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902B1 - 탈곡 장치 - Google Patents

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2902B1
KR102572902B1 KR1020177029240A KR20177029240A KR102572902B1 KR 102572902 B1 KR102572902 B1 KR 102572902B1 KR 1020177029240 A KR1020177029240 A KR 1020177029240A KR 20177029240 A KR20177029240 A KR 20177029240A KR 102572902 B1 KR102572902 B1 KR 102572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in
detected
spe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8424A (ko
Inventor
다이스케 후나키
마사히로 니시코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084403A external-priority patent/JP65781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18364A external-priority patent/JP6506109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힌드라 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8Air conduits or blowers for grai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 A01F12/444Fan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요동 선별체의 핀 개방도 및 송풍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효율적인 선별 처리를 행하는 탈곡 장치로서, 송풍 팬의 회전수의 전환 회수를 감소시켜서 부하를 줄임과 함께, 그 제어 내용도 간이화된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66) 및 제어부(50)를 마련하고, 그 제어부(50)는, 상기 검출 센서(66)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팬 증속치(Q2)를 초과한 경우, 상기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증속시키고,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핀 조정치(Q1)를 초과한 경우, 핀 개방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팬 증속치(Q2)가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크게 설정되었다.

Description

탈곡 장치{GRAIN THRESHER}
본 발명은, 처리물의 선별량을 조정 가능한 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핀을 개폐함에 의해 처리물의 누하량(漏下量)을 조정할 수 있는 요동 선별체(搖動選別體)와,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풍(選別風)을 기풍(起風)하는 송풍 팬과, 처리물량이나, 차속(車速)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와, 상기 요동 선별체의 핀 개방도 및 송풍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그 제어부는,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의거하여, 처리물의 선별 능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특허 문헌 1 내지 4에 기재된 탈곡 장치가 종래 공지이다.
일본 특개2012-200192호 공보 일본 특허 제3198508호 공보 일본 특개평8-37910호 공보 일본 특개평10-248367호 공보
상기 문헌에서는,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따르고 처리물의 선별 능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한편으로, 풍구(唐箕) 팬의 회전수나 요동 선별체의 핀의 개방도가 검출 센서의 검출치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검출치의 변동에 따라서는 풍구 팬이나 요동 선별체를 조작하는 기구에 걸리는 부하가 크고, 구성도 복잡하게 되기 쉽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요동 선별체의 핀의 개방도와, 송풍 팬의 회전수가 변경 가능해지도록 제어부를 구성한 탈곡 장치에서, 간이한 구성에 의해 고설(藁屑)과 함께 곡립(穀粒)이 기외(耭外)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송풍 팬의 회전수의 전환 회수를 억제하여 송풍 팬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탈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첫번째로, 핀(22a)을 개폐함에 의해 처리물의 누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요동 선별체(22)와,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풍을 기풍(起風)하는 송풍 팬(23)과,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28)와, 상기 요동 선별체(22)의 핀 개방도 및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팬은, 회전수를 변경함에 의해 선별풍의 풍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소정 범위를 갖는 임계치인 핀 조정치(Q1) 내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핀(22a)의 개방도를 유지하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핀(22a)을 개작동시켜서 누하량을 늘리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핀(22a)을 폐작동시켜서 누하량을 줄이는 핀 자동 제어가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팬 증속치(Q2)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증속하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팬 증속치(Q2)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송풍 팬(23)의 회전수의 증속을 행하지 않는 풍구 팬 자동 제어가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팬 증속치(Q2)를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상기 풍구 팬 자동 제어에 의해 송풍 팬(23)의 선별풍의 풍량을 늘리기 전에, 상기 핀 자동 제어에 의해 요동 선별체의 핀(22a)의 개방도를 크게 하여 누하량을 늘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팬 증속치가 다른 값으로 복수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의 증가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팬 증속치를 기준으로, 상기 송풍 팬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센서와, 상기 핀 개방도를 검출하는 개방도 검출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속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차속이 미리 정한 소정 속도 이상이고 또한 상기 개방도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핀 개방도가 미리 정한 소정 개방도 이상인 것이 검출된 경우, 상기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팬 증속치를 초과하지 않아도, 상기 송풍 팬의 회전수를 증속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 팬의 회전수의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류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기 송풍 팬을,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팬 증속치 미만의 상태시(狀態時)에서의 회전수보다도 더욱 낮은 회전수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 검출 센서의 검출치가 핀 조정치를 초과한 경우는 핀 개방도를 증가시키고, 그래도 처리물의 누하가 나쁘고 상기 검출치가 팬 증속치를 초과한 경우는 송풍 팬 회전수를 증속시키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요동 선별체상의 고설량이 증가하여 핀에 의한 누하가 나빠지면 송풍 팬의 회전수를 증속하여 고설을 날려서 곡립의 누하를 촉진할 수 있기 때문에, 고설 등과 함께 곡립이 기외로 비산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복잡한 제어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비교적 간이하게 제어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풍 팬의 회전수의 전환 빈도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송풍 팬에 걸리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콤바인.
도 2는 탈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3은 탈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정면도.
도 4(A)는, 탈곡 장치의 주요부 우측면도이고, (B)는, 탈곡 장치의 주요부 좌측 단면도.
도 5는 본 콤바인의 동력 계통도.
도 6은 검출 장치의 측면도.
도 7은 검출 장치의 작용 설명도.
도 8(A)는, 수동 모드시의 풍구 팬의 회전수를 도시한 표도(表圖), (B)는, 자동 모드시의 풍구 팬의 회전수를 도시한 표도이고, (C)는, 풍구 팬의 증속 작동시키는 타이밍을 도시한 모델도.
도 9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탈곡 선별 제어의 처리 플로우도.
도 11은 핀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의 플로우도이다.
도 12는 풍구 팬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의 플로우도.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콤바인이고, 도 2 및 도 3은, 탈곡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주요부 측면도 및 주요부 정면도이고, 도 4(A)는, 탈곡 장치의 주요부 우측면도이고, 도 4(B)는, 탈곡 장치의 주요부 좌측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콤바인의 동력 계통도이다. 도면으로부터, 본 콤바인은, 주행부인 좌우 한 쌍의 크롤러식 주행 장치(1, 1)에 지지된 주행기체(走行機體)(2)와, 그 주행기체의 전방에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포장(圃場)의 곡간(穀稈;곡식줄기)의 예취(刈取) 작업을 행하는 전처리부(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주행기체(2)에는, 오퍼레이터가 올라타서 조향 조작을 행하는 조종부가 수용된 캐빈(4)을 전처리부(3)의 바로 뒤의 오른쪽 가까운 위치에 마련하고, 그 캐빈(4)의 후방 비스듬히 좌측에 상기 전처리부(3)에서 예취된 곡간의 탈곡 작업 등을 행하는 탈곡 장치(6)를 설치하고, 조종부의 후방이면서 탈곡 장치(6) 우측에 탈곡된 처리물인 곡립을 수납하는 그레인 탱크(7)를 배치하고, 탈곡 장치(6)의 후방에 탈곡 후의 고설 등을 배출하는 배출부(8)이 마련되어 있다.
함께 전처리부(3)측으로 긁어들여진 포장의 곡간을, 예인(刈刃)(도시 생략)에 의해 예취하는 예취 작업을 행함과 함께, 반송 장치(12)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장치(6)측으로 반송한다.
상기 탈곡 장치(6)는, 상기 반송 장치(12)로부터 반송되는 예취된 곡간의 탈곡 작업을 행하는 탈곡부(13)와, 그 탈곡부(13)의 하측에 배치되어 탈곡된 처리물을 곡립과 고설 등의 배진물(排塵物)로 선별하는 선별부(14)와, 전처리부(3)측의 반송 장치(12)로부터 건네받은 예취된 곡간을 후방 반송하는 피드 체인(반송체)(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탈곡부(13)는, 예취된 곡간이 반송되고 오는 급실(扱室)(16)와, 그 급실(16)의 전후 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전후 방향의 급동(扱胴) 회전축(17) 주위에 회전 구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전단측이 깔때기형이 되는 원통형상의 급동(18)과, 그 급동(18)의 하방으로서, 급동의 형상에 따라 정면시(正面視)로 중앙이 패여진 원호형상을 하고 있는 받이망(受網)(19)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선별부(14)는, 평행 상태로 대향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1, 21)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이 선별부(14)에는, 처리물을 요동 선별한 전후 방향의 요동 선별체(22)와, 선별부(14) 내에 후방 비스듬히 상방을 향한 선별풍을 기풍하는 풍구 팬(송풍 팬)(23)와, 그 풍구 팬(23)의 후방에 배치된 2번 선별 팬(24)과, 선별부(14)의 전후 방향 중앙부 부근에 배치된 좌우 방향의 1번 나선(26)과, 그 1번 나선(26)의 후방에 배치된 2번 나선(27)이 마련되어 있다. 그 사이드 프레임(21, 21)는, 탈곡 장치(6)의 테두리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선별부(14)의 후방은, 고설 등을 기외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20)측과 연통하도록 개구하고 있다.
상기 요동 선별체(22)는,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띄우고 병렬하는 복수의 핀(22a)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 핀(22a)은, 전저(前低) 후고(後高) 형상으로 경사하여 있고, 요동 선별체의 요동에 수반하여 처리물을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핀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곡립을 누하시킨다. 핀(22a)은 그 상측을 지점(支點)으로 하여 요동 선별체의 측판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됨과 함께, 복수의 핀이 연결 부재(도시 생략)를 통하여 연동(連動) 연결되어, 핀 구동 모터(78)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핀(22a)의 전후 경사각을 조정할 수 있다. 그 핀(22a)의 전후 경사각을 변경함에 의해, 핀 사이의 간격(핀 개방도)가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풍구 팬(23)은, 회전수를 변경함에 의해, 선별풍의 풍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풍구 팬(23)으로부터의 풍량과, 요동 선별체(22)의 핀 개방도를, 후술하는 제어부(50)에 의해 제어함에 의해, 처리물의 양에 응하여, 선별량(선별 능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사이드 프레임(21, 21)의 외면측에는, 선별부(14) 내의 소정 개소의 풍량(풍속)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28)가 마련되어 있고, 그 검출 장치(28)에 의해, 탈곡 장치(6) 내의 처리물량을 검출하고 있다. 그 검출 장치(28), 및 제어부(50)의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그 구성에 의해, 선별부(14) 상방의 급실(16)로부터 낙하하여 오는 처리물은, 요동 선별체(22)에 의해 요동 선별되고, 그 요동 선별체(22)로부터 낙하한 처리물이, 풍구 팬(23)로부터의 선별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서 1번 나선(26)측에 낙하하는 1번물과, 선별풍의 영향을 약간 받아 2번 나선(27)측에 낙하하는 2번물과, 선별풍의 영향을 받아 선별부(14)의 뒷부분 상측으로 불려 올려지는 고설 등으로 풍선(風選)된다.
그 선별부(14)에 의해 선별된 곡립은, 양곡(揚穀) 나선(31)에 의해 곡립을 저장한 그레인 탱크(7) 내로 반송되고, 그레인 탱크(7) 내의 곡립은, 주행기체(2)의 윗면 후방측부터 연장되어 나온 배출 오거(32)를 통하여 기외로 배출된다.
상기 조종부에는, 풍구 팬(23)의 회전수(선별풍의 풍량)를 복수단계로 조정하는 풍구 다이얼(33)과,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수동 모드와,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자동 모드로 전환하는 전환 조작구(操作具)(34)와,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개방도를 복수단계로 조정하는 선별 다이얼(36)와, 핀(22a)의 개방도를 수동으로 조정하는 핀 수동 모드와,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핀 자동 모드로 전환하는 핀 전환 조작구(37)가 마련되어 있다(도 9 참조). 그 풍구 다이얼(33)은, 풍구 전환 조작구(34)의 기능을 겸용시켜도 좋고, 선별 다이얼(36)은, 핀 전환 조작구(37)의 기능을 겸용시켜도 좋다.
또한, 그 조종부는, 후술하는 예취 클러치(50)와 작업 클러치(48)를 접속 조작함으로써 전처리부와 탈곡 장치를 구동시켜서 예취 작업을 행하는 「예취 위치」와, 예취 클러치(50)를 절단 조작함과 함께 작업 클러치(48)를 접속 조작함으로써 탈곡 장치만을 구동시키는 「탈곡 위치」와, 예취 클러치(25)와 작업 클러치(48)를 절단 조작함으로써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절단하는 「끊음 위치」로 전환 조작을 행하는 클러치 조작구(73)가 배치되어 있다(도 9 참조).
다음에, 도 2 내지 5에 의거하여 본 콤바인의 전동(傳動)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본 콤바인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엔진(40)의 동력에 의해 각 부분이 구동된다. 엔진(40)에서 발생시켰던 회전 동력은, 출력축(39)에 출력되고, 그 출력축(39)에는, 작업 풀리(41)와, 주행(走行) 풀리(42)가 일체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주행 풀리(42)에 전동된 동력은, 주행 HST(43)측에 벨트 전동되어, 무단계로 변속 전동된 후, 주행 트랜스미션(45)를 통하여, 좌우의 주행 장치(1, 1)에 전동된다.
상기 작업 풀리(41)에 전동된 동력은, 제1 작업 전동축(44)에 벨트 전동되고, 이 제1 작업 전동축(44)에 전동된 동력에 의해, 예취부(3) 및 탈곡 장치(6)가 구동된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 풀리(41)와, 제1 작업 전동축(44)과 일체 회동하는 작업 전동 풀리(46)에 걸어 돌려지는 작업 전동 벨트(47)에는, 작업 전동 벨트(47)의 텐션을 조정한 텐션 풀리로 구성되어 제1 작업 전동축(44)에의 엔진의 동력을 단속(斷續)시키는 작업 클러치(48)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엔진(40)로부터 출력된 동력은, 출력축(39)으로부터 제1 작업 전동축측(44)로 단속 가능한 구성으로 전동된다.
상기 제1 작업 전동축(44)에 전동된 동력은, 전처리부(3)측에 전동되어, 상기 예인(11)이나, 반송 장치(12)측으로 전동된다. 또한, 그 제1 작업 전동축(44)측부터 전처리부(3)측으로 전동되는 동력은, 예취 클러치(50)를 통하여 단속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탈곡 장치(6)측만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수급(手扱) 모드).
또한, 제1 작업 전동축(44)는, 제2 작업 풀리(51)가 일체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그 제1 작업 전동축(44)에 전동된 동력은, 제2 작업 풀리(51)와 제2 작업 전동 풀리(54)로 걸어 돌려지는 제2 작업 전동 벨트(53)를 통하여, 그 제2 작업 전동 풀리(54)와 일체 회전하는 제2 작업 전동축(52)에 전동된다.
제2 작업 전동축(52)에는, 탈곡 풀리(56)와, 송풍 풀리(57)와, 선별 풀리(58)가 일체 회전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작업 전동축(52)에 전동된 동력은, 상기 탈곡 풀리(56)를 통하여, 탈곡 장치(6) 내의 상기 급동(18)를 회전 구동시키는 상기 급동 회전축(17)측으로 전동되고, 상기 송풍 풀리(57)를 통하여, 선별부(14)측의 풍구 팬(23)측에 전동되고, 상기 선별 풀리(58)를 통하여, 상기 요동 선별체(22)측에 전동된다.
상기 송풍 풀리(57)는, 수동측(受動側) 송풍 풀리(59)와 함께 지름을 변경 가능한 가변경(可變徑) 풀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풀리(57, 59)에 의해 걸어 돌려지는 송풍 벨트(61)을 통하여 풍구 팬(23)를 구동시키는 카운터축(62)측에 동력을 변속 전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사이드 프레임(21R)의 외면측에 배치된 풍구 팬(23)을 변속 조작하는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측에 전동되는 동력을 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그 구성에 의하면, 선별부(14) 내에 마련한 풍구 팬(23)를 변속 작동시키는 기구를, 요동 선별체(22)나 풍구 팬(23)의 전동 기구가 설치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21)L)과, 반대측의 우측 사이드 프레임(21R)의 외면측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6 및 도 7에 의거하여, 상기 검출 장치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검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7은, 검출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상기 검출 장치(28)는, 선별부(14)측에 삽통되는 노즐(66)과, 그 노즐(66)에 연결된 파이프 부재(67)와, 에어 플로 센서(6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는, 센서 커버(69)에 덮인 상태에서, 일방측의 사이드 프레임(21)의 외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노즐(66)은, 선별부(14)의 상기 사이드 프레임(2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일단의 흡인구(66a)측이 소정의 검출 개소에 배치되고, 타단은, 사이드 프레임(21)의 외면측에서 파이프 부재(67)에 접속된다.
상기 파이프 부재(67)는, 노즐(66)의 타단측과 에어 플로 센서(68)의 흡인구(68a)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파이프 부재(68)의 중간부는, 노즐(66)과 에어 플로 센서(68)를 연결하는 파이프 경로로부터 돌출하여 부스러기(屑)가 고이는곳이 되는 설류부(屑溜部)(67a)가 마련되어 있다. 그 설류부(67a)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타단측의 개구부는, 설류부(67a)에 고여진 부스러기를 꺼내기 위한 취출구(67b)가 되고, 캡 등의 덮개부재(67c)에 의해 그 취출구(67b)가 개폐된다.
또한, 그 설류부(67a)는, 노즐(66)측부터 설류부(67a)에 이른 파이프 경로와, 에어 플로 센서(68)측부터 설류부(67a)에 이르는 파이프 경로가, 내려가는 경사 또는 아래로 늘어뜨린 형상(垂下狀)으로 있어서, 파이프 경로 내의 고설이 설류부(67a)로 유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의 검출 장치(28)는, 선별부(14) 내의 풍속에 의거한 풍량 변화를, 소정 개소에 배치한 노즐(66)과 파이프 부재(67)를 통하여 연통되는 에어 플로 센서(68)로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검출 장치(28)에 의해, 소정 개소에서의 풍속, 풍량 및/또는 풍압을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는, 주위 온도를 검출하는 주위 온도 센서와, 흡입구(68a)로부터 토출구(68b)에 이르는 검출 풍로 중에, 흡입구(68a)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바람이 불어오는쪽측(風上側) 온도 센서와, 흡입구(68a)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주위 온도보다 소정 온도만큼 높게 되도록 가열하는 히터와, 그 히터의 하류측에 배치된 바람이 불어나가는쪽측(風下側) 온도 센서가 조립된 검출 칩을 내장하고, 바람이 불어오는쪽측 온도 센서와 바람이 불어나가는쪽측 온도 센서로 검출한 온도차에 의거하여 풍량의 검출을 행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부압(負壓)에 의한 풍량 검출의 경우는, 흡입구(68a)와 토출구(68b)의 관계가 반대가 되도록 파이프 부재(67)의 접속을 행한다.
그 구성의 검출 장치(28)에 의하면, 요동 선별체(22)상에 배치된 노즐(66)의 흡인구(66a) 부근에서 검출된 풍량과, 요동 선별체(22)상에 있는 처리물량과의 상관 관계로부터 처리물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되는 풍량이 클수록, 핀(22a)과 처리물을 빠져오는 바람이 강해지기 때문에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량이 적고, 검출된 풍량이 작을수록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이 많아진다.
또한, 상기 설류부(67a)에 의해, 노즐(66)의 흡인구로부터 침입한 요동 선별체(22)상의 고설 등이 유도되기 때문에, 노즐(66)로부터 에어 플로 센서(68)까지의 경로가 고설 등으로 막혀서 풍량 등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요동 선별체(22)상(선별부(14) 내)의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28)는,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의 층두께를 검출하는 층두께 센서 등,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센서를 이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8에 의거하여, 풍구 팬의 회전수의 설정례를 설명한다. 도 8(A)는, 수동 모드시의 풍구 팬의 회전수를 도시한 표도이고, 도 8(B)는, 자동 모드시의 풍구 팬의 회전수를 도시한 표도이고, 도 8(C)는, 풍구 팬의 증속 작동시키는 타이밍을 도시한 모델도이다.
상기 풍구 팬(23)의 회전수는, 상기 전환 조작구(34)(풍구 다이얼(33))에 의해 수동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풍구 다이얼(33)에 의해 복수단계(도시한 예에서는 R1∼R7의 7단계로서, R7>R6>R5>R4>R3>R2>R1)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8(A) 참조). 덧붙여서,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개방도도,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선별 다이얼(36)에 의해 복수단계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환 조작구(34)(풍구 다이얼(33))에 의해 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50)는, 상기 검출 장치(28) 등의 센서류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에 응하여,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표준 상태와, 고속 상태와, 최고속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자동 모드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되는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량의 임계치로서, 핀 조정치(Q1), 제1 팬 증속치(팬 증속치)(Q2), 제2 팬 증속치(팬 증속치)(Q3)가 미리 정하여져 있다. 제1 팬 증속치(Q2)는 핀 조정치(Q1)보다도 큰 값으로 설정되고, 제2 팬 증속치(Q3)는 제1 팬 증속치(Q2)보다도 더욱 큰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핀 조정치(Q1) 이상이고 또한 최소의 팬 증속치인 제1 팬 증속치(Q2) 미만인 경우, 표준 상태로의 전환을 행하고,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풍구 다이얼(33)가 조작된 조작 위치에 응하여, 소정의 회전수(도시한 예에서는, R1, R2, R3, R4, R5, R6 또는 R7의 어느 하나)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제1 팬 증속치(Q2) 이상이고 또한 최대의 팬 증속치인 제2 팬 증속치(Q3) 미만인 경우, 고속 상태로의 전환을 행하고,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풍구 다이얼(33)이 조작된 조작 위치에 응하여, 표준 상태시 이상의 회전수 또는 표준 상태시를 초과한 회전수(도시한 예에서는, R3, R4, R5, R6 또는 R7의 어느 하나로 설정)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제2 팬 증속치(Q3) 이상 또는 제2 팬 증속치(Q3)를 초과한 경우,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고속 상태시 이상의 회전수 또는 고속 상태시를 초과한 회전수(도시한 예에서는, 최고 회전수(R7))로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0)는, 검출 장치(28)나 풍구 변속 포텐셜미터(72) 등, 상기 풍구 팬(23)의 회전수의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류가 고장난 경우(고장이 검출된 경우),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표준 상태시(즉,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핀 조정치(Q1) 이상이고 또한 제1 팬 증속치(Q2) 미만의 상태시)보다도 더욱 낮은 회전수(구체적으로는, 최저 회전수(R1))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핀 전환 조작구(37)에 의해 핀 자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는, 상기 풍구 팬과 마찬가지로, 검출된 처리물량에 응하여 핀(22a)의 개방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핀 자동 모드에 관해 설명한다. 제어부(50)는,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이 핀 조정치(Q1) 미만인 경우,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핀 개방도의 증가를 시키지 않는다.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표준 상태 또는 고속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검출된 처리물량의 증가에 수반하여 핀 개방도가 커지도록,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작동을 제어한다. 덧붙여서,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개방도가 커진 상태에서는, 누하량이 증가하여 선별 능력이 향상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상기 최고속 상태인 경우에는, 핀 개방도가 최대가 되도록,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을 개작동(開作動)시킨다.
이상과 같이,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의 양에 응하여, 선별부(14) 내에서의 선별력을 복수단계로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간이한 구성으로 선별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소정의 임계치(Q2, Q3)를 초과한 때에 단계적으로 변경함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에 응하여 연속적으로 회전수를 변경하는 것과 비교하여, 풍구 팬(23)의 회전수의 전환 빈도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풍구 팬(23)에 걸리는 부담을 경감하고, 고장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장치(28) 등의 센서류가 고장난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풍구 팬(23)의 회전수가 최저에 설정되기 때문에, 고장난 센서류의 오검출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증속하여 곡립이 고설 등과 함께 기외로 비산하는 사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9 내지 도 12의 기재에 의거하여, 제어부의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부(50)의 입력측에는, 상기 선별 다이얼(36)(선별 전환 조작구(37))와, 상기 풍구 다이얼(33)(풍구 전환 조작구(34))와, 상기 검출 장치(28) 내의 에어 플로 센서(68)와, 요동 선별체(22)의 핀 개방도를 검출하는 핀 개방도 포텐셜미터(핀 개방도 검출 센서)(71)와,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풍구 변속 포텐셜미터(72)와, 상기 클러치 조작구(파워 클러치)(73)와, 주행 트랜스미션(45) 내의 샤프트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센서 등에 의해 주행기체(2)의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센서(74)(차속 검출 수단)와, 예취 작업 중인진 여부를 검출하는 곡간 센서(75)와, 전처리부(3)를 정지시킨 상태에서 탈곡 장치(6)를 구동시키는 상기 수급 모드로 전환하는 수급 스위치(76)와, 배출 오거(32)의 선회 위치를 검출하는 배출 오거 선회 포텐셜미터(77)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속 센서(74)는, 주행 변속을 조작하는 주변속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는 레버 포텐셜 등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검출하여도 좋다.
한편, 제어부(50)의 출력측에는,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을 개폐 작동시키는 핀 구동 모터(78)와,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조작하는 풍구 변속 모터(79)와, 각 상태를 오퍼레이터에 통보한 통보 수단(81)인 액정 모니터와, 경적이 접속되어 있다.
그 구성에 의해, 상기 제어부(50)는,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개방도와,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검출된 처리물량에 응하여 적절히 조정하는 핀 자동 제어와, 풍구 팬 자동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각각에 관해 상세히 기술한다.
도 10은, 제어부가 실행하는 탈곡 선별 제어의 처리 플로우도이다. 제어부(50)는, 탈곡 선별 제어가 시작되면, 스텝 S1로 진행한다. 스텝 S1에서는, 선별 전환 조작구(37)에 의해 선별량을 자동 조정하는 자동 상태(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되고, 자동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핀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 처리를 실행하고, 그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에서 자동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수동 상태) 경우에는, 스텝 S4로 진행한다. 스텝 S4에서는, 핀 수동 제어의 서브루틴 처리를 실행하고, 그 처리가 종료되면, 스텝 S3으로 진행한다.
핀 수동 제어의 서브루틴에서는,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선별 다이얼(36)에 의해 설정된 조작(操作) 위치에 의거하여 핀(22a)의 개방도가 설정된다.
스텝 S3에서는, 풍구 전환 조작구(34)에 의해 선별풍의 풍량(풍구 팬의 회전수)를 자동 조정하는 자동 상태(자동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출되고, 자동 상태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서는, 풍구 팬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 처리를 실행하고, 그 처리가 종료되면, 탈곡 선별 제어가 종료된다.
스텝 S3에서 자동 상태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6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서는, 풍구 팬 수동 제어의 서브루틴 처리를 실행하고, 그 처리가 종료되면, 탈곡 선별 제어가 종료된다.
풍구 팬 수동 제어의 서브루틴에서는,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풍구 다이얼(33)에 의해 설정된 조작 위치에 의거하여 풍구 팬(23)의 회전수가 설정된다(도 8 참조).
도 11은, 핀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의 플로우도이다. 그 서브루틴의 처리가 시작되면, 스텝 S11로 진행한다. 스텝 S11에서는, 상기 선별 다이얼(36)의 조작 위치를 검출하고,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검출된 선별 다이얼(36)의 조작 위치에 의거하여, 요동 선별체(22)의 핀(22a)의 초기 위치와, 개폐 한계 위치(제어 범위)를 결정하고, 그 후,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상기 클러치 조작구(73) 등에 의해 예취 작업 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예취 작업 중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4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는, 상기 곡간 센서(75) 등으로부터 예취 작업이 예취 시작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예취 시작이 아닌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4에서 예취 시작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6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를 작동시켜, 핀(22a)의 개방도를 초기 개방도로 설정하고, 그 후,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1)와 동등한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7로 진행한다. 스텝 S17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의 작동을 정지함에 의해, 핀(22a)의 개방도를 유지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이때, 핀 조정치(Q1)와 동등하다고 판단되는 소정 범위를 설정하여도 좋다.
스텝 S15에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8로 진행한다. 스텝 S18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를 작동시킴에 의해, 핀(22a)을 폐 작동시켜서 처리물의 누하량을 줄이고, 그 후, 서브루틴의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15에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19로 진행한다.
스텝 S19에서는,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3)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20로 진행한다. 스텝 S20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를 작동시킴에 의해, 핀(22a)을 개작동시켜서 처리물의 누하량을 늘리고, 그 후, 서브루틴의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19에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3)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21로 진행한다. 스텝 S21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를 작동시킴에 의해, 핀(22a)의 개방도를 최대로 하고, 스텝 S22로 진행한다. 스텝 S22에서는, 상기 통보 수단(81)에 의해 오퍼레이터에게 핀 개방도가 최대인 것을 알리고, 그 후, 서브루틴의 처리를 정지한다.
스텝 S13에서 상기 곡간 센서(75)에 의해 예취 작업 중인 것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3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의 작동을 정지함에 의해, 핀(22a)의 개방도를 유지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그 구성에 의하면, 핀 자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풍구 자동 모드에 의해 회전수가 증속된 처리물량(Q2)보다도 적고, 또한 처리물량(Q1)보다 많은 처리물량이 상기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되면, 핀(22a)의 개방도가 넓게 되도록 가동된다. 또한, 소정의 임계치(Q3)를 넘는 처리물량이 검출된 때에는 (도 8 참조), 핀(22a)의 개방도를 최대로 함과 함께, 핀(22a)이 최대 개방도로 설정된 것을 오퍼레이터측에 통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풍구 팬 자동 제어의 서브루틴의 플로우도이다. 그 서브루틴의 처리가 시작되면, 스텝 S31로 진행한다. 스텝 S31에서는, 상기 클러치 조작구(73)의 조작 위치가 확인되고, 그 클러치 조작구(73)가 예취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2로 진행한다. 스텝 S32에서는, 상기 수급 스위치(76)의 입절(入切) 조작이 확인되고, 그 수급 스위치(76)가 끊음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3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3에서는,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에어 플로 센서(68)),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풍구 변속 포텐셜미터(72) 등의 센서류가 고장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들 센서류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S34로 진행한다.
스텝 S34에서는,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3)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35로 진행한다. 스텝 S35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최고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스텝 S34에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핀 조정치(Q3)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36으로 진행한다.
스텝 S36에서는,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팬 증속치(Q2)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37로 진행한다. 스텝 S37에서는, 상기 핀 구동 모터(78)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고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스텝 S36에서 상기 에어 플로 센서(6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상기 팬 증속치(Q2)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38로 진행한다. 스텝 S38에서는, 상기 차속 센서(74)에 의해 검출된 차속이, 미리 설정된 소정 차속보다도 빠른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검출된 차속이 소정 차속 이상인 경우에는, 스텝 S39로 진행한다.
스텝 S39에서는, 상기 핀 개방도 포텐셜미터(71)에 의해, 핀(22a)의 개방도가 미리 정한 소정 개방도 이상인지의 여부가 확인되고,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개방도보다도 닫혀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40로 진행한다. 스텝 S40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표준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또한, 스텝 S39에서 상기 핀 개방도 포텐셜미터(71)에 의해,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개방도 이상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37로 진행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스텝 S38에서 상기 차속 센서(74)에 의해 검출된 차속이, 소정 차속보다도 느린 경우에는, 스텝 S41로 진행한다. 스텝 S41에서는, 상기 배출 오거 선회 포텐셜미터(77)에 의해, 배출 오거(32)가 배출 위치에 있는지 수납 위치에 있는지가 검출되고, 그 배출 오거(32)가 배출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환언하면, 스텝 S42로 이행한 상태가 저속 상태가 되고, 이 저속 상태시에는, 풍구 팬(23)의 회전수가 상술한 최저 회전수(R1)로 설정된다.
스텝 S41에서 상기 배출 오거 선회 포텐셜미터(77)에 의해, 그 배출 오거(32)가 수납 위치에 있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40로 진행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스텝 S33에서 에어 플로 센서(68)나,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풍구 변속 포텐셜미터(72) 등의 센서류의 이상이 검출된 경우에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즉, 센서류의 고장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는, 풍구 팬(23)를 저속 회전시켜서 곡립이 기외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한다.
스텝 S32에서 수급 스위치(76)가 끊음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즉, 수급(手扱) 상태에서는, 탈곡 장치측만 구동하고, 예취된 곡간의 공급이 수동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풍구 팬(23)이 저속 회전한다.
스텝 S31에서 클러치 조작구(73)가 탈곡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2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를 구동시킴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상기 저속 상태로 전환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즉, 탈곡 장치측만 구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선별부에의 예취된 곡간의 공급은 없기 때문에, 풍구 팬(23)이 저속 회전한다.
스텝 S31에서 클러치 조작구(73)가 끊음 위치로 조작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43으로 진행한다. 스텝 S43에서는, 상기 풍구 변속 모터(79)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유지하고, 그 후, 서브루틴 처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상기에 의하면, 풍구 자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소정의 값(Q2, Q3)를 초과한 때에,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단계적(본 실시례에서는 2단계)으로 증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령, 검출 장치(28)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Q2)를 초과한 값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차속 센서(74)에 의해 미리 정한 속도 이상의 차속이 검출되고, 또한,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이상으로 개조작(開操作)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때에는, 풍구 팬(23)이 고속 상태로 설정되고 회전수가 증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량을 검출 장치에 의해 능숙하게 검출되지 않은 경우라도, 차속 센서(74)에 의해 검출된 차속에 응하여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증속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처리물량이 증가한 때의 선별력의 조정이 보다 안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콤바인에 의하면, 센서류가 고장난 경우, 풍구 팬(23)이 저속 회전되기 때문에, 처리하는 처리물량이 적은 상태에서, 풍구 팬(23)의 회전수가 센서류의 오작동에 의해 상승하여, 너무 강한 선별풍에 의해 곡립이 고설 등과 함께 기외로 날려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콤바인은, 공급되는 곡간의 양을 검출하는 공급량 검출 수단으로서 마련된 차속 센서(74)와, 선별 능력을 증감할 수 있는 요동 선별체(22)와,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풍을 기풍한 풍구 팬(23)과, 요동 선별체(22)의 선별 능력의 증감을 제어함과 함께,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그 제어부(50)가, 요동 선별체(22)의 선별 능력을 소정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있는 한창중에, 공급량 검출 수단(74)에 의해 검출된 곡립 공급량이 미리 정한 소정치를 초과한 경우, 스텝 S38→ 스텝 S39→ 스텝 S37의 처리에 의해,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증속시킨다. 이 구성에 의해, 선별 효율이 더욱 향상한다.
또한, 상기 요동 선별체(22)에서의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처리물량 검출 수단으로서 검출 장치(28)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처리물량 검출 수단(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팬 증속치(Q2)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공급량 검출 수단(74)에 의해 검출된 검출치에 의거하여 송풍 팬(23)의 회전수가 증속되어 있지 않아도, 상기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증속시킨다. 그 구성에 의해, 요동 선별체(22)에서의 처리물의 처리량이 급격하게 증가한 긴급시라도 신속하게 선별 능력을 대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별 능력의 부족에 의해 요동 선별체(22)가 막히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풍구 자동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소정의 값(Q2, Q3)를 초과한 때에,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단계적(본 실시례에서는 2단계)으로 증속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가령, 검출 장치(28)에 의해 소정의 임계치(Q2)를 초과한 값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라도, 상기 차속 센서(74)에 의해 미리 정한 속도 이상의 차속이 검출되고, 또한,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이상으로 개조작되어 있는 것이 검출된 때에는, 풍구 팬(23)이 고속 상태로 설정되어 회전수가 증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차속 센서(74)에 의해 탈곡 장치 내에 공급되는 처리물량을 간접적으로 검출하고, 소정 이상의 차속(처리물의 공급량)이 검출되고, 또한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이상인 경우에는, 고효율 작업이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하고, 요동 선별체(22)에서의 처리물량에 관계없이 풍구 팬의 회전수를 증속함에 의해, 고부하시에도 안정된 선별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검출 장치(28)에 의해 요동 선별체(22)상의 처리물량을 검출 장치에 의해 능숙하게 검출되지 않은 경우라도, 차속 센서(74)에 의해 검출된 차속에 응하여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증속 작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처리물량이 증가한 때의 선별력의 조정이 보다 안정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해, 차속 센서(74)에 의해 소정 이상의 차속이 검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탈곡 장치 내에서 처리하는 처리물량이 많아진 경우나, 차속 센서(7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은 경우 등의 긴급시라도, 상기 검출 장치(28)에 의해 검출된 요동 선별체(22)에서의 처리물량이 소정의 값(Q2, Q3)를 초과한 경우에는, 핀(22a)의 개방도나 차속 센서(74)의 검출치에 의하지 않고서, 풍구 팬(23)의 회전수를 증속 제어하는 것으로 선별 능력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긴급시에도 선별 능력을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6 : 탈곡 장치
22 : 요동 선별체
22a : 핀
23 : 풍구 팬(송풍 팬)
28 : 검출 장치(검출 센서)
50 : 제어부
71 : 핀 개방도 포텐셜미터(개방도 검출 센서)
74 : 차속 센서(차속 검출 수단)
Q1 : 핀 조정치
Q2 : 제1 팬 증속치(팬 증속치)
Q3 : 제2 팬 증속치(팬 증속치)

Claims (4)

  1. 핀(22a)을 개폐함에 의해 처리물의 누하량을 조정할 수 있는 요동 선별체(22)와,
    처리물을 선별하는 선별풍을 기풍하는 송풍 팬(23)과,
    처리물량을 검출하는 검출 센서(28)와,
    상기 요동 선별체(22)의 핀 개방도 및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구비하고,
    상기 송풍 팬은, 회전수를 변경함에 의해 선별풍의 풍량을 조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소정 범위를 갖는 임계치인 핀 조정치(Q1) 내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핀(22a)의 개방도를 유지하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핀(22a)을 개작동시켜서 누하량을 늘리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적은 경우에는 핀(22a)을 폐작동시켜서 누하량을 줄이는 핀 자동 제어가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미리 정한 임계치인 팬 증속치(Q2)보다도 많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증속하고,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상기 팬 증속치(Q2)보다도 적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송풍 팬(23)의 회전수의 증속을 행하지 않는 풍구 팬 자동 제어가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팬 증속치(Q2)를 상기 핀 조정치(Q1)보다도 크게 설정하고, 상기 풍구 팬 자동 제어에 의해 송풍 팬(23)의 선별풍의 풍량을 늘리기 전에, 상기 핀 자동 제어에 의해 요동 선별체의 핀(22a)의 개방도를 크게 하여 누하량을 늘리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팬 증속치의 임계치를 적어도 2개 설정하고,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단계적으로 증속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속을 검출하는 차속 검출 센서(74)와, 상기 핀(22a)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개방도 검출 센서(71)를 마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차속이 소정 속도 이상이며 또한 상기 핀(22a)의 개방도가 소정 개방도 이상인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 검출 센서(28)에 의해 검출된 처리물량이 팬 증속치를 초과하지 않아도, 상기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증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송풍 팬(23)의 회전수의 제어에 이용하는 센서류가 고장난 경우에는, 송풍 팬(23)의 회전수를 최저측으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 장치.
KR1020177029240A 2015-04-16 2016-04-14 탈곡 장치 KR102572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84403 2015-04-16
JP2015084403A JP6578123B2 (ja) 2015-04-16 2015-04-16 脱穀装置
JPJP-P-2015-118364 2015-06-11
JP2015118364A JP6506109B2 (ja) 2015-06-11 2015-06-11 脱穀装置
PCT/JP2016/061980 WO2016167309A1 (ja) 2015-04-16 2016-04-14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24A KR20170138424A (ko) 2017-12-15
KR102572902B1 true KR102572902B1 (ko) 2023-08-31

Family

ID=5712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9240A KR102572902B1 (ko) 2015-04-16 2016-04-14 탈곡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572902B1 (ko)
CN (1) CN107426969B (ko)
WO (1) WO2016167309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04A (ja) * 2007-08-30 2009-03-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11097886A (ja) * 2009-11-06 2011-05-1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28837A (en) * 1976-08-30 1978-03-17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Solar heat utilizing air conditioner starting and interrupting process
JP2721083B2 (ja) * 1992-05-29 1998-03-04 株式会社クボタ 脱穀選別制御装置
KR0127876B1 (ko) * 1994-07-28 1998-04-04 미츠이 고헤이 콤바인의 탈곡선별장치
JP2953956B2 (ja) 1994-07-28 1999-09-27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JP3383545B2 (ja) 1997-03-10 2003-03-04 株式会社クボタ 脱穀装置
JP2012200192A (ja) * 2011-03-25 2012-10-22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脱穀装置の風検出装置
JP3198508U (ja) 2015-02-20 2015-07-09 株式会社ワイ・イー・シー スイッチバック充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04A (ja) * 2007-08-30 2009-03-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脱穀機の選別装置
JP2011097886A (ja) * 2009-11-06 2011-05-1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8424A (ko) 2017-12-15
CN107426969B (zh) 2021-02-02
CN107426969A (zh) 2017-12-01
WO2016167309A1 (ja)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6216B2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制御構造
JP2007110909A (ja) コンバイン
JP5171684B2 (ja) コンバイン
KR102572902B1 (ko) 탈곡 장치
JP6506109B2 (ja) 脱穀装置
JP2009017794A (ja) コンバイン
JP3814210B2 (ja) コンバインの二番処理装置
JP6578123B2 (ja) 脱穀装置
JP2009106883A (ja) 籾摺選別装置
JP5244647B2 (ja) コンバイン
JP5204948B2 (ja) コンバイン
JP5171685B2 (ja) コンバイン
KR20180025933A (ko) 콤바인
KR101743102B1 (ko) 콤바인
JP2001327923A (ja) 風選別装置
JP5078845B2 (ja) 脱穀機
JP2000188937A (ja) コンバインの脱穀選別装置
JP6228408B2 (ja) 汎用コンバイン
JP2010187575A (ja) コンバイン
JP4787576B2 (ja) コンバイン
JPH10248367A (ja) 脱穀装置
JP6460680B2 (ja) コンバイン
JP2009268417A (ja) コンバイン
CN113439530A (zh) 联合收割机
JP6192976B2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