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957A -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957A
KR20210063957A KR1020190152681A KR20190152681A KR20210063957A KR 20210063957 A KR20210063957 A KR 20210063957A KR 1020190152681 A KR1020190152681 A KR 1020190152681A KR 20190152681 A KR20190152681 A KR 20190152681A KR 20210063957 A KR20210063957 A KR 2021006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neckline
needle
nec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2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유호
Original Assignee
김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호 filed Critical 김유호
Priority to KR1020190152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957A/ko
Publication of KR2021006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9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니트 웨어(1)을 옷단으로부터 어깨 방향을 향하여 편성하고, 그 사이에 넥 라인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몸통(2)를 넥 라인(10a)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시켜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으로부터 빼내어 부작용 상태로 두는 되돌림 편성을 소정의 회수 반복하여 넥 라인(10a)를 형성한다. 그리고 넥 라인(10a)의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좌우의 넥 라인(10a)의 스티치를 넥 라인 중앙측으로 이동시켜 경사부 내에 빈 바늘을 삽입함과 동시에 평탄부 내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연속하여 칼라(8)을 편성할 때에 상기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좌우의 넥라인(10a)에서 각각 실시하여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충분히 내려가도록 형성되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패션성이 뛰어난 칼라(8)을 형성한다.

Description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Knitting method for efficient neck line formation of knitwear}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조끼(vest)나 스웨터(sweater) 등의 니트 웨어(knit wear)의 넥 라인(neck line)을 효율적으로 형성하는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니트 웨어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를 사용하여 예를 들면 조끼를 편성할 때에, 종래의 편성방법에서는 앞쪽 몸통에 형성되는 넥 라인과 뒤쪽 몸통에 형성되는 넥 라인이 동일한 개수의 바늘로 형성된다. 보통 넥 라인은 착용시의 형상에 따라 드롭(drop)이라고 불리우는 넥 홈이 형성되어 있고, 앞쪽 몸통에 형성되는 넥 홈은 프론트 드롭(front drop)이라고 불리운다. 프론트 드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써, 앞쪽 몸통을 편성할 때에 칼라(collar)의 형성을 시작하기 전에 넥 라인의 좌우 부분을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에 의하여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고, 그에 연속하여 칼라를 형성한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에서는, 칼라의 편성폭(編成幅)(웨일 수(wale 數))은 되돌림 편성에 의하여 넥 라인을 형성하기 전과 비교하여 변화하지 않아 칼라가 타이트(tight) 하게 되어 넥 라인이 충분히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할 수 없다.
도12에 평탄부(平坦部)X-Y와 그 양측의 경사부(傾斜部)W-X, Y-Z로 구성되는 칼라100이 형성된 앞쪽 몸통101을 나타낸다. 앞쪽 칼라100의 평탄부X-Y에서는, 평탄부X-Y의 가장자리 길이(T2)와 평탄부X-Y의 웨일 수(T1)의 관계가 T1 = T2로 되어 있어 형성하는 칼라의 가장자리 길이(T2)에 대하여 충분한 웨일 수가 확보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경사부W-X 및 Y-Z에서는, 경사부의 가장자리 길이(S2, U2)와 경사부W-X 및 Y-Z의 웨일 수(S1, U1)의 관계가 S1< S2, U1< U2로 되어 있어 형성하는 칼라의 가장자리 길이에 대하여 충분한 웨일 수가 확보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경사부W-X, Y-Z에서 웨일 수가 부족하면 평탄부X-Y가 경사부W-X, Y-Z에 의하여 양측으로 당겨지고,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충분히 내려가도록 형성할 수 없다. 또한 실제로 편성되는 칼라의 가장자리 길이는 미리 예정한 가장자리 길이S2 + T2 + U2보다 짧은 S1 + T1 + U1으로 되어 있어 충분한 구경(口徑)
의 칼라용 입구를 형성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충분히 내려가도록 형성되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패션성이 뛰어난 칼라를 니트 웨어에 형성하는 방법 및 그와 같은 칼라가 형성되는 니트 웨어를 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쪽 몸통 또는/및 뒤쪽 몸통의 칼라가 형성되는 니트 웨어를 옷단으로부터 어깨 방향을 향하여 편성하고, 그 사이에 넥 라인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장소 이후에서 몸통을 넥 라인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시켜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에서 빼내어 부작용 상태로 두는 되돌림 편성을 소정의 회수 반복하여 넥 라인을 형성하고, 넥 라인에 있어서 평탄부로부터 경사부로 웨일을 보완함으로써 칼라의 각 부분마다 웨일 수의 비율을 형성하는 칼라의 형상에 적합한 비율로 변경하고, 이에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함으로써 칼라가 아래쪽으로 충분히 내려가도록 편성되는 니트 웨어를 착용감이 우수하고 패션성이 뛰어나게 편성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칼라(collar) 부분이 형성되는 스웨터(sweater)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에서의 스웨터의 전개도(형지(型紙 : pattern paper))이다.
도3은 도1에서의 스웨터 편성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a는 스웨터의 칼라 부분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4-b는 앞쪽 칼라 및 뒤쪽 칼라의 가장자리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를 확대하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knitting course diagram)이다.
도6은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를 확대하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7은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를 확대하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8은 앞쪽 넥 라인의 웨일 수(wale 數)의 비를 변화시키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9는 앞쪽 넥 라인의 웨일 수의 비를 변화시키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10은 앞쪽 넥 라인의 웨일 수의 비를 변화시키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11은 앞쪽 넥 라인의 웨일 수의 비를 변화시키는 편성을 나타내는 편성 코스도이다.
도12는 종래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와 웨일 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이동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쪽 몸통 또는/및 뒤쪽 몸통의 칼라(collar)가 형성되는 니트 웨어(knit wear)를 옷단으로부터 어깨 방향을 향하여 편성하고, 그 사이에 넥 라인(neck line)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몸통을 넥 라인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分岐)시켜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으로부터 빼내어 부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두는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소정의 회수(回數) 반복하여 넥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넥 라인의 가장자리에 칼라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으로서, 넥 라인의 경사부(傾斜部)와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는 평탄부(平坦部)를 포함하는 좌우의 넥 라인의 스티치를 넥 라인 중앙측으로 이동시키고, 경사부 내에 빈 바늘(empty needle)을 삽입함과 동시에 평탄부 내에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한 후,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course)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좌우의 넥 라인에서 각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편성되는 니트 웨어가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전후로 포개어져 통(筒) 모양으로 편성되는 편성포로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어깨부에서 접합한 후, 상기 넥 라인의 경사부 내에 빈 바늘을 삽입함과 동시에 평탄부 내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넥 라인에서 실시하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스티치를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빈 바늘을 삽입하여 넥 라인의 웨일 수(wale 數)를 증가시키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니트 웨어는, 조끼(vest) 또는 스웨터(sweter) 등 니트 웨어의 넥 라인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넥 라인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하여 편성됨과 동시에, 칼라와 넥 라인의 경계(境界) 장소에서 인접하는 2개의 영역 내의 스티치 군(stitch 群)이 넥 라인 중앙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빈 장소에 새로 형성되는 스티치 및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칼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끼나 스웨터 등의 니트 웨어를 편성할 때에, 예를 들면 앞쪽 몸통에 있어서 넥 라인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우측 앞쪽 몸통과 좌측 앞쪽 몸통으로 분기되어 앞쪽 몸통을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측의 가장자리 스티치를 넥 라인의 중앙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스티치를 바늘에 결합한 상태 그대로 순차적으로 부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두는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넥 라인 외측의 편성코스 수(knitting course 數)를 넥 라인 중앙부의 편성코스 수와 비교하여 많게 함으로써 중앙부가 깊고 외측이 얕은 원호(圓弧) 모양의 넥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우측 앞쪽 몸통과 좌측 앞쪽 몸통을 형성한다.
이어서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에 대한 웨일 수(wale 數)를 보완하기 위하여 경사부의 스티치(stitch) 및 평탄부의 스티치 군(stitch 群)을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로 코 이동한 후, 니들베드를 넥 라인 중앙측으로 래킹(racking)하면서 대향하는 니들베드로 코 이동한 스티치를 원래의 니들베드로 되돌려 이동시킨다. 이 때에 래킹을 1피치(pitch), 2피치 … 로 래킹 피치(racking pitch)를 크게 할 때마다 적당한 수의 스티치를 원래의 니들베드로 되돌려 이동시킨다. 니들베드를 넥 라인의 중앙측으로 래킹하면서 스티치를 원래의 니들베드로 되돌려 이동시킴으로써 웨일 수의 보완이 필요한 넥 라인의 경사부에 빈 바늘을 삽입하고, 경사부에 인접하는 평탄부에서 인접하는 스티치 상호간이 포개어지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한다.
이어서 넥 라인의 중앙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서 동일한 편성을 좌우대칭으로 실시하여 마찬가지로 더블 스티치와 빈 바늘(empty needle)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경사부의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가 형성되어 경사부의 웨일 수가 증가함과 동시에 평탄부의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가 형성되어 평탄부의 웨일 수를 감소시킨 후, 넥 라인의 전역(全域)에 급사(給絲)하여 칼라를 형성한다.
또한 편성되는 편성포가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전후로 포개어져 통(筒) 모양으로 편성되는 편성포인 경우에는, 앞쪽몸통과 병행(竝行)하여 뒤쪽 몸통이 편성되고, 소매와 몸통을 접합하는 부분에서는 앞쪽 몸통과 동일하게 뒤쪽 몸통을
편성할 때마다 소매와 접합이 이루어져 소매와 몸통의 접합이 완료한 후에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어깨부에서 연결한다. 형성하는 넥 라인의 가장자리 길이에 대하여 넥 라인 전체의 웨일 수가 부족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앞쪽 넥 라인의 웨일 수를 증가시키는 편성을 하고, 넥 라인의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의 스티치를 내측으로부터 1바늘, 2바늘, … 외측을 향하여 그 이동량을 크게 하여 이동시키고, 각 스티치 사이에 빈 바늘을 삽입한다. 빈 바늘을 스티치 사이에 삽입할 때에는, 제1니들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스티치수와 제2니들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스티치수의 차이가 2 이상이 되지 않도록 앞쪽 넥 라인의 양단부(兩端部)의 스티치를 뒤쪽 몸통에 형성시킨 후에 넥 라인 측단(側端) 스티치의 외측으로 이동시켜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 사이에서 코 이동한다. 상기한 스티치 사이에 빈 바늘을 삽입하여 넥 라인 전체의 웨일 수를 증가시켜 보완함으로써 가장자리 길이가 긴 칼라를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더 확실하게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윗면에 다수의 슬라이드 니들(slide needle)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앞베드(FB)와 뒷베드(BB)를 전후로 대향(對向)하도록 배치하고, 뒷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여 앞베드의 상위(上位)에 다수의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이하, TR 잭이라고 한다)이 니들베드의 니들 피치(needle pitch)와 동일한 피치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니들베드에 대하여 좌우로 래킹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트랜스퍼 잭 베드(transfer jack bed)(이하, TR 잭 베드라고 한다)를 구비하고, 전후 니들베드 사이 및 TR 잭 베드와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코 이동이 가능한 타입의 횡편기를 편성에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홀딩 기술(holding technique)이라고 불리우는 기술을 이용하는 편성이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한다. 홀딩(holding)이란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slider)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더가 2장의 얇은 판자를 포개어 슬라이더 선단측(先端側)에 텅(tongue)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니들이라고 불리우는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기술이다. 홀딩에서는 바늘 본체의 훅(hook)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stitch)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의 텅 상에서 다른 하나의 스티치를 받아서 동일한 바늘 상에 다른 2개의 스티치를 분리한 상태를 유지한 체로 지지한다. 이 홀딩의 상세한 설명에 관하여는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홀딩에서는 스티치를 이동한 측의 바늘을 일시적으로 빈 바늘(empty needle)로 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여 적당한 편성을 한 후, 홀딩 스티치를 원래의 바늘로 이동하여 되돌리면 스티치를 이동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기 때문에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에서도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한다고 하는 제한없이 시임리스 니트 웨어(seamless knit wear)를 편성할 수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방법은 전후로 편성포를 포개어 통 모양으로 편성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조각(part)으로써 앞쪽 몸통만을 편성하는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그 양단부(兩端部)에서 연속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과정에서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편성되는 니트 웨어(knit wear)인 스웨터(sweater)1을 나타낸다. 스웨터1은 소매가 셋 인(set-in) 타입이고, 칼라(collar)가 「U」자 모양의 라운드 넥(round neck)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편성조직을 평편성(plain knit)으로 하지만, 자카드(jacquard)나 리브(rib) 편성조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2는 스웨터를 구성하는 몸통과 소매 및 칼라의 형지(型紙 : pattern paper)(스티치 배열(stitch alignment))를 나타낸다.
위에 있는 도면이 스웨터를 착용할 때에 뒤쪽으로 나타나는 뒤쪽부분이 되는 뒤쪽 몸통과 좌우 소매의 뒷부분8b를 나타내고, 이들은 뒤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아래에 있는 도면은 스웨터를 착용할 때에 앞쪽으로 나타나는 앞쪽부분이 되는 앞쪽 몸통, 좌우 소매의 앞부분과 앞쪽 칼라를 나타내고, 이들은 뒤에서 설명하지만 앞쪽 칼라의 외측의 일부(一部)를 제외하고 앞베드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스웨터1은 겨드랑이 하부에서 앞쪽 몸통2a의 각 점A, a는 앞쪽 소매4a, 14a의 각 점P, p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각 점H, h는 뒤쪽 소매4b, 14b의 각 점S, s와 접합된다. 앞쪽 몸통2a의 선A-B와 소매4a의 선P-Q, 앞쪽 몸통2a의 선a-b와 소매14a의 선p-q가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뒤쪽 몸통2b의 선H-I와 소매4b의 선S-T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선h-i와 소매14b의 선s-t가 접합된다. 앞쪽 몸통2a는 넥 라인(neck line)10a가 형성되는 점F, f 이후에 걸쳐 뒤쪽 몸통2b와 다른 형상을 하고 있고, 우측 앞쪽 몸통15a와 좌측 앞쪽 몸통5a로 분기(分岐)되어 편성된다. 또한 우측 앞쪽 몸통15a나 우측 소매14 등 각 부분을 나타낼 때에 사용하는 우측·좌측이란 스웨터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着用者)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8a는 앞쪽 칼라를 나타내고, 뒤쪽 칼라8b보다 폭이 넓다. 선C-D-E-e-dc는 앞쪽 칼라8a가 형성되는 앞쪽 몸통2a의 넥 라인10a이다. 선J-j는 뒤쪽 칼라8b가 형성되는 뒤쪽 넥 라인10b이다.
도3은 스웨터를 편성할 때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텝L에서 몸통2, 소매4, 14용으로 각각 준비하는 급사구(給絲口)(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서 통 모양의 옷단 고무부6, 7, 17의 편성을 시작한다. 이후에 스텝M에 도달할 때까지는 몸통2와 소매4, 14를 각각 통 모양 편성포로서 편성한다. 스텝M부터 스텝N에서는 앞쪽 몸통2a, 뒤쪽 몸통2b, 좌측 소매4, 우측 소매14를 하나의 통 모양체로서 편성하면서 그 때마다 몸통2와 좌우 소매4, 14를 접합한다. 스텝N에서는 스텝M∼N의 편성에 부가하여 앞쪽 몸통2a를 좌측 앞쪽 몸통5a와 우측 앞쪽 몸통15a로 분기하고, 좌측 앞쪽 몸통5a와 우측 앞쪽 몸통15a의 편성에서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하면서 앞쪽 넥 라인10a를 형성하고, 동시에 몸통과 소매를 선A-B와 선P-Q, 선a-b와 선p-q에서 접합하여 어깨까지 편성한다. 이 사이에 넥 라인10a의 선C-D-E-e-d-c를 따르는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부작용 상태(不作用 狀態 : inoperative position)로 놓아 두는 되돌림 편성을 반복하여 원호(圓弧) 모양의 홈을 형성한다. 이어서 어깨부에서 앞쪽 몸통2a의 선B-C와 뒤쪽 몸통2b의 선I-J, 앞쪽 몸통2a의 선b-c와 뒤쪽 몸통2b의 선i-j를 접합하여 공지(公知)된 풀림 방지 수단에 의하여 코 빼기(binding off) 처리를 한다.
실제의 편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 전에 편성의 개략적인 내용에 관하여 도4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4-a는 스웨터1의 칼라(collar)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 도4-b는 뒤쪽 넥 라인 10b에 대한 앞쪽 넥 라인10a의 가장자리 길이의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칼라8은 앞쪽 몸통2a의 앞쪽 넥 라인10a의 주위에 앞쪽 칼라8a가 형성되고, 뒤쪽 몸통2b의 뒤쪽 넥 라인 10b에 뒤쪽 칼라8b가 형성된다. 앞쪽 넥 라인10a는 경사져 있는 C-D-E 및 c-d-e의 경사부(傾斜部)와 E-e의 평탄부(平坦部)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경사부는 경사상부(傾斜上部)C-D, c-d와 경사하부(傾斜下部)D-E, d-e로 이루어진다. 뒤쪽 넥 라인 10b는 도4-b에 있어서의 (1)이고, 앞쪽 넥 라인10a는 (2)이고, 웨일 수(wale 數)는 (1) = (2)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이 상태로부터 먼저 경사상부C-D, c-d에서 스티치를 늘려 웨일 수를 증가 시켜서 (3)의 상태로 한다. 이 편성에 의하여 앞쪽 넥 라인10a는 뒤쪽 넥 라인 10b보다 가장자리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다음에 경사하부D-E, d-e의 스티치를 중앙선X-X측으로 이동시키고, 경사하부 내에 빈 바늘을 삽입하여 평탄부 내에 인접하는 스티치 상호간을 포개는 편성을 하는 경사하부D-E, d-e의 웨일 수를 증가시키고, 평탄부E-e의 웨일 수를 감소시켜 (4)의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는 (3)의 상태에서 넥 라인의 가장자리의 길이 자체는 변화시키지 않고, 경사하부D-E, d-e 사이의 웨일 수와 평탄부E-e 사이의 웨일 수의 비율만을 변경한다.
도4-b의 (2)에서 (3)으로 넥 라인10a의 경사상부C-D, c-d의 웨일 수를 증가시키는 편성에 관하여 도5∼도7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5의 스텝1은 넥 라인10a을 제외한 어깨까지의 접합편성이 완료된 상태의 니들베드에 있어서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앞베드의 바늘D∼W에 앞쪽 몸통2a의 선C-D-E-e-d-c 상의 앞쪽 넥 라인10a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고, 뒷베드의 바늘D∼W에 뒤쪽 몸통2b의 선J-j 상의 뒤쪽 넥 라인10b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앞쪽 몸통2a의 스티치는 굵은 원으로 나타나 있다. 편침A∼M은 넥 라인10a의 중앙선X-X 좌측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편침N∼Z는 중앙선X-X 우측의 스티치를 나타내고, 실제의 편성에서는 바늘M과 바늘N 사이에 다수의 바늘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편성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쪽 넥 라인10a의 경사상부C-D, c-d에서 각각 4웨일(wale)의 스티치가 증가하는 예를 나타낸다.
넥 라인10a을 넓히는 편성은 앞쪽 넥 라인10a의 스티치 이동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편성을 하는 동안에 뒤쪽 넥 라인 10b의 스티치는 이동하지 않고 홀드(hold)된다. 스텝2∼스텝8은 앞쪽 넥 라인10a의 좌측 부분에서 스티치를 늘리는 처리를 나타내고, 스텝9∼스텝15는 앞쪽 넥 라인10a의 우측 부분에서 스티치를 늘리는 처리를 나타낸다. 뒷베드나 TR 잭 베드가 스텝1의 위치 관계에 있을 때를 니들베드의 래킹 원점(starting racking point)으로 한다. 우선, 스텝2에서 뒷베드를 우측으로 1바늘(1P)만큼 래킹하여 앞베드의 바늘L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39를 뒷베드의 바늘K의 슬라이더의 텅 상에 홀딩(holding)시킨 후, 바늘D에 결합되어 있는 앞쪽 넥 라인10a의 좌단(左端)의 스티치31을 뒷베드로 이동한다.
다음에 스텝3에서는 앞베드의 바늘E∼K에 결합되는 스티치32∼38을 TR 잭E∼K로 이동한다. 스텝4에서는 TR 잭 베드를 2바늘(2P)만큼 좌측으로 래킹한 상태로서 TR 잭에 결합한 스티치38을 앞베드의 바늘I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텝2에서 뒷베드의 바늘K에 홀딩한 스티치39를 앞베드의 바늘K로 이동한다. 상기에서는 스티치39의 이동을 홀딩을 이용하여 실시하였지만 이에 대신하여 TR 잭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스텝5에서는 TR 잭 베드를 스텝4로부터 1바늘만큼 더 좌측으로 래킹하여 TR 잭J에 결합한 스티치37을 앞베드의 바늘G로 이동한다. 스텝6에서는 TR 잭 베드를 1바늘만큼 더 좌측으로 래킹하여 TR 잭E-I에 결합한 스티치32∼36을 앞베드의 바늘A∼E로 이동한다.
스텝7에서는 뒷베드를 1바늘만큼 좌측으로 래킹하여 앞베드의 바늘A로 이동된 스티치32를 뒷베드의 바늘B로 이동한다. 스텝8에서는 넥 라인10a의 좌측 부분을 넓히는 처리를 완료하고, 뒷베드를 래킹 원점으로 되돌렸을 때의 넥 라인10a의 각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앞쪽 넥 라인10a의 좌단의 2개의 스티치31, 32가 가장자리의 스티치31로부터 순차적으로 뒤쪽 넥 라인10b의 측단(側端)의 스티치에 인접하도록 뒷베드로 이송된다. 앞쪽 넥 라인10a에 있어서의 좌측 부분의 이동되는 스티치33∼39는 원래 있었던 위치로부터 내측을 1바늘로 하여, 2바늘, 3바늘, 4바늘만큼 외측을 향하여 그 이동량을 증가시켜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4개의 빈 바늘F, H, J, L을 편성포 내에 형성하는 상태가 된다.
여기에서는 각 스티치36, 37, 38, 39, 40 사이에 빈 바늘이 1개씩 삽입되지만 넥 라인의 스티치 수(stitch 數)가 많은 경우에는, 예를 들면 3개마다 각각을 1바늘, 2바늘, 3바늘, 4바늘만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고, 그들의 스티치 사이에 빈 바늘을 1개씩 삽입하여도 좋다. 증가시키는 웨일의 수에 따라 빈 바늘이 삽입되고, 빈 바늘이 연속하지 않도록 이동시키는 스티치를 분산시킴으로써 후공정(後工程)에서 코늘임을 순조롭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분산시키는 데에 충분한 수량의 스티치가 없는 경우에는 빈 바늘이 연속하더라도 문제는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쪽 넥 라인의 중앙선XX의 좌우 각각의 넥 라인에서 4웨일씩을 늘리고, 측단의 스티치31, 32를 뒷베드로 이송함으로써 앞쪽 칼라와 뒤쪽 칼라 부분의 가장자리 길이의 차이를 이등분하여 앞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스티치 수와 뒷베드의 바늘에 결합되는 스티치 수의 차이가 커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실의 끊어짐이나 니트에 줄이 생기는 것을 막는다. 넥 라인을 일방(一方)에서 2웨일 늘리는 경우에는 측단의 스티치31만을 뒷베드로 이송하면 좋다. 뒷베드로 이송되는 스티치의 수는 넥 라인에서 늘리는 웨일에 의하여 변화한다.
다음에 스텝9∼15에서는 상기 앞쪽 넥 라인10a의 중앙선X-X 좌측에서 코늘임한 스텝2∼8과 동일한 편성을 중앙선X-X의 우측에서 동일하게 편성한다. 스텝15는 앞쪽 넥 라인10a가 넓혀진 후의 넥 라인의 스티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앞쪽 넥 라인10a의 우측 부분과 좌측 부분에서 각각 4웨일씩 코를 늘리고, 그 내측 양단(兩端)의 2스티치는 뒷베드의 뒤쪽 넥 라인10b의 외측으로 이송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앞쪽 넥 라인10a의 측단의 스티치31, 32, 41, 42를 뒷베드로 이송함으로써 전후의 니들베드에서 결합하는 양 측단의 스티치 상호간이 좌우로 크게 분리되지 않고 근접한 상태를 유지하여 넥 라인의 구경(口徑)을 넓힐 수 있다. 스텝16은 칼라8a, 8b를 편성할 때에 스티치 사이에 삽입된 빈 바늘F·H·J·L·O·Q·S·U에서 코늘임을 하는 스텝을 나타내고, 스텝17은 뒤쪽 넥 라인10b에 급사(給絲)하는 편성을 나타낸다.
다음에 도4-b에 있어서의 (3)에서 (4)로 경사하부D-E, d-e의 스티치를 평탄부E-e측으로 이동시키고, 경사하부D-E, d-e에 빈 바늘을 삽입하여 평탄부의 웨일 수(wale 數)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평탄부E-e의 웨일 수를 감소시키는 편성에 관하여 도8∼도1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8∼도11의 편성은 도7까지의 편성에 이어서 이루어진다. 도8∼도11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앙선X-X의 좌우에서의 편성을 각각 나타내고, 스텝 번호의 우측에 붙이는 (L)은 넥 라인10a의 중앙선X-X의 좌측(착용할 때에 우측)에서의 편성을, (R)은 중앙선X-X의 우측(착용할 때에 좌측)에서의 편성을 나타낸다. 중앙선X-X의 좌우 중 어느 일방(一方)에서만 편성을 하는 스텝에서는 그 부분에서 이루어지는 편성만을 나타내고, 좌우 양측에서 편성을 하는 경우에는 스텝13과 같이 중앙선X-X의 좌측과 우측에서 이루어지는 편성을 분할하여 나타낸다. 도8∼도11에 있어서 스텝 번호에 (R)이 붙은 스텝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앞베드의 좌측에 앞쪽 넥 라인10a의 경사상부c-d의 스티치가, 우측에 중앙선X-X의 우측의 넥 라인10a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뒷베드에는 뒤쪽 넥 라인10b의 스티치 및 뒷베드로 이동된 앞쪽 넥 라인10a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스텝 번호에 (L)을 붙인 스텝에서는 앞베드의 좌측에 중앙선X-X 좌측의 넥 라인10a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우측에는 경사상부D-C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뒷베드에는 뒤쪽 넥 라인10b의 스티치 및 뒷베드로 이동된 앞쪽 넥 라인10a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중앙선X-X의 좌우 각각의 경사하부D-E, d-e의 스티치를 평탄부Ee로 이동하여 경사하부D-E, d-e를 각각 4웨일씩 늘리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8에서의 스텝1은 도5∼도7의 편성이 완료된 시점에서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스텝1에서는 앞베드의 바늘A∼W에 경사하부d-e의 스티치가, 바늘X-i에 평탄부e-E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뒷베드의 바늘A∼i에 뒤쪽 넥 라인J-j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스텝2에서는 앞베드의 바늘D∼e의 스티치를 TR 잭 베드의 TR 잭D∼e로 코 이동한다. 스텝3에서는 TR 잭 베드를 우측으로 1바늘만큼 래킹한 후, TR 잭D∼G의 스티치41∼44 및 c∼e의 스티치45∼47을 앞베드로코 이동한다. 이에 따라 앞베드의 바늘D에 빈 바늘이 삽입됨과 동시에 바늘f에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가 형성된다. 스텝4에서는 스텝3의 상태로부터 1바늘만큼 더 우측으로 TR 잭 베드를 래킹하고, TR 잭H∼K의 스티치48∼51 및 Z∼b의 스티치52∼54를 앞베드로 코 이동하고, 앞베드의 바늘I에 빈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d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스텝5에서는 1바늘만큼 TR 잭 베드를 더 우측으로 래킹하고, TR 잭L∼O의 스티치55∼58 및 W∼Y의 스티치59∼61을 앞베드로 코 이동하고, 앞베드의 바늘N에 빈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b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그리고 스텝6에서도 TR 잭 베드를 더 우측으로 1바늘만큼 래킹한 후, TR 잭 베드의 TR 잭P∼V의 스티치62∼68을 앞베드로 코 이동하고, 앞베드의 바늘S에 빈 바늘을 삽입하고, 바늘Z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앞쪽 넥 라인10a의 경사하부d-e에 빈 바늘D·I·N·S가 삽입되고, 평탄부e-E의 바늘Z·b·d·f에 더블 스티치가 형성된다.
스텝7부터 중앙선X-X의 우측에서의 편성으로 이동한다. 스텝7에서는 앞베드의 바늘A∼L에 평탄부e-E의 스티치가, 바늘M-i에 경사하부E-D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고, 뒷베드의 바늘A∼i에 뒤쪽 넥 라인10b의 경사하부E-D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스텝7∼12에서는 스텝1부터 스텝6과 동일한 편성을 중앙선X-X의 우측에서 좌우대칭으로 실시하여 스텝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평탄부e-E의 바늘D·F·H·J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경사하부E-D의 바늘Q·V·a·f에 빈 바늘을 삽입한다. 스텝13(R)에서는 급사구를 앞쪽 넥 라인10a의 좌단(左端)으로부터 우단(右端)으로 주행시켜 상기 중앙선X-X 우측의 바늘f·a·V·Q의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고, 바늘J·H·F·D의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스텝13(L)에서는, 중앙선X-X 우측의 바늘f·d·b·Z의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하고, 바늘S·N·I·D의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한다. 상기 스텝1∼스텝13의 편성에 의하여 경사하부D-E, d-e에서는 웨일 수가 각각 4웨일 늘어나고, 평탄부E-e에서는 중앙선X-X의 좌우에서 합쳐져 8웨일 줄어든다. 스텝13 이후의 편성에서는 앞쪽 넥 라인10a와 뒤쪽 넥 라인10b에 고리 모양으로 급사하여 앞쪽 칼라8a 및 뒤쪽 칼라8b를 통 모양으로 형성한다. 이후에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공지(公知)된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 방법 등 풀림 방지 수단에 의하여 칼라의 최종 코스의 스티치를 풀림 방지 처리하여 바늘로부터 빼내어 스웨터1의 편성이 완료된다.
상기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칼라는 도5∼도7의 편성에 의하여 넥 라인 전체의 웨일 수가 늘어난 후, 도8∼도11의 편성에 의하여 경사하부D-E, d-e의 웨일 수를 증가시키고, 평탄부E-e의 웨일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경사하부D-E, de의 웨일 수가 보완된다. 이 넥 라인에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함으로써 의도한 형상(形狀)의 칼라를 형성할 수 있고, 칼라가 아래쪽으로 충분히 내려가도록 편성되는 니트 웨어를 착용감(着用感)이 우수하고 패션성(fashion性)이 뛰어나게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앞쪽 몸통2a에만 칼라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뒤쪽 몸통2b에도 칼라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는 경우에는 뒤쪽 넥 라인10b에 동일한 편성을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5∼도7에 있어서, 앞쪽 넥 라인10a의 외측의 스티치를 뒷베드 상으로 이동시키면서 앞쪽 넥 라인10a에 빈 바늘을 삽입하여 넥 라인10a 전체의 웨일 수를 증가시키는 편성을 경사상부C-D, c-d에서만 실시하였지만 경사하부D-E, d-e나 평탄부E-e에서 실시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편성에 사용하는 횡편기로서 TR 잭 베드나 슬라이드 니들을 장착하지 않는 범용(汎用)의 2-베드 횡편기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바늘을 1개씩 걸러 스티치의 형성에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또한 4-베드 횡편기에서는 홀딩을 사용하지 않고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빈 바늘에 편사를 훅(hook)시킴으로써 스티치를 형성하였지만 스플릿 니트(split knit) 등 다른 코늘임 방법에 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일방(一方) 또는 쌍방(雙方)의 니들베드가 좌우로 래킹(racking)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전후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이동이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앞쪽 몸통 또는/및 뒤쪽 몸통의 칼라(collar)가 형성되는 니트 웨어(knit wear)를 옷단으로부터 어깨 방향을 향하여 편성하고, 그 사이에 넥 라인(neck line)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몸통을 넥 라인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分岐)시켜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으로부터 빼내어 부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두는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소정의 회수(回數) 반복하여 넥 라인을 형성하고, 상기 넥 라인의 가장자리에 칼라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으로서,
    넥 라인의 경사부(傾斜部)와 상기 경사부에 인접하는 평탄부(平坦部)를 포함하는 좌우의 넥 라인의 스티치를 넥 라인 중앙측으로 이동시키고, 경사부 내에 빈 바늘(empty needle)을 삽입함과 동시에 평탄부 내에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를 형성한 후,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course)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좌우의 넥 라인에서 각각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편성되는 니트 웨어가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전후로 포개어져 통(筒) 모양으로 편성되는 편성포로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어깨부에서 접합한 후, 상기 넥 라인의 경사부 내에 빈 바늘을 삽입함과 동시에 평탄부 내에 더블 스티치를 형성하고,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할 때에 상기 빈 바늘에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더블 스티치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를 형성하는 편성을 넥 라인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스티치를 외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넥 라인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빈 바늘을 삽입하여 넥 라인의 웨일 수(wale 數)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4. 조끼(vest) 또는 스웨터(sweter) 등 니트 웨어의 넥 라인의 형성이 시작되는 장소 이후에서 넥 라인의 우측과 좌측으로 분기하여 편성됨과 동시에, 칼라와 넥 라인의 경계(境界) 장소에서 인접하는 2개의 영역 내의 스티치 군(stitch 群)이 넥 라인 중앙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빈 장소에 새로 형성되는 스티치 및 이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더블 스티치에 연속하여 칼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KR1020190152681A 2019-11-25 2019-11-25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KR202100639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1A KR20210063957A (ko) 2019-11-25 2019-11-25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2681A KR20210063957A (ko) 2019-11-25 2019-11-25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957A true KR20210063957A (ko) 2021-06-02

Family

ID=76373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2681A KR20210063957A (ko) 2019-11-25 2019-11-25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95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08254A (zh) * 2022-05-24 2022-07-29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横机服装高领结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4990772A (zh) * 2022-05-20 2022-09-0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卷边领型凸起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4808254B (zh) * 2022-05-24 2024-05-24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横机服装高领结构编织方法及针织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90772A (zh) * 2022-05-20 2022-09-0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卷边领型凸起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4808254A (zh) * 2022-05-24 2022-07-29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横机服装高领结构编织方法及针织物
CN114808254B (zh) * 2022-05-24 2024-05-24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横机服装高领结构编织方法及针织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540B1 (ko)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니트 웨어
EP1375718B1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JP3071147B2 (ja) 衿付衣服の編成方法
US6672113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knit designing device for producing the method of knitting the neck
US6658899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6766666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20090308108A1 (en) Knitwear having open part in body tubular part,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KR20070087591A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US6655175B1 (en) Method for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s
US7225646B2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with raglan sleeves and knitwear with raglan sleeves
EP0569159A2 (en) A method of forming piping at the end of a knitted fabric and a knitted fabric having piping formed at its fabric end
EP1211341B1 (en) Welt-seaming method excellent in stretchability
KR20210063957A (ko)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US7168271B2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having front neck and knit-wear having front neck
KR100992063B1 (ko) 니트웨어 및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EP2392708A1 (en) Method for knitting knitwear with collar having v-neck point and knitted fabric
EP1260623B1 (en)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20070017256A1 (en) Knitting method of forming drape around collar and knitwear having drape around col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