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5418B1 -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5418B1
KR930005418B1 KR1019910010306A KR910010306A KR930005418B1 KR 930005418 B1 KR930005418 B1 KR 930005418B1 KR 1019910010306 A KR1019910010306 A KR 1019910010306A KR 910010306 A KR910010306 A KR 910010306A KR 930005418 B1 KR930005418 B1 KR 930005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needles
loop
course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004A (ko
Inventor
마사히로 시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마사히로 시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마사히로 시마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920001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5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internal threads in laid-i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at a selvedge, e.g. hems or turned wel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방법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는 조끼(best) 및 구멍이 뚫린곳의 정면도.
제3도는 제1의 편지와 약간 코스편성된 제2의 편지를 표시하는 편성도중의 상태를 표시하는 실시예의 루프를 편지의 내측으로부터 본 조직도.
제4도는 상기편지의 편성이 진행된 상태를 표시하는 조직도.
제5도의 (a) 내지 (q)는 전후 니이들베드의 각 침에 계지하는 편지의 루프와 급사상태를 공정순으로 표시한 편성도.
제6a도는 제2도에 표시하는 구멍이 뚫린곳 가장자리(skirt)고무를 협지부에 짜붙이는 상태를 모형적으로 표시한 사시도.
제6b도는 가장자리고무와 협지부가 일체화한 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멍이 뚫린곳 2 : 앞 편지
3 : 뒷 편지 4 : 협지부
5,6 : 가장자리고무 10 : 제1의 편지
20 : 제2의 편지
본 발명은 웨일(wale)방향을 직각으로 교차한 상태로 제1, 제2편지가 접합되어 있는 횡편지를,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하는 편성방법이다. 메리야스의 편지를 사용한 제품이고, 조직 및 사용실 등을 바꾼 편지를 알맞게 선택하여 각각의 부분에 사용하는 일은 극히 보통으로 실시되고 있다.
즉, 스웨터에 있어서는 옷의 길, 소매 등의 편지에 대하여 소맷부리 부분은 신축성이 있는 편지를, 또, 소매둘레 부분은 강도가 있는 편지등을 알맞게 구분하여 사용되고, 그것들을 별도 편성된 편지가 봉합, 연결등 적의 방법으로 합체되고 있었다.
이들 연속된 부분, 예컨대 소맷부리등에서는 소매를 평편으로 편성하고, 이어서 소맷부리를 고무 편으로 편성할 수 있게 한 경우는, 동일 편기로 연속하여 편성할 수 있지만, 접합하는 편지의 웨일 방향이 다른 경우에는 그것을 할 수 없다.
즉, 종래의 조끼(best)의 소맷부리 혹은 타이츠(tights), 팬츠(pants)등의 가랑이부의 협지부를 편성할때에 그 부재의 루프와 주된 편부의 루프가 연직(Vertical)코스 방향으로 접합되기 위해서는 편성후, 별도로 준비한 소맷부리 혹은 협지부를 그 방향이 되도록 부착하여 봉제한다고 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을 요하기 때문에 아무래도 공정이 늘어나서 생산 코스트는 높아져 버린다.
그 위에다 가랑이부분의 협지부 달기도 그 공정으로 처리되고 있기 때문에, 접합부는 아무래도 신장성이 결핍하여 착용감이 좋지 않고, 심한 운동에 의해 이은자리가 터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점에 비추어 본 발명은, 웨일(wale)방향이 다른 2종류의 편지를, 편성과정에 있어서 연속적인 상태로 편성할 수가 있는 편성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니이들베드의 소정구간이 니이들(needle)로 편성되고, 작용되지 않는 상태로 된 제1의 편지에 대하여, 다른 구획의 니이들로 편성하는 제2의 편지의 한 코스를 편성할 때마다, 그 코스의 상기 작용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는 편지에 가장 가까운 끝의 루프와, 상기 작용되지 않는 상태로된 편지의 가장 끝 루프를 제2편지의 알맞은 코스수의 편성때마다 순차 랙킹(racking)하여 중합하고, 그 중합한 루프내에 다음 코스편성의 루프를 끼는 것에 의하여 제1, 제2의 편지를 접합한다. 본 발명방법에 있어서는 니이들 베드의 소정구간의 니이들로 미리 제1의 편지를 편성해둔다.
그리하여 인접하는 다른 구간의 니이들로 편성된 제2편지 코스의 가장 끝 루프를 편성한 니이들에, 상기 제1의 편지의 가장 끝 루프를 코이동하고, 그 중합된 루프에 제2편지의 다음 코스의 루프를 낌으로서 양편지를 합체화 하고 있다.
이것을 제2편지의 코스를 알맞게 코스편성 할때마다 실시함으로서, 제1, 제2편지의 웨일방향을 직교시켜 일체화하여 이루어지는 편지를 편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방법은 웨일방향이 다른 2종류의 편지를 편성과정에 있어서, 그 웨일방향을 직교시킨 상태로 횡편기로서 일체적으로 짜낼수가 있도록 한 것이고, 예컨대 제1도,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옷감의 가장자리부 등의 편성에 이용할 수 있다.
제6a도에는, 구체적으로는 제2도에 표시하는 구멍이 뚫린곳 가장자리 고무와 협지부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방법에서는 고리형상으로 편성된 가장자리고무를 구성하는 제1의 편지(10)와 가랑이 아래의 협지부를 편성하는 제2의 편지(20)를 협지부 편성의 도중에 일체화한 상태로 짜낼수가 있다.
제1편지(10)와 제2편지(20)는 공히 횡편기의 2매 혹은 4매의 니이들베드로 짜낼수가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 웨일방향은 모두 상하방향이다.
그러나, 다짠 편지는 제6a도에 화살표로 표시하듯이, 제1의 편지(10)가 제2의 편지(20)의 코스끝부분과 중합된 상태로 제2의 편지(20)의 짜내기 코스로부터 순차적으로 다음 코스를 편성함으로서, 제5도의 (b)표시와 같은 웨일방향을 직교한 제1, 제2편지의 편성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2베드 혹은 4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할 수가 있지만, 2베드의 횡편기를 사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해 편성하는 2종류의 편지를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편지의 예로서는, 제1도에 표시하는 스웨터의 소맷부리부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하의 등의 가장자리부분등,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한예로서 구멍이 뚫린 곳의 가장자리고무 부분의 편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멍이 뚫린곳(1)은, 제2도에 표시하듯이, 앞편지(2), 뒷편지(3)와를 협지부(4)로 연속하고, 좌우 가장자리고무(5), (6)를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방법에 의하면, 상기 좌우 양 가장자리고무(5), (6)를 편성하고, 이어서 협지부(4)를 편성할때 이미 편성되어 있는 가장자리고무(5), (6)의 루프를 협지부(4)에 함께 편성하여 일체화 하는 것이다.
제3도, 제4도에 그 조직도를 표시하지만, 도면표시의 예로서는 좌측 가장자리고무로 사용한 실(7)을 앞편지(2)(협지부(4)를 포함)로 하고, 우측가장자리고무(6)로 사용한 실(8)을 뒷편지(3)(협지부(4)를 포함)로 하여 편성을 추진해 간다.
그 편성과정을 제5도에 의해 설명하지만, 제5도에 있어서는 실제로 사용하는 침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로 각 파트를 구성하는 것 같은 설명을 하고 있다.
구멍이 뚫린곳(1)의 편성에 있어서는, 미리 좌우의 가장자리고무(5)(6)를 제1의 편지(10)로서 편성하여 둔다.
좌측의 가장자리고무(5)는 백베드(B)측의 침 B, D..., H와 프런트베드(F)측의 침 G, E, ...., A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우측의 가장자리고무는 백베드(B)측의 침 Z, X, ...., T와 프런트베드(F)측의 침 S, U, ..., Y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순환하여 알맞은 코스, 등 코스수통형상으로 편성되어 있다.
이때 편성종류 위치는, 양측 가장자리고무가 모두 협지부(4)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침으로 한다.
제5도의 (a)는 양측 2개의 가장자리고무(5), (6)의 편성이 종료했을 때의 앞뒤 니이들베드의 각 침에 계지하는 편지의 루프배치를 표시한 것이다.
다음에 협지부(4)를 편성한다.
먼저 프런트베드(F)측의 1개 걸러 침 I, K, ..., Q와 백베드(B)측의 1개 걸러 침 J, L, ..., R에 급사하여, 협지부(4)의 편출코스의 편성이 실시된다(제5도의 (b)).
이때 급사되는 실(7)은, 좌측 가장자리고무(5)를 편성한 실(7)을 좌측 가장자리고무(5)의 편성에 계속하여 사용한다.
다음에 앞 편지(2)의 코스. ②를 같은실(7)에 의하여 프런트베드(F)측의 침 Q, O, ...I에 의하여 평편 편성한다(제5도의 (c)).
또 뒷편지(3)의 코스. ③는 좌측 가장자리고무(6)를 편성한 실(8)을 좌우 가장자리고무(6)의 편성에 계속급사하고, 백베드(B)측의 침 R, P, ..., J에 의해 평편 편성된다(제5도의 (d)).
이상의 조작에 의하여 좌우 가장자리고무(5), (6)와 협지부(4)의 편출코스①에 이어지는 코스 ②, ③와의 3개의 편지가 각각 편성된 것으로 된다.
그 다음으로, 협지부(4)의 코스 양단의 루프와 가장자리고무의 루프를 겹친다음에 협지부(4)의 편성을 속행한다.
즉, 먼저 통편되어 놓여있던 프런트베드(F)측의 침 A, C, ..., G에 있는 루프를 백베드(B)측의 침 A, C, ..., G로 옮긴다(제5도의 (e)). 그리하여 통편되어 놓여있던 백베드(B)측의 침 T, V, ..., Z에 있는 루프를 프런트베드(F)측의 침 T, V, ..., Z로 옮긴다(제5도의 (f)). 이 상태로 백베드(B)를 침 2개분을 우방향으로 랙킹하여 백베드(B)의 침 A, B, ..., X와 프런트베드(F)의 침 C, D, ..., Z를 대향시킨다(제5도의 (g)).
그리고 백베드(B)의 침 A, C, ..., G로 옮겨진 좌측가장자리고무의 앞편지의 놓여잇는 코 루프를 프런트베드(F)의 침 C, E, ..., I로 되돌아 옮긴다.
이에따라 앞편지의 놓여있는 코의 프런트베드(F)의 침 A, C, ..., G에 있던 루프는 옆에 있는 침 C, E, ..., I로 이동하기 때문에 침 G에 있던 루프 g는 가랑이부의 침 I의 루프 i에 겹친다(제5도의 (h)).
그와 마찬가지로 프런트베드(F)측의 침 T, V, ..., Z에 옮겨진 우측 가장자리고무의 뒷 편지(3)의 놓여있던 코루프를, 백베드 B측의 침 R, T, ..., X로 되돌아 이동하기 때문에 뒷편지의 놓여있던 코의 백베드 B측 침 T, V, ..., Z에 있는 루프는 옆에있는 침 R, T, ..., X로 이동하는 고로 침 T에 있었던 루프 t는 사타구니부의 침 R의 루프 r에 겹쳐진다(제5도의 (i)).
다음에, 프런트베드(F)와 백베드(B)의 각각 A 내지 Z의 침이 서로 대향하도록 랙킹을 복귀하여, 좌측가장자리고무의 뒷편지인 놓여있던 코로된 백베드(B)측침 B, D, ..., H에 있는 루프를 프런트베드(F)측의 침 B, D, ..., H로 옮긴다(제5도의 (j)).
그리고 우측가장자리고무의 앞편지의 놓여있는 코로된 프런트베드(F)측 침 S, U, ..., Y에 있는 루프를 백베드(B)측의 침 S, U, ..., Y로 옮긴다(제5도의 (k)).
이 상태로 백베드(B)를 침 2개분을 좌방향으로 랙킹하여 프런트베드(F)의 침 A, B, ..., X 와 백베드(B)의 침 C, D, ..., Z을 대향시킨다. 그리하여 프런트베드(F)의 침 B, D, ..., H로 옮겨진 좌측가장자리고무의 뒷편지인 놓여있던 코의 루프를, 백베드(B)의 침 D, F, ..., J으로 되돌아 옮긴다.
이것에 의하여 뒷편지인 놓여있는 코로된 백베드(B)측 침 B, D, ..., H에 있었던 루프는, 옆에있는 침 D, F, ..., J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침 H에 있었던 루프 h는 침 J에 있는 루프 j에 겹쳐진다(제5도의 (l)).
그와 마찬가지로 백베드(B)측 침 S, U, ..., Y으로 이동된 우측 가장자리고무의 앞편지인 놓여있는 코로된 루프를, 프런트베드(F)측 침 Q, S, ..., W로 되돌아 옮김으로 앞편지인 놓여있는 코로된의 프런트베드(F)측의 침 S, U, ..., Y에 있던 루프는, 옆에있는 침 Q, S, ..., W로 이동하기 때문에 침 S의 루프는 가랑이부분의 침 Q에 있는 루프에 겹쳐진다(제5도의 (m)).
계속되는 코스 ④⑤⑥도 코스 ②③과 마찬가지로 평성된다(제5도의 (o) 내지 (p)).
그리고 제5도의 (p)로 편성 종료후, 편성은 제5도의 (d)로 복귀하여 되풀이 된다. 단 그때마다 놓여있던 코의 루프는 사타구니부와 접합된다(편성도 생략).
또, 실시예에서는 편성 2코스마다 코가 이동되어 접합되고 있지만, 이것은 웨일 방향루프의 피치와 코스방향 루프의 피치와의 밸런스가 잘 잡히기 때문이고, 만약 각자와 편조직이 바뀔때 밸런스가 어긋난다고 하면 그에 따라 코스수를 바꾸면된다.
이상 협지부의 편성은, 협지부의 편폭을 변화시키지않고 실시했지만, 협지부의 구간편성이 완료하여, 앞편지 및 뒷편지 구간의 편성으로 옮겼을 경우에는 복부 통형상의 편지에 이르기까지, 양 가장자리 고무간의 간격을 점차증대시켜야 한다.
그때 가장자리고무의 협지부와 접합된 부분이외의 잔여 가장자리고무가 침에 계지된 상태이지만, 이 상태로 협지부의 편촉을 증가시켜, 그 코스의 양단의 루프를 가장자리고무의 루프와 오버랩 시켜서 짜는고로, 복부와 가장자리고무와는 일체가 된다.
즉, 협지부분에 있어서는 가장자리고무의 놓여있던 코 루프를 랙킹함으로서 협지부분의 끝부분루프와 겹치고 있었지만, 복부의 편성에 있어서 가장자리고무간의 편지를 코스 늘리기함으로서 그 편지 코스끝의 루프를 가장자리고무의 놓여있던 코 루프에 겹치고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니이들베드의 소정구간이 니이들로 편성되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된 제1편지에 대하여 다른 구획의 니이들로 편성하는 제2편지의 한 코스를 편성할 때마다, 그 코스의 상기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는 편지에 가장 가까운 끝 루프와, 상기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된 편지의 가장끝 루프를 제2편지의 적당한 코스수의 편성마다 순차 랙킹하여 중합하고, 그 중합한 루프내에 다음 코스편성의 루프를 낌으로서 제1, 제2의 편지를 접합하는고로, 웨일방향이 다른 편지를 편성과정에 있어서 연속적인 상태로 편성할 수가 있고, 예컨대, 의료제품등의 편성에 있어서 소맷부리부분 및 구멍이 뚫린곳, 기타의 개구부의 끝부분처리 혹은 가라이 부분의 협지부 편성등을 일관하여함으로서, 편성후에 봉제공정을 할 필요가 없는 편지를 편성할 수 있는 고로 생산 코스트를 낮출수가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부재의 접합부에서는 각각의 루프가 연직코스방향으로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볼수없는 획기적인 편지를 얻을수가 있다.
또, 끝부분 처리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지편부보다 굵은실을 사용함으로서, 보다 튼튼하고 신축성이 있는 편지를 제공할 수 있을뿐아니라, 지편부와 다른색의 실을 급사함으로서 각각의 부분의 배색을 바꿀수가 있는 고로 보다 유행적이고 멋진 편지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니이들 베드의 소정구간이 니이들로 편성되고 작용되지않는 상태로된 제1의 편지(10)에 대하여, 다른 구획의 니이들로 편성하는 제2편지(20)의 한코스를 편성할때마다, 그 코스의 상기 작용되지않는 상태로 되어있는 편지에 가장가까운 끝루프와, 상기 작용되지않는 상태로된 편지의 가장끝 루프를, 제2편지(20)의 알맞은 코스수의 편성마다 순차적으로 랙킹하여 중합하여, 그 중합한 루프내에 다음코스 편성의 루프를 낌으로서 제1, 제2의 편지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KR1019910010306A 1990-06-21 1991-06-21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KR930005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3479A JPH0772385B2 (ja) 1990-06-21 1990-06-21 接合された編地の編成方法
JP?2-163479 1990-06-21
JP2-163479 1990-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004A KR920001004A (ko) 1992-01-29
KR930005418B1 true KR930005418B1 (ko) 1993-06-21

Family

ID=1577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306A KR930005418B1 (ko) 1990-06-21 1991-06-21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77507A (ko)
EP (1) EP0462822B1 (ko)
JP (1) JPH0772385B2 (ko)
KR (1) KR930005418B1 (ko)
CN (1) CN1018463B (ko)
DE (1) DE69127237T2 (ko)
PT (1) PT98054B (ko)
TR (1) TR253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6760B2 (ja) * 1994-10-07 1998-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KR100392480B1 (ko) * 1995-04-10 2003-11-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사용한바인딩오프방법과,그방법으로바인딩오프된편성포
EP0781880B1 (en) * 1995-12-28 2001-12-05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Binding-off method, bound knitted fabric, and CAD apparatus therefor
US5855123A (en) * 1996-03-19 1999-01-05 The Russell Group, Ltd. Knitted textile fabric having integral seamless elasticated contours, panty blank formed thereof, and fabricating a panty garment therefrom
JP3164528B2 (ja) * 1997-02-17 2001-05-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編地の接合編成方法
US5850745A (en) * 1997-03-05 1998-12-22 The Russell Group, Ltd. Knitted brassiere blank having integral seamless elasticated contours defining bra cup borders
DE19739136A1 (de) * 1997-09-06 1999-03-11 Stoll & Co H Verfahren zum Verbinden zweier Gestrickteile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JP3047008B1 (ja) * 1998-11-26 2000-05-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JP3968017B2 (ja) * 2001-02-02 2007-08-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同士を連結する方法およびその編地
US6786066B2 (en) 2001-05-08 2004-09-07 Shima Seiki Mfg., Ltd. Knit wear with collar knit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it
DE502006004124D1 (de) * 2006-04-04 2009-08-13 Stoll H Gmbh & Co Kg Verfahren zum Stricken eines Kleidungsstücks
CN102046866A (zh) * 2008-08-08 2011-05-04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物
CN101831754B (zh) * 2010-06-04 2011-07-27 陶宝康 纬编毯及其生产方法
RU2495169C2 (ru) * 2011-12-30 2013-10-10 Наталья Николаевна Муранова Способ вязания трикотажного изделия с капюшоном
US10273606B2 (en) * 2015-03-06 2019-04-30 Nike, Inc. Circular knitted garment for lower torso
US11877605B2 (en) 2020-11-19 2024-01-23 Nike, Inc. Knit lower-body garment
CN112609305B (zh) * 2020-12-07 2022-04-05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裤子裆位的编织方法及其裆位结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9768A (en) * 1936-10-21 1943-05-18 Julius Kayser & Co Method of knitting
US2322802A (en) * 1936-11-13 1943-06-29 Robert Reiner Inc Stocking blank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DE715771C (de) * 1936-11-13 1942-01-07 Fritz Lambach Verfahren zum Aufstossen von Strumpfgewirken mit durch entfernbare Trennreihen verbundenen Hochfersen- und Sohlenteilen auf zwei parallel zueinander liegende Reihen von Aufstossnadeln
US2319771A (en) * 1938-04-21 1943-05-18 Julius Kayser & Co Single unit full-fashioned stocking
DE1585477A1 (de) * 1965-07-21 1971-02-04 Vyzk Ustav Pletarsky Mehrteiliges Strickwarenerzeugnis
GB1299444A (en) * 1969-05-06 1972-12-13 Courtaulds Ltd Knitting method and knitted garment
GB1402710A (en) * 1971-11-22 1975-08-13 Courtaulds Ltd Knitting of sleeved garm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2385B2 (ja) 1995-08-02
EP0462822A3 (en) 1992-04-15
US5377507A (en) 1995-01-03
EP0462822A2 (en) 1991-12-27
CN1018463B (zh) 1992-09-30
JPH0457942A (ja) 1992-02-25
EP0462822B1 (en) 1997-08-13
PT98054B (pt) 1999-04-30
PT98054A (pt) 1993-06-30
DE69127237D1 (de) 1997-09-18
KR920001004A (ko) 1992-01-29
DE69127237T2 (de) 1997-12-04
CN1057498A (zh) 1992-01-01
TR25321A (tr) 199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418B1 (ko) 접합된 편지의 편성방법
JP2604653B2 (ja) リブ編みを有するポケット付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US20040093907A1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KR19980033237A (ko) 2×1고무편직조직을 가지는 통상편지의 편성방법
JPH04153346A (ja) 筒状編地の切込部分の編成方法
JPH0415301B2 (ko)
DE69232234D1 (de) Verfahren zum Stricken von nahtlosen Kleidungstücken an Flachstrickmaschinen
JPH0737700B2 (ja) 上端にリブ編みを有するポケット付き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US6748770B2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JP2610208B2 (ja) 編地終端部におけるパイピング処理方法及び編地終端部をパイピング処理した編地
US6655175B1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s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JP2747914B2 (ja) 編地及び編地端部処理方法
KR100872365B1 (ko) 칼라 형성방법
KR101844254B1 (ko) 손가락부가 달린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EP2208814B1 (en) End-connecting method for doubly-cylindrical fabric
KR20210063957A (ko)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EP0449544B1 (en) Connective knitting method of belt-shaped knit end and belt-knit fabric having the end part linked in knit state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KR101883572B1 (ko) 다공성 무봉제 니트 의류 원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니트 의류 원단
JPS62223351A (ja) 経編機による一体成形シヤツの編成方法
JP6161666B2 (ja) ニット製衣服、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292974A (ja) 伸縮性を有する筒状編地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153345A (ja) 切込部品を有する筒状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9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