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439B1 -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439B1
KR100879439B1 KR1020070115809A KR20070115809A KR100879439B1 KR 100879439 B1 KR100879439 B1 KR 100879439B1 KR 1020070115809 A KR1020070115809 A KR 1020070115809A KR 20070115809 A KR20070115809 A KR 20070115809A KR 100879439 B1 KR100879439 B1 KR 100879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fertilizer
extract
gour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546A (ko
Inventor
최원철
박상재
권성필
Original Assignee
(주)에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에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070115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94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6Waste from 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diestillation, roasting, cooking
    • C05F5/008Waste from biochem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fermentation, brew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80Food processing, e.g. use of renewable energies or variable speed drives in handling, conveying or stacking
    • Y02P60/87Re-use of by-products of food processing for fodder produ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박 및 당귀 추출박을 주재료로 하여 바실러스, 효모, 곰팡이 등의 균을 접종하고 고체배양하여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옻나무, 당귀, 바실러스, 효모, 발효, 비료

Description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Preparation method and use of fertilizer, fermented with Rhus verniciflua and Angelica gigas NAKAI}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박 및 당귀(참당귀) 추출박에 유용한 균을 접종하고 발효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으로 옻나무 및 당귀의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기능성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용도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옻나무를 추출하고 남는 박 및 당귀를 추출하고 남는 박을 원료로하여 발효를 위해 유용한 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옻나무를 물로 추출하고 남은 박 및 당귀를 추출하고 남은 박을 서로 적절하게 혼합한 다음, 여기에 발효를 위해 유용한 균으로서 바실러스, 효모, 곰팡이 등을 배양한 후 접종하고, 발효시켜 이들 균에 의하여 옻나무와 당귀의 일부 성분이 분해되어 유용한 산물로 전환되게 하고, 이를 제품화 하여 비료로서 제공하는 것으로서 추출박을 발효시트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많은 비료들이 개발되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은 추출박을 이용하면서 그 원재료가 옻나무와 당귀인 비료는 개발된 적이 없다.
본 발명은 옻나무 추출 후 부산물로 남게 되는 옻나무 박 및 당귀 추출 후 얻어지는 당귀 추출박을 이용하여 유용한 자원화 하는 것으로, 이들 박을 적절하게 발효시켜 옻나무와 당귀에 함유된 유용성분을 함유하는 비료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조성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박은 폐기되어야 하나 그 방법이 용이하지 못하며 적절하게 가공될 경우 유용자원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기술로는 원료로서 옻나무 박 및 당귀의 추출박을 이용한다는 점이고, 제조공정으로서 바실러스, 효모, 곰팡이 등의 균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비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두 가지의 경제적 효과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는 추출물을 제조하고 남은 박을 이용하는 부산물의 이용효과이며, 둘째는 이러한 부산물을 발효를 통하여 기능성 비료로 개발하여 이를 활용한 유용한 산물의 생산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구체화 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부산물은 옻나무 박 및 당귀 박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고 남는 부산물이다. 이들 부산물은 옻나무 박의 경우 옻나무를 물을 가하고, 추출하여 여액을 제거하고, 남은 박이며, 당귀박은 참당귀 뿌리를 건조하고, 이를 분말화 한 다음 여기에 식품용 주정을 가하고, 추출한 다음 남는 박을 진공건조하여 에탄올 성분을 제거한 분말을 의미한다.
옻나무 박은 수분을 함유한 상태이므로 건조무게 기준으로 건조 당귀박에 대하여 0.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청국장의 발효에 이용되는 바실러스(Bacillus sp.) 균, 효모(Saccharomyces sp. 등)균, 곰팡이(Aspergillus sp. 등)균을 배양한 액을 가하고, 혼합하여 준 다음, 이를 섭씨 20도 이상 40도 이하에서 발효시킨다. 발효기간은 1차 발효로 2~10일이며 2차 발효로 10~30일간 행한다. 온도는 발효의 진행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섭씨 20~40도로 하였으며 이는 섭씨 20도 이하에서 발효가 진행되지 않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발효기간은 1차 발효는 균의 성장을 위한 기간으로 수분을 다량 함유한 상태에서 2~10일간 진행되며, 2일 이하 또는 10일 이상에서 발효의 진행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하지는 않으나, 균의 생육 및 활성에 있어 최적의 기간으로 2~10일을 선정하였다. 2차 발효로 10~30일간 진행하는 것은 자연발효로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외부의 야생균에 의한 발효를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발효에 의한 발열로 인하여 내부 온도가 섭씨 60도까지 상승하게 되며 이는 고온에 내성을 가진 균의 생존만을 가능하게 하고 1차 발효에서 자란 접종균의 90% 이상이 사멸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야생균에 의하여 옻나무 박 및 당귀박의 섬유질 성분이 분해되어 저분자량의 물질로 전환되게 된다. 이들 물질은 일부 발효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잔류하여 비료의 유용성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발효가 끝나면 2차 발효까지 완료한 후 이를 포대에 담아 농작물에 살표하는 방법에 의하여 비료로서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비료는 일반적인 농산물의 생산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 농산물에는 옻나무, 당귀, 배추, 콩, 마늘, 사과, 복숭아, 포도, 파, 양파, 등 퇴비를 시비하는 모든 농작물 및 재배하는 한약재를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다음의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 1. 부산물의 준비
옻나무를 건조하고 수분 10%(w/w)이하로 한 다음, 이를 톱밥화 하고, 여기에 물을 가하고,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제거하고, 남은 박을 얻게 된다. 이것이 옻나무박이다. 옻나무박은 수분함량이 60~70%(w/w) 수준이다.
참당귀 뿌리를 건조하여 수분 10%(w/w)이하로 한 다음 여기에 주정을 3배수 가하고, 섭씨 60도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거하고 남은박을 진공건조하여 잔류하는 에탄올을 제거한 다음 건조된 분말상의 참당귀 박을 얻게 된다. 이것이 당귀 박이다. 당귀박은 수분함량이 10%(w/w) 이내이다.
실시 예 2. 1차 발효
상기 실시 예 1에서 얻어진 옻나무 박 1Kg에 대하여 당귀 박 1Kg의 비율로 가하고, 혼합하여 잘 섞은 다음 여기에 미리 발효한 청국장균인 바실러스 배양액을 200ml의 비율로 가하고, 잘 혼합한 다음 이를 섭씨 35도에서 5일 동안 발효시켰다.
실시 예 3. 2차 발효
상기 실시 예 2에서 얻어진 발효물을 이용한 야생균에 의한 자연발효를 위하여 외부에 방치하면서 퇴비화 시킨다. 이 과정에서 야생균에 의한 발효로 내부의 온도가 섭씨 60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1차 발효에서 배양된 균의 90%가 사멸되게 되고, 자연발효된 균에 의하여 옻나무 박 및 당귀박의 섬유질 성분이 분해되게 된다. 2차 발효는 20일간 실시하였다.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은 비료로 사용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옻나무 박 및 당귀 박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에 관한 것으로 추출 후 버려지는 박을 이용하여 비료로 제품화 함으로써 부산물을 활용한 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며, 이를 활용하여 고기능성의 농산물을 생산하여 농가소득향상 및 기능성 추출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옻나무를 건조하여 톱밥화하고, 이를 물로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제거하고 남는 옻나무 박 및 당귀를 주정으로 추출하고 남는 건조 당귀 박을 무게 비로 0.3~1:1의 비율로 혼합하고, 발효용 균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2. 상기 제 1항에서 접종하여 주는 발효용 균으로서 바실러스균, 효모균, 곰팡이균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3. 상기 제 1항에서 발효의 방법으로서 1차 발효는 상기 제 2항의 균을 사용하고, 2차 발효로는 자연상태에서 야생의 균에 의하여 발효시키는 것으로 10~30일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의 제조방법.
  4. 상기 제 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료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115809A 2007-11-14 2007-11-14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10087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09A KR100879439B1 (ko) 2007-11-14 2007-11-14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5809A KR100879439B1 (ko) 2007-11-14 2007-11-14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46A KR20080000546A (ko) 2008-01-02
KR100879439B1 true KR100879439B1 (ko) 2009-01-20

Family

ID=3921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809A KR100879439B1 (ko) 2007-11-14 2007-11-14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94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546B1 (ko) * 2008-04-29 2011-03-21 송재실 참옻발효진액의 제조방법
KR101101034B1 (ko) 2009-10-27 2011-1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를 구비하는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083A (ko) * 1996-02-03 1997-09-12 이동우 가금류용 사료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4012A (ko) * 2000-01-10 2000-05-06 박문수 옻을 첨가한 사료를 먹여서 기른 닭 및 오리, 그리고 그 알
KR20010000198A (ko) * 2000-07-31 2001-01-05 허충 옻사료의 제조 및 이를 급이 사육한 옻닭과 옻란의생산방법.
KR20020060131A (ko) * 2002-06-11 2002-07-16 허충 인공첨가제의 대체물질로 옻사료을 급이 사육한 가축의기능성 항암육과 항암우유의 생산방법.
KR100396323B1 (ko) 2000-11-01 2003-09-02 이병훈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20040088410A (ko) * 2004-09-13 2004-10-16 가평축산업협동조합 옻나무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KR20050022795A (ko) * 2003-08-30 2005-03-08 임선호 한약재 부산물을 이용한 양액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083A (ko) * 1996-02-03 1997-09-12 이동우 가금류용 사료 및 그 제어방법
KR20000024012A (ko) * 2000-01-10 2000-05-06 박문수 옻을 첨가한 사료를 먹여서 기른 닭 및 오리, 그리고 그 알
KR20010000198A (ko) * 2000-07-31 2001-01-05 허충 옻사료의 제조 및 이를 급이 사육한 옻닭과 옻란의생산방법.
KR100396323B1 (ko) 2000-11-01 2003-09-02 이병훈 옻나무를 이용한 가축사료 제조방법 및 가축의 사육방법
KR20020060131A (ko) * 2002-06-11 2002-07-16 허충 인공첨가제의 대체물질로 옻사료을 급이 사육한 가축의기능성 항암육과 항암우유의 생산방법.
KR20050022795A (ko) * 2003-08-30 2005-03-08 임선호 한약재 부산물을 이용한 양액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양액
KR20040088410A (ko) * 2004-09-13 2004-10-16 가평축산업협동조합 옻나무를 포함하는 가축사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546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45462B (zh) 一种金针菇原种培养料及其制作方法
CN102584467B (zh) 利用城市污泥制备的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CN103387466B (zh) 一种黑木耳栽培料配伍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7810830A (zh) 一种金钗石斛栽培基质及其制备方法
CN102870594B (zh) 利用烟秆设施栽培猴头菇的方法
CN106967775B (zh) 生物催化制备薯蓣皂苷元的方法及其所用菌剂
CN105724055B (zh) 一种利用金针菇菌渣提高双孢蘑菇产量的方法
CN103435399B (zh) 一种毛木耳栽培料配伍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3229664A (zh) 利用无粉碎茶籽壳栽培甜灵芝
CN103451108B (zh) 一种出芽短梗霉菌of-01菌株及用它制备烟草内源性衍生香料的方法
CN103819230A (zh) 一种食用菌新型栽培基质及其生产方法
CN103936512B (zh) 灵芝培养料及制作方法
CN105580638A (zh) 一种促进牛樟芝液态发酵生长和三萜合成的方法
KR100879439B1 (ko) 옻나무 및 당귀를 발효시켜 얻어지는 비료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N105132472A (zh) 一种沙链霉菌的用途及香兰素的生产方法
CN104774109A (zh) 一种含有虎杖渣的黑木耳代料及制备方法
CN111771615A (zh) 一种灵芝立体无土有机栽培方法
CN101844946A (zh) 一种栽培黄伞的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5296357A (zh) 一种通过补料提高冬虫夏草菌液体发酵菌丝体产量的方法
CN106916018A (zh) 一种草菇栽培基料及其制备方法
CN106588187A (zh) 一种段木银耳废菌棒的处理方法
CN103710270B (zh) 一种降解松树凋落物的腐熟剂
CN102329739A (zh) 一株用于发酵小桐子饼粕制作生物菌肥的杂色曲霉菌
CN104892101A (zh) 食用菌培养基
KR102183814B1 (ko) 효소활성이 우수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액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배양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