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989B1 -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 Google Patents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989B1
KR101484989B1 KR20130138042A KR20130138042A KR101484989B1 KR 101484989 B1 KR101484989 B1 KR 101484989B1 KR 20130138042 A KR20130138042 A KR 20130138042A KR 20130138042 A KR20130138042 A KR 20130138042A KR 101484989 B1 KR101484989 B1 KR 101484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knitted fabric
tubular
knitting
stitch 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4196A (ko
Inventor
가즈야 우에미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40074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4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9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7/3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7/32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tubular goo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04B1/108Gussets, e.g. pouches or heel or toe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통 모양 편성포를 앞쪽에서 보았을 때와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다른 신규의 스티치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에 연결되는 편성포편(121)으로 이루어지고 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통부(12)를 편성한다.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를 짝수 개의 분할 스티치열(1, 2)로 나누고,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121)이 되는 복수 단의 신규 스티치열(12s)을 편성한다. 이 때에 신규 스티치열(12s)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할 때마다 조건I을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조건Ⅱ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중복하여 접속한다. [조건I] 신규 스티치열(12s)의 스티치 중에서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2)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Ⅱ]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 중에서 신규 스티치열(12s)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Description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KNITTING METHOD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TUBULAR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통(筒)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편성된 통 모양 편성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스웨터(sweater)나 카디건(cardigan), 장갑 등의 통 모양 편성포를 횡편기(橫編機)에 의하여 편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1에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에 사용되는 기술로서 돌려넣기라고 불리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4215719호 공보
최근에는,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에 따라 지금까지 없는 신규의 스티치 조직(stitch 組織)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개발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여기에서 횡편기를 사용한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은, 기본이 되는 편성동작의 조합에 의하여 성립하고 있고, 이 편성동작의 조합은 거의 무한이라고 하여도 좋으므로, 아직도 신규의 통 모양 편성포의 개발의 여지가 있다. 예를 들면 앞쪽에서 보았을 때와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다른 부분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면, 통 모양 편성포의 디자인을 다양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 중 하나는, 앞쪽에서 보았을 때와 뒤쪽에서 보았을 때에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다른 신규의 스티치 조직을 구비하는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기 위한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그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통 모양 편성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전후로 대향하는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의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다음의 공정α, β를 구비한다.
[공정α] … 통 모양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부분과, 뒤쪽에 배치되는 뒤쪽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부를 편성한다.
[공정β] …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결되는 단수 혹은 복수의 편성포편으로 이루어지고 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통부를 편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공정β에서는, 공정α에서 편성한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티치를 둘레방향으로 나란한 짝수 개의 분할 스티치열로 나누고, 둘레방향으로 각 분할 스티치열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였을 때에, 2n-1번째(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분할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이 되는 복수 단의 신규 스티치열을 편성한다. 그리고 그 편성을 할 때에, 신규 스티치열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할 때마다 하기 조건I을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 조건Ⅱ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중복하여 접속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편성포편이 제1통부의 앞쪽부분에 연속하는 경우에는 편성포편의 일부가 앞쪽부분으로부터 제1통부의 뒤쪽부분을 향하여 되돌려진 상태로 하고, 편성포편이 뒤쪽부분에 연속하는 경우에는 편성포편의 일부가 뒤쪽부분으로부터 앞쪽부분을 향하여 되돌려진 상태로 한다.
[조건I] 2n-1번째(홀수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2n번째(짝수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Ⅱ]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상기 공정β에 있어서의 웨일방향 종단부의 분할 수는, 짝수이면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웨일방향 종단부의 분할 수를 2개 혹은 4개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분할 수를 2개로 하면 공정β에서 편성하는 편성포편은 1개, 분할 수를 4개로 하면 공정β에서 편성하는 편성포편은 2개가 된다. 즉 제2통부를 구성하는 편성포편의 수는 웨일방향 종단부의 분할 수의 반 정도이다.
또한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분할함에 있어서, 홀수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과 짝수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이 각각 제1통부의 앞쪽부분과 뒤쪽부분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앞쪽몸통과 뒤쪽몸통을 구비하는 스웨터를 편성하는 제1실시형태에서는, 제1통부에 있어서의 뒤쪽몸통이 되는 부분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첫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로 하고, 제1통부에 있어서의 앞쪽몸통이 되는 부분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두 번째의 분할 스티치열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웨일방향 종단부의 분할 수를 2개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공정β를 다음과 같이 고쳐 읽을 수 있다.
『공정α에서 편성한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티치를, 둘레방향으로 나란한 제1분할 스티치열과 제2분할 스티치열로 나누었을 때에, 제1분할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이 되는 복수 단의 신규 스티치열을 편성한다. 그 편성을 할 때에 신규 스티치열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할 때마다 이하의 [조작1] 및 [조작2] 중에서 적어도 일방을 한다.
[조작1] 신규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와, 제2분할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를 접속한다.
[조작2] 신규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와, 제2분할 스티치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를 접속한다.』
또 후술하는 제1실시형태는 상기 [조작1] 및 [조작2]를 모두 한 편성예이고, 변형실시형태는 상기 [조작1]만을 한 편성예이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공정β의 전에,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이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에 올라타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 전체를 둘레방향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넣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1실시형태의 제2편성순서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공정β에 있어서, 신규 스티치열과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을 접속할 때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1단측을 타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고,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타단측을 일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1실시형태의 제1편성순서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공정β에 있어서, 신규 스티치열과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을 접속할 때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1단측 및 타단측을 타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1실시형태의 제3편성순서에 나타낸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통 모양 편성포로서, 제1통부와 제2통부를 구비한다. 제1통부는, 통 모양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부분과, 뒤쪽에 배치되는 뒤쪽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제2통부는, 제1통부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단수 혹은 복수의 편성포편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형상이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여기에서 통 모양이라는 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통 모양을 포함하는 대략 통 모양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동일하다). 이들 제1통부와 제2통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에서는, 제2통부를 구성하는 편성포편의 웨일방향 시단부가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그 편성포편의 편성폭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끝부 근방이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결되고, 당해 편성포편에 있어서의 웨일방향 종단부 근처의 일부가 되돌려진 상태로 됨으로써 제2통부가 통 모양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2통부에 있어서의 되돌려진 부분의 스티치의 방향과, 되돌려지지 않고 있는 부분의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을 참조하는 제1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스웨터(100))에서는, 제2통부(12)를 구성하는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시단부(12d)(도1(B) 참조)가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에 연결되어 있지만, 당해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종단부(12e)는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도1(A) 참조)에 연결되지 않고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이 때문에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시단부(12d)가 배치되는 부분의 근방에서는 편성포편(121)(제2통부(12))의 스티치와 제1통부(11)의 스티치가 같은 방향을 향하고,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종단부(12e)가 배치되는 부분의 근방에서는 편성포편(121)(제2통부(12))의 스티치와 제1통부(11)의 스티치가 서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향한다. 이러한 신규의 스티치 조직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통 모양 편성포는, 통 모양 편성포의 디자인의 폭을 넓히는 것이다.
도1에 있어서, (A)는 제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스웨터의 앞면 개략도, (B)는 그 스웨터의 뒷면 개략도이다.
도2에 있어서, (A)∼(C)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웨터의 전체적인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3에 있어서, (A)∼(D)는 스웨터에 구비되는 편성포편을 편성하기 위한 제1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4는 편성포편의 간단한 편성공정도이다.
도5에 있어서, (A)∼(C)는 스웨터에 구비되는 편성포편을 편성하기 위한 제2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6에 있어서, (A)∼(D)는 스웨터에 구비되는 편성포편을 편성하기 위한 제3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이다.
도7은, 변형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카디건의 앞면 개략도이다.
도8에 있어서, (A)는 제3실시형태의 스웨터의 전체적인 편성순서를 나타내는 이미지 도면, (B)는 그 스웨터의 앞쪽 개략도, (C)는 그 스웨터의 뒤쪽 개략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한 쌍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2베드 횡편기(2bed 橫編機)를 사용한 편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론 사용하는 횡편기는 2베드 횡편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4베드 횡편기이더라도 좋다.
<제1실시형태>
≪스웨터(sweater)≫
도1(A)는 몸통과 우측소매와 좌측소매를 구비하는 본 실시형태의 스웨터(100)(통(筒) 모양 편성포)의 앞면 개략도이고, 도1(B)는 도1(A)의 스웨터(100)의 뒷면 개략도이다. 이 도1(A), 도1(B)에서는, 편성폭방향의 대략의 라인을 가는 선으로 나타낸다. 즉 가는 선으로 외부로 끌어낸 부분에 있어서의 스티치는, 원으로 둘러싼 확대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고 있다.
도1(A), 도1(B)에 나타내는 스웨터(100)는, 겨드랑이의 위치보다 약간 상방측에 위치하는 경계부(境界部)(13)를 경계로 하여 제1통부(第一筒部)(11)와 제2통부(第二筒部)(12)로 나눌 수 있다. 여기에서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웨터(100)의 앞쪽몸통측에서는, 제1통부(11)의 스티치의 방향과 제2통부(12)의 스티치의 방향이 경계부(13)를 경계로 하여 거의 직교하고 있어, 경계부(13)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음 스티치가 형성된다. 한편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웨터(100)의 뒤쪽에서는, 제1통부(11)의 스티치의 방향과 제2통부(12)의 스티치의 방향이 한 방향으로 되어 있어, 경계부(13)에서 눈으로 이음 스티치를 확인할 수는 없다.
상기 제1통부(11)는, 몸통의 하부와 양쪽 소매의 커프스측(cuffs側)의 일부를 연결시킴으로써 형성된 통 모양체이다. 경계부(13)의 위치에는,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wale方向 終端部)(11e)가 배치되고, 그 웨일방향 종단부(11e)는 하나의 큰 통 모양으로 되어 있다.
한편 제2통부(12)는,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되는 편성포편(編成布片)(121)으로 이루어진다. 그 편성포편(121)의 전체 형상이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통부(12)의 전체 형상도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편성포편(121)의 전체 형상이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은,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시단부(wale方向 始端部)(12d)가 도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의 뒤쪽몸통측의 부분(뒤쪽부분)에 연결되고 또한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양단부가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의 앞쪽몸통측의 부분(앞쪽부분)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속관계로 되어 있음으로써,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양단부측의 부분이고 또한 웨일방향 종단부(12e) 근처의 부분이 스웨터(100)의 뒤쪽몸통측으로부터 앞쪽몸통측으로 되돌려진 상태가 되어, 편성포편(121)의 전체 형상이 대략 통 모양으로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통부(12)는 마치 숄(shawl)을 걸쳐 입어서 숄의 양단을 앞쪽몸통측에서 합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또한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종단부(12e) 중에서 편성폭방향의 일단측(一端側)과 타단측(他端側)은, 도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웨터(100)의 앞쪽몸통측에서 코빼기 하여 폐쇄되어 있다(도면에 있어서의 폐쇄부(14)를 참조).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종단부(12e) 중에서 폐쇄부(14) 이외의 부분은, 스웨터(100)의 넥홀(neck hole)이 되는 개구부(開口部)(15)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스웨터(100)는, 앞쪽몸통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위기와 뒤쪽몸통측에서 보았을 때의 분위기가 전혀 다른 스웨터(100)가 된다. 그것은, 앞쪽몸통측의 제2통부(12)의 스티치 방향과 뒤쪽몸통측의 제2통부(12)의 스티치 방향이 거의 직교하기 때문이다. 전후의 분위기의 차이점은, 제2통부(12)에 조직패턴(組織 pattern)이나 색패턴(色 pattern) 등을 형성하였을 경우에 현저하게 된다.
상기 스웨터(100)는, 도2의 편성 이미지 도면에 나타내는 순서로 편성할 수 있다. 또 도2의 편성 이미지 도면은, 어디까지나 편성의 개략적인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니들베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다. 후술하는 이미지 도면에 있어서도 니들베드를 도면에 나타내는 것을 생략한다.
우선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통부(11)를 편성한다(공정α에 상당). 제1통부(11)는, 몸통과 우측소매와 좌측소매를 각각 별개로 편성하고, 이들 몸통과 양쪽 소매를 접속하여 하나의 큰 통 모양으로 함으로써 편성한다. 몸통과 양쪽 소매의 접속에는 공지의 접속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를 둘레방향으로 나란한 짝수 개의 분할 스티치열(分割 stitch列)(1, 2)로 나누고, 둘레방향으로 각 분할 스티치열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웨일방향 종단부(11e)를 뒤쪽몸통측 부분과 앞쪽몸통측 부분의 2개로 나누고, 뒤쪽몸통측 부분을 제1분할 스티치열(1), 앞쪽몸통측 부분을 제2분할 스티치열(2)로 하였다. 제1분할 스티치열(1)은 2n-1(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이고, 제2분할 스티치열(2)은 2n(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이다. 또 도면에 있어서, 분할 스티치열(1, 2)의 경계위치를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로 나타낸다.
웨일방향 종단부(11e)의 분할상태가 결정되면,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분할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121)이 되는 복수 단(段)의 신규 스티치열(新規 stitch列)(12s)을 편성한다(신규 스티치열(12s)의 일부만을 도면에 나타낸다). 그리고 이 편성을 할 때에 신규 스티치열을 적어도 1단분(바람직하게는 1단∼3단) 편성할 때마다 이하에 나타내는 [조작1] 및 [조작2]를 한다.
[조작1] 하기의 조건A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의 조건B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접속한다.
「조건A」 제1분할 스티치열(1)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스티치 중에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지면(紙面) 우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
「조건B」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 중에서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지면 우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
[조작2] 하기의 조건C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의 조건D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접속한다.
「조건C」 제1분할 스티치열(1)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스티치 중에서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지면 좌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
「조건D」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 중에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의 스티치(지면 좌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
또 도2에 있어서, 상기 조건A∼D에 대응하는 위치를, 사각으로 둘러싼 『A』∼『D』로 나타낸다. 또한 상기 조건에 나타내는 끝부 근방의 스티치는, 끝부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1∼5스티치 정도의 스티치이다.
상기의 [1], [2]를 함으로써 도2(B)의 검은 색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양단부가,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 중의 제2분할 스티치열(2)에 연결된다. 그 결과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양단부측의 부분이고 또한 편성포편(121)의 웨일방향 종단부(12e) 근처의 부분이, 앞쪽몸통측으로 되돌려져서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편(121)이 제1통부(11)에 통 모양으로 접속된다.
제2통부(12)의 편성이 종료되면, 도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통부(12)의 웨일방향 종단부(12e)의 스티치 중에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부분과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부분을 접속한다. 그 결과 도1(A)에 나타내는 스웨터(100)의 폐쇄부(14)와 개구부(15)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편성포편(121)의 편성과 그 편성포편(121)을 제1통부(11)에 접속하는 순서는, 크게 나누어서 3개의 순서가 존재한다. 각 편성순서를 각각 도3, 도5, 도6의 이미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편성순서≫
도3(A)의 이미지 도면에는, 도2(A)와 마찬가지로 제1통부(11)를 편성하고,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를 2개의 분할 스티치열(1, 2)로 나눈 상태가 나타나 있다. 제1분할 스티치열(1)은 뒤쪽 니들베드, 제2분할 스티치열(2)는 앞쪽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3의 이미지 도면을 따르는 편성을 할 때에,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스티치가 어떤 결합상태로 되어 있는가를 도4의 편성공정도에 나타내고 있다. 도3을 사용한 설명을 할 때에 적절하게 이 도4를 참조한다. 또 도4의 『S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은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를, ●은 각 편성공정에서 편성되는 신규 스티치를, 『FB』는 앞쪽 니들베드를, 『BB』는 뒤쪽 니들베드를, 『A∼F』는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도3(A)의 상태로부터, 편성포편(121)이 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한다(도3(B), 도4의 S1을 참조). 계속하여 도3(B)에서 편성한 신규 스티치열(12s) 중에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지면 우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를 둘레방향 시계방향으로 돌려넣음과 아울러, 제2분할 스티치열(2) 중에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지면 좌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의 근방)의 스티치를 둘레방향 시계방향으로 돌려넣는다. 즉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지면 우측을 앞쪽 니들베드로 돌려넣고, 앞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지면 좌측을 뒤쪽 니들베드로 돌려넣는다. 그리고 이 돌려넣기에 따라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 양단부(둘레방향 시계방향 끝부 및 둘레방향 반시계방향 끝부)의 스티치와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를 포갠다(도3(C), 도4의 S2를 참조).
도3(C)의 조작이 종료되면, 도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분할 스티치열(1)과 제2분할 스티치열(2)에 있어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경계가, 앞쪽 니들베드측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지면 우측의 내부가 흰색인 화살표를 참조). 이후에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편성 및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접속을 반복하면 된다(도4의 S3∼S5를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도3(C)에서 형성한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가 고정되어,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이 접속된다.
상기한 제1편성순서에서는,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을 접속하기 위한 돌려넣기를, 신규 스티치열(12s)을 1∼3단분 편성할 때마다 하기 때문에, 돌려넣기에 따르는 실 끊어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같은 스티치를 여러 번 트랜스퍼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돌려넣는 방향은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이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돌려넣는 스티치는 미리 돌려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성포편(121)을 구성하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편성폭은 부분적으로 다르게 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를 들면 서서히 신규 스티치열(12s)의 편성폭을 넓히거나 좁게 하거나 또는 넓힌 후에 좁게 하거나 좁게 한 후에 넓게 하더라도 상관없다.
≪제2편성순서≫
도5(A)의 제1통부(11)의 결합상태는 도3(A)와 같다. 이 상태로부터, 제2편성순서에서는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일방향 종단부(11e)의 전체를 둘레방향 시계방향으로 돌려넣어, 제1분할 스티치열(1)이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에 올라타서 결합된 상태로 한다. 이 때에 앞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수와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의 수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하여 도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편(121)이 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한다. 그리고 그 편성한 신규 스티치열(12s)을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측으로 이동시켜서, 신규 스티치열(12s)의 스티치와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를 포갠다. 이후에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편성 및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접속을 반복하면 좋다.
상기한 제2편성순서에서는, 편성포편(121)이 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을 돌려넣는 조작이 없기 때문에, 편성포편(121)에 조직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돌려넣기에 의하여 조직패턴이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제3편성순서≫
도6(A)의 제1통부(11)의 결합상태는 도3(A)와 같다. 이 상태로부터, 제3편성순서에서는 도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편(121)이 되는 신규 스티치열(12s)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한다. 계속하여 도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규 스티치열(12s)에 있어서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및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를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측으로 돌려넣는다. 즉 뒤쪽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지면 우측과 지면 좌측을 앞쪽 니들베드로 돌린다. 그리고 이 돌려넣기에 따라 신규 스티치열(12s)의 스티치와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를 포갠다.
도6(C)의 조작이 종료되면, 도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분할 스티치열(1)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의 2개의 경계가, 앞쪽 니들베드측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내부가 흰색인 화살표를 참조). 이후에는 신규 스티치열(12s)의 편성 및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접속을 반복하면 된다.
상기한 제3편성순서에서는, 제1편성순서와 마찬가지로 신규 스티치열(12s)을 1∼3단분 편성할 때마다 신규 스티치열(12s)과 제2분할 스티치열(2)을 접속하기 위한 돌려넣기를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3편성순서에서도 돌려넣기에 따르는 실 끊어짐이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신규 스티치열(12s)의 돌려넣기가 좌우대칭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성포편(121)에 조직패턴을 형성하기 쉽다.
<변형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스웨터(100)의 편성예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1실시형태에 나타내는 편성방법을 응용하여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디건(cardigan)(101)(통 모양 편성포)을 편성할 수도 있다.
도7에 나타내는 카디건(101)을 편성하기 위해서는, 도2(A)에 있어서 제1통부(11)의 앞쪽몸통측의 부분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하면 좋다. 이러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C자 모양 편성에 의하여 제1통부(11)를 편성하면 된다. 이 앞쪽몸통측의 부분이 열린 상태의 제1통부(11)에 대하여 도2(B)에 나타내는 편성을 하면, 도7에 나타내는 카디건(101)을 편성할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도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양단부를 제2분할 스티치열(2)에 접속하였다. 이에 대하여 편성포편(121)의 편성폭방향의 일단부(一端部) 또는 타단부(他端部) 중에서 어느 일방(一方)만을 제2분할 스티치열(2)에 접속하더라도 좋다. 즉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조건A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조건B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의 접속 혹은 조건C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조건D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의 접속 중에서 어느 일방만을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실시형태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착용자의 목 둘레에 스톨(stole) 모양의 제2통부(12)가 형성된 스웨터를 편성할 수 있다.
<제3실시형태>
제3실시형태에서는, 도8에 의거하여 2개의 편성포편(121, 122)으로 이루어지는 제2통부(12)를 구비하는 스웨터(102) 및 그 편성방법을 설명한다. 도8(A)는 스웨터(102)의 편성 이미지 도면, 도8(B)는 스웨터(102)의 앞쪽 개략도, 도8(C)는 스웨터(102)의 뒤쪽 개략도이다.
도8(B), 도8(C)의 스웨터(102)를 편성하기 위해서는, 도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통부(11)를 편성한 후에 제1통부(11)의 웨일방향 종단부(11e)를 4개의 분할 스티치열(1∼4)로 나눈다. 이어서 제1분할 스티치열(1)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121)을 편성함과 아울러, 제3분할 스티치열(3)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편성포편(122)을 편성한다. 이들 편성포편(121, 122)을 편성할 때에, 하기의 조건E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의 조건F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중복하여 접속하고 또한 하기의 조건G를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의 조건H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중복하여 접속한다. 또 도8에 있어서, 조건E∼H에 대응하는 위치를 사각으로 둘러싼 『E』∼『H』로 나타낸다.
[조건E] 제1분할 스티치열(1)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의 스티치(편성포편(121)의 스티치) 중에서 제2분할 스티치열(2)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F] 제2분할 스티치열(2)의 스티치 중에서 신규 스티치열(편성포편(121)의 스티치)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G] 제3분할 스티치열(3)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의 스티치(편성포편(122)의 스티치) 중에서 제4분할 스티치열(4)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H] 제4분할 스티치열(4)의 스티치 중에서 신규 스티치열(편성포편(122)의 스티치)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편성포편(121(122))의 둘레방향 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을 제2분할 스티치열(2)(제4분할 스티치열(4))에 접속하기 위하여 편성포편(121(122))을 돌려넣었을 때에, 편성포편(121(122))의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에 걸림 스티치(도면에 있어서의 『V』 표시를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편성포편(121, 122)의 편성이 종료되면, 편성포편(121(122))의 웨일방향 종단부(12e(12e))의 일부와, 편성포편(122(121))의 둘레방향 반시계방향측의 끝부 근방에 형성한 걸림 스티치를 접속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8(B), 도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통부(12)의 우측 반 정도와 좌측 반 정도에서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다른 스웨터(102)를 무봉제(無縫製)로 편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걸림 스티치의 형성을 하지 않고 편성포편(121)와 편성포편(122)를 봉제로 접속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의 편성을 응용하여 모자나 볼레로(bolero) 등을 편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모자를 편성하는 경우에, 제2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코빼기 처리에 의하여 서로 닫히게 하여 모자의 머리 꼭대기부를 형성하면 된다.
100, 102 : 스웨터(통 모양 편성포)
101 : 카디건(통 모양 편성포)
11 : 제1통부 11e : 웨일방향 종단부
12 : 제2통부 12d : 웨일방향 시단부 12e : 웨일방향 종단부
121, 122 : 편성포편 12s : 신규 스티치열
13 : 경계부 14 : 폐쇄부 15 : 개구부 16 : 개방부
1 : 제1분할 스티치열(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
2 : 제2분할 스티치열(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
3 : 제3분할 스티치열(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
4 : 제4분할 스티치열(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

Claims (5)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앞쪽 니들베드와 상기 뒤쪽 니들베드의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통(筒) 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통 모양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부분과, 뒤쪽에 배치되는 뒤쪽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부(第一筒部)를 편성하는 공정α와,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wale方向 終端部)에 연결되는 단수 혹은 복수의 편성포편(編成布片)으로 이루어지고 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통부(第二筒部)를 편성하는 공정β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β에서는,
    상기 공정α에서 편성한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스티치를 둘레방향으로 나란한 짝수 개의 분할 스티치열(分割 stitch列)로 나누고, 상기 둘레방향으로 각 분할 스티치열에 순차적으로 번호를 붙였을 때에,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편성포편이 되는 복수 단(段)의 신규 스티치열(新規 stitch列)을 편성하고,
    그 편성을 할 때에, 상기 신규 스티치열을 적어도 1단분 편성할 때마다 하기 조건I을 충족시키는 스티치와, 하기 조건Ⅱ를 충족시키는 스티치를 중복하여 접속함으로써, 상기 편성포편이 상기 앞쪽부분에 연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편성포편의 일부가 상기 앞쪽부분으로부터 상기 뒤쪽부분을 향하여 되돌려진 상태로 하고, 상기 편성포편이 상기 뒤쪽부분에 연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편성포편의 일부가 상기 뒤쪽부분으로부터 상기 앞쪽부분을 향하여 되돌려진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조건I]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조건Ⅱ]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에 계속되는 신규 스티치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근접하는 스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의 전에, 2n-1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이 상기 앞쪽 니들베드와 상기 뒤쪽 니들베드에 올라타서 결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 전체를 상기 둘레방향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려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에 있어서, 상기 신규 스티치열과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을 중복하여 접속할 때에,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일단측(一端側)을 타방(他方)의 니들베드로 돌려넣고,
    타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타단측(他端側)을 일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β에 있어서, 상기 신규 스티치열과 2n번째의 분할 스티치열을 접속할 때에,
    일방의 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스티치열의 일단측 및 타단측을 타방의 니들베드로 돌려넣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5. 적어도 전후 한 쌍의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된 통 모양 편성포에 있어서,
    통 모양 편성포를 사용할 때에 앞쪽에 배치되는 앞쪽부분과, 뒤쪽에 배치되는 뒤쪽부분으로 이루어지는 제1통부와,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으로 연결되는 단수 혹은 복수의 편성포편으로 이루어지고, 전체 형상이 통 모양으로 형성된 제2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편성포편의 웨일방향 시단부(wale方向 始端部)가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편성포편의 편성폭방향의 적어도 일방의 끝부 근방이 상기 제1통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편성포편에 있어서의 웨일방향 종단부 근처의 일부가 되돌려진 상태로 됨으로써 상기 제2통부가 통 모양으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제2통부에 있어서의 되돌려진 부분의 스티치의 방향과, 되돌려지지 않고 있는 부분의 스티치의 방향이 서로 교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 모양 편성포.
KR20130138042A 2012-12-07 2013-11-14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KR1014849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67815A JP2014114513A (ja) 2012-12-07 2012-12-07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JPJP-P-2012-267815 2012-1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196A KR20140074196A (ko) 2014-06-17
KR101484989B1 true KR101484989B1 (ko) 2015-01-21

Family

ID=5068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8042A KR101484989B1 (ko) 2012-12-07 2013-11-14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14114513A (ko)
KR (1) KR101484989B1 (ko)
CN (1) CN103866481B (ko)
DE (1) DE102013019158A1 (ko)
IT (1) ITTO201309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38559B1 (en) * 2014-12-22 2020-02-26 Shima Seiki Mfg., Ltd Method for forming shoe upper and shoe upper
CN105420902A (zh) * 2015-11-04 2016-03-23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鱼鳞提花针织帽
CN105442166A (zh) * 2015-11-04 2016-03-30 南通杰克拜尼服帽有限公司 一种横机织造无缝圆筒针织帽
CN114164550B (zh) * 2022-01-09 2023-01-31 嘉兴市蒂维时装有限公司 一种改善全成型夹下双拼角外观效果的编织方法及针织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94711A1 (ja) 2003-04-21 2004-11-04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接合方法
KR100643538B1 (ko) 2000-01-31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웨어 편성방법
JP4215719B2 (ja) * 2002-08-28 2009-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6148B2 (ja) * 1991-03-19 1998-01-14 てる子 小泉 ニット製品の製造方法
DE19653315A1 (de) * 1996-12-20 1998-06-25 Stoll & Co H Verfahren zur Verbindung zweier oder mehrerer auf einer Zweibett-Flachstrickmaschine hergestellter schlauchfömiger Gestricke
DE19704646B4 (de) * 1997-02-07 2005-02-03 H. Stoll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Ärmeln versehenen Kleidungsstückes auf einer Zweibett-Flachstrickmaschine
US6786066B2 (en) * 2001-05-08 2004-09-07 Shima Seiki Mfg., Ltd. Knit wear with collar knit by fla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it
WO2003057958A1 (fr) * 2001-12-28 2003-07-17 Shima Seiki Mfg., Ltd. Procede de formation de col
JP4233409B2 (ja) * 2003-08-01 2009-03-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くり違いのある衣類の編成方法及びニットデザイン装置
WO2006059612A1 (ja) * 2004-11-30 2006-06-08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ニットガーメントとその編成方法及び編成プログラム
JP4336298B2 (ja) * 2004-12-09 2009-09-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編地を編成させるための編成プログラム
JP2010013751A (ja) * 2008-07-02 2010-01-21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部を形成してなる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5443250B2 (ja) * 2010-04-20 2014-03-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3538B1 (ko) 2000-01-31 2006-11-10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니트 웨어 편성방법
JP4215719B2 (ja) * 2002-08-28 2009-01-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WO2004094711A1 (ja) 2003-04-21 2004-11-04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接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4196A (ko) 2014-06-17
CN103866481A (zh) 2014-06-18
JP2014114513A (ja) 2014-06-26
DE102013019158A1 (de) 2014-06-12
ITTO20130985A1 (it) 2014-06-08
CN103866481B (zh) 2016-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0485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KR100706657B1 (ko) 편성포 편성방법
KR100643535B1 (ko) 횡편기에 의한 니트 웨어의 칼라의 편성방법 및 칼라의편성방법을 형성시키기 위한 니트 디자인 장치
EP2366820B1 (en) Knitting method of V-neck peak and knitwear having V-neck
KR10190357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484989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KR100854959B1 (ko) 횡편기로 편성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 및 그 편성방법
KR101329124B1 (ko) 되돌림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5567565B2 (ja) 袖と身頃を有するニットウェアおよびその編成方法
KR101449915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 모양 편성포
EP2390394B1 (en) Method for knitting tubular fabric having neck line, and tubular fabric having neck line
KR100585256B1 (ko) 신축성이 뛰어난 코빼기 처리방법
CN102234867A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和筒状针织物
CN103572485B (zh) 编织物的编织方法及编织物
CN102965823B (zh) 筒状针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针织物
KR101356440B1 (ko) 브이-넥 포인트를 구비하는 칼라를 부착한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JP5452791B2 (ja) 側端部を補強した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CN102995267A (zh) 针织物的接合方法及针织物
KR101844739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CN1160785A (zh) 针织衣类的编织方法
WO2007020829A1 (ja) パイピング部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その編地
JP2008261074A (ja) 編地の編成方法
CN100544621C (zh) 无缝制针织衣服
US20180317575A1 (en) Multipurpose gar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098023B2 (ja) V襟ラグランニットの襟ぐりから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