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0944A - 차량 하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하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0944A
KR20130040944A KR1020127034029A KR20127034029A KR20130040944A KR 20130040944 A KR20130040944 A KR 20130040944A KR 1020127034029 A KR1020127034029 A KR 1020127034029A KR 20127034029 A KR20127034029 A KR 20127034029A KR 20130040944 A KR20130040944 A KR 20130040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load transmission
load
floor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4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2654B1 (ko
Inventor
료스케 치카자와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3004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6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of X-shaped or fork-shaped construction, i.e. having members which form an X or fork as the frame is seen in plan vi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2Plastic parts manufactured by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특별히 높이지 않아도, 브레이스를 통하여 전측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하부 구조를 얻는다.
브레이스(60)는 전측 연결부(62)와 후측 연결부(92)를 구비하고 있고, 이 전측 연결부(62)와 후측 연결부(92)가 평면에서 보아 대략 M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중 전달부(100)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30)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후측 연결부(92)와 하중 전달부(100)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후측 연결부(92)에 전해진 하중은,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후측 연결부(92)를 변형시키려고 하고, 후측 연결부(92)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을 파단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적어진다.

Description

차량 하부 구조{VEHICLE UNDERBODY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 터널의 좌우 양측을 브레이스에 의해 연결한 차량 하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평면에서 보아 X 형상의 브레이스(특허문헌 1에서는 「엔진 리어 서포트 멤버」라고 칭하고 있다)에 의해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의 후단(後端) 측과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특허문헌 1에서는 모두 「프론트 사이드 멤버」라고 칭하고 있다)의 후단 측을 연결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의 도 3에는, 좌우의 플로어 프레임(특허문헌 2에서는 「플로어 멤버」라고 칭하고 있다)을 연결하는 제1 가로 브레이스와, 제1 가로 브레이스의 후방에 설치되어 플로어 터널의 좌우 양측을 연결하는 제2 가로 브레이스가, 제1 및 제2 경사 브레이스로 연결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05-2061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120100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좌우 어느 일방의 플로어 프레임의 전측으로부터 하중이 부여되면, 브레이스를 통하여 좌우 어느 타방의 프론트 사이드 멤버에 하중이 전해진다. 여기서, 이와 같이 전해지는 하중은, 브레이스와 좌우 어느 타방의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을 전단(剪斷)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플로어 터널로부터 제2 가로 브레이스에 전측으로부터의 하중이 전해지면, 제1 및 제2 경사 브레이스를 통하여 제1 가로 브레이스에 하중이 전해지고, 또한, 이 제1 가로 브레이스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이 전해진다. 여기서, 특허문헌 2의 도 3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제1 가로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체결 부분에 제2 경사 브레이스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가로 브레이스로부터 제2 경사 브레이스에 전해진 하중은, 제1 가로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체결 부분을 전단하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높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를 특별히 높이지 않아도, 브레이스를 통해 전측으로부터 전해지는 하중에 대하여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차량 하부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각각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플로어 프레임과, 상방을 향하여 팽창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터널부를 가지고, 좌측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터널부를 걸치도록 상기 터널부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고정되는 전측 연결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전측 연결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일단 측이 일방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단 측이 타방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고정된 후측 연결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의 부분과 상기 전측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중 전달부를 가지는 브레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프레임의 일방에 브레이스를 구성하는 후측 연결부의 일단 측이 고정되고, 타방의 플로어 프레임에 후측 연결부의 타단 측이 고정된다. 또, 이 좌우의 플로어 프레임의 사이에는 상방을 향하여 팽창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터널부를 가지는 플로어 터널이 설치된다. 이 플로어 터널에 있어서의 터널부의 좌우 양측에 후측 연결부보다 전방에 설치된 전측 연결부의 양단 측이 연결된다.
좌우의 플로어 프레임의 일방에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하중이 입력되면, 플로어 터널에 있어서의 좌우 일방 측과 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이, 플로어 터널에 있어서의 좌우 타방 측과 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후방으로 어긋나고, 이것에 의해, 좌우 방향을 축 방향으로 비틀려고 한다. 여기서, 전측 연결부는 하중 전달부에 의해 후측 연결부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연결부는 상기의 비틀림에 대한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되어, 상기와 같은 비틀림, 나아가서는, 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좌우 어느 일방이 타방에 대하여 후방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에 전해진 하중은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후측 연결부에 전해진다. 여기서, 하중 전달부는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내측에서 후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를 통하여 하중 전달부에 전해진 하중은,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내측에 전해진다. 이와 같이, 하중이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직접 전해지지 않기 때문에,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는, 길이 방향 전단(前端)이 상기 터널부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후단이 길이 방향 전단보다 좌우 방향 외측이며 또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외측 하중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 의하면, 하중 전달부를 구성하는 외측 하중 전달부는 그 길이 방향 전단이 플로어 터널에 연결되어 있다. 이 외측 하중 전달부의 길이 방향 후단은 길이 방향 전단보다 좌우 방향 외측이며 또한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후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다.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에 전해진 하중은 외측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후측 연결부에 전해지고, 또한, 후측 연결부로부터 플로어 프레임에 전해진다. 이 때문에,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 및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후측 연결부에 전해진 하중은, 외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을 기점(起点)으로 후측 연결부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한다. 이 때문에, 하중에 의해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이 해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는, 길이 방향 전단이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 및 상기 전측 연결부의 적어도 일방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후단이 양방의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의 사이에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연결됨과 함께, 서로의 길이 방향 후단이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내측 하중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 의하면, 하중 전달부를 구성하는 한 쌍의 내측 하중 전달부는 그 길이 방향 전단이 그 내측 하중 전달부에 대응한 외측 하중 전달부 및 전측 연결부의 적어도 일방에 연결되어 있다. 또, 이들 내측 하중 전달부의 길이 방향 후단이 양방의 외측 하중 전달부의 사이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후측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내측 하중 전달부가 설치됨으로써, 외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 및 그 근방에 비해 내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 및 그 근방은 기계적 강도가 강해진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스의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를 확보한 후에,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에 전해진 하중을 외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 및 그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와 상기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이 상기 후측 연결부와 상기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후방으로 변위되게 상기 후측 연결부가 변형되도록 상기 브레이스를 설정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 의하면,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측 연결부, 외측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후측 연결부에 전해지는 하중이 소정의 크기 이상이 되면, 외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이 후측 연결부와 상기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후측 연결부가 변형된다. 이러한 후측 연결부의 변형에 상기의 하중이 제공됨으로써, 이 하중에 의해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이 해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제5항에 기재된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 방향 양단을 따라 설치된 로커와,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로커에 연결됨과 함께,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터널부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된 크로스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플로어 터널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전측 연결부를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하고 있다.
제5항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 의하면, 플로어 터널에 크로스 멤버가 연결되고, 이 플로어 터널과 크로스 멤버의 연결 부분의 좌우 외측에서 브레이스의 전측 연결부가 플로어 터널에 연결된다. 크로스 멤버는 그 길이 방향 일단(길이 방향 양단 중, 플로어 터널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서 로커에 연결된다. 이러한 크로스 멤버에 브레이스의 전측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전측 연결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해진 하중에 의한 전측 연결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측 연결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전해진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에 의해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에 있어서의 상대 변위가 가능하게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를 연결하고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차량 하부 구조에 의하면, 복수의 하중 전달부에 의해 전측 연결부와 후측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복수의 하중 전달부는 전측 연결부가 서로 연결되고, 전측 연결부로부터 복수의 하중 전달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전해지면, 복수의 하중 전달부가 서로 상대 변위한다. 이 상대 변위에 의해 하중이 제공됨으로써 하중에 의한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의 해소를 억제할 수 있어,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하중에 의한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의 해소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브레이스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외측 하중 전달부로부터 후측 연결부에 전해지는 하중은 후측 연결부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기 때문에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의 해소를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브레이스의 기계적 강도를 확보하면서, 차량 전방으로부터의 하중을 외측 하중 전달부와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 및 그 근방에 집중시킬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하중이 브레이스에 있어서의 후측 연결부의 변형에 제공되기 때문에, 하중에 의한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의 해소를 억제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제5항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브레이스의 전측 연결부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플로어 터널로부터 전해진 하중에 의한 전측 연결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차량 하부 구조는, 전측 연결부로부터 복수의 하중 전달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전해짐으로써 복수의 하중 전달부가 서로 상대 변위하고, 이 상대 변위에 의해 하중이 제공된다. 이것에 의해, 하중에 의한 후측 연결부와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의 해소를 억제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에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적용한 차량의 주요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일방의 플로어 프레임의 전단에 하중이 작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3은 일방의 플로어 프레임의 전단에 하중이 전해져 브레이스의 후측 연결부가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에 대응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적용되는 브레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 적용되는 브레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적용한 차량의 주요부를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하중이 브레이스에 전해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 7에 대응한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 1에서 도 8의 각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하고 있는 실시 형태나 변형예보다 앞에 나온 실시 형태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부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FR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적용한 차량(12)의 전후 방향 전방, 화살표 LH는 차량(12)의 좌우 방향(차폭 방향) 좌방, 화살표 UP는 차량(12)의 상하 방향 상방을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
도 1에는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를 적용한 차량(12)의 플로어를 차량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 나타나 있다. 차량(12)은 플로어 패널(14)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플로어 패널(14)의 좌우 방향 양측에는 로커(16)가 설치되어 있다. 로커(16)는 차량(12)의 전후 방향(화살표 FR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로커(16)는, 예를 들면, 전후 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자른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 등의 폐쇄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플로어 패널(14)의 하측이며 또한 로커(16)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멤버(18)가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18)는 차량(12)의 좌우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18)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차량(12)의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단면 해트 형상) 또는 직사각형 등의 폐쇄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우측의 크로스 멤버(18)의 길이 방향 우측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우측의 로커(16)에 고정되어 있고, 좌측의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플로어 터널(4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좌측의 크로스 멤버(18)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좌측의 로커(16)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의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플로어 터널(40)에 고정되어 있다.
이들 크로스 멤버(18)의 후방이며 또한 플로어 패널(14)의 하측에는 좌우 한 쌍의 크로스 멤버(20)가 설치되어 있다. 크로스 멤버(20)는 차량(12)의 좌우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로스 멤버(20)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예를 들면, 차량(12)의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 또는 직사각형 등의 폐쇄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우측의 크로스 멤버(20)의 길이 방향 우측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우측의 로커(16)에 고정되어 있고, 좌측의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플로어 터널(40)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좌측의 크로스 멤버(20)의 길이 방향 좌측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좌측의 로커(16)에 고정되어 있고, 우측의 단부는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후술하는 플로어 터널(40)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로커(16)의 사이에 있어서의 크로스 멤버(18, 20)의 하측에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 등으로도 칭해지는 좌우 한 쌍의 플로어 프레임(3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프레임(30)은 저벽(底壁)(32)을 구비하고 있다. 저벽(32)은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전후 방향을 따른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저벽(32)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는 차량(12)의 상방을 향하여 측벽(34)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들 측벽(34)의 상단부(上端部)[측벽(34)의 저벽(32)과는 반대측의 단부]로부터는 저벽(32)의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플랜지(36)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저벽(3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로어 프레임(30)을 자른 단면 형상은, 차량(12)의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해트 형상(또는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들 플로어 프레임(30)은, 플랜지(36)와 크로스 멤버(18)나 크로스 멤버(20)가 적절하게 스폿 용접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30)과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30) 사이에 있어서의 크로스 멤버(18, 20)의 하측에는 플로어 터널(40)이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터널(40)은 터널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터널부(42)는 좌우 양단으로부터 중앙 측을 향하여 점차 차량(12)의 상방을 향하여 팽창되고, 전체적으로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단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터널부(42)의 내측을 도시 생략한 머플러가 통과한다. 이 터널부(42)와 상기 서술한 크로스 멤버(18)나 크로스 멤버(20)가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터널부(42)의 좌우 양단부로부터는 차량(12)의 좌우 방향 외방을 향하여 플랜지(4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로어 프레임(30)의 후단 측 및 플로어 터널(40)의 하측에는 브레이스(60)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스(60)는, 예를 들면, 냉간 압연 강판에 용융 아연 도금을 실시한 소위 「용융 아연 도금 강판」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스(60)는 전측 연결부(62)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연결부(62)는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좌우 방향을 따르고, 폭 방향이 차량(12)의 전후 방향을 따른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측 연결부(62)의 폭 방향 양측은 상하 방향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때문에, 전측 연결부(62)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전측 연결부(62)는 플로어 터널(40)을 통하여 크로스 멤버(20)와 상하로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는 브래킷(70)이 설치되어 있다. 브래킷(70)은 평판 형상의 플랜지 측 고정편(72)을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 측 고정편(72)은 그 두께 방향으로 플로어 터널(40)의 플랜지(44)와 대향하고, 플랜지 측 고정편(72)과 플랜지(44)가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 브래킷(70)은 터널 측 고정편(74)을 구비하고 있다. 터널 측 고정편(74)은 터널부(42)의 내측에 있어서의 터널부(42)의 좌우 방향 양단부 근방의 경사에 따른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측 고정편(72)은 그 두께 방향으로 터널부(42)의 내측면에 대향하고, 터널 측 고정편(74)과 터널부(42)가 용접 등의 고착 수단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브래킷(70)에는 브레이스 고정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스 고정부(76)는 두께 방향이 차량(12)의 상하 방향을 따른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단부 측과 대향하고 있다. 이 브레이스 고정부(76)에는 전후 한 쌍의 투과 구멍(78)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투과 구멍(78)에 대응하여,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양단 측의 각각에는, 전후 한 쌍의 투과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 구멍(82)과 투과 구멍(78)에는 도시 생략한 볼트가 상방으로부터 관통한다.
브레이스 고정부(76)의 전측 연결부(62)와는 반대 측의 면에는, 각 투과 구멍(78)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도시 생략한 웰드 너트가 고착되어 있다. 투과 구멍(82) 및 투과 구멍(78)을 관통한 볼트가 웰드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브레이스(60)의 전측 연결부(62)가 브래킷(70)에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전측 연결부(62)의 좌우 양단 측이, 플로어 터널(40)과 크로스 멤버(20)의 연결 부분의 좌우 양측에서 플로어 터널(40)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스(60)는 후측 연결부(9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측 연결부(92)는 전측 연결부(62)보다 차량 후방 측에 설치되어 있다. 후측 연결부(92)는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좌우 방향을 따르고, 그 길이 치수는 상기 서술한 전측 연결부(62)보다 길며, 폭 방향이 차량(12)의 전후 방향을 따른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후측 연결부(92)의 폭 방향 양측은 상하 방향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때문에, 후측 연결부(92)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후측 연결부(92)의 길이 방향 양단 측에는 후측 연결부(9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투과 구멍(9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투과 구멍(94)에 대응하여 좌우 양방의 플로어 프레임(30)의 저벽(32)에는 투과 구멍(96)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 구멍(94)과 투과 구멍(96)에는 도시 생략한 볼트가 상방으로부터 관통한다. 저벽(32)의 후측 연결부(92)와는 반대측의 면에는, 각 투과 구멍(96)에 대하여 동축적으로 도시 생략한 너트가 설치되고, 투과 구멍(94) 및 투과 구멍(96)을 관통한 볼트가 너트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후측 연결부(92)이 양 저벽(32)[즉, 양 플로어 프레임(30)]에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된다.
이 후측 연결부(92)와 상기 전측 연결부(62)의 사이에는 하중 전달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하중 전달부(100)는 좌우 한 쌍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외측 하중 전달부(102)는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에서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고, 우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에서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다[즉, 외측 하중 전달부(102)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좌우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외측 하중 전달부(102)는, 폭 방향 양측이 상하 방향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때문에, 외측 하중 전달부(102)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전단은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좌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전단은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우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은 후측 연결부(92)의 길이 방향 좌측에 있어서의 저벽(32)[플로어 프레임(30)]과의 체결 고정 부분보다 우측에서 후측 연결부(92)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은 후측 연결부(92)의 길이 방향 우측에 있어서의 저벽(32)[플로어 프레임(30)]과의 체결 고정 부분보다 좌측에서 후측 연결부(92)에 연결되어 있다.
이들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사이에는 좌우 한 쌍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가 설치되어 있다. 내측 하중 전달부(112)는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좌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에서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에서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다[즉, 내측 하중 전달부(112)는 전단보다 후단이 차량(12)의 좌우 방향 중앙 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들 내측 하중 전달부(112)의 폭 방향 양측은 상하 방향 상방으로 굴곡되어 있고, 이 때문에,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그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상방을 향하여 개구된 오목 형상으로 되어 있다.
좌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의 전단은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좌측의 단부이며 또한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의 전단은 전측 연결부(62)의 길이 방향 우측의 단부이며 또한 우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좌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의 후단 및 우측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의 후단은 후측 연결부(92)의 길이 방향 대략 중앙에서 후측 연결부(92)에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브레이스(60)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와 내측 하중 전달부(112)는 평면에서 보아 M자 형상(또는 역W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측 하중 전달부(102)와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설치함으로써, 후측 연결부(92)의 길이 방향 중앙 측[즉, 후측 연결부(92)와 양 내측 하중 전달부(112)가 연결되는 부분과 그 근방]은, 후측 연결부(92)와 외측 하중 전달부(102)가 연결되는 부분과 그 근방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
<제1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위 「오프셋 충돌」 등에 의해,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30)의 전단에 후방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면, 크로스 멤버(18)나 크로스 멤버(20)를 통하여 플로어 터널(40)에 하중이 전달된다. 이 하중은, 플로어 터널(40)에 있어서의 좌측을 후방으로, 우측을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변위 시키도록 작용한다[즉, 플로어 터널(40)을 전후로 전단하도록 작용한다]. 또, 이 하중은 플로어 터널(40) 및 브래킷(70)을 통하여 브레이스(60)의 전측 연결부(62)에 전해지고, 전측 연결부(62)의 좌측의 단부를 후방으로, 우측의 단부를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려고 한다.
또한, 이 하중은 양 외측 하중 전달부(102)나 양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통하여 후측 연결부(92)에 전해지고, 후측 연결부(92)를 통하여 저벽(32)[즉, 플로어 프레임(30)]에 전해진다. 이와 같이 플로어 프레임(30)에 전해진 하중은,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30)과 후측 연결부(92)의 연결 부분을 후방으로,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30)과 후측 연결부(92)의 연결 부분을 전방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려고 한다. 이와 같이 하중이 작용함으로써, 전측 연결부(62)나 후측 연결부(92)를 그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 비트는듯한 하중이 작용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와 좌우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에서 전측 연결부(62)와 후측 연결부(92)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측 연결부(62)나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상기와 같은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전측 연결부(62)나 후측 연결부(92)에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측 연결부(62)나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비틀림 변형의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측 연결부(62)나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좌측이 후방으로, 우측이 전방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전측 연결부(62)와 양 브래킷(70)의 연결 부분, 브래킷(70)과 플로어 터널(40)의 플랜지(44)의 연결 부분, 후측 연결부(92)와 양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이 파단되어, 이들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연결이 강제적으로 해소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30)과의 연결 부분인 투과 구멍(94)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후측 연결부(92)와 외측 하중 전달부(102)가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하중은 외측 하중 전달부(102)를 통하여 투과 구멍(94)보다 좌우 방향 내측으로 전해진다. 이 때문에, 후측 연결부(92)에 전해진 하중은,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를 기점으로 하여,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두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축 주위에 후측 연결부(92)를 변형시키려고 한다. 따라서, 이 하중이 후측 연결부(92)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을 파단하도록 작용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하중이 후측 연결부(92)에 전해져도, 후측 연결부(92)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92)로부터 플로어 프레임(30)으로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로부터 후측 연결부(92)에 전해진 하중이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후측 연결부(92)와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연결 부분]의 기계적 강도를 넘으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가 후측 연결부(92)와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보다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후측 연결부(92)가 굴곡(변형)된다. 이와 같이, 상기의 하중은 후측 연결부(92)의 변형에 제공되지만, 후측 연결부(92)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은 유지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후측 연결부(92)가 변형된 후에도 후측 연결부(92)로부터 플로어 프레임(30)으로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사이에 한 쌍의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설치한 구성이었지만,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설치하지 않고 좌우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만으로 하중 전달부(100)을 구성해도 된다. 단,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설치함으로써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의 기계적 강도를,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 외측의 기계적 강도보다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 하중 전달부(112)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후측 연결부(92)에 있어서의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의 폭 치수나 두께 치수를, 외측 하중 전달부(102)의 후단부보다 좌우 방향 외측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 형태의 구성>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본 실시 형태에 관련되는 차량 하부 구조에서 적용되는 브레이스(162)의 구성이 차량 하방으로부터 본 도면에 의해 나타나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스(162)는 전측 연결부(164)와 후측 연결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전측 연결부(164) 및 후측 연결부(166)는 길이 방향이 차량(12)의 좌우 방향을 따른 판 형상인 점에 관해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측 연결부(62) 및 후측 연결부(92)와 동일하다. 단, 전측 연결부(164)와 후측 연결부(166)가 별체(각각 독립된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전측 연결부(164) 및 후측 연결부(166)는 전측 연결부(62) 및 후측 연결부(92)와는 다르다.
브레이스(162)는, 하중 전달부(100)를 대신하는 하중 전달부(170)를 구비하고 있다. 하중 전달부(170)는 제1 하중 전달부(17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하중 전달부(172)는 전단이 전측 연결부(164)의 좌측 단부의 근방에서 볼트(174)에 의해 전측 연결부(16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하중 전달부(172)의 후단은, 후측 연결부(166)를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30)과 체결 고정하는 볼트(176)보다 좌측이며 또한 후측 연결부(166)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 중앙보다 우측에서 볼트(178)에 의해 후측 연결부(166)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 하중 전달부(170)는 제2 하중 전달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하중 전달부(182)는 전단이 전측 연결부(164)의 우측 단부의 근방에서 볼트(184)에 의하여 전측 연결부(164)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하중 전달부(182)의 후단은, 후측 연결부(166)를 좌측의 플로어 프레임(30)과 체결 고정하는 볼트(186)보다 우측이며 또한 후측 연결부(166)의 길이 방향(좌우 방향) 중앙보다 좌측에서 볼트(188)에 의해 후측 연결부(166)에 체결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제1 하중 전달부(172)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긴 구멍(19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92)의 길이 방향은 제1 하중 전달부(172)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고, 제1 하중 전달부(17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2 하중 전달부(182)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는 긴 구멍(19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194)의 길이 방향은 제2 하중 전달부(182)의 길이 방향을 따르고 있고, 제2 하중 전달부(182)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이 긴 구멍(192)과 긴 구멍(194)은, 각각의 일부가 제1 하중 전달부(172) 및 제2 하중 전달부(182)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겹쳐져 있다. 이 긴 구멍(192)과 긴 구멍(194)이 겹친 부분에서는, 볼트(196)가 긴 구멍(192, 194)을 관통하고 있고, 제1 하중 전달부(172)와 제2 하중 전달부(182)를 일체적으로 체결 고정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의 구성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측 연결부(164)와 후측 연결부(166)가 별체로 구성되어 있지만, 볼트(196)에 의해 체결 고정된 제1 하중 전달부(172) 및 제2 하중 전달부(182)에 의하여 전측 연결부(164)와 후측 연결부(166)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전측 연결부(164)나 후측 연결부(166)의 각각의 길이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비틀림에 대한 강성이 높다. 이것에 의해, 전측 연결부(164)나 후측 연결부(166)에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전측 연결부(164)와 플랜지(44)의 연결 부분, 투과 구멍(94)과 양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이 파단되어, 이들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연결이 강제적으로 해소되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측 연결부(166)에 있어서의 플로어 프레임(30)과의 연결 부분인 투과 구멍(94)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후측 연결부(166)와 제1 하중 전달부(172) 및 제2 하중 전달부(182)가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의 하중은 제1 하중 전달부(172)나 제2 하중 전달부(182)를 통하여 플로어 프레임(30)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내측에 전해진다. 이 때문에, 후측 연결부(166)에 전해진 하중이 후측 연결부(166)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 부분을 파단하도록 작용하는 일이 적어진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하중이 후측 연결부(166)에 전해져도, 후측 연결부(166)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166)로부터 플로어 프레임(30)으로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중 전달부(172)나 제2 하중 전달부(182)에 전해진 하중이 볼트(196)에 의한 제1 하중 전달부(172)와 제2 하중 전달부(182)의 체결 강도를 넘으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하중 전달부(172)나 제2 하중 전달부(18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하거나 회전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제1 하중 전달부(172)와 플로어 터널(40)의 체결 부분 및 제2 하중 전달부(182)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체결 부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변화되어도, 후측 연결부(166)와 플로어 프레임(3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어, 후측 연결부(166)로부터 플로어 프레임(30)으로 하중을 계속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긴 구멍(192)과 긴 구멍(194)은 그 길이 방향 대략 전역에서 폭 치수가 볼트(196)의 외경 치수보다 약간 크고, 볼트(196)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였다. 그러나, 긴 구멍(192, 194)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볼트(196)가 관통하는 부분보다 긴 구멍(192, 194)의 길이 방향 양측에서 긴 구멍(192, 194)의 폭 치수를 볼트(196)의 외경 치수보다 작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한 경우, 볼트(196)가 초기 위치로부터 긴 구멍(192, 194)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 볼트(196)가 긴 구멍(192, 194)의 내주연을 소성 변형시킨다. 이와 같이 긴 구멍(192, 194)의 내주연이 소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서술한 하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다.

Claims (6)

  1. 각각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플로어 프레임과,
    상방을 향하여 팽창되고 하방을 향하여 개구된 터널부를 가지고, 좌측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 우측의 플로어 프레임의 사이에 설치된 플로어 터널과,
    상기 터널부를 걸치도록 상기 터널부의 좌우 양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고정되는 전측 연결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전측 연결부의 후방에 설치되고 일단 측이 일방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고정되며 타단 측이 타방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에 고정된 후측 연결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의 부분과 상기 전측 연결부를 연결하는 하중 전달부를 가지는 브레이스를 구비하는 차량 하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는, 길이 방향 전단이 상기 터널부보다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후단이 길이 방향 전단보다 좌우 방향 외측이며 또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있어서의 상기 플로어 프레임과의 연결 부분보다 좌우 방향 중앙 측에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연결된 좌우 한 쌍의 외측 하중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 하부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는, 길이 방향 전단이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 및 상기 전측 연결부의 적어도 일방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 후단이 양방의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의 사이에서 상기 후측 연결부에 연결됨과 함께, 서로의 길이 방향 후단이 연결된 좌우 한 쌍의 내측 하중 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 하부 구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이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를 통하여 상기 후측 연결부에 작용함으로써, 상기 외측 하중 전달부와 상기 후측 연결부의 연결 부분이 상기 후측 연결부와 상기 플로어 프레임의 연결 부분에 대하여 후방으로 변위되도록 상기 후측 연결부가 변형되는 차량 하부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 방향 양단을 따라 설치된 로커와,
    길이 방향이 좌우 방향을 따르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로커에 연결됨과 함께, 길이 방향 타단이 상기 터널부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된 크로스 멤버를 구비하고,
    상기 크로스 멤버와 상기 플로어 터널의 연결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 외측에서 상기 전측 연결부를 상기 플로어 터널에 연결한 차량 하부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전달부를 복수 설치함과 함께, 상기 전측 연결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의 적어도 어느 일방에 전해진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에 의해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에 있어서의 상대 변위가 가능하게 복수의 상기 하중 전달부를 연결한 차량 하부 구조.
KR1020127034029A 2011-08-15 2011-08-15 차량 하부 구조 KR101332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1/068531 WO2013024528A1 (ja) 2011-08-15 2011-08-15 車両下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0944A true KR20130040944A (ko) 2013-04-24
KR101332654B1 KR101332654B1 (ko) 2013-11-25

Family

ID=4771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4029A KR101332654B1 (ko) 2011-08-15 2011-08-15 차량 하부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73578B2 (ko)
EP (1) EP2746140B1 (ko)
JP (1) JP5278612B1 (ko)
KR (1) KR101332654B1 (ko)
CN (1) CN103052559B (ko)
WO (1) WO20130245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44A (ko) * 2017-05-11 201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04793A1 (de) * 2013-03-20 2014-09-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FR3023250B1 (fr) * 2014-07-04 2017-12-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Traverse transversale de renfort amelioree a rupture programmee
FR3023251B1 (fr) * 2014-07-04 2018-01-19 Psa Automobiles Sa. Traverse transversale de renfort amelioree pour le choc lateral et le choc frontal
US10112563B2 (en) 2015-06-30 2018-10-30 Faraday & Future Inc. Tapered crush can
US10300948B2 (en) 2015-10-30 2019-05-28 Faraday&Future Inc. Webbing devices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US10131381B2 (en) * 2015-06-30 2018-11-20 Faraday & Future Inc. Joint for an underbody of a motor vehicle
JP2017024698A (ja) * 2015-07-15 2017-02-02 現代自動車株式会社Hyundai Motor Company 車体結合構造
JP6319251B2 (ja) 2015-09-28 2018-05-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骨格構造
JP6279641B2 (ja) * 2016-03-17 2018-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サブフレーム
KR101886513B1 (ko) * 2016-10-12 2018-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론트 차체 구조
JP6977307B2 (ja) * 2017-04-28 2021-12-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US10559795B1 (en) * 2018-12-19 2020-02-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hassis brace for protecting traction battery
EP3686090B1 (en) * 2019-01-23 2022-03-09 Volvo Car Corporation Reinforcement arrangement
JP2021024559A (ja) * 2019-08-05 2021-02-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構造
JP7197524B2 (ja) * 2020-01-14 2022-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ボデーの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3594A1 (de) * 1980-11-19 1982-08-19 Efrudec GmbH, 7141 Schwieberdingen Elektromotorisch verstellbarer rueckblickspiegel
JPS6047769A (ja) * 1983-08-26 1985-03-15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車体のフロア構造
JPS624435A (ja) * 1985-06-28 1987-01-10 Tookiyoo Menki:Kk 溶解液自動計量供給装置
JPH0793948B2 (ja) * 1991-08-09 1995-10-11 アトム株式会社 輸液装置
JPH0558347A (ja) * 1991-08-31 1993-03-0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3182938B2 (ja) * 1992-11-02 2001-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フロアトンネルの補強構造
KR970003679Y1 (ko) * 1995-03-28 1997-04-23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하부구조
DE29520166U1 (de) * 1995-12-20 1997-05-07 Karmann Gmbh W Kraftfahrzeugkarosserie, insbesondere für ein Cabriolet-Fahrzeug
JP3166596B2 (ja) 1996-02-01 2001-05-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3357006B2 (ja) * 1999-02-19 2002-12-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JP4032702B2 (ja) 2001-10-31 2008-01-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4345422B2 (ja) 2003-09-30 2009-10-1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DE102004001060A1 (de) * 2004-01-02 2005-08-04 Wilhelm Karmann Gmbh Kraftfahrzeug
JP2005206108A (ja) 2004-01-26 2005-08-04 Toyota Motor Corp 車体下部構造
JP4678473B2 (ja) * 2004-03-05 2011-04-27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燃料タンク配設構造
US7270369B2 (en) * 2004-09-22 2007-09-18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bile underbody structure
US7798564B2 (en) * 2004-12-27 2010-09-2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Reinforcing member for vehicle
JP4655654B2 (ja) * 2005-02-04 2011-03-2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下部構造
DE102006014981A1 (de) * 2006-03-31 2007-10-04 Dr.Ing.H.C. F. Porsche Ag Querträgerstruktur für einen Sitzbereich eines Fahrzeugs
DE102006014983A1 (de) * 2006-03-31 2007-12-13 Dr.Ing.H.C. F. Porsche Ag Querträgerstruktur für einen Sitzbereich eines Fahrzeugs
DE102006031452A1 (de) * 2006-07-07 2008-01-17 Dr.Ing.H.C. F. Porsche Ag Querbrücke zur Versteifung des Tunnelbereiches einer Bodenstruktur eines Kraftfahrzeuges
JP5032854B2 (ja) * 2007-01-19 201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JP4957270B2 (ja) 2007-01-31 2012-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床部構造
JP2009029244A (ja) 2007-07-26 2009-02-12 Toyota Motor Corp 車体構造
EP2048063B1 (en) * 2007-10-10 2009-10-14 HONDA MOTOR CO., Ltd. Front vehicle body structure
JP5082791B2 (ja) 2007-11-16 2012-11-28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後部の車体下部構造
WO2009072614A1 (ja) * 2007-12-07 2009-06-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車体下部構造
JP4500867B2 (ja) * 2008-07-07 2010-07-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後部構造
DE102009042513A1 (de) * 2009-09-22 2011-03-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Detroit Fahrzeug mit Energiespeicherbereich
DE102009050495A1 (de) * 2009-10-23 2011-04-2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Hilfsrahmen
US8668248B2 (en) * 2009-11-05 2014-03-11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structure
DE102011015624A1 (de) * 2011-03-31 2011-11-10 Daimler Ag Strebenanordnung einer Kraftwagenkarosserie, insbesondere für einen offenen Kraftwagen
JP6019735B2 (ja) * 2011-08-29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および車体の製造方法
DE102012006528A1 (de) * 2012-03-29 2013-10-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d. Ges. d. Staates Delaware) Bodenstruktur einer Kraftfahrzeugkarosserie
US8985681B2 (en) * 2012-06-21 2015-03-24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US8602454B1 (en) * 2012-09-10 2013-12-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rash load management in automotive vehicles using closed loop structures
US8820823B1 (en) * 2013-03-12 2014-09-02 Honda Motor Co., Ltd. Vehicle frame structure
DE102013103729A1 (de) * 2013-04-15 2014-10-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unnelanordnung für eine Bodengruppe einer Fahrzeugkarosserie sowie eine Bodengrup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44A (ko) * 2017-05-11 2018-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052559B (zh) 2016-03-02
JP5278612B1 (ja) 2013-09-04
KR101332654B1 (ko) 2013-11-25
US20140183905A1 (en) 2014-07-03
US9073578B2 (en) 2015-07-07
EP2746140A4 (en) 2015-03-11
EP2746140A1 (en) 2014-06-25
EP2746140B1 (en) 2016-05-25
JPWO2013024528A1 (ja) 2015-03-05
CN103052559A (zh) 2013-04-17
WO2013024528A1 (ja) 201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2654B1 (ko) 차량 하부 구조
JP4751620B2 (ja) 車体の前部構造
JP5831489B2 (ja) 車両前部構造
JP6565892B2 (ja) 車両前部構造
US8002064B2 (en) Frame structure of automotive vehicle
US2013004940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vehicle body
CN108349538B (zh) 前副车架结构
JP6142748B2 (ja) 車体前部構造
US9415806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6299701B2 (ja) 車両下部構造
US8967671B2 (en) Bolting structure of sub-frame
JP6435709B2 (ja) 車両側部構造
US9399487B2 (en) Vehicle body front portion structure
JP4687140B2 (ja) 車体後部構造
JP2020097350A (ja) 車両側部構造
JP5790785B2 (ja) 車両前部構造
JP4534991B2 (ja) 車体前部構造
JP5954204B2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2006312351A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07296957A (ja) 車両のフロア構造
JP5561065B2 (ja) 車両用シート
JP5723562B2 (ja) 自動車の車体前部構造
JP4729016B2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7348451B2 (ja) 車体下部補強構造
JP2018016229A (ja) キャブ用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