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427B1 -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427B1
KR102460427B1 KR1020210032944A KR20210032944A KR102460427B1 KR 102460427 B1 KR102460427 B1 KR 102460427B1 KR 1020210032944 A KR1020210032944 A KR 1020210032944A KR 20210032944 A KR20210032944 A KR 20210032944A KR 102460427 B1 KR102460427 B1 KR 10246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fabric
needle
knitted
whole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8196A (ko
Inventor
임대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Priority to KR1020210032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042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8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의 트임부(3)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원사를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한 횡편기의 전후방에 셋팅하는 제 1단계(S100)와;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편직하되,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은 뒷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 사이의 폭(W)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양측 테두리(11) 사이의 폭(W1) 보다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트임부(3)의 최상단(9)에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제 1편성포(7)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와 동일하게 코줄임하는 제 3단계(S120)와;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겨 제 2편성포(5)에 형성된 양쪽 여유분(L)의 코를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침에 이전시켜서 트임부(3)를 서로 중합시키는 제 4단계(S130)와; 그리고 앞면의 편성사 또는 후면의 편성사로 나머지 몸통부분(4)을 통형으로 편성하는 제 5단계(S1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Whole garment arrangement method by Improving the Overlay Structure of Clothing Opening}
본 발명은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앞판과 뒷판 사이의 트임부를 형성하는 양 테두리가 일정 길이만큼 서로 중첩된 후 상단에서 중합되도록 편성함으로써 의류가 수축되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봉제 니트는 1965년 시마세이키사의 무봉제 장갑 편직기를 시작으로 1995년 무봉제 니트웨어 편직기 홀가먼트를 통해 어패럴분야까지 확장되었으며, 국내는 2002년에 처음 도입되었다.
통상적으로 니트웨어는 앞판, 뒷판, 소매 및 부속으로 편직후 재단, 봉제 공정을 거쳐 완성한다.
그러나, 홀가먼트(Whole Garment) 니트웨어는 이와 같이 여러 공정을 거치지 않고 편직기계에서 한 번의 공정으로 니트웨어를 완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공정은, 예를 들면 카디건(cardigan)이나 앞부분이 트인 조끼(vest) 등의 니트웨어(knit wear)의 일부가 세로로 분할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knitted fabric)나, 편성포의 일부에 트임부(slit)가 형성되고, 이 트임부를 따르는 테두리가 서로 전후로 겹친 부분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홀가먼트 편직기를 통하여 편직될 수 있다.
이러한 홀가먼트 편직은 주로 튜블러(Tubular) 방식으로서, 편직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니들베드가 대향되도록 배치된 편직기에 원사를 셋팅하고, 앞면 편성포 및 뒤면 편성포에 바늘을 각각 할당하고, 각각의 바늘을 이용하여 하부에서부터 통 모양으로 편성한다.
그리고, 트임부가 있는 의류의 경우에는 앞판과 뒷판을 각각 편성한 후 연결되는 이음매부터는 앞판과 뒷판의 접합을 시작하여 통형상으로 편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앞판과 뒤판 사이의 트임부가 단순히 서로 일정 간격 벌어진 상태로 편성되어 상측에서 중합되는 구조이므로 트임부 구간에서는 편성 후 또는 세탁 후 트임부가 말리거나 수축하면서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짐으로써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 10-2014-0125731호(명칭: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편직 과정을 개선함으로써 앞판과 뒷판 사이의 트임부를 형성하는 양 테두리가 일정 길이만큼 서로 중첩된 후 상단에서 중합되도록 편성함으로써 의류가 수축되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뛰어난 홀가먼트 편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원사를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의 전후방에 셋팅하는 제 1단계(S100)와;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편직하되,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은 뒷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 사이의 폭(W)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양측 테두리(11) 사이의 폭(W1) 보다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트임부(3)의 최상단(9)에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제 1편성포(7)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와 동일하게 코줄임하는 제 3단계(S120)와;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겨 제 2편성포(5)에 형성된 양쪽 여유분(L)의 코(16)를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침(18)에 이전시켜서 트임부(3)를 서로 중합시키는 제 4단계(S130)와; 그리고
앞면의 편성사 또는 후면의 편성사로 나머지 몸통부분(4)을 통형으로 편성하는 제 5단계(S140)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편직 과정을 개선함으로써 앞면의 제 1편성포와 뒷면의 제 2편성포 사이의 트임부를 형성하는 양 테두리가 일정 길이만큼 서로 중첩된 후 상단에서 중합되도록 편성함으로써 편성후 또는 세탁 후 트임부가 말리거나 축하면서 의류가 수축되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미관이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의하여 편직된 의류의 트임부 및 이음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앞면의 제 1편성포 및 뒤면의 제 2편성포의 이음매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홀가먼트 편직물의 상부판과 하부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홀가먼트의 편직방법에 의하여 제 1 및 제 2편성포의 트임부를 편직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홀가먼트 편성스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류를 홀가먼트 편직에 의하여 가공하는 순서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 가먼트의 편직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은, 원사를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의 전후방에 셋팅하는 제 1단계(S100)와;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편직하되,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은 뒷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 사이의 폭(W)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양측 테두리(11) 사이의 폭(W1) 보다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트임부(3)의 최상단(9)에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제 1편성포(7)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와 동일하게 코줄임하는 제 3단계(S120)와;
그리고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좌우로 이동시켜 제 2편성포(5)에 형성된 양쪽 여유분(L)의 코(16)를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침(18)에 이전시켜서 트임부(3)를 서로 중합시키는 제 4단계(S130)와;
앞면의 편성사 또는 후면의 편성사로 나머지 몸통부분(4)을 통형으로 편성하는 제 5단계(S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 4단계(S130)인 편침 이전단계에서는 후면의 양측 테두리(13)의 최 외곽 코(16)가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중첩부(T)의 최고 내측 코(18)로 들어가게 하여 순차적으로 코를 이전한다.
이러한 홀 가먼트의 편직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원사인 앞면 편성사와 후면 편성사를 횡편기의 전후면에 배치된 니들베드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횡편기는 2 베드 횡편기와, 4 베드 횡편기가 적용 가능하다.
제 2단계(S110)에서는 횡편기를 구동하여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편직하되,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은 뒤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 폭(W)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양측 테두리(11)의 폭(W1) 보다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한다.(도 4의 스텝 a)
이때, 횡편기는 편직되는 의류의 종류에 따라 2열 베드 혹은 4열 베드 등을 선택할 수 있다.
2 베드 횡편기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로 대향되는 니들베드를 구비하며, 각 니들베드는 각각 다수의 바늘을 구비하고,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이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며,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2 베드 횡편기를 이용하여 편성하는 경우,
예를 들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성을 홀수 번째 바늘에, 뒤면의 제 2 편성포(5)를 짝수 번째 바늘에 할당하여 전후 니들베드의 각각의 바늘을 1개씩 건너뛰면서 편성한다.
앞면의 제 1편성포(7)를 편성할 때에 뒤면의 제 2 편성포(5)를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면의 제 2 편성포(5)를 편성할 때에 앞면의 제 1편성포(7)를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에 부속시켜 전후로 포갠 상태에서 편성포를 편성함으로써 각 편성포는 대향하는 니들베드 상에 코 이동용의 빈 바늘을 항상 확보할 수 있고, 그 결과로 링크스(links), 가터(garter), 리브 (rib) 등의 안쪽 스티치/겉쪽 스티치가 혼재하는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때,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의 제 2편성포(5)의 폭(W)은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한다.
한편, 4베드 횡편기로 편성하는 경우, 4 베드 횡편기는 한 쌍의 니들베드를 더 배치한 구조이므로, 앞면의 제 1편성부(7)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편성하고, 뒤면의 제 2편성부(5)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편성한다.
이러한 4베드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와 같이 앞면 편성포를 홀수 번째 바늘에, 뒤면 편성포를 짝수 번째 바늘에 할당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제 2단계(S110)가 완료된 후, 제 3단계(S120)가 진행되는 바, 제 3단계(S120)에서는 트임부(3)의 최상단(9)에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제 1편성포(7)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와 동일하게 코줄임을 실시한다.
즉, 트임부(3)의 최상단(9) 상측에는 제 1편성포(7)와 제 2편성포(5)의 양 테두리가 겹쳐지는 중첩부(T)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줄임으로써 제 1편성포(7)의 폭(W1)과 동일하게 편성한다.
예를 들면, 제 2편성포(5)의 바늘 수가 120개인 상태인 경우, 트임부(3)의 최상단(9)의 상측으로는 제 2편성포(5)의 바늘수를 줄여서 제 1편성포(7)와 동일하게 100개로 줄인다.
이러한 제 3단계(S120)가 완료되면, 제 4단계(S130)가 진행되는 바, 제 4단계(S130)에서는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켜 제 2편성포(5)에 형성된 양쪽 여유분(L)의 코를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침에 이전시킨다.(도 4의 스텝 b)
즉,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겨 후면의 제 2편성포(5)의 중첩부(T)의 최 외곽 코(16)가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중첩부(T)의최 내측의 편침(18)에 이전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순차적으로 코를 이전시키고, 이때 테두리(11,13)의 스티치가 더블루프로서 결합된다.
그리고, 앞쪽 니들베드의 홀수 번째 바늘에 급사하여 제 1 및 제 2편성포(7,5)의 테두리(11,13)의 더블 루프에 이어지는 코스를 편성함으로써 양 테두리(11,13)를 서로 중합한다.
제 4단계(S130)가 완료된 후, 제 5단계(S140)가 진행되는 바, 제 5단계(S140)에서는 트임부(3)의 상부 몸통부(4)를 통형으로 편성한다.
즉, 뒤쪽 니들베드의 짝수 번째 바늘에 급사하여 뒤쪽 몸통의 코스를 편성하고, 이후에 제 4단계(S130)의 편성을 반복하여 통 모양의 몸통부를 편성한다.
상기한 편성방법은 일 예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편성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트임부(3)의 상부가 서로 중첩되는 구조이면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Claims (5)

  1. 원사를 적어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한 횡편기(橫編機)의 전후방에 셋팅하는 제 1단계(S100)와;
    하부에서부터 상부방향으로 편직하되, 트임부(3)가 있는 하부판(19)은 뒷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 사이의 폭(W)이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양측 테두리(11) 사이의 폭(W1) 보다 좌우로 중첩부(T)의 폭만큼 여유분(L)을 주어 넓게 편직하는 제 2단계(S110)와;
    트임부(3)의 최상단(9)에서 제 2편성포(5)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를 제 1편성포(7)를 편성하는 바늘의 수와 동일하게 코줄임하는 제 3단계(S120)와;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겨 제 2편성포(5)에 형성된 양쪽 여유분(L)의 코(16)를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침(18)에 이전시켜서 트임부(3)를 서로 중합시키는 제 4단계(S130)와; 그리고
    앞면의 편성사 또는 후면의 편성사로 나머지 몸통부분(4)을 통형으로 편성하는 제 5단계(S140)를 포함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S130)인 편침 이전단계에서는, 횡편기 후방의 니들배드를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시겨 후면의 제 2편성포(5)의 양측 테두리(13)의 최 외곽 코(16)가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중첩부(T) 최고 내측의 편침(18)에 순차적으로 코를 이전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S130)인 편침 이전단계에서는, 앞쪽 니들베드의 홀수 번째 바늘에 급사하여 제 1 및 제 2편성포(7,5)의 테두리(11,13)의 더블 루프에 이어지는 코스를 편성함으로써 양 테두리(11,13)를 서로 중합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2단계(S110)에서는, 앞면의 제 1편성포(7)의 편성을 홀수 번째 바늘에, 뒤면의 제 2편성포(5)를 짝수 번째 바늘에 할당하여 전후 니들베드의 각각의 바늘을 1개씩 건너 뛰면서 편성하는 홀가먼트 편직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홀가먼트 편직방법에 의하여 편직된 홀가먼트 편직물.
KR1020210032944A 2021-03-12 2021-03-12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246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44A KR102460427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944A KR102460427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96A KR20220128196A (ko) 2022-09-20
KR102460427B1 true KR102460427B1 (ko) 2022-10-31

Family

ID=8344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944A KR102460427B1 (ko) 2021-03-12 2021-03-12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4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7968C (zh) * 2001-03-02 2006-10-0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具有开口部的针织物及其编织方法
CN1283866C (zh) * 2001-03-26 2006-11-08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关边处理的织物和关边处理方法
AU2003244350A1 (en) * 2002-02-06 2003-09-02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5980098B2 (ja) * 2012-11-07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5812038B2 (ja) 2013-04-19 2015-11-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排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96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667B2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US7481078B2 (en) Knitwear knitted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for knitting the same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JPH02229248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3949575B2 (ja) 横編機によるニットウエアの衿首部編成方法およびそのニットウエア
KR100854959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US6748770B2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KR930005418B1 (ko)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JP6211482B2 (ja) フ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EP1482080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EP1835058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
EP0638678B1 (en) A method for increasing stitches at an intermediate position in a row of stitches of a rib knit fabric
EP0675219A1 (en) Rib knitting method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2266801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US20070017256A1 (en) Knitting method of forming drape around collar and knitwear having drape around collar
JP7204414B2 (ja)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