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6323B1 -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6323B1
KR100396323B1 KR10-2000-0064539A KR20000064539A KR100396323B1 KR 100396323 B1 KR100396323 B1 KR 100396323B1 KR 20000064539 A KR20000064539 A KR 20000064539A KR 100396323 B1 KR100396323 B1 KR 100396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feed
sawdust
sumac
livest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4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4342A (ko
Inventor
이병훈
Original Assignee
이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69658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39632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훈 filed Critical 이병훈
Priority to KR10-2000-0064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6323B1/ko
Publication of KR20020034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4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6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6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2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moulding, e.g. making cakes or briquet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r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옻나무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b) 상기 옻나무 톱밥을 이용하여 옻나무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c) ⅰ) 옻나무를 목재칩, 톱밥, 및 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형태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가공된 옻나무를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 내에 넣고 수증기로 가열증류하여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d)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과 일반 배합사료를 혼합하여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부하 후 1 일령부터 10 일령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생후 11 일령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로 대체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및 옻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pellete)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닭, 오리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는 천연 생약제인 옻나무를 사료화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우루시올계 화합물을 함유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를 가축에 급여하여 사육함으로써 고품질의 육질을 생산할 수 있고, 항생제 사용이 불필요하여 항생제 남용에 따른 축산물의 잔류 항생제 문제의 요인을 제거하며, 가축의 증체효과와 기존의 옻나무 사료 대비 대량으로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하게 되어 사료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Description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METHOD FOR PREPARING LIVESTOCK FEED USING RHUS VERNICIFLUA AND METHOD FOR BREEDING LIVESTOCK}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집단 사육시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항생제 남용에 따른 축산물의 잔류 항생제 문제의 요인을 제거하고, 기존의 옻나무 사료 대비 대량으로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하게 되어 사료비 절감효과가 있으며, 고 함량의 아미노산 함유에 따른 가축의 증체효과와 고품질의 육질을 생산할 수 있는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생명체(또는 동물)의 세포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유해 라디칼에 의한 유해작용이 반복적으로 누적될 경우 발암, 동맥경화, 심장질환, 피부노화 등 여러 성인병과 관련된 질환은 물론 전반적인 세포의 노화를 야기하며, 최근 이러한 생명체(또는 동물)의 질병과 관련된 유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무병장수를 이룰수 있는 물질로서 항산화제가 다방면에서 연구되고 있다.
옻은 옻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고무질 현탁액에 함유된 우루시올과 시드로우루시올 등 우루시올 유도체의 혼합물이다. 일반적으로 옻나무의 구조를 살펴보면 옻을 오르게 하는 시드로우루시올 성분이 많이 함유된 수피부분과 목질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목재부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껍질부분 만을 사용하였으나 옻나무의 목재부에는 많은 양의 항산화제가 포함되어 있어서 세포의 노화방지 등의 효과가 큰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를 입증하는 것으로서 옻나무 껍질은 쉽게 썩는 반면에 땅에 묻거나 목재로 가공하는 목재부는 몇 백년에서 천년 동안도 썩지 않은 상태로 발견되고 있다.
예로부터 동의보감, 본초강목 등에는 옻의 독성을 다스리면 천하명약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조선시대의 의성 허준은 "옻이 어혈과 여인의 경맥불통 및 적취를 풀어주는 외에도 장(小腸)을 잘 통하게 하고 기생충을 죽이며 피로를 다스린다"고 동의보감에 적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방약합편에 타박상, 피 맺힘, 여자의 통경, 허리 및 아랫배가 아픈병, 구충제, 변통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기술되어 있으며(황도연, 550(1993)), 장기간 복용하면 몸이 가볍고 늙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옻닭 등으로 가공하여 먹는 등 이용이 급증하고 있고, 현대의학으로 확인된 각종 암세포의 치료 및 억제, 성인병 예방 및 과산화 방지효과가 있다고 발표된 바 있어 고금의 약리효과와 일치하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인산 김일훈은 그의 저서 구세심방에서 "옻은 산삼과 비견할 만큼 중요하고효과가 높다"고 기술했으며, 그는 옻은 위장에서는 소화제가 되고, 간에서는 어혈약이 되어 염증을 다스리며, 심장에서는 청혈제가 되어 결핵균을 멸하고, 콩팥에서는 이수약이 되어 오장육부의 질병을 다스리며, 신경통, 관절염, 피부염 등에도 훌륭한 약이 된다고 극찬했다. 또한, 그는 "옻은 가장 훌륭한 천연방부제이며 암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해서 반드시 쓰여진다"라고 옻의 항암효과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김일훈, 58, 208, 350(1992)). 이러한 그의 주장은 최근의 과학적 연구에서 잇달아 사실로 확인되었다.
한국과학기술원(KIST) 생명공학연구소에서는 지난 1997년 국내산 참옻의 수액에서 우루시올 성분을 찾아냈으며, 이를 3 내지 4 ppm 농도로 인체 암세포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암세포를 죽이는 탁월한 항암 활성능력을 나타내었다. 특히, 강원도 원주산 참옻의 수액에는 우루시올 성분이 50 중량%나 되는 것으로 분석되어 옻 자체가 그대로 항암제나 다름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곰의 쓸개 등에서 주로 추출되는 건강성분인 우루시올은 인체의 노화를 촉진하고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능력이 토코페롤보다 2 배나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청 임목육종연구소에서도 옻수액의 우루시올 성분을 분석해 항암효과가 뛰어난 Mu-2 성분을 추출하는데 성공하여 비슷한 시기에 같은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Mu-2는 베어낸 옻나무를 열처리해 얻은 화칠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항암효과가 탁월하고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급성독성이 전혀 없는 5가지 물질의 복합체로 알려져 있다. 상기 연구소에서는 이 물질이 기존의 항암제인 테트라플라틴(tetraplatin)보다 동물의 혈액암세포, 인체 폐암세포 및 위암세포 등의 생장을억제하는 효과가 훨씬 우수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으며, 연구진이 Mu-2와 테트라플라틴의 항암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Mu-2의 경우에는 테트라플라틴보다 훨씬 적은 양을 투여해도 똑같은 암세포 생장억제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Mu-2는 암유전자를 전환시켜 무한 증식하는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바꿔주고 암세포가 급속히 증식하는 과정에서 산소를 공급받는데 필요한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함으로써 종양절개 수술 후 나타날 수 있는 암세포의 급속한 증식을 막아준다고 발표했다. 또한 이 연구소는 Mu-2는 항암효과 외에 항산화(부패방지) 및 숙취해소 기능도 갖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옻나무로부터 추출된 화합물에는 강력한 천연 항산화제를 함유하고 있어서 옻나무를 유용하게 개발 정제하여 음료수, 기능성 음료, 식품, 제약 등에 응용하여 과로, 스트레스, 성인병 등을 치료할 수 있는 대체 물질을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옻나무 추출물 제조공정은 ⅰ) 옻나무를 목재칩, 톱밥, 및 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형태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가공된 옻나무를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 내에 넣고 수증기로 가열 증류하여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옻나무 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내용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0-34949호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또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와 관련된 특허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2000-1000호에 옻을 첨가한 사료를 먹여서 기른 닭 및 오리, 그리고 그 알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을 포함한 종래의 기술들은옻나무 껍질 만을 파쇄하여 분말을 만들어 황토 지장수나 물에 타서 배합사료에 혼합(이하 "옻사료"라함)하여 급여하거나, 혹은 "옻 한약사료" (옻과 황토, 황기, 당기, 오미자, 영지버섯, 포고버섯 등을 혼합하여 만든 사료)의 분말을 만들어 배합사료에 섞어서 급여함으로써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의 대량 생산에 한계가 있어서, 가축의 대량사육이 어렵고, 조사료 제조비가 높게 올라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옻사료의 사육 대상이 닭과 오리에 한정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닭 및 오리 뿐 만 아니라 소와 돼지를 사육 대상으로 할 수 있으며, 가축 조사료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가축의 대량사육이 가능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사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옻나무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b) 상기 옻나무 톱밥을 이용하여 옻나무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c) ⅰ) 옻나무를 목재칩, 톱밥, 및 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형태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가공된 옻나무를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 내에 넣고 수증기
로 가열증류하여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d)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과 일반
배합사료를 혼합하여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부하 후 1 일령부터 10 일령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
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생후 11 일령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로 대체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및 옻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
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닭, 오리의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송아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
무 추출물, 및 옻나무 발효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
료를 급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새끼 돼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로 옻나무 추출물을 공급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
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
무 추출물, 및 옻나무 발효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가축 사료 제조비를 절감하고 가축의 대량사육이 가능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과 사육방법을 연구한 끝에 옻나무를 채취하여 약 3 개월 정도 음지에서 건조시킨 후 껍질과 목재부를 포함한 채취목 전체를 톱밥제조기를 이용하여 직경 1 내지 2 mm 정도 크기의 톱밥으로 가공하여 건조된 톱밥과 발효 톱밥으로 만들어 조사료화하여 일반 배합사료에 첨가하여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함으로써 대량 사육시 문제점이었던 사료의 단가상승을 억제하고 옻나무 전체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양의 옻나무 사료 첨가물을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대단위 가축사육이 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참옻나무는 우리나라 전역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는데 강원도 원주, 횡성 일원에서 식생하는 나무가 가장 많은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전역의 참옻나무, 바람직하게는 원주 일원의 참옻나무를 옻나무 가축사료 제조용으로 채취한다.
나이테의 외피에서 3 내지 4 년생의 옻나무는 우루시올 성분을 거의 함유하지 않고 수령이 오래될수록 고농도의 우루시올 화합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양질의 옻나무 가축사료를 제조하려면 수령이 8 년 이상 된, 바람직하게는 10 년 이상 된 참옻나무를 채취한다.
상기 채취한 참옻나무를 건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잘게 절단하면 절단면으로 많은 양의 옻나무 수액이 노출되어 산화된 채로 건조되면 양질의 화합물 추출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채취한 참옻나무는 가능하면 3 m 이상으로 길게 절단한 후, 절단된 옻나무를 서늘하고 그늘진 창고에서 120 일 정도 건조시킨다.
상기 a)의 옻나무 톱밥 제조공정은 건조된 옻나무(수피와 목재부 포함)를 톱밥 제조기를 이용하여 직경 1 내지 2 mm 정도 크기의 톱밥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된 톱밥의 직경이 2 mm 이상일 경우 가축의 장에서 궤양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옻나무 약리성분의 흡수가 어렵게 된다. 반면에 직경이 1 mm 이하일 경우 약리성분의 흡수력이 우수하나 분쇄공정의 추가로 사료 제조비가 증가된다.
상기 b)의 옻나무 발효 톱밥 제조공정은 ⅰ) 상기 제조된 옻나무 톱밥을 10 내지 25 ℃의 물에 25 내지 35 분 동안 침전시켜 물에 불리는 단계; ⅱ) 상기 물에 불린 옻나무 톱밥 70 내지 80 중량%에 흙설탕 20 내지 30 중량%, 또는 옻나무 톱밥80 내지 85 중량%에 효모균(super enzyme) 15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밀폐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25 ℃ 내외의 실온에서 20 일 정도 방치하여 옻나무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의 톱밥을 물에 불리는 단계에서 물의 온도가 25 ℃ 이상 또는 침전 시간이 35 분 이상일 경우 수분 공급의 과다로 톱밥으로부터 옻나무 약리 성분인 우루시올 계통의 화합물의 급격한 유출로 일반 톱밥으로서의 기능 만을 하게되어 옻나무 발효 톱밥 제조에 한계가 있으며, 반면에 물의 온도가 10 ℃ 이하 또는 침전시간이 25 분 이하일 경우 수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못한 관계로 약리성분의 추출속도가 느리고 옻나무 조사료의 발효속도가 저하되어 역시 옻나무 발효 톱밥 제조에 한계점을 갖는다.
상기 ⅱ)의 옻나무 톱밥과 흙설탕의 혼합단계에서 옻나무 톱밥의 배합량이 80 중량% 이상 또는 흙설탕 배합량이 20 중량% 이하일 경우 옻나무 약리성분의 증가로 약효가 증가되나 발효 효과가 있는 흙설탕의 양이 감소되어 발효 속도가 저하되는 반면에, 옻나무 톱밥의 배합량이 70 중량% 이하 또는 흙설탕 배합량이 30 중량% 이상일 경우 발효 효과가 있는 흙설탕의 양이 증가되어 발효 속도가 증가되나 옻나무 사료의 당도가 증가되어 가축에 당뇨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옻나무 약리성분의 저하로 약효가 감소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ⅱ)의 옻나무 톱밥과 효모균의 혼합단계에서 옻나무 톱밥의 배합량이 85 중량% 이상 또는 효모균 배합량이 15 중량% 이하일 경우 옻나무 약리성분의 증가로 약효가 증가되나 발효 효과가 있는 효모균의 양이 감소되어 발효 속도가 저하되는 반면에, 옻나무 톱밥의 배합량이 80 중량% 이하 또는 효모균 배합량이 20 중량% 이상일 경우 발효 효과가 있는 효모균의 양이 증가되어 발효 속도가 증가되나 옻나무 약리성분의 저하로 약효가 감소된다.
상기 d)의 옻나무 배합사료는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및 옻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와 일반 배합사료를 각각 3 내지 5 중량%와 95 내지 97 중량%의 배합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옻나무 배합사료는 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고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 펠렛 제조기를 사용하여 펠렛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닭 사료의 경우 직경이 3 mm 내외, 길이가 3 내지 4 mm 크기의 펠렛으로 제조하고 오리 사료의 경우 직경이 4.5 내지 5 mm, 길이가 6 내지 7 mm 크기의 펠렛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가축사료를 이용하여 가축을 사육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닭, 오리의 사육방법은 부하 후 1 일령부터 10 일령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한다. 생후 11 일령부터 출하시까지의 사육방법은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을 3 내지 5 중량% 배합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한다.
소의 사육방법은 송아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30 일간 사육하고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또는 옻나무 발효 톱밥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한다.
돼지 사육방법은 새끼 돼지는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공급한다.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또는 옻나무 발효 톱밥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한다.
소, 돼지 사육방법 중 공통적으로는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급여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30 일간 급여한다. 또한, 이유시작 31 일째부터 출하시까지는 공통적으로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수돗물이나 일반 지하수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에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 3 내지 5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이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옻나무 톱밥을 이용한 옻나무 배합사료 제조방법
옻나무 톱밥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10 년 이상된 참옻나무를 채취하여 3 m 정도로 길게 절단 한 후 그늘에서 120 일 동안 수피를 포함한 채로 건조시킨 후, 톱밥제조기를 이용하여 직경 1 내지 2 mm 크기의 톱밥으로 가공하였다. 상기 가공제조된 옻나무 톱밥 5 중량%를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에 첨가하여 펠렛 제조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고형사료인 옻나무 배합사료로 가공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옻나무 발효 톱밥을 이용한 옻나무 배합사료 제조방법
옻나무 톱밥을 제조하기 위하여 우선 10 년 이상된 참옻나무를 채취하여 3 m 정도로 길게 절단 한 후 그늘에서 120 일 동안 수피를 포함한 채로 건조시킨 후, 톱밥제조기를 이용하여 직경 1 내지 2 mm 크기의 톱밥으로 가공하였다. 상기 제조된 옻나무 톱밥을 25 ℃ 이하의 물에 30 분 동안 침전시킨 후 건져서 톱밥 70 중량%에 흙설탕 30 중량%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 후, 밀폐된 용기에 넣고 밀봉시킨 후 25 ℃ 내외의 실온에서 20 일 정도 방치시켜 옻나무 발효 톱밥을 얻을 수 있었다. 상기 가공제조된 옻나무 발효 톱밥 5 중량%를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에 첨가하여 펠렛 제조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고형사료인 옻나무 배합사료로 가공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옻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옻나무 배합사료 제조방법
우선 10 년 이상된 참옻나무를 채취하여 3 m 정도로 길게 절단 한 후 그늘에서 120 일 동안 수피를 포함한 채로 건조시킨 후, 톱밥제조기를 이용하여 목재칩이나 톱밥으로 가공하였다. 그후, 물 1 ℓ에 대하여 목재칩이나 톱밥 50 g의 비율로하여 물 40 ℓ를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 내에 투입하고, 스테인레스 스틸 바구니에 상기 가공된 톱밥이나 목재칩 2 kg을 담은 후, 바구니를 수면으로부터 45 cm 상단부 또는 뚜껑으로부터 10 cm 하단부에 설치하였다. 증기 배출조절밸브를 조정하고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를 가열하여 물이 끓기 시작하면 천천히 지속적으로 13 시간 동안 가열하여 독성이 제거된 오렌지색의 옻나무 추출물 20 ℓ정도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옻나무 추출물 5 중량%을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에 첨가하여 펠렛 제조기를 이용하여 펠렛 형태의 고형사료인 옻나무 배합사료로 가공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닭, 오리의 사육방법
닭, 오리의 사육방법은 부하 후 1 일령부터 10 일령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였다. 생후 11 일령부터 출하시까지의 사육방법은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로 대체하여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와 옻나무 조사료인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 5 중량%를 배합하여 펠렛 제조기를 이용하여 제조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였다.
실시예 5: 소, 돼지 사육방법
소의 사육방법은 송아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공급하여 30 일간 사육하고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하여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와 옻나무 조사료인 옻나무 톱밥 또는 옻나무 발효 톱밥 5 중량%를배합하여 제조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였다.
돼지의 사육방법은 새끼 돼지는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공급하였다.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하여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중량%와 옻나무 조사료인 옻나무 톱밥 또는 옻나무 발효 톱밥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였다.
소, 돼지 사육방법 중 공통적으로는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급여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30 일간 급여하였다. 또한, 이유시작 31 일째부터 출하시까지는 공통적으로 식수는 옻나무 추출물을 수돗물이나 일반 지하수로 대체 공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에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 3 내지 5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였다.
실시예 6: 닭고기의 성분분석 실험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사육된 닭을 이용한 닭고기 성분 분석과 아미노산 조성분석을 실시하여 그 분석 결과를 하기 표 1과 표 2에 각각 기재하였다.
[표 1] 닭고기 성분 함량
성분 일반 토종닭* 조제사료 A* 조제사료 B* 단위 시험방법
수분 63.9 65.3 70.0 g/100 g 식품공전(오븐건조법)
지방 11.6 11.8 4.5 g/100 g 식품공전(용매추출법)
단백질 18.5 19.4 21.5 g/100 g 식품공전(켈달법)
회분 0.9 1.0 1.1 g/100 g 식품공전(회화법)
콜레스테롤 69.3 62.0 87.2 g/100 g AOAC(GC법)
비타민 A(retinol) 117.7 74.5 38.7 g/100 g AOAC(HPLC법)
철(Fe) 0.66 0.92 0.86 mg/100 g
칼슘(Ca) 2.83 12.99 15.89 mg/100 g
무기질 인(P) 172.76 206.07 223.11 mg/100 g 식품공전(ICP-AES)
나트륨 (Na) 90.05 94.97 108.07 mg/100 g
칼륨(K) 226.12 273.14 316.81 mg/100 g
주: 1) 일반 토종닭*: 일반 배합사료 만을 이용하여 45 일간 사육한 일반 양계용 토 종닭
2) 조제사료 A*: 일반 배합사료(95 중량%)와 옻나무 추출물(5 중량%)을 혼합하 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가축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45 일간 사육한 닭
3) 조제사료 B*: 일반 배합사료(95 중량%)와 옻나무 추출물 + 옻나무 톱밥(5 중 량%)을 혼합하여 제조된 펠렛 형태의 가축사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4의 방법 으로 45 일간 사육한 닭
[표 2] 닭고기 아미노산 조성
(단위: mg/ 100 g)
아미노산 조성 일반 토종닭* 조제사료 A* 조제사료 B* 시험방법
필수 아미노산 히스티딘 532.6 605.5 636.1 HPLC(AccQ-1 ag)
스레오닌 449.9 456.6 523.7
발린 896.7 957.4 986.0
메시오닌 800.8 755.4 814.6
리신 1420.7 1501.6 1689.1
이소로이신 845.2 867.1 991.1
로이신 1240.6 1274.8 1478.1
페닐알라닌 694.7 559.6 822.2
비필수 아미노산 아스파라긴산 1419.3 1466.9 1688.2
세린 407.6 422.9 446.7
글루타민산 2261.6 2373.6 2720.1
글리신 767.4 757.5 893.1
알기닌 934.4 1014.2 1116.6
알라닌 1075.7 1191.2 1404.2
프롤린 640.1 689.6 710.3
시스테인 170.5 143.5 137.2
티로신 562.9 601.8 606.5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와 일반 배합사료를 혼합한 사료를 먹인 닭이 일반 배합사료만 먹인 닭에 비해서 더 많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필수 아미노산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가 고품질의 단백질을 공급함으로써 가축의 성장률과 사료효율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가축사료를 본 발명의 가축 사육방법에 따라 가축에 급여함으로써 천연 생약제인 옻나무의 사료화에 따른 고품질의 가축을 생산할 수 있고,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에 따른 가축의 증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옻나무 사료 대비 대량으로 옻나무 배합사료를제조하게 되어 사료비 절감효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가축의 대량사육이 가능하게 되었다.

Claims (9)

  1.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에 있어서,
    a) 건조된 옻나무(수피와 목재부 포함)를 톱밥 제조기를 이용하여 직경 1 내지 2 mm 정도 크기의 톱밥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옻나무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b) ⅰ) 상기 제조된 옻나무 톱밥을 10 내지 25 ℃의 물에 25 내지 35 분 동안
    침전시켜 물에 불리는 단계;
    ⅱ) 상기 물에 불린 옻나무 톱밥 70 내지 80 중량%에 흙설탕 20 내지 30 중
    량%, 또는 옻나무 톱밥 80 내지 85 중량%에 효모균(super enzyme) 15 내지
    20 중량%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및
    ⅲ)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밀폐된 용기에 넣고 밀봉하여 25 ℃ 내외의 실온
    에서 20 일 정도 방치하여 옻나무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옻나무 발효 톱밥을 제조하는 공정;
    c) ⅰ) 옻나무를 목재칩, 톱밥, 및 수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형태로 절단 가공하는 단계; 및
    ⅱ) 상기 가공된 옻나무를 옻나무 추출물 제조탱크 내에 넣고 수증기
    로 가열증류하여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옻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공정; 및
    d)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또는 옻나무 추출물과 일반
    배합사료를 혼합하여 옻나무 배합사료를 제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의 옻나무 배합사료가 상기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및 옻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와 일반 배합사료를 각각 3 내지 5 중량%와 95 내지 97 중량%의 배합비율로 배합하여 제조되는 가축사료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옻나무 배합사료가 펠렛 형태로 제조되는 가축사료 제조방법.
  6. 상기 제 1 항의 가축사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가축사료.
  7. ⅰ) 부하 후 1 일령부터 10 일령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
    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생후 11 일령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일반 지하수나 수돗물로 대체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무 발효
    톱밥, 및 옻나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
    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닭, 오리의 사육방법.
  8. ⅰ) 송아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옻나무 추출물을 식수로 공급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
    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발효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
    료를 급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 사육방법.
  9. ⅰ) 새끼 돼지 이유기 시작부터 30 일까지는 식수로 옻나무 추출물을 공급하
    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를 급여하는 단계; 및
    ⅱ) 이유시작 31 일부터 출하시까지는 식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대체 공
    급하고 사료는 일반 배합사료 95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톱밥, 옻나무
    추출물, 및 옻나무 발효 톱밥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옻나무
    조사료 3 내지 5 중량%를 배합하여 제조되는 펠렛 형태의 옻나무 배합사
    료를 급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돼지 사육방법.
KR10-2000-0064539A 2000-11-01 2000-11-01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100396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39A KR100396323B1 (ko) 2000-11-01 2000-11-01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4539A KR100396323B1 (ko) 2000-11-01 2000-11-01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42A KR20020034342A (ko) 2002-05-09
KR100396323B1 true KR100396323B1 (ko) 2003-09-02

Family

ID=1969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4539A KR100396323B1 (ko) 2000-11-01 2000-11-01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632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2A (ko) * 2002-04-18 2002-05-15 채철수 옻 원액과 물과 혼합하여 가축의 식수로 사용하는 방법
KR20020060131A (ko) * 2002-06-11 2002-07-16 허충 인공첨가제의 대체물질로 옻사료을 급이 사육한 가축의기능성 항암육과 항암우유의 생산방법.
KR100879439B1 (ko) 2007-11-14 2009-01-20 (주)에이지아이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143070B1 (ko) 2009-03-04 2012-05-08 강영수 산자나무를 이용한 오리사육용 급수첨가제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456B1 (ko) * 2007-08-23 2008-10-02 안종만 야생식물을 이용한 사료첨가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47096B1 (ko) * 2009-10-01 2012-05-17 한국내쇼날주식회사 폴리우루시올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2053678A1 (ko) * 2010-10-21 2012-04-26 한국내쇼날 주식회사 폴리우루시올을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첨가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80058502A (ko) 2016-11-24 2018-06-01 이승현 옻나무 추출박 또는 옻나무 발효추출박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5738B1 (ko) * 2018-04-30 2018-07-06 정수화 옻나무 잎, 씨앗의 옻 액 추출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98A (ko) * 2000-07-31 2001-01-05 허충 옻사료의 제조 및 이를 급이 사육한 옻닭과 옻란의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198A (ko) * 2000-07-31 2001-01-05 허충 옻사료의 제조 및 이를 급이 사육한 옻닭과 옻란의생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812A (ko) * 2002-04-18 2002-05-15 채철수 옻 원액과 물과 혼합하여 가축의 식수로 사용하는 방법
KR20020060131A (ko) * 2002-06-11 2002-07-16 허충 인공첨가제의 대체물질로 옻사료을 급이 사육한 가축의기능성 항암육과 항암우유의 생산방법.
KR100879439B1 (ko) 2007-11-14 2009-01-20 (주)에이지아이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1143070B1 (ko) 2009-03-04 2012-05-08 강영수 산자나무를 이용한 오리사육용 급수첨가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4342A (ko) 200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105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09865B (zh) 一种以银杏叶为基料的无公害畜禽饲料添加剂
KR20130039309A (ko) 마늘과 난황의 복합 활성물질를 건강개선 기능성 약효제로 포함하는 식품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bd El-Hack et al. Pharmacological, nutritional and antimicrobial uses of Moringa oleifera Lam. leaves in poultry nutrition: an updated knowledge
Kostadinović et al. Dietary inclusion of Artemisia absinthium for management of growth performance, antioxidative status and quality of chicken meat
KR100396323B1 (ko)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US11717550B2 (en) Method for preparing drinking water for livestock to create environment for revitalizing intestinal effective microorganisms using treatment of components via ion exchange of natural minerals
KR101168632B1 (ko) 천연 항균성 및 기능성 가축사료
KR20100104540A (ko) 옻이 함유된 발효사료 제조방법
CN105379966B (zh) 一种水溶性大蒜素混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36015B1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101234611B1 (ko) 친환경 복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CN103975896B (zh) 降低半散养传统黑猪肉质中重金属抗生素残留的饲养方法
KR20020004800A (ko)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추출장치
KR101197605B1 (ko) 유황사료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가축 사육방법
KR20100023244A (ko) 가축사료 및 그 사료 제조방법
KR100466946B1 (ko) 오리 사육용 사료 및 이를 이용한 오리의 사육방법
CN108668915B (zh) 一种盐碱地畜禽养殖用发酵床垫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12043730A (zh) 一种防治动物疫病的中药生物制剂
El-Maaty et al. Performance of hybrid chickens as influenced by phytogenic extracted meal-supplemented diet as antibiotic alternatives during summer
KR20200071229A (ko) 소나무 껍질을 함유한 무항생제 사료 및 그 제조방법
Alagbe et al. Growth respons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weaner grass cutter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Polyalthia longifolia seed oil as a natural growth promoter
KR100419234B1 (ko)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617364B1 (ko) 아쿠아포닉스 기반의 농수산물 복합재배 시스템
KR20190096699A (ko)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520

Effective date: 2010053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90520

Effective date: 2010062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