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955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955A
KR20150137955A KR1020140142541A KR20140142541A KR20150137955A KR 20150137955 A KR20150137955 A KR 20150137955A KR 1020140142541 A KR1020140142541 A KR 1020140142541A KR 20140142541 A KR20140142541 A KR 20140142541A KR 20150137955 A KR20150137955 A KR 20150137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aft
pulley
input shaft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니시자키
히사유키 사토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1146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52231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156670A external-priority patent/JP5673884B1/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7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02Self-propelled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bines (AREA)

Abstract

(과제) 냉각 팬을 정역전 구동하는 HST의 설치에 있어서, 전동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냉각 팬의 전동 효율을 높여서 엔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엔진이나 HST의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꾀한다.
(해결 수단) 엔진(E)과 그레인 탱크(7) 사이의 부위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입력축(15)의 구동력을 분기시켜서 출력하는 전동 기어 케이스(14)를 설치하고, 무단변속장치(18)를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측에 배치함과 아울러 무단변속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출력축(127)을 제 1 입력축(15)의 상측의 부위에 있어서 제 1 입력축(15)과 평행한 자세로 해서 무단변속장치(18)부터 외측방으로 연장시키고,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에 냉각 팬(11)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출력 풀리(27)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라디에이터용 냉각 팬을 정역전 구동하는 HST(유압식 무단변속장치)를 엔진의 상부에 배치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14-8839호
그러나, 상기 문헌 기재의 기술에서는 HST를 엔진의 내측 상부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긴 HST의 출력축이 필요하게 되어 엔진으로부터 냉각 팬으로의 전동이 복잡화되고, 냉각 팬의 전동 효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엔진 및 HST의 메인터넌스를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 팬을 정역전 구동하는 HST의 설치에 있어서, 전동 구조를 간소화함으로써 냉각 팬의 전동 효율을 높여서 엔진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엔진이나 HST의 메인터넌스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곡립 배출장치(130)를 구비한 그레인 탱크(7)의 전방에 엔진(E)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E)과 이 엔진(E)의 외측에 구비한 라디에이터(10) 사이에는 냉각 팬(11)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곡립 배출장치(130)를 구동하는 배출 전동부(170)와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냉각 팬(11)을 구동하는 팬 전동부(160)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E)과 그레인 탱크(7) 사이의 부위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입력축(15)의 외측 단부에 엔진(E)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제 1 입력 풀리(16)을 설치하고, 상기 제 1 입력축(15)의 구동력을 분기시켜서 출력하는 전동 기어 케이스(14)를 설치하며,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출력축(125)의 후단부에 상기배출 전동부(170)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풀리(32)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로부터 내측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입력축(15)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출력 풀리(20)를 설치하고, 상기 팬 전동부(160)에 갖는 무단변속장치(18)의 입력축인 제 2 입력축(121)에는 제 2 입력 풀리(21)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 풀리(20)와 제 2 입력 풀리(21)를 전동 벨트(22)에 의해 연동하고, 상기 무단변속장치(18)를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측에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무단변속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출력축(127)을 상기 제 1 입력축(15)의 상측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축(15)과 평행한 자세로 해서 무단변속장치(18)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에 상기 냉각 팬(11)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출력 풀리(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를 상기 제 1 입력축(15)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연신시킨 청구항 1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무단변속장치(18)를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19)에 상기 제 2 출력축(12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부(19b)를 일체 형성한 청구항 2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무단변속장치(18)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트러니언축(29)을 구비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에는 제어 모터(31)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기어(31a)와 맞물리는 제 2 기어(30)를 설치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제 2 기어(30)의 중앙 부분에 구멍부(30d)를 형성하고, 무단변속장치(18)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부(30d)에 임하는 부위에 트러니언축(29)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30a)를 설치한 청구항 3에 기재된 콤바인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엔진(E)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입력축(15)으로부터 배출 전동부(170)와 무단변속장치(18)를 갖는 팬 전동부(160)로 전동하므로, 엔진(E) 주변의 전동 부재를 간소화하고 냉각 팬(11)의 전동 효율을 높여서 엔진(E)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엔진 주변(E)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제 2 출력축(127)이 제 1 입력축(15)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엔진(E)으로부터 제 1 입력축(15)으로의 전동 부재와, 제 2 출력축(127)으로부터 냉각 팬(11)으로의 전동 부재의 메인터넌스를 더욱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무단변속장치(18)가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전동 기어 케이스(14)와 무단변속장치(18)를 상하에 배치해서 기체를 좌우 방향 또는 전후 방향으로 컴팩트화하면서 전동 기어 케이스(14)와 무단변속장치(18) 주변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화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전동부(170) 및 곡립 배출장치(130)를 기체의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어 그레인 탱크(7)의 저장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전동 기어 케이스(14)로부터 내측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입력축(15)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출력 풀리(20)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엔진(E)으로부터 제 1 입력축(15)으로의 전동 부재와 제 1 입력축(15)으로부터 무단변속장치(18)로의 전동 부재를 떨어지게 배치함으로써 이들 전동 부재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를 상기 제 1 입력축(15)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연신시키고 있으므로, 엔진(E)으로부터 제 1 입력축(15)으로의 전동 부재와 출력축(127)으로부터 냉각 팬(11)으로의 전동 부재를 서로 간섭하는 않게 배치할 수 있어, 이들 전동 부재의 전동 효율의 저하나 내구성의 악화를 억제함과 아울러 메인터넌스를 용이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지지 부재(19)에 상기 제 2 출력축(12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부(19b)를 일체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 2 출력축(127)의 지지 강성을 높여서 냉각 팬(11)의 전동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제 2 기어(3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구멍부(30d)에 배치된 각도 센서(30a)에 의해서 트러니언축(29)의 회전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측면도,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
도 3은 상방으로부터 본 콤바인의 요부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콤바인의 원동부의 측면도,
도 5는 동상 요부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요부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요부의 정면도,
도 8은 요부의 전동선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콤바인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콤바인은 차대(1)의 하부에 주행 크롤러(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대(1) 상의 후방부에 탈곡부(탈곡장치)(4)를 탑재하고, 그 전방에 예취부(3)를 설치하고, 예취부(3)의 횡측에 운전석(5)이 배치되고, 운전석(5)의 후방에는 탈곡립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그레인 탱크(7)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그레인 탱크(7)는 내부에 저장된 곡립을 기기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장치(곡립 배출장치)(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장치는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 구비하는 반출 오거(12)와 그레인 탱크(7)의 후방부에 설치되는 배출 오거(13)를 포함한다.
운전석(5)의 하방의 차대(1) 상에는 엔진 룸(6)이 형성되고, 이 엔진 룸(6) 내에 엔진(E)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엔진 룸(6)의 우측 후방부과 좌측 후방부에는 각각 차대(1)로부터 상방을 향해서 세워서 설치된 우측 후방부 프레임(1a) 및 좌측 후방부 프레임(1b)을 구비하고, 이 우측 후방부 프레임(1a) 및 좌측 후방부 프레임(1b)은 운전석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는 구조체의 일부를 이루고 있다.
엔진 룸(6)의 엔진(E)의 외측(우측)에는 라디에이터 커버(8)가 설치되고, 라디에이터 커버(8)에는 엔진 룸(6) 내에 도입되는 외기에 포함되는 진애 등을 여과하는 방진 망(9)이 설치되어 있다. 라디에이터 커버(8)의 내측에는 엔진(E)을 순환하는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라디에이터(10) 및 냉각 팬(11)이 배치되어 있다.
엔진 룸(6)의 후방이며 또한 그레인 탱크(7)의 전방에는, 엔진(E)의 구동력을 그레인 탱크(7)의 저부에 설치된 배출장치(130)에 전달하는 전동 기어 케이스(14)가 설치되어 있다.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방에는 엔진(E)의 구동력을 냉각 팬(11)에 전달하는 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 무단변속장치)(18)가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 부재(19)에 의해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지지되어 있다.
전동 기어 케이스(14) 및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의 적어도 일부는 우측 후방부 프레임(1a) 및 좌측 후방부 프레임(1b)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기어 케이스(14) 및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기체의 좌우 방향에서 우측 후방부 프레임(1a)과 좌측 후방부 프레임(1b)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팬의 변속장치)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입력된 회전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하는 기기이며, 냉각 팬(11)을 정전 및 역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입력축(제 2 입력축)(121)으로의 입력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펌프와, 출력축(제 2 출력축)(127)을 구동하는 유압 모터 사이를 2개의 유로에 의해 접속해서 폐회로를 형성한 것이다. 유압 펌프에는 그 토출 유량과 토출 방향을 변경하는 트러니언축이 구비되어 있다. 이 트러니언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냉각 팬(11)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엔진 룸(6)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엔진 룸(6) 밖의 외기를 라디에이터 커버(8)의 방진 망(9)으로 여과하면서 라디에이터(10)를 통과시켜서 엔진 룸(6) 내에 흡인하고, 엔진(E) 및 라디에이터(10)를 냉각한다.
또한,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냉각 팬(11)을 역전시킴으로써 엔진 룸(6)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엔진 룸(6) 내의 내기를 라디에이터(10) 및 방진 망(9)을 통과시켜서 배기함으로써 라디에이터(10)의 코어간에 막힌 미세한 진애를 제거함과 아울러 방진 망(9)의 외측면에 부착된 진애를 날려버려서 제거한다.
환언하면,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냉각 팬(11)을 정전시켜서 엔진(E) 및 라디에이터(10)를 냉각하는 냉각 상태와, 냉각 팬(11)을 역전시켜서 방진 망(9)에 부착된 진애를 제거하는 제진 상태로 스위칭 가능하다.
(전동기구)
이어서, 냉각 팬(11) 및 반출 오거(12)의 전동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엔진(E)의 회전동력은 엔진 룸(6)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들어가는 입력축(제 1 입력축)(15)으로 전동된다. 그리고, 입력축(15)에 전동된 엔진(E)의 회전동력은 이 입력축(15)에 있어서 냉각 팬(11)측으로의 전동부인 팬 전동부(160)와, 배출장치(130)측으로의 전동부인 배출 전동부(170)로 분기되어서 전달된다. 환언하면, 냉각 팬(11) 및 배출장치(130)에는 입력축(15)에 전달된 엔진(E)의 회전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팬 전동부(160)는 후술하는 전동 풀리(제 2 출력 풀리)(20), 전동 벨트(22), HST 입력 풀리(제 2 입력 풀리)(21), 입력축(121),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 출력축(127), HST 출력 풀리(제 3 출력 풀리)(27), 벨트(112), 팬 풀리(28)를 포함하고, 이것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또한, 배출 전동부(170)는 후술하는 출력축(제 1 출력축)(125), 오거 전동 풀리(제 1 출력 풀리)(32), 벨트(111), 오거 입력 풀리(33)를 포함하고, 이것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냉각 팬의 전동기구)
엔진(E)의 회전동력이 출력되는 출력축(117)의 외측(우측) 단부에는 엔진 풀리(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 풀리(17)와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설치된 입력축(15)의 외측 단부(우측 단부)의 입력 풀리(제 1 입력 풀리)(16)에 벨트(110)가 감겨 있다. 입력축(15)은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내측(좌측)으로 돌출하고, 그 내측 단부에 전동 풀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동 풀리(20)와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의 입력축(121)에 설치된 HST 입력 풀리(21)에는 전동 벨트(22)가 감겨 있다.
그리고,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의 출력축(127)의 외측(우측) 단부에는 HST 출력 풀리(27)가 설치되어 있다. 이 HST 출력 풀리(27)와 냉각 팬(11)의 회전축(128)에 설치된 팬 풀리(28)에는 벨트(112)가 감겨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엔진(E)의 회전동력은 입력축(15)을 경유해서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에 전달되고, 무단변속장치(18)는 입력된 회전동력을 무단계로 변속해서 냉각 팬(11)에 전달한다.
(배출장치의 전동기구)
전동 기어 케이스(14)에는 입력축(15)과 교차하는 방향(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출력축(125)이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15)의 전동 기어 케이스(14) 내의 부위에는 베벨 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베벨 기어와 출력축(125)의 베벨 기어가 맞물림으로써 입력축(15)의 전동이 출력축(125)에 전달된다. 출력축(125)의 단부(후단부)에는 오거 전동 풀리(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거 전동 풀리(32)와 반출 오거(12)에 구비하는 오거 입력 풀리(33)에 벨트(111)가 감겨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엔진(E)의 회전동력은 입력축(15)을 경유해서 배출장치(130)에 전달된다.
또한, 벨트(110)에는 이 벨트(110)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롤러(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 롤러(150)는 벨트(110)에 항상 장력을 부여하는, 소위 상시 당김의 장압 부재이다. 또한, 벨트(111)에는 이 벨트(111)에 장력을 부여하는 텐션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텐션 클러치는 액츄에이터에 의해 벨트(111)의 전동이 가능한 상태와 전동 불능인 상태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벨트 등의 배치)
엔진 풀리(17)와 입력 풀리(16)에 감긴 벨트(110)와, HST 출력 풀리(27)와 팬 풀리(28)에 감긴 벨트(112)는, 엔진(E)과 냉각 팬(11)의 좌우 방향에서의 간격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벨트(112)는 벨트(110)보다 우측(기체의 외측이며, 냉각 팬(11)에 가까운 측이다)에 배치됨과 아울러 벨트(110)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식 무단변속장치의 지지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차대(1) 상에 탑재된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부에 설치된 지지 부재(19)에 의해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 부재(19)는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있어서의 입력축(15)보다 후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19)의 상부에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를 연결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의 입력축(121) 및 출력축(127)은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입력축(15)보다 후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위치가 부여된다.
지지 부재(19)는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하부가 연결되는 지지부(19a)와, 지지부(19a)의 상측에 위치하는 통부(19b)를 구비하고 있다. 통부(19b)는 그 내부에 상기 출력축(127)이 삽입되는 공간을 가짐과 아울러 외측 단부에 출력축(127)의 외측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는 출력축(127)이 통부(19b)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통부(19b)의 내측 단부에 4개의 볼트(19c)로 체결됨으로써 지지 부재(19)에 지지된다.
(벨트 텐션 기구)
상기 전동 벨트(22)에는 이 전동 벨트(22)에 장력을 부여하는 벨트 텐션 기구(25)가 설치되어 있다. 벨트 텐션 기구(25)는 전동 벨트(22)에 접촉하는 텐션 풀리(23)와, 이 텐션 풀리(2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텐션 암(24)을 구비하고 있다. 텐션 암(24)은 핀(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과 아울러 스프링에 의해 텐션 풀리(23)를 전동 벨트(22)에 가까워지는 방향의 바이어싱 포오스가 부여되어 있다.
핀(26)은 플레이트(26a)에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해 접합되어 있고, 이 플레이트(26a)는 상술의 볼트(19c) 중 후방측의 상하 2개의 볼트(19c)에 의해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 및 지지 부재(19)에 체결되어 있다. 즉, 플레이트(26a)와 무단변속장치(18)는 볼트(19c)에 의해 지지 부재(19)에 공체결되어 있다.
(트러니언축)
상술의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에 구비된 유압 펌프에는 입력축(121)의 회전속도에 대한 작동유의 토출량을 변경하여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에 있어서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트러니언축(29)이 설치되어 있다.
트러니언축(29)에는 트러니언 기어(30)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트러니언 기어(제 2 기어)(30)와 제어 모터(31)의 피니언 기어(제 1 기어)(31a)가 맞물려 있다. 제어 모터(31)는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8)와 전후 방향에서 일부가 겹쳐서 배치됨과 아울러 지지 부재(19)의 통부(19b)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다.
트러니언 기어(30)는 트러니언축(29)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중앙 부분에 구멍부(30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멍부(30d)의 둘레가장자리 부분에는 트러니언축(29)이 제어 범위를 넘어서 각도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무단변속장치(18)에 있어서의 구멍부(30d)에 임하는 부위에는 트러니언축(29)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30a)와, 스토퍼(30b)와 접촉하는 플레이트(30c)가 설치되어 있다.
트러니언축(29)의 정전측 및 역전측 제어 범위 한도까지 트러니언 기어(30)가 회전하면, 2개의 스토퍼(30b) 중 한쪽이 플레이트(30c)와 접촉함으로써 트러니언 기어(30)의 회전을 규제한다.
(DPF)
또한, 그레인 탱크(7)의 전방부측과 탈곡부(4) 사이의 하방 공간 내에는 엔진(E)의 배기 처리장치로서의 DPF(디젤 파티큘레이트 필터)(35)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동 풀리(20)로부터 HST 입력 풀리(21)로 전동하는 벨트(22)의 벨트 라인은 상기 DPF(35) 위치보다 기체 측방부이고, 또한 기체 전방부로 되는 배치 관계에 놓여져 있다.
7 : 그레인 탱크 10 : 라디에이터
11 : 냉각 팬 14 : 전동 기어 케이스
15 : 제 1 입력축 16 : 제 1 입력 풀리
18 : 무단변속장치 19 : 지지 부재
19b : 통부 20 : 제 2 출력 풀리
21 : 제 2 입력 풀리 22 : 전동 벨트
27 : 제 3 출력 풀리 29 : 트러니언축
30 : 제 2 기어 30a : 각도 센서
30d : 구멍부 31 : 제어 모터
31a : 제 1 기어 32 : 제 1 출력 풀리
121 : 제 2 입력축 125 : 제 1 출력축
127 : 제 2 출력축 130 : 곡립 배출장치
160 : 팬 전동부 170 : 배출 전동부
E : 엔진

Claims (4)

  1. 곡립 배출장치(130)를 구비한 그레인 탱크(7)의 전방에 엔진(E)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E)과 이 엔진(E)의 외측에 구비한 라디에이터(10) 사이에는 냉각 팬(11)을 배치하고,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곡립 배출장치(130)를 구동하는 배출 전동부(170)와 상기 엔진(E)의 구동력에 의해 냉각 팬(11)을 구동하는 팬 전동부(160)를 설치한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E)과 그레인 탱크(7) 사이의 부위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입력축(15)의 외측 단부에 엔진(E)의 구동력이 입력되는 제 1 입력 풀리(16)를 설치하고, 상기 제 1 입력축(15)의 구동력을 분기시켜 출력하는 전동 기어 케이스(14)를 설치하며,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출력축(125)의 후단부에 상기 배출 전동부(170)로 출력하는 제 1 출력 풀리(32)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부터 내측방으로 돌출하는 제 1 입력축(15)의 내측 단부에는 제 2 출력 풀리(20)를 설치하고, 상기 팬 전동부(160)에 갖는 무단변속장치(18)의 입력축인 제 2 입력축(121)에는 제 2 입력 풀리(21)를 설치하고, 상기 제 2 출력 풀리(20)와 제 2 입력 풀리(21)를 전동 벨트(22)에 의해 연동하고, 상기 무단변속장치(18)를 상기 전동 기어 케이스(14)의 상측에 배치함과 아울러 상기 무단변속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출력축(127)을 상기 제 1 입력축(15)의 상측의 부위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축(15)과 평행한 자세로 해서 무단변속장치(18)로부터 외측방으로 연장시키고, 상기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에 상기 냉각 팬(11)으로 구동력을 출력하는 제 3 출력 풀리(2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출력축(127)의 외측 단부를 상기 제 1 입력축(15)의 외측 단부보다 외측방으로 돌출하는 위치까지 연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18)를 전동 기어 케이스(14)에 지지하는 지지 부재(19)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19)에 상기 제 2 출력축(127)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통부(19b)를 일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변속장치(18)의 변속비를 변경하는 트러니언축(29)을 구비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에는 제어 모터(31)로 구동되는 제 1 기어(31a)와 맞물리는 제 2 기어(30)를 설치하고, 상기 트러니언축(29)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보아서 상기 제 2 기어(30)의 중앙 부분에 구멍부(30d)를 형성하고, 무단변속장치(18)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부(30d)에 임하는 부위에 트러니언축(29)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각도 센서(30a)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40142541A 2014-05-29 2014-10-21 콤바인 KR201501379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1469 2014-05-29
JP2014111469A JP2015223159A (ja) 2014-05-29 2014-05-29 コンバイン
JP2014156670A JP5673884B1 (ja) 2014-07-31 2014-07-31 コンバイン
JPJP-P-2014-156670 2014-07-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955A true KR20150137955A (ko) 2015-12-09

Family

ID=5487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541A KR20150137955A (ko) 2014-05-29 2014-10-21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37955A (ko)
CN (1) CN1053091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46A (ko) * 2016-05-25 2017-12-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8458B2 (ja) * 2016-12-20 2019-12-11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N108127691B (zh) * 2017-12-21 2020-04-21 重庆文理学院 一种挖掘机器人用冷却装置
JP6614518B1 (ja) * 2018-06-28 2019-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原動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5222A (ja) * 1996-10-11 1998-05-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冷却装置
JPH11113349A (ja) * 1997-10-17 1999-04-2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2009262747A (ja) * 2008-04-24 2009-11-12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原動部構造
JP5595007B2 (ja) * 2009-10-23 2014-09-24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101310698B1 (ko) * 2010-12-17 2013-09-2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JP5828581B2 (ja) * 2011-02-15 2015-12-09 ヤンマー株式会社 普通型コンバイン
KR102025891B1 (ko) * 2012-09-27 2019-09-2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246A (ko) * 2016-05-25 2017-12-05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9110A (zh) 2016-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5857B2 (en) Combine
RU2015144494A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повышенной проходимости на гусеничном ходу
KR20150137955A (ko) 콤바인
JP2008239124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の駆動装置
KR101310698B1 (ko) 작업 차량의 원동부 구조
US8517139B2 (en) Tractor
JP4607002B2 (ja) 走行型車両
KR101514475B1 (ko) 차량용 연속 가변 변속 장치
JP5472648B2 (ja) 作業車輌
JP6615817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6488530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5673884B1 (ja) コンバイン
JP4109604B2 (ja) コンバイン
KR20140128787A (ko) 농용 작업차량
JP2016215953A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11224024A (ja) コンバイン
JP2008133960A (ja) トルクリミッタ
KR102043536B1 (ko) 크롤러 트랙터
JP6468514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14128207A (ja) コンバイン
JP2018154191A (ja) 多目的車両
JP2005125830A (ja) コンバイン
JP2015223159A (ja) コンバイン
KR20100102093A (ko) 주행 차량
JP3675971B2 (ja) Hst式ミッ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