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6899A -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6899A
KR20120096899A KR1020120017882A KR20120017882A KR20120096899A KR 20120096899 A KR20120096899 A KR 20120096899A KR 1020120017882 A KR1020120017882 A KR 1020120017882A KR 20120017882 A KR20120017882 A KR 20120017882A KR 20120096899 A KR20120096899 A KR 20120096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traveling
travel
engine
oper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2087B1 (ko
Inventor
타쿠야 오카다
히사미 후쿠시마
야스히토 나카니시
다이스케 이마이즈미
켄타로 미우라
요시히로 다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6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6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2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2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02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mounted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Lif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Implements (AREA)
  • Fertilizing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주행 정지상태의 대기 시간이 불필요하고, 후진주행 중에 종래보다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할 수 있는 동시에, 후진주행 시의 주행 속도가 너무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주행 차체(2)에 모 이식장치(7)를 승강 자유자재로 설치하여, 주행 차체(2)에 엔진(6)을 설치하고, 엔진(6)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로 전동하는 변속 장치(5)를 설치하고, 변속 장치(5)를 조작하여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설치하고,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진 주행지역, 전후진 정지지역 및 후진 주행지역의 순으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에서 최고속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주행 조작 레버(10)를 최고속위치보다 저속측으로 구성되는 조작 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Work vehicle}
본 발명은, 차체의 후부에 모 이식기 등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각종 작업을 행하는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며, 농업기계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종래, 모 이식장치 등의 작업기를 연결한 작업 차량이, 예를 들면, 모 이식 작업 중에 있어서, 논두렁에서 기체를 후진 등 시킬 때는, 차속을 저속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주행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엔진 회전수를 저회전으로 세트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으로 엔진 회전수를 저하시키면,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모 이식장치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의 상승 속도가 늦어진다.
이것에 의해, 논두렁에 극히 가까운 위치에서는 모 이식장치가 논두렁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 이상으로 상승할 때까지 후진을 대기할 필요가 있어, 작업 능률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모 이식장치의 중량이 클 때에는 승강 장치의 상승 속도가 늦어져, 대기 시간이 보다 많이 걸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 문헌 1에 기재한 모 이식장치의 승강 장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후진 동작을 행할 때는, 모 이식장치도 자동적으로 상승하지만, 엔진 회전수의 저하에 의해 그 상승속도가 저하하여 작업 효율이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다음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즉, 주행 변속 장치(예를 들면, HST(정유압식무단계 변속 장치))가 전후진 정지지역으로 전환되면, 그 정지 위치에 있는 동안만, 모 이식장치의 상승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에 흐르게 하는 것으로 액셀 장치를 통상보다 고속으로 조작하고, 엔진 회전수를 통상보다 고회전으로 제어하여, 후진 주행 위치로 옮긴 후는, 주행 조작 레버로 설정한 본래의 회전수까지 저하시키고 있다.
즉, 주행 변속 장치의 주행 조작 레버가, 후진의 정지 위치에 설정되면, 통상의 아이들링(idling) 시의 엔진 회전수에서 고회전으로 제어함으로써, 작업기의 상승 속도를 증대시키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평 7-12381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농작업기의 모 이식장치의 승강 장치의 구조에서는, 주행 조작 레버가 전후진 정지지역일 때 엔진 회전수가 높아지므로, 후진의 대기 상태에 작업자가 기다리지 못하고, 모 이식장치가 상승 도중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행 조작 레버를 후진의 저속 주행 위치로 이동시키면, 작업기가 다 상승하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 등에 접촉하는 일이 있다.
이 문제를 회피하려면, 모 이식장치가 소정의 높이로 상승할 때까지, 주행 정지상태 그대로 대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후진 주행중에 종래보다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할 수 있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주행 차체를 후진 주행시킬 때의 주행 속도가 너무 오르는 것이 방지되며, 작업자의 후진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은, 주행 차체(2)에 링크 기구(8)를 통하여 모 이식장치(7)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 기구(8)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3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6)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6)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로 전동하는 변속 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변속 장치(5)를 조작하여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진 주행지역, 전후진 정지지역 및 후진 주행지역의 순으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에서 최고속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최고속위치보다 저속측으로 구성되는 조작 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조작하면 모 이식장치(7)가 상승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에 조작했을 때의 최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200)는,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1개의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를 설치하고, 상기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선택한 제어 모드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200)가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의 후진 주행지역에서는, 상기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선택한 제어 모드에 관계없이,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 회전수의 증감 조작을 행하는 액셀 페달(13)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상기 액셀 페달(13)이 조작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 회전수의 증감 조작을 행하는 액셀 페달(13)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상기 액셀 페달(13)이 조작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하면,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 수라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7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130)를 설치하고,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주행 조작 레버(10)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할 때까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8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이식작업 시의 주행 속도와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 조작하는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조작하여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하면,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9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이식작업 시의 주행 속도와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 조작하는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설치하고, 상기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조작하여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할 때까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또, 청구항 10 기재의 본 발명은,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주행 속도가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한 것을 상기 속도 검출 부재(120)가 검출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고속 측에 조작해도 주행속도가 상기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를 넘지 않는 엔진 회전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작업 차량이다.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장치(200)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에서 최고속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최고속위치보다 저속측으로 구성되는 조작 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함으로써, 주행 차체(2)를 후진 주행시킬 때의 주행 속도가 너무 오르는 것이 방지되며, 작업자의 후진 조작이 용이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2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기재의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제어장치(200)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에 조작했을 때의 최저의 엔진 회전수보다,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함으로써, 후진 정지 위치에서 모 이식장치(7)를 고속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하는 시간이 짧아져, 후진 주행에 신속하게 교체되기 때문에,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3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제어장치(200)에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면 선택한 제어 모드에 맞추어 엔진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작업 조건에 맞춘 엔진 회전수로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저출력으로 작업을 함으로써 연비를 향상시키는 것이나, 고출력으로 작업을 함으로써 요철이나 경사가 있는 밭에서도 능률이 좋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후진 주행시에 엔진 회전수가 너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후진 주행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이 방지되며, 주행 차체(2)의 조작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여분으로 연료가 소비되는 것이 방지되어 한층 더 연비가 향상한다.
청구항 4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액셀 페달(13)을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도 필요한 엔진 회전수를 확보할 수 있어 조작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액셀 페달(13)을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도 필요한 엔진 회전수를 확보할 수 있어 조작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청구항 6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했을 때에, 제어장치(200)가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 수로 함으로써,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가 저속 측에 조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오른 후에도 엔진 회전수가 고회전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소비량이 감소한다.
또,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에 맞춰, 후진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이 방지되는 엔진 회전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7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후진 주행지역 측에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했을 때, 제어장치(200)는,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모 이식장치(7)가 고속으로 상승하므로,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어 후진 주행으로의 변환을 신속하게 행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오른 후에도 엔진 회전수가 고회전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소비량이 감소한다.
청구항 8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함과 동시에,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했을 때에, 제어장치(200)가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수로 함으로써,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가 저속 측에 조작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오른 후에도 엔진 회전수가 고회전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소비량이 감소한다.
또,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에 맞춰, 후진 주행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이 방지되는 엔진 회전수로 설정할 수 있고, 주행 차체(2)의 조작성이 향상하는 동시에, 여분으로 연료가 소비되는 것이 방지되어 연비가 향상한다.
청구항 9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7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하는 동시에, 후진 주행지역 측에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면, 제어장치(200)는,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크게 함으로써, 모 이식장치(7)가 고속으로 상승하므로,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어 후진 주행으로의 변환을 신속하게 행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오른 후에도 엔진 회전수가 고회전으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료의 소비량이 감소한다.
또,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에 맞춰, 후진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이 방지되는 엔진 회전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청구항 10 기재의 본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한 본 발명의 효과에 더해,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에 조작한 상태에서 속도 검출 부재(120)가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를 검출하면,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고속 측에 조작해도 주행 속도가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를 넘지 않는 엔진 회전수로 함으로써, 작업자가 의도한 속도보다 빠르게 후진 주행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다.
도 1은, 승용 모내기기의 측면도
도 2는, 승용 모내기기의 평면도
도 3은,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a)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행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거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엔진 스로틀의 개도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b)는, 도 5(a)에 대응하여 나타난, 주행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기체의 차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6은,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더블 캠 수납 박스의 개략 단면도
도 7(a)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1 캠 부재의 외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7(b)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2 캠 부재의 외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
도 8은,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저연비 모드(L), 표준 모드(M) 및 고출력 모드(H)를 나타내는 특성선도
도 9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더블 캠 수납 박스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10(a)는, 승용 모내기기를 전면측에서 본 개략도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표주박형의 구멍 부분과 그 주변의 확대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작업 차량의 일 실시형태의 모 이식 작업 차량에 대해 그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모 이식 작업 차량의 일례인 6조형의 승용 모내기기의 측면도이며, 도 2는, 그 평면도이다. 또,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처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I.)우선, 이러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대로, 모 이식 작업 차량의 일례인 6조형의 승용 모내기기(1)는, 밭 주행 가능하게 주행 차체(2)를 지지하는 전후 바퀴(주행 장치)(3, 4)와, 이것들 전후 바퀴(3, 4)에 주행 동력을 변속 전동하는 변속 장치(5)와, 이 변속 장치(5)를 포함한 각 기기에 동력을 공급하는 원동부인 엔진(6)과, 기체 후부에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변속 장치(5)로부터의 분기 동력에 의해 밭에 모를 이식하는 모 이식장치(7)와 모 이식장치(7)를 기체 후부에 연결하는 링크 기구(8)와, 모 이식장치(7)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 승강 실린더(9)와, 변속 장치를 바꾸어 주행 속도를 조작하는 주행 조작 레버(10)나 각종 기기를 조작하는 조작구 및 스티어링 핸들(11) 등을 배치한 조종부(12) 등으로 구성된다.
변속 장치(5)는, HST로 약칭되는 정유압식 무단변속기를 갖추고,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에 연동한 전후진 변환과 무단변속을 행하는 모터 전동 조작에 의한 트라이온 축(도시 생략)의 각도 조절에 의해, 벨트(5a)에 의한 전동으로 받은 엔진 동력을 전후 바퀴(3, 4)로 변속 전동하고, 중 저속 지역의 작업 주행 및 고속 지역의 노상 주행의 각각에 대하여 정지속도부터 최고속도까지의 변속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엔진(6)은, 후진 주행 모드, 저연비 주행 모드, 표준 주행 모드, 고출력 주행 모드의 각종 모드에서의 동력 특성 범위의 주행 동력을 스로틀 개도(開度)의 모터 전동 조절에 의해 커버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 외에 유압 기기 구동용의 유압 펌프 등의 보기(補機)를 구동한다.
모 이식장치(7)는 유압 동력에 의해서 승강 구동됨과 동시에 롤링 각도 조절에 의해서 수평 지지되며, 또, 변속 장치(5)로부터의 분기 동력에 의해서 차속 연동으로 이식동작 가능하게 구성한다. 또한, 모 이식장치(7)는, 본 예에서는 6조식의 구성으로, 이식조수분으로 나누어진 묘재면에 흙이 묻어 있는 매트상 모가 재치되는 묘재탱크(14)와, 묘재탱크 상의 모를 밭에 심는 이식조수분의 이식장치(15)와, 밭 면 위를 활주하여 정지하는 플로트(1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에 설치되어 있는, 조건에 따라서 각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대로, 본 실시형태의 제어 시스템은, 변속 장치(5), 엔진 스로틀(20), 모 이식장치(7), 모 이식장치(7)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유압 승강 제어 밸브(도시 생략)나 유압 승강 실린더(9)를 포함한 승강 장치(30) 등을 제어장치(200)에 의해서 동작 제어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대로, 제어장치(200)로의 입력 측에는, 변속 장치(5)의 변속 조작용의 주행 조작 레버(10),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와 후진 주행지역에 있을 때의 양쪽 모두를 검출하는 후진 위치 검출부(110),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부(120), 모 이식장치(7)가 소정 높이를 넘는 것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130), 승용 모내기기(1)의 동작 모드를, 작업 모드(예를 들면, 이식모드)와 이동 모드(예를 들면, 노상 주행 모드)의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부 변속 조작 레버(140)의 레버 위치의 검출을 행하는 부 변속 레버 위치 검출부(150), 엔진 회전수를 조작하는 액셀 페달(13)의 액셀 조작을 검출하는 액셀 조작 검출부(160), 엔진(6)의 동력 특성인 표준 모드, 저연비 모드, 고출력 모드, 후진 모드 중에서 어느 한쪽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부(170) 및 모 이식장치(7)의 이식개시, 강하, 정지, 상승 및 자동의 각종 동작을 바꾸는 승강 레버(180) 등이 접속되어 있다.
주행 조작 레버(10)의 움직임은,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후진의 이동량을 검출하기 위한 포텐셔미터(potentiometer)(도시 생략)의 검출치 및 후진 위치 검출부(110)에 의한 검출 결과로서 제어장치(200)에 입력되는 구성이다.
제어장치(200)는, 제어장치(200)에 입력된 포텐셔미터의 검출치와, 후진 위치 검출부(110)에 의한 검출 결과에 맞춰, 변속 장치(5)(HST)와 엔진 스로틀(20)을 향해, 각각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즉, 제어장치(200)는, 변속 장치(5)에는 모터 전동 조작에 의한 트라이온 축(도시 생략)의 각도 조절 등을 실시하게 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엔진 스로틀(20)에는 개도 조절용 모터를 구동하여 엔진(6)의 회전수를 제어시키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이 구성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주행 조작 레버(10)는, 8단계의 전진 조작지역, 전진 정지 위치(전진 아이들링 위치), 후진 정지 위치(후진 아이들링 위치) 및 5단계의 후진 주행지역의, 각 변속 위치에 위치 결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5(a) 참조).
(II.)이상의 구성하에서,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엔진 회전 제어를 중심으로, 주로 도 4, 도 5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또,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주행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거기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진 엔진 스로틀의 개도에 의한 엔진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대응해서 나타난, 주행 조작 레버의 조작 위치와 기체의 차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II-1).여기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의 모 이식 작업중(모 이식 작업은, 단지, 이식작업이라고 부른다)에, 전진 주행으로부터 후진 주행으로 전환하는 장면에 있어서,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 중, 주행 속도를 최고로 설정하는 최고속위치(여기에서는, 후진 주행지역의 5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주행 조작 레버(10)가, 최고속위치보다 앞의 위치(여기에서는, 후진 주행지역의 4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 쪽을 높게 하는 제어이며, 한편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의 소정 위치(여기에서는, 도 5(a)의 후진 주행의 1단째와 2단째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높게 하는 제어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술한 엔진 회전수의 제어를 여기에서는 「제 1의 제어」라고 호칭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승강 레버(180)는, 작업자에 의해 이미 「자동」으로 전환되어 있고, 한편 부 변속 조작 레버(140)는, 「이식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대로,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진 정지 위치로부터 후진 정지 위치로 이동시키면, 후진 위치 검출부(110)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200)는(도 4의 스텝(S101) 참조), 부 변속 조작 레버 위치 검출부(150)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의해, 현상(現狀)의 동작 모드가 「이식모드」이외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도 4의 스텝(S102) 참조). 여기에서는, 이미 부 변속 조작 레버(140)가, 「이식모드」로 전환되어 있으므로, 스텝(S103)으로 진행된다.
또한, 현상의 동작 모드가 「이식모드」이외이면, 「제 1의 제어」의 실행을 종료하고,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한 「통상 제어」를 실행한다(도 4의 스텝(S118) 참조). 여기서, 「통상 제어」는, 후술하는 「제 2의 제어」(도 5(a)의 일점쇄선(一点鎖線)으로 나타낸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을 참조)도 포함한, 「제 1의 제어」이외의 제어를 총칭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 정지 위치 또는 후진 주행지역에 있을 때이며, 부 변속 조작 레버 위치 검출부(150)가, 부 변속 조작 레버(140)의 조작 위치가 예를 들면, 노상 주행 모드인 것을 검출했을 때, 상기 「제 1의 제어」를 대신하고, 통상 제어중, 후술하는 「제 2의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불필요한 엔진 회전수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연료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구성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 「제 2의 제어」의 엔진 회전수가, 도 5(a)에 나타내는 대로, 후진 주행 5단계를 제외하고, 「제 1의 제어」(도 5(a)의 실선으로 나타낸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을 참조)보다 낮은 회전수이므로, 후진 주행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스텝(S103)에서는, 우선, 제어장치(200)는, 상승 검지 부재(130)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의해, 모 이식장치(7)가 소정의 높이를 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아직 넘지 않았으면, 스텝(S104)으로 진행된다. 또한, 모 이식장치(7)가 소정의 높이를 넘고 있으면,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을, 후술하는 「제 2의 제어」(도 5(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을 참조)로 이행하여, 승강 장치(30)에 의한 모 이식장치(7)의 승강 동작은 실시하지 않는다(도 4의 스텝(S119) 참조).
이것에 의해, 상승 검지 부재(130)가, 모 이식장치(7)가 이미 소정 높이를 넘어 상승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승강 장치(30)에 의한 승강 동작은 불필요하며, 엔진 회전수를 「제 1의 제어」에서 「제 2의 제어」로 전환하여 제어하므로, 불필요한 엔진 회전수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어 연료의 소비량을 삭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구성 부재에 불필요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되므로,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 모 이식장치(7)를 상승시키고 있는 한중간은, 엔진(6)에 부하가 걸리는 것을 예측하고, 엔진 회전수를 고회전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제 1의 제어」), 소정 높이까지 상승한 후, 승강 장치(30)를 정지함으로써, 엔진으로의 부하는 그만큼 가벼워진다. 이때, 「제 1의 제어」를 그대로 계속하면, 주행 차체(2)의 후진 주행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일이 있으므로, 「제 2의 제어」로 전환함으로써, 주행 차체(2)의 후진 주행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스텝(S104)에서는, 엔진 회전수를 소정치(도 5(a)에서는, 약 2600 rpm)까지 상승시킬 수 있도록, 엔진 스로틀(20)의 개도를 미리 정해진 각도로 설정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 장치(30)가 모 이식장치(7)의 상승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고,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의 소정 위치(여기에서는, 1단계와 2단계)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의 쪽을 낮게 하는 제어 구성으로 함으로써,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링크 기구(8) 및 모 이식장치(7)를 고속으로 상승시킬 수 있고, 모 이식장치(7)의 저부 등이, 지면이나 밭두렁 등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단시간에 상승할 수 있어 후진 주행에 신속하게 교체되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후진 주행을 개시한 적어도 1단계에서는, 엔진 회전수를 낮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주행 차체(2)가 급발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다음에,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정지 위치(후진 아이들링 위치)로부터, 후진 주행지역으로 이동시키면, 후진 위치 검출부(110)가 그것을 검지하고, 후진 주행지역에 주행 조작 레버(10)가 이동한 것을 제어장치(200)에 통지한다(도 4의 스텝(S105) 참조).
상기 통지를 받은 제어장치(200)는, 주행 조작 레버(10)가, 5단계로 이동할 때까지(도 4의 스텝(S106)), 즉 정지 위치로부터 1단계로 이동했을 때에는, 일단 엔진 회전수를 저하(도 5(a)에서는, 약 2600rpm로부터 약 2100rpm으로 저하)시킬 수 있도록 엔진 스로틀(20)을 미리 정해진 개도로 설정하고, 1단계에서 4단계까지를 이동하는 동안은, 엔진 회전수를 차례차례 증가시킬 수 있도록 엔진 스로틀(20)을 미리 정해진 개도로 제어한다(도 4의 스텝(S107) 참조). 또한, 5단계로 이동했을 때는, 포텐셔미터의 검출치에 의해 4단계를 넘은 것을 제어장치(200)에 통지하므로(도 4의 스텝(S106) 참조), 엔진 스로틀(20)을 제어함으로써, 엔진 회전수를 4단계에서의 회전수보다 저하시켜(도 4의 S117, 도 5(a) 참조), 스텝(S108)으로 진행한다.
스텝(S107)에서는, 제어장치(200)가, 상술한 대로 주행 조작 레버(10)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포텐셔미터로부터의 검출치에 맞춰, 미리 정한 제어 특성(도 5(a)의 실선을 참조)에 의거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한다(도 4의 스텝(S107) 참조).
그런데, 도 5(a)에 나타내는 대로, 여기에서의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도 5(a)의 실선을 참조)은, 이식작업 중의 후진 주행에 있어서, 모 이식장치(7)가 소정 높이를 넘었던 것이 검지된 후에 있어서 교체되는 엔진 회전수(도 4의 스텝(S105, S119) 참조)(도 5(a)의 일점쇄선을 참조) 및 이식작업 이외의 예를 들면, 노상에서의 후진 주행용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엔진 회전수(도 5(a)의 일점쇄선을 참조)에 비해, 5단계를 제외하고, 조금 높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5(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엔진 회전수에 의한 제어를 「제 2의 제어」라고 부른다.
즉, 도 5(a)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제어 특성에 의하면, 이식작업시의 후진 정지 위치에서는, 1단계 및 2단계의 엔진 회전수보다 높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정지 위치에서 1단계로 이동했을 때에는 일단 엔진 회전수를 거의 통상의 회전수까지 저하시키지만,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주행 조작 레버(10)의 위치에 대응하여 통상보다 급커브에서 증가시켜, 4단계에서 5단계로 이동하면, 엔진 회전수가 4단계보다 저하하게 되는 점에 있어서, 특유의 제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 차속의 변화에 대해서는, 도 5(b)에 나타냈다.
또한, 도 5(a)는,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의 이식작업 중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의 제어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대응한 차속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제 1의 제어」에 의거하는 엔진 회전수 및 차속을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 2의 제어」에 의거하는 후진 주행시의 엔진 회전수 및 차속을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전진 주행시는, 파선으로 나타냈다.
이것에 의해, 후진 주행 정지 위치에서 대기하는 일 없이, 후진 주행하면서 모 이식장치(7)를 종래보다 재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 방향의 최후부(도 5(a)에서는, 5단계)보다, 전측의 위치(도 5(a)에서는, 4단계)에 조작되었을 때에, 엔진 스로틀(20)을, 엔진 회전수(도 5(a)에서는, 약 3100rpm)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도로 제어하고,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 방향의 최후부에 조작되면, 엔진 스로틀(20)을, 엔진 회전수(도 5(a)에서는, 약 2900rpm)를 저하시킬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개도로 제어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주행 조작 레버(10)를 최후부 측으로 이동시켜 후진 주행할 때에 주행 속도가 너무 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주행 차체(2)를 후진 조작하기 쉬워져,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 주행 조작 레버(10)의 후진 주행지역의 도중에, 엔진 회전수가 피크 치까지 상승하는 위치(본 실시형태에서는, 4단계)를 설치함으로써, 링크 기구 및 모 이식장치(7)의 상승 속도가 빨라지며, 후진 주행의 한중간에 모 이식장치(7)가 밭두렁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모 이식장치(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내구성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재차, 도 4의 각 스텝의 설명으로 돌아온다.
즉, 스텝(S108)에서는, 상술한 스텝(S103)과 같은 판정을 행하고, 소정 높이를 넘지 않을 때는, 주행 차체(2)의 후진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에 이르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하고(도 4의 스텝(S109) 참조), 이르지 않았으면, 스텝(S110)으로 진행된다.
주행 조작 레버(10)의 이동량의 변화를 포텐셔미터의 검출치로부터 판단하고(도 4의 스텝(S110) 참조), 변화가 없을 때는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고(도 4의 스텝(S111) 참조), 스텝(S112)에서는 상기 스텝(S103)과 같은 처리를 행해, 스텝(S110)으로 돌아온다.
또한, 스텝(S110)에서, 이동량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05)으로 돌아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 엔진 회전수는, 그 위치에 대응하여 차례차례 저하해 간다(도 4의 스텝(S107)).
또, 스텝(S105)에서, 후진 주행지역으로 주행 조작 레버(10)가 검출되지 않을 때는, 더욱, 후진 정지 위치에서 주행 조작 레버(10)가 검출될지를 판정하고(도 4의 스텝(S113) 참조), 검출되지 않으면, 여기에서의 엔진 회전 제어(「제 1의 제어」)는 종료한다. 또, 검출되면, 스텝(S103)으로 돌아와, 상기 동작을 반복한다.
또, 스텝(S109)에서, 주행 차체(2)의 후진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에 이르렀다고 판단하면, 주행 조작 레버(10)가 더욱 고속 측에 조작되어도, 그 설정 속도가 유지되는 엔진 회전수로 구성되는 제어를 행하고(도 4의 스텝(S114) 참조), 스텝(S115)에서는, 상술한 스텝(S103)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설정 속도는, 작업자가 변환 스위치(도시 생략)를 바꾸는 것으로, 자유롭게 선택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설정 속도로 유지하는 제어 구성에 있어서,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이동하고, 그 이동 방향이 후진 정지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라고 판정하면(도 4의 스텝(S116) 참조), 리턴에 의해 스텝(S101)으로 돌아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또, 스텝(S116)에서, 후진 정지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스텝(S114)으로 돌아와 상기 처리를 반복한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 자신이 변환 스위치로 설정 속도를 미리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고, 그 설정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의도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후진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다.
또, 설정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는, 엔진 회전수가 종래 장치와 비교해서 빨리 상승하기 때문에, 링크 기구 및 모 이식장치(7)의 상승 속도가 빨라져, 후진 주행의 한중간에 모 이식장치(7)가 밭두렁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모 이식장치(7)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8조식 모내기기나 10조식 모내기기 등, 이식조수가 많아 모 이식장치(7)의 중량이 커질 때는, 모 이식장치(7)의 상승에 필요한 엔진(6)의 부하가 증가하므로, 도 5(a)에 나타내는 엔진 회전수에 대응한 엔진 스로틀(20)의 개도를 주어도, 고 토크가 필요한 분 만큼, 차속은 도 5(b)에 나타내는 상승률보다 낮은 상승률이 되어, 종래의 차속과 동일한 정도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때라도, 후진 주행시의 차속은 종래와 같은 레벨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후진 주행 정지 위치에서 대기하는 일 없이, 후진 주행하면서 모 이식장치(7)를 종래보다 재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는 점에서,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II-2).상기 설명에서는,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여 주행 차체(2)의 차속을 조정할 경우에 대해 말했지만, 여기에서는,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 작업자가 액셀 페달(13)을 밟았을 때의 동작에 대해 더 설명한다.
후진 주행시에 있어서, 제어장치(200)가 상술한 「제 1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을 때에, 작업자가 액셀 페달(13)을 밟았을 때, 액셀 조작 검지부(160)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받은 제어장치(200)는, 「제 1의 제어」에 우선하여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즉, 제어장치(200)는, 엔진 스로틀(20)에 엔진(6)의 회전수를 더욱 증가시키는 지령을 내린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액셀 페달(13)을 밟는 것으로, 엔진 회전수를 피크 치(예를 들면, 도 5(a)의 4단계의 회전수, 또는, 도시하지 않지만 4단계보다 더욱 높은 회전수)까지 상승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후진 주행시에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을 때는, 그 액셀 페달(13)을 밟는 것만으로 우선적으로 필요한 엔진 회전수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 및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II-3).상기 설명에서는, 밭 내에서의 후진 주행시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주행 차체(2)가 디딤판을 오를 때나, 밭에서 나올 때 필요한 고 토크를 확보하는 엔진 회전수의 제어에 대해서, 도 5, 도 6,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주행 조작 레버(10)의 정지 위치 및 전진 후진지역의 각 단의 변속 위치에서의 위치 결정모양의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를 바꾸어 가능하게 수납한 더블 캠 수납 박스(330)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7(a), 도 7(b)는, 각각 제 1 캠 부재(310), 제 2 캠 부재(320)의 외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6에서 나타내는 대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서로 마주 보게 체결된 수납 케이스(330a와 330b)의 내부에는, 베어링 부재(337a와 337b)에 의해 회전 자유자재로 지시된 회전축 부재(337)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축 부재(337)에는, 전동판(336)이 록 키(336b)에 의해 상시 고정되어 있다. 또, 전동판(336)에, 주행 조작 레버(10)에 의한 전진 조작, 정지 조작 및 후진 조작의 움직임이 연동 부재(10a)에 의해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전동판(336)의 도면 중 좌측에 배치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는, 도 7(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부채꼴을 하고 있어, 그 부채의 요점에 상당하는 위치에 설치된 관통공(312, 322)에, 회전축 부재(337)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관통공(312, 322)에는, 각각, 후술하는 변환 록 부재(334)의 손톱부(334a)가 삽입되는 손톱용 오목부(311, 32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7(a),(b)를 참조하면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캠 부재(310)는,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서 설명한 후진 5단, 전진 8단의 조작 위치를 실현하기 위한 캠이며, 부채꼴의 원호상 단부에는,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와, 후진 주행지역에는 1단, 2단, 3단, 4단, 5단의 5개의 단계에 대응하는 위치와, 전진 주행지역에는 8개의 단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등 간격으로 원호상 오목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캠 부재(320)는, 상기 제 1 캠 부재(310)와 달리, 부채꼴의 원호상 단부에는, 정지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와, 후진 주행지역에는 1.5단, 3단, 4단, 5단의 4개의 단계에 대응하는 위치와, 전진 주행지역에는 8개의 단계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원호상 오목부(323)가 형성되어 있지만, 등 간격은 아니다. 즉, 후진 주행지역 중, 정지 위치의 근처의 조작 위치는, 제 1의 캠 부재(310)의 단의 관계로 말하면, 1단과 2단의 중간의 1.5단이며, 또한 그 위치 이후의 조작 위치는, 3단, 4단, 5단이 된다.
또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의 단부에는,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에 연동한 전후진 변환과 무단변속을,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변속 장치(5)(HST)에 행하게 할 수 있도록,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후진의 이동량을 포텐셔미터(도시 생략)로 전달하는 전달 암(314, 324)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다시, 도 6으로 돌아와 더 설명한다.
회전축 부재(337)의 외주의 일부에는 축 방향을 따라 홈(337c)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337c)을 외주로부터 가릴 수 있도록, 회전축 부재(337)의 외경보다 큰 외경의 통 모양 커버(339)가 설치되어 있다. 홈(337c)과 통 모양 커버(339)로 둘러싸인 공간에, 첨단부에 볼록한 모양의 손톱부(334a)가 형성된 막대 모양의 변환 록 부재(334)가, 판 용수철 부재(335)에 의해 가세되고, 회전축 부재(337)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더블 캠 수납 박스(330)에는, 수납 케이스(330a와 330b)의 일부에 의해, 화살표 A방향으로 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 부재(337)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한쪽의 단부가 수납 케이스(330a)의 외부로 돌출된 변환 샤프트(332)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변환 샤프트(332)의 한쪽의 단부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기 쉬운 형상의 변환 레버(331)가 장착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변환 레버(331)의 움직임에, 변환 록 부재(334)를 연동시키는 연동판(333)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변환 록 부재(334)의 손톱부(334a)는, 주행 조작 레버(10)가 정지위치에 있을 때에, 변환 레버(331)의 움직임에 연동하고, 제 2 캠 부재(320)의 손톱용 오목부(321), 또는 제 1 캠 부재(310)의 손톱용 오목부(311)에 삽입되고, 제 1 캠 부재(310) 또는 제 2 캠 부재(320)의 어느 한쪽이 회전축 부재(337)에 일시적으로 고정 록 된다.
또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의 각각에 복수 형성된 원호상 오목부(313, 323)에 있어서 주행 조작 레버(10)를 대응지어 위치를 정할 수 있도록, 더블 캠 수납 박스(330)의 외벽에 설치된 용수철 고정핀(340)에 의해 상단부가 고정된 접촉 용수철 부재(338a, 338b)의 하단부에는, 롤러(338a1, 338b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롤러(338a1, 338b1)는,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의 각각이, 회전축 부재(337)의 축 주위에서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로, 접촉 용수철 부재(338a, 338b)에 의해서 원호상 오목부(313, 323)에 가세되어 있다.
또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의 배치는, 도 6에 한정하지 않고, 제 1 캠 부재(310)가, 제 2 캠 부재 320보다 전동판(336) 측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주행 차체(2)가 후진 주행으로 디딤판을 오를 때, 작업자가 토크 부족이 될 것 같다고 예상했을 때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정지 위치로 한 상태에서, 변환 레버(331)를 밀어넣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게 하는 것으로, 변환 록 부재(334)의 손톱부(334a)가 같은 방향으로 연동하여 움직여, 제 2 캠 부재(320)의 손톱용 오목부(321)와 감합하고, 제 2 캠 부재(320)가 회전축 부재(337)에 고정 록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캠 부재(310)에서 제 2 캠 부재(320)로의 변환이 간단한 한편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 최초로 클릭감을 느끼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그 조작에 대응하고, 전동판(336) 및 제 2 캠 부재(320)가, 회전축 부재(337)의 축 심지 X(도 6 참조) 주위에서 회동하고, 도 7(b)에 나타내는 제 2 캠 부재(320)의 1.5단의 위치에 형성된 원호상 오목부(323)에, 롤러(338b1)가 접촉하여 전후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상태에서, 주행 조작 레버(10)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때, 제어장치(200)는, 엔진 스로틀(20)을 기준으로서, 엔진(6)이 도 5(a)에 나타낸 후진 1단과 후진 2단의 사이의 위치에 대응하는 엔진 회전수(도 5(a)에서는, 약 2300rpm)에 상당하는 출력을 얻기 위한 개도 지령을 내린다. 또한, 디딤판이 급경사이기 때문에, 실제의 엔진 회전수는 2300rpm까지 상승하는 것은 아니고 저속 주행이 되지만, 그 대신 고 토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변속 장치 5(HST)는,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지령을 받고, 주행 조작 레버(10)의 후진 주행의 1.5단으로의 조작에 대응한 트라이온 축의 각도 조절에 의해 엔진 동력을 전후 바퀴고리(3, 4)에 변속 전동하는 것으로, 후진 주행 개시시에 저속 또한 고 토크의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후진 주행으로 높은 토크가 필요할 때는, 후진 주행 개시시에 주행 속도를 너무 올리지 않고, 통상보다 높은 주행 토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사지나 요철이 많은 장소 등에서 후진 주행할 때에, 토크 부족으로 주행이 정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의 레버 위치 결정부의 일례가, 본 실시형태의 제 1 캠 부재, 접촉 용수철 부재(338a) 및 롤러(338a1) 등을 포함한 구성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제 2의 레버 위치 결정부의 일례가, 본 실시형태의 제 2 캠 부재, 접촉 용수철 부재(338b) 및 롤러(338b1) 등을 포함한 구성에 해당한다. 또, 본 발명의 변환부의 일례가, 본 실시형태의 변환 레버(331), 변환 샤프트(332), 연동판(333), 변환 록 부재(334), 판 용수철 부재(335) 등을 포함한 구성에 해당한다.
(II-4).상기 설명에서는, 밭 내에서의 후진 주행시의 동작을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제어장치(200)에 있어서, 예를 들면, 엔진(6)으로의 연료 분사의 타이밍 등을 전자 제어함으로써, 표준 모드, 저연비 모드, 고출력 모드, 후진 모드 등의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엔진 제어 모드를,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바꿀 때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승용 모내기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저연비 모드(L), 표준 모드(M) 및 고출력 모드(H)를 나타내는 특성선도이다.
이하, 복수의 엔진 제어 모드를 동작시키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기기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대로, 여기에서의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는, 엔진(6)의 전진 주행에 있어서의 동력 특성으로서,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 정지 위치로부터 최고속위치의 8단에 걸친 차속 지시에 의한 회전수에 대해서, 저연비 모드(L), 표준 모드(M), 고출력 모드(H)를 설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저연비 모드(L)는, 저연비 주행용으로서 저회전 아이들링(L0)으로부터 시작되는 동력 특성이며, 표준 모드(M)는, 통상의 주행용으로서 통상 회전 아이들링(M0)으로부터 시작되는 동력 특성이며, 고출력 모드(H)는, 진창주행용으로서 고회전 아이들링(H0)으로부터 시작되는 동력 특성이다. 또한, 후진 모드는, 상술한 「제 1의 제어」(도 5 참조)를 포함한 후진 주행용으로 설정된 제어 모드이다.
제어장치(200)는, 상기 4개의 회전 모드의 어느 한쪽을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에 의해서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주행 조작 레버(10)의 지시가, 도 8에 나타내는 대로, 전진 정지 위치 「0단」으로부터 발진 직후의 레버 위치 「2단」까지의 저속지역에 대해 고출력 모드(H)를 적용하고, 레버 위치 「3단」이상의 중속지역 이상에서는,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선택된 회전 모드를 적용한다.
예를 들면,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에 의해서 저연비 모드(L)를 선택하고 있을 때는, 도 8에 나타내는 특성 도면상의 H0, H2, L3, L8의 각 점을 묶는 특성선에 의한 엔진 동력을 변속 장치(5)에 공급한다. 상술한 동력 특성에 의한 제어 동작은, 주행 조작 레버(10)가 전진 정지 위치 「0단」으로부터 증속 조작되면, 변속 장치(5)가 정지속도로 고출력 모드(H)에 의한 아이들링 회전(H0)으로부터 발진 직후의 저속지역의 레버 위치 「2단」까지 고출력 모드(H)가 유지되며, 그 다음으로 중속지역의 증속 조작에 의해,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에 의한 저연비 모드(L)로 이행한다.
또한,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에 의해서, 후진 모드를 선택하고 있을 때는, 상술한 「제 1의 제어」(도 5 참조)을 포함한 후진 주행용으로 설정된 제어 모드를 실시한다.
또, 예를 들면,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에 의해서 저연비 모드(L)를 선택하고 있을 때라도, 작업자가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정지 위치 및 후진 주행지역에 조작했을 때는,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의 선택 결과에 관계없이, 후진 모드에 의거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저연비 주행부터 진창 주행에 이르는 동력 특성 폭에서 엔진(6)으로부터 각 기기에 동력을 공급하여 변속 장치(5) 및 모 이식장치(7)에 의해 이식 작업 주행을 행할 때, 저연비 모드(L), 표준 모드(M), 고출력 모드(H)의 어느 한쪽의 모드 선택에 따라서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에 대응한 엔진 제어를 행하고, 또, 정차시 및 발진 직후의 저속지역의 주행에 한정하여 고출력 모드(H)가 적용된다.
또, 후진 주행 중은,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의 선택 결과에 관계없이, 후진 모드에 의거한 엔진 회전수를 우선시키므로, 연료 분사의 타이밍을 전자 제어에 의해 치밀하게 제어할 필요가 없고, 전자 제어에 관계하는 전장 계통의 비정상에 기인한 엔진 회전수의 제어 불능이나 회전수 부족을 방지할 수 있으며, 주행 차체나 모 이식장치(7)가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또한, 저연비 모드(L)의 선택에서는 딱딱한 토질의 밭에서 작업할 때에 연비 향상과 배기가스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고출력 모드(H)의 선택에서는 진창 쉬운 토질의 밭에서 작업할 때에 저속 주행 자세의 안정화와 이식부의 승강 등에 필요한 충분한 유압의 확보에 의해 작업 능률의 향상이나 모의 이식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모드 선택에 의한 간단하고 쉬운 조작에 의해서 토질 상황에 맞춘 엔진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정차시 및 발진 직후의 저속지역의 주행에 한정하여 고출력 모드(H)가 적용되기 때문에, 진창 쉬운 토질의 밭에서 작업할 때에 있어서 부적합한 회전 모드를 선택하고 있어도, 저속 안정 주행을 확보한 다음, 고속 주행시의 연비 향상과 배기가스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의 제어로서,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의 소정 위치(도 5(a)의 후진 주행의 1단계와 2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높게 하는 제어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 중 주행 속도를 최고로 설정하는 최고속위치(예를 들면, 후진 주행지역의 5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주행 조작 레버(10)가, 최고속위치보다 앞의 위치(예를 들면, 후진 주행지역의 4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의 쪽을 높게 하는 제어만 한다면,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의 소정 위치(예를 들면, 도 5(a)의 후진 주행의 1단계와 2단계의 위치)에 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낮게 하는 제어라도 좋다.
이 구성이라고 해도,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가 종래보다 급속히 상승하므로,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모 이식장치(7) 등의 작업기를 보다 신속히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 1단, 2단보다 높고, 3단?5단보다는 낮은 값으로 제어할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도 5(a)에 나타내는 4단의 회전수와 같은 고회전수(예를 들면, 풀 스로틀)에 제어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재빠르게 모 이식장치(7)가 상승하므로, 모 이식장치(7)의 시비 비료의 출구에 설치된, 밭에 홈을 내는 작구기(도시 생략)에 진흙이 가득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진 주행시에, 작구기가 밭 면 근처에 있으면, 진흙이 가득 차서, 비료의 출구를 막아 버려, 작업 능률이 저하한다. 또, 이와 같은 엔진 회전수의 제어를,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또한, 승강 레버(180)를 「상승」위치로 전환했을 때에 실시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후진 정지 위치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도 5(a)에 나타내는 4단의 회전수와 같은 고회전수(예를 들면, 풀 스로틀)로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플로트(16)(도 1 참조)가 접지하는 곳까지 모 이식장치(7)가 내려가 있으면, 모 이식장치(7)를 고속 상승시켜도 후진 속도가 빠르면 작구기에 진흙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플로트(16)가 비접지 상태가 될 때까지는, 예를 들면, 정지 위치에서의 아이들링 회전수를 유지한 채로, 극히 저속으로 천천히 후진 주행하면서, 모 이식장치(7)를 천천히 상승시키고, 어느 정도 상승한 것을 검지하면, 도 5(a)에 나타내는 4단의 회전수와 같은 고회전수(예를 들면, 풀 스로틀)로 전환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플로트(16)(도 1 참조)가 접지하는 곳까지 모 이식장치(7)가 내려가 있을 때에도, 작구기에 진흙이 들어가기 어렵게 하는 한편, 모 이식장치(7)를 재빠르게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로트(16)에는, 플로트(16)의 경사도를 검지하는 포텐셔미터(도시 생략)를 설치하고, 상기 포텐셔미터의 검지 각도에 의해 플로트(16)가 밭 면에 접지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제어장치(200)가 판단하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모 이식장치(7)가 소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고 있는 동시에, 상승 검지 부재(130)를 구성하는 백 리프트 스위치가 눌리고 있을 때는, 작업자가 승강 레버(180)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승」위치로 이동시켜도, 엔진 회전수는 현재의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단계에 대응하는 회전수(도 5(a)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엔진 회전수를 참조)에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의 실시형태로 하면, 모 이식장치(7)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조작을 잘못하여 승강 레버(180)를 「상승」위치로 이동시켜도 엔진 회전수가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여분의 연료 소비가 억제되고 저연비화가 재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엔진 회전수가 엔진 스로틀(20)의 개도로 제어될 때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자 제어에 의해 연료 공급량을 미조정하여 엔진 회전수를 바꾸는 타입의 엔진(예를 들면, DFi 엔진)을 이용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역 중, 최고속위치의 엔진 회전수보다, 최고속위치보다 앞의 위치로서 1단 앞의 위치(도 5(a)의 후진 4단계에 해당)에 있어서의 엔진 회전수의 쪽을 높게 하는 구성(도 5(a) 참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최고속위치보다 앞의 위치로서 2단 앞의 위치(예를 들면, 도 5(a)의 후진 3단계에 해당), 또는 3단 앞의 위치(예를 들면, 도 5(a)의 후진 2단째에 해당)를 설정해도 좋다. 이 구성이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전진 주행이 8단 변환 가능하고, 후진 주행이 5단 변환 가능을 행할 때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전진 주행 및 후진 주행의 변환 가능 단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구성요소를 모두 갖춘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속도 검출부(120), 상승 검지 부재(130), 부 변속 조작 레버(140), 부 변속 레버 위치 검출부(150), 액셀 페달(13), 액셀 조작 검출부(160),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의 전부 또는 일부는 갖추고 있지 않아도 좋다. 즉, 적어도, 상술한 변속 장치(5)(HST)와, 주행 조작 레버(10)와, 엔진 스로틀(20)과, 엔진(6)과, 후진 위치 검출부(110)와, 승강 장치(30)와, 제어장치(200)를 갖춘 작업 차량의 구성으로만 하면, 상술한 대로,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후진 주행중에 종래보다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변속 장치(5)의 트라이온 축(도시 생략)의 각도 조절을, 제어장치(20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모터(도시 생략)를 구동시켜 실시하는 제어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조작 레버(10)의 움직임을 중계 링크 기구(350)에 의해, 모터를 통하지 않고 변속 장치(5)의 트라이온 축에 구조적으로 연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중계 링크 기구(350)의 일례로서 도 9에서는, 제 1 캠 부재(310)의 전달 암(314)에 연결된 제 1 연결 와이어(351)와, 제 2 캠 부재(320)의 전달 암(324)에 연결된 제 2 연결 와이어(352)가, 중계 부재(353)에 있어서 하나로 정리되어 더 거기에서 변속 장치(5)로 연결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주행 조작 레버(10)의 움직임은, 중계 링크 기구(350)에 의해 변속 장치(5)의 트라이온 축으로 전달되는 동시에,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후진의 이동량을 검출하는 포텐셔미터(도시 생략)의 검출치 및 후진 위치 검출부(110)에 의한 검출 결과로서 제어장치(200)에 입력되고, 제어장치(200)에서는 엔진 스로틀(20)의 개도 조정의 지령이 출력된다.
이 구성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후진 주행중에 종래보다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후진 위치 검출부(110)를 갖춘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행 조작 레버(10)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포텐셔미터가, 주행 조작 레버(10)의 이동량뿐만 아니라, 적어도 주행 조작 레버(10)가 후진 주행지역 또는 전진 주행지역의 어느 측에 있을까를, 주행 조작 레버(10)의 정지 위치로부터의 이동 방향(전진측과 후진측)에 대응한, 플러스 전압의 출력과 마이너스 전압의 출력에 의해 구별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후진 위치 검출부(110)를 갖추지 않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상기의 구성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후진 주행중에 종래보다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주행 차체(2)가 디딤판을 오를 때나, 밭에서 나올 때 필요한 고 토크를 확보하는 엔진 회전수의 제어에 대해서, 제 1 캠 부재(310)와, 제 2 캠 부재(320)를 바꾸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예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후륜(4)의 회전수를 검지하는 후륜 회전 센서(4a)(도 11 참조)를 갖추는 것으로,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의 1단계(도 5(a), 도 7(a) 참조)에 조작하고, 디딤판을 오를 때는, 제어장치(200)는, 후륜 회전 센서가 소정의 회전수(예를 들면, 디딤판을 안전하게 오를 수 있는 정도의 회전수)를 검지할 때까지,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제어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고 토크를 필요로 할 때에도, 엔진 회전수가 너무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는 주행 차체(2)의 조작에 집중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그런데, 주행 차체의 후부에 모 이식장치(7) 등의 작업기를 장착 가능하게 한 작업 차량은, 밭두렁을 넘는 주행이나 트럭으로의 하역 등에 있어서는, 작업자는 운전석에서 내려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작업 차량의 변속 조작을 행하기 어려운 상태에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구성으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차량의 일례인 승용 모내기기(1)의 전 측에 출몰 전환 가능하게 프런트 암(42)이 설치되어 있다. 즉, 작업자는, 프런트 암(42)을 수동에 의해 보닛(40)의 전방 측(도 1의 화살표 F 참조)으로 넘어뜨릴 수 있는 구성이다. 이하, 도 10(a), 도 10(b)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프런트 암(42)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10(a)는 본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를 전면 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10(b)는 도 10(a)에 나타낸 표주박형의 구멍부(41)와 그 주변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도 10(a), (b)에 나타내는 승용 모내기기(1)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것에는 같은 부호를 교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 차체(2)의 앞 부분에 설치하는 보닛(40)의 하부에서 또는 좌우 방향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고 하부측이 가는 긴 구멍(41a)과, 상기 긴 구멍(41a) 보다 좌우 방향으로 넓은 둥근 구멍(41b)으로 구성되는 표주박형의 구멍부(41)를 형성하고, 상기 구멍부(41)의 내부에 프런트 암(42)의 기초부를 배치한다. 상기 프런트 암(42)의 기초부의 측부(42a)에서 또는 보닛(40)의 내부에 규제 플레이트(43)를 설치하고, 상기 규제 플레이트(43)를 프런트 암(42) 측에 가세하는 스프링(44)을 설치한다.
또한, 프런트 암(42)은, 긴 구멍(41a)의 하단부의 폭(41aw)과 대략 같은 지름으로 구성하고, 작업자가 수동에 의해, 프런트 암(42)을 스프링(44)의 가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밀어 조작하고 규제 플레이트(43)를 횡방향(도 10(b) 중에서는, 좌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둥근 구멍(41b)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10도 미만 정도 밖에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한다.
또, 상기 프런트 암(42)에 회동 조작 각도(도 1의 화살표 F 방향의 회동 각도)를 검출하는 앞 부분 포텐셔미터(45)(도 11 참조)를 설치하고, 상기 포텐셔미터(45)와 제어장치(200)를 연결하고, 프런트 암(42)의 회동 조작 각도가 일정 각도(30?60도) 이상이 되며, 또한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단계가 후진 1단계라면, 엔진 스로틀(20)을 통하여 엔진(6)의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후륜 회전 센서(4a)가 후륜(4)의 회전 개시(후륜이 1/4?1회전 함)를 검지하면, 주행 조작 레버(10)가 조작될 때까지, 검지시의 엔진 회전수를 보관 유지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딤판이나 밭의 출입구 등의 경사지를 뒤로 올라 주행할 때,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2단계 이상으로 조작하지 않고, 후륜(4)이 회전 가능해지는 토크가 확보될 때까지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후진 속도가 상승하지 않고 디딤판이나 경사지를 후진 주행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 프런트 암(42)의 기초부를, 보닛(40)에 형성한 표주박구멍(41)에 설치하고, 프런트 암(42)의 측부(42a)에는 스프링(44)으로 가세되어 있는 규제 플레이트(43)를 설치함으로써,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프런트 암(42)을 스프링(44)의 가세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눌러 조작하지 않는 한 프런트 암(42)이, 소정 각도(30?60도) 이상 회동하는 일은 없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밭의 요철 등에 의해 주행 차체(2)가 진동했을 때에, 프런트 암(42)이 마음대로 소정 각도(30?60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이식작업 중이나 평지에서의 주행 중에 돌연 엔진 회전수가 상승하고, 모의 이식조 열이 흐트러지는 것이나 주행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지는 것이 방지되어 모의 이식정밀도나 조작성이 안정된다.
또한, 후진 조작을 행할 때는, 작업자가 후진 조작을 침착하게 행할 수 있도록,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1단계로 하고 있고, 프런트 암(42)을 소정 각도 이상 회동 조작했을 때만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작업자가 기체에서 내려, 기체의 전방에 서서 경사지를 이동시킬 때는,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단계가 전진 2단, 또는 3단에 있어도, 프런트 암(42)을 넘어뜨리면, 후륜 회전 센서(4a)가 기체의 전진을 검지할 때까지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하면, 작업자는 기체 상에 있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지 않고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한다.
다만,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단계가 4단 이상이 되면, 엔진 회전수가 올라 경사지를 오를 수 있는 토크가 확보되는 것과 동시에 고속으로 기체가 주행을 개시하여, 작업자의 감속 조작이 어려워지므로, 프런트 암(42)을 회동 조작해도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또, 앞 부분 포텐셔미터(45)가 소정 각도 이상의 회동 조작을 검출하면, 제어장치(200)로부터 신호를 발하고, 유압 밸브(46)로부터 파워 스티어링 기구(47)로의 송유를 차단하고, 스티어링 핸들(11)의 조작을 유압으로 어시스트하지 않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도 11 참조).
상기 구성에 의해, 기체를 이동시키는 경사지가 질퍽해져 있고, 진창에 의해 스티어링 핸들(11)이 마음대로 조작되는 일이 있어도, 파워 스티어링 기구(47)가 정지하고 있으면 스티어링 핸들(11)은 대부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기체의 직진을 방해할 수 없어, 조작성이 향상한다.
또, 상기 프런트 암(42)에 각속도 센서(48)를 설치하고, 상기 각속도 센서(48)가 반응하면 엔진(6)이 강제적으로 정지당하는지, 혹은, 엔진 회전수를 강제적으로 내리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딤판이나 경사지 등, 프런트 암(42)을 회동 조작하고 있을 때에, 작업자가 발이 미끄러지거나 벽 등에 과도하게 접근하거나 하여 프런트 암(42)을 고속으로 조작하면, 기체의 주행을 그 자리에서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의 안전성이 향상한다.
또한, 상기 프런트 암(42)의 상단부에는, 작업자가 직진시의 표준으로 하는, 센터 마스코트(49)를 설치한다.
또, 도 10,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프런트 암(42) 및 거기에 관련한 각 구성요소(앞 부분 포텐셔미터(45), 유압 밸브(46), 파워 스티어링 기구(47), 각속도 센서(48) 등)는, 도 3, 도 4 등을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승용 모내기기(1)에 설치한 구성 예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종래의 승용 모내기기에 설치한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 구성 예라고 해도, 도 10 및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 효과와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작업기로서 모 이식장치를 연결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모 이식장치 이외의 각종 작업용 장치를 연결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작업 차량은, 주행 정지상태에서의 대기 시간을 불필요로 하면서, 후진 주행 중에 종래에 비해 단시간에 작업기를 상승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지므로, 차체의 후부에 모 이식기 등의 작업기를 연결하여 각종 작업을 행하는 작업 차량으로서 유용하다.
1. 승용 모내기기 2. 주행 차체
3. 전륜(주행 장치) 4. 후륜(주행 장치)
5. 변속 장치 6. 엔진
7. 모 이식장치 8. 링크 기구
9. 유압 승강 실린더 10. 주행 조작 레버
11. 스티어링 핸들 12. 조종부
13. 액셀 페달 14. 묘재탱크
15. 이식장치 16. 플로트
120. 속도 검출 부재 130. 상승 검지 부재
170. 모드 선택 부재 200. 제어장치

Claims (10)

  1. 주행 차체(2)에 링크 기구(8)를 통하여 모 이식장치(7)를 설치하고, 상기 링크 기구(8)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3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6)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6)의 동력을 변속하여 주행 장치로 전동하는 변속 장치(5)를 설치하고, 상기 변속 장치(5)를 조작하여 주행 속도를 변속하는 주행 조작 레버(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진 주행지역, 전후진 정지지역 및 후진 주행지역의 순으로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의 조작 위치에 대응하여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에서 최고속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최고속위치보다 저속측으로 구성되는 조작 위치에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조작하면 상기 모 이식장치(7)가 상승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에 조작했을 때의 최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높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모드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어 모드로부터 1개의 제어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를 설치하고, 상기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선택한 제어 모드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200)가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의 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는 동시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의 후진 주행지역에서는, 상기 모드 선택 조작 부재(170)로 선택한 제어 모드에 관계없이, 소정의 엔진 회전수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 회전수의 증감 조작을 행하는 액셀 페달(13)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상기 액셀 페달(13)이 조작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에 엔진 회전수의 증감 조작을 행하는 액셀 페달(13)을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 내의 최고속위치에 조작하고 있어도 상기 액셀 페달(13)이 조작되면, 엔진 회전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상승 검지 부재(130)가 검지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130)를 설치하고,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할 때까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이식 작업시의 주행 속도와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 조작하는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조작하여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하면,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의 최고속위치까지 조작하면 엔진 회전수를 후진 주행지역에 있어서의 최대 회전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이식 작업시의 주행 속도와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 조작하는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설치하고, 상기 부 변속 조작 레버(140)를 조작하여 이동시의 주행 속도로 전환하는 동시에, 전후진 정지지역에 있어서의 후진 주행지역 측에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할 때까지의 엔진 회전수보다, 상기 상승 검지 부재(130)가 상기 모 이식장치(7)의 저부가 지면에 접촉하지 않는 높이까지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의 엔진 회전수를 낮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차체(2)의 주행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부재(12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후진 주행지역으로 조작한 상태에서 주행 속도가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에 도달한 것을 상기 속도 검출 부재(120)가 검출하면,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주행 조작 레버(10)를 고속 측에 조작해도 주행 속도가 상기 작업자가 전환 부재를 조작하여 설정한 속도를 넘지 않는 엔진 회전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20017882A 2011-02-23 2012-02-22 작업차량 KR1013120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37404A JP5927763B2 (ja) 2011-02-23 2011-02-23 作業車両
JPJP-P-2011-037404 2011-02-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6899A true KR20120096899A (ko) 2012-08-31
KR101312087B1 KR101312087B1 (ko) 2013-09-27

Family

ID=46690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882A KR101312087B1 (ko) 2011-02-23 2012-02-22 작업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927763B2 (ko)
KR (1) KR101312087B1 (ko)
CN (1) CN102648675B (ko)
MY (1) MY159106A (ko)
TW (1) TWI461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716B1 (ko) * 2013-02-19 2015-11-20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이식기
KR101709595B1 (ko) * 2013-08-23 2017-02-23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모종 식부 장치
KR102553645B1 (ko) * 2016-11-11 2023-07-10 주식회사 대동 작업차의 엔진 특성 제어 방법
JP6915593B2 (ja) * 2018-06-29 2021-08-04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12136436A (zh) * 2019-06-27 2020-12-29 丰疆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插秧机和插秧机油门控制方法
CN116880304A (zh) * 2021-12-13 2023-10-13 广州极飞科技股份有限公司 插秧机自动控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101A (en) * 1979-12-18 1984-04-03 Illinois Tool Works Inc. Plant transfer mechanism
JP3378318B2 (ja) * 1993-11-05 2003-02-17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機のバックアップ装置
JP3712486B2 (ja) * 1996-12-03 2005-11-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電子ガバナー機構付エンジン搭載乗用田植機
JP3829313B2 (ja) * 1997-12-17 2006-10-04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2000179370A (ja) * 1998-12-16 2000-06-27 Iseki & Co Ltd 作業車両のエンジン回転制御装置
CN1311979A (zh) * 2000-11-17 2001-09-12 冯万明 匍匐挪步栽种机
JP4650916B2 (ja) * 2001-03-09 2011-03-16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JP4782298B2 (ja) * 2001-03-15 2011-09-28 ヤンマー株式会社 乗用田植機
JP2002335726A (ja) * 2001-05-22 2002-11-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田植機
KR100448944B1 (ko) * 2001-08-10 2004-09-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수전작업기
JP3998488B2 (ja) * 2002-02-14 2007-10-24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の変速操作構造
JP3966797B2 (ja) * 2002-09-26 2007-08-29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JP2005193816A (ja) * 2004-01-08 2005-07-21 Kubota Corp 水田作業車
JP4431864B2 (ja) * 2004-01-26 2010-03-17 井関農機株式会社 水田作業機
JP4872980B2 (ja) * 2008-07-29 2012-02-08 井関農機株式会社 田植機
JP5560542B2 (ja) * 2008-07-30 2014-07-30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2010207104A (ja) * 2009-03-06 2010-09-24 Yanmar Co Ltd 田植機
JP5662647B2 (ja) * 2009-03-16 2015-02-04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2087B1 (ko) 2013-09-27
CN102648675A (zh) 2012-08-29
CN102648675B (zh) 2014-11-26
TWI461147B (zh) 2014-11-21
MY159106A (en) 2016-12-15
TW201234955A (en) 2012-09-01
JP5927763B2 (ja) 2016-06-01
JP2012170420A (ja)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2087B1 (ko) 작업차량
JP2009201386A (ja) 走行車両
JP5332591B2 (ja) 苗移植機
JP2010029134A (ja) 苗植機
JP5280131B2 (ja) 移植機
JP2009287472A (ja) 作業車のアクセル制御構造
JP4646798B2 (ja) 移植機
JP5761298B2 (ja) 苗移植機
JP2003129879A (ja) トラクタの走行制御方法
JP2010148377A5 (ko)
JP2013123383A (ja) 苗移植機
JP3966797B2 (ja) 移植機
KR100448944B1 (ko) 수전작업기
JP2010051187A (ja) 移動農作業機の変速操作装置
JP5218268B2 (ja) 作業機
JP7287520B2 (ja) 作業車両
JP4470460B2 (ja) 苗植機の植付伝動装置
KR20200121224A (ko) 작업 차량
JP4899373B2 (ja) 作業車両
JP5402554B2 (ja) 作業機
JP2013201972A (ja) 苗移植機
JP7494878B2 (ja) 制御装置
JP2013198463A (ja) 苗移植機
JP4918107B2 (ja) 移動農機
JP3996269B2 (ja) 田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