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6518A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6518A
KR20210126518A KR1020210046344A KR20210046344A KR20210126518A KR 20210126518 A KR20210126518 A KR 20210126518A KR 1020210046344 A KR1020210046344 A KR 1020210046344A KR 20210046344 A KR20210046344 A KR 20210046344A KR 20210126518 A KR20210126518 A KR 20210126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base
stitch
tubular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1999B1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26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2층구조를 가지는 견고한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의 종단부(10E)를 주회하도록 종단부(10E)에 2층구조의 띠모양부(20)를 연결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공정A∼공정D를 한다.
종단부(10E)의 기단부(1)에 제1스티치(2)를 편성하는 것과, 종단부(10E)의 편성폭방향의 외측에 제2스티치(3)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연속하여 실시하는 공정A.
제2스티치(3)를 기점으로 하여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을 편성하는 공정B.
통모양 베이스부(1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띠모양부(20)를 편성하여, 기단부(1)를 제외한 종단부(10E)와 띠모양부(20)를 접합하는 공정C.
기단부(1)와 띠모양부(20)의 종단(20E)을 양자의 경계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정D.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모양 베이스부와, 그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에 연결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 및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 2에는, 통모양 베이스부와 그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연결되는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 2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한다. 그 다음에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그리고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2층구조로 이루어지는 통모양의 띠모양부를 편성하면서,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대하여 주회(周回)하도록 연결한다. 특허문헌1, 2에서는, (1) 통모양의 띠모양부를 통모양 베이스부 측으로 이동시켜 띠모양부의 스티치를 통모양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는 것과, (2) 그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띠모양부의 새로운 코스를 편성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그 결과, 통모양 베이스부와,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연결되는 통모양의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은, 통모양 베이스부의 원주방향을 따르는 방향이 된다.
띠모양부를 통모양 베이스부 측으로 이동시킬 때에, 스티치의 이동을 위한 공침(空針)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특허문헌1에서는, 띠모양부의 제1층의 편성폭에 대하여 제2층의 편성폭을 극단적으로 좁게 함으로써, 스티치의 이동을 위한 공침을 확보하고 있다(특히, 특허문헌1의 도2를 참조). 또한 특허문헌2에서는, 띠모양부의 제1층과 제2층을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어긋난 상태로 함으로써, 스티치의 이동을 위한 공침을 확보하고 있다(특히, 특허문헌2의 도2를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7424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10849호 공보
폴로 칼라(polo collar)를 구비하는 니트웨어와 같이, 띠모양부의 일부가 통모양 베이스부의 두께방향으로 중복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무봉제로 편성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띠모양부가 2층구조이면, 외관이 좋고 두께가 있는 견고한 띠모양부가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1, 2의 편성방법에서는, 2층구조를 갖는 띠모양부를 편성할 때에 띠모양부의 스티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공침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스티치의 이동을 위한 공침을 확보하면, 띠모양부의 스티치가 성글게 되어 버린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2층구조를 가지는 견고한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2층구조를 가지는 견고한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전후로 대향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고,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를 주회하도록 상기 종단부에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연결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것과, 상기 종단부의 편성폭방향의 외측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연속하여 실시하는 공정A와,
상기 제2스티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띠모양부의 시단을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시단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상기 띠모양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단부의 스티치를 상기 띠모양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기단부를 제외한 상기 종단부와 상기 띠모양부를 접합하는 공정C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띠모양부의 종단을, 양자의 경계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정D를 한다.
<2>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공정A를 하기 전에 상기 기단부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있는 경우에,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기단부를 편성폭방향의 끝에 위치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3>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웨일방향의 상단에 슬릿상의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결된 주베이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주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편성을 하여, 상기 소정의 부분을 슬릿의 단부로 하는 상기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를 편성하고,
상기 소정의 부분을 상기 기단부로 하여 상기 공정A를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4>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통모양 베이스부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연결되는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이, 상기 종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르고 있는 통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이 모두 상기 기단부에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시단의 스티치의 방향이, 상기 기단부의 스티치의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종단의 스티치의 방향이, 상기 기단부의 스티치의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2층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시단과 종단이 모두 통모양 베이스부의 소정의 부분인 기단부에 연결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성방법에서는, 두께가 있는 견고한 띠모양부를 편성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편성방법에서는,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각각 통모양 베이스부에 편성에 의하여 연결하기 때문에, 띠모양부를 봉제에 의하여 통모양 베이스부에 연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층구조를 가지는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생산성 높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2>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기단부가 있더라도, 띠모양부와 통모양 베이스부를 접합할 수 있다.
상기 <3>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슬릿상의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베이스부이더라도, 오프닝부를 포함한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편성할 수 있다. 슬릿상의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일례로서, 예를 들면 폴로 칼라를 구비하는 니트웨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통모양 편성포로서, 두께가 있어 외관이 우수한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생산성이 우수하다.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이 통모양 베이스부에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어, 종래와 같이 띠모양부를 통모양 베이스부에 봉제에 의하여 연결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인 니트웨어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를 편성하는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제1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도3의 제1편성공정도에 이어지는 제2편성공정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6은, 실시형태4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폴로 칼라 근방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실시형태4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8은, 실시형태5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폴로 칼라 근방의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실시형태5에 나타내는 니트웨어의 편성공정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몸통과 소매를 구비하는 니트웨어(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인 니트웨어(100)는, 몸통(50)과 소매(60)와 폴로 칼라(80)를 구비한다. 몸통(50)은,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10)이다. 몸통(50)의 웨일방향의 상단(上端)에는 슬릿상(slit狀)의 오프닝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통모양 베이스부(10)는, 옷단에서부터 오프닝부(13)의 단부(端部)(13b)까지의 부분인 주베이스부(11)와, 주베이스부(1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개구 베이스부(12)를 구비한다(도2). 몸통(50)의 웨일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단에서부터 네크라인을 향하는 방향이다. 네크라인은, 몸통(50)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10E)(도2)로 구성된다.
폴로 칼라(80)는, 2층구조의 띠모양부(20)이다. 폴로 칼라(80)는, 우측 플래킷부(81)와, 우측 앞쪽 칼라부(82)와, 뒤쪽 칼라부(83)와, 좌측 앞쪽 칼라부(84)와, 좌측 플래킷부(85)를 구비한다. 폴로 칼라(80)의 웨일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종단부(10E)의 원주방향을 따르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폴로 칼라(80)는 오프닝부(13)의 단부(13b)를 기점으로 하여, 우측 플래킷부(81), 우측 앞쪽 칼라부(82), 뒤쪽 칼라부(83), 좌측 앞쪽 칼라부(84), 좌측 플래킷부(85)의 순서로 편성되어 있다.
우측 플래킷부(81)의 시단(始端)(20S)(도2), 즉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은, 오프닝부(13)의 단부(13b), 즉 종단부(10E)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基端部)(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시단(20S)의 스티치의 방향은, 기단부(1)의 스티치의 방향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한편 좌측 플래킷부(85)의 종단(20E)(도2), 즉 띠모양부(20)의 종단(20E)은, 오프닝부(13)의 단부(13b)(기단부(1))에 연결되어 있다. 즉 종단(20E)의 스티치의 방향은, 기단부(1)의 스티치의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플래킷부(81)의 스티치의 방향과 좌측 플래킷부(85)의 스티치의 방향은, 거의 역방향으로 되어 있다.
띠모양부(20)의 시단(20S)(도2)과 종단(20E)(도2)은, 오프닝부(13)의 단부(13b)에 무봉제(無縫製)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오프닝부(13)의 단부(13b)(기단부(1))에 있어서, 시단(20S)과 종단(20E)이 통모양 베이스부(10)의 두께방향으로 중복하고 있다. 따라서 기단부(1)의 근방에 있어서, 우측 플래킷부(81)의 하단측(下端側)의 부분과 좌측 플래킷부(85)의 하단측의 부분이 두께방향으로 중복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우측 플래킷부(81)에 있어서의 단부(13b) 측의 부분이 좌측 플래킷부(85)에 있어서의 단부(13b) 측의 부분의 이면측에 중복되어 있다.
도1의 니트웨어(100)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다. 먼저 도2의 편성 이미지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개략을 설명한다. 도2에서는, 소매의 도시(圖示)를 생략한다.
우선 지면(紙面)의 하측에서부터 상측을 향하여 통모양 편성(tubular knitting)에 의하여 주베이스부(11)를 편성한다. 주베이스부(11)는, 원주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결된 통모양체이다.
다음에 주베이스부(11)의 웨일방향의 종단부(11E)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이나 C자 모양 편성(C-shaped knitting) 등의 왕복편성을 하여, 소정의 부분을 슬릿의 단부(13b)로 하는 오프닝부(13)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12)를 편성한다. 오프닝부(13)는, 편성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13b)와, 이 단부(13b)를 사이에 두고 우측 가장자리부(L11) 및 좌측 가장자리부(L15)로 둘러싸이는 공간이다. 우측 가장자리부(L11)와 좌측 가장자리부(L15)는, 단부(13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 본다. 본 예의 오프닝부(13)에는, 도1의 우측 플래킷부(81)와 좌측 플래킷부(85)가 배치된다.
개구 베이스부(12)를 편성할 때에, 오프닝부(13)의 단부(13b)를 사이에 두는 우측 앞쪽 몸통과 좌측 앞쪽 몸통을, 단부(1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늘림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형성하면서 편성한다. 그 결과, 단부(13b), 우측 가장자리부(L11), 우측 앞쪽 네크라인부(L12), 뒤쪽 네크라인부(L13), 좌측 앞쪽 네크라인부(L14), 및 좌측 가장자리부(L15)가 원주상으로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이때에, 좌우의 앞쪽 몸통을 단부(1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양 소매(60)(도1)의 소매산을 형성하여 두면, 양 소매(60)를 몸통(50) 측으로 위치시켜 접합하는 편성을 생략할 수 있다. 이들 부분(13b(기단부(1)), L11, L12, L13, L14, L15)은,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의 종단부(10E)이다. 개구 베이스부(12)의 편성을 종료한 시점에서, 니트웨어(100)에 있어서의 폴로 칼라(80) 이외의 부분의 편성은 종료된다.
본 예와는 달리 우측 가장자리부(L11)와 좌측 가장자리부(L15)가 V자 모양으로 벌어진 오프닝부(13)를 편성하는 경우에, 좌우의 앞쪽 몸통을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편성하여도 좋다. 양 가장자리부(L11, L15)의 경사각도에 따라서는, 이 되돌림 편성에 추가하여 좌우의 앞쪽 몸통을 단부(13b)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기 편성을 조합시켜도 좋다.
종단부(10E) 중의 오프닝부(13)의 단부(13b)를 기단부(1)로 하여, 폴로 칼라(80)(띠모양부(20))를 편성한다. 도2에서는 도시의 관계상 각 부(81∼85)를 각각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양쪽 화살표로 나타내는 위치는 이음매 없이 연속하고 있다.
폴로 칼라(80)(띠모양부(20))의 편성에 있어서, 기단부(1)에 편성으로 연결되는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을 편성한다. 그 때에, 기단부(1)의 점(a)과 시단(20S)의 점(a)이 연결되고, 기단부(1)의 점(b)과 시단(20S)의 점(b)이 연결되도록 결합사(結合絲)를 배치한다. 결합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시단(20S)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우측 플래킷부(81)를 편성한다. 우측 플래킷부(81)를 편성할 때에, 우측 플래킷부(81)의 라인(L21)을 오프닝부(13)의 우측 가장자리부(L11)에 연결시킨다. 즉 우측 플래킷부(81)를 포함하는 띠모양부(20)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반회전 트위스트된 상태에서 편성된다. 결합사와 시단(20S)의 편성방법 및 라인(L21)과 우측 가장자리부(L11)의 연결방법에 대해서는, 도4의 편성공정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우측 플래킷부(8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우측 앞쪽 칼라부(82)를 편성한다. 우측 앞쪽 칼라부(82)를 편성할 때에, 우측 앞쪽 칼라부(82)의 편성폭을 넓힌다. 우측 앞쪽 칼라부(82)에 있어서의 이점쇄선보다 지면의 좌측의 부분은, 도1에 나타내는 외측으로 접힌 부분이 된다. 우측 앞쪽 칼라부(82)의 라인(L22)은, 우측 앞쪽 네크라인부(L12)와 접합된다.
이후에 우측 앞쪽 칼라부(8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뒤쪽 칼라부(83), 좌측 앞쪽 칼라부(84), 및 좌측 플래킷부(85)를 순차적으로 편성한다. 뒤쪽 칼라부(83)의 라인(L23), 좌측 앞쪽 칼라부(84)의 라인(L24), 및 좌측 플래킷부(85)의 라인(L25)은, 각각 뒤쪽 네크라인부(L13), 좌측 앞쪽 네크라인부(L14), 및 좌측 가장자리부(L15)에 접속된다. 마지막으로 폴로 칼라(80)의 종단(20E)을 기단부(1)에 편성으로 연결시킨다. 그 때에, 기단부(1)의 점(a)과 종단(20E)의 점(a)을 연결시키고, 기단부(1)의 점(b)과 종단(20E)의 점(b)을 연결시킨다.
여기에서 폴로 칼라(80)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의 가장자리부의 라인(L21, L22, L23, L24, L25)보다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수(數) 스티치 내측의 위치에서, 폴로 칼라(80)와 몸통(50)의 종단부(10E)를 접속하여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종단부(10E)가 폴로 칼라(80)로 가려지기 때문에, 니트웨어(100)의 외관이 좋아진다.
상기 폴로 칼라(80)(띠모양부(20))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을 도3, 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 4에서는, 2개의 하부 니들베드(lower needle bed)와 2개의 상부 니들베드(upper needle bed)를 구비하는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이 없는 풀 게이지 편성(full gauge knitting)에 의하여 니트웨어(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2개의 상부 니들베드는 주로 스티치의 이동에 사용되기 때문에, 도3, 4에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본 예와는 달리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을 형성한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을 하는 경우에는, 2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본 예의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도 있다.
도3의 S0에는, 하부 니들베드인 제1니들베드(FB) 및 제2니들베드(BB)에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종단부(10E)의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3, 4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측의 칸에는 제1니들베드(FB) 및 제2니들베드(BB)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도3, 4에서는, 도2에 있어서의 기단부(1)의 스티치를 동그라미 마크로 나타내고, 우측 가장자리부(L11) 및 좌측 가장자리부(L15)의 스티치를 다이아몬드 마크로 나타내고, 네크라인부(L12∼L14)의 스티치를 오각형 마크로 나타낸다. 또한 띠모양부(20)의 스티치는 삼각형 마크로 나타낸다. 각 편성공정에서 새로 편성된 스티치는 검게 칠하여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의 직선 화살표는 트랜스퍼(transfer)를 나타내고, 구부러진 화살표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3의 S1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니들베드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에 기단부(1)를 배치한다.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회전에는, 공지의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도4의 S2에서는, 제1급사구(8)를 이동시켜, 종단부(10E)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1)에 제1스티치(2)를 편성하는 것과, 종단부(10E)의 편성폭방향의 외측에 제2스티치(3)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연속하여 실시한다(공정A). 여기에서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0)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외측으로 반회전 트위스트된 상태에서 편성된다. 이 트위스트 상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제1스티치(2)와 제2스티치(3)를 편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스티치(2)와 제2스티치(3)를 연결하는 복수의 교차사(4)가 트위스트된 상태가 되도록, 본 예에서는 제1니들베드(FB)에 배치하는 제1스티치(2)와 제2니들베드(BB)에 배치하는 제2스티치(3)를 순차적으로 편성한다. 본 예의 제1스티치(2)는, 제1니들베드(FB)에 결합되는 기단부(1)의 스티치에 턱을 함으로써 편성된 턱스티치(tuck stitch)이다. 제1스티치(2)가 편성된 부분은 기단부(1)이다. S3 이후에 있어서는, 제1스티치(2)의 도시를 생략한다. 한편 본 예의 제2스티치(3)는, 제1스티치(2)가 편성되는 제1니들베드(FB)에 대향(對向)하는 제2니들베드(BB)의 공침에 편성된 걸림 스티치(pick-up stitch)이다.
본 예와는 달리, 제1스티치(2)는 기단부(1)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된 니트 스티치(knit stitch)여도 좋다. 또한 제2스티치(3)는, 웨이스트 편성포(waste 編成布)의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된 니트 스티치여도 좋다.
복수의 제1스티치(2)는, 본 예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하는 방향(우측방향)으로, 또한 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편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2스티치(3)는, 본 예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외방(外方)을 향하는 방향(좌측방향)으로, 또한 단부로부터 외방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편성된다. 이러한 순서로 제1스티치(2)와 제2스티치(3)를 편성함으로써, 제1스티치(2)와 제2스티치(3)를 연결하는 복수의 교차사(4)가 반회전 트위스트된 상태가 된다. 제1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편사(Y8)는, 기단부(1)와, 후술하는 S3에 있어서 편성되는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을 연결하는 결합사이다.
제1급사구(8)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편성하는 편사를 급사하는 급사구와는 다른 급사구이다. S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에 사용한 급사구를 사용하여, 제1스티치(2)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니트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제1스티치(2)를 기단부(1)에 견고하게 고정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제1스티치(2)에 편성된 복수의 니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기단부(1)로 간주한다.
S3에서는, 제2스티치(3)를 기점으로 하여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을 편성한다(공정B). 더 구체적으로는, 제1급사구(8)와는 다른 제2급사구(9)를 사용하여, 제2니들베드(BB)에 있어서의 제2스티치(3)가 결합되는 편침과, 제2스티치(3)에 대향하는 제1니들베드(FB)의 편침에 편성시작부를 편성한다. 이 편성시작부가 띠모양부(20)의 시단(20S)이 된다. 편성시작부의 편성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국제공개 WO2002-10113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시작부를 편성할 수 있다. 시단(20S)은, 제2스티치(3)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단층(單層)의 편성시작부이더라도 좋다.
S4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종단부(10E)의 제1단부 스티치(5)(S3 참조)를 띠모양부(20)의 스티치에 포갠 후에, 띠모양부(20)를 편성한다(공정C의 일부). 제1단부 스티치(5)는, 기단부(1)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우측 가장자리부(L11)의 스티치이다. 본 예에서는, 제1단부 스티치(5)를 띠모양부(20)의 편성폭방향의 가장자리부보다 내측의 스티치에 포개고 있지만, 당해 가장자리부의 스티치에 포개도 좋다.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회전방향은, 제1단부 스티치(5)를 향하여 회전하는 방향이다. 띠모양부(20)는, 통모양으로 편성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밀라노 리브(Milano rib)와 같이 띠모양부(20)의 제1층과 제2층이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편성하여도 좋다.
또한 S4에서는, S3에 있어서 제1니들베드(FB)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의 단부에 있는 제2단부 스티치(6)를 제2니들베드(BB)로 이동시키고 있다. 제2단부 스티치(6)의 이동은, 종단부(10E)에 있어서의 제1니들베드(FB)와 제2니들베드(BB)의 스티치수의 차를 적게 하기 위하여 하고 있다. 제2단부 스티치(6)의 이동은, 전후 스티치수의 차가 4개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4 이후에 있어서는 S4와 동일한 편성을 반복하여, 기단부(1)를 제외한 종단부(10E)와 띠모양부(20)를 접합한다. 그 결과, S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1)의 일부가 제2니들베드(BB)로 로테이션(rotation)된 상태가 된다.
S5의 상태로부터 기단부(1)를 S4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기단부(1)와 띠모양부(20)의 종단(20E)을 양자(1, 20E)의 경계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에 의하여 접합한다(공정D). 예를 들면 제2니들베드(BB)에 결합되는 종단(20E)의 각 스티치를, 대향위치에 있는 제1니들베드(FB)에 결합되는 종단(20E)의 각 스티치에 포갠 후에, 공지의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기단부(1)와 종단(20E)을 접합한다. 공지의 코빼기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5804729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코빼기 처리를 들 수 있다.
띠모양부(20)의 시단(20S)(S3)은, 결합사(Y8)(S2)를 통하여 기단부(1)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부(1)와 띠모양부(20)의 종단(20E)을 접합함으로써, 기단부(1)에 대하여 시단(20S)과 종단(20E)의 양방이 편성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가 된다.
상기 편성공정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니들베드 상에서 회전시키면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종단부(10E)의 스티치를 띠모양부(20)에 위치시켜, 통모양 베이스부(10)와 띠모양부(20)를 접합하고 있다. 그 때에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범위의 외측에서 띠모양부(20)를 편성하고 있기 때문에, 띠모양부(20)의 편성에 제약이 없다. 따라서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이 넓은 폴로 칼라(80)(띠모양부(20))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인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폴로 칼라(80)의 편성에 제약이 없기 때문에, 폴로 칼라(80)에 조직패턴을 편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편사를 사용하여 니트패턴을 편성할 수도 있다.
폴로 칼라(80)의 편성이 종료된 후에 결합사(Y8)(S2 참조)의 적어도 일단(一端)을 잡아당기면, 띠모양부(20)의 시단(20S)과 종단(20E)이 결합된다. 그 결과, 도1에 나타내는 폴로 칼라(80)를 구비하는 니트웨어(100)가 완성된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0)의 띠모양부(20)를 도3, 4와는 다른 순서로 편성하는 예를 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1의 도3의 S0의 상태로부터 도5의 S1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종단부(10E)에 있어서의 기단부(1)를 제2니들베드(BB)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의 단부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S2에서는, 기단부(1)에 제1스티치(2)를 편성하는 것과, 종단부(10E)의 편성폭방향의 외측에 제2스티치(3)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연속하여 실시한다(공정A). 이후에 실시형태1의 S3∼S5와 동일한 편성을 하면 좋다.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회전방향은 반시계방향이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3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우측 플래킷부(81)가 좌측 플래킷부(85)의 앞쪽에 포개진 폴로 칼라(80)를 구비하는 니트웨어(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본 예에서 폴로 칼라(80)는, 좌측 플래킷부(85), 좌측 앞쪽 칼라부(84), 뒤쪽 칼라부(83), 우측 앞쪽 칼라부(82), 우측 플래킷부(81)의 순서로 편성된다. 본 예의 폴로 칼라(80)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도3, 4의 편성공정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편성공정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도5의 편성공정에 대하여 좌우대칭인 편성공정에 의해서도 편성할 수 있다. 좌우대칭의 편성공정은, 스티치의 배치가 좌우 반대이며,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회전방향이 반대인 편성공정을 말한다.
<실시형태4>
실시형태4에서는,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단부(1)에 대하여 우측 플래킷부(81)와 좌측 플래킷부(85)가 옆으로 나란히 접합된 폴로 칼라(80)를 구비하는 니트웨어(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6의 니트웨어(100)는, 예를 들면 도7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다.
기단부(1)가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있는 상태로부터 도7의 S1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에 기단부(1)를 배치한다. 본 예에서는, 기단부(1)의 일부의 스티치가 제1니들베드(FB)에, 잔부(殘部)의 스티치가 제2니들베드(BB)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1니들베드(FB)의 기단부(1)의 스티치수와 제2니들베드(BB)의 기단부(1)의 스티치수는 동일하다. 그 결과, 우측 플래킷부(81)의 편성폭과 좌측 플래킷부(85)의 편성폭이 동일해진다.
S2에서는 제1급사구(8)를 사용하여, 제2니들베드(BB)에 있어서 제2스티치(3)와 제1스티치(2)를 교대로 편성한다. 복수의 제2스티치(3)는, 통모양 베이스부(10)에 근접하는 방향(우측방향)으로, 또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외측으로부터 통모양 베이스부(1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편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1스티치(2)는,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하는 방향(우측방향)으로, 또한 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편성된다. 이 편성에서는, 결합사(Y8)를 잡아당겼을 때에 복수의 제2스티치(3)가 그 배열순서를 유지한 채로 평행이동하여 복수의 제1스티치(2)에 포개지도록, 제1스티치(2)와 제2스티치(3)를 함께 제2니들베드(BB)에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교차사(4)는, 복수의 제2스티치(3)가 평행이동할 때에 얽히지 않도록 트위스트되어 있지 않다. 이는, S1에 있어서 기단부(1)에 있어서의 제1스티치(2)가 편성되는 부분을 제2니들베드(BB)로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복수의 교차사(4)를 트위스트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S3에서는, 제1스티치(2)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제2니들베드(BB)로부터 제외시킴과 아울러,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종단부(10E)의 우측 가장자리부(L11)를 제2스티치(3)에 근접시킨다. 이후에 실시형태1의 도4의 S3∼S5와 동일한 편성을 함으로써, 도6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 있다.
<실시형태5>
실시형태5에서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 플래킷부(81)와 좌측 플래킷부(85)가 두께방향으로 일부 중복하는 폴로 칼라(80)를 구비하는 니트웨어(100)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8의 니트웨어(100)는, 예를 들면 도9에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다.
기단부(1)가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있는 상태로부터 도9의 S1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단부에 기단부(1)를 배치한다. 본 예에서는, 기단부(1)의 일부의 스티치가 제1니들베드(FB)에, 잔부의 스티치가 제2니들베드(BB)에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제1니들베드(FB)의 기단부(1)의 스티치수는, 우측 플래킷부(81)와 좌측 플래킷부(85)가 중복하는 만큼 제2니들베드(BB)의 기단부(1)의 스티치수보다 많다.
S2에서는, 실시형태1의 도4의 S2와 동일한 편성을 한 후에, 실시형태4의 도7의 S2와 동일한 편성을 한다. S2의 다음에는, 실시형태4의 도7의 S3과 동일한 편성을 한 후에, 실시형태1의 도4의 S3∼S5와 동일한 편성을 함으로써, 도8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100)는, 오프닝부(13)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통모양 베이스부(10)를 되돌림 편성 등으로 편성하면, 목부분의 파임이 얕은 크루넥(crew neck) 스웨터 등의 네크라인부에 실시형태1∼5의 띠모양부(20)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기단부(1)가 통모양 베이스부(10)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이 아니라 처음부터 도3의 S1의 위치에 배치되도록 통모양 베이스부(10)를 편성하면, 로테이션(rotation)에 의하여 소매의 위치를 옮겨 놓지 않고, 도1의 몸통(50)의 어깨의 위치에 오프닝부(13)를 구비하는 패셔너블한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 있다.
1 : 기단부
2 : 제1스티치
3 : 제2스티치
4 : 교차사
5 : 제1단부 스티치
6 : 제2단부 스티치
8 : 제1급사구 Y8 : 편사(결합사)
9 : 제2급사구
10 : 통모양 베이스부 10E : 종단부
11 : 주베이스부 11E : 종단부
12 : 개구 베이스부 13 : 오프닝부 13b : 단부
20 : 띠모양부 20E : 종단 20S : 시단
100 : 니트웨어(통모양 편성포)
50 : 몸통(통모양 베이스부)
60 : 소매
80 : 폴로 칼라(띠모양부)
81 : 우측 플래킷부 82 : 우측 앞쪽 칼라부
83 : 뒤쪽 칼라부 84 : 좌측 앞쪽 칼라부
85 : 좌측 플래킷부
L11 : 우측 가장자리부 L12 : 우측 앞쪽 네크라인부
L13 : 뒤쪽 네크라인부 L14 : 좌측 앞쪽 네크라인부
L15 : 좌측 가장자리부
L21, L22, L23, L24, L25 : 라인

Claims (4)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고,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를 주회(周回)하도록 상기 종단부에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연결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基端部)에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것과, 상기 종단부의 편성폭방향의 외측(外側)에 제2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연속하여 실시하는 공정A와,
    상기 제2스티치를 기점으로 하여 상기 띠모양부의 시단(始端)을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시단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상기 띠모양부를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일방향(一方向)으로 회전시켜 상기 종단부의 스티치를 상기 띠모양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것을 반복하여, 상기 기단부를 제외한 상기 종단부와 상기 띠모양부를 접합하는 공정C와,
    상기 기단부와 상기 띠모양부의 종단(終端)을, 양자의 경계위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에 의하여 접합하는 공정D를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를 하기 전에 상기 기단부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있는 경우에,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회전시켜, 상기 기단부를 편성폭방향의 끝에 위치시키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웨일방향의 상단(上端)에 슬릿상(slit狀)의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기 위하여,
    원주방향으로 이음매 없이 연결된 주베이스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주베이스부의 웨일방향의 종단부에 있어서의 소정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대하여 편성을 하여, 상기 소정의 부분을 슬릿의 단부(端部)로 하는 상기 오프닝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를 편성하고,
    상기 소정의 부분을 상기 기단부로 하여 상기 공정A를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통모양 베이스부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연결되는 2층구조의 띠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이, 상기 종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르고 있는 통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종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기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이 모두 상기 기단부에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시단의 스티치의 방향이, 상기 기단부의 스티치의 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종단의 스티치의 방향이, 상기 기단부의 스티치의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는
    통모양 편성포.
KR1020210046344A 2020-04-10 2021-04-09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24919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71337A JP7357581B2 (ja) 2020-04-10 2020-04-10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JPJP-P-2020-071337 2020-04-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518A true KR20210126518A (ko) 2021-10-20
KR102491999B1 KR102491999B1 (ko) 2023-01-26

Family

ID=77851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6344A KR102491999B1 (ko) 2020-04-10 2021-04-09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57581B2 (ko)
KR (1) KR102491999B1 (ko)
CN (1) CN113512806B (ko)
DE (1) DE102021203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82421B (zh) * 2022-01-11 2023-02-28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罗纹下摆门襟边扭斜的编织方法及针织物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864A (ko) * 2012-10-03 2014-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KR20140048035A (ko) * 2012-10-15 2014-04-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및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40059130A (ko) * 2012-11-07 2014-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JP2015110849A (ja)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KR20170107387A (ko) * 2016-03-15 2017-09-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88850A (en) * 1930-04-23 1931-01-13 Apaca Knitting Mills Collar for sweate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047008B1 (ja) * 1998-11-26 2000-05-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JP2001011717A (ja) * 1999-06-29 2001-01-16 Gf Knit:Kk ニット製衿及び衿の編成方法
TW491917B (en) * 2000-01-26 2002-06-2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knit designing device for producing the method of knitting the neck
JP2002069729A (ja) * 2000-09-01 2002-03-08 Ken Aoki Co Ltd シャツの衿地
JP4203414B2 (ja) 2001-06-12 2009-0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新規な編み出し構造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336287B2 (ja) * 2004-10-13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で編まれたvネック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362717B2 (ja) * 2008-06-05 2013-12-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引き返し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7251995B2 (ja) * 2018-10-11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JP6619117B1 (ja) * 2019-07-09 2019-12-11 株式会社寺田ニット 無縫製ニットウェアの製造方法、及び無縫製ニットウェア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864A (ko) * 2012-10-03 2014-04-1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코빼기 방법 및 편성포
JP2014074240A (ja) 2012-10-03 2014-04-24 Shima Seiki Mfg Ltd 伏目方法、および編地
KR20140048035A (ko) * 2012-10-15 2014-04-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편성포 및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140059130A (ko) * 2012-11-07 2014-05-1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JP2015110849A (ja)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KR20170107387A (ko) * 2016-03-15 2017-09-25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03486A1 (de) 2021-10-14
CN113512806A (zh) 2021-10-19
KR102491999B1 (ko) 2023-01-26
CN113512806B (zh) 2023-01-31
JP2021167482A (ja) 2021-10-21
JP7357581B2 (ja) 2023-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06760B2 (ja) 編成方法
JPH1077556A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JP400289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WO2002090637A1 (ja) 横編機で編まれた衿付き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2021012651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4769059B2 (ja) 仕切り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905221B2 (ja) 編地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JP6738788B2 (ja) 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7162455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2554111B1 (ko) 편성방법
KR100937018B1 (ko) 앞깃(前衿)을 가진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앞깃을 가진 니트웨어
KR102266807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H10245750A (ja) 二層構造を有するニット衣類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11041684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编织物
KR102266801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4233176B2 (ja) 二層状ニットスカートの製造方法
US20070017256A1 (en) Knitting method of forming drape around collar and knitwear having drape around collar
KR20020075928A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KR10260220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EP2281933B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with overlapped stitches, and knitted fabric
EP2623651A1 (en) Knitwear
KR20240135357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