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1311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1311A
KR20140041311A KR1020130012915A KR20130012915A KR20140041311A KR 20140041311 A KR20140041311 A KR 20140041311A KR 1020130012915 A KR1020130012915 A KR 1020130012915A KR 20130012915 A KR20130012915 A KR 20130012915A KR 20140041311 A KR20140041311 A KR 201400413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ain tank
internal quality
combin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5891B1 (ko
Inventor
다츠야 기타노
가즈히로 다카하라
마코토 오시타니
가즈노리 마츠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52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24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5225A external-priority patent/JP57707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15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573244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40041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311A/ko
Priority to KR1020190116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8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5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5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60Grain tanks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진애 부착을 구조 간단하게 회피하기 쉬운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배치하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할 수 있고, 또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의한 검출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곡립 탱크(10)의 측벽(10F)보다도 내측에,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과 구획된 상태의 계측실(70)을 설치하고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계측실(70)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냉각 팬과, 엔진의 후방에 배치된 곡립 탱크(10)를 구비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전방부에,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의 계측실(70)을 구비하고,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계측실(70)에 배치하고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70)에, 검출부 및 계측 제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74)을 구비하고, 하우징(74)에, 계측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어부 냉각풍을 도입 가능한 흡인구(76)와, 제어부 냉각풍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77)를 구비하고 있다. 흡인구(76)를 하우징(74)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곡립 탱크(10)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의 계측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샘플링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샘플링된 곡립을 유지하는 수용 유지부(52)의 하부에 설치한 배출구(52a)를 폐색하는 상승 폐쇄 위치와, 배출구(52a)를 개방하는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개폐판(54)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판(54)을,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개폐 축심 X를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굴곡부의 최상단부 개소(54t)가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콤바인 {COMBINE}
본 발명은,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되고,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냉각 팬과,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콤바인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콤바인에서는, 곡립 탱크의 내측에 설치한 좌우 한 쌍의 샘플링 스크류와, 곡립 탱크의 외측의 탱크 전방측벽부의 외면측에 설치한 계측부를 구비하여, 수분 검출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좌우 한 쌍의 샘플링 스크류는, 곡립 탱크에 공급된 탈곡립을 받아내어 계측부로 송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계측부는, 샘플링 스크류로부터의 탈곡립을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전극 회전체에 의해 찌부러뜨리고, 찌부러뜨린 상태에서의 양 전극 회전체의 사이의 전기 저항을 계측 제어부에 의해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266668호 공보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도록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장비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수확 작업을 행하면서, 수확하고 있는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계측한 내부 품질을 갖추는 곡립이 요망되고 있는 집하 장소를, 수확 작업을 종료할 때까지 사전에 조사해 두고, 수확 작업을 종료하면, 수확한 곡립을 조사한 집하 장소로 즉시 반송할 수 있는 등 유리하다.
또한,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계측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면, 샘플링된 곡립의 내부 품질 계측이 행해지므로,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채용해도, 계측할 수 있는 등 유리하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을 적용하여,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에 장비한 경우,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외부에 노출되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가 부착되기 쉽다. 또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물건이 접촉하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배치한 것에 있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전방에 위치하는 엔진의 냉각풍에 의한 열의 영향을 받기 쉬운 상태로 된 경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온도 상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진애 부착이나 파손 등을 구조 간단하게 회피하기 쉬운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배치하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의해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품질 계측을 높은 계측 정밀도로 행하게 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보다도 내측에,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과 구획된 상태의 계측실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상기 계측실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간 계측실에 수용되어,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 외부에 있으면서도, 곡립 탱크에 의해 덮인 상태로 되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보호하고, 또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진애 부착을 방지하는 커버 기능을 곡립 탱크에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파손이나 진애 부착을 회피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커버 기능을 곡립 탱크에 구비시킨 간단한 구조이면 되어 저렴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검출부와 계측 제어부를 계측실에 통합하여 장비한 콤팩트한 상태로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데에, 곡립 탱크에 위치하는 계측실에서만 작업하면 되어, 능률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이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전체에 걸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로 설정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전체에 걸쳐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 곡립 탱크에 의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커버를 효과적으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진애 부착 방지 및 보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가 샘플링부에 의해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되고, 샘플링된 곡립의 내부 품질 계측이 행해지므로,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채용해도, 복수회의 샘플링에 의한 계측 결과를 기초로 높은 계측 정밀도의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채용하여 저렴하게 높은 계측 정밀도의 계측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샘플링된 검출 대상의 곡립은, 내부 품질 계측이 종료되면 샘플링부로부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으로 배출되므로, 곡립 저류 공간 중 샘플링부 하방의 부위에 계측 완료된 곡립이 퇴적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샘플링부를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곡립 저류 공간 중 샘플링부 하방의 부위이며, 계측 완료된 곡립이 퇴적되는 부위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즉, 샘플링부에 의한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함으로써, 샘플링부로부터 배출되는 계측 완료된 곡립이 다량으로 되어도, 다량의 계측 완료된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에 많은 횟수의 샘플링을 행하게 하여, 계측 정밀도가 높은 내부 품질 계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계측실에 배치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샘플링부를 구비하는 경우, 샘플링부와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위치 관계를 계측에 적합한 위치 관계로 하면서, 샘플링부를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를 구비하는 경우, 샘플링부와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위치 관계를 계측에 적합한 것으로 하면서, 샘플링부를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여, 샘플링부에 많은 횟수의 샘플링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과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계측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의 계측실 형성체를, 상기 측벽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계측실 형성체를 측벽의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할 뿐인 간단한 구조로, 곡립 탱크의 측벽보다도 내측으로 들어간 계측실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한 유리한 것이면서, 계측실을 구조 간단하게 형성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계측실 형성체에 장착해 두고, 이 상태의 계측실 형성체를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는 조립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곡립 탱크에 대한 계측실 형성체의 장착과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장착을 한 번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한 유리한 것을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샘플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샘플링부를 계측실 형성체에 장착해 두고, 이 상태의 계측실 형성체를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는 조립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곡립 탱크에 대한 계측실 형성체의 장착과, 샘플링부의 곡립 저류 공간으로 배치를 한 번에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를 구비하여 높은 계측 정밀도의 내부 품질 계측을 행할 수 있는 것을 간단한 조립 작업으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장착 구멍에 대해 탈착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 혹은 샘플링부를 계측실 형성체에 장착한 상태로 하여, 계측실 형성체를 장착 구멍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내부 품질 계측 장치 혹은 샘플링부를 계측실 형성체와 함께 한 번에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 혹은 샘플링부를 점검하는 등의 작업을 행할 때, 계측실 형성체를 제거 조작하는 것만으로 조작 간단하게 내부 품질 계측 장치 혹은 샘플링부를 취출하여 능률 좋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계측 제어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계측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하는 계측실을 형성하는 기능을 하우징에 구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게 한 유리한 것을, 하우징에 계측실 형성 기능을 구비시킨 간단한 구조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샘플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샘플링부를 하우징에 장착해 두고, 이 상태의 하우징을 곡립 탱크의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는 조립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내부 품질 계측 장치와 샘플링부를 곡립 탱크에 한 번에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가 구비된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여,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고정밀도로 계측할 수 있는 것을 조립 작업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콤바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곡립 탱크의 전방에 운전부가 배치된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운전부로부터 보기 쉬워,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전원 온의 확인 등을 운전부로부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상황을 작업중이라도 용이하게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벽 중 상기 계측실의 횡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들여다보는 점검창을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외부로부터 점검창을 통해 샘플링부를 들여다보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를 개방하지 않고 간단하게 샘플링부의 상황을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주행 기체 상하 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요동 개폐하여 작업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계측실을 곡립 탱크 전방부 등 적절한 부위에 배치함으로써, 작업시에 있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주행 기체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곡립 탱크를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함으로써,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주행 기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시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주행 기체 내측에 위치하여 외관이 좋은 것으로 되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주행 기체 외측에 위치시켜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탈곡 장치에 대해 주행 기체 우측 횡측에 배치하고,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저류 공간 중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하는 양곡 장치를, 상기 곡립 탱크의 좌측 횡측부에 구비하고, 상기 양곡 장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향해 토출하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양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이 회전 날개에 의해 곡립 저류 공간으로 토출되는 방향으로 샘플링부가 위치하므로, 샘플링부에 대한 곡립의 공급 오류나 공급량 부족이 발생하기 어려워, 샘플링부에 곡립의 샘플링 오류나 유지량 부족이 없는 상태에서 샘플링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 불량에 기인하는 계측 불량이 없는 상태에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계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이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것에 기인하는 곡립의 손상이나 품질 저하를 발생시키지 않고 내부 품질을 계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 매체가 작용한 곡립을, 내부 품질의 계측을 행하지 않는 경우의 수확 곡립과 마찬가지로 취급할 수 있어, 낭비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엔진과,
상기 엔진의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되고,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냉각 팬과,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계측 제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계측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어부 냉각풍을 도입 가능한 흡인구와, 상기 제어부 냉각풍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의 계측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상기 계측실에 배치하고,
상기 흡인구를, 상기 하우징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구비한 계측실에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배치하므로,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배치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엔진 냉각풍이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되고, 그리고 흡인구를 하우징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엔진 방열의 영향을 받지 않는 부위로부터 저온의 제어부 냉각풍을 흡인시켜, 엔진 냉각풍의 열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상태에서, 저온의 제어부 냉각풍이 계측 제어부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계측실이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계측실의 외부로 유출되기 쉬워져,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을 계측실에 체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계측실에 체류하기 어려워지면,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구로부터 흡인되어 하우징 내에 재유입되는 사태(숏 서킷)를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내부 품질 계측 장치, 특히 계측 제어부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배치하여,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운전부로부터 보는 것이 용이해지는 등 유리한 상태에서 내부 품질의 계측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에 의한 계측 불량이나 고장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필터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제어부 냉각풍과 함께 진애가 흡인되는 것을 필터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진애 흡인에 의한 고장 등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필터를 제거하여 용이하게 청소나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의 청소나 교환에 의해, 진애 흡인에 의한 고장 등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에, 상기 곡립 탱크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계측실 중 상기 흡인구가 위치하는 흡인구측 부위가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상기 계측실 중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는 배출구측 부위가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보다도 얕게 설정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흡인구측 부위가 계측실의 외부에 대해 배출구측 부위보다도 가깝게 위치하여, 흡인구에 의한 제어부 냉각풍의 흡인을 계측실의 최대한 외부로부터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흡인구나 필터에 계측실 외부로부터 손이 닿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측실의 외부로부터 저온의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되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행해진다. 흡인구나 필터의 청소나 탈착을 행하는 데에, 계측실의 외부로부터 손이 닿기 쉬워,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측벽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내측일수록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측벽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방향에 평행한 형상, 또는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경사 형상보다도 완만한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계측실을, 적어도 상기 흡인구가 상기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과 상기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에 걸치는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계측실의 후방벽을,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경사 형상에 평행한 형상으로 형성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계측실로서, 후방벽을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경사 형상에 평행한 형상으로 형성한 간소한 형상의 계측실을 채용함으로써, 계측실 중 흡인구가 위치하는 흡인구측 부위가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계측실 중 배출구가 위치하는 배출구측 부위가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보다도 얕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 냉각풍의 흡인을 계측실의 최대한 외부로부터 행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흡인구나 필터에 계측실 외부로부터 손이 닿기 쉬운 것을, 간소한 형상의 계측실을 채용하여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의 상기 제어부 냉각풍을 상기 계측실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을 안내관에 의한 안내에 의해 계측실 외부로 유출시켜,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구에 유동하여 하우징에 재유입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하우징에 재유입되어 냉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회피하여,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가 주행 기체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안내관의 토출구가 하향인 것에 의해, 빗물이나 세정수가 안내관으로 유입되지 않아, 하우징 내로의 안내관으로부터의 침수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침수에 의한 계측 불량이나 고장을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배출구가 하우징의 높은 개소에 위치하여, 냉각 작용을 종료하여 온도 상승함으로써 상승하기 쉬워진 제어부 냉각풍이 배출구로부터 유출되기 쉬워,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을 하우징 내에 체류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배출구가 흡인구에 대해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구에 유동하여 하우징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의 체류나 재유입에 의한 냉각 효율에 저하를 회피하기 쉬워,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송풍 가이드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엔진 냉각풍이 송풍 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엔진 냉각풍이 흘러 와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엔진 냉각풍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엔진 냉각풍의 영향에 의해 온도 상승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이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와,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계측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부에, 샘플링된 곡립을 받아내어 유지하는 수용 유지부와, 상기 수용 유지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유지부와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연통 가능한 배출구와,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상승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요동 조작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수용 유지부에 유지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판을, 상기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최상단부 개소가 상기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가 샘플링부에 의해 샘플링되어 일시적으로 유지되고, 샘플링부에 의해 유지된 곡립을 계측 대상으로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내부 품질의 계측을 행하므로,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채용하여 내부 품질의 계측을 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샘플링부의 수용 유지부가 검출 대상인 곡립을 유지하고 있을 때, 개폐판은, 상승 폐쇄 위치로 전환 조작되어, 수용 유지부의 배출구를 폐색하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개폐판의 개폐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되고, 개폐판의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최상단부 개소가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보다도 낮은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수용 유지부에 유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저면의 형상 및 위치가 개폐판의 형상 및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되어, 수용 유지부에 유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곡립량을, 검출부에 의한 검출을 소정대로 행하게 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에 가까운 곡립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면, 샘플링부가 유지한 곡립에 대한 내부 품질의 계측을 종료하여, 샘플링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의 양을 최대한 소량으로 억제할 수 있어, 샘플링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을 수용하는 개소에 있어서의 곡립 수용 가능량이 소량이라도, 샘플링 횟수를, 배출 곡립의 수용 가능량에 비해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의 계측을, 소형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의해 유리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하여 높은 계측 정밀도로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부 개소가, 상기 개폐판 중 상기 개폐 축심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개폐판이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개폐판 전체가 개폐 축심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고, 수용 유지부의 배출구의 하방에 위치하여,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곡립을 낙하시키는 낙하 통로의 통로 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로부터 배출되는 계측 완료된 곡립을, 통로 폭이 넓은 낙하 통로에 의해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 축심을, 상기 수용 유지부에 대해 상기 검출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개폐판을 개폐 조작하는 전환 기구를 수용 유지부에 대해 검출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하여, 전환 기구가 수용 유지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낙하에 대한 장해로 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환 기구의 배치에 관계없이, 샘플링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을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에,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개폐 축심에 대해 상기 수용 유지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전동 모터가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된 개폐판에 대해 수용 유지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낙하 통로가 위치하는 측과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을 전동 모터에 의해 개폐 조작하는 것이면서, 전동 모터가 샘플링부에 의해 배출되는 곡립의 낙하 장해로 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이 상기 하강 개방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개폐판의 이면측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 상기 개폐 조작부가 들어가도록 상기 개폐 조작부를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개폐판이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개폐 조작부의 오목부에의 들어감에 의해, 개폐판이 개폐 조작부에 최대한 치우친 부위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된 개폐판이 수용 유지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낙하에 대한 장해로 되기 어려워, 수용 유지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을 원활하게 낙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지부의 상방에, 상기 수용 유지부를 향해 곡립을 유하 안내하는 안내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안내판의 하방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샘플링부의 상방으로 온 곡립이 안내판에 의한 유하 안내를 받아 수용 유지부로 원활하게 들어간다. 전동 모터를, 안내판의 하방 공간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을 전동 모터에 의해 개폐하는 것이면서, 전동 모터가 안내판의 하방 공간에 위치한 콤팩트한 상태에서 샘플링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지부에 있어서의 곡립 만배(滿杯) 상태를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상기 수용 유지부를 형성하는 유지부 형성체 중,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검출부의 검출 매체 투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하면 적합하다.
유지부 형성체 중, 검출부에 대향하는 부위에 만배 센서를 배치한 경우, 만배 센서에 검출부로부터 투사되는 검출 매체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만배 센서를 검출부의 검출 영역보다도 높은 배치 높이로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면, 만배 센서에 의해 설정되는 수용 유지부의 만배 레벨이 높아져, 수용 유지부가 만배 상태로 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수용 유지부의 곡립량이 많아진다.
본 구성에 따르면, 만배 센서를, 수용 유지부를 형성하는 유지부 형성체 중, 평면에서 볼 때, 검출부의 검출 매체 투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만배 센서를 검출부의 검출 영역으로부터 횡외측으로 퇴피시켜, 검출부로부터 투사되는 검출 매체가 만배 센서에 닿지 않도록 하면서, 만배 센서의 배치 높이를 검출부의 검출 영역에 가까운 배치 높이로 하고, 수용 유지부가 만배 상태로 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수용 유지부의 곡립량을 소량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용 유지부를 만배 상태로 하는 곡립량을 소량으로 억제하여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만배 센서가 검출 매체의 투사 장해로 되는 것을 회피하면서,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하여 높은 계측 정밀도로 내부 품질 계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만배 센서를, 상기 수용 유지부의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상기 유지부 형성체의 표면에 장착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만배 센서의 유지부 형성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위에 곡립이 떨어져도, 만배 센서의 경사에 의해 저절로 낙하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만배 센서에 곡립이 탄 상태로 되는 것을 회피하기 쉽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탈곡 장치에 대해 주행 기체 우측 횡측에 배치하고,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저류 공간 중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하는 양곡 장치를, 상기 곡립 탱크의 좌측 횡측부에 구비하고, 상기 양곡 장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향해 토출하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만배 센서를, 상기 검출부보다도 상기 양곡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만배 센서의 상하 위치를, 상기 만배 센서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가 상기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면 적합하다.
양곡 장치가 본 구성과 같은 구조이면, 곡립은, 양곡 장치로부터 세차게 토출되어, 샘플링부에 있어서 양곡 장치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가까운 측의 순으로 저류되어 가고, 그 안식각(安息角)에 의해, 양곡 장치로부터 먼 측으로부터 가까운 측 하향 경사 형상으로 저류된다. 또한, 검출부는, 그 검출 영역에 곡립이 존재하면 계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곡립의 안식각에 기초하여 상기 경사 라인을 상정하고, 그 경사 라인보다도 하방에 검출부의 검출 영역이 위치하도록 검출부를 배치하면, 내부 품질의 계측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즉, 본 구성에 따르면, 만배 센서가 검출부보다도 양곡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만배 센서의 상하 위치를, 만배 센서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가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만배 센서를 개폐판에 가까운 위치(낮은 위치)에 배치시킬 수 있어, 수용 유지부를 상하 방향으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결과, 수용 유지부의 만배 검출량(검출부에 의한 계측에 필요한 곡립량)을 적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샘플링부에 의한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하여, 높은 계측 정밀도에 의한 내부 품질 계측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는, 상기 검출부를 수용하는 계측실과, 상기 계측실에 수용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검출부와 계측 제어부를 동일한 계측실에 통합하여 수용한 콤팩트한 것으로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좁은 개소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이면 적합하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곡립 탱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곡립 탱크의 전방부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5는 계측실을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 6은 샘플링부 및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제거 상태의 샘플링부 및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샘플링부 및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9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배출구를 폐쇄한 상태의 샘플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1은 배출구를 개방한 상태의 샘플링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의 (a)는 개폐판을 하강 개방 위치로 조작한 상태의 전환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b)는 개폐판을 상승 폐쇄 위치로 조작한 상태의 전환 기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13은 곡립 센서의 배치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4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 및 샘플링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5는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16은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를 도시하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의 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 2)에 의해 자주(自走)하도록 구성된 주행 기체와,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지지된 예취부(5)와, 기체 프레임(1)의 후방부에 지지된 탈곡 장치(6) 및 곡립 탱크(10)를 구비하고 있다. 주행 기체의 전방부의 횡일단부측에, 운전 좌석(4a)이 장비된 운전부(4) 및 운전 좌석(4a)의 하방에 배치한 엔진(31)이 장비된 원동부(3)를 설치하고 있다.
원동부(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동부(3)에는, 운전 좌석(4a)을 천장판부로 지지하도록 구성한 엔진 보닛(32), 엔진 보닛(32)의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한 흡기 케이스(33), 엔진(31)의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한 라디에이터(34) 및 냉각 팬(35)을 구비하고 있다. 라디에이터(34) 및 냉각 팬(35)은, 흡기 케이스(33)보다 주행 기체 횡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35)은, 엔진(31)이 출력하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됨으로써, 흡기 케이스(33)에 설치한 상하의 흡기 개구부(33a)를 통해 엔진 보닛(32)의 외부로부터 엔진 냉각풍을 흡인하고, 흡인한 엔진 냉각풍을, 엔진 보닛(32)의 내부에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함으로써, 라디에이터(34) 및 엔진(31)에 공급한다.
엔진 보닛(32)의 내측에, 엔진(31)의 후방 상방에 배치하는 동시에, 주행 기체 횡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한 송풍 가이드(36)를 설치하고 있다. 송풍 가이드(36)는, 주행 기체 측면에서 볼 때 엔진(31)의 후방에 위치하는 주행 기체 상하 방향의 종변부와, 엔진(31)의 상방에 위치하는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횡변부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 가이드(36)는, 냉각 팬(35)으로부터 엔진(31)에 공급된 엔진 냉각풍에 안내 작용하여, 엔진 냉각풍을 엔진(31)의 주위에서 주행 기체 횡내측을 향해 유동시키고, 냉각 작용 후의 엔진 냉각풍을 엔진 보닛(32)의 주행 기체 횡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개구로부터 엔진 보닛(32)의 외부로 유출시킨다.
구동계에 대해 설명한다.
기체 프레임(1)의 전방부에 주행 미션 케이스(8)를 설치하고, 엔진(3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주행 미션 케이스(8)에 입력하여, 주행 미션 케이스(8)로부터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의 크롤러 구동륜(2a)에 전달함으로써,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2)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행 미션 케이스(8)에 입력한 구동력을, 주행용 전동계로부터 분기시켜 예취부(5)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함으로써, 예취부(5)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6)의 전방측에 탈곡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고, 엔진(31)으로부터의 구동력을, 탈곡용 미션 케이스에 전달하여, 탈곡 미션 케이스로부터 탈곡 장치(6) 및 배출 볏짚 처리 장치(7)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곡 장치(6)에 대해 설명한다.
탈곡 장치(6)는, 기체 프레임(1) 중 좌측 횡측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탈곡 장치(6)는, 탈곡 기체의 횡외측에 설치한 피드 체인(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예취부(5)로부터 반송된 예취 곡물대의 밑동측을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주행 기체 후방측으로 반송하면서, 예취 곡물대의 이삭 끝측을 탈곡부의 급실(扱室)(도시하지 않음)에 공급하여 회전 구동되는 급동(扱胴)(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훑어 탈곡 처리한다. 탈곡 장치(6)는, 탈곡 기체의 내부에 설치한 선별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탈곡부로부터의 탈곡 처리물을 선별부에 의한 요동 선별 및 풍 선별에 의해, 단립화한 곡립과, 볏짚 부스러기 등의 진애로 선별하여, 단립화한 곡립을 탈곡 기체 내의 저부로 낙하시키고, 진애를 탈곡 기체의 후방 외측으로 배출한다.
탈곡 장치(6)는, 피드 체인에 의해 탈곡부의 급실로부터 배출된 탈곡 배출 볏짚을, 탈곡 장치(6)의 후방부에 장비된 배출 볏짚 처리 장치(7)에 공급한다. 배출 볏짚 처리 장치(7)는, 탈곡 배출 볏짚을 세단(細斷)하여 방출하는 처리 상태와, 탈곡 배출 볏짚을 긴 짚 상태로 방출하는 처리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6)는, 탈곡 기체 내의 저부에 설치한 1번 스크류 컨베이어(9)를 구비하고, 단립화한 곡립을, 1번 스크류 컨베이어(9)에 의해 탈곡 기체의 횡방향을 따라 곡립 탱크(10)측으로 횡이송 반송하여 양곡 장치(12)에 공급한다.
곡립 탱크(10)에 대해 설명한다.
곡립 탱크(10)는, 기체 프레임(1) 중 탈곡 장치(6)에 대해 주행 기체 우측 횡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엔진(31)의 후방에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정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상단부측에 있어서의 횡단부(10a)가 하단부측보다 주행 기체 횡내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중 상기 횡단부(10a)에 위치하는 부위에, 후술하는 수신기(14)를 배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중 수신기(14)의 횡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곡립 탱크(10)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세로로 긴 형상의 점검창(15)을 구비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좌측 횡측부에 양곡 장치(12)를 배치하고 있다. 양곡 장치(12)의 반송 종단부는, 곡립 탱크(10)의 상기 횡단부(10a)에 접속되어 있다. 도 2,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곡 장치(12)는, 리프팅 스크류(16)를 구비하고 있다. 리프팅 스크류(16)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9)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베벨 기어 전동 기구를 통해 전달되는 구동력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양곡 장치(12)는, 1번 스크류 컨베이어(9)로부터의 곡립을 리프팅 스크류(16)에 의해 양곡 장치(12)의 토출구(12a)로 리프팅한다. 리프팅 스크류(16)의 스크류 축(16a) 중 토출구(12a)에 위치하는 부위에 회전 날개(17)를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리프팅 스크류(16)로부터의 곡립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회전 날개(17)에 의한 날림에 의해, 토출구(12a)로부터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토출하여 공급한다. 따라서, 곡립 탱크(10)는, 탈곡 장치(6)로부터의 곡립을 곡립 저류 공간(10b)에 고르게 한 상태에서 회수하여 저류한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저부에 주행 기체 전후 방향의 바닥 스크류(18)를 설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후방 외측에 주행 기체 상하 방향의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를 설치하고,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의 상단부로부터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를 연장시켜, 곡립 탱크(10)에 저류된 곡립을, 바닥 스크류(18),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 및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에 의해 반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탈곡 장치(6)의 하부의 전방측에 중계 전동 케이스(20)를 설치하여, 엔진(31)으로부터 중계 전동 케이스(20)에 전달된 구동력을, 벨트 텐션식 배출 클러치(21)를 통해 바닥 스크류(18)로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 스크류(18)는, 배출 클러치(21)가 온 조작됨으로써 구동되고, 배출 클러치(21)가 오프 조작됨으로써 정지된다. 바닥 스크류(18)는, 구동됨으로써, 곡립 탱크(10)의 곡립을, 곡립 탱크(10)의 후방측벽(10R)의 하부에 연결된 중계 기어 케이스(24)의 내부로 배출한다.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는, 중계 기어 케이스(24)에 내장된 베벨 기어 전동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바닥 스크류(18)로부터 전동되어 구동되고, 바닥 스크류(18)로부터의 곡립을, 중계 기어 케이스(24)를 통해 이어받아 리프팅한다.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는,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로부터 베벨 전동 기어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전동되어 구동되고,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로부터의 곡립을 이어받아 횡이송하여, 반송 종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토출통(19c)으로부터 토출한다.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는,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에 대해 승강 축심(P1)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승강 실린더(22)에 의해 요동 조작됨으로써, 토출통(19c)에 의한 토출 위치의 높이를 변경한다.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는, 중계 기어 케이스(24)에 대해 선회 축심(P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세로 스크류 컨베이어(19a)를 전동 모터(23)가 구비된 선회 조작 기구에 의해 선회 조작함으로써,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를 선회 축심(P2) 주위로 주행 기체에 대해 선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승강 실린더(22) 및 선회 조작 기구는,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에 배치한 수신기(14)(도 3 참조)와, 가로 스크류 컨베이어(19b)를 선회 및 기복 요동 조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기(14)에 발신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 조작 장치에 의해 조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10)는, 중계 기어 케이스(24)가 기체 프레임(1)의 후단부에 설치한 지지부(1G)에 선회 축심(P2)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음으로써, 곡립 탱크(10)의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선회 축심(P2)을 개폐 축심으로 하여 요동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10)는, 요동 개폐함으로써 작업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는, 선회 축심(P2) 주위로 주행 기체의 횡외측을 향해 요동 조작하여, 전방측벽(10F)을 포함하는 전단부가 주행 기체의 횡외측으로 나오면, 메인터넌스 위치로 된다. 곡립 탱크(10)는, 메인터넌스 위치로 되면, 주행 기체 중 탈곡 장치(6)의 우측 횡측에 위치하는 부분이나 양곡 장치(12), 1번 스크류 컨베이어(9) 등을 개방하여, 기체 부분, 양곡 장치(12), 1번 스크류 컨베이어(9)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는, 선회 축심(P2) 주위로 주행 기체의 내측을 향해 요동 조작하여, 전단부가 주행 기체의 내측으로 들어가 전방측벽(10F)이 엔진(31)의 후방에 위치하면, 작업 위치로 된다. 곡립 탱크(10)는, 작업 위치로 되면, 메인터넌스 위치로 되어 개방되어 있었던 부분을 폐쇄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과 탈곡 기체에 걸쳐 로크 기구(26)를 설치하고 있다. 곡립 탱크(10)를 개폐할 때, 로크 기구(26)를 구성하는 후크(26a)에 로드(27a)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조작 레버(27)를 요동 조작하고, 후크(26a)를 해제 위치로 요동 조작하여, 로크 기구(26)에 의한 곡립 탱크(10)의 폐쇄 로크를 해제한다. 또한, 곡립 탱크(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로크 핀(28)을 기체 프레임(1)에 형성되어 있는 핀 구멍으로부터 빼낸다. 또한, 배출 클러치(21)를 구성하는 전동 벨트(21a)를 벨트 풀리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곡립 탱크(10)의 개폐 요동이 가능해진다.
기체 프레임(1) 중, 작업 위치에 폐쇄된 곡립 탱크(10)의 전단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로드셀(25)(도 2, 도 3 참조)을 지지하고, 로드셀(25)에 의해, 곡립 탱크(10)에 저류된 곡립의 중량을 곡립 탱크(10)의 하중에 기초하여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전방부에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장비하고,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의해, 탈곡 장치(6)로부터 반출되어 곡립 탱크(10)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드셀(25) 및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의한 계측 결과를 운전부(4)에 설치한 표시 장치(39)(도 2 참조)에 의해 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의 내부 품질 계측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샘플링부(50)를 배치하고 있다.
샘플링부(50)는, 곡립 탱크 상하 방향의 통 형상의 유지부 형성체(51)에 의해 형성한 수용 유지부(52)와, 수용 유지부(52)의 상부에 배치한 만배 센서(53)와, 수용 유지부(52)의 하부에 설치한 배출구(52a)를 개폐하는 개폐판(54)과, 개폐판(54)을 조작하는 전환 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샘플링부(50)는, 곡립 탱크(10)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의 계측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고,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의한 계측을 종료하면, 유지하고 있던 곡립을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으로 배출한다.
즉, 수용 유지부(52)는, 상부에 설치한 곡립 탱크 상방향의 수납구(52b)를 구비하고 있다. 양곡 장치(12)의 회전 날개(17)에 의해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토출되고, 샘플링부(50)의 상방으로 날아온 곡립이, 수납구(52b)로부터 수용 유지부(52)로 들어간다. 전환 기구(60)가 샘플링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폐쇄측으로 제어되고, 개폐판(54)이 전환 기구(60)에 의해 상승 폐쇄 위치로 전환 조작되어 배출구(52a)를 폐색하고 있다. 따라서, 수용 유지부(52)는, 들어온 곡립을 받아내어 유지한다.
만배 센서(53)가 수용 유지부(52)에 있어서의 곡립 만배 상태를 검출하고, 또한 수용 유지부(52)가 유지한 곡립의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의한 계측이 종료되면, 전환 기구(60)가 샘플링 제어부에 의해 개방측으로 제어되어, 개폐판(54)이 전환 기구(60)에 의해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 조작되어 배출구(52a)를 개방한다. 개방된 배출구(52a)는, 수용 유지부(52)를 유지부 형성체(51)가 수용 유지부(52)의 하방에 형성되어 있는 낙하 통로(55)을 통해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연통시킨다. 따라서, 수용 유지부(52)는, 유지하고 있던 곡립을 곡립 저류 공간(10b) 중 샘플링부(5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로 낙하시켜 배출한다.
배출구(52a)의 개방시로부터, 계측 완료된 곡립을 배출하는 데 필요한 배출 시간으로서 설정한 설정 배출 시간이 경과하면, 전환 기구(60)가 샘플링 제어부에 의해 폐쇄측으로 제어되고, 개폐판(54)이 전환 기구(60)에 의해 상승 폐쇄 위치로 전환 조작되어 배출구(52a)를 폐색한다. 따라서, 수용 유지부(52)는, 계속해서 수납구(52b)로부터 들어오는 곡립을 계측 대상으로서 수납하여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샘플링부(50)는 샘플링 제어부에 의한 개폐판(54)의 개폐 제어에 의해 배출구(52a)가 개폐 조작됨으로써, 곡립 탱크(10)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수용 유지부(52)에 일시적으로 유지하고, 이 일시적인 곡립 유지를 반복하여 행한다. 따라서, 샘플링부(50)에 의해 배출된 계측 완료 곡립이, 곡립 탱크(10)에 있어서의 곡립 저류 공간(10b) 중 수용 유지부(52)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퇴적되어 간다. 샘플링 횟수가 많아지면, 낙하 통로(55)에도 퇴적된다.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수용 유지부(52)에 검출구(41a)가 면하고 있는 검출부(41)와, 검출부(41)에 송신 케이블(42)을 통해 계측광을 공급하는 광원부(43)와, 검출부(41)로부터 수신 케이블(44)을 통해 계측광을 도입하는 계측 제어부(4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검출부(41)는 광학식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즉, 검출부(41)는, 검출구(41a)에 장착되어 있는 투명판의 이면측에 설치한 투광부(41b) 및 수광부(41c)를 구비하고 있다. 투광부(41b)는, 광원부(43)로부터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공급받고, 공급된 계측광을 수용 유지부(52)가 유지하는 곡립에 조사한다. 수광부(41c)는, 곡립에서 반사한 계측광을 수광하고, 수광한 계측광을 계측 제어부(45)로 보낸다.
계측 제어부(45)는, 수광부(41c)로부터 도입한 계측광의 분광 스펙트럼을 계측하는 분광 계측부(46)와, 분광 계측부(46)에서 계측된 분광 스펙트럼을 기초로, 곡립에 포함되는 성분에 기초하는 성분의 연산 처리를 행하는 연산부(4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근적외광의 흡수 스펙트럼을 이용한 성분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것이며, 근적외광을 곡립에 투사하여, 투과광의 분광 분석에 기초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해석하고, 해석 결과에 의해, 곡립에 포함되는 수분, 단백질, 아밀로오스 등의 성분량을 계측한다. 또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수분, 단백질, 아밀로오스 등의 성분량의 계측 결과를 기초로, 곡립의 식미(食味)를 판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곡립 탱크(10)의 전방부에 설치한 계측실(70)에 배치되어 있다. 계측실(70)은, 곡립 탱크(10)의 전방측의 측벽(10F)[이하, 전방측벽(10F)이라 칭함]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계측실(70)은, 전방측벽(10F) 중 점검창(15)의 횡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계측실(70)은, 점검창(15)보다 주행 횡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계측실(70)은, 전방측벽(10F)에 형성한 장착 구멍(10c)에 끼움 장착된 계측실 형성체(71)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계측실 형성체(71)는,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 곡립 탱크 내측에 위치하는 후방벽(71R)과, 후방벽(71R)의 전체 주위에 걸치는 부위로부터 곡립 탱크 전방측을 향해 연장되어 전방측벽(10F)에 이르는 주위벽(71S)을 구비하여, 상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계측실(70)은,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계측실(70)은,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과 계측실 형성체(71)에 의해 구획된 상태, 또한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계측실 형성체(71)는, 장착 구멍(10c)에 주행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끼움 장착되고, 주위벽(71S)의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한 연결 플랜지(71F)를, 전방측벽(10F)의 표면측에 연결 볼트에 의해 체결하여 연결함으로써, 곡립 탱크(10)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계측실 형성체(71)는, 곡립 탱크(10)에 대해 주행 기체 전방측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측실 형성체(71)의 연결 플랜지(71F)와,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사이에,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대한 진동 전달을 억제하는 방진 고무(72)(도 7, 도 8 참조)를 개재 장착하고 있다. 방진 고무(72)는, 장착 구멍(10c)의 전체 주위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방진 고무(72)는, 계측실 형성체(71)와 전방측벽(10F) 사이를 시일하는 시일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검출부(41), 광원부(43), 계측 제어부(45)를 구성하는 분광 계측부(46) 및 연산부(47)를 수용하는 하우징(7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4)은, 후방판의 전체 주위에 걸쳐 설치한 연결 플랜지(74a)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74)은, 후방벽에 연속 설치된 연결 플랜지(74a)를 구비하고, 연결 플랜지(74a)를 계측실 형성체(71)의 후방벽(71R)에 연결 볼트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계측실 형성체(71)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계측실 형성체(71)의 후방벽(71R) 및 계측실 형성체(71)의 후방벽(71R)에 대향하는 하우징(74)의 후방판에, 검출부(41)의 검출구(41a)가 끼워 넣어지는 검출 구멍을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과 구획된 상태의 계측실(70)에 수용된 상태에서,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곡립 탱크(10)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어,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진애가 부착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는, 계측실 형성체(71)를 곡립 탱크(10)에 대해 탈착하는 조작에 의해 곡립 탱크(10)에 대해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74)의 내부에 전동식 냉각 팬 장치(75)를 배치하여, 계측 제어부(45)를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74)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복수의 흡인구(76)를 계측실(70)의 상하 방향 및 깊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구비하고 있다. 흡인구(76)는, 냉각 팬 장치(75)의 송풍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흡기력에 의해, 하우징(74)의 외부로부터 내부에 제어부 냉각풍을 흡인한다. 흡인구(76)가 하우징(74)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고, 엔진 냉각풍이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엔진 방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부위로부터 저온의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된다. 하우징(74)의 내부에 흡인된 제어부 냉각풍은, 계측 제어부(45)의 주위를 유동하여 계측 제어부(45)에 냉각 작용한다.
도 3, 도 5,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74)의 상면(74U)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출구(77)를 구비하고 있다. 배출구(77)로부터 안내관(78)을 계측실(70)의 외부를 향해 연장하고 있다. 안내관(78)의 연장 단부에, 주행 기체 하방향으로 개방된 토출구(78a)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구(78a)의 일부는, 계측실(70)의 외부로 나와 있다.
배출구(77)는 냉각 팬 장치(75)의 송풍 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력에 의해, 계측 제어부(45)를 냉각한 후의 제어부 냉각풍을 하우징(74)의 외부로 배출한다. 안내관(78)은, 배출구(77)로부터의 제어부 냉각풍을 계측실(70)의 외부로 하향으로 토출한다. 배출구(77)가 하우징(74)의 주행 기체 횡내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고, 안내관(78)이 제어부 냉각풍을 계측실(70)의 외부로 토출함으로써, 하우징(74)으로부터 배출된 냉각 작용 완료된 제어부 냉각풍이, 흡인구(76)로 유동하기 어려워, 하우징(74)에 재유입되기 어렵다. 안내관(78)의 토출구(78a)가 하향인 것에 의해, 빗물이나 세정수가 안내관(78)으로 유입되지 않아, 하우징(74)의 내부에의 빗물이나 세정수의 침입이 발생하지 않는다.
흡인구(76)는, 하우징(74)의 횡단부를 구성하는 필터 케이스(79)에 설치되어 있다. 필터 케이스(79)에, 흡인구(76)에 작용하는 필터(80)를 수용하고 있다. 필터 케이스(79)는, 필터 케이스(79)의 상하 양단부에 작용하는 버클식 연결구(81)에 의해, 하우징(74)의 본체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하의 연결구(81)를 해제 상태로 전환하여 필터 케이스(79)를 하우징(74)의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필터(80)를 흡인구(76)와 함께 하우징(74)의 본체로부터 제거할 수 있어, 필터(80)를 흡인구(76)에 대해 탈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측실(70)이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으로부터 곡립 탱크(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가 전체에 걸쳐 곡립 탱크(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로 설정하고 있다. 계측실(70)이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으로부터 곡립 탱크(10)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 중, 계측실(70) 중 흡인구(76)가 위치하는 흡인구측 부위에 있어서의 들어가는 깊이 D1을, 계측실(70) 중 배출구(77)가 위치하는 배출구측 부위에 있어서의 들어가는 깊이 D2보다도 얕게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 도 5,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10Fa)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내측일수록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전방측벽(10F)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10Fb)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주행 기체 방향에 평행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계측실(70)을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10Fa)과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10Fb)에 걸치는 상태로 구비하여, 적어도 흡인구(76)가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10Fb)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계측실 형성체(71)의 연결 플랜지(71F)로부터 후방벽(71R)까지의 길이를 소정 길이로 함으로써, 계측실(70)의 후방벽으로서의 계측실 형성체(71)의 후방벽(71R)을,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10Fa)의 경사 형상에 평행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계측실(70) 중 흡인구측 부위에 있어서의 들어가는 깊이 D1을, 계측실(70) 중 배출구측 부위에 있어서의 들어가는 깊이 D2보다도 얕게 하기 위해서는,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10Fb)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주행 기체 방향에 평행한 형상으로 바꾸어,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10Fb)의 평면에서 볼 때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10Fa)의 경사 형상보다도 완만한 경사 형상으로 해도 된다.
따라서, 흡인구(76)가 계측실(70)의 외부에 대해 배출구(77)보다도 가깝게 위치하여, 제어부 냉각풍이 계측실(70)의 최대한 외부로부터 흡인되기 쉽다. 또한, 필터 케이스(79)에 대해 계측실(70)의 외부로부터 손이 닿기 쉽다.
도 3,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측실(70) 중 주행 기체 횡내측의 코너부에,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위한 전원 스위치(83)를 배치하고 있다. 전원 스위치(83)에 커넥터(84)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84)는 전원 스위치(83)의 케이스부에 일체 성형되어 있다. 커넥터(84)는, 주행 기체에 설치한 전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 전력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도시하지 않음)과,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로부터 표시 장치(39)로 계측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것이다. 전원 케이블 및 송신 케이블은, 커넥터(84)로부터 주행 기체 후방 방향으로 곡립 탱크(10)의 후방부에 이르고, 곡립 탱크(10)의 개폐 축심인 선회 축심(P2)의 부근에 설정된 되꺾임 개소에서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되꺾어 전원이나 표시 장치(39)에 이르도록 배선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 및 송신 케이블을 커넥터(84)로부터 분리시키는 일 없이 곡립 탱크(10)를 개폐할 수 있다.
샘플링부(50)에 대해 상세하게 서술한다.
샘플링부(50)는,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 중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부근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곡립 저류 공간(10b)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 날개(17)에 의한 튀는 날림에 의해 곡립이 공급됨으로써, 곡립 저류 공간(10b) 중 전방측벽(10F) 부근의 부위에는, 곡립의 공급 누설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샘플링부(50)는, 샘플링 누설이 없는 상태에서 곡립의 샘플링을 행한다.
샘플링부(50)는, 곡립 탱크(10)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유지부 형성체(51)가 높은 배치 높이에 위치하고, 곡립 저류 공간(10b) 중 유지부 형성체(51)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수용 유지부(52)로부터 배출된 곡립이 퇴적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퇴적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샘플링부(50)는, 전방측벽(10F)의 장착 구멍(10c)에 끼움 장착된 계측실 형성체(71)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계측실 형성체(71)를 곡립 탱크(10)에 장착하여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곡립 탱크(10)에 장비하는 조작에 의해, 샘플링부(50)를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의 소정 개소에 배치할 수 있다. 계측실 형성체(71)를 곡립 탱크(10)로부터 제거하여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곡립 탱크(10)로부터 제거하는 조작에 의해, 샘플링부(50)를 곡립 탱크(10)의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수용 유지부(52)는, 유지부 형성체(51)와, 유지부 형성체(51)의 내부에 고정한 벽판(5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샘플링부(50)는, 곡립 탱크(10)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을 검출하는 4개의 곡립 센서(86) 중 최고 위치의 곡립 센서(86)에 의한 검출 영역으로부터 2번째의 높이 위치의 곡립 센서(86)에 의한 검출 영역에 이르는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4개의 곡립 센서(86) 중, 최고 위치와 2번째의 높이 위치의 곡립 센서(86)는, 계측실 형성체(71)의 후방벽(71R)에 지지되고, 3번째의 높이 위치의 곡립 센서(86)는,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에 지지되고, 4번째의 높이 위치의 곡립 센서(86)는, 곡립 탱크(10)의 후방측벽(10R)에 지지되어 있다. 4개의 곡립 센서(86) 및 만배 센서(53)에 접속하는 신호 전달 하니스(도시하지 않음) 중 곡립 센서(86)나 만배 센서(53)에 연결하는 센서측의 하니스 부분은, 곡립 센서(86)나 만배 센서(53)로부터 계측실(70)에 이르고, 계측실(70)의 내부 혹은 외부의 계측실(70)의 부근에서 주행 기체측의 하니스 부분과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속하도록 배선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판(54)은, 지지축(54a)을 통해 유지부 형성체(51)에 지지되고, 지지축(54a)의 곡립 탱크 횡방향 축심을 개폐 축심 X로 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수용 유지부(52)의 배출구(52a)를 폐색하는 상승 폐쇄 위치와, 수용 유지부(52)의 배출구(52a)를 개방하는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된다. 개폐판(54)의 개폐 축심 X는, 수용 유지부(52)에 대해 검출부(4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판(54)은,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형상이며, 개폐 축심 X를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이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54)은, 또한 굴곡부(54b)의 최상단부 개소(54t)가 개폐판(54) 중 개폐 축심 X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판(54)은,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최상단부 개소(54t)가 검출부(41)의 검출 영역(41A)의 최하단부(41AD)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수용 유지부(52)에 유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저면의 형상이 개폐판(54)의 형상 및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되어, 수용 유지부(52)에 유지된 곡립이 이루는 곡립군의 곡립량을, 검출부(41)에 의한 검출을 소정대로 행하게 하기 위한 필요 최소한에 가까운 곡립량으로 설정하여,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개폐판(54)의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의 형상이며, 개폐 축심 X를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의 형상을 상방향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하는 것 대신에, 상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해도 된다.
수용 유지부(52)의 상방 개소 중, 수용 유지부(52)에 대해 검출부(41)가 위치하는 측과는 단부 반대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안내체(88)를 설치하고 있다. 안내체(88)는, 벽판(56)의 상부에 일체 형성한 경사 상태의 판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안내체(88)는 경사 안내면(88a)을 구비하고, 샘플링부(50)의 상방으로 온 곡립을 경사 안내면(88a)에 의해 수용 유지부(52)를 향해 유하 안내한다.
전환 기구(60)는, 유지부 형성체(51)의 내부 중 수용 유지부(52)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한 전동 모터(61) 및 개폐 조작부(6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61)는, 안내체(88)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전동 모터(61)는 안내체(88)의 하방에 설치한 모터실(63)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실(63)은 낙하 통로(55)의 횡측에 위치하고 있다. 모터실(63)은, 유지부 형성체(51)와, 유지부 형성체(51)의 내부에 고정한 벽 부재(64)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동 모터(61)는 수용 유지부(52)에 대해 검출부(41)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위이며, 또한 개폐판(54)의 개폐 축심 X에 대해 수용 유지부(52)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전동 모터(61)는 벽 부재(64)에 지지되어 있다.
개폐 조작부(62)는 벽 부재(64)에 대해 수용 유지부(52)가 위치하는 측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 조작부(62)는 전동 모터(61)의 출력축(61a) 중, 벽 부재(64)로부터 낙하 통로(55)가 위치하는 측으로 돌출된 부위에 연결된 회전 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조작부(62)는 전동 모터(61)에 의해 구동되어 개폐판(54)을 개폐 조작한다.
도 10은 배출구(52a)를 폐쇄한 상태의 샘플링부(5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의 (b)는 개폐판(54)을 상승 폐쇄 위치로 조작한 상태의 전환 기구(6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0,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부(62)는, 회전 축심 Y 주위로 폐쇄 조작측으로 회전 구동되고, 대직경부(62a)가 회전 축심 Y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면, 폐쇄 조작 상태로 된다. 개폐 조작부(62)는, 폐쇄 조작 상태로 되면, 대직경부(62a)가 개폐판(54)의 이면측 중 개폐 축심 X 부근의 부위에 접촉하여 밀어 올림 작용함으로써, 개폐판(54)을 상승 폐쇄 위치로 조작한다.
도 11은 배출구(52a)를 개방한 상태의 샘플링부(5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의 (a)는, 개폐판(54)을 하강 개방 위치로 조작한 상태의 전환 기구(6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1,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부(62)는 회전 축심 Y 주위로 개방 조작측으로 회전 구동되고, 대직경부(62a)가 회전 축심 Y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면, 개방 조작 상태로 된다. 개폐 조작부(62)는 개방 조작 상태로 되면, 개폐판(54)에 대한 대직경부(62a)의 밀어 올림 작용을 해제함으로써, 개폐판(54)을 중량에 의해 하강 개방 위치로 조작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부(62)는 개폐판(54)을 하강 개방 위치로 조작하였을 때, 개폐판(54)의 이면측에 있어서 굴곡부(54b)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54c)에 들어간다. 이에 의해, 하강 개방 위치로 된 개폐판(54)은, 전동 모터(61) 부근의 개소에 위치하여 낙하 통로(55)를 넓게 한다.
모터실(63)에 회전 포텐시오미터(65)를 벽 부재(64)에 지지된 상태로 수용하고 있다. 도 10,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 포텐시오미터(65)의 회전 조작축(65a) 중 벽 부재(64)로부터 낙하 통로(55)가 위치하는 측으로 돌출된 부위로부터 검출 아암(66)을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장하고 있다. 검출 아암(66)은, 개폐 조작부(62)의 주위면에 접촉 작용하는 검출부(66a)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포텐시오미터(65)는 개폐판(54)이 상승 폐쇄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검출 아암(66)이 개폐 조작부(62)에 의해 폐쇄 검출 위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개폐판(54)의 상승 폐쇄 위치로의 전환을 검출한다. 회전 포텐시오미터(65)는, 개폐판(54)이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되었을 때, 검출 아암(66)이 개폐 조작부(62)에 의해 개방 검출 위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개폐판(54)의 하강 개방 위치로의 전환을 검출한다.
만배 센서(53)는,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만배 센서(53)는, 유지부 형성체(51) 중, 평면에서 볼 때, 검출부(41)의 계측광 투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즉, 검출부(41)로부터의 계측광이 만배 센서(53)에 닿는 것을 회피하면서, 만배 센서(53)의 검출 영역(53A)을 수용 유지부(52)의 수납구(52b)에 가까운 배치 높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만배 센서(53)에 의해 설정되는 수용 유지부(52)의 만배 레벨을 낮게 하여, 샘플링 횟수를 많게 하도록 하고 있다.
만배 센서(53)는, 수용 유지부(52)의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유지부 형성체(51) 중 수용 유지부(52)를 향하는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즉, 만배 센서(53)가 유지부 형성체(5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부위에 곡립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어도, 곡립이 만배 센서(53)의 경사에 의해 저절로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 형태〕
도 14는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 및 샘플링부(50)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에서는, 검출부(41)와, 광원부(43)와, 계측 제어부(45)와, 검출부(41), 광원부(43) 및 계측 제어부(45)를 수용하는 동시에,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에 형성한 장착 구멍(10c)에 탈착 가능하게 끼움 장착된 하우징(74)을 구비하여, 내부 품질 계측 장치(40)를 구성하고 있다.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배치한 샘플링부(50)를, 장착 구멍(10c)에 끼움 장착된 하우징(74)의 후방벽(74R)에 지지하고 있다.
즉,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 내측에,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과 구획된 상태의 계측실(70)을 하우징(74)에 의해 형성하고, 이 계측실(70)에 검출부(41), 광원부(43) 및 계측 제어부(45)를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74)을 곡립 탱크(10)에 대해 탈착하는 조작에 의해, 검출부(41), 광원부(43) 및 계측 제어부(45)를 곡립 탱크(10)에 대해 탈착할 수 있다. 하우징(74)을 장착 구멍(10c)에 끼움 장착하는 조작에 의해, 샘플링부(50)를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의 소정 개소에 배치할 수 있고, 하우징(74)을 장착 구멍(10c)으로부터 제거하는 조작에 의해, 샘플링부(50)를 곡립 저류 공간(10b)으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하우징(74)의 전방판(74F)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제어부 냉각풍을 위한 흡인구(76)를 배치하고, 하우징(74)의 전방판(74F)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부근의 부위에, 제어부 냉각풍을 위한 배출구(77) 및 안내관(78)을 배치하고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50)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50)는, 유지부 형성체(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부츠(89)를 구비하고 있다. 부츠(89)는, 수용 유지부(52)로부터 배출되는 계측 완료 곡립이 퇴적되는 공간을 수용 유지부(52)의 하방에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10)의 곡립 저류 공간(10b)에 저류된 곡립의 퇴적 상면이 부츠(89)의 하단부보다도 높은 개소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곡립 저류 공간(10b)에 곡립이 저류되어도, 이 곡립은 부츠(89)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곡립 저류 공간(10b)에 있어서의 곡립의 저류량이 많아져도, 수용 유지부(52)로부터 배출되는 계측 완료 곡립을 수용하는 대용량의 공간을 부츠(89)에 의해 확보할 수 있고, 샘플링부(50)에 많은 횟수의 샘플링을 행하게 하여, 내부 품질 계측을 높은 계측 정밀도로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50)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구조를 구비한 샘플링부(50)에서는, 만배 센서(53)의 상하 위치를, 만배 센서(53)의 검출 영역(53A)의 최하단부(53AD)가 검출부(41)의 검출 영역(41A)의 최상단부(41AU)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하 위치로 설정하고, 만배 센서(53)의 배치 높이를 검출부(41) 부근으로 한 콤팩트한 상태로 샘플링부(50)를 구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검출부(41)가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고, 만배 센서(53)가 유지부 형성체(51) 중, 평면에서 볼 때, 검출부(41)의 계측광 투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위에 설치됨으로써, 만배 센서(53)는, 검출부(41)보다 양곡 장치(12)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한다. 따라서, 만배 센서(53)가 수용 유지부(52)의 곡립 만배 상태를 검출하였을 때, 수용 유지부(52)의 만배 레벨(AL)은, 곡립의 안식각에 의해,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만배 센서(53)의 배치 높이를 개폐판(54)에 가까운 배치 높이로 하여, 수용 유지부(52)의 만배 상태에서의 곡립량을 소량으로 설정해도, 수용 유지부(52)의 만배 레벨(AL)이 검출부(41)의 검출 영역(41A)의 최상단부(41AU)에 도달하여, 검출부(41)에 의한 계측이 지장 없이 행해진다. 따라서, 만배 센서(53)의 배치 높이를 개폐판(54)에 가까운 배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6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41)를 만배 센서(53)에 대해 이격시킬수록, 만배 센서(53)가 위치하는 개소에서의 만배 레벨(AL)의 높이가 낮아져, 만배 센서(53)의 배치 높이를 개폐판(54)에 의해 가까운 배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1)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실(70)을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곡립 탱크(10)의 횡측벽 혹은 후방측벽보다도 내측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2)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샘플링부(50)를 계측실 형성체(71)나 하우징(74)에 지지한 예를 나타냈지만, 샘플링부(50)를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등에 지지시키는 전용의 지지 구조에 의해 곡립 탱크(10)에 지지시켜 실시해도 된다.
(3)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광을 곡립에 검출 매체로서 작용시키는 검출부(41)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초음파 등 각종 검출 매체를 곡립에 작용시키는 검출부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4)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광을 곡립에 검출 매체로서 작용시키는 검출부(41)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초음파 등 각종 검출 매체를 곡립에 작용시키는 검출부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5)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실(70)을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외측, 혹은 곡립 탱크(10)의 횡측벽의 전단부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6)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운전 캐빈을 구비하지 않은 운전부(4)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운전 캐빈을 구비한 운전부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7)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실(70)을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내측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보다도 외측에, 혹은 곡립 탱크(10)의 횡측벽이나 후방측벽에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8)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샘플링부(50)를 계측실 형성체(71)나 하우징(74)에 지지한 예를 나타냈지만, 샘플링부(50)를 곡립 탱크(10)의 전방측벽(10F) 등에 지지시키는 전용의 지지 구조에 의해 곡립 탱크(10)에 지지시켜 실시해도 된다.
(9)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 제어부(45)를 검출부(41)가 수용된 계측실(70)에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계측 제어부(45)를, 검출부(41)가 수용된 계측실(70)과는 다른 개소에 검출부(41)와 분리시켜 설치하여 실시해도 된다.
(10)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계측광을 곡립에 검출 매체로서 작용시키는 검출부(41)를 채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초음파 등 각종 검출 매체를 곡립에 작용시키는 검출부를 채용하여 실시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탈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외에, 예취 곡물대의 밑동으로부터 이삭 끝까지를 급실에 투입하도록 구성한 탈곡 장치를 구비한 보통형 콤바인에도 이용할 수 있다.
6 : 탈곡 장치
10 : 곡립 탱크
10b : 곡립 저류 공간
10c : 장착 구멍
10F : 측벽(전방측벽)
10Fa : 주행 기체 내측 부분
10Rb : 주행 기체 외측 부분
12 : 양곡 장치
15 : 점검창
17 : 회전 날개
31 : 엔진
35 : 냉각 팬
36 : 송풍 가이드
40 : 내부 품질 계측 장치
41 : 검출부
41A : 검출 영역
41AD :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
41AU : 검출 영역의 최상단부
45 : 계측 제어부
50 : 샘플링부
51 : 유지부 형성체
52 : 수용 유지부
52a : 배출구
53 : 만배 센서
53A : 검출 영역
53AD :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
54 : 개폐판
54b : 굴곡부
54c : 오목부
54t : 최상단부 개소
60 : 전환 기구
61 : 전동 모터
62 : 개폐 조작부
70 : 계측실
71 : 계측실 형성체
74 : 하우징
74R : 후방벽
74U : 상면
76 : 흡인구
77 : 배출구
78 : 안내관
78a : 토출구
88 : 안내체
D1 : 들어감 깊이(계측실의 흡인구측 부위)
D2 : 들어감 깊이(계측실의 배출구측 부위)
X : 개폐 축심

Claims (38)

  1.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보다도 내측에,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과 구획된 상태의 계측실을 설치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상기 계측실에 배치한, 콤바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한, 콤바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이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가 전체에 걸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로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한, 콤바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한, 콤바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상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한, 콤바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과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계측실을 형성하는 상자 형상의 계측실 형성체를, 상기 측벽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고 있는, 콤바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는, 콤바인.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샘플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는, 콤바인.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 형성체는, 상기 장착 구멍에 대해 탈착 가능한, 콤바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계측 제어부를 수용하는 동시에, 상기 계측실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곡립 탱크의 측벽에 형성한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하고 있는, 콤바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검출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샘플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장착 구멍에 끼움 장착되어 있는, 콤바인.
  13.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에 배치한, 콤바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측벽 중 상기 계측실의 횡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을 들여다보는 점검창을 구비한, 콤바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주행 기체 상하 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요동 개폐하여 작업 위치와 메인터넌스 위치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는, 콤바인.
  16. 제4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탈곡 장치에 대해 주행 기체 우측 횡측에 배치하고,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저류 공간 중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하는 양곡 장치를, 상기 곡립 탱크의 좌측 횡측부에 구비하고,
    상기 양곡 장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향해 토출하는 회전 날개를 구비한, 콤바인.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인, 콤바인.
  18. 엔진과,
    상기 엔진의 주행 기체 횡외측에 배치되고,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공급하는 냉각 팬과,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엔진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와, 상기 검출부 및 상기 계측 제어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상기 계측 제어부를 냉각하는 제어부 냉각풍을 도입 가능한 흡인구와, 상기 제어부 냉각풍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부에, 주행 기체 전방 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의 계측실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를 상기 계측실에 배치하고,
    상기 흡인구를, 상기 하우징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근의 부위에 구비한, 콤바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구에 필터를 구비한, 콤바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가 탈착 가능한, 콤바인.
  21. 제1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실을,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에, 상기 곡립 탱크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로 배치하고,
    상기 계측실 중 상기 흡인구가 위치하는 흡인구측 부위가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를, 상기 계측실 중 상기 배출구가 위치하는 배출구측 부위가 상기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깊이보다도 얕게 설정하고 있는, 콤바인.
  22. 제2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전방측벽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내측일수록 주행 기체 후방측에 위치하는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전방측벽 중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의 형상을, 주행 기체 횡방향에 평행한 형상, 또는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경사 형상보다도 완만한 경사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계측실을, 적어도 상기 흡인구가 상기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과 상기 주행 기체 횡외측 부분에 걸치는 상태로 구비하고,
    상기 계측실의 후방벽을, 상기 주행 기체 횡내측 부분의 경사 형상에 평행한 형상으로 형성한, 콤바인.
  23. 제18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의 상기 제어부 냉각풍을 상기 계측실의 외부로 안내하는 안내관을 구비한, 콤바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의 토출구가 주행 기체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콤바인.
  25. 제18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상기 하우징의 상면 중 주행 기체 횡내측 단부 부근의 부위에 배치한, 콤바인.
  26. 제18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냉각풍을 주행 기체 횡내측 방향으로 안내하는 송풍 가이드를 구비한, 콤바인.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인, 콤바인.
  28. 예취 곡물대를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내부 품질 계측 장치와,
    상기 곡립 탱크의 곡립 저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된 곡립의 일부를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의 계측 대상으로서 샘플링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샘플링부를 구비하고,
    상기 샘플링부에, 샘플링된 곡립을 받아내어 유지하는 수용 유지부와, 상기 수용 유지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유지부와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연통 가능한 배출구와, 횡방향의 개폐 축심 주위로 상하 요동하여, 상기 배출구를 폐색하는 상승 폐쇄 위치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하강 개방 위치로 전환 가능한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을 요동 조작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에, 상기 수용 유지부에 유지된 곡립에 검출 매체를 작용시키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판을, 상기 상승 폐쇄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개폐 축심을 따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방향으로 굴곡 또는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그 굴곡부 또는 만곡부의 최상단부 개소가 상기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보다도 낮은 위치로 되도록 배치한, 콤바인.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최상단부 개소가, 상기 개폐판 중 상기 개폐 축심 부근의 부위에 위치하고 있는, 콤바인.
  30. 제28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축심을, 상기 수용 유지부에 대해 상기 검출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한, 콤바인.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에,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개폐판을 개폐 조작하는 개폐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개폐 축심에 대해 상기 수용 유지부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한, 콤바인.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판이 상기 하강 개방 위치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개폐판의 이면측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에 상기 개폐 조작부가 들어가도록 상기 개폐 조작부를 배치한, 콤바인.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지부의 상방에, 상기 수용 유지부를 향해 곡립을 유하 안내하는 안내체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 모터를, 상기 안내체의 하방에 배치한, 콤바인.
  34. 제28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지부에 있어서의 곡립 만배 상태를 검출하는 만배 센서를, 상기 수용 유지부를 형성하는 유지부 형성체 중,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검출부의 검출 매체 투사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부위에 배치한, 콤바인.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만배 센서를, 상기 수용 유지부의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시킨 상태에서 상기 유지부 형성체의 표면에 장착한, 콤바인.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곡립 탱크를 상기 탈곡 장치에 대해 주행 기체 우측 횡측에 배치하고,
    상기 샘플링부를 상기 곡립 저류 공간 중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측벽 부근의 부위에 배치하고,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의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에 공급하는 양곡 장치를, 상기 곡립 탱크의 좌측 횡측부에 구비하고,
    상기 양곡 장치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어, 곡립을 상기 곡립 저류 공간을 향해 토출하는 회전 날개를 구비하고,
    상기 만배 센서를, 상기 검출부보다도 상기 양곡 장치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만배 센서의 상하 위치를, 상기 만배 센서의 검출 영역의 최하단부가 상기 검출부의 검출 영역의 최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한, 콤바인.
  37. 제28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품질 계측 장치는, 상기 검출부를 수용하는 계측실과, 상기 계측실에 수용되고, 상기 검출부에 의한 검출 정보를 기초로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
  38. 제28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검출 매체로서의 계측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상기 내부 품질을 계측하는 광학식 센서인, 콤바인.
KR1020130012915A 2012-09-27 2013-02-05 콤바인 KR102025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46A KR102308083B1 (ko) 2012-09-27 2019-09-20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5226A JP5732444B2 (ja) 2012-09-27 2012-09-27 コンバイン
JPJP-P-2012-215225 2012-09-27
JP2012215225A JP5770700B2 (ja) 2012-09-27 2012-09-27 コンバイン
JP2012215227A JP5732445B2 (ja) 2012-09-27 2012-09-27 コンバイン
JPJP-P-2012-215226 2012-09-27
JPJP-P-2012-215227 2012-09-2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46A Division KR102308083B1 (ko) 2012-09-27 2019-09-20 콤바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311A true KR20140041311A (ko) 2014-04-04
KR102025891B1 KR102025891B1 (ko) 2019-09-26

Family

ID=5035044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15A KR102025891B1 (ko) 2012-09-27 2013-02-05 콤바인
KR1020190116246A KR102308083B1 (ko) 2012-09-27 2019-09-20 콤바인
KR1020200139545A KR102294732B1 (ko) 2012-09-27 2020-10-26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46A KR102308083B1 (ko) 2012-09-27 2019-09-20 콤바인
KR1020200139545A KR102294732B1 (ko) 2012-09-27 2020-10-26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2025891B1 (ko)
CN (3) CN1068793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9610A (zh) * 2017-04-05 2017-05-31 吉林大学 一种用于谷物水分检测的测力传感器及测力式谷物水分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7955A (ko) * 2014-05-29 2015-12-09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CN113812267B (zh) * 2014-08-05 2023-07-11 株式会社久保田 联合收割机以及装载在该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
JP5973521B2 (ja) * 2014-10-15 2016-08-23 株式会社クボタ 光学式穀粒評価装置
KR101840304B1 (ko) * 2014-10-30 2018-03-2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102579435B1 (ko)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N109479505B (zh) * 2018-10-26 2022-03-22 山东交通职业学院 一种玉米收割脱粒质检一体化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557A (ja) * 1996-03-06 1997-09-19 Iseki & Co Ltd 穀稈の籾水分センサ
JPH11266668A (ja)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7074963A (ja) * 2005-09-13 2007-03-2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252732A (ja) * 2009-04-27 2010-11-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9613B1 (de) * 1983-06-28 1987-03-11 Deere & Company Vorrichtung zum Anzeigen der Füllmenge des Erntegutes im Sammelbehälter einer Erntegutmaschine, insbesondere Mähdrescher
JPH0295608A (ja) * 1988-09-30 1990-04-06 Yamamoto Mfg Co Ltd 穀粒タンク
US5173079A (en) * 1991-02-28 1992-12-22 Gerrish Steven R Crop testing and evaluation system
US5343761A (en) * 1991-06-17 1994-09-06 Allen Myers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grain mass flow rate in harvesters
US6100526A (en) * 1996-12-30 2000-08-08 Dsquared Development, Inc. Grain quality monitor
DE19744485A1 (de) * 1997-10-09 1999-04-15 Claas Selbstfahr Erntemasch Vorrichtung zur Feuchtemessung in Erntemaschinen
JP2002223629A (ja) * 2001-02-05 2002-08-13 Seirei Ind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構造
US6559655B1 (en) * 2001-04-30 2003-05-06 Zeltex, Inc.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gricultural products on harvesting equipment
SE523635C2 (sv) * 2001-10-03 2004-05-04 Foss Tecator Ab Sortering av korn under skörd
US6686749B2 (en) * 2001-10-25 2004-02-03 Deere & Company Multiple frequency grain moisture sensor for combines
JP2003189733A (ja) * 2001-12-27 2003-07-08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水分測定装置
JP2003339223A (ja) * 2002-05-24 2003-12-0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の回収装置
DE10348040A1 (de) * 2003-10-15 2005-05-19 Deere & Company, Moline Messeinrichtung
JP4578907B2 (ja) 2004-09-16 2010-11-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493015B2 (ja) * 2004-09-17 2010-06-3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06081490A (ja) * 2004-09-17 2006-03-3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JP2007295932A (ja) 2007-06-20 2007-11-1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CN101248721B (zh) * 2008-03-14 2011-06-01 江苏大学 联合收割机的谷物流量测量装置及测产方法
CN201194484Y (zh) * 2008-05-23 2009-02-18 华南农业大学 联合收割机谷物水分检测取样装置
JP5576241B2 (ja) * 2010-10-29 2014-08-2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搬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557A (ja) * 1996-03-06 1997-09-19 Iseki & Co Ltd 穀稈の籾水分センサ
JPH11266668A (ja) 1998-03-25 1999-10-05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2007074963A (ja) * 2005-09-13 2007-03-29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JP2010252732A (ja) * 2009-04-27 2010-11-11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69610A (zh) * 2017-04-05 2017-05-31 吉林大学 一种用于谷物水分检测的测力传感器及测力式谷物水分检测装置
CN106769610B (zh) * 2017-04-05 2023-09-08 吉林大学 一种用于谷物水分检测的测力传感器及测力式谷物水分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79300A (zh) 2017-06-23
CN103688653B (zh) 2018-01-23
CN106879300B (zh) 2019-06-28
KR102308083B1 (ko) 2021-10-05
CN103688653A (zh) 2014-04-02
KR102025891B1 (ko) 2019-09-26
KR102294732B1 (ko) 2021-08-30
KR20190114936A (ko) 2019-10-10
CN107079662B (zh) 2019-06-28
KR20200126950A (ko) 2020-11-09
CN107079662A (zh) 201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5891B1 (ko) 콤바인
JP5732444B2 (ja) コンバイン
KR102317446B1 (ko) 광학식 곡립 평가 장치 및, 상기 광학식 곡립 평가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
JP2015055537A (ja) 光学式穀粒評価装置及び光学式穀粒評価装置を装備したコンバイン
JP5770700B2 (ja) コンバイン
KR20230133828A (ko) 콤바인
JP5732445B2 (ja) コンバイン
JP6824224B2 (ja) コンバイン
JP6169132B2 (ja) コンバイン
JP5772298B2 (ja) コンバイン
JP6346313B2 (ja) コンバイン
JP6073956B2 (ja) コンバイン
JP6338628B2 (ja) コンバイン
JP6006365B2 (ja) コンバイン
JP5973399B2 (ja) 光学式穀粒評価装置及び光学式穀粒評価装置を装備したコンバイン
JP2015156863A5 (ko)
JP2015128451A5 (ko)
JP7083273B2 (ja) コンバイン
JP2003110008A (ja) 半導体製造装置
JP4542451B2 (ja) 草刈り機
JP6827397B2 (ja) コンバイン
JP6981456B2 (ja) 建設機械
CN115166157A (zh) 基于mems氢气传感器的新能源车载报警排风装置
JP2023009283A (ja) コンバイン
CN115122516A (zh) 晶圆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