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19729A -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19729A
KR20140019729A KR1020130075347A KR20130075347A KR20140019729A KR 20140019729 A KR20140019729 A KR 20140019729A KR 1020130075347 A KR1020130075347 A KR 1020130075347A KR 20130075347 A KR20130075347 A KR 20130075347A KR 20140019729 A KR20140019729 A KR 20140019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resin
mold
external connec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8943B1 (ko
Inventor
타케시 이소다
코지 시노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19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23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for centering the inserts
    • B29C33/126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for centering the inserts using center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inse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47Electrical details of casings, e.g. terminals, passages for cables or wi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02Arrangements of circuit components or wiring on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65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 B29C2045/14131Positioning or centering articles in the mould using positioning or center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품 모듈은, 수지부(200)와, 수지부(200) 내에 매립된 터치 센서(300)와, 수지부(200)에 매립된 유지부(500)와, 터치 센서(300)에 접속되고 또한 유지부(500)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외부 접속부(400)를 포함한다. 유지부(500)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12)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수지부(200)로부터 두께 방향(D1)으로 노출된 노출부(520)를 지니고 있다. 외부 접속부(400)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가능한 도출부(420)를 지니고 있다. 도출부(420)는 유지부(500)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500)로부터 두께 방향(D1)으로 도출되고 있다.

Description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COMPONEN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NENT MODULE}
본 발명은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부품 모듈로서는, 필름과, 상기 필름 상에 형성된 수지부와,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된 기능 부품과, 전송 케이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전송 케이블은, 상기 기능 부품에 접속되어 있고 또한 해당 기능 부품과 함께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제1단부와, 상기 수지부로부터 해당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1단부 이외의 부분을 지니고 있다(특허문헌 1의 도 3 참조).
JP 2011-126236 A
상기 수지부가 금형을 이용해서 상기 필름 상에 성형될 때, 상기 전송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 이외의 부분이 상기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다. 이 수용 오목부는 상기 금형에 해당 금형의 공동(cavity)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 오목부의 내형(內形)은, 해당 수용 오목부 내에 수지가 침입하기 어렵도록, 상기 전송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 이외의 부분의 외형에 가까운 형상이 요구된다. 그러나, 해당 요구를 충족시키면, 상기 전송 케이블의 상기 제1단부 이외의 부분을 상기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수지가 유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한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품 모듈은, 금형을 이용해서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품 모듈은, 수지부와,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된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인 부품과,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유지부와, 상기 부품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외부 접속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지부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상기 수지부로부터 해당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출된 노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외부 접속부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가능한 도출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도출부는,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되어, 해당 수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된다. 또는, 상기 도출부는 상기 유지부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된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유지부가 수지부에 매립되어, 해당 유지부의 노출부가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수지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는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되고, 해당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수지부 또는 유지부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고 있다. 이 때문에, 금형을 이용해서 부품과, 유지부를 수지부에 매립할 때(수지성형 시),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고, 유지부의 노출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수지부의 수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의 노출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가 가로막히므로, 해당 수용 오목부의 형상을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베이스부와, 상기 수지부로부터 상기 돌출 방향 쪽으로 돌출하고,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상기 노출부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수지부로부터 돌출된 유지부의 노출부가, 수지성형 시에 해당 노출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하므로, 유지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기 쉬워진다.
상기 유지부의 노출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 유지부의 노출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끼워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금형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출부를 지니고 있을 경우, 상기 노출부는, 상기 끼워맞춤 돌출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가진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 금형의 끼워맞춤 돌출부가 노출부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되므로, 유지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기 쉬워진다.
상기 부품 모듈은, 상기 수지부가 형성된 제1면을 지니는 시트를 더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매몰부를 더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시트의 제1면 상에, 상기 매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부가, 이 순서로 적층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상기 시트의 제1면 상에, 상기 매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부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이 때문에, 수지성형 시에 있어서, 유지부가 시트의 제1면 상의 매몰부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아 해당 금형에 맞닿는다. 환언하면, 유지부가, 시트의 제1면 상의 매몰부의 일부와 금형 사이에 끼여 유지되므로, 금형 내에 사출되는 수지에 의해서 유지부가 압압되어, 외부 접속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지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지부의 수지가 상기 간극에 들어간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유지부와 시트 사이의 간극에 수지부의 수지가 들어가 있으므로, 유지부의 외형이 시트에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의 유지부 대향부의 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해당 유지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삽입된 관통 구멍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도출부를 유지부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접속부가 상기 유지부의 외면 상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부와 함께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폐쇄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유지부의 외면 상에 고착시키는 것만으로, 도출부를 유지부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삽입 성형 등에 의해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매립할 수 있으므로, 도출부를 유지부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파트(part)를 지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둘러싸도록 유지부의 파트를 조합시키는 것만으로, 외부 접속부를 유지부에 용이하게 고착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유지부가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의 존재를 수지부를 통해서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부품 모듈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1단부가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인 부품에 접속된 외부 접속부를,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고,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제1, 제2금형의 공동 내에 수용하며,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을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공동 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수지에 삽입 성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제1, 제2금형을 이용해서 부품과, 유지부를 수지에 삽입 성형할 때에,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을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여, 유지부에 의해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수지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에 의해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가 가로막히므로, 해당 수용 오목부의 형상을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이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크기로 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제1금형의 상기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유지부의 선단부를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기 쉬워진다.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 유지부의 선단부를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끼워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테이퍼부가 유지부의 선단부를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안내하므로, 유지부의 선단부를 수용 오목부에 용이하게 끼워맞춤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제1금형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출부를, 상기 유지부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제1금형의 끼워맞춤 돌출부를 유지부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에 의해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기 쉬워진다.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공동 내에 수용시킬 때, 해당 공동 내에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시트 상에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부를 이 순서로 적층시키는 동시에, 해당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수지를 사출시킬 때, 상기 수지를 상기 시트 상에 사출시켜, 해당 시트 상에서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수지에 삽입 성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 유지부가 시트의 제1면 상의 외부 접속부의 일부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아 해당 금형에 맞닿는다. 환언하면, 유지부가, 제1, 제2금형에 시트 및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개재해서 끼워 유지되므로, 공동 내에 사출되는 수지에 의해서 유지부가 눌려, 외부 접속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공동 내에 수용시킬 때,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맞닿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2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 유지부가 제1, 제2금형 사이에 끼여 유지되므로, 공동 내에 사출되는 수지에 의해서 유지부가 눌려, 외부 접속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에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수지성형 시에, 유지부가 제1금형에 고착되어 있으므로, 공동 내에 사출되는 수지에 의해서 유지부가 눌려, 외부 접속부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을 경우, 상기 공동 내에 수지를 사출시킬 때, 상기 수지를 상기 간극에 유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에 의한 경우, 유지부와 시트 사이의 간극에 수지부의 수지가 들어가 있으므로, 유지부의 외형이 시트에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의 유지부 대향부의 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지부는, 해당 유지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상기 유지부의 외면에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 및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상기 유지부에 삽입 성형함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파트를 가지고 있을 경우, 상기 파트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합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양상의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유지부가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부의 존재를 수지부를 통해서 눈에 띄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부품 모듈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도 2는 상기 부품 모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부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부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도 5b는 상기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중 유지부를 외부 접속부에 고착시키는 공정을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부품 모듈의 개략적 단면도;
도 7은 상기 부품 모듈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의 부품 모듈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품 모듈에 대해서 상기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부품 모듈은 터치 입력장치이다. 상기 부품 모듈은 시트(100)와 수지부(200)와 터치 센서(300)(부품)와 외부 접속부(400)와 유지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부품 모듈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D1)은 부품 모듈 및 수지부(200)의 두께 방향이며, (D2)는 부품 모듈의 길이 방향이다. (D1)은 (D2)와 직교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부품 모듈의 폭 방향(短手方向)은 (D1), (D2)와 직교하고 있다.
시트(100)는 가요성을 지니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투명수지 필름(예를 들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나 아크릴 필름 등)이다. 시트(100)는 시트(100)의 내면인 제1면(101)과, 시트(100)의 외면인 제2면(102)을 가지고 있다. 시트(100)의 제1면(101)에는, 전체 영역 또는 일부 영역(예를 들어, 외주 영역 또는 길이 방향(D2) 또는 폭 방향의 한 방향의 단부 등)에 장식 인쇄가 실시되어 있다.
수지부(200)는,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형성된 단면(斷面)에서 보아서 대략 U자 형상의 절연성을 지니는 열가소성 수지 또는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다. 수지부(200)는 두께 방향(D1)의 제1, 제2면(201), (202)을 지니고 있다. 수지부(200)가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형성됨으로써, 시트(100)는, 일반적으로 수지부(200)에 밀착 또는 동화되어, 수지부(200)의 제2면(202)에 따라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 상태로 경질화되어 있다(가요성을 상실하고 있다). 시트(100)의 제2면(102)의 평탄한 중앙부가 부품 모듈의 터치 입력면이다.
터치 센서(300)는 강성(rigid) 또는 플렉시블(flexible)한(가요성을 지니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시트 형태의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로서, 시트(100)의 터치 입력면에 접촉하는 손가락 등의 검출 대상을 검출가능하다. 터치 센서(300)는, 시트(100)의 중앙부의 제1면(101) 상에 고착되는 동시에, 수지부(200)에 매립되어 있다. 터치 센서(300)는 시트(100)의 터치 입력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하다.
터치 센서(300)가 강성의 투명 시트 형태일 경우, 하기 1) 내지 3)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센서(300)가 플렉시블한 투명 시트 형태일 경우(즉, 필름 센서일 경우), 하기 4 내지 6)의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터치 센서(300)가, 두께 방향(D1)의 제1, 제2면을 지니는 제1투명 기판과, 상기 제1투명 기판의 제1면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1투명 기판의 제2면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가진 구성이다.
2) 터치 센서(300)가, 제1투명 기판과, 이 제1투명 기판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1투명 전극을 덮도록 상기 제1투명 기판 상에 설치된 절연층과, 이 절연층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가진 구성이다.
3) 터치 센서(300)가, 제1면을 지니는 제1투명 기판과, 이 제1투명 기판의 제1면에 대향하는 제1면을 지니는 제2투명 기판과, 상기 제1투명 기판의 제1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2투명 기판의 제1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구비한 구성이다.
4) 터치 센서(300)가, 두께 방향(D1)의 제1, 제2면을 지니는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제1투명 필름과, 상기 제1투명 필름의 제1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1투명 필름의 제2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가진 구성이다.
5) 터치 센서(300)가,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제1투명 필름과, 이 제1투명 필름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1투명 전극을 덮도록 상기 제1투명 필름 상에 설치된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제2투명 필름과, 이 제2투명 필름 상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가진 구성이다.
6) 터치 센서(300)가, 제1면을 지니는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제1투명 필름과, 제1투명 필름의 제1면에 대향하는 제1면을 지니는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제2투명 필름과, 상기 제1투명 필름의 제1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1투명 전극과, 상기 제2투명 필름의 제1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2투명 전극을 가진 구성이다.
외부 접속부(400)는 가요성을 지니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외부 접속부(400)는 플렉시블 인쇄 기판 또는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투명 필름이다. 외부 접속부(400)는 매몰부(410)와 도출부(420)를 가지고 있다. 매몰부(410)는 외부 접속부(400)의 수지부(200) 내에 매립된 부분으로서, 시트(100)의 중앙부의 제1면(101) 상에 고착되어 있다. 매몰부(410)가 외부 접속부(400)의 길이 방향의 제1단부를 지니고 있다. 도출부(420)는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이외의 부분이다. 도출부(420)가 외부 접속부(400)의 길이 방향의 제2단부를 지니고 있다.
외부 접속부(400)가 플렉시블 인쇄 기판일 경우, 외부 접속부(400)의 제1단부가 터치 센서(300)의 제1, 제2투명 기판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제1, 제2투명 필름 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되어 있다. 플렉시블 인쇄 기판의 복수의 도전 라인은 제1, 제2투명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400)가 투명 필름일 경우, 외부 접속부(400)의 제1단부가 터치 센서(300)의 제1, 제2투명 기판 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 또는 제1, 제2투명 필름의 적어도 한쪽에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투명 필름의 복수의 도전 라인은 제1, 제2투명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예를 들어,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 수지), 에폭시 수지 등)로 구성된 뿔대(錐台) 형상의 수지 블록이다. 유지부(500)는 베이스부(510)와 노출부(520)와 관통 구멍(530)을 지니고 있다. 베이스부(510)는, 유지부(500)의 후단부로서, 수지부(200)에 매립되어 있다. 베이스부(510)는 설치부(511)와 비설치부(512)를 가지고 있다. 설치부(511)가 시트(100)의 제1면(101) 상의 매몰부(41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베이스부(510)의 비설치부(512)는 시트(100)의 제1면(101)으로부터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간극에 수지부(200)의 수지가 들어가 있다.
노출부(520)는, 베이스부(510)에 연접된 유지부(500)의 선단부로서, 수지부(200)의 제1면(201)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도시한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노출되어 있다). 노출부(520)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관통 구멍(530)은, 직사각 형상의 관통 구멍으로서, 유지부(500)를 두께 방향(D1)으로 관통하고 있다(베이스부(510)의 후단면으로부터 노출부(520)의 선단면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다). 관통 구멍(530)의 내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외형(두께 방향(D1)을 향한 상태의 도출부(420)의 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도출부(420)가 관통 구멍(530)에 삽입 통과되어, 해당 관통 구멍(530)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도출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부품 모듈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1, 제2금형(10), (20)에 대해서 상기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금형(10)은 볼록부(11)와 수용 오목부(12)와 스풀(spool)(13)을 가지고 있다. 볼록부(11)는 제1금형(20)에 두께 방향(D1)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스풀(13)은 제1금형(10)을 두께 방향(D1)으로 관통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12)는 제1금형(10)에 형성되어, 볼록부(11)의 선단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2)의 둘레부의 일부(도시한 좌측 부분)에는, 상기 둘레부의 일부와 해당 둘레부의 반대측의 부분 사이의 거리가 개방 측으로 점차 확대된 테이퍼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12)의 개방측 부분의 내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은, 유지부(500)의 노출부(520)의 첨단의 외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고,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의 외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작다. 수용 오목부(12)의 개방측 이외의 부분의 내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은, 도출부(420)의 외형(두께 방향(D1)을 향한 상태의 도출부(420)의 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크다. 수용 오목부(12)의 두께 방향(D1)의 치수는, 도출부(420)의 유지부(500)로부터 인출된 부분의 길이보다도 크다. 제2금형(20)은 볼록부(11)가 삽입가능한 오목부(21)를 지니고 있다. 오목부(21)의 두께 방향(D1)의 치수(깊이 치수)는, 볼록부(11)의 두께 방향(D1)의 치수(높이 치수)보다도 크다. 볼록부(11)가 오목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록부(11)와 오목부(21)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다. 해당 공간이 제1, 제2금형(10), (20)의 공동이 된다. 공동의 형상은, 부품 모듈의 도출부(420) 및 노출부(520)를 제외한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부품 모듈을 제1, 제2금형(10), (20)을 이용해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매몰부(410)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도출부(420)가 특허청구범위의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있다.
우선, 시트(100)와, 외부 접속부(400)가 접속된 터치 센서(300)를 준비한다.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그 후, 유지부(500)를 준비하고, 유지부(500)의 관통 구멍(530)에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출부(420)가 유지부(500)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해당 유지부(500)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도출부(420)를 관통 구멍(530)에 삽입 통과시킨 후, 외부 접속부(400)를 터치 센서(300)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출부(420)를 관통 구멍(530)에 삽입 통과시킨 후,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 및 유지부(500)를 삽입한다. 그러면, 시트(100)가 오목부(21)의 형상을 따라서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이때, 유지부(50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의 연직방향에 배치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제1금형(10)의 볼록부(11)를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삽입시킨다(즉, 제1, 제2금형(10), (20)을 체결(즉, 조합)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11)와 오목부(21) 사이에 상기 공동이 형성되어, 해당 공동 내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수용된다. 이때,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유지부(500)의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된다(즉, 수용 오목부(12)를 막는다).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노출부(520)와 수용 오목부(12)의 테이퍼부(12a)는,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되도록 노출부(520)를 안내한다.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되면, 유지부(500)의 설치부(511)가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상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500)가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 및 매몰부(410)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어, 유지부(500)의 비설치부(512)와 시트(100)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 후, 제1금형(10)의 스풀(13)을 통해서 수지(30)가 공동 내의 시트(100) 상에 사출되어, 해당 공동 내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시트(100) 상에서 수지(30)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간극에도 수지(30)가 유입된다. 그 후, 수지(30)를 경화시킨다. 경화된 수지(30)가 수지부(200)로 된다. 이때, 시트(100)가 수지부(200)에 밀착 또는 동화되어, 경질화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이반시키면,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로부터 유지부(500)의 노출부(52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취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트(100) 상의 수지부(200)에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삽입 성형된다. 유지부(500)의 노출부(520)가 수지부(2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 방향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도출부(420)가 유지부(5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도출된다.
이상과 같은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삽입 성형 시,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를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하여, 유지부(500)의 노출부(520)를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시켜, 해당 수용 오목부(12)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수지(3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를 막고, 수지(3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 오목부(12)의 내형을, 도출부(420)가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성형 시(제1, 제2금형(10), (20)의 체결 시)에 도출부(420)를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500)는, 삽입 성형 시,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 및 매몰부(410)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동에 사출된 수지(30)에 의해서, 유지부(500)가 눌렸다고 해도, 유지부(500) 및 이것에 고착된 외부 접속부(40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200)의 수지가 유지부(500)와 시트(100)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 있으므로, 유지부(500)의 외형이 시트(100)에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00)의 유지부 대향부의 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부(500)가 수지부(200)와 동화된다. 따라서, 유지부(500)의 존재가 수지부(200)를 통해서 눈에 띄기 어려워져서, 부품 모듈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부품 모듈에 대해서 상기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부품 모듈은, 유지부(500')의 구성 및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유지부(500')의 외면에 고착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부품 모듈과 상이하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유지부 및 외부 접속부에 대해서는 "'"를 붙여서 실시예 1의 유지부 및 외부 접속부와 구별한다.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예를 들어,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수지), 에폭시 수지 등)로 구성된 뿔대 형상의 수지 블록이다. 유지부(500')는 베이스부(510')와 노출부(520')를 지니고 있다. 베이스부(510')는, 유지부(500')의 후단부로서,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놓인 상태에서 수지부(200)에 매립되어 있다. 노출부(520')는, 베이스부(510')에 연접된 유지부(500')의 선단부로서, 수지부(200)의 제1면(201)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도시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노출되어 있다). 노출부(520')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외부 접속부(400')는, 유지부(500')의 외면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점에서, 외부 접속부(400)와 상이하다. 이외에 대해서, 외부 접속부(400')는 외부 접속부(400)와 같다. 외부 접속부(400')는 매몰부(410')와 도출부(420')를 지니고 있다. 매몰부(410')는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의 외면(주면)에 접착제 등으로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도출부(420')는 유지부(500')의 노출부(520')의 외면(주면)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수지부(200)의 제1면(201)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도시한 위쪽 방향)으로 도출되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의 부품 모듈을 실시예 1에 기재한 제1, 제2금형(10), (20)을 이용해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매몰부(410')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도출부(420')가 특허청구의 범위의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있다.
우선, 외부 접속부(400')가 접속된 터치 센서(300)와 유지부(500')를 준비한다. 유지부(500')의 외면(베이스부(510') 및 노출부(520')의 외면)에 외부 접속부(400')의 일부(매몰부(410') 및 도출부(420')의 일부)를 접착제 등으로 고착시킨다. 그 후, 시트(100)를 준비한다. 터치 센서(30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켜, 유지부(500')를 시트(100)의 제1면(101)에 배치한다. 또, 유지부(500')를 시트(100)의 제1면(101)에 접착해도 된다.
그 후,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 및 유지부(500')를 삽입한다. 그러면, 시트(100)가 오목부(21)의 형상에 따라서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이때, 유지부(50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의 연직방향에 배치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제1금형(10)의 볼록부(11)를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삽입시킨다(즉, 제1, 제2금형(10), (20)을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11)와 오목부(21) 사이에 상기 공동이 형성되어, 해당 공동 내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수용된다. 이때, 도출부(420')의 유지부(500')에 고착되지 않고 있는 부분(비고착부)이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유지부(500')의 노출부(520') 및 도출부(420')의 노출부(520')에 고착된 부분(고착부)이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된다(수용 오목부(12)를 막는다).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노출부(520')와 수용 오목부(12)의 테이퍼부(12a)는, 노출부(520') 및 도출부(420')의 고착부가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되도록, 노출부(520') 및 도출부(420')의 고착부를 안내한다. 노출부(520') 등이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되면, 유지부(500')가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된다.
그 후, 제1금형(10)의 스풀(13)을 통해서 수지가 공동 내의 시트(100) 상에 사출되어, 해당 공동 내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시트(100) 상에서 수지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간극에도 수지가 유입된다. 그 후, 수지를 경화시킨다. 경화한 수지가 수지부(200)로 된다. 이때, 시트(100)가 수지부(200)에 밀착 또는 동화되어, 경질화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이반시키면,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로부터 유지부(500')의 노출부(52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취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트(100) 상의 수지부(200)에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가 삽입 성형된다. 유지부(500')의 노출부(520')가 수지부(2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된다.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수지부(2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도출된다.
이상과 같은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삽입 성형 시,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비고착부를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하여, 유지부(500')의 노출부(520') 및 도출부(420')의 고착부를 수용 오목부(12)에 끼워맞춤시켜서, 해당 수용 오목부(12)를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수지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노출부(520') 및 도출부(420')의 고착부가 수용 오목부(12)를 막고, 수지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 오목부(12)의 내형을, 도출부(420')가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삽입 성형 시(제1, 제2금형(10), (20)의 체결 시)에 도출부(420')를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게다가, 유지부(500')는, 삽입 성형 시,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동에 사출된 수지에 의해서, 유지부(500')가 눌렸다고 해도, 유지부(500') 및 이것에 고착된 외부 접속부(40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부(500')가 수지부(200)와 동화된다. 따라서, 유지부(500')의 존재가 수지부(200)를 통해서 눈에 띄기 어려워져서, 부품 모듈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500')가 수지부(200)와 동화되므로, 유지부(500')가 시트(100) 상에 배치됨으로써, 해당 시트(100)에 빠짐이 생기기 어려워진다.
실시예 3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부품 모듈에 대해서 상기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부품 모듈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유지부(500'') 내에 매립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부품 모듈과 상이하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한편, 유지부에 대해서는 "''"를 붙여서 실시예 1의 유지부와 구별한다.
유지부(500'')는 관통 구멍(53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상이하다. 그 이외에 대해서는, 유지부(500'')는 유지부(500)와 동일하다. 도 4에 있어서의 (510'')는 베이스부, (511'')는 설치부, (512'')는 비설치부, (520'')는 노출부이다.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는,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의 후단면으로부터 노출부(520'')의 선단면에 걸쳐서 관통하도록 유지부(500'')에 매립되어 있다.
이하, 도시하지 않은 금형을 이용해서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를 유지부(500'')에 매립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외부 접속부(400)를 준비한다. 이 외부 접속부(400)는, 터치 센서(300)에 접속되어 있어도 되고, 접속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를 상기 금형 내에 수용시키고, 해당 금형에 수지를 사출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유지부(500'')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삽입 성형되어), 해당 유지부(500'')의 베이스부(510'')의 후단면으로부터 노출부(520'')의 선단면에 걸쳐서 관통한다. 이 유지부(500'')가 부착된 외부 접속부(400)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제2금형(10), (20)의 공동 내에 수용시켜 부품 모듈을 제조한다.
이상과 같은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부품 모듈에 대해서 상기 도 5a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a에 나타낸 부품 모듈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가 유지부(500''')의 파트(501'''), (502''')에 둘러싸여 있는 점에서, 실시예 1의 부품 모듈과 상이하다. 이하, 그 상위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유지부에 대해서는 "'''"을 붙여서 실시예 1의 유지부와 구별한다.
유지부(500''')는 파트(501'''), (502''')를 가지고 있다. 파트(501'''), (502''')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예를 들어,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수지), 에폭시 수지 등)로 구성되어 있다. 파트(501'''), (502''')는, 조합된 상태에서, 유지부(500)와 같은 뿔대 형상으로 된다. 파트(501''')의 내면에는, 두께 방향(D1)을 따라서 연장되는 긴 홈(53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홈(530''')의 외형(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외형(두께 방향(D1)을 향한 상태의 도출부(420)의 길이 방향(D2) 및 상기 폭 방향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파트(501'''), (502''')를 조합시킴으로써, 긴 홈(530''')이 파트(502''')에 폐쇄된다. 이 긴 홈(530''') 내(內)를 도출부(420)가 삽입 관통하고 있다. 즉, 도출부(420)의 일부는 파트(501'''), (502''')에 둘러싸여 있다. 또한,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510''')는 유지부(500''')의 베이스부, (511''')는 유지부(500''')의 설치부, (512''')는 유지부(500''')의 비설치부, (520''')는 유지부(500''')의 노출부이다. 이들은 유지부(500)의 각 부와 같은 구성이다.
이하,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를 유지부(500''')에 고착시키는 순서에 대해서 도 5b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외부 접속부(400)가 접속된 터치 센서(300)를 준비한다.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그 후, 파트(501'''), (502''')를 준비한다. 도출부(420)의 일부를 파트(501''')의 긴 홈(530''')에 삽입한다. 그 후, 파트(502''')를 파트(501''')에 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파트(501''')의 긴 홈(530''')이 파트(502''')에 폐쇄된다. 이와 같이 해서 파트(501'''), (502''')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합시킬 수 있다. 이 유지부(500''')가 부착된 외부 접속부(400)를,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제1, 제2금형(10), (20)의 공동 내에 수용해서 부품 모듈을 제조한다. 또, 파트(501'''), (502''')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합시킨 후,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실시예 1과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파트(501'''), (502''')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합시킴으로써, 유지부(500''')가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의 일부에 고착된다. 따라서, 유지부(500''')의 외부 접속부(400)에 대한 고착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5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부품 모듈에 대해서 상기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부품 모듈은, 유지부(500'''')의 형상이 유지부(500)의 형상과 상이하다. 실시예 5의 부품 모듈의 그 이외의 구성은, 실시예 1의 부품 모듈과 같은 구성이다. 이하, 상기 상위점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 실시예 1과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 유지부에 대해서는, "''''"을 붙여서 실시예 1의 유지부와 구별한다.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예를 들어, PC(폴리카보네이트), PMMA(폴리메타크릴산메틸수지), 에폭시 수지 등)로 구성된 수지 블록이다. 유지부(500'''')는, 노출부(520'''')가 수지부(200)의 제1면(201)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도시한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유지부(500)와 상이하다.
노출부(520'''')는 노출면과 끼워맞춤 오목부(521'''')를 지니고 있다. 노출부(520'''')의 노출면은 수지부(200)의 제1면(201)으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도시한 위쪽 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521'''')는 상기 노출면의 중앙부의 관통 구멍(530'''')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끼워맞춤 오목부(521'''')의 내형은, 후술하는 제1금형(10')의 끼워맞춤 돌출부(12a')(도 7 참조)의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도 6에 있어서의 (510'''')는 유지부의 베이스부, (511'''')는 베이스부의 설치부, (512'''')는 베이스부의 비설치부이다.
이하, 전술한 부품 모듈을 제조할 때, 제1금형(10) 대신에, 제1금형(10')을 이용한다. 이하, 제1금형(10')에 대해서 상기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금형(10')은, 수용 오목부(12)의 주변부에 환상의 끼워맞춤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제1금형(10')의 볼록부(11)가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록부(11)와 오목부(21)에 의해 공간이 구획된다. 해당 공간이 제1, 제2금형(10'), (20)의 공동으로 된다. 공동의 형상은, 부품 모듈의 도출부(420)를 제외힌 외형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하, 상기 부품 모듈을 제1, 제2금형(10'), (20)을 이용해서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매몰부(410)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도출부(420)가 특허청구범위의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에 상당하고 있다.
우선, 시트(100)와, 외부 접속부(400)가 접속된 터치 센서(300)를 준비한다.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킨다. 그 후, 유지부(500'''')를 준비하고, 유지부(500'''')의 관통 구멍(530'''')에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를 삽입 통과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출부(420)가 유지부(500'''')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해당 유지부(500'''')로부터 인출된다. 또, 도출부(420)를 관통 구멍(530'''')에 삽입 통과시킨 후, 외부 접속부(400)를 터치 센서(300)에 접속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출부(420)를 관통 구멍(530'''')에 삽입 통과시킨 후, 터치 센서(300) 및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를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접착제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 및 유지부(500'''')를 삽입한다. 그러면, 시트(100)가 오목부(21)의 형상을 따라서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U자 형상으로 만곡된다. 이때, 유지부(50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의 연직방향에 배치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접근시켜, 제1금형(10')의 볼록부(11)를 제2금형(20)의 오목부(21)에 삽입시킨다(즉, 제1, 제2금형(10'), (20)을 체결한다). 이것에 의해, 볼록부(11)와 오목부(21) 사이에 상기 공동이 형성되고, 해당 공동 내에 시트(100),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가 수용된다. 이때,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삽입되는 동시에, 제1금형(10')의 끼워맞춤 돌출부(12a')가 유지부(500'''')의 노출부(520'''')의 끼워맞춤 오목부(521'''')에 끼워맞춤된다. 이것에 의해,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를 막는다. 끼워맞춤 볼록부(12a')가 끼워맞춤 오목부(521'''')에 끼워맞춤되면, 유지부(500'''')의 설치부(511'''')가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상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500'''')가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 및 매몰부(410)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어, 유지부(500'''')의 비설치부(512'''')와 시트(100) 사이에 간극이 생긴다.
그 후, 제1금형(10')의 스풀(13)을 통해서 수지(30)가 공동 내의 시트(100) 상에 사출되어, 해당 공동 내에 충전된다. 이것에 의해,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가 시트(100) 상에서 수지(30)에 매립된다. 이때, 상기 간극에도 수지(30)가 유입된다. 그 후, 수지(30)를 경화시킨다. 경화된 수지(30)가 수지부(200)로 된다. 이때, 시트(100)가 수지부(200)에 밀착 또는 동화되어, 경질화된다.
그 후, 제1, 제2금형(10'), (20)을 상대적으로 이반시키면,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로부터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취출되는 한편, 제1금형(10')의 끼워맞춤 돌출부(12a')와 유지부(500'''')의 노출부(520'''')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시트(100) 상의 수지부(200)에 터치 센서(300), 외부 접속부(400)의 매몰부(410) 및 유지부(500'''')가 삽입 성형된다. 유지부(500'''')의 노출부(520'''')가 수지부(2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노출된다. 도출부(420)가 유지부(500'''')로부터 두께 방향(D1)의 한쪽 측으로 도출된다.
이상과 같은 부품 모듈에 의한 경우, 삽입 성형 시, 외부 접속부(400)의 도출부(42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들어가는 한편, 제1금형(10')의 끼워맞춤 돌출부(12a')가 유지부(500'''')의 노출부(520'''')의 끼워맞춤 오목부(521'''')에 끼워맞춤된다. 이것에 의해,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가 노출부(520'''')에 의해 가로 막히므로,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수지(3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출부(520'''')가 수용 오목부(12)를 막고, 수지(30)가 제1금형(10')의 수용 오목부(12)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용 오목부(12)의 내형을, 도출부(420)가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삽입가능한 크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삽입 성형 시(제1, 제2금형(10'), (20)의 체결 시)에 도출부(420)를 수용 오목부(12)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유지부(500'''')는, 삽입 성형 시, 제1금형(10')과 제2금형(20) 사이에서 시트(100) 및 매몰부(410)를 개재해서 끼워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동에 사출된 수지(30)에 의해서, 유지부(500'''')가 눌렸다고 해도, 유지부(500'''') 및 이것에 고착된 외부 접속부(400)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지부(200)의 수지가 유지부(500'''')와 시트(100) 사이의 간극에 들어가 있으므로, 유지부(500'''')의 외형이 시트(100)에 보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시트(100)의 유지부 대향부의 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지부(500'''')는, 수지부(200)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지부(500'''')가 수지부(200)와 동화된다. 따라서, 유지부(500'''')의 존재가 수지부(200)를 통해서 보여지기 어려워져서, 부품 모듈의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부품 모듈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부품 모듈의 설계 변경예를 나타낸 개략적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5에서는, 유지부는 수지 블록인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4에서는, 유지부는, 수지제의 복수의 파트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유지부는, 외부 접속부가 부분적으로 고착되고, 수지부에 매립되어 있으며 또한 해당 유지부의 일부(노출부)가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상기 수지부로부터 해당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출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지부는, 엘라스토머 등의 수지, 금속 또는 세라믹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부는 외부 접속부의 일부에 고착시킨 필름 코팅제나 접착제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유지부의 노출부는 수지부로부터 돌출된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인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5에서는, 유지부의 노출부는 수지부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또한 그 노출면에 끼워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노출부의 형상은, 그 일부가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상기 수지부로부터 해당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출되는 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노출부는, 상기 수지부의 두께 방향의 제1면으로부터 노출된 유지부의 평탄한 노출면을 지니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부의 노출부의 노출면과 수지부의 제1면이 동일한 높이로 된다. 즉, 유지부의 노출부는, 수지부의 제1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이 노출부는,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되지 않지만, 노출면이 해당 수용 오목부를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수지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또, 노출부가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기둥 형상, 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노출부 전체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일 필요는 없고, 노출부의 일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지니고 있으면 된다. 또, 노출부의 끼워맞춤 오목부는, 제1금형의 끼워맞춤 돌출부에 끼워맞춤됨으로써, 해당 노출부가 해당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수 있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는 수지부로부터 돌출된 노출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유지부의 베이스부의 형상은 수지부에 매립되는 것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3 및 5에서는, 유지부의 비설치부와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부(500''''')가 베이스부(510''''')와 노출부(520''''')를 지니고, 베이스부(510''''')가 제1설치부(511''''')와 제2설치부(512''''')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설치부(511''''')는, 설치부(511)와 마찬가지로, 매몰부(410) 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2설치부(512''''')는, 제1설치부(511''''')보다도 두께 방향(D1)의 다른 방면쪽(하부 방향 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시트(100)의 제1면(101) 상에 설치하고 있다. 또, 제2설치부(512''''')는 시트(100)의 제1면(101)에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예 4의 유지부(500''')도, 비설치부(512''') 대신에, 제2설치부(512''''')를 가진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5의 유지부(500'''')도, 비설치부(512'''') 대신에, 제2설치부(512''''')를 가진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4에서는, 유지부는 2개의 파트를 갖는 것으로 했지만, 3개 이상의 파트를 가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 4에서는, 하나의 파트에 긴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했지만, 긴 홈은 복수의 파트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파트가 조합된 상태에서 해당 파트의 긴 홈이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이 된다. 또, 파트의 긴 홈은 생략가능하다. 이 경우, 파트의 형상을, 조합시킨 파트 사이에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이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전술한 설계 변경예의 유지부 및 실시예 5의 유지부(500'''')도,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파트를 지니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외부 접속부는 매몰부와 도출부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외부 접속부는, 이하의 요건을 지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요건은, 외부 접속부가 후술하는 부품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다. 제2요건은, 외부 접속부가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는 것이다. 제3요건은, 외부 접속부가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가능한 도출부를 가진 것이다. 제4요건은, 상기 도출부가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되어, 해당 수지부로부터 상기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부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는 것이다.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유지부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될 경우, 매몰부는 생략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3 내지 5에서는,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는, 유지부의 후단면으로부터 선단면에 걸쳐서 관통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도출부는, 수지부 내에 매립되어, 해당 수지부로부터 상기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부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도출부가 외부 접속부의 측면에서 선단면에 걸쳐서 관통하도록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출부는 유지부에 삽입 성형 등에 의해 매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3 내지 5에서는,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는 시트의 제1면 상에 고착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매몰부는 시트에 고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매몰부의 일부가 시트에 고착된 양상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부의 설치부 또는 제1설치부는 매몰부의 일부 상에 설치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외부 접속부는 플렉시블 인쇄 기판 또는 플렉시블한 절연성을 지니는 투명 필름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외부 접속부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부 접속부로서는 리드 선, 헤더 핀 또는 강성 기판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수지부는 단면에서 보아서 대략 U자 형상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수지부의 형상은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지부는 평탄한 판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트의 형상도 수지부의 형상에 따라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시트 상에 수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시트는 생략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시트는 투명하고 또한 가요성을 지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시트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트는, 투광성 및 가요성을 지니는 구성, 불투명하고 또한 가요성을 지니는 구성, 투광성을 지니지만 가요성을 지니지 않는 구성, 불투명하고 또한 가요성을 지니지 않는 구성으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트는 수지부의 성형 후에 경질화되지 않는(가요성을 상실하지 않는)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시트는 장식 인쇄가 실시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시트는 장식 인쇄되어 있지 않은 양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서는, 부품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인 터치 센서인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부품은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 중 어느 하나인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로서는, 정전용량 방식 이외의 터치 패널(예를 들어,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인셀(in-cell) 방식 등의 터치 패널), 터치 스위치(예를 들어,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광학 방식, 초음파 방식 또는 인셀 방식 등의 터치 스위치) 또는 터치 패널 및 터치 스위치 이외의 센서(예를 들어, 자기 센서, 광 센서, 명암 센서 등)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터치 패널 및 터치 스위치(터치 센서)는 전극이 주지의 인쇄법에 의해 시트 상에 형성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터치 패널 및 터치 스위치는 불투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터치 패널 및 터치 스위치의 터치 입력면은 시트의 제2면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트의 외면 측에 설치된 패널의 외면을 터치 입력면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센서 대신에,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이 수지부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부품으로서는, 능동부품(예를 들어, 반도체 등) 또는 수동부품(예를 들어, 저항기, 컨덴서 또는 코일 등)이 있다. 상기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은 수지부 내에 매립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은 시트와 간극을 가지고 수지부 내에 매립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제1, 제2금형을 이용해서 부품 모듈이 제조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제1, 제2금형은, 서로 조합시킨 상태에서 해당 제1, 제2금형 사이에 공동을 형성하고, 제1금형에 공동에 연통하는 수용 오목부를 가진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제2금형에 형성된 오목부가, 제1, 제2금형을 조합시킨 상태에서, 공동이 형성되도록 제1, 제2금형을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금형에 형성된 볼록부가 제1금형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공동이 형성되도록 제1, 제2금형을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용 오목부는 제1금형의 오목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풀은 제1, 제2금형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는, 수용 오목부(12)의 둘레부의 일부(도시한 좌측 부분)에는, 테이퍼부(1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테이퍼부(12a)는 생략가능하다. 또한,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의 전부에, 부품 모듈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의 둘레부 간의 간격이 개방 측으로 점차 확대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부의 노출부를 수용 오목부에 안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노출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지니는 것, 및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에 해당 둘레부 간의 간격이 개방 측으로 점차 확대된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것 중 적어도 한쪽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5에서는 수용 오목부(12)의 둘레부에 환상의 끼워맞춤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끼워맞춤 돌출부(12a')는 생략가능하다. 또한, 끼워맞춤 돌출부는 유지부의 끼워맞춤 오목부의 내형에 따라서 임의로 설계 변경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기재된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은, 제1단부가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인 부품에 접속된 외부 접속부를,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고,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제1, 제2금형의 공동 내에 수용시키며,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을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고, 이 상태에서, 상기 공동 내에 수지를 사출하여,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수지에 삽입 성형시키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3 내지 5에서는, 공동 내에 시트,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 및 유지부가 수용될 때, 유지부가 제1금형과 제2금형 사이에서 시트 및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실시예 2에서는, 공동 내에 시트,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 및 유지부의 베이스부가 수용될 때, 유지부가 제1금형과 제2금형 사이에서 시트를 개재해서 끼여 유지되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전술한 부품과,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유지부를 제1, 제2금형의 공동 내에 수용시킬 때,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맞닿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2금형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닿게 하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를 생략할 경우,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유지부를 제1, 제2금형에 직접 끼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시트 및/또는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 이외의 것을 개재해서 유지부를 제1, 제2금형 사이에 끼워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유지부를,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접착제 등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부를 제1, 제2금형 사이에 끼워 유지시키지 않아도, 삽입 성형의 수지의 사출 성형압으로, 유지부 및 외부 접속부가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삽입 성형 시에 있어서, 유지부를 제1, 제2금형 사이에 끼워 유지시킬 경우더라도, 유지부를,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접착제 등으로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 1 및 3 내지 5에서는, 삽입 성형 시, 터치 센서 및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를 시트의 제1면 상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삽입 성형 시, 터치 센서를 시트의 제1면 상에 고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그러나, 삽입 성형 시, 전술한 부품은 시트의 제1면 상에 고착시키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제1금형의 볼록부 상에 전술한 부품을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부품은 시트와 간극을 지닌 상태로 수지부에 매립된다. 또한, 시트의 제1면 상에 설치된 스페이서 상에 전술한 부품을 고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부품만을 전술한 시트,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스페이서에 고착시키고,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를 상기 시트,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스페이서에 고착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외부 접속부의 매몰부만을 전술한 시트,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스페이서에 고착시키고, 전술한 부품을 상기 시트, 상기 볼록부 또는 상기 스페이서에 고착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 및 전술한 설계 변경예에 있어서의 부품 모듈 및 제1, 제2금형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수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 마찬가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100: 시트
101: 제1면
102: 제2면
200: 수지부
201: 제1면
202: 제2면
300: 터치 센서(부품)
400: 외부 접속부
410: 매몰부(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
420: 도출부(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
500: 유지부
510: 베이스부
520: 노출부(유지부의 선단부)
530: 관통 구멍
400': 외부 접속부
410': 매몰부(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
420': 도출부(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
500': 유지부
510': 베이스부
520': 노출부(유지부의 선단부)
500'': 유지부
510'': 베이스부
520'': 노출부(유지부의 선단부)
500''': 유지부
501''': 파트
510''': 베이스부
520''': 노출부(유지부의 선단부)
530'': 관통 구멍
500''': 유지부
501'''': 파트
510'''': 베이스부
520'''': 노출부(유지부의 선단부)
530'''': 관통 구멍

Claims (25)

  1. 금형을 이용해서 제조되는 부품 모듈에 있어서,
    수지부;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된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인 부품;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유지부; 및
    상기 부품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된 외부 접속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지부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이 가능할 정도로 상기 수지부로부터 해당 수지부의 두께 방향으로 노출된 노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외부 접속부는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가능한 도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출부는, 상기 수지부 내에 매립되어, 해당 수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부 내를 통해서 해당 유지부로부터 상기 두께 방향으로 도출되는 것인 부품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베이스부와,
    상기 수지부로부터 상기 돌출 방향 쪽으로 돌출하여, 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 가능한 상기 노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노출부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지니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노출부는 상기 끼워맞춤 돌출부가 끼워맞춤 가능한 끼워맞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가 형성된 제1면을 지니는 시트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접속부는 상기 수지부에 매립된 매몰부를 지니고 있고,
    상기 시트의 제1면 상에, 상기 매몰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부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는 것인 부품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지부의 수지가 상기 간극에 들어가 있는 것인 부품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해당 유지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삽입통과된 관통 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부가 상기 유지부의 외면 상에 부분적으로 고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유지부와 함께 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폐쇄가능한 것인 부품 모듈.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가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매립되어 있는 것인 부품 모듈.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의 도출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복수의 파트(part)를 지니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부품 모듈.
  12. 제1단부가 센서, 전자부품 또는 회로 기판인 부품에 접속된 외부 접속부를,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단계;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제1, 제2금형의 공동 내에 수용하고,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2단부 측의 부분을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유지부에서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단계; 및
    이 상태에서, 상기 공동 내에 수지를 사출하고,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수지에 삽입 성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를, 상기 제1금형의 상기 수용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의 선단부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의 적어도 일부에는, 테이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제1금형의 상기 수용 오목부의 둘레부에 설치된 끼워맞춤 돌출부를, 상기 유지부의 끼워맞춤 오목부에 끼워맞춤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7.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공동 내에 수용시킬 때, 해당 공동 내에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시트 상에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유지부를 이 순서로 적층시키는 동시에, 해당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맞닿게 하며,
    상기 공동 내에 상기 수지를 사출할 때, 상기 수지를 상기 시트 상에 사출시켜, 해당 시트 상에서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수지에 삽입 성형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8.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제1단부 측의 부분과, 상기 유지부를 상기 공동 내에 수용시킬 때,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도록 해당 제1금형에 맞닿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제2금형에 맞닿게 하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19. 제1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을 때, 상기 유지부를 상기 제1금형에 고착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내에서,
    상기 유지부와 상기 시트 사이에 간극이 생기고 있고,
    상기 공동 내에 수지를 사출시킬 때, 상기 수지가 상기 간극에 유입되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1.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에는, 해당 유지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시키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의 관통 구멍에 삽입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2.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상기 유지부의 외면에 고착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고,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 및 상기 유지부에 의해 상기 제1금형의 수용 오목부를 막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3.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상기 유지부에 삽입 성형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4. 제12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이 가능한 복수의 파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파트를 상기 외부 접속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조합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접속부를 상기 유지부에 부분적으로 고착시키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25. 제1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수지부와 동일 또는 같은 계열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130075347A 2012-08-07 2013-06-28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138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4790 2012-08-07
JP2012174790A JP5525574B2 (ja) 2012-08-07 2012-08-07 部品モジュール及び部品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729A true KR20140019729A (ko) 2014-02-17
KR102138943B1 KR102138943B1 (ko) 2020-07-28

Family

ID=4911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347A KR102138943B1 (ko) 2012-08-07 2013-06-28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40043771A1 (ko)
EP (1) EP2695717B1 (ko)
JP (1) JP5525574B2 (ko)
KR (1) KR102138943B1 (ko)
CN (1) CN103568175B (ko)
TW (1) TWI5819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491B1 (ko) * 2010-02-25 2012-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JP5705930B2 (ja) * 2013-08-21 2015-04-2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複合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4013562A1 (de) * 2014-09-18 2016-03-24 Plastic Electronic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ultifunktionalen Spritzgussteils mit Leiterbahn und Steckverbinder sowie hinterspritzter Schaltungsträger
FR3041783B1 (fr) * 2015-09-24 2019-11-01 Dav Interface de commande a retour haptique
DE102015117058A1 (de) * 2015-10-07 2017-04-13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Elektronische 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nischen Baugruppe
DE102016209141A1 (de) * 2016-05-25 2017-11-30 Robert Bosch Gmbh Elektronisches Steuermodul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lektronischen Steuermoduls
JP6382888B2 (ja) * 2016-06-09 2018-08-29 Nissha株式会社 電極パターン一体化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20921B2 (en) * 2016-10-03 2021-06-0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onnecting member for an air maintenance ti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6953154B2 (ja) * 2017-03-21 2021-10-27 キヤノン株式会社 成形品の製造方法、成形品、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257925B2 (en) * 2017-04-10 2019-04-09 Tactotek Oy Method for manufacturing an electronic assembly
JP6480989B2 (ja) * 2017-08-03 2019-03-13 Nissha株式会社 成形品、電気製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CN111033451B (zh) * 2017-08-08 2023-06-1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输入装置的制造方法以及输入装置
JP2019040407A (ja) * 2017-08-25 2019-03-14 ホシデン株式会社 樹脂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US20220013371A1 (en) * 2018-11-07 2022-01-13 Danfoss Silicon Power Gmbh Mold tool for molding a semiconductor power module with top-sided pin connecto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emiconductor power module
KR102554098B1 (ko) * 2019-01-17 202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우징, 하우징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20142395A (ja) * 2019-03-04 2020-09-10 株式会社翔栄 樹脂成形品及び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JP7128791B2 (ja) * 2019-10-18 2022-08-31 Nissha株式会社 成形品、電気製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7336676B2 (ja) * 2019-12-23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入力装置
US20210188193A1 (en) * 2019-12-24 2021-06-24 Inteva Products, Llc Vehicle interior trim part formed with intergrated electronics and method of making
JP7499438B2 (ja) * 2020-01-20 2024-06-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用シート、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7496114B2 (ja) 2020-03-23 2024-06-06 内山工業株式会社 複合成形品の製造方法
WO2022008787A1 (en) * 2020-07-09 2022-01-13 Teknologian Tutkimuskeskus Vtt Oy Injection molding method with a film insert
JP7142067B2 (ja) * 2020-09-30 2022-09-26 Nissha株式会社 成形品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EP4122670A1 (de) * 2021-07-23 2023-01-25 Weißer und Grießhaber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kunststoffabdeckung mit einer elektrischen leiterbahn
WO2024042750A1 (ja) * 2022-08-22 2024-02-2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パネルおよび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902A1 (en) * 2003-09-12 2005-03-17 Kokusan Denki Co., Ltd. Mold-type electronic control unit
JP2006173402A (ja) * 2004-12-16 2006-06-29 Hitachi Ltd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8633A (ja) * 2006-07-13 2008-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用の成形型
JP2008279688A (ja) * 2007-05-11 2008-11-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子ユニット及び電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1126236A (ja) 2009-12-21 2011-06-30 Nissha Printing Co Ltd 機能部品付き樹脂筐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11691A (ja) * 2010-07-01 2012-01-19 Nissha Printing Co Ltd 導電回路一体化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436U (de) 1967-08-10 1967-10-26 Steiner Silidur Ag Abdeckung fuer geraete- und sprunggrubeneinfassung.
US4395375A (en) * 1974-10-15 1983-07-26 Electrolux Corporation Method of electrically testing molded cord-sets during the molding operation
US4218724A (en) * 1978-11-21 1980-08-19 Kaufman Lance R Compact circuit package having improved circuit connectors
US4338621A (en) * 1980-02-04 1982-07-06 Burroughs Corporation Hermetic integrated circuit package for high density high power applications
US4561006A (en) * 1982-07-06 1985-12-24 Sperry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package with integral heating circuit
US4480262A (en) * 1982-07-15 1984-10-30 Olin Corporation Semiconductor casing
US4582388A (en) * 1983-04-18 1986-04-15 Alden Research Foundation High voltage snap on coupling
GB2140222B (en) * 1983-05-20 1986-06-25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Method of manufacturing a domestic moulded-on mains plug
US4607276A (en) * 1984-03-08 1986-08-19 Olin Corporation Tape packages
DE3675321D1 (de) * 1985-08-16 1990-12-06 Dai Ichi Seiko Co Ltd Halbleiteranordnung mit packung vom steckerstifttyp.
US4935174A (en) * 1986-01-13 1990-06-19 Canon Kabushiki Kaisha Resin molded article bearing electric circuit patter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816426A (en) * 1987-02-19 1989-03-28 Olin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plastic pin grid arrays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US4827376A (en) * 1987-10-05 1989-05-02 Olin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interconnect tape for use in tape automated bonding
US4894023A (en) * 1988-09-06 1990-01-16 Hall Harold E Connector assembly for anode ring of cathode ray tube
US5103292A (en) * 1989-11-29 1992-04-07 Olin Corporation Metal pin grid array package
US5828126A (en) * 1992-06-17 1998-10-27 Vlsi Technology, Inc. Chip on board package with top and bottom terminals
US5319522A (en) * 1992-12-17 1994-06-07 Ford Motor Company Encapsulated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404832B2 (ja) * 1993-10-15 2003-05-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
TW311267B (ko) * 1994-04-11 1997-07-21 Raychem Ltd
JPH07297575A (ja) * 1994-04-21 1995-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パワーモジュール装置
JPH088280A (ja) * 1994-06-22 1996-01-12 Omron Corp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5554821A (en) * 1994-07-15 1996-09-10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Removable computer peripheral cards having a solid one-piece housing
US5710695A (en) * 1995-11-07 1998-01-20 Vlsi Technology, Inc. Leadframe ball grid array package
JP3177141B2 (ja) * 1995-12-21 2001-06-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ターミナル装置の成形装置
US5793613A (en) * 1995-12-29 1998-08-11 Sgs-Thomson Microelectronics S.R.1. Heat-dissipating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a plastic package with a fully insulated heat sink for an electronic device
DE19719436C2 (de) * 1997-05-13 1999-06-17 Walter Soehner Gmbh & Co Spritzgußgehäuse
US6433728B1 (en) * 1999-01-22 2002-08-13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Integrally molded remote entry transmitter
JP3794937B2 (ja) * 2001-05-30 2006-07-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検出装置
JP3783591B2 (ja) * 2001-09-07 2006-06-07 オムロン株式会社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FI115342B (fi) * 2001-11-15 2005-04-15 Filtronic Lk Oy Menetelmä sisäisen antennin valmistamiseksi ja antennielementti
JP2003229205A (ja) * 2002-02-05 2003-08-15 Mitsumi Electric Co Ltd コネクター取り付け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装置
KR100457380B1 (ko) * 2002-05-06 2004-11-16 삼성전기주식회사 광마우스용 칩 온 보드 리드 패키지 및 그에 사용되는렌즈커버
JP3997852B2 (ja) * 2002-06-28 2007-10-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コネクタ
FI116334B (fi) * 2003-01-15 2005-10-31 Lk Products Oy Antennielementti
DE10325550B4 (de) * 2003-06-05 2007-02-01 Novar Gmbh Elektrisches Kontaktierungsverfahren
US6868731B1 (en) * 2003-11-20 2005-03-2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Digital output MEMS pressure sensor and method
JP2005179942A (ja) * 2003-12-17 2005-07-07 Denso Corp 自動車用ワイヤレス送受信機
US7146721B2 (en) * 2004-03-15 2006-12-12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sealed electronic module
JP4356548B2 (ja) * 2004-07-20 2009-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7166812B2 (en) * 2005-01-03 2007-01-23 Lear Corporation Housing for a key fob
JP4473141B2 (ja) * 2005-01-04 2010-06-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4595655B2 (ja) * 2005-04-28 2010-12-08 株式会社デンソー 電子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67280B2 (ja) * 2005-10-18 2012-02-01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コーティング剤塗布方法
JP4742877B2 (ja) * 2006-01-18 2011-08-10 住友電装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成形構造
DE102006039113A1 (de) * 2006-08-21 2008-03-06 Robert Bosch Gmbh Reifensensormodu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7724204B2 (en) * 2006-10-02 2010-05-25 Pulse Engineering, Inc. Connector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US8198979B2 (en) * 2007-04-20 2012-06-12 Ink-Logix, Llc In-molded resistive and shielding elements
US7804450B2 (en) * 2007-07-20 2010-09-28 Laird Technologies, Inc. Hybrid antenna structure
WO2009035038A1 (ja) * 2007-09-12 2009-03-19 Nissha Printing Co., Ltd. 二重成形インサート成形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7739791B2 (en) * 2007-10-26 2010-06-22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of producing an overmolded electronic module with a flexible circuit pigtail
JP2010113938A (ja) * 2008-11-06 2010-05-20 Yamatake Corp 光電センサの筐体組立方法および光電センサ
KR101053336B1 (ko) * 2010-03-15 2011-08-01 삼성전기주식회사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EP2549534B1 (en) * 2010-03-16 2019-07-03 Fuji Electric Co., Ltd. Semiconductor device
JP5263215B2 (ja) * 2010-04-09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成形品、電子機器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US8178961B2 (en) * 2010-04-27 2012-05-15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and package process
DE102011117985B8 (de) * 2011-11-09 2016-12-01 Leonhard Kurz Stiftung & Co. Kg Kunststoffte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teils
US9029999B2 (en) * 2011-11-23 2015-05-1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sensor device with footed li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57902A1 (en) * 2003-09-12 2005-03-17 Kokusan Denki Co., Ltd. Mold-type electronic control unit
JP2006173402A (ja) * 2004-12-16 2006-06-29 Hitachi Ltd 電子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18633A (ja) * 2006-07-13 2008-01-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インサート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サート成形用の成形型
JP2008279688A (ja) * 2007-05-11 2008-11-20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子ユニット及び電子ユニットの製造方法
JP2011126236A (ja) 2009-12-21 2011-06-30 Nissha Printing Co Ltd 機能部品付き樹脂筐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2011691A (ja) * 2010-07-01 2012-01-19 Nissha Printing Co Ltd 導電回路一体化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43771A1 (en) 2014-02-13
JP2014035805A (ja) 2014-02-24
TW201416222A (zh) 2014-05-01
US20160366779A1 (en) 2016-12-15
KR102138943B1 (ko) 2020-07-28
TWI581950B (zh) 2017-05-11
CN103568175B (zh) 2017-06-16
EP2695717B1 (en) 2016-10-19
JP5525574B2 (ja) 2014-06-18
CN103568175A (zh) 2014-02-12
EP2695717A1 (en) 2014-02-12
US10154602B2 (en)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19729A (ko)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KR102063363B1 (ko) 부품 모듈 및 부품 모듈의 제조 방법
US10667396B2 (en) Multilayer structure for hosting electronics and related method of manufacture
KR102051148B1 (ko) 부품 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2627003B1 (en) Input device
JP5314773B2 (ja) 部品モジュール
US20190122022A1 (en) Fingerprint identific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