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3828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33828A KR20230133828A KR1020230121328A KR20230121328A KR20230133828A KR 20230133828 A KR20230133828 A KR 20230133828A KR 1020230121328 A KR1020230121328 A KR 1020230121328A KR 20230121328 A KR20230121328 A KR 20230121328A KR 20230133828 A KR20230133828 A KR 2023013382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device
- quality measurement
- tank
- frame
- wal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abstract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28 prem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11 spectroscopic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4719 Personality chan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66278 cabin-4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6 hal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367 haloge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곡립 탱크의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곡립 탱크의 저류 용량을 희생시키지 않고,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7)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 근방의 개소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7)의 외주부 중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판(50)이, 탱크 내부의 저류 공간을 폐색하여 곡립의 저류를 가능하게 하는 저류 상태와, 저류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저류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측단부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의 외주부 중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에,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96)와,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한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도입구(96)와 수납 케이스(23) 내의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도입용 통기 경로(98), 및 배출구와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배출용 통기 경로가, 측벽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7)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 근방의 개소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7)의 외주부 중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판(50)이, 탱크 내부의 저류 공간을 폐색하여 곡립의 저류를 가능하게 하는 저류 상태와, 저류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저류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측단부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곡립 탱크의 외주부 중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에,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96)와,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한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도입구(96)와 수납 케이스(23) 내의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도입용 통기 경로(98), 및 배출구와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배출용 통기 경로가, 측벽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곡립 탱크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계측 대상으로 하여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수확한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를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곡립 탱크의 외주면은, 전방측면, 후방측면, 및 좌우 양측의 측면이 모두 일련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된 상태의 벽체에 의해 구성되고, 벽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저류 공간이 형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곡립 탱크를 구성하는 벽체의 일부에 개구를 형성하여, 그 개구를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품질 계측 장치를 들어가게 하여, 품질 계측 장치를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종래부터, 품질 계측 장치로서, 계측용 광을 곡립에 조사하여, 곡립으로부터 얻어지는 계측광을 분광 분석 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품질을 계측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품질 계측 장치에서는, 강한 광을 발하는 광원을 구비하고 있고, 이러한 광원은 발열량이 크고, 장치 내부가 고온으로 될 우려가 있다.
종래의 콤바인에서는, 품질 계측 장치가, 하우징의 내부에 광원이나 계측 제어부 등을 수납하여, 곡립 탱크를 구성하는 벽체의 일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외측으로부터 품질 계측 장치를 들어가게 하여, 품질 계측 장치를 외측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장착함과 함께, 하우징에, 냉각용 외기를 도입하는 흡인구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외측에 면하는 상태에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의 외주면이 모두 일련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된 상태의 벽체에 의해 구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수확 작업이 종료된 후에, 저류 공간의 내부 벽면에 부착 퇴적되어 있는 진애나 잔류 곡립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 등의 탱크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기 어렵다는 불리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품질 계측 장치가 외측에 노출된 상태에서 구비되므로,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점검 수리 등의 유지보수 작업은 행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기는 하지만,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하여 빗물 등이 덮칠 우려가 있어,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된다는 등의 불리한 면이 있었다.
그래서, 곡립 탱크의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구성은, 품질 계측 장치의 내부에 외기를 도입함으로써,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시키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품질 계측 장치가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에서 구비되므로,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하여 빗물 등이 덮칠 우려가 있고, 단기간의 사용으로 조기에 고장나는 등,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상기 종래 구성에서는, 하우징 내에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냉각용 통풍 경로가 설정되므로, 그 통풍 경로를 구비하는 만큼 하우징이 대형화되어 여분의 용적이 필요하고, 그만큼, 곡립의 저류 용량이 적어진다는 불리함도 있었다.
그래서, 곡립 탱크의 저류 용량을 희생시키지 않고,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기체 횡폭 방향 외측 근방의 개소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외주부 중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판이, 탱크 내부의 저류 공간을 폐색하여 곡립의 저류를 가능하게 하는 저류 상태와, 상기 저류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상기 저류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확 작업을 행할 때에는, 곡립 탱크의 측판을 저류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수확된 작물을 곡립 탱크 내부의 저류 공간에 저류할 수 있다. 수확 작업이 종료되어, 청소 작업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곡립 탱크의 측판을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한다. 이와 같이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하면, 저류 공간이 외부로 개방되어, 작업자가 저류 공간 내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작업자가 저류 공간 내에 들어감으로써, 저류 공간의 내부 벽면에 부착 퇴적되어 있는 진애나 잔류 곡립을 제거하는 청소 작업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번거로움없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내부에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하여 빗물 등이 덮쳐, 그것이 원인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우려는 없다. 곡립 탱크의 측판을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하면, 작업자가 저류 공간 내에 들어갈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곡립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는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해서도 용이하게 유지보수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의 내부의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측판이 상기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탱크 외측에 면하는 상태로 노출되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측판을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하면, 품질 계측 장치가 탱크 외측에 면하는 상태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곡립 탱크 내에 깊이 들어가지 않아도,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번거로움없이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전후 방향 프레임에 의해 곡립 탱크의 전방부와 후방부가 연결되므로, 측판이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되어 저류 공간이 외부로 개방되는 것에 기인한 곡립 탱크의 지지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강용의 전후 방향 프레임을 이용하여 품질 계측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상부와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에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하 방향 프레임은, 전후 방향 프레임과 곡립 탱크의 상부라는 상하 양측의 강성이 높은 프레임 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견고하게 지지되는 상하 방향 프레임에 의해 안정적으로 품질 계측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의 하부가 상기 전후 방향 프레임에 걸림 결합하는 상태로 적재 지지되고,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의 상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상하 방향 프레임의 상부와 곡립 탱크의 상부의 연결을 해제하면, 상하 방향 프레임의 하부의 전후 방향 프레임에 대한 걸림 결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상하 방향 프레임을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상하 방향 프레임을 설치할 때에는, 상하 방향 프레임의 하부를 전후 방향 프레임에 걸림 결합시킨 후, 상하 방향 프레임의 상부를 곡립 탱크의 상부에 연결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하 방향 프레임을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으므로, 품질 계측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을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이 프레임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방향 프레임의 프레임 내에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수용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상으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높은 상하 방향 프레임을 이용하여 품질 계측 장치를 수용하므로, 품질 계측 장치를 상하 방향 프레임으로 보호하면서 양호하게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품질 계측 장치는, 계측 대상인 곡립을 일시 저류하는 일시 저류부와, 상기 일시 저류부에서 저류되어 있는 곡립에 대하여 계측 작용하여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시 저류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중앙부측에 위치하고, 상기 계측부가 상기 곡립 탱크의 외주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일시 저류부가 곡립 탱크의 중앙부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곡립 탱크에 반입되어 오는 곡립을, 일시 저류부에서 받아내어 저류시키기 쉽다. 점검 수리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계측부는, 곡립 탱크의 외주부측에 위치하므로, 외측으로부터 액세스하기 쉬워져,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의 특징 구성은,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내부에 있어서의 측단부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외주부 중 상기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에,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와,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한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도입구와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도입용 통기 경로, 및 상기 배출구와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연통 접속하는 배출용 통기 경로가, 상기 측벽부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내부에 품질 계측 장치가 구비되기 때문에,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하여 빗물 등이 덮쳐, 그것이 원인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우려는 없다.
그리고,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에 구비된 도입구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도입되고, 도입용 통기 경로를 통하여 도입된 공기가 품질 계측 장치의 내부에 공급된다. 한편, 품질 계측 장치를 냉각한 후의 공기는, 배출용 통기 경로를 통하여 측벽부에 구비된 배출구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곡립 탱크의 측벽부를 따라 장치 냉각용 통풍 경로가 설정되기 때문에, 그들 경로가 저류 용량을 희생시키지 않고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곡립 탱크의 저류 용량을 희생시키지 않고,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수납하는 밀폐상의 수납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수납 케이스에, 상기 도입용 통기 경로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와 접속되는 공기 도입용 개구, 및 상기 배출용 통기 경로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와 접속되는 배기용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품질 계측 장치가 곡립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면, 예를 들어 비산하는 곡립이 충돌하거나, 미세한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이 원인으로 조기에 고장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구성에 따르면, 품질 계측 장치는 밀폐상의 수납 케이스에 수납되므로, 곡립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도, 곡립이 품질 계측 장치에 충돌하거나, 품질 계측 장치에 미세한 진애 등이 침입하는 것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조기에 고장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도입용 통기 경로와, 도입용 통기 경로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와, 수납 케이스에 형성된 공기 도입용 개구를 통하여, 수납 케이스 내로 유도된다. 수납 케이스 내의 고온의 공기는, 수납 케이스에 형성된 배기용 개구와, 배출용 통기 경로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와, 배출용 통기 경로를 통하여 배출구로 유도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곡립 탱크 내에 품질 계측 장치가 수납됨으로써 발생하는 요인으로, 품질 계측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품질 계측 장치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수납 케이스가, 설치 및 떼어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내부에 품질 계측 장치를 수납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를 떼어내거나, 다시 설치할 수 있다. 품질 계측 장치의 유지보수 작업 시에, 품질 계측 장치만을 단독으로 취출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측벽부를 구성하는 측판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측판을 폐쇄 상태로 전환하면 곡립 탱크가 폐색된 상태로 되고, 곡립 탱크의 내부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측판을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곡립 탱크에 있어서의 품질 계측 장치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가 개방되므로, 그 개방된 개소로부터 품질 계측 장치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도입용 통기 경로 및 상기 배출용 통기 경로가, 상기 곡립 탱크에 구비된 중공상의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곡립 탱크에 구비되는 중공상의 프레임에 의해 도입용 통기 경로 및 배출용 통기 경로가 구성된다. 지지 강도를 높이기 위해 중공상의 프레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전용의 공간 배관을 설치하는 등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고, 냉각용 통풍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측벽부를 구성하는 측판과 그 이외의 탱크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본체부에 구비된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에 의해, 상기 도입용 통기 경로 및 상기 배출용 통기 경로 중 어느 한쪽의 통기 경로가 구성되고,
상기 측판에 구비된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에 의해, 상기 도입용 통기 경로 및 상기 배출용 통기 경로 중 다른 쪽의 통기 경로가 구성되고,
상기 품질 계측 장치를 수납하는 밀폐상의 수납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도입용 통기 경로와 상기 배출용 통기 경로가 상기 수납 케이스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으면 적합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측판이 폐쇄 상태이면,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한쪽의 통기 경로와,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다른 쪽의 통기 경로가, 수납 케이스를 통하여 연통된다. 즉, 도입용 통기 경로와 배출용 통기 경로가 수납 케이스를 통하여 연통되게 된다. 측판이 개방 상태이면,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이 수납 케이스로부터 이격되어, 한쪽의 통기 경로와 다른 쪽의 통기 경로가 분리된 상태로 된다.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과,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과, 수납 케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간소한 구성으로 합리적으로 통풍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곡립 탱크의 일부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의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유지보수 상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탱크 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우측 벽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의 곡립 탱크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8은 우측 벽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의 곡립 탱크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9는 곡립 탱크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우측 벽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벽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품질 계측 장치의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개폐 벽부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작 레버 배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토글 스프링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안내체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안내체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우측 벽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곡립 탱크의 일부 종단 배면도이다.
도 4는 곡립 탱크의 일부 횡단 평면도이다.
도 5는 유지보수 상태에 있어서의 곡립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탱크 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우측 벽부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의 곡립 탱크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8은 우측 벽부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의 곡립 탱크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9는 곡립 탱크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0은 우측 벽부의 종단 배면도이다.
도 11은 우측 벽부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품질 계측 장치의 지지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개폐 벽부의 상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작 레버 배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토글 스프링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6은 걸림 안내체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7은 걸림 안내체를 도시하는 종단 배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 형태의 우측 벽부의 횡단 평면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 형태의 제어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자탈형 콤바인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 1)에 의해 자주하는 주행 기체(2)의 전방부에, 식립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3)가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전방부 우측에, 캐빈(4)으로 주위가 덮인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다. 운전부(5)의 후방에는,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 장치(6)와, 탈곡 처리로 얻어진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7)가, 횡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7)는 기체 우측에 위치하고, 탈곡 장치(6)는 기체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운전부(5)는 곡립 탱크(7)의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운전부(5)에 있어서의 운전 좌석(8)의 하방에 엔진(E)이 구비되어 있다. 주행 기체(2)의 후방부이며 곡립 탱크(7)의 후방에,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을 기외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기체의 전후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작업 상태에 있어서의 기체 진행 방향을 따라 정의하고, 기체의 좌우 방향을 정의할 때에는, 기체 진행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즉, 도 1 및 도 2에 부호(F)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전방측, 도 1 및 도 2에 부호(B)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후방측이다. 도 2에 부호(L)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좌측, 도 2에 부호(R)로 나타내는 방향이 기체 우측이다.
예취부(3)는, 예취 대상으로 되는 식립 곡간의 밑동을 분초 안내하는 분초구(10)와, 분초된 식립 곡간을 세로 자세로 세우는 복수의 세움 장치(11), 세워진 식립 곡간의 밑동을 절단하는 바리캉형의 예취 장치(12), 예취 곡간을 세로 자세로부터 서서히 횡 쓰러짐 자세로 되도록 자세 변경하면서 후방으로 반송하여 탈곡 장치(6)에 공급하는 세로 반송 장치(13) 등을 구비하고 있다. 세로 반송 장치(13)의 상방측은 방진 커버(14)에 의해 덮여 있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탈곡 장치(6)는, 공급된 예취 곡간의 밑동측을 탈곡 피드 체인에 의해 끼움 지지 반송하면서, 이삭 끝측을 급실로 훑어 처리하여 탈곡 처리를 행한다. 탈곡 처리된 후의 처리물이 하방의 선별부에서 곡립과 짚 부스러기 등으로 선별된다. 곡립은, 도시하지 않은 제1 물 반송 스크루에 의해 탈곡 장치(6)의 우횡측 외측으로 반출된 후, 양곡 컨베이어(15)에 의해 리프팅되어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반송된다. 곡립 탱크(7)는, 탈곡 장치(6)로부터 보내져 오는 곡립을 저류한다. 그 후, 곡립 탱크(7)에 저류된 곡립은, 곡립 배출 장치(9)에 의해 외부에 반출된다.
곡립 탱크(7)의 저부에는,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회전하여 저류되는 곡립을 기체 후방부측을 향하여 반송하는 저부 스크루(16)가 구비되어 있다. 곡립 배출 장치(9)는, 저부 스크루(16)로부터 반출되는 곡립을 받아들여, 그 곡립을 상방을 향하여 반송하는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7)와, 그 세로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7)의 상단부에 이어지는 기단부에서부터 선단부의 배출구(18)까지 곡립을 횡방향을 향하여 반송하는 횡 이송 스크루 컨베이어(19)를 구비하고 있다.
[품질 계측 장치]
곡립 탱크(7)의 내부에, 곡립의 품질을 계측하는 품질 계측 장치(20)가 구비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품질 계측 장치(20)는, 계측 대상인 곡립을 일시 저류하는 일시 저류부(21)와, 일시 저류부(21)에서 저류되어 있는 곡립에 대하여 계측 작용하여 품질을 계측하는 계측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시 저류부(21)가 곡립 탱크(7)의 내측에 위치하고, 계측부(22)가 곡립 탱크(7)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계측부(22)는, 밀폐상으로 형성된 수납 케이스(23)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일시 저류부(21)는, 수납 케이스(23)의 내측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대략 각통상의 저류용 케이스(24)를 구비하고, 그 내부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일시 저류부(21)는, 저류용 케이스(24)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상하 방향 통로(25)가 형성되고, 횡방향 자세로 상하 방향 통로(25)의 도중을 폐쇄하는 폐쇄 상태(도 3 참조)와, 종방향 자세로 되어 상하 방향 통로(25)를 개방하는 개방 상태(도시하지 않음)로 자세 변경 가능한 셔터판(26)과, 도시하지 않은 전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셔터판(26)을 자세 변경하는 조작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일시 저류부(21)는, 양곡 컨베이어(15)에 의해 리프팅되어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반송되는 곡립의 일부를 받아내어 저류한다.
양곡 컨베이어(15)는, 스크루 컨베이어(28)에 의해 곡립을 상단부 가까이까지 리프팅시킨 후, 상단부에 설치된 송출 블레이드(29)에 의해, 곡립을 곡립 탱크(7)에 형성된 개구부(30)를 통하여 탱크 내측을 향하여 방출한다. 송출 블레이드(29)에 의해 방출된 곡립 중의 일부의 곡립이, 일시 저류부(21)에 공급된다.
일시 저류부(21)는, 셔터판(26)을 폐쇄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방출된 곡립을 받아내어, 셔터판(26)의 상부에 형성된 저류용 공간(31)에 곡립을 저류할 수 있다. 셔터판(26)을 개방 상태로 전환하면, 저류되어 있던 곡립이 하방으로 낙하 배출되어 곡립 탱크(7)의 내부로 되돌려진다.
계측부(22)는, 저류용 공간(31)에 저류되는 곡립을 향하여 광을 조사하고, 곡립으로부터 얻어진 광에 기초하여, 공지 기술인 분광 분석 방법에 의해 곡립의 내부 품질을 계측한다. 저류용 공간(31)을 형성하는 측면 중 계측부(22)측의 측면에 광이 투과 가능한 창부(32)가 형성되고, 계측부(22)는, 이 창부(32)를 통하여, 곡립에 광을 조사함과 함께, 곡립으로부터의 광을 수광한다.
[수납 케이스]
이어서, 수납 케이스(2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4,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3)는,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종방향의 전방 벽부(33),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종방향의 후방 벽부(34), 전방 벽부(33)의 상단부와 후방 벽부(34)의 상단부에 걸쳐 연결되는 종방향 판상의 상부 연결부(35), 전방 벽부(33)의 하단부와 후방 벽부(34)의 하단부에 걸쳐 연결되는 하부 연결부(36), 기체 좌측(탱크 내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벽부(37), 기체 우측(탱크 외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벽부(38)의 각각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부 연결부(36)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단면 형상이며, 세로면 부분과 수평면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내측 벽부(37)는, 평판상으로 설치되고, 전방 벽부(33) 및 후방 벽부(34)의 탱크 내측 단부 에지를 따라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외측 벽부(38)는, 전후 양측에 절곡면을 갖고 평면으로 보아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측 벽부(38)는, 전후 양측의 측부 절곡면이 전방 벽부(33) 및 후방 벽부(34)에 복수 개소에서 볼트(Bo)로 체결됨으로써 연결되어 있다. 외측 벽부(38)의 하부에는, 하부 연결부(36)의 수평면 부분과 이어져 수납 공간의 저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부 절곡면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소의 볼트(Bo)를 풀어 외측 벽부(38)를 떼어낼 수 있다. 외측 벽부(38)를 떼어내면, 수납 케이스(23)의 내부가 개방되고, 품질 계측 장치(20)의 점검 등을 행할 수 있다.
수납 케이스(23)에 있어서의, 전방 벽부(33), 후방 벽부(34), 상부 연결부(35) 및 하부 연결부(36)의 각각에 의해 프레임상의 상하 방향 프레임(3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 프레임(39)을 구성하는 전방 벽부(33)와 후방 벽부(34)에 더하여, 상하 방향 프레임(39)으로 지지되는 내측 벽부(37)와 외측 벽부(38)의 각각에 의해, 밀폐상의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품질 계측 장치(20)는, 내측 벽부(37)에 연결됨으로써 상하 방향 프레임(39)의 프레임 내에 수용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23)의 곡립 탱크(7)에 대한 지지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곡립 탱크]
이어서, 곡립 탱크(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는,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전방측면(40), 기체 후방부측에 위치하는 후방측면(41), 기체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42), 기체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43)의 각각에 의해 주위가 둘러싸여 있다. 또한, 상부측은 상측면(44)에 의해 덮여 있다. 따라서, 전방측면(40), 후방측면(41), 우측면(42), 좌측면(43) 및 상측면(44)의 각각에 의해 둘러싸여서 곡립의 저류 공간(Q)이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7)의 우측면(42)을 구성하는 우측 벽부(45) 중 일부(후술하는 개폐 벽부(50))는, 저류 공간(Q)을 폐색하여 곡립의 저류를 가능하게 하는 저류 상태와, 저류 공간(Q)을 외부로 개방하여 저류 공간(Q)으로의 작업자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에 있어서의 우측면(42)을 제외한 다른 측면, 즉 전방측면(40), 후방측면(41), 좌측면(43), 상측면(44)의 각각은, 모두 일련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된 상태의 벽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탱크 본체부(46)를 구성하고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6) 중 좌측면(43)을 구성하는 좌측 벽부(47)에는, 양곡 컨베이어(15)를 들어가게 한 상태에서 배치하기 위한 요입부(48)가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7)의 우측 벽부(45)는, 주행 기체(2)의 우횡측 외측에 면하는 상태로 위치하고 있다. 우측 벽부(45)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침과 함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친 범위의 영역을 개방 가능하다. 즉, 도 5,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벽부(45)에는,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침과 함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친 범위의 영역을 개방하도록 크게 개방된 상태에서 개구(49)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크게 개방되어 있는 개구(49)를 개폐 가능한 개폐 벽부(50)(측판의 일례)에 의해 폐색되어, 내부에 저류 공간(Q)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측 벽부(45)는, 개폐 벽부(50)와 개구(49)의 주위를 둘러싸는 프레임상 부분(51)을 구비하고 있고, 프레임상 부분(51)은, 다른 측면에 연결되어 있고, 탱크 본체부(46)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가 저류 상태로 전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와 프레임상 부분(51)이 일체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우측 벽부(45)를 구성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는, 곡립 탱크(7)의 후방에 위치하는 종방향 지지축(52)의 축심(Y1)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탱크 본체부(46)에 지지되어 있다. 탱크 본체부(46)의 후방측면(41)을 구성하는 후방측 벽부(53)의 우측 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2개의 회동 지지부(54)가 설치되어 있다. 회동 지지부(54)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지지대(55)와, 지지대(5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지지축(52)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벽부(50)에 있어서의 회동 지지부(54)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종방향 지지축(52)에 대하여 상방측으로부터 끼워맞춤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구멍이 형성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형의 피봇 브래킷(57)이 연결되어 있다. 상하 양측의 피봇 브래킷(57)을 종방향 지지축(52)에 대하여 끼워맞춤 걸림 결합시킴으로써, 개폐 벽부(50)를 종방향 지지축(52)의 축심(Y1)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탱크 본체부(46)에 있어서의 강도 보강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6,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6)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걸쳐 기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체로서의 전후 방향 프레임(58)이 구비되어 있다. 전후 방향 프레임(58)은,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탱크 본체부(46)에 있어서의 전방측면(40)을 구성하는 전방측 벽부(59)와, 후방측면(41)을 구성하는 후방측 벽부(53)에 걸쳐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프레임(58)은, 곡립 탱크(7) 내부의 기체 우측 단부의 상하 중간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5,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방측 단부가 전방측 벽부(59)를 삽입 관통하여 전방부측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후방측 단부가 후방측 벽부(53)를 삽입 관통하여 후방부측 외측으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전후 방향 프레임(58)은, 전방측 벽부(59) 및 후방측 벽부(53)의 각각을 삽입 관통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빠짐 방지 핀에 의해 빠져 떨어짐이 저지된 상태로 위치 보유 지지되어 있다.
전후 방향 프레임(58)으로부터 각각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개폐 벽부(50)와는 상이한 면상의 탱크 구성체로서의 좌측 벽부(47)와 전후 방향 프레임(58)을 연결하는 복수의 보조 프레임체가 구비되어 있다.
도 5, 6, 8,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후 중앙부보다 전방측에 가까운 위치, 및 전후 중앙부보다 후방측에 가까운 위치의 각각에 있어서, 전후 방향 프레임(58)과 좌측 벽부(47)를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체로서의 환 봉재로 이루어지는 제1 보조 프레임(61)이 구비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양측의 제1 보조 프레임(61)은, 전후 방향 프레임(58)과의 연결 위치로부터 좌측 상방을 향하여 연장 설치되고, 좌측 벽부(47)의 상부측 개소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후 중앙부와 좌측 벽부(47)의 하부측 개소를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체로서의 띠판재로 이루어지는 제2 보조 프레임(62)이 구비되어 있다. 제2 보조 프레임(62)은, 품질 계측 장치(20)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23)의 하단부와 좌측 벽부(47)의 하부측 개소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도 3,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3)의 하부에 일체적으로 브래킷(6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좌측 벽부(47)의 하부측 개소에는, 단면 L자형으로 형성된 보강 부재(64)가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조 프레임(62)의 일단부가 브래킷(63)에 볼트(Bo)로 체결되어 연결되어 있다. 제2 보조 프레임(62)의 타단부가 보강 부재(64)에 볼트(Bo)로 체결되어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58), 2개의 제1 보조 프레임(61) 및 1개의 제2 보조 프레임(62)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우측 벽부(45)가 크게 개구되어 있는 탱크 본체부(46)의 지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설명을 더하면,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의해 전방측 벽부(59)와 후방측 벽부(53)가 연결되므로, 전방측 벽부(59)와 후방측 벽부(53)가 곡립의 중량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아도,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의해 그 힘을 받아내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 벽부(47)의 상부측 개소가 곡립의 중량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아도, 제1 보조 프레임(61)에 의해 그 힘을 받아내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좌측 벽부(47)의 하부측 개소도 마찬가지로, 제2 보조 프레임(62)에 의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품질 계측 장치(20)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23)의 지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납 케이스(2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프레임(39)의 하부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림 결합하는 상태로 적재 지지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 벽부(33) 및 후방 벽부(34)의 하단부에,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림 결합하는 걸림 결합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 벽부(33) 및 후방 벽부(34) 각각의 걸림 결합 오목부(65)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상측으로부터 걸림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지탱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하 방향 프레임(39)의 상부가, 곡립 탱크(7)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즉, 도 3, 6,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 연결부(35)가, 곡립 탱크(7)의 우측 벽부(45)에 있어서의 개구(49)의 주위의 프레임상 부분(51) 중 상측 에지부(51a)에, 탱크 내측으로부터 맞댄 상태에서 전후 2개소를 볼트(Bo)로 체결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개폐 벽부(50)에 있어서의 강도 보강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완만한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의 상부측 개소에 상부측 보강 부재(67)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측 보강 부재(67)는, 판재를 단면 대략 U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부측 보강 부재(67)는,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개폐 벽부(50)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부측 보강 부재(67)와 개폐 벽부(50)의 벽면에 의해 각통상의 프레임체(68)가 구성되어 있다. 개폐 벽부(50)의 후방부측 단부에는, 상하 양측의 피봇 브래킷(57)을 통하여 개폐 벽부(50) 전체를 지지하기 위한 각통상의 종방향 보강 부재(69)가 구비되어 있다.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의 하부측 개소에는, 하부측 보강 부재(70)가 구비되어 있다. 하부측 보강 부재(70)는, 판재를 대략 U자형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 보강 부재(70)는,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개폐 벽부(50)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측 보강 부재(70)의 상부측에는 경사 안내체(71)가 구비되어 있다. 경사 안내체(71)는, 저류되어 있는 곡립을 하부측 보강 부재(70)의 상방측을 우회하여 하방의 저부 스크루(16)를 향하여 유하 안내하는 경사면(71a)을 구비하고 있다.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의 상하 중간부에는, 판재를 대략 산 형상으로 구부려서 형성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측 보강 부재(72)가 구비되어 있다. 중간측 보강 부재(72)는 전후 방향 전역에 걸쳐 개폐 벽부(50)의 벽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에는, 상부측 보강 부재(67)와 하부측 보강 부재(70)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판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5, 9,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방향 지지판으로서, 개폐 벽부(50)의 전방부측 단부에 위치하는 제1 종방향 지지판(73), 전방부측 단부보다 설정 폭만큼 후방부측에 가까운 개소에 위치하는 제2 종방향 지지판(74), 전후 중간부에 위치하는 제3 종방향 지지판(75)의 각각이 구비되어 있다. 복수의 종방향 지지판(73, 74, 75)은 각각, 단면 L자형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5,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측 보강 부재(67)는, 개폐 벽부(50)의 전후 방향의 전체 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중간측 보강 부재(72), 경사 안내체(71), 하부측 보강 부재(70)는, 각각, 제2 종방향 지지판(74)과 종방향 보강 부재(69)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개폐 벽부(50)를 탱크 본체부(46)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저류 상태의 개폐 벽부(50)의 요동측 단부를 탱크 본체부(46)에 연결하는 연결 장치(76)가 구비되어 있다. 도 7, 8,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 장치(76)는, 탱크 본체부(46)에 설치된 전후 방향 프레임(58)과, 개폐 벽부(50)에 설치되어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거는 걸림 부재(77)와, 걸림 부재(77)를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거는 걸림 상태와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전환 조작 기구(7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림 부재(77)는, 대략 U자상의 걸림 홈(79)을 갖는 훅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환 조작 기구(78)는, 조작 레버(80)의 요동 조작에 의해, 걸림 부재(77)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리는 걸림 상태와, 걸림을 해제하는 해제 상태로 전환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4,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환 조작 기구(78)는, 조작 레버(80)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81)을 구비하고, 걸림 부재(77)가 회동축(81)에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레버(80)의 요동 조작에 수반하는 회동축(81)의 회동에 의해, 걸림 부재(77)가 걸림 상태와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회동축(81)은, 개폐 벽부(50)의 탱크 내측의 가까운 위치에 있어서, 개폐 벽부(50)의 전후 중간부와 전방부에 걸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회동축(81)은, 제2 종방향 지지판(74)과 제3 종방향 지지판(75)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삽입 관통하여, 제2 종방향 지지판(74)과 제3 종방향 지지판(7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81)의 전후 양측 단부에는, 걸림 부재(77)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통 축부(82)가 외부 삽입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81)의 전방측 단부에 위치하는 통 축부(82)에, L자형의 봉재로 이루어지는 조작 레버(80)의 지지축부(84)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조작 레버(80)의 지지축부(84)와 통 축부(82)에 걸쳐 빠짐 방지 핀(83)이 장착되어, 빠져 떨어짐이 저지됨과 함께, 지지축부(84)와 통 축부(82)가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동축(81)의 후방측 단부에 있어서도, 회동축(81)과 통 축부(82)에 걸쳐 빠짐 방지 핀(83)이 장착되어, 빠져 떨어짐이 저지됨과 함께, 그것들이 일체적으로 회동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통 축부(82)가 제2 종방향 지지판(74)에 맞닿고, 후방부측의 통 축부(82)가 제3 종방향 지지판(75)에 맞닿아, 회동축(81)의 빠져 떨어짐이 저지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0)는, 제1 종방향 지지판(73)과 제2 종방향 지지판(74)의 사이에 위치하는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개폐 벽부(50)의 벽부 중, 제1 종방향 지지판(73)과 제2 종방향 지지판(74)의 사이에 있어서의 조작 레버(80)가 대응하는 위치에, 떼어냄 가능한 덮개(85)(도 1 참조)에 의해 덮인 개구(86)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85)를 떼어내면, 개구(86)를 통하여 조작 레버(80)가 외측으로 면하는 상태로 되고, 기체 외부로부터 작업자가 수동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4 및 도 10, 15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0)가 개폐 벽부(50)의 내부에 위치하는 종방향 자세로 전환되면, 걸림 부재(77)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리고, 저류 상태의 개폐 벽부(50)의 요동측 단부와 탱크 본체부(46)가 연결된다. 도 14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86)를 통하여 수동으로 조작 레버(80)를 외측으로 당김 조작하여, 조작 레버(80)가 경사 자세로 전환되면, 걸림 부재(77)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고, 개폐 벽부(50)의 요동측 단부와 탱크 본체부(46)의 연결이 해제된다.
도 4,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방부측의 걸림 부재(77)와 제3 종방향 지지판(75)에 걸쳐 토글 스프링(87)이 걸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80)가 종방향 자세로 전환되면, 토글 스프링(87)은, 전후 방향에서 보아 회동축(81)의 축심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걸림 부재(77)를 하방측을 향하여 회동 가압한다. 그 결과, 걸림 부재(77)는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조작 레버(80)가 외측의 경사 자세로 전환되면, 토글 스프링(87)은, 전후 방향에서 보아 회동축(81)의 축심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걸림 부재(77)를 상방측을 향하여 회동 가압한다. 그 결과, 걸림 부재(77)는 전후 방향 프레임(58)으로부터 이격된 해제 상태가 유지된다.
걸림 부재(77)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걸리면, 개폐 벽부(50)가 곡립의 중량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힘을 받아도,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의해 그 힘이 받아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후 방향 프레임(58)과 우측 벽부(45)에 있어서의 개구(49)의 주위의 프레임상 부분(51)이, 상하 방향 프레임(39)을 통하여 연결된다. 그 결과, 전후 방향 프레임(58)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프레임(61), 제2 보조 프레임(62), 걸림 부재(77), 수납 케이스(23)에 의해, 둘레 방향으로 상이한 복수의 방향에 대하여 지탱 보유 지지되므로, 곡립 탱크(7)의 각 측면에 관한 하중을 분산시킨 상태에서 서로 받아낼 수 있어, 지지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전환 조작 기구(78)는, 개폐 벽부(50)를 저류 상태에서 위치 보유 지지함과 함께, 개폐 벽부(50)를 탱크 본체부(46)측에 끌어당겨 간극을 없애 저류 공간의 폐색성을 높이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8,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에,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회동축(81)의 회동에 수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회동축(81)에 연동 연결된 복수의 로드(88)가 구비되고, 탱크 본체부(46)에 복수의 경사 안내 부재(89)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 부재(77)가 걸림 상태로 되도록, 조작 레버(80)가 경사 자세로부터 종방향 자세로 전환 조작되면, 로드(88)가, 경사 안내 부재(89)로 미끄럼 이동 안내되어, 개폐 벽부(50)를 탱크 본체부(46)측으로 끌어당기도록 구성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측면에서 보아, 회동축(81)의 전후 양단부에 대응하는 개소이며, 또한 개폐 벽부(50)의 상부측 개소 및 하부측 개소의 각각에, 합계 4개의 로드(88)가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도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종방향 지지판(74) 및 제3 종방향 지지판(75) 각각의 상부측 도중부에, 로드(88)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된 측면에서 보아 대략 L자형의 상부측 지지 부재(9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측 보강 부재(67)에 로드(88)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로드(88)는, 상부측 지지 부재(90) 및 상부측 보강 부재(67)의 각각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서 보아 대략 U자형으로 형성되고, 또한 로드(88)가 삽입 관통되는 삽입 관통 구멍이 형성된 하부측 지지 부재(9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측 지지 부재(91)는, 하부측 보강 부재(70)와 경사 안내체(71)에 연결되어 있다.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로드(88)는, 하부측 지지 부재(91)의 상하 양측부에 형성된 삽입 관통 구멍을 삽입 관통하는 상태로 설치되고,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0,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81)의 전후 양측 단부에 외부 삽입된 통 축부(82)에 회동축(81)과 일체 회동하는 조작체(92)가 연결되어 있다. 조작체(92)는 전후의 통 축부(82)의 전후 중간측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즉, 전방부측의 조작체(92)는, 전방부측의 통 축부(8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후방부측의 조작체(92)는, 후방부측의 통 축부(82)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92)는, 회동축(81)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1 아암부(92A)와, 그 제1 아암부(92A)와는 역방향으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 아암부(9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아암부(92A)의 외측 단부와, 상측의 로드(88)가 링크 부재(93)에 의해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제2 아암부(92B)의 외측 단부와, 하측의 로드(88)가 링크 부재(93)에 의해 피봇 지지 연결되어 있다. 조작 레버(80)의 조작에 수반하여 회동축(81)이 회동하고, 조작체(92)와 링크 부재(93)를 통하여 로드(88)가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도 5,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6)의 프레임상 부분(51)에 있어서의 로드(88)가 슬라이드 이동하는 개소에, 복수의 경사 안내 부재(89)가 구비되어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경사 안내 부재(89)는, 프레임상 부분(51)에 있어서의 탱크 외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경사 안내 부재(89)는, 프레임상 부분(51)에 있어서의 탱크 내측의 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상측에 위치하는 2개의 경사 안내 부재(89)는, 하단부가 프레임상 부분(51)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하고, 상방을 향할수록 프레임상 부분(51)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하측에 위치하는 2개의 경사 안내 부재(89)는, 상단부가 프레임상 부분(51)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할수록 프레임상 부분(51)에 근접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6,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경사 안내 부재(89)는, 각각, 프레임상 부분(51)을 삽입 관통하는 2개의 나사 축부(89a)가 일체적으로 구비되고, 나사축(89a)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89b)로 체결하여 프레임상 부분(51)에 고정되어 있다. 경사 안내 부재(89)는, 프레임상 부분(51)에 대한 나사 축부(89a)의 너트(89b)에 의한 체결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탱크 본체부(46)와 개폐 벽부(50)의 접근 이격 방향에서의 위치를 변경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80)가 종방향 자세로 전환되면, 조작체(92)와 링크 부재(93)를 통하여, 상측의 로드(88)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하측의 로드(88)는 하방으로 이동한다. 상측의 로드(88)는, 탱크 본체부(46)에 구비된 상측의 경사 안내 부재(89)로 미끄럼 이동 안내되고, 하측의 로드(88)는, 탱크 본체부(46)에 구비된 하측의 경사 안내 부재(89)로 미끄럼 이동 안내된다. 로드(88)와 경사 안내 부재(89)의 미끄럼 이동 안내에 의해, 개폐 벽부(50)와 탱크 본체부(46)가 상대 변위하여, 개폐 벽부(50)가 탱크 본체부(4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겨진다. 그 결과, 개폐 벽부(50)와 탱크 본체부(46)의 개구(49)의 주위의 프레임상 부분(51)이 밀하게 접촉하여 곡립을 저류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개폐 벽부(50)를 탱크 본체부(46)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개폐 벽부(50)가 폐쇄 상태로 되어 프레임상 부분(51)에 밀하게 접촉함으로써, 개폐 벽부(50)가 저류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우측 벽부(45)에는, 개폐 벽부(50)와 프레임상 부분(51)뿐만 아니라, 개폐 벽부(50)를 탱크 본체부(46)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조, 즉 전후 방향 프레임(58), 걸림 부재(77)와, 전환 조작 기구(78) 등도 포함된다. 개폐 벽부(50)와 프레임상 부분(51)의 접촉 개소, 즉 상부측 보강 부재(67)와 프레임상 부분(51)의 접촉 개소, 및 하부측 보강 부재(70)와 프레임상 부분(51)의 접촉 개소에는, 시일 부재를 개재시켜 두면 된다.
조작 레버(80)가 경사 자세(도 10의 가상선)로 전환되면, 도 15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림 부재(77)가 해제 상태로 된다. 그것에 수반하여,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체(92)와 링크 부재(93)를 통하여, 상측의 로드(88)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경사 안내 부재(89)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하측의 로드(88)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경사 안내 부재(89)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그 결과, 개폐 벽부(50)가 폐색 상태로 전환되고, 우측 벽부(45)가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의 제1 종방향 지지판(73)과 제2 종방향 지지판(74) 사이에 끼워지는 레버 수납 영역(W)에 조작 레버(80)가 구비된다. 도 4,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6)의 우측면에 있어서의 레버 수납 영역(W)에 대응하는 개소에는 벽면부(9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벽면부(94)의 후단부 에지에는 상하 방향으로 긴 구획판(95)이 설치되고, 이 구획판(95)과 제2 종방향 지지판(74)에 의해, 레버 수납 영역(W)과 저류 공간(Q)이 구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저류 공간(Q)에 곡립이 저류되어 있어도, 조작 레버(80)가 구비되는 레버 수납 영역(W)에는 곡립이 없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개폐 벽부(50)는, 후방부측의 세로 축심(Y1) 주위로 외팔보상으로 지지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피봇 지지 개소에 있어서의 덜걱거림이나 사용에 수반하는 마모 등에 의해, 요동 단부측이 기단측에 비하여 조금 내려가, 경사 자세로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자세 변화에 대하여, 저류 상태로 전환할 때, 개폐 벽부(50)의 요동 단부측을 적정 위치로 들어올려 안내하기 위한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에 있어서의 하부측 보강 부재(70)는, 저류 상태로 전환되면, 프레임상 부분(51)의 하측 에지부에 맞닿아 밀하게 접촉되는 상태로 된다. 이 하부측 보강 부재(70)에 있어서의 프레임상 부분(51)의 하측 에지부에 맞닿는 개소는, 탱크 내측일수록 상측에 위치하는 경사 자세로 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개폐 벽부(50)의 요동 단부측이 기단측에 비하여 조금 내려가, 경사 자세로 되어 있는 경우라도, 개폐 벽부(50)를 저류 상태로 전환하여, 전환 조작 기구(78)에 의한 연결 조작이 행해지면, 하부측 보강 부재(70)의 경사면이 프레임상 부분(51)의 하측 에지부에 올라앉아, 개폐 벽부(50)를 적정 위치로 들어올려 안내할 수 있다.
이어서, 품질 계측 장치(2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풍 안내 경로에 대하여 설명한다.
품질 계측 장치(20)에 있어서의 곡립에 조사하는 계측용 광은 큰 광량이 필요하다. 이러한 큰 광량의 광을 투사하는 광원(예를 들어, 할로겐 램프 등)은 발열량도 커진다. 그래서, 외기를 도입하여 수납 케이스(23) 내의 고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냉각풍 안내 경로가 구비되어 있다.
도 12,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곡립 탱크(7)의 외주부 중 품질 계측 장치(20)가 설치된 측의 측벽부에 상당하는 우측 벽부(45)에, 품질 계측 장치(20)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도입하는 도입구(96)와, 품질 계측 장치(20)를 냉각한 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97)가 구비되어 있다. 도입구(96)와 품질 계측 장치(20)를 연통 접속하는 도입용 통기 경로(98), 및 배출구(97)와 품질 계측 장치(20)를 연통 접속하는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우측 벽부(45)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수납 케이스(23)에, 도입용 통기 경로(98)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100)와 접속되는 공기 도입용 개구(101), 및 배출용 통기 경로(99)에 형성된 통기용 개구(105)와 접속되는 배기용 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탱크 본체부(46)에 구비된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으로서의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의해, 도입용 통기 경로(98)가 구성되어 있다. 개폐 벽부(50)에 구비된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으로서의 각통상의 프레임체(68)에 의해,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구성되고, 도입용 통기 경로(98)와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수납 케이스(23)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다.
설명을 더하면, 도 3,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3)의 하부에 있어서, 수납 케이스(23)의 내부 공간과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내부 공간이 연통 접속되는 연통용 통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통용 통부(104)의 상단부는 수납 케이스(23)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연통용 통부(104)는, 하부 연결부(36)의 수평면 부분을 상하 방향으로 삽입 관통함과 함께, 기밀성을 갖는 상태로 수평면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통용 통부(104)의 하단부는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내부 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연통용 통부(104)는, 전후 방향 프레임(58)을 삽입 관통함과 함께, 기밀성을 갖는 상태로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연결되어 있다.
이 연통용 통부(104)에 의해 수납 케이스(23)의 내부 공간과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내부 공간이 연통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연통용 통부(104)의 상단에 공기 도입용 개구(101)가 형성되고, 연통용 통부(104)의 하단에 통기용 개구(10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긴 쪽 방향 양측 단부 에지는 외부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3,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3)의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는, 상부 연결부(35)에 대하여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여 상하로 배열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에 복수의 배기용 개구(103)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가 저류 상태일 때, 즉 개폐 벽부(50)가 폐색 상태일 때에는,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와 개폐 벽부(50)의 각통상의 프레임체(68)가 맞닿는 상태로 된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의 각통상의 프레임체(68)에는, 내측 벽부(37)의 상부측 개소와 맞닿는 내측면(68a) 및 상부측면(68b)의 각각에 복수의 개구(105, 106)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면(68a)의 개구(105)는,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에 형성된 개구(103)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 벽부(50)가 저류 상태일 때에는,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내측면(68a)에 형성된 개구(105)와,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에 형성된 개구(103)가 연통 접속된다.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품질 계측 장치(20)에는 통풍용 팬이 구비되고, 팬이 작동함으로써, 수납 케이스(23)의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기함과 함께, 수납 케이스(23)의 상부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통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팬이 작동함으로써,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긴 쪽 방향 양측 단부 에지의 개구(107)로부터,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내부 공간과 연통용 통부(104)를 통하여 수납 케이스(23) 내로 외기가 흡인된다. 수납 케이스(23) 내의 공기는, 외측 벽부(38)의 상부측 개소에 형성된 개구(103),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내측면에 형성된 개구(105),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내부 공간,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상부측면에 형성된 개구(106)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내부 공간을 통과한 공기는, 개구(106)뿐만 아니라,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긴 쪽 방향 양측 단부에 형성된 개구(108)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도 13 참조).
따라서,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긴 쪽 방향 양측 단부 에지의 개구(107)가 도입구(96)에 대응하고,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내부 공간이 도입용 통기 경로(98)에 대응하고 있다. 각통상의 프레임체(68)에 있어서의 개구(106) 및 개구(108)가 배출구(97)에 대응하고,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내부 공간이 배출용 통기 경로(99)에 대응하고 있다.
예취 작업에 수반하여 곡립 탱크(7)에 곡립이 저류될 때, 그 저류 동작에 수반하여 저류 공간(Q)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므로, 그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 공기 배출 동작을 이용하여, 수납 케이스(23)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3)의 전방측부에 케이스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측으로의 통기를 허용하고, 케이스 내측으로부터 케이스 외측으로의 통기를 금지하는 역지 밸브(V)가 구비되어 있다. 저류 공간(Q)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 탱크 내의 공기가 역지 밸브(V)를 통하여 수납 케이스(23)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개폐 벽부(50)의 요동 단부측이 기단측에 비하여 약간 내려가 경사 자세로 되는 자세 변화에 대하여, 저류 상태로 전환할 때, 개폐 벽부(50)의 요동 단부측을 적정 위치로 들어올려 안내하기 위한 다른 안내 기구로서, 다음과 같은 걸림 안내체(110)가 구비되어 있다.
도 4,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에 구비된 제1 종방향 지지판(7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 안내체(110)가 구비되어 있다. 걸림 안내체(110)는, 단면 L자형의 판체로 이루어지고, 제1 종방향 지지판(73)으로부터 탱크 내측으로 외팔보상으로 연장 설치되고,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올라앉도록 작용하는 경사 안내부(1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16,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 벽부(50)가 유지보수 상태로부터 저류 상태로 전환되도록 요동하면, 경사 안내부(111)가 전후 방향 프레임(58)에 올라앉아 개폐 벽부(50)의 요동 단부를 적정 위치로 들어올려 안내할 수 있음과 함께, 저류 상태에 있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 다른 실시 형태를 열기한다.
(1) 품질 계측 장치(20)의 설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변경 조정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품질 계측 장치(20)를 지지하는 수납 케이스(23)의 상부 연결부(35)가 볼트 연결되는 곡립 탱크(7)의 상측 에지부(51a)에, 볼트 삽입 관통 구멍을 복수 형성한다. 그에 추가하여, 제2 보조 프레임(62)에 대한 좌측 벽부(47)측의 연결부의 위치를 상이하게 하여 복수 형성하고, 수납 케이스(23)의 위치를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긴 쪽 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송출 블레이드(29)에 의해 비산되는 곡립을 저류하기 쉬운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
(2) 측판으로서의 개폐 벽부(50)를,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세로 축심 주위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세로 축심 대신에,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시켜 개폐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요동하는 것 대신에, 우측 벽부(45)를 떼어냄 혹은 설치에 의해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3)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본체부(46)의 개구(49)의 프레임상 부분(51)에, 탱크 내측일수록 개구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안내부(120)를 구비하고, 개폐 벽부(50)에 안내부(120)에 맞닿는 경사 자세의 맞닿음부(12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폐쇄 조작에 수반하여 안내부(120)와 맞닿음부(121)의 사이에서의 맞닿음에 의해 밀폐성을 보다 높일 수 있고, 게다가, 곡립 탱크(7) 전체의 강성을 높인다는 이점도 있다.
(4) 개폐 벽부(50)를 수동으로 저류 상태와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하는 것 대신에, 예를 들어 가스 스프링 등의 댐퍼를 사용하여 개폐 조작을 보조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혹은, 유압 실린더나 전동 모터 등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개폐 조작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5) 개폐 벽부(50)를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위치 보유 지지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로크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유지보수 상태에 있어서 개폐 벽부(50)와 탱크 본체부(46)에 걸쳐, 연결 부재를 연결하여 핀으로 고정하여 위치 보유 지지하는 구성, 혹은 체인으로 연결하여 위치 보유 지지하는 구성 등이 있다.
(6) 개폐 벽부(50)가 저류 상태로 전환된 것을 검지하는 센서, 혹은 걸림 부재(77)에 의한 보유 지지 상태, 로드(88)에 의한 걸림 결합 상태 등을 검지하는 센서, 및 이들이 검지하지 않으면 통지 처리하는 통지 수단 등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통지 수단으로서는, 램프를 점등하여 통지하는 구성, 문자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에 의해 메시지를 표시하여 통지하는 구성, 작업자의 신체가 접촉하는 부재를 진동시켜 통지하는 구성, 음성이나 버저 소리에 의해 통지하는 구성, 혹은 개폐 벽부(50)에 작은 창을 설치하여, 색의 변화로 통지하는 구성 등의 다양한 구성이 고려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검지 센서가 검지하지 않으면, 작업자에게 경고함과 함께, 엔진(E)의 시동을 견제하는 엔진 견제 처리를 실행하는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7)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체에 의해 도입용 통기 경로(98)가 구성되고,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전체에 의해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구성되는 것 대신에, 다음의 (7-1) 내지 (7-3)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7-1) 예를 들어,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전체에 의해 도입용 통기 경로(98)가 구성되고,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체에 의해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구성되는 것.
(7-2)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방부측 절반의 영역, 및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전방부측 절반의 영역이, 각각 도입용 통기 경로(98)를 구성하고,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후방부측 절반의 영역 및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후방부측 절반의 영역이, 각각 배출용 통기 경로(99)를 구성하는 것.
즉,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전단부로부터 외기를 도입하고, 수납 케이스(23)를 통과한 후, 전후 방향 프레임(58)의 후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한다. 또한,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전단부로부터 외기를 도입하고, 수납 케이스(23)를 통과한 후, 각통상의 프레임체(68)의 후단부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7-3) 도입용 통기 경로(98) 및 배출용 통기 경로(99)가, 곡립 탱크(7)의 프레임이 아니라, 전용의 통풍 경로 부재에 의해 구성되는 것.
(8) 곡립 탱크(7)에, 탱크 내부의 공기를 외부를 향하여 배출하고,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공기의 유입을 저지하는 에어 역지 밸브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수확 작업에 수반하여, 탱크 내에 곡립이 저류됨에 수반하여, 탱크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고, 품질 계측 장치(20)의 주위의 고온의 공기도 배출된다. 이 경우, 곡립을 배출할 때, 탱크 내부가 감압하지 않도록, 유입은 허용하고, 배출은 금지하는 역방향의 에어 역지 밸브를 별도로 설치하면 된다.
(9) 품질 계측 장치(20)를, 곡립 탱크(7) 내부의 우횡측 단부에 설치하는 것 대신에, 곡립 탱크(7)에 있어서의 전방측 단부, 후방측 단부, 좌횡측 단부 등에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10) 품질 계측 장치(20)를 수납하는 수납 케이스(23)가 위치 고정 상태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11) 측판으로서의 개폐 벽부(50)를, 기체 전방부측에 위치하는 세로 축심 주위로 요동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세로 축심 대신에, 전후 방향 축심 주위로 요동시켜 개폐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요동하는 것 대신에, 우측 벽부(45)를 떼어냄 혹은 설치에 의해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측판은 개폐하는 것 대신에, 고정 상태에서 폐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자탈형 콤바인 외에, 보통형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7: 곡립 탱크
20: 품질 계측 장치
21: 일시 저류부
22: 계측부
23: 수납 케이스
39: 상하 방향 프레임
45: 측벽부(우측 벽부)
46: 탱크 본체부
50: 측판(개폐 벽부)
58: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전후 방향 프레임)
68: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각통상의 프레임체)
96: 도입구
97: 배출구
98: 도입용 통기 경로
99: 배출용 통기 경로
100: 통기용 개구
101: 공기 도입용 개구
103: 배기용 개구
Q: 저류 공간
20: 품질 계측 장치
21: 일시 저류부
22: 계측부
23: 수납 케이스
39: 상하 방향 프레임
45: 측벽부(우측 벽부)
46: 탱크 본체부
50: 측판(개폐 벽부)
58: 본체측의 중공상 프레임(전후 방향 프레임)
68: 측판측의 중공상 프레임(각통상의 프레임체)
96: 도입구
97: 배출구
98: 도입용 통기 경로
99: 배출용 통기 경로
100: 통기용 개구
101: 공기 도입용 개구
103: 배기용 개구
Q: 저류 공간
Claims (5)
- 수확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와, 상기 곡립 탱크의 전방에 위치하는 운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곡립 탱크의 측판은, 탱크 내부의 저류 공간을 폐색하여 곡립의 저류를 가능하게 하는 저류 상태와, 상기 저류 공간을 외부로 개방하여 상기 저류 공간으로의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는 유지보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곡립 탱크는, 상기 측판과, 상기 측판 이외의 탱크 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본체부 중 상기 측판이 위치하는 측의 측벽부에, 상기 곡립 탱크의 상부로부터 하부에 걸침과 함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에 걸쳐 있도록 형성된 개구가 제공되며,
상기 측판은, 종방향 지지축의 축심 주위로 요동 가능하게 상기 탱크 본체부에 지지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콤바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상기 탱크 본체부측의 측면에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의 종방향 지지판이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 본체부의 내부에, 상기 탱크 본체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걸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측판에, 상기 프레임에 걸림하여 상기 측판을 상기 탱크 본체부에 대하여 위치 유지하는 작용 자세와, 상기 프레임과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비작용 자세로 전환 가능한 걸림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종방향 지지판에 자세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는, 콤바인.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종방향 지지판 중 상기 측판의 요동 단부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종방향 지지판과,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기 측판측의 측벽부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 영역에는, 상기 걸림 부재를 자세 변경 조작 가능한 조작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콤바인.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영역을 구성하는 상기 탱크 본체부의 상기 측벽부에, 상기 수납 영역을 외측에 면하는 상태에서 개방하는 조작용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용 개구를 폐색하는 폐쇄 상태와 개방하는 개방 상태로 전환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덮개를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용 개구를 통해 외측으로부터 조작 가능한, 콤바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245945 | 2016-12-19 | ||
JPJP-P-2016-245946 | 2016-12-19 | ||
JP2016245945A JP6616277B2 (ja) | 2016-12-19 | 2016-12-19 | コンバイン |
JP2016245946A JP2018099049A (ja) | 2016-12-19 | 2016-12-19 | コンバイン |
KR1020170170140A KR102579435B1 (ko) | 2016-12-19 | 2017-12-12 | 콤바인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140A Division KR102579435B1 (ko) | 2016-12-19 | 2017-12-12 | 콤바인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33828A true KR20230133828A (ko) | 2023-09-19 |
Family
ID=6260561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140A KR102579435B1 (ko) | 2016-12-19 | 2017-12-12 | 콤바인 |
KR1020230121328A KR20230133828A (ko) | 2016-12-19 | 2023-09-12 | 콤바인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70140A KR102579435B1 (ko) | 2016-12-19 | 2017-12-12 | 콤바인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2) | KR102579435B1 (ko) |
CN (1) | CN108200806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1508A (ko) * | 2018-06-27 | 2020-01-06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KR20200083242A (ko) * | 2018-12-28 | 2020-07-08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수확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68561A (ja) | 2012-09-27 | 2014-04-21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22669U (ko) * | 1985-01-21 | 1986-08-02 | ||
JP2004129522A (ja) * | 2002-10-08 | 2004-04-30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コンバイン |
JP5921086B2 (ja) * | 2011-05-19 | 2016-05-24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5655819B2 (ja) * | 2012-06-18 | 2015-01-21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KR102142736B1 (ko) * | 2012-08-24 | 2020-08-07 |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 콤바인 |
KR102025891B1 (ko) * | 2012-09-27 | 2019-09-26 |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 콤바인 |
JP5908425B2 (ja) * | 2013-03-27 | 2016-04-26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EP2979537B1 (en) * | 2013-03-27 | 2019-08-28 | Kubota Corporation | Combine |
JP6459399B2 (ja) * | 2014-10-30 | 2019-01-30 | 井関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6126151B2 (ja) * | 2015-03-13 | 2017-05-10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WO2016147521A1 (ja) * | 2015-03-18 | 2016-09-22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及びコンバインのための穀粒評価制御装置 |
US9510514B2 (en) * | 2015-04-14 | 2016-12-06 | Deere & Company | Lockout closure mechanism for agricultural vehicle |
-
2017
- 2017-12-12 KR KR1020170170140A patent/KR10257943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12-18 CN CN201711364280.4A patent/CN108200806A/zh active Pending
-
2023
- 2023-09-12 KR KR1020230121328A patent/KR2023013382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68561A (ja) | 2012-09-27 | 2014-04-21 | Kubota Corp | コンバイン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79435B1 (ko) | 2023-09-18 |
KR20180071168A (ko) | 2018-06-27 |
CN108200806A (zh) | 2018-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30133828A (ko) | 콤바인 | |
JP2007037460A (ja) | コンバイン | |
JP6673814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7121201A (ja) | コンバイン | |
KR102537849B1 (ko) | 콤바인 | |
JP6616277B2 (ja) | コンバイン | |
JP2021184776A (ja) | コンバイン | |
JP6687505B2 (ja) | コンバイン | |
JP5732445B2 (ja) | コンバイン | |
JP7350105B2 (ja) | コンバイン | |
JP7565996B2 (ja) | コンバイン | |
JP6991262B2 (ja) | コンバイン | |
KR102651740B1 (ko) | 콤바인 | |
JP6824224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8099049A (ja) | コンバイン | |
JP6827397B2 (ja) | コンバイン | |
JP6854737B2 (ja) | コンバイン | |
JP6346313B2 (ja) | コンバイン | |
KR20110109855A (ko) | 콤바인의 배기 구조 및 콤바인 | |
JP6006365B2 (ja) | コンバイン | |
JP6073956B2 (ja) | コンバイン | |
JP6338628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3230111A (ja) | コンバインの穀粒排出構造 | |
JP2005102593A (ja) | 脱穀装置 | |
JP2007222080A (ja) | 収穫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