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07387A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07387A
KR20170107387A KR1020170030957A KR20170030957A KR20170107387A KR 20170107387 A KR20170107387 A KR 20170107387A KR 1020170030957 A KR1020170030957 A KR 1020170030957A KR 20170030957 A KR20170030957 A KR 20170030957A KR 20170107387 A KR20170107387 A KR 20170107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knitting
tubular
needle bed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7411B1 (ko
Inventor
요시유키 야마다
가즈요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107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25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or reinforcements for cables or ho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제1튜브와 제2튜브가 연결되고, 또한 양 튜브를 총침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제1베이스부(11)에 연결되는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편성한다(공정A). 제1튜브(21)의 측변(21L, 21R)을 니들베드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제1튜브(21)를 편성한다(공정B). 제2베이스부(12)에 연결되는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편성한다(공정C). 제2튜브(22)를 편성하면서, 제1튜브(21)의 측변(21L, 21R)과 제2튜브(22)의 측변(22L, 22R)을 연결시킨다(공정D). 공정B를 한 후에, 제1튜브(21)의 종단 스티치열(21E)과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연결한다(공정E). 공정D를 한 후에, 제2튜브(22)의 종단 스티치열(22E)과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연결한다(공정F).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METHOD FOR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wale方向) 단부(端部)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통모양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장갑이나 양말, 니트웨어의 개구부(開口部) 등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형성하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편성포부이며,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축방향, 즉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공동(空洞)의 축선은 통모양 베이스부의 원주방향을 따르고 있다. 예를 들면 스커트나 팬츠의 벨트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벨트 루프(belt loop) 등이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전형적인 예이다. 그와 같은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 또는 특허문헌2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1에는,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終端部)를 되돌려,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중간부 중의 상기 종단부 근방의 위치에 접속하는 파이핑 편성(piping knitting)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에는, 통모양 베이스부의 제1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통모양의 제1튜브를 편성하고, 그 후에 제2베이스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통모양의 제2튜브를 편성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3-174035호 공보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6-17252호 공보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에서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총침상태(full gauge state;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이 없는 상태)에서 편성할 수 없어, 횡편기의 게이지에 따른 스티치보다도 성긴(큰)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통모양 편성포가 되어버린다.
한편 특허문헌2의 편성방법에서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총침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2에서는, 제1튜브를 주회편성(周回編成)함으로써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양(兩) 단부(端部)가 막혀버리기 때문에, 그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양 단부에 제2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양 단부를 연결하여도 양 튜브의 중공부(中空部)가 막혀 연결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스커트나 팬츠의 벨트부(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특허문헌2의 편성방법으로 편성하면, 그 벨트부의 내부에 허리선(waistline)을 일주(一周)하도록 벨트나 고무를 넣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1튜브의 중공부와 제2튜브의 중공부가 연결되고, 또한 양 튜브를 하프 게이지 상태(half gauge state)뿐만 아니라 총침상태에서도 편성할 수 있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 편성된 통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일방의 니들베드와 타방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단부에,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튜브로 구성되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이하의 공정을 구비한다.
·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시키는 공정A.
·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튜브를 편성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제1튜브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상기 제1튜브의 결합위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측변이 되는 늘림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고,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측변이 되는 늘림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공정B.
·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시키는 공정C.
·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튜브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 있는 상기 제2튜브의 측변과 상기 제1튜브의 상기 측변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에 있는 상기 제2튜브의 측변과 상기 제1튜브의 상기 측변을 연결시키는 공정D.
· 상기 공정B보다도 뒤에, 상기 제1튜브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과 상기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연결하는 공정E.
· 상기 공정D보다도 뒤에, 상기 제2튜브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과 상기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연결하는 공정F.
상기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를 위한 공정은, 예를 들면 다음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공정A → 공정B → 공정C → 공정D → 공정E → 공정F
· 공정A → 공정B → 공정C → 공정D → 공정F → 공정E
· 공정A → 공정B → 공정E → 공정C → 공정D → 공정F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이하의 공정G를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정A → 공정B → 공정G → 공정E → 공정C → 공정D → 공정F의 순으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 상기 공정B를 한 후에,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전반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후반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로 회전시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의 늘림 스티치 수를 일치시키는 공정G.
여기에서 회전시킨다는 것은, 니들베드(X)에 결합되는 스티치열 중에서, 편성폭방향의 일단측(타단측)에 있는 단부 스티치를, 니들베드(X)에 대향하는 니들베드(Y)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타단측)에 있는 단부 스티치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지의 편성기술이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6-111995호 공보 등을 참조).
상기의 형태에 있어서, 일방의 니들베드의 측변을 구성하는 늘림 스티치 및 타방의 니들베드의 측변을 구성하는 늘림 스티치는 모두,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으로부터 일단측을 향하여 순서대로 정렬되어 있다. 즉 측변을 구성하는 늘림 스티치 중에서,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단부에 있는 늘림 스티치가 최초에 형성된 늘림 스티치이고, 일단측의 단부에 있는 늘림 스티치가 최후에 형성된 늘림 스티치이다. 또한 각 측변의 늘림 스티치의 형성순서의 전반과 후반의 경계는, 늘림 스티치 수의 합계의 반분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전반의 늘림 스티치 수와 후반의 늘림 스티치 수의 차는, 3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각 측변의 늘림 스티치 수의 합계가 홀수인 경우에, 전반의 늘림 스티치 수와 후반의 늘림 스티치 수가 동일하게 되지 않지만, 그 수의 차가 1 또는 3이 되도록 한다. 또한 각 측변의 늘림 스티치 수의 합계가 짝수이더라도 합계가 많으면, 전반의 늘림 스티치 수와 후반의 늘림 스티치 수를 동수(수의 차=0)로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합계=20인 경우에 전반의 수=11, 후반의 수=9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하나의 형태로서, 상기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속하여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단부에 무봉제로 연결되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튜브로 구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는 모두, 그 웨일방향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연결됨으로써 중공의 튜브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고리모양 단부와, 상기 제2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고리모양 단부가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고리모양 단부와, 상기 제2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고리모양 단부가 편성에 의하여 연결된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1튜브의 중공부와 제2튜브의 중공부가 연결되고, 또한 양 튜브를 총침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다. 제1튜브와 제2튜브가 연결되는 것은, 제1튜브를 먼저 편성할 때에 그 제1튜브의 측변(편성폭방향의 양 단부)을 니들베드에 결합시킨 상태로 하고, 이어서 제2튜브를 편성할 때에 제2튜브의 측변과 제1튜브의 측변을 연결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일방의 니들베드와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측변의 늘림 스티치 수를 거의 동수가 되도록 일치시키는 공정G를 함으로써, 제2튜브의 측변과 제1튜브의 측변을 연결시키는 공정D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공정G를 한 후에 공정E를 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을 쉽게 할 수 있다.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속하여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스커트나 팬츠의 벨트부에 벨트나 고무를 삽입할 수 있는 중공의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통모양 베이스부와 튜브모양 편성포부에 있어서, 스티치의 크기가 횡편기의 게이지에 따른 크기로 통일되어 외관이 좋다. 또한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제1튜브의 고리모양 단부와 제2튜브의 고리모양 단부가, 걸림 스티치에 대해서는 더블 스티치로, 스티치에 대해서는 턱 또는 더블 스티치에 의한 편성으로 연결됨으로써 제1튜브의 중공부와 제2튜브의 중공부가 연결되기 때문에, 당해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내부를 일주하도록 벨트나 고무 등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인 스커트의 개략도이다.
도2는, 튜브모양 편성포부인 스커트의 벨트부의 개략도이다.
도3은,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편성 이미지 도면이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1에서는, 4베드 횡편기(four-bed 橫編機)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tubular 編成布)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벨트부(belt部)를 구비하는 스커트(100)를 편성하는 예를 도1∼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스커트(100)는, 스커트(100)의 본체인 통모양의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wale方向) 종단부(終端部)에 형성되는 벨트부(튜브모양 편성포부)(20)를 구비한다. 베이스부(10)는, 제1베이스부(11)와 제2베이스부(12)가 통모양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주회편성(周回編成) 등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한편 튜브모양 편성포부(20)는, 내부가 중공(中空)으로 되어 있는 제1튜브(21)와 제2튜브(22)가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구성을 도2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서는 편성폭방향을 쌍촉 화살표(↔)로 나타낸다. 또한 도2에서는, 제1튜브(21)와 제2튜브(22)의 중간부분의 일부를 잘라, 양 튜브(21, 22)의 내부가 보이도록 도시하고 있다.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제1튜브(21)(제2튜브(22))는, 하나의 편성포부를 웨일방향의 중간부에서 통의 내측으로 되돌리고, 그 편성포부의 시단부(始端部)(21s(22s))와 종단부(21e(22e))가 니트(knit)나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 등을 사용한 접합방법에 의하여 무봉제(無縫製)로 연결됨으로써 중공의 튜브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튜브(21)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의 고리모양 단부(21a)(타단측(他端側)의 고리모양 단부(2lb))와, 제2튜브(22)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고리모양 단부(22a)(타단측의 고리모양 단부(22b))는, 턱(tuck) 또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사용한 접합방법에 의하여 무봉제로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튜브(21)의 중공부와 제2튜브(22)의 중공부가 연결되고,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내부에 고리모양의 중공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100)의 튜브모양 편성포부(20)는, 예를 들면 도3의 편성 이미지 도면에 따라 편성할 수 있다. 도3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FD는 하측 앞쪽 니들베드(lower front needle bed), FU는 상측 앞쪽 니들베드(upper front needle bed), BD는 하측 뒤쪽 니들베드(lower back needle bed), BU는 상측 뒤쪽 니들베드(upper back needle bed)를 나타낸다.
S0에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을 형성하지 않는 총침상태(full gauge state)에서 편성된 통모양 베이스부(10)가 나타나 있다. FD에는 통모양 베이스부(10)에 있어서 제1베이스부(11)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이 결합되고, BD에는 통모양 베이스부(10)에 있어서 제2베이스부(12)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이 결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튜브모양 편성포부(20)(도1, 2)의 편성을 시작한다.
편성에 사용하는 편사는 탄성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사로 편성함으로써, 도2의 시단부(21s(22s))와 종단부(21e(22e))의 접속을 매끄럽게 할 수 있고, 또한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내부에 고무를 삽입하였을 때에, 고무의 신축을 따르는 튜브모양 편성포부(20)로 할 수 있다. 그 외에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부위에 따라 탄성사와 비탄성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제1접합용 스티치열(1) 및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탄성사로 편성하고, 그 이외를 비탄성사로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S1에서는,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BU에서 편성함과 아울러,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를 FD에 결합되는 제1베이스부(11)에 연결시킨다(공정A에 상당). 본 예에서는,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은 BU의 공침에 형성되는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로 구성되어 있고,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걸림 스티치 사이에서 제1베이스부(11)의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턱을 함으로써, 제1접합용 스티치열(1)과 제1베이스부(11)를 연결하고 있다. 후술하는 S2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BU에 결합되는 걸림 스티치 사이에 공침을 형성하여 둔다. 여기에서 제1베이스부(11)의 스티치에 턱을 하는 대신에 니트를 하여, 제1접합용 스티치열(1)과 제1베이스부(11)를 연결하여도 좋다. 또는 제1베이스부(11)의 스티치에 스플릿 편성(split knitting)(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2604653호 공보를 참조)을 하여, 제1베이스부(11)에 연결되는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형성하여도 상관없다.
S2에서는, FD를 사용하여 제1튜브(21)를 편성한다(공정B에 상당). S2에서는,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1], [2]를 하고 있다. [1] 제1튜브(21)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제1튜브(21)의 결합위치를 FD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지면의 좌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2] 제1튜브(21)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측변(側邊)(21L)이 되는 늘림 스티치(widening stitch)(도면 중의 역브이(∧)표 참조)를 BD에 형성하고, 제1튜브(21)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측변(21R)이 되는 늘림 스티치(도면 중의 브이(∨)표 참조)를 FD에 형성한다. 본 예에서는, 제1튜브(21)를 총침상태에서 편성함과 아울러, 제1튜브(21)를 구성하는 1단분(一段分)의 스티치열(하나의 편성코스)을 편성할 때마다 당해 스티치열을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제1튜브(21)의 이동은, BU의 공침을 사용하여 하면 좋다. 다만 BU에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제1튜브(21)를 이동시킬 수는 없다. BU 중에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이 결합되는 범위에는 공침이 하나 걸러 1개씩밖에 없는 것에 대하여, FD에 결합되는 제1튜브(21)는 총침상태이기 때문에, 제1튜브(21)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한 스티치씩 순차적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예에서는, 이동시킨 스티치열(구스티치열(舊stitch列))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할 때에, 구스티치열의 이동에 의하여 공침이 된 FD의 편침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늘림 스티치를 편성함과 아울러, 이동 후의 구스티치열의 이동방향 단부의 스티치에 대향(對向)하는 BD의 공침에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늘림 스티치를 편성하고 있다. 늘림 스티치는, 스플릿 스티치로 편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에서는, 늘림 스티치의 형성순서를 원문자로 나타낸다. 여기에서 S2에서 형성한 측변(21L(21R))은, 도2에 있어서의 제1튜브(21)의 고리모양 단부(21a(2lb))에 상당한다.
S3에서는, FD에 결합되는 제1튜브(21)의 측변(21R)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전반(前半)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원문자①∼③)를 BD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BD에 결합되는 제1튜브(21)의 측변(21L)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후반(後半)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원문자④∼⑥)를 FD로 회전시킨다(공정G에 상당). 본 예에서는, FD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래킹(racking)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이 공정G에 의하여 FD와 BD에 결합되는 측변(21L, 21R)의 늘림 스티치 수가 일치되어, S3 이후의 편성이 용이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이 탄성사로 편성되고, 그 신장량이 래킹양을 따를 수 있는 경우 등에는, 이 S3의 늘림 스티치의 회전을 생략하고 FD를 래킹시켜, 제1튜브(21)의 종단 스티치열(21E)(S2 참조)과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대향시킬 수 있다.
또한 S3에서는, 제1튜브(21)의 종단 스티치열(21E)(S2 참조)과 제1접합용 스티치열(1)(S2 참조)을 연결한다(공정E에 상당). 종단 스티치열(21E)과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연결하는 접합부(21C)는, 예를 들면 종단 스티치열(21E)과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포갬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양 스티치열(21E, 1)을 포갠 후에, 그 더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접합부(21C))을 코빼기 처리함으로써 양 스티치열(21E, 1)의 접합이 확정되고, 제1튜브(21)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을 통하여 연결된다. 물론 더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스티치열(접합부(21C))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수(數) 단분의 신규 스티치열을 편성한 후에 코빼기 처리를 하여도 좋고, 그 경우에 첫 번째 단의 신규 스티치열에 의하여 양 스티치열(21E, 1)의 접합이 확정된다. 본 예에서는, BU의 제1접합용 스티치열(1)과 FD의 종단 스티치열(21E)을 직접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접합부(21C)를 형성하고 있고, 도면상에서 접합부(21C)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 단계에서 접합부(21C)는 니들베드로부터 제외되어 있다. 코빼기 처리는 공지의 편성방법으로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S3의 코빼기 처리는, 후술하는 S5를 한 후에 할 수도 있다. 또한 종단 스티치열(21E)의 스티치 수와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의 스티치 수가 일치하고 있지 않지만, 그것은 문제되지 않는다.
S4에서는,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FU에서 편성함과 아울러,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를 BD에 결합되는 제2베이스부(12)에 연결시킨다(공정C에 상당). 본 예에서는,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은 제2베이스부(12)의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턱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제1접합용 스티치열(1)의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해 스티치에 니트나 스플릿 스티치를 함으로써 제2접합용 스티치열(2)과 제2베이스부(12)를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S4에서는, 측변(21L, 21R)의 늘림 스티치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S5에서는, BD를 사용하여 상기 제2튜브(22)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 있는 제2튜브(22)의 측변(22L)과 제1튜브(21)의 측변(21L)(S3 참조)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에 있는 제2튜브(22)의 측변(22R)과 제1튜브(21)의 측변(21R)(S3 참조)을 연결시킨다(공정D에 상당). 본 예에서는, 제1튜브(21)의 측변(21L)에 있어서의 형성순서가 빠른 스티치부터 순차적으로 제2튜브(22)를 구성하는 스티치열의 좌단부(左端部)에 포갬과 아울러, 제1튜브(21)의 측변(21R)에 있어서의 형성순서가 빠른 스티치부터 순차적으로 제2튜브(22)를 구성하는 스티치열의 우단부(右端部)에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새로운 스티치열을 편성한다. 이 더블 스티치의 형성과 새로운 스티치열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제1튜브(21)와 제2튜브(22)를 접속한다. 여기에서 S5에 있어서의 측변(22L(22R))은, 도2에 있어서의 제2튜브(22)의 고리모양 단부(22a(22b))에 상당한다.
S6에서는, 제2튜브(22)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22E)(S5 참조)과 제2접합용 스티치열(2)(S5 참조)을 연결한다(공정F에 상당). 종단 스티치열(22E)과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연결하는 접합부(22C)의 형성은, S3의 접합부(21C)의 형성과 동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FU의 제2접합용 스티치열(2)과 BD의 종단 스티치열(22E)을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연결함으로써 접합부(22C)를 형성하고 있고, 도면상에서는 접합부(22C)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접합부(22C)는 니들베드로부터 제외되어 있다. 이 S6에 의하여, 제2튜브(22)의 시단부와 종단부가 제2접합용 스티치열(2)을 통하여 연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 이미지 도면에 따라 도1, 2에 나타내는 튜브모양 편성포부(20)를 편성할 수 있다. 튜브모양 편성포부(20)는, 통모양 베이스부(10)와 동일하게 스티치 사이에 공침을 형성하지 않는 총침상태에서 편성되고, 통모양 베이스부(10)와 튜브모양 편성포부(20)에 있어서, 스티치의 크기가 횡편기의 게이지(gauge)에 따른 크기로 통일되어 있기 때문에, 스커트(100)의 외관이 좋다. 또한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내부에, 허리선(waistline)을 일주하는 고리모양의 중공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고리모양의 중공의 구멍에 고무나 벨트 등의 부재를 삽입할 수 있다. 튜브모양 편성포부(20)의 내부에 고무나 벨트를 삽입하는 경우에, 그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구멍을 제1튜브(21) 또는 제2튜브(22) 중에 있어서 스커트(100)의 내부측의 위치에 형성하면 좋다. 예를 들면 양 튜브(21, 22)의 접속부분에 삽입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 S2의 편성폭방향 중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 스커트(100)에서 내부측에 위치하는 후반부분의 늘림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으면 좋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는,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시단부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예를 들면 드로 스레드(draw thread)나 웨이스트 편성포(waste 編成布)로 이루어지는 기단 편성포부(基端 編成布部)를 편성하고, 그 기단 편성포부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도3의 편성 이미지 도면에 의거하여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한다. 다만 S3과 S6에서 제1튜브(21)의 접합부(21C)와 제2튜브(22)의 접합부(22C)를 코빼기 처리하지 않고 FD와 BD에 결합한 채로 둔다. 그렇게 함으로써, 그 접합부(21C, 22C)에 연속하여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할 수 있다. 즉 튜브모양 편성포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속하여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형태1, 2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이용하면, 장갑의 손목부나 팬츠의 벨트부, 니트웨어의 옷단부, 커프스, 네크라인 등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였지만,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실시형태1, 2와 동일한 편성을 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하나의 공침을 형성하는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으로 하면 좋다.
FD : 하측 앞쪽 니들베드(일방의 니들베드)
FU : 상측 앞쪽 니들베드(일방의 니들베드)
BD : 하측 뒤쪽 니들베드(타방의 니들베드)
BU : 상측 뒤쪽 니들베드(타방의 니들베드)
1 : 제1접합용 스티치열
2 : 제2접합용 스티치열
100 : (통모양 편성포)스커트
10 : 통모양 베이스부
11 : 제1베이스부
12 : 제2베이스부
20 : 튜브모양 편성포부
21 : 제1튜브
22 : 제2튜브
21C, 22C : 접합부
21E, 22E : 종단 스티치열
21L, 21R, 22L, 22R : 측변
21a, 22a, 21b, 22b : 고리모양 단부
21s, 22s : 시단부
21e, 22e : 종단부

Claims (4)

  1. 일방(一方)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wale方向) 단부(端部)에,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튜브로 구성되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편사(編絲)의 일부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시키는 공정A와,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1튜브를 편성하는 공정으로서, 상기 제1튜브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상기 제1튜브의 결합위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측변(側邊)이 되는 늘림 스티치(widening stitch)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고,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他端側)의 측변이 되는 늘림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하는 공정B와,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후공정에서 사용할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편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구성하는 편사의 일부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시키는 공정C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를 사용하여 상기 제2튜브를 구성하는 웨일방향의 편성코스수를 늘리면서,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에 있는 상기 제2튜브의 측변과 상기 제1튜브의 상기 측변을 연결시킴과 아울러,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에 있는 상기 제2튜브의 측변과 상기 제1튜브의 상기 측변을 연결시키는 공정D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B보다도 뒤에, 상기 제1튜브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과 상기 제1접합용 스티치열을 연결하는 공정E와,
    상기 공정D보다도 뒤에, 상기 제2튜브의 웨일방향의 종단 스티치열과 상기 제2접합용 스티치열을 연결하는 공정F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를 한 후에,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전반(前半)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를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을 구성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 중에서, 그 형성순서의 후반(後半)에 형성되는 복수의 늘림 스티치를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로 회전시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와 상기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상기 측변의 늘림 스티치 수를 일치시키는 공정G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속하여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단부에 무봉제(無縫製)로 연결되는 튜브모양 편성포부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모양 편성포부는, 상기 제1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2베이스부에 연결되는 제2튜브로 구성되는 통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와 상기 제2튜브는 모두, 그 웨일방향의 시단부(始端部)와 종단부(終端部)가 연결됨으로써 중공(中空)의 튜브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고리모양 단부와, 상기 제2튜브의 편성폭방향의 일단측의 고리모양 단부가 턱(tuck) 또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사용한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제1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고리모양 단부와, 상기 제2튜브의 편성폭방향의 타단측의 고리모양 단부가 턱 또는 더블 스티치를 사용한 편성에 의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
KR1020170030957A 2016-03-15 2017-03-13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867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1066A JP6505041B2 (ja) 2016-03-15 2016-03-15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JP-P-2016-051066 2016-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387A true KR20170107387A (ko) 2017-09-25
KR101867411B1 KR101867411B1 (ko) 2018-06-14

Family

ID=5975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957A KR101867411B1 (ko) 2016-03-15 2017-03-13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05041B2 (ko)
KR (1) KR101867411B1 (ko)
CN (1) CN107190407B (ko)
DE (1) DE1020172036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266A (ko) * 2018-10-11 2020-04-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20200102368A (ko) * 2019-02-21 2020-08-3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20210126518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15586A1 (de) * 2018-10-11 2020-04-16 Shima Seiki Mfg., Ltd. Verfahren zum stricken eines schlauchgestricks und schlauchgestrick
JP7204414B2 (ja) * 2018-10-23 2023-0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6325B2 (ja) * 1997-05-27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方法
JP2013174035A (ja) 2012-02-27 2013-09-05 Shima Seiki Mfg Ltd 編地終端部のパイピング処理方法
KR20130122880A (ko) * 2012-05-01 2013-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6017252A (ja)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3306A (en) * 1991-06-06 1992-11-17 Sara Lee Corporation Garment blank, brief, and method of making
JP2604653B2 (ja) 1991-09-21 1997-04-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リブ編みを有するポケット付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US5814003A (en) * 1996-09-04 1998-09-29 Alba-Waldensian, Inc. Pulsatile anti-embolism stocking
ES2154141B1 (es) * 1998-04-27 2001-10-01 Dusen S A Media de tipo integrado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3403720B2 (ja) * 2002-03-14 2003-05-06 貴美男 平井 無縫製ニットパンツの製造方法
US20040009731A1 (en) * 2002-07-11 2004-01-15 Tefron Garment with discrete integrally-formed, electrically-conductive region and associated blank and method
JP2006111995A (ja) 2004-10-13 2006-04-27 Shima Seiki Mfg Ltd シームレス手袋、靴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336307B2 (ja) * 2004-12-28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WO2008078414A1 (ja) * 2006-12-25 2008-07-03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横編機
CN101715498B (zh) * 2007-06-29 2011-11-16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针织品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品
JP5709510B2 (ja) * 2010-12-20 2015-04-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立体筒状編地とこれを用いた配管のカバー及び編成方法
JP5785424B2 (ja) * 2011-04-08 2015-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外反母趾用靴下、および外反母趾用靴下の編成方法
CN103556379B (zh) * 2013-11-15 2015-11-25 加宝利服装有限公司 一种无缝针织裤和一种无缝针织裤的织造工艺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6325B2 (ja) * 1997-05-27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方法
JP2013174035A (ja) 2012-02-27 2013-09-05 Shima Seiki Mfg Ltd 編地終端部のパイピング処理方法
KR20130122880A (ko) * 2012-05-01 2013-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6017252A (ja) 2014-07-09 2016-02-0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1266A (ko) * 2018-10-11 2020-04-2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20200102368A (ko) * 2019-02-21 2020-08-3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20210126518A (ko) * 2020-04-10 2021-10-2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66084A (ja) 2017-09-21
CN107190407B (zh) 2019-04-23
CN107190407A (zh) 2017-09-22
KR101867411B1 (ko) 2018-06-14
JP6505041B2 (ja) 2019-04-24
DE102017203622A1 (de)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411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648750B1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537943B1 (ko) 리브풍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리브풍 편성포
EP1829995B1 (en) Knitwear knitted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KR10190357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753631B1 (ko) 풋웨어의 편성방법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US9644292B2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JP4852092B2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EP1367162A1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EP1482080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20190062218A (ko)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JP5452791B2 (ja)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CN103572485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KR20160134557A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4296163B2 (ja) 縮径部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2011006820A (ja) 前後身頃の各終端編目間に袖山頂部より延伸する肩部を備え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7162453B2 (ja) リセスのある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