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658A - 표면실장 클립 - Google Patents

표면실장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658A
KR20130066658A KR1020137001929A KR20137001929A KR20130066658A KR 20130066658 A KR20130066658 A KR 20130066658A KR 1020137001929 A KR1020137001929 A KR 1020137001929A KR 20137001929 A KR20137001929 A KR 20137001929A KR 20130066658 A KR20130066658 A KR 20130066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der joint
joint portion
pair
portions
conduct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1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5224B1 (ko
Inventor
켄지 콘다
토모히사 쿠리타
히로키 키타노
타츠야 나카무라
히데오 유미
Original Assignee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66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5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5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1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rface mounted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05K9/0035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with retainers mounted beforehand on the PCB, e.g.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3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having a resilient part on its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 F16B5/0635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fastened over the edges of the sheets 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은, 하면이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접합되는 땜납접합면이 되는 땜납접합부와, 상기 땜납접합부에 연이어 접하며, 그 땜납접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었을 때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를 삽입가능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연이어 접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변형해서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접촉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표면실장 클립{SURFACE-MOUNTING CLIP}
본 국제출원은, 2010년 6월 30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0-150021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0-150021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기판의 부착대상면에 표면실장되어, 그 프린트 배선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예를 들면 쉴드 케이스(shielding case))를 해당 프린트 배선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표면실장 클립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쉴드 케이스 등의 도전성 부재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고정하는 경우, 대상의 IC를 둘러싸도록 복수의 표면실장 클립을 해당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 표면에 땜납접합하고, 각 표면실장 클립에 쉴드 케이스의 개방된 측의 단부 가장자리 등을 고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IC를 어스 전위(ground electrical potential) 등으로 유지된 쉴드 케이스로 포위하고, 그 IC에 대한 노이즈 대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표면실장 클립으로서는, 땜납접합부와, 한 쌍의 탄성접촉부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땜납접합부는, 표면실장 클립의 하면으로서 상기 도체 패턴에 땜납접합되는 면이다. 한 쌍의 탄성접촉부는, 땜납접합부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邊)으로부터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되어 서로 근접하며, 이것에 의해 쉴드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를 끼워붙이는 부분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표면실장 클립은, 탄성접촉부에 쉴드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가 옆(橫)으로부터 부딪히거나 하면, 탄성접촉부가 영구변형하여, 쉴드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를 양호하게 끼울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탄성접촉부도 포함한 표면실장 클립의 대부분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매설하고, 쉴드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한 설편(舌片, tongue pieces)을 상기 매설된 탄성접촉부의 사이에 삽입해서 끼워 붙이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6-100473호
그렇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이 표면실장 클립을 프린트 배선기판에 매설한 경우, 쉴드 케이스에 설편을 설치할 필요가 생겨 제조 가격이 상승한다. 덧붙여, 프린트 배선기판에 매설된 탄성접촉부의 사이에 쉴드 케이스의 설편을 삽입하는 작업은 곤란하며, 작업 가격이 상승한다. 여기서, 전혀 분야는 다르지만, 중심에 개구가 설치된 끼움결합면을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浮上)한 위치에 지지하고, 상기 개구부의 내측에 연이어 접하는 탄성을 가지는 한 쌍의 접촉편에 의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된 수(雄)단자를 끼워 붙이는 기판부착형 커넥터도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339906호).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쉴드 케이스의 고정에 이용하기 위해서는, 쉴드 케이스의 단부 가장자리에 돌기를 설치하여 각 커넥터의 개구부에 삽입할 필요가 있어, 상기 과제는 한층 현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공보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설편 또는 돌기를 도전성 부재에 설치할 필요가 있고, 전선 등의 도전성 부재에 적용하는(설편 또는 돌기를 설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접촉부의 영구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쉴드 케이스나 전선 등의 도전성 부재의 장착도 용이한 표면실장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표면실장 클립으로서, 프린트 배선기판의 부착대상면에 표면실장해서 사용될 때, 하면이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접합되는 땜납접합면이 되는 땜납접합부와, 상기 땜납접합부에,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변위하여 연이어 접하며, 그 땜납접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었을 때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를 삽입가능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땜납접합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이어 접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변형해서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에서는, 땜납접합부의 하면을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접합하면,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방향으로 변위해서 연이어 접한 한 쌍의 지지부는, 도전성 부재를 삽입가능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이 한 쌍의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는, 탄성접촉부가 상기 땜납접합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이어 접하고 있다. 그리고, 이 탄성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변형해서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壓接)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고정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을 사용하면,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도전성 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그 도전성 부재를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도전성 부재에는, 설편 등을 설치할 필요도 없다. 더욱이, 상기 도전성 부재를 고정하는 탄성접촉부는, 상기 지지부에, 상기 땜납접합부 방향(프린트 배선기판 방향)으로 경사져 연이어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도전성 부재에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라도 그 도전성 부재 등이 상기 탄성접촉부에 옆(橫)으로부터 부딪히는 것을 상기 한 쌍의 지지부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상기 탄성접촉부가 영구변형하는 것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은, 상기 땜납접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탄성접촉부의 압접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나에, 타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다른 하나에, 각각 연이어 접해도 좋다. 이 경우, 도전성 부재가 사이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부는, 탄성접촉부의 압접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이 땜납접합부의 하나에, 타단이 땜납접합부의 다른 하나에, 각각 연이어 접하기 때문에, 한층 안정되게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따라서, 도전성 부재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한층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접촉부가 영구변형하는 것도 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경우,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서로의 간극(間隙)이 넓어지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전성 부재를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에서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상기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되며 또한 더욱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면 방향으로 접어 꺽인 형상을 가지고, 그 접어 꺽인 선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연장선 위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도 좋다. 이 경우,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되며 또한 땜납접합부의 하면 방향으로 접어 꺽인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지지부는, 일단이 땜납접합부에 연이어 접하며, 타단(상기 선단)이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된다. 이 때문에, 상기 한 쌍의 지지부를 한층 안정되게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전성 부재를 프린트 배선기판에 한층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접촉부가 영구변형하는 것도 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은, 상기 땜납접합부에,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보다도 적게 변위해서 연이어 접하며, 그 땜납접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그 도전성 부재에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 측으로부터 접촉하는 보조접촉부를 더 구비해도 좋다. 이 경우, 땜납접합부가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면, 보조접촉부는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되며, 어느 정도의 스프링 특성(탄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상태로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면, 상기 보조접촉부는 그 도전성 부재에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 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때문에,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강하게 삽입했다고 해도, 그 부하가 프린트 배선기판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부재의 고정 후에도 상기 보조접촉부가 그 도전성 부재에 프린트 배선기판 측으로부터 접촉하므로, 상기 도전성 부재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 간의 도통(導通)을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와 평행한 평행지지부를 각각 가져도 좋다.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각 지지부의 상기 각 평행지지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연이어 접해도 좋다.
이 경우, 각 탄성접촉부는, 각각이 연이어 접한 상기 각 평행지지부, 즉 한 쌍의 지지부 중의 땜납접합부와 평행한 부분의 상기 박판을, 땜납접합부 방향으로 접어 구부려 구성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에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면, 그 삽입에 의해, 각 탄성접촉부에는 상기 접어 구부림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도전성 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어 구부림을 감소시키는 방향, 즉, 본 발명의 표면실장 클립을 원래의 박판 형상으로 돌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접촉부가 도전성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영구변형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에 대해서, 이 경우에는 그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탄성접촉부의 영구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한 쌍의 지지부의 사이의 상기 박판도, 그 적어도 일부를 탄성접촉부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어, 표면실장 클립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저감할 수도 있다.
도 1A-1J는,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1A), 좌측면도(도 1B), 정면도(도 1C), 우측면도(도 1D), 저면도(도 1E), 좌상(左上)사시도(도 1F), 우상(右上) 사시도(도 1G), 좌하(左下) 사시도(도 1H), 우하(右下)사시도(도 1I), 1J-1J선 단면도(도 1J)이다.
도 2A-2E는, 그 표면실장 클립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도 2A), 정면도(도 2B), 우측면도(도 2C), 우상 사시도(도 2D), 2E-2E선 단면도(도 2E)이다.
도 3A-3J는, 제 2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3A), 좌측면도(도 3B), 정면도(도 3C), 우측면도(도 3D), 저면도(도 3E), 좌상 사시도(도 3F), 우상 사시도(도 3G), 좌하 사시도(도 3H), 우하 사시도(도 3I), 3J-3J선 단면도(도 3J)이다.
도 4A-4J는, 제 3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4A), 좌측면도(도 4B), 정면도(도 4C), 우측면도(도 4D), 저면도(도 4E), 좌상 사시도(도 4F), 우상 사시도(도 4G), 좌하 사시도(도 4H), 우하 사시도(도 4I), 4J-4J선 단면도(도 4J)이다.
도 5A-5J는, 제 4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5A), 좌측면도(도 5B), 정면도(도 5C), 우측면도(도 5D), 저면도(도 5E), 좌상 사시도(도 5F), 우상 사시도(도 5G), 좌하 사시도(도 5H), 우하 사시도(도 5I), 5J-5J선 단면도(도 5J)이다.
도 6A-6I는, 제 5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6A), 좌측면도(도 6B), 정면도(도 6C), 우측면도(도 6D), 저면도(도 6E), 좌상 사시도(도 6F), 우상 사시도(도 6G), 좌하 사시도(도 6H), 우하 사시도(도 6I)이다.
도 7은, 그 표면실장 클립의 프린트 배선기판에의 장착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A-8D는, 그 표면실장 클립에 전선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도 8A), 좌상 사시도(도 8B), 우상 사시도(도 8C), 8D-8D선 단면도(도 8D)이다.
도 9A-9J는, 제 6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도 9A), 좌측면도(도 9B), 정면도(도 9C), 우측면도(도 9D), 저면도(도 9E), 좌상 사시도(도 9F), 우상 사시도(도 9G), 좌하 사시도(도 9H), 우하 사시도(도 9I), 9J-9J선 단면도(도 9J)이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도 1A~도 1J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실장 클립(1)은, 스프링 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금속(예를 들면 인 청동(phosphor bronze), 베릴륨 동(beryllium copper), SUS 등)으로 이루어지는 1매의 박판을, 소정 형상으로 펀칭하는 동시에 접어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실장 클립(1)은, 그 표면실장 클립(1)이 장착되는 프린트 배선기판(90)(도 2A~도 2E 참조) 등의 자세에 따라서 다양한 자세로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편의상, 도 1C에 있어서의 앞측을 전방, 도면 오른쪽을 오른쪽, 도면 위쪽을 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1A~도 1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표면실장 클립(1)은, 2개의 대략 직사각형의 땜납접합부(2,3)를 구비하고 있다. 땜납접합부(2,3)에 있어서의 하면(2A,3A)은, 후술하는 땜납접합면에 상당한다. 땜납접합부(2)는 땜납접합부(3)보다도 전후 방향(땜납접합부(2)의 길이방향)으로 크다. 땜납접합부(2,3)의 좌우 방향(땜납접합부(3)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땜납접합부(2)의 상면(2B)은, 자동실장 시에 흡착 노즐(도시 생략)에 흡착되는 흡착면으로 되어 있다.
땜납접합부(2)와 땜납접합부(3)의 사이에는, 한 쌍의 지지부(4,5)가 걸쳐져 있다. 이 지지부(4,5)는, 평행지지부(4A,5A)와, 연접(連接)부(4B,5B)와, 연접부(4C,5C)를 포함한다. 연접부(4B,5B)는, 땜납접합부(2)의 전후 방향(땜납접합부(2)의 길이방향)의 양단 중 땜납접합부(3)측의 일단측과 접속하고, 전후 방향으로 다소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예컨대 도 1B, 도 1D 참조). 연접부(4C,5C)는, 땜납접합부(3)의 전후 방향의 양단 중 땜납접합부(2)측의 일단측과 접속하며, 거의 연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예컨대 도 1B, 도 1D 참조). 평행지지부(4A,5A)는, 연접부(4B,5B)의 상단과 연접부(4C,5C)의 상단과의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연접부(4B,5B)의 상단의 높이와 연접부(4C,5C)의 상단의 높이는 동일하며, 평행지지부(4A,5A)는, 그 평행지지부(4A,5A)의 상면 및 하면이 하면(2A,3A)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평행지지부(4A)의 외측의 변(평행지지부(5A)와 반대측의 변)에는 탄성접촉부 (6)가 연이어 접하고 있다. 탄성접촉부(6)는, 평행지지부(4A)로부터 돌출하면서 원호형상으로 접어 꺽인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또한,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경사져 연장되는 부분을 가진다. 탄성접촉부(6)의 선단(6A)은 지지부(4,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평행지지부(5A)의 외측의 변(평행지지부(4A)와 반대측의 변)에는 탄성접촉부(7)가 연이어 접하고 있다. 탄성접촉부(7)는, 평행지지부(5A)로부터 돌출하면서 원호형상으로 접어 꺽인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고, 또한, 비스듬히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부분을 가진다. 탄성접촉부(7)의 선단(7A)은 지지부(4,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탄성접촉부(7)는 탄성접촉부(6)보다도 크다. 그리고, 탄성접촉부(7)의 선단(7A)은 탄성접촉부(6)의 선단(6A)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선단(6A)과 선단(7A)은, 수직방향에 있어서 일부 중첩되어 있다(도 1C, 도 1J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표면실장 클립(1)에서는, 땜납접합부(2,3)의 하면(2A,3A)이 프린트 배선기판(90)의 도체 패턴(도시생략)에 땜납접합된다. 그러면, 그 땜납접합부(2,3)와 연이어 접한 한 쌍의 지지부(4,5)는, 프린트 배선기판(90)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도 2A~도 2E는, 표면실장 클립(1)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도 2E에서는, 금속제의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의 일예)를, 프린트 배선기판(90)에 고정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쉴드 케이스(91)는, 대략 정방형의 천판(天板, top panel)(91A)의 주위에 측벽(91B)이 세워 설치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2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기판(90)에 표면실장 클립(1)을 땜납접합하면, 한 쌍의 지지부(4,5)는, 측벽(91B)을 삽입가능한 간격을 두고 프린트 배선기판(90)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접촉부(6,7)의 선단(6A,7A)은 지지부(4,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하여 일부 중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지지부(4,5) 사이에 측벽(91B)이 삽입되면, 그 측벽(91B)에 탄성접촉부(6,7)가 압접되며, 쉴드 케이스(91)가 프린트 배선기판(90)에 고정된다. 게다가, 탄성접촉부(6,7)는 평행지지부(4A,5A)의 외측으로부터 돌아 들어오도록 하여 지지부(4,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사용 중에 상기 압접력(contact pressure)이 저하하는 것이 양호하게 억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을 사용하면, 프린트 배선기판(90)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부(4,5) 사이에 측벽(91B) 등의 도전성 부재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그 도전성 부재를 프린트 배선기판(90)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도전성 부재에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설편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탄성접촉부(6,7)는, 지지부(4,5)의 평행지지부(4A,5A)에, 땜납접합부(2,3) 방향(프린트 배선기판(90) 방향)으로 경사져 연이어 접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도전성 부재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라도 그 도전성 부재 등이 탄성접촉부(6,7)에 옆으로부터 부딪히는 것을 상기 한 쌍의 지지부(4,5)에 의해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탄성접촉부(6,7)가 영구변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쉴드 케이스(91) 등의 도전성 부재의 프린트 배선기판(90)에 대한 부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에서는, 지지부(4,5)의 양단이 한 쌍의 땜납접합부(2,3)에 각각 연이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부(4,5)는 한층 안정되게 프린트 배선기판(90)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더욱이, 지지부(4,5)는, 탄성접촉부(6,7)보다도 높은 강성을 가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전성 부재를 프린트 배선기판(90)에 한층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탄성접촉부(6,7)가 영구변형하는 것도 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4,5)의 간격은, 종래 품의 표면실장 클립의 간격(개구)보다도 넓어지도록 되어 있어, 도전성 부재의 삽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표면실장 클립(1)은 종래 품보다도 소형화가 가능하다. 따라서, 표면실장 클립(1)이 점유하는 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더욱이, 표면실장 클립(1)의 제조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5)는, 좌우 방향에 비교해서 전후 방향 쪽으로 변형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쉴드 케이스(91)에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는 측벽(91B)이 지지부(4,5) 사이를 전후 방향으로 어느 정도 옆으로 미끄러지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상기 외력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4,5)의 변형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또,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특허문헌 1과 달리, 쉴드 케이스(91)의 측벽(91B)에 설편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단지 전자장치의 제조 가격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효과도 생긴다. 즉, 특허문헌 1과 같이, 측벽(91B)의 단부 가장자리에 설편을 설치하면, 그 틈새로부터 고주파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지만, 본 제 1 실시예에서는, 측벽(91B)의 단부 가장자리는 직선 형상인 상태로 좋으므로, 고주파가 누설되는 것을 한층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3A~도 3J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2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2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실장 클립(21)은, 2개의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을, 땜납접합부(2)를 공유하도록 연이어 접하는 구성을 가진다. 도 3A~도 3J에서는, 표면실장 클립(1)과 같이 구성된 부위에는 도 1A~도 1J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표면실장 클립(21)에서는, 지지부(4,5) 및 탄성접촉부(6,7)가 2세트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 땜납접합부(2)는 1개로 충분하게 된다. 즉, 지지부(4,5) 및 탄성접촉부(6,7)의 수를 확보할 수 있는 한편 부품의 크기, 혹은 부품의 구성을 삭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다 적은 수의 표면실장 클립(21)에 의해 한층 강고하게 쉴드 케이스(91) 등을 고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4A~도 4J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3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3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실장 클립(31)은, 땜납접합부(2)의 부분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 점에 있어서 표면실장 클립(1)과 다르며, 다른 부분은 표면실장 클립(1)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도 4A~도 4J에서는, 표면실장 클립(1)과 같이 구성된 부위에는 도 1A~도 1J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도 4J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접부(4B,5B)가 땜납접합부(32B)에 연이어 접하고 있다. 땜납접합부(32B)의 하면(32A)은 땜납접합면으로서 구성된다. 땜납접합부(32B)에는, 보조접촉부(32C)가, 연접부(32D)를 통하여 연이어 접하고 있다.보조접촉부(32C)는, 땜납접합부(32B,3)보다도 상방으로 부상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은, 연접부(32D)가 경사져 연장되어 있음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보조접촉부(32C)는, 땜납접합부(32B,3)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1 실시 형태의 표면실장 클립(1)에서는, 땜납접합부(3)의 좌우 방향(땜납접합부(3)의 길이방향)의 폭보다도 땜납접합부(2)의 좌우 방향(땜납접합부(2)의 단변 방향)의 폭 쪽이 약간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었지만, 본 제 3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31)에서는, 땜납접합부(32B), 연접부(32D), 보조접촉부(32C)의 좌우 방향(보조접촉부(32C)의 단변 방향)의 폭은 땜납접합부(3)의 좌우 방향(땜납접합부(3)의 길이방향)의 폭과 같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접촉부(32C)를 구비한 경우, 땜납접합부(32B,3)가 프린트 배선기판(90)에 땜납접합되면, 보조접촉부(32C)는 프린트 배선기판(90)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된다. 이때, 연접부(32D) 및 보조접촉부(32C) 전체가 어느 정도의 스프링 특성(탄성)을 가지게 된다.
한 쌍의 지지부(4,5) 사이에 쉴드 케이스(91) 등의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면, 쉴드 케이스(91)의 하단이 보조접촉부(32C)에 접촉한다. 환언하면, 보조접촉부(32C)는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에 프린트 배선기판(90) 측으로부터 접촉한다.
이 경우,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를 한 쌍의 지지부(4,5) 사이에 강하게 삽입했다고 하더라도, 그 부하가 프린트 배선기판(90)에 가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의 고정 후에도 보조접촉부(32C)가 그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에 프린트 배선기판(90) 측으로부터 접촉하므로, 쉴드 케이스(91)(도전성 부재)와 프린트 배선기판(90)의 도체 패턴간의 도통을 한층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도 5A~도 5J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4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4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실장 클립(41)은, 탄성접촉부(6)가 생략된 점과 지지부(4,5)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과 다르고, 다른 부분은 표면실장 클립(1)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A~도 5J에서는, 표면실장 클립(1)과 같이 구성된 부위에는 도 1A~도 1J와 같은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J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접촉부(6)가 생략되어도, 쉴드 케이스(91)의 측벽(91B) 등(도 2A~도 2E 참조)의 도전성 부재를 탄성접촉부(7)에 의해 지지부(4)에 압접함으로써, 그 도전성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4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지지부(4,5)는, 땜납접합부(2,3)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서로의 간극이 넓어지도록, 평행지지부(4A,5A)의 근방에서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도전성 부재를 한 쌍의 지지부(4,5)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 제 4 실시예에서도, 제 3 실시예와 같이, 땜납접합부(2,3)의 좌우 방향의 폭이 같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제 5 실시예]
도 6A~도 6I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5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5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도 6I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 5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51)에서는, 땜납접합부(52)는, 흡착부(52C)와, 베이스부(52D)로 나뉘어 있다.
하면(52A)은 땜납접합면으로서 구성된다. 상면(52B)은 도시되지 않은 흡착 노즐에 의해 흡착되는 흡착면으로서 구성된다. 베이스부(52D)에는 지지부(54,55)가 연이어 접한다. 한편, 흡착부(52C)와 베이스부(52D)는 연이어 접하고 있지만, 그 연접부는 좌우 방향으로 잘록해져 있다.
본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의 한 쌍의 지지부(54,55)는,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루프형상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54,55)는, 베이스부(52D)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땜납접합부(52)의 상방을 향해서 비스듬히 연장하는 부분과, 접어 꺽이도록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부분과, 거의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가진다. 지지부(54,55)에 있어서의 선단(54A ,55A)은, 땜납접합부(52)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땜납접합부(52)의 연장선 위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부(54,55)의 내측 측면에는 직사각형의 구멍부(54C,55C)가 천공되어 설치되며, 탄성접촉부(56,57)가, 그 구멍부(54C,55C)를 통과하고 있다. 탄성접촉부(56,57)는, 지지부(54,55)의 외측 측면에 선단(54A,55A) 측으로부터 컷아웃(cut-out)을 설치함으로써 형성된 것이다.
한편, 지지부(54,55)는, 정면에서 볼 때, 상방으로 갈수록 좌우 방향으로 팽창되는 루프 형상을 가지고 있다(도 6C 참조). 탄성접촉부(56,57)는, 예를 들면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54,55)의 상단 근방으로부터 절단하여 올려지며 내측 하향으로 경사져, 그 선단(56A,57A)이 지지부(54,5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표면실장 클립(51)의 프린트 배선기판(90)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54,55)의 선단(54A,55A)은 땜납접합부(52)와 거의 동일한 높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므로(땜납접합부(52)의 연장선 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면(52A)을 땜납(93)에 의해 프린트 배선기판(90)에 땜납접합한 경우, 땜납(93)이 땜납접합부(52)와 선단(54A,55A) 간의 틈새(환언하면 선단(54A,55A)의 외주부) 등에도 형성되어, 지지부(54,55)는 강고한 벽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본 제 5 실시예에서도,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탄성접촉부(56,57)가 영구변형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고, 쉴드 케이스(91) 등의 도전성 부재의 프린트 배선기판(90)에 대한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54,55)의 간격은, 종래 품의 표면실장 클립에 있어서의 간격(개구)보다도 넓어져 있어, 도전성 부재의 삽입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이 때문에, 표면실장 클립(51)은 종래 품보다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표면실장 클립(51)이 점유하는 면적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경량화가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표면실장 클립(51)의 제조 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5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5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54,55)의 상단 근방이 땜납접합부(52)의 상방으로 팽창된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8A의 평면도, 도 8B의 좌상 사시도, 도 8C의 우상 사시도, 도 8D의 8D-8D선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팽창된 부분과 탄성접촉부(56,57)간의 사이에 전선 (97) 등의 도전성 부재도 삽입해서 고정할 수 있다.
[제 6 실시예]
도 9A~도 9J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제 6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61)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면실장 클립(61)은, 탄성접촉부(6,7)와 지지부(4,5)의 구성이 다음과 같이 변경된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1)과 다르고, 다른 부분은 표면실장 클립(1)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A~도 9J에서는, 표면실장 클립(1)과 같이 구성된 부위에는 도 1A~도 1J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제 4 실시예와 같이, 한 쌍의 지지부(4,5)는, 땜납접합부(2,3)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서로의 틈새가 넓어지도록, 평행지지부(4A,5A)의 근방에서 모따기가 행해져 있다. 이 때문에, 도전성 부재를 한 쌍의 지지부(4,5) 사이에 삽입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제 6 실시예에서도, 제 3, 제 4 실시예와 같이, 땜납접합부(2,3)의 좌우 방향의 폭이 같아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지지부(4,5)를 합친 좌우 방향의 폭이 땜납접합부(2,3)의 좌우 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커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지지부(4)의 평행지지부(4A)에 있어서, 평행지지부(5A)에 대향하는 측에는, 탄성접촉부(66) 및 절결부(切缺部, notch)(4D)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5)의 평행지지부(5A)에 있어서, 평행지지부(4A)에 대향하는 측에는, 탄성접촉부(67) 및 절결부(5D)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접촉부(66)와 절결부(5D)가 마주 보도록 대응하고 있으며, 탄성접촉부(67)와 절결부(4D)가 마주 보도록 대응하고 있다. 그 결과, 탄성접촉부(66,67)는,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제 6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61)은, 탄성접촉부(66,67)의 길이(평행지지부(4A,5A)에 대한 베이스단(base ends)으로부터 선단(66A,67A)에 이르는 길이)를, 평행지지부(4A,5A)의 간격에 절결부(4D,5D)의 절결 깊이를 더 합한 길이까지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제 6 실시예의 표면실장 클립(61)은, 상술한 바와 같이 1매의 박판을 펀칭하여 형성할 때, 지지부(4,5) 사이의 상기 박판도 탄성접촉부(66,67)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어, 그 표면실장 클립(61)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를 저감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탄성접촉부(66,67)는 평행지지부(4A,5A)의 하방으로 굴곡되어 하향으로 경사지며, 선단(66A,67A)이 지지부(4,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하여, 전후 방향으로 일부 중첩되어 있다(도 9A, 도 9E 참조). 이 때문에, 본 제 6 실시예에서도, 쉴드 케이스(91)의 측벽(91B) 등(도 2A~도 2E 참조)의 도전성 부재에 탄성접촉부(66,67)를 압접해서 그 도전성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각 탄성접촉부(66,67)는, 평행지지부(4A,5A)를 구성하는 상기 박판을, 하방(땜납접합부(2,3) 방향)으로 접어 구부려 구성된다. 이 때문에, 지지부(4,5) 사이에 측벽(91B) 등의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면, 그 삽입에 의해, 각 탄성접촉부(66,67)에는 상기 접어 구부림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도전성 부재의 삽입에 의해 상기 접어 구부림을 감소시키는 방향, 즉 표면실장 클립을 원래의 박판 형상으로 돌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탄성접촉부가 도전성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영구변형할 가능성이 높아지지만,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그 역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탄성접촉부(66,67)의 영구변형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탄성접촉부(66)는 평행지지부(4A)의 절결부 (4D)의 지지부(5) 측단 가장자리에 연이어 접하며, 탄성접촉부(67)는 평행지지부(5A)의 절결부(5D)의 지지부(4) 측단 가장자리에 연이어 접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탄성접촉부(66,67)에 옆으로부터 부딪혀 그 탄성접촉부(66,67)가 영구변형하는 것을, 지지부(4,5)에 의해 극히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1,21,31,41,51,61...표면실장 클립
2,3,32B,52...땜납접합부
4,5,54,55...지지부
4A,5A...평행지지부
4B,4C,5B,5C...연접부
6,7,56,57,66,67...탄성접촉부
32C...보조접촉부
90...프린트 배선기판
91...쉴드 케이스
91B...측벽
93...땜납
97...전선

Claims (6)

  1. 금속의 박판을 접어 구부려 형성된 표면실장 클립으로서,
    프린트 배선기판의 부착대상면에 표면실장하여 사용될 때, 하면이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의 도체 패턴에 땜납접합되는 땜납접합면이 되는 땜납접합부와,
    상기 땜납접합부에,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변위해서 연이어 접하며, 그 땜납접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었을 때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과는 다른 도전성 부재를 삽입가능한 간격을 두고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으로부터 부상한 위치에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기 땜납접합부 방향으로 경사져 연이어 접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탄성변형해서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어, 상기 도전성 부재를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도체 패턴과 상기 도전성 부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탄성접촉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접합부를 복수 구비하고,
    상기 각 지지부는, 상기 탄성접촉부의 압접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일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나에, 타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다른 하나에, 각각 연이어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면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서 서로의 틈새가 넓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의 대향하는 한 쌍의 변으로부터 상기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굴곡되며 또한 상기 땜납접합부의 하면 방향으로 접어 꺽인 형상을 가지고, 그 접어 꺽인 선단이 상기 땜납접합부의 연장선 위에 설치되며,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한 쌍의 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도전성 부재에 압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접합부에, 그 땜납접합부의 상면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보다도 적게 변위해서 연이어 접하며, 그 땜납접합부가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에 땜납접합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도전성 부재가 삽입되었을 때, 그 도전성 부재에 상기 프린트 배선기판 측으로부터 접촉하는 보조접촉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부는, 상기 땜납접합부와 평행한 평행지지부를 각각 가지며,
    상기 탄성접촉부는, 상기 각 지지부의 상기 각 평행지지부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측의 단부 가장자리에 각각 연이어 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 클립.
KR1020137001929A 2010-06-30 2011-06-30 표면실장 클립 KR101415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50021 2010-06-30
JP2010150021 2010-06-30
PCT/JP2011/065079 WO2012002503A1 (ja) 2010-06-30 2011-06-30 表面実装クリッ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658A true KR20130066658A (ko) 2013-06-20
KR101415224B1 KR101415224B1 (ko) 2014-07-04

Family

ID=4540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1929A KR101415224B1 (ko) 2010-06-30 2011-06-30 표면실장 클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67698B2 (ko)
EP (1) EP2590494B1 (ko)
JP (1) JP5740602B2 (ko)
KR (1) KR101415224B1 (ko)
CN (1) CN102972105B (ko)
WO (1) WO2012002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1370B2 (en) * 2013-07-31 2019-03-12 Fuji Corporatio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device
CN104916898A (zh) * 2014-03-10 2015-09-16 原田工业株式会社 天线装置
CN107548574A (zh) * 2016-04-29 2018-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穿戴设备电路板及其制备方法、穿戴设备
CN110169217B (zh) * 2017-01-05 2021-01-15 昕诺飞控股有限公司 附接构件和系统
JP6864887B2 (ja) * 2017-05-19 2021-04-28 北川工業株式会社 取付具
JP6903331B2 (ja) * 2018-03-29 2021-07-14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1374366B2 (en) 2020-06-19 2022-06-28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 ground connection for a circuit assembly
US11646514B2 (en) * 2020-08-10 2023-05-09 Lear Corporation Surface mount technology terminal header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JP2022086795A (ja) * 2020-11-30 2022-06-09 京セラ株式会社 接続部品、シールド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11706867B2 (en) 2021-01-27 2023-07-18 Lear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lectrical ground connection for a circui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9210A (en) * 1965-07-28 1968-02-13 Electro Nite Electrical connector
US4890199A (en) * 1988-11-04 1989-12-26 Motorola, Inc. Miniature shield with opposing cantilever spring fingers
US5043528A (en) * 1989-03-30 1991-08-27 Richard Mohr Device for providing electrical continuity between electrically conductive surfaces
US5235492A (en) * 1990-04-24 1993-08-10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for cellular telephones
US5124889A (en) * 1990-04-24 1992-06-23 Motorola, Inc. Electromagnetic shielding apparatus for cellular telephones
WO1994019874A1 (en) * 1993-02-26 1994-09-01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shielding method and apparatus
US5490788A (en) * 1994-11-01 1996-02-13 Emc Technology, Inc. Surface mount terminal for electrical component
SE506319C2 (sv) * 1995-08-21 1997-12-01 Ericsson Telefon Ab L M Kontaktfjäder samt anordning vid en elektrooptisk krets
US5906496A (en) * 1996-12-23 1999-05-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iniature card edge clip
USD410226S (en) * 1997-03-26 1999-05-25 Smk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JPH1126978A (ja) * 1997-07-03 1999-01-29 Ace Five:Kk 電磁シールド接続装置、及び該接続端子
JPH11339906A (ja) * 1998-05-22 1999-12-10 Amp Japan Ltd 基板取付型コネクタ
US6500012B1 (en) * 1998-10-01 2002-12-31 Rittal Electronic System Gmbh & Co. Kg Contact spring strip for attaching to a holding strip and contact part with a contact spring strip and a holding strip, especially a front panel of a printed circuit module
US6267629B1 (en) * 1998-10-28 2001-07-31 Qualcomm Incorporated Shield clip and method of securing a shield cover
JP2000196280A (ja) 1998-12-25 2000-07-14 Autosplice Inc 電磁気周波数妨害シ―ルド用の面着式クリップ
JP3609762B2 (ja) 2001-08-06 2005-01-12 北川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ボックスの実装方法
DE10155882A1 (de) * 2001-11-14 2003-05-22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Halteklammer für Abschirmungen
USD483330S1 (en) * 2002-11-12 2003-12-09 Advanced Connectek, Inc. Terminal of connector
JP3927966B2 (ja) * 2004-05-19 2007-06-13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JP2006100473A (ja) 2004-09-29 2006-04-13 Sharp Corp 印刷配線基板用クリップ、及び該クリップに挿嵌される構造物
ATE434375T1 (de) * 2006-04-10 2009-07-15 Harman Becker Automotive Sys Niederhaltevorrichtung
JP4936366B2 (ja) 2006-10-03 2012-05-23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KR100886591B1 (ko) 2007-11-01 2009-03-05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USD607835S1 (en) * 2009-06-29 2010-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contact
USD624025S1 (en) * 2010-03-16 2010-09-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lip for contacting
JP5530278B2 (ja) * 2010-03-30 2014-06-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5990751B2 (ja) * 2012-04-18 2016-09-14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USD706224S1 (en) * 2013-08-01 2014-06-03 Ebara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for use in a pl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972105B (zh) 2016-01-20
US9167698B2 (en) 2015-10-20
KR101415224B1 (ko) 2014-07-04
US20130206457A1 (en) 2013-08-15
EP2590494A1 (en) 2013-05-08
JPWO2012002503A1 (ja) 2013-08-29
CN102972105A (zh) 2013-03-13
JP5740602B2 (ja) 2015-06-24
EP2590494A4 (en) 2017-08-16
EP2590494B1 (en) 2019-08-07
WO2012002503A1 (ja)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5224B1 (ko) 표면실장 클립
KR101358281B1 (ko) 표면 실장 클립
JP6108462B2 (ja) コネクタ
US8282430B2 (en) Electrical contact
JP4258432B2 (ja) 基板接合部材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三次元接続構造体
US933141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978174B2 (ja) コンタクト
JP4273495B2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JP2005276624A (ja) 電子部品取付用ソケット
WO2010135540A1 (en) Board-to-board connector
JP6848489B2 (ja) コンタクトおよびコネクタ
EP1416590A1 (en) Connector efficiently forming a standoff region
JP2580051B2 (ja) プリント基板用端子
KR10261124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
JP2016081670A (ja) 線状導体接続用端子
JP3452546B2 (ja) 導電部材
JP4702449B2 (ja) シールド構造
TWI277245B (en) Connector for connecting a printed substrate and a printed-substrate connecting device using said connector
CN103490217B (zh) 互连装置
TWI320253B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US9735483B2 (en) Contact
JP2003257520A (ja) 押し当て式基板用コネクター
JP2006019139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部品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3179922U (ja) シールドカバー
JP2006066122A (ja) 電気接続箱の接続端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