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96699A -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96699A
KR20190096699A KR1020180016447A KR20180016447A KR20190096699A KR 20190096699 A KR20190096699 A KR 20190096699A KR 1020180016447 A KR1020180016447 A KR 1020180016447A KR 20180016447 A KR20180016447 A KR 20180016447A KR 20190096699 A KR20190096699 A KR 20190096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harcoal powder
coffee
oak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609B1 (ko
Inventor
양태수
양진성
김경선
Original Assignee
태봉바이오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봉바이오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태봉바이오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18001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6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6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05F5/008Waste from bio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fermentation, brew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칼슘 함유량 증가, 생육촉진, 과실의 당도, 경도 증가 뿐만 아니라 화진현상, 열과 및 토양산성화를 예방하고, 불용성 인산 및 염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Nutritional Supplements for Grape Cultivation comprising Coffee Resudual Product, Charcoal Powder and Microbial Ag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칼슘 함유량 증가, 생육촉진, 과실의 당도, 경도 증가 뿐만 아니라 화진현상, 열과 및 토양산성화를 예방하고, 불용성 인산 및 염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도는 포도과의 낙엽성 덩굴식물로서, 오래전부터 인류에게 이를 이용한 음료, 술 등의 여러 가지 음료로서 이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에 처음 들어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그 맛이 달고 시고 약간 떫으나 독이 없는 것으로 기록되어있고, 신장, 비장, 폐 및 간장에 영향을 주어 이와 관련된 질환의 치유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특히 포도의 가장 두드러진 효능은 이뇨효과로 부종이나 당뇨 등 주로 신장과 관련된 증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포도의 성분으로는 당분(포도당·과당)이 많이 들어 있어 피로회복에 좋고, 비타민 AㆍBㆍCㆍD 등이 풍부해서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며, 그밖에 칼슘ㆍ인ㆍ철ㆍ나트륨ㆍ마그네슘 등의 무기질도 함유되어 있다. 또한,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이뇨작용을 하여 부종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생혈 및 조혈작용을 하여 빈혈에 좋고 바이러스 활동을 억제하여 충치를 예방하며, 레스베라트롤이라는 항암 성분이 있어서 암의 억제에도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신경세포를 만드는 신경효소의 활동과 효능을 증진하여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 등의 퇴행성 질병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61821호(2013.05.28.)에는 친환경 유기 농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재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이용한 포도 재배 방법은 고활성 칼슘과 액상 복합 미네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엽병 및 과피의 칼슘 함량이 풍부한 포도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화진현상 및 열과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261821 B1 2013.05.28.
본 발명의 목적은 칼슘 함유량 증가, 생육촉진, 과실의 당도, 경도 증가 뿐만 아니라 화진현상, 열과 및 토양산성화를 예방하고, 불용성 인산 및 염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포함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제공한다.
상기 커피부산물은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00~150메쉬로 분쇄한다.
상기 미생물제제는, 유기성활성화미생물 50~6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1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은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조성물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숙성시킨 숙성물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피부산물을 건조하는 단계(단계 1); 숯분말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미생물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건조된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커피부산물을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00~150메쉬로 분쇄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3의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은,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1);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2); 효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 3); 및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 40~5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0~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S 4); 를 포함하되, 상기 S 1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50~55℃에서 20~24시간 동안 발효시키며, 상기 S 2는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35~40℃에서 12~16시간 동안 발효시키며, 상기 S 3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혼합하고 1~5℃에서 48~50시간 동안 숙성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는 칼슘 함유량 증가, 생육촉진, 과실의 당도, 경도 증가 뿐만 아니라 화진현상, 열과 및 토양산성화를 예방하고, 불용성 인산 및 염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진 현상(berry shattering)은 포도 개화기에 수정이 되지 않아 낙과하거나 수정이 되었어도 생장이 정지되어 어린 과실이 낙과되는 현상을 말한다.
열과(fruit cracking)은 과일이 생리적인 원인, 병충해 또는 외적(물리적)요인에 의해 갈라지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은 포도재배시 미생물제제를 사용하므로 인해 화진 현상 및 열과를 예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는,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커피부산물을 30중량% 미만 포함하면 식물의 생육촉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되면 화진현상 및 열과를 예방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숯분말을 20중량% 미만 포함하면 식물의 칼슘 함유량 증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30중량% 초과 포함되면 화진현상 및 열과를 예방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미생물제제를 20중량% 미만 포함하면 화진현상 및 열과를 예방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 포함하면 식물의 칼슘 함유량 증진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커피부산물은 커피음료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커피콩을 볶은 후 고온 및 고압의 물을 이용해 열수추출 하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한다. 커피부산물은 단백질 10~15%, 지질 5~10% 정도의 영양 성분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피부산물에는 항산화 물질로서 방향족 화합물인 폴리페놀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커피부산물은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한 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백탄)을 100~150메쉬로 분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참나무숯은 1,200~1,300℃의 온도에서 섬유소가 열분해되고 남은 천연의 물질로서, 고형탄소 80~90wt%, pH 8~9인 자연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으며, 다공질로 공기정화, 물의 정화, 탈취제, 토양 개량제, 습도 조절, 전자파차단 등에 사용되고 있다. 참나무숯은 세포벽이 탄화되어 다공질로 되어 있으므로 숯 1g당 250~400㎡의 큰 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흡착, 탈취, 보습, 물정화 기능, 공기정화기능뿐만 아니라 음이온 방출, 전자파차단 등의 특징이 있으며, 불순물 및 잡취를 흡수시키고, 자연 미네랄을 용출시킨다. 또한 참나무숯에는 천연미네랄이 균형 있게 들어있으며 숯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농축된다. 참나무에는 중량비로 0.3~0.6% 정도 미네랄이 들어 있는바, 참나무로 숯을 만들 때 미네랄 성분은 소실되지 않고 약 3배 이상으로 농축되어 남게 된다. 이러한 미네랄 성분은 나무 상태에서는 물 등에 잘 용해되지 않지만 숯으로 구워지면 친수성이 좋아 지게 되어 미네랄 성분들이 물에 용출되게 된다. 참나무숯에 함유된 미네랄은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망간 등이며 가장 많이 들어 있는 것은 칼슘이다.
상기 미생물제제는, 유기성활성화미생물 50~6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활성화미생물은 생육촉진을 위해 포함되며, 50중량% 미만 포함되면 생육촉진효과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고, 60중량% 초과 포함되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한다.
상기 솔잎이 4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생육촉진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하면 솔잎의 항균력이 너무 지나쳐서 발효물에 조성된 균이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개똥쑥이 3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부족함으로 인해 균이 숙성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40량%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너무 많아져 상단이 부패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옻순이 10중량% 미만 포함하면 균의 항진력이 떨어져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으며, 20중량% 초과 포함하면 최종 미생물 제제가 검붉은색으로 변이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숙주가 1중량% 미만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적어 잘 숙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10중량% 초과 포함하면 균의 먹이가 초과되어 상단이 부패되어 냄새가 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솔잎(pine leaf)은 소나무의 잎을 의미한다. 상기 개똥쑥(Artemisia annu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을 의미하며 줄기와 잎을 사용한다. 상기 옻순은 옻나무의 어린 순을 의미한다. 상기 숙주(bean sprouts)는 녹두를 물에 불려 싹이 나게 하여 기른 나물을 의미한다.
상기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은 화진현상 및 열과를 예방하기 위해 포함되며, 30중량% 미만 포함되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 포함되면 미생물의 활동이 느려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은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한다.
상기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의 상록침엽 교목으로서, 다량의 엽록소, 단백질, 조지방, 인, 철분, 효소, 정유(精油), 무기질, 비타민 A, 비타민 C 등을 함유하고 있다. 소나무의 목부에는 테르펜히드라트, 피노실빈, 피노실빈모노메틸에스테르, 디히드로피노실빈모노메틸에스테르, 피노셈브린, 피노반크, 프로피온알데히드, 세로틴산, 유니페르산, 테레빈유, 타르가 있고, 어린 가지와 마디의 기름에는 카니폴, 아비에틴산, 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소나무숯 분말이 40중량% 미만 포함하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50중량% 초과 포함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쌍떡잎 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으로,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 열도, 중국 북부 및 동시베리아에 분포하며, 산속 물가나 계곡 근처에서 높이 20 m, 지름 60 cm의 크기로 자란다. 느릅나무도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잎의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모두 같다. 이러한 느릅나무는 옛날부터 이뇨, 치습 또는 종기 치료제으로 사용했다. 약으로는 느릅나무 뿌리껍질을 쓰는데, 느릅나무 껍질에는 플라보노이드, 사포닌, 타닌질 또는 많은 양의 점액질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느릅나무숯 분말이 20중량% 미만 포함하면 화진현상 및 열과 에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30중량% 초과 포함하면 사상균 퇴치 및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 (Carr.) Bureau ex Lavallee)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뽕나무과에 속하는 소교목으로서, 비타민 A, B1, B2, C, 식이섬유, 플라보노이드, 감마아미노부티르산(가바), 루틴, 후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어, 고혈압, 당뇨병,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개선, 항산화작용, 항암 등에 효능이 있다. 꾸지뽕나무의 뿌리껍질, 나무질부, 나무껍질 및 잎에는 인체에 유효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전래로부터 꾸지뽕나무는 그 뿌리, 껍질, 줄기, 잎, 나무껍질, 열매 등 부위에 따라 혈압강하제, 결핵치료제, 해열제, 건해제, 거담제, 이뇨제, 지혈제, 거풍제 등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항진균제로서 무좀에 사용하고 소화기관의 허약에 의한 만성소화불량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꾸지뽕나무숯 분말이 10중량% 미만 포함하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20중량% 초과 포함하면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팽연왕겨는 왕겨를 3Kg/㎠ 내지 7Kg/㎠ 의 압력 및 150℃ 내지 300℃의 온도로 처리하여 제조한다. 상기 팽연왕겨는 3 내지 10%(v/v)의 수분을 포함한다. 상기 팽연왕겨는 공극이 크기 때문에 통기성이 좋아 원활한 산소 공급을 가능하게 하고, 발효가 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팽연왕겨가 10중량% 미만 포함하면 발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20중량% 초과 포함하면 항균효과가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효소조성물은 장시간 동안 미생물의 활동이 촉진시키기 위해 포함되며, 1중량% 미만 포함되면 일정 기간 경과 후에 미생물의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되면 미생물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효소조성물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숙성시킨 숙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까마중은 가지과의 일년초로서 우리나라 전국 각처의 원야지, 대개 밭이나 길가, 초원에 흔히 자생한다. 저지대의 길가나 밭 주위에 자라며 높이 20~90㎝이고, 가지가 옆으로 많이 퍼지며 원줄기에 능선이 약간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는 까마중의 잎, 줄기 및 열매를 통째로 사용한다.
상기 까마중이 4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미생물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중량% 초과 포함하면 미생물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명아주는 쌍떡잎 식물 중심자목 명아주과의 한해살이 풀로 잎은 어긋나고 삼각상 달걀모양이며 어릴때 중심부에 붉은 빛이 들고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양성이고 황록색이며 꽃잎은 없고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며 5개의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꽃받침으로 싸인 포과이고 검은 종자가 들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명아주의 잎, 줄기 및 열매를 통째로 사용한다.
상기 명아중이 3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사상균 퇴치 및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40중량% 초과 포함하면 항균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강아지풀(Setaria viridis BEAUV.)은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라고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본 발명에서는 강아지풀의 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강아지풀이 1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미생물 활동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 초과 포함하면 미생물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환삼덩굴(Humulus japonicas Sieboid & Zucc.)은 쐐기풀목 삼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삼덩굴이라고도 하며, 암수딴그루로 수꽃은 원추화서로 꽃받침잎과 수술이 각 5개가 있고 암꽃은 짧은 수상화서로 둥글게 핀다. 덩굴져 자라는 줄기는 아래를 향한 갈고리모양의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마주달리는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는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거친 털이 밀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환삼덩굴의 뿌리를 사용한다.
상기 환삼덩굴이 1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면 사상균 퇴치 및 억제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0중량% 초과 포함하면 미생물의 함유량이 줄어들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는 칼슘 함유량 증가, 생육촉진, 과실의 당도, 경도 증가 뿐만 아니라 화진현상, 열과 및 토양산성화를 예방하고, 불용성 인산 및 염류를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은,
커피부산물을 건조하는 단계(단계 1);
숯분말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미생물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건조된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커피부산물을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00~150메쉬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의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은,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1);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2);
효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 3); 및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 40~5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0~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S 4);
를 포함한다.
상기 S 1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50~55℃에서 20~24시간 동안 발효시켜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시 50℃ 미만의 온도로 발효시키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5℃ 초과의 온도로 발효시키면 볏짚의 발열 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쉽게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효시 20시간 미만 동안 발효시키면 미생물 배양 완료시 쉽게 사멸하는 문제가 있고, 24시간 초과하여 발효시키면 배양 중 미생물이 자동 사멸하여 다량의 미생물이 존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S 2는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35~40℃에서 12~16시간 동안 발효시켜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시 35℃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시키면 생육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5℃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시키면 볏짚의 발열 현상이 심해져서 미생물 생육을 과다 촉진시켜 추후 쉽게 사멸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발효시 12시간 미만 동안 발효시키면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 효과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16시간 초과하여 발효시키면 유해균 퇴치 및 억제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S 3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혼합하고 1~5℃에서 48~50시간 동안 숙성시켜 효소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숙성시 1℃ 미만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 숙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5℃ 초과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 부패할 우려가 있다.
상기 숙성시 48시간 미만 동안 숙성시키면 미생물의 활동 지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50시간 초과하여 숙성시키면 유해균 퇴치 및 억제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S 4는 유기성활성화미생물 50~6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1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 4에서 상기 혼합물을 70℃ 미만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발효가 늦어지는 문제가 있고, 80℃ 초과의 온도에서 발효하면 발효물의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S 4에서 상기 혼합물을 24시간 미만 발효하면 미생물이 폭넓게 퍼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30시간 초과 발효하면 발효물이 유해균에 의해 공격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피부산물을 11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2%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졸참나무를 1,2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50메쉬로 분쇄하여 숯분말을 제조하였다. 유기성활성화미생물 4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40중량% 및 효소조성물 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70℃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미생물제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건조한 커피부산물 40중량%, 숯분말 30중량% 및 미생물제제 30중량%를 혼합하여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솔잎 45중량%, 개똥쑥 35중량%, 옻순 15중량% 및 숙주 5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50℃에서 24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은 소나무숯 분말 45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5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5중량부 및 팽연왕겨 15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35℃에서 16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하였다. 상기 팽연왕겨는 왕겨를 5Kg/㎠ 압력 및 250℃의 온도로 처리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효소조성물은 까마중 45중량%, 명아중 35중량%, 강아지풀 15중량부 및 환삼덩굴 5중량%를 혼합하고 5℃에서 48시간 동안 숙성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패각 원료를 깨끗이 수세하여 열풍으로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직경 5㎜ 내외로 잘게 부쉈다. 이와 같이 수득된 패각분을 뚜껑이 있는 내열 용기에 넣어, 내열성 전기로 중에 넣었다. 내열 전기로는 양쪽에 흑연 전극판이 장착되어 있는 세라믹재 3상 로이다. 상기와 같은 내열 전기로에 1,350℃에서 50,000∼100,000V의 전압을 걸어 패각분을 10시간 동안 고온 소성 전기 분해하였다. 고온 소성 전기 분해 공정을 완료한 후에, 원료가 담긴 용기를 내열 전열로로부터 꺼내어 용기의 뚜껑을 열고, 냉풍으로 급랭시켜 분쇄하여 고활성 칼슘 분말을 제조하엿다.
화강암의 미분말(평균 입도 98Mesh의 분말)을 상온의 상태에서 추출조에 투입한 다음, 20㎏의 암모니아 수용액(20% NH4OH)을 가하여 추출조의 덮개를 덮고 추출조의 모터를 40~50rpm으로 작동시켜 상온에서 15분간 교반하였다. 추출조의 덮개를 열고 상기 교반 처리된 혼합물에 120㎏의 25% 황산 수용액을 가한 다음 가열 자켓의 온도를 80℃ 미만으로 조절하여 6.5㎏의 에틸 알콜(98%)을 가하고, 추출조의 덮개를 다시 덮어 완전히 밀폐시켰다. 추출조의 압력을 3㎏/㎠로 높여 착염 형성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추출조의 모터를 작동시켜 40~50rpm의 회전 속도로 교반하면서 가열 자켓의 온도를 조절하여 85℃로 승온시켰다. 상기 압력을 유지한 채 85℃에서 160분간 교반하였다. 상기 방법으로 생성된 생산물을 필터 프레스에 통과시켜 고액분리를 실시하여 무기금속 이온이 다량 용존하고 있는 깨끗한 복합 활성 미네랄군액 즉, 액상 복합 미네랄을 얻었다.
물 500cc에 상기 고활성 칼슘 분말 0.2g을 투입하여 잘 교반한 후 액상 복합 미네랄 4%용액 500cc와 서서히 혼합하여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캠벨얼리 종의 포도를 재배하였으며, 실시예 1의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비교예 1의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물에 500배 희석한 후, 개화 7~21일 후에 각각 엽면시비하였다. 이때 시비량은 12ℓ/300평으로 하였다. 과피의 Ca 성분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Sample)
시험항목(단위)
(Test Item/Unit)
시험결과
(Result)
실시예 1 Ca(㎎/㎏)
6.97
비교예 1 6.36
표 1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는 비교예 1의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에 비하여 칼슘 함유량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한 포도의 당도 및 경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시험방법
당도
(Brix°)
18.2 16.7 굴절당도계(ATAGO(일본) PAL-2를 이용
경도
(g/㎠)
1,785.6 1,564.4 과일경도측정기(Feruit Hardness Tester, cat No 9300, Japan)로 측정
표 2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는 비교예 1의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에 비하여, 당도 및 경도가 매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한 포도의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과중(g) 과장(㎝) 과폭(㎝) 과립수(ea) 과립중(g)
실시예 1 459 18.7 12.6 96 5.9
비교예 1 446 17.1 11.7 88 5.1
표 3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는 비교예 1의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에 비하여, 과실의 크기가 매우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배한 포도의 탄저병 및 열과 발생율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발생율(%)
탄저병 열과
실시예 1 0 0
비교예 1 2.4 2.7
표 4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는 비교예 1의 친환경 유기 농자재를 엽면시비하여 재배한 포도에 비하여, 탄저병 및 열과 발생율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포함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부산물은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00~150메쉬로 분쇄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제제는, 유기성활성화미생물 50~6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10중량%를 포함하되,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하고,
    상기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은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발효시킨 발효물을 포함하고,
    상기 효소조성물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숙성시킨 숙성물을 포함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4. 커피부산물을 건조하는 단계(단계 1);
    숯분말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미생물제제를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건조된 커피부산물 30~50중량%, 숯분말 20~30중량% 및 미생물제제 20~40중량%를 혼합하는 단계(단계 4);
    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 1은 커피부산물을 100~11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함수율이 1~3%가 되도록 처리하며,
    상기 단계 2에서, 상기 숯분말은 갈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및 졸참나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1,200~1,300℃의 온도에서 탄화시킨 참나무숯을 100~150메쉬로 분쇄하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미생물제제의 제조방법은,
    유기성활성화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1);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을 제조하는 단계(S 2);
    효소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S 3); 및
    상기 유기성활성화미생물 40~50중량%, 화진현상 및 열과 예방용미생물 30~40중량% 및 효소조성물 10~20중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70~80℃에서 24~30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S 4);
    를 포함하되,
    상기 S 1은 솔잎 40~50중량%, 개똥쑥 30~40중량%, 옻순 10~20중량% 및 숙주 1~1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50~55℃에서 20~24시간 동안 발효시키며,
    상기 S 2는 소나무숯 분말 40~50중량%, 느릅나무숯 분말 20~30중량%, 꾸지뽕나무숯 분말 10~20중량부 및 팽연왕겨 10~20중량%를 혼합하고 볏짚을 덮어 준 후 35~40℃에서 12~16시간 동안 발효시키며,
    상기 S 3은 까마중 40~50중량%, 명아중 30~40중량%, 강아지풀 10~20중량부 및 환삼덩굴 1~10중량%를 혼합하고 1~5℃에서 48~50시간 동안 숙성시키는,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의 제조방법.
KR1020180016447A 2018-02-09 2018-02-09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016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47A KR102016609B1 (ko) 2018-02-09 2018-02-09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447A KR102016609B1 (ko) 2018-02-09 2018-02-09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699A true KR20190096699A (ko) 2019-08-20
KR102016609B1 KR102016609B1 (ko) 2019-08-30

Family

ID=67776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447A KR102016609B1 (ko) 2018-02-09 2018-02-09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6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16A (ko) * 2021-01-22 2022-07-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266A (ja) * 1998-02-12 1999-08-24 Pokka Corp 発酵有機質堆肥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1821B1 (ko) 2010-03-18 2013-05-28 에코바이오텍 주식회사 친환경 유기 농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266A (ja) * 1998-02-12 1999-08-24 Pokka Corp 発酵有機質堆肥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61821B1 (ko) 2010-03-18 2013-05-28 에코바이오텍 주식회사 친환경 유기 농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포도 재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16A (ko) * 2021-01-22 2022-07-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퇴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609B1 (ko) 2019-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CN105272754A (zh) 茄子生长专用复合肥料
KR102016609B1 (ko) 커피부산물, 숯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포도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0406A (ko) 홍삼부산물을 이용한 사료 제조방법
KR20120035581A (ko) 복합 효소제
CN112106886A (zh) 一种饲喂家畜的鲜竹叶与药渣配合饲料的制备方法
KR100768471B1 (ko) 솔방울과 솔순을 이용한 음료용 추출액의 제조 방법
KR100753856B1 (ko) 황토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10775A (ko) 항산화용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26920B1 (ko) 천연물을 이용한 친환경의 고품질 비료의 제조방법
KR10132446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327810B1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20190091919A (ko) 약모밀을 주성분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첨가제
CN108424234A (zh) 一种富含多种微量元素的苦荞培植方法
KR101864658B1 (ko)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50061841A (ko) 유기질 비료용 효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기질 비료 용 효소 조성물
KR100254944B1 (ko) 홍화씨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그 제조방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30052414A (ko) 매실을 이용한 장어 양식용 사료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장어의 양식방법
KR102006969B1 (ko) 패각추출물, 난각분말 및 미생물제제를 포함하는 사과재배용 식물영양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101067592B1 (ko) 황토, 대나무분말을 주로 하는 사료 보조제 및 비료의 제조방법
KR102456450B1 (ko) 향기로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향기로운 식생기반재용 조성물
KR100634741B1 (ko) 새싹채소 발효숙성액을 이용한 피부미용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5010740A (zh) 一种育珠蚌专用饵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