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807B1 -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807B1
KR102266807B1 KR1020200020338A KR20200020338A KR102266807B1 KR 102266807 B1 KR102266807 B1 KR 102266807B1 KR 1020200020338 A KR1020200020338 A KR 1020200020338A KR 20200020338 A KR20200020338 A KR 20200020338A KR 102266807 B1 KR102266807 B1 KR 10226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outer layer
inner layer
tubular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2368A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카모토
요시유키 야마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00102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2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04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sets of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1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to produce fully-fashioned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tubular portions of variable diameter or distinct axial orient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무봉제로 접속할 수 있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통모양 베이스부(1)의 통모양의 종단부(10)에 대하여, 외층(21)과 내층(22)이 통모양으로 연결되는 띠모양부(2)를 형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띠모양부(2)를 편성할 때에,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41)와,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42)로 구성되는 접속부(4)를 형성한다. 띠모양부(2)를 편성한 후에, 로테이션에 의하여 띠모양부(2)와 접속부(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회전시킨다. 띠모양부(2)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와의 접속측에서부터 외층(21)의 웨일방향의 종단(21e)과 외층 접속부(41)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내층(22)의 웨일방향의 종단(22e)과 내층 접속부(42)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다.

Description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TUBULAR KNITTED FABRIC KNITTING METHOD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모양 베이스부와, 그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에 연결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 및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 2에는, 통모양 베이스부와, 그 통모양 베이스부의 통모양의 종단부를 주회(周回)하도록 형성된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띠모양부는, 통모양 편성포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층과, 통모양 편성포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층이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1, 2에서는, 먼저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한다. 다음에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편성시작부를 형성한다. 편성시작부는, 띠모양부의 외층의 기점(基點)이 되는 외층 편성시작부와, 띠모양부의 내층의 기점이 되는 내층 편성시작부를 구비한다. 이 편성시작부를 기점으로 하여 외층과 내층으로 구성되는 띠모양부를 편성하면서, 통모양 베이스부의 통모양의 종단부를 주회하도록 통모양 베이스부와 띠모양부를 연결시킨다. 통모양 베이스부와 띠모양부를 연결시킬 때에 특허문헌1, 2에서는, (1) 통모양의 띠모양부를 통모양 베이스부 측으로 이동시켜, 띠모양부의 스티치를 통모양 베이스부의 스티치에 포개는 것과, (2) 그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띠모양부의 새로운 편성코스를 형성하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그 결과,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연결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그 통모양 편성포의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은, 통모양 베이스부의 둘레방향을 따르는 방향이 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4-074240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5-110849호 공보
특허문헌1, 2에는, 띠모양부의 시단(始端)과 종단(終端)을 편성에 의하여 연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봉제로 연결하는 경우에, 봉제작업이 번잡하기 때문에 통모양 편성포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무봉제로 접속할 수 있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통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終端部)를 주회(周回)하도록,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이 통모양으로 연결된 띠모양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가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외층 편성시작부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내층을 통모양으로 편성하면서,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를 연결시킨 후에,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를 연결시키는 공정C를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cross-over yarn)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와,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로 구성되는 접속부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형성하고,
상기 공정C를 한 후에, 로테이션(rotation)에 의하여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접속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상기 띠모양부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상태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하고,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상태로부터 근접한 상태로 하는 공정D와,
상기 띠모양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와의 접속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상기 접속측의 반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하는 공정E를
한다.
〈2〉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와 상기 외층 접속부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한 후에,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와 상기 내층 접속부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3〉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와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를 이중(二重)의 스티치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4〉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와,
외층과 내층이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이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둘레방향을 따르고 있는 통모양 편성포로서,
상기 외층의 시단(始端)인 외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와,
상기 내층의 시단인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와,
상기 띠모양부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와 접속되는 단부(端部)를 상기 띠모양부의 하단(下端)으로 하고, 상기 하단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를 상기 띠모양부의 상단(上端)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단을 향하여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하여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통모양으로 된 띠모양부를 무봉제로 통모양 베이스부의 단부에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무봉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의 최후에 있는 단사(端絲)가 통모양 편성포의 내측으로 숨겨지기 때문에, 통모양 편성포의 외관이 좋다.
상기 〈2〉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띠모양부의 시단이 닫힌 상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이 통모양으로 연통(連通)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상기 〈3〉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편성시작부와 접속부를 편성할 때에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와 접속부의 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을 연결시켰을 때에 편성시작부와 접속부의 사이에 구멍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띠모양부의 시단과 종단이 무봉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에서는, 띠모양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외층과 외층 접속부가 접속된 후에,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내층과 내층 접속부가 접속되고 있다. 즉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이 통모양 편성포의 내측에서 종료되고 있기 때문에, 띠모양부의 상단에 단차가 생기기 어렵고, 또한 편성의 최후에 있는 단사가 통모양 편성포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는 외관이 좋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스웨터(통모양 편성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스웨터의 칼라(띠모양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의 편성시작부의 편성예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실시형태1〉
본 실시형태1에서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사용하여 몸통과 소매를 구비하는 스웨터를 편성하는 예를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스웨터(100)(통모양 편성포)는, 몸통(5)과 좌측 소매(6L)와 우측 소매(6R)를 구비한다. 몸통(5)은, 편의상 앞쪽 몸통(5F)과 뒤쪽 몸통(5B)으로 나눌 수 있고, 그 몸통(5)의 네크라인(7)에는 편성에 의하여 칼라(8)가 접속되어 있다. 몸통(5)은, 제1베이스부(11)(뒤쪽 몸통(5B))와 제2베이스부(12)(앞쪽 몸통(5F))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1)이다. 한편 칼라(8)는, 통모양으로 형성된 띠모양부(2)이다.
몸통(5)의 웨일방향(굵은 선 화살표를 참조)은, 옷단으로부터 네크라인(7)을 향하는 방향이다. 그 때문에, 네크라인(7)은 몸통(5)(통모양 베이스부(1))의 웨일방향의 종단부(終端部)(10)로 구성된다. 한편 칼라(8)의 웨일방향은, 몸통(5)의 둘레방향, 즉 네크라인(7)의 둘레방향(굵은 선 화살표를 참조)을 따르고 있다. 칼라(8)의 시단(始端)과 종단은 코빼기 처리부(9)에서 접속된다. 코빼기 처리부(9)는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예의 스웨터(100)는 봉제 없이 제조되어 있다.
도1의 스웨터(100)는,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다.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도2의 편성 이미지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T+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 사용하는 횡편기는 4베드 횡편기이지만, 2베드 횡편기로 하여도 좋다. 도면 중의 FD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를, FU는 상부 앞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를, BD는 하부 뒤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BU는 상부 뒤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를 나타낸다. BD, BU는 FD, FU에 대하여 좌우로 래킹(racking)이 가능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다. 도2에서는, 몸통(5)을 통모양 베이스부(1), 뒤쪽 몸통(5B)을 제1베이스부(11), 앞쪽 몸통(5F)을 제2베이스부(12), 칼라(8)를 띠모양부(2)로 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가로방향의 막대는, 통모양 베이스부(1)와 띠모양부(2), 및 후술하는 편성시작부(3)와 접속부(4)의 전후의 경계를 나타낸다. 띠모양부(2)는, 스웨터(100)(도1)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층(21)과, 스웨터(100)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층(22)으로 구성된다.
본 예의 스웨터(100)를 편성하는 경우에, 도2의 T1의 우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베이스부(11)가 BD에 결합되고, 제2베이스부(12)가 FD에 결합된 통모양 베이스부(1)를 편성한다(공정A). 본 예의 통모양 베이스부(1)는, 1×1의 하프 게이지 편성(half gauge knitting)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다. 『1×1의 하프 게이지 편성』은,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을 1개씩 배치한 상태로 편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예와는 다르게 통모양 베이스부(1)는, 총침편성(full gauge knitting)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어도 좋다. 『총침편성』은,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이 없는 상태로 편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에 T1의 좌측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있어서, BD에 결합되는 외층 편성시작부(31)와, FU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32)를 구비하는 편성시작부(3)를 편성한다(공정B). 또한 공정B에서는 편성시작부(3)와 더불어,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41)와,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42)로 구성되는 접속부(4)를 FD에 편성한다. 즉 접속부(4)는, 편성시작부(3)와는 다른 니들베드에 편성된다. 이 접속부(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의 종단에 접속되어 띠모양부(2)의 시단과 종단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편성시작부(3)와 접속부(4)는, 1×1의 하프 게이지 편성에 의하여 편성된다. FD에 있어서, 외층 접속부(41)의 스티치와 내층 접속부(42)의 스티치는 편성폭방향으로 교대로 나열되어 있다. 이 공정B의 상세한 편성순서의 일례에 대해서는,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2에서는, 외층 편성시작부(31)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외층(21)과, 내층 편성시작부(3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내층(22)을 통모양으로 편성하면서, 띠모양부(2)와 제1베이스부(11)를 연결시킨다(공정C의 일부). 이 공정은, 특허문헌1, 2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띠모양부(2)를 제1베이스부(11)를 향하여 이동시켜, 띠모양부(2)의 스티치와 제1베이스부(11)의 지면 좌측의 단부 스티치를 포갠다. 그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띠모양부(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새로운 띠모양부(2)의 편성코스를 형성한다. 이 띠모양부(2)의 이동과 띠모양부(2)의 편성을 반복한다. T2를 하는 동안에 접속부(4)는 FD에 결합된 채로 전혀 이동되지 않는다. 본 예와는 달리 제1베이스부(11)를 띠모양부(2)를 향하여 이동시켜, 띠모양부(2)의 스티치와 제1베이스부(11)의 단부 스티치를 포갤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제1베이스부(11)에 접속되는 스티치는, 내층(22)에 있어서의 제1베이스부(11) 측의 단부 스티치 또는 단부 스티치로부터 3개 이내의 스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베이스부(11)와 내층(22)을 접속함으로써, 띠모양부(2)와 통모양 베이스부(1)의 이음매가 스웨터(100)(도1)의 외측에서 보이기 어렵게 된다.
또한 T2에서는, 띠모양부(2)와 제1베이스부(11)의 연결을 종료한 후에 띠모양부(2)와 제2베이스부(12)를 연결시킨다(공정C의 잔부). 이 공정도 특허문헌1, 2에 기재되어 있는 공지의 공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띠모양부(2)를 제2베이스부(12)를 향하여 이동시켜, 띠모양부(2)의 스티치와 제2베이스부(12)의 지면 우측의 단부 스티치를 포갠다. 그 더블 스티치를 포함하는 띠모양부(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하여, 새로운 띠모양부(2)의 편성코스를 형성한다. 이 띠모양부(2)의 이동과 띠모양부(2)의 편성을 반복한다.
띠모양부(2)와 통모양 베이스부(1)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가 T3에 나타나 있다. 통모양 베이스부(1)와의 접속이 끝난 띠모양부(2)는, 접속부(4)에 대향(對向)하는 위치로 되돌아가 있다. 테두리 안을 비워 둔 화살표는, 띠모양부(2)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와의 접속측이다. T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의 두께방향(지면의 상하방향)에 있어서, 내층(22)의 웨일방향의 종단(22e)과 내층 접속부(42)가 근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스웨터(100)의 편성을 스웨터(100)의 내측에서 끝내기 위하여, 다음 T4에서 설명하는 로테이션이 필요해진다. 그 준비로서, 띠모양부(2)의 내층(22)을 BD로 트랜스퍼하여 둔다. 띠모양부(2)의 외층(21)과 내층(22)은 1×1의 하프 게이지 편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T3에서는, 상방을 향하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BD에 있어서의 외층(21)의 공침으로 내층(22)의 스티치를 트랜스퍼한다.
T4에서는, 굵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테이션에 의하여 띠모양부(2)와 접속부(4)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공정D). 그 결과, 내층(22)의 웨일방향의 종단(22e)과 내층 접속부(42)가 띠모양부(2)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상태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고, 외층(21)의 웨일방향의 종단(21e)과 외층 접속부(41)가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상태로부터 근접한 상태가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띠모양부(2)를 시계방향으로, 접속부(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있다. 로테이션은,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띠모양부(2)의 우측의 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접속부(4)의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접속부(4)의 좌측의 스티치로부터 순차적으로 띠모양부(2)의 스티치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공정D를 함으로써, 띠모양부(2)를 구성하는 스티치와 접속부(4)를 구성하는 스티치의 좌우의 배열이 바뀌어, 띠모양부(2)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와의 접속측은, 테두리 안을 비워 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면의 좌측이 된다.
T5에서는, 띠모양부(2)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와의 접속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외층(21)의 웨일방향의 종단(21e)과 외층 접속부(41)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다(공정E의 일부). 코빼기 처리는, 공지의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층(21)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스티치를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에 계속되는 스티치(코빼기)를 편성하는 것과, 외층 접속부(41)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2개의 스티치를 포개고, 그 더블 스티치에 계속되는 스티치(코빼기)를 편성하는 것을 교대로 반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종단(21e)과 외층 접속부(41)의 코빼기 처리가 종료되면, 상기 접속측의 반대측(지면의 우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내층(22)의 웨일방향의 종단(22e)과 내층 접속부(42)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다(공정E의 잔부).
이상에서 설명한 편성공정에 따라 편성된 스웨터(통모양 편성포)(100)의 띠모양부(2) 근방의 확대도를 도3에 나타낸다. 이 통모양 편성포(100)는, 띠모양부(2)의 시단과 종단이 코빼기에 의하여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코빼기 처리부(9)를 구비한다. 코빼기 처리부(9)는, 도2의 T5에 의하여 형성된다. 도3에서는, 코빼기 처리부(9)를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3에서는, 띠모양부(2)의 편성폭방향(양단에 화살촉을 갖는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에 있어서의 통모양 베이스부(1)와 접속되는 단부를 띠모양부(2)의 하단(下端)(2d)으로 하고, 하단(2d)의 반대측의 단부를 상기 띠모양부(2)의 상단(上端)(2u)으로 하여 설명한다.
코빼기 처리부(9)는, 원호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2d)으로부터 상단(2u)을 향하여 외층(21)의 웨일방향의 종단(21e)과 외층 접속부(41)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상단(2u)으로부터 하단(2d)을 향하여 내층(22)의 웨일방향의 종단(22e)과 내층 접속부(42)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하고 있다. 즉 본 예의 통모양 편성포(100)에서는, 통모양 편성포(100)의 편성이 띠모양부(2)의 내측 또한 하단(2d) 측에서 종료되고 있다. 그 때문에 본 예의 구성에 의하면, 종래의 편성에 있어서 칼라(8)의 편성 후의 실처리 장소가 되는 띠모양부(2)의 상단(2u)에 볼록모양의 단차가 생기지 않고, 또한 편성의 최후에 있는 단사(端絲)(9e)가 통모양 편성포(100)의 내측에 배치되어 단사(9e)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다. 이와 같은 통모양 편성포(100)는 뛰어난 외관을 갖는다.
또한 코빼기 처리부(9)에 있어서, 띠모양부(2)의 시단과 종단이 통모양으로 연통(連通)하고 있다. 그 때문에 띠모양부(2)에 구멍을 형성하여 두면, 그 구멍을 통하여 띠모양부(2)의 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끈모양의 부재 등을 삽입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도2의 T4의 로테이션을 하지 않고, 외층(21)과 외층 접속부(41)의 접합을 내층(22)과 내층 접속부(42)의 접합보다도 먼저 하면, 외층(21)과 내층(22)이 합쳐져 버린다. 한편 로테이션을 하지 않고, 내층(22)과 내층 접속부(42)의 접합을 외층(21)과 외층 접속부(41)의 접합보다도 먼저 하면, 외층(21)과 내층(22)이 합쳐지는 경우는 없다. 그러나 통모양 편성포(100)의 편성이 통모양 편성포(100)의 외측에서 끝나게 되기 때문에, 단사(9e)가 통모양 편성포(100)의 외부에 노출되어 버린다.
다음에 편성시작부(3)와 접속부(4)의 구체적인 편성순서의 일례를 도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 중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검은 점은 FD, FU, BD, BU의 편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V 마크는 걸림 스티치(pick up stitch, 스티치의 일종)를, 역삼각형 마크는 얀피더를, 직선 화살표는 트랜스퍼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 행해진 편성동작은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S1에는, 통모양 베이스부(1)의 제1베이스부(11)가 BD의 편침에, 제2베이스부(12)가 FD의 편침에 결합된 상태가 나타나 있다. 통모양 베이스부(1)는, 1×1의 하프 게이지 편성에 의하여 편성되어 있다. S1에서는, 얀피더를 지면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통모양 베이스부(1)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있어서의 BD의 편침에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다. 다음에 얀피더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FD의 편침 중에서 외층 편성시작부(31)의 스티치에 대향하는 편침에 외층 접속부(41)의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다. 외층 접속부(41)의 걸림 스티치는,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걸림 스티치에 대향하는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그러나 양 걸림 스티치가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면 교차사가 짧아지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9)의 마무리가 깔끔해진다.
S2에서는, 얀피더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걸림 스티치에 포개지는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 후에, 얀피더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외층 편성시작부(31)의 스티치가 이중 걸림 스티치(이중(二重)의 스티치)가 된다. 그 결과, 외층 편성시작부(31)와 외층 접속부(41)의 각 스티치를 연결하는 교차사의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의 시단과 종단을 연결시켰을 때에 외층 편성시작부(31)와 외층 접속부(41)의 사이에 구멍이 생기기 어렵다. 여기에서 S2는 필수공정은 아니고, 생략할 수 있다. 고신축성의 편사를 사용하는 경우에, S2를 하지 않더라도 편성시작부(3)와 접속부(4)의 사이에 구멍이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후에 S1과 S2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D에 결합되는 외층 편성시작부(31)와 FD에 결합되는 외층 접속부(41)가 형성된다. 외층 편성시작부(31)의 각 스티치와 외층 접속부(41)의 각 스티치는, S1 및 S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된 상태가 된다. S2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S1을 반복하면 좋다.
S4에서는, 얀피더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BD의 편침에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다.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걸림 스티치는, 외층 편성시작부(31)의 인접하는 2개의 이중 걸림 스티치 사이에 편성된다. 또한 S4에서는, 얀피더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FD의 편침에 내층 접속부(42)의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다. 내층 접속부(42)의 걸림 스티치는, 외층 접속부(41)의 인접하는 2개의 걸림 스티치 사이에 편성된다.
S5에서는, 얀피더를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FU의 편침에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걸림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걸림 스티치는, S4에 있어서 BD에 편성한 걸림 스티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편성된다. S5는 필수공정은 아니고, 생략할 수 있다. 이 S5의 걸림 스티치도, BD의 걸림 스티치에 대향하는 위치가 아니어도 좋다.
이후에 S4와 S5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S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BD 및 FU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32)와 FD에 결합되는 내층 접속부(42)가 형성된다. 다음에 S7에서는, BD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걸림 스티치를 FU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32)의 걸림 스티치에 포갠다. 그 결과, FU의 편침에 이중의 걸림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편성시작부(32)가 형성된다. 내층 편성시작부(32)를 이중의 걸림 스티치로 형성함으로써,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의 시단과 종단을 연결시켰을 때에 내층 편성시작부(32)와 내층 접속부(42)의 사이에 구멍이 생기기 어렵다.
여기에서 S7에 있어서의 걸림 스티치를 트랜스퍼할 때에, FD와 BD의 사이를 지나는 교차사가 얽히는 경우가 없다. 외층 편성시작부(31)의 스티치와 외층 접속부(41)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한 후에, 내층 편성시작부(32)의 스티치와 내층 접속부(42)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내층 편성시작부(32)와 내층 접속부(42)를 먼저 편성하면, S7에 있어서의 걸림 스티치를 트랜스퍼할 때에 교차사가 얽혀, 외층 편성시작부(31)와 내층 편성시작부(32)가 합쳐져 버린다.
S7의 이후에는, 도2의 T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모양부(2)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새로운 띠모양부(2)를 편성하면서 그 띠모양부(2)를 통모양 베이스부(1)에 접속하면 좋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스웨터 이외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에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니트 스커트를 편성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니트 스커트의 허리부분을 띠모양부로 하면, 허리부분의 전체 둘레에 걸쳐 고무를 삽입할 수 있다.
100 : 스웨터(통모양 편성포)
1 : 통모양 베이스부 10 : 종단부
11 : 제1베이스부 12 : 제2베이스부
2 : 띠모양부
2d : 하단 2u : 상단
21 : 외층 22 : 내층 21e, 22e : 종단
3 : 편성시작부
31 : 외층 편성시작부 32 : 내층 편성시작부
4 : 접속부
41 : 외층 접속부 42 : 내층 접속부
5 : 몸통(통모양 베이스부)
5F : 앞쪽 몸통 5B : 뒤쪽 몸통
6L : 좌측 소매 6R : 우측 소매
7 : 네크라인
8 : 칼라(띠모양부)
9 : 코빼기 처리부 9e : 단사

Claims (4)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終端部)를 주회(周回)하도록, 외층(外層)과 내층(內層)이 통모양으로 연결된 띠모양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부가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고, 상기 제2베이스부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된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공정A와,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편성범위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일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외층 편성시작부와,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내층 편성시작부를 편성하는 공정B와,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웨일방향으로 계속되는 상기 내층을 통모양으로 편성하면서,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제1베이스부를 연결시킨 후에,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제2베이스부를 연결시키는 공정C를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서는,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cross-over yarn)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와,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교차사로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로 구성되는 접속부를 상기 타측 니들베드에 형성하고,
    상기 공정C를 한 후에, 로테이션(rotation)에 의하여 상기 띠모양부와 상기 접속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상기 띠모양부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근접한 상태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하고,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상기 두께방향에 있어서 떨어진 상태로부터 근접한 상태로 하는 공정D와,
    상기 띠모양부에 있어서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와의 접속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bind-off process)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상기 접속측의 반대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하는 공정E를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와 상기 외층 접속부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한 후에,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스티치와 상기 내층 접속부의 스티치를 교대로 편성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 편성시작부와 상기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를 이중(二重)의 스티치로 하는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베이스부와 제2베이스부가 통모양으로 연결된 통모양 베이스부와,
    외층과 내층이 통모양으로 연결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종단부에 접속되는 띠모양부를
    구비하고,
    상기 띠모양부의 웨일방향이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의 둘레방향을 따르고 있는 통모양 편성포로서,
    상기 외층의 시단(始端)인 외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외층 접속부와,
    상기 내층의 시단인 내층 편성시작부의 각 스티치에 연결되는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내층 접속부와,
    상기 띠모양부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통모양 베이스부와 접속되는 단부(端部)를 상기 띠모양부의 하단(下端)으로 하고, 상기 하단의 반대측에 있는 단부를 상기 띠모양부의 상단(上端)으로 하였을 때에, 상기 하단으로부터 상기 상단을 향하여 상기 외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외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한 후에,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하단을 향하여 상기 내층의 웨일방향의 종단과 상기 내층 접속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코빼기 처리부를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
KR1020200020338A 2019-02-21 2020-02-19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2266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29868A JP7252005B2 (ja) 2019-02-21 2019-02-21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JPJP-P-2019-029868 2019-0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2368A KR20200102368A (ko) 2020-08-31
KR102266807B1 true KR102266807B1 (ko) 2021-06-17

Family

ID=72139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338A KR102266807B1 (ko) 2019-02-21 2020-02-19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52005B2 (ko)
KR (1) KR102266807B1 (ko)
CN (1) CN111593471B (ko)
DE (1) DE102020201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95320B (zh) * 2023-05-24 2024-01-12 浙江启翔针织科技有限公司 全成型下摆满针圆筒组织以及编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CO990031A1 (it) * 1999-11-15 2001-05-15 Franco Sciacca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articoli tridimensionali di maglieria e calzetteria e prodotti risultanti.
TW490521B (en) * 2000-06-02 2002-06-11 Shima Seiki Mfg Method of knitting neck portion of knit wear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the knit wear
US6779367B2 (en) * 2002-05-22 2004-08-24 Sara Lee Corporation Brassie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wo seamless circular knit double layer brassieres from a single blank
JP3968100B2 (ja) * 2002-08-29 2007-08-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ITMI20031368A1 (it) * 2003-07-03 2005-01-04 Santoni & C Sp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manufatti a maglia per la realizzazione di capi di abbigliamento del tipo body, top, magliette, reggiseni, mutande o simili, senza cuciture laterali, con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US20050124249A1 (en) * 2003-12-09 2005-06-09 Uribarri Peter V. Abrasion-resistant sleeve for wiring and the like
JP2006233363A (ja) * 2005-02-25 2006-09-07 Kaytay Knit Inc 丸編生地における柄組織
WO2007020829A1 (ja) * 2005-08-12 2007-02-22 Shima Seiki Mfg., Ltd.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5058817B2 (ja) * 2005-11-17 2012-10-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ボーダー柄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5804729B2 (ja) * 2011-03-01 2015-11-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5979911B2 (ja) * 2012-02-27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終端部のパイピング処理方法
JP6025484B2 (ja) 2012-10-03 2016-11-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伏目方法、および編地
JP5980098B2 (ja) * 2012-11-07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2015110849A (ja) * 2013-12-06 2015-06-1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6505041B2 (ja) * 2016-03-15 2019-04-2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593471B (zh) 2021-08-27
CN111593471A (zh) 2020-08-28
JP2020133064A (ja) 2020-08-31
JP7252005B2 (ja) 2023-04-04
DE102020201447A1 (de) 2020-08-27
KR20200102368A (ko) 202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238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JP654162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KR101449915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2266807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6738788B2 (ja) ニットウェアの編成方法
JP6037759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JP5905221B2 (ja) 編地の接合方法、および編地
KR102554111B1 (ko) 편성방법
CN111041684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编织物
KR102266801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CN113512806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编织物
JP4233176B2 (ja) 二層状ニットスカートの製造方法
KR100610750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JP4814078B2 (ja) 編地の端部を伏せ目処理する方法および伏せ目処理された編地
JP7357506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3121278B2 (ja) 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及び該編地終端部の編成方法により編成された編地
JP7233205B2 (ja)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CN115704128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CN115787176A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JP2013194342A (ja) 縫い代を備える編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