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309A -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309A
KR20130039309A KR1020120112378A KR20120112378A KR20130039309A KR 20130039309 A KR20130039309 A KR 20130039309A KR 1020120112378 A KR1020120112378 A KR 1020120112378A KR 20120112378 A KR20120112378 A KR 20120112378A KR 20130039309 A KR20130039309 A KR 201300393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lic
egg yolk
mushrooms
composition
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미
Original Assignee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미 filed Critical 김선미
Publication of KR20130039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309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늘과 난황의 복합적인 유효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마늘과 난황이 혼합상태에서 중저온의 온도로 2시간-16시간 열반응시켜 마늘과 난황의 유효성분을 혼합시켜 조성시킨 조성물로, 조성물 총중량 100%에 마늘 20중량%-80중량%. 난황 15중량%-75중량%. 수분(용제) 1.0중량%-5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이다.
상기 조성물 제조방법은, 1단계 : 마늘피를 제거하는 공정. 2단계; 마늘를 용제에 포함시켜 익히는 공정. 3단계 : 분쇄기로 분쇄하는 공정. 4단계 : 분쇄물를 열반응시키어 마늘로부터 점액질과 오일를 용제에 용출시켜 중점도로 액기스화시키는 공정. 5단계 : 난황을 4단계 공정으로 얻은 마늘액기스에 혼합시켜 고점도에 이르기까지 열반응을 시키어 난황으로부터 오일를 마늘액기스에 용출시키는 공정. 5단계 : 5일-30일 숙성시키는 공정, 6단계 : 제형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질과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마늘의 유효성분과 난황의 유효성분을 그 효과면에서 변화시키지 않으며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중,저온에서 장시간 열에 반응시켜 그 혼합 유효성분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항고혈압기능, 심장질환 개선기능, 혈관세척기능, 해독기능, 항산화기능, 청혈기능, 혈액응고방지 및 순환 촉진기능, 세포활성화기능, 인슈린분비 촉진기능, 위액분비촉진기 능, 대장정장기능, 신경세포흥분 진정기능, 스트레스 해소기능, 신체피로해소 기능, 강정기능, 태아발육정상유지기능, 뇌기능 활성화, 기억력증진, 피부신진대사활성의 효과가 있다.
마늘. 디썰피드, 트리썰피드, 알리신. 난황. 알리슬휘드, 열반응. 효소. 레시틴. 나무수액. 아릴썰파이드. 아호엔. 유황

Description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Garlic and yolk extract including functionality food composite for health}
본 발명은 마늘을 중,저온에서 열반응시킨 후, 열반응된 마늘에 난황을 혼합시켜, 마늘과 난황이 혼합상태에서 중,저온의 온도로 장시간 열반응되어 이루어진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독성 화학물질로 오염된 공기와 업무상 또는 일상생활에서 받는 스트레스, 유독성 화학물질에 오염된 음식, 활성산소로 인하여 자율신경계의 이상과 고지혈증이 발생되고, 독성에 의한 간장, 신장, 췌장, 심장등 각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고, 미생물에 의한 혈관파괴, 페포에서 누출된 SP-D에 의하여 부정맥에 의한 혈구의 파괴에 따라 발생된 혈전이 혈관벽에 침착되어 혈관에 경화가 발생된다.
또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ACE)에 의하여 혈관수축, aldosterone과 vasopressin 방출, 세뇨관의 나트륨 흡수, 신장으로의 혈류량 감소 등을 유발함으로써 심혈관, 신장 및 중추신경 부위에 여러가지 병변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심장질환, 혈관질환에 의한 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알르레기, 피부질환, 성기능 저하등 각종 성인병이 현대인의 건강을 위험에 이르게 하고 있다.
고혈압은 혈압이 지속적으로 높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성인은 수축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 mmHg 이상인 경우 또는 확장 혈압이 90 mmHg 이상인 경우 고혈압으로 분류된다.
심혈관 이환에 대한 장기간의 위험은 지속적인 혈압과 직접적인 관계로 증가한다. 이에 각종 혈압하강제가 개발되어 고혈압을 제어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용한 혈압 강하제의 비제한적인 예로 교감신경흥분성(andrenergic)차단제, 혼합형 알파/베타 교감신경흥분성 차단제, 알파 교감신경흥분성 차단제, 베타 교감신경흥분성 차단제, 교감신경흥분성 자극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칼슘 채널 차단제, 이뇨제 또는 혈관확장제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들은 약학적 투여 형태에서 쉽게 분해되어 즉,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다른 세포에도 작용하여 전신에 힘이 빠지거나, 구토, 기침, 두통, 식욕부진 및 미각이상을 일으키는 등 부작용과 만성 고혈압은 심혈관계 및 신장과 같은 중요한 기관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은 고혈압 환자에 있어서 이들 효과는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여러 연구 문헌들이 계속적으로 발표됨을 볼때는 심혈관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제제를 발견해야 할 필요성이 계속되고 있음 알려주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혈압 질환을 예방, 치료함과 동시에 고혈압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의 발병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고혈압 환자의 생존 및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멀티 치료방법을 얻는 것은 이미 임상치료에 있어서 조속히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로 되고 있다.
특히, 인체 각 기관에 무해하게 고혈압 및 그 대사 증후군, 심혈관 질병 및 혈액의 이상 증후군으로 발생되는 모든 질병의 개선이 요구되고, 화학적 합성물질이 아닌 천연의 물질로 조성된 식품에 의한 치료와 개선이 최우선이라 할 수 있다.
심혈관 이상으로 인한 혈행의 제한으로 내분비계, 신경계, 근육계, 조혈계, 면역계, 소화기계의 이상을 초래하게되어 세포가 노화를 포함하는 신체 각 기관이 쇠퇴되어 질병을 갖게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에서 천연물질 특히 마늘 또는 난황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된 바는 있으나 마늘의 성분에 국한되어 연구가 이루어지거나 또는 난황에 대하여 제한된 연구가 있었다, 할 것이나 만족한 성과를 얻지 못하였다.
마늘로부터 기능성물질를 추출하여 그 성분에 무독한 기능성 천연물질를 포함시켜 마늘의 유효활성분의 기능을 증대시켜 심혈관질병 및 그 부생질환인 대사증후군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능성식품의 연구가 요구되어 왔다.
상기에서 마늘를 증기압으로 오일를 추출하여 마늘오일에 부형제, 희석제, 흡착제, 피복제등 담체를 포함시켜 제형화하여 식품으로 이용하는 기술들의 제공이다.
이에 따라서 마늘오일를 여러방법으로 안정되게 제형화하는 방법이 제공되어 왔다.
그러나 마늘의 전성분과 난황의 전성분의 혼합성분에 대한 기능성과 그 제조방법 및 조성물, 제형등의 기술은 연구된 바가 없다.
상기 요구에 부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심장질환, 혈관질환 또는 그 대사증후군을 예방, 개선 및 치료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된 질환의 발병을 식품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제어하고 고혈압, 심혈관 질환 환자의 생존 및 예후를 개선할 수 있는 마늘과 난황 유래 신규 약학적 기능을 갖는 건강기능성식품의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늘 일종의 기능보다 난유를 포함하는 혼합물이 질병의 개선에 더 효과가 있음을 연구에서 알게 되었으며, 마늘의 강력한 점액질을 이용하여 소량의 담체를 사용하여도 난황성분과 마늘성분을 혼합물이 안정되게 제형화되는데 착안하여 마늘 자체의 점액질를 이용 안정된 제형화로 이루어지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마늘를 중온에서 장시간 열반응시켜 마늘에 포함된 점액질과 오일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최대한 용제에 용출시키고, 상기 용제에 포함된 마 늘의 유효성분에 난황를 포함시켜 장시간 열반응시켜 난황의 유효 활성분을 마늘의 유효 활성성분에 용출시켜 마늘의 오일를 포함하는 유효성분과 난황의 오일를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혼합시키는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를 중온에서 장시간 열반응시켜 마늘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용제에 용출시키어 마늘액기스를 제조하고, 난황을 중온에서 장시간 열반응시켜 압착하여 난황으로부터 난유를 분리시켜 상기 난유를 상기 마늘 액기스에 혼합 포함시켜 혼합물질를 제조하는 또다른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조성된 마늘의 유효성분과 난황의 유효성분의 혼합물에 미생물를 포함시켜 발효시키는 방법과 그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등에 있어 심혈관질환 개선을 포함한 인체내 질환개선에 유효한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중 선택한 일종이상의 물질로부터 추출한 유효활성물질를 추가로 포함 시키기 위하여 기능성물질의 추출 유효성분을 용제에 포함시키고, 상기 용제를 마늘의 유효성분을 용출시키는 용제로 이용하는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복합 활성성분은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 유기 개르마늄, 셀레늄, 시스테인, 메티오닌, 칼륨, 아릴썰파이드, 디썰피드류, 드리썰피드류와 기타 유황화합물과 난황에 포함된 레시틴, 비타민E, 리놀산, 올레인산, 리놀렌산, 타우린 등과 상기 마늘성분과 난황의 성분들의 혼합으로 부가되는 미확인 부생 유효성분들를 포함하는 심혈관질환 및 그 대사증후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기능을 갖는 식품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늘를 포함하는 용제에 유황을 첨가시켜 마늘를 열반응시키고, 상기 마늘의 열반응물에 난황을 포함 열반응시켜 알리신을 아호엔, 아릴슬휘드 물질로 변화시켜 지아릴지슬휘드, 지아릴틀리슬휘드, 메칠아릴트리슬휘드, 아릴썰파이드 디아릴썰피드, 메칠아릴썰디피드, 등 유황화합물를 증가시켜 심혈관질환개선, 콜레스테롤개선, 성기능 촉진, 혈소판 응집저해, 혈전용해, 비정상세포 증식억제작용, 혈관확장, 동맥경화개선, 알레르기 억제, 신경안정, 근육증강, 성장촉진, 면역력증진, 갱년기장에 개선, 혈액순환촉진, 내분비촉진기능, 해독기능이 증대된 건강개선 기능성식품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마늘에서 점액질를 용제에 용출시켜 그 점액질를 이용하여 마늘과 난황의 열반응물질인 액기스를 고형화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심장, 간장, 췌장, 폐, 뇌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그 세포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기능성 유래로 부작용이 문제되지 않으며, 안전성이 확보되는 약학적 효과를 갖는 기능성 식품조성물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늘과 난황에 포함된 활성분으로서 알리신, 알리슬휘드, 아호엔, 디썰피드류(disulfides), 트리썰피드류(trisulfides), 아릴썰파이드, 그리고 아미노산과, 레시틴, 타우린,리놀산, 오레인산, 리노렌산, 기타 합성 증대되는 미확인 유황화합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유효 성분을 약효제로 포함하는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개선, 그리고 상기 질병으로 인한 대사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용 기능성 식품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심혈관질환 및 그 대사증후군의 개선을 위한 마늘성분과 난황의 혼합물에 동물, 식물, 광물질 등 천연약효제로 이루어진 기능성 물질를 포함시켜 상기 건강개선기능을 증대시켜 조성물를 제조한다.
혈관질환은 식생활에서 혈관으로 흡수된 콜레스테롤과 C-reactive protein이 혈관벽에 침착, 또는 부정맥으로 혈구가 파괴되고, 파괴된 혈구로 혈전이 만들어지고 혈전이 혈관벽에 침착, 또는 폐 모세혈관에 존재하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에 의하여 혈류에 있는 불활성상태의 안지오텐신 Ⅰ의 말단아미노산 2개를 분해함으로써 혈관 수축을 유도하고, 알도스테론(aldosterone)분비를 항진시켜 체액을 증가시켜 혈압을 상승시킬 수 있는 안지오텐신 Ⅱ로 전환시켜 혈압을 상승시키고, 또는 흡연과 폐손상으로 만성염증상태인 폐포에서 미생물의 친입을 막기위하여 생산되는 단백질인 Surfactant protein-D가 혈액으로 누출되어 혈관에 침착. 또는 치주염 등 질병으로 세균이 혈관에 유입되어 혈관벽을 손상시키고, 손상된 세포를 복구시키기 위하여 단핵구(백혈구)가 혈전을 만들어 혈관 통로가 좁아지는 등의 많은 원인에 의하여 발병된다.
본 발명자는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과 유황의 화합물, 난황의 활성성분이 심혈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던 중,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 칼륨, 유기게르마늄, 셀레늄과 난황에서 추출한 레시틴을 포함한 상기 활성분들의 조합물, 그리고 마늘, 난황에 아미노산들이 포함된 나무수액을 부가하여 펩타이드로 제조된 조성물 이 성인병, 특히 심장질환, 고혈압, 뇌기능 증진, 혈액순환증진에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여,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중량 100에 마늘 또는 마늘의 추출물 20-80중량%. 난황 또는 그 추출물 15-75중량%, 수분(용제) 1.0%-50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마늘추출물이란 마늘의 액기스 및 액기스를 증류 필터링하여 얻은 액체 또는 오일를 의미한다. 또한 난황추출물은 난황을 가열 압축시켜 얻어지는 오일를 포함하는 레시틴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마늘이란 생마늘, 숙성된 흑마늘, 구운마늘, 탄화된 마늘, 건조마늘 중 선택한 일종 또는 일종이상을 의미하며, 난황은 생난황, 건조난황, 반숙 또는 완숙 상태의 삶은난황, 구운난황 중 선택한 일종 또는 1종이상의 물질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여러 방법에 의하여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다음의 제조방법에 있어 용어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에 있어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만 그 일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제조방법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방법들이 제공된다.
제1 제조방법
1단계 : 마늘의 표피를 제거하는 단계. 2단계 : 마늘를 용제에 포함시켜 45도-85도의 온도에서 마늘를 15분-30분간 익히는 공정. 3단계 : 분쇄기로 분쇄하는 공정. 4단계 : 분쇄물를 열반응기에 넣고 섭씨45도-섭씨85도의 온도에서 1-16시간 열반응시키어 마늘로부터 점액질과 오일를 용제에 용출시켜 중점도로 액기스화 시 키는 공정. 5단계 : 4단계 열반응물질를 섭씨 40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공정. 6단계 : 알로부터 난황을 분리하는 공정.
7단계 : 5단계 공정으로 냉각된 마늘액기스에 6단계 공정에서 얻은 난황을 혼합시켜 섭씨 45도-섭씨85도의 온도에서 1시간-16시간 교반하며 열반응을 시키어 마늘점액이 고점도로 농축시키어 난황으로부터 오일를 마늘액기스에 용출시키는 공정. 8단계 : 냉각시키는 공정. 9단계 : 5-30일 숙성시키는 공정. 10단계 : 제형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제2 제조방법
다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공정은 다음과 같다.
1-5단계의 마늘를 중점도 액기스화한 공정은 방법1에서와 같다. 6단계 : 알로부터 난황을 분리시키는 공정. 7단계 ; 난황을 70도-110도의 온도에서 5분-1시간 열반응시키고, 압착시켜 난유를 제조하는 공정. 8단계 : 6단계에서 수득한 난유를 1-5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진 오일이 용출된 저점도 상태의 냉각된 마늘 액기스에 포함시켜 45도-85도의 온도로 1분-10분 교반과 열반응시키는 공정.
9단계 냉각공정. 10단계 : 연질켑슐충진 제형화 공정.
또 다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제3 제조방법
1단계 ; 제조방법 1과 2에서와 같이 1-5단계 공정으로 중점도 마늘엑기스를 얻는단계. 6단계 ; 제조방법 1과 2의 6단계에서와 같이 난황유를 얻는 공정.
7단계 : 상기 1-5단계 공정의 마늘액기스에 6단계 공정으로 얻은 난황유를 혼합시키는 공정. 8단계 : 연질케슐에 삽입 제형화하는 공정.
제4 제조방법.
상기 1 과 2 및 3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여 조성된 조성물를 발효기에 넣고, 미생물 균주를 첨가하여 20-40도의 온도에서 1일-10일 발효시키고 1일 이상숙성시키어 발효된 조성물를 얻고 이를 제형화하는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서 사용되는 용제는 일반적인 물, 또는 증류수 또는 나무의 수액 또는 심해 심층수 일 수 있으며, 또한 기능성물질를 상기 용제에 기능성물질를 포함시켜 열수추출하여 제조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또는 기능성 유효물질를 분쇄하여 압착시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성물질 중에서 생양파 또는 부추를 선택하고, 생부추 또는 생양파를 분쇄하고 압착하여 부추액 또는 양파액을 추출하여 부추 또는 양파의 추출물를 얻고, 상기 부추 또는 양파추출물에 마늘를 함침시켜 5분-30분간 45도-85도의 온도로 열반응시켜 익킨 후 분쇄한다.
또는 생 또는 건조된 산야초, 목 중에서 건조 고삼을 선택하여 열수추출, 또는 알코올추출하여 상기 고삼추출물에 마늘를 함침시켜 45도-100도의 온도에 5분-30분간 열반응시켜 익힌 후 분쇄한다.
상기에서 알코올 추출물은 분리물질일 수 있으며, 이때는 물로 액화시켜 사용한다. 또는 물질이 포함된 알코올를 사용시는 알코올 증발량을 계산하여 물를 용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모든 제조공정은 밀패된 용기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적당하다.
상기 공정에서 마늘를 용제에 익히는 공정은, 생마늘를 분쇄하면 분쇄과정에서 유효물질의 파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공정에서 2단계를 제외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생마늘을 서서히 분쇄하여 용제에 포함시켜도 된다. 또는 생마늘를 용제에 포함시켜 열반응시키며 교반기로 분쇄하며 열반응시켜도 된다.
본 발명에서 마늘에 포함된 알리신과 유황의 합성으로 마늘의 유효성분 중 유황 화합물들의 증대을 위하여, 1단계-5단계 공정에서 유황이 첨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첨가되는 유황은 인체에 유해한 물질를 제거한 무해 유황이 첨가된다.
상기 무해한 유황이란 유황에서 유해물질를 산화시켜 순수한 유황을 얻는 방법으로 제조된 유황이며 상기 무해한 유황의 제조법은 기히 공유화된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시중에서 매입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유황의 첨가량은 조성물 총량에 0.0001중량%-5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1.0중량%이다.
상기 유황은 유황화합물일 수도 있다. 유황 화합물은 DMS, DMSO, MSM일 수 있으며, 우선은 디메칠썰포니메탄(DMSO2. MSM) 일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마늘성분과 난황으로부터 추출한 활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로, 성인병 특히 심혈관질병 및 그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치료 및 개선제, 혈액정화, 뇌세포활성 촉진, 기어력증진 기능을 갖는 식품조성물를 제공한다.
상기 심혈관 질환은 고혈압, 심장병, 뇌졸중, 혈전증, 협심증, 심부전, 심근 경색, 죽상경화증 및 동맥경화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혈압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마늘과 난황에 포함된 활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인병 예방과 개선 및 치료 가능한 기능성 식품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서술된 기능성은 청혈기능, 혈액순환개선기능, 내분비 촉진기능, 항알르레기 기능, 해독 기능, 스트레스 해소기능, 항산화 기능, 뇌세포 활성촉진기능, 자율신경 강화기능, 피로회복기능, 성기능 강화기능, 간장 강화기능, 신장강화기능, 췌장강화기능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기능성 조성물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혈액순환개선일 수 있다.
상기 고혈압은 혈관관련 질병으로, 주로 동맥의 협압이 높은 동맥성 고혈압을 의미한다. 상기 고혈압은 동맥경화나 고혈압심장병(hypertensive heart disease)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동맥경화는 동맥의 벽이 두터워지고 동맥의 탄력이 저하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동맥경화가 발병되면 경화된 동맥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던 장기에 대한 혈액 공급이 감소하게 되어, 추가적인 질병이 발병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대표적인 질병의 예는 심장의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심장동맥에 동맥경화의 변화가 오는 심장동맥(관상)병 등이 있다.
상기 난황은 닭알, 오리알, 타조알, 매추리알, 칠면조알, 거위알등 조류 중 선택된 1종 또는 1종이상의 난황이며 우선은 닭알이다.
상기 마늘과 난황의 유효성분을 심혈관계 개선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은, 하기에 열거된 식물성 중, 동물성 중, 담자류 중, 광물성 중에서 일종 또는 일종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조성물에 부가 포함하여 제조된 조성물일 수 있으며, 상기 부가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마늘 또는 그 추출물과 난황 또는 그 추출물의 열반응으로 제조되는 건강기능성 약학적 식품 조성물은, 혈관확장 및 혈를 정화시키고 혈행을 원활하게 순환시키는 작용과 타물질들과 잘 조화를 이루기 때문에 어느 종류의 물질이던 본 발명의 조성물에 첨가시켜 질병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이에 첨가물질의 기능성에 따라 다음에서 열거되는 기능성 약효물질이 1종 또는 1종이상 포함되어 조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가되는 물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능에 따라 물질의 이름이 중복되게 기재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명칭은 한약제의 명칭으로 기재하였다.
신경계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물질.
모려, 백강잠, 백출체, 백자인, 복령, 부소맥, 산조인, 석결명, 석창포, 소합향, 야교등, 용골, 용뇌, 우황, 원지, 자석, 전갈, 조구등, 죽엽, 죽여, 질려자, 천남성, 천마, 천백, 합환피, 현호색, 누에고치, 지구자. 동물방광.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물질.
갈근 및 갈화, 결명자, 고삼, 단삼, 두충, 백부자, 봉출 또는 아출, 사향, 삼칠근, 상기생, 섬서 또는 섬수, 용안육, 은행엽, 음양곽, 천궁, 하수오, 호장근, 황정, 지룡
조혈기계와 혈액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물질.
계혈등, 괴화 및 괴각, 권백, 당귀, 도인, 백급, 삼능, 소계 및 대계, 소목, 아교, 애엽, 여정실, 왕불류행, 용아초, 우절, 익모초 또는 그의 씨, 지유, 천초, 측백엽, 포황, 한련초, 홍화, 숙지황, 하수오, 작약, 상심자, 노루혈(장혈), 녹각교, 용안, 시엽(감나무), 현호색, 패장, 울금, 강황, 택란, 우슬, 질려, 조각자, 산골, 수질, 유기노, 귀전, 산자고, 마편초, 봉출, 유향, 몰약, 천산갑, 소목, 녹용, 토마토
청열 해독 기능성 약효물질
금은화, 연교, 마치현, 녹두, 감초, 대청잎, 청대, 포공영, 백렴, 사간, 과루근, 토봉령, 누로, 인동, 자화지정, 산두근, 까마중, 야백합, 사매, 수분초, 압적초, 낭파초, 산장, 매화초, 호이초, 번백초, 위릉체, 귀침초, 아담자, 마전자. 함초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물질.
골쇄보, 괄루근, 천화분, 녹용, 백작약, 보골지, 복분자, 선모, 속단, 쇄양, 숙지황, 승마, 인삼, 지골피, 지모, 창출, 토사자, 파극천, 해조, 현삼, 밀배아.
면역계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물질.
검인, 검실, 당삼, 하수오, 백출, 별갑, 사원자, 산수유, 산약, 상표초, 선퇴, 익지 연자육, 오가피, 오령지, 오미자, 우슬, 육종용, 음양곽, 인삼 또는 홍삼, 조각자, 백수오, 황기, 자근, 밀배아유.
소화기계에 작용하는 기능성 약효제 물질.
가자, 강황, 견우자, 계내금, 고령강, 과체, 곽향, 구기자, 금앵자, 내복자, 당양, 대복피, 대황, 마인, 망초, 맥아, 모려, 목향, 박하, 백두구, 백편두, 빈랑자, 사인, 산사, 생강, 석곡, 소회향, 신곡, 오매, 오미자, 오배자, 오수유, 용담, 울금, 웅담, 유백피, 육두구, 개통인진, 인진호, 정향, 지각, 진피, 창출, 천련자, 초과, 초두구, 춘피, 치자, 침향, 파두, 피마자, 필발, 향부자, 현초, 호황련, 후박 등이다.
기를 보하는 또는 행기(치료) 기능성 약효물질.
인삼, 만삼, 황기, 영지, 백출, 산약, 둥글레, 감초, 오미자, 대추, 봉밀, 연자실, 검인, 밤, 잣, 오가피, 두릅피, 상어간유, 송화분, 향부자, 목향, 진피 및 청피, 지실, 지각, 시체(감꼭지), 매괴화, 후박, 오약, 사인, 백구인, 침향, 여지핵,
보양 기능성 약효물질
녹용 및 녹각, 음양곽,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두충, 속단, 복골지, 호로파, 태반, 초종용, 해구신, 사슴신, 상표초, 익지, 육종용, 파극천, 동충하초,
보음 기능성 약효물질
구기자, 사삼, 백합, 천문동, 맥문동, 둥글레, 참께, 구판, 별갑, 해삼, 여정자, 석곡. 그리고 기타 홍경천, 개똥쑥, 로얄제리.
상기 첨가되는 한약제의 량은, 상기 기능성 약효제 물질들 중에서 1종 또는 1종이상의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 총중량의 0.001%-10%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1종 또는 1종이상 한약제물질은 추출물질로 수득한 물질일 수도 있으며, 용제에 포함 첨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늘과 난황의 열반응된 유효성분을 약효제로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심혈관질환 개선 및 치료의 약학적 기능을 갖는 식품조성물에 효과를 부가시키기 위하여 다음에 기재된 산야초 또는 나무중에서 선택하는 일종 또는 이종이상의 물질의 활성성분를 열수추출하여 용제에 포함시켜 첨가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산야초, 나무로부터 추출하여 분리한 활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약리작용 및 효능 그리고, 건조 상태에 따라 약효를 달리하므로 한약제와 복수로 기재된 것도 있다.
상기 1종 또는 1종이상 산야초, 목의 포함은 물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물, 또는 분리시켜 수득한 분리물질일 수도 있으며, 상기 기능성물질은 용제에 포함되어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산야초와 나무는, 부추, 토마토, 시금치, 양파, 배추. 무. 상추. 쑥갓. 고구마. 감자. 호박. 천마. 박하. 꿀풀. 삼지구엽초. 장미. 톱풀. 다래. 석창포. 백선. 냉이. 구아바. 삽주. 한삼덩굴. 개머루열매. 복분자. 하수오. 부처손. 냉초. 소루쟁이. 겨우살이. 인삼잎. 비수리. 하늘타리. 속단. 호장근. 골담초. 사위질빵. 참마. 산국. 노루귀. 쇠비름. 민들레. 산사나무. 함초. 삼백초. 단풍마. 쇠별꽃. 바디나물. 녹나무. 소나무. 도라지. 새삼. 달래. 수영. 개망초. 싸리나무. 아까시 아(꽃). 봉령. 석곡. 닭의 장풀. 인진쑥. 거북꼬리. 마가목. 칡(꽃). 만삼. 석위. 둥굴래. 씀바귀. 고마리. 삭줄. 찔레나무. 당귀. 속새. 등골나물. 애기똥풀. 고들빼기. 물푸레나물. 으름덩굴. 천궁. 술패랭이꼿. 딱지꽃. 앵초. 곰보배추. 배롱나무. 주엽나무. 더덕. 애기땅빈대. 떡쑥. 어성초. 배암차즈기. 진달레. 잔대. 이질풀. 뚱딴지. 양지꽃. 생강나무. 올리브. 노니. 청미래덩굴. 산삼. 익모초. 백모근. 엘레지. 박쥐나물. 예덕나무. 치자나무(꽃). 장뇌삼. 일엽초. 마디풀. 엉겅퀴. 박쥐나무. 한련초. 오동나무. 화살나무수피. 생지황. 자귀풀. 마름. 여뀌. 벌깨나물. 노나무. 고광나무꽃. 갈대. 조개나물. 마타리. 연꽃(잎). 비쑥. 인동덩굴. 들쪽나무잎. 산청목. 지치. 메꽃. 오이풀. 향부자. 새콩. 자귀나무. 호깨나무열매. 구룡목. 진득찰. 며느리배꼽. 고들빼기. 조릿대. 접골목꽃. 두충 (잎). 할미꽃. 물레나물. 우산나물. 초롱꽃. 쥐똥나무. 모과열매. 개쑥갓. 가막사리. 물봉선. 자운영. 강아지풀. 매실. 갯매꽃. 꼭두서니. 미나리. 장구채. 수리취. 팔손이나무. 멍석딸기열매. 고삼. 구릿대. 제비꽃. 싱아. 피마자.딱총나무꽃. 골풀. 개미취. 미역취. 조뱅이. 쑥부쟁이. 만병초. 달맞이꽃나무. 장마나무. 동백나무. 구절초. 개별꽃. 박주가리. 좀꿩의다리. 애기나리. 구기자. 꿩의비름. 갯방풍. 배초향. 주름잎. 어수리. 회양목. 왕삼. 노루발풀. 골등골나물. 백작약. 진황정. 장대나물. 후박나무. 비삼. 더위직이. 광대나물. 목련. 뱀딸기. 질경이. 좀명아주. 개암나무. 연삼. 도꼬마리. 괭이밥. 번행초. 짚신나물. 줄뿌리. 귀롱나무. 금회목. 동의나물. 금란초. 벼룩나물. 비파잎. 차즈기. 처녀바디. 꾸찌뽕나무. 사들목. 둥근바위솔. 기린초. 별꽃. 참소루쟁이. 층층잔대. 노박덩굴. 맥문동. 까마중. 비름. 참취. 큰개불알풀. 누리장나무. 바위손. 고정차. 홍경천. 꽃다지. 쇠비름. 까치수염. 큰수리취. 용뇌나무. 바위솔. 꽃마리. 사상자. 털여귀. 털비름. 가지. 매실. 접골목. 천년초(토종부채선인장). 백년초. 고정차. 오미자. 복숭아. 자스민. 제라늄. 수수. 쌀. 조. 대두. 팥. 보리. 밀. 옥수수. 녹두. 봉교. 쌀겨. 자두. 레몬그레스 중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물질를 마늘과 난황의 열반응된 유효성분을 약효제로 포함하는 약학적 기능성 식품조성물에 조성물 총중량에 0.001%-10중량% 포함되어 제조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물질들의 물추출물 또는 알코올 추출에 의해 분리하여 수득한 분리물의 형태로 용제에 희석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미생물 발효균에 의하여 발효시켜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조방법 4에 있어 사용되는 발효균은 어느 일종균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마늘과 난황 혼합물에 포함되는 동,식물의 발효에 유용균이면 어느 균주이던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재를 포함하는 마늘과 난황 또는 마늘추출물과 난황 추출물의 혼합물를 섭씨45-섭씨85도의 온도에서 1시간-16시간 열반응시킨 후, 상기 열반응된 물질에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균, 사카로미케스 효모(yeast)균, 유산균, 담자균등 미생물을 첨가하여 섭씨20도-40도의 온도에서 1일-30일간 발효 및 숙성시켜 마늘과 난황의 발효된 조성물를 제조할 수도 있다. 발효의 방법은 공지된 발효기술를 이용하여 발효될 수 있다.
기타 다음의 균주중 선택되는 일종이상의 균주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인공배양 발효 미생물은 강한 amylase, protease등의 생산력을 갖는 진균류 Aspergillus속류의 누룩곰팡이(green mold) 일수 있으며,
유산균류인 락토바실러스 에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루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루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lactis), 락토코쿠스 락티스(Lactococcus lactis),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우세우스(Pediococcu pentosaceus), 페디오코쿠스덱스트리니쿠스(Pediococcus dextrinicus), 락토 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및 스트렙토코쿠스 서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균주, 슈도모나스균족, 물곰팡이인 접합규류의 털곰팡이(Mucor), 거미줄곰팡이(Rhizopus), 바실러스 메가트(Bacillus magate), 바실러스 리체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 바실러스 퍼미루스(Bacillus pumilus), 바실러스 폴리퍼맨티쿠스(Bacillus polyfermenticus) 등 일수 있으며, 아와모리(awamori), 유사미(usami), 가와치(kawachii), 오리자에(oryzaae),들 중 어느 일종이상 일 수 있다.
아미노산 발효의 야생균주들과 초산균(Acetobater)일 수도 있다.
또한 유황 대사과정을 위하여 Thiobactericae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지너스 Thiobacillus로서의 Sulfolobus의 박테리아, 지너스 유황 세균, 마크로모나스,Thiovulum과 Thiospira의 종류를 포함하고, 피치아파스토리스 NRRL Y- 11431으로서 침적된 스트레인, 피치아 파스토리스. NRRL Y-11430, 한세눌라 폴리모파 NRRL Y-11170 그리고 한세눌라 폴리모파 NRRL Y-11432. 지너스와 그들 종류 간상균, 슈도모나스, 프로타미노박터, 미구균, Arthobacter, 코리네박테리움, 메타노모나스속, 메틸로코쿠스, 메틸로모나스, 메틸로박터, 메틸로시누스, 메틸로시스티스, 노카르디아,크루토박테륨, 아시네토박터, 브레비박테륨,마이코박테륨,스트렙토마이세스, 방사상균, 호열성 바실루스 종류 NRRL B-8065와 NRRL B-8066, 그리고 혼합된 호열성의 배양NRRL B-8158 중 어느 일종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광 합성균주인 티오바실러스(Thiobacillus denitrificans). Baggiatoa. Thiobacillus thioparus일 수 있다.
또한 변종시킨 바실러스, 사카로미세스 세르비지, 그 외에 변종시킨 어느 일종의 균 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늘, 난황의 혼합 열반응 물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에 심혈관계 대사증후군 질병의 개선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약학적 또는 식품학적으로 적용이 허용되는 법위내에서 다음에서 열거된 약학적 물질 중 선택되는 일종이상이 첨가되어 포함될 수도 있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로서 펩타이드, 리코페인, 루테인, 암로디핀, 염산피오글리타존, 로수바스탄틴칼슘. 카로티노이드. 피토엔, 피토플루엔, 피토스테롤, 제아크산틴, 아스탁산틴, 칸탁산틴 및 카르노식산 등이다.
이때 첨가되는 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중량의 0.0001%-0.1%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담자류 중 일종이상의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담자류는 다음과 같다.
가지버섯. 간버섯. 갓버섯. 개암버섯. 계란버섯. 기와버섯. 꽃송이버섯. 꾀꼬리버섯. 바래기버섯. 느타리버섯. 능이버섯. 닭다리버섯. 덕다리버섯. 말버섯. 밀버섯. 외대버섯. 먹버섯. 말굽버섯. 목이버섯. 석이버섯. 상황버섯. 밤버섯. 복황버섯. 뽕나무버섯. 소나무잦나무걸상버섯. 오이꽃버섯. 송이버섯. 싸리버섯. 운지버섯. 조개껍질버섯. 잣버섯. 표고버섯. 참나무버섯. 영지버섯. 힌굴뚝버섯. 벗꽃버섯. 비단그물버섯. 졸각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팽나무버섯. 까치버섯 .동충하초버섯. 티벳버섯. 차가버섯이다.
이때 첨가되는 량은 본 발명의 조성물 총중량의 0.001%-10%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해조류에서 선택되는 일종이상의 해조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해조류는 녹조류, 다홍해초류, 갈조류, 남조류, 차축조류 중 선택되는 일종이상의 해조류로 조성물 총 중량0.001%-10중량%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동물성 추출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동물성 물질은 다음과 같다.
지렁이, 도마뱀, 뱀, 해마, 개미, 지네, 전갈, 선태, 봉방, 거북, 자라, 소 담, 소지라, 소족, 소 껍질, 돼지족, 돼지 담, 돼지 껍질, 돼지방광, 사슴뿔. 사마귀. 오배자진딧물 봉퉁. 해삼. 다람쥐. 누에. 곰담. 금구자. 동물성 태반. 수질등이며 조성물 총 중량에 0.001%-10% 포함 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추출물들은 열수추출, 압착추출, 알코올추출, 발효에 의한 추출물 또는 추출물에서 분리한 분리물질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마늘, 난황의 혼합 열반응 물질에 식품학적으로 사용이 허용되는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무기물류 중에서 선택한는 일종이상의 물질이 포함되어 조성물이 조성될 수도 있다.
마늘은 생마늘, 숙성 흑마늘, 구운마늘, 건조마늘, 탄화된 마늘 중 선택하는 일종 또는 일종류 이상의 마늘일 수도 있다.
상기 마늘과 난황의 활성성분을 질병개선의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은 염수, 완충 염수, 덱스트로스, 물, 나무수액, 글리세롤 및 에탄올에서 선택되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희석제중 1종 이상 의 희석제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무의 수액을 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용제(희석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은 경구로 투여된다.
제제화는 경구주입 가능한 정제, 캡슐, 연질캡슐, 환제, 과립 등과 같은 경구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제제화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부형제(excipient)없이 연질 캡슐에 충전될 수 있고, 담지체와 혼합되거나 희석된 후에 적당한 제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적합한 담지체의 예로는 이산화규소, 메타규산알루미나마그네슘, 규산칼슘, 전분, 덱스트로스, 찹쌀분, 기타 여러물질의 파우더 중 1종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될 수도 있으나 어느것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형에 있어 고형지질인 글리세릴베헤네이트, 대두경화유, 고분자 폴리머인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계면활성제인 폴리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터, 안정화제로 아스코르빈산, 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초산토코페롤을 사용하여 제형화 할 수도 있다.
또한 마늘고유의 냄새를 없에기 위하여 파슬리 또는 녹차등 탈취제가 첨가될 수도 있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조성물은 상기 서열번호 1 또는 서열번호 2의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기능성 식품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루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드,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로 사용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유효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실리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나무로부터 일출한 수액,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 과립제, 제리, 산제, 시럽제, 정제, 주정제, 캅셀제, 환제,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등이 있으며, 어느것에 한정됨이 없이 기존에 공지된 모든 제형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의 공지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또는 레밍턴의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제형화될 수도 있으며, 뿐만 아니라 당업자에게 알려진 부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척추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포유류일 수 있다. 상기 포유류는 바람직하게는 인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마늘과 난황의 복합적인 유효활성물질를 약효제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성식품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에 의하면, 마늘의 유효성분과 난황의 유효성분을 그 효과면에서 변화시키지 않으며 혼합시키는 방법으로 중,저온에서 장시간 열에 반응시켜 그 혼합 유효성분의 기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고혈압 강하기능, 심장질환 개선기능, 혈관세척기능, 해독기능, 항산화기능, 청혈기능, 혈액응고방지 및 순환 촉진기능, 세포활성화기능, 인슈린분비 촉진기능, 위액분비촉진기능, 대장정장기능, 신경세포흥분 진정기능, 스트레스 해소기능, 신체피로해소 기능, 강정기능, 태아발육정상유지기능, 뇌기능 활성화, 기억력 증진, 피부신진 대사활성기능, 보양기능, 보혈기능, 악성종양 번식억제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조예 및 실시 예,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 여러 방법의 제조예 및 실시예,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한 것일 뿐,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장에서 전남 해남산 마늘 8kg과 경기 여주산 계란 100개를 매입하여 마늘과 난황의 약학적 기능성 유효물질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다음에 있어 열반응시 사용되는 가열방법은 직화가열, 적외선가열, 간접중탕가열이 있으며 우선은 간접가열로 중탕 가열방식이 우선이다.
또는 마늘, 난황으로부터 유효물질 추출를 위하여는 증기가압 방법도 시행될 수 있다.
제1 방법에 의한 제조.
a. 생마늘를 선택한 후, 마늘 피를 제거하는 공정.
b. 피를 제거한 마늘 400g을 400cc의 용제에 함침시켜 섭씨80도의 온도에서 30분간 열반응시켜 마늘를 익혔다.
c. 3봉 밀에 넣고 3봉 롤러에 의하여 미세하게 연마하여 액화된 마늘액기스를 얻는 공정(필터링 과정이 포함될 수도 있다).
d. 상기 공정으로 얻어진 마늘분쇄물를 교반기가 설치된 열반응 용기에 넣고 섭씨 80도. 바람직하게는 섭씨85도의 온도로 2시간 가열하는 공정.
e. 점도가 중점도에 이르면 열반응을 멈추고 섭씨40도 이하로 냉각시키는 공정.
f. 계란 5개를 껍질를 파괴시켜 힌자와 노른자(난황)을 분리시켜 난황 85g을 얻는 공정.
g. 85g의 난황을 상기 e공정의 냉각된 마늘액기스에 넣고 잘 교반 후, 탄화되지 않게 교반하며 섭씨75도-85도의 온도로 4시간 열반응시키어 마늘엑기스에 난유를 용출시키는 공정.
h. 점도가 제형화에 적당한 고점도에 이르면 가열를 중지시키고 냉각시키는 공정.
i. 냉각된 조성물를 상온에서 1일-7일 숙성시키는 공정.
j. 냉각된 조성물를 압축 코팅으로 제형화하는 공정.
상기에서 열반응 용기는 적당한 압력를 가하는 밀페용기의 사용이 좋다.
제형화 공정은 다음의 각 방법 중 선택한 일종으로 제형화시킨다.
1). 점도를 낮게하여 연질켑슐화 한다.
2). 담체를 포함하여 건조공정을 거처 분말화시키는 공정과 분말를 켑슐에 충진 또는 압축성형 또는 타정시킨다.
3). 점도를 높여 필름코팅시켜 제형화 하거나, 계면활성제를 함유한 담체를 포함시켜 압축성형하여 환 형태로 정제화 한다.
상기 코팅은 기존에 제공된 방법을 인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마늘과 난황으로 조성된 건강기능성 식품 220g을 제조하였다.
제2 방법에 의한 제조.
a. 상기 1방법 a. b. c. d. e공정으로 마늘액기스 400g를 얻는 공정.
b. 상기 1방법 f 공정에서 얻은 5개의 난황을 용기에 넣어 섭씨80도-110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고형화시키 후, 압착기로 압착시켜 난유를 제조하는 공정(시중에서 난유를 구입하여도 가능).
c. 상기 방법 1의 a-e의 공정으로 열반응하여 냉각된 마늘 액기스에 상기 b 공정에서 제조한 난유를 혼합시켜 섭씨45도-50도에서 마늘오일이 용출된 저점도의 마늘액기스와 난유를 혼합시키는 공정.
d. c의 열반응물질를 냉각시키고 1일-7일 상온에서 숙성시켜 연질켑슐에 충진 제형화시키는 공정으로 285정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제3 제조방법
a. 상기 제1, 제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혼합물 각 100g에 상기에 서술된 미생물군 중 선택한 유산균을 넣어 섭씨 20-38도의 온도에서 1일-10일 발효시키고, 숙성시켜 발효된 마늘추출물과 난황 추출물의 혼합 발효물을 얻어 연질켑슐로 코팅 제형화시켜 각 90g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상기 열반응기는 중탕 열반응기로 간접가열기를 사용하였으나, 적외선에 의한 가열방식도 실행될 수도있다.
숙성 흑마늘사용
시중에서 마늘를 숙성한 흑마늘 500g을 구입 표피를 제거한 후, 상기 흑마늘에 용제로 자작나무 수액(일반 음용수 사용가능) 400cc를 희석한 후, 섭씨 약80도 의 온도로 약4시간 열반응시켜 중점도로 액기스화 한후, 난황 약 86g을 넣고 섭씨 약85의 온도로 약4시간 고점도로 열반응시키고 냉각 고형화시켜 개당 3g으로 구형상으로 압축하고 플리머 필름코팅으로 코팅정제하여 약268g의 조성물를 얻었다.
기능성물질의 포함
1. 상술한 산야초목들 중에서 감잎을 선택하여 충북 영동산 감잎50g를 준비하였다.
물 2000cc와 가열용기에 넣고 섭씨100도의 온도로 30분 가열하여 약500cc의 감잎 추출물를 얻었다.
상기 제1, 제2, 제3의 제조방법과 같이 마늘 400g을 상기 감잎 물 추출물 400cc에 함침시켜, 상기 방법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익히고 분쇄하여, 85도의 온도로 약 3시간 교반하며 열반응시키고, 난황 또는 난유를 첨가시켜 다시 85도의 온도에서 약 4시간 열반응시킨 후 냉각시켜 187g을 환제로 제형화하였다.
2. 상술된 기능성 식물들 중에서 부추와 양파를 선택하여 각 50g을 준비하여 물박달나무 수액 500cc에 함침시켜 분쇄기로 분쇄한 후, 압축시켜 560cc의 용액을 얻었다.
상기 용액 400cc에 마늘 400g을 넣고 70-80도의 온도에서 약 4시간 열반응시켜 마늘를 익혀 분쇄기로 분쇄한 후, 섭씨70-80도의 온도에서 약 3시간 열반응시켜 점도가 있는 마늘액기스를 얻고, 냉각시킨 후, 상기 마늘액기스에 난황 90g을 넣고 85도의 온도에서 약 6시간 서서히 교반하여 고점도로 열반응시켜 마늘과 난황의 혼합 조성물를 얻었다.
상기 조성물를 냉각시켜 환제로 제형화하여 280g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3. 상기 기능성 물질들 중에서 함초를 선택하여 전남 순천산 함초를 500g 준비한 후, 분쇄하고 압축하여 약 280g의 진액을 추출하였다. 마늘 450g을 상기 함초 추출물과 오리나무 수액(일반음용수 사용가능) 200cc의 혼합용액 약480cc에 함침시켜 약70-80도의 온도로 약30분 간 열반응시켜 마늘를 익힌 후, 상기 마늘를 3봉밀로 분쇄한 후, 상기 분쇄물를 열반응기에 넣고 약 80도의 온도로 교반하며 약 4시간 열반응시키고 냉각시켜 점도가 있는 액기스 약 350g를 얻었다.
상기 마늘액기스에 난황 약 80g을 포함시켜 열반응기에 넣고 약85도의 온도에서 4시간 열반응시키고 냉각시켜 제형화하여 약285g의 마늘과 난황의 혼합물에 함초가 포함된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4. 상술한 동물성 물질들 중에서 누에를 선택하여 경남 합천산 진공건조 누에분말 100g을 준비하여, 제1의 방법으로 제조한 마늘엑기스 600g과 난황 80g과 혼합시켜 반응용기에 넣고, 섭씨 약 70-80도의 온도에서 약 5시간 고점도로 열반응시킨 후, 냉각시켜 약380g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5. 상술한 담자류 물질중에서 동충하초를 선택하여 전북 임실산 동충하초 100g을 구입하여 100-350매쉬 입자로 분쇄한 후, 마늘액기스 100g, 난황 30g로 혼합된 혼합물에 포함시켜 섭씨85도로 1시간 열반응시켜 약160g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6. 상기 상술된 기능성물질 중에서 밀의 배아를 선택하여 밀의 배아 100g를 약하게 가열한 후 압착 가열시켜 밀의 배아유 7cc를 얻고, 방법 제1의 공정의 난황 과 함께 마늘의 열반응된 액기스 150g에 포함시키고, 제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한 방법의 공정으로 열반응시키고, 냉각시켜 연질켑슐에 인입시켜 제형화하여 80g을 제조하였다.
7. 마늘 450g과 용제450cc에 유황화합물 메틸 썰포니메탄 150g을 넣고 섭씨 약70도로 약2시간 익혀 분쇄한 후, 섭씨 45-100도, 적당하게는 60-80도로 약4시간 열반응시키고, 40도이내로 냉각시킨 후, 난황 75g을 넣고 섭씨45-80도의 온도로 약5시간 열반응시켜 마늘과 난황의 혼합 조성물에 유황이 포함된 조성물 380g를 제조하였다.
8. 상기에서 언급한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물질이 포함된 한약제료류 중에서 은행잎과 수질을 선택하여 각 1g을 500cc함침시켜 가열하여 200cc의 용액을 준비하고, 마늘 200g을 상기 용액에 함침시켜 섭씨60-80도의 온도에서 2시간 열반응시키고, 냉각시켜 분쇄한 후, 난황 40g을 넣고 섭씨60-80도의 온도에 약2시간 열반응시켜 냉각하여 환으로 제형시켜 45환의 조성물를 제조하였다.
9. 상기 제1 제조방법-제4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각각 50g을 준비하고, 상기 조성물에 상기 열거한 약학적 물질인 안지오텐신 리코페인, 루테인, 매톡신. 암로디핀, 염산피오글리타존, 로수바스탄틴칼슘. 카로티노이드. 피토엔, 피토플루엔, 피토스테롤, 제아크산틴, 아스탁산틴, 칸탁산틴 및 카르노식산, 전환효소 저해제로서 펩타이드, HMG CoA 리덕타제 억제제와 IBAT 억제 조합치료제 중에서 선택한 로슈바스타틴 1g. 암로디핀1g. 염산 피오글리타존 1g를 포함시켜 1000mg 50정를 제조하였다.
10. 뇌기능활성 및 기억력 증진 기능성 식품 제조.
누애고치 50g, 지구자나무 50g을 준비하여 알코올 300cc에 넣고 약70도 미만의 온도로 약 2시간 가열하여 누에고치와 지구자나무로부터 분리물 20cc를 얻었다.
마늘 200g을 자작나무 수액 250cc에 넣어 약70도의 온도에서 4시간 열반응시켜 점도가 낮은 액기스를 만든 후, 난황 45g과 상기 추출물을 넣고 약70도의 온도에서 4시간 열반응시켜 저점도의 마늘과 난황의 혼합물를 얻은 후, 상기 혼합물에 상기 추출물를 넣어 잘교반시켜 켑슐에 인입 제형화하여 180켑슐를 제조하였다(기존 피브로인등 뇌기능 활성 촉진물질를 포함할 수도 있음).
상기 제조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조성물의 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시료
본 실험의 시료는 의뢰자가 제공하였다.
일반성분 함량 분석
수분함량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회분은 550℃ 직접회화법, 조지방은 자동 지방추출장치(SX-6, Raypa Co., Spain), 조단백질은 자동 킬달분석장치(B-339, Buchi Co., Swiss)로 각각 분석하였다.
총 식이섬유 분석
소화효소에 의한 비소화성 잔사의 측정법 Prosky 법(AOAC 법)에 따라 시료 2~10g을 정확히 측량하여, 500ml 비이커에 취한 후, 여기에 0.08M Phosphate buffer(pH6.0) 50ml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의 pH를 측정하여 산성이면 0.275N NaOH로, 알칼리면 0.325M HCl을 이용하여 pH6.0±0.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여기에 0.1ml Termamyl(heat stable α-amylase)solution을 첨가한 다음, 알루미늄 호일로 비이커를 덮어 95℃ Shaking water bath에서 반응을 시켰다. 실온에서 이 용액을 30분간 방냉시킨 다음 0.275N NaOH용액 10ml 넣어 pH7.5±0.1로 조정하고 protease 5mg을 1ml의 phosphate buffer에 넣어 조제한 protease용액 0.1ml를 넣은 다음 다시 비이커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60℃ incubator에서 30분간 반응시켰다. 이 용액에 0.325M HCl 10ml을 넣어 pH 4.0~4.6으로 조정하고 amyloglucosidase 0.1ml을 넣고 다시 비이커를 알루미늄 호일로 덮고 60℃ incubator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실온에서 방냉 후 95% EtOH을 용액의 4배 양인 285ml 넣어준 후 침전시켰다.
0.5g의 celite를 glass filter에 담아 항량을 구한 수기를 filter funnel 위에 장치하고78% EtOH로 celite를 고르게 하나의 막이 되도록 적신 후, 반응완료시킨 enzyme mixture를 흡인·여과 시켰다. 여과가 완료되면 여기에 20ml 78% EtOH로 2회 세척한 뒤, 95% EtOH 10ml로 2회 세척하고 계속해서 10ml acetone으로 2회 세척하였다. 씻어내린 다음, 침전물이 담긴 crucible은 105℃ 건조기에서 하룻밤 건조시킨 후 데시케이터에서 방냉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두 개의 시료 중 하나는 Kjeldahl법으로 단백질을 정량하고 나머지 한 개는 525℃에서 5시간 회화시켜 회분을 정량한 후 TDF 산출식에 적용하여 총 식이섬유 함량을 산출하였다.
무기질 함량 분석
무기질 함량은 식품공전시험법에 준하여 습식분해법으로 시료를 조제하여 분 석하였다. 즉, 시료 15g을 250 mL 분해플라스크에 취하고 HNO3 15 mL를 넣어 내용물을 가열·건고시킨 후 HNO3용액(HNO3 : H2O = 1 : 2) 10 mL와 60% HClO4 30 mL를 넣고 무색이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이어 소량의 증류수로 희석하여 증발접시에 옮기고 다시 가열하여 HClO4을 증발시킨 후 HCl용액(HCl : H2O = 1 : 2) 10 mL와 동량의 증류수를 가하여 수욕상에서 완전히 용해하고 100 mL로 정용하여 무기질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때 Ca, K, Mg, Na, Fe, Cu, Zn 등은 원자흡광분광광도계(Solar-M5, Thermo elemental Co., England)로 측정하였으며 P은 몰리브덴청비색법에 따라서 분광광도계(UV-1601, Shimadzu Co., Japan)로 650 nm에서 측정하였다.
유리당 함량 분석
시료를 5000 rpm에서 20분간 20℃에서 원심분리하여 0.2 μm syringe membrane filter (Chrom Tech, Inc., MN, U.S.A)로 여과하여 ELSD(Model 2000, Softa Co., USA)를 장착한 HPLC(NS-2004GP, Futecs Co., Korea)로 분석하였다. 이때 컬럼은 Asahipak NH2P-504E(4.6mm×250mm), 컬럼온도는 35℃, 이동상은 75% acetonitrile, 유속은 1.0 mL/min로 하였다.
유기산 함량 분석
시료를 5g씩 취하여 50ml 메스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증류수로 정용하여 혼합한 시료를 8000rpm, 10분간 4℃에서 원심분리하여 Sep-pak C18(Waters Co., USA)로 여액에서의 색소 성분을 제거 한 후 0.2 μm syringe membrane filter (Chrom Tech, Inc., MN, U.S.A)로 여과하여 HPLC (Futecs NSG-Series, Korea)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1
총페놀 분석
총페놀 함량은 시료를 70% MeOH 50ml을 가하여 microwave로 추출한 추출액 0.1ml에 증류수 6ml을 가하고 folin-ciocalteu's phenol regent 0.5ml씩 차례로 가하고 교반한 후 Na2Co3 포화용액을 1.5ml씩 차례로 가하여 충분히 교반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한 후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galic acid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얻는 표준검량곡선으로부터 시료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총플라보노이드 분석
총플라보노이드는 건강기능식품공전에 고시되어있는 시험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시료 일정량을 칭량하고 90% 에탄올 20mL를 가하여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취한다. 잔류물에 80% 에탄올 8mL로 3회 추출한다. 전추출액을 합하여 80% 에탄올을 사용하여 전량을 50mL로 한다. 표준용액으로 quercetin 을 0.01, 0.05, 0.1mg/mL 농도로 조제하여 사용하였다.
항산화 활성
시료 5g에 70% EtOH 50ml을 가하여 80℃에서 1시간 Microwave 시료전 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추출한 후 여과하고 100ml로 정용하여 반응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DPPH radical에 대한 소거활성을 Blois의 방법을 변형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료 0.5ml에 2×10-4 M DPPH 2ml를 넣고 vortex로 섞어주고 30분 동안 암소에 방치한 다음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2
유리아미노산 함량 분석
일정량의 시료를 취해 70% 에탄올 50㎖을 가하여 균질하고 80℃에서 15분간 microwave 시료전처리 장치(MARS, USA)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filter paper(ADVANTEC, No2)로 감압여과 후 추출액을 45℃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ethanol을 제거하고 분액깔때기에 옮겨 ether 20㎖ 가하고 지방층을 제거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물 층을 45℃ 이하에서 감압 농축하여 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sodium citrate buffer(pH 2.2)에 용해하여 0.45㎛ membrane filter(Millipore Co., Ireland)로 여과한 후 amino acid analysis system(Sykam S-4300, Germany)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방산 함량 분석
식품공전에 따라 ether추출법을 사용하여 유지를 추출하고 지방질 정제 및 methyl ester화하여 전처리한 후 GC분석하였다.
< GC 분석 조건>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3
실 험 결 과
표 1. 추출물의 일반성분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4
표 2. 추출물의 무기질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5
표 3. 추출물의 유리당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6
표 4. 추출물의 유기산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7
표 5.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8
표 6.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09
표 7.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전자공여능)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0
※ 합성항산화제와 비교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1
표 8. 추출물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2
표 9. 추출물의 지방산 함량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3
실험 1. 동물실험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이 자발성 고혈압 래트의 혈압에 대한 영향.
온도를 18℃~22℃로, 습도를 45%~65%로 제어하며 실내는 자연채0광을 사용하였다. BP-2006A 지능형 비침투식 혈압계(생명공학센터임대)로 래트가 정신이 맑은 상태일 시의 꼬리동맥 혈압을 측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8에의하여 제조한 식품조성물 중 선택한 실시예 1에 의하여 제조한 조성물를 0.1g씩 위내 투여 후 2~5시간 사이에 혈압을 5회씩 1주, 3 주 및 6주에 각각 혈압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 샘플의 혈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자발성 고혈압 래트의 혈압에 대한
영향(x±S, n=8)(mmHg)
[표 1]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4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심혈관 질병 개선기능을 갖는 식품으로서 장기복용시 약학적 혈압강하제보다 항고혈압 효과면에서 우수한 약리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2. 대사증후군의 인체실험
대사증후군 환자에 대한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의 개선효과 실험.
A. 일반적 사항:
2010년 8월부터 2011년 1월 사이에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대사증후군 환자 3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택하여 무작위로 대조군과 실험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 남성 8명, 여성 7명, 연령 55~70세. 몸무게 지수(BMI) 25.5-30;
실험군: 남성 8명, 여성 7명, 연령 55~70세. 몸무게 지수(BMI) 24.5-31.
치료 전, 전체 대사증후군 환자에 대해 혈액지방 분석(총 콜레스테롤(TC),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 포함), 당화혈색소(HbAIC), 공복시 혈당(FBG), 공복시 인슐린(FINS) 및 피브리노겐(Fg)의 검측을 진행하였다.
대사증후군을 앓는 환자는 1999년 WHO에 의해 만들어진 제2형 당뇨병 및 고혈압의 진단 기준에 따라, 2000년 미국 국립 콜레스테롤 교육 프로그램 성인 치료 위원회(NCEP ATPⅢ) 지침을 참고하여 선택되었고, 원발성 고혈압증, 심부전 Ⅱ급 이상 질환, 간장 질환, 신장 질환을 포함하고 혈액계, 신부전 질환 등의 경우는 배제하였다.
B. 개선방안
대조군 환자는 피오글리타존을 하루에 한 번씩 15mg 복용하고; 실험군 환자는 실시예 1- 6방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식품조성물을 하루에 3 번씩 1회 3,000mg을 연속 8주간 복용시킨 후 상기 지수를 재검측하였다.
여기서 혈당은 헥소키나아제법으로 측정하고, 혈액 지방은 에스터라제 방법으로 측정하고, 피브리노겐은 응고법과 발색 기질법으로 측정하며, HbAIC는 칼럼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ic column)법으로 측정하며, 공복시 인슐린은 화학발광 면역측정법으로 측정하였다.
통계학적 처리: SPS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고, 유의성 검정은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이용하였다.
C. 개선 효과
복용 전후의 Fg, FINS, HbAIC, TC/HDLC 변화(x±S)
[표 2]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5
상기 표 2로부터 대사증후군 개선에 있어서, 본 발명의 마늘과 난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심혈관 질병 개선기능성 식품조성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복용전의 FBG, FINS,HbAIC, TC/HDLC, Fg수치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 식품조성물을 사용하였을 경우의 복용 후 결과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을 사용한 군에서 FBG, FINS, HbAIC, TC/HDLC,Fg가 수치상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식품조성물은 대사증후군 개선 또는 개선면에 있어서도, 개선효과가 확실하며 개선작용이 뚜렷함을 알수 있었다.
실험 3. 고혈압 인체실험.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이 56세 남자(평균혈압 115-178)의 자발성 고혈압 인체의 혈압에 대한 영향. 대조 62세의 남자 평균혈압 121-187.
대조 인체내 피오클리타존 일일 15mg 경구투여 하고, 실험 인체에 실시예 6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1회 2g, 일일 3회 경구투여.
BP-2006A 지능형 비침투식 혈압계로 시험대상자가 정신이 맑은 상태일 시의 팔목동맥 혈압을 측정한다. 위내 약물투여 후 2~5시간 사이에 혈압을 5회씩 1주, 3주 및 6주에 각각 혈압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샘플의 혈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자발성 고혈압 인체의 혈압에 대한
영향(x±S, n=8)(mmHg)
[표 3]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6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심혈관질환 개선 기능을 갖는 식품으로서 약학적 혈압강하제보다 항고혈압 효과면에서 우수한 약리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1. 실시예 8에 의하여 제조한 화학적 항 고혈압을 포함한 조성물에 대한 항 고혈압 실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조성물이 49세 남자(평균혈압 110-168)의 자발성 고혈압 인체의 혈압에 대한 영향. 대조 62세의 남자 평균혈압 115-167.
대조 인체내 피오클리타존 일일 15mg 경구투여 하고, 실험 인체에 실시예 8에 의하여 제조된 조성물 1회 2g, 일일 3회 경구투여.
BP-2006A 지능형 비침투식 혈압계로 시험대상자가 정신이 맑은 상태일 시의 팔목동맥 혈압을 측정한다. 위내 약물투여 후 2~5시간 사이에 혈압을 5회씩 1주, 3주 및 6주에 각각 혈압을 측정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해당샘플의 혈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자발성 고혈압 인체의 혈압에 대한 영향
(x±S, n=8)(mmHg)
[표 4]
Figure 112012503003053-PAT00017
표 4에서와 같이 화학적 항고혈압을 약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학적 약물에 비하여 소량 첨가하여도 기존의 화학적물질로만 이루어진 항 고혈압제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5 (관상동맥경화).
인위적으로 고단위 콜레스테롤을 경구로 주입시켜 관상동맥경화를 유발시킨 3년생 렛트 2마리 중 한 마리에게 실시예1-실시예8에 의하여 제조한 조성물 중 실시예 2에 의하여 제조한 조성물를 0.2씩 1일 3회 30일 사료와 함께 경구투여하고, 한마리는 대조군으로 일반적인 사료만를 제공하였다.
30일 경과 후 2마리를 에텔마취 후, 해부하여 관상동맥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 대조군의 렛트는 관상동맥내 이물질이 침착되어 있고, 본발명의 조성물를 섭취한 레드의 혈관은 께끗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6 (피로회복실험)
몰모트 4마리 중 2마리는 대조군으로하고 2마리는 실험군으로 분리하여 실험군에 상기 실시예1-8에 의하여 제조한 조성물를 각각 0.1g 씩 30일 사료와 함께 경구 투여시키고, 대조군은 일반적인 사료를 복용시켰다.
30일 후 수조에 대조군 2마리와 실험군 2마리를 각각 넣고 관찰하였다.
결과 : 대조군은 3시간이내에 익사하엿고, 실험군은 4시간이상을 수영을 유지하고 있엇다. 이에 피로회복에 큰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하였다.
실험 7 (성기능 강화실험)
몰모트 수것 4마리와 암것 8마리를 준비하여, 대조군 수컷 2마리, 실험군 2마리로 나누어 대조군 2마리에 일반 사료를, 실험군 2마리에 일일 3회, 일회 0.1g씩 각각 7일 일반사료에 포함 경구투여 후, 암것 4마리 무리에 대조군과 실험군을 나누어 각각 합사시켜 관찰하였다.
결과 : 대조군은 1-2회의 교미로 교미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왕성한 교미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이 성기능강화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 8 (기억력증진 시험)
몰모토 6마리를 3마리씩 나누어 2개 군으로하여 1개군 3마리를 대조군으로하 고 1개군 3마리를 실험군으로하여 기억력 증진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군에 본 발명의 조성물 0.1g-0.3g을 사료에 혼합시켜 1일 2회 구강을 통하여 15일 투여후, 조성한 미로에서 길찾기를 실시한 결과 실험군 3마리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길찾는 기억력이 월등히 높았음을 확인하엿다.

Claims (23)

  1. 마늘을 중,저온에서 열반응시킨 후, 열반응된 마늘에 난황을 혼합시켜, 마늘과 난황이 혼합상태에서 중저온의 온도로 열반응되어 이루어진 조성물로,
    조성물 총량 100에 마늘 20중량%-80중량%. 난황 15중량%-75중량%, 수분(용제) 1.0중량%-50중량%로 구성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적인 유효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 1단계 : 마늘피를 제거하는 단계. 2단계 : 마늘를 용제에 포함시켜 45도-85도의 온도에서 마늘를 15분-30분간 익히는 공정. 3단계 : 분쇄기로 분쇄하는 공정. 4단계 : 분쇄물를 열반응기에 넣고 섭씨45도-섭씨85도의 온도에서 1-16시간 열반응시키고 냉각시키는 공정으로 마늘로부터 점액질과 오일를 용제에 용출시켜 중점도로 액기스화 시키는 공정. 5단계 : 알로부터 난황을 분리하는 공정.
    6단계 : 4단계 공정으로 얻은 마늘액기스에 혼합시켜 섭씨 45도-섭씨85도의 온도에서 1시간-16시간 교반하며 열반응을 시키어 마늘점액이 고점도로 농축시키어 난황으로부터 오일를 마늘액기스에 용출시키는 공정. 7단계 : 냉각시키는 공정. 8단계 : 5-30일 숙성시키는 공정. 9단계 : 제형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특징으로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제조방법.
  3. 청구 1항에 있어 마늘과 난황의 혼합 조성물은, 청구 2항에 의한 방법으로 조성한 조성물에 미생물을 넣어 섭씨 20-40도의 온도에서 1일-30일 발효 및 숙성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하여 조성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4. 청구 2항에 있어 용제는, 건강기능성 약제, 산야초, 나무, 담자류, 동물류, 해조류 중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기능성 물질를 물, 나무수액, 심해 심층수, 알콜 중 일종이상의 용제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를 마늘의 용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적 유효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5. 청구 1-3항에 있어 난황은, 가금류 또는 조류의 알로 닭, 오리, 타조, 메추리, 칠면조, 거위의 알들 중에서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알로부터 분리된 난황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적 유효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6. 청구 1항-3항에 있어 마늘은 생마늘, 숙성시킨 흑마늘, 구운 마늘, 건조마늘 중 선택한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마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7. 청구 4항에 있어 나무의 수액은 자작나무, 만주자작나무, 사스레나무, 물박달나무, 박달나무, 거제수나무, 오리나무, 서어나무, 단풍나무, 고로쇠나무, 산겨룹나무, 신나무, 대나무, 층층나무, 산수유나무, 가래나무, 호두나무, 물푸레나무, 피나무, 삼나무, 노박덩쿨나무, 으름덩쿨나무, 다래나무 등 중에서 1종 또는 일종 이상의 나무로부터 일출한 수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합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8. 청구 4항에 있어 건강 기능성 약제는,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제,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제, 조혈계와 혈액에 작용하는 약제, 청열, 해독을 위한 약제,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제, 면역계에 작용하는 약제, 소화기계에 작용하는 약제, 기를 보하는 또는 행기(치료)성 약제, 보양기능 약제, 보음기능 약제 그룹 중 일종 또는 일종 이상의 약제의 수추출물 또는 그 분리물질이 조성물 총중량의 0.001%-10%가 추가 포함되어 제조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 신경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모려, 백강잠, 백출체, 백자인, 복령, 부소맥, 산조인, 석결명, 석창포, 소합향, 야교등, 용골, 용뇌, 우황, 원지, 자석, 전갈, 조구등, 죽엽, 죽여, 질려자, 천남성, 천마, 천백, 합환피, 현호색, 누에고치, 지구자, 그룹에서 선택하는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 물
  10. 청구항 8에 있어 심혈관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갈근 및 갈화, 결명자, 고삼, 단삼, 두충, 백부자, 봉출 또는 아출, 사향, 삼칠근, 상기생, 섬서 또는 섬수, 용안육, 은행엽, 음양곽, 천궁, 하수오, 호장근, 황정, 지룡, 밀배아 그룹에서 선택한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1. 청구항 8에 있어 조혈계와 혈액에 작용하는 약제는, 계혈등, 괴화 및 괴각, 권백, 당귀, 도인, 백급, 삼능, 소계 및 대계, 소목, 아교, 애엽, 여정실, 왕불류행, 용아초, 우절, 익모초 또는 그의 씨, 지유, 천초, 측백엽, 포황, 한련초, 홍화, 숙지황, 하수오, 작약, 상심자, 노루혈(장혈), 녹각교, 용안, 시엽(감나무), 현호색, 패장, 울금, 강황, 택란, 우슬, 질려, 조각자, 산골, 수질, 유기노, 귀전, 산자고, 마편초, 봉출, 유향, 몰약, 천산갑, 소목, 녹용, 토마토 그룹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1종 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2. 청구 8항에 있어 내분비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골쇄보, 괄루근, 천화분, 녹용, 백작약, 보골지, 복분자, 선모, 속단, 쇄양, 속지황, 승마, 인삼, 지골피, 지모, 창출, 토사자, 파극천, 해조, 현삼, 밀배아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일종이상 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3. 청구 8항에 있어 면역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검인, 검실, 당삼, 하수오, 백출, 별갑, 사원자, 산수유, 산약, 상표초, 선퇴, 익지 연자육, 오가피, 오령지, 오미자, 우슬, 육종용, 음양곽, 인삼 또는 홍삼, 조각자, 백수오, 황기, 자근, 밀배아유 중 선택한 1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4. 청구 8항에 있어 소화기계에 작용하는 약제는, 가자, 강황, 견우자, 계내금, 고령강, 과체, 곽향, 구기자, 금앵자, 내복자, 당양, 대복피, 대황, 마인, 망초, 맥아, 모려, 목향, 박하, 백두구, 백편두, 빈랑자, 사인, 산사, 생강, 석곡, 소회향, 신곡, 오매, 오미자, 오배자, 오수유, 용담, 울금, 웅담, 유백피, 육두구, 개통인진, 인진호, 정향, 지각, 진피, 창출, 천련자, 초과, 초두구, 춘피, 치자, 침향, 파두, 피마자, 필발, 향부자, 현초, 호황련, 후박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5. 청구 8항에 있어 기를 보하는 또는 행기(치료)성 약제는, 인삼, 산삼, 만삼, 황기, 영지, 백출, 산약, 둥글레, 감초, 오미자, 대추, 봉밀, 연자실, 검인, 밤, 잣, 오가피, 두릅피, 상어간유, 송화분, 향부자, 목향, 진피 및 청피, 지실, 지각, 시체(감꼭지), 매괴화, 후박, 오약, 사인, 백구인, 침향, 여지핵 중 일종 도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6. 청구 8항에 있어 보양기능성 약제는, 녹용 및 녹각, 음양곽, 산수유, 복분자, 토사자, 구기자, 두충, 속단, 복골지, 호로파, 태반, 초종용, 해구신, 사슴신, 상표초, 익지, 육종용, 파극천, 동충하초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7. 청구 8항에 있어 보음 기능성 약제는, 구기자, 사삼, 백합, 천문동, 맥문동, 둥글레, 참께, 구판, 별갑, 해삼, 여정자, 석곡. 그리고 기타 홍경천, 개똥쑥, 로얄제리, 아교주, 귀판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8. 청구 4항에 있어 산야초와 나무는 부추, 토마토, 시금치, 양파, 배추. 무. 상추. 쑥갓. 고구마. 감자. 호박. 천마. 박하. 꿀풀. 삼지구엽초. 장미. 톱풀. 다래. 석창포. 백선. 냉이. 구아바. 삽주. 한삼덩굴. 개머루열매. 복분자. 하수오. 부처손. 냉초. 소루쟁이. 겨우살이. 인삼잎. 비수리. 하늘타리. 속단. 호장근. 골 담초. 사위질빵. 참마. 산국. 노루귀. 쇠비름. 민들레. 산사나무. 함초. 삼백초. 단풍마. 쇠별꽃. 바디나물. 녹나무. 소나무. 도라지. 새삼. 달래. 수영. 개망초. 싸리나무. 아까시아(꽃). 봉령. 석곡. 닭의장풀. 인진쑥. 거북꼬리. 마가목. 칡(꽃). 만삼. 석위. 둥굴래. 씀바귀. 고마리. 삭줄. 찔레나무. 당귀. 속새. 등골나물. 애기똥풀. 고들빼기. 물푸레나물. 으름덩굴. 천궁. 술패랭이꼿. 딱지꽃. 앵초. 곰보배추. 배롱나무. 주엽나무. 더덕. 애기땅빈대. 떡쑥. 어성초. 배암차즈기. 진달레. 잔대. 이질풀. 뚱딴지. 양지꽃. 생강나무. 올리브. 노니. 청미래덩굴. 산삼. 익모초. 백모근. 엘레지. 박쥐나물. 예덕나무. 치자나무(꽃). 장뇌삼. 일엽초. 마디풀. 엉겅퀴. 박쥐나무. 한련초. 오동나무. 화살나무수피. 생지황. 자귀풀. 마름. 여뀌. 벌깨나물. 노나무. 고광나무꽃. 갈대. 조개나물. 마타리. 연꽃(잎). 비쑥. 인동덩굴. 들쪽나무잎. 산청목. 지치. 메꽃. 오이풀. 향부자. 새콩. 자귀나무. 호깨나무열매. 구룡목. 진득찰. 며느리배꼽. 고들빼기. 조릿대. 접골목꽃. 두충 (잎). 할미꽃. 물레나물. 우산나물. 초롱꽃. 쥐똥나무. 모과열매. 개쑥갓. 가막사리. 물봉선. 자운영. 강아지풀. 매실. 갯매꽃. 꼭두서니. 미나리. 장구채. 수리취. 팔손이나무. 멍석딸기열매. 고삼. 구릿대. 제비꽃. 싱아. 피마자.딱총나무꽃. 골풀. 개미취. 미역취. 조뱅이. 쑥부쟁이. 만병초. 달맞이꽃나무. 장마나무. 동백나무. 구절초. 개별꽃. 박주가리. 좀꿩의다리. 애기나리. 구기자. 꿩의비름. 갯방풍. 배초향. 주름잎. 어수리. 회양목. 왕삼. 노루발풀. 골등골나물. 백작약. 진황정. 장대나물. 후박나무. 비삼. 더위직이. 광대나물. 목련. 뱀딸기. 질경이. 좀명아주. 개암나무. 연삼. 도꼬마리. 괭이밥. 번행초. 짚신나물. 줄뿌리. 귀롱나무. 금회목. 동의나물. 금란초. 벼룩나물. 비파잎. 차즈기. 처녀바디. 꾸찌뽕나무. 사들목. 둥근바위솔. 기린초. 별꽃. 참소루쟁이. 층층잔대. 노박덩굴. 맥문동. 까마중. 비름. 참취. 큰개불알풀. 누리장나무. 바위손. 고정차. 홍경천. 꽃다지. 쇠비름. 까치수염. 큰수리취. 용뇌나무. 바위솔. 꽃마리. 사상자. 털여귀. 털비름. 가지. 매실. 접골목. 천년초(토종부채선인장). 백년초. 고정차. 오미자. 복숭아. 자스민. 제라늄. 수수. 쌀. 조. 대두. 팥. 보리. 밀배아. 옥수수. 녹두. 봉교. 쌀겨. 자두. 레몬그레스 중 선택되는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이 조성물 총중량에 0.01%-10%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19. 청구 4항에 있어 담자류는 가지버섯. 간버섯. 갓버섯. 개암버섯. 계란버섯. 기와버섯. 꽃송이버섯. 꾀꼬리버섯. 바래기버섯. 느타리버섯. 능이버섯. 닭다리버섯. 덕다리버섯. 말버섯. 밀버섯. 외대버섯. 먹버섯. 말굽버섯. 목이버섯. 석이버섯. 상황버섯. 밤버섯. 복황버섯. 뽕나무버섯. 소나무잦나무걸상버섯. 오이꽃버섯. 송이버섯. 싸리버섯. 운지버섯. 조개껍질버섯. 잣버섯. 표고버섯. 참나무버섯. 영지버섯. 힌굴뚝버섯. 벗꽃버섯. 비단그물버섯. 졸각버섯. 민자주방망이버섯. 팽나무버섯. 까치버섯 .동충하초버섯. 티벳버섯. 차가버섯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추출물 또는 그 분리물질이 조성물 총중량에 0.01%-10%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0. 청구 4항에 있어 동물성물질은 지렁이, 도마뱀, 뱀, 해마, 개미, 지네, 전갈, 선태, 봉방, 거북, 자라, 소 담, 소지라, 소족, 소 껍질, 돼지족, 돼지 담, 돼지 껍질, 사슴뿔. 사마귀. 오배자진딧물 봉퉁. 해삼. 다람쥐. 누에. 곰담. 금구자. 동물성 태반. 수질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이 조성물 총중량에 0.01%-10%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1. 청구항 4항에 있어 해초류는 녹조류, 다홍해초류, 갈조류, 남조류, 차축조류의 추출물 중 일종 또는 일종이상의 물질로 조성물 총중량에 0.01%-10%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심혈관질환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2. 청구 1-3에 있어 난황은, 생상태 난황, 반숙상태 난황, 완숙상태의 난황 중 선택한 일종이상 상태의 난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
  23. 청구 2항에 있어 제형은, 필름코팅, 실리카피복, 연질켑슐충진, 건조후 타정, 건조 후 분말, 고형담체포함 환제제 중 선택한 어느 일종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 품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20112378A 2011-10-11 2012-10-10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Withdrawn KR201300393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445 2011-10-11
KR20110103445 2011-10-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309A true KR20130039309A (ko) 2013-04-19

Family

ID=4843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2378A Withdrawn KR20130039309A (ko) 2011-10-11 2012-10-10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9309A (ko)

Cited B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458A (zh) * 2013-05-09 2013-08-07 武汉市健恒药业有限公司 前列癃闭通片的制备方法
CN103444877A (zh) * 2013-09-15 2013-12-18 宁波市江东农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改善营养性贫血作用的鹰嘴豆保健营养粉
CN104069360A (zh) * 2014-06-30 2014-10-01 咸洪震 一种治疗消化道出血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164357A (zh) * 2013-07-18 2014-11-26 刘三保 一种虎杖保健醋的生产方法
CN104474465A (zh) * 2014-11-27 2015-04-01 武汉万密斋养生堂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补心养颜颗粒及其制备方法
KR101529619B1 (ko) * 2013-09-17 2015-06-29 박성심 한방마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824697A (zh) * 2015-05-21 2015-08-12 贵州梦润鹌鹑有限公司 一种消热排毒鹌鹑药膳的制备方法
CN104984225A (zh) * 2015-05-25 2015-10-21 北京中医药大学 一种醒脑静经鼻微乳及其制备方法
CN105147974A (zh) * 2015-07-31 2015-12-16 蒋魏 一种治疗腿麻的药物
CN105310068A (zh) * 2015-11-16 2016-02-10 山东省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辅助改善记忆的特殊膳食用食品配方
CN105341912A (zh) * 2015-11-09 2016-02-24 黄名玉 具有安神益气功效的桂圆保健营养粉
CN105495508A (zh) * 2015-12-11 2016-04-20 张友兰 一种调味鸭粉
KR101616688B1 (ko) * 2015-10-20 2016-04-28 연광흠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KR20160076014A (ko) 2014-12-19 2016-06-30 농업회사 법인 (주) 유기농스토리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KR101656402B1 (ko) * 2016-04-28 2016-09-23 산지마늘양파 영농조합법인 홍마늘 즙 및 그 제조 방법
WO2018021886A1 (ko) * 2016-07-29 2018-02-01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WO2018174448A1 (ko) * 2017-03-23 2018-09-27 김순일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17886A (ko) * 2016-06-10 2019-02-20 카부시키카이샤 켄코우카조쿠 마늘 성분의 흡수 촉진제
KR20190027071A (ko) * 2017-09-06 2019-03-14 이인숙 피부 개선 또는 보양용 한방 건강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1009B1 (ko) * 2018-02-26 2019-08-14 백주흠 건강보조식품
KR20200041433A (ko) * 2018-10-12 2020-04-22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 환의 제조방법
KR102115622B1 (ko) * 2019-02-20 2020-05-27 박무순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19417B1 (ko) * 2018-11-28 2020-06-05 한희정 음료 첨가물 제조방법
KR102139447B1 (ko) * 2020-05-12 2020-07-29 석 철 이 잔대를 이용한 음식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47602B1 (ko) * 2019-05-05 2020-08-24 조권석 면역증강 및 성장촉진을 위한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2159179B1 (ko) * 2020-05-15 2020-09-23 안미정 참담치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 식품첨가제
KR102300732B1 (ko) * 2020-11-11 2021-09-14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340709B1 (ko) * 2021-06-29 2021-12-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담푸드시스템 소곱창 제조방법
KR102395002B1 (ko) *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WO2022225323A1 (ko) * 2021-04-20 2022-10-27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WO2023033207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케이레이즈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KR20230071248A (ko) * 2021-11-16 2023-05-23 김희정 구증구포를 이용한 흑도라지 복합진액 제조방법
KR102558938B1 (ko) * 2022-11-30 2023-07-25 주식회사 동성푸드 축산물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축산물
KR102579191B1 (ko) * 2022-07-25 2023-09-15 백지원 이취가 제거된 흑마늘즙 제조방법
KR102589338B1 (ko) * 2022-09-02 2023-10-16 김미경 천마 및 송화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04523B1 (ko) * 2022-05-18 2023-11-23 동성제약주식회사 화살나무 귀전우 추출물과 마늘발효액을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748093B1 (ko) * 2024-05-08 2024-12-31 더건강한 주식회사 작약이 포함된 피로회복 보조용 한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30458A (zh) * 2013-05-09 2013-08-07 武汉市健恒药业有限公司 前列癃闭通片的制备方法
CN104164357A (zh) * 2013-07-18 2014-11-26 刘三保 一种虎杖保健醋的生产方法
CN104164357B (zh) * 2013-07-18 2015-08-26 南陵县石斛产业协会 一种虎杖保健醋的生产方法
CN103444877A (zh) * 2013-09-15 2013-12-18 宁波市江东农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改善营养性贫血作用的鹰嘴豆保健营养粉
KR101529619B1 (ko) * 2013-09-17 2015-06-29 박성심 한방마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069360A (zh) * 2014-06-30 2014-10-01 咸洪震 一种治疗消化道出血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4474465A (zh) * 2014-11-27 2015-04-01 武汉万密斋养生堂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补心养颜颗粒及其制备方法
KR20160076014A (ko) 2014-12-19 2016-06-30 농업회사 법인 (주) 유기농스토리 기능성음료의 제조방법
CN104824697A (zh) * 2015-05-21 2015-08-12 贵州梦润鹌鹑有限公司 一种消热排毒鹌鹑药膳的制备方法
CN104984225A (zh) * 2015-05-25 2015-10-21 北京中医药大学 一种醒脑静经鼻微乳及其制备方法
CN105147974A (zh) * 2015-07-31 2015-12-16 蒋魏 一种治疗腿麻的药物
KR101616688B1 (ko) * 2015-10-20 2016-04-28 연광흠 굼벵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제조방법
CN105341912A (zh) * 2015-11-09 2016-02-24 黄名玉 具有安神益气功效的桂圆保健营养粉
CN105310068A (zh) * 2015-11-16 2016-02-10 山东省农业科学院蔬菜花卉研究所 一种辅助改善记忆的特殊膳食用食品配方
CN105495508A (zh) * 2015-12-11 2016-04-20 张友兰 一种调味鸭粉
KR101656402B1 (ko) * 2016-04-28 2016-09-23 산지마늘양파 영농조합법인 홍마늘 즙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17886A (ko) * 2016-06-10 2019-02-20 카부시키카이샤 켄코우카조쿠 마늘 성분의 흡수 촉진제
WO2018021886A1 (ko) * 2016-07-29 2018-02-01 천지인초 주식회사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해소, 피로회복 및 면역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WO2018174448A1 (ko) * 2017-03-23 2018-09-27 김순일 백출, 상심자, 구기자, 용안육, 우슬, 두충 및 천문동의 조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증후군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27071A (ko) * 2017-09-06 2019-03-14 이인숙 피부 개선 또는 보양용 한방 건강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11009B1 (ko) * 2018-02-26 2019-08-14 백주흠 건강보조식품
KR20200041433A (ko) * 2018-10-12 2020-04-22 진안꾸지뽕나무 영농조합법인 꾸지뽕 환의 제조방법
KR102119417B1 (ko) * 2018-11-28 2020-06-05 한희정 음료 첨가물 제조방법
KR102115622B1 (ko) * 2019-02-20 2020-05-27 박무순 약용 및 식용 천연물 복합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147602B1 (ko) * 2019-05-05 2020-08-24 조권석 면역증강 및 성장촉진을 위한 사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사료 조성물
KR102139447B1 (ko) * 2020-05-12 2020-07-29 석 철 이 잔대를 이용한 음식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159179B1 (ko) * 2020-05-15 2020-09-23 안미정 참담치를 이용한 식품첨가제 제조방법 및 그 식품첨가제
KR102300732B1 (ko) * 2020-11-11 2021-09-14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2102869A1 (ko) * 2020-11-11 2022-05-19 주식회사 제이에스무역 난황유 및 배초향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항주름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2225323A1 (ko) * 2021-04-20 2022-10-27 신현제 생약재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보조식품
KR102340709B1 (ko) * 2021-06-29 2021-12-20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담푸드시스템 소곱창 제조방법
KR102395002B1 (ko) * 2021-07-08 2022-05-09 김수현 마늘발효액 및 산뽕상황을 이용한 음료의 제조방법
WO2023033207A1 (ko) * 2021-09-01 2023-03-09 주식회사 케이레이즈 광융합파 치료장치를 이용한 코로나 바이러스 원격치료시스템
KR20230071248A (ko) * 2021-11-16 2023-05-23 김희정 구증구포를 이용한 흑도라지 복합진액 제조방법
KR102604523B1 (ko) * 2022-05-18 2023-11-23 동성제약주식회사 화살나무 귀전우 추출물과 마늘발효액을 이용한 인지기능 개선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방법
KR102579191B1 (ko) * 2022-07-25 2023-09-15 백지원 이취가 제거된 흑마늘즙 제조방법
KR102589338B1 (ko) * 2022-09-02 2023-10-16 김미경 천마 및 송화분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58938B1 (ko) * 2022-11-30 2023-07-25 주식회사 동성푸드 축산물의 가공방법 및 이에 의하여 가공된 축산물
KR102748093B1 (ko) * 2024-05-08 2024-12-31 더건강한 주식회사 작약이 포함된 피로회복 보조용 한방 음료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9309A (ko)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umar et al. Recent trends in potential traditional Indian herbs Emblica officinalis and its medicinal importance
KR100922311B1 (ko) 활성화된 당 관련 화합물을 함유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차가버섯, 상황버섯, 영지버섯, 꽃송이버섯 및 동충하초의 복식 배양 방법
KR20120107557A (ko) 엽록소가 함유된 미강의 발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1433B1 (ko)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23206B1 (ko)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76093B1 (ko) 항산화 활성과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가 향상된 노루궁뎅이버섯용 고체배지와 그 제조방법
JP2007306898A (ja) 冬虫夏草を用いた機能性食品とその製造方法
US2023039039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5-aminolevulinic acid hydrochloride
KR102620485B1 (ko) 미네랄수 및 오가피추출물을 함유한 동물성장 촉진용 음용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음용수
KR101182039B1 (ko) 천연 초와 천연 식이 유황을 함유하는 구기자 고추장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N102885959A (zh) 一种大蒜全素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396323B1 (ko)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101735666B1 (ko) 동충하초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CN100488381C (zh) 蜂胶灵芝孢子粉黑木耳多糖复合软胶囊及其制备方法
KR101478196B1 (ko) 꾸지뽕을 주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및 당뇨병 예방용 조성물
CN109620858A (zh) 防治糖尿病的药食同源制剂
KR101066429B1 (ko) 항산화 활성과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가 향상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 제조 방법
KR102617364B1 (ko)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 시스템
KR20030091616A (ko) 골밀도 향상 치료물질제조
CN101283741B (zh) 家蚕复合添加剂及其生产方法
KR20070111567A (ko) 독성을 제거한 법제유황과 나노입자 크기로 분쇄한 나노법제유황
CN102308989B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红蚁、葡萄、蜂胶提取物的组合物
KR101093006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우황 청심원 원료 함유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건강식품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