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9595B1 - 모종 식부 장치 - Google Patents

모종 식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595B1
KR101709595B1 KR1020140050481A KR20140050481A KR101709595B1 KR 101709595 B1 KR101709595 B1 KR 101709595B1 KR 1020140050481 A KR1020140050481 A KR 1020140050481A KR 20140050481 A KR20140050481 A KR 20140050481A KR 101709595 B1 KR101709595 B1 KR 101709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
eccentric
rotary
input gea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0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640A (ko
Inventor
사토시 카토
나오키 홋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7378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670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763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7933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2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모종의 포기간을 넓게 변경하거나, 주행 속도를 높여서 식부 구동축의 회전을 빠르게 할 때에, 전동 회전체에 의한 진동이나 공진의 발진을 방지할 수 있는 모종 식부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식부 회전축(30)에 회전 케이스를 설치하고, 회전 케이스(31)에 심기 로드(27)를 설치하고, 회전 케이스에는 식부 회전축(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편심 입력 기어(40)와, 심기 로드(27)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4)에 장착하는 편심 출력 기어(42)와, 편심 입력 기어(40)로부터 편심 출력 기어(42)로 구동력을 전동하는 중계 입력 기어(41)를 설치하고,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을,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 이외에 위치시키고,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 통과 후부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위치에서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시가 최소로 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모종 식부 장치{SEEDLING TRANSPLANTATION DEVICE}
본 발명은 이앙기 등의 모종 이식기에 설치되는 모종 식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종 이식기의 후방의 모종 적재대에 적재되어 있는 모종 매트로부터 모종을 잡아 포장에 식부하는 모종 식부 장치로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 모종 식부 장치는 좌우 방향의 식부 구동축을 회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좌우의 로터리 케이스를 구비하고, 이 로터리 케이스의 양단부에 모종 잡기 클로과 모종 압출체를 가진 모종 식부구를 배치한다. 이 로터리 케이스의 회전 중에 모종 식부구의 선단부를 로터리 케이스의 회전 외주로 돌출시켜서 대략 타원형상의 식부 궤적선을 그려서 모종의 분리, 식부 작동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7-0895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299029호 공보
상기 구성의 모종 식부 장치에서는 모종의 전후 방향의 식부 간격, 즉 포기간을 넓게 변경(특히, 37∼42주)하거나, 주행 속도를 높여서 식부 구동축의 회전을 빨리하거나 하면 로터리 케이스의 회전수가 증감하고,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과 공진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 공진에 의해 모종 식부 장치 부분의 진동 진폭이 커져서 모종 식부구가 모종을 잡지 않아 결주가 발생하거나, 적절한 식부 위치에서 모종을 식부할 수 없거나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 이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포기간 변경이나 주행 속도 변경에 대하여 편심 선 기어, 편심 카운터 기어 및 편심 플래니터리 기어를 변경해서 포기간을 넓게 하거나 차속을 고속화하거나 해도 공진이 발생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편심 기어의 조합에 따라서는 식부 선단부의 궤적이 바뀌고, 모종의 식부 깊이가 얕아져서 식부했을 것인 모종이 바람이나 수류에 의해 소실되어 결주로 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어의 맞물림에 의한 진동 진폭을 억제할 수 있는 모종 식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도록 다음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좌우 방향의 식부 회전축(30)에 회전 케이스(31)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에 심기 로드(27)를 설치해서 구성하는 모종 식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1)에는, 상기 식부 회전축(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편심 입력 기어(40)와, 상기 심기 로드(27)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4)에 장착되는 편심 출력 기어(42)와,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로부터 편심 출력 기어(42)로 구동력을 전동하는 중계 입력 기어(41)를 설치하고, 상기 중계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을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 이외에 위치시키고, 상기 심기 로드(27)는 상기 회동축(34)에 장착되는 식부구 케이스(35)와, 모종을 잡아서 유지하는 식부 부재(36)와, 상기 식부 부재(36)로부터 모종을 압출하는 압출 부재(37)와, 상기 압출 부재(37)를 선단에 설치한 모종 압출체(29)를 출납하는 작동 암(74)과, 상기 작동 암(74)을 압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압출 스프링(76)과, 상기 식부구 케이스(35)의 내부 공간에서 모종 압출체(29)에 장착되는 압출 너트(70)를 설치해서 구성하고, 상기 작동 암(74)의 회동 지점인 암축(73)과 상기 작동 암(74)의 일측 단부의 사이에, 압출 위치로 회동한 상기 작동 암(74)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77)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 암(74)이 보호 부재(77)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 상기 압출 너트(70)의 압출측 끝면과 식부구 케이스(35)의 벽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모종 압출체(29)가 슬라이딩하는 식부구 케이스(35)의 내측의 측면에 오일 바이패스(7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회전 케이스(31)의 중심부에 상기 식부 회전축(3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상기 회동축(34, 34)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34, 34)에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식부 회전축(30)과 회동축(34, 34) 사이이고 또한 회동축(34, 34)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중계 회전축(44, 44)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중계 회전축(44, 44)에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 4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에는,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의 위치에서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볼록부(31c, 31c)를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오목부(31d, 31d)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를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회전 케이스(31)에 비원형상의 제동 캠(47, 47)을 설치하고, 상기 제동 캠(47, 47)에 접촉하는 제동 접촉 부재(48, 48)를 설치하고,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중계 입력 기어(41, 41)가 위치하고, 상기 제동 접촉 부재(48, 48)를 제동 캠(47, 47)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식부구 케이스(35)의 오목부(31d, 31d)에 상기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수용하는 수용 돌기부(31a, 3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동 캠(47)에 돌기부(47t)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47t)는 상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후부터 모종 적재대(22)의 모종을 잡기 전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동 접촉 부재(48)에 접촉하고,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적재대(22)로부터 모종을 잡는 위치에서는 제동 접촉 부재(48)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4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 통과 후부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41) 및 편심 출력 기어(42, 42)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시가 최소로 됨과 아울러,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에 지름이 최대로 되는 입력 최대 지름부(40m)를 형성하고,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에 지름이 최대로 되는 중계 최대 지름부(41m)와 지름이 최소로 되는 중계 최소 지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에 지름이 최소로 되는 출력 최소 지름부(42m)를 형성하고,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으로부터 포장면의 상방으로 완전히 이탈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최소 지름부가 맞물리는 제 1 상태와, 출력 최소 지름부(42m)와 중계 최대 지름부(41m)가 맞물리는 제 2 상태로 되고, 또한 다른 위상에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가 현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스트레이트부(30a)와 상기 스트레이트부(30a)에 연결되는 경사부(30b)를 상기 식부 회전축(30)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레이트부(30a)와 경사부(30b)에 고정 부재(39)가 접촉해서 회전 케이스(31)를 식부 회전축(3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회동축(34)에 대한 상기 심기 로드(27)의 회동축(34)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50)를 상기 심기 로드(27)와 회전 케이스(31)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모종 식부 장치이다.
삭제
삭제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이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회전 케이스(31)의 콤팩트화가 도모되고, 고유 진동수를 높여서 진동 진폭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간 거리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톱니수를 변경해서 공진을 피할 수 있는 톱니수를 설계할 수 있고, 공진에 의한 진동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압출 스프링(76)이 작동 암(74)을 압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작동 암(74)의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압출 부재(37)가 식부 부재(36)로부터 모종을 확실하게 압출해서 포장에 식부할 수 있ㅇ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암축(73)과 작동 암(74)의 일측 단부 사이에 작동 암(74)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77)를 설치함으로써, 작동 암(74)과 보호 부재(77)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모종 압출체(29)를 확실하게 작동 암(74)으로 압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심기 로드(27)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작동 암(74)이 보호 부재(77)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 압출 너트(70)의 압출측 끝면과 식부구 케이스(35)의 벽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작동 암(74)의 회동에 의해 식부구 케이스(35) 내의 오일이 외부로 압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식부구 케이스(35)의 내측의 측면에 오일 바이패스(79)를 형성함으로써, 식부구 케이스(35)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면서 오일의 압출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c, 31c)를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오목부(31d, 31d)를 형성하고 회전 케이스(31)를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회전 케이스(31)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중계 입력 기어(41)가 위치함으로써, 편심 입력 기어(40)와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회전 케이스(31)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중계 회전축(44, 44)의 좌우 길이를 식부 회전축(30) 및 회동축(34)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심기 로드(27)가 회동할 때에 중계 회전축(44)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심기 로드(27)의 회전 궤적이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수용 돌기부(31a, 31a)를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포장의 협잡물을 수용 돌기부(31a, 31a)에 걸리게 하기 어려워짐과 아울러, 협잡물이 수용 돌기부(31a, 31a)에 걸려도 회전 케이스(31)의 회전에 의해 수용 돌기부(31a, 31a)가 상승하는 과정에서 수용 돌기부(31a, 31a)가 하방을 향하므로, 걸린 협잡물이 낙하하기 쉬워, 얽힌 협잡물에 의해 모종 식부 장치의 회전이 흐트러지는 것이나, 얽힌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그리고, 식부구 케이스(35)의 오목부(31d, 31d)에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수용하는 수용 돌기부(31a, 31a)를 형성함으로써, 수용 돌기부(31a, 31a)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회전 케이스(31)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삭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심기 로드(27)가 모종 적재대(22)로부터 모종을 잡을 때에, 돌기부(47t)가 제동 접촉 부재(48)를 통과함으로써, 제동 접촉 부재(48)를 제동 바이어싱 부재(49)의 바이어싱 포오스로 압출해서 제동 캠(47)에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심기 로드(27)가 모종을 잡을 때에 발생하는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고, 심기 로드(27)가 맥동하거나 이동이 느려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심기 로드(27)가 설정량의 모종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삭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 통과 후부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위치에서,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시를 최소로 할 수 있으므로, 심기 로드(27)의 이동에 의한 부하로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이 흐트러져, 심기 로드(27)가 맥동을 일으키는 경우나, 심기 로드(27)의 이동이 느려지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최소 지름부가 맞물리는 제 1 상태와, 출력 최소 지름부(42m)와 중계 최대 지름부(41m)가 맞물리는 제 2 상태가, 심기 로드(27)가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으로부터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동안에 다른 위상에서 현출함으로써, 모종을 식부한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할 때까지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므로, 심기 로드(27)가 형성하는 포장면 식부 구멍이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 큰 식부 구멍에 의해 모종이 쓰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하여, 식부 회전축(30)에 스트레이트부(30a)와 경사부(30b)를 형성하고, 이 스트레이트부(30a)와 경사부(30b)에 고정 부재(39)를 접촉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고정 부재(39)의 부착 위치를 식부 회전축(30)의 폭 내로 할 수 있으므로, 모종 식부 장치의 좌우 폭이 억제되어, 콤팩트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각도 조절 부재(50)를 심기 로드(27)와 회전 케이스(31)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의 좌우 폭이 억제되어, 콤팩트한 구성으로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를 설치한 모종 이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후측 방향으로부터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를 구성하는 회전 케이스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회동축의 위치에 대응하는 식부 부재의 선단이 그리는 식부 부재 선단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부재의 선단이 최하점에 왔을 때의 각 편심 회전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부재의 선단이 최하점에 왔을 때의 각 편심 회전체의 평탄부의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부재의 선단이 최하점에 왔을 때의 각 편심 회전체의 최대 지름부의 접촉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회전축의 축심의 위치와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 상의 각 통과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부재의 선단이 식부 회전축과 동일한 수평면 상을 통과할 때의, 편심 입력 기어의 축심의 위치와 각 심기 로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부재의 선단의 정궤적 및 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모종의 포기간을 변화시켰을 때의 식부 부재의 선단의 동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가 정지했을 때의 모종 식부 장치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심기 로드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S1-S1 단면도이다.
도 17은 제동 캠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의 식부 회전축 주변의 단면도이다.
상기 기술 사상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구성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모종 이식기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각각 전후 및 좌우라고 한다. 도 1 및 도 2에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를 장비한 승용형 이앙기의 우측면도 및 평면도를 나타낸다.
이 승용형 이앙기는 엔진(11)을 탑재하고, 구동 회전하는 각 좌우 1쌍의 전륜(12) 및 후륜(13)을 구비한 주행 차체(10)의 후방에 승강 링크 장치(14)를 통해서 6조 심기의 모종 식부부(15)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주행 차체(10)에는 운전 좌석(16), 전륜(12)을 조향하는 조종 핸들(17), 예비 모종을 적재해 두는 예비 모종 적재대(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모종 식부부(15)는 기체로부터 전동 입력되는 식부 전동 케이스(21)의 상측에 전방부가 상위로 되는 구성으로 경사진 모종 적재대(22)를 주행 차체(10)의 후방에 배치함과 아울러, 식부 전동 케이스(21)의 식부 전동부의 후단부에 2조씩 1세트의 모종 식부 장치(23)를 설치하고 있다.
센터 플로트(24) 및 사이드 플로트(26)를 접지시킨 상태에서 주행 차체(10)를 진행시키면, 모종 적재대(22)가 좌우로 왕복 이동해서 받침부 상의 매트 모종을 모종 적재대(22) 하단측에 설치한 모종 받이 프레임(20)의 모종 잡기 구(25)에 1포기씩 순차적으로 공급하고, 그것을 모종 식부 장치(23)가 분리하고 인출해서 포장에 식부한다.
이어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주행 차체(10)의 좌측 방향으로부터 본 일부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에 후측 방향으로부터의 일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그 모종 식부 장치(23)에는 식부 전동 케이스(21)의 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식부 회전축(30)과, 이 식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케이스(31)와, 이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모종 적재대(22)로부터 모종을 잡아서 포장에 식부하는 2개의 심기 로드(27, 27)를 구비한다.
상기 식부 회전축(30)의 좌우 돌출부에는 회전 케이스(31)의 중앙부를 일체 회전하는 구성으로 고정해서 부착한다. 또한,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제 1 베어링(32) 및 제 2 베어링(33)에 의해 회동축(3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 2개의 회동축(34)의 각각에 심기 로드(27)의 식부구 케이스(35)가 고정되어서 부착되어 있다.
그 식부구 케이스(35)에는 2개의 봉체를 갖는 포크 형상의 식부 부재(36)와, 선단부에 압출 부재(37)가 고정된 모종 압출체(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에, 도 3의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회전축(30) 주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도 4,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회전축(30)에는 스트레이트부(30a)가 형성되어 있고, 회전 케이스(31)의 보스(38)에 식부 회전축(30)과 직교시켜서 삽입해서 통과한 테이퍼 형상의 고정 부재(39)를 상기 스트레이트부(30a)에 접촉시켜서 회전 케이스(31)를 식부 회전축(30)에 고정한다.
또한, 식부 회전축(30)에는 축 외주로부터 스트레이트부(30a)에 이르는 경사부(30b)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경사부(30b)의 반경 방향에 고정 부재(39)의 일부를 겹쳐서 배치한다.
상기 경사부(30b)의 반경 방향에 고정 부재(39)의 일부를 위치시킴으로써, 보스(38)의 좌우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하는 심기 로드(27)와 상기 보스(38)의 간섭이 방지됨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방향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도 5에 본 실시형태의 회전 케이스(3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회전 케이스(31)의 내부에는 식부 회전축(30)의 외주부에 감합되어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21)와 일체로 비회전인 편심 입력 기어(40)가 배치되어 있고, 편심 입력 기어(40)에 맞물리는 2개의 중계 입력 기어(41, 41)와, 각 중계 입력 기어(41, 41)에 맞물리는 2개의 편심 출력 기어(42, 42)로 이루어지는 기어 기구가 수납되어 있다.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은 식부 회전축(30)의 축심과 같은, 즉 편심 입력 기어(40)는 식부 회전축(30)과 동축이 되는 배치로 하고, 편심 입력 기어(40)는 제 3 베어링(43)에 의해 회전 케이스(31)에 지지된다. 중계 입력 기어(41)는 편심 입력 기어(40)로부터의 구동력을 편심 출력 기어(42)로 전동하는 것이고, 중계 회전축(44)에 부착되어 회전 케이스(31)에 대응해서 여유있게 회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편심 출력 기어(42)는 심기 로드(27)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4)에 일체 회전하는 구성으로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23)에서는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을 측면으로 보았을 때,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 이외에 위치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면 이등변 삼각형이 형성되는 배치로 한다. 또한, 중계 입력 기어(41, 41), 및 편심 출력 기어(42, 42)는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을 대칭점으로 하여 점 대칭으로서 배치하고, 이에 따라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중계 입력 기어(41, 41)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 42)의 회전 중심에 의해 측면으로 보았을 때 S자 형상을 그리는 배치 구성으로 한다.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를 점 대칭으로서 배치하고 있음으로써, 중계 입력 기어(41, 41)의 회전 중심은 편심 입력 기어(40)와 편심 출력 기어(42, 42)를 연결하는 선의 어느 것이나 회전 아래쪽에 위치한다. 단, 이것을 회전 위쪽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문제없다.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을 측면으로 보았을 때,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 이외에 위치시킴으로써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케이스(31)를 콤팩트하게 하고, 고유 진동수를 높일 수 있으므로 진동 진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간 거리 등을 임의로 설정함으로써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치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공진을 회피할 수 있는 톱니수로 설계하여 공진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심기 로드(27, 27)를 각각 구비하고, 이들 심기 로드(27, 27)에 구동력을 전동하는 중계 입력 기어(41, 41)의 회전 중심을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을 대칭점으로 해서 점 대칭으로서 배치한다. 이에 따라, 중량이 있는 회전 케이스(31)의 언밸런스를 적게 할 수 있고,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식부 회전축(30)이 구동 회전하면 회전 케이스(31)가 일정 방향으로 회전하여 편심 입력 기어(40)의 주위를 편심 출력 기어(42)가 공전함과 아울러, 편심 입력 기어(40)가 1회 공전하는 동안에 공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편심 출력 기어(42)가 1회 자전한다. 도 3, 도 5에 나타내는 좌측면도에서는 회전 케이스(31)가 식부 회전축(30)과 함께 도면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편심 출력 기어(42)가 식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공전함과 아울러 시계 방향으로 자전한다.
심기 로드(27)는 편심 출력 기어(42)에 장착되어 있는 회동축(34)과 함께 회동하므로 식부 회전축(30)이 구동 회전하는 것에 따라서 심기 로드(27)에 설치하는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후술하는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그려서 이동한다.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가 1회 공전하는 동안에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을 일주한다. 또한,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은 주행 차체(10)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좌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정궤적이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는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직선 형상으로 배치되는 기어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직선 형상으로 배치」란 이들 기어인 회전체의 톱니 폭이 같고, 회전체가 서로 축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계 회전축(44)의 좌우 길이를 편심 입력 기어(40)와 동축의 식부 회전축(30)의 좌우 길이보다 짧고, 또한 편심 출력 기어(42)에 장착한 회동축(34)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한다.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를 평면으로 보았을 때에 직선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회전 케이스(31)의 좌우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없어 회전 케이스(31)를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입력 기어(41)에 장착한 중계 회전축(44)의 좌우 길이를 편심 입력 기어(40)에 끼운 식부 회전축(30)의 좌우 길이보다 짧고, 또한 편심 출력 기어(42)에 끼운 회동축(34)의 좌우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심기 로드(27)가 회동했을 때에 중계 회전축(44)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어 심기 로드(27)의 식부 회전 궤적이 흐트러질 일이 없고,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와, 편심 출력 기어(42)는 각각 기어 톱니와 기어 톱니의 간격, 및 각 기어 톱니의 길이가 다른 비원형상으로 한다.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가 각각 맞물림으로써 회전 케이스(31)가 회전하면, 도 3, 및 도 6∼도 12에 나타내는 궤적을 심기 로드(27)가 그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와, 편심 출력 기어(42)에는 각각 기어 톱니의 돌출 단부가 대략 평면 형상으로 배열되는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출력 평탄부(42f)를 각각 형성하고,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및 출력 평탄부(42f)가 맞물릴 때에는 기어 톱니끼리의 간극이 작아지는 것으로 한다. 기어 톱니끼리의 간극을 작게 함으로써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의 부하가 강해져도 백래시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리고, 상기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및 출력 평탄부(42f)는 심기 로드(27)의 식부 궤적의 하사점, 즉 최하강 위치에서 맞물리기 시작한다. 또는 하사점 통과 후에 맞물리기 시작하고, 상기 식부 부재(36)가 흙 속에서 완전히 이탈하는 위치에서 이간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및 출력 평탄부(42f)가 이간되는 위치는 심기 로드(27)가 식부 자세로부터 모종 잡기 자세로 스위칭되기 시작하는 위치이기도 한다.
상기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으로부터 식부 부재(36)가 흙 속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때까지의 위치는, 식부 부재(36)를 흙 속으로부터 신속하게 이탈시키기 위해 심기 로드(27)의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식부 부재(36)가 흙 속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하는 위치에서는 심기 로드(27)가 식부 자세로부터 모종 잡기 자세로 스위칭되므로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에 의해 백래시가 발생하기 쉬워 심기 로드(27)가 맥동을 일으키거나, 심기 로드(27)의 회전 이동이 느려지거나 하기 쉽다.
그러나,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및 출력 평탄부(42f)가 심기 로드(27)의 식부 궤적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 통과 후부터 식부 부재(36)가 흙 속으로부터 완전히 이탈할 때까지의 위치에 걸치고, 기어 톱니끼리의 간격이 작아지는 상태에서 맞물림으로써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에 의한 백래시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심기 로드(27)가 맥동을 일으키거나, 회전 이동이 느려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 잡기나 모종의 식부 타이밍이 어긋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모종의 식부 후에 식부 부재(36)를 흙 속으로부터 신속하게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모종의 식부 위치 주위에 구멍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고, 모종이 이 구멍부에 쓰러져서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에는 20개∼22개 정도의 기어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기어 톱니 1개당 심기 로드(27)의 이동량은 약 16°∼18°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어 톱니의 폭, 및 기어 톱니와 기어 톱니의 간격은 1개소마다 다르므로 상기 값은 평균값이다. 상기 평탄부는 같은 폭의 기어 톱니를 2개 배열함과 아울러 그 2개의 기어 톱니의 간격을 이 기어 톱니 1개분과 대략 같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입력 평탄부(40f), 중계 평탄부(41f) 및 출력 평탄부(42f)의 맞물림 부분이 통과할 때,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의 외주부까지의 지름이 최대로 되는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최소 지름부가 맞물리는 제 1 상태와,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의 외주부까지의 지름이 최대로 되는 중계 최대 지름부(41m)와 편심 출력 기어(42)의 최소 지름부가 각각 맞물리는 제 2 상태가 현출하는 배치 구성으로 한다.
제 1 상태란 상기 입력 평탄부(40f)와 중계 평탄부(41f)가 이간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의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최소 지름부가 선행해서 맞물리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므로 심기 로드(27)의 회전 이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상태란 제 1 상태의 현출 후, 상기 중계 평탄부(41f)와 출력 평탄부(42f)가 이간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의 중계 최대 지름부(41m)와 편심 출력 기어(42)의 최소 지름부가 맞물리는 상태이다. 이에 따라, 중계 입력 기어(41)와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므로 제 1 상태가 종료해도 심기 로드(27)의 회전 이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심기 로드(27)가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으로부터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동안에 제 1 상태와 제 2 상태를 현출시킴으로써 심기 로드(27)를 신속하게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시킬 수 있으므로, 심기 로드(27)에 설치하는 식부 부재(36)가 식부하는 모종의 주위에 구멍부를 형성하는 것이 방지되고, 이 구멍부에 모종이 쓰러져서 식부 자세가 흐트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 1 상태와 제 2 상태에 의한 심기 로드(27)의 이동은 기어 톱니 약 2개분, 즉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을 0°로 해서 32°∼36°의 범위에서 행해진다.
또한, 상기 중계 평탄부(41f)와 출력 평탄부(42f)가 선행해서 이간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중계 최대 지름부(41m)와 출력 최소 지름부(42m)를 선행해서 맞물리게 해서 제 1 상태를 현출시킴과 아울러, 상기 입력 평탄부(40f)와 중계 평탄부(41f)가 이간되기 시작하면 상기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최소 지름부가 맞물려서 제 2 상태를 현출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31)의 내부에는 회동축(34)에 일체 회전하는 구성으로 부착한, 원주 상의 1점을 돌출시켜서 돌기부(47t)를 형성한 비원형상의 제동 캠(47)과, 제동 캠(47)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제동 접촉 부재(48)와, 제동 접촉 부재(48)를 제동 캠(47)에 압박하는 제동 바이어싱 부재(49)로 이루어지는 위상 어긋남 방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 접촉 부재(48)의 접촉면측은 원호형상으로서, 제동 캠(47)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동 캠(47)과 제동 접촉 부재(48)와 제동 바이어싱 부재(49)는 각각 1쌍 회전 케이스(31)의 내부에 설치한다. 그 회전 케이스(31) 중, 1쌍의 중계 입력 기어(41, 41)를 설치하는 부분은 그 1쌍의 중계 입력 기어(41, 41)를 편심 입력 기어(40) 및 1쌍의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반송 방향 위쪽에 배치하기 위해, 각각 회전 방향 위쪽으로 돌출되는 볼록부(31c, 31c)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그 볼록부(31c, 31c)의 반대측, 즉 회전 방향 아래쪽에는 각각 완만하게 만곡되는 오목부(31d, 31d)를 형성하고 있고, 회전 케이스(31)는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31d, 31d)에는 반송 방향 위쪽으로 돌출되는 수용 돌기부(31a, 31a)를 각각 형성하고, 그 수용 돌기부(31a, 31a)의 내부에는 수용 공간부(31b, 31b)를 각각 형성한다. 그리고, 그 수용 공간부(31b, 31b)의 내부에 상기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각각 배치한다. 그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는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동축(34)과 중계 입력 기어(41)의 중계 회전축(44)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 돌기부(31a, 31a)의 돌출량은 상기 볼록부(31c, 31c)의 돌출량과 대략 같게 한다.
또한, 상기 1쌍의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 및 1쌍의 수용 돌기부(31a, 31a)는 편심 입력 기어(40)에 끼운 식부 회전축(30)를 중심으로 해서 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서는 수용 돌기부(31a, 31a)를 회전 케이스(31)의 오목부(31d, 31d)에 형성함과 아울러, 수용 돌기부(31a, 31a)와 볼록부(31c, 31c)의 돌출량을 대략 같게 함으로써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의 돌출량이 커져서 회전 케이스(31)가 대형화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 식부 장치(23)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그리고, 1쌍의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 및 1쌍의 수용 돌기부(31a, 31a)를 식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해서 선 대칭이 되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한쪽 수용 돌기부(31a)의 돌출 단부가 다른쪽 볼록부(31c)의 돌출 단부와 대략 동일직선 상에 배열되는 구성으로 되므로, 회전 케이스(31)가 대형화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 식부 장치(23)의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또한, 수용 돌기부(31a, 31a)를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위쪽에 각각 설치함으로써 수용 돌기부(31a, 31a)는 심기 로드(27, 27)가 포장에 모종을 식부할 때 포장면 또는 수면의 짚 부스러기 등의 협잡물을 떠내기 어려운 자세가 되므로, 협잡물이 모종 식부 장치(23)에 얽히는 것이 방지되어 협잡물이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작업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모종 식부 장치(23)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는 작업이 불필요해진다.
또한, 심기 로드(27, 27)가 포장에 모종을 심어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음 모종을 잡으러 가는 궤적, 및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잡어서 포장에 모종을 식부하러 가는 궤적에 있어서, 수용 돌기부(31a, 31a)가 각각 하방을 향하는 위치가 있으므로 수용 돌기부(31a, 31a)에 걸린 협잡물이 하방으로 낙하하기 쉬워져서 한층 더 협잡물의 얽힘이 방지된다.
상기 제동 캠(4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고,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잡는 위치 및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을 제동하고,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 사이의 백래시를 억제하여 모종 분리 및 모종 식부의 동작이 정확하게 행해지는 구성으로 작용한다.
또한, 도 17에는 본 발명의 모종 식부 장치(23)의, 제동 캠(47)의 좌측 방향으로부터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모종 식부 장치(23)에서는 제동 캠(47)의 전체 둘레를 제 1 접촉부(47a)와 제 2 접촉부(47b)에 의해 형성한다. 제 1 접촉부(47a)는 심기 로드(27)가 모종을 잡는 위치에 있을 때에 제동 접촉 부재(48)와 접촉하는 외주 위치로부터, 거기에서 회전 전 135°의 회전 위치에 있을 때에 제동 접촉 부재(48)와 접촉하는 외주 위치까지를 말하고, 제 2 접촉부(47b)는 그 이외의 부분을 말한다. 제 1 접촉부(47a)에서는 제동 캠(47)의 외주와 회전 중심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길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제동 캠(47)의 제 1 접촉부(47a)를 심기 로드(27)가 모종을 잡을 때까지 제 1 접촉부(47a)의 외주와 회전 중심의 거리를 단계적으로 길게 함으로써, 진동을 적게 하는 힘을 서서히 강하게 하면서 모종을 잡는 부분에서 진동을 억제하는 힘을 가장 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격한 힘의 변동에 의한 진동을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모종의 취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상기 제 1 접촉부(47a)와 제 2 접촉부(47b)의 경계 부분 중 어느 한쪽에 상기 돌기부(47t)를 형성한다.
상기 제동 접촉 부재(48)는 제동 바이어싱 부재(49)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상시 제동 캠(47)에 프레싱되고, 제동 캠(47)에 가해지는 압력은 회동축(34)을 통해서 편심 출력 기어(42)에 전달되어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부하를 경감시킨다. 그 편심 출력 기어(42)에 걸리는 부하는 상기 회동축(34)에 설치되는 심기 로드(27)의 위치마다 변화되므로, 상기 제동 캠(47)은 복수 개소의 지름이 다른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특히, 도 7∼도 9에 나타내는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소정량의 모종을 잡는 위치에서는 모종의 배지나 뿌리가 강한 저항이 되고, 부하가 걸리기 쉬워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에 의해 백래시가 발생하고, 심기 로드(27)가 맥동을 일으키거나, 심기 로드(27)의 회전 이동이 느려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를 통과하는 위치가 어긋나서 설정한 모종과는 다른 양의 모종을 잡아버리거나, 모종을 잡지 않고 통과해 버리거나 해서 모종의 식부가 위치마다 달라 식부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맥동의 백래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잡는 위치보다 회전 방향 아래쪽의 위치에서 상기 제동 캠(47)의 돌기부(47t)가 제동 접촉 부재(48)에 접촉하고, 그 제동 접촉 부재(48)는 제동 바이어싱 부재(49)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저항해서 모종 잡기 구(25)의 직전까지 돌기부(47t)에 의해 밀어 올려지는 배치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를 통과할 때 상기 돌기부(47t)가 제동 접촉 부재(48)를 완전히 통과하면, 상기 제동 바이어싱 부재(49)의 바이어싱 포오스에 의해 압출된 제동 접촉 부재(48)가 제동 캠(47)에 접촉함으로써 접촉의 충격이 회동축(34)을 통해서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에 전동되므로,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맞물림의 부하가 경감되어서 심기 로드(27)가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잡을 때에 맥동을 일으키거나, 회전 이동이 느려지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상기 심기 로드(27)의 압출 부재(37)는 식부구 케이스(3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 모종 압출체(29)의 선단부에 식부 부재(36)의 이면에 근접시켜서 부착되고, 모종 압출체(29)의 작동에 의해 식부 부재(36)의 선단측으로 돌출, 및 식부 부재(36)의 근원측으로 후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식부구 케이스(3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압출 부재(37)의 작동 기구에 의해,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하부로 이동해 갈 때에 압출 부재(37)가 돌출되어 식부 부재(36)에 유지되어 있는 모종을 포장으로 압출한다. 또한, 압출 부재(37)의 작동 기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는 이상의 구성으로 식부 작업시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식부 회전축(30)이 구동 회전함으로써 회전 케이스(31)에 부착되어 있는 1쌍의 심기 로드(27)가,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그리는 동일 궤도 상을 서로 1/2주기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일정 자세로 이동한다.
상기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가 모종 잡기 구(25)를 통과할 때, 모종 적재대(22)의 모종을 1포기 분리해서 인출한다. 이때, 압출 부재(37)는 후퇴한 상태에 있다. 심기 로드(27)가 하동해서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하부까지 이동하면, 모종 압출체(29)의 선단에 설치한 압출 부재(37)가 돌출되어 식부 부재(36)가 유지하고 있는 모종의 토부를 하방을 향하여 누름으로써, 모종을 식부 부재(36)로부터 압출해서 포장에 식부한다. 그 후에 심기 로드(27)가 하동시보다 후방의 궤도를 통해서 상동함과 아울러 압출 부재(37)가 후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회동축(34)의 위치에 대응하는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그리는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주행 차체(10)의 좌측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공전 궤적(51)은 식부 회전축(30)이 회전할 때의 회동축(34)의 공전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는 회동축(34)이 최하점에 있을 때의 각 회전체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종래의 모종 식부구의 선단 궤적(9)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는 도 5에 나타내는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41) 및 편심 출력 기어(42, 42)의 구성에 의해,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종래의 식부구 선단 궤적(9)과는 다른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그린다.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을 일주하는 동안에 식부 부재(36)의 선단은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을 일주 이동한다.
이하에, 제 1 실시형태의 모종 식부 장치(23)에 있어서의,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최하점에 왔을 때의 회전 케이스(31) 내의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및 편심 출력 기어(4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주행 차체(10)의 좌측으로부터 본 도면이고, 도 7 이후의 도면에서는 주행 차체(10)의 전후 방향을 x방향, 연직 방향을 y방향으로 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 7 이후의 도면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기 로드(27)의 형상 및 자세를,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 및 회동축(34)의 중심을 정점으로 하는 삼각형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7에서는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잡기 구(25)에 도달했을 때, 및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최하점에 도달했을 때의 심기 로드(27)의 위치를 기재하고 있다.
상기 회동축(34)으로부터 식부 부재(36)의 선단까지의 길이(L)를, 식부 회동축(30)의 공전 궤적(51)의 중심인 식부 회전축(30)으로부터 회동축(34)까지의 길이의 2배 길이, 즉 식부 회동축(30)의 공전 궤적(51)의 직경 φ과 같은 길이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길이(L)를 종래의 식부 회동축(30)의 공전 궤적(51)의 직경 φ과 같은 약 160㎜로 하고 있다.
상기 회전 케이스(31)의 단부에 구비한 2개의 심기 로드(27, 27)의 회동축(34, 34)의 축심간 거리 φ와, 심기 로드(27)의 회동축(34)의 축심으로부터 이 심기 로드(27)에 구비한 식부 부재(36)의 선단까지의 거리(L)가 동일함으로써, 식부 부재(36)가 다른쪽 심기 로드(27)에 간섭하지 않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종의 식부 위치나, 식부 깊이가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모종의 식부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최하점(B점)의 위치로부터 식부 회동축(30)의 공전 궤적(51)의 중심인 식부 회전축(30)까지의 y방향의 거리(b2)가, 식부 회동축의 공전 궤적(51)의 직경 φ과 대략 같은 길이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심 입력 기어(40)의 축심인 식부 회전축(30)과 편심 출력 기어(42)의 축심인 회동축(34)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 1 직선이라고 했을 때, 회동축(34)의 공전하는 회전 방향(도 7에서는 좌회전)을 기준으로 해서 중계 입력 기어(41)의 축심인 중계 회전축(44)이 제 1 직선보다 회전 방향 전방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편심 입력 기어(40)의 축심인 식부 회전축(30)과 중계 입력 기어(41)의 축심인 중계 회전축(44)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 2 직선이라고 했을 때에, 제 1 직선과 제 2 직선이 이루는 각도(θ2)가 18±2°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계 회전축(44)과 회동축(34)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 3 직선으로 하면, 제 1 직선과 제 3 직선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각도(θ2)와 같이 18±2°가 된다. 그리고, 제 2 직선과 제 3 직선의 교점에 있어서의 각도(θ3)는 144±4°가 된다. 이에 따라, 제 1 직선과 제 2 직선과 제 3 직선을 각각 연결하는, 즉 식부 회전축(30)과 중계 회전축(44)과 회동축(34)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이등변 삼각형이 그려지는 구성으로 된다. 바꿔 말하면, 편심 입력 기어(40)와 중계 입력 기어(41)와 편심 출력 기어(42)가 이등변 삼각형의 각 정점 위치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의 최하점에 왔을 때에,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최하점인 B점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편심 출력 기어(42)의 축심인 회동축(34)과 식부 부재(36)의 선단을 연결하는 직선을 제 4 직선이라고 하면,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최하점(B점)에 도달했을 때에 제 1 직선과 제 4 직선이 이루는 각도(θ1)가 122±2°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식부 회전축(30)의 축심의 위치와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각 통과점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통과하는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폐곡선을 그리는 궤적이며,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최상위가 되는 위치를 A점, 최하위가 되는 위치를 B점, 최전방이 되는 위치를 C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식부 부재(36)의 선단은 식부 회전축(30)보다 낮은 위치에서 최전방점(C점)을 통과한다.
A점과 편심 입력 기어(40)의 축심인 식부 회전축(30) 사이의 x방향의 거리를 a1이라고 하고, y방향의 거리를 a2라고 한다. 또한, B점과 식부 회전축(30) 사이의 x방향의 거리를 b1이라고 하고, y방향의 거리를 b2라고 한다. 또한, C점과 식부 회전축(30) 사이의 x방향의 거리를 c1이라고 하고, y방향의 거리를 c2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a1의 길이가 식부 회전축(30)으로부터 회동축(34)까지의 길이의 2배인 길이 φ의 0.65배 이상 0.69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a2의 길이가 길이 φ의 0.91배 이상 0.95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b1의 길이가 길이 φ의 0.87배 이상 0.91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b2의 길이가 길이 φ의 0.95배 이상 1.1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c1의 길이가 길이 φ의 1.4배 이상 1.5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c2의 길이가 길이 φ의 0.12배 이상, 0.16배 이하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최하점(B점)으로부터 연직 상방 30㎜의 수평면의 위치를 포장면의 위치로 가정하고, 이 수평면과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교차하는 2점 중 전방측의 교차점을 D1점이라고 하고, 후방측의 교차점을 D2점이라고 한다.
그리고, D1점과 B점의 x방향의 거리를 d1, D2점과 B점의 x방향의 거리를 d2라고 했을 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d1의 길이가 d2의 길이의 약 2배 길이가 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중, C점으로부터 B점에 이르는 궤적의 형상이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반경이 길이 φ의 0.85배 이상 0.9배 이하인 진원의 호의 형상에 대략 일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한쪽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식부 회전축(30)과 동일한 수평면 상을 통과할 때의, 편심 입력 기어(40)의 축심의 위치와 각 심기 로드(27)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2개의 심기 로드(27)는 식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해서 점 대칭이 되는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배치된 2개의 회동축(34)의 각각에 고정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쪽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식부 회전축(30)과 동일한 수평면 상을 통과할 때, 다른 한쪽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도 식부 회전축(30)과 동일한 수평면 상을 상하 반대 방향을 향해서 통과한다.
식부 회전축(30)과 동일한 수평면과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의 교차하는 2점 중 전방측의 교차점을 E1점이라고 하고, 후방측의 교차점을 E2점이라고 하면 한쪽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하강하면서 E1점을 통과할 때, 다른쪽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은 상승하면서 E2점을 통과한다.
그리고, E1점과 최하점인 B점의 x방향의 거리를 e1, E2점과 식부 회전축(30)의 x방향의 거리를 e2라고 했을 때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e1의 길이가 e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해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2는 주행 차체(10)가 정지하고 있을 때의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에 대응시켜서 주행 차체(10)가 주행하고 있을 때의 모종 식부 장치(23)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그리는 동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그리면서 주행 차체(10)가 좌측 방향으로 주행했을 때,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은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모종 식부구 선단 동궤적(52)을 그린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식부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해서 식부 회동축의 공전 궤적(51) 상의 최하점의 위치를 0°의 위치라고 하고,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 상의 가장 후방측에 왔을 때의 위치를 90°의 위치라고 하고,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 상의 최상점에 왔을 때의 위치를 180°의 위치라고 규정한다.
도 12의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F점은 회동축(34)의 공전 궤적(51) 상의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정했을 때의, 회동축(34)이 26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종 식부구 선단 동궤적(52) 상의 F'점은 F점에 대응하는 동궤적 상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의 G점은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 상의 90°의 위치에 있을 때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모종 식부구 선단 동궤적(52) 상의 G'점은 G점에 대응하는 동궤적 상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각 기어의 구성에 의해, 회동축(34)이 공전 궤적(51) 상의 260°의 위치 부근으로부터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이동 속도가 가속되고, 90°의 위치 부근으로부터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이동 속도가 감속된다.
즉,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 상에 있어서 식부 부재(36)의 선단은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는 F점으로부터 G점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빠르게 이동하고,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인출하는 G점으로부터 F점으로 이동하는 동안은 느리게 이동한다. 모종 식부구 선단 동궤적(52) 상에서는 F'점으로부터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가속해서 모종을 포장에 식부하고, G'점으로부터 식부 부재(36)의 선단이 감속해서 모종 잡기 구(25)로부터 모종을 인출한다.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이동 속도를 상기와 같이 제어함으로써 포장에 식부한 모종에 간섭하는 일 없이 모종의 식부 후에 식부 부재(36)의 선단을 급상승시킬 수 있다.
도 13에 있어서, 모종의 전후 방향의 식부 간격, 즉 포기간을 변화시켰을 때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동궤적을 나타낸다.
도 13은 각 식부 포기수(37주, 42주, 50주, 60주, 70주, 80주, 90주)에 있어서의 동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에서는 식부 부재(36)의 선단의 궤적의 최하점의 위치로부터 연직 상방 30㎜의 위치를 포장면으로 가정하고 있다.
종래의 모종 식부 장치에 의해 그려지는 모종 잡기 클로 선단의 궤적에서는 성긴 식부측에 있어서 진동의 발생이 생기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면 빽빽한 식부측에서 포기수를 늘릴수록 모종끼리의 식부 간격이 흐트러지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음과 아울러, 빽빽한 식부측에 있어서 모종끼리의 식부 간격이 일정해지는 구성으로 하면 성긴 식부측으로 했을 때에 진동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모종 식부 장치(23)는 주행 차체(10)가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모종 식부구 선단 궤적(19)을 그리는 구성으로 동작함으로써 모종끼리의 식부 간격을 흐트러뜨리는 것이나, 진동의 발생에 의해 모종의 식부가 일시적으로 행해지지 않고, 37주∼90주까지의 넓은 범위의 식부 포기수에 대응할 수 있다.
모종 식부 장치(23)에서는 식부 포기수에 대응한 기어의 변경 등이 필요 없으므로 저비용으로 작업 적응력이 향상된다. 또한, 모종 식부 장치(23)는 종래와 대략 같은 크기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화가 도모된다.
도 14에 본 실시형태의 모종 식부 장치(23)가 정지했을 때의 모종 식부 장치(23)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모종 식부 장치(23)를 정지시켰을 때, 즉 식부 클러치를 「차단」으로 설정했을 때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2개의 심기 로드(27)는 도 14에 나타내는 자세로 정지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심기 로드(27)의 식부 부재(36)가 서로 평행해지는 방향에서 정지함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23)가 정지했을 때에 측면으로 보았을 때에 회전 케이스(31)로부터 전후로 돌출되는 면적이 작고, 부피가 커지지 않는다. 이에 따라, 모종 이식기의 창고 등으로의 수납이나, 경트럭의 짐받이 등으로의 적재가 용이해진다.
또한, 식부 부재(36, 36)가 서로 포장의 흙 속에 침입한 상태에서 정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부 부재(36, 36)에 진흙이 막혀서 모종 식부부(15)로부터 모종을 긁어내지 못해서 모종이 식부되지 않는 개소의 발생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모종을 심는 작업이 불필요해져서 작업자의 노동력이 경감된다.
이어서, 심기 로드(27)의 식부구 케이스(35) 내에 수용되어 있는 압출 부재(37)의 작동 기구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모종 식부 장치(23)의 심기 로드(27)의 단면도를, 도 16에 도 15의 S1-S1 단면을 나타낸다.
압출 캠(71)은 식부구 케이스(35) 내에 돌출된 회전 케이스(31)의 돌출부에 일체로 감합되고, 회동축(34) 및 식부구 케이스(35)를 기준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압출 캠(71)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캠 암(72)은 암축(73)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 압출 캠(71)은 회전 케이스(31)의 외측에서 후술하는 작동 암(74)보다 회전 케이스측에 배치한다.
또한, 암축(73)에는 캠 암(72)과 일체로 회동하는 작동 암(74)이 축지지되어 있고, 작동 암(74)의 선단부와 모종 압출체(29)의 식부구 케이스(35) 내부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압출 너트(70)가 조인트 부재(75)를 통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75)를 통해서 모종 압출체(29)가 식부 부재(36)의 돌출측으로 바이어싱되는 구성으로 작동 암(74)의 중간 부분을 바이어싱하는 압출 스프링(7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34)을 기준으로 해서 압출 캠(71)이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압출 캠(71)과 캠 암(72)으로 이루어지는 캠 기구의 기능으로 작동 암(74)이 요동한다.
상기 압출 스프링(76)을 압축하는 위치에 작동 암(74)이 있을 때에는 압출 부재(37)가 후퇴한 상태에 있다. 그 위치로부터 작동 암(74)이 회동해서 압출 스프링(76)의 압축이 완화되면, 압출 스프링(76)의 탄발력에 의해 모종 압출체(29)가 압출되어 압출 부재(37)가 돌출된다.
도 4 및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작동 암(74)은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궤적과 평행해지는 암부(74a)와, 회전 케이스(31)로부터 멀어지는 경사 자세의 경사 암부(74b)로 구성하고, 압출 스프링(76)을 작동 암(74)의 암부(74a)로 압박하는 구성으로 한다.
압출 스프링(76)을 작동 암(74)의 암부(74a)로 압박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작동 암(74)의 회동 안내의 폭 내에서 작동 암(74)을 압박하므로 작동 암(74)의 자세가 흐트러질 일이 없고, 압출 부재(37)가 압출되어 모종을 확실하게 식부할 수 있다.
도 15에 있어서, 모종 압출체(29)와 작동 암(74)의 회동 지점인 암축(73)의 상하간에 보호 부재(77)를 설치하고, 작동 암(74)이 모종 압출체(29)를 압출하는 위치로 회동했을 때에 작동 암(74)이 보호 부재(77)에 접촉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 보호 부재(77)는 식부구 케이스(35)의 내측에 설치된 쿠션 고무이며, 지지 보스(7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보호 부재(77)는 압출 스프링(76)의 탄발력에 의해 회동할 때의 작동 암(74)의 충격을 흡수하고, 모종 압출체(29)를 스무스하게 돌출시킨다. 또한, 작동 암(74)의 모종 압출체(29)와의 압박부를 모종 압출체(29)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측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모종 압출체(29)와 암축(73) 사이에 압출 위치로 이동한 작동 암(74)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77)를 설치하고, 작동 암(74)의 모종 압출체(29)와의 접촉부를 전방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작동 암(74)과 보호 부재(77)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모종 압출체(29)를 확실하게 작동 암(74)으로 압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심기 로드(27)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종 이식기의 전후 폭이 짧아진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출 너트(70)의 전방에 오일 고임부(80)를 설치한다. 압출 너트(70)의 전방에 오일 고임부(80)를 설치함으로써 심기 로드(27)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압출 너트(70)에 의해 식부구 케이스(35) 내부의 오일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쿠션 고무 지지 보스(78)와 압출 너트(70)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서 오일의 압출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종 압출체(29)가 내부를 슬라이딩하는 식부구 케이스(35)의 통 형상 부분 내측의 측면에 오일 바이패스(79)를 설치함으로써 콤팩트한 구성으로 오일의 압출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모종 압출체(29)가 식부구 케이스(35)로부터 돌출되는 부시 부분에는 오일 고임부의 공간을 설치하지 않고, 그리스 실 립부(81)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오일 바이패스(79)를 통해서 오일을 후방으로 되돌리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심기 로드(27)의 전체 길이를 길게 하지 않고 오일을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심기 로드(27)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50)를 설치하고, 이 각도 조절 부재(50)를 심기 로드(27)와 회전 케이스(31) 사이에 배치한다. 그 각도 조절 부재(50)를 심기 로드(27)와 회전 케이스(31)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모종 식부 장치(23)의 좌우 방향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22 : 모종 적재대 27 : 심기 로드
29 : 모종 압출체 30 : 식부 회전축
30a : 스트레이트부 30b : 경사부
31 : 회전 케이스 31a : 수용 돌기부
31c : 볼록부 34 : 회동축
36 : 식부 부재 37 : 압출 부재
39 : 고정 부재 40 : 편심 입력 기어
40m : 입력 최대 지름부 41 : 중계 입력 기어
41m : 중계 최대 지름부 42 : 편심 출력 기어
42m : 출력 최소 지름부 44 : 중계 회전축
47 : 제동 캠 47t : 돌기부
48 : 제동 접촉 부재 49 : 제동 바이어싱 부재
50 : 각도 조절 부재 73 : 암축
74 : 작동 암 74a : 암부
74b : 경사 암부 76 : 압출 스프링

Claims (9)

  1. 좌우 방향의 식부 회전축(30)에 회전 케이스(31)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에 심기 로드(27)를 설치해서 구성하는 모종 식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1)에는, 상기 식부 회전축(30)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편심 입력 기어(40)와, 상기 심기 로드(27)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4)에 장착되는 편심 출력 기어(42)와,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로부터 편심 출력 기어(42)로 구동력을 전동하는 중계 입력 기어(41)를 설치하고, 상기 중계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을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의 회전 중심과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의 회전 중심을 연결한 선 상 이외에 위치시키고,
    상기 심기 로드(27)는 상기 회동축(34)에 장착되는 식부구 케이스(35)와, 모종을 잡아서 유지하는 식부 부재(36)와, 상기 식부 부재(36)로부터 모종을 압출하는 압출 부재(37)와, 상기 압출 부재(37)를 선단에 설치한 모종 압출체(29)를 출납하는 작동 암(74)과, 상기 작동 암(74)을 압출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압출 스프링(76)과, 상기 식부구 케이스(35)의 내부 공간에서 모종 압출체(29)에 장착되는 압출 너트(70)를 설치해서 구성하고,
    상기 작동 암(74)의 회동 지점인 암축(73)과 상기 작동 암(74)의 일측 단부의 사이에, 압출 위치로 회동한 상기 작동 암(74)을 수용하는 보호 부재(77)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 암(74)이 보호 부재(77)에 수용되는 위치까지 회동했을 때, 상기 압출 너트(70)의 압출측 끝면과 식부구 케이스(35)의 벽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압출체(29)가 슬라이딩하는 식부구 케이스(35)의 내측의 측면에 오일 바이패스(7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1)의 중심부에 상기 식부 회전축(3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의 양단부에 상기 회동축(34, 34)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동축(34, 34)에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식부 회전축(30)과 회동축(34, 34) 사이이고 또한 회동축(34, 34)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중계 회전축(44, 44)을 각각 설치하고, 상기 중계 회전축(44, 44)에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 41)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에는,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의 위치에서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으로 볼록부(31c, 31c)를 형성함과 아울러,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오목부(31d, 31d)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 케이스(31)를 측면에서 볼 때 S자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케이스(31)에 비원형상의 제동 캠(47, 47)을 설치하고, 상기 제동 캠(47, 47)에 접촉하는 제동 접촉 부재(48, 48)를 설치하고,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중계 입력 기어(41, 41)가 위치하고,
    상기 제동 접촉 부재(48, 48)를 제동 캠(47, 47)측으로 바이어싱하는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 42)보다 회전 케이스(31)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설치하고,
    상기 식부구 케이스(35)의 오목부(31d, 31d)에 상기 제동 바이어싱 부재(49, 49)를 수용하는 수용 돌기부(31a, 31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캠(47)에 돌기부(47t)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47t)는 상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후부터 모종 적재대(22)의 모종을 잡기 전까지의 동안에 상기 제동 접촉 부재(48)에 접촉하고,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적재대(22)로부터 모종을 잡는 위치에서는 제동 접촉 부재(48)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심기 로드(27)의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 또는 하사점 통과 후부터 심기 로드(27)가 포장면의 상방으로 이탈하기 시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 중계 입력 기어(41, 41) 및 편심 출력 기어(42, 42)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백래시가 최소로 됨과 아울러,
    상기 편심 입력 기어(40)에 지름이 최대로 되는 입력 최대 지름부(40m)를 형성하고, 상기 중계 입력 기어(41)에 지름이 최대로 되는 중계 최대 지름부(41m)와 지름이 최소로 되는 중계 최소 지름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편심 출력 기어(42)에 지름이 최소로 되는 출력 최소 지름부(42m)를 형성하고,
    상기 심기 로드(27)가 모종 식부 궤적의 하사점으로부터 포장면의 상방으로 완전히 이탈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입력 최대 지름부(40m)와 중계 최소 지름부가 맞물리는 제 1 상태와, 출력 최소 지름부(42m)와 중계 최대 지름부(41m)가 맞물리는 제 2 상태로 되고, 또한 다른 위상에서 제 1 상태와 제 2 상태가 현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레이트부(30a)와 상기 스트레이트부(30a)에 연결되는 경사부(30b)를 상기 식부 회전축(30)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스트레이트부(30a)와 경사부(30b)에 고정 부재(39)가 접촉해서 회전 케이스(31)를 식부 회전축(30)에 고정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회동축(34)에 대한 상기 심기 로드(27)의 회동축(34)의 회동 방향에 있어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 부재(50)를 상기 심기 로드(27)와 회전 케이스(31) 사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식부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40050481A 2013-08-23 2014-04-28 모종 식부 장치 KR101709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73783A JP5967038B2 (ja) 2013-08-23 2013-08-23 苗移植機
JPJP-P-2013-173783 2013-08-23
JP2013217637A JP6179338B2 (ja) 2013-10-18 2013-10-18 苗植付装置
JPJP-P-2013-217637 2013-10-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640A KR20150022640A (ko) 2015-03-04
KR101709595B1 true KR101709595B1 (ko) 2017-02-23

Family

ID=5296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0481A KR101709595B1 (ko) 2013-08-23 2014-04-28 모종 식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709595B1 (ko)
CN (1) CN104412760B (ko)
MY (1) MY172975A (ko)
TW (1) TWI631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5521B (zh) * 2016-08-15 2018-08-17 浙江理工大学 一种凹凸共轭-傅里叶齿轮行星轮系取苗机构
JP6616274B2 (ja) * 2016-12-07 2019-12-04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340B2 (ja) * 1990-01-18 1998-07-09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植付装置
JP2000253718A (ja) 1999-03-11 2000-09-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3366B2 (ja) * 1996-11-05 1997-09-17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装置
JPH10136735A (ja) * 1996-11-08 1998-05-26 Kubota Corp 苗植付機構
JP2815852B2 (ja) * 1997-06-05 1998-10-2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田植機の苗植装置
JP2001299029A (ja) 2000-04-17 2001-10-30 Iseki & Co Ltd 苗植機のロータリ苗植装置
JP4562495B2 (ja) * 2004-11-04 2010-10-13 ヤンマー株式会社 田植機におけるロータリー式苗植付け機構
KR100646626B1 (ko) * 2004-11-26 2006-11-23 대동공업주식회사 이앙기
JP4899397B2 (ja) 2005-09-29 2012-03-21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付装置
JP4924802B2 (ja) * 2006-03-24 2012-04-2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付装置
CN101218866A (zh) * 2007-01-09 2008-07-16 郭保可 改进的栽植臂
JP5359124B2 (ja) * 2008-08-28 2013-12-04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CN201403309Y (zh) * 2009-03-02 2010-02-17 浙江理工大学 一种可消除齿隙的非圆齿轮传动系分插机构
CN102124849A (zh) * 2011-02-01 2011-07-20 浙江理工大学 行星轮轴交错的偏心齿轮传动分插机构
JP5927763B2 (ja) * 2011-02-23 2016-06-01 井関農機株式会社 作業車両
CN102342205B (zh) * 2011-05-06 2013-04-17 莱恩农业装备有限公司 一种插秧机的插植机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3340B2 (ja) * 1990-01-18 1998-07-09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の植付装置
JP2000253718A (ja) 1999-03-11 2000-09-1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移植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2760A (zh) 2015-03-18
TWI631890B (zh) 2018-08-11
KR20150022640A (ko) 2015-03-04
TW201507596A (zh) 2015-03-01
MY172975A (en) 2019-12-16
CN104412760B (zh)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595B1 (ko) 모종 식부 장치
JP5814084B2 (ja) 苗移植機
KR100894996B1 (ko) 모종 식부장치
JP4929662B2 (ja) 苗植機
JP6003182B2 (ja) 苗植付装置
CN102781217B (zh) 联合收割机的废秸秆刀具装置
JP6179338B2 (ja) 苗植付装置
JP6103110B2 (ja) 苗移植機
JP6103109B2 (ja) 苗移植機
JP4575801B2 (ja) ロータリー式苗植付け機構を備えた田植機
JP4577828B2 (ja) 田植機
JP5967038B2 (ja) 苗移植機
CN201388527Y (zh) 一种香烟机中的烟支调头装置
JP4269414B2 (ja) 苗植機のロータリ苗植装置
JP2015039367A5 (ko)
JP2550293B2 (ja) 田植機における苗植装置
JP5940340B2 (ja) 粒状物の繰出装置
JPS5921607Y2 (ja) 苗植付装置
JP3918812B2 (ja) 苗植機
JP3743435B2 (ja) 苗移植機
JP6777138B2 (ja) 移植機
KR20160043524A (ko) 이앙기
JP2012244970A (ja) 植付装置
JP5851008B2 (ja) 苗移植機
JP2003070326A (ja) 苗植付装置の植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4