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810B1 -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810B1
KR101327810B1 KR1020110132467A KR20110132467A KR101327810B1 KR 101327810 B1 KR101327810 B1 KR 101327810B1 KR 1020110132467 A KR1020110132467 A KR 1020110132467A KR 20110132467 A KR20110132467 A KR 20110132467A KR 101327810 B1 KR101327810 B1 KR 101327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egar
days
ginger
rice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2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883A (ko
Inventor
박창하
남영균
Original Assignee
박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하 filed Critical 박창하
Priority to KR1020110132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810B1/ko
Publication of KR2013006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4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from alcoho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5Fung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Seasoning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10 : 9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 : 곡류를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밥을 찌는 단계; (f) 상기(d)단계의 발효된 재료와 상기(e)단계의 밥을 1:1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누룩, 주정을 넣어 3일 내지 7일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단계; (g) 상기의 발효된 술 : 상기(d)단계의 발효된 상황버섯 발효액을 10 : 1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28 - 35에서 10일 내지 2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키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발효된 재료를 20 - 25에서 7일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i) 상기의 (h)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식초를 정제하여 제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식초는 식초 특유의 자극성 없으며, 감칠맛이 강화되어 조리 시에 첨가하면 요리 주재료의 특유의 잡내를 제거하며, 물과 희석하여 건강음료로 이용할 수 있는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한 식초는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함유하여 향취가 좋고, 글루코스, 각종 미네랄 및 아미노산을 함유하여 맛과 영양과 기능이 향상되므로, 기존의 식초보다 다양한 요리를 조리할 때에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선 및 육류를 숙성하면 잡냄새 제거 및 육질이 개선되며, 물과 희석하여 건강음료로 섭취할 수 있으므로 현대인의 건강을 위한 기능성 식초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의 유효성분을 통하여 국민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세계시장에 경쟁력을 갖추고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e of functional vinegar}
본 발명은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초는 신맛을 가지는 대표적인 조미료이며 발효시켜 양조한 것, 과일의 신맛을 이용한 것, 합성한 것 등이 있다. 입맛을 자극하여 돋우며 피로회복과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영어의 vinegar는 프랑스어의 포도주(vin)과 신맛(aigre)를 합친 vinaigre에서 온 말이다. 원래는 포도주를 아세트산 발효시켜 식초를 만들었으므로 이렇게 불렸다고 생각된다. 또 염매라는 것이 있는데, 옛 중국의 산미료인 살구 식초를 일컫는 것 같다. 문헌상으로 가장 오래된 식초라는 말은 아라비아어인 시에히게누스인데 이스라엘의 지도자인 모세가 붙인 말로서 BC 1450년경에 이미 식초가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 중국에는 공자(孔子) 시대에 이미 식초가 있었고 한국에는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식초 만드는 법이 전래되었다고 본다. 식초의 종류는 많다. 그것은 알코올 성분을 가지는 것에 아세트산균을 번식시키면 비교적 간단하게 식초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아세트산 발효를 일으키는 아세트산균은 산소성(호기성)의 산막균(産膜菌)으로 발효 탱크의 표면에 깨끗한 균막(菌膜)을 만드는데, 통기를 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아세트산발효를 일으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각국에서 주로 사용하는 식초는 그 나라에서 많이 제조되는 알코올 음료와 많이 재배 수확되는 과일류와 깊은 관계가 있다. 예를 들면, 발효식초로 사과주스를 발효시킨 미국의 사과식초(cider vinegar), 포도주스를 발효시킨 프랑스의 포도식초(wine vinegar), 맥아즙을 발효시킨 맥아식초(malt vinegar), 청주 찌꺼기를 원료로 한 일본의 청주박식초, 순수 알코올을 발효시킨 알코올식초(spirit vinegar), 발효식초를 다시 증류시킨 미국의 증류식초가 잘 알려져 있다.
합성식초는 빙초산 또는 아세트산을 물로 희석하고 여기에 아미노산이나 당류를 첨가한 것으로 한국의 요식업소 등에서 현재 많이 사용한다. 과일주스의 신맛을 이용한 것으로는 레몬식초, 살구식초 등이 있고, 식초를 다시 가공한 가공식초가 있다.
식초는 살균력이 강하여 대부분의 병원균을 약 30분 이내에 사멸시킨다. 따라서 식초에 담근 식품은 보존성이 높다. 또 식초는 소금의 짠맛을 부드럽게 해 주는 작용이 있으므로 생선 소금구이나 여러 가지 요리에 잘 쓰인다.
그 밖에 채소류의 갈변을 일으키는 효소작용을 억제하는 구실을 하므로 우엉, 연근의 식초조림에 이용되기도 하고 안토시아닌계 색소에 작용하여 예쁜 붉은색이 되게 하므로 생강을 식초에 절이는 등 조리할 때 필수품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식초는 오랜 기간 동안의 발효 및 숙성기간을 거쳐야 되는 식품이다. 현재 시중에 출시되고 있는 식초의 용도는 조리용과 건강식품용으로 구분되어 있다.
상황버섯은 목질 진흙버섯(桑黃)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Basidiomycotina),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소나무비늘버섯과(Hymenochaetaceae)의 진흙버섯속(Phellinus Quel. em. Imaz.)에 속하는 버섯으로서, 뽕나무줄기에 자생하며 삿갓 표면을 제외하고는 모두 황색이므로 상황(桑黃)이라고 잘 알려져 있다.
상황은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에 사과나무, 뽕나무 및 참나무 등의 수간에 자생하는 버섯이라 하여 상이(桑耳), 상신(桑臣), 호고안(胡孤眼)등의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한 신농본초경(新農本草徑)에서 상이(桑耳)는 상근백피(桑根白皮)(桑本, Morus alba L., 桑皮)의 항에 기록하고 있으며,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목이(木耳)의 항으로 분류하여 상이(桑耳), 상유(桑孺), 상아(桑蛾), 상신(桑臣) 및 상황(桑黃) 등으로 기록하고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상이(桑耳), 상황(桑黃)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목질진흙(桑黃)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P. igniarius(L. exFr.) Quel, P. yucatensis (Murr.) Imazek, Fomes yucatensis Murrill., Phropolyporus yucatensis Murr. 등의 여러 가지로 명명하고 있으나, 상목(桑木), 양(楊), 두명(杜鳴)등의 광엽수에 자생하는 말똥진흙버섯[Phellinus igniarius (Lex Fr.) Quel ] 은 광의적으로 해석한 상황버섯의 학명이고, 진정한 의미의 상황(桑黃)인 목질진흙버섯은 말똥진흙버섯과 달리 뽕나무(桑樹)에서만 자생하며, 학명은 Phellinus linteus(Berk. et Curt) Aoshima 이다(原色日本菌類圓鑑, 1975). 목질진흙(상황)버섯은 뽕나무의 그루터기에 자생하는 버섯으로 그 모양은 초기에는 노란 진흙 덩이가 뭉친 것 같은 형태를 유지하다가 다 자란 후의 형태는 그루터기에 혓바닥을 내민 모습이어서 수설(樹舌)이라고도 한다. 혓바닥 같은 형태의 윗부분이 상황의 품종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나지만 진흙과 같은 색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감나무의 표피와 같이 검게 갈라진 모습 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목질진흙(상황)버섯의 약리작용은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Ikegawa 등(Gann, 59, 155, 1968)은 목질진흙(상황)버섯이 구름버섯(Coriolus versicolor)과 표고버섯(Lent inusedodes)보다 종양저지율이 높다고 보고하였으며, 메다 등(Protein Nucleic acid Enzyme, 21, 426, 1976)은 항암활성이 96.7%라고 보고하였다. 또한 정 등(약학회지, 38, 158, 1994)은 균사체의 단백다당체가 육종(Sarcoma) 180 복수암 및 고형암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고 하였으며, 김 등(Arch, Pharm. Res., 17, 337, 1994)은 항종양 활성을 갖는 다당류를 분석한 결과 글루코오스(Glucose)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외에 갈락토오스(Galactose), 만노오스(Mannose), 아라비노스(Arabinose) 등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고하였다. 그리고 공 등(생약학회지, 22, 233, 1991)은 목질진흙(상황)버섯균사체의 열수추출물은 NK 세포기능에 작용하여 숙주의 비특이적 면역기능을 증강시킴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며, 또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LD50은 1,500mg/kg이상으로 안전성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생강은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Zingiber officinale ROSC.이다. 남부지방 각처에서 재배하는 식물로 근경은 굵고 옆으로 자라며 육질이고 연한 황색으로서 맵고 향기가 있다. 각 마디에서 엽초로 형성된 줄기가 곧추 자라 높이 30~50에 달하고 윗부분에는 잎이 두 줄로 배열된다. 잎은 선상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밑부분이 긴 엽초로 된다. 우리 나라에서는 꽃이 피지 않으나 원산지에서는 감황색 꽃이 핀다.
원산지는 인도, 말레이시아 등 고온다습한 동남아시아로 추정된다. 우리 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시대의 문헌인 향약구급방 鄕藥救急方에는 약용식물로 기록되어 있어, 일찍부터 재배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1987년 현재 재배면적 약 4,402에 3만 7,000여t을 생산하고 있다. 생산량의 94%는 전라북도와 충청남도에서 차지한다. 파종은 4월 중순에서 5월 초순 사이에 실시하는데, 우스풀룬 800배액에 1시간 침적시킨 뒤 음건시켜 파종하거나 유기수은분제를 발라서 파종한다. 생육 초기에는 반 음지에서도 잘 자라므로 보리밭 등의 이랑 사이에 간작할 수 있다. 발아하는 데 약 1개월이 소요되지만, 온상 뒷자리 등 따뜻한 곳에 쌓아 흙을 덮고 관수한 뒤, 가마니 등을 덮어 최아(催芽)를 시켜 파종하면 2주일이면 발아한다.
밭갈이는 깊게 하고, 파종 10일 전에 잘 썩은 두엄과 밭거름을 준다. 거름의 양은 10a당 질소 24, 인산 20, 칼리 24을 기준으로 한다. 6월 중순경 제초를 할 때 한 번 덧거름을 주고 약 1개월 뒤 다시 한 번 덧거름을 준다.
수확은 8~11월에 걸쳐 할 수 있으나, 저장용이나 종묘용은 서리가 내리기 직전에 캐는 것이 좋다. 적온은 12~16이다. 보통재배 이외 촉성재배, 촉성면화재배 등의 방법이 있으나, 우리 나라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있지 않다.
품종은 소생강, 중생강, 대생강으로 분류된다. 소생강은 조생종으로 줄기가 가늘고 맹아수(萌芽數)가 70~80개 정도이다. 이에 속하는 품종으로는 곡중(谷中), 금시(金詩) 등이 있다. 중생강은 중만생이며, 육질이 연하고, 덩이줄기 크기나 신미도가 중간이다. 황생강, 근강, 토생강 등이 있다. 대생강은 만생이며 줄기수가 적고, 육질이 연하며, 신미도가 적고 다수성이다.
주로 양념으로 쓰이는데 생선이나 고기의 냄새를 없애주는 효과가 크다. 이 밖에 정과, 생란 등의 음식을 만들며 생강차, 생강주의 주재료가 되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건위, 산한(散寒), 진구(鎭嘔)), 신진대사 기능의 항진 등에 효능이 있다 하여, 소화불량, 위한(胃寒), 창만(脹滿), 감모한풍(感冒寒風), 천해(喘咳), 풍습비통(風濕痺痛), 설사, 구토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민간에서는 기에 생강을 달인 차를 마시기도 한다.
볏짚은 벼의 화본과 작물의 성숙한 식물체에서 곡식알을 제거하고 남은 줄기와 잎을 말한다. 볏짚은 작물이 싹이 트면서부터 완전히 성숙할 때까지 자란 뿌리, 줄기, 곡식알의 요소로서 동일한 조건에서라면 짚의 수확량이 많은 것이 곡식알 수확량도 많아지는 관계가 있으며, 짚의 수량도 많고 곡식알 무게와 짚의 무게의 비율이 높아질 수 있는 품종 및 재배법을 이용하는 것이 다수확을 위하여 가장 효율적인 농사법임이 밝혀졌다. 단위면적당 짚의 생산량이 많다는 것은 짚의 무게를 구성하고 있는 잎과 줄기의 무게가 많다는 것으로, 잎의 무게가 많으면 광합성을 많이 한 것이고, 줄기의 무게가 많으면 줄기의 수(數)가 많아서 이삭수가 증가된 것이기 때문에 곡식알 수확량이 많아진다. 실제 종실수확량은 짚의 수량이 거의 결정된 이후에 이삭의 크기, 곡식알의 크기 및 짚으로부터 이삭으로 양분이 이전될 수 있는 양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므로, 짚은 곡식알에 대한 수확량을 올리기 위한 1차적인 요소이며, 이삭과 곡식알의 크기 및 곡식알에 대한 양분이전율 등은 2차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짚은 작물생산적인 면에 대단히 중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확한 후에도 농작물의 부산물로서 다방면으로 이용되고 있다. 완전히 성숙한 볏짚의 화학적인 성분을 보면 셀룰로오스가 약 36 %, 리그닌 20 %, 펜토산 22 %, 조단백질 6 %, 회분(灰分)이 13 % 정도이며, 다른 농작물의 짚에도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함량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볏짚은 벼의 품종과 작황에 따라서 그 생산량이 다르나 한국에서는 보통 10a당 500kg 정도가 생산되며, 키가 작은 통일벼 품종에서는 400kg 내외, 키가 큰 일반벼 품종에서는 600kg 정도가 생산된다. 볏짚은 한우(韓牛)의 겨울철 사료로 많이 쓰이고, 그 밖에 가축의 외양간 깃으로 이용되어 결국은 퇴비의 형태로 농경지에 환원된다. 예전에는 가마니, 새끼, 거적 등의 각종 고공품(藁工品)의 원료로 이용되어 농가의 소득을 올려주었으나 현재는 이 부분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최근에는 생짚을 그대로 논에 집어넣어 논토양의 유기물을 증진시키는 데 많이 이용된다.
전에는 농촌의 초가지붕을 덮고 이는 이엉을 만드는 데, 그리고 농가의 주요한 연료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지붕개량과 연탄, 석유, 가스 등의 사용 증가로 이 부분에 이용되는 양은 크게 줄었다.
기존의 식초는 장시간의 발효기간과 숙성기간을 거쳐야 되므로 생산성이 떨어진다. 또한 조리용 식초는 조리용으로 과일 등을 이용한 건강기능용 식초는 건강기능용으로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출원하였던 특허출원 제10-2007-0036710호에 의하여 생산된 식초는 해양심층수를 활용한 것으로 다른 일반 식초보다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진 나트륨의 함량이 상승되므로 시장성 떨어진다. 본 발명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것은 일반적인 식초의 제조기간보다 현저하게 단축된 식초를 생산하므로 생산성을 높이고 조리용 및 건강기능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의 식초를 제조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10 : 9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 : 곡류를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밥을 찌는 단계; (f) 상기(d)단계의 발효된 재료와 상기(e)단계의 밥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누룩, 주정을 넣어 3일 내지 7일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단계; (g) 상기의 발효된 술 : 상기(d)단계의 발효된 상황버섯 발효액을 10 : 1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28℃ - 35℃에서 10일 내지 2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키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발효된 재료를 20℃ - 25℃에서 7일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i) 상기의 (h)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식초를 정제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과 몰로키아, 생강, 볏짚 혼합분말을 자체 발열로 인한 자연 발효시킨 발효물로서, 모든 식초 제조공정에서 본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발효물을 활용하므로, 일반식초에 비하여 식초의 제조시간이 단축되며, 조리용과 건강기능성 음료로 사용할 수 있다. 조리시에 사용하면 각종 식재료의 잡냄새를 제거하며,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조미효과를 향상시킨다. 특히 생선과 육류 에 첨가하여 숙성하면 각종 잡냄새 제거 및 육질개선효과와 맛기능을 강화시켜 식초의 다기능화를 이룰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10 : 9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 : 곡류를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밥을 찌는 단계; (f) 상기(d)단계의 발효된 재료와 상기(e)단계의 밥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누룩, 주정을 넣어 3일 내지 7일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단계; (g) 상기의 발효된 술 : 상기(d)단계의 발효된 상황버섯 발효액을 10 : 1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28℃ - 35℃에서 10일 내지 2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키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발효된 재료를 20℃ - 25℃에서 7일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i) 상기의 (h)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식초를 정제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생산된 식초로 각종 육류나 생선류를 숙성하면 특유의 비린내와 잡냄새가 없으며, 육질과 육즙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조리시에 사용하면 각종 식재료의 잡냄새를 제거하며, 화학조미료를 사용하지 않아도 조미효과를 향상시킨다. 특히 육류를 숙성하면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백미를 2kg : 2kg으로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현미를 2kg : 2kg으로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3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흑미를 2kg : 2kg으로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4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율무를 2kg : 2kg으로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5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백미 : 양송이버섯을 2kg : 2kg : 500g을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6
상기의 발명의 의한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 : 백미 : 마늘을 2kg : 2kg : 1kg을 혼합하여 찐 다음,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2kg, 누룩 200g, 주정 30g을 첨가하여 5일간 발효하여 술을 만든다. 발효된 술 :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 발효액을 3kg : 3kg을 혼합하여 28℃ - 35℃에서 1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킨다. 초산 발효된 발효액을 20℃ - 25℃에서 10일간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7
실시예2의 식초와 일반의 현미식초를 각각 돈육삼겹살에 첨가하여 2시간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8
실시예2의 식초와 일반의 현미식초를 각각 고등어에 첨가하여 1시간동안 숙성시켜서 제조하였다.
실시예7에 의하여 숙성되어진 돈육 삼겹살을 정제수에 40분간 삶아서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시예7 의하여 숙성되어진 돈육 삼겹살을 구이용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였다, 실시예8 의하여 숙성되어진 고등어를 정제수에 30분간 삶아서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실시예8 의하여 숙성되어진 고등어를 구이용 팬에 구워서 섭취하도록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 하였다. 평가방법은 20 ~ 40대의 남녀 30명에 대해 실시예1, 2 및 비교예1, 2의 돈육삼겹살 및 고등어를 시식하게 한 다음 맛과 육질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는데, 맛, 향미, 육질, 육즙,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법으로 하여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에 대해(매우 나쁘다 : 1점, 조금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조금 좋다 : 4점, 매우 좋다 : 5점) 평가 하였다.
<정제수에 삶아서 시식한 돈육삼겹살의 평가표>
구분 잡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2의 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5 4.8 4.9 4.6 4.8
일반현미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3.4 3.3 3.6 3.5 3.5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돈육삼겹살의 평가표>
구분 잡냄새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2의 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5 4.7 4.9 4.7 4.8
일반현미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3.6 3.1 3.5 3.4 3.4
<정제수에 삶아서 시식한 고등어의 평가표>
구분 비린내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2의 식초로 숙성한
고등어
4.8 4.8 4.9 4.5 4.7
일반현미식초로 숙성한
고등어
3.3 3.6 3.7 3.5 3.6
<구이용 팬에 구워서 시식한 고등어의 평가표>
구분 비린내 육즙 육질 섭취감
실시예2의 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5 4.7 4.8 4.6 4.8
일반현미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3.5 3.4 3.7 3.3 3.5
<실시예 2의 식초로 돈육삼겹살의 콜레스테롤 비교표>
구분 콜레스테롤(mg/가식부 100g당)
실시예2의 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229.0
일반현미식초로 숙성한
돈육삼겹살
336.8
<성분분석표>
구분 일반성분(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g)
지방
(g)
회분
(g)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Mg
(mg)
Zn
(mg)
당질
(g)
섬유소
(g)
실시예1 의 식초 92.0 1.9 0 1.0 4.8 0.3 11.5 16.0 3.6 22.8 21 5.7
일반식초 96.5 0 0 0.3 3.2 0 2.8 6.2 4.1 8 6 0.5
<아미노산 성분분석표>
구분
아미노산(mg/가식부100g당)
이소루신 루신 라이신 메티오닌 시스테인 페닐알라닌 티로신 트레오닌
본 발명의 식초 22 80 75 15 12 20 24 28
일반식초 0 0 0 0 0 0 0 0
<아미노산 성분분석표>

구분
아미노산(mg/가식부100g당)
발린 히스티딘 아르기닌 알라닌 아스파트르산 글루탐산 글리신 프롤린
본 발명의 식초 28 15 65 70 82 101 35 21
일반식초 0 0 0 0 0 0 0 0
표 1에서 표 4을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특유의 냄새가 없고, 육즙과 육질, 맛, 섭취감이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콜레스테롤이 현저하게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표 6에서 표 8을 참조하면 각종 영양성분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4)

  1. (a) 상황버섯, 몰로키아, 생강, 볏짚을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각각 20마이크로미터 내지 100마이크로미터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상황버섯 : 몰로키아 : 생강 : 볏짚을 60 : 20 : 10 : 10의 질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혼합된 분말에 정제수를 10 : 9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c)단계의 재료를 25℃~40℃의 온도에서 3일 내지 15일간 발효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발효가 완료된 발효액 : 곡류를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밥을 찌는 단계;
    (f) 상기(d)단계의 발효된 재료와 상기(e)단계의 밥을 1:1 내지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누룩, 주정을 넣어 3일 내지 7일간 발효시켜 술을 만드는 단계;
    (g) 상기의 발효된 술 : 상기(d)단계의 발효된 상황버섯 발효액을 10 : 1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28℃ - 35℃에서 10일 내지 20일 동안 초산 발효시키는 단계;
    (h) 상기(g)단계의 발효된 재료를 20℃ - 25℃에서 7일 내지 20일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i) 상기의 (h)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식초를 정제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식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2467A 2011-12-11 2011-12-11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101327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67A KR101327810B1 (ko) 2011-12-11 2011-12-11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2467A KR101327810B1 (ko) 2011-12-11 2011-12-11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83A KR20130065883A (ko) 2013-06-20
KR101327810B1 true KR101327810B1 (ko) 2013-11-08

Family

ID=4886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2467A KR101327810B1 (ko) 2011-12-11 2011-12-11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78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0696B1 (ko) 2014-07-10 2016-05-12 오복남 적색양파와 두메부추 및 미나리가 함유된 식초의 제조방법
KR101707839B1 (ko) * 2015-06-29 2017-02-17 이복순 흑초 제조방법
KR20180031994A (ko) * 2016-09-21 2018-03-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향기 나는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18A (ko) * 2007-04-15 2007-05-14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상황버섯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20070111732A (ko) * 2006-05-19 2007-11-22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천연물을 이용한 순환계 질환, 면역계질환, 염증성질환,간질환, 내과계질환, 산,소아과계질환, 내분비계질환,바이러스성질환,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7334A (ko) * 2008-11-03 2008-12-10 박창하 상황버섯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732A (ko) * 2006-05-19 2007-11-22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천연물을 이용한 순환계 질환, 면역계질환, 염증성질환,간질환, 내과계질환, 산,소아과계질환, 내분비계질환,바이러스성질환, 각종 암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50018A (ko) * 2007-04-15 2007-05-14 웰리네사람들주식회사 상황버섯을 이용한 식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생산품
KR20090034241A (ko) * 2007-10-02 2009-04-0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발효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서제조된 발효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화장품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080107334A (ko) * 2008-11-03 2008-12-10 박창하 상황버섯을 이용한 탁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883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821B1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돼지족발의 제조방법
JP6742395B2 (ja) 黒ボク土を用いて栽培した大麦の葉及び/又は茎、阿蘇産大麦の葉及び/又は茎並びにそれを含有する飲食用組成物、大麦の茎及び/又は葉の栽培方法
KR101400021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버섯의 재배방법
KR101932125B1 (ko) 당도, 감칠맛 및 조직감이 우수한 토마토 재배용 숙성액 및 이를 이용한 토마토의 재배방법
KR101327810B1 (ko) 기능성 식초의 제조방법
KR20120061786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게장, 새우장, 전복장의 제조방법
KR20130107662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각종 탕류의 제조방법
KR101324466B1 (ko) 기능성 식용유의 제조방법
KR101752571B1 (ko) 갈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배양, 숙성시킨 청국장 및 이를 이용한 갈화고추장 제조방법
KR101864658B1 (ko) 머루즙과 천마가 함유된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130098103A (ko) 천연물을 이용한 각종 김치의 제조방법
KR20190111592A (ko) 호장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새로운 제조방법
KR20130065884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어묵의 제조방법
KR101293087B1 (ko) 다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CN103688748B (zh) 一种淫羊藿北虫草培植及产品加工方法
KR101203790B1 (ko)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KR20170025300A (ko)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KR20120002955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가금류의 사육방법
KR101323381B1 (ko) 상황버섯 양념육류의 제조방법
KR102307710B1 (ko)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KR102307709B1 (ko) 산양삼 간장 제조방법
KR20120065302A (ko) 천연물을 이용한 절인배추의 제조방법
KR20210066159A (ko) 자연친화적 천연제품만을 이용한 친환경 버섯류의 재배방법
KR20120002957A (ko) 상황버섯을 이용한 가축류의 사육방법
KR101917536B1 (ko) 차가버섯 모링가 된장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0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