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34B1 -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34B1
KR100419234B1 KR10-2000-0060612A KR20000060612A KR100419234B1 KR 100419234 B1 KR100419234 B1 KR 100419234B1 KR 20000060612 A KR20000060612 A KR 20000060612A KR 100419234 B1 KR100419234 B1 KR 100419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parts
solut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0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129A (ko
Inventor
김애경
Original Assignee
김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애경 filed Critical 김애경
Priority to KR10-2000-0060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34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1/00Processing poultr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현재까지 시행되지 않았던 신규한 제법을 통해 제조되어 건강보조 작용이 탁월한 특징을 가진다. 이는 다슬기와 노나무, 유근피, 도라지, 인진쑥, 당귀 및 죽염에 재운 유황오리 엑기스를 적량 배합하여 환으로 제조되는 것인 바, 황토 옹기에 1000℃의 열을 가하여 다려내는 것과 유근피를 가장 효율적으로 다리는 시간, 유황오리와 죽염 및 대나무를 과학적으로 이용하는 것, 다슬기 분말을 사용하는 것 등이 대두되는 제법이다.

Description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HEALTH AUXILIARY FOOD}
본 발명은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 바, 유황오리와 다슬기 죽염, 대나무, 도라지, 당귀, 인진쑥, 유근피, 노나무, 송화가루 등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종래의 건강식품과는 현저한 차이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건강보조식품이라 함은, 각종 동식물 및 약재 등을 물리적으로 변화시키고 각 재료들을 적당량 배합하여 환 또는 분말, 용액 등으로 제조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한 것과 상기 재료들로부터 추출된 엑기스를 역시 각 재료별 적당량을 혼합하여 먹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엑기스를 적당한 식품과 혼합하여 환 또는 분말로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을 말하는데, 통상적으로 동의보감이나 본초강목 등 고래로부터 전래되어 오는 민간요법에 근거를 두고 단순히 제조된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진 동식물 및 약재는 적당량을 먹기만 하면 인체에 유해하지는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인은 이들을 특별히 건강식품으로 칭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사실상 건강식품이라 함은, 사용되는 재료들의 특성과 그 특성에 따른 가장 이상적인 제조방법 또는 처리방법을 통해 물리적으로 동시에 화학적으로 변화되어 인체에 누적되어 있는 유해한 물질 등을 배출시키고 나아가 인체의 건강한 생장작용에 도움을 주도록 하여야 하는 것인 바, 단순히 인체에 이롭다는 재료들을 적당량 혼합시켜 먹도록 한다는 것은 비과학적임은 물론 오용 또는 남용을 초래하여 도리어 건강을 해치는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되는 재료들의 특성과 부작용 및 음양오행에 근거한 약성 등을 면밀히 파악하여 실로 인체에 이로움을 주는 건강보조식품은 흔하지 않으며, 상술에 의존하여 단순히 맛과 향, 빛깔만을 중시한 식품들이 산재하고 있어 이는 필히 시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체에 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재료들의 특성과 약리 효과를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특히 상기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성분을 가장 효율적으로 추출하며 이들 추출된 성분들을 음양오행설에 근거하여 과학적으로 배합함으로서 상기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약성을 온전히 그리고 안전하게 인체에 작용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2년 이상 유황과 사료를 먹여 사육하여 성숙한 오리 3마리의 내장과 털을 몸체와 분리시킨 후 오리 몸체의 안팎으로 죽염가루가 충분히 도포 되도록 하고, 3년 이상 생장하여 잎이 노란색을 띠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짠 대나무 상자 안에 상기 오리를 배열시킨 다음, 잎이 노란 대나무 잎을 상기 오리 위에 여러 겹으로 덮은 후 뚜껑을 닫고 어둡고 시원한 장소에서 3일간 숙성시키는 제 1과정;자연산 다슬기 2말 반과 노나무 4Kg 및 생수 200리터를 제 1 황토 옹기 속에 채움과 동시에 20년생 도라지 4kg과 당귀 4Kg 및 생수 20리터를 제 2 황토 옹기 속에 채우고 이와 동시에 상기 오리 3마리와 생수 20리터를 제 3 황토 옹기 속에 채운 다음, 인진쑥 4Kg과 생수 10리터를 제 4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상기 제 1,2,3,4 황토 옹기 전체에 1000℃의 열을 가하여 6∼12시간을 다리는 제 2과정;유근피 3Kg과 생수 10리터를 제 5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1000℃의 열을 가하여 24∼36 시간을 다려내는 제 3과정;상기 제 2과정을 거쳐 다려진 제 1 옹기 속의 용액으로부터 노나무와 다슬기 껍질을 분리시키는 제 4과정;상기 다슬기 껍질을 상기 용액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후라이팬으로 볶아서 햇빛에 말려 건조시키는 제 5과정;상기 건조된 다슬기 껍질을 500메시 이하의 고운 입자가 되도록 분쇄시키는 제 6과정;상기 제 1 황토 옹기 속으로 상기 제 2,3,4,5 황토 옹기 속에서 다려진 용액을 부어서 혼합시키는 제 7과정;상기 제 7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용액을 식히고 이 용액의 중량 대비 2∼3중량부의 송화가루를 투입시켜 혼합하는 제 8과정을 통해 용액재료를 제조하는 공정 그리고;
상기 다슬기 분말 15중량부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20년생 도라지 분말 8중량부, 송화가루 8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인진쑥 분말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서목태 분말 25중량부, 500메시 이하의 죽염가루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유근피 분말 8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재료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공정에 따라 제조된 용액재료와 분말재료를 4:6의 비율로 섞어서 환으로 제조함에 따라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특히 간 기능 개선 및 시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다슬기와 노나무; 기력보강 중금속 등의 해리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유황오리; 각종 염증 및 종양 등의 치료효과 및 세포의 생장촉진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죽염 및 대나무; 청혈작용과 노폐물의 제거작용이 우수한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도라지와 당귀; 기(氣)를 보(保)하고 간 기능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인진쑥; 장과 위의 부종을 없애고 변비를 해소하며 신장기능 등을 돕는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유근피; 역시 혈을 다스리고 피를 맑게 하는 송화가루; 위와 장을 따뜻하게 하고 성질이 온순하여 신장기능을 도우며 접착력이 강한 것으로 학계에서 알려진 서목태 등을 주재로 하여 제조되지만, 이들 재료를 음양오행 및 과학적인 근거에 맞도록 처리 및 변화시켜 상기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약성 등을 가장 이상적으로 인체에서 수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법상의 특징을 대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각 과정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 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재료들의 중량 또는 숫자, 함량 등은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실시예를 위한 실험에 근거를 둔 것이므로 반드시 수치상으로 각 재료들의 사용량이 국한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먼저, 최소 2년 이상 유황과 사료를 먹여 가두리 안에서 성숙시킨 오리 3마리의 내장과 털을 몸체와 분리시킨다. 유황오리는 유황과 사료를 먹은 후 물을 먹으면 유황의 약성이 격감하거나 유황의 약효가 거의 소멸되기 때문에 물을 거의 먹이지 않고 사육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사육시킨 유황오리를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오리 몸체의 안팎으로 죽염가루가 충분히 도포 되도록 하여 마치 생선을 소금에 절이듯 죽염가루에 오리가 절여지도록 한다.
다음, 3년 이상 생장하여 잎이 노란색을 띠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사각 혹은 원통형으로 짠 대나무 상자 안에 상기 오리를 배열시킨 다음, 잎이 노란 대나무 잎을 상기 오리 위에 여러 겹으로 덮은 후 뚜껑을 닫고 바람이 잘 통하는 어둡고 시원한 장소에서 3일간 숙성시키는 제 1과정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대나무 상자의 크기는 오리 3마리가 넉넉히 들어갈 수 있는 정도의 크기면 족하며, 어둡고 시원한 장소는 초가 또는 토굴, 동굴 또는 황토로 만든 가마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콘크리트나 벽돌로 제작된 밀폐공간을 활용할 수도 있고 냉장고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가장 자연의 환경과 친밀한 분위기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한편, 죽염가루는 오리의 부패 및 세균의 침투를 방지하며 죽염이 가지고 있는 성분이 유황성분과 잘 조화를 이루어 유황 및 죽염의 작용을 가장 이상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대나무 잎 및 대나무 상자는 유황과 죽염의 조화작용(합성작용)을 보호하여 주는 역할을 하므로 중요한 요소가 되며 반드시 3년 이상 생장하여 잎이 노란색으로 변한 대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다음, 자연산 다슬기 2말 반과 노나무 4Kg 및 생수 200리터를 제 1 황토 옹기 속에 채움과 동시에 20년생 도라지 4kg과 당귀 4Kg 및 생수 20리터를 제 2 황토 옹기 속에 채우고 이와 동시에 상기 오리 3마리와 생수 20리터를 제 3 황토 옹기 속에 채운 다음, 인진쑥 4Kg과 생수 10리터를 제 4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상기 제 1,2,3,4 황토 옹기 전체에 1000℃의 열을 가하여 6∼12시간을 다리는 제 2과정을 행한다. 이들 재료들은 공통적으로 1000℃ 이상의 열을 견딜 수 있는 황토 옹기 속에서 6∼12시간 동안 다려지기 때문에 동시에 같은 장소에서 실시된다. 이때 반드시 황토로 제작된 옹기를 사용하여야 각 재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약성 등이 변화되지 않고 보존되며 또한 1000℃ 이상으로 다려야만 다슬기와 노나무 및 유황과 죽염의 성분이 합성되고, 기타 도라지와 당귀, 인진쑥의 약리작용이 가장 우수하여 진다. 따라서 황토 옹기를 사용하는 것과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은 본 발명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하게 작용된다.
다음, 유근피 3Kg과 생수 10리터를 제 5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1000℃의 열을 가하여 24∼36 시간을 다려내는 제 3과정을 행하는데, 특히 유근피는 통상적으로 수백 도 정도의 온도에서 일반적인 용기 또는 질그릇 등을 사용하여 몇 시간 정도 달여서 사용하는 것이 관례로 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된 관례에 해당된다. 유근피는 재료의 특성상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최소 24시간은 달여야 약효가 이상적으로 추출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반드시 상기한 바와 같은 초고온에 견디는 황토 옹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러므로 유근피를 달이는 방법과 환경 역시 본 발명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된다.
다음, 상기 제 2과정을 거쳐 다려진 제 1 옹기 속의 용액으로부터 노나무와 다슬기 껍질을 채로 걸러서 분리시키는 제 4과정을 행하고, 상기 다슬기 껍질을 상기 용액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상기 용액이 다슬기 껍질 및 일부 알갱이에 배여 있는 상태에서 후라이팬으로 볶아 햇빛에 말려 건조시키는 제 5과정을 행한다. 이때 용액이 다슬기로부터 건조되기 전에 볶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용액중의 유용한 성분이 물과 함께 증발되어 소실되는 현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다음, 상기 건조된 다슬기 껍질을 500메시 이하의 고운 입자가 되도록 분쇄시키는 제 6과정을 행하는데, 분쇄기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제 1 황토 옹기 속으로 상기 제 2,3,4,5 황토 옹기 속에서 다려진 용액을 부어서 전체를 혼합시키는 제 7과정을 행하고, 상기 제 7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용액에서 수증기가 사라질 정도로 식힌 후 이 용액의 중량 대비 2∼3중량부의 송화가루를 투입시켜 혼합시키는 제 8과정을 통해 용액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이 종료된다. 여기서 송화가루는 후술되는 분말재료에도 투입이 되지만 이 용액재료의 제조공정에서 투입되는 송화가루는 상기 용액재료에 포함된 각 성분을 응집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송화가루는 열에 취약하기 때문에 상기 용액재료가 식은 후에 투입시켜 교반 하여야 한다.
다음, 상기 다슬기 분말 15중량부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20년생 도라지 분말 8중량부, 송화가루 8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인진쑥 분말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서목태 분말 25중량부, 500메시 이하의 죽염가루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유근피 분말 8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재료를 제조하는 공정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재료들을 분말화 시키는 장치 또한 공지의 것을 사용하므로 별도로 설명하지는 않는다. 상기의 분말재료의 배합비율은 많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서 상기 투입량이 상기 용액재료를 대비하여 반드시 국한된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공정을 거쳐 사실상 본 발명의 실시는 종료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공정에 따라 제조된 용액재료와 분말재료를 4:6의 비율로 섞어서 환으로 제조할 수 있고 또는 분말상태를 섭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용액재료와 분말재료의 혼합비율은 4:6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환의 경도 및 포장재의 종류, 유통기간 등의 요소에 따라 그 혼합비율은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나, 실험에 의하면 상기의 혼합비율이 가장 적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이상과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보조식품을 성분 분석한 결과 100g당 칼슘 10040.436㎎, 조단백질 8.356㎎, 마그네슘 175.293㎎, 아연 7.511㎎, 세레늄 0.001㎎ 그리고 비타민, 미네랄, 회분, 플라보노이드계 성분이 소량 검출이 되었다. 즉, 이러한 성분들이 제조과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존재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각 성분들이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과학적이고 음양오행에 근거를 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를 통해 얻어진 용액은 간기능 개성, 시력 개선, 중금속의 배출, 염증의 치료, 세포의 생장촉진, 청혈 기능, 기의 보강, 신장 기능의 강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어 꾸준하게 복용을 하면 건강유지 및 질병 예방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2년 이상 유황과 사료를 먹여 사육하여 성숙한 오리 3마리의 내장과 털을 몸체와 분리시킨 후 오리 몸체의 안팎으로 죽염가루가 충분히 도포 되도록 하고, 3년 이상 생장하여 잎이 노란색을 띠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짠 대나무 상자 안에 상기 오리를 배열시킨 다음, 잎이 노란 대나무 잎을 상기 오리 위에 여러 겹으로 덮은 후 뚜껑을 닫고 어둡고 시원한 장소에서 3일간 숙성시키는 제 1과정;
    자연산 다슬기 2말 반과 노나무 4Kg 및 생수 200리터를 제 1 황토 옹기 속에 채움과 동시에 20년생 도라지 4kg과 당귀 4Kg 및 생수 20리터를 제 2 황토 옹기 속에 채우고 이와 동시에 상기 오리 3마리와 생수 20리터를 제 3 황토 옹기 속에 채운 다음, 인진쑥 4Kg과 생수 10리터를 제 4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상기 제 1,2,3,4 황토 옹기 전체에 1000℃의 열을 가하여 6∼12시간을 다리는 제 2과정;
    유근피 3Kg과 생수 10리터를 제 5 황토 옹기 속에 채운 후 1000℃의 열을 가하여 24∼36 시간을 다려내는 제 3과정;
    상기 제 2과정을 거쳐 다려진 제 1 옹기 속의 용액으로부터 노나무와 다슬기 껍질을 분리시키는 제 4과정;
    상기 다슬기 껍질을 상기 용액과 분리시킴과 동시에 후라이팬으로 볶아서 햇빛에 말려 건조시키는 제 5과정;
    상기 건조된 다슬기 껍질을 500메시 이하의 고운 입자가 되도록 분쇄시키는 제 6과정;
    상기 제 1 황토 옹기 속으로 상기 제 2,3,4,5 황토 옹기 속에서 다려진 용액을 부어서 혼합시키는 제 7과정;
    상기 제 7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용액을 식히고 이 용액의 중량 대비 2∼3중량부의 송화가루를 투입시켜 혼합하는 제 8과정을 통해 용액재료를 제조하는 공정 그리고;
    상기 다슬기 분말 15중량부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20년생 도라지 분말 8중량부, 송화가루 8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인진쑥 분말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서목태 분말 25중량부, 500메시 이하의 죽염가루 2.5중량부, 300메시 이하의 건조된 유근피 분말 8중량부를 혼합하여 분말재료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공정에 따라 제조된 용액재료와 분말재료를 4:6의 비율로 섞어서 환으로 제조함에 따라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2000-0060612A 2000-10-16 2000-10-16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419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12A KR100419234B1 (ko) 2000-10-16 2000-10-16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0612A KR100419234B1 (ko) 2000-10-16 2000-10-16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129A KR20020030129A (ko) 2002-04-24
KR100419234B1 true KR100419234B1 (ko) 2004-02-19

Family

ID=1969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0612A KR100419234B1 (ko) 2000-10-16 2000-10-16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146A (ko) * 2002-02-27 2002-04-03 이종선 느릅나무, 인진쑥환을 주제로 한 건강식품
KR100885292B1 (ko) * 2007-08-31 2009-02-23 유정애 숯과 옹기를 이용한 유황오리 주물럭과 그 제조방법
KR100970563B1 (ko) * 2008-03-07 2010-07-16 오승록 골프클럽의 그립 파지 지지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384A (ko) * 1991-10-21 1993-05-20 이철영 식용 달팽이를 원료로 한 건강보조 식품의 제조방법
KR960016764A (ko) * 1994-11-04 1996-06-17 김태등 다슬기를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960016761A (ko) * 1994-11-04 1996-06-17 김태둥 유황오리를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9990048386A (ko) * 1997-12-09 1999-07-05 이인우 홍화씨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그 제조방법
KR20000021202A (ko) * 1998-09-25 2000-04-25 강희송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00033462A (ko) * 1998-11-21 2000-06-15 이두희 다슬기 분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384A (ko) * 1991-10-21 1993-05-20 이철영 식용 달팽이를 원료로 한 건강보조 식품의 제조방법
KR960016764A (ko) * 1994-11-04 1996-06-17 김태등 다슬기를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960016761A (ko) * 1994-11-04 1996-06-17 김태둥 유황오리를 주원료로 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9990048386A (ko) * 1997-12-09 1999-07-05 이인우 홍화씨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그 제조방법
KR20000021202A (ko) * 1998-09-25 2000-04-25 강희송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20000033462A (ko) * 1998-11-21 2000-06-15 이두희 다슬기 분말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129A (ko) 200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70824A (zh) 一种补气养血保健冲料
CN105360068A (zh) 土鸡生态养殖方法
CN103704623B (zh) 一种玛卡发酵营养食品
CN101011151A (zh) 保健竹盐及其制作方法
KR101087475B1 (ko) 정장제용 한약 분말 및 이를 이용한 환
CN102349585B (zh) 一种含白茶的美容养颜袋泡茶
KR100897411B1 (ko) 가시오가피가 함유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CN101347188A (zh) 一种蛋鸡饲料和用中药制酊剂炮制鸡蛋的方法
KR100755983B1 (ko) 대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66883B1 (ko) 당귀, 천궁, 갈근, 작약, 숙지황, 황기, 홍삼, 건강, 감초, 계피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136464A (zh) 一种作为火锅蘸料的芝麻酱及制备方法
CN102038078A (zh) 一种竹叶提取物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875466B1 (ko) 회화나무를 이용한 건강 기능 식품용 환의 제조 방법
KR20100082689A (ko) 월드 인삼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419234B1 (ko)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KR100396323B1 (ko)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10168189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81237B1 (ko) 죽염지장수 및 그 제조방법
CN107926248A (zh) 提高布福娜果实抗衰老功效的施肥方法
KR100254944B1 (ko) 홍화씨를 이용한 건강식품과 그 제조방법
CN106618128A (zh) 一种绿色环保线香及其制备方法
KR102205643B1 (ko) 송근, 송엽, 송목피 추출물과 구운소금을 주원료로 하는 입욕제조성물 제조방법 및 티백형입욕제
KR20110017041A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미네랄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방 소금의 제조방법
KR100814736B1 (ko) 한방 조미료
KR101067592B1 (ko) 황토, 대나무분말을 주로 하는 사료 보조제 및 비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