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8815A -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 - Google Patents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8815A
KR20130138815A KR1020137017537A KR20137017537A KR20130138815A KR 20130138815 A KR20130138815 A KR 20130138815A KR 1020137017537 A KR1020137017537 A KR 1020137017537A KR 20137017537 A KR20137017537 A KR 20137017537A KR 20130138815 A KR20130138815 A KR 2013013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lkyl
halo
methyl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7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375B1 (ko
Inventor
기우세페 알바로
팔로 담브루소
아고스티노 마라스코
시모나 토마시
안느 데코르
찰스 라지
Original Assignee
오티포니 세라피틱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0/068946 external-priority patent/WO2011069951A1/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020607.6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020607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109508.0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109508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1113757.7A external-priority patent/GB201113757D0/en
Application filed by 오티포니 세라피틱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오티포니 세라피틱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3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7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07/78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 C07D307/79Benzo [b] furans; Hydrogenated benzo [b] furan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spiro-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e.g. griseofulv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Kv3 채널의 억제제이고 관련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되는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689

Description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HYDANTOIN DERIVATIVES USEFUL AS KV3 INHIBITORS}
본 발명은 신규한 화합물,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치료법, 특히,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간질(epilepsy) 및 수면 장애뿐만 아니라, 청력 손실(hearing loss) 및 이명(tinnitus)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Kv3 전압-관문(voltage-gated) 포타슘 채널 패밀리는 네 개의 구성원인 Kv3.1, Kv3.2, KV3.3, 및 Kv3.4를 포함한다. 이러한 아형 각각에 대한 유전자는 상이한 C-말단 도메인을 갖는 버젼을 산출하는, 대안적인 스플라이싱에 의해 다수의 아이소형을 생성할 수 있다. 13개의 아이소형이 지금까지 포유동물에서 동정되었으나, 이러한 변이체에 의해 발현되는 전류는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Rudy and McBain, 2001, Trends in Neurosciences 24, 517-526]. Kv3 채널은 혈장막을 -20mV 보다 더 포지티브인 전압으로 탈분극시킴에 의해 활성화되고; 또한, 채널은 막의 재분극시에 신속하게 불활성화된다. 이러한 생물물리학적 특성은 재분극을 개시하기 위해 신경세포 작용 포텐셜의 탈분극기의 피크 쪽으로 채널이 열리도록 보장한다. Kv3 채널에 의해 매개된 작용 포텐셜의 신속한 종료로 인해 신경세포는 추가의 작용 포텐셜이 촉발될 수 있는 서브-역치 막 포텐셜에 도달하기 위해 더욱 신속하게 회복된다. 결과적으로, 특정 신경세포에서 Kv3 채널의 존재는 높은 주파수에서 발화되는 이들의 능력에 기여한다[Rudy and McBain, 2001, Trends in Neurosci. 24, 517-526]. Kv3.1-3 아형은 CNS에서 유력한 반면, Kv3.4 채널은 골격근 및 교감 신경세포에서 주로 발견된다[Weiser et al., 1994, J.Neurosci. 14, 949-972]. Kv3.1-3 채널 아형은 피질 및 해마 뇌 영역[예, Chow et al., 1999, J.Neurosci. 19, 9332-9345; Martina et al., 1998, J.Neurosci. 18, 8111-8125; McDonald and Mascagni, 2006, Neurosci. 138, 537-547, Chang et al., 2007, J. Comp. Neurol. 502, 953-972], 시상[예, Kasten et al., 2007, J.Physiol. 584, 565-582], 소뇌[예, Sacco et al., 2006, Mol. Cell. Neurosci. 33, 170-179], 및 청각 뇌줄기 핵[Li et al., 2001, J. Comp. Neurol. 437, 196-218]에 있는 사이신경세포의 서브-클래스에 의해 차별적으로 발현된다.
Kv3 아형 중 하나 이상이 결실된 마우스의 특징은 Kv3.1의 부재가 증가된 운동 활성, 변경된 뇌파 활성, 및 분절 수면 패턴을 일으킴을 나타낸다[Joho et al., 1999, J.Neurophysiol. 82, 1855-1864]. Kv3.2의 결실은 발작 역치의 감소 및 변경된 피질 뇌파 활성을 초래한다[Lau et al., 2000, J.Neurosci. 20, 9071-9085]. Kv3.3의 결실은 가벼운 실조 및 운동 결핍과 관련된다[McMahon et al., 2004, Eur. J.Neurosci. 19, 3317-3327]. Kv3.1 및 Kv3.3의 이중 결실은 자발적 발작, 실조, 및 에탄올 효과에 대한 증가된 민감성을 특징으로 하는 심한 표현형을 발생시킨다[Espinosa et al., 2001, J.Neurosci. 21, 6657-6665; Espinosa et al., 2008, J.Neurosci. 28, 5570-5581].
Kv3 채널의 알려진 약리학은 제한적이다. 테트라에틸암모늄 (TEA)은 낮은 밀리몰 농도에서 채널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고[Rudy and McBain, 2001, Trends in Neurosci. 24, 517-526], 말미잘로부터의 혈압-강하(blood-depressing) 물질 (BDS) 독소인 아네모니아 술카타[Anemonia sulcata)[Diochot et al., 1998, J. Biol. Chem. 273, 6744-6749]는 높은 친화성으로 Kv3 채널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Yeung et al., 2005, J.Neurosci. 25, 8735-8745]. Kv3 채널 상에 직접 작용하는 화합물에 더하여, 단백질 키나제 A (PKA) 및 단백질 키나제 C (PKC)를 활성화시키는 수용체의 효능제는 특수한 뇌 영역에서 Kv3-매개 전류를 조절하여 높은 주파수에서 발화하는 신경세포의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고[Atzori et al., 2000, Nat. Neurosci. 3, 791-798; Song et al., 2005, Nat Neurosci. 8, 1335-1342]; 이러한 연구는, PKA 및 PKC가 신경세포-특이적 방식으로 Kv3 채널을 특이적으로 인산화시켜 Kv3-매개 전류의 감소를 야기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양극성 장애, 정신분열병, 불안, 및 간질은 억제 사이신경세포 및 감마-아미노 부티르산 (GABA) 전파의 감소된 기능과 관련된 중추신경계의 심각한 장애이다[Reynolds et al., 2004, Neurotox. Res. 6, 57-61; Benes et al., 2008, PNAS, 105, 20935-20940; Brambilla et al., 2003, Mol. Psychiatry. 8, 721-37, 715; Aroniadou-Anderjaska et al., 2007, Amino Acids 32, 305-315; Ben-Ari, 2006, Crit. Rev. Neurobiol. 18, 135-144]. 피질 및 해마에서 Kv3 채널을 발현시키는 파르브알부민 포지티브 바구니 세포는 국부 회로내에서 피드백 억제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Markram et al., 2004, Nat.Rev.Neurosci. 5, 793-807]. 이러한 회로에서 글루타메이트성 피라미드 신경세포에 대한 억제 투입에 비한 흥분성 시냅스 투입의 상대적 우위를 고려해 볼 때, 억제성 입력을 공급하는 사이신경세포의 신속-발화는 균형잡힌 억제를 보장하는데 필수적이다. 또한, 억제 투입의 정확한 타이밍은, 예를 들어, 인지 기능과 관련된 감마 주파수 자기장 포텐셜 진동(gamma frequency field potential oscillation)의 생성에 있어서 네트워크 동기화를 유지하는데 필요하다[Fisahn et al., 2005, J.Physiol 562, 65-72; Engel et al., 2001, Nat.Rev.Neurosci. 2, 704-716]. 주목할 만하게는, 감마 진동에서의 감소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관찰되었다[Spencer et al., 2004, PNAS 101, 17288-17293]. 결과적으로, Kv3 채널의 포지티브 조절제는 뇌에서 신속-발화 신경세포의 특수한 그룹의 발화능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상기 신경세포 그룹의 비정상적 활성과 관련된 질병에 유익할 수 있다.
또한, Kv3.2 채널은 CNS에서 주요 서캐디안 페이스메이커(circadian pacemaker)인 초시각교차핵 (SCN)의 신경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것으로 밝혀졌다[Schulz and Steimer, 2009, CNS Drugs 23 Suppl 2, 3-13].
청력 손실은 전세계적으로 2억5천만명의 인구로 추정되는 유병율을 지니며[B.Shield, 2006, Evaluation of the social and economic costs of hearing impairment. A report for Hear-It AISBL: www.hear-it.org/multimedia/Hear_It_Report_October_2006.pdf], 유럽 및 미국 인구의 대략 16%에 영향을 주는 유행성을 나타낸다[Goldman and Holme, 2010, Drug Discovery Today 15, 253-255]. 기대 수명이 계속하여 증가함에 따라, 청각 장애를 겪는 인구의 수도 증가할 것이다. 더욱이, 현대의 라이프스타일은 더 어린 세대일수록 이러한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명을 포함하는 청각 병태는 삶의 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사회적 고립, 우울증, 일 및 관계의 어려움, 낮은 자존심 및 편견을 야기한다. Kv3 패밀리의 전압-관문 이온 채널은, 달팽이에서부터 상위 뇌 영역까지 청각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세포의 신속한 발화를 허용하는 청각 뇌줄기 핵에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된다[Li et al., 2001, J. Comp. Neurol. 437, 196-218]. 중추 청신경세포에서 Kv3.1 채널 발현의 손실이 청력이 손상된 마우스에서 관찰되었고[von Hehn et al., 2004, J. Neurosci. 24, 1936-1940], Kv3.1 발현의 쇠퇴가 늙은 마우스의 청력 손실과 관련될 수 있다[Jung et al. 2005 Neurol. Res. 27, 436-440]. 또한, 청각 뇌줄기 네트워크의 병리학적 가소성은 다양한 유형의 청력 손실로 고생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겪는 증상들의 원인인 것 같다. 최근의 연구로부터 Kv3.1 채널 기능 및 발현의 조절이 청신경 흥분성을 제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Kaczmarek et al., 2005, Hearing Res. 206, 133-145], 이는 이러한 메커니즘이 이명을 일으키는 가소성 변화 중 일부의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욱 특히, 배측 와우핵(dorsal cochlear nucleus)의 신경세포에서 Kv3-유사 칼륨 전류의 감소가 현재 랫트에서 청각적 외상 후에 관찰되었는데, 이는 감소된 Kv3 기능이 손상성 소음에 의해서 촉발되는 병리 과정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Pilati et al., 2011, Hearing Res., doi: 10.1016/j.hearingres.2011.10.008], 청각 뇌줄기 핵에서 Kv3 채널의 포지티브 조절이 소음-유발 청력 손실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치료적으로 유익할 수 있다는 가설을 뒷받침한다. 마지막으로, 프래자일(Fraglie) X 증후군 및 자폐증은 청각 자극을 포함하는 감각성 입력에 대한 과민성과 종종 관련된다. 최근 발견은 돌연변이 또는 부재가 프래자일 X 증후군을 일으키는 FMR-I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 단백질이 청각 뇌줄기 핵에서 Kv3.1 채널의 발현을 직접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제안하는데[Strumbos et al., 2010, J.Neuroscience, in press], 이는 Kv3.1 채널의 조절오류가 프래자일 X 또는 자폐증으로 고생하는 환자에게 청각과민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청각 뇌줄기 핵에서 Kv3 채널의 소분자 조절제가 이명, 및 프래자일 X 증후군 및 자폐증과 관련된 청각과민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치료에 유익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3는 부재이고;
R13은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13은 부재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특히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간질 및 수면 장애뿐만 아니라, 청력 손실 및 이명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I)의 화합물을 피검체에 투여함으로써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간질 및 수면 장애뿐만 아니라, 청력 손실 및 이명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화학식(I)의 화합물은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간질 및 수면 장애뿐만 아니라, 청력 손실 및 이명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화학식(I)의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고;
R13은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R1은 H 또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1은 H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1은 C1 - 4알킬이고, 특히 R1은 메틸이다.
적합하게는, R2는 H, F,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C3 스피로 기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2는 H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2는 C1-4알킬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특정 예에서, R2는 메틸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추가의 예에서, R2는 에틸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또 다른 예에서, R2는 프로필 (예, 이소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R2는 C3 스피로 기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구체예에서, R2는 C4 스피로 기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구체예에서, R2는 할로, 특히 플루오로이다.
적합하게는, R3는 H, F, 메틸 또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3는 H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3는 C1 -4 알킬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특정 예에서, R3는 메틸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추가의 예에서, R3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R3는 할로, 특히 플루오로이다. 당업자는 A 고리의 크기, 헤테로원자의 존재 및 불포화도에 좌우하여 R3가 부재일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3는 부재이다.
적합하게는, R3는 H, F,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H, F,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일 수 있다. 특히, R3는 H, F, 메틸 또는 에틸일 수 있고, R2는 H, F,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C3 스피로 카보사이클일 수 있다. 특정 구체예에서, R3는 H이고, R2는 H,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이다. 다른 구체예에서, R3는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메틸 또는 에틸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하나의 예에서, R3와 R2 둘 모두는 메틸이고(예컨대, 동일한 고리 탄소 원자에 결합됨), 이러한 구체예의 두 번째 예에서, R3와 R2 둘 모두는 에틸이다(예컨대, 동일한 고리 탄소 원자에 결합됨). 추가의 구체예에서, R3와 R2 둘 모두는 플루오로이다(예컨대, 동일한 고리 탄소 원자에 결합됨).
적합하게는, R13은 H, F 또는 메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13은 H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13은 C1 -4 알킬이고, 이러한 구체예의 특정 예에서, R13은 메틸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R13은 할로, 특히 플루오로이다. 당업자는 A 고리의 크기, 헤테로원자의 존재 및 불포화도에 좌우하여 R13이 부재일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그에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3은 부재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한다.
특정 구체예에서, 고리 A는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구체예에서, 고리 A는 두 개의 헤테로원자(예, 두 개의 산소 원자, 다르게는 하나의 산소 원자 및 하나의 질소 원자)를 함유한다.
적합하게는, A는 디하이드로푸란, 이속사졸, 디하이드로피란, 1,3-디옥솔란, 1,3-옥사진 또는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디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A는 디하이드로푸란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A는 디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A는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디하이드로푸란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구체예에서, A는 사이클로프로플 기와 융합된 디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구체예에서, A는 디하이드로푸란, 이속사졸 또는 디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구체예에서, A는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디하이드로푸란, 이속사졸 또는 디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구체예에서, A는 1,3-옥사진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구체예에서, A는 1,3-디옥솔란이다.
A가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원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경우, 적합하게는 산소 원자는 페닐 고리에 대한 메타 위치에 위치된다.
A가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5 원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경우, 적합하게는 헤테로사이클은 디하이드로푸란이다.
A가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6 원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경우, 적합하게는 산소 원자는 페닐 고리에 대한 메타 위치에 위치된다.
A가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6 원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경우, 적합하게는 헤테로사이클은 디하이드로푸란이다.
A가 5 원 고리인 경우,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R2, R3 및 R13 중 하나는 H이고, 다른 것들은 둘 모두 메틸이고, 예를 들어, R2, R3 및 R13 중 하나는 H이고, 다른 것들은 둘 모두 동일한 고리 탄소에 결합된 메틸이다. 다르게는, A가 5 원 고리인 경우, R2는 C3 스피로 기이고, R3 및 R13은 둘 모두 H이다.
A가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5 원 고리인 경우, 적합하게는 R2, R3 및 R13은 모두 H이다.
A가 6 원 고리인 경우,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R2, R3 및 R13 중 하나는 메틸이고, 다른 것들은 둘 모두 H이다. 다르게는, A가 6 원 고리인 경우, R2는 C3 스피로 기이고, R3 및 R13은 둘 모두 H이다.
A가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5 원 고리인 경우, 적합하게는 R2, R3 및 R13은 모두 H이다.
A가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6 원 고리인 경우, 적합하게는 R2, R3 및 R13은 모두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X는 C이고, Y는 C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X는 N이고, Y는 C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X는 N이고, Y는 N이다.
적합하게는, R4는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t-부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R4는 프로필, 예컨대, 이소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구체예에서, R4는 부틸, 예컨대, t-부틸이다.
적합하게는, R5는 H 또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5는 H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5는 C1 - 4알킬이고, 특히 R5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와 R5는 함께 C3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R4와 R5는 함께 C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다.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에틸이고, R5는 메틸이다.
적합하게는, R4 및 R5는 하기 입체화학적 배열을 지닌다:
Figure pct00003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5는 H이고, R4 치환체는 S 배치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예를 들어, A가 디하이드로푸란인 경우, 특히 A가 디하이드로푸란이고 R1이 H인 경우, 특히 A가 디하이드로푸란이고 R1이 H이고 R2가 C3 스피로 기 인 경우,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X는 N이고, Y는 C이다.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화학식(Ib)의 화합물 및 화학식(Ic)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들의 어떠한 서브세트는 임의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세 번째 구체예에서, 화학식(I)의 화합물은 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가 아니다.
추가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화학식(Ib) 및 (Ic)의 화합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1은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1은 C1 - 4알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1은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2는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2는 C1 - 4알킬이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R2는 메틸이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R2는 에틸이다. 또 다른 추가의 구체예에서, R2는 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2는 C3 스피로 기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3는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3는 C1 -4 알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3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A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이속사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A는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이속사졸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X는 C이고, Y는 C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X는 N이고, Y는 C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X는 N이고, Y는 N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4는 에틸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구체예에서, R4는 프로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의 구체예에서, R4는 부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5는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5는 C1 - 4알킬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R5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와 R5는 함께 C3 스피로 카보사이클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와 R5는 함께 C4 스피로 카보사이클형성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5는 H이고, R4 치환체는 S 배치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X는 N이고, Y는 C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X는 N이고, Y는 C이고, A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X는 N이고, Y는 C이고, A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고, R1은 H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R4는 메틸이고, R5는 메틸이고, X는 N이고, Y는 C이고, A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이고, R1은 H이고, R2는 C3 스피로 기이다.
본 발명의 한 가지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5R)-3-[4-(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페닐]-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메틸-3-{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4-[(3,6-디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3-{6-[(3-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3-(6-{[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4-[(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페닐}-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에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5-에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7-{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7-디아자스피로[3.4]옥탄-6,8-디온;
6-{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4,6-디아자스피로[2.4]헵탄-5,7-디온;
3-{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5-(1,1-디메틸에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3-[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5-메틸-3-[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3-(6-{[(3S/R)-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5R)-5-에틸-3-{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1 및 2);
(5R)-5-에틸-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5R)-5-에틸-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1 및 2);
5,5-디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라세미 혼합물);
5,5-디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거울상이성질체 1 및 거울상이성질체 2);
5,5-디메틸-3-{6-[(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6-[(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거울상이성질체 1 및 거울상이성질체 2);
(5R)-5-에틸-5-메틸-3-[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3-{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5-(1-메틸에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6-[(2,2-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에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5-피리미디닐]-5-에틸-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6-[(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라세미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 1, 거울상이성질체 2);
(5R)-5-에틸-5-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5R)-5-에틸-5-메틸-3-[6-(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5-디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라세미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 1, 거울상이성질체 2);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5R)-5-에틸-5-메틸-3-[2-(4-메틸크로만-5-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5R)-5-에틸-5-메틸-3-[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5R)-3-[2-(3,3-디메틸이소크로만-5-일)옥시피리미딘-5-일]-5-에틸-5-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5-메틸-3-[2-(7-메틸스피로[1H-이소벤조푸란-3,1'-사이클로부탄]-4-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5-메틸-3-{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2,2-디플루오로-7-메틸-1,3-벤조디옥솔-4-일)옥시]-5-피리미디닐}-5-에틸-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3-{2-[(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옥시]-5-피리미디닐}-5-에틸-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5-메틸-3-{2-[(2,4,4-트리메틸-4H-3,1-벤즈옥사진-5-일)옥시]-5-피리미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3-[2-(3,3-디메틸이소크로만-5-일)옥시피리미딘-5-일]-5,5-디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5,5-디메틸-3-[2-(7-메틸스피로[1H-이소벤조푸란-3,1'-사이클로부탄]-4-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3-[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일]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3-[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딜]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3-{6-[(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3-{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5R)-5-에틸-5-메틸-3-[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딜]이미다졸리딘-2,4-디온;
(5R)-3-[6-(3,3-디메틸이소크로만-5-일)옥시-3-피리딜]-5-에틸-5-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5R)-3-[6-[(3,3-디에틸-1H-이소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딜]-5-에틸-5-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5R)-5-에틸-5-메틸-3-[6-[(2,4,4-트리메틸-3,1-벤즈옥사진-5-일)옥시]-3-피리딜]이미다졸리딘-2,4-디온;
(5R)-3-{6-[(3,3-디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5-에틸-5-메틸-2,4-이미다졸리딘디온;
5,5-디메틸-3-[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딜]이미다졸리딘-2,4-디온;
또는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의심할 여지없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어느 한 가지 특징의 구체예는 추가 구체예를 생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의 또 다른 특징의 어떠한 구체예와 조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또는 아이오딘 원자를 지칭한다. 할로의 특정 예는 플루오린 및 클로린이고, 특히 플루오린이다.
화합물이 C1 - 4알킬 기를 함유할 때, 알킬기는 단독이든 C1 - 4알콕시와 같이 더 큰 기의 부분을 형성하든 간에, 직쇄, 분지쇄, 환형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C1-4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3차-부틸, 사이클로프로필 및 사이클로부틸이다. 예시적인 C1 - 4알킬 기의 특정 기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2차-부틸, 3차-부틸이다. C1-4알콕시의 예는 메톡시이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C1 - 4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분지쇄, 또는 환형 알킬 기, 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틸, 디플루오로메틸 및 트리플루오로메틸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할로C1 -4 알킬의 특정 기는 1 내지 3개의 할로 원자, 특히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 메틸 및 에틸 기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용어 '할로C1 - 4알콕시'는 하나 이상의 할로 원자로 치환된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직쇄, 분지쇄, 또는 환형 알콕시 기, 예를 들어, 플루오로메톡시, 디플루오로메톡시 및 트리플루오로메톡시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할로C1-4 알킬의 특정 기는 1 내지 3개의 할로 원자, 특히 1 내지 3개의 플루오로 원자로 치환된 메톡시 및 에톡시 기를 포함한다.
용어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은, 예를 들어, 푸란, 옥사졸, 이속사졸, 옥사디아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피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디옥솔란, 디옥산, 모르폴린, 및 옥사졸린을 포함한다.
약제에서 사용하기 위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어야 함이 이해될 것이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문헌[Berge, Bighley and Monkhouse J.Pharm.Sci (1977) 66, pp 1-19]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 및 숙신산, 말레산, 아세트산, 푸마르산, 시트르신, 타르타르산, 벤조산, p-톨루엔설폰산, 메탄설폰산 또는 나프탈렌설폰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형성된 산 부가염을 포함한다. 옥살레이트 또는 포르메이트와 같은 그 밖의 염이,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화합물의 분리에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일 당량 이상의 산과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가능한 화학량론적 및 비-화학량론적 형태를 그 범위 내에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결정형 또는 비-결정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결정형인 경우, 수화물과 같이 임의로 용매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량론적 용매화물 (예컨대, 수화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양의 용매 (예컨대, 물)를 함유하는 화합물을 그 범위 내에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포함하고 이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는 수용체에게 투여시에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활성 대사물질 또는 잔류물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어떠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에스테르 또는 그러한 에스테르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모든 기하, 호변 및 광학 형태,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학식 (I)의 모든 이성질체 및 이들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포함함이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의 키랄 중심이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은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모든 가능한 부분입체이성질체를 그 범위 내에 포함한다. 상이한 이성질체 형태는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다른 것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해된 형태일 수 있거나, 어떠한 주어진 이성질체는 통상적인 합성 방법에 의해서나 입체특이적 또는 비대칭 합성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러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자연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와 상이한 원자 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로 대체된 사실을 제외하면 화학식 (I)로 제시된 것들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내로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3H, 11C, 14C, 18F, 123I 또는 125I와 같은 수소, 탄소, 질소, 산소, 플루오린, 아이오딘 및 클로린의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또 다른 관심의 대상이 되는 동위원소는 13C이다.
상기 언급된 동위원소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원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동위원소 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3H 또는 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혼입된 화합물들은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검정에서 유용하다. 삼중수소, 즉, 3H, 및 탄소-14, 즉, 14C 동위원소가 이들의 제조의 용이성과 검출능을 위해 특히 바람직하다. 11C 및 18F 동위원소는 PET (양전자방출 단층 촬영술)에 특히 유용하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약제학적 조성물로의 사용을 위해 의도된 것이므로, 이들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 예를 들어 적어도 60% 순수하고, 더욱 적합하게는 적어도 75% 순수하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특히 적어도 98% 순수한 형태로 제공됨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는 중량 기준에 대한 중량이다). 화합물의 불순한 제조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에 사용되는 보다 순수한 형태를 제조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에 따르면,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하기 반응식은 본 발명의 화합물에 대한 일부 합성 경로를 상술한다. 하기 반응식에서, 반응기는 잘 확립된 기법에 따라 보호기로 보호되고 탈보호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이러한 분야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유기 합성 기법뿐만 아니라, 실시예 및 이의 변형예의 방법인 하기 기술된 대표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염과 용매화물은 이하에 요약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하기 설명에서, A, R1, R2, X, Y, R3, R4 및 R5 기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화학식 (I)의 화합물에 대해 앞서 정의된 의미를 갖는다.
반응식 1a
Figure pct00006
단계 ( ii ):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카르보닐화제, 예를 들어, 동일한 용매 중에 우선적으로 미리 희석되고, 두 번째로, 0℃에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첨가된 트리포스겐에 의한 고리화에 의해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매로서 이용할 수 있었다. 임의로 촉매량의 DMAP를 첨가할 수 있다.
단계 (i):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TFA와 같은 산성 조건하에 약 0℃ 또는 RT에서 BOC 보호기의 제거에 의해 화학식 (III)의 화합물로부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식 1b
Figure pct00007
X=Y=N 또는 (X=C, Y=N) 또는 (X=N, Y=C)이고 R4 및 R5가 H가 아닌 화학식(I)의 화합물은 친핵성 방향족 치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서, 전형적으로 Z=Cl인 화학식 (VII)의 할로-피리딜 또는 할로-피리미딜 유도체와 화학식 (IX)의 페놀은 염기, 예컨대,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의 존재 하에 적합한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서 또는 아세토니트릴 중에서 통상적인 가열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로 반응된다.
반응식 1c
Figure pct00008
단계 ( iii ): R4 및 R5가 H가 아닌 화학식(I)의 화합물은 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우레아와 염기, 예컨대, 소듐 메톡사이드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은 단계 (ii)의 우레아 생성물은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적합한 용매 중의 화학식 (XII)의 아미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와 화학식 (IV)의 아닐린을 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임의로 촉매량 또는 화학량론적 양의 DMAP를 첨가하면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동일한 용매 중에 우선적으로 미리 희석된 카르보닐화제, 예를 들어, 트리포스겐에 의해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II)의 아미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 (시중에서 구입가능하지 않은 경우)는 r.t 내지 환류 범위의 온도에서 촉매량 또는 화학량론적 양의 티오닐 클로라이드의 존재 하에서 메탄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화학식 (XIII)의 아미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a
Figure pct00009
단계 (i): 화학식(II)의 화합물은 커플링제, 예를 들어, T3P의 존재 하에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아미드 커플링에 의해 화학식 (IV)의 아닐린 및 화학식 (VI)의 아미노산(유리 염기 또는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b
Figure pct00010
단계 ( ii ):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염기, 예를 들어, DIPEA 및 커플링제, 예를 들어, HATU, TBTU의 존재 하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아미드 커플링에 의해 화학식 (IV)의 아닐린 및 화학식 (V)의 N-보호 아미노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V)의 일부 N-Boc 보호 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Aldrich로부터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예를 들어, Aldrich로부터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예를 들어, Bachem UK Ltd로부터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예를 들어, Nagase & Co Ltd로부터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이소발린과 같이,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화학식 (V)의 N-보호 아미노산은 또한 예를 들어 Boc-무수물에 의해 수성 NaHCO3, 수성 소듐 하이드록사이드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THF, 메탄올, 디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화학식 (V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많은 설명을 문헌[참조예: Tetrahedron, 2006, 62(42), 9966 - 9972]에서 입수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pct00011
화학식 (IV)의 아닐린은 니트로 화합물 (VII)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VII)를 (IV)로 바꾸는 적합한 반응 조건은, 예를 들어, 하기와 같다:
예를 들어 실온에서 Fe 분말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THF/물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환원,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면서 에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염화 주석 수화물로 환원.
반응식 4
Figure pct00012
R2이 H, C1 -4 알킬, C3-C4 스피로 카보사이클이고 R3가 H, C1 -4 알킬이고, (X,Y)가 (N,N)이 아닌 화학식 (IVa)의 아닐린은 반응식 3에 기재된 조건하에, 또는 하기 조건하에 니트로 화합물 (VIIa)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면서 에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하이드라진 수화물 및 촉매량의 Pd/C에 의한 환원.
반응식 5
Figure pct00013
X=Y=C 또는 (X=C, Y=N) 또는 (X=N, Y=C)인 화학식 (VIIb)의 화합물은 친핵성 방향족 치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에서 Z=F (일반적으로 [X=C, Y=C]일 때) 또는 Z=Cl (일반적으로 [X=N, Y=C] 또는 [X=C, Y=N]일 때)인 화학식 (VIIIb)의 니트로 유도체 및 화학식 (IX)의 페놀이 규칙적인 가열 또는 마이크로파 가열과 함께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용매, 예를 들어,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아세토니트릴의 상태로 이용된다.
X=Y=N인 화학식 (VIIc)의 화합물은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와 같은 용매 중에서 페놀 (IX) 및 일반적으로 Z=Cl인 니트로 화합물 (VIIIc)로부터 친핵성 방향족 치환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이다.
반응식 6
Figure pct00014
단계 ( i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6에 나타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a)의 페놀은, 실온에서의 아세토니트릴 중의 촉매량의 AuCl3의 존재하에 또는 가열하면서 아세톤중에서 촉매량의 PtCl2의 존재하에, 화학식 (X)의 화합물로부터 분자내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문헌[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3, 125, 5757-5766]에서의 방법에 대해 기재된 바와 같음).
단계 (i): 화학식 (X)의 화합물은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의 존재하에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친핵성 치환에 의해, 두 번째로, 친전자체, 예를 들어, 3-브로모-1-프로핀의 첨가에 의해 문헌[the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2003, 125, 5757-5766]에 기재된 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화학식 (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pct00015
단계 ( i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7에 나타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b)의 페놀(R6은 Me 또는 Et임)은 산성 조건, 예컨대, 수성 HCl의 존재하에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상응하는 화학식 (XII)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II)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염기, 예컨대, nBuLi를 사용하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0℃에서 4-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이후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두 번째 등가의 염기, 예컨대, nBuLi를 첨가하고, 희석된 양성자성 산, 예컨대, HCl에 의해서 반응을 중단함으로써 화학식 (XIII)의 화합물의 고리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임의로, 두 단계 (i) 및 (ii)가 원 팟(one pot)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8a
Figure pct00016
단계 (i): R6 = Met인 화학식 (XIIIa)의 화합물은 화학식 (XV)의 화합물로부터 직접적으로,
실온 내지 60℃에서 TMEDA의 존재하에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nBuLi을 사용하여 리튬화(lithiation)시키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78℃에서 알세트알데하이드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예를 들어, 실온으로 가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R6 = Et인 화학식 (XIIIb)의 화합물은 보호된 화합물 (XIV)로부터,
실온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nBuLi를 사용하여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0℃에서 프로판알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예를 들어, 실온으로 가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IV)의 화합물은 화학식 (XV)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클로로(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란, 1H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릴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8b
Figure pct00017
단계 ( i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산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알콜로부터 적합한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적합한 산, 예컨대, H2SO4 또는 p-톨릴설폰산으로 처리한 후에 얻어질 수 있다.
단계 ( 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의 생성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호된 화합물로부터,
실온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nBuLi을 사용하여 리튬화시키고(임의로, 아르곤 또는 수소 분위기 하에 실온에서 건조 THF에서 미리 교반된 CeCl3를 첨가하여),
두 번째 단계로, 예를 들어, 0℃에서 사이클로부탄온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예를 들어, 실온으로 가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상기 나타난 단계 (i)의 생성물은 출발 알콜로부터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클로로(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란, 1H 이미다졸을 사용하여 실릴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9a
Figure pct00018
단계 ( ii ): 화학식 (XV)의 화합물은 화학식 (XVI)의 에스테르로부터 0℃와 같은 온도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적합한 환원제, 전형적으로 LiAlH4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VI)의 화합물은 화학식 (XVII)의 페놀로부터,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클로로(메틸옥시)메탄, DIPEA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9b
Figure pct00019
단계 ( 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의 생성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에스테르로부터 0℃ 또는 실온과 같은 온도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적합한 환원제, 전형적으로, LiAlH4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상기 나타낸 단계 (i)의 생성물은 출발 페놀로부터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클로로(메틸옥시)메탄, 염기, 예컨대, NaH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임의로, 두 단계 (i) 및 (ii)는 원 팟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pct00020
단계 ( iii ): A가 반응식 10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이고 R1이 H 또는 메틸이고 R7이 메틸, 에틸 또는 이소프로필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c)의 페놀은 화합물 (XVIII)로부터,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면서 과량의 염기, 예컨대, 피리딘의 존재하에서 고리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V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IX)의 화합물로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아세트산 무수물로 아실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IX)의 화합물은 화학식 (XX)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면서 에탄올/물 혼합물과 같은 용매 중에서 소듐 아세테이트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거나, 용매 및 염기로서 피리딘을 사용하여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pct00021
화학식 (XX)의 케톤 중에서, 1-(2,6-디하이드록시페닐)에탄온은, 예를 들어, Aldrich로부터 시중에서 구입가능하다. R7= Me인 화학식 (XX)의 케톤에 상응하는 화학식 (XXa)의 케톤은 화학식 (XXI)의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XXI)의 화합물은
먼저,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의 존재 하에, 용매, 예를 들어, 디클로로메탄중에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 무수물을 사용하여 비스-아실화를 거치고,
이어서, 예를 들어, 90℃에서 가열하면서 루이스 산, 예컨대, AlCl3의 존재하에서 용매, 예컨대, 클로로벤젠중에서 분자내 아실 전달이 있는 Friedel Craft 아실화를 거친다.
반응식 12
Figure pct00022
단계 ( iii ): R7= Et 또는 iPr이고 R1=H인 화학식 (XX)의 케톤에 상응하는 화학식 (XXb)의 케톤은 화학식 (XXII)의 화합물로부터 산성 조건, 예컨대, HCl 수용액하에 예를 들어, 환류하에 가열하면서 용매, 예컨대, 메탄올 중에서 2개의 보호기의 제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X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I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BuLi로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적합한 무수물 또는 아실 클로라이드를, 예를 들어, -78℃에서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XIII)의 화합물은 R1=H인 화학식 (XXI)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XXIa)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0℃에서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고, 두 번째로, 클로로(메틸옥시)메탄을,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3a
Figure pct00023
단계 ( ii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3a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d)의 페놀은 O-메톡시 전구체 (XXIV)로부터 0℃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BBr3를 사용하여 탈메틸화의 반응을 이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XIV)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환류하에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트리부틸스탄난(tributylstannane) 및 AIBN을 사용하여 화학식 (XXV)의 화합물로부터 고리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XV)의 화합물은 화학식 (XXVI)의 화합물로부터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두 번째로, 예를 들어, 실온에서 Z=Cl 또는 Br인 화학식 (XXVII)의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3b
Figure pct00024
단계 ( iv )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TiPS 보호된 화합물로부터 실온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중에서 플루오라이드 공급원, 예컨대,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존재하에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Et2O 또는 N-헥산중에서 부틸리튬 또는 2차-부틸리튬 또는 3차-부틸리튬을 사용하여 금속-할로겐 교환시키고, 두 번째 단계로,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아이오도메탄과 같은 메틸화 작용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산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호된 페놀로부터 실온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DMF 또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THF 중에서 브롬화제, 예컨대, NBS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출발 페놀로부터 0℃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부틸리튬과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클로로 트리이소프로필실란을 사용하여 실릴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4
Figure pct00025
단계 ( iii ): 화학식 (XXV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VII)의 화합물로부터 산성 조건하에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HCl 가스를 사용하여 보호기의 제거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XV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VI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78℃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BuLi으로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70℃에서 아이오딘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 둠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XV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IX)의 화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소듐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페놀을 보호하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실온에서 브로모메틸 메틸 에테르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pct00026
단계 ( iv ): 대안적으로,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5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d)의 페놀은 화학식 (XXX)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하이드록사이드 염기, 예를 들어, 소듐 하이드록사이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화학식 (XXX)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I)의 화합물로부터 단계 (ii)에서 반응 13a에 제시된 조건하에 고리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XX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용매 중에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 및 3-브로모-2-메틸-1-프로펜과 같은 친전자체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XX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III)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아세트산 무수물, 염기,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하여 아세틸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6
Figure pct00027
단계 ( vi ): R1이 H 또는 메틸이고 A가 반응식 16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e)의 페놀은 화학식 (XXXIV)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50℃에서 가열하면서 산성 조건하에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수성 HCl을 사용하여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v): 화학식 (XXXIV)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V)의 화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여 Mitsonobu 반응시키고, 실온에서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v ): 화학식 (XXXV)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VI)의 화합물로부터 순차적인 방식으로, 에탄올중에서 물중의 HCl 2N과 같은 산성 조건에서 탈보호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NaH와 같은 강산을 사용하고,
0℃에서 MOMCl을 첨가하고,
0℃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로 환원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화학식 (XXXV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VII)의 화합물로부터 실온에서 수행되는 Corey-Chaykovsky 사이클로프로판화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디메틸옥소설포늄 메틸리드를 미리 형성시키기 위하여, 트리메틸설폭소늄 아이오다이드가 염기, 예컨대, NaH의 존재하에, 용매, 예컨대, DMSO 중에서 사용되고, 두 번째로, (DMSO중에 미리희석된) 화학식 (XXXVII)의 화합물이 첨가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XXXV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XXVIII)의 화합물로부터 Wittig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리드를 미리 형성시키기 위해서, 0℃ 내지 실온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포스포늄염, 예컨대,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및 강산, 예컨대, KHMDS가 사용될 수 있다. 두 번째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미리 희석된 화학식 (XXXVIII)의 화합물이 0℃에서 첨가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XXVIII)의 화합물은 화합물 (XXIII)로부터 실온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BuLi를 사용하여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78℃에서 이러한 용액을 친전자체, 예를 들어,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THF 중에 미리 희석됨)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XXIII)의 화합물은 반응식 12 (단계 i)에 기재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7a
Figure pct00028
단계 ( vi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7a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IXf)의 페놀은 화학식 (XXXIX)의 화합물로부터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수성 HCl을 사용하는 산성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60℃에서 가열하여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vi ): 화학식 (XXXIX)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화학식 (XL)의 화합물을 고리화시키고, 두 번째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세 번째로, 포타슘 2-메틸-2-프로판올레이트와 같은 강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v): 화학식 (XL)의 화합물은 실온에서 Pd/C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화학식 (XLI) 및 (XL)의 화합물의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v ): 화학식 (XLI) 및 (XL)의 화합물의 혼합물은 화학식 (XLII)의 화합물로부터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화학식 (XL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LIII)의 페놀로부터,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NaH 및 클로로(메틸옥시)메탄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DIPEA 또는 TEA와 같은 염기와 함께 사용되는 용매는 DCM일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LIII)의 페놀은 화학식 (XLIV)의 화합물로부터 0℃ 내지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보론 트리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탈메틸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LIV)의 화합물은 화학식 (XLV)의 화합물로부터 예를 들어, 70℃에서 DMF와 같은 용매에서 가열하면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프로판산 무수물과 반응시키고, 두 번째로, 물을 첨가하고, 예를 들어, 120℃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7b
Figure pct00029
단계 ( vi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7b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상기 나타난 단계 (v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v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60℃에서 가열하면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수성 HCl을 사용하는 산성 조건하에서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vi ): 상기 나타난 단계 (v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에틸아민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상기 나타난 단계 (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을 고리화시키고, 두 번째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 세 번째로, 포타슘 2-메틸-프로판올레이트와 같은 강산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Mitsunobu 조건이 이용될 수 있다.
단계 (v): 상기 나타난 단계 (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실온에서 Pd/C와 같은 촉매의 존재하에서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수소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v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들의 혼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화합물로부터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로부터,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NaH 및 클로로(메틸옥시)메탄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0℃ 내지 환류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보론 트리브로마이드를 사용하여 탈메틸화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출발 알콜로부터 DM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70℃에서 가열하면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와 같은 염기의 존재하에서 아세트산 무수물과 반응시키고, 이어서, 물을 첨가하고, 예를 들어, 120℃에서 가열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8a
Figure pct00030
단계 ( iv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8a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g)의 페놀은 화합물 (XLVI)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v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화학식 (XLVI)의 화합물은 화학식 (XLVII)의 화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여 Mitsonobu 반응시키고, 실온에서 비스(1-메틸에틸) (E)-1,2-디아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LV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LVIII)의 화합물로부터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LVIII)의 화합물은 화학식 (XLII)의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ii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온에서 수행되는 Corey-Chaykovsky 사이클로프로판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8b
Figure pct00031
단계 ( iv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v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테트라하이드로푸란과 같은 용매 중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여 Mitsonobu 반응시키고, 실온에서 비스(1-메틸에틸) (E)-1,2-디아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출발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ii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온에서 수행되는 Corey-Chaykovsky 사이클로프로판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9a
Figure pct00032
단계 ( vi ): R1이 H이고 A가 반응식 19a에 도시된 헤테로사이클인 화학식 (IX)의 화합물에 상응하는 화학식 (IXh)의 페놀은 화합물 (XLIX)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v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v): 화학식 (XLIX)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0℃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BuLi와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화학식 (L)의 화합물을 고리화시키고, 두 번째로, 예를 들어, 0℃에서 4-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를 첨가한 후, 세 번째로, 예를 들어, 0℃에서 두 번째 등가의 염기, 예컨대, nBuLi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v ): 화학식 (L)의 화합물은 화학식 (LII)의 화합물로부터, 순차적으로,
예를 들어,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를 첨가하고,
후처리 및 용매 증발 후,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TBAF와 같은 탈실릴화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화학식 (LI)의 화합물은 화학식 (LII)의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ii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실온에서 수행되는 Corey-Chaykovsky 사이클로프로판화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LII)의 화합물은 화학식 (LIII)의 화합물로부터,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90℃에서 가열하면서 예를 들어,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의 디메틸 티타노센의 용액(예, 9중량%)으로 올렌핀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톨루엔 중의 디메틸티타노센의 용액은 -10℃에서, 예를 들어, 메틸리튬의 용액과 티타노센 디클로라이드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LIII)의 화합물은 화합물 (XIV)로부터 실온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 BuLi를 이용하여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78℃에서 이러한 용매를 친전자체, 예를 들어,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예를 들어, THF 중에 미리 희석됨)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9b
Figure pct00033
단계 ( iv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알콜로부터 적합한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또는 에탄올중에서 적합한 산, 예컨대, H2SO4 또는 p-톨릴설폰산으로 처리한 후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중에서 2 내지 10 당량의 에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0 ℃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DCM 중에서 TFA를 사용하여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출발 화합물로부터 실온에서 헥산과 같은 용매 중에서 BuLi를 사용하여 리튬화시키고, 두 번째로, -78℃에서 이러한 용액을 친전자체, 예를 들어,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예를 들어, THF 중에 미리 희석됨)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0
Figure pct00034
단계 ( iv )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반응식 16 (단계 vi)에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MOM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40 ℃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디클로로메탄과 같은 용매 중에서 디에틸아연 및 디아이오도메탄 (임의로, 2,4,6-트리클로로페놀이 첨가됨)을 사용하여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불포화 화합물을 사이클로프로판화시킴으로써(Simmons-Smith 조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반응식 16 (단계 ii)에 기재된 바와 같이 Wittig형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출발 페놀로부터,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DMF 또는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NaH 및 클로로(메틸옥시)메탄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1
Figure pct00035
단계 ( 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락톤으로부터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디에틸 에테르중에서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얻어진 화합물은 적합한 용매,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토니트릴 또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서 적합한 산, 예컨대, H2SO4 또는 TsOH로 처리될 수 있다.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락톤은 0℃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K-셀렉트라이드(K-selectride)와 같은 환원제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출발 무수물을 반응시키고; 이어서, 예를 들어, 0℃ 내지 실온에서 DCM과 같은 용매 중에서 DIPEA 및 클로로(메틸옥시)메탄과 같은 염기를 사용하여 MOM-보호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2
Figure pct00036
단계 ( i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론산으로부터 실온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물/THF와 같은 용매의 조합물 중에서 H2O2 및 NaOH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론산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론산으로부터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2차 BuLi을 사용하여 리튬화시킨 후, 두 번째로,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아이오도메탄과 같은 메틸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보론산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로부터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2차-BuLi을 사용하여 리튬화시킨 후, 두 번째로, 트리메틸보레이트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3
Figure pct00037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로부터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2차-BuLi을 사용하여 리튬화시킨 후, 두 번째로, -78℃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트리메틸보레이트를 첨가한 후, 세 번째로, 실온에서 H2O2 및 NaOH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4
Figure pct00038
단계 ( iv ) : 상기 나타난 단계 (iv)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페놀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실온 내지 환류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또는 디클로로에탄 중에서 BBr3와 같은 탈메틸화제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로부터 적합한 온도, 예컨대, 110℃에서 적합한 산, 예컨대, 순수 폴리인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 상기 나타난 단계 (i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화합물은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아미노알콜로부터 적합한 온도, 예를 들어, 0℃에서 염기, 예컨대, 트리에틸아민의 존재하에 적합한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와 같은 아실화제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 상기 나타난 단계 (i)에 의해 생성된 유형의 알콜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출발 케톤으로부터 0℃ 내지 실온 범위의 온도에서 적합한 용매, 예컨대, THF 또는 디에틸 에테르 중에서 메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 처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5
Figure pct00039
단계 ( ii ): 반응식 2b (단계 ii)에 기재된 경로에 대안적으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톨루엔과 같은 용매 중에서, 예를 들어, 150℃에서 가열하면서 아닐린 (IV)과 전구체 (LIV) 사이를 커플링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LIV)의 화합물은 N-보호된 아미노산 (V) 및 2,2'-디티오디피리딘 (LV)으로부터 실온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의 존재하에 THF와 같은 용매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26
Figure pct00040
단계 ( iii ): 화학식 (VIII)의 화합물은 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염기, 예컨대, 소듐 메톡사이드와 화학식 (XI)의 우레아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단계 ( ii ): 화학식 (XI)의 화합물은 0℃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트리에틸아민 또는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과 같은 염기의 존재 하에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용매 중에서 화학식 (XII)의 아미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와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Z가 Cl인 화학식 (IVa)의 아닐린을 동일한 용매 중에서 우선적으로 미리 희석된 카르보닐화제, 예를 들어, 트리포스겐으로 반응시키고, 임의로 촉매량 또는 화학량론적 양의 DMAP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단계 (i): 화학식 (XII)의 아미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는 시중에서 구입가능한 화학식 (XIII)의 아미노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부터 실온 내지 환류 범위의 온도에서 촉매량 또는 화학량론적 양의 티오닐 클로라이드의 존재하에 메탄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료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Kv3.1 또는 Kv3.2 또는 Kv3.1 및 Kv3.2 채널의 조절제가 요구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Kv3.1 또는 Kv3.2 또는 Kv 3.1 및 Kv3.2의 조절제는 이러한 채널의 성질을 포지티브하게 또는 네거티브하게 변경시키는 화합물이다. 채널의 변경된 성질은 채널의 관찰된 반응 규모 또는 시간적 거동(temporal behaviour)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들의 조절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 생물학적 실시예 1의 검정에서 시험될 수 있다.
Kv3.1 및/또는 Kv3.2 채널의 조절에 의해 매개될 수 있는 질환 또는 장애는 하기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기 나열된 질환 뒤에 있는 괄호 안의 숫자는 문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published by the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및/또는 문헌[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Edition (ICD-10)]의 분류 코드를 지칭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주요 우울병 에피소드, 조병 에피소드, 혼합 에피소드 및 경조증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장애(300.4), 달리 지정되지 않은 우울장애(311)를 포함하는 우울장애; 양극성 I 장애, 양극성 II 장애 (경조증 에피소드를 갖는 재발성 주요 우울병 에피소드)(296.89), 순환성기분장애(301.13)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양극성 장애(296.80)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 우울병 특징, 주요 우울병-유사 에피소드, 조병 특징 및 혼합 특징과 함께 아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학적 병태(293.83)로 인한 기분 장애를 포함하는 그 밖의 기분 장애, 물질-유도 기분 장애 (우울병 특징, 조병 특징 및 혼합 특징과 함께 아형 포함)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기분 장애(296.90); 계절성 정동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형 편집형(295.30), 붕괴형(295.10), 긴장형(295.20), 미식별형(295.90) 및 잔류형(295.60)을 포함하는 정신분열병; 정신분열형 장애(295.40); 아형 양극형 및 울병형을 포함하는 정신분열정동장애(295.70); 아형 색정형, 과장형, 질투형, 피해망상형, 신체형, 혼합형 및 명시하지 않은 형을 포함하는 망상장애(297.1); 단기정신병적 장애(298.8); 공유되는 정신증적 장애(297.3); 망상 및 환각과 함께 아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학적 병태로 인한 정신증적 장애; 망상(293.81) 및 환각(293.82)과 함께 아형을 포함하는 물질-유도된 정신증적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정신증적 장애(298.9)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공황 발작을 포함하는 불안 장애; 광장 공포증이 없는 공황장애(300.01) 및 광장 공포증이 있는 공황장애(300.21)을 포함하는 공황장애; 광장 공포증; 공황장애의 병력이 없는 광장 공포증(300.22), 아형 동물형, 자연적인 환경형, 혈액-주사 상해형, 상황형 및 그 밖의 유형을 포함하는 특이한 공포증(300.29, 이전에 단순한 공포증), 사회 공포증(사회적 불안 장애, 300.23), 강박반응성 장애(300.3), 외상후의 스트레스 장애(309.81), 급성 스트레스 장애(308.3), 범불안장애(300.02), 일반적인 의학 상태로 인한 불안 장애(293.84), 물질-유도된 불안 장애, 분리불안장애(309.21), 불안증과 더불어 적응 장애(309.24)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불안 장애(300.00)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물질 의존, 물질 갈망 및 물질 남용과 같은 물질 사용 장애; 물질 중독, 물질 금단, 물질-유도 섬망, 물질-유도 지속적 치매, 물질-유도 지속적 기억상실장애, 물질-유도 정신증적 장애, 물질-유도 기분 장애, 물질-유도 불안 장애, 물질-유도 성기능부전, 물질-유도 수면 장애 및 환각 지속적 지각장애(플래시백)과 같은 물질-유도 장애; 알콜 의존(303.90), 알콜 남용(305.00), 알콜 중독(303.00), 알콜 금단(291.81), 알콜 중독 섬망, 알콜 금단 섬망, 알콜-유도 지속적 치매, 알콜-유도 지속적 기억상실장애, 알콜-유도 정신증적 장애, 알콜-유도 기분 장애, 알콜-유도 불안 장애, 알콜-유도 성기능부전, 알콜-유도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알콜-관련 장애(291.9)와 같은 알콜-관련 장애; 암페타민 의존(304.40), 암페타민 남용(305.70), 암페타민 중독(292.89), 암페타민 금단(292.0), 암페타민 중독 섬망, 암페타민 유도된 정신증적 장애, 암페타민-유도 기분 장애, 암페타민-유도 불안 장애, 암페타민-유도 성기능부전, 암페타민-유도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암페타민-관련 장애(292.9)와 같은 암페타민 (또는 암페타민-유사)-관련 장애; 카페인 중독(305.90), 카페인-유도 불안 장애, 카페인-유도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카페인-관련 장애(292.9)와 같은 카페인 관련 장애; 카나비스(Cannabis) 의존(304.30), 카나비스 남용(305.20), 카나비스 중독(292.89), 카나비스 중독 섬망, 카나비스-유도 정신증적 장애, 카나비스-유도불안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카나비스-관련 장애(292.9)와 같은 카나비스-관련 장애; 코카인 의존(304.20), 코카인 남용(305.60), 코카인 중독(292.89), 코카인 금단(292.0), 코카인 중독 섬망, 코카인-유도 정신증적 장애, 코카인-유도 기분 장애, 코카인-유도 불안 장애, 코카인-유도 성기능부전, 코카인-유도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코카인-관련 장애(292.9)와 같은 코카인-관련 장애; 환각제 의존(304.50), 환각제 남용(305.30), 환각제 중독(292.89), 환각제 지속적 지각장애(플래시백)(292.89), 환각제 중독 섬망, 환각제-유도 정신증적 장애, 환각제-유도 기분 장애, 환각제-유도 불안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환각제-관련 장애(292.9)와 같은 환각제-관련 장애; 흡입제 의존(304.60), 흡입제 남용(305.90), 흡입제 중독(292.89), 흡입제 중독 섬망, 흡입제-유도 지속적 치매, 흡입제-유도 정신증적 장애, 흡입제-유도 기분 장애, 흡입제-유도 불안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흡입제-관련 장애(292.9)와 같은 흡입제-관련 장애; 니코틴 의존(305.1), 니코틴 금단(292.0)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니코틴-관련 장애(292.9)와 같은 니코틴-관련 장애; 아편유사약물 의존(304.00), 아편유사약물 남용(305.50), 아편유사약물 중독(292.89), 아편유사약물 금단(292.0), 아편유사약물 중독 섬망, 야편유사약물-유도 정신증적 장애, 야편유사약물-유도 기분 장애, 야편유사약물-유도 성기능부전, 아편유사약물-유도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야편유사약물-관련 질병(292.9)과 같은 야편유사약물-관련 장애; 펜사이클리딘 의존(304.60), 펜사이클리딘 남용(305.90), 펜사이클리딘 중독(292.89), 펜사이클리딘 중독 섬망, 펜사이클리딘-유도 정신증적 장애, 펜사이클리딘-유도 기분 장애, 펜사이클리딘-유도 불안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펜사이클리딘-관련 장애(292.9)와 같은 펜사이클리딘 (또는 펜사이클리딘-유사)-관련 장애;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의존(304.10),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남용(305.40), 진정제, 수면제, 또는항불안제 중독(292.89),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금단(292.0),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중독 섬망,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금단 섬망,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지속적인 치매,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지속적인 기억상실장애,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유도 정신증적 장애,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유도 기분 장애,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유도 불안 장애,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유도 성기능부전,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 수면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관련 장애(292.9)와 같은 진정제, 수면제, 또는 항불안제-관련 장애; 복합물질 의존(304.80)과 같은 복합물질-관련 장애; 및 합성대사 스테로이드, 질산염 흡입제 및 아산화질소와 같은 그 밖의 (또는 알려지지 않은) 물질-관련 장애를 포함하는 물질-관련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우울증, 그 밖의 정신과 장애 및 인지 장애와 관련된 정신병 병태, 예컨대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그 밖의 질환에서 인지 장애의 치료를 포함하는 인지 향상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수면이상과 같은 일차성 수면 장애, 예컨대, 원발 불면증(307.42), 일차성 수면 과다(307.44), 기면증(347), 호흡-관련 수면 장애(780.59), 서캐디안 리듬 수면 장애(307.45)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수면 이상(307.47); 악몽 장애(307.47)와 같은 사건수면, 수면 테러 장애(307.46), 몽유병 장애(307.46)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사건수면(307.47)과 같은 일차성 수면 장애; 또 다른 정신 장애에 관한 불면증(307.42) 및 또 다른 정신 장애에 관한 과다수면(307.44)과 같은 또 다른 정신 장애에 관한 수면 장애; 일반적인 의학적 병태로 인한 수면 장애, 특히 신경계 장애, 신경병성 동통, 하지불편증후군, 심장 및 폐질환과 같은 질환과 관련된 수면 장애; 및 아형 불면증형, 과다수면형, 사건수면형 및 혼합형을 포함하는 물질-유도 수면 장애; 수면중 무호흡 및 시차로 인한 피로 증후군을 포함하는 수면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형 제한형 및 폭식/퍼징(Purging)형을 포함하는 신경성 식욕부진(307.1); 아형 퍼징형 및 비퍼징형을 포함하는 신경성 거식증(307.51); 비만; 강박성 섭식 장애; 폭식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섭식 장애(307.50)와 같은 섭식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자폐장애(299.00), 아스퍼거 장애(299.80), 레트 장애(299.80), 소아기 붕괴성 장애(299.10)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전반적 장애(299.80, 비정형적인 자폐증 포함)를 포함하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형 주의력-결핍/과다활동 장애 조합형(314.01), 주의력-결핍/과다활동 장애 주로 주의력 장애형(314.00), 주의력-결핍/과다활동 장애 과다활동 충동형(314.01)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주의력-결핍/과다활동 장애(314.9)를 포함하는 주의력-결핍/과다활동 장애; 과다운동성 장애; 아형 유년기-개시 형(321.81), 청춘기 개시 형(312.82) 및 개시가 지정되지 않은 형(312.89)을 포함하는 행동 장애, 반항성 도전장애(313.81)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파탄 행동 장애와 같은 파탄 행동 장애; 및 뚜렛 장애와 같은 틱 장애(307.23)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아형 편집 인격장애(301.0), 정신분열성 인격장애(301.20), 분열형 인격장애(301,22), 반사회성 인격장애(301.7), 경계성 성격 장애(301,83), 배우 인격장애(301.50), 자기애적 인격 장애(301,81), 회피성 인격장애(301.82), 의존성 인격장애(301.6), 강박반응성 인격장애(301.4)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인격장애(301.9)를 포함하는 인격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성욕감소장애(302.71) 및 성의 혐오 장애(302.79)와 같은 성욕 장애; 여성 성적흥분장애(302.72) 및 남성발기장애(302.72)와 같은 성의 각성 장애; 여성 극치감장애(302.73), 남성극치감장애(302.74) 및 조루(302.75)와 같은 같은 극치감장애; 성교 불쾌증(302.76) 및 질경련(306.51)과 같은 성의 동통 장애; 달리 지정되지 않은 성기능부전(302.70); 노출증(302.4), 도착증(302.81), 접촉도착증(302.89), 소아성애증(302.2), 성 피학증(302.83), 성 가학증(302.84), 복장 도착증(302.3), 관음증(302.82)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성도착증(302.9)과 같은 성도착증; 소아의 성주체성 장애(302.6) 및 청년기 또는 성인의 성주체성 장애(302.85)와 같은 성주체성 장애;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성적 장애(302.9)를 포함하는 성기능부전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간헐적 폭발성 장애(312.34), 도벽(312.32), 병리학적 도박(312.31), 방화광(312.33), 발모광(312.39), 달리 지정되지 않은 충동-조절 장애(312.3), 폭식, 강박 구매, 강박 성적행동 및 저장강박증을 포함하는 충동 조절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청각의 신경병증, 청각 처리 장애, 돌연한 청력 손실을 포함하는 청력 손실, 소음성 난청, 물질-유도 청력 손실, 및 60세 이상의 성인에서 청력 손실 (노인성난청) 및 이명을 포함하는 청각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메니에르병, 균형 장애 및 내이의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프래자일-X 증후군 및 자폐증을 포함하는 큰소리 지각의 장애 및 청각과민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간질 (비제한적으로 국소-관련 간질, 전신 간질, 및 전신 및 국소 발작을 동반한 간질 등 포함), 레녹스-가스토 증후군과 관련된 발작, 질환 또는 병태의 합병증으로서의 발작 (예컨대, 뇌병증, 페닐케톤뇨증, 연소성 고셔병, 룬드보그의 진행성 간대성근경련간질, 뇌졸중, 두부외상,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 약물 사용 또는 금단, 알콜 사용 또는 금단, 수면방해, 열, 및 감염 등과 관련된 발작), 본태성 진전, 하지불편증후군, 부분 및 전신 발작 (긴장, 간대성, 긴장-간대성, 무긴장, 간대성근경련, 소발작 포함), 이차성 전신 발작, 관자엽 간질, 결손 간질 (유년기, 청소년기, 간대성근경련, 광- 및 패턴-유도 포함), 중증 간질성 뇌병증 (저산소증-관련 및 라스무센 증후군 포함), 열성경련, 부분간질 지속증, 진행성 간대성근경련 간질 (운베리히트-룬드보그 질병 및 라포라 질병 포함), 두부 손상과 관련된 것들을 포함하는 외상후 발작/간질, 단순 반사성 간질 (광민감. 체성감각 및 고유감각, 청각원성 및 전정 포함), 피리독신-의존성 간질과 같은 간질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대사 장애, 멩케 엉킴털 질병, 크라베병, 알콜 및 약물 남용 (예컨대, 코카인)으로 인한 간질, 간질과 관련된 피질 기형 (예컨대, 이중 피질 증후군 또는 피질하 띠상 이소증), 발작 또는 간질과 관련된 염색체 이형, 예컨대 부분적인 일염색체성(15Q)/앙겔만 증후군) 등의 치료 또는 예방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양극성 장애 또는 조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제공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은 질병 상태 또는 이의 증상의 제어, 완화, 감소 또는 조절을 포함한다.
용어 "예방"은 피검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을 예방하거나 고통받는 피검체에서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재발을 예방하는 것을 의미하기 위해 본원에서 사용되며, 고통의 완전한 예방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Kv3의 조절제가 요구되는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Kv3의 조절제가 요구되는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Kv3의 조절제가 요구되는 질환 또는 장애,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질환 또는 질병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정신분열병, 약물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적응증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치료에 사용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투여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어떠한 편리한 방법에 의해, 예컨대 경구, 비경구, 협측, 설하, 비내, 직장 또는 경피 투여, 및 그에 따라 구성된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경구로 제공될 때 활성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액체 또는 고체, 예컨대, 시럽, 현탁액, 에멀젼, 정제, 캡슐 또는 로젠지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액체 제형은 수성 용매, 예컨대, 물, 에탄올 또는 글리세린, 또는 비수성 용매,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오일과 같은 적합한 액체 담체(들)에서 활성 성분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일반적으로 구성될 것이다. 제형은 또한 현탁제, 보존제, 풍미제 및/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 형태의 조성물은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전분, 락토스, 수크로스 및 셀룰로스와 같이 고체 제형을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들)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캡슐 형태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캡슐화 절차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는데, 예컨대,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펠렛을 표준 담체를 이용하여 제조한 후, 경질 젤라틴 캡슐 내로 충전시킬 수 있으며; 대안적으로, 수성 검, 셀룰로스, 실리케이트 또는 오일과 같은 어떠한 적합한 약제학적 담체(들)를 이용하여 분산액 또는 현탁액을 제조한 후 분산액 또는 현탁액을 연질 젤라틴 캡슐 내로 충전시킬 수 있다.
전형적인 비경구 조성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레시틴, 아라키스유 또는 참깨유와 같은 비경구적으로 허용되는 오일 또는 무균 수성 담체 중 활성 성분의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용액을 냉동건조시킨 후 투여 직전에 적합한 용매로 재구성할 수 있다.
비내 투여용 조성물은 에어로졸, 점적제, 겔 및 분말로서 편리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에어로졸 제형은 전형적으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수성 또는 비수성 용매 중 활성 성분의 미세 현탁액 또는 용액을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아토마이징 장치에 이용되는 카트리지 또는 리필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밀봉된 컨테이너에 무균 형태로 단일 또는 다중용량으로 제공된다. 대안적으로, 밀봉된 컨테이너는 계량식 밸브가 장착된 에어로졸 디스펜서 또는 단일 용량 비내 흡입기와 같은 일회용 분배 장치일 수 있다. 투여 형태가 에어로졸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경우, 이것은 플루오로클로로하이드로카본 또는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과 같은 유기 추진제 또는 공기와 같은 가압 가스일 수 있는 추진제를 함유할 것이다. 에어로졸 투여 형태는 또한 펌프-아토마이저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협측 또는 설하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정제, 로젠지 및 알약을 포함하고, 여기서 활성 성분은 당 및 아카시아, 트래거캔트, 또는 젤라틴 및 글리세린과 같은 담체와 제형화된다.
직장 투여용 조성물은 편리하게 코코아 버터와 같은 일반적인 좌제 베이스를 함유하는 좌제의 형태이다.
경피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은 연고, 겔 및 패치를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조성물은 정제, 캡슐 또는 앰플과 같은 단위 용량 형태이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0.1% 내지 100중량%, 예를 들어, 10 내지 60중량%의 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0% 내지 99중량%, 예를 들어, 40% 내지 90중량%의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0.05mg 내지 1000mg, 예를 들어, 1.0mg 내지 500mg의 활성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50mg 내지 1000mg, 예를 들어, 100mg 내지 400mg의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장애의 치료에 사용된 화합물의 용량은 장애의 중증도, 환자의 체중, 및 다른 유사한 인자에 따라 통상적인 방식으로 변화될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지침으로서 적합한 단위 용량은 0.05 내지 1000mg, 보다 적합하게는 1.0 내지 500mg일 수 있고, 그러한 단위 용량은 하루에 1회 이상, 예를 들어, 하루에 2회 또는 3회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치료는 수 주 또는 수 개월 동안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의 양태에서, 추가의 치료제 또는 치료제들과 함께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치료제 또는 치료제들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화학식(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합물을 다른 치료제와 함께 이용할 때, 화합물은 어떠한 편리한 경로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지칭된 조합물은 약제학적 제형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 편리하게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와 함께 상기 정의된 조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은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를 포함한다. 그러한 조합물의 개별적인 성분들은 분리되거나 조합된 약제학적 제형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조합물의 개별적인 성분들은 또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경로를 통해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동일한 질환 상태에 대해 활성인 두 번째 치료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화합물의 용량은 화합물이 단독으로 사용될 때의 용량과 상이할 수 있다. 적합한 용량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인지될 것이다.
혼합에 의해, 적합하게는 주위 온도 및 대기압에서 제조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경구, 비경구 또는 직장 투여를 위해 구성되고, 이와 같이 정제, 캡슐, 경구 액체 제조물, 분말, 과립, 로젠지, 재구성가능한 분말, 주사가능하거나 주입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좌제의 형태일 수 있다. 경구 투여가능한 조성물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특히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주요 우울병 에피소드, 조병 에피소드, 혼합 에피소드 및 경조증 에피소드를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장애(300.4), 달리 지정되지 않은 우울장애(311)를 포함하는 우울장애; 양극성 I 장애, 양극성 II 장애 (경조증 에피소드를 갖는 재발성 주요 우울병 에피소드)(296.89), 순환성기분장애(301.13)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양극성 장애(296.80)를 포함하는 양극성 장애; 우울병 특징, 주요 우울병-유사 에피소드, 조병 특징 및 혼합 특징과 함께 아형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의학적 병태로 인한 기분 장애(293.83)를 포함하는 그 밖의 기분 장애, 물질-유도 기분 장애 (우울병 특징, 조병 특징 및 혼합 특징과 함께 아형 포함) 및 달리 지정되지 않은 기분 장애(296.90); 계절성 정동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에 특히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효량의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피검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장애를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질병을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한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장애를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치료에 사용하기 위해, Kv3 조절제는 일반적으로 약제학적 조성물, 예를 들어,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투여된다.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그러한 조성물의 예, 및 이의 투여 방법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조성물 및 투여 방법은,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장애를 포함하는 우울증 및 기분 장애,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물질 남용 장애, 수면 장애 또는 간질의 치료에서 그 밖의 Kv3 조절제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대해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신규한 중간체, 및 그러한 중간체의 제조에 관한 것이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특정 중간체에는 하기 화합물들이 포함된다: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50)
Figure pct00041
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85)
Figure pct00042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6)
Figure pct00043
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184)
Figure pct00044
관심의 대상이 되는 그 밖의 중간체에는 하기 화학식 (IV)의 아닐리드가 있다:
Figure pct00045
하기 아닐린이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Figure pct00046
상기 식에서,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W 기는 하기 화합물로부터 선택된다:
Figure pct00047
본 명세서에 인용된 특허 및 특허 출원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 않는 모든 공개문헌은 각각의 개별적인 공개문헌이 충분히 기재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고 지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지 예를 들기 위해 하기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된다.
도 1a 은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을 이용하여 기록된 hKv3.2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제시된 데이터는 참조 실시예 RE1의 화합물의 두 농도에서 4개의 상이한 세포로부터 기록된 -15mV로의 탈분극 전압 단계의 기간에 걸쳐진 개별적인 전류이다. 데이터는 Prism 버젼 5 (Graphpad Software Inc)의 핏팅 절차를 이용하여 단일 지수 곡선 (실선)에 의해 핏팅된 것이다.
도 1b는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을 이용하여 기록된 hKv3.2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제시된 데이터는 참조 실시예 RE3의 화합물의 두 농도에서 2개의 상이한 세포로부터 기록된 -15mV로의 탈분극 전압 단계의 기간에 걸쳐진 개별적인 전류이다. 데이터는 Prism 버젼 5 (Graphpad Software Inc)의 핏팅 절차를 이용하여 단일 지수 곡선 (실선)에 의해 핏팅된 것이다.
도 2는 마우스에서 체성감각 피질에서 동정된 "신속-발화" 사이신경세포로부터 획득한 기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탈분극 전류 단계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파르브알부민-포지티브 사이신경세포로부터 기록된 작용 포텐셜의 주파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파르브알부민-포지티브 사이신경세포로부터 유발된 작용 포텐셜의 반치폭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시험관내, 마우스의 시각적으로 확인된 MNTB 신경세포로부터 기록된 고-전압 활성화 포타슘 전류를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24 시간 명암 주기에 걸쳐 상이한 서캐디안 시간 동안 희생된 마우스의 시교차상 핵에서 Kv3.1b mRNA의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도 6b는 시교차상 핵에서 Kv3.2 mRNA의 발현을 나타낸 것이다.
실험
본 발명은 하기 기재된 화합물에 의해 설명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의 실험 합성을 기재한 것이고, 화합물 또는 공정에 대하여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특정 시약, 용매, 온도 및 기간이 이용되지만, 유사한 결과물을 생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가능한 등가의 대안이 있음이 이해된다. 본 발명은 그러한 등가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분석 장비
출발 물질, 시약 및 용매를 상업적 공급업체로부터 수득하였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 정제 없이 이용하였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키랄 중심을 갖는 모든 화합물은 라세미체이다. 반응이 이전에 보다 완전히 기재된 반응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었다고 기재된 경우, 사용된 일반적인 반응 조건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사용된 후처리 조건은 당해 분야에서의 표준 타입이었으나, 하나의 반응에서 다른 반응으로 개작될 수 있다. 출발 물질은 반드시 언급된 배치로부터 제조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된 화합물은, 예를 들어, 85% 내지 98% 범위의 다양한 순도를 지닐 수 있다. 몰수 및 수율의 계산은 일부 경우에 이에 대해 조절되었다.
양성자 자기 공명 (NMR) 스펙트럼을 300, 400, 500 또는 600 MHz의 Varian 기계 상에서, 또는 400 MHz의 Bruker 기계 상에서 기록하였다. 화학적 이동을 내부 표준으로서 잔류 용매 라인을 이용하여 ppm (δ)으로 기록하였다. 분할 패턴을 s (싱글렛), br.s (브로드 싱글렛), d (더블렛), t (트리플렛), q (쿼테트), dd (더블렛 오브 더블렛), dt (더블렛 오브 트리플렛) 및 m (멀티플렛)으로서 지정하였다. NMR 스펙트럼을 25 내지 30℃ 범위의 온도에서 기록하였다.
HPLC (워크-업(walk-up)): rt = x min에 의해 표시되는 HPLC 분석을 Luna 3u C18(2) 100A 컬럼 (50 x 2.0 mm, 3 μm 입자 크기) [이동상, 용매 A: (물 + 0.05% TFA), 용매 B: (아세토니트릴 + 0.05% TFA), 구배: 100% (A) 내지 95% (B) 8분 이하. 컬럼 T = 40℃. 유량 = 1 ml/min. UV 검출 파장 = 220 nm]을 이용하여 Agilent 1100 series 기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HPLC"에 의해 표시된다
직접 주입 질량 스펙트럼 (MS)을 ES (+) 및 ES (-) 이온화 모드로 동작하는, Agilent 1100 Series LC/MSD 질량 분광계 상에서 진행시켰다 [ES (+): 질량 범위: 100 내지 1000 amu. 주입 용매: 물 + 0.1% HCO2H / CH3CN 50/50. ES (-): 질량 범위: 100 내지 1000 amu. 주입 용매: 물 + 0.05% NH4OH / CH3CN 50/50].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MS_1 (ESI)"에 의해 표시된다.
대안적으로, 질량 스펙트럼 (MS)을 HPLC 기계 Agilent 1100 Series와 연결되어 ES (+) 및 ES (-) 이온화 모드로 동작하는, 질량 분광계 상에서 진행시켰다 [LC/MS-ESI(+) 분석을 Supelcosil ABZ+Plus (33x4.6mm, 3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10%[CH3CN+0.05%TFA] 내지 90 %[CH3CN+0.05%TFA] 및 10% [물]에서 2.2 min 이하, 2.8 min 동안 이러한 조건하. T= 45℃, 플럭스 = 0.9 mL/min)].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MS_2 (ESI)"에 의해 표시된다.
HPLC-질량 스펙트럼 (HPLC-MS)을,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기분무 이온화 모드 및 산성 및 염기성 구배 조건 둘 모두로 동작하는, HPLC 기계 Agilent 1100 Series와 연결된 Agilent 1100 Series LC/MSD 질량 분광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산성 배: LC/MS-ES (+ 또는 -) 분석을 Supelcosil ABZ + Plus 컬럼 (33 x 4.6 mm, 3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A: (물 + 0.1% HCO2H) / B: CH3CN. 구배 (표준 방법): t=0 min 0% (B), 0% (B) 내지 95% (B)에서 5 min 이하, 1.5 min 동안 지속, 95% (B) 내지 0% (B)에서 0.1 min 이하, 정지 시간 8.5 min. 컬럼 T = r.t.. 유량 = 1 ml/min.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LC-MS_A"에 의해 표시된다. 염기성 구배 : LC/MS-ES (+ 또는 -) 분석을 XTerra MS C18 컬럼 (30 x 4.6 mm, 2.5 ㎛)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A: (5 mM aq. NH4HCO3 + 암모니아 (pH 10)) / B: CH3CN. 구배: t = 0 min 0% (B), 0% (B) 내지 50% (B)에서 0.4 min 이하, 50% (B) 내지 95% (B)에서 3.6 min 이하, 1 min 동안 지속, 95% (B) 내지 0% (B)에서 0.1 min 이하, 정지 시간 5.8 min. 컬럼 T = r.t.. 유량 = 1.5 mL/min]. 질량 범위 ES (+ 또는 -): 100 내지 1000 amu. UV 검출 범위: 220 내지 350 nm.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LC-MS_B"에 의해 표시된다.
품질 관리: LC/MS-ES+을 산성 조건 하에 Zorbax SB C18 컬럼 (1.8 ㎛, 3 x 50 mm) 상에서 수행하였다. 이동상: A: (H2O + 0.05부피% TFA) / B: (CH3CN + 0.05부피% TFA). 구배: t = 0 min 0% (B), 0 내지 95% (B)에서 2.5 min 이하, 0.2 min 동안 95% (B), 95 내지 100% (B)에서 0.2 min 이하, 0.4 min 동안 100% (B), 100% 내지 0% (B)에서 0.1 min 이하, 정지 시간 4 min. 컬럼 T = 60℃. 유량: 1.5 ml/min. 질량 범위 ES+: (100-1000 amu, F=60 ). UV 검출 파장 : DAD 1A = 220.8, DAD 1B = 254.8.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LC/MS: QC_3_MIN"에 의해 표시된다.
산성 구배를 이용한 초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피크와 관련된 MS 및 UV 스펙트럼과 함께 총 이온 전류(TIC) 및 DAD UV 크로마토그래프 트레이스를 2996 PDA 검출기가 구비되고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전기분무 이온화 모드로 동작하는 Waters Micromass ZQTM 질량 분광계와 연결된 UPLC/MS AcquityTM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였다 [LC/MS - ES (+ 또는 -): 분석을 AcquityTM UPLC BEH C18 컬럼 (50 x 2.1 mm, 1.7 ㎛ 입자 크기)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방법: 이동상: A: (물 + 0.1% HCO2H) / B: (CH3CN + 0.06% HCO2H). 구배 : t = 0 min 3% (B), t = 0.05 min 6% (B), t = 0.57 min 70% (B), t = 1.06 min 99% (B) 0.389 min 동안 지속, t = 1.45 min 3% (B), 정지 시간 1.5 min. 컬럼 T = 40 ℃. 유량 = 1.0 mL/min. 질량 범위: ES (+): 100 내지 1000 amu. ES (-): 100 내지 800 amu. UV 검출 범위: 210 내지 350 nm.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UPLC"에 의해 표시된다. 1 st 포커싱 방법: 이동상: A: (물 + 0.1% HCO2H) / B: (CH3CN + 0.1% HCO2H). 구배: t = 0 min 3% (B), t = 1.06 min 99% (B), t = 1.45 min 99% (B), t = 1.46 min 3% (B), 정지 시간 1.5 min. 컬럼 T = 40 ℃. 유량 = 1.0 mL/min. 질량 범위: ES (+): 100 내지 1000 amu. ES (-): 100 내지 800 amu. UV 검출 범위: 210 내지 350 nm.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UPLC_s"에 의해 표시된다. 2 nd 포커싱 방법: 이동상: A: (물 + 0.1% HCO2H) / B: (CH3CN + 0.1% HCO2H). 구배: t = 0 min 3% (B), t = 1.5 min 100% (B), t = 1.9 min 100% (B), t = 2 min 3% (B), 정지 시간 2 min. 컬럼 T = 40 ℃. 유량 = 1.0 mL/min. 질량 범위: ES (+): 100 내지 1000 amu. ES (-): 100 내지 800 amu. UV 검출 범위: 210 내지 350 nm.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UPLC_ipqc"에 의해 표시된다.
염기성 구배를 이용한 초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피크와 관련된 MS 및 UV 스펙트럼과 함께 총 이온 전류(TIC) 및 DAD UV 크로마토그래프 트레이스를 PDA 검출기가 구비되고 포지티브 또는 네거티브 교대 전기분무 이온화 모드로 동작하는 Waters SQD 질량 분광계와 연결된 UPLC/MS AcquityTM 시스템 상에서 수행하였다 [LC/MS - ES+/-: 분석을 AcquityTM UPLC BEH C18 컬럼 (50 x 2.1 mm, 1.7 ㎛ 입자 크기)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 A: (NH4HCO3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 B: CH3CN. 구배: t = 0 min 3% (B), t = 1.06 min 99% (B) 0.39 min 동안 지속, t = 1.46 min 3% (B), 정지 시간 1.5 min. 컬럼 T = 40 ℃. 유량 = 1.0 mL/min. 질량 범위: ES (+): 100 내지 1000 amu. ES (-): 100 내지 1000 amu. UV 검출 범위: 220 내지 350 nm. 이러한 방법의 이용은 기재된 화합물의 분석 특성화에서 "UPLC_B"에 의해 표시된다.
마이크로파 조사가 수반된 반응의 경우, Personal Chemistry Emrys™ Optimizer 또는 Biotage Initiator를 이용하였다.
다수의 제법에서, Biotage 매뉴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플래시+), Biotage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Horizon, SP1 및 SP4), 컴패니온 콤비플래시 (ISCO) 자동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Flash Master Personal 또는 Vac Master 시스템을 이용하여 정제를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실리카겔 230 내지 400 메시 (Merck AG Darmstadt에 의해 공급됨, Germany) 또는 실리카겔 300 내지 400 메시 (Sinopharm Chemical Reagent Co., Ltd.에 의해 공급됨), Varian Mega Be-Si 프리-패킹된 카트리지, 프리-패킹된 Biotage 실리카 카트리지 (예컨대, Biotage SNAP 카트리지), KP-NH 프리패킹된 플래시 카트리지, ISOLUTE NH2 프리패킹된 카트리지 또는 ISCO RediSep 실리카 카트리지 상에서 수행하였다.
SPE-SCX 카트리지는 Varian에 의해 공급된 이온 교환 고형상 추출 컬럼이었다. SPE-SCX 카트리지에 사용된 용리액은 DCM 및 MeOH 또는 MeOH 단독, 이어서 MeOH 중의 암모니아 용액이었다. 수집된 분획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MeOH 중의 암모니아 용액으로 용리된 것이었다.
SPE-Si 카트리지는 Varian에 의해 공급된 실리카 고형상 추출 컬럼이었다.
다수의 제법에서, 정제를 Waters 2996 PDA 검출기가 구비되고 포지티브 및 네거티브 전기분무 이온화 모드 ES+, ES- (질량 범위 100 내지 1000 또는 100 내지 900)로 동작하는 ZQ™ 질량 분광계 (Waters)와 연결된 질량-유도 자가정제 (MDAP) 시스템 Fractionlynx™ 상에서 수행하였다.
반분취용 구배의 세트를 이용하였다:
방법 A: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XTerra Prep MS C18 OBD (150 mm x 30 mm 10 ㎛ 입자 크기) 실온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40 ml/min
구배: 0.5 min 동안 10% (B), 10% (B) 내지 95% (B) 12.5 min 이하, 95% (B) 내지 100%(B) 3 min 이하
방법 B: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XTerra Prep MS C18 OBD (150 mm x 30 mm 10 ㎛ 입자 크기) 실온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40 ml/min
구배: 20% 내지 25% (B) 1 min 이하, 25% (B) 내지 65% (B) 12 min 이하, 65% (B) 내지 100% (B) 0.5 min 이하
방법 C: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Waters Xbridge C18 OBD (50 mm x 19 mm 5 ㎛ 입자 크기) 실온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17 ml/min
구배: 20% (B) 내지 25% (B) 1 min 이하, 25% (B) 내지 55% (B) 9 min 이하, 55% (B) 내지 100% (B) 2 min 이하, 20% (B) 0.1 min 이하로 돌아옴
방법 D: 크로마토그래피 산성 조건
컬럼: Waters Xbridge C18 OBD (50 mm x 19 mm 5 ㎛ 입자 크기) 실온
이동상: A: (물 + 물 중 0.1% 포름산); B: 아세토니트릴
유량: 17 ml/min
구배: 20% (B) 내지 25% (B) 1 min 이하, 25% (B) 내지 55% (B) 9 min 이하, 55% (B) 내지 100% (B) 2 min 이하, 20% (B) 0.1 min 이하로 돌아옴
방법 E: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Waters Xbridge C18 OBD (50 mm x 19 mm 5 ㎛ 입자 크기) 실온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17 ml/min
구배: 10% (B) 내지 15% (B) 1 min 이하, 15% (B) 내지 70% (B) 7 min 이하, 70% (B) 내지 100% (B) 1 min 이하, 2 min 동안 100% (B), 10% (B) 0.1 min 이하로 돌아옴
방법 F: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Phenomenex Gemini AXIA C18 (50 x 21.2 mm 5 ㎛ 입자 크기)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17 ml/min
구배: 10% (B) 내지 15% (B) 1 min 이하, 15% (B) 내지 65% (B) 8 min 이하, 65% (B) 내지 100% (B) 1 min 이하, 10% (B) 1 min 이하로 돌아옴
방법 G: 크로마토그래피 염기성 조건
컬럼: Phenomenex Gemini AXIA C18 (50 x 21.2 mm 5 ㎛ 입자 크기)
이동상: A: 물 +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의 10 mM 수용액 (암모니아에 의해 pH 10으로 조절됨)), B: 아세토니트릴
유량: 17 ml/min
구배: 10% (B) 내지 15% (B) 1 min 이하, 15% (B) 내지 70% (B) 7 min 이하, 70% (B) 내지 100% (B) 1 min 이하, 2 min 동안 100% (B), 10% (B) 0.1 min 이하로 돌아옴
약어
CDCl3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cHex 사이클로헥산
CV 컬럼 부피
DCM 디클로로메탄
DIP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d 6 중수소화 디메틸설폭사이드
EDC.HCl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르보디미이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
Et2O 디에틸 에테르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h 시간
H2 기체 수소
HATU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BTU O-벤조트리아졸-1-일-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HCO2H 포름산
HCl 염화수소
HNO3 질산
HOBt.H2O 1-하이드록시벤질트리아졸 수화물
H2SO4 황산
K2CO3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KHDMS 포타슘 헥사메틸디실라자이드
KOH 포타슘 하이드록사이드
MeCN /CH3CN 아세토니트릴
MeOH 메탄올
MeOD 중수소 메탄올
MDAP 질량-유도 자가정제
MOM 메톡시메틸
N2 기체 질소
NaBH(OAc)3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NaHCO3 소듐 하이드로게노카르보네이트
NaNO2 소듐 니트라이트
Na2CO3 소듐 카르보네이트
NaOH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NH4OH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NH4HCO3H 암모늄 바이카르보네이트
NMR 핵자기공명
Pd/C 차콜상 팔라듐
PE 페트롤륨 에테르
r.t. 실온
SCRC Sinopharm Chemical Reagent Co., Ltd
T3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tBuOK 포타슘 3차-부톡사이드
TBTU o-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TEA 트리에틸아민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sOH*H2O 4-메틸벤젠설폰산 수화물, p-톨루엔설폰산 수화물
중간체 1
2-[(2- 프로핀 -1- 일옥시 ) 메틸 ]푸란
Figure pct00048
0℃에서 아르곤하에 교반된 DMF (46 ml) 중의 소듐 하이드라이드 (1.570 g, 39.2 mmol)의 현탁액에 DMF (4 ml) 중의 2-푸라닐메탄올 (3.5 g, 35.7 mmol)의 용액을 20분 내에 떨어뜨렸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톨루엔 중의 3-브로모-1-프로핀 (4.24 g, 35.7 mmol) 80% 용액을 0℃에서 10분 내에 떨어뜨린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에 두었다. 물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에틸 에테르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95/5 내지 85/15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instrument)에 의해 정제하였다.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63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49
중간체 2 - 3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올 및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5-올
Figure pct00050
실온에서 아르곤 하에 교반된 아세토니트릴 (60 ml) 중의 [2-[(2-프로핀-1-일옥시)메틸]푸란] (중간체 1, 1.63 g)의 용액에 순수 골드 트리클로라이드 (0.182 g, 0.59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골드 트리클로라이드를 첨가하고(120 mg), 2시간 후 추가 골드 트리클로라이드를 첨가하였다(226 mg). 1시간 후,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미정제물을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 90/10으로 용리시키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에 의해 정제하였다. 두 분획들을 증발시켜 각각 다음 표제 화합물들을 제공하였다: 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올 (100 mg) 및 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5-올 (356 mg).
중간체 2: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051
중간체 3: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5-올:
Figure pct00052
중간체 4
4-[(4- 니트로페닐 ) 옥시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Figure pct00053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5 ml) 중의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670 mg, 4.85 mmol), 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올 (중간체 2, 110 mg) 및 1-플루오로-4-니트로벤젠 (114 mg, 0.808 mmol)의 현탁액을 100℃에서 3 x 30 분 동안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켰다. 2 ml의 물을 첨가한 후, 디클로로메탄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바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054
중간체 5
4-(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 일옥시 )아닐린
Figure pct00055
에탄올 (6 ml) 중의 4-[(4-니트로페닐)옥시]-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 (중간체 4, 208 mg), 하이드라진 수화물 (0.051 ml, 1.618 mmol) 및 Pd/C (172 mg, 0.162 mmol)의 용액을 아르곤하에 90℃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30분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였다. 셀라이트를 메탄올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136 mg).
Figure pct00056
중간체 6
1,1-디메틸에틸 ((1 R )-2-{[4-(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 일옥시 ) 페닐 ]아미노}-1-메틸-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57
1,2-디클로로에탄 (3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97 mg, 0.515 mmol), DIPEA (0.138 ml, 0.792 mmol) 및 TBTU (191 mg, 0.594 mmol)의 현탁액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4-(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아닐린 (중간체 5, 90 m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에 두었다. 염수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분리 튜브에서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0 내지 85:15 구배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서 사용하는 크로마토그래피(Biotage SP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9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58
중간체 7
N 1 -[4-(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 일옥시 ) 페닐 ]-D-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059
디클로로메탄 (4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2-{[4-(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 페닐]아미노}-1-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6, 108 mg) 및 TFA (1 ml)의 용액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SCX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1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0
중간체 8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 에탄온 옥심
Figure pct00061
23 ml의 EtOH/H2O (7/3)의 혼합물 중에 용해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756 mg, 10.9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1.71 g, 12.6 mmol)의 용액을 12 ml의 7/3 EtOH/H2O 혼합물 중의 2',6'-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1.5 g, 9.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N2하에 2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교반한 후, 7 ml의 물 중에 용해된 추가의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40 mg, 4.9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570 mg, 4.19 mmol)을 첨가하고, 추가 30분 동안 계속 환류시켰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서 1.3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2
중간체 9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 에탄온 O- 아세틸옥심
Figure pct00063
1-(2,6-디하이드록시페닐)에탄온 옥심 (중간체 8, 588 mg)에 아세트산 무수물 (1.97 ml, 20.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의 제거 후, 물을 첨가하고, 얻어진 고형물을 여과하고, 고진공하에 건조하여 43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4
중간체 10
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올
Figure pct00065
1-(2,6-디하이드록시페닐)에탄온 O-아세틸옥심 (중간체 9, 437 mg)에 피리딘 (4.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HCl (4.0 ml의 5M 수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Et2O로 3회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층을 HCl (1M, 수용액)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3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6
중간체 11
3- 메틸 -4-[(4- 니트로페닐 ) 옥시 ]-1,2- 벤즈이속사졸
Figure pct00067
3-메틸-1,2-벤즈이속사졸-4-올 (중간체 10, 137 mg)을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381 mg, 2.8 mmol)를 함유한 DMF (3.0 ml) 중의 1-플루오로-4-니트로벤젠 (130 mg, 0.92 mmol)과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조사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CHex/EtOAc (100%/0% 내지 0%/100%)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68
중간체 12
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아닐린
Figure pct00069
3-메틸-4-[(4-니트로페닐)옥시]-1,2-벤즈이속사졸 (중간체 11, 100 mg)을 질소 분위기 하에 5.0 ml의 EtOH 중에서 용해시켰다. 염화 주석(II) 이수화물 (417 mg, 1.85 m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층을 NaHCO3의 5% 수용액으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미정제물을 NH 컬럼에 의해 정제하고, DCM/MeOH (100/0, 이후 100/0 내지 90/10, 이후 90/10의 구배)로 용리시켜 3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0
중간체 13
1,1-디메틸에틸 [(1 R )-1- 메틸 -2-({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페닐}아미노)-2- 옥소에틸 ]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71
12.0 ml의 DMF 중에 {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민 (중간체 12, 982 mg)을 용해시켰다. DIPEA (1.07 ml, 6.1 mmol) 및 HATU (1865 mg, 4.9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928 mg, 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100/0% 내지 0/100% 구배의 C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58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2
중간체 14
N 1 -{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D-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073
1,1-디메틸에틸 [(1R)-1-메틸-2-({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미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3, 587 mg)를 10.0 ml의 DCM 중에 용해시킨 후, TFA (5.0 m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고, DCM/MeOH/NH3 (MeOH 중의 2.0 M 용액)에 의해 용리시켰다. 증발에 의해 337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4
중간체 15
5-메틸벤젠-1,3-디일 디아세테이트
Figure pct00075
5-메틸-1,3-벤젠디올 (2.0 g, 16.11 mmol)을 20.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TEA (11.23 ml, 81.0 mmol)를 첨가하였다. 이후, 0℃에서, 아세트산 무수물 (4.56 ml, 48.3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 (20.0 ml)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2회). 합친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33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6
중간체 16
1-(2,6- 디하이드록시 -4- 메틸페닐 ) 에탄온
Figure pct00077
클로로벤젠 (5.0 ml) 중의 5-메틸벤젠-1,3-디일 디아세테이트 (중간체 15, 3.33 g)의 용액을 클로로벤젠 (15.0 ml) 중의 AlCl3 (6.40 g, 48.0 mmol)의 현탁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얼음과 2 M HCl 수용액 (16 ml)의 혼합물 상에 피펫팅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2회 세척한 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70/30, 이어서, 등용매로 70/30, 70/30 내지 50/50의 또 다른 구배, 및 또 다른 등용매로 50/50 구배의 Cy-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94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78
중간체 17
1-(2,6- 디하이드록시 -4- 메틸페닐 ) 에탄온 옥심
Figure pct00079
20 ml의 EtOH/H2O (7/3)의 혼합물 중에 용해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70 mg, 6.76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590 mg, 4.34 mmol)의 용액을 15 ml의 EtOH/H2O (7/3)의 혼합물 중의 1-(2,6-디하이드록시-4-메틸페닐)에탄온 (중간체 16, 940 m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N2하에 2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교반한 후, 5ml의 물 중에 용해된 추가의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59 mg, 2.29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199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수득된 고형물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829 mg의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080
중간체 18
1-(2,6- 디하이드록시 -4- 메틸페닐 ) 에탄온 O - 아세틸옥심
Figure pct00081
1-(2,6-디하이드록시-4-메틸페닐)에탄온 옥심 (중간체 17, 829 mg)에 아세트산 무수물 (2.6 ml, 27.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서 1.0 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2
중간체 19
3,6-디메틸-1,2- 벤즈이속사졸 -4-올
Figure pct00083
1-(2,6-디하이드록시-4-메틸페닐)에탄온 O-아세틸옥심 (중간체 18, 1.0 g)에 피리딘 (1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하에서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HCl (10.0 ml의 5M 수용액)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Et2O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 상을 HCl (1M)로 세척하였다. 이 후, 분리된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345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4
중간체 20
3,6-디메틸-4-[(4- 니트로페닐 ) 옥시 ]-1,2- 벤즈이속사졸
Figure pct00085
3,6-디메틸-1,2-벤즈이속사졸-4-올 (중간체 19, 345 mg)을 아세토니트릴 (10.0 ml) 중에 용해시킨 후, 1-플루오로-4-니트로벤젠 (298 mg, 2.11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877 mg, 6.3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에 교반하고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100/0 내지 50/50 구배의 c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08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6
중간체 21
{4-[(3,6-디메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아민
Figure pct00087
3,6-디메틸-4-[(4-니트로페닐)옥시]-1,2-벤즈이속사졸 (중간체 20, 208 mg)을 에탄올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염화 주석 이수화물 (991 mg, 4.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고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26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88
중간체 22
1,1-디메틸에틸 [(1 R )-2-({4-[(3,6-디메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아미노)-1- 메틸 -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89
{4-[(3,6-디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민 (중간체 21, 260 mg)을 8.0 ml의 DMF 중에 용해시켰다. DIPEA (0.188 ml, 1.074 mmol) 및 HATU (327 mg, 0.86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163 mg, 0.8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100/0 내지 0/100 구배의 c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0
중간체 23
N 1 -{4-[(3,6-디메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D-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091
1,1-디메틸에틸 [(1R)-2-({4-[(3,6-디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미노)-1-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2, 74 mg)를 3.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켰다. TFA (1.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로 정제하고, DCM/MeOH/NH3 (MeOH 중의 2.0 M 용액)로 용리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켜 5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2
중간체 24
1,1-디메틸에틸[1,1-디메틸-2-({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아미노)-2- 옥소에틸 ]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093
{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민 (중간체 23, 30 mg) 을 5.0 ml의 DMF 중에 용해시켰다. DIPEA (0.033 ml, 0.19 mmol) 및 HATU (57 m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동안 교반한 후,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30.5 mg, 0.1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100/0 내지 0/100 구배의 c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4
중간체 25
2- 메틸 - N 1 -{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095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아미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4, 34 mg)를 4.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킨 후, TFA (1.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키고, 디클로로메탄, MeOH, NH3 (MeOH 중의 2.0 M 용액)으로 연속하여 용리시켰다. 증발시켜 1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6
중간체 26
1,3-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벤젠
Figure pct00097
레조르시놀 (3.0 g, 27.2 mmol)을 DMF (50.0 ml)중에 용해시키고, 0℃에서 NaH (4.36 g, 109 mmol, 60중량%)를 첨가하였다. 그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클로로메틸 메틸 에테르 (8.28 ml, 109 mmol)를 첨가하고, 반응이 실온에 이르게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후, 수집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50/50)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4.94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098
중간체 27
1-(2,6-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1- 프로판온
Figure pct00099
1,3-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26, 2.02 g)을 질소 하에 THF (7.0 mL) 중에 용해키시고, BuLi 용액(헥산 중의 1.6 M 용액 7.64 ml, 12.2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78℃에서 냉각시킨 후, 프로판산 무수물 (5.23 ml, 40.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한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이후, 얻어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 내지 9/1, 이후 9/1, 이후 9/1 내지 8/2, 이후 8/2)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1.706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0
중간체 28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1- 프로판온
Figure pct00101
1-(2,6-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1-프로판온 (중간체 27, 1.7 g)을메탄올 (50.0 ml) 중에 용해시키고, HCl 수용액 (26.7 ml, 53.5 mmol의 2M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11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2
중간체 29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1- 프로판온 옥심
Figure pct00103
20 ml의 EtOH/H2O (7/3)의 혼합물 중에 용해된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10 mg, 7.3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629 mg, 4.6 mmol)의 용액을 15 ml의 EtOH/H2O (7/3)의 혼합물 중의 1-(2,6-디하이드록시페닐)-1-프로판온 (중간체 28, 1.0 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N2하에 밤새 환류시키고 교반한 후, 4.5 mL의 물 중에 용해된 추가의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510 mg, 7.3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 삼수화물 (629 mg, 4.6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추가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5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4
중간체 30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1- 프로판온 O - 아세틸옥심
Figure pct00105
1-(2,6-디하이드록시페닐)-1-프로판온 옥심 (중간체 29, 716 mg)을 아세트산 무수물 (2.24 ml, 23.7 mmol) 중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미정제 화합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모든 0/100)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269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6
중간체 31
3-에틸-1,2- 벤즈이속사졸 -4-올 및 2-에틸-1,3- 벤즈옥사졸 -4-올
Figure pct00107
1-(2,6-디하이드록시페닐)-1-프로판온 O-아세틸옥심 (중간체 30, 269 mg)을 피리딘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HCl 수용액 (5M)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 층을 HCl 수용액 (1M)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 내지 1/1, 이후 1/1, 이후 1/1 내지 0/1)으로 용리시켜 3-에틸-1,2-벤즈이속사졸-4-올과 2-에틸-1,3-벤즈옥사졸-4-올의 혼합물로서 표제 화합물 (38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08
중간체 32
3-에틸-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1,2- 벤즈이속사졸
Figure pct00109
3-에틸-1,2-벤즈이속사졸-4-올과 2-에틸-1,3-벤즈옥사졸-4-올 (중간체 31, 38 mg)의 혼합물을, DMF (3.0 mL)중에 용해시키고,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36.9 mg, 0.23 mmol), 이어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97 mg, 0.7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 내지 1/1)으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9.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0
중간체 33
6-[(3-에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111
3-에틸-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1,2-벤즈이속사졸 (중간체 32, 9 mg)을 3.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염화 주석(II) 이수화물 (21.4 mg, 0.09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2
중간체 34
1,1-디메틸에틸 {(1 R )-1-[({6-[(3-에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13
6-[(3-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33)을 DMF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1 ml의 DMF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7.7 mg, 0.038 mmol), DIPEA (0.008 mL, 0.047 mmol) 및 HATU (14.4 mg, 0.038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이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모든 10/0 내지 7/3, 이후 7/3)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4.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4
중간체 35
(2 R )-2-아미노- N -{6-[(3-에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115
1,1-디메틸에틸 {(1R)-1-[({6-[(3-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34, 4.4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중에 용해시키고, 0℃에서 TFA (0.100 ml, 1.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키고, DCM/MeOH/NH3 (MeOH 중의 2.0 M)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6
중간체 36
1-(2,6-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2- 메틸 -1- 프로판온
Figure pct00117
1,3-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35, 2.2 g)을 질소 하에 THF (8.0 mL) 중에서 용해시키고, BuLi 용액 (헥산 중의 1.6 M 용액 8.32 mL, 13.3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78℃로 냉각시키고, 2-메틸프로파노일 클로라이드 (4.65 ml, 44.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이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모든 10/0 내지 9/1, 이후 9/1, 이후 9/1 내지 8/2, 이후 8/2)으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82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18
표제 화합물을 또한 하기 대안적인 방식에 의해 제조하였다:
1,3-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35, 1.099 g)을 질소 하에 THF (5.0 mL)중에 용해시키고, BuLi 용액 (헥산 중의 1.6 M 용액 4.16 mL, 6.65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78℃에서 냉각시키고, 이소부티르산 무수물 (3.68 ml, 22.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시킨 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이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모든 10/0 내지 9/1 이후 9/1)로 용리시켜 759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37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2- 메틸 -1- 프로판온
Figure pct00119
1-(2,6-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중간체 36, 1.58 g, 5.89 mmol)을 메탄올 (40.0 ml) 중에 용해시키고, HCl 수용액 (23.6 mL의 2M 수용액, 47.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916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0
중간체 38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2- 메틸 -1- 프로판온 옥심
Figure pct00121
1-(2,6-디하이드록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중간체 37, 416 mg)을 피리딘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09 mg, 3.0 mmol)를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밤샌 후, 추가의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64 mg, 0.9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미정제물을 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7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2
중간체 39
1-(2,6- 디하이드록시페닐 )-2- 메틸 -1- 프로판온 O - 아세틸옥심
Figure pct00123
1-(2,6-디하이드록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옥심 (중간체 38, 320 mg)을 아세트산 무수물 (0.928 ml, 9.84 mmol) 중에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미정제물을 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100/0 내지 0/100)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12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4
중간체 40
3-(1- 메틸에틸 )-1,2- 벤즈이속사졸 -4-올 및 2-(1- 메틸에틸 )-1,3- 벤즈옥사졸-4-올
Figure pct00125
1-(2,6-디하이드록시페닐)-2-메틸-1-프로판온 O-아세틸옥심 (중간체 39, 100 mg)을 피리딘 (4.0 ml) 중에 용해시키고, 5일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HCl 수용액 (5M)을 첨가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회 추출하고, 합친 유기 층을 HCl 수용액 (1M)으로 세척하였다. 이후,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1/0 내지 1/1, 이후 1/1, 이후 1/1 내지 0/1)으로 용리시켜 13 mg의 표제 화합물 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올과 2-(1-메틸에틸)-1,3-벤즈옥사졸-4-올의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6
중간체 41
3-(1- 메틸에틸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1,2- 벤즈이속사졸
Figure pct00127
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올과 2-(1-메틸에틸)-1,3-벤즈옥사졸-4-올 (중간체 40, 13 mg)의 혼합물을 DMF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11.6 mg, 0.073 mmol), 이어서,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30 mg, 0.2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 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10/0 내지 9/1, 이후 9/1, 이후 9/1 내지 8/2)으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8.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28
중간체 42
6-{[3-(1- 메틸에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129
3-(1-메틸에틸)-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1,2-벤즈이속사졸 (중간체 41, 8.7 mg)을 3.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염화 주석(II) 이수화물 (19.7 mg, 0.08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0
중간체 43
1,1-디메틸에틸 ((1 R )-1-{[(6-{[3-(1- 메틸에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피 리디 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31
6-{[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42)을 DMF (0.5 mL) 중에 용해시키고, 1 ml의 DMF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7.09 mg, 0.035 mmol), DIPEA (7.6 ㎕, 0.044 mmol) 및 HATU (13.26 mg, 0.035 mmo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10/0 내지 7/3, 이후 7/3)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2
중간체 44
(2 R )-2-아미노- N -(6-{[3-(1- 메틸에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 피리디닐 ) 부탄아미드
Figure pct00133
1,1-디메틸에틸 ((1R)-1-{[(6-{[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43, 2.0 mg)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0℃에서 TFA (0.05 mL, 0.6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얻어진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키고, DCM/MeOH/NH3 (MeOH 중의 2.0 M)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4
중간체 45
1-( 메틸옥시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벤젠
Figure pct00135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ml, SCRC) 중의 3-(메틸옥시)페놀 (10.38 g, 84 mmol)의 용액에 아이스-쿨링(ice-cooling)하에 NaH (60중량%, 1.824 g, 76 mmol, Aldrich)을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브로모메틸 메틸 에테르 (9.5 g, 76 mmol, SCRC)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회 50 ml, SCR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EtOAc: PE = 1: 100)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2 g)을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6
2- 아이오도 -1-( 메틸옥시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벤젠
Figure pct00136
내부 온도를 -70 ℃보다 낮게 유지하면서, -78 ℃로 미리냉각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0 ml, SCRC) 중의 1-(메틸옥시)-3-{[(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45, 10 g, 59.5 mmol)의 용액에 BuLi (THF 중의 2.5 M, 28.5 ml, 71.3 mmol, SCRC)을 적가하였다. 첨가를 완료한 후, 혼합물을 -7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HF (50 ml, SCRC) 중의 아이오딘 (15.09 g, 59.5 mmol, SCRC)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회 300 ml, SCR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용리액으로서 EtOAc: PE (1/ 100)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2 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7
2- 아이오도 -3-( 메틸옥시 )페놀
Figure pct00137
디클로로메탄 (100 ml, SCRC) 중의 2-아이오도-1-(메틸옥시)-3-{[(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46, 16.2 g, 55.1 mmol)의 용액에 HCl (g)을 30분 동안 버블링하였다. TLC는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냈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200 ml) 중에 붓고, 디클로로메탄 (3 x 200 ml, SCRC)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상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 PE = 1: 50)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0.3 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48
2- 아이오도 -1-( 메틸옥시 )-3-[(2- 메틸 -2- 프로펜 -1-일) 옥시 ]벤젠
Figure pct00138
DMF (100 ml, SCRC) 중의 2-아이오도-3-(메틸옥시)페놀 (중간체 47, 10.3 g)의 용액에 NaH (60중량%, 1.977 g, 49.4 mmol)을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3-클로로-2-메틸-1-프로펜 (3.73 g, 41.2 mmol, Aldrich)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5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200 ml, SCR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용리액으로서 EtOAc/ PE (1/ 30)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6 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39
중간체 49
3,3-디메틸-4-( 메틸옥시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Figure pct00140
톨루엔 (50 ml, SCRC) 중의 2-아이오도-1-(메틸옥시)-3-[(2-메틸-2-프로펜-1-일)옥시]벤젠 (중간체 48, 6.08 g)의 용액에 AIBN (3.61 g, 21.99 mmol, SCRC) 및 트리부틸스탄난 (11.60 g, 40.0 mmol, Aldrich)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물 (100 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200 ml, SCR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용리액으로서 EtOAc/PE (1/50)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7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41
중간체 50
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142
아이스-쿨링하에서 디클로로메탄 (100 ml, SCRC) 중의 3,3-디메틸-4-(메틸옥시)-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 (중간체 49, 4.0 g)의 용액에 BBr3 (6.37 ml, 67.3 mmol, SCRC)를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물 (20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회 100 ml, SCR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용리액으로서 EtOAc/PE(1/20)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43
중간체 51
2- 브로모 -3- 하이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Figure pct00144
디클로로메탄 (70 ml) 중의 2-브로모-1,3-벤젠디올 (3.028 g, 16.02 mmol)의 용액에 TEA (3.35 ml, 24.03 mmol) 및 아세트산 무수물 (1.512 ml, 16.02 mmol)을 교반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0 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028g)을 검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직접 이용하였다.
Figure pct00145
중간체 52
2- 브로모 -3-[(2- 메틸 -2- 프로펜 -1-일) 옥시 ] 페닐 아세테이트
Figure pct00146
아세토니트릴 (60 ml) 중의 2-브로모-3-하이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중간체 51, 3028 mg)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3623 mg, 26.2 mmol) 및 3-브로모-2-메틸-1-프로펜 (2123 mg, 15.7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3 회 6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분리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80/2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24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47
중간체 53
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아세테이트
Figure pct00148
톨루엔 (20 ml) 중의 2-브로모-3-[(2-메틸-2-프로펜-1-일)옥시]페닐 아세테이트 (중간체 52, 2.324 g)의 용액에 AIBN (1.606 g, 9.78 mmol) 및 트리부틸스탄난 (4.73 g, 16.3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가열한 후, 실온에 4시간 동안 두었다. 반응을 물 (6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90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49
중간체 50
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150
본 실시예는 중간체 50에 대해 앞서 기재된 경로에 대한 대안적인 합성 경로이다.
메탄올 (50 ml) 중의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 아세테이트 (중간체 53, 1.290 g)의 용액에 물 (25.00 ml) 중의 수산화나트륨 (0.375 g, 9.3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pH=5가 될 때까지 HCl 5 %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5g-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80/2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85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51
중간체 54
3,3-디메틸-4-[(4- 니트로페닐 ) 옥시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Figure pct00152
아세토니트릴 (30 ml, SCRC) 중의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50, 652 mg) 및 1-플루오로-4-니트로벤젠 (532 mg, 3.77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552 mg, 4 mmol, SCRC)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95 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이용하였다.
중간체 55
4-[(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아닐린
Figure pct00153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SCRC) 및 물 (10 ml) 중의 3,3-디메틸-4-[(4-니트로페닐)옥시]-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 (중간체 54, 0.9 g)의 용액에 암모늄 클로라이드 (1.687 g, 31.5 mmol, SCRC) 및 아연 분말 (1.031 g, 15.77 mmol, SCRC)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물 (2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SCRC)로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PE = 1/50 내지 1/30)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625 g, 76%)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54
중간체 56
1,1-디메틸에틸 [(1 R )-2-({4-[(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옥시] 페닐 }아미노)-1- 메틸 -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55
DMF (10 ml, SCRC) 중의 4-[(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아닐린 (중간체 55, 255 mg) 및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227 mg, 1.199 mmol, SCRC)의 용액에 HATU (570 mg, 1.498 mmol, SCRC) 및 DIPEA (0.523 ml, 3.00 mmol, SCRC)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하에 1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 (20 m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50 ml, SCR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EtOAc/PE = 1/50 내지 1/20)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28 mg)을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56
중간체 57
N 1 -{4-[(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 페닐 }-D- 알라닌아 미드
Figure pct00157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SCRC) 중의 1,1-디메틸에틸 [(1R)-2-({4-[(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페닐}아미노)-1-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56, 325 mg)의 용액에 HCl (가스)를 30분 동안 버블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pH=7로 소듐 카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에 의해 중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100 ml, SCRC)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15 mg)을 황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58
중간체 58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159
큰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386 mg, 2.436 mmol)을 4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중에 용해시켰다.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57, 400 mg)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02 g, 14.6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1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Biotage Initiator).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 (30 ml)으로 세척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으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instrument, 120 g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7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0
중간체 59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161
2-{[3-(1-메틸에틸)페닐]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58, 465 mg)을 에탄올 (8 ml) 중에 용해시켰다. 하이드라진 일수화물 (156 mg, 3.25 mmol, 2 equiv) 및 탄소 상 팔라듐 (121 mg, 0.11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서 3시간 동안 환류하에 가열하였다. 반응물을 냉각시킨 후, 셀라이트 상에서 여과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증발에 의해 표제 화합물 (300 mg)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2
중간체 60
1,1-디메틸에틸 [(1 R )-2-({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1- 메틸 -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63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 (35.4 mg, 0.156 mmol)의 용액에 DIPEA (0.041 ml, 0.264 mmol)을 첨가한 후, HATU (71 mg, 0.18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59, 40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6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70/30 구배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2x12g=24g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43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4
중간체 61
N 1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D-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165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3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2-({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1-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60, 35 mg)의 용액에 TFA (0.189 ml, 2.456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카트리지를 3 CV의 메탄올로 세척한 후, 화합물을 카트리지 상에 흡수시키고, 5 CV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2 CV의 메탄올성 암모니아 (1N)로 탈착시켰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3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6
중간체 62
1,1-디메틸에틸 {(1 R )-1-[({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67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알라닌을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66.6 mg)으로 대체하면서 중간체 60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에 의해서 78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68
중간체 63
(2 R )-2-아미노- N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169
1,1-디메틸에틸 [(1R)-2-({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1-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를 1,1-디메틸에틸 {(1R)-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중간체 62, 74 mg)로 대체하면서 중간체 61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에 의해서 6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70
중간체 64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 니트로피리미딘
Figure pct00171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40 mL) 중의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50, 724 mg)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774 mg, 4.8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4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2x50 ml)로 세척하고, 분리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SNAP 50g,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257 g)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72
중간체 65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 피리미딘아민
Figure pct00173
테트라하이드로푸란/물의 혼합물 (30 ml/15.00 ml) 중의 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니트로피리미딘 (중간체 64, 1.257 g)의 용액에 철 (1.222 g, 21.88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1.170 g, 21.8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여과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3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잔류물을 재결정화하여 표제 화합물 (768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74
중간체 66
1,1-디메틸에틸 {(1 R )-1-[({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75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20.14 mg, 0.099 mmol)의 용액에 DIPEA (0.029 mL, 0.165 mmol) 및 TBTU (33.9 mg, 0.10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65, 17 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ml)로 희석하고, 염수 (3x5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40/6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실리카 겔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4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76
중간체 67
(2 R )-2-아미노- N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177
0 ℃에서 냉각된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66, 4.4 mg)의 용액에 TFA (0.019 ml, 0.249 mmol)를 적가하였다. 혼합 반응물을 0 ℃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TFA를 증발시켰다.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 (5 ml)으로 중화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 mg)을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Figure pct00178
중간체 68
1-({[(1,1-디메틸에틸) 옥시 ]카르보닐}아미노) 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
Figure pct00179
0 ℃에서 5.6 ml의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4 ml의 메탄올 중의 1-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 (626 mg, 5.44 mmol)의 용액에 Boc-무수물 (1.425 g, 6.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대부분의 메탄올을 증발시킨 후, 용액을 1M HCl에 의해 pH 2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9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80
중간체 69
1,1-디메틸에틸 {1-[({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사이클로부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81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중의 1-({[(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 (중간체 68, 20.16 mg)의 용액에 DIPEA (20.44 ㎕, 0.117 mmol), 이후, HATU (35.6 mg, 0.09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하에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59, 20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하에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1 mL의 건조 DMF 중에 미리 교반된 (15분) HATU (1 equiv), 1-({[(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 (1 equiv) 및 DIPEA (1 equiv)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하에 60℃에서 추가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Companion instrument) 상에서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82
중간체 70
1-아미노- N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 사이클로부탄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3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3.5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사이클로부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69, 23.5 mg)의 용액에 TFA (159 ㎕, 2.07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카트리지를 3 CV의 메탄올로 세척한 후, 화합물을 카트리지 상에 흡수시키고, 5 CV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2 CV의 메탄올성 암모니아 (1N)로 탈착시켰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8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84
중간체 71
1-({[(1,1-디메틸에틸) 옥시 ]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Figure pct00185
1-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을 1-아미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550 mg)으로 대체하면서 중간체 68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 (998 mg)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86
중간체 72
1,1-디메틸에틸 {1-[({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사이클로프 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87
1-({[(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부탄카르복실산을 1-({[(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산 (중간체 71, 18.84 mg, 0.094 mmol)로 대체하면서 중간체 69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 (14 mg)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88
중간체 73
1-아미노- N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드
Figure pct00189
1,1-디메틸에틸{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사이클로부틸}카르바메이트를 1,1-디메틸에틸 {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사이클로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72, 13 mg)로 대체하면서 중간체 70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 (10 mg)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190
중간체 74
1,1-디메틸에틸 [2-({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시]-3-피리디닐}아미노)-1,1-디메틸-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91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39.0 mg, 0.192 mmol)의 용액에 DIPEA (0.042 mL, 0.240 mmol), 이후, HATU (73.0 mg, 0.19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59, 41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6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가열하에 4시간 동안 두고, 완료 전에 중단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70/30 구배의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Companion instrument) 상에서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3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92
중간체 75
N 1 -{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메틸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193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 ml) 중의 1,1-디메틸에틸 [2-({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1,1-디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74, 11 mg)의 용액에 TFA (0.077 ml, 0.997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카트리지를 3 CV의 메탄올올 세척한 후, 화합물을 카트리지 상에 흡수시키고, 5 CV의 메탄올로 세척하고, 2 CV의 메탄올성 암모니아 (1N)로 탈착시켰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8.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94
중간체 76
N -{[(1,1-디메틸에틸) 옥시 ]카르보닐}-3- 메틸 -D-발린
Figure pct00195
0℃에서 7 ml의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7 ml의 메탄올 중의 3-메틸-D-발린 (900 mg, 6.86 mmol)의 용액에 Boc-무수물 (1.797 g, 8.2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대부분의 메탄올을 증발시킨 후, 용액을 HCl 수용액 (1M)에 의해 pH 2로 산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 (3 x 20 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염수 (2 x 5ml)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36 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96
중간체 77
1,1-디메틸에틸 {(1 R )-1-[({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197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3-메틸-D-발린 (중간체 76, 53.9 mg)의 용액에 DIPEA (50.9 ㎕, 0.292 mmol), 이후, HATU (102 mg, 0.26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65, 30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6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1ml)로 켄칭시키고, 물 (2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70/30 구배의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Companion instrument) 상에서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7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198
중간체 78
N 1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3-메틸-D- 발린아미드
Figure pct00199
0 ℃로 냉각된 건조 디클로로메탄 (0.5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2,2-디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77, 13 mg)의 용액에 TFA (85 ㎕, 1.105 mmol)를 적가하고, 용액을 그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2 ml)으로 용해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4 ml)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2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9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0
중간체 79
1,3-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벤젠
Figure pct00201
0℃에서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3.62 ml) 중의 1,3-벤젠디올 (1.5 g, 13.62 mmol)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0.981 g, 40.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MOM-Cl (3.10 ml, 40.9 mmol)을 신속하게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2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2x3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59 g, 8.02 mmol)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2
중간체 80
에틸 (2,6-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옥소)아세테이트
Figure pct00203
실온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1,3-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벤젠 (중간체 79, 2.19 g)의 용액에 헥산 중의 BuLi 1.6M (8.29 ml, 13.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78 ℃로 냉각시키고, 이를 -78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2.263 g, 16.57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관삽입(cannulation)을 통해).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 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75 g)을 밝은(light)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4
중간체 81
에틸 2-(2,6-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2-프로페노에이트
Figure pct00205
0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 중의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3.13 g, 8.75 mmol)의 현탁액에 KHMDS (1.745 g, 8.75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 분, 그리고 실온에서 45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에틸 (2,6-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옥소)아세테이트 (중간체 80, 1.74 g)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2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7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6
중간체 82
에틸 1-(2,6-비스{[(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207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20 mL) 중의 트리메틸설폭소늄 아이오다이드 (1.805 g, 8.20 mmol)의 용액에 미네랄 오일 중의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분산액 (0.310 g, 7.7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10 mL) 중의 에틸 2-(2,6-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2-프로페노에이트 (중간체 81, 1.35 g)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2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5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4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08
중간체 83
2-[1-( 하이드록시메틸 )사이클로프로필]-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페놀
Figure pct00209
에탄올 (10ml) 중의 에틸 1-(2,6-비스{[(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82, 490 mg)의 용액에 물 중의 HCl 2N (0.789 mL, 1.57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톨루엔 (20 mL)을 첨가하고, 합한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톨루엔 (20 ml) 중에 재현탁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미네랄 오일 중의 NaH 60% 분산액 (126 mg, 3.1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MOM-Cl (0.120 mL, 1.57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iAlH4 (THF 중의 1M, 1.579 ml, 1.57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1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10
중간체 84
4-{[(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
Figure pct00211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2-[1-(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 (중간체 83, 190 mg)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333 mg, 1.27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PPh3의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후, DIAD (0.198 ml, 1.017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20 mg)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12
중간체 85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올
Figure pct00213
메탄올 (5 ml) 중의 4-{[(메틸옥시)메틸]옥시}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 (중간체 84, 118 mg)의 용액에 물 중의 HCl 2N (0.286 mL, 0.5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합한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10ml) 중에 다시 용해시키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14
중간체 86
5-니트로-2-(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피리딘
Figure pct00215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의 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85, 70 mg)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89 mg, 0.647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75 mg, 0.47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1ml)로 켄칭시키고, 물 (2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16
중간체 87
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217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물 (2.5 ml) 중의 5-니트로-2-(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딘 (중간체 86, 99 mg)의 용액에 철 (97 mg, 1.741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93 mg, 1.74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5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5 mg)로서 밝은 황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18
중간체 88
1,1-디메틸에틸 [(1 R )-1-({[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19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94 mg, 0.462 mmol)의 용액에 DIPEA (0.115 mL, 0.661 mmol), 이후, TBTU (159 mg, 0.49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87, 84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2ml)로 켄칭시키고, 물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빙냉 염수 (2x5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20
중간체 89
(2 R )-2-아미노- N -[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221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3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88, 128 mg)의 용액에 TFA (0.9 mL, 11.68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 (10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 (10ml)으로 재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92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22
중간체 90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옥소-2-{[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23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80 mg, 0.393 mmol)의 용액에 DIPEA (0.096 mL, 0.551 mmol), 이후, HATU (150 mg, 0.39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용액을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0.5 ml) 중의 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89, 40 mg)의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2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24
중간체 91
2- 메틸 - N 1 -[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225
0 ℃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4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옥소-2-{[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90, 50 mg)의 용액에 TFA (1 ml, 12.98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디클로로메탄 (10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5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26
중간체 92
1,1-디메틸에틸 [(1 R )-1- 메틸 -1-({[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27
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91, 127 mg),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이소발린 (Nagase & Co Ltd, 109 mg, 0.499 mmol), DIPEA (0.131 mL, 0.749 mmol) 및 HATU (247 mg, 0.649 mmol)를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300mg의 미정제물을 제공하였다.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KP-Sil 25g SNAP 컬럼, 용리액 12CV에서 90/10 내지 20/8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106 mg의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28
중간체 93
N 1 -[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D- 이소발 린아미드
Figure pct00229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2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메틸-1-({[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92, 106 mg)의 용액에 TFA (0.360 ml, 4.67 mmol)를 첨가하였다. 이 온도에서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가온되게 하였다. 2시간 후, UPLC/MS는 출발 물질의 부재 및 요망되는 화합물의 존재를 나타냈다: 톨루엔 (5m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1g) 상에 놓고, 이를 메탄올 및 메탄올 중의 1M NH3 용액으로 용리시켰다. 염기성 용출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68 mg)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실험에 사용하였다.
Figure pct00230
중간체 94
메틸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벤조에이트
Figure pct00231
5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아르곤 플러시 하에 메틸 3-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5 g, 32.9 mmol)를 디클로로메탄 (100 ml) 중에 용해시켜 백색 현탁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그 온도에서, 클로로(메틸옥시)메탄 (2.75 ml, 36.1 mmol) 및 DIPEA (6.89 ml, 3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그 시간 동안, 반응 온도가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 생성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10 CV에서 10/0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하여 3/1)으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50g SNAP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5.088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32
중간체 95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메탄올
Figure pct00233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아르곤 플러시하에 메틸 3-{[(메틸옥시)메틸]옥시}벤조에이트 (중간체 94, 5.0875 g)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켰다. 그러한 조건에서, (1M) LiAlH4 용액 (25.9 ml, 25.9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교반하였다. 45분 후, 반응 혼합물을 pH가 ~2에 이를 때까지 2M 염산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10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348 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34
중간체 96
1-(2-( 하이드록시메틸 )-6-{[(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에탄올
Figure pct00235
아르곤 플러시 하에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구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진공 하에 5분 동안 화염, 이후 Ar/진공 3회 사이클), 헥산 (20 ml) 중에 (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탄올 (중간체 95, 1 g)을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N,N,N',N'-테트라메틸-1,2-에탄디아민 (1.872 mL, 12.49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BuLi 용액 (1.6M/헥산) (7.80 ml, 12.49 mmol)을 적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가열하고, 그러한 조건에서 교반하였다. 그러한 조건에서 5시간 교반한 후, -78℃에서 6ml의 건조 헥산 중의 아세트알데하이드 (1.090 ml, 19.30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가온시켰다. 그 온도에서 밤새 교반한 후, 반응물을 2M 염산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10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5 CV에서 5/1 내지 1/1; 이후 5 CV에 대하여 1/1)으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25g-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탄올 (532.4 mg, 회수된 중간체 95) 및 표제 화합물 (184.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36
중간체 97
1- 메틸 -7-{[(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Figure pct00237
아르곤 플러시 하에 8 ml 바이알에서 1-(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에탄올 (중간체 96, 50.3 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그러한 조건에서, BuLi 용액 (1.6M/헥산) (0.148 ml, 0.23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교반하였다. 30 분 후, 0℃에서 4-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45.2 mg, 0.23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그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0℃에서 추가량의 BuLi 용액 (1.6M/헥산) (0.148 ml, 0.23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시간 동안, 이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2 ml의 2M 염산으로 켄칭시키고, 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0 CV에서 1/0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해 3/1; 이후 5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5 CV 대해 1/1)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10g-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25.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38
또한 상응하는 비보호된 페놀 (중간체 98, 11.1 mg).
Figure pct00239
중간체 98
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240
8 ml 바이알에서 메탄올 (1 ml) 중에 1-메틸-7-{[(메틸옥시)메틸]옥시}-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 (중간체 97, 25.2 mg)을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HCl 용액 (2M/H2O) (0.259 ml, 0.51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 ℃에서 셰이킹하였다.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얻어진 분획과 혼합한 후, 진공하에 증발시켜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0 CV에서 100/0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해 3/1; 이후 5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5 CV에 대해 1:1)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10g-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2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41
중간체 99
2-[(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242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올 (중간체 98, 24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24.07 mg, 0.152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62.9 mg, 0.45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마이크로파 Biotage Initiator에서 11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Et2O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물 (3x10 mL)로 세척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8.3 mg)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43
중간체 100
6-[(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244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99, 38.3 mg)을 에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Pd/C (14.22 mg, 0.013 mmol)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 (0.026 ml, 0.267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교반하였다. 45분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3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45
중간체 101
1,1-디메틸에틸 {(1 R )-1-[({6-[(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46
8 ml 바이알에서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32.2 mg, 0.158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0.5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DIPEA (0.035 ml, 0.198 mmol) 및 HATU (60.3 mg, 0.15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00, 32 mg)을 1.5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를 60 ℃에서 셰이킹하였다. 2시간 후, 반응이 일어나지 않았다. 추가 0.5 ml 용액 [0.5 ml의 DMF 중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32.2 mg, 0.158 mmol), DIPEA (0.035 mL, 0.198 mmol) 및 HATU (60.3 mg, 0.158 mmol)를 용해시켜 얻어짐]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를 60 ℃에서 주말에 걸쳐 셰이킹하였다. 그 후, 중간체 100과 함께 단지 미량의 표제 화합물이 검출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Vaportec V10을 이용하여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제공하였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0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10 CV에 대해 1/1)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10g-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아미노산과 혼합된 표제 화합물 4.9 mg 및 출발 물질 (중간체 100)과 아미노산의 혼합물 61 mg을 수득하였다.
이를 10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10 ml의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64 mg의 동일한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화합물을 1.0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61.4 mg, 0.302 mmol), DIPEA (0.066 mL, 0.378 mmol) 및 TBTU (97 mg, 0.302 mmol)의 교반 DMF 용액 (0.5 ml)에 첨가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60℃에서 가온시키고, 셰이킹하였다. 1시간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Vaportec V10를 이용하여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10 ml의 EtOAc 중에 용해시키고, 10 ml의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켰다. 수성 상을 EtOAc (3x10 ml)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소수성 프리트(frit)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얻어진 표제 화합물과 혼합한 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0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10 CV에 대해 1:1)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10g-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62.3 mg)을 1:1의 부분입체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47
중간체 102
(2 R )-2-아미노- N -{6-[(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248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1-디메틸에틸 {(1R)-1-[({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01, 62.3 mg)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그 온도에서 TFA (0.5 ml, 6.49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50 ml의 MeOH, 이어서, MeOH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 25 ml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과 비보호된 아미노산의 혼합물인 34.4mg의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20 ml의 Et2O 중에 용해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3x10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4.4 mg)을 1:1의 부분입체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49
중간체 103
(1,1-디메틸에틸)(디메틸){[(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 메틸 ] 옥시 } 실란
Figure pct00250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탄올 (중간체 95, 3.5 g)을 디클로로메탄 (2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1H-이미다졸 (1.700 g, 24.97 mmol) 및 클로로(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란 (3.64 g, 24.1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즉시 백색 현탁액이 되었고, 이를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별 깔때기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소수성 프리트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6.0082 g의 미정제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1:0 내지 5:1; 이후 5 CV에 대해 5:1; 이후 5 CV에서 5:1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0g SNAP 실리카 컬럼)을 통해 정제하였다. 두 분획의 표제 화합물을 수집하였다: 1.70 g의 무색 오일 (순도: 93%) 및 3.70 g의 무색 오일 (순도: 98%).
Figure pct00251
중간체 104
1-(2-({[(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 옥시 } 메틸 )-6-{[(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1- 프로판올
Figure pct00252
아르곤 플러시하에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구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진공하에 5분 동안 화염, 그리고 이후 Ar/진공 3회 사이클) (1,1-디메틸에틸)(디메틸){[(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틸]옥시}실란 (중간체 103, 0.2 g)을 헥산 (2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1.6M/헥산 중의 BuLi 용액 (0.487 ml, 0.77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러한 조건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0℃에서 옅은 황색 반응 혼합물에 프로파날 (0.061 mL, 0.850 mmol)을 첨가하였다. 1시간 30분 후, 반응물을 pH가 ~2가 될 때까지 2M 염산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녹색/회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5 CV에서 1:0 내지 5:1; 이후 5 CV에 대해 5:1; 이후 5 CV에서 5:1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해 3:1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을 통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32.1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53
중간체 105
1-(2-( 하이드록시메틸 )-6-{[(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1- 프로판올
Figure pct00254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2-({[(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1-프로판올 (중간체 104, 132.1 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1M/THF 중의 TBAF 졸 (0.388 ml, 0.38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밤새 교반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로서 옅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3:1 내지 2:1; 이후 5 CV에 대해 2:1; 이후 5 CV에서 2:1 내지 2:1; 이후 5 CV에 대해 1:1의 사이클로헥산/EtOAc; 25g SNAP 실리카 컬럼)을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동일한 조건에서 다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55
중간체 106
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256
아르곤 플러시하에 8 ml 바이알에서 1-(2-(하이드록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1-프로판올 (중간체 105, 99 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그러한 조건에서, 헥산 중의 BuLi 용액 (1.6M, 0.246 ml, 0.394 mmol)을 첨가하였다. 0℃에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30 분 후, 0℃에서 4-메틸벤젠설포닐 클로라이드 (75 mg, 0.3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그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0℃에서 추가의 헥산 중의 BuLi (1.6M, 0.246 ml, 0.39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이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 혼합물을 2 ml의 2M 염산으로 켄칭시키고, 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메탄올 (3.0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에 HCl (0.788 ml, 1.575 mmol)을 첨가하였다. 얻어진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가온시키고, 셰이킹하였다. 30 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1:0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해 3:1; 이후 5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5 CV에 대해 1:1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을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49.7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57
중간체 107
2-[(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258
0.5 내지 2.0 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올 (중간체 106, 49.7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48.0 mg, 0.303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125 mg, 0.90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마이크로파 Biotage Initiator에서 11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Et2O으로 희석하였다. 수성 상을 3x10 ml의 Et2O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에 통과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97.6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59
중간체 108
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260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107, 97.6 mg)을 에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Pd/C (26.1 mg, 0.245 mmol)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 (12.29 mg, 0.24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교반하였다. 45 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유기 상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이를 15 ml의 메탄올, 이어서, 메탄올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 15 ml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켰는데 아무것도 수득되지 않았다. 이후, 메탄올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61
중간체 109
1,1-디메틸에틸 {(1R)-1-[({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62
8 ml 바이알에서 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08, 10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DIPEA (10.22 ㎕, 0.059 mmol),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9.52 mg, 0.047 mmol), 및, 마지막으로, TBTU (15.03 mg, 0.04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셰이킹하였다. 밤새 셰이킹한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2:1 내지 1:1; 이후 5 CV에 대해 2:1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을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12.7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63
중간체 110
(2R)-2-아미노-N-{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264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1-디메틸에틸 {(1R)-1-[({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09, 12.7 mg)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그 온도에서 TFA (1.5 ml, 19.4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이를 15 ml의 MeOH, 이어서, 15 ml의 MeOH 중의 암모니아 용액 (2M)으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9.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65
중간체 111
3- 메틸 -5-( 메틸옥시 )-2 H -크로멘-2-온
Figure pct00266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중의 2-하이드록시-6-(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 (3 g, 19.72 mmol)의 용액에 프로판산 무수물 (12.98 ml, 101 mmol) 및 K2CO3 (3.00 g, 21.6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로 가온시켰다. 이 온도에서 물 (0.036 ml, 1.97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20℃로 가온시키고, 질소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60 ml의 물로 켄칭시켰다. 침전물을 형성시키고, 미정제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DCM/물 중에 용해시키고, 두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25 g, 85 % 수율)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67
중간체 112
5- 하이드록시 -3- 메틸 -2 H -크로멘-2-온
Figure pct00268
0℃로 냉각된 건조 디클로로메탄 (45 ml) 중의 3-메틸-5-(메틸옥시)-2H-크로멘-2-온 (중간체 111, 2.5 g)의 용액에 BBr3 (39.4 ml, 39.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질소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0℃로 냉각시키고, 얼음으로 켄칭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희석하고, 얻어진 두 상을 분별 깔때기를 통해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디에틸 에테르로 역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225 g)을 밝은 갈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69
중간체 113
3- 메틸 -5-{[(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2 H -크로멘-2-온
Figure pct00270
0℃로 냉각된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60 ml) 중의 5-하이드록시-3-메틸-2H-크로멘-2-온 (중간체 112, 2.225 g)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0.532 g, 13.89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클로로(메틸옥시)메탄 (1.919 ml, 2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질소하에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NH4Cl 포화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켄칭시키고, 생성물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순수 사이클로헥산 내지 5/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5 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71
중간체 114
2-[3- 하이드록시 -2- 메틸 -1- 프로펜 -1-일]-3-{[( 메틸옥시 ) 틸] 옥시 }페놀과 2-(3- 하이드록시 -2- 메틸프로필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페놀의 3:1 혼합물
Figure pct00272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메틸-5-{[(메틸옥시)메틸]옥시}-2H-크로멘-2-온 (중간체 113, 461.1 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이후, LiAlH4 용액(1M/THF, 4.19 ml, 4.19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5 ml의 염산 (2M)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2-[3-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펜-1-일]-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과 2-(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 (548 mg)의 3:1 혼합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73
중간체 115
2-(3- 하이드록시 -2- 메틸프로필 )-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페놀
Figure pct00274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하이드록시-2-메틸-1-프로펜-1-일]-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과 2-(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 (중간체 114, 548 mg)의 3:1 혼합물을 메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진공/N2의 3회 사이클을 수행한 후, Pd/C (129 mg, 0.122 mmo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다시, 진공/N2의 3회 사이클, 그 후에 진공/H2의 3회 사이클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 (압력 없음)하에 실온에서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30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1:0 내지 5:1; 이후 5 CV에 대해 5:1; 이후 5 CV에서 5:1 내지 3:1; 이후 5 CV에 대해 3:1; 이후 5 CV에서 3:1 내지 1:1; 이후 5 CV에 대해 1:1의 사이클로헥산/EtOAc를 이용하여 Biotage SP1 system (25g SNAP 실리카 컬럼) 상에서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75
중간체 116
3- 메틸 -5-{[(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3,4- 디하이드로 -2H- 크로멘
Figure pct00276
아르곤하에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 (중간체 115, 377.9 m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TEA (0.409 ml, 2.9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켰다. 그 온도에서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124 ml, 1.59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45분 후, 추가의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 (0.124 ml, 1.591 mmol)를 첨가하였다. 추가 45분 후, 포타슘 2-메틸-2-프로판올레이트 (422 mg, 3.76 mmol)를 첨가하였다. 이러한 후속 첨가로부터 15분 후, 추가의 포타슘 2-메틸-2-프로판올레이트 (422 mg, 3.76 mmol)를 첨가하였다. 15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10 ml의 NH4Cl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2M 염산으로 pH ~ 2까지 산성화시키고, 2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77
중간체 117
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 크로멘 -5-올
Figure pct00278
8 ml 바이알에서 3-메틸-5-{[(메틸옥시)메틸]옥시}-3,4-디하이드로-2H-크로멘 (중간체 116, 103.6 mg)을 메탄올 (3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HCl 중의 2M/H2O 용액 (0.224 ml, 0.44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셰이킹하였다. 2시간 30분 후,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감압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1:0 내지 5:1; 이후 5 CV에 대해 5:1; 이후 5 CV에서 5:1 내지 3:1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53.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79
중간체 118
2-[(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280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올 (중간체 117, 53 mg),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134 mg, 0.968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51.2 mg, 0.323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에 용해시켜 밝은 갈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Biotage Initiator에서 110 ℃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Et2O로 희석하였다. 분별 깔때기에 의해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3x10 ml의 Et2O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소수성 프리트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81 mg)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81
중간체 119
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282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118, 181 mg)을 에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Pd/C (33.0 mg, 0.031 mmol)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 (0.030 ml, 0.31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31.4 mg)을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83
중간체 120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284
8 ml 바이알에서 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19, 131.4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를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DIPEA (0.215 ml, 1.230 mmol),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188 mg, 0.923 mmol) 및 HATU (351 mg, 0.92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셰이킹하였다. 3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제공하였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5 CV에서 3:1 내지 1:2; 이후 5 CV에 대해 1:2의 사이클로헥산/EtOAc; 25g SNAP 실리카 컬럼)를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104.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285
중간체 121
2- 메틸 - N1 -{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3-피리디닐}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286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20, 104.0 mg)를 디클로로메탄 (6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키고, TFA (2 ml, 2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2시간 30분 후,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제공하였고, 이를 5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이를 40 ml의 메탄올, 이어서, 메탄올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 40 ml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72.6 mg)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87
중간체 122
1a- 메틸 -7-{[(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1a,7b- 디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2(1 H )-온
Figure pct00288
질소하에 실온에서 교반된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50 ml) 중의 트리메틸설폭소늄 아이오다이드 (4.52 g, 20.55 mmol)의 용액에 순수 소듐 하이드라이드 (60%, 0.822 g, 20.5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15ml의 DMSO 중에 용해된 3-메틸-5-{[(메틸옥시)메틸]옥시}-2H-크로멘-2-온 (중간체 113, 1.81 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황색으로 변했고, 이를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NH4Cl 포화 용액의 첨가에 의해 후처리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키는 작업을 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순수 사이클로헥산 내지 5/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6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89
중간체 123
2-[2-( 하이드록시메틸 )-2- 메틸사이클로프 로필]-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페놀
Figure pct00290
질소하에 0℃에서 교반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5 ml) 중의 1a-메틸-7-{[(메틸옥시)메틸]옥시}-1a,7b-디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2(1H)-온 (중간체 122, 360 mg)의 용액에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용액 (THF 중의 1.0M, 1.537 ml, 1.53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THF (20ml)로 희석하고, Na2SO4.10H2O (10eq)를 첨가하여 켄칭시키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반응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5/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07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91
중간체 124
1a- 메틸 -7-{[(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Figure pct00292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2-[2-(하이드록시메틸)-2-메틸사이클로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놀 (중간체 123, 307 mg)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338 mg, 1.288 mmol) 및 비스(1-메틸에틸) (E)-1,2-디아젠디카르복실레이트 (261 mg, 1.28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이 황색으로 변했고, 이를 질소하에 실온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용매를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순수 사이클로헥산 내지 10/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8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93
중간체 125
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올
Figure pct00294
메탄올 (16 ml) 중의 1a-메틸-7-{[(메틸옥시)메틸]옥시}-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 (중간체 124, 280 mg)의 용액에 2.0 M HCl 수용액 (1.271 ml, 2.5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2시간 동안, 이후 실온에서 밤새 교반했고, 이 때 반응물은 여전히 약간의 미반응된 출발 물질을 나타냈고, 그에 따라서 추가의 2.0 M HCl (2 eq.)을 첨가하고, 50℃에서 2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희석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순수 사이클로헥산 내지 5/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2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95
중간체 126
2-[(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일) 옥시 ]-5- 니트 로피리딘
Figure pct00296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의 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올 (중간체 125, 190 mg)의 용액에 K2CO3 (447 mg, 3.23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171 mg, 1.078 mmol)을 첨가하여 밝은 갈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물을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5/1의 순수 사이클로헥산 내지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0 mg)을 밝은 갈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97
중간체 127
6-[(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일) 옥시 ]-3-피리딘아민
Figure pct00298
테트라하이드로푸란 (6 ml)/ 물 (3 ml) 중의 2-[(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126, 250 mg)의 용액에 철 (234 mg, 4.19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224 mg, 4.1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고, 이 때 UPLC는 일부 하이드록실-아민 중간체와 함께 표제 화합물의 부분적 형성을 나타냈고, 그에 따라서, 추가 3당량의 암모늄 클로라이드 및 철을 첨가하고, 반응을 추가 5시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이후, 철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해 내고, 그 용액을NaHCO3 포화 수용액 (10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200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50 mg)을 밝은 갈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299
중간체 128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6-[(1a- 메틸 -1,1a,2,7b- 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7-일) 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2- 옥소에틸 ]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00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 ml) 중의 6-[(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27, 150 mg)의 용액에 DIPEA (0.352 ml, 2.013 mmol),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307 mg, 1.509 mmol) 및 HATU (574 mg, 1.50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유기 상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301
중간체 129
2- 메틸 - N 1 -{6-[(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일) 시]-3-피리디닐} 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302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1-디메틸-2-({6-[(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28, 135 mg, 0.298 mmol)의 용액에 TFA (5 ml, 64.9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5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어떠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303
중간체 130
에틸 (2-({[(1,1-디메틸에틸)( 디메틸 )실릴] 옥시 } 메틸 )-6-{[( 메틸옥시 ) 메틸 ]옥시} 페닐 )(옥소)아세테이트
Figure pct00304
건조 n-헥산 (30 mL) 중의 (1,1-디메틸에틸)(디메틸){[(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틸]옥시}실란 (중간체 103, 3 g)의 용액에 헥산 중의 BuLi 용액 (1.6M, 7.63 mL, 12.2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8 ℃로 냉각시키고, 이를 -78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의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1.780 mL, 15.9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관삽입을 통해). 반응물을 물 (2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2.67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05
중간체 131
디메틸티타노센
Figure pct00306
-10℃에서 건조 톨루엔 (100 mL) 중의 디클로로티타노센 (8.3 g, 33.3 mmol)의 현탁액에 Et2O 중의 메틸리튬 용액(1.6M, 47.3 mL, 76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20 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로 냉각된 물 (24ml) 중의 암모늄 클로라이드 (1.2g)의 용액에 첨가하였다(관삽입을 통해).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찬물 (3x20ml) 및 염수 (1x2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톨루엔 중의 9중량%의 디메틸티타노센 (5.04 g, 24 mmol)을 함유하는 60ml로 농축시켰다.
Figure pct00307
중간체 132
에틸2 -(2-({[(1,1-디메틸에틸)( 디메틸 )실릴] 옥시 } 메틸 )-6-{[(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2-프로페노에이트
Figure pct00308
건조 톨루엔 (8 ml) 중의 에틸 (2-({[(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옥소)아세테이트 (중간체 130, 1.4 g)의 용액에 톨루엔 중의 디메틸 티타노센 9중량%(중간체 131, 30 m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20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30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865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09
중간체 133
에틸 1-(2-({[(1,1-디메틸에틸)( 디메틸 )실릴] 옥시 } 메틸 )-6-{[(메틸옥시) 틸] 옥시 } 페닐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310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10 mL) 중의 트리메틸설폭소늄 아이오다이드 (816 mg, 3.71 mmol)의 용액에 미네랄 오일 중의 NaH 60% 분산액 (140 mg, 3.4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5 mL) 중의 에틸 2-(2-({[(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2-프로페노에이트 (중간체 132, 830 mg)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얼음으로 켄칭시키고, 염수 (10ml) 및 물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3x15ml) 및 염수 (1x2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78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11
중간체 134
(2-[1-( 하이드록시메틸 )사이클로프로필]-3-{[(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 페닐 )메탄올
Figure pct00312
0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 ml) 중의 에틸 1-(2-({[(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33, 780 mg)의 용액에 THF 중의 LiAlH4의 용액 (1M, 2.076 mL, 2.076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 및 염수 (1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0ml)로 희석하였다. 고형물을 여과해 내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30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알콜 중간체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이를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0.00 mL) 중에 용해시키고, 0℃에서 THF 중의 TBAF 1M 용액 (2.076 mL, 2.076 mmo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 및 염수 (1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5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3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450 mg)을 백색 결정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13
중간체 135
5-{[(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
Figure pct00314
0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의 (2-[1-(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탄올 (중간체 134, 450 mg)의 용액에 헥산 중의 BuLi 용액 (1.6M, 1.180 mL, 1.889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의 토실 클로라이드 (360 mg, 1.889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2당량의 헥산 중의 BuLi 용액 (1.6M, 1.180 mL, 1.88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5-{[(메틸옥시)메틸]옥시}-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 (385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15
중간체 136
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올
Figure pct00316
메탄올 (10 mL) 중의 5-{[(메틸옥시)메틸]옥시}-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 (중간체 135, 380 mg)의 용액에 물 중의 HCl 10% (1.048 mL, 3.4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합한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26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17
중간체 137
5-니트로-2-(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피리딘
Figure pct00318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4 ml) 중의 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올 (중간체 136, 150 mg)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176 mg, 1.277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148 mg, 0.93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염수 (1ml)로 켄칭시키고, 물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5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빙냉 염수 (2x1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240 mg)을 무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19
중간체 138
6-(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320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물 (5 mL) 중의 5-니트로-2-(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피리딘 (중간체 137, 238 mg)의 용액에 철 (223 mg, 3.99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213 mg, 3.9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용액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3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3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80 mg)을 밝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21
중간체 139
S -2- 피리디닐 (2 R )-2-({[(1,1-디메틸에틸) 옥시 ]카르보닐}아미노)-2- 메틸부탄티오에이트
Figure pct00322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10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이소발린 (100 mg, 0.460 mmol)의 용액에 2,2'-디티오디피리딘 (254 mg, 1.151 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 (302 mg, 1.151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HF를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25g SNAP 컬럼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8 mg, 0.251 mmol)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23
중간체 140
1,1-디메틸에틸 [(1 R )-1- 메틸 -1-({[6-(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24
건조 톨루엔 (4 mL) 중의 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38, mg, 0.242 mmol)의 용액에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75 mg, 0.24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0 ℃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4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25
중간체 141
N 1 -[6-(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3-피리디닐]-D-이소발 린아미드
Figure pct00326
0 ℃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6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메틸-1-({[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0, 62 mg)의 용액에 TFA (2 ml, 26.0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 (15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99:1 내지 95:5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42 mg, 86 % 수율)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27
중간체 142
1,1-디메틸에틸 [2-({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1,1-디메틸-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28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59.2 mg, 0.292 mmol) 용액에 DIPEA (0.068 mL, 0.389 mmol), 이후, HATU (111 mg, 0.29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65, 50 mg, 0.19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1ml)로 켄칭시키고, 물 (2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1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29
중간체 143
N1 -{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2-메 틸알라닌아미
Figure pct00330
0 ℃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1.6 mL) 중의 1,1-디메틸에틸 [2-({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1,1-디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2, 30 mg, 0.068 mmol)의 용액에 TFA (0.4 ml, 5.19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5ml) 중에 용해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 내지 9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31
중간체 144
1,1-디메틸에틸{(1R)-1-[({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2- 메틸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32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mL) 중의 Boc-D-발린 (63.3 mg, 0.292 mmol)의 용액에 DIPEA (0.068 mL, 0.389 mmol), 이후, HATU (111 mg, 0.29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 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65, 50 mg, 0.19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1ml)로 켄칭시키고, 물 (2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디메틸에틸{(1R)-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2-에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55 mg, 0.120 mmol, 62.0 % 수율)를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중간체 145
(2R)-2-아미노-N-[2-[(3,3-디메틸-2H- 벤조푸란 -4-일) 옥시 ]피리미딘-5-일]-3-메틸- 부탄아미드
Figure pct00333
0 ℃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2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2-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4, 52 mg, 0.114 mmol)의 용액에 TFA (0.5 ml, 6.49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5ml) 중에 용해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 내지 9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34
중간체 146
3차-부틸 N-[(1R)-1- 메틸 -1-[[6-(3- 메틸크로만 -5-일) 옥시 -3-피리딜]카바모일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35
8 mL 바이알에서 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19, 82.4 mg, 0.0305 mmol), (2R)-2-(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산 (59.7 mg, 0.275 mmol) 및 DIPEA (0.080 mL, 0.458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HATU (151 mg, 0.39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에 걸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5.8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36
중간체 147
(2R)-2-아미노-2- 메틸 -N-[6-(3- 메틸크로만 -5-일) 옥시 -3-피리딜] 부탄아미드
Figure pct00337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차-부틸 N-[(1R)-1-메틸-1-[[6-(3-메틸크로만-5-일)옥시-3-피리딜]카바모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6, 55.8 mg, 0.104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키고, TFA (2 mL, 2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샘플을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이를 36 mL의 MeOH, 이어서, 25 mL의 MeOH 중의 2M 암모니아 용액으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2.9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38
중간체 148
1,1-디메틸에틸 [2-({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1,1-디메틸-2- 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39
8 mL 바이알에서 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108, 55 mg, 0.215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DIPEA (0.056 mL, 0.322 mmol),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52.3 mg, 0.258 mmol), 및 TBTU (83 mg, 0.25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밤새 셰이킹하였다. 추가의 DIPEA (0.1 mL),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105 mg) 및 TBTU (170mg)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추가 10시간 동안 셰이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2:1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36.5mg)로서 무색 오일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40
중간체 149
N1 -{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메틸알라닌아미드
Figure pct00341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1,1-디메틸에틸 [2-({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1,1-디메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48, 36.5 mg, 0.066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키고, 그 온도에서 TFA (1.5 mL, 19.4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수득된 잔류물을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이를 15 mL의 MeOH, 이어서, MeOH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 15 mL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7.2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42
중간체 150
2,4- 비스 (메톡시메톡시)-1- 메틸 -벤젠
Figure pct00343
0℃에서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30 ml) 중의 4-메틸벤젠-1,3-디올 (4 g, 32.26 mmol)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미네랄 오일 중의 60% 분산액) (3.87 g, 96.7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MOM-Cl (7.35 ml, 96.78 mmol)을 신속하게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40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8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빙냉 염수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1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44
중간체 151
에틸 2-[2,6- 비스 (메톡시메톡시)-3- 메틸 - 페닐 ]-2-옥소-아세테이트
Figure pct00345
실온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중의 2,4-비스(메톡시메톡시)-1-메틸-벤젠 (중간체 150, 5.5 g, 25.94 mmol)의 용액에 헥산중의 BuLi 1.6M (19.45 ml, 31.1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78 ℃로 냉각시키고, 이를 -78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30 ml) 중의 에틸 클로로옥소아세테이트 (4.35 ml, 38.9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관삽입을 통해).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30 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0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65 g)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46
중간체 152
에틸 2-[2,6- 비스 ( 메톡시메톡시 )-3- 메틸 - 페닐 ] 프로프 -2- 에노에이트
Figure pct00347
0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0 ml) 중의 메틸트리페닐포스포늄 브로마이드 (8.78 g, 24.6 mmol)의 현탁액에 톨루엔 중의 KHMDS 0.5M 용액 (44.22 ml, 22.11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그리고 실온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이를 0 ℃에서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mL) 중의 에틸 2-[2,6-비스(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2-옥소-아세테이트 (중간체 151, 4.6g, 14.74 mmol)의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50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유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8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48
중간체 153
에틸 1-[2,6- 비스 (메톡시메톡시)-3- 메틸 - 페닐 ]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Figure pct00349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30 mL) 중의 트리메틸설폭소늄 아이오다이드 (4.4 g, 20 mmol)의 용액에 소듐 하이드라이드 (미네랄 오일 중의 60% 분산액) (0.720 g, 1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디메틸 설폭사이드 (15 mL) 중의 에틸 2-[2,6-비스(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프로프-2-에노에이트 (중간체 152, 3.5 g, 11.29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4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1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50
중간체 154
2-[1-( 하이드록시메틸 )사이클로프로필]-3-(메톡시메톡시)-6- 메틸 -페놀
Figure pct00351
에탄올 (10ml) 중의 에틸 1-[2,6-비스(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중간체 153, 300 mg, 0.93 mmol)의 용액에 물 중의 HCl 6N (0.4 mL, 2.4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합한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건조 톨루엔 (10 mL) 중에 현탁시키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NaH (미네랄 오일 중의 60% 분산액) (80 mg, 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MOM-Cl (0.083 mL, 1.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iAlH4 (THF 중의 1M, 1.2 ml, 1.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10ml)으로 켄칭시키고, 물 (2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52
중간체 155
4-(메톡시메톡시)-7- 메틸 - 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
Figure pct00353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의 2-[1-(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프로필]-3-(메톡시메톡시)-6-메틸-페놀 (중간체 154, 65 mg, 0.27 mmol)의 용액에 트리페닐포스핀 (84 mg, 0.3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PPh3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이후, DIAD (0.056 ml, 0.285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0mg)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54
중간체 156
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올
Figure pct00355
에탄올 (5 ml) 중의 4-(메톡시메톡시)-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 (중간체 155, 38 mg, 0.17 mmol)의 용액에 물 중의 HCl 6N (0.1 mL, 0.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일 동안 교반하였다. 합한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4mg)을 밝은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56
중간체 157
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5-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357
건조 DMF (4ml) 중의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6, 176 mg, 1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07 mg, 1.5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158 mg, 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70mg)을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미정제물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358
중간체 158
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딘 -3-아민
Figure pct00359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물 (2.5 ml) 중의 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157, 265 mg)의 용액에 철 (245 mg, 4.45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238 mg, 4.4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5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표제 화합물 (203 mg)을 밝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60
중간체 159
3차-부틸 N-[(1R)-1-[[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3- 피리딜 ] 카바모일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61
건조 DMF (1ml)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36 mg, 0.18mmol)의 용액에 DIPEA (52㎕, 0.3mmol), 이후, HATU (65mg, 0.17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158, 40mg, 0.1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90:1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7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62
중간체 160
(2R)-2-아미노-N-[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3-피리딜 ]부탄아미드
Figure pct00363
0℃에서 건조 DCM (3ml) 중의 3차-부틸 N-[(1R)-1-[[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딜]카바모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59, 55mg)의 용액에 TFA (1ml)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 (10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1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64
중간체 161
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5-니트로-피리미딘
Figure pct00365
건조 아세토니트릴 (4ml) 중의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6, 176 mg, 1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07 mg, 1.5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159 mg, 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에, 반응 혼합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58mg)을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미정제물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366
중간체 162
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미딘 -5-아민
Figure pct00367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물 (2.5 ml) 중의 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5-니트로-피리미딘 (중간체 161, 255 mg)의 용액에 철 (234 mg, 4.25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227 mg, 4.2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5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4:6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2 mg)을 밝은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68
중간체 163
3차-부틸 N-[(1R)-1-[[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미딘 -5-일] 카바모일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369
건조 DMF (1ml)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45 mg, 0.222mmol)의 용액에 DIPEA (87㎕, 0.5mmol), 이후, HATU (80mg, 0.21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아민 (중간체 162, 50mg, 0.185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90:1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5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70
중간체 164
(2R)-2-아미노-N-[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미딘 -5-일] 부탄아미드
Figure pct00371
0℃에서 건조 DCM (3ml) 중의 3차-부틸 N-[(1R)-1-[[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일]카바모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63, 42mg)의 용액에 TFA (1m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DCM (10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5mg)을 밝은 황색 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72
중간체 165
(5R)-3-(2- 클로로피리미딘 -5-일)-5-에틸-5- 메틸 -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373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중의 트리포스겐 (1.38 g, 4.65mmol)의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의 2-클로로-5-아미노피리미딘 (1 g, 7.75 mmol)/DIPEA (8 ml, 4.65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20 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유지하면서, 진공을 가하여 (10분)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1:1 (8 ml) 중의 DMAP (0.945g, 7.75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중의 메틸 (R)-2-아미노-2-메틸-부티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59 g, 15.5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15 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수성 완충액 (pH3)으로 켄칭시키면서 pH가 ~5 내지 6에 이르게 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수성 완충액 (pH3) (2x20 ml), 이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우레아 중간체를 오렌지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우레아를 MeOH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 (0.41 g, 7.7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수용액 (25 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 (2x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2O (10 ml)로 분쇄하고, 고형물을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 (1.22 g)을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74
중간체 166
3-(2- 클로로피리미딘 -5-일)-5,5-디메틸-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375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중의 트리포스겐 (1.38 g, 4.65mmol)의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40 ml) 중의 2-클로로-5-아미노피리미딘 (1 g, 7.75 mmol)/DIPEA (8 ml, 4.65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20 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유지하면서 진공을 가하여 (10분) 과량의 포스겐을 제거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디클로로메탄 1:1 (8 ml) 중의 DMAP (0.945g, 7.75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30 ml) 중의 2,2-디메틸글리신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37 g, 15.5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15분),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수성 완충액 (pH3)으로 켄칭시키면서 pH가 ~5 내지 6에 이르게 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수성 완충액 (pH3) (2x20 ml), 이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우레아 중간체를 오렌지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우레아를 MeOH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 (0.41 g, 7.7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25 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 (2x2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Et2O (10 ml)로 분쇄하고, 고형물을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 (1.08 g)을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76
중간체 167
메틸 3-(2- 메틸알릴옥시 ) 벤조에이트
Figure pct00377
메틸 3-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1 g, 6.57 mmol)를 DMF (1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그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1.089 g, 7.88 mmol) 및 3-브로모-2-메틸프로펜 (0.729 ml, 7.2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18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78
중간체 168
메틸 3- 하이드록시 -2-(2- 메틸알릴 ) 벤조에이트
Figure pct00379
메틸 3-(2-메틸알릴옥시)벤조에이트 (중간체 167, 1.100 g, 5.3 mmol)를 1-메틸-2-피롤리디논 (12 ml) 중에 용해시키고, 200 ℃로 가열하였다. 용액을 동일한 온도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2 CV에 대해 10/0 내지 7/3, 50g SNAP 실리카 컬럼)로 Biotage SP1을 통해 정제하였다. 분획을 수집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50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80
중간체 169
3-( 하이드록시메틸 )-2-(2- 메틸알릴 )페놀
Figure pct00381
메틸 3-하이드록시-2-(2-메틸알릴)벤조에이트 (중간체 168, 410 mg, 1.99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THF 중의 LiAlH4 2M 용액 (1.09 ml, 2.19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6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6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82
중간체 170
3,3- 디메틸이소크로만 -5-올
Figure pct00383
3-(하이드록시메틸)-2-(2-메틸알릴)페놀 (중간체 169, 360 mg, 2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황산 두 방울을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물을 물 (4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40 ml)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사이클로헥산으로 분쇄하여 백색 고형물을 얻었고, 이를 여과하고, 사이클로헥산 (2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3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84
중간체 171
2-(3,3- 디메틸이소크로만 -5-일) 옥시 -5-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385
건조 DMF (3 ml) 중의 3,3-디메틸이소크로만-5-올 (중간체 170, 65 mg, 0.36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07 mg, 1.5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50.8 mg, 0.3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2ml)로 켄칭시키고, 염수 (10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80 mg)을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미정제물로서 사용하였다.
Figure pct00386
중간체 172
6-(3,3-디메틸이소크로 -5-일) 옥시피리딘 -3-아민
Figure pct00387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 물 (2.5 ml) 중의 2-(3,3-디메틸이소크로만-5-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171, 80 mg)의 용액에 철 (70mg, 1.3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70 mg, 1.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5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4:6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88
중간체 173
[5-( 메톡시메톡시 )-2- 메틸 - 페닐 ]메탄올
Figure pct00389
5-하이드록시-2-메틸-벤조산 (2 g, 13.3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40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소듐 하이드라이드 (미네랄 오일 중의 60% 분산액) (1.8 g, 39.5 mmol)를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클로로(메틸옥시)메탄 (4 ml, 52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러한 물질을 THF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THF 중의 LiAlH4 1M (15 ml, 15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에 붓고, 6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90
중간체 174
3차-부틸-[[5-( 메톡시메톡시 )-2- 메틸 - 페닐 ] 메톡시 ]-디메틸- 실란
Figure pct00391
[5-(메톡시메톡시)-2-메틸-페닐]메탄올 (중간체 173, 1.9g, 10mmol)을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1H-이미다졸 (1.137 g, 16.7 mmol) 및 클로로(1,1-디메틸에틸)디메틸실란 (2.095 g, 13.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즉시 백색 현탁액이 되었고, 이를 실온에서 30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별 깔때기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9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92
중간체 175
1-[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메틸 ]-6-( 메톡시메톡시 )-3- 메틸 - 페닐 ]사이클로부탄올
Figure pct00393
헥산 (5 ml) 중의 3차-부틸-[[5-(메톡시메톡시)-2-메틸-페닐]메톡시]-디메틸-실란 (중간체 174, 0.3 g, 1 mmol)의 용액에 BuLi (헥산 중의 1.6M, 0.9 ml, 1.4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건조 THF (5 ml) 중의 CeCl3 (0.37g, 1.5 mmol)의 현탁액에 -30℃에서 적가하고, 실온에서 밤새 미리 교반하였다. -30℃에서 45분 후, THF (1ml) 중에 용해된 사이클로부타논(0.07g, 1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한 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2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25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5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94
중간체 176
7- 메틸스피로 [1H-이소벤 조푸란 -3,1'- 사이클로부탄 ]-4-올
Figure pct00395
실온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의 1-[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메톡시)-3-메틸-페닐]사이클로부탄올 (중간체 175, 0.05g, 0.136 mmol)의 용액에 황산 (96%, 2 방울)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20ml)를 첨가하고, 유기 상을 염수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2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96
중간체 177
에틸 2-[[3차-부틸( 디메틸 )실릴]옥시메 ]-6-(메톡시메톡시)벤조에이트
Figure pct00397
질소 플러시 하에 환류 응축기가 장착된 2-구 10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5분 동안 진공하에 화염, 이후, N2/진공 3회 사이클), (1,1-디메틸에틸)(디메틸){[(3-{[(메틸옥시)메틸]옥시}페닐)메틸]옥시}실란 (중간체 103, 1.5 g, 5.31 mmol)을 헥산 (20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헥산 중의 부틸리튬 1.6N (4.31 ml, 6.9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러한 조건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옅은 황색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중의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1.015 ml, 10.6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30분 후, 반응물을 2M 염산 수용액으로 켄칭시키면서 pH가 ~2에 이르게 하고,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누르스름한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96 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398
중간체 178
에틸 2-[[3차-부틸(디메틸)실릴] 옥시메틸 ]-6- 하이드록시 - 벤조에이트
Figure pct00399
에틸 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메톡시메톡시)벤조에이트 (중간체 177, 950 mg, 2.68 mmol)를 디클로로메탄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 ml)을 첨가하였다. 0 ℃에서 3시간 교반한 후, 0 ℃에서 물 (20 ml)을 첨가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무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345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00
중간체 179
3,3- 디에틸 -1H- 이소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401
0℃에서 건조 THF (5 ml) 중의 에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10 ml, 5 mmol)의 1M 용액에 Et2O (10ml) 중의 에틸 2-[[3차-부틸(디메틸)실릴]옥시메틸]-6-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중간체 178, 0.31g, 1 mmol)의 용액을 15분내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30분 동안, 이후, 추가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40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8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THF (5 ml) 중에 용해시키고,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HF 중의 1M, 1.5ml, 1.5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를 첨가하고, 합한 유기 층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켰다. 얻어진 황색 고형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펜탄 (1:1, 5ml)으로 분쇄하여 백색 고형물을 제공하였다.
고형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황산 (96%, 4 방울)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20ml)를 첨가하고, 유기 상을 염수 (2x50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5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02
중간체 180
6-[(3,3- 디에틸 -1H-이소벤 조푸란 -4-일) 옥시 ]피리딘-3-아민
Figure pct00403
건조 DMF (3ml) 중의 3,3-디에틸-1H-이소벤조푸란-4-올 (중간체 179, 0.03g, 0.15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0.08g, 0.6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0.026g, 0.17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5 ml)/물 (2.5 ml) 중에 용해시키고, 철 (0.04 g, 0.75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0.4 g, 0.7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 (5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25 g)을 밝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04
중간체 181
[(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트리스(1- 메틸에틸 )] 실란
Figure pct00405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50, 3.6g, 21.91mmol)을 무수 THF (20.0 mL) 중에 용해시키고, 무색 용액을 질소하에 교반하면서 0℃로 냉각시켰다. 사이클로헥산 중의 2M n-BuLi 용액 (13.2mL, 26.4 mmol)을 적가하고, 생성된 황색 용액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이소프로필시스일트리플레이트 (7.7mL, 28.5 mmol)를 적가하였는데, 용액은 거의 완전히 탈색되었다. 이를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 (1.0 mL)을 첨가하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염수로 3회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황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TBME 중에 재용해시키고, 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7.4g)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406
중간체 182
[(7- 브로모 -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트리스(1-메틸에틸)]실란
Figure pct00407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트리스(1-메틸에틸)]실란 (중간체 181, 7.4g, 23.19 mmol)을 THF (70.0 mL) 중에 용해시켰다. N-브로모석신이미드 (4.2g, 23.88 mmol)를 첨가하여 수분 내에 용해시켰다. 이러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NBS (0.64g, 3.4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추가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CCl4 (50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용액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CCl4 중에 재현탁시키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백색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습윤 케이크를 추가 CCl4로 세척하였다. CCl4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스와핑시키고, 유기 용액을 2.5중량%의 수성 NaHCO3로 3회, 마지막으로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8.6g)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408
중간체 183
트리스(1- 메틸에틸 )[(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실란
Figure pct00409
[(7-브로모-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트리스(1-메틸에틸)]실란 (중간체 182, 7.1g, 17.72mmol)을 무수 THF (72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8.0mL, 53.16 mmol)을 첨가하고, 황색 오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헥산 (22.5mL, 35.4 mmol) 중의 부틸리튬의 1.6 M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한 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메틸 아이오다이드 (11 mL, 177.2 mmol)를 6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백색 고형물을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습윤 케이크를 THF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NaHCO3로 2회, 물로 1회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갈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6 g)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10
중간체 184
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411
트리스(1-메틸에틸)[(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실란 (중간체 183, 3.6g, 10.84mmol)을 THF (36mL) 중에 용해시켜 농황색 용액을 수득하였다. TBAF (8.5g, 32.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HCl, 이후, 수성 NaHCO3, 마지막으로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매를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5: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9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12
중간체 185
5-니트로-2-[(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피리딘
Figure pct00413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790 mg, 5.0 mmol) 및 K2CO3 (1.72 g, 12.5mmol)의 존재하에서 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184, 0.9g, 5.0mmol)을 CH3CN (5mL)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현탁액을 60℃에서 1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한 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0:1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92 g)을 누르스름한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14
중간체 186
6-[(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415
5-니트로-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피리딘 (중간체 185, 920 mg, 3.0mmol)을 EtOH (13.5m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Pd/C 10중량% (46 mg, 5중량%)의 존재에서 수소 분위기 하에(2 바)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THF로 세척하고, 생성된 용액을 증발 건조시켜 오렌지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MeOH로부터 미정제물을 표제 화합물 (565 mg)로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결정화시켰다.
Figure pct00416
중간체 187
1,1-디메틸에틸 {(1R)-1-[({6-[(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17
6-{[3,3,7-트리메틸-6-(트리플루오로메톡시)-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186, 405 mg, 1.27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4 mL) 중에 현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0.44ml, 3.175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258 mg, 1.27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1.4 mmol) 중의 T3P 50 중량%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가온시키고,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2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80:2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50 g)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18
중간체 188
(2R)-2-아미노-N-{6-[(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시]-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Figure pct00419
1,1-디메틸에틸 {(1R)-1-[({6-[(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87, 480 mg, 1.05 mmol)를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5 mL) 중에 용해시키고, 이소프로판올 중의 HCl 5-6N(1ml, 5.25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50 내지 55℃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95:5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31 g)을 누르스름한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20
Figure pct00421
중간체 189
5-니트로-2-[(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피리미딘
Figure pct00422
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중간체 184, 178 mg, 1.0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191.5 mg, 1.2 mmol)을 CH3CN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K2CO3 (345.5 mg, 2.5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40℃로 가열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97:3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43 mg)을 수득하였다.
중간체 190
2-[(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 피리미딘아민
Figure pct00423
5-니트로-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피리미딘 (중간체 189, 243 mg, 0.81 mmol)을 THF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차콜상 팔라듐 (5 mol %, 85mg)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3 바)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 THF로 세척하고, 생성된 용액을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물로 희석하고, 유기 상을 수집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20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미정제물을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424
중간체 191
1,1-디메틸에틸 {(1R)-1-[({2-[(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25
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190, 220 mg, 0.81 mmol)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2R)-2-({[(1,1- 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181.1 mg, 0.89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Et3N (0.35 mL, 2.02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5℃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T3P 50 중량% 용액 (0.53 mL, 0.89 mmol)을 15분 내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5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여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3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26
중간체 192
7-(메톡시메톡시)-3H-이소벤 조푸란 -1-온
Figure pct00427
-78 ℃에서 4-하이드록시-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1,3-디온 (685mg, 4 mmol)을 건조 THF (30mL) 중에 용해시켰다. THF 중의 K-Selectride 1M 용액(13 mL, 13 mmol)을 20분내에 적가한 후, 혼합물을 -78℃로부터 -30℃로 3시간에 걸쳐 가온시켰다. 최종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 염수 (25mL) 및 3M 염산 용액 (25mL) 중에 부었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증발 건조시켰다. 생성된 화합물을 MeOH (20mL) 중에 용해시키고, 교반하에 3M 염산 용액 (10mL)으로 처리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 및 염수 (25mL)로 희석하고, 유기 층을 수집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페놀 중간체(430 mg)를 수득하였다.
0℃에서 페놀 중간체 (430 mg, 2.9 mmol)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20mL) 중에 용해시키고, DIPEA (5mL, 5.5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10분에 걸쳐 클로로메틸메틸에테르 (0.44 mL, 5.7 mmol)를 적가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0℃에서 30 분 동안, 이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을 부분적으로 증발시키고, 얻어진 현탁액을 에틸 아세테이트 (20mL) 중에 용해시키고, 물과 염수의 50/50 혼합물 (2x10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549 mg)을 옅은 황색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428
중간체 193
3,3-디메틸-1H- 이소벤조푸란 -4-올
Figure pct00429
-70℃에서 7-(메톡시메톡시)-3H-이소벤조푸란-1-온 (중간체 192, 550mg, 2.8 mmol)을 건조 THF (150 mL) 중에 용해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중의 메틸마그네슘 브로마이드 3M 용액 (5.6mL, 16.8 mmol)을 30분내에 적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70 ℃에서 30분 동안, 이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m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50mL) 중에 부었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 (50mL), 염수 (50mL)로 세척하고, 증발시켜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고, 이를 아세토니트릴 (15mL) 중에 용해시키고, 황산 (0.15 mL)으로 처리하였다. 아세토니트릴을 메틸 알콜 (15mL)로 대체하고, 생성된 용액을 p-톨루엔설폰산 (100 mg)으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60℃로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30mL) 중에 용해시키고,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10mL), 이후, 염산 희석된 수용액으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90:1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30
중간체 194
(5R)-3-(6- 클로로 -3-피리디닐)-5-에틸-5- 메틸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431
6-클로로피리딘-3-아민 (3.0 g, 23.3 mmol)을 CH3CN/에틸 아세테이트 (20 mL)의 3:1 v/v 혼합물 중에 용해시키고, (2R)-2-아미노-2-메틸부탄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97 g, 25.63 mmol)를 첨가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T3P 50 중량% 용액 (15.3 mL, 25.63)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NaOH 3N로 켄칭시키면서 pH가 ~10가 되게 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상을 수집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최종 부피 ~ 15 mL로 농축시켰다. 용액을 0 내지 5 ℃로 냉각시키고, Et3N (11.4 ml, 81.9 mmol)을 첨가하였다.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트리포스겐 (2.76 g, 6.96 mmol)의 용액을 5 ℃ 미만으로 내부 온도를 유지하면서 15 분 내에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5℃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후, 물 (100 mL)로 켄칭시키고, 마지막으로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15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현탁시키고, 이어서, 65 mL의 n-헵탄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n-헵탄의 2:8 v/v 혼합물 (2 x 10 mL)로 세척한 후, 40℃에서 18시간 동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5 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32
중간체 195
(2,2- 디플루오로 -1,3- 벤조디옥솔 -4-일) 보론산
Figure pct00433
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 (960 mg, 6.1 mmol)을 THF (8 mL) 및 사이클로헥산 (4 mL)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78 ℃로 냉각시켰다. 사이클로헥산 중의 2차-BuLi 1.4M 용액 (4.3 mL, 6.1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메틸보레이트 (694 mg, 6.7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 ℃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2N HCl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434
중간체 196
(2,2- 디플루오로 -7- 메틸 -1,3-벤조디옥솔-4-일)보론산
Figure pct00435
(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4-일)보론산 (중간체 195, 미정제물)을 THF (20 mL)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사이클로헥산 중의 2차-BuLi 1.4M 용액 (17.4 ml, 24.36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메틸 아이오다이드 (4.6 ml, 7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실온에 이르게 하였다. 2N HCl 수용액을 첨가함으로써 반응물을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수집한 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n-헵탄으로부터 결정화시켜 표제 화합물 (15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36
중간체 197
2,2- 디플루오로 -7- 메틸 -1,3-벤조디옥솔-4-올
Figure pct00437
(2,2-디플루오로-7-메틸-1,3-벤조디옥솔-4-일)보론산 (중간체 196, 150 mg, 1.28 mmol)을 THF (1.5 mL) 중에 용해시키고, H2O2 30 중량% 수용액 (2.56 mmol) 및 NaOH (51 mg, 1.2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N HCl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40 mg)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38
중간체 198
2,2- 디플루오로 -1,3-벤조디옥솔-4-올
Figure pct00439
2,2-디플루오로-1,3-벤조디옥솔 (320 mg, 2.05 mmol)을 THF (2.5 mL) 및 사이클로헥산 (1.2 mL)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78℃로 냉각시켰다. 사이클로헥산 중의 2차-BuLi 2M 용액 (1.025 ml, 2.05 mmol)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8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트리메틸보레이트 (230mg, 2.2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서서히 가온시켰다. H2O2 30 중량% 수용액 (4.1 mmol) 및 NaOH (82 mg, 2.0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2N HCl 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4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40
중간체 199
2-[2-아미노-6-( 메틸옥시 ) 페닐 ]-2- 프로판올
Figure pct00441
1-(2-아미노-6-메톡시페닐)에탄온 (500 mg, 3.03 mmol)을 THF (7.5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온도를 10℃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Et2O 중의 메틸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3M 용액(2.12 ml, 6.36 mmol)을 적가하였다. 온도를 15℃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반응물을 NH4Cl 포화수용액(7.5 mL)으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00 mg)을 밝은 오렌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42
중간체 200
N-[2-(1- 하이드록시 -1- 메틸에틸 )-3-( 메틸옥시 ) 페닐 ]아세트아미드
Figure pct00443
2-(2-아미노-6-메톡시페닐)프로판-2-올 (중간체 199, 500 mg, 2.76 mmol)을 DCM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770 ml, 5.52 mmol)을 첨가하였다. 용액을 0 ℃로 냉각시키고, 아세틸 클로라이드 (0.2 ml, 2.76 mmol)로 점적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첨가 종료시에 완전한 전환에 도달하였다. 혼합물을 NH4Cl 포화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NaHCO3 포화 수용액 및 염수로 세척한 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미정제물을 3차-부틸 메틸 에테르 중의 재슬러리에 의해 정제하여 490 mg의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분리하였다.
Figure pct00444
중간체 201
2,4,4- 트리메틸 -5-( 메틸옥시 )-4H-3,1- 벤즈옥사진
Figure pct00445
N-[2-(2-하이드록시프로판-2-일)-3-메톡시페닐]아세트아미드 (중간체 200, 470 mg, 2.10 mmol)를 고온의 폴리인산에 첨가하고,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로 켄칭시켰다. 고형 Na2CO3를 첨가하면서 pH가 ~8 내지 9에 이르게 하였다. 물 및 DCM을 첨가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2회 세척하고, Na2SO4 상에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42 mg)을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446
중간체 202
2,4,4- 트리메틸 -4H-3,1- 벤즈옥사진 -5-올
Figure pct00447
5-메톡시-2,4,4-트리메틸-4H-3,1-벤즈옥사진 (중간체 201, 342 mg, 1.67 mmol)을 DCM (7 mL) 중에 용해시키고, DCM 중의 1M BBr3 용액 (1.67ml, 1.67 mmol)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30분 후,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 환류하에 6시간 후, 일부 추가의 DCM 중의 1M BBr3 용액 (1.67 ml, 1.6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켄칭시키면서 pH가 염기성이 되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330 mg)을 포움으로서 얻었다.
Figure pct00448
중간체 203
2,4,4- 트리메틸 -5-[(5-니트로-2- 피리딜 ) 옥시 ]-3,1- 벤즈옥사진
Figure pct00449
건조 DMF (4 mL) 중의 2,4,4-트리메틸-4H-3,1-벤즈옥사진-5-올 (중간체 202, 500 mg, 2.61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410 mg, 2.58 mmol)의 현탁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400 mg, 2.89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70℃에서 40분 동안 MW 장치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물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2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2 x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70:3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5 mg)을 황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50
중간체 204
6-[(2,4,4- 트리메틸 -3,1- 벤즈옥사진 -5-일) 옥시 ]피리딘-3-아민
Figure pct00451
EtOH (3 mL) 중의 2,4,4-트리메틸-5-[(5-니트로-2-피리딜)옥시]-3,1-벤즈옥사진 (중간체 203, 220 mg, 0.70 mmol)의 용액에 탄소상 10중량% 팔라듐 (25 mg)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 (2 바)하에 실온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EtOH (3 x 1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초록빛의 고형물로서 표제 화합물 (185 mg)로 농축시켰다.
Figure pct00452
중간체 205
(2R)-2-아미노-2- 메틸 -N-[6-[(2,4,4- 트리메틸 -3,1- 벤즈옥사진 -5-일) 옥시 ]-3-피리딜] 부탄아미드
Figure pct00453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MeCN (2 mL, 1:3 v/v 혼합물) 중의 6-[(2,4,4-트리메틸-3,1-벤즈옥사진-5-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204, 185 mg, 0.65 mmol) 및 (R)-2-아미노-2-메틸-부탄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67 mmol)의 현탁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T3P 50 중량% 용액 (0.43 mL)을 적가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그리고 80℃에서 4시간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물 (5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고,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NaHCO3 포화수용액 (pH = 8)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20:8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3 mg)을 황색 포움으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54
중간체 206
2-[(2,2-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455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97 mg, 0.609 mmol)을 3 mL의 디메틸포름아미드중에 용해시켰다. 2,2-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100 mg, 0.609 mmol) 및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53 mg, 1.82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1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형물을 디클로로메탄 (5 ml)으로 세척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진공하에 증발시켰다. 미정제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8 ml) 중에 용해시키고, 염수를 첨가하였다(8 ml).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2 x 8 ml)으로 2회, 그리고 에틸아세테이트 (2 x 8 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80:2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12g Si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2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56
중간체 207
6-[(2,2-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457
Fe 분말 (112 mg, 2.009 mmol)을 THF/물 (9 ml/3 ml)의 혼합물 중의 2-[(2,2-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206, 115 mg 0.402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이어서, 암모늄 클로라이드 (107 mg 2.00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용액을 NaHCO3 포화수용액(1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5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 (2x15ml)로 2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80:2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12g 실리카 겔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58
중간체 208
3차-부틸 N-[(1R)-1-[[6-[(2,2-디메틸-3H-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딜 ] 카바모일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59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1 mL) 중의 (2R)-2-({[(1,1- 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17.84 mg, 0.088 mmol)의 용액에 DIPEA (25.6 ㎕, 0.146 mmol), 이후, HATU (37.8 mg, 0.09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207, 15 mg, 0.05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 35℃에서 밤새 교반하에 두었다.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켰다. 염수 (4 ml)를 첨가하고,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3 x 5 ml)로 3회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12g 실리카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60
중간체 209
((2 R )-2-아미노- N -{6-[(2,2-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드 )
Figure pct00461
0℃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3차-부틸 N-[(1R)-1-[[6-[(2,2-디메틸-3H-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딜]카바모일]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08, 14 mg, 0.032 mmol)의 용액에 TFA (98 ㎕, 1.268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일부 추가의 디클로로메탄 (4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면서 pH가 ~8에 이르게 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 (3 x 3 ml)으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0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62
중간체 210
5-(메톡시메톡시)-4- 메틸 -크로만
Figure pct00463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3-하이드록시-1-메틸-프로필)-3-(메톡시메톡시)페놀 (56.3 mg, 0.249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트리페닐포스핀 (59.4 mg, 0.22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트리페닐포스핀의 용해가 완료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DIAD (45.8 mg, 0.22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추가의 트리페닐포스핀 (59.4 mg, 0.226 mmol) 및 DIAD (45.8 mg, 0.22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으로서 10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와 용리액으로서 10: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0.3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64
중간체 211
4- 메틸크로만 -5-올
Figure pct00465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5-(메톡시메톡시)-4-메틸-크로만 (중간체 210, 50.3 mg, 0.229 mmol)을 메탄올 (4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2M HCl 수용액 (0.100 mL, 0.2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연속하여 2M/H2O HCl 용액 (0.100 mL, 0.2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DCM로 희석하였다.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진공하에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38.7 mg)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66
중간체 212
2-(4- 메틸크로만 -5-일) 옥시 -5-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467
0.5 내지 2ml 마이크로파 바이알에서 4-메틸크로만-5-올 (중간체 211, 38.7 mg, 0.212 mmol), K2CO3 (88 mg, 0.636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33.6 mg, 0.212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 mL) 중에 용해시켜 밝은 갈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봉하고,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10 ℃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분별 깔때기에 의해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3x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층을 소수성 프리트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2.9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68
중간체 213
6-(4- 메틸크로만 -5-일) 옥시피리딘 -3-아민
Figure pct00469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4-메틸크로만-5-일)옥시-5-니트로-피리딘 (중간체 212, 22.9 mg, 0.08 mmol)을 에탄올 (10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오일을 제공하였다. Pd/C (17.88 mg, 0.017 mmol) 및 하이드라진 수화물 (0.4 mL, 4.1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2.9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470
중간체 214
3차-부틸 N-[1,1-디메틸-2-[[6-(4- 메틸크로만 -5-일) 옥시 -3- 피리딜 ]아미노]-2-옥소-에틸]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71
8 mL 바이알에서 6-(4-메틸크로만-5-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213, 22.9 mg, 0.089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DIPEA (0.069 mL, 0.394 mmol),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2-메틸알라닌 (60.0 mg, 0.295 mmol) 및 HATU (112 mg, 0.29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 ℃에서 1시간 동안 셰이킹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무색 오일로서 표제 화합물 (63.3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72
중간체 215
2-아미노-2- 메틸 -N-[6-(4- 메틸크로만 -5-일) 옥시 -3- 피리딜 ] 프로판아미드
Figure pct00473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차-부틸 N-[1,1-디메틸-2-[[6-(4-메틸크로만-5-일)옥시-3-피리딜]아미노]-2-옥소-에틸]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14, 63.3 mg, 0.093 mmol)를 디클로로메탄 (DCM)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키고, TFA (3 mL, 38.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40 mL의 MeOH, 이어서, 40 mL의 MeOH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으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22.9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74
중간체 216
2-(4- 메틸크로만 -5-일) 옥시 -5-니트로-피리미딘
Figure pct00475
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올 (중간체 211, 111 mg, 0.676 mmol)을 5.0 mL의 DMF 중에 용해시켰다. K2CO3 (140 mg, 1.01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162 mg, 1.0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DMF를 고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 내지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9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76
중간체 217
2-[(4- 메틸 -3,4- 디하이드로 -2H- 크로멘 -5-일) 옥시 ]-5- 피리미딘아민
Figure pct00477
2-[(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5-니트로피리미딘 (중간체 216, 192 mg, 0.668 mmol)을 2/1의 THF/물 용액 9.0 mL 중에 용해시켰다. 철 (187 mg, 3.34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179 mg, 3.3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AcOEt로 희석한 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 (AcOEt로 세척), 유기 상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2회).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 내지 0: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4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78
중간체 218
1,1-디메틸에틸 {(1R)-1- 메틸 -1-[({2-[(4-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79
2-[(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217, 144 mg, 0.56 mmol)을 톨루엔 (8.0 mL) 중에 용해시키고,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86 mg, 0.2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134 mg, 0.4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4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100 mg, 0.3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그리고,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100 mg, 0.3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S-2-피리디닐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티오에이트 (중간체 139, 50 mg, 0.1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추가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휘발성 물질을 제거하고, 잔류물을 컬럼으로서 10 g SNAP 실리카 카트리지, 및 용리액으로서 10:0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80
중간체 219
N1 -{2-[(4- 메틸 -3,4- 디하이드로 -2H- 크로멘 -5-일) 옥시 ]-5-피리미디닐}-D- 이소발린아미드
Figure pct00481
0 ℃에서 냉각된 건조 디클로로메탄 (5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메틸-1-[({2-[(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18, 100 mg, 0.219 mmol)의 용액에 TFA (1 mL, 12.98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에 이르게 하고, 그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DCM (10 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 수용액 (1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78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482
중간체 220
5-{[( 메틸옥시 ) 메틸 ] 옥시 }-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
Figure pct00483
-40℃에서 12.0 mL의 DCM 중의 2,4,6-트리클로로페놀 (307 mg, 1.557 mmol)의 용액에 헥산 중의 디에틸징크 1M 용액(1.557 mL, 1.557 mmol)을 첨가하였다. 그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CH2I2 (0.126 mL, 1.557 mmol)를 첨가하였다. 추가 15분 동안 교반한 후, 3.0 mL의 DCM 중에 용해된 4-메틸이덴-5-{[(메틸옥시)메틸]옥시}-3,4-디하이드로-2H-크로멘 (169 mg, 0.819 mmol)을 첨가하였다. 찬 배쓰를 제거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DCM으로 희석하고, 10% HCl 수용액으로 2 회, 이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2 회, Na2SO3 포화수용액으로 2 회, 그리고 염수 (2 회)로 세척하였다. 이후, 유기 층을 Na2OS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0 내지 95: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잔류물을 DCM 중에 용해시키고, KOH (30% 수용액)로 세척하였다(2 회).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4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84
중간체 221
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올
Figure pct00485
5-{[(메틸옥시)메틸]옥시}-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 (중간체 220, 145 mg, 0.658 mmol)을 MeOH (6.0 mL) 중에 용해시키고, 2N HCl 수용액 (0.494 mL, 0.9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한 후, MeOH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3회). 수집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4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86
중간체 222
2-(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5- 니트로피리미딘
Figure pct00487
DMF (3 ml) 중의 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올 (중간체 221, 63 mg, 0.358 mmol)의 용액에 K2CO3 (74.1 mg, 0.536 mmol) 및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86.0 mg, 0.53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DMF를 고진공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AcOEt (3 회)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9: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91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88
중간체 223
2-(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5-피리미딘아민
Figure pct00489
2-(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5-니트로피리미딘 (중간체 222, 91 mg, 0.304 mmol)을 2/1의 THF/물 용액 9.0 mL 중에 용해시켰다. 이후, 철 (85 mg, 1.52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81 mg, 1.52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AcOEt로 희석한 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고(AcOEt으로 세척), 유기 상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2회).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5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90
중간체 224
1,1-디메틸에틸 [(1R)-1-({[2-(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1- 메틸프로필 ]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91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의 (2R)-2-(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산 (105 mg, 0.483 mmol)의 용액에 DIPEA (0.101 mL, 0.579 mmol) 및 HATU (184 mg, 0.48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후, 이를 건조 DMF (0.5 mL) 중의 2-(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5-피리미딘아민 (중간체 223, 52 mg, 0.193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에서 밤새 가열한 후, 60℃로 가온시키고, 그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5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3x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톨루엔 내지 60:40의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92
중간체 225
N1 -[2-(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5-피리미디닐]-D- 이소발린아미드
Figure pct00493
0 ℃에서 냉각된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2-(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1-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24, 5 mg, 10.67 μmol)의 용액에 TFA (0.822 ㎕, 10.67 μ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 이르게 한 후, 휘발성 물질을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DCM (2 mL)으로 희석하고, NaHCO3 포화수용액 (7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 mg)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 이를 다음 단계에서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494
중간체 226
6-(1,1a,2,7 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크로멘-7- 일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495
8 mL 바이알에서 5-니트로-2-(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피리딘 (94.6 mg, 0.30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 (THF)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철 (84 mg, 1.498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80 mg, 1.498 mmol), 이어서, 물 (1.500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추가 철 (44 mg, 0.75 mmol) 및 암모늄 클로라이드 (40 mg, 0.7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mL의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수용액으로 켄칭시키고, 25 mL의 EtOAc로 희석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 상에서 여과하였다. 분별 깔때기에 의해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 DCM (3x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82.9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96
중간체 227
3차-부틸 N-[(1R)-1-[[6-(1,1a,2,7b- 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 -7-일옥시)-3- 피리딜 ] 카바모일 ]-1- 메틸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497
8 mL 바이알 튜브에서 6-(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딘아민 (중간체 226, 84 mg, 0.0305 mmol), (2R)-2-(3차-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메틸-부탄산 (59.7 mg, 0.275 mmol) 및 DIPEA (0.080 mL, 0.458 mmol)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F) (2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HATU (151 mg, 0.39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말에 걸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4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498
중간체 228
(2R)-N-[6-(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 일옥시 )-3-피리딜]-2-아미노-2- 메틸 - 부탄아미드
Figure pct00499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3차-부틸 N-[(1R)-1-[[6-(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딜]카바모일]-1-메틸-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227, 74 mg, 0.139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TFA (2 mL, 2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샘플을 2 g SCX 카트리지 상에 충전시켰다. 이후, 36 mL의 MeOH, 이어서, 25 mL의 MeOH 중의 암모니아 2M 용액으로 씻어냈다. 암모니아 용출액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6.2 mg)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00
실시예 1
(5 R )-3-[4-(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 일옥시 ) 페닐 ]-5- 메틸 -2,4- 이미다졸 리딘디온
Figure pct00501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N1-[4-(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페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7, 80 mg) 및 TEA (0.187 ml, 1.341 mmol)의 용액을 아르곤하에 0℃에서 교반하였다. 디클로로메탄 (4 ml) 중의 트리포스겐 (39.8 mg, 0.13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0 ℃에서 45분 동안 교반하에 두었다. 이후,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3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상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미정제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40:60 구배의 사이클로헥산/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여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FlashMasterPersonal)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58.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02
실시예 2
(5 R )-5- 메틸 -3-{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2,4- 이미다 졸리딘디온
Figure pct00503
N 1-{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14, 337 mg)를 8.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0.33 ml, 2.38 mmol), 이어서, 2.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트리포스겐 (161 mg, 0.5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DMAP (66 mg, 0.5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수용액으로 켄칭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였다. 합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0% 내지 0/100%의 cHex/EtOAc의 구배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160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04
실시예 3
(5 R )-3-{4-[(3,6-디메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5- 메틸 -2,4- 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05
N 1-{4-[(3,6-디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23, 54 mg)를 7.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켰다. 이후, 트리에틸아민 (0.051 ml, 0.37 mmol), 이어서, 2.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트리포스겐 (24.6 mg, 0.083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DMAP (10.1 mg, 0.08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수용액으로 켄칭시킨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0 내지 0/100의 구배의 cHex/EtOAc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1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06
실시예 4
5,5-디메틸-3-{4-[(3- 메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 페닐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07
2-메틸-N 1-{4-[(3-메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페닐}알라닌아미드 (중간체 25, 18 mg)를 4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에 용해시켰다. 이후, 트리에틸아민 (0.017 ml, 0.12 mmol), 이어서, 1.0 ml의 에틸 아세테이트 중의 트리포스겐 (8.21 mg, 0.02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한 후, DMAP (3.4 mg, 0.02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수용액으로 켄칭시킨후,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2회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용리액으로서 cHex/EtOAc (모두 100:0 내지 0:100)로 용리시켰다. 이에 의해서 1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08
실시예 5
(5 R )-5-에틸-3-{6-[(3-에틸-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피리디닐}-2,4-이 미다졸리딘 디온
Figure pct00509
(2R)-2-아미노-N-{6-[(3-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35)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TEA (0.004 ml, 0.03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0.1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1.3 mg, 4.49 ㎛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0.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소듐 설페이트의 첨가에 의해 물을 제거하였다. 유기 상을 피펫팅시키고, 증발시키고, 얻어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1/0 내지 7/3, 이후 7/3, 이후 7/3 내지 1/1, 1/1, 이후 1/1 내지 0/1)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 (1.3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10
실시예 6
(5 R )-5-에틸-3-(6-{[3-(1- 메틸에틸 )-1,2- 벤즈이속사졸 -4-일] 옥시 }-3- 피리디닐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11
(2R)-2-아미노-N-(6-{[3-(1-메틸에틸)-1,2-벤즈이속사졸-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44)를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TEA (3 ㎕, 0.02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트리포스겐 (0.6 mg, 1.98 ㎛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물을 소듐 설페이트의 첨가에 의해 제거하였다. 유기 상을 피펫팅시키고, 증발시키고,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Biotage SP1 system) 상에 충전시키고, cHex/EtOAc (모두 1/0 내지 7/3, 이후 7/3, 이후 7/3 내지 1/1, 이후 1/1, 이후 0/1)로 용리시켜 표제 화합물(1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12
실시예 7
(5 R )-3-{4-[(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 페닐 }-5- 메틸 -2,4-이 미다졸리딘 디온
Figure pct00513
디클로로메탄 (20 ml, SCRC) 중의 N 1-{4-[(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페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57, 66 mg)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 (0.085 ml, 0.607 mmol, SCRC)을 첨가하였다. 0℃에서 트리포스겐 (24.00 mg, 0.081 mmol, SCRC)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물 (20 ml)로 켄칭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 회 50 ml, SCRC)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용리액으로서 EtOAc/PE (1/30)로 실리카 겔 상에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0 mg)을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14
실시예 8
(5 R )-3-{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메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15
N 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61, 28 mg)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71.5 ㎕, 0.513 m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11.42 mg, 0.038 mmol, 1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됨) 중의 트리포스겐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고(4 ml),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4 회 추출하였다(4 x 5 ml).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 에틸아세테이트 구배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2 x 4g 실리카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17.5 mg)을 필름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16
실시예 9
(5 R )-3-{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에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17
N 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D-알라닌아미드 (중간체 61)를 (2R)-2-아미노-N-{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63, 57 mg)로 대체하면서 실시예 8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4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18
실시예 10
(5 R )-3-{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5-에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19
건조 디클로로메탄 (0.5 ml) 중의 (2R)-2-아미노-N-{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67, 3 mg)의 용액에 TEA (6.11 ㎕, 0.04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0.125 ml) 중의 트리포스겐 (1.170 mg, 3.94 ㎛ol)의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3 ml)로 켄칭시키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Isolute (1 g), 및 용리액으로서 99.5:0.5 내지 9:10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7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20
실시예 11
7-{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7-디아자스피로[3.4]옥탄-6,8- 디온
Figure pct00521
1-아미노-N-{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사이클로부탄카르복사미드 (중간체 70, 17mg)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1.8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39.48 ㎕, 0.283 mmol)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의 용액 0.89 ml를 적가하였다(0.0135 mg, 4.00mg).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0℃에서 10분 동안, 이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0℃에서 추가 0.25당량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 (0.26 M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실온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55/45의 사이클로헥산/ 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Companion system, 4g 실리카 카트리지)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1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22
실시예 12
6-{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4,6-디아자스피로 [2.4]헵탄 -5,7- 디온
Figure pct00523
1-아미노-N-{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사이클로부탄카르복사미드 (중간체 70)를 1-아미노-N-{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사이클로프로판카르복사미드 (중간체 73, 9 mg)로 대체하면서 실시예 11의 제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표제 화합물 (5 mg, 49% 수율)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524
실시예 13
3-{6-[(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5-디메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25
N1-{6-[(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메틸알라닌아미드 (중간체 75, 7.5 mg)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0℃에서 트리에틸아민 (18.37 ㎕, 0.132 m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의 용액 0.5 ml (0.012 mmol)를 적가하였다. 용액을 1 ml의 디클로로메탄 중에 용해된 7.18 mg의 트리포스겐으로 제조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0℃에서 10분 동안, 이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4 회 추출하였다.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100/0 내지 55/45의 구배의 사이클로헥산/ 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Companion system, 4g 실리카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4.5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26
실시예 14
(5 R )-3-{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5-(1,1-디메틸에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27
N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3-메틸-D-발린아미드 (중간체 78, 9.9 mg)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트리에틸아민 (22.35 ㎕, 0.16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 용액 0.5 ml (0.015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일부 물 (2 ml)을 첨가하고,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4회 추출하였다.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Companion system, 4g 실리카 카트리지)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7.7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28
실시예 15
(5 R )-5-에틸-3-[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29
건조 디클로로메탄 (15 ml) 중의 (2R)-2-아미노-N-[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89, 90 mg)의 용액에 TEA (0.185 ml, 1.326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5 mL) 중의 트리포스겐 (35.4 mg, 0.119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5 mg, 0.178 mmol)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30
실시예 16
5,5-디메틸-3-[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31
건조 디클로로메탄 (6 mL) 중의 2-메틸-N1-[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알라닌아미드 (중간체 91, 34 mg)의 용액에 TEA (0.070 mL, 0.50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2 mL) 중의 트리포스겐 (13.38 mg, 0.045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3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SNAP, 및 용리액으로서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32
실시예 17
(5 R )-5-에틸-5- 메틸 -3-[6-( 스피로 [1-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 일옥 시)-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33
0 ℃에서 건조 디클로로메탄 (11 ml) 중의 N1-[6-(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디닐]-D-이소발린아미드 (중간체 93, 68 mg) 및 TEA (0.134 mL, 0.962 mmol)의 용액에 건조 디클로로메탄 (3.14 ml) 중의 트리포스겐 (25.7 mg, 0.087 d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그에 따라 얻어진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교반하였다. 1시간 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3.14 ml) 중의 트리포스겐 (25.7 mg, 0.08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3시간 후, UPLC/MS는 출발 물질의 부재 및 요망되는 화합물의 존재를 나타냈다. 이후, 물을 첨가하고, 유기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디클로로메탄으로 다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염수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켜 87mg의 미정제물을 제공하였다. 이를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KP-Sil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CV에서 88/12 내지 0/10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47mg의 표제 화합물을 백색 포움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534
실시예 18
(5 R )-5-에틸-3-(6-{[(3 S/R )-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Figure pct00535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R)-2-아미노-N-{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102, 24.4 mg)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고, 이를 0℃에서 냉각시켰다. TEA (0.049 ml, 0.354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0.7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 (9.46 mg, 0.032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20분 후, 반응 혼합물을 5 ml의 물로 켄칭시키고, 5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수득하고, 이를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EtOAc (15 CV에서 2/1 내지 1/2; 이후 10 CV에 대해 1/2)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P1 system, 10g SNAP 실리카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20.2 mg)을 1:1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36
실시예 19 및 실시예 20
(5R)-5-에틸-3-{6-[(3- 메틸 -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1 및 2)
Figure pct00537
실시예 18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키랄 분취용 HPL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S-H (25 x 2 cm), 5㎛; 이동상: n-헥산/에탄올 70:30 부피%; 유량: 15 ml/min; UV: 220 nm; 샘플 제조: 20 mg을 1 ml의 헥산/에탄올 1:1 v/v 중에 용해; 샘플 농도: 20 mg/ml; 주입 부피: 1000 ㎕.
키랄 분석용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S-H (25 x 0.46 cm); 이동상: n-헥산/에탄올 70:30 부피%; 유량: 0.8 ml/min; DAD: 210-340 nm; CD: 240 nm.
이러한 키랄 분취용 HPLC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R)-5-에틸-3-{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7.1 mg)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1인 실시예 19.
Figure pct00538
(5R)-5-에틸-3-{6-[(3-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8.0 m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2인 실시예 20.
Figure pct00539
실시예 21
(5 R )-5-에틸-3-{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Figure pct00540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R)-2-아미노-N-{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110, 9 mg)를 디클로로메탄 (2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고, 이를 0℃에서 냉각시켰다. TEA (0.017 ml, 0.119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0.5 ml의 트리포스겐 용액(2ml의 디클로로메탄 중 14mg)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교반하였다. 20분 후, 반응을 완료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5 CV에서 2:1 내지 1:2; 이후 10 CV에 대해 1:2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를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5R)-5-에틸-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6.9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41
실시예 22 및 실시예 23
(5 R )-5-에틸-3-{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1 및 2)
Figure pct00542
실시예의 21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여 두 분획을 제공하였다.
키랄 분취용 HPL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D-H (25 x 2 cm) 5㎛; 이동상 n-헥산 /2-프로판올 85:15 부피%; 유량 (ml/min) 15; UV 검출 220 nm; 샘플 제조 4 mg을 2 ml의 메탄올/에탄올 50:50 부피% 중에 용해; 샘플 농도 2 mg/ml; 주입 부피 2000㎕(4 mg과 같음)
키랄 분석용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D-H (25 x 0.46 cm); 이동상: n-헥산/2-프로판올 85:15 부피%; 유량: 0.8 ml/min; DAD: 210-340 nm; CD: -.
키랄 분취용 HPLC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R)-5-에틸-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2.3 m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1인 실시예 22.
Figure pct00543
(5R)-5-에틸-3-{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2.6 mg)의 부분입체이성질체 2인 실시예 23.
Figure pct00544
실시예 24
5,5-디메틸-3-{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라세미 혼합물)
Figure pct00545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메틸-N1-{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알라닌아미드 (중간체 121, 72.6 mg)를 디클로로메탄 (5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TEA (0.142 ml, 1.02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냉각시켰다. 0℃에서 1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 (27.3 mg, 0.092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를 0℃에서 교반하였다. 15분 후, 추가의 1ml의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 (27.3 mg, 0.092 mmol)의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5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제공하였고, 이를 Biotage SP1 (용리액으로서 10 CV에서 3:1 내지 1:2; 이후 5 CV에 대해 1:2의 사이클로헥산/EtOAc; 10g SNAP 실리카 컬럼을 이용)를 통해 정제하였다. 수집된 분획으로부터 표제 화합물 5,5-디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41.6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46
실시예 25 및 실시예 26
5,5-디메틸-3-{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H-크로멘-5-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 거울상이성질체 1 및 거울상이성질체 2)
Figure pct00547
실시예 24의 거울상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키랄 분취용 HPL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D-H (25 x 2 cm), 5㎛; 이동상: n-헥산/에탄올 40/60 v/v; 유량: 15 ml/min; UV: 220 nm; 샘플 제조: 50 mg을 2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 1 ml의 n-헥산 첨가; 샘플 농도: 16.7 mg/ml; 주입 부피: 1000 ㎕.
키랄 분석용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AD-H (25 x 0.46 cm); 이동상: n-헥산/에탄올 40:60 부피%; 유량: 0.8 ml/min; DAD: 210-340 nm.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5-디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16.6 mg)의 거울상이성질체 1인 실시예 25.
Figure pct00548
5,5-디메틸-3-{6-[(3-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3-피리디닐}-2,4-이미다졸리딘디온 (17.0 mg)의 거울상이성질체 2인 실시예 26.
Figure pct00549
실시예 27
5,5-디메틸-3-{6-[(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일) 옥시 ]-3- 피리디닐 }-2,4- 이미다졸리딘디온 ( 라세미 혼합물)
Figure pct00550
건조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2-메틸-N1-{6-[(1a-메틸-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디닐}알라닌아미드 (중간체 129, 100 mg)의 용액에 TEA (0.177 ml, 1.27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이 때 건조 디클로로메탄 (2.5 ml) 중의 트리포스겐 (37.8 mg, 0.127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30분에 걸쳐),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물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8: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의 구배)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40mg, 0.103mmol)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51
실시예 28 및 실시예 29
5,5-디메틸-3-{6-[(1a- 메틸 -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7-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 거울상이성질체 1 및 거울상이 성질체 2)
Figure pct00552
실시예 27의 거울상이성질체 둘 모두를 반분취용 키랄 SFC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키랄 SF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k IC (25 x 2.1 cm); 이동상: 에탄올 + 0.1% I-프로필아민 20%; 유량: 45 ml/min; 압력: 120 바; UV: 220 nm;
30 mg의 실시예 27에 대한 이러한 반분취용 키랄 SFC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5,5-디메틸-3-{6-[(1a- 메틸 -1,1a,2,7b- 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7-일) 옥시 ]-3- 피리디닐 }-2,4- 이미다졸리딘디온 (12mg)의 거울상 이성질체 1인 실시예 28.
Figure pct00553
5,5-디메틸-3-{6-[(1a- 메틸 -1,1a,2,7b- 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7-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14mg)의 거울상이성질체 2인 실시예 29.
Figure pct00554
실시예 30
(5 R )-5-에틸-5- 메틸 -3-[6-(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옥시)-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55
건조 디클로로메탄 (8 mL) 중의 N1-[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디닐]-D-이소발린아미드 (중간체 141, 40 mg)의 용액에 TEA (0.076 mL, 0.54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4 ml) 중의 트리포스겐 (14.54 mg, 0.049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 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3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 (2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56
실시예 31
3-{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5,5-디메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57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3 mL) 중의 N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2-메틸알라닌아미드 (중간체 143, 18 mg, 0.053 mmol)의 용액에 TEA (0.037 ml, 0.26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트리포스겐 (7.02 mg, 0.024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온도가 r.t.에 이르게 하였다. 반응물을 물 (3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8:2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3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58
실시예 32
(5 R )-3-{2-[(3,3-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5-(1- 메틸에틸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59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5 mL) 중의 N1-{2-[(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D-발린아미드 (중간체 145, 38 mg, 0.107 mmol)의 용액에 TEA (0.074 mL, 0.53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1 mL) 중의 트리포스겐 (14.24 mg, 0.048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3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8:2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60
실시예 33
(5 R )-3-{6-[(2,2-디메틸-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에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61
((2R)-2-아미노-N-{6-[(2,2-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209, 10 mg, 0.029 mmol)를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아이스 배쓰에서 냉각시켰다. 0℃에서 트리에틸아민 (0.024 ml, 0.176 mmol)을 첨가하였다. 이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중의 트리포스겐의 용액 0.5 ml (4.78 mg, 0.5 ml 중의 0.016 mmol)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였다(3 ml). 수성 층을 디클로로메탄으로 4회 추출하였다(4 x 4 mL).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4g 실리카 카트리지,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62
실시예 34
5,5-디메틸-3-[6-(1 H - 스피로 [2- 벤조피란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63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5 mL) 중의 2-메틸-N1-[6-(1H-스피로[2-벤조피란-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3-피리디닐]알라닌아미드 (34 mg, 0.096 mmol)의 용액에 TEA (0.067 mL, 0.48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2 mL) 중의 트리포스겐 (12.85 mg, 0.043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5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99:1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 내지 95:5의 디클로로메탄/메탄올을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5 mg) 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64
실시예 35
(5 R )-3-[2-(2,3- 디하이드로스피로 [ 크로멘 -4,1'-사이클로프로판]-5- 일옥시 )-5-피리미디닐]-5-에틸-5- 메틸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65
건조 디클로로메탄 (1 mL) 중의 N1-[2-(2,3-디하이드로스피로[크로멘-4,1'-사이클로프로판]-5-일옥시)-5-피리미디닐]-D-이소발린아미드 (중간체 225, 4 mg, 10.86 μmol)의 용액에 TEA (3.78 ㎕, 0.02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아이스-배쓰에서 냉각시킨 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0.250 mL) 중의 트리포스겐 (1.450 mg, 4.89 μmol)의 용액을 1회 첨가한 후, 이 사이에 추가 2회를 10분 동안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0 ℃에서 40분 동안 교반한 후, 반응물을 아이스-배쓰에서 유지하면서 물 (5 mL)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Isolute 2 g, 및 용리액으로서 사이클로헥산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3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66
실시예 36, 실시예 37 및 실시예 38
5,5-디메틸-3-{6-[(4- 메틸 -3,4- 디하이드로 -2 H - 크로멘 -5-일) 옥시 ]-3- 피리디닐 }-2,4- 이미다졸리딘디온 ( 라세미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 1, 거울상이성질체 2)
Figure pct00567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아미노-2-메틸-N-[6-(4-메틸크로만-5-일)옥시-3-피리딜]프로판아미드 (중간체 215, 22.9 mg, 0.064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TEA (0.051 mL, 0.369 mmol)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켰다. 트리포스겐 (21.87 mg, 0.074 mmol)을 1ml의 DCM 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0 ℃에서 1ml의 DCM 중에 용해된 추가의 TEA (0.051 mL, 0.369 mmol) 및 트리포스겐 (21.87 mg, 0.074 mmo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mL의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 용액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DCM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상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2: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36 (19.1 m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68
실시예 36의 거울상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키랄 분취용 HPL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cel OD-H (25 x 2 cm), 5㎛; 이동상: n-헥산/2-프로판올 85:15 부피%; 유량: 18 ml/min; UV: 220 nm; 샘플 제조: 18 mg을 1.2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 샘플 농도: 15 mg/ml; 주입 부피: 600 ㎕.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7: 7.1 mg의 백색 고형물(거울상이성질체 1); Rt (키랄 분취용 HPLC ) = 21.018 분
Figure pct00569
실시예 38: 6.9 mg의 백색 고형물 (거울상이성질체 2); Rt (키랄 분취용 HPLC ) = 25.752 분
Figure pct00570
실시예 39, 실시예 40 및 실시예 41
(5 R )-5-에틸-5- 메틸 -3-{6-[(3- 메틸 -3,4- 디하이드로 -2 H -크로멘-5-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Figure pct00571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R)-2-아미노-2-메틸-N-[6-(3-메틸크로만-5-일)옥시-3-피리딜]부탄아미드 (중간체 147, 33 mg, 0.088 mmol)를 디클로로메탄 (5 mL) 중에 용해시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켰다. TEA (0.061 mL, 0.441 mmol) 및 트리포스겐 (26.2 mg, 0.08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5 mL)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39 (26.8 mg)를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72
실시예 39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모두를 반분취용 키랄 SFC에 의해 분리하였다.
반분취용 키랄 SF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ck AD-H (25 x 3 cm), 5㎛; 조절제 (메탄올 + 0.1% 이소프로필아민) 20 %; 유량 50 ml/min; 압력 120 바; 온도 38℃; UV 검출 220 nm; 루프 750 ㎕; 주입 13 mg (메탄올).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0: 5.9mg (부분입체이성질체 1); Rt (반분취용 키랄 SFC ) = 13.48 분
Figure pct00573
실시예 41: 6.6 mg (부분입체이성질체 1); Rt (반분취용 키랄 SFC ) = 15.23 분
Figure pct00574
실시예 42 실시예 43 및 실시예 44
(5 R )-5-에틸-5- 메틸 -3-[6-(1,1a,2,7b- 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 c ]크로멘 -7- 일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Figure pct00575
25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2R)-N-[6-(1,1a,2,7b-테트라하이드로사이클로프로파[c]크로멘-7-일옥시)-3-피리딜]-2-아미노-2-메틸-부탄아미드 (중간체 228, 33 mg, 0.088 mmol)를 디클로로메탄 (5 mL) 중에 용해시켜서 무색 용액을 제공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냉각시켰다. TEA (0.091 mL, 0.66 mmol) 및 트리포스겐 (39 mg, 0.131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소듐 바이카르보네이트 포화수용액 (5 mL)으로 켄칭시키고, 10 mL의 디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였다. 상을 상 분리 카트리지를 통해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3: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42 (42.6 mg)를 옅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76
실시예 42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분취용 HPLC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ck AD-H (25 x 3 cm), 5㎛; 이동상: n-헥산/2-프로판올 90/10 부피%; 유량: 40 ml/min; UV: 220 nm; 샘플 제조: 41 mg을 4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 샘플 농도: 10.3 mg/ml; 주입 부피: 2000 ㎕.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3: 백색 고형물로서 14.1mg (부분입체이성질체 1); Rt (키랄 분취용 HPLC ) = 17.95 분
Figure pct00577
실시예 44: 백색 고형물로서 15 mg (부분입체이성질체 2); Rt (키랄 분취용 HPLC) = 21.99 분
Figure pct00578
실시예 45, 실시예 46 및 실시예 47
3-{6-[(3-에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 피리디닐 }-5,5-디메틸-2,4- 이미다졸리딘디온 ( 라세미 혼합물, 거울상이성질체 1, 거울상이성질체 2)
Figure pct00579
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N1-{6-[(3-에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2-메틸알라닌아미드 (중간체 149, 17.2 mg, 0.050 mmol)를 디클로로메탄 (3 mL) 중에 용해시켜 옅은 황색 용액을 제공하였고, 이를 0 ℃에서 냉각시켰다. TEA (0.035 mL, 0.252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디클로로메탄 (0.5 ml) 중의 트리포스겐 (6.43mg, 0.023 mmol)의 용액을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컬럼 SNAP 10g, 및 용리액으로서 2:1 내지 1:2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실시예 45 (15.3 mg)를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80
실시예 45의 거울상이성질체 둘 모두를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였다.
키랄 분취용 HPL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ck AD-H (25 x 2 cm), 5㎛; 이동상: n-헥산/2-프로판올 85:15 부피%; 유량: 18 ml/min; UV: 220 nm; 샘플 제조: 15 mg을 1.0 ml의 에탄올 중에 용해(샘플에는 완전한 용해를 위하여 몇 방울의 메탄올이 필요함); 샘플 농도: 15 mg/ml; 주입 부피: 1000 ㎕.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6: 5.6 mg (거울상이성질체 1); Rt (키랄 분취용 HPLC ) = 9.877 분
Figure pct00581
실시예 47: 5.5 mg (거울상이성질체 2); Rt (키랄 분취용 HPLC ) = 13.203 분
Figure pct00582
실시예 48, 실시예 49 및 실시예 50
(5R)-5-에틸-5- 메틸 -3-[2-(4- 메틸크로만 -5-일) 옥시피리미딘 -5-일]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이성질체 1, 부분입체이성질체 2)
Figure pct00583
건조 디클로로메탄 (4 mL) 중의 N1-{2-[(4-메틸-3,4-디하이드로-2H-크로멘-5-일)옥시]-5-피리미디닐}-디소발린아미드 (중간체 219, 78 mg, 0.219 mmol)의 용액에 TEA (0.076 mL, 0.54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킨 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1.0 mL) 중의 트리포스겐 (29.2 mg, 0.098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후, 아이스-배쓰에서 유지하고, 물 (10 mL)로 켄칭시켰다. 유기 층을 수집하고, 수성 상을 DCM (2x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컬럼 SNAP 25g, 및 용리액으로서 8:2 내지 1:1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6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84
실시예 48의 부분입체이성질체 둘 모두를 반분취용 키랄 SFC에 의해 분리하였다.
반분취용 키랄 SFC 조건은 하기 조건이었다.
컬럼 Chiralpack AD-H (25 x 0.46 cm), 5㎛; 개질제 (에탄올 + 0.1% 이소프로필아민) 20%; 유량 2.5 ml/min; 압력 120 바; 온도 38℃; UV 검출 210 내지 340 nm.
이러한 분취용 키랄 크로마토그래피로부터 하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9: 백색 고형물로서 24 mg (부분입체이성질체 1); Rt (키랄 분취용 SFC) = 7.583 min
Figure pct00585
실시예 50: 백색 고형물로서 25 mg (부분입체이성질체 2); Rt (키랄 분취용 SFC) = 10.156 min
Figure pct00586
실시예 51
(5R)-5-에틸-5- 메틸 -3-[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미딘 -5-일]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587
건조 DMF (1ml) 중의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6, 18 mg, 0.1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7.6 mg, 0.2 mmol), 이후, (5R)-3-(2-클로로피리미딘-5-일)-5-에틸-5-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중간체 165, 20 mg, 0.08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1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88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2)을 적절한 페놀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589
Figure pct00590
Figure pct00591
실시예 58
5,5-디메틸-3-[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피리미딘 -5-일]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592
건조 DMF (1ml) 중의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6, 18 mg, 0.1 mmol)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27.6 mg, 0.2 mmol), 이후, 3-(2-클로로피리미딘-5-일)-5,5-디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중간체 166, 20 mg, 0.08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물 (1ml)로 켄칭시키고, 염수 (5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1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3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3:7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mg)을 밝은 베이지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93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중간체 152)을 적절한 페놀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594
실시예 61
(5R)-5-에틸-3-[2-(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시피리미딘-5-일]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595
건조 DCM (3ml) 중의 (2R)-2-아미노-N-[2-(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미딘-5-일]부탄아미드 (중간체 164, 24mg, 0.068mmol)의 용액에 TEA (0.028ml, 0.2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건조 DCM (1.5ml) 중의 트리포스겐 (15mg, 0.05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25:7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96
실시예 62
(5R)-5-에틸-3-[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시-3-피리딜]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597
건조 DCM (5ml) 중의 (2R)-2-아미노-N-[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3-피리딜]부탄아미드 (중간체 160, 40mg, 0.11mmol)의 용액에 TEA (0.042ml, 0.3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건조 DCM (3ml) 중의 트리포스겐 (23.7mg, 0.08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25:7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2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598
실시예 63
(5R)-5-에틸-3-{6-[(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599
(2R)-2-아미노-N-{6-[(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중간체 188, 300 mg, 0.84 mmol)를 에틸 아세테이트 (6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0.47 ml, 3.36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6 mL) 중의 트리포스겐 (100mg, 0.34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첨가 종료 시에, 혼합물을 NaHCO3 포화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왁스형 고형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70:3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6mg)을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00
실시예 64
(5R)-5-에틸-3-{2-[(3,3,7- 트리메틸 -2,3- 디하이드로 -1- 벤조푸란 -4-일) 옥시 ]-5-피리미디닐}-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601
1,1-디메틸에틸 {(1R)-1-[({2-[(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일)옥시]-5-피리미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중간체 191, 213 mg, 0.47 mmol)를 이소프로판올 중의 HCl 5 내지 6 N (1 mL)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35℃로 30분 동안 가열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50 mL) 및 5% K2CO3 수용액 (30 mL)으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 수용액으로 세척하고(30 mL),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생성된 미정제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23 mL, 1.6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5 ℃로 냉각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 mL) 중의 트리포스겐 (55 mg, 0.185 mmol)의 용액을 10분내에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물 (5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61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02
실시예 65
(5R)-5-에틸-5- 메틸 -3-[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3- 피리딜 ]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603
질소 분위기 하에 0℃에서 건조 DCM (1ml) 중의 트리포스겐 (30 mg, 0.1mmol)의 용액에 DIPEA (0.175 ml, 1.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건조 DCM (2ml) 중의 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158, 27 mg, 0.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서서히 첨가),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건조 DCM (2ml) 중의 메틸 (R)-2-아미노-2-메틸-부티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3mg, 0.2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M HCl 수용액 (5ml)으로 켄칭시키고, DCM (10ml)으로 희석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우레아 중간체를 황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우레아를 MeOH (5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 (10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수용액 (20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40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25:7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9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154)을 적절한 아닐린으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605
실시예 68
(5R)-5-에틸-5- 메틸 -3-[6-[(2,4,4- 트리메틸 -3,1- 벤즈옥사진 -5-일) 옥시 ]-3- 피리딜 ]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606
0 ℃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2.5 mL) 중의 (2R)-2-아미노-2-메틸-N-[6-[(2,4,4-트리메틸-3,1-벤즈옥사진-5-일)옥시]-3-피리딜]부탄아미드 (중간체 205, 143 mg, 0.37 mmol) 및 TEA (0.21 mL)의 용액에 에틸 아세테이트 (2.5 mL) 중에 용해된 트리포스겐 (44 mg, 0.15 mmol)을 10분 내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5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희석하였다. 상들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2 x 10 mL)로 역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 (1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15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07
실시예 69
(5R)-3-{6-[(3,3-디메틸-1,3- 디하이드로 -2- 벤조푸란 -4-일) 옥시 ]-3-피리디닐}-5-에틸-5- 메틸 -2,4- 이미다졸리딘디온
Figure pct00608
3,3-디메틸-1,3-디하이드로-2-벤조푸란-4-올 (중간체 193, 68 mg, 0.4 mmol) 및 (5R)-3-(6-클로로피리딘-3-일)-5-에틸-5-메틸이미다졸리딘-2,4-디온 (중간체 194, 126 mg, 0.48 mmol)을 DMF (1.0 mL) 중에 용해시키고, K2CO3 (143 mg, 1.0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30℃로 40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 (25 mL)로 희석한 후,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0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09
실시예 70
5,5-디메틸-3-[6-(7- 메틸스피로 [2H- 벤조푸란 -3,1'-사이클로프로판]-4-일) 옥시 -3- 피리딜 ] 이미다졸리딘 -2,4- 디온
Figure pct00610
질소 분위기 하에 0℃에서 건조 DCM (1ml) 중의 트리포스겐 (30 mg, 0.1mmol)의 용액에 DIPEA (0.175 ml, 1.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건조 DCM (2ml) 중의 6-(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일)옥시피리딘-3-아민 (중간체 158, 27 mg, 0.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서서히 첨가),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건조 DCM (2ml) 중의 메틸 2-아미노-2-메틸프로파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0mg, 0.2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1M HCl 수용액 (5ml)으로 켄칭시키고, DCM (10ml)으로 희석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1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우레아 중간체를 황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우레아를 MeOH (5ml) 중에 용해시키고, NaOMe (10mg, 0.19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수용액 (20ml)으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40ml)로 희석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75:25 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25:7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3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11
하기 참조 중간체 및 실시예는 검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의 제조를 기재한 것이다.
참조 중간체 R1
4- 메틸 -3-( 메틸옥시 )아닐린
Figure pct00612
메탄올 (50 mL) 중의 1-메틸-2-(메틸옥시)-4-니트로벤젠 (2.5 g, 14.96 mmol)의 용액에 Ni-레이니(Ni-Raney) (~2 g)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 (1 atm)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50 g)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6 g)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13
참조 중간체 R2
4- 메틸 -3-( 메틸옥시 )페놀
Figure pct00614
0℃에서 물 (100 mL)/H2SO4 (30 mL, 563 mmol) 중의 4-메틸-3-(메틸옥시)아닐린 (참조 중간체 R1, 1.86 g)의 현탁액에 물 (10 mL) 중의 소듐 니트라이트 용액 (1.029 g, 14.91 mmol)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사전 가열된 물 (80 mL) 중의 H2SO4 98% 용액 (20 mL)에 서서히 첨가하고, 이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Et2O (2x200mL)로 추출하고,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1.86 g)을 적색/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15
참조 중간체 R3
2-{[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5- 니트로피리딘
Figure pct00616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 mL) 중의 4-메틸-3-(메틸옥시)페놀 (참조 중간체 R2, 400 mg)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1200 mg, 8.69 mmol), 이후,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551 mg, 3.4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5℃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0 mL)로 켄칭시키고, 염수 (2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3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빙냉 염수 (2 회 30 mL)로 세척하고,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0 내지 8/2의 구배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100 g SNAP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570 mg)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17
참조 중간체 R4
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 피리딘아민
Figure pct00618
테트라하이드로푸란 (25 mL)/물 (12.50 mL) 중의 2-{[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5-니트로피리딘 (참조 중간체 R3, 568 mg)의 용액에 철 (609 mg, 10.91 mmol), 이후, 암모늄 클로라이드 (584 mg, 10.91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용액을 Na2CO3 포화수용액(5 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 회 40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8/2 내지 1/1의 구배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50g SNAP 컬럼)에 의해 정제하였다.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465 mg)을 밝은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19
참조 중간체 R5
1,1-디메틸에틸 ((1R)-1-{[(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620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2 mL) 중의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106 mg, 0.521 mmol)의 용액에 DIPEA (0.152 mL, 0.869 mmol), 이후, TBTU (181 mg, 0.56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딘아민 (참조 중간체 R4, 100 mg)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1 mL)로 켄칭시키고, 염수 (1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 회 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70/30의 구배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10g SNAP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8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21
참조 중간체 R6
(2R)-2-아미노-N-(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피리디닐) 부탄아미
Figure pct00622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6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참조 중간체 R5, 175 mg)의 용액에 TFA (2 mL, 26.0 mmol)를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 및 과량의 TFA를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SCX 카트리지 (5 g)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22 mg)을 무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23
참조 중간체 R7
1,1-디메틸에틸 ((1 R )-1- 메틸 -1-{[(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624
건조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의 N-{[(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D-이소발린 (94 mg, 0.434 mmol)의 용액에 DIPEA (0.114 mL, 0.651 mmol) 및 HATU (165 mg, 0.434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딘아민 (참조 중간체 R4, 50 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혼합물을 50℃로 가열하고, 그 온도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그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염수 (2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3x2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100/0 내지 60/4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Biotage system)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5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25
참조 중간체 R8
N 1 -(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 피리디닐 )-D- 이소발린아미드
Figure pct00626
0℃로 냉각된 건조 디클로로메탄 (3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메틸-1-{[(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참조 중간체 R7, 65 mg)의 용액에 TFA (0.700 mL, 9.08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그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0 ℃에서 첨가된 NaHCO3 포화수용액(20 mL)으로 켄칭시키고, 디클로로메탄 (3x7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44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참조 중간체 R9
3-(1,1-디메틸에틸)-4- 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pct00627
2-(1,1-디메틸에틸)페놀 (10 g, 66.67 mmol)을 40 mL의 MeOH 중에 용해시키고, 40 mL의 물 중에 용해된 NaOH (40 g, 1 mol)를 적가하였다. 이후, 60℃에서 40 mL의 CHCl3를 첨가하였다(1시간의 과정 동안).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4M HCl을 용액의 pH가 5 내지 6에 이를 때까지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DCM (3회)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80:20 사이클로헥산/EtOAc, 이후 80:20에서 지속)로 용리시켜 766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28
참조 중간체 R10
3-(1,1-디메틸에틸)-4- 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Figure pct00629
3-(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 (참조 중간체 R9, 550 mg) 및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322 mg, 4.63 mmol)를 8.0 mL의 아세트산 중에서 환류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0℃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Et2O 중에 붓고, 물로 1회, 그리고 NaOH (5% 수용액)로 1회 세척하였다. 수집된 수성 상을 Et2O (2회)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펜탄으로 분쇄하여 540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30
참조 중간체 R11
4- 하이드록시 -2- 아이오도벤조니트릴
Figure pct00631
건조 아세토니트릴 (100 mL) 중의 2-플루오로-4-아이오도벤조니트릴 (5.0 g, 20.24 mmol)의 용액에 포타슘 트리메틸실라놀레이트 (1.18 g)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100 mL) 중에 용해시키고, 수성 pH 3 완충 용액을 pH ~5까지 첨가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Na2SO4), 여과하고,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 (4.90 g)을 갈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32
참조 중간체 R12
4- 하이드록시 -2-[( 트리플루오로메틸 ) 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33
두 반응을 동시에 수행한 후(A 및 B), 두 반응 혼합물들을 조합하여 후처리 및 정제를 수행하였다.
반응 A: 1,2-디클로로에탄 (1 mL) 중의 4-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니트릴 (50 mg, 0.23 mmol)의 용액에 DCM (0.69 mL, 0.69 mmol) 중의 1M BBr3 용액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5회 교반하는데(설정 파라미터: T= 100℃, t= 1 시간), 매회 추가의 DCM (1 mL) 중의 1M BBr3 용액을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사용된 DCM 중의 1M BBr3 용액의 총량은 4.69 mL였다.
반응 B: 바이알에 4-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톡시)벤조니트릴 (750 mg, 3.45 mmol), 1,2-디클로로에탄 (5 mL), 이후, DCM (10.36 mL, 10.36 mmol) 중의 1M BBr3 용액을 적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설정 T= 100℃). 반응 혼합물에 추가의 DCM (1 mL) 중의 1M BBr3 용액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3회 이상 교반하는데(설정 파라미터: T= 100℃, t= 1시간 30분), 매회 추가의 DCM (0.8 mL) 중의 1M BBr3 용액을 3회 첨가하면서 교반하였다. 사용된 DCM 중의 1M BBr3 용액의 총량은 13.76 mL였다.
두 반응 혼합물 A와 B를 NaHCO3 포화수용액에 적가하고, 고형 NaHCO3의 첨가에 의해 pH를 7로 조절하였다. 두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DCM (1x), 그리고 EtOAc (2x)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켜 미반응된 출발 물질(1.48 g)과의 혼합물 중의 표제 화합물을 검정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이러한 혼합물을 다음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Figure pct00634
참조 중간체 R13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35
DMF (2 mL) 중의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70 mg, 0.44 mmol), 4-하이드록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91 mg, 0.49 mmol), K2CO3 (92 mg, 0.66 mmol)의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 (4 mL)을 첨가하고, 침전물을 형성시켰다. 고형물을 여과해 내고, MeOH으로 분쇄하여 표제 화합물 (85 mg)을 갈색을 띤 고형물로서 제공하였다.
Figure pct00636
적합한 온도에서, 임의로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적절한 할로 니트로아릴, 예컨대,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2-클로로-5-니트로피리미딘, 1-플루오로-4-니트로벤젠 등을 적절하게 치환된 페놀과 반응시키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일부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Silica;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637
Figure pct00638
참조 중간체 R18
2- 사이클로프로필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39
유기금속 용액의 제조: r.t.에서 THF (9 mL) 중의 0.5M ZnCl2 용액에 THF (9 mL) 중의 0.5M 사이클로프로필 마그네슘 브로마이드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60℃에서 가온된, 2-아이오도-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16, 550 mg) 및 Pd(tBu3P)2 (76 mg, 0.15 mmol)의 용액에 앞서 형성된 6 mL의 유기금속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추가의 6 mL의 유기금속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1 mL)로 켄칭시키고, 암모늄 클로라이드 포화수용액 (20 mL)으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5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염수 (2x2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0 내지 80:20의 n-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SNAP 50 g)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40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40
사이클로프로필 마그네슘 브로마이드를 오가노징크 시약을 형성시키는 적절한 그리나르(Grignard) 시약으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00641
참조 중간체 R20
3- 사이클로프로필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42
바이알에서 3-브로모-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14, 800 mg)을 16.0 mL의 톨루엔 중에 용해시켰다. 사이클로프로필보론산 (1073.8 mg, 12.5 mmol), 이어서, Pd(OAc)2 (56.1 mg, 0.25 mmol) 및 (Cy)3P (70.0 mg 0.25 mmol)를 첨가하였다. 이후, K3PO4 (1855.0 mg, 8.75 mmol) 수용액 (8.0 mL의 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r.t.로 냉각시킨 후, 혼합물을 염수와 EtOAc 사이에 분배하고, 분리하고, 수성 상을 EtOAc (3회)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80:20의 사이클로헥산/EtOAc)으로 용리시켜 634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43
참조 중간체 R21
2-(1- 메틸에테닐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44
DMF (50 mL) 중의 2-아이오도-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16, 5.0 g)의 용액에 K3PO4 (5.77 g, 27.24 mmol), Pd(tBu3)2 (696 mg, 1.36 mmol) 및 4,4,5,5-테트라메틸-2-(1-메틸에테닐)-1,3,2-디옥사보로란 (3.84 mL, 20.43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10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3x10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빙냉 염수 (3x50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0 내지 80:2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SNAP 100 g)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8 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45
참조 중간체 R22
2-[(1- 메틸에틸 ) 옥시 ]-4-[(5-니트로-2- 피리디닐 ) 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46
바이알에서 2,4-디하이드록시벤조니트릴 (300 mg, 2.2 mmol), 2-클로로-5-니트로피리딘 (351.96 mg, 2.22 mmol) 및 K2CO3 (920 mg, 6.62 mmol)를 DMF (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물을 마이크로파 복사하에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설정 온도: 110℃). 반응 혼합물을 Et2O 및 물로 희석하고, pH= 2가 될 때까지 수성 1N HCl로산성화시키고,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고형물을 여과해 내고, 용매를 제거하여 미정제물 2-하이드록시-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벤조니트릴 (664 mg)을 갈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건조 DMF (5 mL) 중의 이러한 미정제물의 용액에 포타슘 카르보네이트 (460 mg, 3.33 mmol) 및 이소프로필 브로마이드 (313 ㎕, 3.3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염수 (10 mL)로 희석하고, 에틸 아세테이트 (2x20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Na2SO4),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100:0 내지 75:25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SNAP 25 g)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260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47
참조 중간체 R23
4-[(5-아미노-2- 피리디닐 ) 옥시 ]-3-( 트리플루오로메틸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48
실온에서 THF (3 mL) / 물 (1.5 mL) 중의 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13, 83 mg)의 용액에 철 (75 mg, 1.34 mmol) 및 NH4Cl (72 mg, 1.34 mmol)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EtOAc 및 물로 세척하면서 작은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했다. 여과된 혼합물에 NaHCO3 포화수용액을 첨가하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상을EtOAc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상을 건조시키고, 증발 건조시켰다. 미정제물을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 (companion system, 2 x 12 g Si 카트리지, 100:0 내지 70:30의 사이클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72 mg)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49
4-[(5-니트로-2-피리디닐)옥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13)을 적절한 니트로 유도체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일부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또는 NH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일부 경우에, 일반적인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전에 SCX (MeOH, 이후, MeOH 중의 2M 암모니아 용액)에 의해 정제를 수행하였다.
Figure pct00650
Figure pct00651
Figure pct00652
참조 중간체 R30
1,1-디메틸에틸 {(1 R )-1-[({6-[(4- 시아노 -2- 사이클로프로필페닐 ) 옥시 ]-3- 피리디닐 }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653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 (121.4 mg, 0.60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1 mL) 중에 용해시켰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26 mL, 0.72 mmol) 및 O-(7-아자벤조트리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우로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227.2 mg, 0.6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4-[(5-아미노-2-피리디닐)옥시]-3-사이클로프로필벤조니트릴 (참조 중간체 R24, 100 mg)을 1.0 mL의 DMF 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가열하였다. r.t.로 냉각시킨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증발시키고, 얻어진 미정제물을 실리카 겔 컬럼 상에 충전시키고, 사이클로헥산/EtOAc (100: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EtOAc, 이후, 50:50에서 지속)로 용리시켜 133 mg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54
(2R)-2-({[(1,1-디메틸에틸)옥시]카르보닐}아미노)부탄산을 적절한 아미노산으로, 그리고 4-[(5-아미노-2-피리디닐)옥시]-3-사이클로프로필벤조니트릴 (중간체 165)을 적절한 아닐린으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r.t. 내지 고온 범위의 적합한 온도에서 반응을 수행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에 의해 정제하였다.
Figure pct00655
Figure pct00656
Figure pct00657
Figure pct00658
참조 중간체 R36
1,1-디메틸에틸 ((1R)-1-{[(6-{[4-시아노-3-(1- 메틸에틸 ) 페닐 ] 옥시 }-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 }프로필 )카르바메이트
Figure pct00659
MeOH (10 mL) 중의 1,1-디메틸에틸 ((1R)-1-{[(6-{[4-시아노-3-(1-메틸에테닐)페닐]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참조 중간체 R32, 73 mg)의 용액에 활성 탄소 상 10중량% Pd (14 mg)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H2 분위기 (P= 1 atm)하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촉매를 여과해 내고,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75:25 내지 40:6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는 실리카 겔 (SNAP 10 g)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62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60
참조 중간체 R37
(2 R )-2-아미노- N -{6-[(4- 시아노 -2- 사이클로프로필페닐 ) 옥시 ]-3- 피리디닐 } 부탄아미드
Figure pct00661
1,1-디메틸에틸 {(1R)-1-[({6-[(4-시아노-2-사이클로프로필페닐)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참조 중간체 R30, 133 mg)를 DCM (6 mL) 중에 용해시키고, 0 ℃에서, TFA (3.0 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얻어진 미정제물을 SCX 카트리지 상에서 충전시키고, MeOH, 이후, MeOH 중의 2M NH3로 용리시켜 102 mg 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62
1,1-디메틸에틸 {(1R)-1-[({6-[(4-시아노-2-사이클로프로필페닐)옥시]-3-피리디닐}아미노)카르보닐]프로필}카르바메이트 (참조 중간체 R30)를 적절한 N-BOC 보호된 아민으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SCX (MeOH, 이어서, MeOH 중의 2M 암모니아 용액)에 의해 정제하고, 암모니아로 용출된 생성물 함유하는 분획을 농축시켜 유리-염기를 제공하였다. 대안적으로, 휘발성 물질을 제거한 후, 적절한 유기 용매로 처리된 미정제물에 NaHCO3 포화 수용액을 첨가하고, 두 상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켜 최종 화합물을 유리-염기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63
Figure pct00664
Figure pct00665
참조 실시예 RE1
(5 R )-5-에틸-3-(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피리디닐)-2,4- 이미다 졸리딘디온
Figure pct00666
방법 A
건조 디클로로메탄 (8 mL) 중의 (2R)-2-아미노-N-(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디닐)부탄아미드 (참조 중간체 R6, 120 mg)의 용액에 TEA (0.265 mL, 1.903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였다.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2 mL) 중의 트리포스겐 (50.8 mg, 0.171 mmol)의 용액을 서서히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 (2 mL)로 켄칭시키고, 두 상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용리액으로서 80/2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구배로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Biotage system, 10g SNAP 컬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108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67
참조 실시예 RE2
(5 R )-5-에틸-5- 메틸 -3-(6-{[4- 메틸 -3-( 메틸옥시 ) 페닐 ] 옥시 }-3-피리디닐)-2,4-이 미다졸리딘 디온
Figure pct00668
건조 디클로로메탄 (6 mL) 중의 N1-(6-{[4-메틸-3-(메틸옥시)페닐]옥시}-3-피리디닐)-D-이소발린아미드 (참조 중간체 R8 42 mg)의 용액에 TEA (0.089 mL, 0.63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 ℃로 냉각시키고, 건조 디클로로메탄 (1.500 mL) 중의 트리포스겐 (17.03 mg, 0.057 mmol)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그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한 후, 건조 디클로로메탄 (DCM) (1.500 mL) 중의 트리포스겐 (17.03 mg, 0.057 mmol)의 용액을 다시 적가하였다. 반응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아이스-배쓰에서 유지하고, 물 (10 mL)로 켄칭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 이르게 한 후, 디클로로메탄 (3x7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소듐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10g SNAP 컬럼, 및 용리액으로서 80/2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Biotage system)를 이용하는 실리카 겔 상의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이에 의해서 표제 화합물(24 mg)을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ct00669
참조 실시예 RE3 내지 RE8 를 위한 방법
4-{[4-(4,4-디메틸-2,5- 디옥소 -1- 이미다졸리디닐 ) 페닐 ] 옥시 }-2-( 메틸옥시 ) 벤조니트릴
Figure pct00670
N1-(4-{[4-시아노-3-(메틸옥시)페닐]옥시}페닐)-2-메틸알라닌아미드 (77.0 mg)를 DCM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 (0.218 mL, 1.57 mmol)을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비스(트리클로로메틸) 카르보네이트 (68.1 mg, 0.22 mmol)를 5 mL의 DCM 중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에서 교반하였다. 15분 후,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증발시켜 미정제물을 얻고, 이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 (10 CV에서 100:0 내지 50:50의 사이클로헥산/EtOAc; 이후 10 CV에 대해 50:50의 사이클로헥산/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5.1 mg의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형물로서 얻었다.
Figure pct00671
N1-(4-{[4-시아노-3-(메틸옥시)페닐]옥시}페닐)-2-메틸알라닌아미드를 적절한 아민으로 대체하면서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하기 화합물을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플래시-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실리카 카트리지; 사이클로헥산/EtOAc 또는 다른 적절한 용매 시스템).
Figure pct00672
Figure pct00673
Figure pct00674
Figure pct00675
생물학적 실시예 1
하기 검정을 이용하여 전압-관문 포타슘 채널 아형 Kv3.2/3.1을 조절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능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세포 생물학
인간 Kv3.2 채널 (hKv3.2)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 (CHO)-K1 세포를 pCIH5-hKv3.2 벡터로 트랜스펙션시킴에 의해 hKv3.2를 발현시키는 안정한 세포주를 생성하였다.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 1X 비필수 아미노산 (Invitrogen) 및 500μg/ml의 하이그로마이신-B (Invitrogen)가 보충된 DMEM/F12 배지에서 배양시켰다. 세포를 성장시키고, 공기 중 5% CO2를 함유하는 습윤 환경에서 37℃에서 유지시켰다.
인간 Kv3.1 채널 (hKv3.1)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CHO/Gam/E1A-클론22 애일리어스(alias) CGE22 세포를 hKv3.1 BacMam 시약을 이용하여 형질도입시켰다. 이러한 세포주는 야생형 CHO-K1에 비해 향상된 재조합 단백질 발현을 위한 개선된 CHO-K1-기반 숙주로서 설계되었다. 세포주는, CHO-K1 세포를 아데노바이러스-Gam1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BacMam 바이러스로 형질도입시키고, 제네티신-G418로 선택하여 안정한 세포주인 CHO/Gam-A3을 생성하도록 생성되었다. CHO/Gam-A3 세포를 pCDNA3-E1A-Hygro로 트랜스펙션시킨 후에, 하이그로마이신-B 선택 및 FACS 분류하여 단일-세포 클론을 수득하였다. 그 후, BacMam-루시페라제 및 BacMam-GFP 바이러스를 일시적 형질도입 연구에 이용하여 가장 높은 BacMam 형질도입 및 재조합 단백질 발현에 기반하여 클론을 선택하였다. CGE22 세포를 300μg/ml의 하이그로마이신-B 및 300μg/ml의 G418을 첨가시킨 hKv3.2 CHO-K1 안정한 세포주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모든 다른 조건은 hKv3.2 CHO-K1 세포에 대한 조건과 동일하였다. 실험 전날, 천 만개의 CGE22 세포를 T175 배양 플라스크에 플레이팅하고, hKv3.1 BacMam 시약 (pFBM/인간 Kv3.1)을 첨가하였다 (50의 MOI). 형질도입된 세포를 24시간 후에 사용하였다.
IonWorks Quattro™ 실험용 세포 제조
실험 당일에, 세포를 인큐베이터에서 분리시키고, 배양 배지를 제거하였다. 세포를 칼슘 및 마그네슘이 없는 5 ml의 둘베코의(Dulbecco's) PBS (DPBS)로 세척하고, 3 ml의 Versene (Invitrogen, Italy)을 첨가하여 분리시킨 후에, 37℃에서 5분 동안 짧게 인큐베이션하였다. 플라스크를 두드려서 세포를 제거하고, 칼슘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10 ml의 DPBS를 첨가하여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세포 현탁액을 15 ml의 원심분리 튜브에 넣고 2분간 1200 rpm에서 원심분리시켰다. 원심분리 후에, 상청액을 제거하고, 세포 펠렛을 칼슘 및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4 ml의 DPBS에 5 ml 피펫을 이용하여 재현탁시킴으로써 펠렛을 터뜨렸다. 그 후, 세포 현탁액 부피를 조정하여 검정을 위한 1ml 당 약 3 백만개 세포의 세포 농도를 제공하였다.
세포에 첨가된 모든 용액을 37℃로 미리 가온시켰다.
전기생리학
PatchPlate™ PPC를 구비한 IonWorks Quattro™ 평면상 어레이 전기생리학 기법 (Molecular Devices Corp.)을 이용하여 실험을 실온에서 수행하였다. 마이크로컴퓨터 (Dell Pentium 4)을 이용하여 자극 프로토콜 및 데이터 획득을 수행하였다. 각 웰을 가로질러 10 mV의 전압 단계를 적용함에 의해 평면상 전극 홀 저항(Rp)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은 세포 첨가 이전에 수행되었다. 세포를 첨가하고 밀봉을 형성한 후에, -80 mV 내지 -70 mV의 전압 단계를 160 ms 동안 적용함에 의해 밀봉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후, 암포테리신-B 용액을 전극의 세포내면에 첨가하여 세포내 접근을 달성하였다. 세포를 -70mV에서 유지시켰다. 50 ms의 과분극 (10 mV) 프레펄스(prepulse)를 적용하여 누설 전류를 발생시킨 후 시험 펄스 전에 기본 포텐셜(holding potential)에서의 20 ms 기간에 의해 모든 실험에서 누설 공제(leak subtraction)를 수행하였다. -70 mV의 기본 포텐셜로부터, -15 mV로의 첫 번째 시험 펄스를 100 ms 동안 적용하고 -70 mV에서 추가의 100 ms 후에 40 mV로의 두 번째 펄스를 50 ms 동안 적용하였다. 그 후, 세포를 추가로 100 ms 동안 -100 mV에서 유지시킨 후에 -100 mV로부터 40 mV로의 전압 램프를 200 ms에 걸쳐 적용하였다. 모든 실험에서, 시험 펄스 프로토콜은 시험 화합물의 부재 (전-판독) 및 존재 (후-판독)하에 수행되었다. 전-판독과 후-판독은 화합물을 첨가한 다음 3분 인큐베이션에 의해 분리되었다.
용액 및 약물
세포내 용액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였다 (mM): K-글루코네이트 100, KCl 54, MgCl2 3.2, HEPES 5, KOH에 의해 pH 7.3으로 조절됨. 암포테리신-B 용액을 DMSO에서 50mg/ml 원액으로서 제조하고 세포내 용액 중 0.1 mg/ml의 최종 작업 농도로 희석하였다. 외부 용액은 둘베코의 인산 완충 식염수 (DPBS)였고, 이것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였다 (mM): CaCl2 0.90, KCl 2.67, KH2PO4 1.47, MgCl.6H2O 0.493, NaCl 136.9, Na3PO4 8.06, 7.4의 pH를 지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N-사이클로헥실-N-[(7,8-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퀴놀리닐)메틸]-N'-페닐우레아와 같은 참조 화합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 (DMSO) 중에 10 mM의 원액 농도로 용해시켰다. 이러한 용액을 384 화합물 플레이트에서 Biomek FX (Beckman Coulter)를 이용하여 DMSO로 추가로 희석하였다. 각각의 희석액 (1 ㎕)을 또 다른 화합물 플레이트로 옮기고, 0.05% 플루론산 (66 ㎕)을 함유하는 외부 용액을 첨가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각각의 플레이트로부터의 3.5 ㎕를 첨가하고, IonWorks Quattro™ 실험 동안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최종 검정 희석은 200이었고, 최종 화합물 농도는 50 μM 내지 50 nM이었다.
데이터 분석
추가의 분석으로부터 부적합한 세포를 제거하기 위해 화합물의 부재하에 밀봉 저항 (>20 MΩ) 및 피크 전류 크기 (40mV의 전압 단계에서 >500pA) 둘 모두를 이용하여 기록을 분석하고 필터링하였다. Kv3 채널-매개된 외향 전류는 -15mV 전압 펄스의 최종 10ms에 걸친 평균 크기의 전류에서 -15mV 단계 직전에 10ms 기간에 걸친 -70mV에서의 평균 기선 전류를 뺌으로써 결정되었다. 그 후, 시험 화합물의 첨가 후의 이러한 Kv3 채널 전류를 화합물 첨가 전에 기록된 전류와 비교하였다. 데이터를 참조 화합물 (50μM의 N-사이클로헥실-N-[(7,8-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퀴놀리닐)메틸]-N'-페닐우레아)의 최대 효과 및 비히클 대조군 (0.5% DMSO)의 효과로 표준화하였다. 표준화된 데이터를 ActivityBase 또는 엑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네 개의 파라미터의 로지스틱 함수(four parameter logistic function)를 이용하여 농도-반응 데이터를 핏팅시킴으로써 참조 화합물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50%의 최대 증가율까지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화합물의 농도 (pEC50)를 결정하였다.
N-사이클로헥실-N-[(7,8-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퀴놀리닐)메틸]-N'-페닐우레아를 ASINEX (Registry Number: 552311-06-5)로부터 입수하였다.
모든 실시예 화합물을 상기 검정으로 시험하였고, 50μM의 N-사이클로헥실-N-[(7,8-디메틸-2-옥소-1,2-디하이드로-3-퀴놀리닐)메틸]-N'-페닐우레아로 관찰된 것보다 평균적으로 20% 이상의 Kv3.1 또는 Kv3.2 또는 Kv3.1 및 Kv 3.2 (이하 "Kv3.1 및/또는 Kv3.2") 전(whole)-세포 전류의 상승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생물학적 실시예 1의 재조합 세포 검정에서, 모든 실시예 화합물은 포지티브 조절제로서 작용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Kv3.1 및/또는 Kv3.2 포지티브 조절제는, 생물학적 실시예 1 (생물학적 검정)에 기재된 검정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경우, 포유동물 세포에서 재조합에 의해 발현된 인간 Kv3.1 및/또는 인간 Kv3.2 채널에 의해 매개된 전-세포 전류의 20% 이상의 상승을 야기하는 것으로 밝혀진 화합물이다.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으로부터의 데이터의 이차 분석은 탈분극 전압 펄스의 개시로부터 전류의 상승률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화합물의 효과의 크기는 하기 제공된 방정식을 이용하여 -15mV의 탈분극 전압 펄스의 개시 이후에 Kv3.1 또는 Kv3.2 전류 상승의 비-선형 피트으로부터 얻어진 시간 상수 (Tauact)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Y = (Y0 - Ymax) * exp(-K*X) + Ymax
상기 식에서,
Y0는 탈분극 전압 펄스의 개시에서의 전류 값이고;
Ymax는 플래토 전류이고;
K는 속도 상수이고, Tauact는 K의 역수인 활성화 시간 상수이다.
유사하게는, -15mV의 탈분극 전압 펄스의 끝에서 채널이 폐쇄될 때 Kv3.1 및 Kv3.2 전류가 붕괴하는데 걸리는 시간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또한 조사할 수 있다. 이러한 후자의 경우에, 채널 폐쇄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의 크기는 탈분극 전압 펄스가 끝난 직후에 전류("꼬리 전류(tail current)") 붕괴의 비-선형 피트의 시간 상수 (Taudeact)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활성화를 위한 시간 상수 (Tauact)를 실시예의 여러 화합물들에 대해 결정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두 개의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1은 이러한 방식으로 분석된 모든 실시예에 대한 Tauact 데이터를 제공한다.
도 1a는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을 이용하여 기록된 hKv3.2 전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제시된 데이터는 화합물 (참조 실시예 RE1)의 두 농도에서 4개의 상이한 세포로부터 기록된 -15mV로의 탈분극 전압 단계의 기간에 걸친 개별적인 전류이다. 데이터를 Prism 버젼 5 (Graphpad Software Inc)의 핏팅 절차를 이용하여 단일 지수 곡선 (실선)에 의해 핏팅시켰다.
도 1b는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을 이용하여 기록된 hKv3.2 전류를 보여주는 것이다. 제시된 데이터는 참조 실시예 RE3의 화합물의 두 농도에서 2개의 상이한 세포로부터 기록된 -15mV로의 탈분극 전압 단계의 기간에 걸친 개별적인 전류이다. 데이터를 Prism 버젼 5 (Graphpad Software Inc)의 핏팅 절차를 이용하여 단일 지수 곡선 (실선)에 의해 핏팅시켰다.
표 1: 활성화 시간 (Tauact)의 분석으로부터 hKv3.2 데이터의 요약. 화합물들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선택된 화합물 농도는 비히클을 제외하고는 전압 펄스의 끝에 유사한 전류 (~0.3nA)를 생성한 것이었고, 최대 전류는 <0.1nA였다.
Figure pct00676
Figure pct00677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합물의 부재 및 비히클의 존재하에서 Tauact는 7.1±1.7 msec였다. Tauact 값의 범위(7.3 내지 50.1 msec)는 시험 화합물 각각이 Kv3.2 전류를 유사한 수준(~0.3nA)으로 증가시킨 농도에서 시험되는 경우 시험 화합물의 존재하에서 관찰되었다.
Kv3.1 및 Kv3.2 채널은 신경세포가 높은 주파수에서 작용 포텐셜을 발화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매우 신속하게 활성화되고 탈활성화되어야 한다[Rudy and McBain, 2001, Trends in Neurosciences 24, 517-526]. 활성화의 지연은 작용 포텐셜 재분극의 개시를 지연시킬 것이고; 탈활성화의 지연은 신경세포의 흥분성을 감소시키는 과분극 전류를 초래하고 신경세포가 추가의 작용 포텐셜을 발화시킬 수 있기 전의 시간을 지연시킬 수 있다. 더불어 채널 활성화 및 탈활성화에 대한 이러한 지연 효과는 높은 주파수에서 발화하는 신경세포의 능력의 촉진보다, 오히려 감소를 야기할 것이다. 따라서, Kv3.1 및/또는 Kv3.2 채널에 대하여 이러한 지연 효과를 갖는 화합물은 신경세포 발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특히, Tauact를 50.1±7.5 msec로 현저하게 증가시킨 실시예 15(표 1)에 의한 이러한 신경세포 발화의 지연은 시험관내에서 전기생리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랫트 뇌의 피질에서 "신속-발화(fast-firing)" 사이신경세포로부터 획득한 기록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다. 도 2에서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5의 첨가는 300Hz에서의 탈분극 펄스의 트레인(train)에 반응하여 신경세포가 발화하는 능력을 감소시킨다.
도 2는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동정된 "신속-발화" 사이신경세포로부터 획득한 기록을 보여주는 것이다. 신경세포는 100, 200, 및 300Hz에서 전류 펄스를 탈분극시키는 높은 주파수의 트레인에 의해 높은 주파수에서 발화하도록 유도된다. 각각의 펄스에서 작용 포텐셜을 발화시키는 신경세포의 능력을 측정하였다. 그래프의 y-축 상에서 1의 스파이크 가능성은, 작용 포텐셜이 탈분극 전류 펄스의 각각에 대해 신경세포에 의해 생성됨을 나타낸다. 약물의 부재하에 (채워진 원, n=9), 신경세포는 300Hz 이하에서 1의 스파이크 가능성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5의 존재하에 (1μM; 비어있는 원, n=6), 신경세포는 가장 높은 주파수에서 트레인을 쫓아갈 수 없었다. *p < 0.05, 반복 측정에 대한 ANOVA.
따라서, 비록 본원에서 확인된 모든 실시예가 생물학적 실시예 1의 재조합 세포 검정에서 포지티브 조절제로서 작용하지만, Tauact의 값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화합물, 예컨대, 실시예 15는 높은 주파수에서 네거티브 조직에서의 신경세포를 발화시키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청각 장애, 수면 장애, 물질-관련 장애 및 간질을 포함하여, Kv3.1 및/또는 Kv3.2 채널 기능의 포지티브 조절이 유리한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히클 (DMSO 0.5%)의 존재하에 얻어진 평균 값보다 2를 넘지 않는 표준 편차만큼 더 큰 평균 tau 값과 관련된 Kv3 증강 화합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청각과민, 프래자일-X, 및 자폐증을 포함하여, Kv3.1 및/또는 Kv3.2 채널 기능의 억제가 유리한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히클 (DMSO 0.5%)의 존재하에 수득된 평균 값보다 2를 초과하는 표준 편차만큼 더 큰 평균 tau 값과 관련된 Kv3 증강 화합물이 제공된다.
임상전 실험
모든 생체내 연구는 유럽 지침 86/609/EEC를 승인하는 이탈리아 법[art. 7, Legislative Decree no. 116, 27 January 1992]에 따라 얻은 프로젝트 라이센스, 및 실험실 동물의 보호 및 이용에 대한 글락소스미스클라인사(GlaxoSmithKline company) 방침 및 관련된 관행 규칙을 준수하여 수행되었다.
이어지는 연구에서, 화합물 48은 참조 실시예 RE1의 화합물이다.
생물학적 실시예 2
시험관내 ,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사이신경세포의 발화에 대한 화합물 효과의 평가
동물
유전자이식 마우스 [CB6-Tg (Gad1-EGFP) G42Zjh/J]를 The Jackson Laboratory (Maine, USA)로부터 구입하였다. 이러한 마우스는 바구니 사이신경세포의 칼슘-결합 단백질 파르브알부민(Pv)-발현 서브클래스 중 향상된 그린 형광 단백질 (EGFP)을 선택적으로 발현시킨다. EGFP 발현은 소마토스타틴 (SOM), 콜레시스토키닌 (CCK), 칼레티닌 (CR), 및 VIP에 대해 포지티브인 다른 사이신경세포 클래스에서는 보고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마우스는 Kv3.1 및 Kv3.2 채널을 발현시키고 높은 주파수에서 발화할 수 있는 GABA성 신경세포의 Pv-발현 서브세트의 동정에 유용하다.
슬라이스 제조
체성감각 피질을 함유하는 250-㎛-두께 뇌 슬라이스 상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간단히 말해, 깊게 마취된 (이소플루오란) 25 내지 35 일령 Gad1-EGFP 마우스로부터 뇌를 분리하였다. KCl (2.5), CaCl2 (0.1), NaH2PO4 (1.2), MgCl2 (5), NaHCO3 (26), 수크로스 (189) 및 글루코스 (10)의 용액 (mM)에서 DTK 1000 마이크로슬라이서 (DSK, Japan)를 이용하여 슬라이스를 절단하고, 2 내지 6℃에서 유지시키고, 95% O2-5% CO2 가스를 공급하였다. 절단 후에, 슬라이스를 회수 챔버에서 NaCl (120), KCl (2.5), CaCl2 (2), NaH2PO4 (2.5), MgCl2 (1.5), NaHCO3 (26), 및 글루코스 (10)를 함유하는 인공 뇌척수액 (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 (mM)에서 1시간 이상 동안 실온에서 평형을 이루게 두고 95% O2-5% CO2로 포화시켰다.
전기생리적 기록
전기생리적 기록을 위해, 슬라이스를 업라이트 현미경 (Axioskop, Carl Zeiss, Germany)의 스테이지 상에 탑재된 침수 챔버로 옮기고 산화된 ACSF로 과융해시켰다. 적외선-차등 간섭차 (infrared-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IR-DIC) 비디오 현미경검사 (Hamamatsu C5985, Hamamatsu City, Japan)를 이용하여 40X 대물렌즈로 슬라이스에서 신경세포의 시각화를 수행하였다. 제조물을 GFP-필터를 구비한 형광 램프로 조명하고, 형광과 IR-DIC 비디오 현미경검사를 스위칭시킴에 의해 파르브알부민-포지티브 사이신경세포를 동정하였다. GFP-포지티브 신경세포만이 기록되었다. Sutter P-97 전극 풀러(puller)를 이용하여 당겨지고; K글루코네이트 (125), EGTA (10), HEPES (10), MgCl2 (1), KCl (10) 및 MgATP (2)를 함유하고, KOH에 의해 pH가 7.3으로 조절된 내부 용액(mM)으로 충전된 보로실리케이트-유리 패치 피펫을 이용하여 전-세포 기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내부 용액으로 충전될 때, 패치 전극은 4 내지 7 MΩ의 팁 저항을 가졌다. 실온에서 (20 내지 22℃) Multiclamp 700B 증폭기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 USA)를 이용하여 기록을 수행하였다. pClamp 10.0 소프트웨어 및 Digidata 1320A 인터페이스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 USA)을 이용하여 전류-커맨드 프로토콜 (하기 제시됨) 및 데이터 획득을 수행하였다. 용량성 과도전압(Capacitive transient)을 중립화하고, 실험을 통털어 연속-저항을 계속 모니터링하였다. 이것이 20% 넘게 변화하는 경우, 세포를 폐기하였다. 데이터를 3 kHz에서 필터링하고, 10 kHz에서 샘플링하였다.
약물
본 발명의 화합물을 DMSO (100%) 중에 용해시키고, 테트라에틸암모늄 (TEA) 및 테트로도독소 (TTX) (둘 모두를 Sigma로부터 얻음, Italy)를 증류수 중에 용해시키고, 사용시까지 -20℃에 저장하였다. 약물을 실험 당일에 최종 농도로 희석하였다. 사용된 DMSO의 가장 높은 최종 농도는 0.1%였다.
실험 절차
긴 전류 단계를 상이한 세기로 적용함에 의해 기록된 사이신경세포의 발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기가-밀봉의 형성 후에, 증폭기를 전류-클램프 모드로 스위칭하여, 신경세포가 이의 안정막 포텐셜에 도달하게 하였다. 그 후, 네거티브 전류를 세포내에 주입시켜 -80 mV에 가까운 안정 포텐셜을 얻었다. 이러한 조건으로부터, 전류 주입 단계 (50 pA 증가, 600 ms)를 적용하여 작용 포텐셜을 유도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각 세포에 대해 적어도 2회 반복하였다.
온라인 브릿지-밸런스 보정을 수행하고, 실험을 통털어 Rm 값을 계속 모니터링하였다.
약물 적용
슬라이스를 비히클 (0.1% DMSO), TEA (0.5mM) + 0.1% DMSO, 또는 TEA (0.5mM) + 참조 실시예 RE1 (1 또는 10μM)의 존재하에 1시간 이상 동안 회수 챔버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슬라이스를 기록 챔버로 옮긴 후에, 동일한 약물 조건을 순환 ACSF에서 적절한 약물의 과융해에 의해 유지시켰다.
데이터 획득 및 분석
Clampex 10.0 (Molecular Devices, USA)을 이용하여 원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Clampfit 10.0 소프트웨어 (Molecular Devices, USA)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전류 주입 단계에 반응하여 발화하는 작용 포텐셜의 주파수를 (Hz로 표시됨) 600ms 전류 단계에 대해 검출된 작용 포텐셜의 수로부터 계산하였다. 동일한 실험 조건 및 동일한 세포에서 각각의 전류 단계에 대해 얻어진 주파수 값들을 평균내었다. 작용 포텐셜을 일으키는 역치가 하나의 세포에서부터 다른 세포까지 다르기 때문에, 전류 단계 세기는 절대 값이 아니라, 오히려 작용 포텐셜 생성을 위한 전류 역치로부터의 pA로서 표시되었다.
작용 포텐셜 반치폭(half-width)을 Clampfit를 이용하여 각각의 작용 포텐셜에 대해 계산하였다. 두 번째-다섯 번째 값 또는 비-포화 전류 단계 (전형적으로 역치로부터 100 내지 150 pA)에 의해 유도된 마지막 10개의 작용 포텐셜을 각각의 분석된 세포에서 각각의 실험 조건에 대해 평균내었다.
통계적 분석
작용 발화 주파수에 대한 치료 효과들 사이의 통계적 차이를 반복 측정을 위한 이원 ANOVA, 및, 필요한 경우, post hoc 플래닝 비교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p<0.05일 때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고려되었다). 작용 포텐셜 반치폭 및 첫 번째 유도체 크기에 대한 약물 치료의 효과를 ANOV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Statistica 소프트웨어 (StatSoft 버젼 8)를 이용하여 모든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적절한 경우, 결과를 평균±SEM으로 기록하였다.
데이터 포함/제외에 대한 기준
분석으로부터 세포를 포함시키거나 제외시키는데 이용된 기준은 정확한 전류-클램프 조건 및 실험을 통털어 기록의 안정성에 기반하였다. Rs 및/또는 Rm 값이 20% 넘게 변화되었을 때, 온라인 평가로부터 세포를 제외시킬 수 있었다.
결과
0.5mM의 TEA와 인큐베이션된 슬라이스로부터 기록된 사이신경세포는 대조군 슬라이스로부터 기록된 신경세포에 비해 전류 단계에 반응하여 더 낮은 최대 주파수에서 발화되었다(도 3). 이러한 효과는 TEA (0.5mM)에 더불어 1μM 또는 10μM의 참조 실시예 RE1과 인큐베이션된 슬라이스에서 현저하게 뒤집혔다 (반복 측정을 위한 일원 ANOVA, TEA 단독에 관해 *p<0.05).
도 3. 비히클 (0.1% DMSO; 채워진 원, n=6), TEA (0.5mM) + 0.1% DMSO (비어있는 원, n=7), TEA (0.5mM) + 참조 실시예 RE1 (1μM; 채워진 삼각형, n=9), 또는 TEA (0.5mM) + 참조 실시예 RE1 (10μM; 비어있는 삼각형, n=5)을 이용한 지 적어도 1시간 후에 탈분극 전류 단계 (600ms 지속 및 50pA Δ-증가)에 의해 유발된,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파르브알부민-포지티브 사이신경세포로부터 기록된 작용 포텐셜의 주파수. *p<0.05; 반복 측정을 위한 일원 ANOVA.
또한, 작용 포텐셜 반치폭이 대조군 슬라이스 (0.1% DMSO)에 비해 TEA (0.5mM)와 인큐베이션된 슬라이스로부터 기록된 세포에서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도 4). TEA (0.5mM)에 더불어 1μM 또는 10μM의 참조 실시예 RE1과 인큐베이션된 슬라이스에서, 평균 작용 포텐셜 반치폭은 단지 TEA (0.5mM)와 인큐베이션된 슬라이스에 비해 각각 24% 및 36%만큼 상당히 감소하였다 (ANOVA 및 Dunnett 시험, *p<0.05, n=9; **p<0.01, n=5, 각각).
도 4. 마우스의 체성감각 피질에서 파르브알부민-포지티브 사이신경세포로부터 유발된 작용 포텐셜의 반치폭. 기록에 앞서, 슬라이스를 비히클 (대조군; 0.1% DMSO, n=6), TEA (0.5mM) + 0.1% DMSO (n=7), TEA (0.5mM) + 참조 실시예 RE1 (1μM; n=9), 또는 TEA (0.5mM) + 참조 실시예 RE1 (10μM; n=5)과 적어도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p<0.05; **p<0.01, ***p<0.001, ANOVA 이후 Dunnett 시험.
이러한 결과는 Kv3.1 및/또는 Kv3.2 채널의 포지티브 조절과 일관된 방식으로 마우스 뇌에서 신속-발화 사이신경세포의 거동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실시예 1의 검정에서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의 능력을 입증한다. 뇌 피질 영역에서 Kv3 기능을 향상시키는 능력은 또한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및 간질을 포함한 다양한 중추 신경계 장애를 치료하는 이러한 화합물들의 가능성과 일치한다.
생물학적 실시예 3
시험관내 , 마우스의 마름섬유체의 안쪽중심핵에 있는 신경세포로부터 기록된 포타슘 전류에 대한 화합물 효과의 평가
동물
수컷 CBA/Ca 마우스 (12 내지 16일령)를 이러한 실험에 이용하였다(UK Animals Scientific Procedures Act(1986)에 준함). 마름섬유체의 안쪽중심핵 (MNTB)을 함유하는 뇌 슬라이스를 종래에 기재된 대로 제조하였다[Brew and Forsythe, 2005].
약물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화학제품 및 시약은 Sigma, (Poole, UK)로부터 구입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을 DMSO에 용해시키고, ACSF에서 필요한 농도로 희석하였다.
전기생리적 기록
동정된 MNTB 신경세포로부터의 기록을 종래에 기재된 대로 수행하였다[Brew and Forsythe, 2005]. 슬라이스를 도립 현미경 상에 과융해 챔버에 놓고 가스가 공급된 (95% O2-5% CO2) ACSF로 실온에서 1 ml 분-1의 속도로 계속 관류시켰다. 전-세포 기록을 시각적으로 확인된 MNTB 신경세포로부터 Axopatch 700B 증폭기 (Molecular Devices, Union City, CA,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패치 용액은 (mM) 포타슘 글루코네이트 (97.5), KCl (32.5), Hepes (40), EGTA (5), MgCl2 (1), Na2포스포크레아틴 (5) (KOH에 의해 pH 7.2)을 포함하였다. 피펫은 3 내지 5MΩ의 저항을 지녔고 연속 저항은 6 내지 10MΩ이었다 (70%만큼 보상됨, 10 ㎲ lag). 접근 저항을 자주 모니터링하였고, 2MΩ 넘게 증가하는 경우의 기록을 버렸다.
일단 전-세포 구성을 얻었다면, 세포를 하기와 같이 전압 프로토콜에 적용하기 전에 -60mV에 유지하였다: 세포가 700ms 동안 기본 포텐셜로부터 -90까지 오르게 하였고, 25ms 동안 -40mV까지 오르게 하였으며, 그 후 -100 내지 +40mV (10mV 증가)의 전압 범위로 전압 펄스를 220ms 동안 적용한 후 기본 포텐셜로 돌아오게 하였다. 이러한 프로토콜을 완료한 후에, TEA (1mM)를 과융해 배지에 첨가하였다. 5분 후, 동일한 전압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두 번째 기록 세트를 수행하였다. 그 후에, 참조 실시예 RE1(10μM)을 TEA (1mM)를 계속 존재시키면서 ACSF에 첨가하였고, 추가로 5분 후에, 전압 프로토콜을 이용한 최종 세트의 기록을 수행하였다.
통계적 분석
+40mV로의 전압 단계에 의해 유발된 전류를 페어링되지 않은 t-시험을 이용하여 각각의 세포에 대한 약물 치료에 대해 비교하였다.
결과
TEA (1mM)는 +40mV로의 전압 단계에 의해 유발된 외부로의 고 전압-활성화 포타슘 전류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도 5). 이러한 효과는 참조 실시예 RE1 (10μM)의 후속 적용에 의해 역전되었다.
도 5. 시험관내, 마우스의 시각적으로 확인된 MNTB 신경세포로부터 기록된 고-전압 활성화 포타슘 전류. 제시된 데이터는 상이한 약물 조건하에 +40mV로의 전압 단계에 의해 유발된 전류 크기의 평균 (+/- s.d.)이다. TEA (1mM), TEA (1mM) + 참조 실시예 RE1 (10μM). 페어링되지 않은 t-시험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데이터는, 생물학적 실시예 1의 검정에서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이 청각 정보를 프로세싱하는 뇌줄기의 영역인 MNTB의 신경세포에서 고 전압-활성화 포타슘 전류 (Kv3.1 채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추정됨; Brew and Forsythe, 2005)를 조절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는 청각 장애의 치료를 위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용성을 뒷받침한다.
생물학적 실시예 4
랫트에서 전기충격 발작 모델
실험 준비
수컷 CD 랫트 (85 내지 130g)를 Charles River(Italy)로부터 공급받았다. 동물을 12h 광/암 주기 (0600h에 조명) 하에 사료 (표준 설치류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그룹을 만들어 수용하였다. 모든 경우에 GSK에 도착과 연구 사이에 5일 이상의 기간을 두었다.
실험 프로토콜
적절한 용량, 경로 및 전-처리 시간으로 동물에게 시험 화합물을 투여하고 이들의 홈 케이지로 돌려 보냈다. 수용을 위해 사용된 것과 분리된 룸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은 0.3초 지속의, 50Hz, 사인파 형태로 완전히 조절가능한 1 내지 300 mA의 정전류를 전달하는 Hugo Sachs Electronik 자극기를 이용하여 강직 뒷다리 폄근 발작에 대한 역치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자극은 각막 전극을 통해 전달되었다[Stean TO, Atkins AR, Heidbreder CA, Quinn LP, Trail BK, Upton N. (2005) Br J Pharmacol.144(5):628-35]. 발작 역치를 Kimball 등 (1957) [Kimball AW, Burnett WT Jr, Doherty DG. (1957) Radiat Res. 7(1):1-12]의 '업 앤 다운(up and down)'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각의 그룹에서 시험되는 첫 번째 동물을 발작 유도를 위한 역치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될 수 있는 전류로 자극하였다. 강직 발작이 유도되지 않았으면, 이후 그룹의 다음 동물은 5mA 더 높은 자극을 받게 하였다. 강직 발작이 유도되었으면, 이후 다음 동물은 5mA 더 낮은 자극을 받았다. 대조군 (비히클) 내에 있는 모든 동물에게 이것을 반복하였다. 시험 화합물로 치료된 그룹의 경우, 5 내지 10 mA의 단계를 이용하였다. 연구 끝에, 이러한 구획의 약물 농도 분석을 위해 혈액 샘플을 취하였다 (n=4/그룹).
약물 및 물질
모든 용량을 베이스로서 계산하였다. 소듐 발프로에이트를 메토셀 1% (w/v)에 현탁시키고 경구 (p.o.) 경로를 통해 시험하기 1시간 전에 5 mL/kg으로 투여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을 DMSO 중에 용해시킨 다음 메토셀 1% (w/v) 중에 최종 DMSO 농도 5% (v/v)로 현탁시켰다. 그 후, 참조 실시예 RE1을 시험하기 2시간 전에 5mL/kg으로 p.o. 투여하였다.
데이터 분석
각 동물에 대해 존재(+) 또는 부재(0)로서 기록된 전적으로 있거나 전혀 없는 효과(all-or-nothing effect)로서 발작의 유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치료 그룹에 대한 데이터를 적용된 각각의 전류 수준에서 + 및 0의 숫자로서 기록한 다음 이러한 정보를 CC50 값 (동물의 50%가 발작 거동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전류) + Kimball 등 (1957)의 방법에 따른 평균의 표준 오차를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약물 효과를 CC50의 변화%로서 산출하였다. 약물-치료 동물과 적절한 비히클 처리된 그룹간의 유의적 차이를 Litchfield and Wilcoxon (1949)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참조 실시예 RE1로의 전처리는 시험된 두 용량 모두에서 발작 역치의 상당한 증가와 관련되었다: 30mg/kg p.o.의 용량에서, 참조 실시예 RE1은 발작 역치의 91% 증가를 초래한 반면, 60mg/kg p.o.의 용량에서는, 발작 역치의 증가가 +218%였다. 고용량의 참조 실시예 RE1에 의해 초래된 증가는 포지티브 대조군인 300mg/kg p.o.의 소듐 발프로에이트 (+ 258%)에 의해 초래된 증가와 유사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의 혈중 농도를 5.3 및 9.1㎍/mL에 이어 30 및 60mg/kg p.o.로 각각 투여한 지 2시간 후에 위성(satellite) 동물에서 측정하였다. 이러한 농도는 혈액 중 각각 1.3 및 2.2μM의 결합되지 않은 농도에 상응하였고, 따라서 상기 기재된, 시험관내 재조합 인간 Kv3 전기생리적 검정에서 관찰된 Kv3-매개된 전류의 상당한 증가를 초래하는 참조 실시예 RE1의 농도와 일치한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참조 실시예 RE1이 항경련 효능을 지니고, 이러한 효과는 Kv3 포타슘 채널의 포지티브 조절에 의해 매개될 것임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생물학적 실시예 1의 검정에서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은 항경련 효능을 지닐 수 있다.
생물학적 실시예 5
마우스에서 정신자극제-유도 과다활동
실험 준비
수컷 CD-1 마우스 (25 내지 35g)를 Charles River(Italy)로부터 공급받았다. 동물을 12h 광/암 주기 (0600h에 조명) 하에 사료 (표준 설치류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그룹을 만들어 수용하였다. 모든 경우에 GSK에 도착과 연구 사이에 5일 이상의 기간을 두었다.
실험 프로토콜
적절한 용량, 경로 및 전-처리 시간으로 동물에게 시험 화합물을 투여한 후 이들의 홈 케이지로 돌려 보냈다. 수용을 위해 사용된 것과 분리된 룸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마우스를 시험 화합물로 경구 (p.o.) 처리하고 구멍 뚫린 뚜껑으로 덮인 Perspex 박스 (길이 20.5 cm, 폭 20.5 cm, 높이 34 cm)에 개별적으로 놓았다. 적외선 모니터링 센서를 둘레 벽 주위에 두었다 (수평 센서). 두 개의 추가 센서를 반대측 마루 위 2.5 cm 지점에 두었다 (수직 센서). 정보를 후속적으로 컴퓨터로 전달하는 VersaMax 시스템 (Accuscan Instruments Inc., Columbus, OH)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습관화 30분 후에, 마우스를 2mg/kg 내지 10mL/kg의 복강내 (i.p.) 투여되는 암페타민으로 처리하고, 시험대에서 후속적인 운동 활성을 추가 60분 동안 평가하였다. 운동 활성은 시험대에서 60분의 시험 기간에 걸쳐 각각의 마우스가 이동하는 총 거리 (cm)로서 측정되었다.
약물 및 물질
모든 용량을 베이스로서 계산하였다. 클로자핀을 증류수 중에 용해시키고 3mg/kg 복강내 (i.p.)로 10mL/kg으로 투여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 (10, 30 또는 60mg/kg) 또는 비히클 (HPMC 0.5% w/v, 물 중 Tween80 0.1% v/v)을 10mL/kg으로 p.o. 투여하였다. 클로자핀 및 참조 실시예 RE1 둘 모두는 동물을 시험대에 놓기 직전에 (암페타민 투여 30분 전) 투여되었다.
결과
단독의 암페타민은 이동한 총 거리에 있어서 크고 현저한 증가를 초래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의 30mg/kg p.o. 투여는 암페타민이 초래한 이동한 총 거리의 증가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더 높은 용량의 60mg/kg p.o.의 참조 실시예 RE1은 포지티브 대조군인 클로자핀 (3mg/kg i.p.)과 유사한 방식으로 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된 운동 활성의 증가를 추가로 감소시켰다. 데이터는 표 1에 요약되어 있다.
표 1: 마우스에서 암페타민 유도된 과보행성(hyperlocomotion)에 대한 참조 실시예 RE1의 효과. 참조 실시예 RE1을 암페타민 (2mg/kg i.p.) 30분 전에 p.o. 투여하였다. 클로자핀을 암페타민 (2mg/kg i.p.) 30분 전에 i.p. 투여하였다. 암페타민 투여 직후부터 60분에 걸쳐 총 거리를 측정하였다. 데이터를 평균±sem으로서 표시하였다. 데이터를 일원 분산분석 (ANOVA)에 이어 Dunnett's 시험으로 처리하였다 (** = p<0.01 대 암페타민 단독 처리).
Figure pct00678
결론
이러한 결과는, 참조 실시예 RE1이 항경련 효능을 나타내는 것과 유사한 용량으로 정신자극제인 암페타민에 의해 유도된 과다활동을 예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참조 실시예 RE1, 및 생물학적 실시예 1에 기재된 검정으로부터 관찰될 수 있는 바와 같이, Kv3.1 및/또는 Kv3.2 채널을 포지티브하게 조절하는 그 밖의 화합물은 과다활동과 관련된 장애, 예컨대 양극성 조병, 또는 도파민 시스템의 파괴, 약물 의존성을 일으킬 수 있는 것들, 주의력 결핍 과다활동 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또는 정신분열병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실시예 6
일반적인 마모셋에서 약역학적 -뇌파검사( phEEG )
동물 및 수술
실험실에서 자란 2살 이상의 중량이 250 내지 500g인 수컷 (정관절제됨) 및 일반적인 암컷 마모셋(Callithrix jacchus)을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동물을 25±1℃, 60% 습도, 및 12시간 광/암 주기 (0600에 조명, 새벽과 저물녘을 30분씩 흉내냄)로 유지된 수용 룸에 두 마리씩 넣었다. 동물들은 표준 식이 및 식수를 자유롭게 섭취하였다. 각각의 쌍 중 단 한 마리의 동물을 시험에 포함시켰고, 상기 시험은 홈 케이지에 있는 동물로 수행되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효과를 피질 EEG (ECoG)의 텔레미터 기록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다중채널 텔레미터 송신기 (DSI 모델 TL11M2-F40-EET)를 마취된 마모셋에게 표준 수술적 기법을 이용하여 복강내 이식하였다. 기록 전극을 치과용 시멘트를 이용하여 전두정골(fronto-parietal) 영역에서 두 개의 뚫린 구멍을 통해 경질막에 바로 접촉한 두개골에 영구적으로 고정시켰다. 수술 후,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동물을 그 홈 케이지에 쌍으로 (이식된 한 마리, 수술하지 않은 파트너 한 마리) 수용시켰다. 수술로부터 회복 직후에, 동물은 정상적인 거동 레퍼토리를 나타냈지만; phEEG는 적어도 3주 후에 평가되었다. 모든 생체내 연구는 이탈리아 법에 준하여 수행되었고, 글락소스미스클라인의 윤리적 기준에 적합하였다.
실험 절차
동물을 이들의 룸 케이지의 은신처-박스에 놓고, EEG 트레이스를 각 시점에 5-분 기간 동안 Dataquest ART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Spike2 소프트웨어 (CED, UK)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주파수 밴드에서 스펙트럼 파워를 전-처리 기간 동안 각각 2초 기간 동안 측정하고, 평균 내었으며; 유사하게 각각의 밴드의 스펙트럼 파워를 비히클 또는 약물 처리 이후에 각 5-분 기록 기간의 연속하는 2초 기간 동안 측정하였다. 각각의 상이한 밴드 (델타, 세타, 알파 및 베타)에 대한 절대 스펙트럼 파워에서의 변화를 오프라인으로 산출하였다.
완전 크로스오버 설계에 따라 약물 치료를 할당하였다: 모든 치료는 동물들 간에 임의로 분배되었고, 분리된 실험 세션에서, 각각의 동물은 적절한 세척 기간 후에 비히클 및 각 용량의 약물을 투여받았다.
6마리의 동물을 0.3, 1 및 3 mg/kg (1ml/kg) 용량의 참조 실시예 RE2로 경구 처리하고, EEG 트레이스를 치료한 지 +15, 30, 60, 90, 120 및 180분 후에 기록하였다. 참조 실시예 RE2를 0.1% (w/v) Tween80 및 0.5 % (w/v) HPMC를 함유하는 12.5% (w/v) 수성 캡티솔(captisol)에 현탁시켰다.
데이터 분석
네 개의 상이한 주파수 밴드가 고려되었다: 델타 (1.50 내지 6.00 Hz), 세타 (6.00 내지 8.00 Hz), 알파 (8.00 내지 12.00 Hz) 및 베타 (12.00 내지 30.00 Hz). 각 시점에 각각의 밴드에서 스펙트럼 파워에 대한 값을 먼저 로그 변형시킨 다음, 고정된 효과로서 시간에 따른 혼합 효과 모델, 공변량으로서 기준선 수준, 및 임의 기간으로서 동물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를 기준선 및 표준 오차로부터 변화 퍼센티지의 평균으로서 요약한다.
결과
이러한 연구에서 관찰된 약역학적-EEG 변화는, 비히클에 비해, 가장 큰 용량 (3 mg/kg)의 참조 실시예 RE2가 30 내지 120분 사이에 델타 밴드에서 절대 파워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p<0.05) 증가와, 60분에 세타 밴드 파워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 (p<0.05)를 유도하였음을 나타낸다. 중간 용량 (1 mg/kg)에서, 참조 실시예 RE2는 30분에 델타 밴드의 절대 파워에서 약간 유의한 (p<0.10) 증가와, 베타 밴드에서 부수적인 유의한 감소 (p<0.05)를 유도하였다. 참조 실시예 RE2의 어떠한 용량에서도 알파 밴드에서의 현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생물학적 실시예 1의 검정에서 활성을 지니는 화합물이 의식이 있는 영장류의 EEG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제안한다. 델타-밴드 EEG 활성의 증가는 이전에 인간에서 항정신병성 화합물로 관찰되었다.
생물학적 실시예 7
마우스의 시각교차위핵( superchiasmatic nucleus )에서 Kv3 .1 및 Kv3 .2 채널 발현의 캐디안 패턴
재료 및 방법
30마리의 성체 수컷 C57BL/6J 마우스(시기: 도착한 지 4 내지 5주; Charles River FR)를 6개의 상이한 케이지(케이지 당 5마리의 마우스)에 두고, 12시간 광 - 12시간 암 조건(서캐디안 시간 [CT] 6으로 지정된 06:00에 조명을 켬, CT 18로 지정된 18:00에 조명을 끔)으로 전용 룸에서 4주 동안 유지하였다. 실온을 21±2℃로 유지하고, 사료 및 물을 자유롭게 이용가능했다.
이러한 기간 동안, 경추 파열법에 의해 24시간의 기간에 걸쳐 상이한 시점에서 마우스를, 즉, 시점 당 5마리의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동물을 저장실에서부터 수술실로 옮긴 후, 즉시 희생시켰다. 암 단계 동안, 모든 이러한 행동은 희미한 적색 광하에 수행되었다.
두개골에서 뇌를 꺼내고, 이소펜탄에 즉시 함침시키고, 약 -30℃에서 유지시킨 후, 현장 혼성화 분석 전에 -70℃에서 저장하였다.
모든 뇌를 크라이오스태트에 의해 절단하고, 시교차상 핵이 브레그마(Bregma)로부터 약 -0.22 mm 내지 -0.82 mm에 존재하는 수준에서 다수의 14㎛-두께의 관상 단면을 수집하였다[Paxinos and Franklin, "The mouse brain in stereotaxic coordinates"]. 이후, 상기 단면을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저장하였다. 각각의 시점(CT12, 16, 20, 24, 4 및 8)에 대하여, 5마리의 마우스를 수집하고, 각각의 마우스에 대한 두 개의 비-연속 단면을 선택하고,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이전 실험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현장 혼성화 프로토콜에 즉시 노출시켰다.
결과
일원 ANOVA에 의해 마우스 시교차상 핵에서 Kv3.1 mRNA 발현에 대한 유의한 효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6a). 대조적으로, 일원 ANOVA는 마우스의 활동 단계인, 광에서 암 단계로 변환하기 2시간 전에 상응하는 시점인 ZT 10에서의 현저한 피크의 발현과 함께 마우스의 시교차상 핵내 Kv3.2 mRNA의 발현에 대한 매우 유의한 시간 효과가 없었음을 나타냈다(p < 0.001)(도 6b).
도 6: (a) 24시간 광-암 주기에 걸쳐 상이한 서캐디안 시간 동안 희생된 마우스의 시교차상 핵에서 Kv3.1b mRNA의 발현. Kv3.b1 mRNA 발현은 n = 시점 당 5마리의 마우스로부터의 평균 ± S.E.M.으로서 nCi/g로 표현된다. (b) 시교차상 핵에서 Kv3.2 mRNA의 발현. Kv3.2 mRNA 발현은 n = 시점 당 5마리의 마우스로부터의 평균 ± S.E.M.으로서 표현된다. *** p < 0.001: CT 16에서 Kv3.2 mRNA 발현은 모든 다른 시점과 현저하게 상이하다. * p < 0.05: CT 20에서 Kv3.2 mRNA 발현은 CT 24 및 4에서 측정된 발현과 현저하게 상이하다.
이러한 결과는 시교차상 핵에서 Kv3.2 채널 발현이 24시간 서캐디안 주기에 걸쳐 변화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포유동물에서 서캐디안 시계를 세팅하는데 있어서 시교차상 핵의 핵심적인 역할을 고려해 볼 때, Kv3.2 채널은 이러한 시계의 기능에 중요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Kv3.2 채널을 조절하는 화합물은, 수면 및 양극성 장애를 포함하여, 서캐디안 기능장애와 관련된 장애의 치료에 가능성을 지닐 수 있다.
생물학적 실시예 9
랫트에서 생리적 수면의 평가
방법:
성체 수컷 CD 랫트 (C. River, Italy)를 텔레미터 프로브에 의해 수행하고, 제어된 조건 하에(온도 18 내지 20℃; 상대 습도 45 내지 50%; 12시간 광-암 주기, 서캐디언 시간 (CT) 0으로 지정된 3 p.m.에 조명) 사료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하도록 하여 개별적으로 수용하였다.
참조 실시예 RE1을 Tween(0.1 부피%) 및 HPMC (0.5 부피%)에서 제형화하고, CT18(조명 6시간 전)에 10, 30 및 60 mg/kg (vol. 2ml/kg)의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하였다.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 EEG) 및 근전도(electromyogram: EMG)를 텔레미터 장치 (DSI dataquest® A.R.T. system)를 이용함으로써 투여 직후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기록하였다. sleepSign® (Kissei Comtec Co.)을 이용하여 EEG 및 EMG 기록을 분석하여 수면 패턴을 평가하였다. Statistica-8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 (일원 ANOVA 이어서 Dunnett's 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60mg/kg에서 참조 실시예 RE1은 총 수면 시간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p<0.05, n=8); 시간은 투여 직후 5시간의 기간에 걸쳐 비-렘 수면(non-REM sleep)에서 소비되었지만(p<0.05, n=8), 렘 수면에서 소비된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동물의 생리적 수면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고,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인간의 수면 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Claims (43)

  1. 하기 화학식(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또는 용매화물:
    Figure pct00679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3는 부재이고;
    R13은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13은 부재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2.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I)인 화합물:
    Figure pct00680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3는 부재이고;
    R13은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거나; R13은 부재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3. 제 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pct00681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C1 - 4알킬, 할로, 할로C1 - 4알킬, CN, C1 - 4알콕시, 할로C1 - 4알콕시이고;
    R2는 H, C1 - 4알킬,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이고;
    R3는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할로이고;
    A는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또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은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고;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R4는 C1 -4 알킬이고;
    R5는 H, 중수소, C1 -4 알킬이고;
    또는 R4와 R5는 융합되어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고;
    R2 및 R3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고; R2는 융합된 고리 원자에 결합할 수 있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H인 화합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인 화합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가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5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이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합물.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가 하나 이상의 O 원자를 지니는 6 원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헤테로사이클이고; 여기서 헤테로사이클이 임의로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어 페닐과 함께 고려되는 때에 트리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합물.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고리 A가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A가 페닐 고리에 대한 메타 위치에서 산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A가 디하이드로푸란 또는 디하이드로피란인 화합물.
  11.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A가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지 않는 화합물.
  12.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리 A가 사이클로프로필 기와 융합되는 화합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H, F, 메틸, 에틸, 이소프로필 또는 C3 스피로 기인 화합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R2가 H, 메틸, 또는 C3 스피로 기인 화합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인 화합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R3가 H, F, 메틸 또는 에틸인 화합물.
  17. 제 16항에 있어서, R3가 H 또는 메틸인 화합물.
  18.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부재인 화합물.
  19.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3이 H, C1 - 4알킬, 할로C1 - 4알킬, 또는 할로인 화합물.
  20. 제 19항에 있어서, R13이 H, F, 또는 메틸인 화합물.
  21. 제 20항에 있어서, R13이 H인 화합물.
  22. 제 20항에 있어서, R13이 메틸인 화합물.
  23. 제 1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3이 부재인 화합물.
  24.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C인 화합물.
  25. 제 1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N인 화합물.
  26.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C인 화합물.
  27. 제 1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N인 화합물.
  28.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메틸인 화합물.
  29.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가 에틸인 화합물.
  30. 제 1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가 H인 화합물.
  31. 제 1항 내지 제 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5가 메틸인 화합물.
  32. 제 1항 내지 제 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 및 R5가 하기 입체화학적 배열을 지니는 화합물:
    Figure pct00682
  33. 제 1항 내지 제 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와 R5가 함께 C3 -4 스피로 카보사이클을 형성하는 화합물.
  34. 실시예 1 내지 70 중 어느 한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35.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36. 제 35항에 있어서,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schizophrenia), 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간질(epilepsy) 또는 수면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37. 제 36항에 있어서, 청력 손실(hearing loss) 또는 이명(tinnitus)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38. 제 35항 내지 제 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의 약제학적 활성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39.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피검체에 투여함으로써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간질 또는 수면 장애를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
  40. 청각 장애,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간질 또는 수면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41. 제 1항 내지 제 3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42. 하기 화합물들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염:
    3,3-디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Figure pct00683

    스피로[1-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Figure pct00684

    7-메틸스피로[2H-벤조푸란-3,1'-사이클로프로판]-4-올
    Figure pct00685

    3,3,7-트리메틸-2,3-디하이드로-1-벤조푸란-4-올
    Figure pct00686
  43.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염:
    Figure pct00687

    상기 식에서,
    X는 C 또는 N이고;
    Y는 C 또는 N이고;
    W 기는
    Figure pct00688

    로부터 선택된다.
KR1020137017537A 2010-12-06 2011-12-06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 KR101862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0/068946 WO2011069951A1 (en) 2009-12-11 2010-12-06 Imidazolidinedione derivatives
GBGB1020607.6A GB201020607D0 (en) 2010-12-06 2010-12-06 Novel compounds
EPPCT/EP2010/068946 2010-12-06
GB1020607.6 2010-12-06
GB1109508.0 2011-06-07
GBGB1109508.0A GB201109508D0 (en) 2011-06-07 2011-06-07 Novel compounds
GB1113757.7 2011-08-10
GBGB1113757.7A GB201113757D0 (en) 2011-08-10 2011-08-10 Novel compounds
PCT/GB2011/052414 WO2012076877A1 (en) 2010-12-06 2011-12-06 Hydantoin derivatives useful as kv3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815A true KR20130138815A (ko) 2013-12-19
KR101862375B1 KR101862375B1 (ko) 2018-05-29

Family

ID=4546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7537A KR101862375B1 (ko) 2010-12-06 2011-12-06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3) US9346790B2 (ko)
EP (1) EP2649066B1 (ko)
JP (2) JP5913357B2 (ko)
KR (1) KR101862375B1 (ko)
CN (1) CN103328467B (ko)
AU (1) AU2011340258C1 (ko)
BR (1) BR112013013914B1 (ko)
CA (1) CA2817205C (ko)
DK (1) DK2649066T3 (ko)
EA (2) EA023768B1 (ko)
ES (1) ES2560304T3 (ko)
HK (1) HK1190395A1 (ko)
IL (3) IL226256A0 (ko)
MX (1) MX338489B (ko)
PL (1) PL2649066T3 (ko)
SG (2) SG190203A1 (ko)
WO (1) WO2012076877A1 (ko)
ZA (1) ZA2014035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81685C (en) * 2009-12-11 2018-09-04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Imidazolidinedione derivatives
PL2649066T3 (pl) 2010-12-06 2017-04-28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Pochodne hydantoiny przydatne jako inhibitory KV3
GB201209986D0 (en) 2012-06-06 2012-07-18 Autifony Therapeutics Ltd Novel compounds
CN103596943B (zh) 2011-06-07 2016-10-12 奥蒂福尼疗法有限公司 用作kv3抑制剂的乙内酰脲衍生物
DK2788339T3 (en) 2011-12-06 2016-05-23 Autifony Therapeutics Ltd HYDANTOIN DERIVATIVES, USEFUL AS QU3 INHIBITORS
BR112014028718A2 (pt) * 2012-05-22 2017-06-27 Autifony Therapeutics Ltd derivados de hidantoína como inibidores de kv3
WO2013175215A1 (en) 2012-05-22 2013-11-28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Triazoles as kv3 inhibitors
WO2013182851A1 (en) * 2012-06-06 2013-12-12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Prophylaxis or treatment of diseases where a modulator of kv3.3 channels is required
EP3092234B1 (en) * 2013-12-20 2018-02-14 Gilead Sciences, Inc. Fused heterocyclic compounds as ion channel modulators
CA2934891C (en) 2014-01-16 2023-02-28 Nicholas Ryan DEPREZ Pyrimidinyloxy benzene derivatives as herbicides
ES2707506T3 (es) * 2014-03-21 2019-04-03 Biotage Ab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equilibrado de una columna de cromatografía empaquetada
CN103980205B (zh) * 2014-06-05 2016-01-20 武汉格罗宁根医药科技有限公司 N-3-取代磺酰胺乙基-5-环丙烷螺环乙内酰脲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713530B (zh) 2015-06-05 2020-12-21 美商艾佛艾姆希公司 作為除草劑之嘧啶氧基苯衍生物
GB201521751D0 (en) * 2015-12-10 2016-01-27 Autifony Therapeutics Ltd Novel uses
GB201522179D0 (en) * 2015-12-16 2016-01-27 Autifony Therapeutics Ltd Novel compounds
GB201613163D0 (en) 2016-07-29 2016-09-14 Autifony Therapeutics Ltd Novel compounds
WO2018109484A1 (en) 2016-12-16 2018-06-21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Hydantoin modulators of kv3 channels
EP3619206B1 (en) 2017-05-02 2024-02-14 FMC Corporation Pyrimidinyloxy benzo-fused compounds as herbicides
WO2018220762A1 (ja) * 2017-05-31 2018-12-06 大塚製薬株式会社 ピリミジン化合物
CN107556262B (zh) * 2017-08-14 2020-05-22 四川大学 一种2-取代基芳并噁唑的制备方法
DE112018007799T5 (de) 2018-07-03 2021-03-25 Cummins Emission Solutions Inc. Zersetzungsreaktor mit körpermischung
BR112021006940A2 (pt) * 2018-10-16 2021-07-13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compostos
GB201821066D0 (en) * 2018-12-21 2019-02-06 Univ Oxford Innovation Ltd Sleep modulation
AU2019296526A1 (en) * 2019-03-25 2021-09-16 Bionomics Limited Substituted-N-heteroaryl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220139923A (ko) 2020-02-06 2022-10-17 오티포니 세라피틱스 리미티드 Kv3 조절제
US11638606B2 (en) 2020-04-15 2023-05-02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Bipolar electrosurgical pleura sealing devic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EP3901152A1 (en) 2020-04-23 2021-10-27 F. Hoffmann-La Roche AG Kv3 enhancers for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CN112213428A (zh) * 2020-10-13 2021-01-12 辽宁科技大学 一种超临界co2中进行非催化乙酰基化反应及其在线检测方法
CN117751119A (zh) 2021-08-10 2024-03-22 奥蒂福尼疗法有限公司 钾通道调节剂
WO2023101418A1 (ko) * 2021-12-03 2023-06-08 (주)인비보텍 난청 또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4170A (en) * 1964-01-23 1969-10-21 Fmc Corp Pesticidal carbamates of dihydrobenzofuranols
US4143055A (en) * 1978-03-27 1979-03-06 Gruppo Lepetit S.P.A. 2,4,6-trisubstituted-2,3-dihydro-benzofuran derivatives
DE3015090A1 (de) 1980-04-19 1981-10-22 Basf Ag, 6700 Ludwigshafen ]-(trihalogenmethyl-sulfenyl)-4-aryl-1,2,4-triazolidin-5-o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enthaltende fungizide und verfahren zur bekaempfung von pilzen mit diesen verbindungen
DE3133405A1 (de) 1981-08-24 1983-03-10 Basf Ag, 6700 Ludwigshafen 1-(trihalogenmethyl-sulfenyl)-4-aryl-1,2,4-triazolidin-5-one und diese enthaltende fungizide
US4675403A (en) 1985-10-16 1987-06-2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3-Aminoalkyl derivatives of 5,5-disubstituted hydantoins with psychotropic activity
JP2514945B2 (ja) * 1987-02-05 1996-07-10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
DE3810848A1 (de) 1988-03-30 1989-10-19 Boehringer Ingelheim Kg Neue 2,3,4-substituierte imidazole und 3,4,5-substituierte 1,2,4-triazol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3836175A1 (de) 1988-10-24 1990-05-03 Bayer Ag Fluor enthaltende phenole
CA2007830A1 (en) * 1989-01-18 1990-07-18 Shuji Ozawa 2,3-dihydro-3, 3-dimethyl-5-trifluoromethanesulfonyloxy-benzofurans, process for producing them and herbicides containing them
MX22406A (es) 1989-09-15 1994-01-31 Pfizer Nuevos derivados de n-aril y n-heteroarilamidas y urea como inhibidores de acil coenzima a: acil transferasa del colesterol (acat).
JPH03153606A (ja) * 1989-11-10 1991-07-01 Mitsui Petrochem Ind Ltd 除草剤組成物
US5362878A (en) 1991-03-21 1994-11-08 Pfizer Inc. Intermediates for making N-aryl and N-heteroarylamide and urea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acyl coenzyme A: cholesterol acyl transferase (ACAT)
DK123493D0 (da) 1993-11-01 1993-11-01 Lundbeck & Co As H Compounds
WO1996036229A1 (en) 1995-05-17 1996-11-2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cyclic amides
PL323497A1 (en) 1995-05-17 1998-03-30 Du Pont Cyclic amides acting as fungicides
EP0836384A1 (en) 1995-06-20 1998-04-2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hropodicidal and fungicidal cyclic amides
CN1231663A (zh) 1996-08-01 1999-10-13 纳幕尔杜邦公司 杀节肢动物剂和杀真菌剂环酰胺
CZ184599A3 (cs) 1996-11-26 1999-09-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ylem substituované fungicidy a artropodicidy
WO1998023155A1 (en) 1996-11-26 1998-06-04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rthropodicidal and fungicidal cyclic amides
WO1998033382A1 (en) 1997-01-30 1998-08-06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ungicidal compositions
JP4171549B2 (ja) 1998-01-28 2008-10-22 大正製薬株式会社 含フッ素アミノ酸誘導体
JP4194715B2 (ja) 1998-08-31 2008-12-10 大正製薬株式会社 6−フルオロビシクロ[3.1.0]ヘキサン誘導体
JP2000072731A (ja) 1998-08-31 2000-03-07 Taisho Pharmaceut Co Ltd 4−置換−2−アミノビシクロ[3.1.0]ヘキサン−2,6−ジカルボン酸誘導体及び製薬用組成物
AU763976B2 (en) 1999-07-23 2003-08-07 Shionogi & Co., Ltd. Th2 differentiation inhibitors
MXPA02009763A (es) 2000-04-04 2003-03-27 Shionogi & Co Composiciones aceitosas las cuales contienen farmacos altamente solubles en grasa.
WO2001076582A1 (fr) 2000-04-05 2001-10-18 Shionogi & Co., Ltd. Micro-emulsions huile dans eau contenant des composes tricycliques ou des preconcentres de ceux-ci
FR2812633A1 (fr) 2000-08-04 2002-02-08 Aventis Cropscience Sa Derives de phenyl(thio)urees et phenyl(thio)carbamates fongicides
AU2002354410A1 (en) 2001-12-05 2003-06-17 Japan Tobacco Inc. Triazole compound and medicinal use thereof
ES2311711T3 (es) 2002-02-07 2009-02-16 The Curators Of The University Of Missouri Compuestos de 4-(3-hidroxifenil) o 4-(3-alcoxifenil)-1,2,4-triazol activos como receptores de opioides.
FI20030030A0 (fi) * 2003-01-09 2003-01-09 Orion Corp Uusia yhdisteitä
US20050009817A1 (en) 2003-04-30 2005-01-13 Jennifer Savoy Substituted heteroaryls
WO2005000309A2 (en) 2003-06-27 2005-01-06 Ionix Pharmaceuticals Limited Chemical compounds
GB0325175D0 (en) 2003-10-28 2003-12-03 Novartis Ag Organic compounds
US7256208B2 (en) 2003-11-13 2007-08-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Monocyclic N-Aryl hydantoin modulators of androgen receptor function
US20060211697A1 (en) 2004-12-08 2006-09-21 Liren Huang 2-(2 Or 4-substituted aryloxy)-phenol derivatives as antibacterial agents
US7709517B2 (en) 2005-05-13 2010-05-0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iarylhydantoin compounds
RS52274B2 (sr) 2005-05-13 2018-05-31 Univ California Jedinjenje diarilhidantoina
DK2656842T3 (en) 2006-03-27 2016-11-07 Univ California Androgen receptor MODULATOR FOR THE TREATMENT OF PROSTATE CANCER AND androgen receptor-ASSOCIATED DISEASES
SG10201408699TA (en) 2006-03-29 2015-02-27 Univ California Diarylthiohydantoin compounds
RU2009108280A (ru) 2006-08-08 2010-09-20 Санофи-Авентис (Fr) Ариламиноарилалкилзамещенные имидазолидин-2,4-дионы, способы их получения, содержащие эти соединения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US8143293B2 (en) 2007-04-20 2012-03-27 Deciphera Pharmaceuticals, Llc Kinase inhibitors useful for the treatment of myleoprolific diseases and other proliferative diseases
WO2009097998A1 (de) * 2008-02-07 2009-08-13 Sanofi-Aventis Arylchalcogeno-arylalkyl-substituierte imidazolidin-2,4-dio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iese verbindungen enthaltende arzneimittel und ihre verwendung
MX2011001821A (es) * 2008-09-02 2011-03-25 Sanofi Aventis Aminoindanos sustituidos y sus analogos, y el uso farmaceutico de los mismos.
KR20110094352A (ko) * 2008-12-22 2011-08-23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헤테로사이클릭 항바이러스 화합물
CA2781685C (en) * 2009-12-11 2018-09-04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Imidazolidinedione derivatives
MX2012006513A (es) 2009-12-14 2012-07-17 Hoffmann La Roche Compuestos heterociclicos antivirales.
PL2649066T3 (pl) * 2010-12-06 2017-04-28 Autifony Therapeutics Limited Pochodne hydantoiny przydatne jako inhibitory KV3
CN103596943B (zh) 2011-06-07 2016-10-12 奥蒂福尼疗法有限公司 用作kv3抑制剂的乙内酰脲衍生物
AU2016343840A1 (en) 2015-10-30 2018-06-07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Mucus penetrating particles with high molecular weight and dense coatin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4490A1 (en) 2022-02-24
CA2817205C (en) 2020-04-07
HK1190395A1 (en) 2014-07-04
US10265316B2 (en) 2019-04-23
EP2649066A1 (en) 2013-10-16
JP5913357B2 (ja) 2016-04-27
JP2013544873A (ja) 2013-12-19
WO2012076877A1 (en) 2012-06-14
CN103328467A (zh) 2013-09-25
US9422272B2 (en) 2016-08-23
US11583527B2 (en) 2023-02-21
US9346790B2 (en) 2016-05-24
EA027532B1 (ru) 2017-08-31
ZA201403529B (en) 2020-03-25
US20170273981A1 (en) 2017-09-28
US20180036308A1 (en) 2018-02-08
IL226256A0 (en) 2013-07-31
US20140323508A1 (en) 2014-10-30
MX338489B (es) 2016-04-18
US20200179385A1 (en) 2020-06-11
US20190000849A1 (en) 2019-01-03
EA023768B1 (ru) 2016-07-29
AU2011340258B2 (en) 2016-05-19
AU2011340258A1 (en) 2013-05-30
CA2817205A1 (en) 2012-06-14
EP2649066B1 (en) 2015-10-21
US20210023084A1 (en) 2021-01-28
US20130267510A1 (en) 2013-10-10
BR112013013914B1 (pt) 2021-10-26
CN103328467B (zh) 2016-08-10
US9133175B2 (en) 2015-09-15
MX2013006343A (es) 2013-09-13
EA201390609A1 (ru) 2014-01-30
AU2011340258C1 (en) 2016-10-20
ES2560304T3 (es) 2016-02-18
BR112013013914A2 (pt) 2016-09-13
US9833452B2 (en) 2017-12-05
JP6118927B2 (ja) 2017-04-19
US20160251340A1 (en) 2016-09-01
IL253102A0 (en) 2017-08-31
US20150336936A1 (en) 2015-11-26
SG190203A1 (en) 2013-06-28
IL253102B (en) 2018-04-30
US10098881B2 (en) 2018-10-16
JP2016145215A (ja) 2016-08-12
US20200360379A1 (en) 2020-11-19
DK2649066T3 (en) 2016-01-11
US11197859B2 (en) 2021-12-14
US20190192516A1 (en) 2019-06-27
KR101862375B1 (ko) 2018-05-29
US10835534B2 (en) 2020-11-17
US20160317537A1 (en) 2016-11-03
PL2649066T3 (pl) 2017-04-28
US11541052B2 (en) 2023-01-03
EA201490922A1 (ru) 2015-03-31
US10555945B2 (en) 2020-02-11
SG11201402529RA (en) 2014-06-27
IL253104A0 (en)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375B1 (ko) Kv3 억제제로서 유용한 하이단토인 유도체
KR101735675B1 (ko) 이미다졸리딘디온 유도체
JP6008953B2 (ja) Kv3阻害剤としてのヒダントイン誘導体
JP5985651B2 (ja) Kv3阻害剤として有用なヒダントイン誘導体
JP2015520764A (ja) Kv3阻害剤としてのトリアゾール
BR112014013400B1 (pt) Compostos derivados de hidantoína úteis como inibidores de kv3 e seus usos na profilaxia ou tratamento de distúrbios auditivos e esquizofrenia ou no tratamento de síndrome do x frág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