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536B1 - 크롤러 트랙터 - Google Patents

크롤러 트랙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536B1
KR102043536B1 KR1020177036576A KR20177036576A KR102043536B1 KR 102043536 B1 KR102043536 B1 KR 102043536B1 KR 1020177036576 A KR1020177036576 A KR 1020177036576A KR 20177036576 A KR20177036576 A KR 20177036576A KR 102043536 B1 KR102043536 B1 KR 102043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ixed
frames
drive axle
mis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6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8777A (ko
Inventor
카쯔미 후지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30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4885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05918A external-priority patent/JP6468514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08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8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change-spe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4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프레임 구성을 휠 트랙터와 공통화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크롤러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엔진(3)의 동력을 미션 케이스(5) 및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을 통하여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구동륜(22)에 전달하는 크롤러 트랙터로서,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과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 한 쌍의 리어 빔(33) 및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을 구비하고,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부는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을 통하여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전부에 연결 고정되고,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후 중간부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에 연결 고정되고,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후부는 한 쌍의 리어 빔(33)을 통하여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에 연결 고정되는 크롤러 트랙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크롤러 트랙터
본 발명은 크롤러식 주행 장치상에 트랙터의 본체부를 고정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크롤러 프레임의 전부에 엔진을 고정하고 크롤러 프레임의 후부에 미션 케이스를 고정하며, 엔진과 미션 케이스 사이를 프레임에 의해 연결한 기술이 공지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제467288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크롤러 트랙터에서는 프레임 구성이 크롤러 트랙터 전용으로 설계되어 있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프레임 구성을 다른 트랙터의 프레임에 유용함에 따른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없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는 크롤러 트랙터의 프레임 구성은 생산수가 적기 때문에 생산 기간과 생산 기간 사이의 간격이 길었다. 그 때문에, 품질에 격차가 생기기 쉬우며, 격차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프레임 구성을 휠 트랙터와 공통화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크롤러 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는, 엔진의 동력을 미션 케이스 및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을 통하여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구동륜에 전달하는 크롤러 트랙터로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크롤러식 주행 장치를 구성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트럭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 끼리를 연결하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후부에서 좌우 중앙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한 쌍의 빔; 및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리어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후부에는 상기 미션 케이스가 고정되며,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부는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전부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는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후부는 상기 한 쌍의 빔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리어 하우징에 연결 고정된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후부 마운트가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후부 마운트 상에 상기 캐빈의 후부가 고정되며 연료 탱크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부,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 상기 하부 프레임, 및 프론트 도저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도저 브라켓에는 프론트 도저를 장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미션 케이스, 상기 미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론트 도저 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프론트 도저 브라켓에 의해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이 지지되는 크롤러 트랙터로서,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는 프론트 엑슬 케이스가 부설되고, 상기 프론트 엑슬 케이스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은 상기 프론트 엑슬 케이스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연결 브라켓 및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트럭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하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연결 브라켓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에 장착되는 한 쌍의 리어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에 장착되는 한 쌍의 리어 빔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리어 빔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리어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서, 상기 미션 케이스에는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는 선회용 무단 변속 장치가 마련되며, 상기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에는 유압 펌프 및 유압 모터가 펌프축 상에서 직렬 배치되고, 상기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이 되는 모터축은 상기 펌프축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축의 동력은 전후진 절환 장치 및 서브 변속 장치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크롤러 트랙터에 의하면 프레임 구성을 휠 트랙터와 공통화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크롤러 트랙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크롤러 트랙터의 크롤러 벨트와 도어 글래스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메인 프레임에 트럭 프레임, 엔진 및 미션 케이스를 장착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메인 프레임에 트럭 프레임, 엔진, 미션 케이스 및 연료 탱크를 장착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트랙터의 운전 좌석과 그 주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오퍼레이터의 시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메인 프레임의 전부에 프론트 도저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프론트 도저의 장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동력 전달 기구도이다.
도 10은 유압 회로도이다.
도 11은 유압 배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배터리를 스텝 전방에 배치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크롤러 트랙터(1)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는 F 방향을 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일부의 도면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후부 마운트(35) 또는 연료 탱크(36)의 일방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크롤러 트랙터(1)에서, 크롤러식 주행 장치(2) 상에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을 통하여 엔진(3) 또는 캐빈(4) 등의 본체부(상부 구조)가 고정되어 있다. 엔진(3)은 보닛(30)에 의해 덮여 있다.
캐빈(4)의 내측은 조종실로서 구성되며 운전 좌석(8)이 배치되어 있다. 운전 좌석(8)의 주위에는 스티어링 핸들(94), 액셀 페달(95), 시프트 레버(96), 브레이크 페달(97), 클러치 페달(98) 및 전후진 절환 레버(99) 등이 배치되어 있다. 오퍼레이터는 운전 좌석(8)에 앉은 상태로 액셀 페달(95) 또는 시프트 레버(96) 등을 조작하여 크롤러 트랙터(1)를 조종할 수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은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 및 한 쌍의 리어 프레임(1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 및 한 쌍의 리어 프레임(1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판체 및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고 한 쌍의 판체를 연결하는 보강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의 전단에는 범퍼(19)가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의 후부에는 한 쌍의 리어 프레임(12)의 전부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의 사이에는 엔진(3)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리어 프레임(12)의 후부 사이에는 미션 케이스(5)가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과 미션 케이스(5)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강성이 높은 기체 프레임이 형성된다.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의 전방 하부에는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이 좌우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 한 쌍의 구동륜(22), 한 쌍의 텐션 롤러(23), 복수의 유동륜(24), 한 쌍의 가이드 롤러(25) 및 한 쌍의 크롤러 벨트(26)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양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구동륜(22)은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의 좌우 양측보다 측방으로 돌출된 구동축(28)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텐션 롤러(23)는 한 쌍의 텐션 프레임(29)의 후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텐션 프레임(29)은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유동륜(24)은 복수의 이퀼라이저 프레임(31)의 전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퀼라이저 프레임(31)은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하부에 전후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롤러(25)는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전후 중간부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한 쌍의 크롤러 벨트(26)는, 한 쌍의 구동륜(22), 한 쌍의 텐션 롤러(23), 복수의 유동륜(24) 및 복수의 가이드 롤러(25)에 감겨 있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2)와 기체 프레임(한 쌍의 메인 프레임(10)과 미션 케이스(5))의 연결 구성에서,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전단은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및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을 통하여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에 고정되고, 후부는 한 쌍의 리어 빔(33) 및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을 통하여 미션 케이스(5)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에서, 좌우 중앙에 기어 박스(6a)가 형성되고(도 11 참조), 기어 박스(6a)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프론트 엑슬 케이스(6b)가 부설 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엑슬 케이스(6b)의 좌우 중앙측에는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프론트 엑슬 케이스(6b)의 외측단의 후면에는 한 쌍의 트럭 프레임(21)의 전단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의 좌우 중앙부의 상면에는 후면에서 보아 역 T자 형상으로 구성된 한 쌍의 연결 브라켓(32)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결 브라켓(32)의 상부는 한 쌍의 프론트 프레임(11)의 후부 측면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기체 프레임과 크롤러식 주행 장치(2)는 강고하게 연결 고정된다. 그 때문에, 크롤러 트랙터(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 및 한 쌍의 리어 빔(33)의 후면에는 작업기 장착 장치(13)를 구성하는 한 쌍의 하부 링크(15) 및 한 쌍의 체크 체인(16)의 전단이 연결되어 있다. 작업기 장착 장치(13)의 탑 링크(17)는 미션 케이스(5)의 상면에 고정된 유압 케이스의 후면에 연결된다. 한 쌍의 리프트 아암(14)(도 2 참조)은 유압 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 쌍의 리프트 아암(14)의 후단은 리프트 링크를 통하여 한 쌍의 하부 링크(15)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리프트 아암(14)은 유압 실린더에 의해 승강 구동된다.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의 외측면에는 한 쌍의 후부 마운트(35)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후부 마운트(35)는 평판부 및 지주(支柱)부를 구비하고 있다. 지주부는 리어 하우징(34)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지주부는 평판부의 기체 좌우 내측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평판부의 상면에는 연료 탱크(36)가 장착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결속 벨트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휠형 트랙터의 펜더의 형상에 맞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펜더 내에 배치되고, 외측면은 커버에 의해 덮여 있다.
한 쌍의 후부 마운트(35)의 상면에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통하여 캐빈(4)의 후방 하부가 고정되어 있다. 즉, 한 쌍의 후부 마운트(35)에서 연료 탱크 브라켓과 캐빈 마운트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4)의 전방 하부는 캐빈 브라켓(미도시)을 통하여 한 쌍의 리어 프레임(12)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즉, 미션 케이스(5)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리어 하우징(34)을 통하여 한 쌍의 후부 마운트(35)가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후부 마운트(35) 상에는 한 쌍의 연료 탱크(36)와 캐빈(4)의 후부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연료 탱크(36)와 캐빈(4)의 장착 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을 모도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이용하여 배터리(43)의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43)는, 셀 모터의 구동, 라이트, 실내 조명 및 제어 장치 등의 전장품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이다. 배터리(43)는 탱크 커버(37) 내에 배치되어 있다. 탱크 커버(37)는 조종부의 측부에 배치되는 연료 탱크(36)를 덮는 것이다. 조종부를 덮는 캐빈(4) 내의 운전 좌석(8)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펜더(9)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크롤러 트랙터(1)의 상부 구조는 휠 트랙터와 공통하기 때문에 휠 트랙터의 후륜의 상방을 덮는 한 쌍의 펜더(9)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펜더(9) 내에는 한 쌍의 연료 탱크(36)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연료 탱크(36)의 외측 측면은 한 쌍의 탱크 커버(37)에 의해 덮여 있다. 좌우 일방(좌측 또는 우측)의 펜더(9) 내에는 배터리(43)가 수납되어 있다. 배터리(43)는 배터리 탑재대(42) 상에 탑재되어 있다. 배터리 탑재대(42)는 후부 마운트(35)의 전부보다 전방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연료 탱크(36)의 상부의 전후 중앙에는 연료를 보급하기 위한 공급구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커버(37)의 상부의 전후 중앙에 마련된 뚜껑(37a)을 개방함으로써 공급구가 노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펜더(9)의 내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료 탱크(36)의 전방의 탱크 커버(37) 내에 배터리(43)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함에 따라, 탱크 커버(37)를 개방함으로써 배터리(43)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배터리 탑재대(42)는 후부 마운트(35)와 일체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에 의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진다. 또한, 배터리(43)가 보닛(30) 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라디에이터 전방을 차단하지 않아, 라디에이터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터리(43)가 보닛(30) 내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엔진 룸을 작게 구성할 수 있어, 전방 시야를 넓힐 수 있다.
도 12를 이용하여, 배터리(43)의 다른 배치에 대해 설명한다.
배터리(43)는 캐빈(4)의 외측, 스텝(41)의 전방이면서 크롤러 벨트(26)의 상방에 배치해도 된다. 배터리 탑재대(42)는 캐빈(4)의 전방 하측부에 마련한 스텝(41)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 보닛(30)을 열지 않고 외측의 크롤러 벨트(26) 상에서 유지 보수가 이루어져,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프론트 도저(50)를 장착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프론트 도저(50)는 크롤러 트랙터(1)의 전부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부 측면,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및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에는 한 쌍의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에 프론트 도저(50)를 설치할 수 있다.
프론트 도저(50)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52), 지지 아암(53), 블레이드(54), 한 쌍의 승강 실린더(55), 한 쌍의 앵글 실린더(56), 경사 실린더(57) 및 블레이드 장착체(5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프레임(52)은 판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후부가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외측단에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52)의 전방 하부에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ㄷ자형으로 구성된 지지 아암(53)의 좌우 양측 후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 프레임(52)의 전방 상부와 지지 아암(53)의 전부 양측 사이에는 한 쌍의 승강 실린더(55)가 개재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승강 실린더(55)의 신축에 의해 지지 아암(53)이 승강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지지 아암(53)의 전단의 좌우 중앙과 판 형상의 블레이드 장착체(58)의 좌우 중앙 후면은 좌우 회동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지지 아암(53)의 좌우 양측 후부와 블레이드 장착체(58)의 좌우 양측 후면 사이에는, 한 쌍의 앵글 실린더(56)가 개재되어 있다. 한 쌍의 앵글 실린더(56)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축시킴으로써, 블레이드 장착체(58)가 좌우 회동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블레이드 장착체(58)의 전면에는 블레이드(54)의 후면이 기울어질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블레이드(54)의 좌우 중앙 상부와 블레이드 장착체(58)의 좌우 일측 사이에는 경사 실린더(57)가 개재되어 있다. 경사 실린더(57)를 신축시킴으로써, 블레이드(54)가 기울어질 수 있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블레이드(54)가 승강 및 전후 경사 및 상하 경사가 가능하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은 프론트 프레임(11),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및 하부 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은 메인 프레임 장착판(51a), 엑슬 장착판(51b), 하부 프레임 장착판(51c), 도저 장착판(51d), 연결판(51e, 51f) 및 보강 스테이(51g)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 장착판(51a), 엑슬 장착판(51b) 및 하부 프레임 장착판(51c)은 상하 전후 방향에 배치된 연결판(51e)에 의해 연결 고정되어 있다. 메인 프레임 장착판(51a)과 도저 장착판(51d)은 수평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연결판(51f)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메인 프레임 장착판(51a), 엑슬 장착판(51b), 하부 프레임 장착판(51c), 도저 장착판(51d) 및 연결판(51e, 51f)에는 각각 적절하게 보강 스테이(51g)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전부의 메인 프레임 장착판(51a)과 연결판(51e)의 전후 중간부는, 볼트에 의해 프론트 프레임(11)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전후 중간부의 하부의 엑슬 장착판(51b)은 볼트에 의해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후방 하부의 하부 프레임 장착판(51c)은 볼트에 의해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에 고정되어 있다.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의 외측의 도저 장착판(51d)은 볼트에 의해 프론트 도저(50)의 지지 프레임(52)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부,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및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에 한 쌍의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을 고정하고, 한 쌍의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에 프론트 도저(50)를 장착함으로써, 한 쌍의 프론트 도저 브라켓(51)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및 크롤러식 주행 장치(2)의 한 쌍의 하부 프레임(27)의 3개의 부재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프론트 도저(50)의 중작업을 견디는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도 9를 이용하여 동력 전달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3)의 후출력축(3a)에는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5)의 입력축(61)이 연결되어 있다. 입력축(61)의 후단으로부터 전동 기어(62, 63)를 통하여 펌프축(64) 및 PTO 클러치(80)에 동력이 전달된다. 펌프축(64) 상에는 펌프·모터 직렬 배치형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65)(이하, 직진 HST(65)라고 함)가 배치되어 있다. 직진 HST(65)는 유압 펌프(66)를 구동하며 메인 변속 장치(60)를 구성한다. 직진 HST(65)은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66) 및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67)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변속 장치(60)에서, 시프트 레버(96)의 조작에 의해 유압 펌프(66)의 경사판을 기울여 토출량을 무단계로 변경하여 변속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직진계 전동 경로(79)에 대해 설명한다.
유압 펌프(66)와 유압 모터(67)는 동일축 상에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66) 및 유압 모터(67)의 플런저(피스톤)는 하나의 실린더 블록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모터(67)의 모터축(68)은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되며 펌프축(64) 상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축(68) 상에 배치된 기어로부터의 출력은 변속축(69) 상에 마련한 1속 클러치(71), 2속 클러치(72) 또는 후진 클러치(73)에 전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1속 클러치(71) 및 2속 클러치(72)는 속도에 따라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1속 클러치(71), 2속 클러치(72) 및 후진 클러치(73)는 전후진 절환 레버(99)에 의해 절환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1속 클러치(71), 2속 클러치(72) 및 후진 클러치(73)는 전후진 절환 장치(70)를 구성한다. 1속 클러치(71), 2속 클러치(72) 또는 후진 클러치(73)로부터의 출력은 전동축 또는 전동 기어 등을 통하여 서브 변속 장치(74)에 전달된다. 서브 변속 장치(74)는 서브 변속 레버에 의해 변속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서브 변속 장치(74)로부터의 출력은 유니버설 조인트(75)를 통하여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의 입력축(76)에 전달된다.
PTO 클러치(80)로부터의 동력은 PTO 변속 장치(77)에 의해 변속되고, 미션 케이스(5)의 후면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는 PTO축(78)에 전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PTO 변속 장치(77)는 PTO 변속 레버의 조작에 의해 변속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PTO축(78)으로부터의 동력은 유니버설 조인트를 통하여 작업기 장착 장치(13)에 장착되는 작업기에 전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메인 변속 장치(60), 서브 변속 장치(74), 전후진 절환 장치(70), PTO 변속 장치(77) 및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은 휠 트랙터와 크롤러 트랙터에서 공용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디퍼렌셜 장치와 전륜 구동부를 제외한 트랜스미션은 휠형과 크롤러형과 동일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부품을 공통화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선회계 전동 경로(100)에 대해 설명한다.
엔진(3)의 전출력축(3b)은 기어 등을 통하여 선회용 무단 변속 장치(81)(이하, 선회 HST(81)라고 함)의 유압 펌프에 입력된다. 선회 HST(81)는 가변 용량형 유압 펌프 및 고정 용량형 유압 모터를 구비하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의 전면에 부설되어 있다. 선회 HST(81)의 유압 펌프의 가동 경사판은 스티어링 핸들(94)에 연계되어 있다. 유압 모터의 모터축(82)은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 내에 삽입되어 있다. 모터축(82)의 선단에는 베벨 기어(83)가 고정 설치된다. 베벨 기어(83)는 한 쌍의 베벨 기어(84)와 치합되어 있다. 모터축(82)의 회전은 한 쌍의 베벨 기어(84)를 통하여 하나의 베벨 기어(84)에는 정전으로, 다른 베벨 기어(84)에는 역전으로 전달된다.
한 쌍의 베벨 기어(84)로부터의 동력은 강제 디퍼렌셜 기어를 형성하는 좌우의 유성 기어 기구(85)의 캐리어(86)에 전달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즉,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회 HST(81)가 중립으로 되고 모터축(82)이 회전되지 않는다.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된 경우에는 그 회전 방향 및 회동량에 맞추어 경사판이 기울어지고, 그 경사 방향 및 경사량에 맞추어 선회 HST(81)의 모터축(82)의 회전 방향 및 회전수가 변경된다.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의 입력축(76)으로부터의 동력은 기어 및 베벨 기어를 통하여 유성 기어 기구(85)의 디퍼렌셜 입력축(87)에 전달된다. 디퍼렌셜 입력축(87)의 단부에는 유성 기어 기구(85)의 선 기어(88)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선 기어(88)는 유성 기어(89)와 치합되어 있다. 유성 기어(89)는 캐리어(86)의 캐리어 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유성 기어 기구(85)로부터의 동력은 최종 감속 기구(90)를 통하여 구동축(28)에 전달되어 구동륜(22)을 구동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되지 않는 경우에 선회 HST(81)는 중립으로 되어 있으며 모터축(82)은 회전되지 않고, 미션 케이스(5)에 의해 변속된 후의 출력 회전이 좌우의 최종 감속 기구(90)를 통하여 구동축(28)에 전달되어 좌우 동수의 회전수가 되어 직진된다.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된 경우에, 그 회전 방향 및 회전 각도에 따라 경사판이 경사지고, 그 경사판의 경사에 따라 출력 회전 방향 및 회전수가 모터축(82)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모터축(82)로부터 좌우 일방의 베벨 기어(84)에 정전의 회전이 유성 기어 기구(85)에 가해져 구동축(28)이 증속되고, 좌우 타방의 유성 기어 기구(85)에는 역회전이 가해져 구동축(28)이 감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크롤러 트랙터(1)는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된 감속측으로 선회된다. 한편, 스티어링 핸들(94)이 회전되면, 그 회전 각도에 따라 메인 변속 장치(60)가 감속되어 급선회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미션 케이스(5)의 좌우 방향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전후진 절환 장치(70)는 오퍼레이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전진에서 후진, 또는 후진에서 전진으로 절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크롤러 트랙터(1)에서 전진으로부터 후진, 또는 후진으로부터 전진까지의 절환이 빨라진다.
크롤러 트랙터(1)는 전후진 절환 레버(99)를 구비하고 있다. 전후진 절환 장치(70)는 오퍼레이터에 의한 전후진 절환 레버(99)의 조작에 기초하여, 전진에서 후진, 또는 후진에서 전진으로 절환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크롤러 트랙터(1)에서 전진으로부터 후진, 또는 후진으로부터 전진까지의 절환 조작을 간단히 할 수 있다.
크롤러 트랙터(1)에서 전후진 절환 레버(99)는 핸들 칼럼(100)에 마련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크롤러 트랙터(1)에서 전진으로부터 후진, 또는 후진으로부터 전진으로의 절환 조작을 빠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유압 회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5) 내에 저장된 윤활유는 직진 HST(65), 선회 HST(81), 승강 장치 또는 유압 클러치의 작동유로서 이용된다. 엔진(3)의 후출력축(3a)의 출력에 의해 기어 등을 통하여 유압 펌프(101, 102, 103)가 구동된다. 유압 펌프(101)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1속 클러치(71), 2속 클러치(72) 및 후진 클러치(73)가 작동 가능해진다. 유압 펌프(102)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작업기를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 경사 실린더 또는 외부 유압 장치가 작동 가능해진다. 유압 펌프(103)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에 의해 직진 HST(65) 또는 PTO 클러치(80)가 작동 가능해진다.
엔진(3)의 전출력축(3b)의 출력에 의해 기어 등을 통하여 유압 펌프(104)가 구동된다. 유압 펌프(104)는 미션 케이스(5) 내의 윤활유가 작동유로서 석션 필터(91)를 통하여 흡입한다. 유압 펌프(104)로부터 토출된 압유는 라인 필터(92)를 통하여 선회 HST(81)의 폐회로에 차지 유압으로서 공급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104)는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6)의 기어 박스(6a)의 좌우 중앙 전면에 장착된 선회 HST(81)의 전부에 마련되어 있다. 석션 필터(91)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일측의 전방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라인 필터(92)는 좌우 외측의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방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석션 필터(91)는 배관(105)을 통하여 미션 케이스(5)의 측면에 연통되어 있다.
배관(105)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좌우 일측의 외측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석션 필터(91)는 배관(106)을 통하여 유압 펌프(104)의 흡입구와 접속되어 있다. 유압 펌프(104)의 토출구는 배관(107)을 통하여 라인 필터(92)와 접속되어 있다. 라인 필터(92)와 선회 HST(81)는 배관(108)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선회 HST(81)의 리턴 오일은 배관(109)에 의해 미션 케이스(5)로 되돌아 간다. 배관(109)은 좌우 타측의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외측면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의 전측면이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석션 필터(91) 및 라인 필터(92)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고 외측보다 용이하게 유지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석션 필터(91) 및 라인 필터(92)의 전방에는 범퍼(19)가 배치되어, 전방으로부터의 장애물에 대해 석션 필터(91) 및 라인 필터(92)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롤러 트랙터에 이용 가능하다.
1: 크롤러 트랙터 2: 크롤러식 주행 장치
3: 엔진 5: 미션 케이스
6: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 10: 메인 프레임
21: 트럭 프레임 22: 구동륜
27: 하부 프레임 33: 리어 빔
34: 리어 하우징

Claims (8)

  1.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이, 미션 케이스 및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을 통하여 크롤러식 주행 장치의 구동륜에 전달되는 크롤러 트랙터로서,
    상기 미션 케이스에는,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는, 선회용 무단 변속 장치가 마련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과, 상기 크롤러식 주행 장치를 구성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부에는,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이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후부에는, 상기 미션 케이스가 고정 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전부가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부가,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전부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후부가,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후부에서 좌우 중앙측을 향해 돌출 설치된 한 쌍의 리어 빔을 통하여 상기 미션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고정된 한 쌍의 리어 하우징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후부가, 상기 미션 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리어 하우징과 상기 한 쌍의 리어 빔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후부에 연결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의 각각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는 하부 프레임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후 중간부가, 상기 하부 프레임을 통하여 상기 한 쌍의 트럭 프레임에 연결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트랙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 케이스의 후부의 좌우 양측에는 한 쌍의 후부 마운트가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후부 마운트 상에는 캐빈의 후부가 고정되고, 또한, 연료 탱크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트랙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전부,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 및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프론트 도저 브라켓이 고정되고,
    상기 프론트 도저 브라켓에는 프론트 도저를 장착할 수 있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트랙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이, 한 쌍의 연결 브라켓을 통하여 상기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트랙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용 무단 변속 장치의 출력축이 되는 모터축의 동력이, 전후진 절환 장치 및 서브 변속 장치를 통하여 상기 프론트 드라이브 엑슬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크롤러식 주행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롤러 트랙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7036576A 2015-05-20 2016-03-24 크롤러 트랙터 KR1020435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3017A JP6488530B2 (ja) 2015-05-20 2015-05-20 クローラトラクタ
JPJP-P-2015-103017 2015-05-20
JP2015105918A JP6468514B2 (ja) 2015-05-25 2015-05-25 クローラトラクタ
JPJP-P-2015-105918 2015-05-25
PCT/JP2016/059505 WO2016185795A1 (ja) 2015-05-20 2016-03-24 クローラトラ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8777A KR20180008777A (ko) 2018-01-24
KR102043536B1 true KR102043536B1 (ko) 2019-12-02

Family

ID=5731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6576A KR102043536B1 (ko) 2015-05-20 2016-03-24 크롤러 트랙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50015B2 (ko)
EP (1) EP3299264B1 (ko)
KR (1) KR102043536B1 (ko)
CN (1) CN107531293B (ko)
WO (1) WO20161857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6026B2 (en) 2017-01-27 2020-01-07 Barreto Manufacturing, Inc. Carriage for a track drive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769A (ja) * 2001-03-02 2002-05-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
JP2008195318A (ja) * 2007-02-15 2008-08-28 Yanmar Co Ltd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2009196637A (ja) * 2009-05-29 2009-09-03 Yanmar Co Ltd トラクターローダーバックホーのフレーム構造
JP2012091752A (ja) * 2010-10-28 2012-05-17 Yanmar Co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9186A (en) * 1960-03-08 1962-08-14 Dwight A Garrett Articulating-frame logging tractor
US3226859A (en) * 1964-02-11 1966-01-04 Hough Co Frank Mounting assembly for dozer blade
JPS5974150U (ja) 1982-11-11 1984-05-19 ヤンマーディーゼル株式会社 農用トラクタ−のバツテリ−の固定構造
US4464852A (en) * 1983-07-07 1984-08-14 Deere & Company Dozer attachment for excavator
JP2508186Y2 (ja) 1989-05-08 1996-08-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限軌道車両の動力伝達装置
JP2572886B2 (ja) * 1990-09-12 1997-01-1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機体フレーム構造
JP3675927B2 (ja) * 1996-02-23 2005-07-27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車輌のフレーム構造
JP3947640B2 (ja) 1999-08-12 2007-07-25 ヤンマー株式会社 クローラ式走行車両
EP1375315B1 (en) * 2001-04-04 2013-08-21 Yanmar Co., Ltd. Crawler tractor
JP3686602B2 (ja) 2001-11-15 2005-08-24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作業車
JP3945698B2 (ja) * 2002-10-23 2007-07-18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クローラ形トラクタ
JP5111409B2 (ja) * 2009-02-02 2013-01-09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輌
JP5572519B2 (ja) * 2010-10-22 2014-08-13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GB201109970D0 (en) * 2011-06-14 2011-07-27 Valtra Oy Ab Continuously variable power-split vehicle transmission
JP5985918B2 (ja) 2012-07-27 2016-09-06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の車体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7769A (ja) * 2001-03-02 2002-05-08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トラクタ
JP2008195318A (ja) * 2007-02-15 2008-08-28 Yanmar Co Ltd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2009196637A (ja) * 2009-05-29 2009-09-03 Yanmar Co Ltd トラクターローダーバックホーのフレーム構造
JP2012091752A (ja) * 2010-10-28 2012-05-17 Yanmar Co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9264A1 (en) 2018-03-28
EP3299264B1 (en) 2019-10-09
CN107531293A (zh) 2018-01-02
WO2016185795A1 (ja) 2016-11-24
US20180154956A1 (en) 2018-06-07
EP3299264A4 (en) 2018-07-04
KR20180008777A (ko) 2018-01-24
US10450015B2 (en) 2019-10-22
CN107531293B (zh) 2020-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1158B2 (ja) 作業機
KR20200026314A (ko) 작업 차량
JP2020037406A (ja) 作業車両
JP6488530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KR102043536B1 (ko) 크롤러 트랙터
JP6524796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6468514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3642808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の防振構造
JP6615817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16215952A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6515009B2 (ja) 作業車両
JP2003291673A (ja) 走行車両
JP4805654B2 (ja) クローラ型トラクタ
JP4139669B2 (ja) 乗用田植機の機体フレーム構造
JP2008195318A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JP6515008B2 (ja) 作業車両
JP6552936B2 (ja) 作業車両
US20240100931A1 (en) Work Vehicle
JP2004276881A (ja) 作業用走行車両の運転座席支持構造
US20240100967A1 (en) Work Vehicle
JP2010006268A (ja) 作業車両
JP3673265B2 (ja) 農業用トラクタの後部隔壁構造
JP3693586B2 (ja) 作業車の車体構造
JP2017067196A (ja) 作業車両
JP4805653B2 (ja) クローラ型トラ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