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111B1 -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111B1
KR102554111B1 KR1020210164294A KR20210164294A KR102554111B1 KR 102554111 B1 KR102554111 B1 KR 102554111B1 KR 1020210164294 A KR1020210164294 A KR 1020210164294A KR 20210164294 A KR20210164294 A KR 20210164294A KR 102554111 B1 KR102554111 B1 KR 102554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es
group
knitting
knitted fabric
st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4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487A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카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2007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4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elongated tubular articles of small diameter, e.g. coverings for cab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6Details of garments
    • D10B2501/061Piped openings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총침조직의 통모양 편성포에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편성방법보다 로테이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횡편기를 사용하여, 제1편성포부와 제2편성포부로 구성되는 총침조직의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일부에 3층 구조를 가지는 주름을 형성한다. 상기 3층 구조에 있어서의 외층이 되는 제1부분과, 중간층이 되는 제2부분과, 내층이 되는 제3부분을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규정한다.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3부분을 드로오프 상태로 한다. 상기 제1부분의 복수의 스티치를 제1그룹의 스티치와 제2그룹의 스티치로 구분하고,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2부분의 스티치를 포갬과 아울러, 상기 제1부분을 드로오프 상태로 한다. 상기 제1부분을 총침상태로 되돌림과 아울러,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3부분의 스티치를 포갠다.

Description

편성방법{KNITTING METHOD}
본 발명은, 주름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총침편성(full gauge knitting)에 의하여 편성하는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4베드 횡편기(4-bed 橫編機)를 사용하여 총침조직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하는 것이 실시되고 있다. 총침조직은, 횡편기에 있어서 편성폭방향으로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空針)을 두지 않고 편성되는 편성조직이다. 이러한 편성을 총침편성이라고 한다. 총침조직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에서는, 스티치의 크기나 인접하는 스티치의 간격을 균일하게 하기 쉽다. 이러한 총침조직을 구비하는 통모양 편성포에 주름을 형성하고자 하는 요청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1에는, 바지에 있어서 포켓의 상단(上端)을 접어 바지에 접합하는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주름은, S자 모양 또는 Z자 모양으로 접힌 외층과 중간층과 내층을 구비한다. 외층은 통모양 편성포의 통의 외측에 배치되는 층이고, 내층은 통모양 편성포의 통의 내측에 배치되는 층이다. 중간층은, 외층과 내층의 사이에 배치되는 층이다.
도7은, 주름의 형성절차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4베드 횡편기에 구비되는 하부 앞쪽 니들베드, 상부 앞쪽 니들베드, 하부 뒤쪽 니들베드 및 상부 뒤쪽 니들베드를 각각 FD, FU, BD 및 BU로 표기한다. FD와 BD는 서로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FU와 BU는, FD와 BD의 상방(上方)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4베드 횡편기에서는, FD와 BD의 사이, FD와 BU의 사이, 및 BD와 FU의 사이에서 스티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FD, FU와 BD, BU는 상대적으로 래킹(rack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래킹의 양에는 기계적인 한도가 있다. 도7에 나타내는 주름의 형성절차는, 한도를 넘는 래킹을 필요로 하는 주름의 형성절차이다. 따라서 주름을 형성할 때에, FD, FU에 대한 BD, BU의 상대적인 래킹피치, 즉 상대적인 좌우의 간격차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도7에 있어서의 『S+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S1에는, 통모양 편성포(5)의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가 각각 FD와 BD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 S1의 상태로부터 외층과 중간층과 내층으로 구성되는 주름을 형성한다. S1에서는, 외층이 되는 제1부분(11)의 스티치, 중간층이 되는 제2부분(12)의 스티치, 및 내층이 되는 제3부분(13)의 스티치를 동그라미표로 나타내고 있다. 그 외의 부분은 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직선과 직교하는 곧은 선은,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의 경계를 나타낸다. 또한 제1부분(11)과 제2부분(12) 사이의 제1경계(1A), 및 제2부분(12)과 제3부분(13) 사이의 제2경계(1B)는, 투명 화살촉이 있는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S2에서는, 제2부분(12)과 제3부분(13)을 드로오프(draw-off)의 상태로 한다. 드로오프 상태는, 인접하는 스티치 사이에 공침을 둔 상태이다. 제2부분(12)과 제3부분(13)을 드로오프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인접하는 2개의 스티치를 포개면 좋다.
S3에서는, C자 모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테이션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경계(1B)가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한다. 로테이션은, 일방(一方)의 니들베드의 편성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스티치(端部 stitch)를 타방(他方)의 니들베드의 단부 스티치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공지의 편성방법이다. 도7에서는, 이 로테이션을 할 때에 BD, BU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래킹피치가 커지고 있기 때문에, 래킹피치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BD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U로 이동시키고, 래킹피치를 리셋한 후에, FU에 맡겨 둔 모든 스티치를 BD로 되돌린다.
S4에서는, BD에 있어서의 제3부분(13)의 편성폭 내의 공침으로 제2부분(12)의 스티치를 이동시킨다. S5, S6에서는, 제2부분(12)의 스티치를 제1경계(1A)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부분(11)의 스티치에 1개씩 간격을 두고 포갠다. S5, S6에 의하여 래킹피치가 커진다. 래킹피치가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래킹피치를 리셋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S7에서는, BD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U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BD, BU를 FD, FU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래킹피치를 리셋하고 있다. BD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U로 이동시키는 것은, S6의 상태에서 BD, BU를 우측방향으로 래킹시키면 제1경계(1A)를 포함하는 교차사(cross-over yarn)가 끊어져 버리기 때문이다.
이후에, 제2부분(12)의 스티치를 제1부분(11)의 스티치에 포개는 것을 완료하면, 제3부분(13)의 스티치를 제2경계(1B)(S3 참조) 측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제1부분(11)의 스티치에 1개씩 간격을 두고 포갠다. 제3부분(13)의 스티치는, 제1부분(11)의 스티치 중에서 제2부분(12)의 스티치가 포개져 있지 않은 스티치에 포개진다. 그 결과, S자 모양으로 접힌 외층과 중간층과 내층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이 형성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9-90144호 공보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에서는, 주름을 형성하기 전의 준비로서, 통모양 편성포를 로테이션하여 제2부분과 제3부분이 앞쪽 니들베드와 뒤쪽 니들베드에 배치된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수가 늘어나 버린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 중의 하나는, 총침조직의 통모양 편성포에 주름을 형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편성방법보다 로테이션의 횟수를 줄일 수 있는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제1니들베드와 제2니들베드와 제3니들베드와 제4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가 대향하고, 상기 제3니들베드는 상기 제1니들베드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4니들베드는 상기 제2니들베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횡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1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총침조직의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총침조직의 제2편성포부로 구성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일부에 3층 구조를 가지는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3층 구조에 있어서의 외층이 되는 제1부분과, 중간층이 되는 제2부분과, 내층이 되는 제3부분을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규정하고,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3부분을 드로오프의 상태로 하는 공정A와,
상기 제1부분의 복수의 스티치를 제1그룹의 스티치와 제2그룹의 스티치로 구분하고,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2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상기 제3니들베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실시하는 공정B와,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상기 제1니들베드로 되돌리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3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을 실시하는 공정C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는, 제1경계에서 볼 때에 짝수 번째 또는 홀수 번째의 스티치이고,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는, 상기 제1그룹을 제외한 스티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경계는, 상기 제1부분과 상기 제2부분의 경계이다.
<2>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2부분의 1개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1개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실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3>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모든 스티치를 상기 제1그룹의 각 스티치에 포갠 다음에,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형태를 들 수 있다.
<4>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의 1개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3부분의 1개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을 교대로 실시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5> 본 발명의 편성방법의 일형태로서,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의 모든 스티치를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제3부분의 모든 스티치를 상기 제2그룹의 각 스티치에 포개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접히는 부분의 경계를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 배치하기 위한 로테이션이 필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성방법은,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보다 총침조직의 통모양 편성포에 주름을 효율적으로 편성할 수 있다. 또한 주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로테이션의 횟수가 적어짐으로써, 편성포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된다.
후술하는 실시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서는, 일부의 스티치를 로테이션하는 것만으로 래킹피치를 리셋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래킹피치의 리셋에 수반되는 편성포의 부하가 저감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래킹피치를 리셋하기 위하여, 래킹시키는 니들베드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이동시켜야만 한다. 그 때문에, 종래기술에 있어서 스티치의 이동에 수반되는 부하가 작용되는 스티치의 수가 본 발명의 편성방법보다 많다.
상기 형태<2>의 편성방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B에 있어서 더블 스티치의 형성과 스티치의 이동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더블 스티치의 형성과 스티치의 이동이 문제없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규칙적인 편성을 반복하는 편성 프로그램의 작성과 수정은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상기 형태<3>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공정B에 있어서 제2그룹의 복수의 스티치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주름의 형성에 필요한 편성공정의 수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형태<4>의 편성방법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정C에 있어서 스티치의 이동과 더블 스티치의 형성을 교대로 실시함으로써, 스티치의 이동과 더블 스티치의 형성이 문제없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쉽다. 또한 이와 같은 규칙적인 편성을 반복하는 편성 프로그램의 작성과 수정은 용이하다고 하는 이점도 있다.
상기 형태<5>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공정C에 있어서 제2그룹의 복수의 스티치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모든 더블 스티치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주름의 형성에 필요한 편성공정의 수를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관한 팬츠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도1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3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1이미지도이다.
도4는,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제2이미지도이다.
도5는,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방법의 공정A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6은, 실시형태에 관한 편성방법의 공정B의 일부를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7은, 종래의 편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주름(9)을 가지는 통모양 편성포(5)의 일례로서, 포켓을 구비하는 팬츠를 설명한다. 물론 주름(9)을 가지는 통모양 편성포(5)는 팬츠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외의 니트웨어, 예를 들면 스커트 등이어도 좋다. 또한 주름(9)을 가지는 통모양 편성포(5)는, 자동차의 시트커버 등의 산업자재이더라도 상관없다.
도1에 나타내는 통모양 편성포(5)는, 앞쪽 편성포부(5A)와 뒤쪽 편성포부(5B)가 통모양으로 이어져 형성되어 있다. 앞쪽 편성포부(5A)는, 좌우 한 쌍의 포켓 편성포부(6)를 구비한다. 본 예의 포켓 편성포부(6)는, 포켓의 바닥이 되는 부분을 시단(始端)으로 하여 편성된다. 포켓 편성포부(6)의 편성폭방향의 양단(兩端)은 앞쪽 편성포부(5A)에 연속하고 있다. 따라서 포켓 편성포부(6)와 앞쪽 편성포부(5A)의 경계가 포켓의 개구(開口)의 테두리부를 구성한다. 포켓 편성포부(6)의 상단(上端)(60)은, 도2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켓의 내부에서 되접힌 상태로 앞쪽 편성포부(5A)에 접합되어 있다.
포켓 편성포부(6)의 상단(60)이 되접힘으로써 형성되는 주름(9)은, 외층(91)과 중간층(92)과 내층(93)을 구비하는 3층 구조로 되어 있다. 외층(91)은 앞쪽 편성포부(5A)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92)은 포켓 편성포부(6)의 앞쪽의 편성포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층(93)은 포켓 편성포부(6)의 뒤쪽의 편성포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4베드 횡편기에 의하여 주름(9)을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편성방법을 도3∼도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3, 4는, 주름(9)을 형성하는 절차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도이다. 도3, 4를 보는 방법은, 종래의 편성방법의 도면인 도7과 동일하다.
도3의 S1, S2는, 도7의 S1, S2와 동일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FD가 제1니들베드, BD가 제2니들베드, FU가 제3니들베드, BU가 제4니들베드이다. S1에서는, 외층(91)(도2)이 되는 제1부분(11)과, 중간층(92)(도2)이 되는 제2부분(12)과, 내층(93)이 되는 제3부분(13)이 FD의 편침(編針)에 결합되어 있다. S2에서는, 제2부분(12)과 제3부분(13)을 드로오프(draw-off)의 상태로 한다(공정A). 본 예의 드로오프 상태는, 1개씩 간격을 둔 편침에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즉 인접하는 2개의 스티치 사이에 1개의 공침(空針)이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도7의 S3과 같은 로테이션에 의한 통모양 편성포(5)의 회전을 실시하지 않고 주름(9)(도2)의 형성을 시작한다. 먼저 제1부분(11)의 복수의 스티치를 편의상 제1그룹(G1)의 스티치와 제2그룹(G2)의 스티치로 구분한다. 본 예의 제1그룹(G1)은, 제1경계(1A)에서 볼 때에 짝수 번째의 스티치이다. 제2그룹(G2)은, 제1그룹(G1) 이외의 스티치이다. 본 예와는 다르게 제1그룹(G1)은, 제1경계(1A)에서 볼 때에 홀수 번째의 스티치이더라도 좋다.
S3에서는, 제2부분(12)과 제3부분(13)을 BU로 이동시킨다. S4에서는, BD, BU를 좌측방향으로 래킹시키고, 제2부분(12)의 좌측의 단부 스티치(3)(S3 참조)를 제1그룹(G1)의 우측의 단부 스티치(31)(S3 참조)에 포갬으로써, 더블 스티치(4)를 형성한다. 단부 스티치(3)는, 제2부분(12)의 스티치 중에서 제1경계(1A)에 가장 가까운 스티치이다. 단부 스티치(31)는, 제1그룹(G1)의 스티치 중에서 제1경계(1A)에 가장 가까운 스티치이다. 또한 S4에서는, 제2그룹(G2)의 우측의 단부 스티치(32)를 더블 스티치(4)의 상부에 있는 FU의 편침으로 이동시킨다. 단부 스티치(32)는, 제2그룹(G2)의 스티치 중에서 제1경계(1A)에 가장 가까운 스티치이다. 또한 이 S4에서는, 제2편성포부(2)에 있어서의 편성폭방향의 좌측의 단부 스티치를 FD로 로테이션하고 있다. 한편 우측의 단부 스티치는 BD로 로테이션되지 않는다. 이 S4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에 대해서는, 도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부 스티치(3)와 단부 스티치(31)로 구성되는 더블 스티치(4)는, 이중 동그라미로 나타내고 있다.
S5에서는, S4와 동일한 편성을 한다. S5를 편성함에 있어서, S4에 있어서의 BU에 결합되어 있는 제2부분(12)의 스티치 중에서 가장 제1경계(1A)(S3 참조)에 가까운 좌단(左端)의 스티치를, 제2부분(12)의 단부 스티치(3)로 한다. 또한 FD에 결합되어 있는 제1부분(11)의 스티치 중에서 더블 스티치(4)를 제외하고 가장 제1경계(1A)(S3 참조)에 가까운 스티치를,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2)로 한다.
S6, S7에서는, 래킹피치가 한계에 도달하기 전에 래킹피치를 리셋한다. S6에서는, BU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D로 이동시킨다. S4, S5에 있어서 단부 스티치(32)를 FU로 이동시킴으로써 FD에 공침이 형성되기 때문에, 그들 공침으로 제2부분(12)의 스티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S6에 의하여, FD와 BD에 통모양 편성포(5)가 고리모양으로 결합된 상태가 된다.
S7에서는, 로테이션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로테이션을 따라 BD, BU가 우측방향으로 래킹된다. 즉 종래기술에 관한 도7의 S7과 같이 BD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U로 이동시키지 않고, 적은 횟수의 로테이션에 의하여 래킹피치가 리셋된다.
이후에, S6에 있어서 BU에서 FD로 이동시킨 복수의 스티치를 BU로 되돌리고, 제2부분(12)의 스티치가 모두 제1그룹(G1)의 스티치에 포개질 때까지 S4, S5와 동일한 편성을 반복한다. 제2부분(12)의 처리가 종료되어, 통모양 편성포(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4의 S8에 나타내고 있다.
S8의 상태로부터, 제3부분(13)을 제1부분(11)에 포개는 조작을 시작한다. S8에 도달할 때까지의 사이에 BD, BU가 좌측방향으로 래킹되고 있기 때문에, 래킹피치는 리셋된다. S9에서는, BU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FD로 이동시킨다. 이때에, 더블 스티치(4)의 우측에 형성되는 공침에 제3부분(13)의 스티치가 배치된다. S10에서는, 로테이션에 의하여 통모양 편성포(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래킹피치를 리셋한다.
S11에서는, S9에 있어서 FD로 이동시킨 스티치를 BU로 되돌린 후에, 제2그룹(G2)의 좌측의 단부 스티치(33)(S10 참조)를, 제2경계(1B)에 가장 가까운 FD의 편침으로 이동시킨다. 단부 스티치(33)는, 제2그룹(G2)의 스티치 중에서 제2경계(1B)에 가장 가까운 스티치이다. 또한 S11에서는, FD로 되돌린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3)에, 제3부분(13)의 좌측의 단부 스티치(34)(S10 참조)를 포갠다. 단부 스티치(34)는, 제3부분(13)의 스티치 중에서 제2경계(1B)(S10 참조)에 가장 가까운 스티치이다. 단부 스티치(33)와 단부 스티치(34)로 구성되는 더블 스티치(40)는, 2개의 더블 스티치(4) 사이에 형성된다. 이 S11의 구체적인 편성공정에 대해서는, 도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S11의 이후에는, S11과 동일한 편성을 반복한다. S12에, S11과 동일한 편성을 하였을 때의 스티치의 이동을 직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S12를 함으로써, S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편성포부(1)의 편성폭 내에 주름(9)이 형성된다. 이 주름(9)은, 도2의 지면(紙面)에 있어서의 우측의 주름(9)과 동일한 S자 모양의 3층 구조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보다 간단하게 주름(9)을 형성할 수 있다.
첫 번째,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름(9)의 형성을 시작하기 전에 통모양 편성포(5)를 로테이션할 필요가 없다.
두 번째, 도3의 S7 및 도4의 S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성폭방향의 양 단부의 일부의 스티치를 로테이션하는 것만으로 래킹피치를 리셋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7의 S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서는, BD에 결합되어 있는 모든 스티치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어, 통모양 편성포(5)에 대한 부하가 크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도3의 S4의 더블 스티치(4)를 편성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5의 『T+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낸다. 도5의 검은 점은 편침을, 알파벳 대문자는 FD, FU의 편침의 위치를 나타낸다. 동그라미 표시는 스티치를, 이중 동그라미는 더블 스티치를 나타낸다. 직선 화살표는 스티치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5의 부호가 나타내는 구성은, 도3의 부호가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T0에는, 도3의 S2에 대응하는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FD의 편침(C)∼편침(H)에 제1부분(11)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FD의 편침(I, K, M)에 제2부분(12)의 스티치가 결합되고, FD의 편침(O, Q, S)에 제3부분(13)의 스티치가 결합되어 있다. FD의 편침(T, U, V)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는, 본체 단부(本體 端部)(14)의 스티치이다. 도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3의 S2보다 제1부분(11), 제2부분(12) 및 제3부분(13)의 스티치수를 적게 하고 있다.
T1에서는, 제2부분(12)과 제3부분(13)과 본체 단부(14)의 스티치를 BU로 이동시킨다. T2에서는, BD와 BU를 좌측방향으로 2피치 래킹시키고, 제2부분(12)의 단부 스티치(3)(T1 참조)를 제1그룹(G1)의 단부 스티치(31)에 포갠다. 그 결과, FD의 편침(G)에 있어서 더블 스티치(4)가 형성된다. 또한 T2에서는, 제2편성포부(2)의 스티치(20)를 FU의 편침(F)으로 이동시켜, BD에 트랜스퍼용의 공침을 형성한다.
T3에서는, BD, BU를 우측방향으로 2피치 래킹시키고, 제1부분(11)의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2)를 BD의 공침으로 이동시킨다. T4에서는, BD, BU를 좌측방향으로 1피치 래킹시키고, 단부 스티치(32)를 FU의 편침(G)으로 이동시킨다. T5에서는, FU의 편침(F)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20)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블 스티치(4)의 형성과,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2)의 이동을 교대로 한 번씩 실시함으로써, 편사가 얽히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경우에 편성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편성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수정하기 쉽다.
여기에서 본 예와는 다르게, 모든 더블 스티치(4)를 형성한 후에, BD에 있어서의 1개씩 간격을 둔 복수의 스티치를 FU로 대피시키고,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2)를 이동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 제2그룹(G2)의 복수의 스티치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주름(9)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효율이 향상된다.
도6을 참조하여, 도4의 S11의 더블 스티치(40)를 편성하는 절차를 설명한다. 도6을 보는 방법은 도5와 동일하다. 도6에서는, BD와 BU의 래킹은 생략한다. 도6의 부호가 나타내는 구성은, 도4의 부호가 나타내는 구성과 동일하다.
도6의 T10에는, 도4의 S8에 대응하는 스티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T11에서는, 제2편성포부(2)의 스티치(21)를 FU의 편침(B)으로 이동시켜, BD에 공침을 형성한다. T12에서는,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3)를, BD의 공침을 경유시켜 FD의 편침(D)으로 이동시킨다. T13에서는, 제3부분(13)의 단부 스티치(34)를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3)에 포갠다. 그 결과, FD의 편침(D)에 더블 스티치(40)가 형성된다. 또한 T13에서는, FU의 편침(B)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치(21)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린다.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그룹(G2)의 단부 스티치(33)의 원래의 위치로의 이동과, 더블 스티치(40)의 형성을 교대로 한 번씩 실시함으로써, 편사가 얽히는 것과 같은 문제가 생기기 어렵다. 이 경우에 편성동작이 단순하기 때문에, 편성 프로그램을 작성하거나 수정하기 쉽다.
여기에서 본 예와는 다르게, 제2그룹(G2)의 모든 스티치를 FD로 이동시킨 다음에, 더블 스티치(40)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제2그룹(G2)의 복수의 스티치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모든 더블 스티치(40)를 한꺼번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주름(9)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효율이 향상된다.
<실시형태2>
실시형태1에서는, 제1편성포부(1)에만 주름(9)을 형성하는 절차를 설명하였다. 이에 대하여, 제1편성포부(1)에 더하여 제2편성포부(2)에도 주름(9)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2편성포부(2)에 주름(9)을 형성하는 경우에, 제2편성포부(2)에 제1부분(11), 제2부분(12) 및 제3부분(13)을 규정하고, 도3, 4에 나타내는 절차를 실시하면 좋다.
그 외에, 2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실시형태1, 2와 동일한 편성을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제1편성포부(1)와 제2편성포부(2)는, 인접하는 스티치의 사이에 1개의 공침이 배치되는 드로오프 상태로 한다. 공정B에 있어서 제2부분(12)과 제3부분(13)은, 인접하는 스티치의 사이에 3개의 공침이 배치되는 드로오프 상태로 한다. 공정B에 있어서 제2그룹(G2)의 스티치는, 제2편성포부(2)의 편성폭 내의 공침으로 대피시킨다.
1 : 제1편성포부
1A : 제1경계, 1B : 제2경계
11 : 제1부분, 12 : 제2부분,
13 : 제3부분, 14 : 본체 단부
G1 : 제1그룹, G2 : 제2그룹
2 : 제2편성포부
20, 21 : 스티치
3, 31, 32, 33, 34 : 단부 스티치
4, 40 : 더블 스티치
5 : 통모양 편성포
5A : 앞쪽 편성포부, 5B : 뒤쪽 편성포부
6 : 포켓 편성포부
60 : 상단
9 : 주름
91 : 외층, 92 : 중간층, 93 : 내층

Claims (5)

  1. 제1니들베드(first needle bed)와 제2니들베드와 제3니들베드와 제4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니들베드와 상기 제2니들베드가 대향(對向)하고, 상기 제3니들베드는 상기 제1니들베드의 상부(上部)에 배치되고, 상기 제4니들베드는 상기 제2니들베드의 상부에 배치되는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상기 제1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총침조직(full gauge structure)의 제1편성포부와, 상기 제2니들베드에 결합되는 총침조직의 제2편성포부로 구성되는 통모양 편성포를 편성할 때에, 상기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폭방향의 일부에 3층 구조를 가지는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3층 구조에 있어서의 외층이 되는 제1부분과, 중간층이 되는 제2부분과, 내층이 되는 제3부분을 상기 제1편성포부의 편성폭 내에 규정하고, 상기 제2부분과 상기 제3부분을 드로오프(draw-off)의 상태로 하는 공정A와,
    상기 제1부분의 복수의 스티치(stitch)를 제1그룹의 스티치와 제2그룹의 스티치로 구분하고,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2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상기 제3니들베드로 이동시키는 것을 실시하는 공정B와,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상기 제1니들베드로 되돌리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3부분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을 실시하는 공정C를 구비하는 편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1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2부분의 1개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1개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교대로 실시하는 편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B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의 모든 스티치를 상기 제1그룹의 각 스티치에 포갠 다음에,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편성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의 1개의 스티치를 이동시키는 것과, 상기 제2그룹의 스티치에 상기 제3부분의 1개의 스티치를 포개는 것을 교대로 실시하는 편성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C에 있어서, 상기 제2그룹의 모든 스티치를 이동시킨 다음에, 상기 제3부분의 모든 스티치를 상기 제2그룹의 각 스티치에 포개는 편성방법.
KR1020210164294A 2020-12-03 2021-11-25 편성방법 KR1025541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0973 2020-12-03
JP2020200973A JP7217731B2 (ja) 2020-12-03 2020-12-03 編成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487A KR20220078487A (ko) 2022-06-10
KR102554111B1 true KR102554111B1 (ko) 2023-07-10

Family

ID=81655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4294A KR102554111B1 (ko) 2020-12-03 2021-11-25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217731B2 (ko)
KR (1) KR102554111B1 (ko)
CN (1) CN114592272B (ko)
DE (1) DE102021213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97033B (zh) * 2022-11-24 2024-01-12 惠州学院 一种无缝斜插袋罗纹袋口的编织方法及编织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458A (ja) 1998-11-26 2000-06-13 Shima Seiki Mfg Ltd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1021B2 (ja) * 1990-05-02 1995-11-2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襞の編成方法
JPH0770885A (ja) * 1993-08-31 1995-03-14 Shima Seiki Mfg Ltd ポケットを有する編地の編成方法
JP2946325B2 (ja) * 1997-05-27 1999-09-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目ループの預け置き方法
JP4002891B2 (ja) * 2002-02-06 2007-11-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筒状編地の編成方法
KR100975531B1 (ko) * 2002-08-29 2010-08-12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6004777B2 (ja) * 2012-06-22 2016-10-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5980152B2 (ja) * 2013-03-19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
JP2014189925A (ja) * 2013-03-27 2014-10-06 Shima Seiki Mfg Ltd 筒状編地における襞の編成方法
DE102018219464A1 (de) * 2017-11-15 2019-05-16 Shima Seiki Mfg., Ltd. Gestrick mit einer tasch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s gestricks mit einer tasche
JP7217600B2 (ja) 2017-11-15 2023-02-03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ポケット付き編地、およびポケット付き編地の編成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0458A (ja) 1998-11-26 2000-06-13 Shima Seiki Mfg Ltd 連結部が形成されたニット衣類の編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92272B (zh) 2023-05-05
DE102021213668A1 (de) 2022-06-09
JP7217731B2 (ja) 2023-02-03
KR20220078487A (ko) 2022-06-10
CN114592272A (zh) 2022-06-07
JP2022088865A (ja) 202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78410B (zh) 带有口袋的编织物及带有口袋的编织物的编织方法
EP1829995B1 (en) Knitwear knitted by weft knitting machine and method of knitting the same
JP654162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KR20070089676A (ko) 2중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0975531B1 (ko) 통 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JPH02229248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EP2468934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having multilayered structure
KR102554111B1 (ko) 편성방법
EP1482080B1 (en) Method of knitting tubular knitted fabric
EP253019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with hole and knitted fabric
JP4769059B2 (ja) 仕切りを有する筒状編地およびその編成方法
JP2015010284A (ja) ポケット付編地の編成方法
KR102266807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JP7357581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JP7251995B2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及び筒状編地
CN111041684B (zh) 筒状编织物的编织方法及筒状编织物
JP7217600B2 (ja) ポケット付き編地、およびポケット付き編地の編成方法
JP4814078B2 (ja) 編地の端部を伏せ目処理する方法および伏せ目処理された編地
JP7341960B2 (ja) 編地の編成方法
KR102460427B1 (ko) 의류의 트임부 중첩구조를 개선한 홀가먼트 편직방법
JP2010037701A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
JP2014189925A (ja) 筒状編地における襞の編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