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3242A - 수확기 - Google Patents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3242A
KR20200083242A KR1020190169504A KR20190169504A KR20200083242A KR 20200083242 A KR20200083242 A KR 20200083242A KR 1020190169504 A KR1020190169504 A KR 1020190169504A KR 20190169504 A KR20190169504 A KR 20190169504A KR 20200083242 A KR20200083242 A KR 20200083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wall portion
closing wall
tan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아키 유모토
마사루 이케다
도모노리 다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8683A external-priority patent/JP71846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8685A external-priority patent/JP711295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248684A external-priority patent/JP7140676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200083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08Tanks for grain or chaff
    • A01D41/1226Extension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2Implements for collecting grain cr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18Arrangements or mounting of liquid-to-air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5/00Pumping cooling-air or liquid coolants
    • F01P5/02Pumping cooling-air; Arrangements of cooling-air pumps, e.g. fans or blowers
    • F01P5/06Guiding or ducting air to, or from, ducted f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한다. 캐빈(4)과 그 후방에 배치되는 곡립 탱크(5) 사이의 수용실(22)에는, 콘덴서(24)와, 콘덴서(24)에 바람을 통과시키는 콘덴서 팬(2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1)의 우측면에 있어서,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는, 커버(26)가 마련되어 있다.
곡립 탱크의 측면이 개방되었을 때, 곡립 등의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한다.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서, 웨더스트립(1021)이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되면, 개폐 벽부(1014)가 웨더스트립(1021)에 밀착된다.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에는,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105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1014)와 웨더스트립(1021)의 맞닿음 부분이 덮개부(1051)의 하측에 가려진다.
걸림 부재에 의한 시일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로크 핸들(1033)이 폐쇄 위치로 조작되고, 로크 핀(1031)이 걸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에 걸림 지지된다.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상단부가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개폐 벽부(1014)의 개폐 도중에, 로크 핸들(1033)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로크 핀(1031)이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도,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웨더스트립(1021)과 간섭하는 일이 억제된다.

Description

수확기{HARVESTER}
본 발명은, 콤바인 등의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콤바인에서는, 포장에 식립되어 있는 곡간의 밑동이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되고, 그 예취된 곡간이 예취 장치로부터 탈곡 장치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에서 곡간이 탈곡되고, 곡립이 곡립 탱크에 수집된다.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의 전단부 위에는, 운전석과 조작 레버 및 조작 페달 등의 조작 부재를 수용한 캐빈이 지지되어 있다. 콤바인의 운전자는, 캐빈 내에 탑승하여, 운전석에 착좌하고, 콤바인의 주행 및 조향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곡립 탱크는, 기체 프레임 위에서 캐빈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과 곡립 탱크의 사이는 수용실로 되어 있으며, 캐빈 내의 공조를 위한 에어 컨디셔너의 콘덴서나 콘덴서에 부수된 콘덴서 팬 등이 배치되어 있다.
수확기의 일례인 콤바인에서는, 포장에 식립되어 있는 곡간의 밑동이 예취 장치에 의해 예취되고, 그 예취된 곡간이 예취 장치로부터 탈곡 장치로 반송되어, 탈곡 장치에서 곡간이 탈곡되고, 곡간으로부터 빠져나온 곡립이 곡립 탱크에 수집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1959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8-99047호 공보
에어 컨디셔너에서는,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반액체의 냉매가 콘덴서에 공급되고, 그 냉매가 콘덴서에서 냉각됨으로써 액화한다. 콘덴서 팬이 구동되어, 콘덴서를 바람이 통과함으로써, 콘덴서에 있어서의 냉매의 냉각이 촉진된다.
그러나, 콘덴서 등의 배치에 따라서는, 콘덴서에 있어서의 열교환 후의 고온풍이 수용실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후에 수용실의 흡기구로 돌아들어가, 콘덴서를 통과하는 바람이 루프를 형성하여, 에어 컨디셔너의 충분한 성능(에어컨 성능)을 얻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수확기에서는, 곡립 탱크의 내면에 잔류되어 있는 곡립이나 그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진애를 제거하는 메인터넌스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곡립 탱크의 벽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그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곡립 탱크의 상면에 덮개로 개폐 가능한 개구가 형성된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의 상방으로부터 개구를 통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곡립 탱크가 대형인 경우, 곡립 탱크의 상방으로부터의 메인터넌스 작업은 행하기 어렵다.
그래서, 곡립 탱크의 측벽의 일부를 개폐 벽부로서 개폐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생각된다. 이 구성에서는, 곡립 탱크의 측방으로부터 그 개폐 벽부를 개방하여 형성되는 개구를 통하여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곡립 탱크가 대형이더라도,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측벽의 내면에 부착되어 있는 벼 등의 곡립이 곡립 탱크의 외부로 흘러넘쳐 떨어질 우려가 있다. 특히, 개폐 벽부의 하단 모서리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 곡립이 나란히 끼인 경우에는,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그 곡립이 포장 등에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져서, 다량의 곡립이 흘러넘쳐 떨어졌다는 인상을 수확기의 구입자나 사용자에게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립 탱크의 측면이 개방되었을 때, 곡립 등의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곡립 탱크 내에 다량의 곡립이 저류된 상태에서는, 측벽에 큰 압이 가해지기 때문에, 그 압에 의해 개폐 벽부가 변형되어, 개폐 벽부의 하단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면, 그 간극으로부터 곡립이 흘러넘쳐 나와버린다.
이 문제에 대해서, 본원 출원인은, 개폐 벽부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진퇴가능한 걸림 로드를 마련하고,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의 외면에 배치된 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걸림 로드가 하측으로 진출하고, 걸림 로드의 하단부가 곡립 탱크 내에 마련된 안내 보유 지지 부재에 미끄럼 이동함으로써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안내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걸림 로드의 하단부가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안내됨으로써, 개폐 벽부가 곡립 탱크의 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지고, 개폐 벽부의 하단부가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마련된 시일 부재에 밀착된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의 하단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서 곡립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개폐 벽부의 개폐 도중에 조작 레버가 조작되면, 걸림 로드의 하단부가 시일 부재와 간섭하여, 시일 부재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걸림 부재에 의한 시일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캐빈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확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를 냉각하는 콘덴서와, 콘덴서에 부수되어 마련되어, 콘덴서에 바람을 통과시키는 콘덴서 팬과, 캐빈과 탱크 사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당해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흐름을 저해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캐빈과 그 후방에 배치되는 탱크의 사이에는, 콘덴서와, 콘덴서에 바람을 통과시키는 콘덴서 팬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는, 그들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배출을 저해하는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콘덴서를 통과한 바람이 캐빈과 탱크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후에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 돌아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콘덴서를 통과하는 바람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확기는,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당해 사이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필터를 더 포함하며, 커버는, 탱크와 방진 필터의 간극에 배치되어도 된다.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방진 필터를 통하여 바람(외기)이 들어가므로, 그 방진 필터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은, 캐빈과 탱크 사이로의 흡기구로 된다. 그 때문에, 탱크와 방진 필터 사이의 간극에 커버가 배치됨으로써, 바람이 그 간극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후에 방진 필터를 통과하여 캐빈과 탱크의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콘덴서를 통과하는 바람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더한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커버는,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되며, 그 경우, 복수의 커버(분할 부분) 중의 일부는, 탱크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탱크가 폭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하여 전개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그 회동하는 탱크로부터의 커버의 돌출량을 가급적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탱크를 회동시킬 때 커버가 캐빈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탱크가 전개된 상태에서 커버가 사람이나 그 주변의 부재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탱크로부터 큰 사이즈의 커버가 돌출됨에 의한 의장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의 일부가 탱크에 장착됨으로써, 기체측에 남겨지는 커버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그 기체측의 커버에 탱크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의한 커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복수로 분할된 커버가 모두 탱크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콘덴서 팬은, 콘덴서에 대해서 콘덴서에 있어서의 바람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콘덴서 팬으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이 콘덴서를 통과하므로, 콘덴서 팬이 콘덴서에 대해서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구성, 즉 콘덴서 팬에 끌려들어오는 바람이 콘덴서를 통과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콘덴서를 통과한 후의 바람의 기세가 약하다. 그 때문에, 캐빈과 탱크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돌아들어감에 의한 루프가 형성되기 쉽지만, 커버가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그 루프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발휘되어,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비약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커버는, 금속제여도 되지만, 수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가 수지제이면,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탱크가 폭 방향 일방측으로 회동하여 전개되는 구성에서는, 탱크의 개폐 시에 커버와 별체의 접촉에 의한 별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수확물을 수용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기이며, 탱크의 일 측벽부에, 적어도 그 일부로 이루어지는 개폐 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형성되는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와 밀착하는 시일 부재가 마련되고, 개폐 벽부의 하단부에,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탱크의 개폐 벽부가 개방되면, 개구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그 개구를 통하여 탱크 내에 액세스할 수 있어, 탱크 내의 청소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시일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가 폐쇄되면, 개폐 벽부가 시일 부재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탱크 내의 압으로 개폐 벽부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시일 부재의 탄성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밀착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로부터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벽부의 하단부에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개폐 벽부가 폐쇄되면, 그 덮개부가 시일 부재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이 덮개부의 하측에 숨겨지므로, 그 맞닿음 부분에 곡립 등의 수확물이 나란히 끼이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 내로부터 포장 등으로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로부터 탱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보다도 하류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에 수확물이 나란히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 내에서 포장 등으로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개폐 벽부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의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며,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걸림 부재의 하단이 개구 하단 모서리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걸림 부재의 하단이 개구 하단 모서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탱크 내에,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하여, 걸림 위치에서 걸림 부재의 하단부를 걸림 지지시키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피걸림부에 걸림 지지되므로, 탱크 내의 압으로 개폐 벽부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개폐 벽부와 개구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와 개구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서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도중부가 분단되어 있으며, 피걸림부는,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가 분단된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피걸림부와 덮개부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면서, 피걸림부가 벽으로 되어, 탱크 내의 수확물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에 높은 압으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피걸림부는, 상단부가 시일 부재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의 개폐 도중에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도, 걸림 부재가 시일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걸림 부재에 의한 시일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개폐 벽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덮개부를 개폐 벽부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폐 벽부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가 체결구로 개폐 벽부에 장착됨으로써, 덮개부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개폐 벽부에 부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덮개부의 장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탱크 내에서의 덮개부의 탈락의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수확기는, 수확물을 수용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기이며, 탱크의 일 측벽부에, 적어도 그 일부로 이루어지는 개폐 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형성되는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와 밀착하는 시일 부재가 마련되고, 개폐 벽부의 외면에, 조작 부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개폐 벽부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의 걸림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조작 부재가 개방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걸림 부재의 하단이 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조작 부재가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걸림 부재의 하단이 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탱크 내에,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하여, 걸림 위치에서 걸림 부재의 하단부를 걸림 지지시키는 피걸림부가 마련되고, 피걸림부의 상단부가 시일 부재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탱크의 개폐 벽부가 개방되면, 개구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그 개구를 통하여 탱크 내에 액세스할 수 있어, 탱크 내의 청소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시일 부재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가 폐쇄되면, 개폐 벽부가 시일 부재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탱크 내의 압으로 개폐 벽부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시일 부재의 탄성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밀착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로부터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조작 부재가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피걸림부에 걸림 지지되므로, 탱크 내의 압에서 개폐 벽부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개폐 벽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와 개구의 하단 모서리의 사이에서 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수확물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피걸림부의 상단부가 시일 부재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개폐 벽부의 개폐 도중에, 조작 부재가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도, 걸림 부재가 시일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걸림 부재에 의한 시일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개폐 벽부의 하단부에,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시일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이 덮개부의 하측에 숨겨지므로, 그 맞닿음 부분에 곡립 등의 수확물이 나란히 끼이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 내로부터 포장 등으로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로부터 탱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시일 부재보다도 하류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에 수확물이 나란히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탱크 내에서 포장 등으로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도중부가 분단되어 있으며, 피걸림부는,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가 분단된 부분에 배치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피걸림부와 덮개부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면서, 피걸림부가 벽으로 되어, 탱크 내의 수확물이 개폐 벽부와 시일 부재의 맞닿음 부분에 높은 압으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는, 개폐 벽부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개폐 벽부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덮개부를 개폐 벽부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폐 벽부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가 체결구로 개폐 벽부에 장착됨으로써, 덮개부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개폐 벽부에 부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덮개부의 장착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 탱크 내에서의 덮개부의 탈락의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덴서를 통과한 바람이 캐빈과 탱크의 사이로부터 외부로 배출된 후에 캐빈과 탱크의 사이로 돌아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콘덴서를 통과하는 바람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콘덴서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립 탱크의 측면이 개방되었을 때, 곡립 등의 수확물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다량의 곡립이 흘러넘쳐 떨어졌다는 인상을 수확기의 구입자나 사용자에게 주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시일 부재와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시일 부재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 기체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캐빈과 곡립 탱크 사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구성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브레이크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압박 암의 하단부 및 요동 부재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의 기체 우측면도이다.
도 8은, 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곡립 탱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곡립 탱크의 고정 벽부와 개폐 벽부의 경계 부분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고정 벽부의 내측의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개폐 벽부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개폐 벽부의 하단부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콤바인의 기체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1)의 기체(2)의 우측면도이다. 도 2는, 기체(2)의 평면도이다.
콤바인(1)은, 포장을 주행하면서 곡간의 예취 및 곡간으로부터의 탈곡을 행하는 수확기의 일례이다. 콤바인(1)의 기체(2)는, 강재를 조합한 구조물인 메인 프레임(3)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3)에는, 캐빈(4) 및 곡립 탱크(5) 등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2)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에 지지되어 있다. 주행 장치에는, 포장에서의 콤바인(1)을 주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높은 부정지 주파 능력을 갖는 크롤러가 채용된다.
캐빈(4)은, 메인 프레임(3)의 전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4)은, 그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 내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조작 레버 및 조작 페달 등의 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캐빈(4)의 우측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1)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11)는, 그 후단부에 장착된 2개의 힌지(1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자는, 도어(11)를 열고, 캐빈(4) 내에 올라탈 수 있다.
곡립 탱크(5)는, 메인 프레임(3) 위에서 캐빈(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5)에는, 탈곡 장치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탈곡된 곡립을 저류한다. 곡립 탱크(5)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우측벽은, 고정 벽부(13)와, 고정 벽부(13)의 상측의 개폐 벽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벽부(13)는, 메인 프레임(3)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4)는, 그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4)가 개방되면, 고정 벽부(13)를 남겨, 곡립 탱크(5)의 우측면이 크게 개방된다. 이에 의해, 곡립 탱크(5) 내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그 크게 개방된 개구로부터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곡립 탱크(5) 내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5)는, 우후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그 전체가 우측으로 전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곡립 탱크(5)의 전체를 우측으로 전개하여,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류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수용실>
도 3은, 캐빈(4)과 곡립 탱크(5) 사이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콤바인(1)의 우측면에 있어서,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들 사이에 외부로부터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필터(21)가 마련되어 있다. 방진 필터(21)의 안쪽 부분, 즉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 있어서의 방진 필터(21)로 우측으로부터 덮이는 부분은, 각종 기기를 수용하는 수용실(22)로서 형성되어 있다.
수용실(22)에는, 예를 들어 엔진(도시생략)에 흡입되는 외기를 정화하는 에어 클리너(2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콤바인(1)은, 캐빈(4) 내의 공조를 위한 에어 컨디셔너를 탑재하고 있다. 수용실(22)에는, 에어 컨디셔너의 콘덴서(24) 및 콘덴서(24)에 부수된 콘덴서 팬(25)이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24)는, 수용실(22)의 후단부에 배치되고, 콘덴서 팬(25)은, 콘덴서(24)의 전방측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에어 컨디셔너에서는, 컴프레서에서 압축된 반액체의 냉매가 콘덴서(24)에 공급되고, 그 냉매가 콘덴서(24)에서 냉각됨으로써 액화한다. 콘덴서(24)에서 거의 액화된 냉매는, 리시버에 공급되고, 리시버에서는, 액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기화된 채의 냉매가 액화된 냉매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액화된 냉매는, 팽창 밸브로부터 증발기로 분사되고, 증발기로부터 열을 빼앗아 단숨에 기화됨으로써, 증발기를 냉각시킨다. 블로워로부터의 송풍이 증발기를 통과함으로써 냉풍으로 되고, 그 냉풍이 캐빈(4) 내에 공급된다.
콘덴서 팬(25)으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이 콘덴서(24)를 통과함으로써, 콘덴서(24)에 있어서의 냉매의 냉각이 촉진된다.
<커버>
콤바인(1)의 우측면에는,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 구체적으로는, 곡립 탱크(5)와 방진 필터(21)의 사이에, 수지제의 커버(26)가 마련되어 있다. 커버(26)는, 3개의 커버(26A, 26B, 26C)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커버(26A)는, 우측면에서 볼 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후방측의 단부가 복수의 볼트(도시생략)로 곡립 탱크(5)의 우측면의 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26A)의 상하 방향의 위치는, 콘덴서(24) 및 콘덴서 팬(25)의 상하 방향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어, 커버(26A)의 상하 방향의 중앙의 위치는, 콘덴서 팬(25)의 회전 축선보다도 조금 높은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커버(26B)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실(22)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27)에 장착되어, 그 프레임(27)을 따라 상하로 연장되어 있다. 커버(26B)의 상단부는, 커버(26A)에 대해서 좌측으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겹쳐 있다. 커버(26C)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26B)의 하단부의 좌측으로부터 후하방으로 연장되는 프레임(28)에 장착되어, 그 프레임(28)을 따라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캐빈(4)과 그 후방에 배치되는 곡립 탱크(5) 사이의 수용실(22)에는, 콘덴서(24)와, 콘덴서(24)에 바람을 통과시키는 콘덴서 팬(25)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콤바인(1)의 우측면에 있어서,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는, 커버(26)가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콤바인(1)에서는,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 방진 필터(21)가 우측으로부터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커버(26)는, 곡립 탱크(5)와 방진 필터(21) 사이의 간극에 마련되어 있다.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방진 필터(21)를 통하여 바람(외기)이 들어가므로, 그 방진 필터(21)가 마련되어 있는 부분은, 캐빈(4)과 곡립 탱크(5) 사이(수용실(22))로의 흡기구가 된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5)와 방진 필터(21) 사이의 간극에 커버(26)가 배치됨으로써, 도 3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립 탱크(5)와 방진 필터(21)의 사이에서 외부로의 바람의 배출이 커버(26)로 저해된다. 그 때문에, 콘덴서(24)를 통과한 바람이 외부로 배출된 후에 방진 필터(21)를 통과해서 캐빈(4)과 곡립 탱크(5)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콘덴서(24)를 통과하는 바람이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콘덴서(24)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커버(26)는, 복수의 커버(26A, 26B, 26C)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의 일부인 커버(26A)는, 곡립 탱크(5)에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곡립 탱크(5)가 우측으로 회동하여 전개되는 구성이어도, 그 회동하는 곡립 탱크(5)로부터의 커버(26A)의 돌출량을 커버(26A, 26B, 26C)가 모두 곡립 탱크(5)에 장착되는 경우보다도 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곡립 탱크(5)를 회동시킬 때 커버(26A)가 캐빈(4)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곡립 탱크(5)가 전개된 상태에서 커버(26A)가 사람이나 그 주변의 부재에 닿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곡립 탱크(5)로부터 큰 사이즈의 커버(26A)가 돌출됨에 따른 의장성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26A)가 곡립 탱크(5)에 장착됨으로써, 기체(2)측에 남는 커버(26B, 26C)의 사이즈 및 위치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기체(2)측의 커버(26B, 26C)에 곡립 탱크(5)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 접촉에 의한 커버(26B, 26C)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콘덴서 팬(25)은, 콘덴서(24)에 대해서 콘덴서(24)에 있어서의 바람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콘덴서 팬(25)으로부터 송출되는 바람이 콘덴서(24)를 통과하므로, 콘덴서 팬(25)이 콘덴서(24)에 대해서 유통 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구성, 즉 콘덴서 팬(25)에 끌려들어오는 바람이 콘덴서(24)를 통과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콘덴서(24)를 통과한 후의 바람의 기세가 약하다. 그 때문에, 커버(26)가 마련되지 않은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4)과 곡립 탱크(5)의 사이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바람의 돌아들어감에 의한 루프가 형성되기 쉽다. 커버(26)가 마련됨으로써, 그 루프의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게 발휘되어, 콘덴서(24)에 의한 냉매의 냉각 효율의 비약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커버(26)가 수지제이므로, 가공이 용이하다. 게다가, 곡립 탱크(5)가 우측으로 회동하여 전개되었을 때, 커버(26)가 별개로 접촉됨으로써 별체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브레이크 링크 구조>
도 5는, 브레이크 링크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캐빈(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페달에는, 브레이크 페달(31)이 포함된다. 브레이크 페달(31)은, 브레이크 페달 암(32)과, 브레이크 페달 암(32)에 지지된 브레이크 페달 패드(33)를 구비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 암(32)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 암(32)의 후단부는, 기단부이며,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 지지 축(34)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암 지지 축(34)은, 메인 프레임(3)(도 1 참조)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마련된 지주(35)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암(32)은, 암 지지 축(34)을 지지점으로 하여 요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 페달 암(32)에는,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타단부는, 지주(35)에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 암(32)은,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측의 선단부가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브레이크 페달 패드(33)는, 브레이크 페달 암(32)의 선단부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 암(32)에는, 압박 암(37)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압박 암(37)은, 브레이크 페달(31)이 밟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페달 암(32)으로부터 전하방으로 연장되고, 후하방측으로 만곡 내지는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다. 압박 암(37)은, 캐빈(4)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캐빈(4)의 하방에는, 요동 부재(3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빈(4)의 하방에는, 지지 부재(39)가 메인 프레임(3)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요동 부재(38)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동 부재(38)의 상하 방향 중앙부에 지지 부재(39)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는 요동 축(41)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요동 부재(38)는, 요동 축(41)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6은, 압박 암(37)의 하단부 및 요동 부재(38)의 상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요동 부재(38)의 상단부에는, 핀 보유 지지 부재(42)가 마련되어 있다. 핀 보유 지지 부재(42)는, 요동 부재(38)의 우측면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되고, 상부 전방측으로 굴곡되어 요동 부재(38)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핀 보유 지지 부재(42)에는, 입력 핀(43)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마련되어 있다. 입력 핀(43)에 있어서의 핀 보유 지지 부재(42)로부터 우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원통형 컬러(44)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다. 압박 암(37)의 하단은, 브레이크 페달(31)이 밟히지 않은 상태에서, 컬러(44)에 대해서 전방 상측으로부터 근접해서 대향한다. 한편, 요동 부재(38)의 하단부에는, 브레이크 와이어(45)의 일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 패드(33)가 운전자의 발로 밟히면, 브레이크 페달 암(32)이 인장 코일 스프링(36)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회동하고, 압박 암(37)의 하단부면(46)이 컬러(44)에 전방 상측으로부터 맞닿는다. 브레이크 페달 패드(33)가 더 밟혀서, 브레이크 페달 암(32)이 더 회동하면, 압박 암(37)의 하단부면(46)에 컬러(44)가 압박되고, 그 압박력에 의해, 요동 부재(38)가 우측에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요동 부재(38)의 회동에 의해, 브레이크 와이어(45)가 끌어올려져서, 브레이크 와이어(45)에 의해 기계적으로 조작되는 브레이크(도시생략)가 작동한다.
컬러(44)가 입력 핀(43)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어 있으므로, 압박 암(37)의 하단부면(46)이 컬러(44)를 압박할 때, 컬러(44)가 회동한다. 이에 의해, 컬러(44)와 압박 암(37)의 하단부면(46)이 미끄럼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그 미끄럼 이동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31)의 조작감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커버(26)를 구성하는 3개의 커버(26A, 26B, 26C) 중 1개의 커버(26A)가 곡립 탱크(5)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지만, 그것들 중 2개가 곡립 탱크(5)에 장착되어 있어도 되고, 3개의 커버(26A, 26B, 26C)가 모두 곡립 탱크(5)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수확기의 일례로서, 콤바인(1)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콤바인(1)에 한정되지 않고, 당근이나 무, 풋콩, 양배추 등의 야채를 수확하는 수확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술한 구성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콤바인의 기체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콤바인(1001)의 기체(1002)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기체(1002)의 평면도이다.
콤바인(1001)은, 포장을 주행하면서 곡간의 예취 및 곡간으로부터의 탈곡을 행하는 수확기의 일례이다. 콤바인(1001)의 기체(1002)는, 강재를 조합한 구조물인 메인 프레임(1003)을 구비하고 있다. 메인 프레임(1003)에는, 캐빈(1004) 및 곡립 탱크(1005) 등이 지지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1002)는, 좌우 한 쌍의 주행 장치에 지지되어 있다. 주행 장치에는, 포장에서의 콤바인(1001)을 주행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높은 부정지 주파 능력을 갖는 크롤러가 채용된다.
캐빈(1004)은, 메인 프레임(1003)의 전단부 위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1004)은, 그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고, 그 공간 내에는, 예를 들어 운전자가 착좌하는 운전석과 조작 레버 및 조작 페달 등의 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캐빈(1004)의 우측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11)가 마련되어 있다. 도어(1011)는, 그 후단부에 장착된 2개의 힌지(101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운전자는, 도어(1011)를 열고, 캐빈(1004) 내에 올라탈 수 있다.
곡립 탱크(1005)는, 메인 프레임(1003) 위에서 캐빈(1004)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1005)에는, 탈곡 장치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탈곡된 곡립을 저류한다. 곡립 탱크(1005)의 우측면을 구성하는 우측벽은, 고정 벽부(1013)와, 고정 벽부(1013)의 상측 개폐 벽부(1014)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벽부(1013)는, 메인 프레임(1003)에 대해서 고정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는, 그 후단부 모서리를 따라 상하로 연장되는 회동 축선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가 개방되면, 고정 벽부(1013)를 남겨, 곡립 탱크(1005)의 우측면이 크게 개방된다. 이에 의해, 곡립 탱크(1005) 내의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그 크게 개방된 개구로부터 메인터넌스 작업자가 곡립 탱크(1005) 내에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1005)는, 우후단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그 전체가 우측으로 전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메인터넌스 작업자는, 곡립 탱크(1005)의 전체를 우측으로 전개하여, 캐빈(1004)과 곡립 탱크(100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류를 용이하게 메인터넌스할 수 있다.
<곡립 탱크의 내부 구성>
도 9는, 곡립 탱크(1005)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곡립 탱크(1005)의 고정 벽부(1013)와 개폐 벽부(1014)의 경계 부분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고정 벽부(1013)의 내측의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곡립 탱크(1005)의 고정 벽부(1013)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단 모서리를 따라서, 띠 형상의 시일 부재인 웨더스트립(1021)이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가 웨더스트립(1021)으로 우측으로부터 압박된다. 이에 의해, 웨더스트립(1021)이 탄성 변형되고, 그 탄성력으로 웨더스트립(1021)이 개폐 벽부(1014)와 밀착하여, 고정 벽부(1013)의 상단부와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의 사이가 액밀적으로 밀봉된다.
또한, 고정 벽부(1013)의 내면에는, 예를 들어 전단부 및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각각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가 장착되어 있다.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평판형부(1023)와, 평판형부(1023)의 상부로부터 상측으로 볼록 만곡되면서 우측으로 연장되는 만곡부(1024)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는, 고정 벽부(1013)의 내면과 평판형부(1023) 사이에 스페이서(1025)를 개재시킨 상태에서, 예를 들어 2개의 볼트(1026)로 고정 벽부(1013)에 체결되어 있다.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만곡부(1024)는,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다.
도 12는, 개폐 벽부(1014)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개폐 벽부(1014)의 내면에는, 2개의 로크 핀(1031)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핀(1031)은, 로드 형상(둥근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또한, 개폐 벽부(1014)의 내면에는, 2개의 핀 홀더(1032)가 마련되어 있다. 핀 홀더(1032)는, 판금을 상면에서 볼 때 대략 U자형으로 만곡 내지는 굴곡시킨 형상을 이루고, 용접에 의해 개폐 벽부(1014)의 내면에 고착되어 있다. 핀 홀더(1032)는, 곡립 탱크(1005) 내에 2개의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에 대응하고,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와 전후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로크 핀(1031)은, 핀 홀더(1032)에 삽입 관통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로크 핀(1031)에는, 링크 기구(1033)가 접속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핸들(1034)이 마련되어 있다. 로크 핸들(1034)은, 개폐 벽부(1014)에 형성된 개구(1035)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1033)는, 로크 핸들(1034)의 조작에 의해, 2개의 로크 핀(1031)을 동기시켜 상하 이동시키는 기구이다.
링크 기구(1033)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1041)과, 회동축(1041)에 상대 회전 불능으로 지지된 2개의 요동판(1042)과, 각 요동판(1042)의 하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된 링크 암(1043)을 포함한다. 회동축(1041)은, 로크 핸들(1034)에 접속되어 있으며, 로크 핸들(1034)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폐쇄 위치와 그 폐쇄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쓰러진 개방 위치의 사이에서 회동 조작되면, 그것에 수반되어 회동축(1041)이 중심선 주위로 회동한다. 각 링크 암(1043)은, 요동판(104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부가 로크 핀(1031)의 상단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로크 핸들(1034)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조작되면, 회동축(1041)의 회동에 수반되어, 각 요동판(1042)의 하단부가 들어올려지고, 각 링크 암(1043)이 들어올려짐으로써, 각 로크 핀(1031)이 상승한다. 로크 핸들(1034)이 개방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로크 핀(1031)이 가장 위의 비걸림 위치에 위치한다. 로크 핀(1031)이 비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핀(1031)의 하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로크 핸들(1034)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조작되면, 회동축(1041)의 회동에 수반되어, 각 요동판(1042)의 하단부가 내려가고, 각 링크 암(1043)이 내려감으로써, 각 로크 핀(1031)이 하강한다. 로크 핸들(1034)이 폐쇄 위치로 조작된 상태에서, 로크 핀(1031)이 가장 아래의 걸림 위치에 위치한다. 로크 핀(1031)이 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로크 핀(1031)의 하단은, 상하 방향에 있어서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하측에 배치된다.
로크 핀(1031)이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로크 핀(1031)의 하단이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만곡부(1024)에 맞닿는다. 로크 핀(1031)이 더 하강하면,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만곡부(1024)에 미끄럼 마찰된다. 만곡부(1024)의 만곡에 의해,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곡립 탱크(1005)의 내측을 향하는 힘을 받는다. 이 힘에 의해, 개폐 벽부(1014)가 곡립 탱크(1005)의 내측으로 가까이 끌어당겨져서,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가 웨더스트립(1021)으로 우측으로부터 압박된다.
도 13은,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의 내측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에서는, 로크 핀(1031) 및 핀 홀더(1032)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의 내면의 하단부에는, 2개의 덮개부(1051)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1051)는, 판금을 굴곡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곡립 탱크(1005)의 내측(좌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부(1052)와, 경사부(1052)로부터 개폐 벽부(1014)의 내면측(우측)으로 접혀 연장되는 연장부(105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덮개부(105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부(1053)가 개폐 벽부(1014)의 내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3개의 볼트(1054)에 의해, 개폐 벽부(1014)에 체결되어 있다.
2개의 덮개부(1051)는,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고, 그것들 사이에는,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 및 핀 홀더(1032)를 배치 가능한 간격이 비워져 있다.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덮개부(1051)는, 고정 벽부(1013)에 마련되어 있는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에 배치되고, 웨더스트립(1021)보다도 곡립 탱크(1005)의 내측(좌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2개의 덮개부(1051)의 사이에 있어서,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만곡부(1024)는, 그것들 사이에 들어가고,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다.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곡립 탱크(1005)의 개폐 벽부(1014)가 개방되면, 개구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그 개구를 통하여 곡립 탱크(1005) 내에 액세스할 수 있고, 곡립 탱크(1005) 내의 청소 작업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개구의 하단 모서리, 즉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를 따라서, 웨더스트립(1021)이 마련되어 있다.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되면, 개폐 벽부(1014)가 웨더스트립(1021)에 밀착된다. 그 때문에, 곡립 탱크(1005) 내의 압으로 개폐 벽부(1014)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웨더스트립(1021)의 탄성에 의해 개폐 벽부(1014)와 웨더스트립(1021)의 밀착성이 확보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1014)와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의 사이에서 곡립 탱크(1005)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로크 핸들(1034)이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로크 핀(1031)이 걸림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에 걸림 지지되므로, 곡립 탱크(1005) 내의 압으로 개폐 벽부(1014)가 팽출하도록 다소 변형되어도, 개폐 벽부(1014)와 고정 벽부(1013)의 상단 모서리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개폐 벽부(1014)와 고정 벽부(1013)의 상부 단부 모서리의 사이에서 곡립 탱크(1005) 내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이 흘러넘쳐 나오는 것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의 상단부가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으므로, 개폐 벽부(1014)의 개폐 도중에, 로크 핸들(1034)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로크 핀(1031)이 비걸림 위치로부터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도, 로크 핀(1031)의 하단부가 웨더스트립(1021)과 간섭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웨더스트립(1021)이 손상될 우려를 저감시킬 수 있다.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에,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웨더스트립(1021)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1051)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1014)와 웨더스트립(1021)의 맞닿음 부분이 덮개부(1051)의 하측에 숨겨지므로, 그 맞닿음 부분에 곡립 등의 수확물이 나란히 끼이는 것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개폐 벽부(1014)가 개방되었을 때, 곡립 탱크(1005) 내에서 포장 등에 곡립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1051)는,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벽부(1014)로부터 곡립 탱크(1005)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웨더스트립(1021)보다도 하류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개폐 벽부(1014)와 웨더스트립(1021)의 맞닿음 부분에 곡립이 나란히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개폐 벽부(1014)가 개방되었을 때, 곡립 탱크(1005) 내에서 포장 등에 곡립이 줄무늬형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1051)는, 2개 나란히 마련되고, 개폐 벽부(1014)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도중부가 분단되어 있다.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는, 개폐 벽부(1014)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덮개부(1051)가 분단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와 덮개부(1051)가 간섭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면서, 로크 받침 금속 부재(1022)가 벽으로 되어, 곡립 탱크(1005) 내의 곡립이 개폐 벽부(1014)와 웨더스트립(1021)의 맞닿음 부분에 높은 압으로 침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덮개부(1051)는, 개폐 벽부(1014)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볼트(1054)를 사용하여 개폐 벽부(1014)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덮개부(1051)를 개폐 벽부(1014)와 일체로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개폐 벽부(1014)의 제조 비용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051)가 볼트(1054)로 개폐 벽부(1014)에 장착됨으로써, 덮개부(1051)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로 개폐 벽부(1014)에 부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덮개부(1051)의 장착 강도를 늘릴 수 있어, 곡립 탱크(1005) 내에서의 덮개부(1051)의 탈락의 우려를 작게 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확기의 일례로서, 콤바인(1001)을 예로 들었지만, 본 발명은 콤바인(1001)에 한정되지 않고, 당근이나 무, 풋콩, 양배추 등의 야채를 수확하는 수확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전술한 구성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콤바인(수확기)
4: 캐빈
5: 곡립 탱크
21: 방진 필터
22: 수용실
24: 콘덴서
25: 콘덴서 팬
26: 커버
1001: 콤바인(수확기)
1005: 곡립 탱크(탱크)
1013: 고정 벽부
1014: 개폐 벽부
1021: 웨더스트립(시일 부재)
1022: 로크 받침 금속 부재(피걸림부)
1031: 로크 핀(걸림 부재)
1034: 로크 핸들(조작 부재)
1051: 덮개부
1054: 볼트(체결구)

Claims (16)

  1. 운전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캐빈과,
    상기 캐빈의 후방에 배치되고, 수확물을 수용하는 탱크와,
    상기 캐빈과 상기 탱크의 사이에 배치되고, 냉매를 냉각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에 부수되어 마련되어, 상기 콘덴서에 바람을 통과시키는 콘덴서 팬과,
    상기 캐빈과 상기 탱크의 사이에 있어서의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당해 사이로부터 외부로의 바람의 흐름을 저해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과 상기 탱크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폭 방향 일방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외부로부터 당해 사이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방진 필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버는, 상기 탱크와 상기 방진 필터의 간극에 배치되는, 수확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로 분할된 상기 커버의 일부는, 상기 탱크에 장착되어 있는, 수확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덴서 팬은, 상기 콘덴서에 대해서 상기 콘덴서에 있어서의 바람의 유통 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수확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수지제인, 수확기.
  6. 수확물을 수용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기이며,
    상기 탱크의 일측 벽부에, 적어도 그 일부로 이루어지는 개폐 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형성되는 개구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벽부와 밀착하는 시일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 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벽부로부터 상기 탱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보다도 하류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확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벽부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의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와 걸림 위치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상기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개구 하단 모서리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개구 하단 모서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내에, 상기 비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부를 걸림 지지시키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확기.
  9.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도중부가 분단되어 있으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분단된 부분에 배치되는, 수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상단부가 상기 시일 부재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는, 수확기.
  11.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 벽부에 장착되는 있는, 수확기.
  12. 수확물을 수용 가능한 탱크를 구비하는 수확기이며,
    상기 탱크의 일 측벽부에, 적어도 그 일부로 이루어지는 개폐 벽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의 회동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개폐 벽부가 개방되었을 때 형성되는 개구의 하단 모서리를 따라서,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벽부와 밀착하는 시일 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개폐 벽부의 외면에, 조작 부재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조작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개폐 벽부의 내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 형상의 걸림 부재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개방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 부재가 비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조작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 부재가 걸림 위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이 상기 개구의 하단 모서리보다도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탱크 내에, 상기 비걸림 위치로부터 상기 걸림 위치로 하강하는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부가 미끄럼 이동하여,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걸림 부재의 하단부를 걸림 지지시키는 피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피걸림부의 상단부가 상기 시일 부재의 상측으로 돌아들어가 있는, 수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벽부의 하단부에,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시일 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는 덮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수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벽부로부터 상기 탱크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시일 부재보다도 하류측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수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의 하단부를 따라서 연장되고, 그 길이 방향의 도중부가 분단되어 있으며,
    상기 피걸림부는, 상기 개폐 벽부가 폐쇄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가 분단된 부분에 배치되는, 수확기.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개폐 벽부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고, 체결구를 사용하여 상기 개폐 벽부에 장착되어 있는, 수확기.
KR1020190169504A 2018-12-28 2019-12-18 수확기 KR202000832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248683A JP7184640B2 (ja) 2018-12-28 2018-12-28 収穫機
JPJP-P-2018-248685 2018-12-28
JP2018248685A JP7112955B2 (ja) 2018-12-28 2018-12-28 収穫機
JPJP-P-2018-248683 2018-12-28
JP2018248684A JP7140676B2 (ja) 2018-12-28 2018-12-28 収穫機
JPJP-P-2018-248684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242A true KR20200083242A (ko) 2020-07-08

Family

ID=71215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504A KR20200083242A (ko) 2018-12-28 2019-12-18 수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3242A (ko)
CN (1) CN111373924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9596A (ja) 2013-07-16 2015-02-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8099047A (ja) 2016-12-19 2018-06-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4898U (ko) * 1975-07-17 1977-02-02
US4460214A (en) * 1982-03-03 1984-07-17 E-Z Trail, Inc. Vehicle side extension
JP3353760B2 (ja) * 1999-10-19 2002-12-03 井関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CN201924772U (zh) * 2011-03-23 2011-08-10 中集车辆(集团)有限公司 货车及货车货箱门
CN103041874A (zh) * 2013-01-22 2013-04-17 中国检验检疫科学研究院 可折叠的便携式生物安全柜
CN112602449A (zh) * 2014-09-02 2021-04-06 株式会社久保田 全秆喂入型联合收割机的脱粒装置和联合收割机
CN104405262B (zh) * 2014-11-20 2016-09-28 江苏声望声学装备有限公司 一种门上密封结构
CN106703609A (zh) * 2016-11-17 2017-05-24 北京怡好思建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密封性门
KR102579435B1 (ko)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KR102537849B1 (ko) * 2016-12-19 2023-05-3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19596A (ja) 2013-07-16 2015-02-02 株式会社クボタ 収穫機
JP2018099047A (ja) 2016-12-19 2018-06-28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73924A (zh) 2020-07-07
CN111373924B (zh) 2024-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618A1 (en) Refrigerator with airflow passage for ice making compartment
US20120204589A1 (en) Enclosed cab system for mining equipment
KR20160021187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6785622B2 (ja) 収穫機
CN105829613A (zh) 用于作业机器的机器室的机罩装置
KR20200083242A (ko) 수확기
CN1233216C (zh) 联合收割机
JP2009275595A (ja) コンバイン
JP6504976B2 (ja) 収穫機
KR20130013313A (ko) 캐빈형 콤바인
JP7184640B2 (ja) 収穫機
US4925231A (en) Air conducting apparatus for a motorcycle
US20050176353A1 (en) Shot blast machine
JP6238814B2 (ja) コンバイン
JP7140676B2 (ja) 収穫機
JP7112955B2 (ja) 収穫機
JPH08247601A (ja) 可搬式冷凍冷蔵庫
JP4312165B2 (ja) 収穫機のドア開閉構造
JP2018099072A (ja) 農作業車
KR20190010341A (ko) 냉장고
JP2020000076A (ja) コンバイン
JP2006238793A (ja) コンバインのドア開閉構造
JP4564380B2 (ja) コンバインのドア開閉構造
JP4100118B2 (ja) 遊技機
JP4051460B2 (ja) トラクタ用モーアコレ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