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557A -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557A
KR20160134557A KR1020160058550A KR20160058550A KR20160134557A KR 20160134557 A KR20160134557 A KR 20160134557A KR 1020160058550 A KR1020160058550 A KR 1020160058550A KR 20160058550 A KR20160058550 A KR 20160058550A KR 20160134557 A KR20160134557 A KR 20160134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knitting
knitted fabric
knitted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4254B1 (ko
Inventor
지하루 기요하라
요시노리 시마사키
히데키 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60134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04B1/265Surgica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04B7/3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도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둥그스름한 상태로 손가락부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손가락부(1)는, 선단의 손가락 끝부(12)를 중간으로 하여 웨일이 연속하는 선행측 부분(11)과 후행측 부분(13)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10)과, 선행측 부분(11)과 후행측 부분(13)의 코스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15)을 구비한다. 인접하는 손가락부(1, 2)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5)에 형성되는 손가락 연결부분(16)의 양측에서, 일방의 손가락부(1)와 타방의 손가락부(2)는 측방 편성포면(10, 20) 상호 간의 웨일이 연속되기 때문에,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깊이가 있고 둥그스름한 상태로 손가락부(1, 2)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KNITTED FABRIC WITH FINGER POUCH AND KNIT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갑이나 양말 등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에 설치되는 편침(編針)으로 편성포를 편성하는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장갑이나 양말 등이 편성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서는, 손가락부를 통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로서 주회편성(周回編成)한다. 이와 같은 주회편성에 의한 통모양 편성포의 손가락부에서는, 몸통부의 단부(端部)에 각 손가락부의 웨일(wale)이 나란히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코스방향(course 方向)을 따르는 편사(編絲)는 주회하면서 웨일방향으로 나선상(螺旋狀)으로 연속된다.
일본국 특허 제4841488호 공보
특허문헌1에서 손가락부가 되는 통모양 편성포는, 몸통부 등과 접속하는 부분에서 개구(開口)하고 손가락 끝에서는 막히도록, 각각 독립하여 주회편성된다. 인접하는 손가락부의 사이는 손가락 연결부로서 접합된다. 다만 편사가 나선상으로 연속되는 통모양 편성포를 몸통부에 접합하는 부분에서, 손가락 연결부에 구멍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접합부분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직접 연결하도록 하면, 손가락 연결부에서 손가락부로서의 통의 지름이 작아져 버려, 착용할 때에 손가락에 꽉 낄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1에서는, 접합되는 통모양 편성포 중의 일방(一方)의 통의 지름을 크게 해 두고 나서 접합함으로써, 더블 스티치에 직접 연결하여도 통의 지름이 작아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손가락 연결부가 둥그스름하게 되지 않고, 인접하는 손가락부 상호 간에 입체적인 공간을 얻을 수 있더라도, 손가락 연결부로는 더욱 두껍고 여유가 있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도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둥그스름한 상태로 손가락부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에 대하여 복수의 손가락부가 나란하게 되도록 편성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에 있어서,
각 손가락부는,
선단의 손가락 끝부를 중간으로 하여 선행측 부분으로부터 후행측 부분까지 웨일이 연속하고,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이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과,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의 각 코스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을
구비하고,
측방 편성포면은,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에서 웨일방향이 역방향이 되고,
코스방향으로는 단부에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고,
접속 편성포면은,
손가락부가 배열되는 방향을 웨일방향으로 하고,
웨일방향의 시단이 되는 스티치열로서 선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됨과 아울러,
웨일방향의 종단이 되는 스티치열로서 후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되고,
인접하는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 일방의 손가락부와 타방의 손가락부의 측방 편성포면과 웨일이 연속되는 손가락 연결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손가락’은 ‘발가락’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을 양말 등에 적용할 때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손가락은 발가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손가락부’는 ‘발가락부’로, ‘손가락 연결부’는 ‘발가락 연결부’로 하여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분은, 상기 웨일의 스티치수가 상기 코스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단부에서 많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과, 상기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는, 코스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베이스 편성포에 대하여 복수의 손가락부가 형성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를, 적어도 전후 한 세트의 니들베드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편성포를 편성하고,
각 손가락부가,
선단의 손가락 끝부를 중간으로 하여 선행측 부분으로부터 후행측 부분까지 웨일이 연속하고,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이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과,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의 각 코스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을
구비하도록 편성할 때에,
측방 편성포면의 선행측 부분의 형성을,
베이스 편성포의 단부에 있어서의 코스의 스티치열의 일부 또는 상기 스티치열에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일방을 향하여 이동시켜 공침을 형성하고,
공침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면서,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베이스 편성포로부터 손가락부의 선단까지 반복하여 하는 선행측 스텝과,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의 형성을,
측방 편성포면의 선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와, 상기 부분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 코스의 스티치열을 합치고,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와 함께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고,
편성된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면서,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와 함께 편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하는 중간 스텝과,
측방 편성포면의 후행측 부분의 형성을,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고,
편성된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것을,
손가락부의 선단에서부터 베이스 편성포까지 반복하여 하는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도록 편성하고,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는,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후행측 부분에 계속되고, 코스방향의 단부의 스티치와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가 접합되도록, 더블 스티치와 새로운 스티치의 형성을 반복하여, 손가락 연결부분을 형성하고,
손가락 연결부분의 형성 후에, 나중에 편성하는 손가락부의 형성을,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와 마찬가지로 선행측 스텝, 중간 스텝 및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는 편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측방 편성포면은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 형성되는 손가락 연결부분에서 웨일이 연속되어,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깊이가 있고 둥그스름한 손가락 연결부분으로 손가락부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측방 편성포면은, 손가락부 선단의 손가락 끝부를 중간으로 하는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에 있어서도 웨일이 연속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도 여유 있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손가락 연결부분을 매끈한 곡면으로, 입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측방 편성포면은 손가락 끝부에 접속 편성포면과 연속되는 코스를 구비한다. 손가락부의 주위가 되는 편성포면의 코스와 웨일이 연속되기 때문에, 단차 등의 요철이 없고 두께를 갖는 것을 얻을 수 있음으로써, 손가락부에 삽입하는 손가락의 끝부분까지 피트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손가락부마다 선행측 스텝, 중간 스텝 및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도록 하여, 복수의 손가락부가 베이스 편성포의 단부에 배열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각 손가락부는, 손가락 연결부분도 포함하여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측방 편성포면을 구비하도록 편성되기 때문에,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 있어서도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둥그스름한 상태로 손가락부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 손가락부(1, 2)가 베이스 편성포(3)의 단부에 2개가 나란하게 되도록 편성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간략화된 정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편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편성 개략도이다.
도3은, 도2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편성하는 방법의 일부를 모식적인 스티치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도2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도3에 계속되는 부분을 모식적인 스티치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도2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편성하는 방법으로서, 도4에 계속되는 부분을 모식적인 스티치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도1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의 적용례인 장갑의 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도1∼도6에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서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 및 그 편성방법을 나타낸다. 다만 설명의 대상이 되는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는 참조부호를 붙여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이며, 손가락부(1, 2)를 베이스 편성포(base knitted fabric)(3)의 단부(端部)에 2개가 나란하게 되도록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로서 편성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2는, 도1의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편성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2의 가로방향은, 한 쌍의 니들베드의 일방(一方),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에서 편성에 사용되는 편침(編針)이 포함되는 구간의 위치를 나타낸다.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에서도 동등한 구간의 편침이 사용된다. 도면의 세로방향은 편성의 진행에 대응하고, 아래로부터 위의 순서로 편성이 진행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먼저 몸통부(body部)가 되는 베이스 편성포(3)를 편성한다. 베이스 편성포(3)는, 주회편성(周回編成)에 의한 통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로서 형성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부(1)는, 선단(先端)의 손가락 끝부(finger tip部)(12)를 중간으로 하여 선행측 부분(先行側 部分)(11)으로부터 후행측 부분(後行側 部分)(13)까지 웨일(wale)이 연속하고, 선행측 부분(11)과 후행측 부분(13)이 서로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側方 編成布面)(10)과, 선행측 부분(11)과 후행측 부분(13)의 각 코스(course)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接續 編成布面)(15)을 구비한다.
측방 편성포면(10)은, 선행측 부분(11)과 후행측 부분(13)에서 웨일방향(10W)이 역방향이 되고, 코스방향으로는 단부에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에 의하여 형성된다. 접속 편성포면(15)은, 손가락부(1, 2)가 배열되는 방향을 웨일방향(15W)으로 하고, 웨일방향(15W)의 시단(始端)이 되는 스티치열로서 선행측 부분(11)의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됨과 아울러, 웨일방향의 종단(終端)이 되는 스티치열로서 후행측 부분에서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된다. 또한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15)은, 도면에 나타내는 접속 편성포면(15)과, 그 이면측(裏面側)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접속 편성포면(15)을 말한다. 또한 인접하는 손가락부(1, 2)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finger crotch)(5)에 있어서는, 일방의 손가락부(1)의 후행측 부분(13)에 계속되는 손가락 연결부분(16)의 양측에서 측방 편성포면(10, 20) 상호 간의 웨일이 연속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부(1)는,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 코스(終端 course)의 스티치열의 일부에 계속하여 편성된다. 다음의 손가락부(2)도, 손가락부(1)와 동일한 편성순서로 형성된다. 이 편성순서는, 선행측 부분(11, 21)을 형성할 때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18)의 형성을 수반하는 선행측 스텝과, 손가락 끝부(12, 22) 및 접속 편성포면(15, 25)을 형성할 때의 중간 스텝과, 후행측 부분(13, 23)을 형성할 때의 후행측 스텝을 포함한다. 이것들 스텝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손가락부(1, 2)는 순차적으로 편성되고, 손가락부(2)를 편성하는 단계에서는 손가락부(1)는 편침으로부터 제외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부(2)의 편성에 있어서도 손가락부(1)의 편성에 사용한 편침을 사용할 수 있다. 측방 편성포면(10, 20)은, 손가락부(1, 2)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5)에 형성되는 손가락 연결부분(16)에서 웨일이 연속되어, 구멍이 생기지 않음과 아울러 입체적이며 깊이가 있고 둥그스름한 손가락 연결부분(16)으로 손가락부(1, 2)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측방 편성포면(10, 20)은, 손가락부(1, 2) 선단의 손가락 끝부(12, 22)를 중간으로 하는 선행측 부분(11, 21)과 후행측 부분(13, 23)에 있어서도 웨일이 연속되기 때문에, 손가락 끝도 여유 있게 수용할 수 있다. 실제로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로서 편성되는 것은 장갑이나 발가락 양말이며, 장갑의 경우에 5개의 손가락부 상호 간이나 손가락부와 몸통부 사이에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도3, 도4 및 도5는, 도2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의 주요순서에 있어서, 전후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공급하여 스티치를 형성하는 예를 간략화하여 각 순서를 S+숫자로 나타내고 있다. 각 도면에서는 앞쪽 니들베드가 하측, 뒤쪽 니들베드가 상측이 되도록 나타낸다. 측방 편성포면(10) 및 접속 편성포면(15)은,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단부까지 편성하여 되돌리고, 일방의 니들베드의 편성단(編成端)에서 타방의 니들베드의 편성단에 걸치고, 타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되는 단부까지 편성하여 되돌릴 수 있도록, 편사(6)를 급사부재(7)에 의하여 C자 모양으로 급사하여 편성된다. 또한 급사부재(7)로부터 급사되는 편사(6)를 굵은 실선으로 나타낸다.
도3의 S1에서는, 베이스 편성포(3)의 편성폭의 좌단(左端) 구간의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측방 편성포면(10)의 선행측 부분(11)이 되는 최초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S2에서는, 선행측 부분(11)의 최초의 코스가 되는 스티치열을 베이스 편성포(3)의 편성폭의 일방이 되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은, 스티치열을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으로 이동시키고 니들베드를 래킹한 후에 스티치열을 반환시켜 하고, 4매 베드의 횡편기나 2매 베드의 횡편기에서는 드로오프 편성(draw off knitting)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편침으로서의 슬라이더(slider)의 텅(tongue)을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으로 진출시키고, 이것에 스티치를 옮겨 두는 것이 가능한 복합바늘을 사용하는 횡편기이면, 2매 베드의 총침편성(full gauge knitting)에서도 스티치열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 코스로서 남은 스티치열의 좌단과,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우단(右端)의 사이에 공침(17)이 생긴다. S3에서는, S2의 공침(17)에 걸림 스티치(18)를 형성하면서,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C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S4에서는, S3에서 형성한 걸림 스티치(18)를 제외한 새로운 스티치열을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우단과 걸림 스티치(18)의 사이에 공침(17)을 만든다. 도4의 S5에서는, S4의 공침(17)에 걸림 스티치(18)를 형성하면서,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C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이하,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와 같은 걸림 스티치(18)를 순차적으로 형성하면서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의 편성을 되돌림 편성으로 하고, 걸림 스티치(18)를 형성한다. 이것을 베이스 편성포(3)로부터 선행측 부분(11)의 종단이 되는 손가락부(1)의 선단까지 반복함으로써, 측방 편성포면(10)의 손가락 끝부(12)에 선행하여 손가락부(1)의 편측(片側)이 되는 선행측 부분(11)을 편성하는 선행측 스텝이 실행된다. 선행측 부분(11)은, 편성폭의 일방이 되는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편성되기 때문에, 도2에서는 좌측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기재된다. 경사진 선행측 부분(11)의 우측의 빗변에는,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걸림 스티치(18)가 형성된다. 경사진 선행측 부분(11)의 좌측의 빗변에 있어서는,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 편성폭의 좌단의 스티치가 연결되어 있다.
도4의 S6에서는, 선행측 부분(11)의 코스방향 단부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18)를 코스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손가락 끝부(12) 및 접속 편성포면(15)의 최초의 코스가 되는 새로운 스티치열을 니트편성(knit 編成)에 의하여 C자 모양으로 형성한다. S7에서는, S6에서 형성한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타방이 되는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우단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 코스의 스티치에 포개어 더블 스티치(19)를 형성한다. 이하에,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되돌림 편성으로 편성하고 편성폭의 타방으로 이동시켜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것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15)을 측방 편성포면(10)의 손가락 끝부(12)와 함께 편성하는 중간 스텝이 실행된다.
도4의 S8에서는, 측방 편성포면(10)에서 손가락 끝부(12)에 계속되는 후행측 부분(13)의 최초의 코스가 되는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도5의 S9에서는, 편성된 스티치열을 우측방향을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는, 접속 편성포면(15)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져 더블 스티치(19)를 형성한다. 더블 스티치(19)를 단부로 하고, 후행측 부분(13)에 대하여 후속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여 더블 스티치(19)와 접합하고, 또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갠 후에 편성함으로써 접합하는 것을 반복한다. S10에서는, 후행측 부분(13)의 최후의 코스가 되는 스티치열을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티치열의 우단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부의 더블 스티치(19)와 포갠다. 손가락부(1)의 선단이 되는 손가락 끝부(12)에 계속되는 부분으로부터 베이스 편성포(3)까지 상기와 같은 순서를 반복하는 후행측 스텝에 의하여 후행측 부분(13)이 편성된다.
도5의 S11 및 S12에서는, 손가락부(1, 2)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5)에 두께를 구비하고 입체적인 바대(gore)가 되는 부분을 편성한다. 즉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1)의 후행측 부분(13)에 계속하여, S11에서 손가락 연결부분(16)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고, 편성된 스티치열을 S12에서 우측방향을 향하여 이동시켜 더블 스티치(1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코스방향의 단부의 스티치와 베이스 편성포(3)의 종단부의 스티치가 접합되도록, 더블 스티치와 새로운 스티치의 형성을 반복하여 손가락 연결부분(16)을 형성하고,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1)의 후행측 부분(13)과 손가락 연결부분(16)에서는 웨일이 연속된다.
또한 손가락 연결부분(16)은, 코스방향의 중앙부보다도 단부에서 웨일방향(10W)의 스티치수가 많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편성은, 예를 들면 S12에서 전후 니들베드에 스티치를 3개씩 형성할 때에, 되돌림 편성으로 좌측의 스티치를 잡아 두고, 우측의 스티치를 늘려서 차가 생기도록 하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웨일방향의 스티치수의 차에 의하여 손가락 연결부(5)가 쌍곡포물면(雙曲抛物面)과 같은 매끈한 곡면이 되도록, 또한 입체적이며 깊이가 있고 둥그스름하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손가락 연결부분(16)의 형성 후에, 나중에 편성하는 손가락부(2)에 있어서 선행측 부분(21)의 최초의 코스가 되는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고, 나중에 편성하는 손가락부(2)를,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1)와 마찬가지로 선행측 스텝, 중간 스텝 및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는 편성으로 반복하여 편성한다. 또한 손가락부(2)에 있어서, 손가락부(1)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참조부호에 10을 더하여, 예를 들면 접속 편성포면(15)에 대하여 접속 편성포면(25)으로 나타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손가락부(1, 2)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5)에서는 웨일방향으로 스티치열이 연속되기 때문에, 구멍이 생기지 않고 또한 입체적이며 깊이가 있고 둥그스름한 상태로 손가락부(1, 2)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다. 손가락 끝부(12, 22)는, 웨일이 선행측 부분(11, 21) 및 후행측 부분(13, 23)과 연속됨과 아울러, 접속 편성포면(15, 25)과 연속되는 코스를 구비한다. 손가락부(1, 2)의 주위가 되는 편성포면의 코스와 웨일이 연속되기 때문에, 손가락부(1, 2)에 삽입하는 손가락의 끝부분까지 피트(fit) 시킬 수 있다.
도6은,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4)를 적용하는 일례로서의 장갑을 나타낸다. 베이스 편성포(3)는 몸통부가 되고, 손가락부(1)는 검지, 손가락부(2)는 중지를 수용한다. 선행측 부분(11), 손가락 끝부(12) 및 후행측 부분(13)에서 웨일방향은 연속한다. 이 웨일방향은, 손가락 연결부분(16)에서도 연속하고 있다. 중지를 수용하는 손가락부(2)와 약지를 수용하는 손가락부의 사이와, 약지를 수용하는 손가락부와 소지를 수용하는 손가락부의 사이에도, 손가락 연결부분(16)과 마찬가지로 바대가 되는 손가락 연결부분을 형성한다. 도6에서는, 손목에서부터 측방 편성포면(10, 20)과 동일한 편성폭으로 내부 폭늘림(inside widening)을 하고 있기 때문에, 손목과 손가락의 끝부분에 걸쳐서 동일한 편성폭의 라인을 연결할 수 있다. 이 편성폭의 라인은, 코스방향의 단부에서, 측방 편성포면(10, 20)에서는 접속 편성포면(15, 25)을 통하여 베이스 편성포(3)에 접합되고, 손가락 연결부분(16)에서는 직접 베이스 편성포(3)에 접합된다. 편성폭은 도중에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내는 장갑에 있어서는, 엄지의 손가락부를 편성한 후에, 4개 손가락 몸통(four-finger body)을 베이스 편성포로서 통 모양으로 편성하고, 검지로부터 소지에 걸친 각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있다. 또한 손의 형상에 맞추기 위하여, 엄지의 손가락부를 편성하고 소지를 수용하는 손가락부의 베이스 편성포로서 4개 손가락 몸통을 편성한 후에, 소지의 손가락부와 3개 손가락 몸통을 편성하고, 약지부터 검지까지의 손가락부를 베이스 편성포로서의 3개 손가락 몸통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편성하더라도 좋다. 손가락 연결부(5)에 형성되는 바대는, 손바닥측이 작고 손등측이 크게 되도록 표리에서 크기를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장갑이나 동일한 편성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양말에서는, 손가락 연결부(5)가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할 때에 손가락 연결부(5)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부종 등에 대응한 의료용에도 적용이 가능해진다.
1, 2 : 손가락부
3 : 베이스 편성포
4 :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5 : 손가락 연결부
10, 20 : 측방 편성포면
10W, 15W, 20W : 웨일방향
11, 21 : 선행측 부분
12, 22 : 손가락 끝부
13, 23 : 후행측 부분
15, 25 : 접속 편성포면
16 : 손가락 연결부분
17 : 공침
18 : 걸림 스티치
19 : 더블 스티치

Claims (4)

  1. 베이스 편성포(base knitted fabric)에 대하여 복수의 손가락부가 편성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에 있어서,
    각 손가락부는,
    선단(先端)의 손가락 끝부(finger tip部)를 중간으로 하여 선행측 부분(先行側 部分)으로부터 후행측 부분(後行側 部分)까지 웨일(wale)이 연속하고,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이 간격을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側方 編成布面)과,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의 각 코스(course)의 단부(端部)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接續 編成布面)을
    구비하고,
    측방 편성포면은,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에서 웨일방향이 역방향이 되고,
    코스방향으로는 단부에서 되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에 의하여 형성되고,
    접속 편성포면은,
    손가락부가 배열되는 방향을 웨일방향으로 하고,
    웨일방향의 시단(始端)이 되는 스티치열(stitch row)로서 선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됨과 아울러,
    웨일방향의 종단(終端)이 되는 스티치열로서 후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가 되는 스티치열에 접속되고,
    인접하는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finger crotch)에, 일방(一方)의 손가락부와 타방(他方)의 손가락부의 측방 편성포면과 웨일이 연속되는 손가락 연결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연결부분은, 상기 웨일의 스티치수(stitch數)가 상기 코스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도 단부에서 많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과, 상기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는, 코스방향으로 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4. 베이스 편성포에 대하여 복수의 손가락부가 형성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를, 적어도 전후 한 세트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베이스 편성포를 편성하고,
    각 손가락부가,
    선단의 손가락 끝부를 중간으로 하여 선행측 부분으로부터 후행측 부분까지 웨일이 연속하고,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이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측방 편성포면과,
    선행측 부분과 후행측 부분의 각 코스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을
    구비하도록 편성할 때에,
    측방 편성포면의 선행측 부분의 형성을,
    베이스 편성포의 단부에 있어서의 코스의 스티치열의 일부 또는 상기 스티치열에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일방을 향하여 이동시켜 공침(空針)을 형성하고,
    공침에 걸림 스티치(stitch hooked by the knitting needle)를 형성하면서, 이동시킨 스티치열의 스티치에 새로운 스티치를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을,
    베이스 편성포로부터 손가락부의 선단까지 반복하여 하는 선행측 스텝과,
    한 쌍의 접속 편성포면의 형성을,
    측방 편성포면의 선행측 부분의 코스방향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와, 상기 부분의 웨일방향에 있어서의 종단 코스(終端 course)의 스티치열을 합치고,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와 함께 C자 모양의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편성하고,
    편성된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면서,
    측방 편성포면의 손가락 끝부와 함께 편성하는 것을
    반복하여 하는 중간 스텝과,
    측방 편성포면의 후행측 부분의 형성을,
    코스방향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하고,
    편성된 스티치열을 편성폭의 타방을 향하여 이동시키고, 스티치열의 단부의 스티치를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와 포개는 것을,
    손가락부의 선단에서부터 베이스 편성포까지 반복하여 하는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도록 편성하고,
    손가락부 사이의 손가락 연결부에는,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의 후행측 부분에 계속되고, 코스방향의 단부의 스티치와 베이스 편성포의 종단부의 스티치가 접합되도록,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와 새로운 스티치의 형성을 반복하여, 손가락 연결부분을 형성하고,
    손가락 연결부분의 형성 후에, 나중에 편성하는 손가락부의 형성을, 먼저 편성된 손가락부와 마찬가지로 선행측 스텝, 중간 스텝 및 후행측 스텝을 포함하는 편성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60058550A 2015-05-15 2016-05-13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1844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0359A JP6195867B2 (ja) 2015-05-15 2015-05-15 指袋付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JP-P-2015-100359 2015-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557A true KR20160134557A (ko) 2016-11-23
KR101844254B1 KR101844254B1 (ko) 2018-04-02

Family

ID=5720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550A KR101844254B1 (ko) 2015-05-15 2016-05-13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95867B2 (ko)
KR (1) KR101844254B1 (ko)
CN (1) CN106149185B (ko)
DE (1) DE102016005821A1 (ko)
IT (1) ITUA20163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2455B2 (ja) * 2018-06-26 2022-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DE102018130930A1 (de) * 2018-12-05 2020-06-10 Julius Zorn Gmbh Gestricktes Bekleidungsteil
DE102018130932A1 (de) * 2018-12-05 2020-06-10 Julius Zorn Gmbh Gestrickter Kompressionsartike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1488B2 (ja) 2007-03-29 2011-12-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股編成方法および編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2763B1 (en) * 2005-04-12 2014-07-23 Shima Seiki Mfg., Ltd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JP2008274447A (ja) * 2007-04-25 2008-11-13 Shima Seiki Mfg Ltd 股重ねを有する手袋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5050152B2 (ja) * 2008-07-03 2012-10-17 株式会社キタイ 靴下の編成方法及び靴下
EP2402489B1 (en) * 2009-02-25 2016-04-0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Tube-shaped knitted fabric,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JP5774354B2 (ja) * 2011-04-13 2015-09-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2233279A (ja) * 2011-04-29 2012-11-29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1488B2 (ja) 2007-03-29 2011-12-2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指股編成方法および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95867B2 (ja) 2017-09-13
JP2016216842A (ja) 2016-12-22
KR101844254B1 (ko) 2018-04-02
CN106149185B (zh) 2018-05-29
CN106149185A (zh) 2016-11-23
ITUA20163395A1 (it) 2017-11-12
DE102016005821A1 (de) 2016-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4029B1 (ko) 통 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EP2982787B1 (en) Method for knitting footwear
KR101648750B1 (ko) 포켓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US20040093907A1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KR101287867B1 (ko)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 장갑의편성방법 및 발가락부(손가락부)가 있는 양말 또는장갑
KR101537943B1 (ko) 리브풍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리브풍 편성포
KR10149844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080088456A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성된 편성포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KR930005418B1 (ko)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US20160122913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KR10216878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090065441A (ko) 손가락부가 있는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2007131983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編成方法および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
JP2016008364A (ja) 編出し方法
KR10137744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20200041266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2003003352A (ja) リブ編地の増目方法及び当該方法で増目されたリブ編地
JP2006188779A (ja) 指袋付きの靴下または手袋の指袋部の編成方法
JP2004137636A (ja) ニット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