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2203B1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2203B1
KR102602203B1 KR1020210103223A KR20210103223A KR102602203B1 KR 102602203 B1 KR102602203 B1 KR 102602203B1 KR 1020210103223 A KR1020210103223 A KR 1020210103223A KR 20210103223 A KR20210103223 A KR 20210103223A KR 102602203 B1 KR102602203 B1 KR 102602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fabric
knitted
stitch
fabric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8445A (ko
Inventor
히사야스 니시카와
신지 오타니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1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2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2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제2급사구를 이동시켜서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반환시킬 필요가 없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편성포부의 편성에 사용한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제2급사구를 움직여서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종료 후부터 상기 제2편성포부의 편성시작까지의 사이에 이하를 한다. 상기 제1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편성포부 및 상기 제2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과는 다른 편침에, 상기 제1편성포부의 단부 스티치와 연결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한다.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상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단부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와 교차된 상태로 한다. 상기 제1스티치 및 상기 제1편성포부가, 상기 제2편성포부가 편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 한다.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는, 복수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복수의 니들베드의 편침(編針)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복수의 급사구(給絲口)를 구비한다. 이러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을 하는 경우에, 어떤 급사구(X)를 사용하여 편성포부(編成布部)를 편성할 때에 그 급사구(X)가 정지되어 있는 다른 급사구(Y)를 가로지르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 급사구(Y)로부터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편성포부에 편입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들 수 있다.
특허문헌1에는, 인타샤 편성(intarsia 編成)에서 발생하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의 도2에는, 공정1에 있어서 제1급사구(부호11)를 사용하여 제1편성포부를 편성한 후에, 공정2∼공정4에 있어서 제2급사구(부호13)를 사용하여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제1편성포부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니들베드 상에서 제2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 공정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급사구가 제1급사구를 가로지를 때에, 제2급사구와 제1급사구를 모두 반환시키고 있다. 양 급사구가 반환됨으로써, 제1급사구로부터 제1편성포부로 연장되는 편사가 제2편성포부에 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10―1852호 공보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제2편성포부가 편성될 때에 제2급사구가 한번 반환된다. 그때에 제2급사구로부터 연장되는 편사의 텐션(tension)이 변화된다. 그 결과, 제2급사구의 반환 전후에 스티치(stitch)의 크기가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편사의 재질에 따라서는, 제2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스티치 크기의 차이가 눈에 띄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정지된 상태에 있는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제2급사구를 이동시켜서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반환시킬 필요가 없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1>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제1급사구와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제1급사구를 움직여서 제1편성포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2급사구를 움직여서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종료 후부터 상기 제2편성포부의 편성시작까지의 사이에 공정A, 공정B 및 공정C를 하고,
상기 공정A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편성포부 및 상기 제2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과는 다른 편침에, 상기 제1편성포부의 단부 스티치와 연결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상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단부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와 교차된 상태로 하고,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1스티치 및 상기 제1편성포부가, 상기 제2편성포부가 편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동일한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경우도 있고, 대향하는 서로 다른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가 모두 앞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경우에, 제2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의 중간에 제1편성포부가 중복되는 2층 편성포가 편성된다. 예를 들면, 제1편성포부가 앞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고, 제2편성포부가 뒤쪽 니들베드에서 편성되는 경우에, 앞쪽 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의 중간부에 제1편성포부가 있는 통모양 편성포가 편성된다.
<2>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상기 공정A 전에, 상기 제1편성포부를 왕복편성하고,
상기 제1편성포부를 순방향 편성할 때에, 공침에 걸림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걸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상기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3>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상기 공정A 전에, 상기 제1편성포부를 왕복편성하고,
상기 공정B 후에, 상기 제1급사구와는 다른 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에 인접하는 제3편성포부를 왕복편성하고,
상기 제3편성포부의 왕복편성 시에, 상기 제1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턱 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제3편성포부의 왕복편성 후에, 상기 공정C로서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3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1급사구로부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가, 제2편성포부가 편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중복되는 제2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를 멈출 필요가 없다. 제2급사구를 멈추지 않고 제2편성포부를 편성함으로써, 제2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스티치의 크기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렵다.
상기 형태<2>의 구성에 의하면, 제1스티치가 걸림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니트 스티치가 된다. 니트 스티치는 걸림 스티치에 비하여 이동시키기 쉽다. 따라서 제1편성포부를 다른 편성포부(예를 들면, 제2편성포부 등)에 접합하기 위하여 제1스티치를 이동시킬 때에, 안정적으로 제1스티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3>의 구성에 의하면, 제1편성포부를 제3편성포부에 연결시키는 더블 스티치와, 제3편성포부를 제1편성포부에 연결시키는 턱 스티치가, 웨일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가 된다. 그 때문에 제1편성포부와 제3편성포부의 이음매가 말끔하게 마무리된다.
[도1]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인 니트웨어의 개략도이다.
[도2]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3] 실시형태1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제1편성공정도이다.
[도4] 도3에 계속되는 제2편성공정도이다.
[도5] 도3의 S6이 종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6] 실시형태2에 관한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인타샤 조직(intarsia 組織)을 구비하는 니트웨어(knitwear)를 편성하는 예를 도1∼도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물론,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는 니트웨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시트커버(seat cover) 등의 산업자재이어도 좋다.
도1에 나타내는 니트웨어(100)는, 몸통(50)과 우측 소매(60R)와 좌측 소매(60L)를 구비한다. 몸통(50)은, 앞쪽 몸통(50F)과 뒤쪽 몸통(50B)을 구비한다. 앞쪽 몸통(50F)에는 패턴부(pattern部)(70)가 형성되어 있다. 패턴부(70)는 인타샤 편성에 의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패턴부(70)를 구성하는 편사(編絲)와, 패턴부(70) 이외의 부분을 구성하는 편사는 다르게 되어 있다.
패턴부(70)를 편성하는 순서를 도2의 이미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서는, 패턴부(70)의 편성에 이용되는 제1급사구(第1給絲口)(8)와, 패턴부(70) 이외의 편성에 이용되는 제2급사구(9)를 사용한 편성례를 설명한다. 도2에서 급사구(8, 9)는 역삼각마크로 나타낸다.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FB)에서 보아서, 제1급사구(8)는 제2급사구(9)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BB)에서 보아서,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몸통(50)의 양단(兩端)에 나타내는 가로막대는, 앞쪽 몸통(50F)과 뒤쪽 몸통(50B)의 경계이다. 도2에 있어서의 「T+숫자」는 편성의 번호를 나타낸다. 물론, 편성에 사용되는 급사구는 3개 이상이어도 좋다.
T0에는, 패턴부(70) 직전까지 편성된 몸통(50)이 나타나 있다. 본 예의 몸통(50)은, 제2급사구(9)로부터 급사되는 제2편사(9Y)를 사용한 통모양 편성(tubular knitting)에 의하여 편성된다. 이 상태로부터 T1에서는, 몸통(50)의 편성폭 밖에서 제1급사구(8)에 실을 넣고, 유턴(U-turn)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복편성(往復編成)을 한다. 이 왕복편성에 의하여,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제1편성포부(1)가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2단(2段) 편성된다. 제1편성포부(1)는, 제1급사구(8)로부터 급사되는 제1편사(8Y)에 의하여 편성된다.
T2에서는, 유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에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왕복편성을 한다. 이 왕복편성에 의하여,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제3편성포부(3)가 웨일방향으로 2단 편성된다. 제3편성포부(3)는 제2편사(9Y)에 의하여 편성된다. 이 제3편성포부(3)는, 제1편성포부(1)의 편성폭방향에 인접하고, 제1편성포부(1)와 접합되는 편성포부이다. 접합의 순서는, 도3,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3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뒤쪽 니들베드(BB)에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제2편성포부(2)는 제2편사(9Y)에 의하여 편성된다.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는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중복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2편성포부(2)의 편성범위 내에 제1편성포부(1)의 편성범위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를 가로지른다.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도3, 도4의 편성공정도에 나타내는 조작을 함으로써,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T4에서는, 유턴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왕복편성을 하여, 웨일방향으로 2단의 제4편성포부(4)를 편성한다. 제4편성포부(4)는 제2편사(9Y)에 의하여 편성된다.
T5에서는, 제2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뒤쪽 니들베드(BB)에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이 T5에 있어서도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를 가로지른다. 또한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키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T5가 종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급사구(8, 9)의 배치는 T1과 동일하다. 따라서 T5 이후에는, T1∼T5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몸통(50)에 패턴부(70)를 편성한다.
다음에,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을 구비하는 부분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을 도3,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 도4에서는,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한 편성례를 설명한다.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에서는, 인접하는 스티치(stitch)의 사이에 공침(空針)을 배치한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에 의하여 니트웨어(knitwear)(100)가 편성된다. 물론, 4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본 예의 니트웨어(100)를 편성할 수도 있다. 횡편기에 구비되는 편침(編針)은, 훅(hook)을 개폐하는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는 콤파운드 니들(compound needle)이어도 좋고, 훅을 개폐하는 래치(latch)를 구비하는 래치니들(latch needle)이어도 좋다.
도3, 도4에 있어서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3, 도4의 우측의 칸에는 앞쪽 니들베드(FB) 및 뒤쪽 니들베드(BB)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결합상태가 나타나 있다. 우측의 칸에 있어서, 검은색의 점은 편침을, 동그라미 마크는 스티치를, V자 마크는 걸림 스티치(pick up stitch) 또는 턱 스티치(tuck stitch)를, 역삼각마크는 급사구(8, 9)를 나타내고 있다. 칸 밖의 대문자 알파벳은, 편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각 공정에 있어서 실제로 편성된 부분은 굵은 선으로, 새롭게 편성된 스티치는 검게 칠하여 나타낸다.
도3의 S0에는, 도2의 T0에서의 좌측의 반(半)에 상당하는 스티치가 나타나 있다. S1에서는,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뒤쪽 니들베드(BB)의 공침(J)에 걸림 스티치(10)를 형성한 후에,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L, N, P, R, T)에 결합되는 제1편성포부(1)를 편성한다. 걸림 스티치(10)의 편성은 필수는 아니다. 본 예와는 달리, 걸림 스티치(10)는 앞쪽 니들베드(FB)의 공침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S1은, 도2의 T1에서의 순방향 편성에 상당한다. 도3에서는 제1편성포부(1)의 반만이 나타나 있기 때문에, 제1급사구(8)는 실제로는 칸 밖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S2에서는,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T, R, P, N, L)에 결합되는 제1편성포부(1)를 편성한다. S2의 편성은, 도2의 T1에서의 역방향 편성에 상당한다. 이 S2에서는, 제1편성포부(1)의 편성종료 후에,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더 이동시켜서, 걸림 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A).
여기에서, S1에 있어서 걸림 스티치(10)를 편성하지 않은 경우에, 제1스티치(11)는 걸림 스티치가 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제1스티치(11)가 뒤쪽 니들베드(BB)에 편성되어 있지만, 앞쪽 니들베드(FB)에 편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에 다음의 S3을 하기 전에, 앞쪽 니들베드(FB)로부터 뒤쪽 니들베드(BB)로 제1스티치(11)를 이동시킨다.
S3에서는,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제1편사(8Y)가,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1E)와 제1스티치(11)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12)와 교차된 상태가 된다(공정B). 단부 스티치(1E)는, S2에서 편성되는 제1편성포부(1)의 복수의 스티치 중에서 최후에 편성되는 스티치이다. 교차사(12)는, 앞쪽 니들베드(FB)와 뒤쪽 니들베드(BB)의 사이를 지나는 부분이다. 본 예의 S3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키고 있다.
S4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B, D, F, H, J)에 제3편성포부(3)를 편성한다. S4의 편성은, 도2의 T2에서의 순방향 편성에 상당한다.
S5에서는, 제2급사구(9)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L)에 턱 스티치(30)를 편성한 후에,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J, H, F, D, B)에 제3편성포부(3)를 편성한다. S5의 편성은, 도2의 T2에서의 역방향 편성에 상당한다. 턱 스티치(30)는, 제1편성포부(1)의 단부 스티치(1E)에 형성된다. 턱 스티치(30)에 의하여 제1편성포부(1)와 제3편성포부(3)가 연결된다. 본 예와는 달리, 턱 스티치(30)는 단부 스티치(1E) 이외의 제1편성포부(1)의 스티치에 형성되어도 좋다.
S6에서는, 제1스티치(11) 및 제1편성포부(1)가, 제2편성포부(2)가 편성되는 뒤쪽 니들베드(BB)와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B)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공정C). 본 예의 S6에서는, 구체적으로는 제1스티치(11)를, 제2편성포부(2)가 편성되는 뒤쪽 니들베드(BB)와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FB)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때에, 교차사(12)와 교차하는 제1편사(8Y)가, 교차사(12)에 걸려서 앞쪽 니들베드(FB) 측으로 근접하게 된다.
본 예의 S6에서는, 제1스티치(11)는 제3편성포부(3)의 스티치(31)에 포개져 있다. 스티치(31)는, 제3편성포부(3) 중에서 제1편성포부(1)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스티치이다. 스티치(31)와 제1스티치(11)의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13)에 의하여 제1편성포부(1)와 제3편성포부(3)가 연결된다. 제3편성포부(3)의 편성 후에 제1스티치(11)가 제3편성포부(3)의 스티치(31)에 포개짐으로써, 제1편성포부(1)를 제3편성포부(3)에 연결하는 더블 스티치(13)와, 제3편성포부(3)를 제1편성포부(1)에 연결하는 턱 스티치(30)가, 웨일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높이가 된다. 그 때문에 제1편성포부(1)와 제3편성포부(3)의 이음매가 말끔하게 마무리된다.
여기에서 제1스티치(11)의 이동은, 제2편성포부(2)의 편성 전이면 언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S4 전에 제1스티치(11)의 이동을 하여도 좋다.
S6이 종료된 시점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를 도5의 모식도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5에 나타내는 편침(5)은, 도3에 있어서의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J)이다. 또한 도5에서는, 인접하는 편침(5)의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싱커(固定sinker)(6)가 점선으로 나타나 있다. 고정싱커(6)의 형상은 실제의 형상과는 다르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3의 S3에 있어서 제1스티치(11)로부터 연장되는 교차사(12)와 교차된 제1편사(8Y)는, 제1스티치(11)와 제3편성포부(3)의 스티치(31)의 사이에 끼여 있다. 따라서 제1스티치(11)로부터 제1급사구(8)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1편사(8Y)의 기점(基點)(테두리 안을 비워둔 화살표 참조)은, 앞쪽 니들베드(FB) 측으로 근접하게 되어 고정싱커(6)에 의하여 숨겨진다. 그 때문에, 도시하지 않은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을 움직이더라도 제1편사(8Y)가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편사(8Y)의 기점이 고정싱커(6)에 의하여 숨겨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캐리지(carriage)에 구비되는 스티치 프레서(stitch presser)(일본국 공개특허 특개평3―66415호 공보) 등이 제1편사(8Y)에 접촉되더라도, 제1편사(8Y)의 기점이 고정싱커(6)의 외측으로 인출되기 어렵다. 제1편사(8Y)의 기점이 고정싱커(6)의 내측에 유지되고 있으면, 제1편사(8Y)의 코스방향의 경사가 커지지 않기 때문에, 제1편사(8Y)가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리기 어렵다.
여기에서, 도3의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편성포부(3)의 편성 후 제2편성포부(2)의 편성 직전에 제1스티치(11)가 이동됨으로써, 제1스티치(11)가 편침(5)에 가까운 위치에서 지지된다. 그 때문에 제1편사(8Y)의 기점도 편침(5)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편사(8Y)의 기점이 고정싱커(6)에 의하여 숨겨진 상태가 유지되기 쉽다.
도4의 S7에서는,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편성폭방향에 있어서 더블 스티치(13)와 중복되는 위치에 제1급사구(8)를 배치한다. 그 결과,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제1편사(8Y)가 짧아지게 된다. 이 S7은 필수는 아니지만, S7이 실시됨으로써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 제1편사(8Y)가 제2편성포부(2)에 편입되기 더한층 어려워진다.
S8에서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S8의 편성은, 도2의 T3의 편성에 상당한다. 도5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1급사구(8)로부터 연장되는 제1편사(8Y)는, 앞쪽 니들베드(FB) 측으로 근접하게 되어,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에 걸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제2급사구(9)는, 제1급사구(8)를 통과할 때에 정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제1급사구(8)를 이동시킬 필요도 없다.
도2의 T4에서의 제4편성포부(4)는, 도3의 S4, S5와 좌우대칭의 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또한 도2의 T5에서의 제2편성포부(2)는, 도4의 S8과 좌우대칭의 편성에 의하여 편성할 수 있다. 이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때에도 제2급사구(9)를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본 예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제2편성포부(2)가 편성될 때에 제2급사구(9)가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제2편성포부(2)를 구성하는 각 스티치의 크기를 고르게 하기 쉽다. 따라서 제2편성포부(2)의 외관이 좋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편성폭방향의 일부가 앞쪽 니들베드(FB) 측에서 2층 상태가 된 편성포를 편성하는 예를 도6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6을 보는 방법은 도3과 동일하다. 또 뒤쪽 니들베드(BB)에 다른 편성포부가 있어도 좋다.
S0에는,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B, D, F, H, J, L, N, P, R, T)에 제2편성포부(2)가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2편성포부(2)는, 제2급사구(9)의 제2편사(9Y)에 의하여 편성된다. 이 상태에서 제2편성포부(2)의 편성폭 내에 제1편성포부(1)를 편성한다.
S1에서는,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뒤쪽 니들베드(BB)의 편침(K)에 걸림 스티치(10)를,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L)에 턱 스티치(15)를 편성한 후에,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제1편성포부(1)를 편성한다. 턱 스티치(15)는, 제1편성포부(1)의 편성폭방향의 단부(端部)를 제2편성포부(2)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본 예의 제1급사구(8)는, 앞쪽 니들베드(FB)에서 보아서 제2급사구(9)보다 후방측에 있다. 따라서 턱 스티치(15) 이외의 위치에서 제1편성포부(1)가 제2편성포부(2)에 접합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걸림 스티치(10)를 앞쪽 니들베드(FB)의 공침에 편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앞쪽 니들베드(FB)의 편침(K)에 걸림 스티치(10)를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S2에서는, 제1급사구(8)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제1편성포부(1)를 편성한 후에, 걸림 스티치(10)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제1스티치(11)를 편성한다(공정A). 본 예와는 달리, 걸림 스티치(10)가 앞쪽 니들베드(FB)에 편성되는 경우에 제1스티치(11)도 앞쪽 니들베드(FB)에서 편성된다.
S3에서는, 제1급사구(8)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급사구(8)로부터 연장되는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킨다(공정B). 제1급사구(8)를 이동시키는 대신에, 앞쪽 니들베드(FB)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뒤쪽 니들베드(BB)를 좌측방향으로 래킹시킴으로써, 제1편사(8Y)를 교차사(12)와 교차시켜도 좋다.
S4에서는, 제1편성포부(1)를 앞쪽 니들베드(FB)로부터 뒤쪽 니들베드(BB)로 이동시킨다(공정C). 그 결과, 교차사(12)와 교차되는 제1편사(8Y)가, 교차사(12)에 걸려서 뒤쪽 니들베드(BB)에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1급사구(8)로부터 제1스티치(11)로 연장되는 제1편사(8Y)의 기점이 뒤쪽 니들베드(BB)에 근접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스티치(11)가 앞쪽 니들베드(FB)에서 편성되는 경우에, S4에서는 제1편성포부(1)와 제1스티치(11)의 양방을 뒤쪽 니들베드(BB)로 이동시킨다.
S4 후에는, 제2급사구(9)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앞쪽 니들베드(FB)에서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한다. 제1편사(8Y)의 기점이 뒤쪽 니들베드(BB)에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제2급사구(9)를 멈추지 않고 제2편성포부(2)를 편성할 수 있다.
<총괄>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제2편성포부(2)의 편성범위 내에 제1편성포부(1)가 중복되는 편성포의 편성에 유효하다. 따라서 실시형태1, 2 이외에도, 예를 들면 앞쪽 몸통의 편성폭과 뒤쪽 몸통의 편성폭이 다른 니트웨어나, 3층 또는 4층이 되는 다층 편성포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1 : 제1편성포부
1E : 단부 스티치
2 : 제2편성포부
3 : 제3편성포부
4 : 제4편성포부
5 : 편침
6 : 고정싱커
8 : 제1급사구
8Y : 제1편사
9 : 제2급사구
9Y : 제2편사
10 : 걸림 스티치
11 : 제1스티치
12 : 교차사
13 : 더블 스티치
15 : 턱 스티치
30 : 턱 스티치
31 : 스티치
50 : 몸통
50F : 앞쪽 몸통
50B : 뒤쪽 몸통
60L : 좌측 소매
60R : 우측 소매
70 : 패턴부
100 : 니트웨어

Claims (3)

  1. 제1급사구(第1給絲口)와 제2급사구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한 편성포(編成布)의 편성방법으로서,
    상기 제1급사구를 움직여서 제1편성포부를 편성한 후에, 상기 제1급사구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급사구를 가로지르도록 상기 제2급사구를 움직여서 제2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종료 후부터 상기 제2편성포부의 편성시작까지의 사이에 공정A, 공정B 및 공정C를 하고,
    상기 공정A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편성포부 및 상기 제2편성포부가 결합되는 편침과는 다른 편침으로, 상기 제1편성포부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와 연결되는 제1스티치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제1급사구로부터 상기 제1스티치로 연장되는 편사가, 상기 단부 스티치와 상기 제1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와 교차된 상태로 하고,
    상기 공정C에서는, 상기 제2편성포부가 편성되는 니들베드(needle bed)로부터 상기 제2편성포부가 편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對向)하는 니들베드로 상기 제1스티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스티치 및 상기 제1편성포부가 상기 대향하는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태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 전에, 상기 제1편성포부를 왕복편성(往復編成)하고,
    상기 제1편성포부를 순방향 편성할 때에, 공침(空針)에 걸림 스티치(pick up stitch)를 편성하고,
    상기 공정A에 있어서, 상기 걸림 스티치의 웨일방향(wale方向)으로 계속하여 상기 제1스티치를 편성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A 전에, 상기 제1편성포부를 왕복편성하고,
    상기 공정B 후에, 상기 제1급사구와는 다른 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방향에 인접하는 제3편성포부를 왕복편성하고,
    상기 제3편성포부의 왕복편성 시에, 상기 제1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지는 턱 스티치(tuck stitch)를 편성하고,
    상기 제3편성포부의 왕복편성 후에, 상기 공정C에 있어서의 상기 제1스티치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스티치를 상기 제3편성포부의 스티치에 포개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210103223A 2020-08-06 2021-08-05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602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34203A JP7341960B2 (ja) 2020-08-06 2020-08-06 編地の編成方法
JPJP-P-2020-134203 2020-08-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8445A KR20220018445A (ko) 2022-02-15
KR102602203B1 true KR102602203B1 (ko) 2023-11-13

Family

ID=7968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3223A KR102602203B1 (ko) 2020-08-06 2021-08-05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41960B2 (ko)
KR (1) KR102602203B1 (ko)
CN (1) CN114059219B (ko)
DE (1) DE102021208464A1 (ko)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6415A (ja) 1989-08-05 1991-03-22 Toshiba Corp 曲げ型装置
KR100392480B1 (ko) * 1995-04-10 2003-11-28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횡편기를사용한바인딩오프방법과,그방법으로바인딩오프된편성포
JPH101852A (ja) 1996-06-12 1998-01-06 Shima Seiki Mfg Ltd インターシャ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00199157A (ja) 1998-12-28 2000-07-18 Tsudakoma Corp インタ―シャ編地における編糸の拘束方法
JP4336307B2 (ja) * 2004-12-28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WO2007119272A1 (ja) * 2006-03-20 2007-10-25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デザイン装置
JP4891833B2 (ja) 2007-04-27 2012-03-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2010053490A (ja) * 2008-08-29 2010-03-11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と編地
JP5349357B2 (ja) * 2010-02-03 2013-1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プレーティング編成方法
KR101356981B1 (ko) * 2010-04-26 2014-01-29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JP5552374B2 (ja) * 2010-06-03 2014-07-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分岐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5702576B2 (ja) * 2010-10-28 2015-04-1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4025159A (ja) * 2012-07-25 2014-02-06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JP5955241B2 (ja) * 2013-02-15 2016-07-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解れ止め方法
JP2015028226A (ja) * 2013-07-30 2015-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5959555B2 (ja) * 2014-03-11 2016-08-0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ポケットを備える編地の編成方法
JP6257565B2 (ja) 2015-09-09 2018-01-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固定方法
DE102018219464A1 (de) * 2017-11-15 2019-05-16 Shima Seiki Mfg., Ltd. Gestrick mit einer tasch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gestricks mit einer tasche
CN108532105B (zh) * 2018-04-16 2019-08-16 惠州学院 一种在针织物上编织动态图案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59219A (zh) 2022-02-18
CN114059219B (zh) 2023-05-09
JP7341960B2 (ja) 2023-09-11
KR20220018445A (ko) 2022-02-15
DE102021208464A1 (de) 2022-02-10
JP2022030303A (ja)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667B2 (en) Knitted fabric having open part and knitting method therefor
CN1023136C (zh) 具有开缝部位的圆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
EP2460919A2 (en) Join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WO2009084167A1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US6789402B2 (en) Welt-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seaming
KR20070087591A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EP1367162B1 (en) Method of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s together and knitted fabric therefor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WO2007099708A1 (ja) 増し目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編地の編幅方向端部よりも内側に増し目が形成されている編地
KR10144991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021650A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fabrics
CN102995267B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针织物
CN102345197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KR10260220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US6079232A (en) Widening method
CN111088586B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接合后的针织物
JP3126272B2 (ja) 天竺ジャカードの筒状編地編成方法
JP3673107B2 (ja) 増目形成方法
KR20230154246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03243469B (zh) 针织品
KR20240052674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15704128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JP2022181310A (ja) 編地の編成方法
KR20220167232A (ko) 통모양 파일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파일 편성포
CN1157041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