN110848813B (zh) * 2018-07-26 2021-04-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空调挂机
IT201900000983A1 (it) * 2019-01-23 2020-07-23 Holding Cocooro S R L Deflettore per impianto di riscaldamento e climatizzazione
JP7328816B2 (ja) * 2019-07-25 2023-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
CN112484147B (zh) * 2019-09-11 2023-03-3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
JP6947266B2 (ja) * 2019-09-17 2021-10-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816807B1 (ja) * 2019-09-17 2021-01-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送風機および空調室内機
JP7025672B2 (ja) * 2019-09-17 2022-02-2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6849032B2 (ja) * 2019-09-17 2021-03-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US11536284B2 (en) * 2020-08-11 2022-12-27 Hunter Fan Company Ceiling fan
CN111981571B (zh) * 2020-08-13 2021-11-23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空调器及其送风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6452A (en) * 1977-10-24 1982-04-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luid diverting assembly
GB2178160B (en) * 1985-07-08 1989-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pparatus for deflect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n air conditioner
JP3256440B2 (ja) * 1996-06-26 2002-02-12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ES2229298T3 (es) 1996-06-26 2005-04-16 Kabushiki Kaisha Toshiba Unidad interior para sistema de aire acondicionado.
JP3869123B2 (ja) * 1998-07-30 2007-01-17 大成建設株式会社 大空間の床吹出式空調システム
JP3567853B2 (ja) * 2000-05-17 2004-09-22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空気調和機の清掃方法
JP2002061938A (ja) 2000-08-11 2002-02-28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3669322B2 (ja) * 2000-11-21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ITTO20010620A1 (it) * 2001-06-27 2002-12-27 Fiat Ricerche Dispositivo di distribuzione di fluidi con mezzi deviatori di tipo perfezionato.
JP4110863B2 (ja) * 2002-07-12 2008-07-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3894067B2 (ja) * 2002-07-31 2007-03-14 三菱電機株式会社 上下風向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4017483B2 (ja) * 2002-09-25 2007-12-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4218894A (ja) * 2003-01-14 2004-08-05 Sharp Corp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JP2004361011A (ja) * 2003-06-05 2004-12-2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空気調和機
JP3686963B2 (ja) * 2003-11-28 2005-08-24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5188847A (ja) * 2003-12-26 2005-07-14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US8074462B2 (en) * 2004-07-14 2011-12-13 Daikin Industries, Ltd.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variable intake suction port
JP2007093092A (ja) * 2005-09-28 2007-04-12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JP4014618B2 (ja) * 2006-01-20 2007-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907176B2 (ja) * 2006-01-20 2012-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033885B2 (ja) * 2006-09-11 2008-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913546B2 (ja) * 2006-10-30 2012-04-11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448876B2 (ja) * 2007-09-27 2010-04-1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742321B2 (ja) * 2007-10-15 2011-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4382860B1 (ja) * 2008-07-02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10043756A (ja) * 2008-08-08 2010-02-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装置
JP4645755B2 (ja) * 2009-07-13 2011-03-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766161B2 (ja) * 2009-08-04 2011-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5409202B2 (ja) * 2009-08-28 2014-02-0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1075238A (ja) * 2009-10-01 2011-04-14 Panasonic Corp 空気調和機
JP5062341B2 (ja) * 2011-03-22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5365675B2 (ja) * 2011-09-30 2013-12-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2013096639A (ja) * 2011-10-31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空調室内機
JP5408227B2 (ja) * 2011-10-31 2014-02-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403125B2 (ja) * 2011-10-31 2014-0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338895B2 (ja) * 2011-12-28 2013-1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JP5536158B2 (ja) * 2011-12-28 2014-07-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7722A2 (pt) 2017-08-08
ES2793969T3 (es) 2020-11-17
EP2762795B1 (en) 2020-03-04
US9234671B2 (en) 2016-01-12
SG11201401094UA (en) 2014-09-26
US20160076786A1 (en) 2016-03-17
WO2013047126A1 (ja) 2013-04-04
JP2013076530A (ja) 2013-04-25
EP2762795A1 (en) 2014-08-06
CN103827594B (zh) 2015-06-10
CN103827594A (zh) 2014-05-28
AU2012318045B2 (en) 2015-09-10
MY166480A (en) 2018-06-27
US20140227961A1 (en) 2014-08-14
EP2762795A4 (en) 2014-08-06
JP5365675B2 (ja) 2013-12-11
IN2014KN00868A (ko) 2015-10-02
AU2012318045A1 (en) 2014-05-15
KR101425774B1 (ko) 201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774B1 (ko) 공조 실내기
KR101429427B1 (ko) 공조 실내기
JP5408228B2 (ja) 空調室内機
KR101449910B1 (ko) 공조 실내기
CN108027165B (zh) 空调室内机
JP2017053567A (ja) 空調室内機
JP5413535B2 (ja) 空調室内機
WO2014045867A1 (ja) 空調室内機
JP2017116146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2017116146A5 (ko)
JP2013139913A (ja) 空調室内機
JP2009192134A (ja) 空気調和機
JP5803869B2 (ja) 空調室内機
JP623339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JP5741545B2 (ja) 空調室内機
KR20110071615A (ko) 공기조화기
JP2017053569A (ja) 空調室内機
JP2014238237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