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9915B1 -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915B1
KR101449915B1 KR1020130130887A KR20130130887A KR101449915B1 KR 101449915 B1 KR101449915 B1 KR 101449915B1 KR 1020130130887 A KR1020130130887 A KR 1020130130887A KR 20130130887 A KR20130130887 A KR 20130130887A KR 101449915 B1 KR101449915 B1 KR 10144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stitch
base portion
stitches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130A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59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의 일부로부터 주 베이스부의 내외로 분기된 중첩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11)와, 그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개방부(120)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12)와, 이 개방부(120)에 인접하고 또한 주 베이스부(11)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되는 내측 중첩부(21) 및 외측 중첩부(22)를 편성한다. 주 베이스부(11)의 편성에 계속하여 왕복편성공정과 공침형성공정을 반복하여, 개구 베이스부(12)의 스티치열을 형성하면서 공침에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 및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를 형성한다. 내측 중첩부(21)(외측 중첩부(22))의 테두리의 스티치와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외측용 걸림 스티치(122))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각 중첩부(21, 22)와 개구 베이스부(12)를 접속한다.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筒)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軸方向)으로 연장되어 동(同) 편성포의 내외로 분기(分岐)된 중첩부(重疊部)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통 모양 베이스부(base部)의 일부가 분기된 중첩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넥라인(neck line)의 중앙부에서 내층(內層)측의 칼라와 외층(外層)측의 칼라가 2층으로 중첩되는 V자 모양의 칼라를, 바늘을 1개 걸러서 사용한 드로오프 편성(draw-off 編成)에 의하여 형성하는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00288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1의 기술에서는, V자 모양의 넥라인을 형성할 때에, 편성폭을 감소시키면서 되돌림 편성을 하기 위한 넥라인의 V자 모양의 개방각도가 어느 정도 큰 것에 한정된다는 제약이 있다. 예를 들면 폴로셔츠의 플래킷(placket)과 같이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동 편성포의 내외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방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가 되는 편성포를 편성할 수 없다.
플래킷을 구비하는 편성포는, 플래킷의 전후 일방(一方)의 편성포부(내측 플래킷)와 타방(他方)의 편성포부(외측 플래킷), 및 뒤쪽몸통(제2몸통)에 의하여 3층이 되는 장소를 구비한다. 이 3층 구조의 부분을, 특허문헌1과 같이 바늘을 1개 걸러서 사용한 드로오프 편성에 의하여 하면, 스티치를 결합하는 편침과 공침(空針)의 관계로부터 3층 부분에서는 백스티치(back stitch)를 편성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2개 걸러서 바늘을 사용한 드로오프 편성으로 함으로써 여분으로 공침을 확보할 수 있어, 외측 플래킷에 백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러나 2개 걸러서 드로오프를 하는 장소는 1개 걸러서 드로오프를 하는 것에 비하여 스티치가 드문드문하기 때문에, 플래킷에 의한 중첩부와 중첩부 이외(통 모양 편성포 부분)는 촉감이 다를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통 모양부를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主 base部)의 일부로부터 주 베이스부의 내외로 분기된 중첩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와 동일한 촉감의 중첩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통(筒) 모양 부분을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主 base部)와, 그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개방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開口 base部)와, 이 개방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分岐)되는 내측 중첩부(內側 重疊部) 및 외측 중첩부(外側 重疊部)를 편성한다. 이 통 모양 편성포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측을 중앙측, 개방부로부터 편성폭방향의 양단부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할 때에, 이하의 공정(α)∼(δ)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림 스티치형성공정(α) : 이하의 공정(α1)과 공정(α2)을 반복하여 하고, n + 1회째(단, n은 1 이상의 정수)의 공정(α1)에 있어서 스티치열을 편성하면서, n회째의 상기 공정(α1) 및 공정(α2)에서 형성된 공침에 내측용 걸림 스티치와 외측용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여 개구 베이스부의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으로 한다.
·왕복편성공정(往復編成工程)(α1) : 주 베이스부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 중에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상기 각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을 정지상태로 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잔부(殘部)의 편침에 의하여 개구 베이스부의 스티치열(stitch列)을 편성한다.
·공침형성공정(孔針形成工程)(α2) : 왕복편성공정에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된 개구 베이스부의 스티치열 중에서, 중앙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공침(空針)을 형성한다.
중첩부 편성시작 공정(β) :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에 내측 중첩부와 외측 중첩부의 각 편성시작부를 형성한다.
내측 중첩부 형성공정(γ) : 상기 내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내측 중첩부가 되는 스티치열을 왕복편성하면서, 상기 스티치열의 외측 가장자리측의 스티치를 상기 내측용 걸림 스티치에 접속한다.
외측 중첩부 형성공정(δ) : 상기 공정(γ)의 후에, 상기 외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외측 중첩부가 되는 스티치열을 왕복편성하면서, 상기 스티치열의 외측 가장자리측의 스티치를 상기 외측용 걸림 스티치에 접속한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를 주 베이스부의 통 모양부의 축방향을 향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여 개구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가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게 되도록, 왕복편성의 되돌림 위치를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변경하면서 개구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또한 공정(α2)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된 스티치열 중에서, 외측 가장자리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의 1형태로서, 공정(δ)의 뒤에, 상기 공정(α2)에서 이루어진 돌려넣기를 역방향으로 되돌리는 되돌림 공정(ε)을 구비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서, 통 모양 부분을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와, 그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개방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와, 이 개방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되는 내측 중첩부 및 외측 중첩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구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개방부의 일방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내측용 걸림 스티치 및 타방의 측에 형성되는 외측용 걸림 스티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 중첩부의 개구 베이스부에 인접하는 테두리의 스티치와 상기 내측용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내측 중첩부와 개구 베이스부를 접속하는 내측 접합부(內側 接合部)와, 상기 외측 중첩부의 개구 베이스부에 인접하는 테두리의 스티치와 상기 외측용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외측 중첩부와 개구 베이스부를 접속하는 외측 접합부(外側 接合部)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예를 들면 폴로셔츠의 플래킷과 같이 통 모양 편성포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동 편성포의 내외로 중첩되는 중첩부를 구비하고, 그 중첩부의 개방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가 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프론트 스티치 및 백스티치를 구비하는 조직의 중첩부를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가터조직(garter組織)이나 리브조직(rib組織) 등의 조직패턴(structure pattern)의 선택의 자유도(自由度)가 높다. 또한 각 베이스부와 각 중첩부를 공통으로 하는 드로오프 상태에서 편성할 수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전체에 걸쳐서 촉감(돋보임)을 구비할 수 있다.
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에 대하여, 주 베이스부의 통 모양부의 축방향을 향하여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양쪽 중첩부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첩되어, 그 개방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티치의 수가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게 되도록, 왕복편성의 되돌림 위치를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변경하면서 개구 베이스부를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면 V자 모양의 넥라인과 같이 통 모양 편성포의 일부에 중첩부를 구비한 상태에서 개방부에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어느 정도 큰 개방각도밖에 편성할 수 없었던 종래의 편성방법과 비교하여, 작은 개방각도의 넥라인을 편성할 수 있다.
전후의 니들베드의 각각에 결합되는 각 편성포부 있어서 양단부의 스티치 상호간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에 있어서의 중앙측 끝부의 스티치의 이동에 따라 외측 가장자리측 끝부의 스티치도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이동시키면, 전후의 편성포부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가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공정(α2)의 돌려넣기에 의하여 이 교차사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돌려넣기를 하면,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와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의 경계위치가 변경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스웨터의 경우에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의 경계위치가 변경되어 버린다. 되돌림 공정(ε)을 함으로써 변경되어 버린 경계위치를 원래상태로 되돌릴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의 상단부 상호간을 접합하여 어깨부를 형성하면, 전후 몸통의 균형이 적절한 스웨터를 편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각 베이스부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의 간격과, 각 중첩부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편성포의 전체에 걸쳐서 촉감(미려함)이 구비되어 있어 고품질이다. 프론트 스티치 및 백스티치를 구비하는 조직의 각 중첩부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조직패턴의 선택의 자유도가 높다. 또한 이러한 조직패턴을 구비함으로써 편사의 컬(curl)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강도가 높은 각 중첩부로 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스웨터의 개략도이다.
도2는,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중첩부를 편성하는 순서를 나타내는 편성공정 이미지 도면이다.
도3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중첩부의 편성공정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스웨터의 개략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함과 아울러, 적어도 일방(一方)의 니들베드가 래킹(racking) 가능한 2매 베드 횡편기(2枚 bed 橫編機)를 사용한 스웨터(sweater)의 편성예를 설명한다. 4매 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실시형태1>
도1은, 실시형태1에 나타내는 스웨터(100)의 개략도이다. 스웨터(편성포)(100)는, 몸통(주 베이스부(主 base部)(11) 및 개구 베이스부(開口 base部)(12))과, 우측소매(10R)와, 좌측소매(10L)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편성포부(base 編成布部)(1)를 구비한다. 개구 베이스부(12)는 C자 모양이고, 개방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구비하고 또한 그 개방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주 베이스부(11)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分岐)되는 중첩부(重疊部)(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웨터(100)에 있어서의 주 베이스부(11) 및 개구 베이스부(12)는 플레인 스티치 편성(plain stitch 編成)이며, 각 중첩부(21, 22)는 가터편성(garter編成)이다. 또한 몸통의 넥라인(neck line)에는 밖으로 꺾어서 넘기도록 만든 칼라(collar)(10C)를 구비한다. 또 소매(10R, 10L), 칼라(10C)는 필수가 아니며, 없더라도 상관없다.
스웨터(100)에 구비되는 중첩부(2)는, 내측 중첩부(內側 重疊部)(21)와, 외측 중첩부(外側 重疊部)(22)로 이루어지고, 이들 중첩부(21, 2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별적으로 편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웨터(100)의 특징 중 하나는, 각 중첩부(21, 22)와 개구 베이스부(12)의 특정범위가 각각 걸림 스티치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것에 있다. 또 각 중첩부(21, 22)와 개구 베이스부(12)는, 걸림 스티치를 통하여 서로 접속되는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과, 연속하여 일련(一連)으로 편성되는 일련 편성영역(4)을 구비한다. 여기에서는, 통(筒) 모양 편성포의 개방부(120)가 형성되는 측을 중앙측, 개방부(120)로부터 편성폭방향의 양단부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가장자리측이라고 한다(도2 참조).
[걸림 스티치 형성공정(α)]
우선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부(2)의 하단이 되는 위치까지 통 모양의 편성포 부분인 주 베이스부(11)를 편성한다. 계속하여 이 주 베이스부(11)의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둘레방향으로 개방부(120)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12)를 편성한다. 개구 베이스부(12)의 편성은,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을 정지상태로 하고,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를 주 베이스부(11)의 축방향을 향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C자 모양으로 왕복편성을 한다(왕복편성공정(往復編成工程)(α1)). 이 왕복편성을 할 때에 개구 베이스부(12)에 있어서 앞쪽 니들베드의 외측 가장자리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돌려넣는다. 이 돌려넣기에 따라 중앙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이동시켜서 공침(空針)을 형성한다(공침형성공정(孔針形成工程)(α2)). 이 공침도 포함시켜서 왕복편성(공정(α1))을 함으로써, 이 공침에 내측 중첩부(21)와 접합하기 위한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와 외측 중첩부(22)와 접합하기 위한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를 형성한다. 공정(α1) 및 공정(α2)을 반복하여 함으로써,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중첩부(2)의 폭)의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수에 대응한 수의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와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를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형성한 걸림 스티치(121, 122)는,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좌우 양쪽 외측 가장자리측의 니들베드에 결합된다.
[중첩부 편성시작 공정(β)]
다음에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에 내측 중첩부(21)의 편성시작부(211)와, 외측 중첩부(22)의 편성시작부(221)를 형성한다. 상기 공정(α1)에서 편성에 사용하지 않은 스티치를 기점(基點)으로 하여, 근방의 공침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함으로써 코늘임 스티치를 하여 각 중첩부(21, 22)의 편성시작부(211, 221)를 형성한다.
[내측 중첩부 형성공정(γ)]
도2(C)에 있어서, 도2(B)에서 형성한 내측 중첩부(21)의 편성시작부(211)에 계속하여 내측 중첩부(21)를 왕복편성하면서, 당해 내측 중첩부(21)의 외측 가장자리측 끝부의 스티치를 개구 베이스부(12)의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에 접속한다. 내측 중첩부(21)의 왕복편성에 따르는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와의 접속을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의 수에 대응하여 반복한다.
[외측 중첩부 형성공정(δ)]
내측 중첩부 형성공정과 마찬가지로 도2(D)에 있어서, 도2(B)에서 형성한 외측 중첩부(22)의 편성시작부(221)에 계속하여 외측 중첩부(22)를 왕복편성하면서, 당해 외측 중첩부(22)의 외측 가장자리측 끝부의 스티치를 개구 베이스부(12)의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에 접속한다. 외측 중첩부(22)의 왕복편성에 따르는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와의 접속을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의 수에 대응하여 반복한다.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있어서의 내측 중첩부(21) 및 외측 중첩부(22)의 편성종료 시에는, 도2(E)와 같이 된다.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있어서의 각 중첩부(21, 22)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stitch列)은, 각각 중첩부(21, 2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으로부터 좌우의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되돌림 공정(ε)]
또한 도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에 계속하여 중첩부(21, 22) 및 개구 베이스부(12)의 일련 편성영역(4)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이 C자 모양의 편성은, 개구 베이스부(12)와 양쪽 중첩부(21, 22)를 연속하여 일련으로 편성하고 있어, 각 중첩부(21, 22)와 개구 베이스부(12)를 걸림 스티치에 의한 접속으로 하지 않는다.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있어서의 각 중첩부(21, 22)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은, 각각 중첩부(21, 2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으로부터 좌우의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양쪽 중첩부(21, 22)가 내외로 중첩되는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각 중첩부(21, 22)와 개구 베이스부(12)를 일련으로 편성할 수 있다. 일련 편성영역(4)에 있어서, C자 모양의 편성을 하면서,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이 접속되는 스웨터의 어깨부의 편성 타이밍을 고려하여, 적절할 때에 도2(A)에서 돌려넣고 있었던 스티치를 원래상태로 되돌린다. 이에 따라 도2(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의 경계위치가 원래로 돌아가서, 내측 중첩부(21)와 외측 중첩부(22)가 중첩되는 상태로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를 주 베이스부(11)의 축방향을 향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왕복편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양쪽 중첩부(21, 22)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첩되게 되어 중첩부(21, 22)의 개방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이다. 이 되돌림은 예를 들면 스웨터와 같이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이 어깨부에서 접합되어, 양쪽 몸통의 편성폭방향의 경계위치가 중요하게 되는 통 모양 편성포의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는, 바지의 지퍼(zipper)와 같이 중첩부의 상단이 열린 상태의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고, 그 경우에는 특히 되돌림은 필요 없다.
다음에 구체적인 편성순서를 도3의 편성공정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좌란(左欄)의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우란(右欄)은 각 편성공정에 있어서의 니들베드의 편성상태를 나타낸다. A∼F'의 검은 점은 편침, ●표시는 니트 스티치(knit stitch), ○표시는 편침에 결합되는 구스티치(舊stitch), ◎표시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 V는 걸림 스티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8, 9) 방향을 외측 가장자리측, 각 화살표의 반대방향을 중앙측이라고 한다. 또 스티치가 이동할 때에 이루어지는 앞쪽 니들베드(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이하, BB)의 상대적인 래킹(racking)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사용하는 바늘의 수는 실제의 편성보다 적게 되어 있다.
도3의 S1은, 도2(A)에 나타내는 개구 베이스부(12)를 편성하기 직전의 주 베이스부(11)의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주 베이스부(11)의 스티치는, 1개 걸러서 편침에 결합되어 FB의 편침(E∼A') 및 BB의 편침(F∼B')에 결합되어 있다.
[걸림 스티치 형성공정(α) : S2∼S4]
S2에서는, 중첩부(21, 2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에 있는 FB의 편침(M, O, Q, S)을 정지상태로 하고, FB의 편침(K, U)에 의하여 되돌려서 잔부(殘部)의 FB, BB의 편침에 의하여 C자 모양으로 스티치열을 편성한다(왕복편성공정(α1)).
S3에서는, FB의 편침(E)의 스티치를 BB의 편침(D)으로 트랜스퍼(돌려넣기) 함과 아울러, FB의 편침(G, I, K)의 스티치를 좌측 외측 가장자리측(8)으로 2바늘만큼 트랜스퍼 한다. 또한 FB의 편침(U, W, Y, A')의 스티치를 우측 외측 가장자리측(9)으로 2바늘만큼 트랜스퍼 한다. 스티치를 양쪽 외측 가장자리측(8, 9)으로 트랜스퍼 함으로써 FB의 중앙측의 편침(K, U)이 공침(空針)이 된다(공침형성공정(α2)). 이 상태에서 FB의 편침(K, U)에 의하여 되돌려서 C자 모양으로 스티치열을 편성한다(왕복편성공정(α1)). 이 때에 공침이었던 편침(K, U)에 걸림 스티치(외측용 걸림 스티치(122)와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를 형성한다.
상기 S3을 반복하여(돌려넣기는 좌우 외측 가장자리측을 교대로 한다), S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FB의 편침(E, G, I, K)에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를, 편침(U, W, Y, A')에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를 형성한다(도2(A) 참조). 돌려넣기는, FB, BB의 외측 가장자리측(8, 9)의 양단 스티치가 멀어지는 것에 의한 교차사(cross-over yarn)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기에서는 각 편성시작부(211, 221)의 스티치 수의 반수(半數)에 상당하는 스티치를 돌려넣고 있다. 또한 좌우 외측 가장자리측(8, 9)의 각 끝부의 스티치를 교대로 돌려넣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외측 가장자리측(8, 9)의 양단의 스티치가 돌려넣어진다. 각 걸림 스티치(121, 122)가 형성되어 있더라도 왕복편성의 왕로(往路) 또는 귀로(歸路)에서 형성되는 스티치의 수는 각 코스에 있어서 일정하다.
[중첩부 편성시작 공정(β) : S5]
S5에서는, 각 중첩부(21, 2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에 있어서, FB의 정지상태로 한 편침(M, O, Q, S)에 스티치를 형성함과 아울러, 공침(N, P, R, T)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다(도2(B) 참조). 각 중첩부(21, 22)의 편성시작부(211, 221)의 형성방법으로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스플릿 스티치(split stitch)를 하는 것도 들 수 있다. 또한 BB의 공침에 형성한 걸림 스티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편성시작부를 FB, BB 중 어느 것에 형성하는가는, 각 중첩부(21, 22)의 편성시작의 스티치를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 및 백스티치(back stitch) 중 어느 것에 할 것인가에 의하여 결정하면 좋다.
[내측 중첩부 형성공정(γ) : S6∼S9]
공정(β)에서 형성한 내측 중첩부(21)의 편성시작부(211)에 계속하여 왕복편성하면서 내측 중첩부(21)를 형성한다. S6에서는, FB의 편침(N, P, R, T)에 형성된 걸림 스티치에 대하여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한다. S7에서는, FB의 편침(N, P, R, T)의 스티치를 BB의 편침(O, Q, S, U)으로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BB의 편침(U)으로 트랜스퍼 한 스티치를 FB의 편침(U)으로 트랜스퍼 하여 편침(U)에 의하여 더블 스티치를 형성한다. S8에서는, BB의 편침(O, Q, S)에 결합된 스티치에 대하여 백스티치를 편성하고, FB의 편침(U)에 결합된 더블 스티치에 대하여 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한다. 이 더블 스티치에 대한 편성에 의하여 S6에서 FB의 편침(T)에 있는 스티치와 편침(U)의 걸림 스티치를 접속한다.
상기 S7 및 S8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하면서 FB, BB에 의한 편성을 교대로 하여, 프론트 스티치 및 백스티치를 구비하는 가터조직(garter組織)으로 내측 중첩부(21)를 형성하고, S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중첩부(21)의 테두리와 S4에서 나타내는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FB의 편침(U, W, Y, A'))를 접속한다(도2(C) 참조). 이들 접속한 장소(S8의 FB의 편침(U)의 스티치 등)가 내측 접합부(212)가 된다(도2 참조). 이 때에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있어서의 내측 중첩부(21)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은,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으로부터 우측 외측 가장자리측(9)으로 벗어난 위치의 편침에 결합되어 있다.
[외측 중첩부 형성공정(δ) : S10∼S13]
계속하여 공정(β)에서 형성한 외측 중첩부(22)의 편성시작부(221)에 계속하여 왕복편성하면서 외측 중첩부(22)를 형성한다. 외측 중첩부(22)는 내측 중첩부(21)와 실질적으로 대칭이 되도록 편성한다.
상기 S11 및 S12와 동일한 편성을 반복하면서 FB, BB에 의한 편성을 교대로 하여, 프론트 스티치 및 백스티치를 구비하는 가터조직으로 외측 중첩부(22)를 형성하고, S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중첩부(22)의 테두리와 S4에서 나타내는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FB의 편침(E, G, I, K))를 접속한다(도2(D) 참조). 이들 접속한 장소(S12의 FB의 편침(K)의 스티치 등)가 외측 접합부(222)가 된다(도2 참조). 이 때에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있어서의 외측 중첩부(22)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은,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으로부터 좌측 외측 가장자리측(8)으로 벗어난 위치에 결합되어 있다.
내측 중첩부(21)와 내측용 걸림 스티치(121)가 접속하고, 외측 중첩부(22)와 외측용 걸림 스티치(122)가 접속한 상태에서는, 내측 중첩부(21) 및 외측 중첩부(22)는, FB의 편침(M∼T)의 범위에 있어서의 영역에서 중첩된 상태로 되어 있다(도2(E) 참조). 다만 내측 중첩부(21)와 외측 중첩부(22)의 중첩된 부분은, FB의 편침(M∼T)의 범위에 있어서의 영역의 편침에는 결합되어 있지 않다.
상기 공정(α)∼공정(δ)에 의하여 편성한 중첩부(2) 및 개구 베이스부(12)가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에 상당한다(도1, 도2(E)). 또한 스웨터(100)의 넥라인 개구까지의 각 중첩부(21, 22)는, 도2(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3)의 종단코스의 스티치열에 계속되는 왕복편성에 의하여 중첩부(21, 22) 및 개구 베이스부(12)를 연속하여 C자 모양으로 편성한다. 이 연속하여 C자 모양으로 편성한 중첩부(2) 및 개구 베이스부(12)가 일련 편성영역(4)에 상당한다(도1, 도2(F)). 이 일련 편성영역(4)의 각 중첩부(21, 22)도 가터편성으로 편성한다.
[되돌림 공정(ε)]
편성공정도에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S3에서 돌려넣은 스티치를 원래상태로 되돌림으로써, FB의 편침(M∼T)의 범위에 있어서 내측 중첩부(21)와 외측 중첩부(22)가 중첩되기 때문에,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와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편성포부의 경계위치가 원래로 돌아간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중첩부(21)의 웨일방향의 종단을 결합하고 있는 편침(FB의 편침(U, W, Y, A'))의 스티치를, 내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211)를 결합하고 있는 편침(FB의 편침(N, P, R, T))으로 이동하여 되돌린다. 이 이동에 의하여 되돌림에 따라 FB의 편침(C', E')의 스티치를 FB의 편침(U, W)으로, BB의 편침(D' ,F')의 스티치를 FB의 편침(A', Y)으로 이동하여 되돌린다. 마찬가지로 외측 중첩부(22)의 웨일방향의 종단을 결합하고 있는 편침(FB의 편침(E, G, I, K))의 스티치를, 외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221)를 결합하고 있는 편침(FB의 편침(M, O, Q, S))으로 이동하여 되돌린다. 이 이동에 의하여 되돌림에 따라 FB의 편침(A, C)의 스티치를 FB의 편침(I, K)으로, BB의 편침(B, D)의 스티치를 FB의 편침(G, E)으로 이동하여 되돌린다.
상기한 편성공정은, 1개의 캐리어에 의하여 하는 일련편성이 바람직하다. 내측 중첩부(21)와 외측 중첩부(22)에서 색을 변경하거나, 양쪽 중첩부(21, 22)와 베이스 편성포부(1)에서 색을 변경하는 경우 등은 복수의 캐리어에 의하여 편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중첩부(21)를 우측 외측 가장자리측(9)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외측 중첩부(22)를 좌측 외측 가장자리측(8)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였지만, 서로 역방향으로 하더라도 좋다.
상기한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스웨터(100)는, 각 중첩부(21, 22)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의 간격과, 개구 베이스부(12)의 편성에 사용하는 편침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스티치의 크기에 차이가 나기 어렵게 되어 동일한 촉감의 편성포로 할 수 있다. 중첩부(2)에 버튼 홀(button hole)을 형성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2>
도4는, 실시형태2에 나타내는 스웨터(100)의 개략도이다. 실시형태1에서는, 양쪽 중첩부(21, 22)가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첩되게 되어, 각 중첩부(21, 22)의 개방각도가 실질적으로 0도가 되는 통 모양 편성포(스웨터(100))의 편성방법을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도4에 나타내는 V자 모양의 넥라인과 같이 통 모양 편성포의 일부에 중첩부(2)를 구비한 상태에서 개방각도를 형성한 통 모양 편성포(스웨터(100))를 편성할 수도 있다. 0도 넘는 개방각도를 구비하는 중첩부(2)는, 왕복편성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11)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의 수가, 주 베이스부(11)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게 되도록 왕복편성의 되돌림 위치를 변경하면서 개구 베이스부(12)를 형성한다(이하, 되돌림 위치를 변경한 편성을 되돌림 편성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2에서는 왕복편성과 되돌림 편성을 교대로 하고 있다. 실시형태2는, 왕복편성공정(α1)만이 실시형태1과 다르고, 다른 공정에 대해서는 실시형태1과 동일하다. 이하, 실시형태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3의 S3에 있어서, FB의 편침(K, U)을 공침으로 하고, 이 편침(K, U)에 의하여 되돌려서 C자 모양으로 스티치열을 편성하여, 그 편침(K, U)에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다.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 후에 다음 코스의 스티치열을 C자 모양으로 편성할 때에, 예를 들면 FB의 편침(G, Y)에 의하여 되돌려서 되돌림 편성을 한다. 즉 FB의 편침(I, W)을 정지상태로 한다. 이렇게 하면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가, 개구 베이스부(12)의 편성시작 시로부터 2스티치 감소한다. 이 상태에서, 외측 가장자리측 끝부의 스티치의 돌려넣기 및 중앙측 끝부의 스티치의 이동을 함으로써 공침을 형성하여(공정(α2)), 왕복편성을 함으로써(공정(α1)) 걸림 스티치를 형성한다. 공정(α1) 및 공정(α2)을 반복하여 형성하는 걸림 스티치의 수와, 공정(α1)에서 되돌림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정지상태로 하는 스티치 수의 합계가, 중첩부(2)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수에 대응하도록 공정(α1)과 공정(α2)을 반복한다.
개구 베이스부(12)와 각 중첩부(21, 22)는, 형성한 걸림 스티치 및 정지상태의 스티치와, 각 중첩부(21, 22)의 개구 베이스부(12)에 인접하는 테두리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계속되어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접속된다. 되돌림 위치를 변경하여 되돌림 편성을 할 때에,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를 적게 할수록 중첩부(2)의 개방각도는 커지게 된다. 종래에 있어서, 편성폭을 감소시키면서 되돌림에 의한 왕복편성을 하고 있고, 2코스의 왕복편성에서 좌우의 각 앞쪽몸통의 되돌림 위치를 1스티치 감소시키는 것이, V 모양의 넥라인에 있어서의 개방각도가 가장 작은 편성포를 편성하는 편성방법이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구 베이스부(12)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를 감소시킨 되돌림 편성을 하지만, 공정(α)에 의하여 중첩부(2)의 폭방향의 스티치 수에 대응한 수의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고, 공정(β)∼공정(δ)에 의하여 상기 걸림 스티치에 대하여 각 중첩부를 접속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작은 개방각도의 넥라인을 편성할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1, 2에서는,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이 양쪽 소매(10R, 10L)에서 연결되어 있는 스웨터(100)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공침형성공정(α2)에 있어서 분기된 앞쪽몸통(개구 베이스부(12))의 외측 가장자리측 끝부의 스티치의 돌려넣기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예를 들면 노슬리브(no sleeve)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 공침형성공정(α2)에 있어서 상기 돌려넣기는 불필요하다. 노슬리브의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은 개별적으로 편성하기 때문에, 앞쪽몸통의 일부가 되는 개구 베이스부의 스티치열(중앙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포함한다)을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이다.
100 : 스웨터(편성포)
10R : 우측소매 10L : 좌측소매 10C : 칼라
1 : 베이스 편성포부
11 : 주 베이스부
12 : 개구 베이스부
120 : 개방부
121 : 내측용 걸림 스티치 122 : 외측용 걸림 스티치
2 : 중첩부
21 : 내측 중첩부 211 : 내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
212 : 내측 접합부
22 : 외측 중첩부 221 : 외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
222 : 외측 접합부
3 :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 4 : 일련 편성영역
8 : 좌측 외측 가장자리측 9 : 우측 외측 가장자리측

Claims (6)

  1.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통(筒) 모양 부분을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主 base部)와,
    그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개방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開口 base部)와,
    이 개방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分岐)되는 내측 중첩부(內側 重疊部) 및 외측 중첩부(外側 重疊部)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이 통 모양 편성포의 개방부가 형성되는 측을 중앙측, 개방부로부터 편성폭방향의 양단부로 멀어지는 방향을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할 때에,
    주 베이스부의 스티치가 결합되는 편침 중에서,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상기 각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을 정지상태로 하고, 전후의 니들베드의 잔부(殘部)의 편침에 의하여 개구 베이스부의 스티치열(stitch列)을 편성하는 왕복편성공정(往復編成工程)(α1)과,
    이 왕복편성공정에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된 개구 베이스부의 스티치열 중에서, 중앙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의 외측 가장자리측에 공침(空針)을 형성하는 공침형성공정(孔針形成工程)(α2)을
    반복하고,
    n + 1회째(단, n은 1 이상의 정수)의 공정(α1)에 있어서 스티치열을 편성하면서, n회째의 상기 공정(α1) 및 공정(α2)에서 형성된 공침에 내측용 걸림 스티치와 외측용 걸림 스티치를 형성하여 개구 베이스부의 걸림 스티치 접속영역으로 하는 걸림 스티치 형성공정(α)과,
    상기 중첩부를 형성하고 싶은 영역의 편침에 내측 중첩부와 외측 중첩부의 각 편성시작부를 형성하는 중첩부 편성시작 공정(β)과,
    상기 내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내측 중첩부가 되는 스티치열을 왕복편성하면서, 상기 스티치열의 외측 가장자리측의 스티치를 상기 내측용 걸림 스티치에 접속하는 내측 중첩부 형성공정(γ)과,
    이 공정(γ)의 후에, 상기 외측 중첩부의 편성시작부에 계속하여 외측 중첩부가 되는 스티치열을 왕복편성하면서, 상기 스티치열의 외측 가장자리측의 스티치를 상기 외측용 걸림 스티치에 접속하는 외측 중첩부 형성공정(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를 주 베이스부의 통 모양부의 축방향을 향하여 일정하게 유지하여 개구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α1)에 있어서, 주 베이스부에 이어지는 개구 베이스부의 코스방향의 스티치 수가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적어지게 되도록, 왕복편성의 되돌림 위치를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외측 가장자리측으로 변경하면서 개구 베이스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공정(α2)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니들베드에 형성된 스티치열 중에서, 외측 가장자리측의 양단의 스티치를 타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δ)의 뒤에, 상기 공정(α2)에서 이루어진 돌려넣기를 역방향으로 되돌리는 되돌림 공정(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6.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편성포에서,
    통 모양 부분을 구비하는 주 베이스부와,
    그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둘레방향으로 개방부를 구비하는 개구 베이스부와,
    이 개방부에 인접함과 아울러 주 베이스부의 끝부로부터 서로 충첩되도록 분기되는 내측 중첩부 및 외측 중첩부를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상기 개구 베이스부에 있어서의 개방부의 일방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내측용 걸림 스티치 및 타방의 측에 형성되는 외측용 걸림 스티치와,
    상기 내측 중첩부의 개구 베이스부에 인접하는 테두리의 스티치와 상기 내측용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내측 중첩부와 개구 베이스부를 접속하는 내측 접합부(內側 接合部)와,
    상기 외측 중첩부의 개구 베이스부에 인접하는 테두리의 스티치와 상기 외측용 걸림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더블 스티치에 계속하여 새로운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외측 중첩부와 개구 베이스부를 접속하는 외측 접합부(外側 接合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KR1020130130887A 2012-11-07 2013-10-31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KR101449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5855A JP5980098B2 (ja) 2012-11-07 2012-11-07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JP-P-2012-245855 2012-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130A KR20140059130A (ko) 2014-05-15
KR101449915B1 true KR101449915B1 (ko) 2014-10-13

Family

ID=50489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0887A KR101449915B1 (ko) 2012-11-07 2013-10-31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80098B2 (ko)
KR (1) KR101449915B1 (ko)
CN (1) CN103806207B (ko)
DE (1) DE102013017073A1 (ko)
IT (1) ITTO201309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41104A4 (en) * 2016-04-05 2019-12-11 Terumo Kabushiki Kaisha PERCUTANE CATHETER AND METHOD FOR PRODUCING A PERCUTANE CATHETER TUBE
JP7252005B2 (ja) * 2019-02-21 2023-04-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CN110565253B (zh) * 2019-09-18 2020-10-16 斓帛职业培训学校(桐乡)有限公司 全成型开衫门襟重叠的编织方法
JP7357581B2 (ja) * 2020-04-10 2023-10-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KR102460427B1 (ko) * 2021-03-12 2022-10-31 주식회사 아이디모드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CN114164548B (zh) * 2021-12-31 2023-03-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开叉卷边的编织方法及织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89B2 (ko) * 1987-12-02 1992-01-21
JP2000256946A (ja) 1999-03-05 2000-09-19 Shima Seiki Mfg Ltd 2層構造部を有する衿付き身頃の編成方法
JP2006188778A (ja) 2004-12-28 2006-07-20 Shima Seiki Mfg Ltd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20120116853A (ko) * 2011-04-13 2012-10-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421B2 (ja) * 1990-12-13 1996-09-25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ツト製品に於ける衿首用編地の編成方法
JP2706760B2 (ja) * 1994-10-07 1998-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成方法
JP3047008B1 (ja) * 1998-11-26 2000-05-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CN100400730C (zh) 2001-12-28 2008-07-09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衣领形成方法
JP2004250851A (ja) * 2002-12-27 2004-09-09 D & C:Kk 衣服の一部に適用できる編み地
WO2006129686A1 (ja) * 2005-06-01 2006-12-07 Shima Seiki Mfg., Ltd. 身頃筒状部に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4848374B2 (ja) * 2005-09-09 2011-12-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衿を有するニットウエアの編成方法
JP2010281010A (ja) * 2009-06-05 2010-12-16 Shima Seiki Mfg Ltd ニットウエアのv首部編成方法
JP5552374B2 (ja) * 2010-06-03 2014-07-1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分岐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89B2 (ko) * 1987-12-02 1992-01-21
JP2000256946A (ja) 1999-03-05 2000-09-19 Shima Seiki Mfg Ltd 2層構造部を有する衿付き身頃の編成方法
JP2006188778A (ja) 2004-12-28 2006-07-20 Shima Seiki Mfg Ltd 二重の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20120116853A (ko) * 2011-04-13 2012-10-2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모양 편성포 및 그 편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TO20130903A1 (it) 2014-05-08
CN103806207B (zh) 2016-04-27
JP5980098B2 (ja) 2016-08-31
DE102013017073A1 (de) 2014-05-08
KR20140059130A (ko) 2014-05-15
JP2014095158A (ja) 2014-05-22
CN103806207A (zh)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9915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JP4002836B2 (ja) 開き部を有するニット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0706657B1 (ko) 편성포 편성방법
KR100854959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JP400289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EP2385160B1 (en) 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KR100585256B1 (ko) 신축성이 뛰어난 코빼기 처리방법
KR101484989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JP3251521B2 (ja) 二層構造を有するニット衣類およびその編成方法
CN102995267B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针织物
KR101356440B1 (ko) 브이-넥 포인트를 구비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WO2007020829A1 (ja)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KR100610750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넥 라인 편성방법 및 그 니트웨어
KR20200102368A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H09273051A (ja) 横編機による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CN115704128A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JP2011089225A (ja) 2層編地の接合方法と接合された編地
JP2013159862A (ja) ニットウェ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