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981B1 -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 Google Patents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981B1
KR101356981B1 KR1020127026677A KR20127026677A KR101356981B1 KR 101356981 B1 KR101356981 B1 KR 101356981B1 KR 1020127026677 A KR1020127026677 A KR 1020127026677A KR 20127026677 A KR20127026677 A KR 20127026677A KR 101356981 B1 KR101356981 B1 KR 10135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knitted fabric
stitch
knitted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8807A (ko
Inventor
마나부 유이
요시노리 시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2013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04B1/12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with colour pattern, e.g. intarsia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보다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를 아름답게 마무리할 수 있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제공한다.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1코스씩 편성하는 과정을, 코스마다 편성방향을 바꾸어서 교대로 반복하여 편성포부의 코스 수를 증가시킬 때에, 적어도 일부의 편성코스에 있어서, 다음의 (1) 및 (2)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한다.
(1)인접하는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의 종단으로부터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걸치는 교차사를 형성하고, 그 교차사를 상기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시킨다.
(2)인접하는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의 시단으로부터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걸치는 교차사를 형성하고, 그 교차사를 상기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시킨다.

Description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JOINING METHOD OF NEIGHBOR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된 복수의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위한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이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된 복수의 편성포부를 접합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서는, 인접하는 편성포부끼리를 턱(tuck) 편성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의 제1, 3, 4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일방(一方)의 편성포부의 편사를, 타방(他方)의 편성포부의 스티치(stitch)에 턱에 의하여 양쪽 편성포부를 연결한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56-5324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서는, 양쪽 편성포부를 턱에 의하여 접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편사나 편성의 조건에 따라서는 양쪽 편성포부의 경계부에 깨짐이 발생하거나 경계부의 라인이 흐트러지거나 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불량은 예를 들면 아가일 패턴(argyle pattern) 등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가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우에는 눈에 띄기 어렵고, 당해 경계부가 바로 상방으로 신장되는 경우에는 눈에 띄기 쉽다.
예를 들면 도9, 도10에 나타나 있는 사진은 각각 종래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편성한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를 표면측에서 본 확대사진과 이면측에서 본 확대사진이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경계부의 이면측을 보면, 일방의 편성포부의 편사가 타방의 편성포부로 연장되어 턱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9에 나타나 있는 경계부의 표면측을 보면, 턱에 기인하여 경계부 근방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흐트러져 있어, 경계부가 약간 지그재그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보다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를 더 아름답게 마무리할 수 있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이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은,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복수의 급사부재(給絲部材)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되는 복수의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위한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이다. 이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서는,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1코스씩 편성하는 과정을, 코스마다 편성방향을 바꾸어서 교대로 반복하여 편성포부의 코스 수를 증가시킬 때에, 적어도 일부의 편성코스에 있어서, 다음의 (1) 및 (2) 중 적어도 일방을 한다.
(1)인접하는 적어도 일방(一方)의 편성포부의 종단(終端)이 되는 걸림루프 또는 스티치(stitch)가 되는 종단결합 스티치(終端結合 stitch)를, 그 종단결합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성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의 편침이고 또한 종단결합 스티치의 1개 전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종단결합 스티치와 종단결합 스티치의 1개 전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를, 상기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걸치게 한다.
(2)인접하는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의 시단(始端)이 되는 걸림루프 또는 스티치가 되는 시단결합 스티치(始端結合 stitch)를, 그 시단결합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성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의 편침이고 또한 시단결합 스티치의 1개 후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단결합 스티치와 시단결합 스티치의 1개 후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를, 상기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걸치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편성포부의 편성코스를 증가시켜 갈 때에,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걸치게 한 복수의 교차사(cross-over yarn)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교차사 중 일부의 교차사와, 그 교차사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를 얽히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편성포부끼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동일한 편성방향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1코스마다 상기 (1) 및 (2)의 양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쪽 편성포부의 편성방향을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 후술하는 실시형태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방향 전방측의 편성포부를 편성함에 있어서, 편성방향 속측의 편성포부의 편성영역 내에 종단결합 스티치를 형성하고, 속측의 편성포부를 편성함에 있어서, 전방측의 편성포부의 편성영역 내에 시단결합 스티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1)을 한 편성코스의 다음의 편성코스에 있어서, 상기 (1)에서 형성한 종단결합 스티치에 대하여 미스 편성(miss 編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사의 색(色)을 다르게 함으로써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을 구비하는 편성포를 편성하더라도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편성포는,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와,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복수의 급사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이고, 그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된 복수의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로서,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양쪽 편성포부 중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일부의 편성코스의 경계부측 끝부에 있는 스티치가 백 스티치(back stitch)이고,
상기 백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백 스티치와 그 백 스티치의 이웃하는 프론트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가, 타방(他方)의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가장 경계부에 치우쳐 있는 프론트 스티치와, 그 프론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프론트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에 얽히게 함으로써 양쪽 편성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에 있어서, 예를 들면 인접하는 양쪽 편성포부에 백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후술하는 실시형태1의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포부(β)의 끝부의 백 스티치(3)와 그 백 스티치(3)의 이웃의 스티치(4)를 연결하는 편사(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가, 편성포부(α)에 있어서의 가장 경계부에 치우쳐 있는 프론트 스티치(1)와 그 프론트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프론트 스티치(8)를 연결하는 편사(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에 얽힘으로써 양쪽 편성포부(α, β)가 연결된다. 또한 인접하는 양쪽 편성포부 중 어느 일방에 백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실시형태2의 도6이나 실시형태3의 도8에 굵은 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편성포부(α, β)의 편사끼리의 얽힘에 의하여 양쪽 편성포부(α, β)끼리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에 있어서, 양쪽 편성포부의 경계부측 끝부에 백 스티치가 형성되어 있으면, 당해 백 스티치는, 그 백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이면측으로 돌아간다(후술하는 실시형태1의 도4를 참조). 그리고 당해 백 스티치가 있는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백 스티치의 이웃의 스티치가, 편성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에 양쪽 편성포부의 경계부에 정렬된다(후술하는 실시형태1의 도3을 참조).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에서는, 인접하는 편성포부를 구성하는 편사끼리의 얽힘에 의하여 양쪽 편성포부를 연결하기 때문에, 종래의 턱 편성을 사용하였을 경우와 같이 양쪽 편성포부의 경계 근방의 스티치에 잡아당겨지는 것과 같은 힘이 가해지지 않아, 스티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는다(동 도3을 참조). 또한 턱을 사용하지 않고 편사끼리의 얽힘에 의하여 양쪽 편성포부를 연결하면, 편성포를 편성폭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 양쪽 편성포부의 연결부가 땅겨지지 않아, 당해 연결부의 신축성을 다른 부분과 동등한 정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동일한 편성방향으로 편성하면, 각 편성포부를 편성하기 위한 급사구끼리가 간섭하기 어렵다. 또한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의 동일 코스에서 종단결합 스티치와 시단결합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적어도 1코스마다 함으로써 인접하는 편성포부끼리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성에 의하면, 동일 코스에서 종단결합 스티치 혹은 시단결합 스티치 중 어느 하나만을 형성하였을 경우와 비교하여, 동일 코스에서 형성되는 교차사의 수가 많아진다. 그 결과 편성포를 잡아당겼을 때에, 양쪽 편성포부의 경계부에 구멍을 메우도록 교차사가 걸쳐지게 되어, 당해 구멍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종단결합 스티치를 형성한 편성코스의 다음의 편성코스에서 미스 편성을 함으로써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편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후술하는 변형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나 있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2는, 도1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나타나 있는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 근방을 표면측에서 본 확대사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나타나 있는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 근방을 이면측에서 본 확대사진이다.
도5는, 실시형태2에 나타나 있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6은, 도5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7은, 실시형태3에 나타나 있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8은, 도7의 편성공정도에 따라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도이다.
도9는,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 근방을 표면측에서 본 확대사진이다.
도10은, 종래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적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경계부 근방을 이면측에서 본 확대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에 기재된 편성은 모두 서로 대향(對向)하는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각 니들베드의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 횡편기는, 니들베드의 편침을 구동시키는 복수의 캠시스템(cam system)을 탑재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편성방향으로 선행(先行)하는 캠시스템을 C1, 후행(後行)하는 캠시스템을 C2라고 한다.
<실시형태1>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색의 편사에 의하여 서로 독립하여 편성되는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의 편성포를 편성하는 예를 도1, 도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관한 편성공정도이다. 도1의 좌측에 기재되어 있는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 FB는 앞쪽 니들베드, BB는 뒤쪽 니들베드, 삼각형 표시는 급사구(給絲口), 알파벳(A∼O)은 니들베드의 바늘의 위치, 동그라미 표시는 스티치(stitch), 역 V자는 걸림루프를 나타낸다. 또한 도1에서의 일부의 스티치 혹은 걸림루프에는,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형성순서에 맞추어서 부호가 붙어져 있다. 도2는 도1에서의 편성공정에서 편성된 편성포의 루프도로서, 도면에서의 숫자와 알파벳은 도1에서의 숫자와 알파벳과 일치한다. 또 설명한 도면의 보는 방법은, 후술하는 도5∼도8에서도 동일하다.
도1에서의 S0에는, FB의 바늘(A∼O)에 스티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편성공정에 따라 3개의 서로 다른 급사구(X, Y, Z)로부터 급사되는 편사에 의하여 3개의 편성포부(α, β, γ)를 편성한다.
S1에서는, 상기 S0의 상태로부터 캐리지를 지면(紙面)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급사구(X)가 선행, 급사구(Y)가 후행이 되도록 캐리지에 양쪽 급사구(X, Y)를 연동시킨다. 우선 선행의 캠시스템(C1)은 FB의 편침(A∼E)에 스티치를 형성시키고, 이에 계속하여 BB의 편침(F)에 걸림루프(2)를 형성시킨다. 이 편성에 의하여 BB의 편침(F)에 결합되는 걸림루프(종단결합 스티치(終端結合 stitch))(2)를 종단(終端)으로 하는 편성포부(α)의 1코스 스티치가 형성된다. 걸림루프(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완성되는 편성포에 있어서 편성포부(β)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여기에서 캐리지는, 걸림루프(2)의 형성이 종료된 후에, 걸림루프(2)보다 지면의 우측에서 급사구(X)의 연동을 멈추고, 그 위치에 급사구(X)를 정지시킨다.
한편 후행의 캠시스템(C2)은, 캐리지에 의하여 편성포부(α)의 편성영역 내로부터 연동되는 급사구(Y)를 사용하여, BB의 편침(E)에 편성포부(β)의 시단(始端)이 되는 걸림루프(시단결합 스티치(始端結合 stitch))(3)를 형성시킨 후에 FB의 편침(F∼J)에 스티치를 형성시키고, 최후에 BB의 편침(K)에 편성포부(β)의 종단이 되는 걸림루프를 형성시킨다. 캐리지는, 편침(K)으로의 걸림루프의 형성이 종료된 후에, 편침(K)의 걸림루프보다 지면의 우측에 급사구(Y)를 정지시킨다. 여기에서 편성포부(β)의 시단이 되는 걸림루프(3)는, 편성포부(α)의 종단의 걸림루프(2)보다 뒤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BB의 편침(E)의 걸림루프(3)로부터 FB의 편침(F)의 스티치(4)를 향하여 FB와 BB의 사이를 걸치는 편성포부(β)의 교차사(cross-over yarn)가, FB의 편침(E)의 스티치(1)로부터 BB의 편침(F)의 걸림루프(2)를 향하여 FB와 BB의 사이를 걸치는 편성포부(α)의 교차사의 상방(지면의 수직방향이며 니들베드갭(needle bed gap)의 상방)에서 교차한다.
또한 S1에서는, 캠시스템(C1)에 의하여 새로운 급사구(Z)를 사용하여 편성포부가 형성된다. 이 때에 캠시스템(C1)은, BB의 편침(J)에 시단이 되는 걸림루프를 형성시킨 후에, FB의 편침(K∼O)에 스티치를 형성시킨다. 여기에서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캠시스템(C1)은 편성포부(β)를 편성하는 캠시스템(C2)에 선행하기 때문에, 편성포부(γ)의 시단의 걸림루프(BB의 편침(J))는 상기한 편성포부(β)의 종단의 걸림루프(BB의 편침(K))보다 앞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FB의 편침(J)의 스티치로부터 BB의 편침(K)의 걸림루프를 향하여 FB와 BB의 사이를 걸치는 편성포부(β)의 교차사가, BB의 편침(J)의 걸림루프로부터 FB의 편침(K)의 스티치를 향하여 FB와 BB의 사이를 걸치는 편성포부(γ)의 교차사의 상방에서 교차한다.
다음에 S2에서는, S1과는 편성방향을 반대로 하여 각 편성포부(α, β, γ)의 다음의 편성코스를 편성한다. 이 때에 각 편성포부(α, β, γ)의 시단이나 종단을, S1에서 형성한 걸림루프의 위치에 설정한다. 우선 급사구(Z)를 사용하여 캠시스템(C1)에 의하여 편성포부(γ)를 편성함과 아울러, 급사구(Y)를 사용하여 캠시스템(C2)에 의하여 편성포부(β)를 편성한다. 편성포부(γ)의 편성이 종료되었을 때에 캐리지는, 편성포부(γ)의 편성코스의 종단이 되는 스티치(BB의 편침(J))보다 지면의 좌측에 급사구(Z)를 정지시키고, 그 후에 급사구(X)를 연동한다. 연동된 급사구(X)는 캠시스템(C1)에 의하여 편성포부(α)의 편성에 이용된다. 또한 편성포부(β)의 편성이 종료되었을 때에 캐리지는, 편성포부(β)의 종단의 스티치(8)(BB의 편침(E))보다 지면의 좌측에 급사구(Y)를 정지시킨다.
이 S2에 의하여 S1에서 형성된 편성포부(γ)의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시단의 걸림루프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편성포부(γ)의 다음의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종단의 스티치가 형성된다. 편성포부(β, α)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S1에서 형성된 편성코스의 시단의 걸림루프(3) 및 종단의 걸림루프(2)에는 각각 다음의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종단의 스티치(8) 및 시단의 스티치(5)가 형성된다. 또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에 구비되는 양쪽 교차사의 상하관계는 S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S3에서는, S1과 동일한 편성방향, 편성순서에 따라 편성포부(α, β, γ)를 1코스분 편성한다. 편성포부(α)의 종단의 스티치(10)는, S2에서 편성한 편성포부(α)의 시단의 스티치(5)에 계속되어 웨일방향으로 새롭게 형성된다. 또한 편성포부(β)의 시단의 스티치(11)는, S2에서 편성한 편성포부(β)의 종단의 스티치(8)에 계속되어 웨일방향으로 새롭게 형성된다. 또한 편성포부(β)의 종단의 스티치(BB의 편침(K))는 S2에서 편성한 편성포부(β)의 시단의 스티치에, 편성포부(γ)의 시단의 스티치(BB의 편침(J))는 S2에서 편성한 편성포부(γ)의 종단의 스티치에 계속되어 웨일방향으로 새롭게 형성된다.
이후에는 S2, S3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를 완성한다. 도2에, 이 편성포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편성포부(α,β)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각 부(α, β)의 편사의 상태를 나타낸다. 이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포부(α)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1)와 그 프론트 스티치(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프론트 스티치(6)를 연결하는 편사(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가, 편성포부(β)의 끝부의 백 스티치(back stitch)(3)와 그 백 스티치(3)의 이웃하는 프론트 스티치(4)를 연결하는 편사(도면에서 굵은 선으로 표시)에 걸려서 되돌려지도록 얽히게 함으로써 양쪽 편성포부(α,β)끼리가 연결된다.
도1의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실제의 편성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즉 도1의 FB측으로부터 BB측을 향하여 편성포를 보았을 경우에, 도3의 사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편성포부(α)와 편성포부(β)의 경계부에서 스티치의 흐트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일방(一方)의 편성포부(α(β))의 편사를 타방(他方)의 편성포부(β(α))에 턱(tuck) 하지 않고, 양쪽 편성포부(α, β)의 편사끼리의 얽힘에 의하여 양쪽 편성포부(α,β)끼리가 연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편성포를 이면측에서 보았을 경우에, 도4의 사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1의 편성공정에 있어서 BB에서 편성한 백 스티치 즉 양쪽 편성포부(α, β)의 경계부에 있어서의 편성포부(α(β))의 끝부의 스티치는, 편성포부(β(α))의 이면측에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2에서는, 실시형태1과 달리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편성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편성함과 아울러, 양쪽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위한 BB에 대한 편성을,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한쪽에서만 한 예를 도5, 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5의 S10에 나타나 있는 FB의 편침(A∼O)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편성포부(α, β, γ)의 편성을 시작한다(S11). 이 실시형태에서는 하나의 캠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우선 S11에서는,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캐리지를 이동시켜서 편성포부(α, γ)를 편성시킨다. 이 때에 편성포부(α)의 편성에 있어서는 FB의 편침(E)에 종단의 스티치(11)를 형성시키고, 편성포부의 편성에 있어서는 편성포부(β)의 편성영역 내에 있는 BB의 편침(J)에 편성포부(γ)의 시단이 되는 걸림루프를 형성시킨다. 캠시스템은, 편성포부(α)의 편성이 종료되면 급사구(X)의 연동을 멈추고, 편성포부를 편성할 때에 새로운 급사구(Z)를 연동시킨다. 또한 S11에서는, 지면의 좌측으로 캐리지를 이동시켜서 편성포부(β)를 편성시킨다. 이 때에 편성포부(γ)의 편성영역 내로부터 급사구(Y)를 연동시켜서 편성포부(β)의 종단이 되는 걸림루프(13)를, 편성포부(α)의 편성영역 내에 있는 BB의 편침(E)에 형성시킨다.
다음에 S12에서는, 편성을 하지 않고 캐리지를 일단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지면의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이에 편성포부(γ, α)를 편성시키고, 최후에 또 한번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이에 편성포부(β)를 편성시킨다. 이 때에 편성포부(γ)의 종단의 스티치 및 편성포부(β)의 시단의 스티치를, S11에서 형성한 각 걸림루프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로서 형성한다.
또한 S13에서는, S11과 동일한 편성을 하고, S12에서 형성된 백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형성시킨다. 이후에는 S12, S13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부(α, β, γ)를 완성하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을 한 결과, 도6의 루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편성포부(α, β) 중 도5의 S11로부터 S12에 걸쳐서 형성되는 편성포부(α)의 끝부의 프론트 스티치(11)와 그 프론트 스티치(1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프론트 스티치(14)를 연결하는 편사가, 도5의 S11에서 형성되는 편성포부(β)의 종단의 백 스티치(13)와 그 백 스티치(13)에 연결되는 프론트 스티치(12)를 연결하는 교차사(굵은 선으로 표시)에 걸려서 되돌려지도록 얽혀 있다. 이 교차사와 편사의 얽힘에 의하여 편성포부(α)와 편성포부(β)가 연결된다.
<실시형태3>
실시형태3에서는, 실시형태1과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편성방향이 동일하게 되도록 편성함과 아울러, 양쪽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위한 BB에 대한 편성을,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한쪽에서만 한 예를 도7, 도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7의 S20에 나타나 있는 FB의 편침(A∼O)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편성포부(α, β, γ)의 편성을 시작한다(S21). S21에서는, 편성포부(α, γ)를 캠시스템(C1)에 의하여, 편성포부(β)를 캠시스템(C2)에 의하여 편성시킨다. 이 때에 편성포부(α)의 편성에 있어서는 편성포부(β)의 편성영역 내에 있는 BB의 편침(F)에 종단의 걸림루프(22)를 형성시키고, 편성포부(β)의 편성에 있어서는 FB의 편침(F)에 편성포부(β)의 시단이 되는 스티치(23)를 형성시킨다. 지면 우측의 편성포부(β, γ)의 경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편성방향 전방측에 있는 편성포부(β)에 대해서는 BB의 편침(K)에 종단의 걸림루프를 형성하고, 편성방향 속측에 있는 편성포부에 대해서는 FB의 편침(K)에 시단의 스티치를 형성한다.
다음에 S22에서는, S21과는 편성방향을 반전시켜서, 편성포부(γ, α)를 캠시스템(C1)에 의하여, 편성포부(β)를 캠시스템(C2)에 의하여 편성시킨다. 이 때에 편성포부(β, α)의 시단의 스티치를, S21에서 형성한 걸림루프에 계속되는 새로운 스티치로서 형성한다.
또한 S23에서는, S21과 동일한 편성을 하여 S22에서 형성된 백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스티치를 형성시킨다. 이후에는 S22, S23의 편성을 반복함으로써 편성포부(α, β, γ)를 완성하면 좋다.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을 한 결과, 도8의 루프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편성포부(α, β) 중 S22로부터 S23에 걸쳐서 형성되는 편성포부(β)의 프론트 스티치(26)와 그 프론트 스티치(26)의 웨일방향에 계속되는 프론트 스티치(29)를 연결하는 편사가, 도7의 S23에서 형성되는 편성포부(α)의 종단의 백 스티치(28)와 그 백 스티치(28)에 연결되는 프론트 스티치(27)를 연결하는 교차사(굵은 선으로 표시)에 걸려서 되돌려지도록 얽혀 있다. 이 편성포부(α)의 교차사와 편성포부(β)의 편사의 얽힘에 의하여 편성포부(α)와 편성포부(β)가 연결된다.
<기타, 변형예>
그런데 횡편기를 사용하여 되돌림 편성을 하는 경우에, 편성방향 종단의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그 종단의 스티치에 계속되어 다음의 편성코스의 시단의 스티치가 형성된다. 이 경우에 종단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에 근접하는 편침이 함께 상승하기 때문에, 끝부의 스티치가 편침의 훅(hook)으로부터 클리어링(clearing)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법은, 근접하는 편침의 편성동작을 각각의 편성코스로 나누어 버리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편성포부끼리를 연결하기 때문에, BB에 형성되는 종단결합 스티치에 대하여 다음의 편성코스를 편성하는 경우에 일어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종단결합 스티치에 대하여 다음의 편성코스에서 미스 편성(miss 編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1의 S2에서 편성포부(α)를 편성할 때에, S1에서 BB의 편침(F)에 형성되는 걸림루프(2)에 대하여 스티치(5)를 형성하지 않고, FB의 편침(E)의 스티치(6)를 S2에 있어서의 편성포부(α)의 시단의 스티치로 한다. 이렇게 하면, S1에 있어서 걸림루프(2)에 근접하는 스티치(1)가 미스 편성을 한 S2에 의하여 더 편성되기 때문에, 다음의 S3에서 걸림루프(2)에 스티치(10)를 형성할 때에 걸림루프(2)의 클리어링 미스를 회피할 수 있다. 이 이외에 실시형태2의 도5에서라면, S12에 있어서의 BB의 편침(E)에 의하여 스티치(15)의 편성을 하지 않고 미스 편성하더라도 좋고, 실시형태3의 도7에서라면, S22에 있어서의 BB의 편침(F)에 의하여 스티치(24)의 편성을 하지 않고 미스 편성하더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은, 스웨터의 몸통과 소매의 접합에 이용할 수도 있다.
A∼O : 편침
FB : 앞쪽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
X, Y, Z : 급사구
α, β, γ : 편성포부
1, 4∼11, 12, 14∼19, 21, 23∼29 : 스티치
2, 3, 13, 22 : 걸림루프
1, 4, 6, 7, 11, 12, 14, 16, 21, 23, 25, 26, 27, 29 : 프론트 스티치
2, 3, 5, 8, 13, 15, 19, 22, 24, 28 : 백 스티치

Claims (5)

  1. 대향(對向)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와, 편침에 편사를 급사(給絲)하는 복수의 급사부재(給絲部材)를 구비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되는 복수의 편성포부를 접합하기 위한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으로서,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1코스씩 편성하는 과정을, 코스마다 편성방향을 바꾸어서 교대로 반복하여 편성포부의 코스 수를 증가시킬 때에, 적어도 일부의 편성코스에 있어서,
    (1)인접하는 적어도 일방(一方)의 편성포부의 종단(終端)이 되는 걸림루프 또는 스티치(stitch)가 되는 종단결합 스티치(終端結合 stitch)를, 그 종단결합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성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의 편침이고 또한 종단결합 스티치의 1개 전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종단결합 스티치와 종단결합 스티치의 1개 전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를, 상기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걸치게 하는 것 및
    (2)인접하는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의 시단(始端)이 되는 걸림루프 또는 스티치가 되는 시단결합 스티치(始端結合 stitch)를, 그 시단결합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성영역에 중복되는 위치의 편침이고 또한 시단결합 스티치의 1개 후의 스티치가 형성되는 니들베드와 대향하는 니들베드의 편침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시단결합 스티치와 시단결합 스티치의 1개 후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를, 상기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에 교차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걸치게 하는 것
    중 적어도 일방을 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를 걸치게 한 일부의 교차사(cross-over yarn)와, 그 교차사를 구비하는 편성포부와는 다른 편성포부의 편사를 얽히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편성포부끼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2개의 편성포부를 동일한 편성방향으로 편성함과 아울러,
    적어도 1코스마다 상기 (1) 및 (2)의 양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을 한 편성코스의 다음의 편성코스에 있어서, 상기 (1)에서 형성한 종단결합 스티치에 대하여 미스 편성(miss 編成)을 하고, 다음의 편성코스 이후에 상기 종단결합 스티치에 연속하는 새로운 종단결합 스티치 또는 시단결합 스티치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편성포부를 편성하는 편사의 색(色)을 다르게 함으로써 인타샤 패턴(intarsia pattern)을 편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5. 대향하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와, 편침에 편사를 급사하는 복수의 급사부재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되는 편성포이고, 그 편성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한 독립하여 편성된 복수의 편성포부를 구비하는 편성포로서,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포함하여 인접하는 양쪽 편성포부 중 적어도 일방의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일부의 편성코스의 경계부측 끝부에 있는 스티치가 백 스티치(back stitch)이고,
    상기 백 스티치를 구비하는 편성코스에 있어서의, 백 스티치와 그 백 스티치의 이웃하는 프론트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가,
    타방(他方)의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가장 경계부에 치우쳐 있는 프론트 스티치와, 그 프론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는 프론트 스티치를 연결하는 편사에 얽히게 함으로써 양쪽 편성포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성포.
KR1020127026677A 2010-04-26 2010-04-26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KR101356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0/057380 WO2011135653A1 (ja) 2010-04-26 2010-04-26 隣接する編地部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8807A KR20120138807A (ko) 2012-12-26
KR101356981B1 true KR101356981B1 (ko) 2014-01-29

Family

ID=44861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677A KR101356981B1 (ko) 2010-04-26 2010-04-26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65308B1 (ko)
JP (1) JP5580407B2 (ko)
KR (1) KR101356981B1 (ko)
CN (1) CN102859057B (ko)
WO (1) WO20111356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25159A (ja) * 2012-07-25 2014-02-06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
JP5980152B2 (ja) * 2013-03-19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14227611A (ja) * 2013-05-17 2014-12-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リブ風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リブ風編地
JP2015124445A (ja) * 2013-12-25 2015-07-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の製造方法
JP6501824B2 (ja) * 2017-05-29 2019-04-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
JP7204414B2 (ja) * 2018-10-23 2023-0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JP7341960B2 (ja) * 2020-08-06 2023-09-1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22181310A (ja) * 2021-05-26 2022-12-0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CN114921898A (zh) * 2022-05-24 2022-08-19 浙江启翔针织科技有限公司 一种无集圈色块编织组织及连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247A (en) * 1979-10-01 1981-05-12 Shima Idea Center Interstitial knitting method
JP2000199156A (ja) 1998-12-25 2000-07-18 Tsudakoma Corp インタ―シャ編地における編糸の拘束方法
WO2009031321A1 (ja) 2007-09-07 2009-03-12 Shima Seiki Mfg., Ltd. 編機での編糸の切替え方法および編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895A (en) * 1954-11-09 1957-01-16 Beautiflute In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knitted fluted fabric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765258B2 (ja) * 1990-07-17 1995-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端部処理方法
EP0616064B1 (de) * 1993-03-16 1997-08-27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Bildung eines Fadensicherungsknotens auf einer Flachstrickmaschine, Gestrick mit einem Fadensicherungsknoten und Verwendung einer Flachstrickmaschine zur Herstellung des Knotens
TW487754B (en) * 1999-12-17 2002-05-21 Shima Seiki Mfg Welt seaming method and welt-seamed knitted fabric, and CAD device for welt seaming
TW491918B (en) * 2000-05-17 2002-06-21 Shima Seiki Mfg Method of joining knitted fabrics and joined knitted fabric
JP5414696B2 (ja) * 2008-12-24 2014-02-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糸の解れ止め方法、および編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3247A (en) * 1979-10-01 1981-05-12 Shima Idea Center Interstitial knitting method
JP2000199156A (ja) 1998-12-25 2000-07-18 Tsudakoma Corp インタ―シャ編地における編糸の拘束方法
WO2009031321A1 (ja) 2007-09-07 2009-03-12 Shima Seiki Mfg., Ltd. 編機での編糸の切替え方法および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9057A (zh) 2013-01-02
KR20120138807A (ko) 2012-12-26
EP2565308B1 (en) 2018-01-10
EP2565308A1 (en) 2013-03-06
JPWO2011135653A1 (ja) 2013-07-18
JP5580407B2 (ja) 2014-08-27
CN102859057B (zh) 2014-05-14
WO2011135653A1 (ja) 2011-11-03
EP2565308A4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981B1 (ko) 인접하는 편성포부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KR10138796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횡편성된 편성포
EP2226417B1 (en) Fabric knitting method and fabric
KR101449502B1 (ko) 프린지 부착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523498B1 (ko) 편사의 풀림방지방법
KR100585254B1 (ko)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JP3967922B2 (ja) 分岐部を有する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JP3888899B2 (ja) ニットウエア編成方法
KR101324524B1 (ko) 홀을 구비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편성포
EP2447399A2 (en) Knitting method on a flat knitt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yarn feeders and a corresponding knitted fabric
CN102264963B (zh) 内放针方法及针织物
JP3541191B2 (ja) 伸縮性に優れた伏目処理方法
KR10144991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JP5808096B2 (ja) 編地の編出し方法、および編地
EP2290141B1 (en) Method of knitting a tubular fabric and tubular fabric
KR20130030204A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편성포
JP5736254B2 (ja) 編地の編出し方法、および編地
JP2012036542A (ja) 隣接する編地部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KR19990077454A (ko) 코늘이기방법
JP2000034654A (ja) リブ編みを含む両面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2010281010A (ja) ニットウエアのv首部編成方法
KR20210063957A (ko) 니트 웨어의 효율적인 넥 라인 형성을 위한 편성방법
JP2020066810A (ja) 編地の接合方法及び接合された編地
JPH09209248A (ja) 筒状編成における増し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