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8840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8840A
KR20110128840A KR1020117020601A KR20117020601A KR20110128840A KR 20110128840 A KR20110128840 A KR 20110128840A KR 1020117020601 A KR1020117020601 A KR 1020117020601A KR 20117020601 A KR20117020601 A KR 20117020601A KR 20110128840 A KR20110128840 A KR 20110128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grain
dust
detected
threshol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102B1 (ko
Inventor
무네노리 미야모토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834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446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8341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168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8340A external-priority patent/JP5171684B2/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8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1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 A01D41/1272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 A01D41/1273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measuring crop flow for measuring grain flow for measuring grain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곡립 탱크에 저류되는 곡립량을 구하고, 구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투구 센서로 투구으로부터 곡립 탱크로 송출되는 곡립량(투구량)을 검출한다. 또한, 배출량 센서로 배진구 및 배기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손실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투구량에 의거하여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예컨대,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 및 소정 시간당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교를 구하고, 구한 비율 및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에 따라서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Description

콤바인{COMBINE}
본 발명은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출되는 곡립량을 제어하는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포장(圃場)에서의 수확 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곡간의 예취 및 탈곡과 곡립의 회수를 행하는 콤바인을 사용하는 것이 많다. 콤바인은 크롤러의 주행 중에 예취날로 곡간을 예취하고, 예취된 곡간을 급동(扱胴)에 반송하여 탈곡한다. 그리고, 급동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채프 시브(chaff sieve)로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을 행하고, 선별된 곡립을 채프 시브로부터 누하(漏下)시킨다. 누하된 곡립은 스크류를 통하여 곡립 탱크에 회수된다. 한편 채프 시브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풍구의 기풍(起風) 작용에 의해 채프 시브로부터 누하되는 잔 진애는 콤바인의 후방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진구(排塵口)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곡립의 일부도 진애와 함께 배진구로부터 배출된다.
곡간의 예취량이 증가하면 곡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곡립량이 증가하고, 배진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도 증가한다. 이 때문에 곡간의 예취량이 증가했을 경우에는 곡립 탱크로의 곡립의 회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곡립량을 검출하는 그레인(grain) 손실 검출기를 배진구에 배치하고, 상기 그레인 손실 검출기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증가했을 경우에 채프 시브를 개방하여 곡립 탱크로의 곡립의 회수량을 증가시키는 콤바인이 이전부터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는 채프 시브 및 풍구에 두 개의 유압 실린더를 각각 연결하고 있고, 두 개의 유압 실린더에는 압유의 급배를 스위칭하는 두 개의 전자 밸브를 각각 연결하고 있다. 상기 콤바인은 배진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허용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임계값(이하 허용 임계값이라 함)을 유저가 임의로 설정하고, 그레인 검출기의 출력이 나타내는 값과 설정된 허용 임계값을 비교하고, 배진구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하 손실량이라 함)이 허용 임계값을 초과했을 경우에 상기 전자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손실량을 허용 임계값보다도 작게 하고 있었다.
: 일본 특허 공개 소61-234714호 공보
상기 손실량은 수확되는 곡립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변동된다. 그 때문에 상기 허용 임계값은 수확되는 곡립량에 따라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콤바인에 있어서는 상기 허용 임계값을 유저가 임의로 선택하고 있어 수확되는 곡립량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수확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손실량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의거하여 손실량을 제어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주행 중에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로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의 송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으로 구한 값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의거하여 손실량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는 소정 시간 당의 곡립량의 비율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과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는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 및 소정 시간당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을 구하고, 구해진 비율 및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에 따라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주행부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속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은 주행부의 속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속도와 먼지량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에 따라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하는 반송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은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량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함으로써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을 고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검출된 곡립량과 먼지량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에 따라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상기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탈곡 장치는 원통형의 급동을 갖고 있고,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급동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먼지 이송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 이송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 구동원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비율 판정 수단과,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배출량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에 대해서 소정 범위를 설정하고,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는 악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대해서 소정 범위를 설정하고,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손실량은 배진구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허용되는 곡립량(이하 허용 손실량이라 함)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고,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어 있는 한편 상기 손실량은 상기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먼지 이송 밸브를 개방하여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짚이 급동에 체류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급동에서 짚이 분쇄되어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고, 또한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외에 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는 악화되어 있지 않는 한편 상기 손실량은 상기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를 폐쇄하여 급동으로부터 송출되는 곡립량을 저감하고, 손실량의 저감을 도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주행부를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고,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고, 또한 손실량이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탈곡 장치에 과잉으로 곡간이 공급되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주행부를 강제적으로 감속시켜서 곡간의 예취량을 감소시키고, 손실량의 저감 및 먼지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것을 보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어 있는 것을 보고하여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작, 예컨대 곡간의 탈곡 깊이 및 예취된 곡간의 자세를 조정하는 조작을 행하는 것을 유저에 촉구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로부터 저류부로 반송되는 곡립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여 손실량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상기 저류부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조정 기구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반송 수단으로 반송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반송량 검출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 및 진애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와 상기 예취부 및 탈곡 장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취부 및 탈곡부의 작동 상태가 예취 모드, 수동 예취 모드 및 대기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고, 예취 모드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 상기 저류부로 반송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산출된 임계값 이상일 경우에 상기 구동 기구를 구동시켜서 손실량의 저감을 도모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에 의거하여 손실량을 제어하므로 손실량의 감소와 선별 정밀도의 향상의 조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은 예취부에서 예취된 곡간을 피드 체인(feed chain)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4는 먼지 센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엔진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동기 구성도이다.
도 6은 캐빈 내의 대시보드(dashboard)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군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7은 조작 레버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8은 표시부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먼지 이송 밸브 및 처리동(處理胴) 밸브의 전동 기구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먼지 이송 밸브(처리동 밸브)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와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임계값(P)과 허용값 설정 스위치의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f), 및 임계값(Q)과 허용값 설정 스위치의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g)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임계값(R)과 투구(投口)로부터 곡립 탱크로 송출되는 곡립량[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x)~함수(z) 및 임계값(S)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k)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5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6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7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9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2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0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3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1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4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2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5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6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24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의 임계값(T)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p)~함수(r), 및 임계값(U)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m)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 및 처리동 밸브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6은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7은 처리동 밸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8은 차속 저감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29는 밸브 리턴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0은 그레인 시브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망의 진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1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 및 처리망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2는 조정망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3은 조정망 복귀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4는 채프 시브의 동작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5는 제어부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 및 채프 시브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6은 채프 시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7은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의 곡간 센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8은 모드 판정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39는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0은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1은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2는 수동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3은 대기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도 44는 인터럽트(interrupt)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주행 크롤러이며, 상기 주행 크롤러(1)의 상측에 탈곡 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전방측에 예취 곡간과 비예취 곡간을 구별하는 분초판(分草板)(3a),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날(3b), 및 곡간을 일으켜 세우는 일으킴 장치(3c)를 구비하는 예취부(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탈곡 장치(2)의 좌측에는 곡립을 수용하는 곡립 탱크(4)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탈곡 장치(2)의 우측부에는 곡간을 반송하는 피드 체인(5)을 설치하고 있다. 상기 피드 체인(5)에는 곡간을 협지하는 협지 부재(6)가 대향하고 있다. 상기 피드 체인(5)의 시단부 부근에는 세로 반송 장치(7)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곡립 탱크(4)에는 곡립 탱크(4)로부터 곡립을 배출하는 통형상의 배출 오거(4a)를 부착하고 있고, 곡립 탱크(4)의 전방측에는 캐빈(8)을 설치하고 있다.
주행 크롤러(1)의 구동에 의해 기체는 주행한다. 기체의 주행에 의해 예취부(3)에 곡간이 거두어들여져 예취된다. 예취된 곡간은 세로 반송 장치(7), 피드 체인(5) 및 협지 부재(6)를 통하여 탈곡 장치(2)에 반송되어 탈곡 장치(2) 내에서 탈곡된다.
도 2는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을 피드 체인(5)으로 반송하는 반송 기구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일으킴 장치(3c)의 후방에 곡간의 하부를 반송하는 하부 반송 체인(71), 곡간의 상부를 반송하는 제 1 상부 반송 체인(72), 및 곡간의 이삭 끝을 반송하는 이삭 끝 반송 체인(73)이 상하로 병설되어 있다. 하부 반송 체인(71)의 후방에 세로 반송 체인(74)이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반송 체인(74)은 그 상단부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부 반송 체인(72) 및 이삭 끝 반송 체인(73)의 후방으로서, 세로 반송 체인(74)의 상방에 제 2 상부 반송 체인(75)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세로 반송 체인(74)과 제 2 상부 반송 체인(75) 사이에는 보조 반송 체인(76)이 배치되어 있다.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은 하부 반송 체인(71), 제 1 상부 반송 체인(72) 및 이삭 끝 반송 체인(73)에 의해 반송된다. 하부 반송 체인(71), 제 1 상부 반송 체인(72) 및 이삭 끝 반송 체인(73)의 반송 속도비를 적절하게 조정함으로써 반송 도중에 곡간의 자세가 횡방향으로 된다. 횡방향으로 된 곡간은 세로 반송 체인(74), 제 2 상부 반송 체인(75) 및 보조 반송 체인(76)에 의해 피드 체인(5)으로 보내진다. 이 때 세로 반송 체인(74)을 상방으로 회동시키면 탈곡 장치(2)에 있어서의 탈곡 깊이는 얕아지고, 세로 반송 체인(74)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탈곡 장치(2)에 있어서의 탈곡 깊이는 깊어진다.
도 3은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탈곡 장치(2)의 전방측 상부에 곡간을 탈곡하기 위한 급실(扱室)(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급실(10) 내에 전후 방향을 축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급동(11)이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급동(11)은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급동(11)의 둘레면에는 다수의 급치(扱齒)(12, 12, ···12)를 나선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급동(11)의 하측에 상기 급치(12, 12, ···12)와 협력하여 짚을 완화하는 크림프(crimp) 망(15)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동(11)은 후술하는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여 곡간을 탈곡한다.
상기 급실(10)의 상측벽에 네 개의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가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먼지 이송 밸브는 급실(10)의 후방부로 송출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급실(10)의 후방부에는 처리실(13)이 연이어져 있다. 상기 처리실(13) 내에 전후 방향을 축길이 방향으로 한 원통형의 처리동(13b)이 축지지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13b)은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처리동(13b)에는 다수의 급치(13c, 13c, ···, 13c)를 나선상으로 설치하고 있다. 상기 처리동(13b)의 하측에는 급치(13c, 13c, ···, 13c)와 협력하여 짚을 완화하는 처리망(13d)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처리동(13b)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회동하고, 급실(10)로부터 송출된 짚 및 곡립으로부터 곡립을 분리하는 처리를 행한다. 처리실(13)의 후단부 하측에는 배출구(13e)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상측벽에 네 개의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가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상기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는 처리실(13)의 후방부로 송출하는 짚 및 곡립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크림프 망(15)의 하측에는 곡립 및 짚의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 장치(16)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는 곡립 및 짚을 균일화함과 아울러 비중 선별을 행하는 요동 선별반(17)과, 상기 요동 선별반(17)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대략적인 선별을 행하는 채프 시브(18)와, 상기 채프 시브(18)의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고, 짚에 혼입된 곡립을 낙하시키기 위한 스트로 래크(straw rack)(19)를 구비한다. 상기 스트로 래크(19)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투공(透孔)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반(17)의 전방부에는 요동 암(2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요동 암(21)은 전후로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요동 암(21)의 요동에 의해 요동 선별 장치(16)는 요동하여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요동 선별 장치(16)는 상기 채프 시브(18)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곡립 및 짚의 정밀 선별을 행하는 그레인 시브(2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그레인 시브(20)의 하방에 전방부가 후방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1번 곡립판(2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1번 곡립판(22)의 전방측에 곡립을 상기 곡립 탱크(4)에 송급하는 1번 스크류(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레인 시브(20)로부터 1번 곡립판(22)으로 낙하된 곡립은 상기 1번 스크류(23)를 향하여 미끌어져 떨어진다. 1번 스크류(23)는 곡립 탱크(4)에 연이어져 있고, 미끌어져 떨어진 곡립은 1번 스크류(23)에 의해 반송되고, 1번 스크류(23)의 종단에 설치되어 있는 투구(23a)로부터 곡립 탱크(4)로 송출된다. 투구(23a)에는 투구(23a)로부터 곡립 탱크(4)로 송출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투구량)을 검출하는 투구 센서(23b)가 설치되어 있다. 투구 센서(23b)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고 있고, 투구 센서(23b)에 곡립이 접촉함으로써 투구 센서(23b)로부터 상기 투구량을 나타내는 전압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1번 곡립판(22)의 후방부에 후방부가 전방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경사판(24)이 연이어져 있다. 상기 경사판(24)의 후단부에 전방부가 후방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2번 곡립판(25)이 연이어져 있다. 상기 2번 곡립판(25)과 상기 경사판(24)의 연결 부분의 상측에 짚 및 곡립을 반송하는 2번 스크류(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트로 래크(19)의 투공으로부터 경사판(24) 또는 2번 곡립판(25)으로 낙하된 낙하물은 상기 2번 스크류(26)를 향해 미끌어져 떨어진다. 미끌어져 떨어진 낙하물은 2번 스크류(26)에 의해 상기 급동(11)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처리 로터(14)로 반송되어 처리 로터(14)에 의해 탈곡 처리된다.
상기 1번 스크류(23)보다도 전방으로서, 상기 요동 선별반(17)보다도 하방에 후방을 향하여 송풍하는 풍구(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풍구(27)와 상기 1번 스크류(23) 사이에 두 개의 정류판(28, 28)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2번 곡립판(25)의 후단부에 통로판(36)이 연이어져 있다. 상기 통로판(36)의 상방에는 하부 흡인 커버(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흡인 커버(30) 및 통로판(36) 사이는 진애가 배출되는 배기 통로(37)로 되어 있다.
하부 흡인 커버(30)의 상방에 상부 흡인 커버(3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 및 하부 흡인 커버(30) 사이에 짚을 흡인 배출하는 축류 팬(32)을 배치하고 있다. 상기 축류 팬(32)의 후방에는 배진구(33)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풍구(27)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기류는 상기 정류판(28, 28)에 의해 정류된 후에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을 통과하여 상기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 이른다.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두 개의 배출량 센서(34, 34)가 배치되어 있다.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곡립이 배출되어 배출량 센서(34, 34)에 접촉한다. 이 때 배출량 센서(34, 34)의 압전 소자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되고,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된 소정 시간당 곡립량(손실량)이 검출된다. 또한, 배출량 센서(34, 34)는 압전 소자를 갖는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는 광센서를 배출량 센서(34)로서 사용하여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 사이를 통과하는 소정 시간당 곡립량을 검출해도 좋다. 또한, 발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초음파 센서를 배출량 센서(34)로서 사용하여 발신기 및 수신기 사이를 통과하는 소정 시간당 곡립량을 검출해도 좋다.
상기 상부 흡인 커버(31)의 상측으로서 상기 처리실(13)의 하방에 전방부가 후방부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도록 경사진 유하통(flow down gutters)(3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배출물은 유하통(35)을 미끌어져 떨어져 상기 스트로 래크(19)로 낙하된다.
상기 채프 시브(18)의 상측에는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 센서(20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과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의 비에 의거하여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의 개폐가 행해져 급실(10)의 후방부로 송출되는 짚 및 곡립의 양이 조절된다.
도 4는 먼지 센서(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먼지 센서(200)는 하단부를 전방으로 절곡한 L형상의 검출판(201)을 구비하고 있다. L형상의 검출판(201)의 상단부는 탈곡 장치(2)의 적소에 좌우 방향을 축방향으로 한 추축(202)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먼지 센서(200)는 추축(202)의 회동에 따라서 출력 전압이 변동하는 포텐셔미터(203)를 구비하고 있다. 탈곡 장치(2) 내에서 발생되는 먼지량에 비례하여 먼지의 높이(h)는 커지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의 높이(h)에 비례하여 추축의 회동 각도(θ)도 커진다. 이 때문에 먼지 센서(200)는 포텐셔미터(203)의 출력 전압에 의거하여 회동 각도(θ)를 구하여 탈곡 장치(2) 내에서 발생되는 먼지량을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주행 크롤러(1)의 구동, 예취부(3)의 예취 동작, 급동(11)의 회동, 처리동(13b)의 회동, 요동 선별 장치(16)의 요동 및 풍구(27)의 기풍(起風) 동작은 엔진(40)의 구동력에 의해 행해진다. 도 5는 엔진(40)의 구동력의 전달 경로를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동기 구성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40)은 HST(Hydro Static Transmission)(41)를 통하여 주행 미션(42)에 연결되어 있다. HST(41)는 유압 펌프(도시 생략)와, 상기 유압 펌프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 펌프의 압력을 조정하는 기구(도시 생략)와, 상기 기구를 제어하는 변속 회로(41a)를 갖고 있다. 변속 회로(41a)는 후술하는 제어부(100)(도 11 참조)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기구를 제어하고, 주행 크롤러(1)의 변속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주행 미션(42)은 상기 주행 크롤러(1)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 생략)를 갖고 있다. 주행 미션(42)에는 홀 소자를 갖는 차속 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차속 센서(43)는 상기 기어의 회전수에 의거하여 기체의 차속를 검출하고, 검출된 차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엔진(40)은 전자식의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상기 급동(11) 및 처리동(13b)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편심 크랭크(45)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편심 크랭크(45)는 상기 요동 암(21)에 연결되어 있다. 편심 크랭크(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가 요동한다. 또한,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상기 풍구(27)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40)은 탈곡 클러치(44) 및 전자식의 예취 클러치(46)를 통하여 상기 예취부(3)에 연결되어 있다.
주행 미션(42)을 통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주행 크롤러(1)에 전달되어 기체가 주행한다. 또는 예취 클러치(46)를 통하여 예취부(3)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예취부(3)에서 곡간이 예취된다.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상기 급동(11)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급동(11)에서 곡간은 탈곡된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처리동(13b)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급동(11)에서 탈곡된 짚 및 곡립으로부터 곡립이 분리된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에는 탈곡 클러치(44) 및 편심 크랭크(45)를 통하여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급동(11)으로부터 누하된 짚 및 곡립 및 처리실(13)의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짚 및 곡립의 선별이 행해진다. 또한, 탈곡 클러치(44)를 통하여 상기 풍구(27)에 엔진(40)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요동 선별 장치(16)에 의해 선별된 짚 및 곡립을 풍구(27)에 의한 기풍 작용에 의해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은 탈곡 장치(2)에 의해 탈곡되고,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은 선별을 받아서 곡립 탱크(4)에 수용된다. 곡립의 선별의 조정은 상기 캐빈(8)에 배치되어 있는 곡립의 선별을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군을 유저가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6은 캐빈(8) 내의 대시보드 패널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군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취 스위치(80),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 함수 선택 스위치(82), 허용값 설정 스위치(83), 반송비 설정 스위치(84), 및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가 대시보드 패널에 병설되어 있다.
예취 스위치(80)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예취 스위치(80)는 압박에 의해 밀어 내려진 상태로 고정된다. 또한, 밀어 내려진 상태로 압박됨으로써 예취 스위치(80)에 내장되어 있는 탄성 부재(도시 생략)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예취 스위치(80)가 밀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가 연결되고, 예취 스위치(80)가 복귀되었을 경우에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가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의 정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의 주위에는 1~5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1~5의 번호에 맞추어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의 각도를 5단계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이하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에 의해 설정된 각도를 설정 각도(r1)이라 함].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의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는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어 설정 각도(r1)에 따른 전압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00)로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함수 선택 스위치(82)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함수 선택 스위치(82)의 정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함수 선택 스위치(82)의 주위에는 1~3의 숫자를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1~3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맞추어 투구(23a)로부터 곡립 탱크(4)로 송출되는 곡립량과 먼지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임계값[임계값(R)]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세 개의 함수(x~z)(후술하는 도 13 참조)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선택한다. 함수 선택 스위치(82)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어 포텐셔미터의 출력 전압에 따라서 함수(x~z)가 선택된다.
허용값 설정 스위치(83)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정면에는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주위에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으로 향함에 따라 폭이 축소되는 원호형의 도형을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원호형의 도형의 임의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허용되는 곡립량의 값[임계값(P)]을 설정한다.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어 허용값 설정 스위치(83)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포텐셔미터의 출력 전압이 작아지고,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포텐셔미터의 전압이 커진다.
반송비 설정 스위치(84)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반송비 설정 스위치(84)의 정면에는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반송비 설정 스위치(84)의 주위에는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을 향함에 따라 폭이 축소되는 원호형의 도형을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원호형의 도형의 임의의 위치에 맞추어 하부 반송 체인(71)에 대한 제 1 상부 반송 체인(72) 및 이삭 끝 반송 체인(73)의 반송 속도비를 설정한다. 반송비 설정 스위치(84)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다. 반송비 설정 스위치(84)를 좌측으로 회동시키면 포텐셔미터의 출력 전압이 작아져 상기 반송 속도비가 커진다. 한편, 반송비 설정 스위치(84)를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포텐셔미터의 출력 전압이 커져 상기 반송 속도비가 작아진다.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 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정면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주위에는 1~5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1~5의 번호에 맞추어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의 각도를 5단계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이하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에 의해 설정된 각도를 설정 각도(r2)라 함].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어 설정 각도(r2)에 따른 전압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00)로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캐빈(8)에는 유저가 예취부(3) 등에 대한 조작을 행하는 조작 레버(90)가 더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조작 레버(90)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조작 레버(90)는 세로 반송 체인(74)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여 탈곡 깊이를 조정하는 탈곡 깊이 조정 스위치(91)와, 예취부(3)의 상하 위치를 조정하는 예취 위치 조정 스위치(92)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예취부(3)를 이동시키기 위한 예취부 설정 스위치(93)와, 도시하지 않은 차체 수평 제어 기구를 조작하는 UFO 조작 레버(94)를 구비한다. 유저는 필요에 따라서 이들을 조작하여 예취부(3)의 위치 및 곡간의 탈곡 깊이 등을 조정한다.
캐빈(8)에는 유저에게 필요한 정보를 보고하기 위한 표시부(95)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표시부(95)의 대략적인 정면도이다. 표시부(95)는 표시 패널(95a)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 패널(95a)에는 필요에 따라서 정보가 표시된다. 예컨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반송비는 적절합니까?」, 「탈곡 깊이는 적절합니까?」로 표시된다. 이에 따라 먼지의 비율의 증대에 따른 조작, 예컨대 반송비 설정 스위치(84) 및 탈곡 깊이 조정 스위치(91)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이어서,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를 동작시키는 전동 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전동 기구를 나타내는 대략적인 평면도이다. 또한, 처리동 밸브(13a)의 전동 기구의 구성은 먼지 이송 밸브(10a)의 전동 기구의 구성과 같다. 그 때문에 처리동 밸브(13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전동 기구의 구성 중 먼지 이송 밸브(10a) 및 먼지 이송 밸브(10a)의 전동 기구에 대응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9 중 괄호가 붙여진 명칭 또는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복수의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는 급동(11)[처리동(13b)]과 급실(10)[처리실(13)]의 상측벽 사이에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실(10)[처리실(13)]의 상측벽에 네 개의 먼지 이송 밸브 축(65, 65, 65, 65)[처리동 밸브 축(65', 65', 65', 6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먼지 이송 밸브 축(65)[처리동 밸브 축(65')]은 원통형의 급동(11)[처리동(13b)]의 지름 방향을 따라 급실(10)[처리실(1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는 먼지 이송 밸브 축(65, 65, 65, 65)[처리동 밸브 축(65', 65', 65', 65')]에 각각 피벗 부착되어 있다.
각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의 일측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체(64)(64')가 상하 방향을 축길이 방향으로 한 네 개의 추축(66, 66, 66, 66)(66',66',66',6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에 대략 직각인 전동 로드(63)(63')가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먼지 이송 밸브 축(65)[처리동 밸브 축(65')]부근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전동 로드(63)(63')의 연장 단부에 크랭크 로드(61)(61')의 일단부가 상하 방향을 따라 추축(62)(6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크랭크 로드(61)(61')의 타단부는 크랭크(60)(6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60)(60')는 감속기(67)(67')를 통하여 모터(M1)(M2)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M1)(M2)가 정회전했을 경우에는, 도 9 중의 실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60)(60')가 한 방향으로 회동하고, 크랭크 로드(61)(61')가 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크랭크 로드(61)(61')의 이동에 의해 전동 로드(63)(63')가 상기 추축(62)(62')을 중심으로 하여 한 방향에 회동하고, 전동 로드(63)(63')를 연결하고 있는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가 먼지 이송 밸브 축(65)[처리동 밸브 축(65)']을 중심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회동에 의해 상기 로드체(64)(64')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도 9 중의 실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도 연동하여 먼지 이송 밸브 축(65, 65, 65)[처리동 밸브 축(65',65',65')]을 중심으로 하여 한 방향으로 회동한다.
급동(11)[처리동(13b)]의 둘레면을 따라 후방을 향하여 나선상으로 이동하는 짚 및 곡립은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의 한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도 9 중의 실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에 접촉하여 전방으로 튀어 오르고, 급실(10)[처리실(13)]에 있어서의 짚 및 곡립의 송출량은 감소한다.
모터(M1)(M2)가 역회전했을 경우에는, 도 9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60)(60')가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고, 크랭크 로드(61)(61')가 다른 방향으로 이동한다. 크랭크 로드(61)(61')의 이동에 의해 전동 로드(63)(63')가 상기 추축(62)(62')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동 로드(63)(63')를 연결하고 있는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가 먼지 이송 밸브 축(65)[처리동 밸브 축(65')]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회동에 의해 상기 로드체(64)(64')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도 9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도 연동하여 먼지 이송 밸브 축(65, 65, 65)(처리동 밸브 축(65',65',65')]을 중심으로 하여 다른 방향으로 회동한다.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의 다른 방향으로의 회동에 의해 급동(11)[처리동(13b)]의 둘레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이동하는 짚 및 곡립은, 도 9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에 접촉하여 후방으로 튀어 오르고, 급실(10)[처리실(13)]에 있어서의 짚 및 곡립의 송출량은 증가한다.
모터(M1)(M2)에는 로터리 인코더(E1)(E2)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M1)(M2)는 제어부(100)로부터 부여되는 동작 지령에 따라서 구동된다. 모터(M1)(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이 로터리 인코더(E1)(E2)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부(100)에는 상기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 및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전압 신호가 입력되고, 로터리 인코더(E1)(E2)에 의해 검출된 모터(M1)(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이 입력된다.
도 10은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와 상기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 중 α1~α5(β1~β5)는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1~5의 번호에 대응하는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설정 각도(r1)[설정 각도(r2)]는 α1~α5(β1~β5)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각도(α1~α5)(β1~β5)는 각도(α1)(β1)를 하한값으로 하고, 각도(α5)(β5)를 상한값으로 하여 순서대로 커진다.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짐에 따라 급실(10)[처리실(13)]에 있어서의 짚 및 곡립의 송출량은 감소한다.
제어부(100)는 먼지 이송 밸브(10a)[처리동 밸브(13a)]의 전후 방향에 대한 각도를 상기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에 의해 설정된 각도(α1~α5)(β1~β5)와 일치시키기 위해 모터(M1)(M2)에 동작 지령을 발하고, 로터리 인코더(E1)(E2)에 의한 모터(M1)(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모터(M1)(M2)를 구동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을 저감시키는 처리 및 배진구(33)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을 저감하기 위한 처리를 소정 조건하에서 실행한다. 도 11은 제어부(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100)는 내부 버스(100g)에 의해 서로 접속된 CPU(100a), ROM(100b), RAM(100c), 및 EEPROM(100d)을 구비하고 있다. CPU(100a)는 ROM(100b)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RAM(100c)으로 판독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먼지 이송 밸브(10a) 및 HST(41)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모터(M1)에 의한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86) 및 모터(M2)에 의한 처리동 밸브 구동 회로(87)를 더 구비하고 있다. CPU(100a)에 제어된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86)가 구동 지령을 모터(M1)에 출력한다. CPU(100a)에 제어된 처리동 밸브 구동 회로(87)가 구동 지령을 모터(M2)에 출력한다.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하여 HST(41)의 변속 회로(41a)에 변속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하여 예취 클러치(46) 및 탈곡 클러치(44)에 연결/분리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하여 표시부(95)에 소정의 표시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
예취 스위치(80),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 함수 선택 스위치(82), 차속 센서(43), 배출량 센서(34), 허용값 설정 스위치(83), 로터리 인코더(E1)(E2), 먼지 센서(200), 투구 센서(23b) 및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8)의 각 출력 신호는 입력 인터페이스(100e)를 통하여 제어부(100)에 입력되어 있다.
도 12는 임계값(P)과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f), 및 임계값(Q)과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출력 전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g)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EPROM(100d)에는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임의의 출력 전압과 임계값(P)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f)와,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임의의 출력 전압과 임계값(Q)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g)가 기억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출력 전압(Va)에 대한 임계값(Q)은 임의의 출력 전압(Va)에 대한 임계값(P) 이하가 된다. 또한, 함수(f) 및 함수(g)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임계값(P) 및 임계값(Q)은 각각 증감한다.
도 13은 임계값(R)과 투구(23a)로부터 곡립 탱크(4)로 송출되는 곡립량[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x)~함수(z) 및 임계값(S)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k)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EPROM(100d)에는 임계값(R)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x, y, z) 및 임계값(S)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k)가 기억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투구량(D)에 대한 임계값(S)은 임의의 투구량(D)에 대한 임계값(R) 이하가 된다. 또한, 함수(x)~함수(z)에 있어서 투구량(D)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임계값(R) 및 임계값(S)은 각각 증감한다. 또한, 도 13에 있어서는 함수 선택 스위치(82)에 의해 함수(x)가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EEPROM(100d)에 있어서는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이 변수인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에 격납되어 있다.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은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CPU(100a)에서 적산하여 구한다. 또한, EEPROM(100d)에는 곡간을 예취할 수 있는 기체의 속도의 하한값(Vmin)이 기억되어 있다.
도 14~도 17은 제어부(100)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10a)의 동작 제어 등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일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 NO].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였을 경우에는[스텝(S1): YES], CPU(100a)는 허용값 설정 스위치(83)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f) 및 함수(g)를 참조하고, 임계값(P) 및 임계값(Q)을 설정한다[스텝(S3)]. 이어서, CPU(100a)는 함수 선택 스위치(82)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4)],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x)~함수(z)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선택한다. 이어서, CPU(100a)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을 받아들인다[스텝(S5)]. 그리고, 선택된 함수(x)~함수(z)에 투구량(D)을 적용하여 임계값(R)을 구함과 아울러 함수(k)에 투구량(D)을 적용하여 임계값(S)을 구한다[스텝(S6)]. 이어서, CPU(100a)는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E1)을 받아들인다[스텝(S7)]. 그리고, CPU(100a)는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E1)을 투구량(D)으로 제산하고, 먼지의 비율(A1)을 산출한다[스텝(S8)]. 이어서, CPU(100a)는 산출된 먼지의 비율(A1)이 임계값(R)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9)]. 먼지의 비율(A1)이 임계값(R)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9): YES], 곡립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F1)을 받아들인다[스텝(S10)].
그리고, CPU(100a)는 손실량(F1)이 임계값(P)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1)]. 손실량(F1)이 임계값(P)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11): NO],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2)].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 이하일 경우에는[스텝(S12): YES], CPU(100a)는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표시부(95)에 출력한다[스텝(S13)].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표시부(95)에 출력함으로써 표시부(95)의 표시 패널(95a)에 의해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이 표시된다(도 8 참조). 이 때 유저는 반송비 설정 스위치(84) 및 탈곡 깊이 설정 스위치(91)를 조작하여 먼지량을 저감하기 위한 조작을 필요에 따라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CPU(100a)는 후술하는 스텝(S15)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스텝(S12): NO], 즉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n=2~5)일 경우에는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86)로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14)], 로터리 인코더(E1)에 의한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1이 될 때까지 모터(M1)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내장되어 있는 타이머(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5): NO]. 상기 소정 시간은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작게 했을 때부터 먼지량이 감소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에 상당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15): YES] CPU(100a)는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E2)을 받아들인다[스텝(S16)]. 그리고, CPU(100a)는 먼지량(E2)을 투구량(D)으로 제산하여 먼지의 비율(A2)을 산출한다[스텝(S17)]. 이어서, CPU(100a)는 먼지의 비율(A2)이 임계값(S)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8)]. 먼지의 비율(A2)이 임계값(S)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18): NO] CPU(100a)는 스텝(S12)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먼지의 비율(A2)이 임계값(S)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18): YES],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F1)이 임계값(P) 이상일 경우는[스텝(S11): YES], CPU(100a)는 차속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도(V)를 받아들인다[스텝(S19)].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검출된 속도(V)가 하한값(Vmin)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0)]. 속도(V)가 하한값(Vmin) 이상일 경우는[스텝(S20): YES], CPU(100a)는 표시부(95)로 감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21)], CPU(100a)는 감속 지령을 변속 회로(41a)로 출력한다[스텝(S22)]. 그리고,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속도(V)가 하한값(Vmin)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20): NO],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3)].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 이하일 경우에는[스텝(S23): YES], CPU(100a)는 기기 이상, 예컨대 크림프 망(15)의 눈 막힘 및 피드 체인(5)과 협지 부재(6) 사이의 협지 압력이 부족한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표시부(95)로 출력하고[스텝(S26)],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1)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스텝(S23): NO], 즉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n=2~5)일 경우에는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86)로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24)], 로터리 인코더(E1)에 의한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1이 될 때까지 모터(M1)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25): NO]. 상기 소정 시간은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작게 했을 때부터 먼지량이 감소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에 상당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25): YES],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먼지의 비율(A1)이 임계값(R)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9): NO] CPU(100a)는 표시부(95)에서 기기 이상을 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7)]. 표시부(95)에서 기기 이상을 표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27): NO] CPU(100a)는 후술하는 스텝(S29)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표시부(95)에서 기기 이상을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는[스텝(S27): YES], CPU(100a)는 기기 이상의 표시를 종료하는 신호를 표시부(95)로 출력한다[스텝(S28)]. 그리고, CPU(100a)는 표시부(95)에서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9)]. 표시부(95)에서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29): NO] CPU(100a)는 후술하는 스텝(S31)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표시부(95)에서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을 표시하고 있을 경우에는[스텝(S29): YES] CPU(100a)는 먼지의 비율의 증대의 표시를 종료하는 신호를 표시부(95)로 출력한다[스텝(S30)].
그리고, CPU(100a)는 곡립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F2)을 받아들인다[스텝(S31)]. 이어서, CPU(100a)는 받아들여진 손실량(F2)이 임계값(P)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2)]. 손실량(F2)이 임계값(P)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2): NO]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F2)이 임계값(P)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2): YES],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3)].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3): YES] CPU(100a)는 후술하는 스텝(S38)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3): NO] 즉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m (m=1~4)일 경우에는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86)로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34)], 로터리 인코더(E1)에 의한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m+1이 될 때까지 모터(M1)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5): NO]. 상기 소정 시간은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크게 했을 때부터 손실량이 감소할 때까지 필요한 시간에 상당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35): YES] CPU(100a)는 곡립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F3)을 받아들인다[스텝(S36)]. 이어서, CPU(100a)는 받아들여진 손실량(F3)이 임계값(Q)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7)]. 손실량(F3)이 임계값(Q)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7): YES]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F3)이 임계값(Q)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7): NO] CPU(100a)는 차속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도(V)를 받아들인다[스텝(S38)]. 그리고, CPU(100a)는 받아들여진 속도(V)가 하한값(Vmin)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9)]. 속도(V)가 하한값(Vmin)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9): NO]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속도(V)가 하한값(Vmin)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9): YES] CPU(100a)는 표시부(95)로 감속되는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40)], CPU(100a)는 감속 지령을 변속 회로(41a)로 출력한다[스텝(S41)]. 그리고, CPU(100a)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손실량) 및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을 구하고, 구한 비율 및 손실량에 따라서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하거나 또는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은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 때문에 투구 센서(23b)에 의해 곡립량을 검출함으로써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을 고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먼지량의 비율을 산출함으로써 먼지의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행할지 또는 상기 손실량을 저감시키는 제어를 행할지의 판정을 고정밀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에 대하여 소정 범위를 설정하고,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는 악화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또한,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대해서 소정 범위를 설정하고,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손실량은 상기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고,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어 있는 한편 상기 손실량은 상기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를 개방하여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짚이 급동(11)에 체류하는 시간을 단축하고, 급동(11)에서 짚이 분쇄되어 다량의 먼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고, 또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외에 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는 악화되어 있지 않는 한편 상기 손실량은 상기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으므로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를 폐쇄하여 급동(11)으로부터 송출되는 곡립량을 저감하고, 손실량의 저감을 도모한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고,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고, 또한 손실량이 허용 손실량을 초과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탈곡 장치(2)에 과잉으로 곡간이 공급되어 있다고 생각되므로 상기 주행 크롤러(1)를 강제적으로 감속시켜서 곡간의 예취량을 감소시켜 손실량의 저감 및 먼지의 발생의 방지를 도모한다.
또한,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이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선별 정밀도가 악화되어 있는 것을 보고한다. 그 결과, 선별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조작, 예컨대 반송비 설정 스위치(84) 및 탈곡 깊이 설정 스위치(91)의 조작을 행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을 곡립 탱크(4)에 수확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로서 산출하고 있지만,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차속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도는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차속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도와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을 곡립 탱크(4)에 저류되는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로서 산출해도 좋다. 즉, 스텝(S8)[또는 스텝(S17)]에 있어서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E1)[또는 먼지량(E2)]과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의 비율(A1)[또는 비율(A2)]을 산출하고, 스텝(S9)[또는 스텝(S18)]에 있어서 산출된 비율(A1)[또는 비율(A2)]을 임계값(R)[또는 임계값(S)]과 비교하는 부분을 먼지 센서(200)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E1)[또는 먼지량(E2)]과 차속 센서(43)에 의해 검출된 속도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비율을 임계값(R)[또는 임계값(S)]과 비교해도 좋다. 이 경우 기존의 차속 센서(43)를 이용하여 상기 비율을 산출하므로 콤바인의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을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으로 제산하여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을 산출하고 있지만, 그 역수를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과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의 비율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각 임계값 및 판정 처리를 상기 역수에 대응시켜서 변경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은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는 것 및 기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표시부(95)에서 표시하지만, 캐빈(8) 내에 램프 또는 부저를 설치하여 먼지의 비율이 증대하고 있을 경우 또는 기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또는 부저를 울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은 허용값 설정 스위치(83)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의거하여 임계값(P) 및 임계값(Q)을 설정하는 구성이지만, 투구량(D)에 의거하여 임계값(P) 및 임계값(Q)을 설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투구량(D)과 임계값(P)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 및 투구량(D)과 임계값(Q)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를 미리 EEPROM(100d)에 기억해 두고,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를 각 함수에 적용하여 임계값(P) 및 임계값(Q)을 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투구 센서(23b) 대신에 곡립 탱크(4)에 저류된 곡립량의 총량을 검출하는 중량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중량 센서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과 임계값을 비교해도 좋지만, 요철의 큰 포장을 콤바인이 주행하고, 콤바인의 자세가 급격에 변화되었을 경우에 곡립 탱크(4) 내에서 곡립이 편재하고, 상기 중량 센서로 정확하게 곡립량을 검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투구 센서(23b) 및 배출량 센서(34)로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요철의 큰 포장을 콤바인이 주행하고, 콤바인의 자세가 급격하게 변화될 경우에도 콤바인의 자세의 변화의 영향은 투구 센서(23b) 및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검출값에 거의 파급되지 않는다.
이어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1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로 래크(19)의 하방에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먼지 센서(205)가 배치되어 있다. 먼지 센서(205)는 스트로 래크(19)로부터 누하된 먼지가 먼지 센서(205)에 접촉했을 때에 압전 소자로부터 전압 신호가 출력되어 소정 시간당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먼지 센서(205)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에 의거하여 전술한 탈곡 장치(2) 내의 먼지량을 저감시키는 처리 및 배진구(33)로부터 배출되는 곡립을 저감하기 위한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먼지 센서(205)는 압전 소자를 갖는 센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를 갖는 광센서를 먼지 센서(205)로서 사용하고, 발광 소자 및 수광 소자 사이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해도 좋다. 또한, 발신기 및 수신기를 갖는 초음파 센서를 먼지 센서(205)로서 사용하고, 발신기 및 수신기 사이를 통과하는 먼지량을 검출해도 좋다.
도 19~도 23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의 변형예 2~6에 있어서의 탈곡 장치(2)의 내부 구성을 대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변형예 2에 있어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량 센서(34)가 크림프 망(15)과 요동 선별 장치(1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량 센서(34)는 크림프 망(15)으로부터 누하된 곡립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된 곡립량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크림프 망(15)으로부터 누하되는 곡립량과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배출량 센서(34)에 의한 검출값을 적용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한다.
변형예 3에 있어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프 망(15)의 하방으로서 크림프 망(15)보다도 후방측에 배출량 센서(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량 센서(34)는 급동(11)으로부터 낙하된 곡립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급동(11)으로부터 낙하되는 곡립량과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배출량 센서(34)에 의한 검출값을 적용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한다.
변형예 4에 있어서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시브(20)의 옆에 배출량 센서(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량 센서(34)는 그레인 시브(20)로부터 흘러 넘치는 곡립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그레인 시브(20)로부터 흘러 넘치는 곡립량과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배출량 센서(34)에 의한 검출값을 적용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한다.
변형예 5에 있어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 로터(14)의 하방에 배출량 센서(34)가 배치되어 있다. 처리 로터(14)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구로부터 곡립이 배출된다. 상기 배출량 센서(34)는 처리 로터(14)로부터 배출된 곡립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된 곡립량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처리 로터(14)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과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배출량 센서(34)에 의한 검출값을 적용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한다.
변형예 6에 있어서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실(13)의 배출구(13e)의 하방에 배출량 센서(3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량 센서(34)는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된 곡립량을 검출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하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과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배출량 센서(34)에 의한 검출값을 적용하여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구한다.
또한, 실시형태 1에 의한 콤바인 및 그 변형예에 사용되고 있는 로터리 인코더 또는 포텐셔미터는 위치 검출기의 예시이며, 로터리 인코더 또는 포텐셔미터 대신에 리졸버(resolver) 등의 다른 위치 검출기를 사용해도 좋다.
(실시형태 2)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캐빈(8) 내에는 후술하는 함수(p, q, r)를 유저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 자동 제어 램프 및 경고 램프(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선택 스위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00e)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자동 제어 램프 및 경고 램프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에 접속되어 있다.
선택 스위치는 상기 함수 선택 스위치(82)와 같은 구성이다(전술한 도 6 참조). 유저는 삼각형의 표식을 1~3의 숫자 중 어느 하나에 맞추어 함수(p~r)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선택한다. 자동 제어 램프 및 경고 램프는 제어부(100)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점등되거나 또는 소등된다.
도 24는 임계값(T)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p)~함수(r), 및 임계값(U)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m)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EEPROM(100d)에는 임계값(T)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p, q, r) 및 임계값(U)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m)가 기억되어 있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투구량(D)에 대한 임계값(U)은 임의의 투구량(D)에 대한 임계값(T) 이하가 된다. 또한, 함수(p)~함수(r)에 있어서 투구량(D)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임계값(T) 및 임계값(U)은 각각 증감한다. 또한, 도 24에 있어서는 선택 스위치에 의해 함수(p)가 선택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EEPROM(100d)에는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이 변수인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에 격납되어 있다. 먼지 이송 밸브(10a)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은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CPU(100a)에서 적산하여 구한다. 또한, EEPROM(100d)에는 처리동 밸브(13)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이 변수인 처리동 밸브 각도(θb)에 격납되어 있다. 처리동 밸브(13)의 각도를 나타내는 값은 모터(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CPU(100a)에서 적산하여 구한다.
도 25는 제어부(100)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일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 NO].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였을 경우에는[스텝(S1): YES] CPU(100a)는 선택 스위치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p~r) 및 함수(m)를 참조한다. 이어서, CPU(100a)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을 받아들인다[스텝(S3)]. 그리고, CPU(100a)는 투구량(D)을 함수(p~r) 및 함수(m)에 적용하여[스텝(S4)] 임계값(T) 및 임계값(U)을 설정한다[스텝(S5)].
그리고,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1)을 받아들이고[스텝(S6)], 손실량(A1)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7)]. 손실량(A1)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7): NO] CPU(100a)는 처리를 스텝(S6)으로 리턴시킨다.
손실량(A1)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7): YES]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점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8)]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어서, CPU(100a)는 후술하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9)], 후술하는 처리동 밸브(13a) 작동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0)]. 그리고,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소등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11)], 후술하는 밸브 리턴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12)]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임계값(T) 이상의 곡립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실행되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EEPROM(100d)으로부터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의 값을 판독하고[스텝(S91)],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92), 도 10 참조].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가 아닐 경우[스텝(S92): NO] 즉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n=1~4)일 경우에는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100g)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93)], 로터리 인코더(E1)에 의한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n+1이 될 때까지 모터(M1)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94): NO]. 상기 소정 시간은, 예컨대 스텝(S9)에서의 처리에 의해 먼지 이송 밸브(10a, 10a, 10a, 10a)의 각도를 변경했을 때부터 상기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이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94): YES]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2)을 받아들이고[스텝(S95)], 손실량(A2)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96)]. 손실량(A2)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96): NO], 스텝(S9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2)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96): YES]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를 종료하고, 스텝(S10)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각도(α5)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92): YES]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임계값(T) 이상의 곡립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실행되는 처리동 밸브 작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7은 처리동 밸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EEPROM(100d)으로부터 처리동 밸브 각도(θb)의 값을 판독하여[스텝(S101)]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각도(β5)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2), 도 10 참조].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각도(β5) 미만일 경우[스텝(S102): NO] 즉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βn(n=1~4)일 경우에는 CPU(100a)는 처리동 밸브 구동 회로(87)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3)]. 이 때 CPU(100a)는 로터리 인코더(E2)에 의한 모터(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βn+1이 될 때까지 모터(M2)를 정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CPU(100a)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04): NO]. 상기 소정 시간은, 예컨대 스텝(S1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처리동 밸브(13a, 13a, 13a, 13a)의 각도를 변경했을 때부터 상기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이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104): YES]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3)을 받아들여[스텝(S105)] 손실량(A3)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6)]. 손실량(A3)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106): NO] CPU(100a)는 스텝(S10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3)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106): YES] CPU(100a)는 처리동 밸브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각도(β5)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102): YES] CPU(100a)는 후술하는 차속 저감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107)], 처리동 밸브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차속 저감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8은 차속 저감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차속 센서(43)로부터 차속 검출값을 받아들인다[스텝(S1071)]. 그리고, CPU(100a)는 받아들여진 차속 검출값과 EEPROM(100d)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기체의 속도의 하한값(Vmin)을 비교하여 차속 검출값이 Vmin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72)]. 차속 검출값이 Vmin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1072): YES] CPU(100a)는 저속 지령을 변속 회로(41a)에 출력하고[스텝(S1073)], 기체를 소정 속도 저감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074): NO]. 상기 소정 시간은, 예컨대 스텝(S1073)에서의 처리에 의해 차속를 저감시켰을 때부터 상기 배출구(13e)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이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1074): YES]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4)을 받아들여[스텝(S1075)] 손실량(A4)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076)]. 손실량(A4)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1076): NO] CPU(100a)는 스텝(S107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4)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1076): YES] CPU(100a)는 차속 저감 처리를 종료한다.
차속 검출값이 Vmin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1072): NO] CPU(100a)는 경고 램프에 점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1077)] 차속 저감 처리를 종료한다. 차속 검출값이 Vmin 미만의 경우로서, 손실량이 임계값(U) 이상일 때에는 그레인 시브(15), 채프 시브(18)에 짚이 막히는 등의 이상이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어 경고 램프의 점등에 의해 상기 가능성을 유저에게 보고할 수 있다.
이어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임계값(U) 미만의 곡립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실행되는 밸브 리턴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9는 밸브 리턴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1)에 의해 설정된 설정 각도(r1)를 받아들인다[스텝(S1201)].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의 값과 설정 각도(r1)의 값을 비교하여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설정 각도(r1)와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202)].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설정 각도(r1)와 같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1202): NO]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구동 회로(100g)에 밸브 리턴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1203)], 로터리 인코더(E1)에 의한 모터(M1)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도 6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가 αk(k=2~5)로부터 αk-1이 될 때까지 모터(M1)를 역회전시킨다.
이어서,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204): NO].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1204): YES] CPU(100a)는 처리를 스텝(S1201)으로 리턴시킨다.
먼지 이송 밸브 각도(θa)의 값이 설정 각도(r1)와 같을 경우에는[스텝(S1202): YES] CPU(100a)는 처리동 밸브 각도 설정 스위치(82)에 의해 설정된 설정 각도(r2)의 값을 받아들인다[스텝(S1205)].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처리동 밸브 각도(θb)의 값과 설정 각도(r2)의 값을 비교하여 처리동 밸브 각도(θb)의 값이 설정 각도(r2)의 값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1206)].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설정 각도(r2)와 같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1206): NO] CPU(100a)는 처리동 밸브 구동 회로(87)에 밸브 리턴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207)]. 이 때 CPU(100a)는 로터리 인코더(E2)에 의한 모터(M2)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도 6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동 밸브 각도(θb)가 βk(k=2~5)로부터 βk-1이 될 때까지 모터(M2)를 역회전시킨다.
이어서,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1208): NO].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1208): YES] CPU(100a)는 처리를 스텝(S1205)으로 리턴시킨다. 처리동 밸브 각도(θb)의 값이 설정 각도(r2)와 같은 경우에는[스텝(S1206): YES] CPU(100a)는 밸브 리턴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2)로부터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량을 투구 센서(23b)로 검출하고,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T)을 산출한다. 그리고,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작동을 제어하여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임계값(T)을 탈곡 장치(2)로부터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산출하고 있으므로 수확되는 곡립량에 따른 임계값(T)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값(T)과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함수(p~r)에 상기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을 적용하여 임계값(T)을 산출하므로 임계값(T)이 신속하게 산출된다. 또한, 유저가 곡간의 품종 등에 따라서 복수의 함수(p~r)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임계값(T)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10a)를 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임계값(T)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처리동 밸브(13a)를 한 방향으로 회동시켜서 손실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작동이 불가능하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주행 크롤러(1)를 강제적으로 감속시켜서 예취되는 곡간량을 저감시킨다. 이에 따라 손실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상기 임계값(T) 이상인 것을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유저에게 보고하여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작, 예컨대 감속 조작을 유저가 행하는 것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제어를 해제할 경우에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를 설정된 위치까지 서서히 리턴시켜서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에 대하여 급격한 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동 밸브(13a)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0은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는 조정망의 진퇴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상기 캐빈(8) 내의 대시보드 패널에는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축 둘레에서 회동가능한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정면에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삼각형의 표식을 붙이고 있다. 또한,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주위에는 1~5의 번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표식을 1~5의 번호에 맞추어 조정망(94)의 위치를 5단계로 설정하도록 하고 있다[이하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에 의해 설정된 조정망(94)의 위치를 설정 위치(Ds)라 함). 또한,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내부에는 포텐셔미터가 내장되어 있어 설정 위치(Ds)에 따라 전압 신호를 제어부(100)로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의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에 그레인 시브(20)보다도 망눈이 작은 조정망(9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정망(94)은 진퇴 기구(90)에 의해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을 진퇴하도록 하고 있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진퇴 기구(90)는 상기 그레인 시브(2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케이싱(9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91)은 상기 그레인 시브(20)측에 개구(92)를 갖고 있다. 케이싱(91) 내에는 모터(M3)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모터(M3)에 볼 나사 기구(93)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볼 나사 기구(93)는 상기 모터(M3)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레인 시브(20)와 대략 평행한 수나사(93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나사(93a)에는 너트부(93b)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너트부(93b)와 수나사(93a)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전동체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M3)의 정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부(93b)는 그레인 시브(20)에 접근하고, 모터(M3)의 역회전에 의해 상기 너트부(93b)는 그레인 시브(20)로부터 이반(離反)한다.
상기 너트부(93b)의 상측에 상기 그레인 시브(20)와 대략 평행한 조정망(94)이 고정되어 있다. 모터(M3)가 정회전했을 경우에, 도 30 중의 파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조정망(94)은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으로 진출하고, 모터(M3)가 역회전했을 경우에, 도 30 중의 실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으로부터 퇴출하여 상기 케이싱(91)에 수용된다.
모터(M3)에는 로터리 인코더(E3)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M3)는 제어부(100)로부터 구동 회로를 통하여 부여되는 동작 지령에 따라 구동되고,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이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해 검출된다. 제어부(100)에는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출력 신호가 입력되고,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해 검출된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이 입력된다.
도 30 중 X1~X5는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1~5의 번호에 대응하는 조정망(94)의 선단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설정 위치(Ds)는 위치(X1~X5)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다. 위치(X1~X5)의 순서로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으로의 조정망(94)의 진출 거리는 길어지고, 그레인 시브(20)로부터 누하되는 곡립량은 감소한다.
제어부(100)는 조정망(94)의 선단 위치를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에 의해 설정된 위치(X1~X5)와 일치시키기 위해 모터(M3)에 동작 지령을 발하고,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한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모터(M3)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EEPROM(100d)에는 조정망(94)의 선단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 변수인 조정망 선단 위치(Da)에 격납되어 있다. 조정망(94)의 선단 위치를 나타내는 값은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한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CPU(100a)에서 적산하여 구해진다.
도 31은 제어부(100)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처리망(94)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일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21): NO].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였을 경우에는[스텝(S21): YES] CPU(100a)는 상기 선택 스위치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2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p~r) 및 함수(m)를 참조한다(도 24 참조). 이어서, CPU(100a)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을 받아들인다[스텝(S23)]. 그리고, CPU(100a)는 투구량(D)을 함수(p~r) 및 함수(m)에 적용하여[스텝(S24)] 임계값(T) 및 임계값(U)을 설정한다[스텝(S25)].
그리고,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5)을 받아들여[스텝(S26)] 손실량(A1)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7)]. 손실량(A5)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27): NO] CPU(100a)는 스텝(S26)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5)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27): YES]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점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28)]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어서,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29)] 후술하는 조정망 작동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30)]. 이어서,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소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31)] 자동 제어 램프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밸브 리턴 처리를 실행하고[스텝(S32)], 후술하는 조정망 복귀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33)]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조정망 작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2는 조정망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스텝(S29)]가 종료되었을 경우에는 CPU(100a)는 EEPROM(100d)으로부터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을 판독하여[스텝(S301)]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위치(X1)를 나타내는 값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02)].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위치(X1)를 나타내는 값과 같지 않을 경우[스텝(S302): NO] 즉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위치(Xn)(n=2~5)를 나타내는 값일 경우에는 CPU(100a)는 모터(M3)에 역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303)],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한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위치(Xn+1)를 나타내는 값이 될 때까지 모터(M3)를 역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CPU(100a)에 내장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04): NO]. 상기 소정 시간은 스텝(S303)에서의 처리에 의해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을 변경했을 때부터 상기 그레인 시브(20)로부터 흘러 넘치는 곡립량이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에 상당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스텝(S304): YES]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6)을 받아들여[스텝(S305)] 손실량(A6)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06)]. 손실량(A6)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06): NO] CPU(100a)는 스텝(S30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6)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06): YES] CPU(100a)는 조정망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위치(X1)를 나타내는 값일 경우에는[스텝(S302): YES] CPU(100a)는 차속 저감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307)] 조정망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이어서, 조정망 복귀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3은 조정망 복귀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CPU(100a)는 EEPROM(100d)으로부터 조정망 위치 설정 스위치(70)에 의한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을 판독한다[스텝(S331)]. 그리고, CPU(100a)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과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을 비교하여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과 같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32)].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과 갖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332): NO] 모터(M3)에 복귀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333)], 로터리 인코더(E3)에 의한 모터(M3)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이 될 때까지 모터(M3)를 정 또는 역회전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334): NO].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334): YES] CPU(100a)는 처리를 스텝(S331)으로 리턴시킨다.
조정망 선단 위치(Da)의 값이 설정 위치(Ds)를 나타내는 값과 같을 경우에는[스텝(S332): YES] CPU(100a)는 조정망 복귀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S29)에 있어서의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 스텝(S32)에 있어서의 밸브 리턴 처리, 및 스텝(S307)에 있어서의 차속 저감 처리는 각각 전술한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도 26 참조), 밸브 리턴 처리(도 29 참조), 및 차속 저감 처리(도 28 참조)와 같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1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2)로부터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량을 투구 센서(23b)로 검출하고,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T)을 산출한다. 그리고,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 상기 조정망(94)의 작동을 제어하여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임계값(T)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조정망(94)을 그레인 시브(20)의 상방으로부터 퇴출시켜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4는 채프 시브의 동작 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상기 급동(11)의 근방에 급동(11)에서 탈곡된 배출 짚을 도시하지 않은 커터를 향하여 반송하는 짚 배출 체인(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체인(50)에 대향시켜서 짚 배출 가이드 봉(51)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 및 짚 배출 체인(50) 사이를 짚 배출 체인(50)의 이동과 함께 배출 짚이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의 하측에 L형의 회동 레버(5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 레버(52)는 전후 방향으로 긴 전후 레버(52a)와, 상기 전후 레버(52a)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하 레버(52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상하 레버(52b) 및 전후 레버(52a)의 각이 진 부분에 추축(52c)이 설치되어 있다.
짚 배출 가이드 봉(51)과 전후 레버(52a)의 후단부가 연결 봉(5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전후 레버(52a)와 연결 봉(53)은 피벗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봉(53)의 주위에 용수철체(5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 및 짚 배출 체인(50) 사이를 이동하는 배출 짚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압박되어 하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동 레버(52)는 추축(52c)을 지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이 때 상기 용수철체(54)는 압축된다. 한편, 배출 짚이 감소함에 따라서 압축된 용수철체(5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상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회동 레버(52)는 추축(52c)을 지점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한다(도 34 파선 화살표 참조).
이어서, 채프 시브(18)(조정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채프 시브(18)는 직사각형으로 프레임이 짜여진 프레임체를 갖고 있다. 상기 프레임체를 구성하고 있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에 배치된 두 개의 프레임재 사이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시브판(18a, 18a, ···, 18a)을 전후 방향을 따라 병설하고 있다. 상기 시브판(18a, 18a, ···, 18a)의 각 상부는 프레임재에 지지축(18k, 18k, ···, 18k)을 통하여 피벗되어 있다. 각 시브판(18a, 18a, ···, 18a)의 하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개의 연결 로드(18b)에 추축(18l, 18l, ···, 18l)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 로드(18b)의 전방부에 직사각형상의 회동판(18c)의 중도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회동판(18c)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 로드(18b)의 상방에서 축체(18i)를 중심으로 하여 피벗되어 있다. 상기 회동판(18c)의 타단부에는 채프 와이어(chaff wire)(18e)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채프 와이어(18e)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 레버(52b)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축체(18i)에는 축체(18i) 주변의 회동판(18c)의 위치를 검출하는 포텐셔미터형의 시브 센서(18j)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시브 센서(18j)에 의해 시브각[시브판(18a)과 연결 로드(18b)가 이루는 각도](θr)이 검출된다. 시브 센서(18j)의 출력 신호는 제어부(100)에 입력된다.
또한, 상기 축체(18i)에 도시하지 않은 수동 레버에 의해 조작되는 L형의 수동판(18h)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수동판(18h)의 타단부에는 상기 채프 와이어(18e)의 중도부 및 수동 와이어(18g)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 수동 와이어(18g)의 타단부는 상기 수동 레버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판(18c)의 일단부 및 수동판(18h)의 타단부에 용수철체(18d)를 사이에 끼워 상기 수동판(18h)과 상기 회동판(18c)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동판(18h)의 중도부에는 용수철체(18f)의 일단부를 연결하고 있고, 상기 용수철체(18f)의 타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2)의 적소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회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채프 와이어(18e)는 견인되고, 상기 회동판(18c)은 반시계 회전으로 회동한다. 상기 연결 로드(18b)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시브판(18a, 18a, ···, 18a)은 기립하여 시브각(θr)은 커지고, 시브판(18a, 18a, ···, 18a)끼리의 간격은 넓어진다. 이 때 용수철체(18f)는 압축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한편 상기 회동 레버(52)가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는 상기 용수철체(18f)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판(18c)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연결 로드(18b)는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시브판(18a, 18a, ···, 18a)은 기울어 넘어져 시브각(θr)은 소가 되고, 시브판(18a, 18a, ···, 18a)끼리의 간격은 좁아진다(도 34 파선 화살표 참조).
배출 짚의 증감에 따라서 짚 배출 가이드 봉(51)이 상하로 움직이고, 상기 회동 레버(52)가 회동하여 상기 수동판(18h) 및 회동판(18c)이 회동하고, 시브각(θr)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수동 레버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수동 와이어(18g)가 견인되거나 또는 이완되어 상기 수동판(18h) 및 회동판(18c)이 회동하고, 시브각(θr)이 조정된다. 또한, 상기 수동 레버는 적절한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풍구(27)의 흡기구(55) 부근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풍구(27)의 일측에 풍구(27)에 흡입되는 공기가 통류하는 직사각형의 흡기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기구(55)의 중앙부에 흡기구(55)의 일부를 덮는 전후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고정판(5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판(56)의 상측부를 따라 직사각형 판형상의 셔터(57)가 인접하고 있다. 상기 셔터(57)는 그 일단부를 상기 탈곡 장치(2)의 적소에 피벗하고 있어, 상기 셔터(57)가 상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셔터(57)는 상기 고정판(56)으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확대되고, 상기 셔터(57)가 하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셔터(57)는 상기 고정판(56)에 접근하여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
상기 셔터(57)의 전단부에는 인장 용수철(58)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인장 용수철(58)의 하단부는 상기 탈곡 장치(2)의 적소에 록킹되어 있다. 또한, 상기 셔터(57)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축체(59)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축체(59)의 돌출 단부에 셔터 와이어(60)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셔터 와이어(60)의 타단부는 상기 상하 축(5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셔터 와이어(60)는 견인되고, 상기 셔터(57)는 상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확대되어 인장 용수철(58)은 신장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한편 상기 회동 레버(52)가 전방으로 회동했을 때에 상기 인장 용수철(58)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셔터(57)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상기 흡기구(55)의 개구 면적이 축소된다(도 34 파선 화살표 참조).
상기 회동 레버(52)의 하방에 채프 시브(18)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 기구는 모터(M4) 및 전자식 모터 클러치(7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모터(M4)에는 모터(M4)의 회전축을 제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전자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터(M4)의 회전축은 도시하지 않은 감속 기어 박스를 통하여 모터 클러치(71)의 한쪽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모터 클러치(71)의 다른 쪽은 상기 추축(52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모터(M4)에는 모터(M4)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E4)를 설치하고 있다.
모터(M4)는 제어부(100)로부터 구동 회로를 통하여 부여되는 동작 지령에 의해 구동한다. 제어부(100)는 로터리 인코더(E4)에 의한 모터(M4)의 회전수 및 회전 방향을 나타내는 값을 피드백 정보로 하여 모터(M4)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모터(M4)의 회전 개시와 동시에 전자 브레이크가 해제되고, 회전 종료와 동시에 전자 브레이크가 작동한다. 또한, 모터 클러치(71)는 제어부(100)의 연결/분리 신호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된다.
제어부(100)의 연결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71)가 연결되고, 모터(M4)가 정회전했을 경우에는 상기 회동 레버(52)는 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용수철체(54)는 신장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제어부(100)의 분리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모터 클러치(71)가 분리되었을 때에는 상기 용수철체(54)의 복원력과 짚 배출 가이드 봉(51)에 작용하는 배출 짚의 압력에 의해 상기 회동 레버(52)는 회동하여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짚 배출량에 따른 위치에 배치된다.
모터 클러치(71)가 연결하여 모터(M4)가 정회전함으로써 회동 레버(52)가 후방으로 회동하고, 상기 수동판(18h) 및 회동판(18c)이 회동하여 시브각(θr)이 조정된다. 또한, 모터 클러치(71)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짚 배출 가이드 봉(51)은 짚 배출량에 따른 위치에 배치되고, 배출 짚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수동판(18h) 및 회동판(18c)이 회동하여 시브각(θr)이 조정된다.
이어서, 제어부(10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00)의 EEPROM(100d)에는 시브각(θr)의 상한값(θmax)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출력 인터페이스(100f)를 통하여 모터(M4)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모터 클러치(71)에 연결/분리 신호를 출력한다. 로터리 인코더(E4) 및 시브 센서(18j)의 각 출력 신호가 입력 인터페이스(100e)를 통하여 제어부(100)에 입력되어 있다.
도 35는 제어부(100)가 실행하는 먼지 이송 밸브(10a) 및 채프 시브(18)의 동작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의 CPU(100a)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일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41): NO].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온신호를 받아들였을 경우에는[스텝(S41): YES] CPU(100a)는 선택 스위치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4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p~r) 및 함수(m)를 참조한다. 이어서, CPU(100a)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을 받아들인다[스텝(S43)]. 그리고, CPU(100a)는 투구량(D)을 함수(p~r) 및 함수(m)에 적용하여[스텝(S44)], 임계값(T) 및 임계값(U)을 설정한다[스텝(S45)].
그리고,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7)을 받아들이고[스텝(S46)], 손실량(A7)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47)]. 손실량(A7)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47): NO] CPU(100a)는 처리를 스텝(S46)으로 리턴시킨다.
손실량(A7)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47): YES]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점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48)]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어서, CPU(100a)는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49)] 후술하는 채프 시브 작동 처리를 실행한다[스텝(S50)]. 이어서, CPU(100a)는 자동 제어 램프에 소등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51)] 자동 제어 램프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밸브 리턴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52)]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스텝(S49)] 및 밸브 리턴 처리[스텝(S52)]는 각각 전술한 먼지 이송 밸브 작동 처리(도 26 참조) 및 밸브 리턴 처리(도 29 참조)와 같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임계값(T) 이상의 곡립량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실행되는 채프 시브 작동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6은 채프 시브 작동 처리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초기 상태에 있어서 모터 클러치(71)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제어부(100)의 CPU(100a)는 모터 클러치(71)에 연결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501)] 모터 클러치(71)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CPU(100a)는 시브 센서(18j)에 의해 검출된 시브각(θr)을 받아들인다[스텝(S502)]. 이어서, CPU(100a)는 시브각(θr)이 EEPROM(100d)에 기억되어 있는 상한값(θmax)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03)]. 시브각(θr)이 상한값(θmax)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503): NO] CPU(100a)는 모터(M4)에 정회전 신호를 출력하고[스텝(S504)], 모터(M4)를 소정수 정회전시킨다. 상기 모터(M4)의 정회전에 의해 시브각(θr)은 커지고, 곡립이 누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셔터(57)가 상방으로 회동하여 풍구(27)에 흡인되는 공기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CPU(100a)는 타이머를 사용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505): NO]. 상기 소정 시간은 스텝(S504)에서의 처리에 의해 모터(M4)를 소정수 정회전시켰을 때부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손실량이 감소할 때까지의 시간에 상당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505): YES] CPU(100a)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A8)을 받아들이고[스텝(S506)], 손실량(A8)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07)]. 손실량(A8)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507): NO] CPU(100a)는 스텝(S502)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A8)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507): YES] CPU(100a)는 모터 클러치(71)에 분리 신호를 출력하여[스텝(S508)] 모터 클러치(71)를 분리시켜 채프 시브 작동 처리를 종료한다.
시브각(θr)의 검출값이 상한값(θmax)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503): YES] 차속 저감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509)] 스텝(S508)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또한, 스텝(S509)에 있어서의 차속 저감 처리는 전술한 차속 저감 처리(도 28 참조)와 같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변형예 2에 의한 콤바인에 있어서는 탈곡 장치(2)로부터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량을 투구 센서(23b)로 검출하고, 검출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T)을 산출한다. 그리고,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 상기 채프 시브(18)의 작동을 제어하여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임계값(T)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 채프 시브(18)를 개방하여 탈곡 장치(2)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콤바인의 배출량 센서(34)는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 배치되어 있지만, 배출량 센서(34)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크림프 망(15)과 요동 선별 장치(16) 사이(도 19 참조), 크림프 망(15)의 아래 하방 부근(도 20 참조), 그레인 시브(20)의 옆(도 21 참조), 처리 로터(14)의 하방(도 22 참조) 또는 배출구(13e)의 하방(도 23 참조)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곡립량과 손실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검출된 곡립량을 적용하여 손실량을 구한다.
실시형태 2 및 그 변형예에 의한 콤바인의 구성 중 실시형태 1 및 그 변형예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3)
이하 본 발명을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을 나타내는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7은 곡간 센서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상기 피드 체인(5)의 근방에 피드 체인(5)에 반송되는 곡간을 검출하는 곡간 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곡간 센서(9)는 포텐셔미터부(9a)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포텐셔미터부(9a)에는 추축(9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추축(9b)에는 피드 체인(5)에 의해 반송되는 곡간이 접촉되는 접촉 봉(9c)이 피드 체인(5)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추축(9b)에는 코일 용수철(9d)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예취부(3)에서 예취된 곡간은 상기 세로 반송 장치(7)를 거쳐서 피드 체인(5)의 시단부에 보내진다. 피드 체인(5)에 의해, 도 37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곡간은 반송되어 접촉 봉(9c)에 접촉하고, 도 37의 박스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 봉(9c)은 기울어 넘어진다. 추축(9b)에는 도시하지 않은 접동자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접동자는 도시하지 않은 저항 피막 상을 이동한다. 곡간이 상기 접촉 봉(9c)에 접촉하고, 접촉 봉(9c)이 기울어 넘어져 추축(9b)이 회동했을 경우에 저항 피막 상을 접동자가 이동하고, 포텐셔미터부(9a)로부터 곡간이 반송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100)에 출력된다. 한편 곡간이 상기 접촉 봉(9c)에 접촉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코일 용수철(9d)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촉 봉(9c)은 기립하고, 상기 포텐셔미터부(9a)로부터 곡간이 반송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신호가 제어부(100)에 출력된다.
캐빈(8) 내의 대시보드 패널에는 탈곡 스위치, 로스 모니터 램프(loss monitor lamp) 및 자동 제어 램프(모두 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 스위치는 상기 예취 스위치(80)와 같은 압박식의 스위치이다(전술한 도 6 참조). 탈곡 스위치에 대한 압박 또는 압박 해제에 의해 탈곡 스위치로부터 제어부(100)로 신호가 입력되어, 탈곡 클러치(44)의 연결/분리가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로스 모니터 램프 및 자동 제어 램프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녹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하도록 하고 있고, 또한 점멸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로스 모니터 램프 및 자동 제어 램프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소등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EEPROM(100d)에는 예취부(3)에서의 예취를 정상으로 행할 수 있는 최저 속도(Vm), 임계값(J1~J3)[이하 특정하지 않는 한 단지 임계값(J)이라고 함] 및 임계값(K)(J>K), 및 상기 시브판(18a)이 회동할 수 있는 최대 각도[허용 최대 각도(rmax)]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캐빈(8) 내의 대시보드 패널에는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선택 스위치에 의해 후술하는 함수(p~r)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또한 임계값(J1~J3)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EEPROM(100d)에는 실시형태 2와 같이 임계값(T)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p, q, r) 및 임계값(U)과 투구량(D)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m)가 기억되어 있다(도 24 참조).
RAM(100c)에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을 나타내는 값, 및 예취 모드에서의 탈곡 작업을 직전까지 행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변수(W)가 기억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탈곡 스위치, 예취 스위치(80), 곡간 센서(9), 및 차속 센서(4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거하여 탈곡 장치(2) 및 예취부(3)의 작동 상태가 예취 모드, 수동 예취 모드 또는 대기 모드 중 어느 것에 있는지를 판정하는 모드 판정 제어를 행한다.
도 38은 모드 판정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모드 판정 제어의 개시시에 로스 모니터 램프 및 자동 제어 램프는 소등하고 있고, 탈곡 클러치(44)는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우선 제어부(100)는 탈곡 스위치로부터 탈곡 클러치(44)의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 탈곡 스위치로부터 탈곡 클러치(44)의 분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 NO] 제어부(100)는 스텝(S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탈곡 스위치로부터 탈곡 클러치(44)의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 YES]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변수(W)에 0을 대입한다[스텝(S2)].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로스 모니터 램프를 녹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3)]. 그리고, 제어부(100)는 상기 곡간 센서(9)로부터 곡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4)]. 상기 곡간 센서(9)로부터 곡간의 부존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4): NO] 후술하는 대기 모드 제어를 행한다[스텝(S11)].
곡간 센서(9)로부터 곡간의 존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4): YES] 예취 스위치(80)로 예취 클러치(46)의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5)].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상기 예취 클러치(46)의 분리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스텝(S5): NO] 후술하는 수동 예취 모드 제어를 행한다[스텝(S10)].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예취 클러치(46)의 연결을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5): YES] ROM(100b)에 액세스하여 최저 속도(Vm)를 참조한다[스텝(S6)]. 이어서, 제어부(100)는 차속 센서(43)로부터 속도(V)를 나타내는 신호를 취득한다[스텝(S7)]. 그리고, 속도(V)가 최저 속도(Vm)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 속도(V)가 최저 속도(Vm)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8): YES] 후술하는 예취 모드 제어를 행한다[스텝(S9)]. 속도(V)가 최저 속도(Vm)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8): NO] 후술하는 수동 예취 모드 제어를 행한다[스텝(S10)].
예취 모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취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채프 시브(18) 및 셔터(57)의 작동을 제어한다(도 34 참조). 도 39~도 41은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제어부(100)는 모터 클러치(71)에 분리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21)]. 이 때 회동 레버(52)는 짚 배출량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선택 스위치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2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함수(p~r) 및 함수(m)를 참조한다(전술한 도 24 참조). 이어서, 제어부(100)는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투구량(D)을 받아들인다[스텝(S23)]. 그리고, 제어부(100)는 투구량(D)을 함수(p~r) 및 함수(m)에 적용하여[스텝(S24), 도 24 참조] 임계값(T) 및 임계값(U)을 설정한다[스텝(S25)]. 이어서,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로부터의 신호를 받아들이고, 소정 시간당의 손실량(L1)을 받아들인다[스텝(S26)]. 그리고, 제어부(100)는 손실량(L1)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27)]. 손실량(L1)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27): NO] 제어부(100)는 스텝(S3)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1)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27): YES] 시브 센서(18j)에 의해 검출된 시브각(θr)을 받아들인다[스텝(S28)]. 이어서, 제어부(100)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허용 최대 각도(rmax)를 설정한다[스텝(S29)]. 그리고, 제어부(100)는 받아들여진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0)].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0): YES] 후술하는 스텝(S49)으로 진행한다.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0): NO] 로스 모니터 램프를 적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31)]. 상기 로스 모니터 램프를 적색으로 점등함으로써 속도를 저하시켜서 예취량을 저감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CPU(100a)에 내장된 타이머(도시 생략)에 의한 계시(計時)를 개시한다[스텝(S32)].
이어서,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2)을 받아들인다[스텝(S33)]. 그리고, 손실량(L2)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4)]. 손실량(L2)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4): NO] 제어부(100)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종료한다[스텝(S35)]. 그리고,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변수(W)에 1을 대입한다[스텝(S36)].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텝(S3)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2)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4): YES] 계시를 개시하고 나서 경과된 시간(T)이 소정 시간(Ts)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37)]. 시간(T)이 소정 시간(Ts)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37): NO] 제어부(100)는 스텝(S33)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시간(T)이 소정 시간(Ts)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37): YES] 계시를 종료한다[스텝(S38)].
이어서, 제어부(100)는 자동 제어 램프를 녹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39)]. 그리고, 모터 클러치(71)에 연결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40)]. 이어서, 모터(M4)에 소정수 회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41)]. 이 때 상기 회동 레버(52)는 후방으로 회동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3)을 받아들인다[스텝(S42)]. 그리고, 받아들여진 손실량(L3)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43)]. 손실량(L3)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43): YES]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변수(W)에 1을 대입한다[스텝(S44)]. 이어서, 자동 제어 램프를 소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45)].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텝(S3)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3)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43): NO] 상기 시브 센서(18j)에 의해 검출된 시브각(θr)을 받아들인다[스텝(S46)]. 이어서, 제어부(100)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허용 최대 각도(rmax)를 설정한다[스텝(S47)]. 그리고, 제어부(100)는 받아들여진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48)].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48): YES] 제어부(100)는 로스 모니터 램프를 적색 점멸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49)]. 그리고, 제어부(100)는 자동 제어 램프를 적색 점멸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50)]. 이어서, 제어부(100)는 변속 회로(41a)로 주행 크롤러(1)를 소정 속도 감속시키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51)]. 그리고, 제어부(100)는 소정 시간 경과될 때까지 대기한다[스텝(S52): NO]. 상기 소정 시간은, 예컨대 주행 크롤러(1)를 소정 속도 감속시키고나서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손실량이 저감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이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스텝(S52): YES]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5)을 받아들인다[스텝(S53)]. 그리고, 제어부(100)는 손실량(L5)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4)]. 손실량(L5)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54): YES] 제어부(100)는 스텝(S4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5)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54): NO] 제어부(100)는 스텝(S5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48): NO] 손실량(L3)이 임계값(T)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5)]. 손실량(L3)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55): YES] 제어부(100)는 스텝(S41)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3)이 임계값(T)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55): NO] 로스 모니터 램프를 녹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56)]. 그리고, 제어부(100)는 모터(M4)에 소정수 회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57)]. 이 때 회동 레버(52)는 후방으로 회동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이어서,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4)을 받아들인다[스텝(S58)]. 그리고, 제어부(100)는 손실량(L4)이 임계값(U)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59)]. 손실량(L3)이 임계값(U)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59): YES] 제어부(100)는 스텝(S4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4)이 임계값(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59): NO] 시브 센서(18j)에 의해 검출된 시브각(θr)을 받아들인다[스텝(S60)]. 이어서, 제어부(100)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허용 최대 각도(rmax)를 설정한다[스텝(S61)]. 그리고, 받아들여진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62)].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62): YES] 제어부(100)는 스텝(S49)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시브각(θr)이 허용 최대 각도(rmax)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62): NO] 제어부(100)는 스텝(S57)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어서, 수동 예취 모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동 예취 모드에 있어서 제어부(100)는 채프 시브(18) 및 셔터(57)의 작동을 제어한다(전술한 도 34 참조). 도 42는 수동 예취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는 모터 클러치(71)에 분리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71)]. 이 때 회동 레버(52)는 짚 배출량에 따라서 회동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선택 스위치의 출력을 받아들이고[스텝(S72)],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임계값(J1~J3)으로부터 하나의 임계값을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선택된 임계값(J)(J1~J3)을 설정한다[스텝(S73)]. 이어서,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6)을 받아들인다[스텝(S74)]. 그리고, 제어부(100)는 손실량(L6)이 임계값(J)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5)]. 손실량(L6)이 임계값(J) 미만일 경우에는[스텝(S75): NO] 제어부(100)는 스텝(S4)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6)이 임계값(J) 이상일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로스 모니터 램프를 적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76)]. 그리고, 자동 제어 램프를 녹색으로 점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77)]. 그리고, 제어부(100)는 모터 클러치(71)에 연결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78)]. 이어서, 제어부(100)는 모터(M4)에 소정수 회전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79)]. 이 때 회동 레버(52)는 후방으로 회동한다(도 34 실선 화살표 참조).
이어서, 제어부(100)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임계값(K)을 설정한다[스텝(S80)]. 이어서, 제어부(100)는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손실량(L7)을 받아들인다[스텝(S81)]. 그리고, 제어부(100)는 받아들여진 손실량(L7)이 임계값(K)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2)]. 손실량(L7)이 임계값(K)을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는[스텝(S82): NO] 제어부(100)는 스텝(S79)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손실량(L7)이 임계값(K) 이하일 경우에는[스텝(S82): YES]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변수(W)에 0을 대입한다[스텝(S83)]. 그리고, 자동 제어 램프를 소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84)].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텝(S3)으로 처리를 리턴시킨다.
이어서, 대기 모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대기 모드 제어의 처리 순서를 설명하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는 EEPROM(100d)에 액세스하여 변수(W)에 1이 대입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1)]. 변수(W)에 0이 대입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91): NO] 제어부(100)는 스텝(S71)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변수(W)에 1이 대입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91): YES] 제어부(100)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개시한다[스텝(S92)]. 그리고, 제어부(100)는 경과된 시간(T)이 소정 시간(Tu)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3)]. 시간(T)이 소정 시간(Tu) 이상일 경우에는[스텝(S93): YES] 제어부(100)는 타이머에 의한 계시를 종료한다[스텝(S94)]. 그리고, 제어부(100)는 스텝(S71)으로 처리를 진행시킨다.
탈곡 스위치 및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제어부(100)로 분리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 모드 판정 제어, 예취 모드 제어, 수동 예취 모드 제어, 및 대기 모드 제어를 강제적으로 종료하는 인터럽트 제어를 제어부(100)는 실행한다. 도 44는 인터럽트 제어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제어부(100)는 예취 스위치(80)로부터 분리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1)]. 예취 스위치(80)로부터 연결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01): NO] 제어부(100)는 처리를 스텝(S101)으로 리턴시킨다. 예취 스위치(80)로부터 분리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01): YES] 탈곡 스위치로부터 분리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2)]. 탈곡 스위치로부터 탈곡 클러치(44)의 연결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02): NO] 제어부(100)는 처리를 스텝(S101)으로 리턴시킨다. 탈곡 스위치로부터 분리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경우에는[스텝(S102): YES] 제어부(100)는 로스 모니터 램프를 소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3)]. 이어서, 제어부(100)는 자동 제어 램프를 소등하는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4)]. 그리고, 제어부(100)는 모터 클러치(71)에 분리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5)].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은 예취부(3) 및 급동(11)의 작동 상태가 상기 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상태에 있는지를 판정하고, 예취 모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곡립 탱크(4)로 반송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T)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요동 선별 장치(16)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이 임계값(T) 이상일 경우에 상기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를 작동시켜서 손실량의 저감을 도모한다.
또한,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을 함수(p~r)에 적용하여 임계값(T)을 신속하게 산출한다.
또한, 복수의 함수(p~r)로부터 하나의 함수를 유저가 선택하고, 선택된 함수에 투구 센서(23b)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을 적용함으로써 곡간의 생육 상태 및 품종 등에 따른 유저의 요구에 들어맞는 임계값(T)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탈곡 클러치(44)의 연결/분리, 예취 클러치(46)의 연결/분리, 예취부(3)로부터 급동(11)에 반송되는 곡간의 유무 및 주행 크롤러(1)의 속도에 의해 모드 분할을 행하고 각 모드에 따른 제어를 상기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탈곡 클러치(44)가 연결하고, 예취부(3)로부터 급동(11)으로 곡간이 반송되고 있고, 예취 클러치(46)가 연결하고, 소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 크롤러(1)가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 예취부(3) 및 급동(11)의 작동 상태는 예취 모드에 있다고 판정하고, 예취 모드에 따른 제어를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탈곡 클러치(44)가 연결하고, 예취부(3)로부터 급동(11)으로 곡간이 반송되고 있고, 예취 클러치(46)가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소정 속도 미만으로 주행 크롤러(1)가 주행하고 있을 경우에 예취부(3) 및 급동(11)의 작동 상태는 수동 예취 모드에 있다고 판정하고, 수동 예취 모드에 따른 제어를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에 대하여 행한다.
또한, 선택 스위치를 조작함으로써 수동 예취 모드에 있어서 곡간의 생육 상태 및 품종 등에 따라서 유저가 임계값(J1~J3)으로부터 하나의 임계값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 스위치는 임계값(T) 및 임계값(J)(J1~J3)의 선택에 있어서 겸용되어 있어 대시보드 패널 부근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탈곡 클러치(44)가 연결하고, 예취부(3)로부터 급동(11)으로 곡간이 반송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예취부(3) 및 급동(11)의 작동 상태는 대기 모드에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변수(W)의 값이 1일 경우에는 직전까지 예취 모드로 탈곡 작업이 행해지고 있었던 것으로 판정한다. 변수(W)의 값이 1일 경우에는 급실(10)에 다량의 곡립가 잔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정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작동을 제어하여 예취 모드로 선별 작업을 행하고 있는 상태로 채프 시브(18)의 자세 및 셔터(57)의 위치를 유지하고, 급동(11)에 잔류하고 있는 곡립을 신속하게 저감시킨다.
또한, 제어부(100)에 의해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가 작동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 또는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에는 급실(10)에 잔류하고 있는 곡립량은 조금이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임계값(J) 이상일 경우에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를 작동시켜서 대기 모드에서의 손실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모터(M4)의 구동에 의해 회동 레버(52)를 회동시켜서 채프 시브(18) 및 셔터(57)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손실량을 저감시킨다.
또한,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작동 개시를 보고하여 손실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작동이 불가능한 것을 로스 모니터 램프 및 자동 제어 램프에 의해 보고함으로써 유저에 대하여 손실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조작, 예컨대 감속 조작을 행하는 것을 촉구할 수 있다. 또한,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작동이 불가능할 경우에 주행 크롤러(1)의 속도를 강제적으로 감속시켜서 탈곡 장치(2)로 공급되는 곡간의 양을 저감시켜 손실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제어 램프를 점등시킴으로써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제어가 개시되는 것을 보고할 수 있다. 그 결과, 곡립의 선별 및 손실량의 저감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에 대하여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인식시켜서 안심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선별 장치(16)로부터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을 통하여 배출되는 손실량의 증감을 보고함으로써 손실량에 따른 조작을 행하는 것을 유저에게 촉구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의 배출량 센서(34)는 배진구(33) 및 배기 통로(37)에 배치되어 있지만, 배출량 센서(34)의 배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레인 시브(20)의 옆(도 21 참조) 또는 처리 로터(14)의 하방(도 22 참조)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배출량 센서(34)에 의해 검출되는 곡립량과 손실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에 검출된 곡립량을 적용하여 손실량을 구한다.
또한, 유저에게 보고해야 할 정보를 표시부(95)에 표시해도 좋다. 예컨대, 손실량이 증가하고 있는 것,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에 대하여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것, 및 모터(M4) 및 모터 클러치(71)의 작동이 불가능한 것을 표시부(95)에 표시한다.
실시형태 3에 의한 콤바인의 구성 중 실시형태 1, 실시형태 2 및 그들의 변형예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1: 주행 크롤러(주행부) 2: 탈곡 장치
3: 예취부 4: 곡립 탱크(저류부)
10a: 먼지 이송 밸브(조정 수단) 13a: 처리동 밸브(조정 수단)
11: 급동 18: 채프 시브(조정 수단)
23: 1번 스크류(반송 수단) 23b: 투구 센서(반송량 검출 수단)
33: 배진구 34: 배출량 센서(배출량 검출 수단)
43: 차속 센서(속도 검출 수단)
200, 205: 먼지 센서(먼지량 검출 수단)
65: 먼지 이송 밸브 축 94: 조정망(조정 수단)
100: 제어부 100a: CPU
100b: ROM 100c: RAM
100d: EEPROM 100e: 입력 인터페이스
100f: 출력 인터페이스 100g: 내부 버스
M1~M4: 모터

Claims (10)

  1.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의 주행 중에 곡간을 예취하는 예취부와, 상기 예취부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하는 탈곡 장치와,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의 송출량을 조정하는 조정 수단과,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을 저류하는 저류부를 구비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는 곡립량에 의거하여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나타내는 값을 산출하는 산출 수단과,
    상기 산출 수단으로 구한 값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 내의 먼지량을 검출하는 먼지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저류부에 저류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의 비율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과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의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속도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소정 시간당의 곡립량을 검출하는 반송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먼지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먼지량과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는 원통형의 급동을 갖고 있고;
    상기 조정 수단은 상기 급동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먼지 이송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먼지 이송 밸브의 개폐를 행하는 밸브 구동원과,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비율 판정 수단과,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소정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배출량 판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가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내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먼지 이송 밸브가 폐쇄되도록 상기 밸브 구동원을 구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로서, 상기 배출량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 상기 주행부를 강제적으로 감속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율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비율이 상기 소정 범위 외에 있는 것을 보고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상기 저류부로 곡립을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조정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탈곡된 곡립을 상기 저류부로 반송하는 반송 수단과,
    상기 조정 기구에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 기구와,
    상기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반송량 검출 수단과,
    상기 탈곡 장치에 의해 곡간으로부터 분리된 곡립 및 진애를 선별하는 선별부와,
    상기 선별부로부터 배출되는 곡립량을 검출하는 배출량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산출 수단은 상기 반송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에 의거하여 임계값을 산출하도록 하고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배출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곡립량이 상기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된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와 상기 예취부 및 탈곡 장치의 작동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117020601A 2009-02-20 2010-02-17 콤바인 KR101743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38340 2009-02-20
JP2009038342A JP5244647B2 (ja) 2009-02-20 2009-02-20 コンバイン
JPJP-P-2009-038341 2009-02-20
JPJP-P-2009-038342 2009-02-20
JP2009038341A JP5171685B2 (ja) 2009-02-20 2009-02-20 コンバイン
JP2009038340A JP5171684B2 (ja) 2009-02-20 2009-02-20 コンバイン
PCT/JP2010/052345 WO2010095645A1 (ja) 2009-02-20 2010-02-17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840A true KR20110128840A (ko) 2011-11-30
KR101743102B1 KR101743102B1 (ko) 2017-06-02

Family

ID=4263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601A KR101743102B1 (ko) 2009-02-20 2010-02-17 콤바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43102B1 (ko)
CN (1) CN102365015B (ko)
WO (1) WO2010095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736B1 (ko) * 2012-08-24 2020-08-07 얀마 파워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JP6499112B2 (ja) * 2016-03-30 2019-04-10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4714A (ja) * 1986-04-11 1986-10-2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の作動制御装置
JPH0345433A (ja) * 1989-07-12 1991-02-27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3497305B2 (ja) * 1995-11-29 2004-02-16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穀粒等の粒状被処理物流量の測定装置
JP4009692B2 (ja) * 2000-04-24 2007-11-21 井関農機株式会社 脱穀装置
JP2005065546A (ja) * 2003-08-21 2005-03-17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65015A (zh) 2012-02-29
WO2010095645A1 (ja) 2010-08-26
CN102365015B (zh) 2014-08-20
KR101743102B1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2736B1 (ko) 콤바인
JP6017889B2 (ja) コンバイン
JP6033002B2 (ja) コンバイン
JP5171684B2 (ja) コンバイン
KR20110128840A (ko) 콤바인
JP5191268B2 (ja) コンバイン
JP6588373B2 (ja) コンバイン
JP5171685B2 (ja) コンバイン
JP2010110253A (ja) 脱穀機
KR102064096B1 (ko) 콤바인
JP2018023302A (ja) コンバイン
JP5244647B2 (ja) コンバイン
JP5078845B2 (ja) 脱穀機
JP6228408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16041050A (ja) コンバイン
JP5094491B2 (ja) 脱穀機
JP5891144B2 (ja) コンバイン
JP5078844B2 (ja) 脱穀機
KR102572902B1 (ko) 탈곡 장치
JPH0813221B2 (ja) コンバインの制御装置
JP2648863B2 (ja) 収穫機の車速制御装置
JP2015050947A (ja) 汎用コンバイン
JPH09103169A (ja) 収穫機の車速制御装置
JP2003180129A (ja) コンバイン
JP2832598B2 (ja) 脱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