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993A - 중온 나트륨 배터리 - Google Patents

중온 나트륨 배터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993A
KR20130129993A KR1020137016600A KR20137016600A KR20130129993A KR 20130129993 A KR20130129993 A KR 20130129993A KR 1020137016600 A KR1020137016600 A KR 1020137016600A KR 20137016600 A KR20137016600 A KR 20137016600A KR 20130129993 A KR20130129993 A KR 20130129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lvanic cell
cathode
compartment
battery
polar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337B1 (ko
Inventor
존 고든
자비어 알바레
Original Assignee
세라마테크,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마테크,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세라마테크,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29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09Sodium-sulfur cells
    • H01M10/3954Sodium-sulfur cells containing additives or special arrangement in the sulfur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6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 H01M10/39Accumulato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M10/05-H01M10/34 working at high temperature
    • H01M10/399Cells with molten sa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녹아 있는 알칼리 금속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리튬)으로 만들어진 음극 물질 (17)을 가지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0)이다. 갈바니 전지 (10)는 또한 황 또는 아이오딘일 수 있는 양극 활성 물질 (13)을 포함한다. 양극 활성 물질 (13)은 극성 용매 (14)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온 전도성 세퍼레이터 (15)는 극성 용매 (14)와 음극 물질 (17) 사이에 놓인다. 양극 활성 물질 (13)은 극성 용매 (14)의 비중보다 더 큰 비중을 가진다. 따라서, 극성 용매 (14)가 양극 활성 물질 (13) 위에 있을 때 양극 활성 물질 (13)은 양극 구획 (11)의 바닥에 근접해 있다. 전지 (10)는 알칼리 금속의 녹는점보다 높은 온도, 그러나 약 250 ℃보다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고안된다.

Description

중온 나트륨 배터리{MODERATE TEMPERATURE SODIUM BATTERY}
본 출원은 2010년 12월 1일에 "중온 나트륨 배터리(Moderate Temperature Sodium Battery.)."라는 제목으로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418,749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는 것이다. 이 선출원은 명백히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태양은 배터리, 그리고 더욱 특히 나트륨-황 및 나트륨-아이오다이드 배터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컴퓨터, 휴대전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조명 장치뿐만 아니라 많은 다른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무수한 장치들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에 의존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욱 진보된 배터리 기술에 대한 계속된 요구가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풍력, 태양광, 또는 다른 에너지 기술의 로드-레벨링 능력(load-leveling capability)을 제공할 수 있는 경제적인 배터리에 대한 상당한 요구가 여전히 있다. (그러한 로드-레벨링 능력은 예를 들어, 풍력 또는 태양광 발전기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전으로서 발전 장치에서 쓰일 수 있다.) 또한, "정보화 시대"는 더 가벼운 무게, 더 높은 에너지, 더 긴 방전 시간, 및 더 작은 맞춤형 디자인을 제공하는 휴대용 배터리를 점점 요구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진보를 달성하기 위해, 허용되는 안전성, 전력 밀도, 비용 및 다른 요구되는 특성을 여전히 제공하면서도 더욱 높고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지는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한다.
나트륨-황 (Na-S) 배터리는 앞서 언급한 많은 요구사항들을 만족시킬 큰 가능성을 제시한다. 다음의 전반응을 가정할 때 나트륨-황 배터리의 이론적인 비에너지는 792 Wh/kg이다:
2 Na+3 S → Na2S3
이것은 비기체상의 구성 성분을 이용하는 배터리에 대해 알려진 가장 큰 비에너지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배터리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물질은 가볍고 고에너지성이며 비싸지 않고 쉽게 입수가능한 것이다. 다른 유형의 양극 물질과 다르게 황은 비교적 무독성이어서 사람의 접촉에도 이러한 배터리가 비교적 안전하도록 한다.
이 높은 비에너지를 고려하여, 나트륨-황 배터리는 상승된 온도, 예를 들어 250 ℃를 초과하고 더 전형적으로는 300 ℃와 35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배터리로 상업화되어 왔다. 그러한 나트륨-황 배터리는 보통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베타 알루미나 멤브레인(beta alumina membrane) 또는 베타'' 알루미나 멤브레인을 이용한다. 이러한 멤브레인은 좋은 전도성을 위해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나트륨 음극 및 황 양극은 이러한 Na-S 배터리와 관련된 상승된 온도 (예를 들어, 300 ℃와 350 ℃ 사이) 에서 녹아 있다.
분명히, 연구원들은 더 낮은 온도 (예를 들어, 250 ℃ 미만)에서 작동할 수 있는 나트륨-황 배터리를 만들기 위한 시도를 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10/0239893호는 세라믹 알칼리 이온 전도성 세라믹 멤브레인 및 고체 알칼리 금속 음극 (예를 들어 나트륨)을 이용하는 나트륨-황 배터리를 개시한다. 이 특허 출원에서 알려주는 배터리는 200 ℃ 미만에서 작동하도록 고안되었다. (미국 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10/0239893호의 개시내용은 명백히 여기에 참고문헌으로 삽입된다.)
그러나 당해 분야에는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음에도 여전히 높은 전력, 높은 전류밀도 및 다른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나트륨-황 배터리 (및 나트륨-아이오딘 배터리)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있다. 이러한 배터리를 여기서 개시한다.
본 실시태양은 높은 작동 전지 전위를 가지고 높은 전력을 생산할 수 있으나 다른 나트륨-황 배터리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한다. 본 실시태양에 따른 배터리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갈바니 전지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이러한 갈바니 전지는 음극과 양극을 가질 수 있다. 양극은 비기체상 물질일 수 있고 또는 비기체상의 활성 물질을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배터리가 작동하는 온도, 대개 100 ℃와 250 ℃ 사이에서 양극 (또는 양극 활성 물질)은 비기체상의 상태일 수 있다. 보통, 양극은 나트륨 및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이 녹아 있는 범위에서 비기체상일 수 있다. 많은 실시태양에서 양극 활성 물질은 액체 상태일 수 있다.
극성 용매가 양극 활성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은 극성 용매의 비중보다 더 큰 비중을 가질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은 또한 배터리 반응시 극성 용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성인 알칼리 금속염 또는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다.
극성 용매는 예를 들어 100 ℃와 250 ℃ 또는 185 ℃와 250 ℃ 사이와 같은 배터리의 작동 온도에 걸쳐 액상으로 남아있도록 선택될 수 있다. 만일 배터리의 작동 온도가 더 좁은 범위를 가진다면 이 때 극성 용매는 이러한 더 좁은 온도 범위 전체에 걸쳐 액상으로 남아 있어야 한다. 양극 활성 물질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극성 용매의 예는 N-메틸 포름아미드 (NMF),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글라임(tetraglyme), 디글라임(diglyme), 디메틸에테르, 아세트아미드, 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등이다. 이러한 용매 대부분은 0.9 g/입방 센티미터 내지 1.1 g/입방 센티미터 범위의 비중을 가진다. 사용될 수 있는 다른 극성 용매는 에탄올암모늄 니트레이트와 같은 이온성 액체 및 이미다졸륨 할로게노알루미네이트염 및/또는 다른 이온성 액체를 포함한다. 앞에서의 용매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극성 용매는 비기체상 용매일 수 있다.
본 실시태양의 배터리에 적절한 양극 활성 물질은 황 및 아이오딘이다. 황은 2.07 g/입방 센티미터의 비중을 가지며 115 ℃ 내지 445 ℃ 범위에서 녹아 있다. 황은 또한 나트륨과 커플을 형성한다. 배터리에서 황이 양극으로 사용되고 나트륨이 음극으로 사용될 때, 배터리는 대략 2.2 V의 출력을 생산할 수 있다. 유사하게, 아이오딘은 4.92 g/입방 센티미터의 비중을 가지며 114 ℃ 내지 185 ℃ 범위에서 액체이다. 아이오딘은 또한 나트륨 이온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배터리에서 아이오딘이 양극으로 사용되고 나트륨이 음극으로 사용될 때 배터리는 대략 3.2 V의 출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황 및 아이오딘 양쪽의 나트륨염은 사실상 극성이며 상기 열거된 용매를 포함하여 많은 극성 용매에서 용해성이다. 실제로, 나트륨의 다중황화물은 특히 NMF에서 용해성이다.
황/아이오딘이 양극으로 사용될 때 (그리고 나트륨이 음극으로 사용될 때), 다음의 반응이 양극에서 일어날 것이다:
배터리 방전 :
Na++½I2+e- → NaI
2 Na++1/8 S8+2 e- → Na2S, 다르게는
2 Na++3/8 S8+2 e- → Na2S3
(황의 경우에, 다양한 차수의 다중황화물이 또한 양극에서 형성될 것이다.)
배터리 충전:
NaI → Na++½I2+e-
Na2S → 2 Na++1/8 S8+2 e-, 다르게는
Na2S3 → 2 Na++3/8 S8+2 e-
(황의 경우에, 다양한 차수의 다중황화물이 또한 양극에서 감소할 것이다.)
배터리의 부분으로서 알칼리 금속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이 음극 물질을 양극 물질로부터 분리한다. 이러한 멤브레인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는 나트륨 베타 알루미나, 나트륨 베타” 알루미나, 및 NaSICON (만약 음극 물질이 나트륨인 경우)이다. 시판되는 NaSICON 멤브레인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의 세라마텍, 인크(Ceramatec, Inc., of Salt Lake City, Utah)로부터 입수 가능)은 나트륨-금속-포스페이트 구조 (Na1 + xZr2Xy(PO4)3)에 기초하며 여기서 x는 0과 3 사이고 X는 도판트이다. 이 NaSICON 멤브레인의 전도성은 100 ℃에서 4.6 밀리지멘스/센티미터(mS/cm)에 근접하며 200 ℃에서 약 17.5 mS/cm까지 오른다. 다른 유형의 NaSICON 멤브레인 역시 사용될 수 있다. 만약 음극 물질이 리튬이라면 이 때 LISICON 또는 유리 세라믹 물질과 같은 리튬 전도성 멤브레인이 사용될 수 있다. LiSICON은 리튬 전도성 세라믹의 종류이며 다음을 포함한다 : Li2 +2 xZn1 - xGeO4 (-0.36 < x < 0.87), Li14ZnGe4O16, 및 화학량비와 양이온 치환 양에서의 약간의 변형물. 여기서 사용할 때 "LiSICON"이라는 용어는 또한 Li1 + xAlxTi2 -x(PO4)3, (여기서 x는 0.0 과 0.5 사이); 및 Li(1+x+4y)AlxTi(1-x-y)(PO4)3 (여기서 x와 y는 0.0과 0.5 사이)인 화학식을 가지며 성질을 개선하기 위해 양이온의 약간의 치환이 이루어질 수 있는 세라믹 멤브레인을 포함하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조성물의 리튬 알루미늄 티타늄 포스페이트 족 역시 포함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리튬 이온 전도성 유리 세라믹 물질은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Li1 .5Al0 .5Ge1 .5(PO4)3- xLi2O (x = 0.0-0.20) 뿐만 아니라 리튬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세라믹 족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소의 다른 원소로의 부분적 치환은 물질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치환은 본 실시태양의 일부인 것으로 이해된다.
양극 구획은 양극 전류 집전체를 수용할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의 비중이 극성 용매보다 더 크기 때문에 극성 용매가 활성 물질 위에 머무르는 동안 액체 양극 활성 물질은 양극 구획의 바닥에 머무른다. 전지의 충전 또는 방전 상태에 따라 전지 바닥의 양극 활성 물질 수준은 올라가고 내려갈 것이다. 따라서, 액체 양극 활성 물질의 상승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양극 전류 집전체는 어떤 상승 변화가 일어날 수 있든지 간에 활성 물질/용매 경계면과의 전기적 접촉을 확실히 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양극 전류 집전체는 경계면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든 극성 용매/양극 활성 물질의 경계면에서 액체 양극 활성 및 극성 용매와의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양극 반응 동안 양 전하를 가지는 나트륨 이온은 양극 전류 집전체를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은 나트륨 이온이 극성 용매, 전자 및 양극 활성 물질을 통해 통과하도록 한다. 위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반응이 일어나는 위치는 액체 활성 물질의 수준이 변함 (예를 들어, 액상 황 또는 아이오딘의 수준/상승)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양극 전류 집전체는 전자적으로 전도성이어야 하며 양극 활성 물질, 용매 및 알칼리염과 비반응성일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이 황 또는 아이오딘이라면 아이오딘화나트륨 역시 혼합물의 이온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양극 구획에 포함될 수 있다.
리튬이 활성 음극 물질로 이용된다면 황이 양극 활성 물질로 선택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리튬이 181 ℃에서 녹는데 이것이 아이오딘의 끓는 온도에 근접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리튬과 황의 경우에 적절한 작동 온도 범위는 182 ℃ 내지 250 ℃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 반응 동안 182 ℃와 250 ℃의 온도 범위 사이에 액상으로 남아있는 극성 용매가 있어야 한다.
위에 인용된 것과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을 얻는 방식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첨부된 도면에서 도시하는 그 특정 실시태양에 대한 언급을 통해 위에 간단히 기술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기술할 것이다. 이러한 도면은 오로지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태양만을 묘사하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생각되지 않음을 이해하면서, 본 발명은 수반되는 첨부 도면의 이용을 통해 추가적인 구체사항과 상세사항을 기술하고 설명하며, 여기서:
도 1은 본 실시태양에 따른 갈바니 전지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태양에 따른 다른 갈바니 전지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음극으로서 녹아 있는 나트륨, NaSICON 세라믹 멤브레인, 양극 구획 내에서 용매로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양극 활성 물질로서 황/황화물을 이용하여 25 mA/㎠ 에서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4는 음극으로서 녹아 있는 나트륨, NaSICON 세라믹 멤브레인, 양극 구획 내에서 용매로서 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양극 활성 물질로서 황/황화물을 이용하여 100 mA/㎠ 에서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성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실시태양에 따른 갈바니 전지가 배터리를 형성하기 위해 조립될 수 있는 방식을 보여주는 개략적 도표이고; 그리고
도 6은 갈바니 전지를 만드는 예시적인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 도표이다.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태양은 그림에 대한 언급으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는데 여기 전체에서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숫자로 지정한다. 여기 도면에서 보통 기술하고 도식하듯이 본 발명의 요소는 각각 다른 매우 다양한 형상에서 배열되고 고안될 수 있음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나타나는 대로 본 실시태양에 대한 다음의 더욱 상세한 기술은 청구된 대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가 아니나 단지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태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제 도 1에 대하여 언급하면 갈바니 전지 (10)의 개략적 대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전지 (10)은 양극 구획 (11) 및 음극 구획 (16)을 포함한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양극 구획 (11)과 음극 구획 (16)을 가지는 전지 (10)를 어떻게 만드는지 이해할 것이다. 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양극 구획 (11)과 음극 구획 (16)을 형성하기 위해 폐쇄 벽 (30)이 이용될 수 있다. 폐쇄 벽 (30)을 만드는 것은 음극 구획 (16)과 양극 구획 (11) 사이에 직접적인 전기적 소통이 없도록 하는 것이어야 한다. 이 폐쇄 벽 (30)은 물, 공기 등이 전지 (10)로 들어와서 그 안에 함유된 화학물질과 반응하는 것을 막기 위해 불침투성일 수 있다.
음극 구획 (16) 내에 음극 물질 (17)이 있을 수 있다. 이 음극 물질 (17)은 금속일 수 있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될 때 음극 물질 (17)은 여기서 음극 금속 (17)으로 언급할 수 있다.) 여기 나타난 바와 같이, 음극 금속은 나트륨 또는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일 수 있다. 보통, 전지 (10)는 음극 금속 (17) (예를 들어, 나트륨 또는 리튬) 이 액체인 온도에서 작동할 것이다. 따라서, 도 1의 묘사에서 음극 금속 (17)은 액상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어, 음극 금속 (17)이 리튬이라면 전지 (10)는 약 185 ℃와 약 25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 (되고/되거나 유지)되도록 고안할 수 있다. 음극 금속 (17)이 나트륨이라면, 전지 (10)는 약 100℃와 약 200 ℃ 사이,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00 ℃와 약 185 ℃ 사이, 그리고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약 110 ℃와 약 17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 (되고/되거나 유지)되도록 고안할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음극 구획을 둘러싼다. 다른 물질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윗 공간 (18)은 음극 구획 (16) 내에 있을 수 있으며 액체 음극 금속 (17)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윗 공간 (18)은 추가로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 (1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지 (10)가 충전 또는 방전되고 있을 때, 음극 금속 (17) (나트륨 또는 리튬)은 반응에서 소모되거나 방출된다. 따라서 음극 금속 (17)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액체 음극 금속 (17)의 레벨이 변화 (예를 들어, 올라가거나 내려감)할 수 있다. 액체 음극 금속 (17)의 레벨이 변화할 때 비활성 기체 (19)를 도관 (27)을 통해 범람 구획 (26)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윗 공간 (18) 안의 비활성 기체 (19)가 갈바니 전지 (10)를 나가고 갈바니 전지 (10)로 다시 들어오게 한다. 필요하다면 비활성 기체 (19)를 구획 (26)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하도록 도관 (27)의 일부로서 밸브 또는 다른 조절 기전을 사용할 수 있다.
전지 (10) 안에서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을 사용한다.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은 양극 구획 (11)을 음극 구획 (16)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따라 음극 금속 (17)을 양극 구획 (11) 안에 수용된 화학물질로부터 격리한다.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은 음극 구획 (16)과 양극 구획 (11) 사이에 관통하는 공극이 없도록 만들 수 있다. 멤브레인 (15)은 나트륨 양이온 또는 리튬 양이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이온을 멤브레인 (15)을 통해 수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멤브레인 (15)은 멤브레인 (15)의 유효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멤브레인의 외부 표면에 위치한 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은 NaSICON 멤브레인이다. 그러나 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물질은 LiSICON, 나트륨 베타 알루미나, 및/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한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은 평평하다.
전지 (10)의 양극 구획 (11)을 폐쇄 벽 (30)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폐쇄 벽 (30)은 전자 전도성 및/또는 불침투성인 다중층으로 분리할 수 있다. 벽의 각각의 층은 전자 전달 및/또는 벽 내에 구성성분 함유와 같은 그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벽 (30)은 전자를 전달하고 벽 (30) 내에 구성성분을 함유하도록 고안된 단일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벽 (30)은 이 때 불침투성의 절연성 고분자로 (바깥쪽에) 둘러쌀 수 있는 흑연 또는 내식 금속을 주로 포함할 수 있다.
양극 구획 (11)은 극성 용매 (14)를 수용한다. 극성 용매 (14)는 배터리의 작동 온도 (예를 들어, 100 ℃와 200 ℃ 사이)에 걸쳐 액상으로 남아있도록 선택한다. 양극 활성 물질과 사용할 수 있는 극성 용매의 예는 N-메틸 포름아미드 (NMF),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틸에테르, 등이다. 대부분의 이러한 용매는 0.9 g/입방 센티미터 내지 1.1 g/입방 센티미터 범위의 비중을 가진다. 다른 극성 용매는 에탄올암모늄 니트레이트 및 이미다졸륨 할로게노알루미네이트염 등과 같은 이온성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은 용매로서 아세트아미드, 메틸아세트아미드 또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양극 구획 (11)은 또한 양극 활성 물질 (13)을 수용한다. 이 양극 활성 물질 (13)은 황 또는 아이오딘일 수 있다. 황은 2.07 g/입방 센티미터의 비중을 가지며 115 ℃ 내지 445 ℃ 범위에서 녹아 있다. 유사하게 아이오딘은 4.92 g/입방 센티미터의 비중을 가지며 114 ℃ 내지 185 ℃ 의 범위에서 액체이다. 황 및 아이오딘 양쪽의 나트륨염은 성질상 극성이며 위에 열거된 것과 같은 극성 용매에서 용해성이다. 사실상 나트륨의 다황화물은 특히 NMF에서 용해성이다.
황과 아이오딘 양쪽 모두 극성 용매 (14)보다 큰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양극 활성 물질 (13) (예를 들어, 황/아이오딘)은 극성 용매 (14) 아래에 (예를 들어, 양극 구획 (11)의 바닥에 또는 그 근처에) 위치한다. 전지 (10)가 충전 또는 방전되고 있을 때 양극 활성 물질 (13) (황 또는 아이오딘)은 반응에서 소모되거나 방출된다. 따라서, 양극 활성 물질 (13)의 양이 변화하기 때문에 양극 구획 (11) 안의 극성 용매 (14) 레벨 역시 변화 (예를 들어, 올라가거나 내려감)할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 (13)의 레벨이 변화할 때 극성 용매 (14)를 도관 (37)을 통해 범람 구획 (35)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갈바니 전지 (10)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극성 용매 (14)가 전지 (10)를 나가고 전지 (10)로 다시 들어오게 한다. 필요하다면 극성 용매 (14)를 구획 (35)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하도록 도관 (37)의 일부로서 밸브 또는 다른 조절 기전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 극성 용매 (14)가 양극 활성 물질 (13)로 채워지지 않은 양극 구획 (11)을 채워서 극성 용매 (14)가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15)과 양극 활성 물질 (13) 사이의 이온성 소통을 제공하도록 한다. 범람 구획 (35) 안에 극성 용매 (14) 위에 윗 공간 (21)이 있을 수 있다. 이동가능하거나 유연한 벽 또는 벽의 일부를 통해서 가변적 부피를 가지도록 고안할 수 있는 범람 구획 (35)을 극성 용매 (14)가 전부 채우는 다른 실시태양을 고안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비활성 기체 (예를 들어, 아르곤, 질소 등)를 윗 공간 (21)에서 사용한다.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양극 구획 (11)이 하나 이상의 양극 전류 집전체 (8)를 수용하는 실시태양을 만들 수 있다. 도 1의 실시태양에서 전류 집전체 (8)는 하나 이상의 전류 집전체 핀 (fin) (12)을 포함한다. (물론, 다른 실시태양은 전류 집전체가 다른 구조를 포함하는 것으로 고안할 수 있다.) 이러한 전류 집전체 핀 (12)은 양극 구획 (11)의 바닥 (50)으로부터 위를 향해 양극 구획 (11)으로 뻗을 수 있다. 핀 (12)은 로드 (rod)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전류 집전체 핀 (12)은 양극 구획 (11)의 바닥에서의 더 고밀도의 양극 활성 물질 (13)과 양극 구획 (11)의 위에 위치한 액체 극성 용매 (14) 사이의 경계면 (62)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핀 (12)은 핀 (12) 사이의 물질의 수송을 촉진하기 위해 다공성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오직 하나의 핀 (12)이 구멍 (60)과 함께 보여진다. 그러나, 모든 핀 (12)은 필요에 따라 구멍 (60)을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하나 초과의 구멍 (60)이 핀(들) (12)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극성 용매 (14)/양극 활성 물질 (13) 사이의 경계면 (62)이 올라가고 내려갈 때, 핀 (12)이 여전히 경계면 (62)에 전자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핀 (12)을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핀 (12)은 경계면 (62) 위치가 변화 (상승)할 때조차도 경계면 (62)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핀 (12)은 또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더 넓은 표면적을 제공하고 이에 따른 추가적인 장점을 제공한다. 전지 (10)가 완전히 충전 또는 방전될 때조차도 경계면 (62)의 높이가 하나 이상의 핀 (12)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핀 (12)의 높이를 고안한다.
전지 (10)와 관련된 반응을 이제 기술할 것이다. 다음의 실시예에서 나트륨을 음극 금속 (17)으로 사용한다:
배터리 방전:
양극 반응:
½I2+e- → I-
(양극 활성 물질 (13)로 아이오딘을 사용하는 경우)
1/8 S8+2 e- → S-2 또는 다르게는
Sy+2 e- → Sy -2, 여기서 1≤y≤30 또는 다르게는
1/8 S8+Sy -2+2 e- → S(y+1) -2, 여기서 1≤y≤30
(양극 활성 물질 (13)로 황을 사용하는 경우; 그러나 일부 다중황화물 또한 양극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음극 반응:
Na → Na++e-
배터리 충전:
양극 반응:
I → ½I2+e-
(양극 활성 물질 (13)로 아이오딘을 사용하는 경우)
S → 1/8 S8+2 e-, 다르게는
Sy -2 → Sy+2 e-, 여기서 1≤y≤30 또는 다르게는
S(y+1) -2 → 1/8 S8+Sy -2+2 e-, 여기서 1≤y≤30
(양극 활성 물질 (13)로 황을 사용하는 경우)
음극 반응:
Na++e- → Na
배터리에서 양극으로 황을 사용하고 음극으로 나트륨을 사용할 때, 배터리는 대략 2.2 V의 출력을 생산할 수 있다. 배터리에서 양극으로 아이오딘을 사용하고 음극으로 나트륨을 사용할 때 배터리는 대략 3.2 V의 출력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음극 금속 (17)으로 리튬을 사용하는 실시태양을 고안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서 양극 활성 물질 (13)로 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리튬이 181 ℃에서 녹는데 이것이 아이오딘의 끓는 온도에 근접한다는 것이 그 이유이다. 따라서 리튬 및 황의 경우에 적절한 작업 온도 범위는 182 ℃와 250 ℃ 사이일 수 있다. 물론, 이 반응 동안 이 온도 범위에서 액체 상태로 남아있는 극성 용매가 있을 것이다. 이 실시태양을 사용할 때, LiSICON 또는 다른 물질을 멤브레인 (15)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태양에서 다음의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
배터리 방전:
양극 반응 :
2 Na++1/8 S8+e- → Na2S
(양극 활성 물질 (13)로 황을 사용하는 경우; 그러나, 일부 다중황화물 또한 양극에서 형성될 수 있다.)
음극 반응:
Na → Na++e-
배터리 충전:
양극 반응:
Na2S → 2 Na++1/8 S8+2 e-
음극 반응:
Na++e- → Na
도 1의 실시태양에서 충전/방전 동안 다양한 구획의 부피가 변할 때 용매 또는 비활성 기체를 받도록 고안한 구획 (26 및 35)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구획은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챔버 (chamber), 백 (bag), 또는 다른 유사한 구조일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양극 구획 (11) 및/또는 음극 구획 (16)은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져 이러한 구획의 부피 자체가 전지의 충전/방전 동안 변화할 수 있게 한다. 유연한 물질로 만들어진 구획 (11, 16)을 가지는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추가적인 구획 (26 및 35)의 사용은 필수적이지 않을 것이다. 추가의 실시태양에서 구획 (26 및 35)은 부피를 변화하기 위해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는 피스톤 또는 주머니의 사용을 수반할 수 있다. 유사하게, 구획 (11, 16) 자체가 필요에 따라 부피를 변화하는 기전으로써 피스톤 또는 주머니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2에 대하여 언급하면 갈바니 전지 (100)의 또 다른 실시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전지 (100)가 도 1에 보여진 전지 (10)와 유사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전지 (100)의 많은 원소/요소들이 전지 (10)의 원소/요소들과 유사하다. 간결하게 하기 위해 이러한 유사한 원소/요소에 대한 논의는 많은 부분을 생략한다. 하지만 도 2의 실시태양에서 양극 구획 (11)을 음극 구획 (16)으로부터 분리하는 멤브레인은 바닥이 막힌 관 모양이다.
전지 (100)에서 양극 구획 (11)이 도시되어 있다. 양극 구획 (11)은 양극 활성 물질 (13)을 수용하는 폐쇄 용기를 포함한다. 이 양극 활성 물질 (13)은 황 또는 아이오딘일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 (13)은 전지 (100)가 충전된 상태에 있을 때 양극 폐쇄 용기 바닥에 머무를 수 있다. 극성 용매 (14)는 양극 활성 물질 (13) 위에 위치한다 (양극 활성 물질 (13)은 용매 (14)보다 더 높은 비중을 가지기 때문이다).
양극 구획 (11)은 양극 전류 집전체 (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태양과 같이 전류 집전체 (8)는 하나 이상의 전류 집전체 핀(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핀 (12)은 양극 구획 (11)의 바닥에 또는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전류 집전체 핀 (12)은 양극 구획 (11)의 바닥에서의 더 고밀도의 양극 활성 물질 (13)과 양극 구획 (11)의 위에 위치한 액체 극성 용매 (14) 사이의 경계면 (62)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핀 (12)은 핀들 사이의 물질의 수송을 촉진하기 위해 다공성이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극성 용매 (14)/양극 활성 물질 (13) 사이의 경계면 (62)이 올라가고 내려갈 때, 핀 (12)이 여전히 경계면 (62)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도록 핀 (12)을 구성할 수 있다. 전지 (100)가 충전 또는 방전되고 있을 때, 양극 활성 물질 (13) (황 또는 아이오딘)은 반응에서 소모되거나 방출된다. 따라서 양극 활성 물질 (13)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양극 구획 (11) 안의 극성 용매 (14)의 레벨 또한 변화 (예를 들어, 올라가거나 내려감)할 수 있다. 양극 활성 물질 (13)의 레벨이 변화할 때, 극성 용매 (14)를 도관 (37)을 통해 범람 구획 (35)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극성 용매 (14)를 구획 (35)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하도록 도관 (37)의 일부로서 밸브 또는 다른 조절 기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극 구획 (11) 안의 극성 용매 (14) 위에 윗 공간 (21)이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윗 공간 (21)을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로 채울 수 있다. 이러한 비활성 기체는 전지가 충전되고 방전될 때 각각의 구획 안에서 일어날 부피 변화를 수용하기 위해 구획 (35)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 (100)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전지 (100)를 나가고 전지 (100)로 다시 들어오도록 윗 공간 (21) 안의 비활성 기체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전지 (100)가 충전/방전될 때 윗 공간 (21) 안의 비활성 기체를 별도의 챔버/저장용기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전지 (100)는 음극 금속 (17)을 수용하는 음극 구획 (16)을 추가로 포함한다. 위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음극 금속 (17)은 나트륨 또는 리튬과 같은 알칼리 금속일 수 있다. 전지 (100)는 음극 금속 (17)이 액체인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 금속 (17)의 레벨 (수직 높이)은 전지 (100)의 충전 상태에 따라 (예를 들어, 전지 (100)가 완전히 충전, 완전히 방전, 부분적으로 충전되는 등의 여부에 따라) 올라가고 내려갈 수 있다.
전형적으로 윗 공간 (18)은 음극 구획 (16) 내에 있을 수 있고 액체 음극 금속 (17)위에 위치할 수 있다. 윗 공간 (18)은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비활성 기체 (19)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지 (10)가 충전 또는 방전되고 있을 때, 음극 금속 (17) (나트륨 또는 리튬)이 반응에서 소모되거나 또는 방출된다. 따라서 음극 금속 (17)의 양이 변하기 때문에 액체 음극 금속 (17)의 레벨이 변화 (예를 들어, 올라가거나 내려감)할 수 있다. 액체 음극 금속 (17)의 레벨이 변화할 때 비활성 기체 (19)를 도관 (27)을 통해 범람 구획 (26) (저장용기)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비활성 기체 (19)를 구획 (26) 안으로 및 이로부터 배출하도록 도관 (27)의 일부로서 밸브 또는 다른 조절 기전을 사용할 수 있다.
음극 전류 집전체 (23)는 음극 금속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며 완전한 범위의 전지 방전에 접촉을 제공하도록 고안한다. 캡 (22)이 환경으로부터 전지 (100)를 밀봉한다.
도 2의 실시태양에서 음극 금속 (17)을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관 (20) 안에 포함한다.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관 (20)은 양극 구획 (11)을 음극 구획 (16)으로부터 분리하고 이에 따라 음극 금속 (17)을 양극 구획 (11) 내에 수용된 화학물질로부터 격리한다.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은 음극 구획 (16)과 양극 구획 (11) 사이에 관통하는 공극이 없도록 만들 수 있다. 멤브레인 관 (20)은 나트륨 양이온 또는 리튬 양이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이온을 멤브레인을 통해 수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멤브레인 관 (20)의 유효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멤브레인 관 (20)이 멤브레인의 외부 표면에 위치한 다공성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멤브레인은 바닥이 막힌 관 모양이다. 양극 구획 (11)은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 관 (20)의 아래쪽 레벨 (40) (예를 들어, 바닥) 위로 늘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벽 (42)을 가질 수 있다.
전지 (100)는 위에 나타난 방식으로 작동 (예를 들어 충전 또는 방전)할 수 있다. 전지 (10, 100)는 이들이 적당한 온도에서 작동하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해 온도가 조절되는 환경 내에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일부 실시태양에서 음극으로 사용되는 알칼리 금속이 나트륨인 경우 이 온도는 100 ℃ 와 200 ℃ 사이일 수 있다. 리튬이 활성 음극 물질로 이용된다면 전지 (10, 100)는 182 ℃와 25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태양은 중온 (예를 들어, 약 250 ℃ 미만)에서 작동할 수 있는 Na-S 배터리 또는 Na-I (또는 Li-S 또는 Li-I) 배터리를 제공한다.
도 2의 실시태양은 또한 하나 이상의 핀 (12)를 포함한다. 도 1의 실시태양과 같이 전지 (10)가 완전히 충전 또는 방전될 때조차도 경계면 (62)의 높이가 하나 이상의 핀 (12)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나 이상의 핀 (12)의 높이를 고안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핀 (12)은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멍 (6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서 오직 하나의 핀 (12)이 하나의 구멍 (60)과 함께 보여지더라도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1) 추가적인 구멍이 핀 (12)에 추가될 수 있고 (2) 다른 핀 (12) 역시 하나 이상의 구멍 (60)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도 1-2의 실시태양에서 양극 구획 (11)은 두 개의 다른 물질, 극성 용매 (14) 및 활성 물질 (13)을 포함한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활성 물질 (13)이 겔 또는 에멀젼에 현탁되어 있는 추가적인 실시태양을 만들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이 경우, 겔/에멀젼은 용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용매 (14)는 PBDF 또는 PVMF (이는 비활성 물질임)의 매트릭스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태양에서 양극 구획 내용물의 부피는 매트릭스 내에서 동일하게 머무를 것이다. 양극의 전도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기 도체 (예를 들어 탄소 또는 탄소 발포체 물질)를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또는 전압을 증가시키기 위해 전극을 탄소 발포체 안에 담글 수 있다.
용매가 흘러서 양극 구획의 전도성을 증가시키도록 양극 구획 (11)이 다공성 탄소를 포함하는 또 다른 실시태양 역시 고안할 수 있다.
본 실시태양에 따라 만들 수 있는 전지의 특정 실시태양의 성능에 대한 실시예를 지금 제시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4는 다른 실시태양을 만들었을 때 얻어지는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특히, 도 3은 음극으로서 녹아 있는 나트륨, NaSICON 세라믹 멤브레인, 양극 용매로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양극 활성 물질로서 황/황화물을 이용하여 25 mA/㎠ 에서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성능을 보여준다.
도 4는 음극으로서 녹아 있는 나트륨, NaSICON 세라믹 멤브레인, 양극 용매로서 메틸아세트아미드 및 양극 활성 물질로서 황/황화물을 이용하여 100 mA/㎠에서 전지의 충전 및 방전 성능을 보여준다.
도 5는 배터리 (200)를 형성하기 위해 본 실시태양의 전지 (10, 100)를 이용하는 방식의 개략적 대표도를 보여준다. 특히, 배터리 (200)가 하나 이상의 갈바니 전지 (10)를 포함한다. 도 5의 실시태양에서 배터리 (200)는 도 1의 갈바니 전지 (10) 네 (4) 개를 포함한다. 그러나,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도 2의 갈바니 전지 (100) 역시 배터리 (200)를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또한, 네 (4) 개의 갈바니 전지 (10)가 배터리 (200)에 나타나더라도 이 개시는 제한적이지 않다. 필요에 따라 배터리 (200)를 형성하기 위해 임의의 숫자의 갈바니 전지 (10)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배터리 (200)는 하나 이상의 갈바니 전지 (갈바니 전지 (10) 또는 갈바니 전지 (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갈바니 전지 (10)를 연결부 (21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능하는 배터리 (200)를 만들기 위해 전지 (10)를 어떻게 연결하는지 이해할 것이다.
여기 나타난 바와 같이 배터리 (200) (및 갈바니 전지 (10 또는 100))를 더 높은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고안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태양에서 전지 (10, 100)를 (예를 들어 만일 음극 금속이 리튬이라면) 그것이 약 185 ℃와 약 25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되고/되거나 유지)되도록 고안한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전지 (10, 100)를 (예를 들어 만일 음극 금속이 나트륨이라면) 그것이 약 100 ℃ 와 약 200 ℃ 사이에서 작동(되고/되거나 유지)되도록 고안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전지 (10, 100)를 (예를 들어 만일 음극 금속이 나트륨이라면) 그것이 약 100 ℃와 약 185 ℃ 사이에서 작동(되고/되거나 유지)되도록 고안한다. 전지/배터리가 이러한 상승된 온도에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서 배터리 (200)를 상승된 온도 환경 (220)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더 높은 온도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열 발생기 (230)가 배터리 (200)로 향하는 열 (240)을 생산해서 배터리 (200)가 원하는 상승된 온도에서 작동 (충전, 방전 및/또는 전력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됨)할 수 있게 한다. 물론, 도 5의 실시태양은 오직 예시적 목적을 위해 나타낸 것이다.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실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배터리 (200) 및/또는 전지 (10, 100)를 어떻게 사용하고, 유지하고 그리고/또는 작동할 수 있는지 알 것이다.
이제 도 6에 대하여 언급하면 갈바니 전지를 형성하는 방법 (300)의 예시적인 실시태양이 도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전지를 얻는 것 (304)을 수반한다. 전지는 전지 (10) 또는 전지 (100) (또는 다른 실시태양)일 수 있다. 여기 나타낼 때 전지는 음극 구획 및 양극 구획을 포함할 수 있다. 전지는 또한 음극 구획을 양극 구획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지는 양극 전류 집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양극 전류 집전체는 양극 구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음극 물질은 음극 구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308). 음극 물질은 리튬 또는 나트륨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음극 물질은 녹아 있는 리튬 금속 또는 녹아 있는 나트륨 금속일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음극 물질은 액체 리튬 또는 나트륨 금속을 형성하도록 가열되는 그 고체 형태의 리튬 또는 나트륨 금속을 포함한다. 양극 활성 물질은 양극 구획 내에 위치한다 (312). 양극 활성 물질은 아이오딘 또는 황을 포함할 수 있다. 극성 용매는 또한 양극 구획 내에 위치할 수 있다 (316). 양극 활성 물질은 극성 용매의 비중보다 큰 비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양극 활성 물질 및 극성 용매 모두가 양극 구획에 위치할 때 양극 활성 물질은 양극 구획의 바닥 근처에 위치할 것이다 (예를 들어, 극성 용매 아래). 또한, 이 방법 (300)은 양극 전류 집전체가 양극 구획 내의 양극 활성 물질과 극성 용매 사이의 경계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 (320)을 수반할 수 있다. 전류 집전체는 경계면의 위치가 변화할 때조차도 경계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한다.
이 방법 (300)의 단계는 예시적이며 이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도 6에 보이는 것과 다른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다른 순서의 단계를 가지는 그러한 실시태양은 본 실시태양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넓게 기술하고 이후에 청구하는 대로의 그 구조, 방법 또는 다른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기술한 실시태양은 모든 면에 있어서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님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의 기술에 의해서라기보다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시사된다. 청구항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형은 그 범위 내에 포용될 것이다.

Claims (20)

  1. 액상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 물질을 수용하는 음극 구획;
    양극 구획;
    양극 구획 내의 극성 용매;
    극성 용매보다 더 큰 비중을 가지는 비기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구획 내의 양극 활성 물질;
    양극 구획으로부터 음극 구획을 분리하는 이온 전도성 세퍼레이터 (separator); 및
    경계면의 위치가 변화할 때조차도 양극 활성 물질과 극성 용매 사이의 경계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양극 전류 집전체
    를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음극 물질이 나트륨 또는 리튬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양극 활성 물질이 하나 이상의 황 및 아이오딘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음극 물질이 리튬을 포함하고 양극 활성 물질이 황을 포함하며 갈바니 전지의 온도가 약 185 ℃와 약 250 ℃ 사이로 유지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5. 제3항에 있어서, 음극 물질이 나트륨을 포함하고 갈바니 전지의 온도가 약 100 ℃와 약 200 ℃ 사이로 유지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갈바니 전지의 온도가 약 100 ℃와 약 185 ℃ 사이로 유지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7. 제5항에 있어서, 갈바니 전지의 온도가 약 110 ℃와 약 170 ℃ 사이로 유지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8. 제3항에 있어서,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이 하나 이상의 NaSICON, 나트륨 베타 알루미나, 나트륨 베타 프라임 알루미나, 나트륨 베타 더블 프라임 알루미나, LiSICON, 및 유리 세라믹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9. 제3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하나 이상의 아세트아미드, 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 포름아미드 (NMF),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틸에테르, 에탄올암모늄 니트레이트, 이미다졸륨 할로게노알루미네이트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0. 제3항에 있어서, 갈바니 전지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극성 용매가 갈바니 전지를 나가고 갈바니 전지로 다시 들어오도록 갈바니 전지가 구성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갈바니 전지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음극 구획 내의 윗 공간 안의 비활성 기체가 갈바니 전지를 나가고 갈바니 전지로 다시 들어오도록 갈바니 전지가 구성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2. 제1항에 있어서, 갈바니 전지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양극 구획 내의 액체가 갈바니 전지를 나가고 갈바니 전지로 다시 들어오도록 갈바니 전지가 구성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3. 제1항에 있어서,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이 평평하거나 관 모양인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4. 제1항에 있어서, 양극 전류 집전체가 양극 구획의 바닥으로부터 위로 뻗어 있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전지가 완전히 충전 또는 방전될 때조차도 경계면의 높이가 핀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핀의 높이가 고안된 재충전가능한 갈바니 전지.
  16. 제15항에 있어서, 핀이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는 재충전가능한 전지.
  17. 음극이 액상의 나트륨 또는 리튬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 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구획;
    양극 구획;
    음극 구획 내의 극성 용매;
    양극 활성 물질이 극성 용매보다 더 큰 비중을 가지며 양극 활성 물질이 액상의 황 또는 아이오딘을 포함하는, 양극 구획 내의 양극 활성 물질;
    음극을 극성 용매로부터 분리하는 이온 전도성 세퍼레이터; 및
    경계면의 위치가 변화할 때조차도 양극 활성 물질과 극성 용매 사이의 경계면에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양극 전류 집전체
    를 각각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갈바니 전지를 포함하고 약 100 ℃와 약 250 ℃ 사이의 온도에서 작동하는 배터리.
  18. 제17항에 있어서,
    극성 용매가 하나 이상의 아세트아미드, 메틸아세트아미드, 및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 포름아미드 (NMF),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글라임, 디글라임, 디메틸에테르, 에탄올암모늄 니트레이트, 이미다졸륨 할로게노알루미네이트염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은 하나 이상의 NaSICON, 나트륨 베타 알루미나, 나트륨 베타 프라임 알루미나, 나트륨 베타 더블 프라임 알루미나, LiSICON, 및 유리 세라믹을 포함하고; 및
    이온 전도성 멤버레인이 관 모양 또는 평평한 것인 배터리.
  19. 제18항에 있어서, 음극 물질이 나트륨을 포함하고 갈바니 전지의 온도가 약 100 ℃와 약 200 ℃ 사이로 유지되는 배터리.
  20. 음극 구획;
    양극 구획;
    양극 구획 내의 양극 전류 집전체; 및
    양극 구획으로부터 음극 구획을 분리하는 이온 전도성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전지를 얻는 것;
    액상의 알칼리 금속을 포함하는 음극 물질을 음극 구획 내에 위치시키는 것;
    황 또는 아이오딘을 포함하는 양극 활성 물질을 양극 구획 내에 위치시키는 것;
    양극 활성 물질이 극성 용매의 비중보다 더 큰 비중을 가져서 양극 구획 안의 극성 용매 아래에 위치하도록 극성 용매를 양극 구획 내에 위치시키는 것;
    경계면의 위치가 변화할 때조차도 양극 활성 물질과 극성 용매 사이의 경계면에 양극 전류 집전체가 전기적 접촉을 제공하는 것을 확실히 하는 것
    을 포함하는 갈바니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137016600A 2010-12-01 2011-11-30 중온 나트륨 배터리 KR101940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874910P 2010-12-01 2010-12-01
US61/418,749 2010-12-01
PCT/US2011/062534 WO2012075079A2 (en) 2010-12-01 2011-11-30 Moderate temperature sodium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993A true KR20130129993A (ko) 2013-11-29
KR101940337B1 KR101940337B1 (ko) 2019-01-18

Family

ID=4616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600A KR101940337B1 (ko) 2010-12-01 2011-11-30 중온 나트륨 배터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70798B2 (ko)
EP (1) EP2647080B8 (ko)
JP (1) JP6041809B2 (ko)
KR (1) KR101940337B1 (ko)
WO (1) WO201207507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1879B2 (en) * 2007-09-05 2014-07-08 Ceramatec, Inc. Lithium—sulfur battery with a substantially non-porous lisicon membrane and porous lisicon layer
US20100239893A1 (en) * 2007-09-05 2010-09-23 John Howard Gordon Sodium-sulfur battery with a substantially non-porous membrane and enhanced cathode utilization
US10320033B2 (en) 2008-01-30 2019-06-11 Enlighten Innovations Inc. Alkali metal ion battery using alkali metal conductive ceramic separator
US8323817B2 (en) * 2008-09-12 2012-12-04 Ceramatec, Inc. Alkali metal seawater battery
US8859141B2 (en) * 2009-11-05 2014-10-14 Ceramatec, Inc. Solid-state sodium-based secondary cell having a sodium ion conductive ceramic separator
WO2012021323A2 (en) 2010-08-11 2012-02-16 Ceramatec, Inc. Alkali metal aqueous battery
US10056651B2 (en) 2010-11-05 2018-08-21 Field Upgrading Usa, Inc. Low temperature secondary cell with sodium intercalation electrode
US10020543B2 (en) 2010-11-05 2018-07-10 Field Upgrading Usa, Inc. Low temperature battery with molten sodium-FSA electrolyte
WO2012075079A2 (en) 2010-12-01 2012-06-07 Ceramatec, Inc. Moderate temperature sodium battery
US10224577B2 (en) 2011-11-07 2019-03-05 Field Upgrading Usa, Inc. Battery charge transfer mechanisms
EP2893590B1 (en) * 2012-09-06 2019-05-01 Field Upgrading USA, Inc.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US10854929B2 (en) 2012-09-06 2020-12-01 Field Upgrading Usa, Inc.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US20150030896A1 (en) * 2012-09-06 2015-01-29 Ceramatec, Inc.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KR101974832B1 (ko) * 2012-09-07 2019-05-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이차전지
JP6301931B2 (ja) * 2012-09-28 2018-03-28 フィールド アップグレーディング ユーエスエー・インク 電池の電荷移動機構
KR101992727B1 (ko) * 2012-11-02 2019-06-2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3461B1 (ko) * 2012-12-13 2020-08-1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소듐 이차전지
EP2935655B1 (en) 2012-12-19 2017-12-27 Field Upgrading USA, Inc. Degradation protection of solid alkali ion conductive electrolyte membrane
KR102069150B1 (ko) * 2013-03-26 2020-01-2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집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DK3005464T3 (da) * 2013-05-30 2020-06-02 Field Upgrading Usa Inc Hybrid smeltet/fast natriumanode til et elektrisk køretøjs batteri ved omgivende/mellemtemperatur
US9431681B2 (en) * 2013-09-05 2016-08-30 Ceramatec, Inc. High temperature sodium battery with high energy efficiency
EP3042415A4 (en) * 2013-09-06 2017-05-03 Ceramatec, Inc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US9748544B2 (en) 2013-11-12 2017-08-29 Ceramatec, Inc. Separator for alkali metal ion battery
JP6590805B2 (ja) 2013-12-10 2019-10-16 セラマテック・インク ナトリウム二次電池
EP3217467A1 (de) * 2016-03-08 2017-09-13 Basf Se Vorrichtung zur speicherung von elektrischer energie und verfahren zum betrieb der vorrichtung
CN110731027A (zh) * 2017-04-07 2020-01-24 安保瑞公司 具有固体金属阴极的熔盐电池
KR102220665B1 (ko) * 2018-06-12 2021-02-25 김민웅 수동식 칼 연마장치
CN111063909B (zh) * 2019-12-23 2021-05-25 北京科技大学 一种用于液态金属电池的正极稳定装置
JP2023515870A (ja) 2020-03-04 2023-04-14 エンライテン イノベ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二温度電気分解プロセスによるナトリウム金属の製造
US11283070B1 (en) 2021-04-22 2022-03-22 Massachusetts Instilute of Technology Aluminum-chalcogen batteries with alkali halide molten salt electrolyt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969A (en) * 1975-03-27 1977-04-19 Brown, Boveri & Cie. A.G. Electrochemical storage cell
JPS6286672A (ja) * 1985-09-23 1987-04-21 リリワイト・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化学セル
US20090134040A1 (en) * 2007-11-27 2009-05-28 John Howard Gordon Process For Recovering Alkali Metals and Sulfur From Alkali Metal Sulfides and Polysulfides

Family Cites Families (1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01756A (en) 1922-08-18 1924-07-15 Roessler & Hasslacher Chemical Electrolytic process and cell
US3117032A (en) * 1961-05-29 1964-01-07 Richard E Panzer Nonaqueous solvent electrolytes
US3297486A (en) * 1963-05-15 1967-01-10 Gen Electric Non-isothermal voltaic cell having iodine electrodes
US3660170A (en) 1970-04-08 1972-05-02 Gen Electric Dendrite-inhibiting additive for battery cell having zinc electrode
US3849200A (en) * 1971-06-18 1974-11-19 Gen Electric Sealed sodium-iodine battery
US3785965A (en) 1971-10-28 1974-01-15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petroleum oil fractions
US3791966A (en) 1972-05-24 1974-02-1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lkali metal desulfurization process for petroleum oil stocks
US3788978A (en) 1972-05-24 1974-01-29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for the desulfurization of petroleum oil stocks
US3787315A (en) 1972-06-01 1974-01-22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Alkali metal desulfurization process for petroleum oil stocks using low pressure hydrogen
US3929506A (en) 1973-05-18 1975-12-30 Dow Chemical Co Zinc-bromide secondary cell
US4076613A (en) 1975-04-28 1978-02-28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Combined disulfurization and conversion with alkali metals
US3970472A (en) 1975-07-08 1976-07-20 Mcgraw-Edison Company Rechargeable battery with zinc negative and dendrite barrier
US4182797A (en) * 1975-09-17 1980-01-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imary battery utilizing iodine charge transfer complex having a quaternary ammonium group
US4041215A (en) 1976-04-05 1977-08-09 Owens-Illinois, Inc. Method for forming solid electrolyte composite
US4053371A (en) 1976-06-01 1977-10-11 The Dow Chemical Company Cellular metal by electrolysis
US4307164A (en) 1978-07-25 1981-12-22 El-Chem Corporation Rechargeable electrical storage battery with zinc anode and aqueous alkaline electrolyte
US4207391A (en) 1978-07-25 1980-06-10 El-Chem Corporation Rechargeable electrical storage battery with zinc anode and aqueous alkaline electrolyte
US4244986A (en) 1979-04-24 1981-01-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thod of forming sodium beta-Al2 O3 films and coatings
US4372823A (en) 1979-12-06 1983-02-08 El-Chem Corporation Rechargeable electrical storage battery with zinc anode and aqueous alkaline electrolyte
US4298666A (en) 1980-02-27 1981-11-03 Celanese Corporation Coated open-celled microporous membranes
ZA828603B (en) 1981-12-10 1983-09-28 South African Inventions Electrochemical cell
US4430393A (en) * 1982-01-28 1984-02-07 Diamond Shamrock Corporation Metal amalgams for sodium-sulfur battery systems
US4623597A (en) 1982-04-28 1986-11-18 Energy Conversion Devices, Inc. Rechargeable battery and electrode used therein
JPS5928588A (ja) 1982-08-09 1984-02-15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亜鉛―臭素二次電池
JPS5975985U (ja) 1982-11-12 1984-05-23 日立造船株式会社 樹脂管継手構造
US4465744A (en) 1982-11-30 1984-08-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Super ionic conductive glass
US4542444A (en) 1983-12-27 1985-09-17 The Standard Oil Company Double layer energy storage device
CA1250744A (en) 1984-12-20 1989-03-07 Ralph J. Futcher Drier felting arrangement
JPS62186470U (ko) 1986-05-20 1987-11-27
GB8613796D0 (en) 1986-06-06 1986-07-09 Lilliwyte Sa Electrochemical cell
US4828939A (en) 1987-06-01 1989-05-09 Eltech Systems Corporation Bipolar metal/air battery
US4842963A (en) 1988-06-21 1989-06-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Zinc electrode and rechargeable zinc-air battery
JPH0215579A (ja) * 1988-07-01 1990-01-19 Hitachi Ltd Na−S電池とその運転方法、使用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US5057206A (en) 1988-08-25 1991-10-15 Uop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white oils
US5525442A (en) 1990-09-14 1996-06-1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Alkali metal battery
US5427873A (en) 1990-09-14 1995-06-2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Lithium-water battery
US5290405A (en) 1991-05-24 1994-03-01 Ceramatec, Inc. NaOH production from ceramic electrolytic cell
US5208121A (en) 1991-06-18 1993-05-04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Battery utilizing ceramic membranes
US5213908A (en) 1991-09-26 1993-05-2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Alkali metal carbon dioxide electrochemical system for energy storage and/or conversion of carbon dioxide to oxygen
US5516598A (en) 1994-07-28 1996-05-14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Secondary cell using organosulfur/metal charge transfer materials as positive electrode
US6025094A (en) 1994-11-23 2000-02-15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Protective coatings for negative electrodes
US5686201A (en) 1994-11-23 1997-11-11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Rechargeable positive electrodes
US6376123B1 (en) 1994-11-23 2002-04-23 Polyplus Battery Company Rechargeable positive electrodes
US6358643B1 (en) 1994-11-23 2002-03-19 Polyplus Battery Company Liquid electrolyte lithium-sulfur batteries
US6030720A (en) 1994-11-23 2000-02-29 Polyplus Battery Co., Inc. Liquid electrolyte lithium-sulfur batteries
US6017651A (en) 1994-11-23 2000-01-25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Methods and reagents for enhancing the cycling efficiency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US5935421A (en) 1995-05-02 1999-08-1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Continuous in-situ combination process for upgrading heavy oil
US5695632A (en) 1995-05-02 1997-12-09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Continuous in-situ combination process for upgrading heavy oil
JP3959749B2 (ja) 1995-05-24 2007-08-1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固体高分子電解質を備えた金属水素化物二次電池
US5541019A (en) 1995-11-06 1996-07-30 Motorola, Inc. Metal hydride electrochemical cell having a polymer electrolyte
US5780186A (en) 1996-05-09 1998-07-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High performance zinc anode for battery applications
US6210564B1 (en) 1996-06-04 2001-04-03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desulfurization of petroleum feeds utilizing sodium metal
US5882812A (en) 1997-01-14 1999-03-16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Overcharge protection systems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5856047A (en) 1997-01-31 1999-01-05 Ovonic Battery Company, Inc. High power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and high power electrodes for use therein
IL120784A (en) 1997-05-05 2000-08-31 Chemergy Ltd Iron based sulfur battery
US6402795B1 (en) 1998-02-18 2002-06-11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Plating metal negative electrodes under protective coatings
US6265100B1 (en) 1998-02-23 2001-07-24 Research International, Inc. Rechargeable battery
US6610440B1 (en) 1998-03-10 2003-08-26 Bipolar Technologies, Inc Microscopic batteries for MEMS systems
US6159634A (en) 1998-04-15 2000-12-12 Duracell Inc. Battery separator
US6214061B1 (en) 1998-05-01 2001-04-10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Method for forming encapsulated lithium electrodes having glass protective layers
US6416903B1 (en) 1998-08-17 2002-07-09 Ovonic Battery Company, Inc. Nickel hydroxide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210832B1 (en) 1998-09-01 2001-04-03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Mixed ionic electronic conductor coatings for redox electrodes
US6200704B1 (en) 1998-09-01 2001-03-13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High capacity/high discharge rate rechargeable positive electrode
US6537701B1 (en) 1998-09-03 2003-03-25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Coated lithium electrodes
US6955866B2 (en) 1998-09-03 2005-10-18 Polyplus Battery Company Coated lithium electrodes
US6110236A (en) 1998-09-11 2000-08-29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Method of preparing electrodes having evenly distributed component mixtures
US6291090B1 (en) 1998-09-17 2001-09-18 Aer Energy Resources, Inc. Method for making metal-air electrode with water soluble catalyst precursors
US6355379B1 (en) 1999-02-03 2002-03-12 Sanyo Electric Co., Ltd. Polymer electrolyte batteries having improved electrode/electrolyte interface
US6225002B1 (en) 1999-02-05 2001-05-01 Polyplus Battery Company, Inc. Dioxolane as a proctector for lithium electrodes
CN2365765Y (zh) 1999-03-18 2000-02-23 孙法炯 一种新型的扣式金属空气电池
US6413284B1 (en) 1999-11-01 2002-07-02 Polyplus Battery Company Encapsulated lithium alloy electrodes having barrier layers
US6413285B1 (en) 1999-11-01 2002-07-02 Polyplus Battery Company Layered arrangements of lithium electrodes
WO2001036564A1 (en) 1999-11-16 2001-05-25 Rmg Services Pty Ltd Treatment of crude oils
US20070221265A1 (en) 2006-03-22 2007-09-27 Sion Power Corporation Rechargeable lithium/water, lithium/air batteries
US6153328A (en) 1999-11-24 2000-11-28 Metallic Power,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of dendrites in a metal/air fuel cell, battery or metal recovery apparatus
US6368486B1 (en) 2000-03-28 2002-04-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alkali metal electrolysis
JP3696046B2 (ja) 2000-04-26 2005-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26466B1 (ko) 2000-07-25 2002-02-28 김순택 리튬 설퍼 전지용 전해액
JP3740504B2 (ja) 2001-02-20 2006-02-01 国立大学法人大阪大学 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US6632573B1 (en) 2001-02-20 2003-10-14 Polyplus Battery Company Electrolytes with strong oxidizing additiv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US6653020B2 (en) 2001-04-12 2003-11-25 Rutgers University Foundation Metal nitride electrode materials for high capacit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ells
US7070632B1 (en) 2001-07-25 2006-07-04 Polyplus Battery Company Electrochemical device separator structures with barrier layer on non-swelling membrane
US6991662B2 (en) 2001-09-10 2006-01-31 Polyplus Battery Company Encapsulated alloy electrodes
US6787019B2 (en) 2001-11-21 2004-09-0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Low temperature alkali metal electrolysis
JP2003178798A (ja) * 2001-12-10 2003-06-27 Hitachi Ltd ナトリウム硫黄電池
US6911280B1 (en) 2001-12-21 2005-06-28 Polyplus Battery Company Chemical protection of a lithium surface
US7214443B2 (en) 2002-02-12 2007-05-08 Plurion Limited Secondary battery with autolytic dendrites
US7390591B2 (en) 2002-10-15 2008-06-24 Polyplus Battery Company Ionically conductive membranes for protection of active metal anodes and battery cells
KR20120118511A (ko) 2002-10-15 2012-10-26 폴리플러스 배터리 컴퍼니 활성 금속 애노드를 보호하기 위한 이온 전도성 합성물
US7282302B2 (en) 2002-10-15 2007-10-16 Polyplus Battery Company Ionically conductive composites for protection of active metal anodes
US7645543B2 (en) 2002-10-15 2010-01-12 Polyplus Battery Company Active metal/aqueous electrochemical cells and systems
US20040229107A1 (en) 2003-05-14 2004-11-18 Smedley Stuart I. Combined fuel cell and battery
US7482096B2 (en) 2003-06-04 2009-01-27 Polyplus Battery Company Alleviation of voltage delay in lithium-liquid depolarizer/electrolyte solvent battery cells
US6881234B2 (en) 2003-08-08 2005-04-19 Frank E. Towsley Method for making electrodes for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KR100502357B1 (ko) 2003-08-29 2005-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필름을 구비한 양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설퍼 전지
KR20050040714A (ko) 2003-10-28 2005-05-03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다공질 기능성막, 센서, 다공질 기능성막의 제조방법,다공질 금속막의 제조방법 및 센서의 제조방법
US7491458B2 (en) 2003-11-10 2009-02-17 Polyplus Battery Company Active metal fuel cells
US7824536B2 (en) 2003-12-11 2010-11-02 Ceramatec, Inc. Electrolytic method to make alkali alcoholates using ceramic ion conducting solid membranes
US7282295B2 (en) 2004-02-06 2007-10-16 Polyplus Battery Company Protected active metal electrode and battery cell structures with non-aqueous interlayer architecture
KR100651246B1 (ko) 2004-02-17 2006-11-2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나트륨/유황 전지
US7259126B2 (en) 2004-03-11 2007-08-21 Ceramatec, Inc. Gas diffusion electrode and catalyst for electrochemical oxygen reduction and method of dispersing the catalyst
US7255961B2 (en) 2004-03-12 2007-08-14 Trans Ionics Corporation Thin film composite electrolyte
US7816055B2 (en) 2004-03-16 2010-10-19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Compact fuel cell
US7785461B2 (en) 2004-11-10 2010-08-31 Petroleo Brasileiro S.A. - Petrobras Process for selective hydrodesulfurization of naphtha
US20060141346A1 (en) 2004-11-23 2006-06-29 Gordon John H Solid electrolyte thermoelectrochemical system
KR100693306B1 (ko) 2005-05-16 2007-03-13 가부시키가이샤 피코 사이언스 자기재생형 알칼리 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US7413582B2 (en) 2005-08-29 2008-08-19 Tsang Floris Y Lithium battery
JP5153065B2 (ja) 2005-08-31 2013-02-27 株式会社オハラ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固体電解質
US20070072067A1 (en) 2005-09-23 2007-03-29 Vrb Power Systems Inc. Vanadium redox battery cell stack
US8182943B2 (en) 2005-12-19 2012-05-22 Polyplus Battery Company Composite solid electrolyte for protection of active metal anodes
US8012633B2 (en) 2006-10-13 2011-09-06 Ceramatec, Inc. Advanced metal-air battery having a ceramic membrane electrolyte
WO2008153564A1 (en) 2007-06-11 2008-12-18 Midwest Research Institute Multilayer solid electrolyte for lithium thin film batteries
US20100239893A1 (en) 2007-09-05 2010-09-23 John Howard Gordon Sodium-sulfur battery with a substantially non-porous membrane and enhanced cathode utilization
US8771879B2 (en) * 2007-09-05 2014-07-08 Ceramatec, Inc. Lithium—sulfur battery with a substantially non-porous lisicon membrane and porous lisicon layer
US9209445B2 (en) 2007-11-26 2015-12-08 Ceramatec, Inc. Nickel-metal hydride/hydrogen hybrid battery using alkali ion conducting separator
US8012621B2 (en) 2007-11-26 2011-09-06 Ceramatec, Inc. Nickel-metal hydride battery using alkali ion conducting separator
WO2009070600A2 (en) 2007-11-27 2009-06-04 Ceramatec, Inc. Substantially solid, flexible electrolyte for alkili-metal-ion batteries
US20090189567A1 (en) 2008-01-30 2009-07-30 Joshi Ashok V Zinc Anode Battery Using Alkali Ion Conducting Separator
US8323817B2 (en) 2008-09-12 2012-12-04 Ceramatec, Inc. Alkali metal seawater battery
US8859141B2 (en) 2009-11-05 2014-10-14 Ceramatec, Inc. Solid-state sodium-based secondary cell having a sodium ion conductive ceramic separator
CN101707241B (zh) 2009-11-27 2011-11-30 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锂空气电池隔膜及制备方法
WO2012021323A2 (en) 2010-08-11 2012-02-16 Ceramatec, Inc. Alkali metal aqueous battery
JP2013538424A (ja) * 2010-08-24 2013-10-10 ビーエイエスエフ・ソシエタス・エウロパエア 電気化学セルでの使用のための電解質材料
WO2012075079A2 (en) 2010-12-01 2012-06-07 Ceramatec, Inc. Moderate temperature sodium battery
WO2012141032A1 (ja) 2011-04-11 2012-10-18 株式会社カネカ 単核球調製材、及び前記調製材を利用した単核球調製方法
JP6286672B2 (ja) 2014-10-30 2018-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免税処理システム、免税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969A (en) * 1975-03-27 1977-04-19 Brown, Boveri & Cie. A.G. Electrochemical storage cell
JPS6286672A (ja) * 1985-09-23 1987-04-21 リリワイト・ソシエテ・アノニム 電気化学セル
US20090134040A1 (en) * 2007-11-27 2009-05-28 John Howard Gordon Process For Recovering Alkali Metals and Sulfur From Alkali Metal Sulfides and Polysulfi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170798B2 (en) 2019-01-01
JP6041809B2 (ja) 2016-12-14
JP2013545246A (ja) 2013-12-19
EP2647080B8 (en) 2019-05-22
WO2012075079A2 (en) 2012-06-07
WO2012075079A3 (en) 2012-09-20
EP2647080A4 (en) 2015-04-22
KR101940337B1 (ko) 2019-01-18
US20120141856A1 (en) 2012-06-07
EP2647080B1 (en) 2018-08-29
EP2647080A2 (en) 2013-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337B1 (ko) 중온 나트륨 배터리
JP6177128B2 (ja) 電気エネルギーの大規模な貯蔵のための改善された工業装置
KR102339641B1 (ko) 나트륨 이온 전도성 세라믹 세퍼레이터를 지니는 나트륨-알루미늄 배터리
US9537179B2 (en) Intermediate temperature sodium-metal halide battery
US20130288153A1 (en) Sodium-Sulfur Battery
KR20150053776A (ko) 나트륨-할로겐 2차 전지
EP3044824B1 (en) High temperature sodium battery with high energy efficiency
US10601062B2 (en) Sodium metal batteries with intercalating cathode
WO2016102373A1 (en) Molten salt electrochemical flow cell
KR101834726B1 (ko) 나트륨 이차전지
ES2829924T3 (es) Unidad de electrodo para un dispositivo electroquímico
EP3090457B1 (en) Secondary metal chalcogenide batteries
KR102302404B1 (ko) 중온 나트륨-금속 할라이드 배터리
Nitta et al. Development of molten salt electrolyte battery
US9786955B1 (en) Assembly methods for liquid metal battery with bimetallic electrode
WO2015035427A1 (en)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EP2393150A1 (en) High temperature rechargeable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cell
KR20160028748A (ko) 나트륨 이차전지
US20220077459A1 (en) High energy density molten lithium-sulfur and lithium-selenium batteries with solid electrolyte
US20150030896A1 (en) Sodium-halogen secondary cell
US5462818A (en) High temperature sodium-graphite electrochemical cell
CN211182363U (zh) 一种基于碳硫复合电极的电池结构
WO2019178533A1 (en) All solid-state sodium-sulfur or lithium-sulfur battery prepared using cast-annealing method
Dunstan et al. Low Temperature Operation of the Cell Na/β"-Alumina/S (IV) in AlCl3-NaCl M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