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3864A -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 Google Patents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3864A
KR20140043864A KR1020130112990A KR20130112990A KR20140043864A KR 20140043864 A KR20140043864 A KR 20140043864A KR 1020130112990 A KR1020130112990 A KR 1020130112990A KR 20130112990 A KR20130112990 A KR 20130112990A KR 20140043864 A KR20140043864 A KR 20140043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ing
knitted
stitches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9506B1 (ko
Inventor
마사오 오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4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고신축성이고 또한 강도가 우수한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는 코빼기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일측 니들베드(FD)와 타측 니들베드(BU)에 결합되는 베이스부(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자루편성을 2회 한다. 2회째의 자루편성에 의하여 편성된 일측상단 스티치열(31) 및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을 대상편성포부(9)의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들 상단 스티치열(31, 39)의 일부의 스티치를 대상편성포부(9)의 일부의 스티치와 포갠다. 이 자루편성과 스티치열(31, 39)의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대상편성포부(9)의 웨일방향 끝부를 코빼기 처리한다. 여기에서 자루편성을 할 때에,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스티치의 일방을 프론트 스티치, 타방을 백 스티치로 한다.

Description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BIND-OFF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편성포에 있어서의 코빼기(bind-off) 처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의 스티치(stitch)를 코빼기 처리하는 코빼기 방법과, 그 코빼기 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 그 편성포의 최종코스의 스티치(웨일방향 끝부의 스티치)가 풀어지지 않도록 코빼기 처리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코빼기 처리라는 것은, 니들베드(needle bed)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의 스티치 중에서 인접하는 스티치끼리를 포개고, 이들 포갠 2중의 스티치(더블스티치(double stitch))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으로부터 타단측(他端側)을 향하여 반복하는 처리이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7-6525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코빼기 처리부는 충분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기 어려웠다. 예를 들면 터틀넥 스웨터(turtle neck sweater)의 칼라는, 스웨터를 착용할 때에 머리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을 필요가 있지만, 디자인상의 제약으로부터 그 둘레의 길이를 너무 크게 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높은 신축성을 가진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는 코빼기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종래보다 파인 게이지(fine gage)의 횡편기 또는 종래보다 가는 편사가 개발되어 있고, 이러한 가는 편사를 사용하여 작은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편성포를 편성하였을 경우에, 코빼기 처리부의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의 강도를 종래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코빼기 방법을 개발하는 것도 기대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고신축성이고 또한 강도가 우수한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는 코빼기 방법, 및 고신축성이고 또한 강도가 우수한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있어서의 코빼기(bind-off) 처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코빼기 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α∼공정δ를 구비한다.
[공정α] …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코빼기 처리의 시단부(始端部)를 베이스부(base部)로서 규정로서 규정한다.
[공정β] …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자루편성을 2회 함으로써, 베이스부 중의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하단 스티치열(一側下段 stitch列)과 일측상단 스티치열(一側上段 stitch列), 및 베이스부 중의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他側下段 stitch列)과 타측상단 스티치열(他側上段 stitch列)을 편성한다. 여기에서 자루편성이라는 것은, 일정 방향으로 주회(周回)하는 편성 또는 C자 모양의 반환편성에 의하여 자루모양으로 스티치가 배열된 스티치열을 형성하는 편성이다.
[공정γ] … 일측상단 스티치열 및 상기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대상편성포부의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들 상단 스티치열의 일부의 스티치를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와 포갠다.
[공정δ] … 대상편성포부의 측으로 이동시킨 일측상단 스티치열 및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새로운 베이스부로서 규정하여 공정β와 공정γ를 하는 것을 반복하여, 대상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한다.
여기에서 공정β에 있어서 자루편성을 할 때에,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스티치 중 일방(一方)을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 타방(他方)을 백 스티치(back stitch)로 한다.
상기 공정β에 있어서 편성하는 각 스티치열(일측하단 스티치열, 타측하단 스티치열, 일측상단 스티치열 및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스티치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스티치가 복수 있는 경우에, 각 스티치열에 있어서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혼재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일측하단 스티치열이 3개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1개가 프론트 스티치이고 2개가 백 스티치이더라도 좋고, 2개가 프론트 스티치이고 1개가 백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물론 3개 모두가 프론트 스티치 혹은 백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일측하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와, 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일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는 일방이 프론트 스티치, 타방이 백 스티치로 한다. 예를 들면 일측하단 스티치열이 프론트 스티치 - 백 스티치 - 프론트 스티치이면, 일측상단 스티치열은 백 스티치 - 프론트 스티치 - 백 스티치로 한다.
또한 공정γ에서 대상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는 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는, 일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이더라도 좋고, 타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포개어지는 스티치의 수, 포개어지는 스티치의 위치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단 스티치열 중에서 2개의 스티치를, 대상편성포부 중에서 2개의 스티치에 포개어도 좋고, 상단 스티치열 중에서 2개의 스티치를, 대상편성포부 중에서 1개의 스티치에 포개어도 좋다.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 스티치열 중에서 대상편성포부측에 있는 끝부 스티치와, 대상편성포부 중에서 상단 스티치열측에 있는 끝부 스티치를 포갠다.
또한 공정γ를 하는 타이밍은, 공정β의 도중이더라도 좋고, 공정β가 끝난 후이더라도 좋다.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는, 일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를 대상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기 때문에, 일측상단 스티치열이 편성된 후에 타측상단 스티치열이 편성되기 전에 공정γ를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의 공정β에서 자루편성을 할 때에, 대상편성포부가 결합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 있는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를, 대상편성포부가 결합되는 측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보다 대상편성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비키어 놓은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후술하는 실시형태1의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상편성포부(9)가, 일측 니들베드(FD)에 결합되는 일측 편성포부(91)와, 타측 니들베드(BD)에 결합되는 타측 편성포부(99)로 이루어지는 통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일측 편성포부(91)를 코빼기 처리하는 자루편성을 할 때에는, 일측 편성포부(91)가 결합되어 있지 않은 측의 타측 니들베드(BU)의 스티치열(29(39))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를, 일측 편성포부(91)가 결합되어 있는 측의 일측 니들베드(FD)의 스티치열(21(3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일측 편성포부(91)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비키어 놓은 상태로 한다.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의하여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편성포부로 이루어지는 통(筒) 모양의 대상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경우에, 일측 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한 후에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할 때에, 비틀림 스티치만으로 이루어지는 자루모양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이들 비틀림 스티치의 좌우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교체하고 나서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티치열의 회전은, 공지의 기술(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5-9851호 공보 등을 참조)이다.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있어서,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의 근방은 가터 조직(garter 組織)이더라도 좋다.
본 발명의 편성포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로서, 편성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가 코빼기 처리된 편성포이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에서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에, 자루모양으로 형성된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하고, 그 코빼기 처리부가 2단분 편성될 때마다 2단째의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스티치의 일부가,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를 구성하는 스티치의 일부에 포개어짐으로써 상기 웨일방향 끝부가 코빼기 처리되어 있다. 그리고 1단째의 스티치열의 스티치와, 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어 편성되는 2단째의 스티치열의 스티치의 관계를 보았을 때에, 일방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 타방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편성포에 구비되는 자루모양으로 편성된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다. 이 코빼기 처리부는, 자루모양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강도가 우수하여 풀어지거나 끊어지기 어렵다. 또한 코빼기 처리부의 웨일방향으로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나란하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는 신축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있어서, 일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자루편성의 중심위치와, 타측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자루편성의 중심위치를 비키어 놓음으로써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퍼를 위한 공침을 설치하는 않고 코빼기 처리를 할 수 있다.
통 모양의 대상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일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에서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할 때에 비틀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자루모양 스티치열을 편성하는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의하면, 일측 편성포부와 타측 편성포부의 경계 근방에 있어서의 코빼기 처리부를 매끄럽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것은, 자루모양 스티치열의 비틀림 스티치의 좌우위치를 모두 교체시킨 후에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를 하기 때문에, 자루모양 편성포부의 교차사(cross-over yarn)가 다른 부분에 얽히지 않기 때문이다. 또 자루모양 스티치열을 비틀림 스티치에 의하여 구성하고 있는 것은, 비틀림 스티치를 회전시켰을 때에 비틀림 스티치가 비틀린 상태가 해소되어, 비틀림 스티치가 비틀려 있지 않은 스티치가 되기 때문이다.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의 근방을 가터 조직으로 하는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에 의하면, 대상편성포부와 코빼기 처리부의 경계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가터 조직은 두께가 있는 편성조직이기 때문에, 자루모양으로 편성됨으로써 가터 조직과 마찬가지로 두께가 있는 코빼기 처리부와의 사이에 단차가 있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1에 있어서, (A)는 실시형태에서 편성하는 스웨터의 개략도이고, (B)는 스웨터의 터틀넥부의 웨일방향 끝부에 형성되는 코빼기 처리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2는, 터틀넥부에 편성되는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공정 이미지 도면이다.
도4는, 터틀넥부를 구성하는 일측 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한 후에 터틀넥의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할 때의 편성공정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공정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하부앞쪽 니들베드(이하, FD)와 하부뒤쪽 니들베드(이하, BD) 및 이들 FD와 BD의 상방에 설치되고 하부의 니들베드와 동일한 피치(pitch)로 다수의 편침이 나란하게 설치된 상부앞쪽 니들베드(이하, FU)와 상부뒤쪽 니들베드(이하, BU)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4bed 橫編機)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이 횡편기는, 전후의 니들베드(needle bed)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고 또한 횡편기에 구비되는 BD, BU는 좌우로 래킹(racking)할 수 있다. 또 현재 시판되고 있는 횡편기에서는, FD와 BD의 사이, FD와 BU의 사이 및 BD와 FU의 사이에서 트랜스퍼 할 수 있지만, FU와 BU의 사이에서는 트랜스퍼 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틀넥(turtle neck)(대상편성포부(對象編成布部)(9))을 구비하는 스웨터(sweater)(편성포)(100)를 편성한다. 대상편성포부(9)의 웨일방향(wale方向)의 끝부는,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모양으로 편성된 코빼기 처리부(bind-off 處理部)(6)에 의하여 코빼기 처리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이 코빼기 처리부(6)의 편성순서를 도2∼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2, 도4는,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공정도이다. 도2에 있어서 좌란(左欄)의 「알파벳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란(右欄)은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 있고, 각 구성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조작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우란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니들베드의 일부만을 나타내고, BD, BU의 래킹동작은 생략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서의 대문자 알파벳은 편침의 편성폭방향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우란의 ○표시는 편침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를, ◎표시는 더블스티치(double stitch)를, Ω표시는 니트 스티치(knit stitch)를, 물방울 표시는 비틀림 스티치(twisted stitch)를 나타낸다.
도2의 S0에는, FD의 편침(E∼N)에 터틀넥부(대상편성포부(9))의 일측 편성포부(一側 編成布部)(91)가 결합되고, BD의 편침(E∼N)에 대상편성포부(9)의 타측 편성포부(他側 編成布部)(99)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상태로부터 우선 일측 편성포부(91)(대상편성포부(9))의 웨일방향 끝부를 코빼기 처리하고, 이어서 타측 편성포부(99)(대상편성포부(9))의 웨일방향 끝부를 코빼기 처리한다. 또 대상편성포부(9)의 편성조직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아 예를 들면 플레인 스티치 조직(plain stitch 組織), 가터 조직(garter 組織), 리브 조직(rib 組織) 등으로 할 수 있다.
S1에서는, FD(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의 편침(O∼Q)과, BU(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의 편침(Q)에 시단부(始端部)를 형성한다. 이 시단부를 베이스 부(base部)(1)로 하여, 코빼기 처리를 시작한다(공정α에 상당). 이 시단부의 형성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드로 스레드(draw thread)로 이루어지는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이들 걸림루프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시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일측 편성포부(91)의 스티치를 이용하여 시단부로 할 수도 있다.
또 일측 베이스부(一側 base部)(11)와 타측 베이스부(他側 base部)(19)의 스티치 수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측 베이스부(11)의 스티치 수 : 타측 베이스부(19)의 스티치 수 = 3 : 2, 3 : 3, 2 : 1, 2 : 2, 1 : 1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S2에서는, 베이스부(1)(시단부) 중에서 FD의 편침(Q∼O)에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부(11)(S1 참조)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측하단 스티치열(一側下段 stitch列)(21)을 편성한다. 또한 S2에서는, 베이스부(1)(시단부) 중에서 BU의 편침(Q)에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부(19)(S1 참조)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타측하단 스티치열(他側下段 stitch列)(29)을 편성한다. 양쪽 스티치열(21, 29)의 스티치는 모두 대상편성포부(9)를 통(筒)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에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로 되어 있다. 또한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편침(Q)의 위치)가,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편침(P)의 위치)보다 대상편성포부(9)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비키어 있다.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은, 대상편성포부(9) 중에서 이것으로부터 코빼기 처리하는 일측 편성포부(91)가 결합되는 FD의 반대측에 있는 BU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열이다. 한편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은, 일측 편성포부(91)가 결합되는 FD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열이다.
S3에서는, BU를 지면(紙面)의 우측방향으로 1피치분 래킹시키고,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스티치를 BU의 편침(N∼P)으로 트랜스퍼 한다. 여기에서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가,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일측 편성포부(91)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비키어 있음으로써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을 트랜스퍼 할 여지를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지면의 좌측(일측 편성포부(91)의 측)에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트랜스퍼를 위한 공침(空針)을 설치하지 않고 BU를 1피치분 래킹시키는 것만으로, 타측하단 스티치열(29)에 중복하지 않는 위치에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을 트랜스퍼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가,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에 구비되어 있거나 혹은 일측 편성포부(91)에 근접하는 측(지면 좌측)으로 치우쳐 있으면,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을 트랜스퍼 하기 위하여 BU의 래킹량이 커지게 되어 편사가 끊어지는 경우가 있다.
S4에서는, BU의 편침(N∼P)에 결합되는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측상단 스티치열(一側上段 stitch列)(31)을 편성한다.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의 스티치는 모두 백 스티치(back stitch)이다.
S5에서는, BU의 편침(P∼N)에 결합되는 일측상단 스티치열(31)과, BU의 편침(Q)에 결합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을 각각 FD의 편침(N∼P)과 FD의 편침(Q)으로 트랜스퍼 한다. 이 S5에 의하여 FD의 편침(N)의 위치에서,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의 스티치와 대상편성포부(9)의 일측 편성포부(91)의 스티치가 포개진다(공정γ에 상당).
S6에서는, FD의 편침(Q)에 결합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타측상단 스티치열(他側上段 stitch列)(39)을 편성한다. 여기에서 S6에 있어서의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는, S5에 있어서의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일측 편성포부(91)로부터 멀어지는 측(지면의 우측)으로 비키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S2∼S6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공정β에 상당한다.
S7에서는, FD의 편침(Q)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BU의 편침(P)으로 트랜스퍼 한다. S7 이후에는, S7의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을 일측 베이스부(11),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을 타측 베이스부(19)로 규정하여, S2∼S7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한다(공정δ에 상당). S5에 있어서 FD의 편침(N)에 형성되는 더블스티치는, 2회째에 하는 S2에 의하여 더블스티치의 상태에서 니들베드로부터 빠져서, 일측 편성포부(91)의 스티치(FD의 편침(N)의 스티치)가 코빼기 처리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을 따르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선 모양으로 스티치가 나란한 자루모양의 코빼기 처리부(6)가 편성되고, 그 코빼기 처리부(6)의 나선이 2단분 편성될 때마다 2단째의 나선의 스티치가 대상편성포부(9)의 스티치에 포개어지고, 대상편성포부(9)의 웨일방향 끝부가 코빼기 처리된다. 자루모양의 코빼기 처리부(6)는 강도가 우수하여 풀어지거나 끊어지거나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코빼기 처리부(6)의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스티치의 관계를 보았을 때에 일방(一方)이 프론트 스티치, 타방(他方)이 백 스티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6)의 신축성이 높다. 또한 나선 모양으로 편성된 코빼기 처리부(6)는 대상편성포부(9)에 포개지지만, 코빼기 처리부(6) 자체에는 더블스티치가 없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6)의 강도가 높다. 또한 코빼기 처리부(6)를 나선 모양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도2의 S2∼S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쓸데없는 트랜스퍼가 없어 편성효율이 좋다.
다음에 도2에 나타내는 대상편성포부(9)에 있어서의 일측 편성포부(91)의 코빼기 처리가 끝난 후에, 타측 편성포부(99)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할 때의 편성순서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4의 T1에는 일측 편성포부(91)의 편성이 종료된 상태가 나타나 있고, FD의 편침(E∼G)에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이 결합되어 있고, BU의 편침(G)에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BD의 편침(E∼N)에 타측 편성포부(99)가 결합되어 있다.
T1의 상태로부터 T2∼T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측상단 스티치열(31)과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자루모양 스티치열(4)을 편성한다. 자루모양 스티치열(4)을 구성하는 스티치는 모두 비틀림 스티치(4a∼4d)이며, 이들 비틀림 스티치(4a∼4d)는 주회(周回)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계속하여 T5∼T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루모양 스티치열(4)의 비틀림 스티치(4a∼4d)의 좌우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교체시킨다. 비틀림 스티치(4a∼4d)를 회전시킴으로써 비틀림 스티치(4a∼4d)의 비틀린 상태가 해소되어, 통상의 비틀려 있지 않은 스티치가 된다. 이 자루모양 스티치열(4)의 회전의 도중(T5를 참조)에, 자루모양 스티치열(4)의 가장 외측에 있는 비틀림 스티치(4c)를, BD의 편침(E)의 위치에서 타측 편성포부(99)(T1을 참조)의 스티치에 포갠다.
비틀림 스티치(4a∼4d)의 회전이 종료되면, 도2를 참조하여 설명한 일측 편성포부(91)의 코빼기 처리와 동일한 순서로 타측 편성포부(99)의 코빼기 처리를 한다. 이 경우에 BD를 일측 니들베드, FU를 타측 니들베드라고 생각하여, 타측 편성포부(99)의 코빼기 처리를 하면 좋다. 여기에서 비틀림 스티치(4a∼4d)의 회전이 종료될 때까지 편성을 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루모양 스티치열(4)의 교차사(cross-over yarn)가 다른 부분에 얽히지 않는다.
또 도4에 나타내는 순서와는 달리, T1의 일측상단 스티치열(31)과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을 모두 비틀림 스티치로 하고, 상단 스티치열(31, 39)의 비틀림 스티치의 좌우위치를 회전시켜서 교체시킴으로써 타측 편성포부(99)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하여도 좋다. 이것은, 일측 편성포부(91)의 코빼기 처리의 최후에 편성되는 상단 스티치열(31, 39)을 자루모양 스티치열(4)로 하는 형태이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실시형태1과는 다른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을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다만 나선 모양으로 스티치를 편성하는 점은 실시형태1과 같다.
도5의 U1에는, 대상편성포부(9)의 코빼기 처리에 있어서 코빼기 처리의 시단부(베이스부(1))를 형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구체적으로는, FD의 편침(E∼N)에 대상편성포부(9)의 일측 편성포부(91)가 결합되어 있고, BD의 편침(E∼N)에 대상편성포부(9)의 타측 편성포부(99)가 결합되어 있고 또한 FD의 편침(O∼Q)에 일측 베이스부(11)가 결합되어 있고, BU의 편침(R)에 타측 베이스부(19)가 결합되어 있다.
U2에서는, FD의 편침(Q∼O)에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부(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프론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을 편성한다. U3에서는, BU의 편침(R)의 타측 베이스부(19)를 FD의 편침(R)으로 트랜스퍼 한다. U4에서는, FD의 편침(R)의 타측 베이스부(1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백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을 편성한다. U5에서는, 일측하단 스티치열(21)과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을 각각 BU의 편침(N∼P)과 BU의 편침(Q)으로 트랜스퍼 한다. U6에서는, BU의 편침(P∼N)에 결합되는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백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을 편성한다. U7에서는,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을 FD의 편침(N∼P)으로 트랜스퍼 하여, FD의 편침(N)의 위치에서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의 스티치와 일측 편성포부(91)(U1 참조)의 스티치를 포갠다. U8에서는, BU의 편침(Q)에 결합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29)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프론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타측상단 스티치열(39)을 편성한다. 이후에는, U2∼U8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일측 편성포부(91)를 코빼기 처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에서는, U4에서 편성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29)과, U6에서 편성하는 일측상단 스티치열(31)이 함께 백 스티치로 되어 있어, 나선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기 어렵다. 이 부분은, 도1(B)에서 말하면 코빼기 처리부(6)의 상단측에 배치되는 부분이며, 이 부분에 단차가 없으면 코빼기 처리부(6)의 미려함이 좋다. 마찬가지의 것이, U8에서 편성되는 타측상단 스티치열(39)과, 2회째의 U2에서 편성되는 일측하단 스티치열(21)을 연결하는 부분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양쪽 스티치열(39, 21)이 모두 프론트 스티치이며, 양쪽 스티치열(39, 21)을 연결하는 부분에 단차가 형성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1, 2에서는 나선 모양으로 자루편성을 하는 편성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C자 모양으로 자루편성을 함으로써 자루모양의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일측하단 스티치열과 타측하단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고, 이어서 일측상단 스티치열과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여기에서 C자 모양으로 편성하면, 편성폭방향의 일방에서 일측상단 스티치열과 타측상단 스티치열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 일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와 타측상단 스티치열의 스티치를 각각 대상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어서, 코빼기 처리부가 개구(開口)되지 않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코빼기 방법은 2베드 횡편기에서 실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손수건(handkerchief), 스웨터나 조끼(vest)의 반신(半身) 등의 단층 편성포(單層 編成布)를 편성하는 경우에,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총침상태(total needle 狀態)에서 코빼기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경우에도 드로오프(draw-off) 상태이면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코빼기 처리를 할 수 있다.
100 : 스웨터(편성포)
9 : 터틀넥부(대상편성포부)
91 : 일측 편성포부(대상편성포부) 99 : 타측 편성포부(대상편성포부)
1 : 베이스부 111 : 측 베이스부 19 : 타측 베이스부
21 : 일측하단 스티치열 29 : 타측하단 스티치열
31 : 일측상단 스티치열 39 : 타측상단 스티치열
4 : 자루모양 스티치열 4a∼4d : 비틀림 스티치
6 : 코빼기 처리부

Claims (5)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있어서의 코빼기(bind-off) 처리의 대상이 되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코빼기 방법에 있어서,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에 배치되는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코빼기 처리의 시단부(始端部)를 베이스부(base部)로서 규정하는 공정α와,
    상기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자루편성을 2회 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 중의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일측하단 스티치열(一側下段 stitch列)과 일측상단 스티치열(一側上段 stitch列), 및 상기 베이스부 중의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타측하단 스티치열(他側下段 stitch列)과 타측상단 스티치열(他側上段 stitch列)을 편성하는 공정β와,
    상기 일측상단 스티치열 및 상기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들 상단 스티치열의 일부의 스티치를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일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공정γ와,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측으로 이동시킨 상기 일측상단 스티치열 및 상기 타측상단 스티치열을 새로운 베이스부로서 규정하여 상기 공정β와 상기 공정γ를 하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대상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공정δ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β에 있어서 자루편성을 할 때에, 웨일방향으로 나란한 2개의 스티치 중 일방(一方)을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 타방(他方)을 백 스티치(back stitch)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빼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에서 자루편성을 할 때에, 상기 대상편성포부가 결합되어 있는 측의 반대측에 있는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를, 상기 대상편성포부가 결합되는 측의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중심위치보다 상기 대상편성포부로부터 멀어지는 측으로 비키어 놓은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빼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일측 편성포부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타측 편성포부로 이루어지는 통(筒) 모양의 상기 대상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경우에,
    상기 일측 편성포부를 코빼기 처리한 후에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로 이행할 때에,
    비틀림 스티치만으로 이루어지는 자루모양 스티치열을 편성하고, 이들 비틀림 스티치의 좌우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교체하고 나서 상기 타측 편성포부의 코빼기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빼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의 근방은 가터 조직(garter 組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빼기 방법.
  5.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로서, 편성포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가 코빼기 처리된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에, 자루모양으로 형성된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코빼기 처리부가 2단분 편성될 때마다 2단째의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스티치의 일부가, 상기 대상편성포부의 웨일방향 끝부를 구성하는 스티치의 일부에 포개어짐으로써 상기 웨일방향 끝부가 코빼기 처리되어 있고,
    1단째의 스티치열의 스티치와, 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어 편성되는 2단째의 스티치열의 스티치의 관계를 보았을 때에, 일방의 스티치가 프론트 스티치, 타방의 스티치가 백 스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KR1020130112990A 2012-10-03 2013-09-24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KR101449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21002A JP6025484B2 (ja) 2012-10-03 2012-10-03 伏目方法、および編地
JPJP-P-2012-221002 2012-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3864A true KR20140043864A (ko) 2014-04-11
KR101449506B1 KR101449506B1 (ko) 2014-10-08

Family

ID=50276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2990A KR101449506B1 (ko) 2012-10-03 2013-09-24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025484B2 (ko)
KR (1) KR101449506B1 (ko)
CN (1) CN103710828B (ko)
DE (1) DE102013016016A1 (ko)
IT (1) ITTO201307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518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4908B2 (ja) * 2014-02-27 2018-02-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伏目方法
EP3449747A4 (en) * 2016-04-25 2020-01-22 Shima Seiki Mfg., Ltd. SHOE MANUFACTURING METHOD AND SHOE
CN107299451A (zh) * 2017-08-22 2017-10-27 江苏金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横机双面织物藏线头的方法
JP7251995B2 (ja) 2018-10-11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DE102019215586A1 (de) * 2018-10-11 2020-04-16 Shima Seiki Mfg., Ltd. Verfahren zum stricken eines schlauchgestricks und schlauchgestrick
JP7252005B2 (ja) 2019-02-21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CN110616497B (zh) * 2019-09-18 2020-11-03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一种双针床圆筒套收结构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102B2 (ja) * 1990-03-28 1996-03-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帯状編成端の接続編成方法及び帯状編成端が連結された編地
JPH0765258B2 (ja) * 1990-07-17 1995-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
JP2573101B2 (ja) * 1991-02-06 1997-01-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製品におけるボタンホールの編成方法
JPH0781228B2 (ja) 1991-07-05 1995-08-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立体的なシルエット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H05302247A (ja) * 1992-04-21 1993-11-16 Asahi Chem Ind Co Ltd 横編ニット製品及びその製造法
JP2723452B2 (ja) 1993-08-23 1998-03-09 株式会社多川商事 自鳴型タグ警報装置
JP4113296B2 (ja) * 1999-01-25 2008-07-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伏目処理方法
WO2001004398A1 (fr) * 1999-07-13 2001-01-18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couture d'ourlets avec une excellente aptitude a l'etirage
DE60227160D1 (de) 2001-03-26 2008-07-31 Shima Seiki Mfg Mit doppelrand verarbeitetes gestrick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JP4336298B2 (ja) 2004-12-09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編地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4969326B2 (ja) * 2007-06-12 2012-07-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2010053492A (ja) * 2008-08-29 2010-03-11 Shima Seiki Mfg Ltd 伏目処理方法
WO2010128624A1 (ja) * 2009-05-08 2010-11-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2012082564A (ja) * 2010-09-15 2012-04-26 Shima Seiki Mfg Ltd 伏目処理方法
JP5753374B2 (ja) * 2010-12-02 2015-07-2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JP5804729B2 (ja) * 2011-03-01 2015-11-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6518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10828B (zh) 2016-04-27
ITTO20130782A1 (it) 2014-04-04
JP2014074240A (ja) 2014-04-24
CN103710828A (zh) 2014-04-09
KR101449506B1 (ko) 2014-10-08
DE102013016016A1 (de) 2014-04-03
JP6025484B2 (ja) 2016-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506B1 (ko)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TW480299B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CN101910485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02086560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和针织物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4848374B2 (ja) 衿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EP1908867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an open part in a tubular body part
EP1829995B1 (en) Knitwear knitted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WO2006040952A1 (ja) 横編機で編まれたvネック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695846B2 (ja) Vネック尖端部の編成方法、およびvネック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
TW490521B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TWI585254B (zh) 編織物之編織方法
WO2011004694A1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JP5543927B2 (ja) V首剣先部を有する衿付き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CN104746224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CN102995267A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针织物
JP5567556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2011190556A (ja)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6518608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TW508388B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and the knitwear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2006188779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指袋部の編成方法
JP2013023773A (ja) 筒状部分を有するダブルラッシェル経編地及びそれを用いた衣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