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2736B1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2736B1
KR102142736B1 KR1020157007190A KR20157007190A KR102142736B1 KR 102142736 B1 KR102142736 B1 KR 102142736B1 KR 1020157007190 A KR1020157007190 A KR 1020157007190A KR 20157007190 A KR20157007190 A KR 20157007190A KR 102142736 B1 KR102142736 B1 KR 102142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threshing
sorting
amount
tuy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6241A (ko
Inventor
무네노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85606A external-priority patent/JP58911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8560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33002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6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01D41/1273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for measuring grain los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5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the level of grain in grain tan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grain qua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이 대응하는 콤바인을 제공한다. 채프 시브(18) 또는 풍구(27)의 설정에 따라,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을 대응시켜, 정밀도 좋게 로스량을 연산하고, 채프 시브(18) 또는 풍구(27)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한다. 채프 시브(18)의 각도 또는 풍구(27)의 회전수의 대소에 따라, 로스량 및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배출되는 곡립의 양을 정밀도 좋게 검출할 수 있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포장(圃場)에서의 수확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곡간(穀稈)의 예취 및 탈곡 그리고 곡립의 회수를 행하는 콤바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콤바인은 크롤러에 의해 포장을 주행하고, 이 주행 중에 예취날(刈刃)로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한 곡간을 급동(扱胴)으로 반송하여 탈곡한다. 그리고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채프 시브 및 풍구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을 행하고, 선별된 곡립을 스크루 컨베이어를 통하여 곡립 탱크로 회수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은 티끌을 배출하는 배출구에, 배출되는 곡립량(로스량)을 검출하는 로스 센서를 설치하고 있다. 이 로스 센서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채프 시브의 각도 및 풍구의 풍량을 조정하여, 로스량의 저감을 도모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공보 2009-225686호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 실제의 로스량이 대응하고 있을 경우, 채프 시브 및 풍구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 실제의 로스량이 대응하지 않을 경우, 채프 시브 및 풍구의 풍량을 적절히 조정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풍구의 풍량이 과잉인 경우에, 풍구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운동 에너지를 얻은 곡립이 로스 센서에 강하게 충돌하여, 로스 센서의 검출값이 실제의 로스량보다 많은 로스량을 검출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이 대응하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한 선별 처리 후의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의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콤바인에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선별부의 선별 동작 상태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별부의 설정에 따라, 검출 수단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을 대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선별부는 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풍구의 풍량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풍구의 풍량에 따라, 검출 수단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을 대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선별부는 채프 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채프 시브의 각도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채프 시브의 각도에 따라, 검출 수단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을 대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포장을 주행하는 주행 기체(機體)와, 상기 탈곡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충격력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과, 상기 주행 기체, 탈곡부 및 선별부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원과, 상기 구동원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하 정보, 상기 검출 수단 및 상기 제 2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곡립의 선별 상황을 나타내는 선별 상황 정보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구동원의 부하 정보와 곡립의 선별 상황 정보가 동일한 화면에 표시되어 있고, 유저는 표시부를 언뜻 보는 것만으로 양 정보를 순시에 시야에 파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를 중앙 부분에 표시하고, 시각 및 주행 기체의 변속단을 가장자리 부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가 표시부의 중앙 부분에 표시되어 있어, 시각 및 주행 기체의 변속단 등의 정보에 비해 시인(視認)되기 쉽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점등부를 병설하고, 병설 방향을 따라 상기 점등부의 점등수가 차례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인디케이터를 복수 구비하고, 각 인디케이터는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병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는 복수의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해 각각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를, 점등부의 병설 방향을 따라 점등수가 증감하는 인디케이터에 의해 표시되어 있고, 유저는, 표시가 일측에 머물러 있는 경우는 수치가 작고, 타측에 도달하고 있는 경우는 수치가 큰 것을 감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상인 상태이면, 구동원의 부하의 대소와, 선별 상황(곡립이 배출되는 양의 대소)은 대응 관계에 있지만, 이상인 경우에 이 대응 관계가 무너진다. 각 인디케이터를, 점등부의 병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설하고 있으므로, 양자의 대응 관계가 무너져 있는지 여부를 유저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각 인디케이터는 상이한 색의 복수의 상기 점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배색 순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양 인디케이터의 배색 패턴을 동일하게 함(예를 들면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파랑, 노랑, 빨강의 순으로 상이한 색의 점등부가 점등됨)으로써, 유저는 구동원의 부하와 선별 상황과의 관계성을 동일한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곡립을 상기 저장부로 투입하는 투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투입 수단에 의해 곡립이 상기 저장부로 투입될 때마다, 투입된 곡립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장부에 순간적으로 투입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지표를 표시하고 있으므로, 유저에게 탱크로의 곡립의 반송에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콤바인에서는, 선별부의 설정에 따라, 검출 수단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을 대응시켜, 정밀도 좋게 로스량을 연산하고, 선별부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은 엔진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도시한 전동 기구도이다.
도 4는 채프 시브 및 셔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탈곡 작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주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으며, 로스량 및 로스 센서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a는 풍구의 회전수와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b는 풍구의 회전수와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핀 각(r)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b는 핀 각(r)과 로스 센서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콤바인에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0은 곡립 탱크를 대략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엔진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도시한 전동 기구도이다.
도 12는 캐빈의 내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3은 표시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표시부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5는 탈곡 장치의 다른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1에 따른 콤바인을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에서 1은 주행 크롤러(주행 기체)이고, 이 주행 크롤러(1)의 상측에 기체(9)(주행 기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기체(9) 위에는 탈곡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탈곡 장치(2)의 전측에, 예취 곡간과 비예취 곡간을 구별하는 분초판(分草板)(3a),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3b), 및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기립 장치(3c)를 구비하는 예취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우측에는 곡립을 수용하는 곡립 탱크(4)(저장부)가 설치되어 있고, 이 탈곡 장치(2)의 좌부에는, 곡간을 반송하는 전후로 긴 피드 체인(5)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피드 체인(5)의 상측에,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6)가 설치되어 있고, 이 협지 부재(6)와 피드 체인(5)이 대향하고 있다. 상기 피드 체인(5)의 전단부 부근에는 상부 반송 장치(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곡립 탱크(4)에는, 곡립 탱크(4)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통 형상의 배출 오거(4a)를 장착하고 있고, 곡립 탱크(4)의 전측에는 캐빈(8)을 설치하고 있다.
주행 크롤러(1)의 구동에 의해 기체(9)는 주행한다. 기체(9)의 주행에 의해 예취부(3)로 곡간이 도입되고, 예취된다. 예취된 곡간은 상부 반송 장치(7), 피드 체인(5) 및 협지 부재(6)를 통하여 탈곡 장치(2)로 반송되고, 탈곡 장치(2) 내에서 탈곡된다.
도 2는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곡 장치(2)의 전측 상부에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급실(扱室)(10)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급실(10) 내에, 전후 방향을 축 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급동(11)이 마련되어 있고, 이 급동(11)은 축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동(11)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扱齒)(12, 12, ···, 12)가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의 하측에, 상기 급치(12, 12, ··· 12)와 협동하여 짚을 비벼 푸는 크림프망(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은 후술하는 엔진(40)(구동원)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곡간을 탈곡한다.
상기 급실(10)의 상벽에 4 개의 송진(送塵) 밸브(10a, 10a, 10a, 10a)가 전후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이 송진 밸브(10a)는 급실(10)의 후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급실(10)의 후부에는 처리실(13)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처리실(13) 내에, 전후 방향을 축 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처리동(13b)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처리동(13b)은 축 중심으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동(13b)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13c, 13c, ···, 13c)가 나선 형상으로 나열되어 있다. 상기 처리동(13b)의 하측에는 급치(13c, 13c, ···, 13c)와 협동하여 짚을 비벼 푸는 처리망(13d)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처리동(13b)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급실(10)로부터 송출된 짚 및 곡립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실(13)의 후단부 하측에는 배출구(13e)를 개방 형성하고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상벽에 4 개의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가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으며, 이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는 처리실(13)의 후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크림프망(15)의 하측에는, 곡립 및 짚의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 장치(16)를 설치하고 있다. 이 요동 선별 장치(16)는 곡립 및 짚을 균일화하고, 또한, 비중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판(17)과, 이 요동 선별판(17)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대략적인 선별을 행하는 채프 시브(18)와, 이 채프 시브(18)의 후측에 설치되어 있고, 짚에 혼입된 곡립을 낙하시키기 위한 스트로랙(19)를 구비한다. 이 스트로랙(19)은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투과 홀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판(17)의 전방부에는 요동 암(21)이 연결되어 있다. 이 요동 암(21)은 전후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요동 암(21)의 요동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는 요동하여,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요동 선별 장치(16)는 상기 채프 시브(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정밀한 선별을 행하는 그레인 시브(20)를 더 구비한다. 이 그레인 시브(20)의 하방에, 전방을 아래로 하여 경사진 1 번 곡립판(22)이 설치되어 있고, 이 1 번 곡립판(22)의 전방측에,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는, 1 번 곡립판(22)을 미끄러져 떨어진 곡립을 도입하고, 곡립 탱크(4)로 송급한다. 곡립 탱크(4)의 측면에 투입구(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투입구(4b)로부터 곡립이 곡립 탱크(4) 내로 투입된다.
상기 1 번 곡립판(22)의 후방부에, 후방을 향해 하강 경사진 경사판(24)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경사판(24)의 후단부에, 전방을 향해 하강 경사된 2 번 곡립판(25)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이 2 번 곡립판(25)과 상기 경사판(24)의 연결 부분의 상측에 짚 및 곡립을 반송하는 2번 스크루 컨베이어(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랙(19)의 투과 홀로부터 경사판(24) 또는 2 번 곡립판(25)으로 낙하된 낙하물은 상기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진다. 미끄러져 떨어진 낙하물은,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에 의해 상기 급동(11)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처리 로터(14)로 반송되고, 처리 로터(14)에서 탈곡 처리된다.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보다 전방이며, 상기 요동 선별판(17)보다 하방에, 바람을 일으키는 동작을 행하는 풍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풍구(27)의 바람을 일으키는 동작에 의해 발생된 바람은, 후방으로 진행한다. 풍구(27)와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사이에, 바람을 상방향으로 송출하는 정류판(28)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2 번 곡립판(25)의 후단부에 통로판(36)이 연결되어 있다. 이 통로판(36)의 상방에는 하부 흡인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흡인 커버(30) 및 통로판(36)의 사이는 티끌이 배출되는 배출 통로(37)로 되어 있다.
하부 흡인 커버(30)의 상방에 상부 흡인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부 흡인 커버(31) 및 하부 흡인 커버(30)의 사이에, 짚을 흡인 배출하는 축류팬(32)을 설치하고 있다. 이 축류팬(32)의 후방에는 배진구(3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풍구(27)의 동작에 의해 발생한 기류는 상기 정류판(28)에 의해 정류된 후에,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를 통과하여, 상기 배진구(33) 및 배출 통로(37)에 이른다. 배진구(33) 및 배출 통로(37)로부터 곡립이 배출된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의 상측이며, 상기 처리실(13)의 하방에, 전방을 하방향으로 하여 경사진 홈통(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배출물은 홈통(35)을 미끄러져 떨어져 상기 스트로랙(19)에 낙하한다.
배출 통로(37)와 스트로랙(19)의 사이에는, 배출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로스 센서(34)(검출 수단)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랙(19) 상을 통과한 곡립은 로스 센서(34)에 충돌한다. 로스 센서(34)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곡립의 충돌에 의해 로스 센서(34)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되고, 배진구(33) 및 배출 통로(37)(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검출된다.
상술한 주행 크롤러(1)의 구동, 예취부(3)의 예취 동작, 급동(11)의 회전 운동, 처리동(13b)의 회전 운동, 요동 선별 장치(16)의 요동 및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회전 동작 등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행해진다. 도 3은 엔진(40)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도시한 전동 기구도이다.
삭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40)은 HST(Hydro Static Transmission)(41)을 개재하여 주행 미션(42)에 연결되어 있다.
HST(41)는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이 유압 펌프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 펌프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이 기구를 제어하는 변속 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주행 미션(42)은, 상기 주행 크롤러(1)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엔진(40)은 전자식(電磁式)의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편심 크랭크(45)에도 연결되어 있다. 이 편심 크랭크(45)는 요동 암(21)에 연결되어 있고, 편심 크랭크(45)의 구동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가 요동한다.
또한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풍구(27)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탈곡 후의 배출 짚을 절단하는 커터(46)에 연결되어 있다. 풍구(27)의 근방에 풍구(27)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가 설치되어 있다.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는, 예를 들면 홀 소자 또는 MR 소자 등을 구비하는 자기 센서이며, 풍구(27)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축의 회전수를 검출한다. 또한 전달축의 회전수는 풍구(27)의 회전수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 및 예취 클러치(47)를 개재하여 상기 예취부(3)에 연결되어 있다. 주행 미션(42)을 개재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주행 크롤러(1)로 전달되고, 기체가 주행한다. 또한 예취 클러치(47)를 개재하여 예취부(3)로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예취부(3)에서 곡간이 예취된다.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급동(11)으로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에서 곡간은 탈곡된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처리동(13b)으로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처리동(13b)은, 급동(11)에서 탈곡 처리된 처리물로부터 곡립을 분리한다.
또한 요동 선별 장치(16)에는, 탈곡 클러치(44) 및 편심 크랭크(45)를 통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급동(11)으로부터 배출된 짚 및 곡립 그리고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풍구(27)로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고, 요동 선별 장치(16)에서 선별된 짚이 풍구(27)의 바람을 일으키는 작용에 의해 배진구(33) 및 배출 통로(37)로부터 배출된다.
이어서 채프 시브(18) 및 풍구(27)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채프 시브 및 셔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기 급동(11)의 근방에, 급동(11)에서 탈곡된 배출 짚을 상기 커터(46)를 향해 반송하는 짚 배출 체인(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짚 배출 체인(50)에 대향시켜 짚 배출 가이드 봉(5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짚 배출 가이드 봉(51) 및 짚 배출 체인(50)의 사이를, 짚 배출 체인(50)의 이동과 함께 배출 짚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의 하측에 L 형상의 회전 운동 레버(52)가 설치되어 있고, 이 회전 운동 레버(52)는 전후 방향으로 긴 전후 축(52a)과, 이 전후 축(52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하 축(52b)을 구비하고 있다. 이 상하 축(52b) 및 전후 축(52a)의 모서리 부분에는 추축(樞軸)(52c)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과 상기 전후 축(52a)의 후단부가 연결 봉(53)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 봉(53)의 주위에 스프링체(5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 및 짚 배출 체인(50)의 사이를 이동하는 배출 짚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눌려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는 추축(52c)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전 운동한다(도 4 실선 화살표 참조).
이 때 상기 스프링체(54)는 압축된다. 한편 배출 짚이 감소함에 따라, 압축된 스프링체(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는 추축(52c)을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전 운동한다(도 4 파선 화살표 참조).
이어서 채프 시브(18)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채프 시브(18)는 직사각형으로 프레임이 구성된 프레임체(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이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프레임재의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핀(18a, 18a, ···, 18a)을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이 핀(18a, 18a, ···, 18a)의 각 상부는 프레임재에 축지지 되어 있고, 각 핀(18a, 18a, ···, 18a)의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 개의 연결 로드(18b)에 축지지 되어 있다. 이 연결 로드(18b)의 전방부에, 직사각형 형상의 회전 운동판(18c)의 중도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 운동판(18c)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18b)의 상방에서 축체(18i)를 중심으로 하여 축지지 되어 있다. 상기 회전 운동판(18c)의 타단부에는, 채프 와이어(18e)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채프 와이어(18e)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 축(52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체(18i)에는 회전 운동판(18c)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의 핀 센서(18j)를 설치하고 있다. 이 핀 센서(18j)의 출력에 기초하여 핀 각(핀(18a, 18a, ···, 18a)과 연결 로드(18b)와의 이루는 각도)(r)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체(18i)에, 도시하지 않은 수동 레버로 조작되는 L 형상의 수동판(18h)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수동판(18h)의 타단부에는, 상기 채프 와이어(18e)의 중도부 및 수동 와이어(18g)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이 수동 와이어(18g)의 타단부는 상기 수동 레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 운동판(18c)의 일단부 및 수동판(18h)의 타단부에, 스프링체(18d)를 개재하여 상기 수동판(18h)과 상기 회전 운동판(18c)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동판(18h)의 중도부에는, 스프링체(18f)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스프링체(18f)의 타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2)의 적소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채프 와이어(18e)는 당겨지고, 상기 회전 운동판(18c)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연결 로드(18b)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핀(18a, 18a, ···, 18a)은 기립하여 핀 각(r)은 커지고, 핀(18a, 18a, ···, 18a)끼리의 간격은 넓어진다.
이 때 스프링체(18f)는 압축된다(도 4 실선 화살표 참조). 한편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가 전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에는, 상기 스프링체(18f)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판(18c)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연결 로드(18b)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핀(18a, 18a, ···, 18a)은 비스듬히 되어 핀 각(r)은 감소되어, 핀(18a, 18a, ···, 18a)끼리의 간격은 좁아진다(도 4 파선 화살표 참조).
또한 수동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수동 와이어(18g)를 당기거나 또는 이완시켜, 상기 수동판(18h) 및 회전 운동판(18c)을 회전 운동시키고, 핀(18a, 18a, ···, 18a)끼리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동 레버는, 적당한 위치에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어서 풍구(27)의 흡기구(55) 부근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풍구(27)의 일측에, 풍구(27)에 흡입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직사각형의 흡기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기구(55)의 중앙부에, 흡기구(55)의 일부를 덮는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고정판(56)이 설치되어 있고, 이 고정판(56)의 상측부를 따라 직사각형 판 형상의 셔터(57)가 인접하고 있다.
이 셔터(57)는 그 일단부를 상기 탈곡 장치(2)에 축지지 하고 있다. 상기 셔터(57)가 상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셔터(57)는 상기 고정판(56)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확대되고, 상기 셔터(57)가 하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셔터(57)는 상기 고정판(56)에 접근하여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
상기 셔터(57)의 전단부에는 인장 스프링(58)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인장 스프링(58)의 하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2)의 적소에 계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57)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축체(59)가 돌출되어 있고, 이 축체(59)의 돌출 단부에 셔터 와이어(6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셔터 와이어(60)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 축(5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셔터 와이어(60)는 견인되고, 상기 셔터(57)는 상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확대되고, 인장 스프링(58)은 연장된다(도 4 실선 화살표 참조). 한편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가 전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인장 스프링(5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셔터(57)는 하방으로 회전 운동하여,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도 4 파선 화살표 참조).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의 하방에 서보 모터(70)가 배치되어 있고, 이 서보 모터(70)에는, 서보 모터(70)의 회전축을 제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서보 모터(70)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전자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회전 종료와 동시에 전자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또한 상기 서보 모터(70)의 회전축은, 도시하지 않은 감속 기어 박스를 개재하여, 전자식의 모터 클러치(71)의 일방에 연결되어 있다. 이 모터 클러치(71)의 타방은 상기 추축(52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보 모터(70)는 후술하는 모터 구동 회로(91)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모터 클러치(71)는 후술하는 모터 클러치 구동 회로(92)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모터 클러치(71)를 결합하고, 상기 서보 모터(7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전 운동했을 때,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스프링체(54)는 압축된다(도 4 실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상기 모터 클러치(71)가 분리되었을 때, 상기 스프링체(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전 운동 레버(52)는 전방으로 회전 운동한다(도 4 파선 화살표 참조).
도 5는 탈곡 작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주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콤바인은, 탈곡 작업을 제어하는 컨트롤러(90)(연산 수단, 보정 수단)를 구비하고 있고, 이 컨트롤러(90)는 CPU(90a),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 및 로스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복수의 함수(A, B, C)(후술하는 도 6 참조)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90b), 정보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90c), 입력 인터페이스(90d) 및 출력 인터페이스(90e)를 구비한다.
핀 센서(18j),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 및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은 입력 인터페이스(90d)에 입력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90e)로부터, 서보 모터(70)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구동 회로(91), 모터 클러치(71)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모터 클러치 구동 회로(92)에 신호가 출력된다.
컨트롤러(90)는, 핀 센서(18j),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 및 로스 센서(34)로부터 입력된 검출값에 기초하여, 모터 구동 회로(91) 및 모터 클러치 구동 회로(92)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핀(18a) 및 셔터(57)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90)는, 송진 밸브(10a)로 동력을 공급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을 제어하고, 송진 밸브(10a)의 방향을 제어해도 된다.
도 6은 기억부(90b)에 기억되어 있고, 로스량 및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기억부(90b)에는 로스 센서(34)의 검출값 및 로스량의 선형 관계를 도시한 3 개의 함수(A, B, C)가 기억되어 있다.
함수(A, B, C)의 기울기(검출값의 증감량에 대한 로스량의 증감량의 비율)는 서로 상이하다. 함수(B)의 기울기는 함수(A)보다 크고, 함수(C)의 기울기는 함수(B)보다 크다. 컨트롤러(90)는,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에서 검출된 회전수의 대소에 따라, 함수(A, B, C)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한다.
함수(A, B, C)는 각각 풍구(27)의 회전수(a, b, c)에 대응하고 있다(단, a > b > c). 컨트롤러(90)는,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이 회전수(a) 이상을 나타낼 경우, 함수(A)를 설정하고,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이 회전수(c) 이상 회전수(a) 미만을 나타낼 경우, 함수(B)를 설정하고,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이 회전수(c) 미만을 나타낼 경우, 함수(C)를 설정한다.
이어서, 풍구(27)의 회전수와 로스 센서(34)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풍구(27)의 회전수와 로스 센서(34)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a는 풍구(27)의 회전수가 작은 경우에서의 탈곡 장치(2) 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7b는 풍구(27)의 회전수가 큰 경우에서의 탈곡 장치(2) 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27)의 회전수가 작을 경우, 풍구(27)의 풍량은 작아, 풍구(27)의 바람이 곡립에게 주는 운동 에너지는 작다. 이 때문에 풍구(27)의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곡립이 로스 센서(34)에 충돌했을 경우, 로스 센서(34)에서 검출되는 검출값은 작다.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풍구(27)의 회전수가 클 경우, 풍구(27)의 풍량은 커, 풍구(27)의 바람이 곡립에게 주는 운동 에너지는 크다. 이 때문에 풍구(27)의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 곡립이 로스 센서(34)에 충돌했을 경우, 로스 센서(34)에서 검출되는 검출값은 크다.
즉, 동일 양의 곡립이 로스 센서(34)에 충돌했다 하더라도, 풍구(27)의 회전수에 의해 로스 센서(34)에서 검출되는 검출값은 상이하다. 이 때문에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에서 검출된 회전수의 대소에 따라, 기울기가 대소가 되는 복수의 함수(A ~ C)를 미리 기억부(90b)에 기억시키고, 컨트롤러(90)는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에 따른 함수를 설정한다.
컨트롤러(90)는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을, 설정한 함수에 적용하여 로스량을 산출한다. 산출한 로스량에 기초하여, 모터 구동 회로(91) 및 모터 클러치 구동 회로(92)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핀(18a) 및 셔터(57)의 개폐를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90)는, 핀 센서(18j)의 검출값(핀 각(r))의 대소에 따라, 함수(A ~ C) 중 어느 것을 설정해도 된다. 도 8a 및 도 8b는 핀 각(r)과 로스 센서(34)의 검출값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a는 핀 각(r)이 작은 경우에서의 탈곡 장치(2) 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8b는 핀 각(r)이 큰 경우에서의 탈곡 장치(2) 내의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풍구(27)로부터의 바람은 핀(18a)을 따라 불므로, 그 풍향은 핀 각(r)에 의존한다.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각(r)이 작을 경우, 풍향의 상방향 각도는 작아져, 바람은 곡률 반경이 큰 원호 궤도를 그린다. 그 결과 바람을 탄 곡립의 상당수는 로스 센서(34)를 넘어 배출 통로(37)를 향하고, 로스 센서(34)에는 소량의 곡립이 충돌한다.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각(r)이 클 경우, 풍향의 상방향 각도는 커져, 바람은 곡률 반경이 작은 원호 궤도를 그린다. 그 결과 바람을 탄 곡립의 상당수는 로스 센서(34)를 넘지 않고, 로스 센서(34)에 충돌한다.
즉, 배출되는 곡립량이 동일해도, 핀 각(r)의 크기에 따라, 로스 센서(34)에 충돌하는 곡립량은 상이하다. 이 때문에 핀 센서(18j)에서 검출된 핀 각(r)의 대소에 따라, 기울기가 대소가 되는 복수의 함수(A ~ C)를 미리 기억부(90b)에 기억시키고, 컨트롤러(90)는 핀 센서(18j)의 검출값에 따른 함수를 설정한다.
또한 컨트롤러(90)는, 핀 센서(18j)의 검출값 및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에 따라, 함수를 설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핀 센서(18j)의 검출값 및 풍구 회전수 검출 센서(27a)의 검출값 각각에 가중치 부여를 행하여, 이들 값을 덧셈, 뺄셈, 곱셈 또는 나눗셈한 값의 대소에 따라 함수를 설정한다. 또한 이들 값을, 미리 설정한 관계식에 적용하여 연산하고, 연산 결과의 대소에 따라 함수를 설정해도 된다.
또한 핀 각(r) 또는 풍구(27)의 회전수를 수동으로 설정하는 스위치를 캐빈(8) 내에 설치하고, 이 스위치로부터의 입력값에 따라, 컨트롤러(90)가 함수를 설정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콤바인에서는, 채프 시브(18) 또는 풍구(27)의 설정에 따라,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으로부터 구해지는 곡립량을 보정하고, 실제의 로스량과 로스 센서(34)의 검출값을 대응시켜, 정밀도 좋게 로스량을 연산하여, 채프 시브(18) 또는 풍구(27)의 동작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2에 따른 콤바인을 도시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크림프망(15) 및 요동 선별 장치(16)의 사이에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배출량 센서(34a)가 설치되어 있다. 크림프망(15)의 후단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이 배출량 센서(34a)에 접촉하여, 배출량 센서(34a)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표시부의 탈곡 모니터가 점등된다.
그레인 시브(20)의 후단부로부터 배출된 곡립 또는 풍구(27)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반송된 곡립이 로스 센서(34)에 접촉하여, 로스 센서(34)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출력된 전압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표시부의 선별 모니터가 점등된다.
도 10은 곡립 탱크(4)를 대략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상단부의 축 부분(23c)에는, 직사각형의 날개판(23b)(투입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날개판(23b)은, 축 부분(23c)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날개판(23b)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동기 하여 회전한다.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은 케이싱(140)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140)은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의 주위를 덮는 측면(141)을 구비한다. 이 측면(141)은 축 부분(23c) 및 날개판(23b)을 사이로 하여, 곡립 탱크(4)의 측면에 대향하고 있다.
곡립 탱크(4)의 측면에 투입구(4b)가 형성되어 있다. 날개판(23b)은 투입구(4b)에 대향하고 있다.
상기 그레인 시브(20)로부터 1 번 곡립판(22)에 낙하한 곡립은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를 향해 미끄러져 떨어진다. 미끄러져 떨어진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의해 반송된다. 곡립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외주를 따라 상승한다. 날개판(23b)은 곡립을 투입구(4b)를 향해 압출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구(4b)의 하측에, 복수의 누름식 스위치(4c, 4c, ···, 4c)가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곡립 탱크(4)에 곡립이 저장됨에 따라, 누름식 스위치(4c)는 저장한 곡립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눌린다. 눌린 누름식 스위치(4c)는 신호를 출력하고, 이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표시부의 탱크 모니터가 점등된다.
또한 투입구(4b)로부터 투입된 곡립의 충격값을 검출하는 투입구 센서(300)가 곡립 탱크(4) 내에 배치되어 있다. 곡립 탱크(4)의 천장면으로부터 지지 부재(310)가 지지되어 있고, 이 지지 부재(310)에 투입구 센서(300)가 고정되어 있다.
투입구 센서(300)는, 투입구(4b)의 하측 가장자리부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곡립 탱크(4)가 가득 차게 된 경우에, 곡립 탱크(4)에 저장된 곡립의 상면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환언하면, 가득 찼을 때, 곡립에 매몰되지 않는 상하 위치 및 깊이 위치에 투입구 센서(300)를 배치하고 있다.
도 10에서 파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밀려나온 곡립은,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로부터 받는 상방향의 힘 및 날개판(23b)으로부터 받는 횡방향의 힘의 합성에 의해, 기울기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한다.
곡립은 투입구(4b)로부터, 날개판(23b)의 회전에 의해 간헐적으로 곡립 탱크(4)로 투입된다. 투입된 곡립이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할 때마다, 변형 게이지로부터 전압이 출력되고, 출력된 전압에 기초하여 곡립량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산출된다.
투입구(4b)의 상측에,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수분량 측정기(4d)가 설치되어 있다. 수분량 측정기(4d)는, 투입구(4b)로부터 투입된 곡립을 도입하여 갈아 으깨, 곡립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후술하는 표시부의 수분량 모니터는, 수분량 측정기(4d)에 의해 측정된 수분량을 표시한다.
상술한 주행 크롤러(1)의 구동, 예취부(3)의 예취 동작, 급동(11)의 회전 운동, 처리동(13b)의 회전 운동, 요동 선별 장치(16)의 요동 및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의 회전 동작 등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행해진다. 도 11은 엔진(40)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 도시한 전동 기구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40)에는, 엔진에 대한 부하를 검출하는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는 엔진(40)의 연료 분사량에 기초하여, 엔진(40)에 대한 부하를 검출한다. 또한, 엔진(40)은 일정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정격 제어되고 있고, 연료 분사량의 대소는 엔진(40)에 대한 부하의 대소에 대응한다. 또한 후술하는 표시부의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는, 엔진 부하 검출 센서(40a)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점등된다.
HST(41)는 유압 펌프(도시하지 않음)와, 이 유압 펌프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 펌프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도시하지 않음)와, 이 기구를 제어하는 변속 회로(41a)를 가지고 있다.
상기 엔진(40)은 전자식의 탈곡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상기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동 기구(150)에 연결되어 있다. 전동 기구(150)는 상기 1 번 스크루 컨베이어(23)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캐빈(8) 내부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캐빈(8)의 내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캐빈(8)의 내부에는 운전석(8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운전석(80)의 전측에 스티어링 휠(8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휠(81)의 하측에 대시 패널(82)을 배치하고 있고, 이 대시 패널(82)에는, 차체의 수평 상태를 조정하는 UFO 기울기 다이얼(83), 수평 자동 제어를 온 / 오프로 하는 UFO 전환 스위치(84), 곡립의 선별 상태를 조정하는 선별 조정 다이얼(85) 등이 배치되어 있다. 스티어링 휠(81)의 내측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은 표시부(180)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표시부(180)는, 직사각형의 액정 표시 패널(181)과, 이 액정 패널의 하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스위치(200)를 구비한다. 액정 표시 패널(181)은 표시부(180)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인디케이터), 속도계(183)와 연료계(184), 수확 모니터(185), 탈곡 모니터(186)(인디케이터), 선별 모니터(187)(인디케이터), 탱크 모니터(188), 수분량 모니터(189), 좌측 깜박이(190), 우측 깜박이(191), 정보 표시부(192) 및 터치 패널부(193)를 구비한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는 액정 표시 패널(181)의 상측 좌우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고, 우상 방향으로 상승 경사진 경사 부분(182a)과, 이 경사 부분(182a)의 상단 부분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182b)을 구비한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는 복수의 청색 점등부(182c, 182c, ···, 182c)와 복수의 황색 점등부(182d, 182d, ···, 182d)와 적색 점등부(182e)를 구비하고 있고, 청색 점등부(182c, 182c, ···, 182c)는 경사 부분(182a)과 연장 부분(182b)의 좌측 부분을 구성하고, 경사 방향 및 연장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적색 점등부(182e)는 연장 부분(182b)의 우단부를 구성하고 있다. 황색 점등부(182d, 182d, ···, 182d)는 연장 부분(182b)에서의 우단부를 제외한 우측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황색 점등부(182d, 182d, ···, 182d)는 연장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청색 점등부(182c), 황색 점등부(182d) 및 적색 점등부(182e)는 좁고 긴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룬다. 경사 부분(182a)에서, 청색 점등부(182c)는 경사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고, 우상측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2c)의 길이 방향의 폭은 좌하측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2c)보다 길다. 연장 부분(182b)에서, 청색 점등부(182c), 황색 점등부(182d), 적색 점등부(182e)는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고, 각 점등부의 길이 방향의 폭은 대략 동일하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는, 엔진 부하가 커짐에 따라, 청색 점등부(182c), 황색 점등부(182d) 및 적색 점등부(182e)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가장 우측에서 점등되어 있는 점등부의 색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엔진 부하의 대소를 파악할 수 있다.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경사 부분(182a)의 우측이며, 연장 부분의 하측에 속도를 표시하는 속도계(183)가 위치하고 있다. 이 속도계(183)의 우방에, 속도계(183)로부터 이격되어 연료의 잔량을 나타내는 연료계(184)가 위치하고 있다. 연료계(184)는 적색 점등부(182e)보다 우측에 위치하고, 표시부(180)의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속도계(183)의 하측에, 날개판(23b)에 의해 곡립이 곡립 탱크(4)로 투입될 때마다, 투입된 곡립량을 표시하는 수확 모니터(185)가 위치하고 있다. 수확 모니터(185)는 액정 표시 패널(181)의 하측 좌우 중앙 부분에 위치한다. 수확 모니터(185)는 좌우로 좁고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투입구 센서(300)에 충돌한 곡립량의 충격력의 대소에 따라 장단이 되도록 점등된다.
수확 모니터(185)는 좌단부로부터 우단부를 향해 연장되도록 점등된다. 투입구 센서(300)에 곡립이 충돌하고 있지 않은 경우, 수확 모니터(185)는 점등되지 않고, 투입구 센서(300)에 곡립이 충돌하는 때마다, 순간적으로 수확 모니터(185)는 점등된다.
수확 모니터(185)의 좌하측에, 급동(11)의 탈곡 상황을 나타내는 좌우로 긴 탈곡 모니터(186)(인디케이터)가 위치하고 있다. 탈곡 모니터(186)는 복수의 청색 점등부(186a, 186a, ···, 186a), 황색 점등부(186b, 186b, ···, 186b) 및 적색 점등부(186c, 186c, ···, 186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점등부(186a ~ 186c)는 상하로 좁고 길며 우측으로 약간 경사진 선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청색 점등부(186a)는, 탈곡 모니터(186)의 좌단으로부터 중앙 부분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중앙 부분측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6a)의 상하 폭은 우측이 좌측보다 길다. 탈곡 모니터(186)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6a)의 상하 폭은 짧고, 대략 일정한다.
황색 점등부(186b)는 청색 점등부(186a)의 우측으로 병설되어 있고, 우측의 상하 폭은 좌측보다 길다. 적색 점등부(186c)는 황색 점등부(186b)의 우측으로 병설되어 있고, 탈곡 모니터(186)의 우단 부분에 위치한다. 적색 점등부(186c)의 상하 폭은, 최장의 황색 점등부(186b)(가장 우단에 위치하는 황색 점등부(186b))보다 길고, 대략 일정하다.
탈곡 모니터(186)는, 배출량 센서(34a)(제 2 검출 수단)에 접촉한 곡립량이 커짐에 따라, 청색 점등부(186a), 황색 점등부(186b) 및 적색 점등부(186c)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탈곡 모니터(186)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가장 우측에서 점등되어 있는 점등부의 색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콤바인의 허용 처리 능력에 대한 현재의 처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탈곡 모니터(186)를 확인함으로써, 콤바인이 어느 정도의 처리 상황으로 가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수확 모니터(185)의 우하측에, 요동 선별 장치(16)의 선별 상황을 나타내는 좌우로 긴 선별 모니터(187)(인디케이터)가 위치하고 있다. 선별 모니터(187)는 복수의 청색 점등부(187a, 187a, ···, 187a), 황색 점등부(187b, 187b, ···, 187b) 및 적색 점등부(187c, 187c, ···, 187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점등부(187a ~ 187c)는 상하로 좁고 길며 우측으로 약간 경사진 선 형상을 이루고, 좌우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청색 점등부(187a)는, 선별 모니터(187)의 좌단으로부터 중앙 부분에 걸쳐 배치되어 있고, 중앙 부분측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7a)의 상하 폭은 우측이 좌측보다 길다. 선별 모니터(187)의 좌측 부분에 위치하는 청색 점등부(187a)의 상하 폭은 짧고, 대략 일정하다.
황색 점등부(187b)는 청색 점등부(187a)의 우측으로 병설되어 있고, 우측의 상하 폭은 좌측보다 길다. 적색 점등부(187c)는 황색 점등부(187b)의 우측으로 병설되어 있고, 수확 모니터(185)의 우단 부분에 위치한다. 적색 점등부(187c)의 상하 폭은, 가장 긴 황색 점등부(187b)(가장 우단에 위치하는 황색 점등부(187b))보다 길고, 대략 일정하다.
선별 모니터(187)는, 로스 센서(34)에 접촉한 곡립량이 커짐에 따라, 청색 점등부(187a), 황색 점등부(187b) 및 적색 점등부(187c)가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되고, 점등수가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선별 모니터(187)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가장 우측에서 점등되어 있는 점등부의 색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로 반송되는 곡립량의 대소를 파악할 수 있다.
선별 모니터(187)를 확인함으로써, 2 번 스크루 컨베이어(26)로 반송되는 곡립량의 대소에 따른, 콤바인의 허용 처리 능력에 대한 현재의 처리 상황 및 선별부의 허용 처리 능력에 대한 현재의 처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는 표시부(180)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탈곡 모니터(186) 및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좌방에, 곡립 탱크(4)에 저장된 곡립량을 나타내는 탱크 모니터(188)가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는 표시부(180)의 왼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는 상하로 병설된 점등부를 가지고, 누름식 스위치(4c, 4 c, ···, 4c)가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눌림에 따라, 점등부도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점등된다.
탈곡 모니터(186)의 우방에 곡립의 수분량을 나타내는 수분량 모니터(189)가 위치하고 있다. 수분량 모니터(189)는 표시부(180)의 오른쪽 가장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탱크 모니터(188)의 상방에 좌회전을 나타내는 왼쪽 깜빡이(190)가 위치하고 있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의 우측에 우회전을 나타내는 오른쪽 깜빡이(191)가 위치하고 있다. 왼쪽 깜빡이(190) 및 오른쪽 깜빡이(191)는 표시부(180)의 좌우 상측 모서리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의 하방에, 시각, 변속단, 경보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 표시부(192)가 위치하고 있고, 이 정보 표시부(192)의 하방에 화살표로 나타내진 선택 스위치 및 메뉴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부(193)가 위치하고 있다. 정보 표시부(192) 및 터치 패널부(193)는, 표시부(180)의 아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액정 표시 패널(181)의 배면측에 백 라이트(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작업등이 점등된 경우, 백 라이트의 광량이 감소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너지 절약을 도모하고, 또한 강한 빛이 유저의 시야에 들어가, 작업을 방해할 우려를 회피하기 위함이다. 또한 캐빈(8) 내에 수광 센서를 설치하여, 이 수광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백 라이트의 광량을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는 액정 표시 패널(181)의 중앙 부분, 환언하면 표시부(180)의 중앙 부분에 집중시키고 있어, 유저가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위치에 있다. 또한 동일한 액정 표시 패널(181)에 표시되어 있어, 유저는 표시부(180)를 언뜻 보는 것만으로 엔진(40)의 부하 정보와 곡립의 선별 상황 정보를 순시에 시야에 파악할 수 있어, 작업 상황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표시부(192), 터치 패널부(193), 탱크 모니터(188), 연료계(184), 수분량 모니터(189)에 비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는 표시부(180)의 중앙 부분에 표시되어 있어, 시인되기 쉽다.
또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는,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를, 점등부의 병설 방향을 따라 점등수가 증감하는 인디케이터에 의해 표시하고 있고, 유저는, 점등이 좌측에 머물러 있는 경우는 수치가 작고, 우측에 이르고 있는 경우는 수치가 큰 것을 감각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정상인 상태이면, 엔진(40)의 부하의 대소와, 선별 상황(곡립이 배출되는 양의 대소)은 대응 관계에 있고, 이상인 경우에 이 대응 관계가 무너진다.
예를 들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에서, 적색 점등부(182e)가 점등되고,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에서는 청색 점등부(186a, 187a)만이 점등되어 있는 경우, 급실(10)에서 다량의 곡간을 처리실(13)로, 과잉의 속도로 보내고 있는 상태가 상정된다. 유저는 이를 인식하고, 송진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각도를 조정하여, 곡간의 전송 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및 탈곡 모니터(186)에서는 청색 점등부(182c, 186a)만이 점등되고, 선별 모니터(187)에서는 적색 점등부(187c)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채프 시브(18)가 과잉하게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풍구(27)로부터 과잉하게 강한 바람이 보내지고 있는 상태가 상정된다. 유저는 이를 인식하고, 채프 시브(18)를 폐쇄하거나 또는 풍구(27)의 회전을 느리게 할 수 있다.
정상인 상태의 경우,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 각각에서의 점등수의 비율이 대략 동일해지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에서 동색의 점등부가 점등된다. 따라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에서, 적색 점등부(182e, 186c, 187c)가 점등되어 있는 경우, 유저는 주행 속도를 느리게 하는 것만으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의 점등수를 동일하게 감소시켜, 정상인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를, 점등부의 병설 방향(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병설하고 있으므로, 엔진(40)의 부하의 대소와 선별 상황과의 대응 관계가 무너지고 있는지 여부를, 상하로 나열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를 비교하는 것만으로, 유저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의 배색 패턴 또는 배색 순서가 동일하므로(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청, 황, 적의 순서로 상이한 색의 점등부가 점등됨), 유저는 엔진(40)의 부하와 선별 상황과의 관계성을 동일한 기준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색 패턴 또는 배색 순서가 동일하면 되고,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 탈곡 모니터(186) 및 선별 모니터(187)에서 사용하는 색은 상이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에서, 청색 점등부(182c) 대신에 녹색 점등부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순간적으로 투입되는 곡립량을 수확 모니터(185)에 의해 표시하고 있으므로, 유저에게 곡립 탱크(4)로의 곡립의 투입에 이상이 없는지 여부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수확 모니터(185)는 표시부(180)의 중앙부에 표시되어 있고, 곡립 탱크(4)로의 곡립의 투입에 이상이 있는 경우, 유저는 신속하게 이상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80)의 구성은 이하와 같이 해도 된다. 도 14는 표시부(180)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부하 인디케이터(182)를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고, 수분량 모니터(189)를 탱크 모니터(188)의 하측에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상술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버킷식의 콤바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로스 센서(34)는 이하와 같이 배치해도 된다. 도 15는 탈곡 장치의 다른 내부 구성을 대략 도시한 측면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스 센서(34)는 그레인 시브(20)의 하측 후방에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서도 상술한 작용 효과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2에 따른 구성 중,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Claims (8)

  1.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부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에 의한 선별 처리 후의 처리물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처리물에 포함되는 곡립의 충격력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연산하는 연산 수단을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선별부의 선별 동작 상태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가지고,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곡립의 선별 상황을 나타내는 선별 상황 정보를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풍구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풍구의 풍량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채프 시브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수단은, 상기 채프 시브의 각도에 따라 곡립량을 보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포장을 주행하는 주행 기체와,
    상기 탈곡부로부터 배출된 곡립의 충격력을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과,
    상기 주행 기체, 탈곡부 및 선별부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구동원의 부하를 나타내는 부하 정보를 표시하고, 또한, 상기 부하 정보, 상기 검출 수단 및 제 2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정해지는 곡립의 선별 상황을 나타내는 선별 상황 정보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를 중앙 부분에 표시하고, 시각 및 주행 기체의 변속단을 가장자리 부분에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복수의 점등부를 병설하고, 병설 방향을 따라 상기 점등부의 점등수가 차례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인디케이터를 복수 구비하고,
    각 인디케이터는 상기 표시부에서 상기 병설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설되어 있고,
    상기 부하 정보 및 선별 상황 정보는 복수의 상기 인디케이터에 의해 각각 표시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인디케이터는 상이한 색의 복수의 상기 점등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한 배색 순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부에서 탈곡된 곡립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곡립을 상기 저장부로 투입하는 투입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투입 수단에 의해 곡립이 상기 저장부로 투입될 때마다, 투입된 곡립량을 표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57007190A 2012-08-24 2013-07-31 콤바인 KR102142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85606A JP5891144B2 (ja) 2012-08-24 2012-08-24 コンバイン
JP2012185607A JP6033002B2 (ja) 2012-08-24 2012-08-24 コンバイン
JPJP-P-2012-185606 2012-08-24
JPJP-P-2012-185607 2012-08-24
PCT/JP2013/070727 WO2014030511A1 (ja) 2012-08-24 2013-07-31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41A KR20150046241A (ko) 2015-04-29
KR102142736B1 true KR102142736B1 (ko) 2020-08-07

Family

ID=5014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190A KR102142736B1 (ko) 2012-08-24 2013-07-31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142736B1 (ko)
CN (1) CN104582470B (ko)
WO (1) WO201403051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1762A1 (en) * 2015-08-20 2019-09-19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de shake rate based on machine throughpu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66833B2 (ja) * 2015-10-20 2019-08-28 ヤンマー株式会社 マッピングシステム、マッピング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579435B1 (ko) * 2016-12-19 2023-09-18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콤바인
JP6827373B2 (ja) * 2017-06-26 2021-02-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US10820505B2 (en) 2018-09-11 2020-11-03 Deere & Company Self-learning grain sensing system
US11246264B2 (en) * 2019-04-24 2022-02-15 Deere & Company Harvesting control system with cutter bar load sensing
US11793112B2 (en) * 2019-10-23 2023-10-24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harvested crop levels utilizing a stowable sensor array
CN110987093B (zh) * 2019-12-06 2021-06-25 中国科学院合肥物质科学研究院 一种谷物流量检测装置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684A (ja) 2008-03-19 2009-10-08 Yanmar Co Ltd 脱穀機
JP2010187642A (ja) * 2009-02-20 2010-09-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5621A (ja) * 1985-02-22 1986-08-29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の飛散ロス検出装置
JPH0436592Y2 (ko) * 1985-04-12 1992-08-28
GB2365312A (en) * 2000-08-01 2002-02-20 Claas Selbstfahr Erntemasch Grain cleaning apparatus for combines
CN101480128A (zh) * 2008-01-09 2009-07-15 王继东 联合收割机谷物压强提升装置
JP5094491B2 (ja) 2008-03-19 2012-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脱穀機
KR101743102B1 (ko) * 2009-02-20 2017-06-0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5684A (ja) 2008-03-19 2009-10-08 Yanmar Co Ltd 脱穀機
JP2010187642A (ja) * 2009-02-20 2010-09-02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1762A1 (en) * 2015-08-20 2019-09-19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de shake rate based on machine throughputs
US11723309B2 (en) * 2015-08-20 2023-08-15 Cnh Industrial America Llc Side shake rate based on machine throughp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2470A (zh) 2015-04-29
KR20150046241A (ko) 2015-04-29
WO2014030511A1 (ja) 2014-02-27
CN104582470B (zh)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736B1 (ko) 콤바인
JP6017889B2 (ja) コンバイン
JP6033002B2 (ja) コンバイン
JP5121520B2 (ja) 脱穀機
JP5171684B2 (ja) コンバイン
JP2013066402A (ja) コンバイン
JP6208538B2 (ja) コンバイン
WO2015152362A1 (ja) コンバイン
JP7010743B2 (ja) コンバイン
JP2005087078A (ja) コンバイン
JP6279965B2 (ja) コンバイン
JP6279960B2 (ja) コンバイン
JP5171685B2 (ja) コンバイン
JP5244647B2 (ja) コンバイン
KR20110128840A (ko) 콤바인
JP6152042B2 (ja) コンバイン
JP2019170278A (ja) コンバイン
JP5094491B2 (ja) 脱穀機
JP6208537B2 (ja) コンバイン
JP5512373B2 (ja) コンバイン
JP2017093351A (ja) コンバイン
JP2017099342A (ja) コンバイン
JP5356703B2 (ja) 脱穀機
JP6287892B2 (ja) コンバイン
JP2005117701A (ja) 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