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75928A -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 Google Patents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75928A
KR20020075928A KR1020027011155A KR20027011155A KR20020075928A KR 20020075928 A KR20020075928 A KR 20020075928A KR 1020027011155 A KR1020027011155 A KR 1020027011155A KR 20027011155 A KR20027011155 A KR 20027011155A KR 20020075928 A KR20020075928 A KR 20020075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torso
knitting
stitches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0750B1 (ko
Inventor
오카모토가즈요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2007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Abstract

소매 앞부분4a, 14a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22를 따라 앞쪽 몸통2a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앞쪽 몸통2a의 최초 부분과 접합하고, 소매 앞부분4a, 14a의 소매 정상부와 이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4b, 14b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을 앞쪽 몸통2a의 상기 최초 부분에 연속하는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접합함과 동시에 앞쪽 몸통2a의 어깨부까지의 부분의 넥 라인 가장자리 부분10a에 코늘임 스티치를 형성하고, 소매 뒷부분4b, 14b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22를 따라 뒤쪽 몸통2b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하고, 상기 소매 뒷부분4b, 14b의 소매 정상부의 나머지 부분에 연장부분9b, 19b를 형성하여 뒤쪽 몸통2b의 어깨부와 연속하여 편성함과 동시에 연장부분9b, 19b를 끼워서 앞쪽 몸통2a와 뒤쪽 몸통2b를 접합하여 칼라의 폭이 넓은 넥 라인10에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착용감이 우수한 시임리스 니트 웨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 웨어{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14448호 공보에 앞쪽 몸통의 넥 라인을 넓힘과 동시에 이에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는 횡편기에 의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이전에 제안하였다. 이는 앞쪽 몸통을 넥 라인 형성 시작장소 이후에 있어서, 넥 라인을 끼우는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으로 분기(分岐)하여 편성하고, 그 편성과정에 있어서 넥 라인의 가장자리를 따라 코늘임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함과 동시에, 각 좌우의 앞쪽 몸통의 스티치(stitch)를 외측(外側)으로 이동시키는 편성을 반복하면서 앞쪽 몸통을 어깨까지 편성하는 것이다. 넥 라인을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함으로써 넥 라인의 웨일 수(wale 數)가 늘어나고, 그 결과 이에 연속하여 편성되는 칼라(collar)는 칼라의 폭이 넓은 것으로 될 뿐만 아니라 넥 라인은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편성되는 앞쪽 몸통을 사용하여 스웨터를 제조하면 패션(fashion)의 측면에서 우수하고, 착용(着用)할 때에 머리가 용이하게 통과하므로 착용하기 편리한 니트 웨어가 된다.
상기 공보의 방법은, 조각으로서 하나로 편성되는 앞쪽 몸통에 관한 것으로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그 편성폭(編成幅)의 양단(兩端)에서 접속하여 통(筒) 모양으로 편성함과 동시에 이들을 횡편기에서의 편성공정 중에 어깨부에서 서로 접합시켜 조끼(vest)나 스웨터 등의 니트 웨어를 완성시키는 소위 시임리스 니트(seamless knit)라고 불리우는 편성기술에 관한 것은 아니다.
시임리스 니트는 편성공정 후의 봉제(縫製)를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기 위한 편성기술로서, 본원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91254,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2-229248,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09855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153346 등을 포함하여 다수의 편성기술을 제안하였다.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에 의한 시임리스 니트는, 니들베드(needle bed)의 홀수번째 바늘을 예를 들면 앞쪽 몸통이나 소매 앞부분 등의 앞쪽부분 편성포용으로, 짝수번째의 바늘을 뒤쪽부분 편성포용으로서 전후 니들베드의 바늘을 각각 1개씩 걸러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쪽부분을 편성할 때에 앞측 편성포를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켜 각 편성포를 전후로 포갠 상태에서 편성함으로써 각각의 편성포는 코 이동용의 빈 바늘(empty needle)을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 상에 항상 확보할 수 있고, 이 빈 바늘을 사용함으로써 링크스(links), 가아터(garter), 리브(rib) 등의 안쪽 스티치(front stitch)/겉쪽 스티치(back stitch)가 혼재(混在)하는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을 편성하거나 소매나 몸통의 스티치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켜 서로 접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는 경우에서는,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예를 들면 하부 앞쪽 니들베드와 상부 뒤쪽 니들베드의 바늘로 편성하고,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와 상부 앞쪽 니들베드의 바늘을 사용한다. 이 경우에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뒤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뒤쪽 니들베드에 부속시키고, 반대로 뒤쪽부분을 편성할 때에 앞쪽부분의 편성포를 하부 앞쪽 니들베드에 부속시켜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2-베드 횡편기와 같이 바늘을 1개씩 걸러 사용하여야 하는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2-베드 횡편기의 전후 니들베드의 일방(一方) 또는 양방(兩方)의 상위(上位)에 트랜스퍼 잭(transfer jack)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트랜스퍼 잭 베드(transfer jack bed)를 구비하는 타입의 횡편기를 사용하여 시임리스 니트를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4384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스티치 루프 홀딩(stitch loop holding) 방법, 소위 홀딩 기술(holding technique)을 시임리스 니트에 이용할 수 있다. 홀딩(holding)이란, 바늘 본체와 슬라이더(slider)로 이루어지고, 슬라이더는 2장의 얇은 판자를 포갠 것으로, 그 선단측(先端側)에 텅(tongue)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니들(slider needle)이라고 불리우는 일종의 복합 바늘(compound needle)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스티치 홀딩 기술로서, 바늘 본체의 훅(hook)에 원래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를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더의 텅 상에서 별도의 스티치를 받아서 동일한 하나의 바늘 상에서 다른 2개의 스티치를 서로 분리한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말한다. 이 홀딩의 상세한 것에 관하여는 상기 공보를 참조하지만 이를 사용함으로써 스티치를 이동한 측의 바늘을 빈 바늘로 할 수 있고, 이를 사용하여 적당한 편성을 한 후에 홀딩 스티치(holding stitch)를 이 빈 바늘에 원래대로 이동하여 되돌리면 2-베드 횡편기의 경우에도 코 이동용의 빈 바늘을 미리 확보하지 않고 모든 바늘을 사용하여 니트 웨어를 시임리스(seamless)로 편성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시임리스 니트가 되는 니트 웨어에 대하여 칼라의 폭을 넓히고 동시에 넥 라인을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고 싶은 경우에, 예를 들면 니트 웨어로서 조끼(vest)를 편성하는 경우에서는, 앞쪽 몸통 뿐만 아니라 이에 대치(對峙)되어 병행하여 일체(一體)로 편성되는 뒤쪽 몸통과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편성하여야 하므로 이전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4-214448호 공보의 편성방법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없다. 스웨터나 카디건 등의 경우에서는 몸통의 양측에 소매를 배치하여 편성하기 때문에 이들 각 조각 상호간의 좌우, 전후의 배치와 앞쪽 몸통에 넥 라인을 형성하고 또한 이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다른 조각과 어떻게 일체로 편성하는 가를 고려할 필요가 있어 더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칼라의 폭(幅)이 넓고 패션의 측면에서 우수하고 착용감(着用感)이 양호한 시임리스(seamless)에 의하여 편성되는 스웨터 등의 니트 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웨터(sweater)나 카디건(cardigan) 등의 니트 웨어(knit wear)에 있어서의 넥 라인(neck line)의 편성방법 및 그와 같은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니트 웨어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편성되는 라운드 넥(round neck)의 셋 인 스웨터(set-in sweater)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셋 인 스웨터를 구성하는 각 조각을 횡편기 상에서 편성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스웨터를 뒤쪽에서 보는 경우에 좌측 반쪽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실시예의 스웨터의 각 단계의 편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는 실시예의 스웨터의 편성스텝의 전반부분(前半部分)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실시예의 스웨터의 편성스텝의 후반부분(後半部分)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제1니들베드(first 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second needle bed)를 구비하고, 상기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一方)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 이동이 가능한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니트 웨어(knit wear)를 구성하는 몸통과 소매의 앞쪽부분을 제1니들베드 상에 부속시키고, 몸통과 소매의 뒤쪽부분을 제2니들베드 상에 부속시켜 몸통과 소매의 앞쪽부분과 뒤쪽부분이 편성폭(編成幅)의 양단(兩端)에서 접속되는 통(筒) 모양체로서 니트 웨어의 겨드랑이 하부까지 편성하고,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에 걸쳐 몸통과 양(兩) 소매를 접속하여 하나의 통 모양체로서 편성하면서 양 소매의스티치와 몸통의 스티치를 포개어 통 모양체의 구경(口徑)을 점점 작아지게 하는 니트 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넥 라인(neck line)의 편성을,
a) 앞쪽 넥 라인(front neck line) 형성부 이후에서, 앞쪽 몸통을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으로 분기(分岐)하고, 앞쪽 우측 몸통, 우측 소매, 뒤쪽 몸통, 좌측 소매 그리고 앞쪽 좌측 몸통의 순서로 편성을 한 후, 앞쪽 넥 라인에서 급사구(給絲口)를 반전(反轉)시켜 앞쪽 좌측 몸통, 좌측 소매, 뒤쪽 몸통, 우측 소매 그리고 앞쪽 우측 몸통으로 반환하여 편성함과 동시에 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비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두고, 동시에 양 소매의 스티치를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몸통의 스티치와 포개어 통 모양체의 구경을 점점 감소시키는 스텝,
b) 다음에 앞쪽 좌측 몸통과 앞쪽 우측 몸통만을 편성하고, 그 사이에 앞쪽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에서 제외하여 비작용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부분 전후의 편성폭(編成幅)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소매 뒷부분의 스티치를 외단(外端)에 있는 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니들베드로 반송하면서 소매의 앞부분의 스티치를 앞쪽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앞쪽 몸통의 스티치와 포개는 스텝,
c) 다음에 앞쪽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에서 제외하여 비작용 상태로 하는 편성을 계속하면서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몸통만을 편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코늘임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형성하면서 앞쪽 우측 몸통 및 앞쪽 좌측 몸통의 스티치를 소매측으로 이동시켜 소매의 앞부분의 스티치와 상기 스텝b)에서 제1니들베드로 이동된 소매 뒷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스텝,
d) 다음에 뒤쪽 몸통의 어깨부의 편성과 뒤쪽 소매의 소매 상부에 형성하는 연장부분의 편성을 우측 소매 뒷부분, 뒤쪽 몸통 그리고 좌측 소매 뒷부분의 순서로 편성을 한 후, 급사구를 반전시켜 좌측 소매 뒷부분, 뒤쪽 몸통 그리고 우측 소매 뒷부분으로 반환하여 편성함과 동시에 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연장부분 편성포를 뒤쪽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소매와 뒤쪽 몸통 측단부의 스티치 상호간을 포개고, 동시에 앞쪽 몸통의 소매와 인접하는 측단의 스티치를 제2니들베드로 이동하여 소매의 측단의 스티치에 포갬으로써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에 소매의 연장부분을 끼워서 접합하는 스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또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니트 웨어의 편성방법으로서, 넥 라인의 편성을,
a) 소매 앞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arm hole)을 따라 앞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앞쪽 몸통의 최초 부분과 접합하는 스텝,
b) 소매 앞부분의 소매 정상부와 상기 소매 정상부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을 앞쪽 몸통의 상기 최초 부분에 연속하는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앞쪽 몸통의 어깨부까지의 부분의 넥 라인 가장자리 부분에 코늘임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c) 소매 뒷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을 따라 뒤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하는 스텝,
d) 상기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나머지 부분에 연장부분을 형성하여 뒤쪽 몸통의 어깨부와 연속하도록 편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분을 끼워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접합하는 스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또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니트 웨어로서, 소매 앞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앞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앞쪽 몸통의 최초 부분과 접합되고, 소매 앞부분의 소매 정상부와 상기 소매 정상부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이 앞쪽 몸통의 상기 최초 부분에 연속하는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앞쪽 몸통의 어깨부까지의 부분의 넥 라인 가장자리 부분에 코늘임 스티치가 형성되고, 소매 뒷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뒤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되고, 상기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나머지 부분에 뒤쪽 몸통의 어깨부와 연속하여 편성되는 연장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분을 끼워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접합되는 있다.
본 발명의 작용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 모양으로 편성되는 니트 웨어는 앞쪽 넥 라인 형성부 이후에 있어서, 앞쪽 몸통을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으로 분기하고, 앞쪽 우측 몸통 - 우측 소매 - 뒤쪽 몸통 - 좌측 소매 - 앞쪽 좌측 몸통의 사이를 "C”자 모양을 그리도록 반환하여 편성함과 동시에 넥 라인에서 반환할 때에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비작용 상태로 함으로써 넥 라인에 원호(圓弧) 모양으로 절단한 것과 같이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하면서 넥 라인의 개구(開口) 부분을 넓힌다. 그리고 이 편성과 동시에 양쪽 소매의 소매 앞부분을 앞쪽 몸통측으로, 소매 뒷부분을 뒤쪽 몸통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암 홀에서 소매와 몸통의 스티치를 포개어 통 모양체의 구경을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소매 앞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앞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부분과 접합되고, 소매 뒷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뒤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된다.
다음에 뒤쪽 몸통과 소매의 편성을 중단하고, 앞쪽 좌측 몸통과 앞쪽 우측 몸통만을 편성한다. 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넥 라인의 개구는 계속하여 넓혀짐과 동시에 소매와 몸통의 접합이 병행(竝行)하여 이루어진다. 소매와 몸통의 접합은, 우선 앞쪽 몸통과 소매 앞부분의 접합을 종료한 후, 이에 연속하여 소매 뒷부분의 일부가 앞쪽 몸통에 접합된다. 이 접합편성을 하는 사이에 제1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 앞부분이 앞쪽 몸통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 편성이 진행되면 소매 앞부분과 소매 뒷부분이 경계부(境界部)에서 분리되어 실의 끊어짐이 발생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 뒷부분의 외단(外端)에 있는 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니들베드로 반송하여 전후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 전후의 편성폭(編成幅)의 균형을 유지한다.
연속하는 넥 라인 부분을 편성하는 사이에 코늘임 스티치를 형성하면서 앞쪽 우측 몸통 및 앞쪽 좌측 몸통의 스티치를 소매측으로 이동시켜 제1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에 있는 소매 앞부분의 스티치와 이동된 소매 뒷부분의 스티치를 포개어 앞쪽 몸통의 도중 이후의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소매의 앞부분의 소매 정상부와 상기 소매 정상부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을 접합한다.
다음에 뒤쪽 몸통의 어깨부의 편성과 소매 뒷부분의 소매 상부에 형성하는 연장부분의 편성을 우측 소매 뒷부분 - 뒤쪽 몸통 - 좌측 소매 뒷부분의 사이를 반환하여 편성하고, 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소매의 연장부분의 편성포를 뒤쪽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소매와 뒤쪽 몸통의 측단부(側端部)의 스티치 상호간을 포갬과 동시에 앞쪽 몸통의 소매 뒷부분의 연장부분과 인접하는 측단의 스티치를 제2니들베드로 이동하여 소매의 측단의 스티치에 포개어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소매의 연장부분을 끼워서 접합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형성된 넥 라인에 연속하여 칼라를 편성하기 때문에 넥 라인의 웨일 수(wale 數)가 늘어나 칼라의 칼라폭이 넓은 것으로 되어 착용할 때에 용이하게 머리를 넥 라인에 통과시켜 착용감이 우수한 니트 웨어가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과 함께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윗면에 각각 다수의 편침(編針)을 나란하게 설치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를 전후 대치(對峙)하도록 배치하고, 뒤쪽 니들베드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여 전후 니들베드(front and back needle bed) 사이에서 코 이동이 가능한 횡편기가 사용된다.
도1은 본 실시예에 의하여 편성되는 셋 인 스웨터(set in sweater)1을 나타낸다. 도2는 스웨터1을 구성하는 몸통과 소매의 형지(型紙 : pattern paper)(스티치 배열(stitch alignment))를 나타낸 것으로, 위에 있는 도면이 스웨터를 착용할 때에 뒤쪽으로 나타나는 뒤쪽부분이 되는 뒤쪽 몸통2b와 양쪽 소매의 뒷부분4b, 14b를 나타내고, 이들은 뒤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되고, 아래에 있는 도면은 스웨터를 착용할 때에 앞쪽으로 나타나는 앞쪽부분이 되는 앞쪽 몸통2a와 양쪽 소매의 앞부분4a, 14a를 나타내고, 이들은 앞쪽 니들베드 상의 바늘을 사용하여 편성된다. 도3은 편성되는 스웨터1을 뒤쪽에서 보는 경우에 좌측 반쪽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편성되는 스웨터1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S를 시점(始點)으로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편성을 진행한다. 도5 및 도6은, 도4의 각 단계에서의 편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편성스텝(knittingstep)으로서, 앞쪽 몸통을 제일 굵은 실선으로, 뒤쪽 몸통을 두번째로 굵은 실선으로, 소매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편성되는 스웨터1은 라운드 넥(round neck)으로, 앞쪽 몸통의 옷단으로부터 어깨부의 점F까지의 코스 수(course 數)가 뒤쪽 몸통의 옷단으로부터 어깨부O까지의 코스 수보다 많고, 앞쪽 몸통이 어깨라인18을 넘어서 뒤쪽 몸통측으로 진입하여 뒤쪽 몸통과 접합되는 디자인으로 되어 있다. 스웨터의 디자인은 설명의 편의상 평편성의 무지(unpatterned plain knit)로 하지만 자카드(jacquard)나 리브(rib) 등의 조직 패턴(structure pattern)의 것이어도 좋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겨드랑이 하부에서 앞쪽 몸통2a의 각 점A, a는 소매 앞부분4a, 14a의 각 점Q, q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각 점M, m은 소매 뒷부분4b, 14b의 각 점U, u와 접합된다. 암 홀(arm hole)22를 따라 앞쪽 몸통2a의 선A-B-C와 소매4a의 선Q-R이 접합되고, 앞쪽 몸통2a의 선a-b-c와 소매14a의 선q-r이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뒤쪽 몸통2b의 선M-N-O와 소매4b의 선U-V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선m-n-o와 소매14b의 선u-v가 접합된다. 앞쪽 몸통2a는 넥 라인(neck line)10a가 형성되는 점K, k 이후에 걸쳐 뒤쪽 몸통2b와 다른 형상을 하고 있고, 앞쪽 우측 몸통15a와 앞쪽 좌측 몸통5a로 분기(分岐)되어 편성된다. 앞쪽 좌측 몸통5a의 선C-D에 좌측 소매 앞부분4a의 선R-S가 우선 접합되고, 앞쪽 좌측 몸통15a의 선c-d 에 좌측 소매 앞부분14a의 선r-s가 접합된다. 그리고 앞쪽 좌측 몸통5a의 선D-E에좌측 소매 앞부분4a의 선S-T가 접합되고, 연속하는 선E-F에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선X-W가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앞쪽 우측 몸통15a의 선d-e 에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선s-t가 접합되고, 연속하는 선e-f에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선x-w가 접합된다. 어깨부에서는 앞쪽 몸통2a의 선F-G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W-Z, 뒤쪽 몸통2b의 선O-P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V-Y와 각각 접합되고, 앞쪽 몸통2a의 선f-g와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w-z, 뒤쪽 몸통2b의 선o-p가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v-y와 각각 접합된다. 또 앞쪽 우측 몸통이나 좌측 소매 등을 나타낼 때에 사용하는 우측·좌측이란 스웨터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着用者)를 기준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도5와 도6에 나타나 있는 편성스텝에 관하여 설명한다. 스텝1은 몸통2, 소매4, 14용으로 각각 준비하는 급사구(給絲口)(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서 편사(編絲)를 앞쪽 니들베드FB의 각 바늘에 공급한 후, 급사구를 반전(反轉)시켜 뒤쪽 니들베드BB의 각 바늘에 편사를 공급하는 편성을 되풀이 하여 통(筒) 모양체의 옷단 고무부6, 7, 17의 편성을 시작한다. 스텝2는 소매4, 14의 통 지름을 넓히면서 몸통2와 동시에 편성을 하여 겨드랑이 하부(점A, Q, a, q, M, U, m, u)까지 도달하는 곳을 나타낸다.
겨드랑이 하부 이후, 예를 들면 몸통편성에 사용하는 급사구를 사용하여 몸통2와 소매4, 14를 통합시키는 하나의 통 모양체로서 편성한다. 그리고 이 통 모양체의 몸통과 소매의 코스편성을 하면서 그 때마다 소매4, 14를 몸통2측으로 이동시켜 포개는 편성을 반복하여 통 모양체의 구경(口徑)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 때 몸통의 편성폭(編成幅)도 동시에 감소시킨다. 스텝3은 앞쪽 몸통2a의 편성이 넥 라인10a 형성이 시작되는 K, k의 위치까지 진행될 때의 니들베드에서의 각 편성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K, k에서는 앞쪽 몸통2a를 앞쪽 우측 몸통15a와 앞쪽 좌측 몸통5a로 분기하여 편성한다. 넥 라인10a의 형성이 시작되는 K, k에서 연속하는 J, j에 걸치는 앞쪽 우측 몸통15a, 우측 소매14, 뒤쪽 몸통2b, 좌측 소매4 그리고 앞쪽 좌측 몸통5a의 순서로 편성된 후, 넥 라인10a에서 급사구를 반전시켜 앞쪽 좌측 몸통5a, 좌측 소매4, 뒤쪽 몸통2b, 우측 소매14 그리고 앞쪽 우측 몸통15a를 순차적으로 "C”자를 그리도록 반환하여 편성한다. 그 때에 넥 라인10a의 가장자리(선K-J, k-j)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비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놓아 두는 소위 되돌림 편성(flechage knitting)을 한다.
스텝4는 앞쪽 몸통2a의 편성이 넥 라인10a의 형성이 J, j의 위치까지 진행하였을 때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각 편성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앞쪽 몸통2a의 선A-B-C와 소매4a의 선Q-R, 앞쪽 몸통2a의 선a-b-c와 소매14a의 선q-r, 뒤쪽 몸통2b의 선M-N-O와 소매4b의 선U-V, 뒤쪽 몸통2b의 선m-n-o와 소매14b의 선u-v가 각각 접합된 상태로 되어 있고, 니들베드에는 소매4, 14의 소매 정상부의 평탄부(平坦部)R-T, V-X, r-t, v-x 상에 있는 스티치,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숫자1∼9로 나타나 있는 9개(웨일(wale))의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스텝1∼4 중,스텝1은 도4에 나타나 있는 s, 스텝2는 t, 스텝3은 u, 스텝4는 v의 각 단계에 대응한다.
다음에 도4의 v 이후의 편성에 대응하는 스텝5∼14의 편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이후에 뒤쪽 몸통2b의 편성은 일시 중단되고, 앞쪽 몸통의 코스편성만이 이루어진다. 스텝5∼7은 넥 라인10a의 I, i 위치까지의 편성을 나타낸다. 이 사이에 급사구가 하나 추가되어 앞쪽 우측 몸통15a, 앞쪽 좌측 몸통5a의 코스편성을 할 때마다 좌우의 소매 앞부분4a, 14a의 스티치를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앞쪽 몸통의 측단(側端)의 스티치에 포개는 편성을 반복한다. I, i의 위치에서는, 좌우의 소매 앞부분4a, 14a의 소매 평탄부R-T, r-t에 있는 1∼9로 나타나 있는 스티치 중 R-S, r-s 상의 1∼6의 6개의 스티치가 앞쪽 몸통에 접합된다. 스텝5는 스티치1∼6 중 최초의 스티치1이 몸통에 포개어지는 상태를 나타내고, 스텝6은 다음 스티치2가 포개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편성을 연속하는 스티치3∼6에 대하여 실시하면 소매 앞부분4a, 14a의 편성포만이 몸통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소매 앞부분4a, 14a와 소매 뒷부분4b, 14b와의 경계(境界)T, X, t, x 사이에서 실의 끊어짐이 발생하기 때문에 소매 뒷부분4b, 14b의 측단의 스티치9로부터 순차적으로 8, 7과 앞쪽 니들베드로 이송하여 전후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의 편성폭(編成幅)에 큰 차이가 나지 않도록 하여 실의 끊어짐을 방지한다. 스텝6과 스텝7과의 사이에는 스티치3∼6이 앞쪽 몸통에 포개어지는 편성이 삽입되지만 여기에서는 그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넥 라인10a의 I, i 위치까지의 앞쪽 몸통5a, 15a와 좌우의 소매 앞부분4a, 14a의 접합편성은, 스텝5∼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좌우에서 병행(竝行)하여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이에 대신하여 먼저 i까지의 앞쪽 우측 몸통15a와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접합편성을 하여 일방(一方)의 처리를 끝낸 후, 타방(他方)의 앞쪽 좌측 몸통5a와 좌측 소매 앞부분4a의 접합편성을 할 수 있다. 앞쪽 우측 몸통15a와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접합편성을 할 때에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스티치를 그 때마다 몸통측으로 이동하면 동일한 스티치, 특히 처리 후반부분의 스티치가 여러 번 코 이동하게 되어 실의 끊어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스티치 전부를 일단 뒤쪽 니들베드로 이동하여 앞쪽 우측 몸통15a의 코스편성을 할 때마다 뒤쪽 니들베드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우측 소매 앞부분14a를 몸통측으로 이동시켜 앞쪽 우측 몸통15a에 포개면 상기한 실이 끊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4베드 횡편기의 경우에서는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스티치를 뒤쪽 상부 니들베드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뒤쪽 니들베드를 이동시키면 우측에서 앞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좌측 소매 앞부분4a와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좌측 소매 뒷부분4b가 경계부(境界部)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스티치를 외단(外端)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앞쪽 니들베드로 반송하여 전후 편성폭의 균형을 유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일방의 처리를 종료한 후에 이와 같은 편성을 앞쪽 좌측 몸통5a와 좌측 소매 앞부분4a의 접합편성에 실시하면 된다.
연속하는 스텝8과 9에서는, 앞쪽 넥 라인10a의 I, i 이후의 편성폭을 늘리는 편성이 이루어진다. 이는 앞쪽 우측 몸통15a와 앞쪽 좌측 몸통5a의 편성을 하는 사이에 이루어지고, 넥 라인10의 형성이 H, h에 도달하는 상태에서는, 앞쪽 좌측 몸통5a의 선D-E와 좌측 소매 앞부분4a의 선S-T가, 앞쪽 우측 몸통15a의 선d-e와 우측 소매 앞부분14a의 선s-t가 접합된다. 그리고 넥 라인10a의 형성이 G, g에 도달하는 상태에서는, 앞쪽 좌측 몸통5a의 선E-F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선X-W가, 앞쪽 우측 몸통15a의 선e-f와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선x-w가 접합된다. 스텝8은 앞쪽 좌측 몸통5a의 코스편성을 나타내고, 이 코스편성을 하는 사이에 넥 라인10a의 우측부분이 형성된다. 여기에서는 앞쪽 좌측 몸통5a가 2코스 편성될 때마다 앞쪽 좌측 몸통5a의 스티치를 이웃의 좌측 소매4의 스티치로 이동하여 포개는 편성을 6회 반복하여 넥 라인10a의 편성폭을 우측에 있어서 6스티치(웨일) 늘린다. 앞쪽 좌측 몸통5a의 스티치를 좌측 소매14로 이동할 때에 넥 라인10a의 가장자리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그 때마다 코늘임 스티치(widening stitch)(도면 중에 X로 표시하였다)를 넥 라인의 가장자리에 형성한다. 이 코늘임 스티치는 예를 들면 접어박은 주름(tuck)이나 스플릿 편성(split knit) 등의 코늘임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구멍이 생기는 부분을 막는 것이라면 상기한 것 이외의 방법이라도 좋다.
스텝9는 앞쪽 우측 몸통15a의 코스편성을 나타내고, 이 코스편성을 하는 사이에 넥 라인10a의 좌측부분을 형성한다. 이 편성은 상기 스텝8과동일한 편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앞쪽 넥 라인10a의 좌측부분과 우측부분에서 각각에 6스티치씩, 합계 12스티치(웨일)가 늘어난다. 상기 넥 라인은 스텝8의 우측부분을 편성한 후에 스텝9의 좌측부분을 편성하였지만 이들을 병행(竝行)하여도 좋다.
스텝10은 넥 라인10a의 편성이 G, g까지 도달하였을 때의 니들베드에서의 편성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다. 앞쪽 몸통2a의 편성은 여기에서 종료되고, 앞쪽 니들베드에는 앞쪽 넥 라인10a가 형성된 앞쪽 몸통2a의 편성포가 결합되고, 뒤쪽 니들베드에는 O-o 사이에 있는 뒤쪽 몸통2b의 스티치와 그 양측에 소매 뒷부분의 V-W, v-w의 각 스티치1∼6이 결합된다.
다음에 스텝10∼13에 나타나 있는 어깨부의 편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코스편성을 중단하고 있는 뒤쪽 몸통2b의 코스편성을 재개하고, 도2에 있어서 12로 나타나 있는 뒤쪽 몸통2b의 어깨부의 코스편성을 한다. 이 어깨부12의 편성은 좌우의 소매 뒷부분4b, 14b의 소매 정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사각형 모양 부분9b, 19b의 편성과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편성은 단일(單一)의 급사구를 사용하여 우측 소매 뒷부분14b, 어깨부12,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사이를 반환하여 편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코스편성이 이루어질 때마다 소매의 9b, 19b 부분의 편성포를 뒤쪽 몸통2b측으로 이동하여 소매와 뒤쪽 몸통의 측단부(側端部)의 스티치 상호간을 포갬으로써 뒤쪽 몸통의 편성폭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앞쪽 몸통2a의 소매의 9b, 19b와 인접하는 측단의 스티치를 그 때마다 뒤쪽 니들베드로 이동하여 소매의 9b, 19b의 측단의 스티치에 포갬으로써 앞쪽 몸통2a와 뒤쪽 몸통2b는 소매의 사각형 모양부분9b, 19b를 끼워서 서로 접합된다(도3 참조). 즉 앞쪽 몸통2a의 선F-G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W-Z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선O-P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V-Y가 접합된다. 마찬가지로 앞쪽 몸통2a의 선f-g과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w-z가 접합되고, 뒤쪽 몸통2b의 선o-p와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v-y가 접합된다. 스텝12는 통(筒) 모양체의 구경(口徑)이 도중까지 감소한 상태를 나타낸다. 스텝13은 편성이 더 진행하여 어깨부의 접합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서는, 앞쪽 니들베드에는 앞쪽 넥 라인10a만이 결합되고, 뒤쪽 니들베드에는 뒤쪽 넥 라인10b와 좌우의 소매 뒷부분4b, 14b의 사각형 모양 부분9b, 19b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스텝14에 있어서 앞쪽 몸통2a에 형성되는 넥 라인 상의 점g, h, i, j, k, K, J, I, H, G와 좌측 소매 뒷부분4b의 점Z, Y, 뒤쪽 몸통2b의 점P, p 및 우측 소매 뒷부분14b의 점y, z를 연결하여 형성되는 고리(선g-h-i-j-k-K-J-I-H-G-Z-Y-P-p-y-z-g)를 따라 칼라(collar)20을 원하는 코스로 순환하도록 편성하여 스웨터1의 편성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앞쪽 넥 라인10a를 형성할 때에 코늘임 스티치를 함으써 앞쪽 넥 라인10a의 편성폭은 뒤쪽 넥 라인10b의 편성폭보다 넓어지게 되어 전후에 있어서 그 편성폭에 차이를 발생시키지만, 뒤쪽 몸통의 어깨부12를 편성할 때에 좌우의 소매 뒷부분4b, 14b의 사각형 모양 부분9b, 19b를연속 편성하여 통 모양체의 전후의 편성폭을 구비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칼라부분을 통 모양으로 지장없이 편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성된 스웨터1은, 넥 라인10a가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패션성(fashion 性)이 뛰어난 것으로 되며 또한 넓은 구경의 넥 라인을 구비하기 때문에 착용할 때에 머리가 용이하게 통과하는 착용감이 우수한 것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칼라20은 라운드 넥(round neck)으로서 편성되지만 터틀 넥(turtle neck) 등 원하는 디자인의 칼라를 편성하여도 좋다. 또한 넥 라인을 U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넥 라인의 웨일 수가 늘어나고, 칼라의 칼라폭이 넓은 것으로 되어 착용할 때에 용이하게 머리를 넥 라인에 통과시켜 착용감이 우수한 니트 웨어가 된다.

Claims (3)

  1.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제1니들베드(first 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second needle bed)를 구비하고, 상기 니들베드의 적어도 일방(一方)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코 이동이 가능한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하여 니트 웨어(knit wear)를 구성하는 몸통과 소매의 앞쪽부분을 제1니들베드 상에 부속시키고, 몸통과 소매의 뒤쪽부분을 제2니들베드 상에 부속시켜 몸통과 소매의 앞쪽부분과 뒤쪽부분이 편성폭(編成幅)의 양단(兩端)에서 접속되는 통(筒) 모양체로서 니트 웨어의 겨드랑이 하부까지 편성하고,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에 걸쳐 몸통과 양(兩) 소매를 접속하여 하나의 통 모양체로서 편성하면서 양 소매의 스티치와 몸통의 스티치를 포개어 통 모양체의 구경(口徑)을 점점 작아지게 하는 니트 웨어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넥 라인(neck line)의 편성을,
    a) 앞쪽 넥 라인(front neck line) 형성부 이후에서, 앞쪽 몸통을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으로 분기(分岐)하고, 앞쪽 우측 몸통, 우측 소매, 뒤쪽 몸통, 좌측 소매 그리고 앞쪽 좌측 몸통의 순서로 편성을 한 후, 앞쪽 넥 라인에서 급사구(給絲口)를 반전(反轉)시켜 앞쪽 좌측 몸통, 좌측 소매, 뒤쪽 몸통, 우측 소매 그리고 앞쪽 우측 몸통으로 반환하여 편성함과 동시에이 편성을 하는 사이에 앞쪽 넥 라인의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비작용 상태(inoperative position)로 두고, 동시에 양 소매의 스티치를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몸통의 스티치와 포개어 통 모양체의 구경을 점점 감소시키는 스텝,
    b) 다음에 앞쪽 좌측 몸통과 앞쪽 우측 몸통만을 편성하고, 그 사이에 앞쪽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에서 제외하여 비작용 상태로 함과 동시에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소매부분 전후의 편성폭(編成幅)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소매 뒷부분의 스티치를 외단(外端)에 있는 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제1니들베드로 반송하면서 소매의 앞부분의 스티치를 앞쪽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앞쪽 몸통의 스티치와 포개는 스텝,
    c) 다음에 앞쪽 넥 라인 가장자리의 스티치를 순차적으로 편성에서 제외하여 비작용 상태로 하는 편성을 계속하면서 앞쪽 우측 몸통과 앞쪽 좌측 몸통만을 편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코늘임 스티치(widening stitch)를 형성하면서 앞쪽 우측 몸통 및 앞쪽 좌측 몸통의 스티치를 소매측으로 이동시켜 소매의 앞부분의 스티치와 상기 스텝b)에서 제1니들베드로 이동된 소매 뒷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스텝,
    d) 다음에 뒤쪽 몸통의 어깨부의 편성과 뒤쪽 소매의 소매 상부에 형성하는 연장부분의 편성을 우측 소매 뒷부분, 뒤쪽 몸통 그리고 좌측 소매 뒷부분의 순서로 편성을 한 후, 급사구를 반전시켜 좌측 소매 뒷부분, 뒤쪽 몸통 그리고 우측 소매 뒷부분으로 반환하여 편성함과 동시에 이 편성을하는 사이에 연장부분 편성포를 뒤쪽 몸통측으로 이동하여 소매와 뒤쪽 몸통 측단부의 스티치 상호간을 포개고, 동시에 앞쪽 몸통의 소매와 인접하는 측단의 스티치를 제2니들베드로 이동하여 소매의 측단의 스티치에 포갬으로써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에 소매의 연장부분을 끼워서 접합하는 스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2.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니트 웨어의 편성방법으로서,
    넥 라인의 편성을,
    a) 소매 앞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arm hole)을 따라 앞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앞쪽 몸통의 최초 부분과 접합하는 스텝,
    b) 소매 앞부분의 소매 정상부와 상기 소매 정상부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을 앞쪽 몸통의 상기 최초 부분에 연속하는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앞쪽 몸통의 어깨부까지의 부분의 넥 라인 가장자리 부분에 코늘임 스티치를 형성하는 스텝,
    c) 소매 뒷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을 암 홀을 따라 뒤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하는 스텝,
    d) 상기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나머지 부분에 연장부분을 형성하여 뒤쪽 몸통의 어깨부와 연속하도록 편성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부분을 끼워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을 접합하는 스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3.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넥 라인이 아래쪽으로 내려가도록 형성되는 니트 웨어로서, 소매 앞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앞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는 도중까지의 앞쪽 몸통의 최초 부분과 접합되고, 소매 앞부분의 소매 정상부와 상기 소매 정상부와 연속하는 측의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일부분이 앞쪽 몸통의 상기 최초 부분에 연속하는 어깨부까지의 부분과 접합됨과 동시에 상기 앞쪽 몸통의 어깨부까지의 부분의 넥 라인 가장자리 부분에 코늘임 스티치가 형성되고, 소매 뒷부분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소매 정상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이 암 홀을 따라 뒤쪽 몸통의 겨드랑이 하부에서부터 어깨부에 도달하기까지의 부분과 접합되고, 상기 소매 뒷부분의 소매 정상부의 나머지 부분에 뒤쪽 몸통의 어깨부와 연속하여 편성되는 연장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부분을 끼워서 앞쪽 몸통과 뒤쪽 몸통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니트 웨어.
KR1020027011155A 2000-02-29 2001-02-26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KR100610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54121 2000-02-29
JP2000054121 2000-0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928A true KR20020075928A (ko) 2002-10-07
KR100610750B1 KR100610750B1 (ko) 2006-08-09

Family

ID=1857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155A KR100610750B1 (ko) 2000-02-29 2001-02-26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260623B1 (ko)
JP (1) JP4252752B2 (ko)
KR (1) KR100610750B1 (ko)
CN (1) CN1271266C (ko)
AU (1) AU2001234185A1 (ko)
DE (1) DE60141816D1 (ko)
TW (1) TW508388B (ko)
WO (1) WO20010649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2895A1 (fr) * 2001-05-11 2002-11-21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Procede de tricotage sur machine de tricotage rectiligne, et programme de tricotage
EP1605083B1 (en) * 2003-02-14 2014-06-25 Shima Seiki Mfg., Ltd Method of knitting knitwear
US7197371B2 (en) 2003-03-31 2007-03-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Method and device for knit design
EP2453046B1 (en) * 2009-07-09 2015-09-16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Knitwear with sleeves and body, and knitting method for same
CN112176517B (zh) * 2020-09-30 2021-11-30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提高横机全成型服装编织效率的编织方法
CN112593338B (zh) * 2020-12-03 2022-03-22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全成型马鞍肩领型结构的编织方法及针织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21B2 (ja) * 1990-12-13 1996-09-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ツト製品に於ける衿首用編地の編成方法
JP2860437B2 (ja) * 1991-08-19 1999-02-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袖と身頃のパターン作成方法
JP3010183B2 (ja) * 1993-10-15 2000-02-14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水中航走体の複数同時誘導方法
US5826445A (en) * 1996-02-09 1998-10-27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Knitting method on a flat knitting machine and a knit fabric thus produced
JP3164528B2 (ja) * 1997-02-17 2001-05-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よる編地の接合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1266C (zh) 2006-08-23
AU2001234185A1 (en) 2001-09-12
CN1406295A (zh) 2003-03-26
KR100610750B1 (ko) 2006-08-09
EP1260623A4 (en) 2006-03-22
JP4252752B2 (ja) 2009-04-08
TW508388B (en) 2002-11-01
DE60141816D1 (de) 2010-05-27
EP1260623A1 (en) 2002-11-27
EP1260623B1 (en) 2010-04-14
WO2001064987A1 (fr) 2001-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527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EP1375718B1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ing portion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US7739886B2 (en) Knitwear having open part in body tubular part,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KR10064353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칼라의 편성방법 및 칼라의편성방법을 형성시키기 위한 니트 디자인 장치
US6658899B2 (en) Method of knitting neck of knit wear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KR20010074785A (ko) 니트 의류의 편성방법
JP3949575B2 (ja) 横編機によるニットウエアの衿首部編成方法およびそのニットウエア
US6786066B2 (en) Knit wear with collar knit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it
GB2228750A (en) Knitting tubular fabric with fashion lines on a flat machine
KR101022364B1 (ko) 라글란 소매가 있는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라글란소매가 있는 니트웨어
KR20020075924A (ko)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니트 웨어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0610750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EP1512783B1 (en) Method of knitting knit-wear
JP4291264B2 (ja) 前衿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US5943884A (en) Knitted suit having a double layer structure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KR20060132562A (ko) 칼라 주위에 드레이프를 형성하는 편성방법 및 칼라주위에 드레이프를 구비하는 니트웨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